KR20140093342A - 포충등 - Google Patents

포충등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93342A
KR20140093342A KR1020130004411A KR20130004411A KR20140093342A KR 20140093342 A KR20140093342 A KR 20140093342A KR 1020130004411 A KR1020130004411 A KR 1020130004411A KR 20130004411 A KR20130004411 A KR 20130004411A KR 20140093342 A KR20140093342 A KR 2014009334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ush
chamber
brush head
insect
pes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044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전찬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세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세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세스코
Priority to KR10201300044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093342A/ko
Publication of KR201400933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9334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1/00Stationary means for catching or killing insects
    • A01M1/02Stationary means for catching or killing insects with devices or substances, e.g. food, pheronones attracting the insects
    • A01M1/04Attracting insects by using illumination or colou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1/00Stationary means for catching or killing insects
    • A01M1/22Killing insects by electric means
    • A01M1/223Killing insects by electric means by using electrocution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2200/00Kind of animal
    • A01M2200/01Insects
    • A01M2200/012Flying insec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3/00Fishing, trapping, and vermin destroying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Insects & Arthropod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포충등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해충을 유인하는 광원부와, 유인된 해충에 전격을 가하는 전격부와, 상기 광원부와 상기 전격부를 수용하는 챔버와, 상기 전격부에 잔류하는 해충을 제거하여 청소하는 브러시를 포함하는 포충등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포충등 {Insert Catcher}
본 발명은 전격부에 잔류하는 해충의 시체를 제거하여 청소하도록 하는 브러시가 설치된 포충등에 관한 것이다.
[선행기술문헌1] 대한민국 등록 특허 특0178669
종래의 전격살충기는,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포충램프(3), 상기 포충램프(3) 가까이에 서로 대향하도록 설치된 복수의 전극(4a,4b)과, 해충의 시체가 받아지는 받이접시(6)와, 상기 받이접시(6)의 하부에 장착되어 해충의 시체가 모아지는 포충포대(13)와, 상기 받이접시(6) 내에서 이동 가능하도록 하여 상기 받이접시(6) 내에 떨어진 해충의 시체를 한쪽으로 모아 상기 포충포대(13)로 낙하시키도록 하는 청소브러시기구(17)를 포함한다.
이러한 종래의 전격살충기는 복수의 전극(4a,4b)에 잔류한 해충의 시체를 쉽게 떼어낼 수가 없어 사람이 일일이 청소를 해줘야 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선행기술문헌2] 대한민국 공개 특허 특2002-0021466
종래의 모기 퇴치기는,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기들을 유인하는 자외선 램프(200)와, 유인된 모기들을 빨아들여 고전압의 전기에 의해 퇴치하도록 하는 포집통(100)과, 죽은 모기들이 포집되는 포집망(300)을 포함한다.
이러한 종래의 모기 퇴치기는, 포집통(100)에 잔류한 해충의 시체를 쉽게 떼어낼 수가 없어 사람이 일일이 청소를 해줘야 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 특허 특0178669 대한민국 공개 특허 특2002-0021466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잔류한 해충의 시체를 제거하여 청소를 용이하게 하는 브러시를 구비하며, 화재를 예방할 수 있고, 인건비를 절감하며, 포획량 감소를 방지하는 포충등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포충등은, 해충을 유인하는 광원부와, 유인된 해충에 전격을 가하는 전격부와, 상기 광원부와 상기 전격부를 수용하는 챔버와, 상기 전격부에 잔류하는 해충을 제거하여 청소하는 브러시를 포함한다.
상기 브러시는 상기 챔버 내부에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브러시는 상하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전격부를 청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특징으로 한다.
상기 브러시는 좌우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전격부를 청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챔버의 하부에 구비되어 상기 챔버 내부로 유입된 해충의 시체를 포집할 수 있도록 구비된 포집통을 더 포함한다.
상기 포집통은 상기 챔버와 분리 가능하도록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포충등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해충을 유인하는 광원부와, 유인된 해충에 전격을 가하는 전격부와, 상기 광원부와 상기 전격부를 수용하는 챔버와, 상기 전격부에 잔류하는 해충을 제거하여 청소하는 브러시를 포함하여, 해충을 유인하여 제거할 수 있으므로 더욱 많은 해충을 제거할 수 있으며, 잔류한 해충을 제거하는 브러시가 있어서 청소를 용이하게 하여 인건비를 절감할 수 있고, 포획량 감소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크기가 큰 해충들이 붙으면 전류가 가해지는데 이때 불꽃이 커지면서 발생할 수 있는 화재를 예방할 수도 있다.
상기 브러시는 상기 챔버 내부에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여, 외부 요인에 의한 손상이나 고장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브러시는 상하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전격부를 청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특징으로 하여, 전격부에 잔류하는 해충을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으며, 전격부의 청소를 용이하게 하여 인건비를 절감할 수 있다.
상기 브러시는 전후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전격부를 청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전격부에 잔류하는 해충을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으며, 전격부의 청소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상기 챔버의 하부에 구비되어 상기 챔버 내부로 유입된 해충의 시체를 포집할 수 있도록 구비된 포집통을 더 포함하여, 해충의 시체가 외부로 날리지 않으므로 공기의 오염을 방지할 수 있으며, 해충의 시체 처리를 깔끔하게 할 수 있다.
상기 포집통은 상기 챔버와 분리 가능하도록 설치되어, 해충의 시체를 수거하여 버리게 되므로 해충의 시체가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여 외부 환경의 오염을 줄일 수 있으며, 해충의 시체 처리를 깔끔하게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포충등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실시 예 1에 따른 정면도.
도 3은 도 1의 실시 예 1에 따른 측면도.
도 4는 도 1의 실시 예 1에 따른 평면도.
도 5는 도 1의 실시 예 2에 따른 정면도.
도 6은 도 1의 실시 예 2에 따른 측면도.
도 7은 도 1의 실시 예 2에 따른 평면도.
도 8은 도 1의 실시 예 3에 따른 정면도.
도 9는 도 1의 실시 예 3에 따른 측면도.
도 10은 도 1의 실시 예 3에 따른 평면도.
도 11은 도 1의 실시 예 4에 따른 정면도.
도 12는 도 1의 실시 예 4에 따른 측면도.
도 13은 도 1의 실시 예 4에 따른 평면도.
도 14는 종래 1의 전격살충기의 정면도.
도 15는 종래 2의 모기퇴치기의 정면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 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참고로, 이하에서 설명될 본 발명의 구성들 중 종래기술과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전술한 종래기술을 참조하기로 하고 별도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포충등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실시 예 1에 따른 정면도이고, 도 3은 도 1의 실시 예 1에 따른 측면도이고, 도 4는 도 1의 실시 예 1에 따른 평면도이다.
도 5는 도 1의 실시 예 2에 따른 정면도이고, 도 6은 도 1의 실시 예 2에 따른 측면도이고, 도 7은 도 1의 실시 예 2에 따른 평면도이다.
도 8은 도 1의 실시 예 3에 따른 정면도이고, 도 9는 도 1의 실시 예 3에 따른 측면도이고, 도 10은 도 1의 실시 예 3에 따른 평면도이다.
도 11은 도 1의 실시 예 4에 따른 정면도이고, 도 12는 도 1의 실시 예 4에 따른 측면도이고, 도 13은 도 1의 실시 예 4에 따른 평면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포충등은, 해충을 유인하는 광원부(1)와, 유인된 해충에 전격을 가하는 전격부(2)와, 상기 광원부(1)와 상기 전격부(2)를 수용하는 챔버(4)와, 상기 전격부(2)에 잔류하는 해충을 제거하여 청소하는 브러시(7,72)를 포함한다.
챔버(4)는 사각 형태로 구성되며, 전면 일부가 개방된 형태이다.
상기 챔버(4)의 개방된 전면 내부에는 광원부(1)가 설치된다.
상기 광원부(1)는 상기 챔버(4)의 전면 내부 하단에서부터 아래쪽으로 향하도록 설치되며, 양측에 각각 2개씩 설치되는 것이 적당하다.
이러한 광원부(1)는 날아다니는 해충을 유인하기 위한 것으로, 형광등 또는 자외선 램프 등이 사용될 수 있다.
광원부(1)의 후방에는 전격부(2)가 설치된다.
상기 전격부(2)는 상기 광원부(1)로 유인된 해충에 전기 충격을 가하기 위해 설치되는 것으로, 유인된 해충을 빠르게 제거하여 효과적이라는 이점이 있다.
[실시 예 1] 스크류 방식: 상하방향으로 이동하는 브러시(7)/스크류(8)
전격부(2)의 후방에는 스크류(8)가 설치된다
상기 스크류(8)의 상부에는 구동모터(미도시)가 설치된다.
스크류(8)에는 브러시헤드(70)가 설치된다.
상기 브러시헤드(70)는 직사각형 형태이며, 브러시헤드(70)의 너비가 브러시헤드(70)의 높이보다 넓은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브러시헤드(70)의 중심부 후방에는 구멍이 형성된다.
상기 구멍은 상기 스크류(8)의 회전방향에 따라 상기 스크류(8)를 상하방향으로 이동하도록 한다.
이러한 브러시헤드(70)와 스크류(8)는 서로 수직인 것이 바람직하며, 스크류(8)의 중심축과 전격부(2)의 중심축은 동일선상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브러시헤드(70)의 전면에는 브러시(7)가 형성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브러시(7)가 상에서 하로 이동하면서 전격부(2)에 잔류된 해충의 시체를 밀어내어 떨어뜨릴 수 있도록 브러시(7)의 길이는 브러시헤드(70)와 전격부(2) 사이의 거리보다 긴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브러시(7)는 하에서 상으로 이동하면서 전격부(2)에 잔류된 해충의 시체를 밀어내어 떨어뜨릴 수 있도록 브러시(7)의 길이는 브러시헤드(70)와 전격부(2) 사이의 거리보다 긴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브러시(7)의 길이가 브러시헤드(70)와 전격부(2) 사이의 거리보다 기므로, 브러시(7)가 전격부(2)를 쓸어내리거나 쓸어올릴 때, 전격부(2)의 뚫린 부분을 지날 때는 브러시(7)가 후방에서 전방으로 나오게 되고, 전격부(2)의 막힌 막힌 부분을 지날 때는 브러시(7)가 전방에서 후방으로 들어가게 된다. 그리하여 브러시(7)는 전후방향으로도 이동하여 전격부(2)를 청소하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브러시(7)는 전격부(2)에 잔류하는 해충을 제거하여 청소하게 되므로, 전격부(2)를 언제나 청결하고 깔끔한 형태로 유지할 수 있게 한다는 이점이 있다.
이하 전술한 구성을 갖는 본 실시 예 1의 작용을 설명한다.
구동모터(미도시)의 작동에 의해 스크류(8)가 회전하게 된다.
스크류(8)의 회전방향에 따라 브러시헤드(70)가 상하방향으로 이동한다.
이때 브러시(7)가 전격부(2)를 청소한다.
챔버(4)의 하부에는 포집통(3)이 설치된다.
상기 포집통(3)은 상기 챔버(4)와 분리 가능하도록 설치되며, 상기 챔버(4) 내부로 유입된 해충의 시체를 포집하도록 한다.
챔버(4)에는 스마트 모니터링 시스템(5)이 설치된다.
상기 스마트 모니터링 시스템(5)은 상기 챔버(4)의 어느 한 측면 상부에 설치된 안테나(5)와 상기 포집통(3)의 내부에 설치된 센서(미도시)를 포함한다.
상기 스마트 모니터링 시스템(5)은 상기 센서(미도시)가 해충의 시체로 가득 찬 포집통(3)을 감지했을 때 해충업체에 신호를 보내면, 해충업체에서 포집통(3)에 쌓인 해충의 시체를 제거하도록 오게 하는 시스템이다. 그리하여, 포충등 설치 시설물의 주인 또는 관계자가 매번 해충의 시체를 확인하여 해충업체에 청소를 요구하지 않아도 되어 사용자에게 편리함을 제공하고, 시설물마다 청소시기를 해충업체에 직접 알려주니 해충업체에서 포충등 청소를 위해 시설물을 매번 방문하지 않아도 되니 인력 낭비를 줄일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실시 예 2] 와이퍼 방식: 좌우방향으로 이동하는 브러시(72)/회전봉(76)
전격부(2)의 후방에는 회전봉(76)이 설치된다.
상기 회전봉(76)의 상단에는 구동모터(6)가 설치된다.
회전봉(76)에는 브러시헤드(75)가 설치된다.
상기 브러시헤드(75)는 사각형태이며, 브러시헤드(75)의 높이가 브러시헤드(75)의 너비보다 긴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브러시헤드(75)의 일측은 상기 회전봉(76)에 회전 가능하도록 고정되어 설치되고, 상기 브러시헤드(75)의 타측에는 후술할 브러시(72)가 형성된다.
이러한 브러시헤드(75)와 회전봉(76)은 서로 동일 선상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브러시헤드(75)의 전면에는 브러시(72)가 형성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브러시(72)가 좌에서 우로 이동하면서 전격부(2)에 잔류된 해충의 시체를 밀어내어 떨어뜨릴 수 있도록 브러시(72)의 길이는 브러시헤드(75)와 전격부(2) 사이의 거리보다 긴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브러시(72)는 우에서 좌로 이동하면서 전격부(2)에 잔류된 해충의 시체를 밀어내어 떨어뜨릴 수 있도록 브러시(72)의 길이는 브러시헤드(75)와 전격부(2) 사이의 거리보다 긴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브러시(7)의 길이가 브러시헤드(75)와 전격부(2) 사이의 거리보다 기므로, 브러시(72)가 전격부(2)를 쓸어내리거나 쓸어올릴 때, 전격부(2)의 뚫린 부분을 지날 때는 브러시(72)가 후방에서 전방으로 나오게 되고, 전격부(2)의 막힌 막힌 부분을 지날 때는 브러시(72)가 전방에서 후방으로 들어가게 된다. 그리하여 브러시(72)는 전후방향으로도 이동하여 전격부(2)를 청소하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브러시(72)는 전격부(2)에 잔류하는 해충을 제거하여 청소하게 되므로, 전격부(2)를 언제나 청결하고 깔끔한 형태로 유지할 수 있게 한다는 이점이 있다.
이하 전술한 구성을 갖는 본 실시 예 2의 작용을 설명한다.
구동모터(6)의 작동에 의해 회전봉(76)이 회전한다.
회전봉(76)이 좌에서 우로 갈 때 브러시헤드(75)가 좌에서 우로 이동할 때, 브러시(72)는 전격부(2)를 좌에서 우 방향으로 청소하게 된다.
이때 브러시(72)가 전격부(2)를 청소한다.
회전봉(76)이 우에서 좌로 갈 때 브러시헤드(75)가 우에서 좌로 이동할 때, 브러시(72)는 전격부(2)를 우에서 좌 방향으로 청소하게 된다.
챔버(4)의 하부에는 포집통(3)이 설치된다.
상기 포집통(3)은 상기 챔버(4)와 분리 가능하도록 설치되며, 상기 챔버(4) 내부로 유입된 해충의 시체를 포집하도록 한다.
챔버(4)에는 스마트 모니터링 시스템(5)이 설치된다.
상기 스마트 모니터링 시스템(5)은 상기 챔버(4)의 어느 한 측면 상부에 설치된 안테나(5)와 상기 포집통(3)의 내부에 설치된 센서(미도시)를 포함한다.
상기 스마트 모니터링 시스템(5)은 상기 센서(미도시)가 해충의 시체로 가득 찬 포집통(3)을 감지했을 때 해충업체에 신호를 보내면, 해충업체에서 포집통(3)에 쌓인 해충의 시체를 제거하도록 오게 하는 시스템이다. 그리하여, 포충등 설치 시설물의 주인 또는 관계자가 매번 해충의 시체를 확인하여 해충업체에 청소를 요구하지 않아도 되어 사용자에게 편리함을 제공하고, 시설물마다 청소시기를 해충업체에 직접 알려주니 해충업체에서 포충등 청소를 위해 시설물을 매번 방문하지 않아도 되니 인력 낭비를 줄일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실시 예 3] 중력/모터 방식: 상하방향으로 이동하는 브러시(7)
전격부(2)의 후방에는 회전봉(78)이 설치된다
회전봉(78)에는 브러시헤드(73)가 설치된다.
이러한 브러시헤드(73)는 실시 예 1의 브러시헤드(70)와 동일하다.
상기 브러시헤드(73)의 전면에는 브러시(7)가 형성된다.
이러한 브러시(7)는 실시 예 1의 브러시(7)와 동일하다.
상기 브러시헤드(73)의 상부에는 풀리(83)가 설치되며, 풀리(83)에는 와이어가 감겨있다.
상기 풀리는 구동모터(6)의 중심축과 연결된다.
이하 전술한 구성을 갖는 본 실시 예 3의 작용을 설명한다.
자중에 의해서 브러시(7)를 하강시켜 전격부(2)를 쓸어내린다.
구동모터(6)를 구동시킨 후, 브러시(7)를 상승시켜 전격부(2)를 쓸어올려, 전격부(2)를 청소한다.
챔버(4)의 하부에는 포집통(3)이 설치된다.
상기 포집통(3)은 상기 챔버(4)와 분리 가능하도록 설치되며, 상기 챔버(4) 내부로 유입된 해충의 시체를 포집하도록 한다.
챔버(4)에는 스마트 모니터링 시스템(5)이 설치된다.
상기 스마트 모니터링 시스템(5)은 상기 챔버(4)의 어느 한 측면 상부에 설치된 안테나(5)와 상기 포집통(3)의 내부에 설치된 센서(미도시)를 포함한다.
상기 스마트 모니터링 시스템(5)은 상기 센서(미도시)가 해충의 시체로 가득 찬 포집통(3)을 감지했을 때 해충업체에 신호를 보내면, 해충업체에서 포집통(3)에 쌓인 해충의 시체를 제거하도록 오게 하는 시스템이다. 그리하여, 포충등 설치 시설물의 주인 또는 관계자가 매번 해충의 시체를 확인하여 해충업체에 청소를 요구하지 않아도 되어 사용자에게 편리함을 제공하고, 시설물마다 청소시기를 해충업체에 직접 알려주니 해충업체에서 포충등 청소를 위해 시설물을 매번 방문하지 않아도 되니 인력 낭비를 줄일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실시 예 4] 벨트와 풀리 방식: 상하방향으로 이동하는 브러시(7)
전격부(2)의 후방에는 벨트(14) 및 풀리(12,13)가 설치된다.
풀리(12,13)는 상부 풀리(12)와 하부 풀리(13)를 포함한다.
상부 풀리(12)는 후술할 브러시헤드(79)의 중심축 선상에 위치하며, 상부 풀리(12)의 중심축에는 상부에 위치한 구동모터(6)의 중심축이 연결된다.
하부 풀리(13)는 후술할 브러시헤드(79)의 중심축 선상에 위치하며, 하부 풀리(13)의 중심축에는 하부에 위치한 구동모터(6)의 중심축이 연결된다.
이러한 상부에 위치한 구동모터(6)와 하부에 위치한 구동모터(6)는 회전 방향이 다른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하여, 상부에 위치한 구동모터(6) 구동 시에는 벨트(14)가 내려가고, 하부에 위치한 구동모터(6) 구동 시에는 벨트(14)가 올라가게 된다. 하지만, 이와는 반대로 하부에 위치한 구동모터(6) 구동 시에는 벨트(14)가 올라가고, 상부에 위치한 구동모터(6) 구동 시에는 벨트(14)가 내려가게 되도록 해도 된다.
본 실시 예 4에서는 구동모터(6) 2개가 설치되었지만, 시계방향/반 시계방향 회전이 모두 가능한 모터를 1개만 사용할 수도 있다.
상기 상부 풀리(12)와 상기 하부 풀리(13)는 벨트(14)에 의해 연결된다.
상기 벨트(14)의 전면에는 브러시헤드(79)가 설치된다.
이러한 브러시헤드(79)는 실시 예 1의 브러시헤드(79)와 동일하다.
상기 브러시헤드(79)의 전면에는 브러시(7)가 형성된다.
이러한 브러시(7)는 실시 예 1의 브러시(7)와 동일하다.
이하 전술한 구성을 갖는 본 실시 예 4의 작용을 설명한다.
상부에 위치한 구동모터(6)를 구동시켜 브러시(7)를 하강시켜 전격부(2)를 쓸어내린다.
하부에 위치한 구동모터(6)를 구동시켜 브러시(7)를 상승시켜 전격부(2)를 쓸어올린다.
챔버(4)의 하부에는 포집통(3)이 설치된다.
상기 포집통(3)은 상기 챔버(4)와 분리 가능하도록 설치되며, 상기 챔버(4) 내부로 유입된 해충의 시체를 포집하도록 한다.
챔버(4)에는 스마트 모니터링 시스템(5)이 설치된다.
상기 스마트 모니터링 시스템(5)은 상기 챔버(4)의 어느 한 측면 상부에 설치된 안테나(5)와 상기 포집통(3)의 내부에 설치된 센서(미도시)를 포함한다.
상기 스마트 모니터링 시스템(5)은 상기 센서(미도시)가 해충의 시체로 가득 찬 포집통(3)을 감지했을 때 해충업체에 신호를 보내면, 해충업체에서 포집통(3)에 쌓인 해충의 시체를 제거하도록 오게 하는 시스템이다. 그리하여, 포충등 설치 시설물의 주인 또는 관계자가 매번 해충의 시체를 확인하여 해충업체에 청소를 요구하지 않아도 되어 사용자에게 편리함을 제공하고, 시설물마다 청소시기를 해충업체에 직접 알려주니 해충업체에서 포충등 청소를 위해 시설물을 매번 방문하지 않아도 되니 인력 낭비를 줄일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기술분야의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또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포충등은, 특히, 잔류한 해충을 제거하는 포충등에 적합하다.
1: 광원부 2: 전격부
3: 포집통 4: 챔버
5: 스마트 모니터링 시스템 6: 구동모터
[실시 예 1]
7: 브러시 70: 브러시헤드
8: 스크류
[실시 예 2]
72: 브러시 75: 브러시헤드
76: 회전봉
[실시 예 3]
7: 브러시 73: 브러시헤드
78: 회전봉 83: 풀리
[실시 예 4]
7: 브러시 79: 브러시헤드
12: 상부 풀리 13: 하부 풀리
14: 벨트

Claims (6)

  1. 해충을 유인하는 광원부;
    유인된 해충에 전격을 가하는 전격부;
    상기 광원부와 상기 전격부를 수용하는 챔버;
    상기 전격부에 잔류하는 해충을 제거하여 청소하는 브러시;를 포함하는 포충등.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브러시는 상기 챔버 내부에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충등.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브러시는 상하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전격부를 청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특징으로 하는 포충등.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브러시는 좌우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전격부를 청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충등.
  5. 청구항 4 또는 청구항 5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챔버의 하부에 구비되어 상기 챔버 내부로 유입된 해충의 시체를 포집할 수 있도록 구비된 포집통을 더 포함하는 포충등.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포집통은 상기 챔버와 분리 가능하도록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충등.
KR1020130004411A 2013-01-15 2013-01-15 포충등 KR2014009334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04411A KR20140093342A (ko) 2013-01-15 2013-01-15 포충등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04411A KR20140093342A (ko) 2013-01-15 2013-01-15 포충등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93342A true KR20140093342A (ko) 2014-07-28

Family

ID=517395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04411A KR20140093342A (ko) 2013-01-15 2013-01-15 포충등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093342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247317A (zh) * 2018-09-30 2019-01-22 刘良国 基于物理光学自动清理板状高压电网的杀虫灯
CN109701919A (zh) * 2018-09-03 2019-05-03 董醒华 灭蚊电网虫体清除装置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701919A (zh) * 2018-09-03 2019-05-03 董醒华 灭蚊电网虫体清除装置
CN109247317A (zh) * 2018-09-30 2019-01-22 刘良国 基于物理光学自动清理板状高压电网的杀虫灯
CN109247317B (zh) * 2018-09-30 2021-08-17 南京艾飞特智能电子科技有限公司 基于物理光学自动清理板状高压电网的杀虫灯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3168762B (zh) 田间灯诱昆虫图像采集装置
CN209251488U (zh) 一种白天可测运行状态的太阳能杀虫灯
CN110024768B (zh) 一种园林捕杀蚊蝇系统
KR20140093342A (ko) 포충등
CN103651303B (zh) 一种灭虫灯
CN204969059U (zh) 自动清虫灭虫灯
CN211211080U (zh) 一种公园用蚊虫捕捉器
CN210929274U (zh) 杀虫灯
KR200467175Y1 (ko) 선풍기를 이용한 해충 퇴치기
KR102052147B1 (ko) 공기 청정 기능이 구비된 포충기
KR102519804B1 (ko) 메쉬형 전극판을 갖는 매개모기 자동 분석 장치
KR100663995B1 (ko) 전격 살충기
CN213719520U (zh) 一种易清理的蟑螂捕捉器
CN213549220U (zh) 一种草莓虫害治理用环保型光诱除虫装置
JP4634593B2 (ja) 電撃型自動カウント式トラップ
CN216254880U (zh) 一种蔬菜种植用生态灭虫装置
CN211241406U (zh) 一种便于清理的倒吸式led杀虫设备
CN206350431U (zh) 一种旋转式电子灭蚊灯
KR20170071852A (ko) 하우스용 무인 포충장치
CN219644859U (zh) 一种林业捕虫器
CN214638429U (zh) 一种高速公路运输车辆长宽高自动检测装置
CN219352850U (zh) 一种猪养殖用灭蚊装置
KR102519805B1 (ko) 정확한 분석이 가능한 매개모기 자동 분석 장치
CN208925037U (zh) 一种微小昆虫捕捉器
CN220554360U (zh) 农业害虫诱杀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