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52147B1 - 공기 청정 기능이 구비된 포충기 - Google Patents

공기 청정 기능이 구비된 포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52147B1
KR102052147B1 KR1020180078205A KR20180078205A KR102052147B1 KR 102052147 B1 KR102052147 B1 KR 102052147B1 KR 1020180078205 A KR1020180078205 A KR 1020180078205A KR 20180078205 A KR20180078205 A KR 20180078205A KR 102052147 B1 KR102052147 B1 KR 10205214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guide
cleaner
repeller
pcb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782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소연
Original Assignee
장소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소연 filed Critical 장소연
Priority to KR10201800782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5214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521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5214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1/00Stationary means for catching or killing insects
    • A01M1/08Attracting and catching insects by using combined illumination or colours and suction effec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01Deodorant compositions
    • A61L9/014Deodorant compositions containing sorbent material, e.g. activated carb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0002Casings; Housings; Frame constructions
    • B01D46/0004Details of removable closures, lids, caps or filter hea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42Auxiliary equipment or operation thereof
    • B01D46/4227Manipulating filters or filter elements, e.g. handles or extracting too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8Arrangement or mounting of filters
    • F24F3/1603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1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Insects & Arthropod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Abstract

공기 청정 기능이 구비된 포충기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공기 청정 기능이 구비된 포충기는, 포집되는 벌레들이 수용되는 포집부가 구비된 포충기 본체; 포충기 본체의 내부에 마련되어 포충기 본체의 외부에 있는 공기를 정화시키는 공기 청정부; 포충기 본체에 마련되며 빛을 조사하여 벌레들을 유인하는 피씨비부; 포충기 본체에 마련되어 피씨비부의 주위로 근접하는 벌레들을 포집부로 흡입시키는 팬부; 및 공기 청정부와 팬부의 사이에 마련되어 포집부와 공기 청정부를 연결하는 유로를 선택적으로 개폐시켜 공기의 흐름을 유도하는 공기 흐름 유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공기 청정 기능이 구비된 포충기{INSECT TRAP HAVING AIR CLEANING FUNCTION}
본 발명은, 포충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해충 포집 기능과 공기 청정 기능이 구비된 포충기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 지구 온난화와 친환경 정책 등의 기후적 영향 및 사회적 영향에 의해, 해충이 증가하고 있다. 해충은 농작물 및 가축에 피해를 입히는 것은 물론, 말리리아, 뎅기열, 일본 뇌염 등의 병원균을 옮김으로써, 인간에게도 악영향을 미칠 수 있다. 따라서, 주변 생활 환경에 대한 살충 요청이 지속적으로 요구되고 있으며, 이에 따라 살충 관련 산업도 성장하고 있는 추세이다.
살충 방법과 관련하여, 종래에는, 살충제를 이용하는 화학적 방제법, 미꾸라지 등을 이용하는 생물학적 방제법, 유문등 및 이산화탄소 등으로 해충을 유인한 다음 고전압 등을 인가하여 해충을 퇴치시키는 물리적 방제법, 물 웅덩이를 없애거나 해충의 유충이 살 수 없도록 주위환경을 개선하는 환경적 방제법 등이 시도되었다.
그러나, 화학적 방제법의 경우 2차 오염문제가 대두되고, 생물학적 방제법 또는 환경적 방제법 등은 상대적으로 많은 비용, 처리 시간 및 노력이 소요될 수 있다.
한편, 종래의 포충기에서 포충기 주변으로 유인된 벌레를 포집하기 위해 자주 사용되는 방법은, 팬을 이용하여 공기 유동을 발생시키고, 이러한 공기 유동에 벌레가 휩쓸려 포집부에 포획되도록 하는 것이었다. 이러한 방식은 전기 충격 방식이나 끈끈이 방식과 달리 유지비가 저렴하고 유지보수에 손이 많이 가지 않는다는 점에서 널리 사용되어 오고 있다.
다만 종래의 포충기는 기능이 단순하여 복합적인 기능을 갖는 포충기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특히 최근에는 미세 먼지 등으로 공기 정화 기능의 중요성을 많이 인식하고 있으므로 이에 대한 대비책도 요구된다.
전술한 기술구성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배경기술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널리 알려진 종래 기술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1854414호(주식회사 이레그린) 2018. 04. 26.
따라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공기 청정 기능을 구비함과 아울러 해충의 포집 성능을 극대화할 수 있는 공기 청정 기능이 구비된 포충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포집되는 벌레들이 수용되는 포집부가 구비된 포충기 본체; 상기 포충기 본체의 내부에 마련되어 상기 포충기 본체의 외부에 있는 공기를 정화시키는 공기 청정부; 상기 포충기 본체에 마련되며 빛을 조사하여 상기 벌레들을 유인하는 피씨비부; 상기 포충기 본체에 마련되어 상기 피씨비부의 주위로 근접하는 상기 벌레들을 상기 포집부로 흡입시키는 팬부; 및 상기 공기 청정부와 상기 팬부의 사이에 마련되어 상기 포집부와 상기 공기 청정부를 연결하는 유로를 선택적으로 개폐시켜 공기의 흐름을 유도하는 공기 흐름 유도부를 포함하는 포충기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포충기 본체는, 내부가 비어 있는 베이스 몸체; 상기 베이스 몸체의 내부에 마련되는 내부 메인 케이스; 및 상기 내부 메인 케이스의 하부에 결합 되며 벌레들이 수용되는 상기 포집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공기 청정부는, 상기 베이스 몸체를 관통하여 상기 내부 메인 케이스의 상부에 결합 되는 청정 필터 가이드; 상기 청정 필터 가이드의 상부에 배치 되며 복수의 가이드 홀이 마련된 청정 클리너 가이드; 상기 청정 클리너 가이드의 상부에 결합 되며 복수의 캡 홀이 마련된 청정기 홀 캡; 및 상기 청정 필터 가이드에 마련되어 공기를 정화시키는 필터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공기 흐름 유도부는, 상기 내부 메인 케이스의 중앙홀에 마련된 승강 가이드홈에 승강 가능하게 배치되며 상기 청정 클리너 가이드의 하단부와 상기 피씨비부의 하단부가 결합 되는 차단판; 상기 차단판에 마련되는 랙 기어; 상기 랙 기어와 기어 맞물림 되는 구동 기어; 및 상기 내부 메인 케이스에 마련되며 상기 구동 기어를 회전 시켜 상기 차단판을 승강시키는 구동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랙 기어 및 상기 구동 기어에 맞물리도록 배치되어 상기 구동 기어의 회전력을 상기 랙 기어로 전달하는 피동 기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포충기 본체의 내부에 마련되는 공기 청정부에 의해 공기 청정 기능과 해충의 포집 기능을 선택적으로 행할 수 있다.
또한 공기 청정부와 팬부의 사이에 마련되는 공기 흐름 유도부에 의해 포집부와 공기 청정부를 연결하는 유로를 선택적으로 개폐시켜 공기의 흐름을 유도할 수 있으므로 해충의 포집 성능을 극대화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 청정 기능이 구비된 포충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서 피씨비 캡이 분리된 것을 확대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도 2에서 청정기 홀 캡과 피씨비 몸체가 삭제된 것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도 3에서 청정 클리너 가이드가 삭제된 것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도 4에서 청정 필터 가이드가 삭제된 것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6은 도 5에서 베이스 몸체가 삭제된 것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의 평면도이다.
도 8은 도 7에서 내부 메인 케이스가 삭제되고, 기어 하우징의 일부가 삭제된 것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도 8의 평면도이다.
도 10은 도 1에 도시된 포집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본 발명과 본 발명의 동작상의 이점 및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하여 달성되는 목적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예시하는 첨부 도면 및 첨부 도면에 기재된 내용을 참조하여야만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 청정 기능이 구비된 포충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도 1에서 피씨비 캡이 분리된 것을 확대 도시한 도면이고, 도 3은 도 2에서 청정기 홀 캡과 피씨비 몸체가 삭제된 것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도 3에서 청정 클리너 가이드가 삭제된 것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5는 도 4에서 청정 필터 가이드가 삭제된 것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또한, 도 6은 도 5에서 베이스 몸체가 삭제된 것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7은 도 6의 평면도이고, 도 8은 도 7에서 내부 메인 케이스가 삭제되고, 기어 하우징의 일부가 삭제된 것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9는 도 8의 평면도이고, 도 10은 도 1에 도시된 포집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공기 청정 기능이 구비된 포충기(1)는, 포집되는 벌레들이 수용되는 포집부(130)가 구비된 포충기 본체(100)와, 포충기 본체(100)의 내부에 마련되어 포충기 본체(100)의 외부에 있는 공기를 정화시키는 공기 청정부(200)와, 포충기 본체(100)에 마련되며 빛을 조사하여 벌레들을 유인하는 피씨비부(300)와, 포충기 본체(100)에 마련되어 피씨비부(300)의 주위로 근접하는 벌레들을 포집부(130)로 흡입시키는 팬부(400)와, 공기 청정부(200)와 팬부(400)의 사이에 마련되어 포집부(130)와 공기 청정부(200)를 연결하는 유로를 선택적으로 개폐시켜 공기의 흐름을 유도하는 공기 흐름 유도부(500)를 구비한다.
포충기 본체(1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 몸체(110)와, 베이스 몸체(110)의 내부에 마련되는 내부 메인 케이스(120, 도 6 참고)와, 베이스 몸체(110)의 하부에 배치되며 포집된 해충이 수용되는 포집부(130)를 포함한다.
포충기 본체(100)의 베이스 몸체(11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통형 형상을 가질 수 있고, 베이스 몸체(110)의 내부에는 내부 메인 케이스(120)와 공기 청정부(200)가 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베이스 몸체(110)의 외벽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부가 마련될 수 있고, 디스플레이부에는 현재 시간, 포집부(130)에 채워지는 해충의 양 등이 표시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예에서 베이스 몸체(110)의 내벽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걸림편(112)이 이격 배치되도록 마련될 수 있고, 복수의 걸림편(112)에는 청정기 홀 캡(230)이 탈착 가능하게 걸림 결합 될 수 있다.
포충기 본체(100)의 내부 메인 케이스(12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포집 바디(132)의 상부에 결합 될 수 있고, 청정기 홀 캡(230)과 피씨비 몸체(310)의 사이로 유입되는 해충을 포집부(130)로 안내하는 통로로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내부 메인 케이스(120)의 상부에는 공기 청정부(200)가 배치되어 공기 청정부(200)에서 공기가 정화되도록 공기의 흐름 통로로 제공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내부 메인 케이스(120)의 상측부에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돌출부(121)가 마련될 수 있고, 돌출부(121)의 외벽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청정 필터 가이드(210)의 내벽이 지지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돌출부(121)는 베이스 몸체(110)의 내부로 유입되는 해충이 바로 포집부(130)로 떨어지게 안내할 수 있고, 차단판(510)의 상승 시 공기 흐름을 부분적으로 막아 필터 부재(미도시)를 통해 정화된 공기가 외부로 나갈 수 있도록 가이드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예에서 내부 메인 케이스(120)의 상면부에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케이스홀(122)이 마련되어 그 상면부에 배치되는 필터 부재로 공기가 흐르도록 유도할 수 있다.
나아가 본 실시 예에서 돌출부(121)의 중앙부에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앙홀(123)이 마련될 수 있고, 중앙홀(123)의 하부에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의 승강 가이드홈(124)이 마련되어 차단판(510)의 양단부를 승강(상승 또는 하강) 가능하게 지지할 수 있다.
포충기 본체(100)의 포집부(130)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 포집 바디(131)와, 하부 포집 바디(131)의 상부에 배치되며 상측에 내부 메인 케이스(120)가 결합 되는 상부 포집 바디(132)와, 하측부는 하부 포집 바디(131)에 결합 되고 상측부는 상부 포집 바디(132)에 결합 되는 포집망 부재(133)를 포함한다.
포집부(130)의 하부 포집 바디(131)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형 형상을 가질 수 있고, 그 저면부에는 복수의 패드(미도시)가 마련되어 하부 포집 바디(131)의 미끄러짐을 방지할 수 있다.
포집부(130)의 상부 포집 바디(132)는, 하부 포집 바디(131)와 탈착 가능하게 볼트 결합될 수 있고, 그 상부에는 내부 메인 케이스(120)의 저면부가 탈착 가능하게 볼트 결합될 수 있다.
포집부(130)의 포집망 부재(133)는 하부 포집 바디(131)와 상부 포집 바디(132)에 마련된 홈에 탈착 가능하게 끼워 맞춤 결합 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포집망 부재(133)에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홀이 마련되어 포집부(130)의 내부로 공기가 유입될 수 있다.
공기 청정부(200)는, 베이스 몸체(110)의 내부에 배치되며 외기를 베이스 몸체(110)의 내부로 유입시켜 정화시키는 역할을 한다.
본 실시 예에서 공기 청정부(20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 메인 케이스(120)의 상부에 지지되는 청정 필터 가이드(210)와, 청정 필터 가이드(210)의 상부에 배치되며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장자리가 베이스 몸체(110)의 내벽에 지지되는 청정 클리너 가이드(220)와, 청정 클리너 가이드(220)의 상부에 배치되며 베이스 몸체(110)의 내벽에 마련된 복수의 걸림편(112)에 결합 되는 청정기 홀 캡(230)을 포함한다.
공기 청정부(200)의 청정 필터 가이드(21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돌출부(121)의 외벽에 접하는 내측 플랜지가 마련되어 돌출부(121)에 지지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청정 필터 가이드(210)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부가 베이스 몸체(110)의 외부로 노출되어 사용자는 청정 필터 가이드(210)를 베이스 몸체(110)의 외부로 인출하여 청정 필터 가이드(210)에 배치된 필터 부재를 편리하게 교체하거나 청소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청정 필터 가이드(210)에는 케이스홀(122)보다 큰 복수의 청정필터 가이드홀이 마련될 수 있다.
공기 청정부(200)의 청정 클리너 가이드(220)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가이드 홀(221)이 마련되어 필터 부재에서 정화된 공기를 청정기 홀 캡(230)에 마련된 복수의 캡 홀(231)로 공급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청정 클리너 가이드(220)의 하단부는 차단판(510)의 상단부에 결합되어 차단판(510)과 같이 승강 될 수 있다.
공기 청정부(200)의 청정기 홀 캡(23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 몸체(110)의 상단부에 배치되며 하측부가 도 3에 도시된 청정 클리너 가이드(220)에 일정 간격 이격되도록 결합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청정기 홀 캡(230)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캡 홀(231)이 마련되어 포충기 본체(100)의 내부에 있는 공기는 포충기 본체(100)의 외부로 배출될 수 있고, 포충기 본체(100)의 외부에 있는 공기는 복수의 캡 홀(231)을 통해서 포충기 본체(100)의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예에서 청정기 홀 캡(230)과 피씨비 몸체(310)의 사이에는 공간부가 마련되어 해충은 공간부를 통해 청정기 홀 캡(230)의 내부로 유입될 수 있고, 청정기 홀 캡(230)의 내부로 유입된 해충은 돌출부(121)를 통해 포집부(130)로 공급될 수 있다.
그리고 본 실시 예에서 청정 필터 가이드(210)의 상면부에는 필터 부재가 마련되어 공기 청정부(200)로 공급되는 공기를 정화할 수 있다.
피씨비부(3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청정기 홀 캡(230)의 중앙부에 배치되도록 마련될 수 있고, 빛을 조사하여 해충을 포충기 본체(100)의 근처로 유도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피씨비부(3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피씨비 몸체(310)와, 피씨비 몸체(310)의 상부에 결합 되는 피씨비 캡(320)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피씨비 몸체(310)의 내부에 마련되는 피씨비 부재(330)와, 피씨비 부재(330)의 상면부에 마련되는 스프링(340)을 포함한다.
피씨비부(300)의 피씨비 몸체(31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청정기 홀 캡(230)의 중앙부에 배치될 수 있고, 그 하단부가 차단판(510)의 상단부에 결합되어 차단판(510)과 같이 승강 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피씨비 몸체(310)가 차단판(510)과 같이 상승되는 경우 피씨비부(300)와 청정기 홀 캡(230)의 사이에 공간부가 마련되어 해충이 공간부로 유입될 수 있다. 반대로 피씨비 몸체(310)가 차단판(510)과 같이 하강되는 경우 전술한 공간부는 없어지고 본 실시 예는 공기 청정의 기능을 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피씨비 몸체(310)에는 충전 단자가 마련될 수 있고, 배터리가 탈착 가능하게 마련될 수도 있다.
피씨비부(300)의 피씨비 캡(320)은, 피씨비 몸체(310)에 탈착 가능하게 돌기와 홈에 의해 걸림 결합 될 수 있다.
피씨비부(300)의 피씨비 부재(330)에는, 엘이디 조명 등이 마련될 수 있고, 엘이디 조명에서 조사되는 빛을 포충기 본체(100)의 외부에 있는 해충이 인식할 수 있도록 피씨비 몸체(310)의 측벽에는 적어도 하나의 빛 조사홀이 마련될 수 있다.
피씨비부(300)의 스프링(340)은, 코일 스프링을 포함하고, 그 상단부는 피씨비 캡(320)에 마련된 홈에 탈착 가능하게 끼워 맞춤 결합될 수 있다.
팬부(400)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포집부(130)의 상부에 배치되도록 마련되어 공기 청정부(200)로 근접하는 해충을 포집부(130)로 흡입시키는 역할을 한다. 또한 본 실시 예에서 팬부(400)는 포집부(130)에 마련된 복수의 홀을 통해 외기를 포집부(130)의 내부로 흡입시켜 공기 청정부(200)를 거친 후 포충기 본체(100)의 상부로 이동시켜 배출하게 할 수도 있고, 그 반대로 할 수도 있다.
본 실시 예에서 팬부(400)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포집 바디(132)에 결합 되는 팬 고정부(410)와, 팬 고정부(410)의 중앙에 배치되는 팬 부재(420)와, 팬 부재(420)를 팬 고정부(410)에 탈착 가능하게 볼트 결합시키는 팬 브래킷(430)을 포함한다.
팬부(400)의 팬 고정부(410)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앙부가 비어 있는 원통형 형상을 가질 수 있고, 상부 포집 바디(132)에 탈착 가능하게 볼트 결합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팬 고정부(410)의 상부에 내부 메인 케이스(120)의 하측부가 탈착 가능하게 걸림 결합 또는 볼트 결합될 수도 있다.
공기 흐름 유도부(500)는,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기 청정부(200)와 팬부(400)의 사이에 마련되어 포집부(130)와 공기 청정부(200)를 연결하는 유로를 선택적으로 개폐시켜 공기의 흐름을 유도함과 아울러 청정기 홀 캡(230)과 피씨비부(300)의 사이에 공간부를 마련하여 해충의 유입 통로를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본 실시 예에서 공기 흐름 유도부(500)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 메인 케이스(120)의 중앙홀(123)에 마련된 승강 가이드홈(124)에 승강 가능하게 배치되는 차단판(510)과, 차단판(510)에 마련되는 랙 기어(520)와, 내부 메인 케이스(120)에 결합 되는 기어 하우징(530)과, 기어 하우징(530)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어 랙 기어(520)와 기어 맞물림 되는 구동 기어(540)와, 기어 하우징(530)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어 구동 기어(540)와 기어 맞물림 되는 피동 기어(550)와, 기어 하우징(530)에 결합 되어 피동 기어(550)를 회전시켜 차단판(510)을 승강시키는 모터 등의 구동 부재(560)를 포함한다.
공기 흐름 유도부(500)의 차단판(510)에는 청정 클리너 가이드(220)의 하단부와 피씨비 몸체(310)의 하단부가 결합되어 청정 클리너 가이드(220)와 피씨비부(300)는 전술한 바와 같이 차단판(510)과 같이 승강 될 수 있다.
이하에서 공기 흐름 유도부(500)의 작동을 간략히 설명한다.
도 6에는 차단판(510)이 하강된 것을 도시한 것으로, 이 상태에서 차단판(510)이 상승하면 청정 클리너 가이드(220)와 피씨비부(300)가 같이 상승되어 피씨비 몸체(310)와 청정 클리너 가이드(220)에 공간부가 마련되어 해충의 유입 통로가 마련될 수 있고, 이때 상승 된 청정 클리너 가이드(220)가 청정기 홀 캡(230)에 마련된 복수의 캡 홀(231)을 막아 내부 메인 케이스(120)의 중앙홀(123)에 흡입력을 최대화시켜서 모기 등 해충의 포집 성능을 극대화할 수 있다.
이 상태에서 구동 부재(560)의 구동에 의해 차단판(510)을 하강시키면 피씨비 몸체(310)와 청정 클리너 가이드(220)가 하강되어 전술한 공간부가 없어져 해충은 유입될 수 없고, 복수의 캡 홀(231)이 개방됨과 아울러 중앙홀(123)이 피씨비 몸체(310)의 하단부에 의해 막혀져공기가 청정 필터 가이드(210)에 마련된 필터 부재를 통과할 수 있으므로 청정 기능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 본 바와 같이 본 실시예는 포충기 본체의 내부에 마련되는 공기 청정부에 의해 공기 청정 기능과 해충의 포집 기능을 선택적으로 행할 수 있다.
또한 공기 청정부와 팬부의 사이에 마련되는 공기 흐름 유도부에 의해 포집부와 공기 청정부를 연결하는 유로를 선택적으로 개폐시켜 공기의 흐름을 유도할 수 있으므로 해충의 포집 성능을 극대화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 예 또는 변형 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1 : 공기 청정 기능이 구비된 포충기
100 : 포충기 본체
200 : 공기 청정부
300 : 피씨비부
400 : 팬부
500 : 공기 흐름 유도부

Claims (5)

  1. 포집되는 벌레들이 수용되는 포집부가 구비된 포충기 본체;
    상기 포충기 본체의 내부에 마련되어 상기 포충기 본체의 외부에 있는 공기를 정화시키는 공기 청정부;
    상기 포충기 본체에 마련되며 빛을 조사하여 상기 벌레들을 유인하는 피씨비부;
    상기 포충기 본체에 마련되어 상기 피씨비부의 주위로 근접하는 상기 벌레들을 상기 포집부로 흡입시키는 팬부; 및
    상기 공기 청정부와 상기 팬부의 사이에 마련되어 상기 포집부와 상기 공기 청정부를 연결하는 유로를 선택적으로 개폐시켜 공기의 흐름을 유도하는 공기 흐름 유도부를 포함하고.
    상기 포충기 본체는, 내부가 비어 있는 베이스 몸체; 상기 베이스 몸체의 내부에 마련되는 내부 메인 케이스; 및 상기 내부 메인 케이스의 하부에 결합 되며 벌레들이 수용되는 상기 포집부를 포함하고,
    상기 공기 청정부는, 상기 베이스 몸체를 관통하여 상기 내부 메인 케이스의 상부에 결합 되는 청정 필터 가이드; 상기 청정 필터 가이드의 상부에 배치 되며 복수의 가이드 홀이 마련된 청정 클리너 가이드; 상기 청정 클리너 가이드의 상부에 결합 되며 복수의 캡 홀이 마련된 청정기 홀 캡; 및 상기 청정 필터 가이드에 마련되어 공기를 정화시키는 필터 부재를 포함하는 포충기.
  2. 삭제
  3. 삭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공기 흐름 유도부는,
    상기 내부 메인 케이스의 중앙홀에 마련된 승강 가이드홈에 승강 가능하게 배치되며 상기 청정 클리너 가이드의 하단부와 상기 피씨비부의 하단부가 결합 되는 차단판;
    상기 차단판에 마련되는 랙 기어;
    상기 랙 기어와 기어 맞물림 되는 구동 기어; 및
    상기 내부 메인 케이스에 마련되며 상기 구동 기어를 회전시켜 상기 차단판을 승강시키는 구동 부재를 포함하는 포충기.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랙 기어 및 상기 구동 기어에 맞물리도록 배치되어 상기 구동 기어의 회전력을 상기 랙 기어로 전달하는 피동 기어를 더 포함하는 포충기.
KR1020180078205A 2018-07-05 2018-07-05 공기 청정 기능이 구비된 포충기 KR10205214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78205A KR102052147B1 (ko) 2018-07-05 2018-07-05 공기 청정 기능이 구비된 포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78205A KR102052147B1 (ko) 2018-07-05 2018-07-05 공기 청정 기능이 구비된 포충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52147B1 true KR102052147B1 (ko) 2019-12-04

Family

ID=690046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78205A KR102052147B1 (ko) 2018-07-05 2018-07-05 공기 청정 기능이 구비된 포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52147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53630B1 (ko) * 2020-03-12 2020-09-08 장용익 공기정화기능을 갖는 해충포획장치
CN113615663A (zh) * 2021-09-08 2021-11-09 海南盛果科技开发有限公司 一种带清扫刷的灭虫灯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25271A (ko) * 2014-04-30 2015-11-09 서울바이오시스 주식회사 포충기능을 구비하는 공기 청정기
CN206350435U (zh) * 2017-01-03 2017-07-25 梁玉昭 一种多功能灭蚊灯
KR20180043948A (ko) * 2016-10-21 2018-05-02 주식회사 웅진 흡입팬을 갖는 공기 청정기 및 이를 이용한 공기 청정 방법
KR101854414B1 (ko) 2016-12-14 2018-05-03 주식회사 이레그린 해충 유인형 포충기
KR20180065355A (ko) * 2016-12-07 2018-06-18 코웨이 주식회사 가습겸용 공기청정기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25271A (ko) * 2014-04-30 2015-11-09 서울바이오시스 주식회사 포충기능을 구비하는 공기 청정기
KR20180043948A (ko) * 2016-10-21 2018-05-02 주식회사 웅진 흡입팬을 갖는 공기 청정기 및 이를 이용한 공기 청정 방법
KR20180065355A (ko) * 2016-12-07 2018-06-18 코웨이 주식회사 가습겸용 공기청정기
KR101854414B1 (ko) 2016-12-14 2018-05-03 주식회사 이레그린 해충 유인형 포충기
CN206350435U (zh) * 2017-01-03 2017-07-25 梁玉昭 一种多功能灭蚊灯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53630B1 (ko) * 2020-03-12 2020-09-08 장용익 공기정화기능을 갖는 해충포획장치
CN113615663A (zh) * 2021-09-08 2021-11-09 海南盛果科技开发有限公司 一种带清扫刷的灭虫灯
CN113615663B (zh) * 2021-09-08 2022-12-16 海南盛果科技开发有限公司 一种带清扫刷的灭虫灯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03178B1 (ko) 흡입식 포충기
BR112016022131B1 (pt) Armadilha para insetos
KR200425859Y1 (ko) 해충포획장치
KR101960250B1 (ko) 동양하루살이를 포함한 해충 퇴치를 위한 포집장치
KR100632277B1 (ko) 포충기
KR100753435B1 (ko) 해충 포집장치
KR102052147B1 (ko) 공기 청정 기능이 구비된 포충기
JP2004254523A (ja) 害虫誘引捕獲器
KR20130139531A (ko) 해충 포획장치
CN209898056U (zh) 一种杀虫灯风扇
JP2001231424A (ja) 照明器用捕虫ユニット
KR101270820B1 (ko) 해충 자동흡입 및 배출 포충기
WO2022078507A1 (zh) 灭蚊装置
JP4791100B2 (ja) 捕虫具
CN111225560A (zh) 捕虫器
KR101248095B1 (ko) 자동 배출 해충 포집 장치
KR101151824B1 (ko) 살충기
KR100632278B1 (ko) 포충기
KR20090009595A (ko) 해충 포획장치
CN108967394A (zh) 一种石榴种植用害虫捕获诱杀装置
CN212345065U (zh) 一种风吸式杀虫灯
CN213719508U (zh) 自动清虫风吸式杀虫灯
JP2001155509A (ja) 捕虫機能付照明器具
KR20090014632A (ko) 필터가 구비된 포충기
KR200401111Y1 (ko) 흡입식 포충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