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93182A - Protective sheet for chemical solution treatment - Google Patents

Protective sheet for chemical solution treatmen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93182A
KR20140093182A KR1020140004323A KR20140004323A KR20140093182A KR 20140093182 A KR20140093182 A KR 20140093182A KR 1020140004323 A KR1020140004323 A KR 1020140004323A KR 20140004323 A KR20140004323 A KR 20140004323A KR 20140093182 A KR20140093182 A KR 2014009318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nsitive adhesive
pressure
mass
protective sheet
me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04323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마이코 하야타
Original Assignee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400931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93182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3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 adhesive composition
    • C09J7/38Pressure-sensitive adhesives [PSA]
    • C09J7/381Pressure-sensitive adhesives [PSA] based on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involving only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9J7/385Acrylic poly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203/00Applications of adhesives in processes or use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Adhesive Tapes (AREA)
  • Adhesives Or Adhesive Processes (AREA)
  • Electroplating Methods And Accessories (AREA)
  • ing And Chemical Polishing (AREA)
  • Manufacturing Of Printed Circuit Boards (AREA)
  • Manufacturing Of Printed Wiring (AREA)
  • Surface Treatment Of Glas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Provided in the present invention is a protective sheet for liquid chemical treatment, which includes adhesive layers placed on a base material and one side of the base material. The adhesive forming the adhesive layer is an acrylic based adhesive having an acrylic based polymer as a main component. The protective sheet has a low speed peeling strength of 0.1 N/20 mm or greater measured at a tension speed of 300 mm/minute, and has a high speed peeling strength of 3 N/20 mm or less measured at a tension speed of 10 m/minute. In addition, the gel fraction of the acrylic based adhesive is between 25 and 70 mass%.

Description

약액 처리용 보호 시트 {PROTECTIVE SHEET FOR CHEMICAL SOLUTION TREATMENT}PROTECTIVE SHEET FOR CHEMICAL SOLUTION TREATMENT [0002]

본 출원은 2013년 1월 17일에 출원된 일본 특허 출원 제2013-005898호에 기초하는 우선권을 주장하고 있고, 그 출원의 전체 내용은 본 명세서 중에 참조로서 편입되어 있다.The present application claims priority based on Japanese Patent Application No. 2013-005898, filed on January 17, 2013, the entire contents of which are incorporated herein by reference.

본 발명은 약액 처리용 보호 시트에 관한 것이다. 특히 피착체를 약액으로 처리할 때 비처리 대상 부분(약액의 영향을 배제하고 싶은 부분)을 마스크하는 약액 처리용 보호 시트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rotective sheet for chemical liquid treatment. And more particularly to a protective sheet for chemical liquid treatment which masks an untreated portion (a portion to which influence of a chemical liquid is to be excluded) when an adherend is treated with a chemical liquid.

피착체(피처리재)를 약액으로 처리할 때 상기 피착체의 비처리 대상 부분(약액의 영향을 배제하고 싶은 부분)을 마스크하기 위한 점착 시트는 전형적으로는 필름 형상의 점착제(점착제층)와 상기 점착제를 지지하는 기재(지지 기재)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점착제를 상기 피착체에 부착하여 사용된다. 이러한 약액 처리용 점착 시트(이하, 「약액 처리용 보호 시트」 또는 간단히 「보호 시트」라고도 함)는 예를 들어 유리의 두께 조정이나 유리의 절단 단면에 형성된 버의 제거 등을 위해서 유리를 약액(에칭액)으로 용해하는 에칭 처리, 금속의 표면을 약액(에칭액)으로 부분적으로 부식시키는 에칭 처리, 회로 기판(프린트 기판, 플렉시블 프린트 기판(FPC) 등)의 접속 단자부 등을 약액(도금액)으로 부분적으로 도금하는 도금 처리 등에 있어서 적절하게 이용될 수 있다. 이러한 종류의 기술에 관한 문헌으로서 일본 특허 출원 공개 제2010-53346호 공보, 일본 특허 출원 공개 제2003-82299호 공보, 일본 특허 출원 공개 제2009-209223호 공보를 들 수 있다.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sheet for masking the non-treatment object portion (the portion to which the influence of the chemical liquid is to be excluded) of the adherend when the adherend (the material to be treated) is treated with the chemical liquid typically has a film-like pressure- And a base material (support base material) for supporting the pressure sensitive adhesive, wherein the pressure sensitive adhesive is adhered to the adherend. Such a pressure-sensitive adhesive sheet for chemical liquid treatment (hereinafter also referred to as a " protective sheet for chemical liquid treatment " or simply referred to as a " protective sheet ") may be formed by, for example, An etching process for partially etching the surface of a metal with a chemical solution (etching solution), a connection terminal portion of a circuit board (a printed board, a flexible printed board (FPC), or the like) It can be suitably used in a plating process for plating. Documents relating to this kind of technology include Japanese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2010-53346, Japanese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2003-82299, and Japanese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2009-209223.

일본 특허 출원 공개 제2010-53346호 공보Japanese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2010-53346 일본 특허 출원 공개 제2003-82299호 공보Japanese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2003-82299 일본 특허 출원 공개 제2009-209223호 공보Japanese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2009-209223

약액 처리용 보호 시트에는 상기 보호 시트의 표면(약액에 직접 노출되는 표면, 즉 피착체에 부착되어 있는 측과는 반대측 표면)이나 상기 보호 시트의 외측 테두리(이하, 단면 또는 측면이라고도 함)로부터의 약액의 침입을 방지하는 성질, 즉 약액 침입 방지성(시일성)이 요구된다.The surface of the protective sheet (the surface directly exposed to the chemical liquid, that is, the surface opposite to the side attached to the adherend) or the outer edge of the protective sheet (hereinafter also referred to as the end surface or the side surface) It is required to prevent intrusion of a chemical liquid, that is, to prevent the penetration of a chemical liquid (sealability).

여기서, 보호 시트의 외측 테두리로부터의 약액의 침입은 보호 시트의 점착제와 피착체의 계면으로부터도 일어날 수 있다. 이러한 계면으로부터의 약액 침입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보호 시트의 점착제가 피착체의 표면과 간극 없이 밀착하는 성질(밀착성)이 중요하다. 그러나, 피착체의 표면과의 밀착성을 높이기 위해서 박리 강도(점착력)가 높은 점착제를 사용하면, 약액 처리 후에 불필요하게 된 보호 시트를 피착체로부터 박리할 때의 박리 작업성이 저하된다. 예를 들어, 박리시에 보호 시트 자체가 파단하거나 보호 시트의 점착제가 피착체 표면에 잔류(소위 점착제 잔류)하기 쉬워진다. 또한, 박리시에 피착체에 가해지는 부하가 높아짐으로써 피착체 또는 그 표면의 구조물(예를 들어 ITO막) 등에 손상을 끼치는 것도 우려된다. 이러한 사정으로부터, 보다 박리 강도가 높은(박리가 무거운) 보호 시트를 이용하면, 보다 주의하여 박리 작업을 행할 필요성이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박리 작업의 효율이 저하하기 쉬워진다.Here, the penetration of the chemical liquid from the outer edge of the protective sheet can also occur from the interface between the adhesive of the protective sheet and the adherend. In order to prevent the penetration of the chemical solution from such an interface, the property (adhesion) of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of the protective sheet to the surface of the adherend without gaps is important. However, if a pressure sensitive adhesive having a high peel strength (adhesive force) is used to improve the adhesion of the adherend to the surface, the peeling workability when peeling off the protective sheet unnecessary after the chemical liquid treatment is deteriorated. For example, at the time of peeling, the protective sheet itself tends to break or the adhesive of the protective sheet tends to remain on the surface of the adherend (so-called adhesive residue). In addition, there is a concern that damage to the adherend or a structure (for example, an ITO film) on the surface of the adherend may be caused by an increase in the load applied to the adherend upon peeling. In view of such circumstances, when a protective sheet having a higher peeling strength (peeling strength) is used, it may be necessary to perform a peeling operation with more care, so that the efficiency of the peeling work tends to be lowered.

그래서, 본 발명은 약액 침입 방지성과 피착체로부터의 박리 작업성을 고레벨로 양립시킬 수 있는 약액 처리용 보호 시트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It is therefore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chemical-solution-treating protective sheet capable of both preventing chemical-solution penetration and peeling workability from an adherend at a high level.

이 명세서에 의해 제공되는 약액 처리용 보호 시트는 기재와, 상기 기재의 편면 상에 배치된 점착제층을 구비한다. 상기 점착제층을 구성하는 점착제(감압 접착제라고도 함. 이하 동일함)는 전형적으로는 아크릴계 중합체를 주성분으로 하는 아크릴계 점착제이다. 상기 보호 시트는 유리판에 부착하여 30분 후에 박리 각도 180°, 인장 속도 300mm/분의 조건에서 측정되는 저속 박리 강도(PL)가 0.1N/20mm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보호 시트는 유리판에 부착하여 30분 후에 박리 각도 180°, 인장 속도 10m/분의 조건에서 측정되는 고속 박리 강도(PH)가 3N/20mm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아크릴계 점착제의 겔분율은 25질량% 이상 70질량%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The protective sheet for chemical liquid treatment provided by this specification comprises a base material and a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disposed on one side of the base material.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also referred to as a pressure-sensitive adhesive, hereinafter the same) constituting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is typically an acrylic pressure-sensitive adhesive mainly comprising an acrylic polymer. The protective sheet preferably has a low peel strength (P L ) of 0.1 N / 20 mm or more measured at a peel angle of 180 ° and a tensile rate of 300 mm / min after 30 minutes from being attached to the glass plate. The protective sheet preferably has a high peel strength (P H ) of 3 N / 20 mm or less as measured at a peel angle of 180 ° and a tensile speed of 10 m / min after 30 minutes from adhering to the glass plate. The gel fraction of the acrylic pressure sensitive adhesive is preferably 25 mass% or more and 70 mass% or less.

본 명세서에 개시되는 기술에 있어서 저속 박리 강도(PL)는 비교적 천천히 가해지는 응력에 대한 보호 시트의 박리되기 어려움(내성)의 정도를 나타내고, 피착체에 대한 점착제의 밀착성에 관련된 특성으로서 파악될 수 있다. 한편, 고속 박리 강도(PH)는 불필요해진 보호 시트를 피착체(예를 들어 보호 시트를 부착하여 약액 처리한 후의 피착체)로부터 솜씨 좋게 박리하는 장면을 상정한 박리 강도로서 파악될 수 있다.In the technique disclosed in this specification, the low peel strength (P L ) represents the degree of difficulty (resistance) of peeling of the protective sheet against the stress applied relatively slowly, and is recognized as a characteristic relating to the adhesion of the pressure- . On the other hand, the high peel strength (P H ) can be grasped as the peel strength assuming that the unnecessary protective sheet is finely peeled off from an adherend (for example, an adherend after the protective sheet is adhered and treated).

상기 보호 시트는 피착체(전형적으로는 유리 등의 극성 재료를 포함하는 표면을 구비한 피착체)의 표면에 대하여 저속 박리 강도(PL)가 0.1N/20mm 이상이라는 양호한 밀착성을 나타낸다. 따라서, 점착제와 피착체의 계면으로부터의 약액 침입을 효과적으로 저지할 수 있고, 약액 침입 방지성이 우수하다. 또한, 고속 박리 강도(PH)가 3N/20mm 이하로 억제되어 있기 때문에, 피착체로부터 보호 시트를 박리할 때 보호 시트의 파단(조각)이나 점착제 잔류가 발생하기 어렵고, 피착체에 가해지는 부하도 작다. 따라서 박리 작업성이 우수하다. 그리고, 점착제의 겔분율이 25질량% 이상 70질량% 이하의 범위에 있기 때문에, 약액 침입 방지성과 박리 작업성을 밸런스 좋게 양립시킬 수 있다.The protective sheet exhibits good adhesion such that the low rate peel strength (P L ) is 0.1 N / 20 mm or more with respect to the surface of the adherend (typically, adherend having a surface including a polar material such as glass). Therefore, the penetration of the chemical liquid from the interface between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and the adherend can be effectively prevented, and the chemical liquid penetration prevention property is excellent. Further, since the high peel strength (P H ) is suppressed to 3 N / 20 mm or less, it is difficult for the protective sheet to break (scrape) or remain in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when peeling the protective sheet from the adherend, It is also small. Therefore, the peeling workability is excellent. Further, since the gel fraction of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is in the range of 25 mass% to 70 mass%, it is possible to balance both the prevention of the penetration of the chemical liquid and the peeling workability.

상기 보호 시트는 상기 고속 박리 강도(PH)에 대한 상기 저속 박리 강도(PL)의 비(PL/PH)가 0.5보다 큰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보호 시트는 저속에서의 박리가 무거운 데 비하면 고속에서의 박리가 가볍다. 이로 인해, 예를 들어 밀착성을 높이기 위해서 점착제의 겔분율을 60질량% 미만(전형적으로는 25질량%보다 크고 60질량% 미만)으로 하여도 보호 시트를 박리할 때 보호 시트의 파단이나 점착제 잔류 등이 발생하기 어렵고, 피착체에 가해지는 부하도 작다. 따라서, 약액 침입 방지성과 박리 작업성을 보다 고레벨로 양립시킬 수 있다.The protective sheet preferably has a ratio (P L / P H ) of the low peel strength (P L ) to the high peel strength (P H ) of more than 0.5. Such a protective sheet is light in peeling at high speed as compared with heavy peeling at low speed. Therefore, even if the gel fraction of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is less than 60 mass% (typically greater than 25 mass% and less than 60 mass%) for the purpose of enhancing the adhesion, for example, when the protective sheet is peeled off, breakage of the protective sheet, And the load applied to the adherend is small. Therefore, the chemical liquid intrusion prevention and peeling workability can be made compatible at a higher level.

본 명세서에 개시되는 기술의 바람직한 일 형태에 있어서, 상기 점착제층은 아크릴계 중합체와 박리 조정제를 포함하는 점착제 조성물로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박리 조정제란 점착제 조성물에 포함됨으로써 상기 조성물로 형성되는 점착제층을 구비한 보호 시트(점착 시트)의 박리 특성, 구체적으로는 저속 박리 강도(PL)와 고속 박리 강도(PH)의 밸런스를 조절하는 작용이 있는 재료를 가리킨다. 저속 박리 강도(PL)와 고속 박리 강도(PH)의 밸런스는 PL/PH의 값에 의해 파악할 수 있다. 상기 형태의 보호 시트는 PL과 PH의 밸런스가 좋고, 약액 침입 방지성과 박리 작업성을 고레벨로 양립하는 것이 될 수 있다.In one preferred form of the technique disclosed in this specification,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is formed of a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comprising an acrylic polymer and a release-modifying agent. Here, the release control agent is the balance of the release characteristics, specifically, the low-speed peel strength (P L) and a high-speed peel strength (P H) of the protective sheet (adhesive sheet) having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formed from the composition by being included in the pressure 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And the like. The balance between the low speed peeling strength (P L ) and the high peeling strength (P H ) can be grasped by the value of P L / P H. The protective sheet of the above-mentioned type can have a good balance of P L and P H , and can be compatible with the chemical liquid penetration prevention performance and the peeling workability at a high level.

상기 아크릴계 점착제는 카르복실산비닐에스테르에서 유래되는 단량체 단위를 20질량%보다 높은 비율로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의해, 약액 침입 방지성과 박리 작업성을 보다 고레벨로 양립하는 보호 시트가 실현될 수 있다. 상기 카르복실산비닐에스테르에서 유래되는 단량체 단위는 아크릴계 중합체에 포함되어 있어도 되고, 아크릴계 중합체와는 상이한 중합체에 포함되어 있어도 되며, 이들의 양쪽에 포함되어 있어도 된다.The acrylic pressure-sensitive adhesive preferably contains a monomer unit derived from a carboxylic acid vinyl ester in a proportion of higher than 20 mass%. As a result, a protective sheet which can achieve both a chemical liquid penetration prevention performance and a peeling workability at a higher level can be realized. The monomer unit derived from the carboxylic acid vinyl ester may be contained in the acrylic polymer, may be contained in the polymer different from the acrylic polymer, or may be contained in both of them.

바람직한 일 형태에 있어서, 상기 아크릴계 점착제의 주성분인 아크릴계 중합체는 알킬(메트)아크릴레이트와 카르복실산비닐에스테르를 포함하는 단량체 원료를 중합(전형적으로는 용액 중합)하여 합성된 것이다. 바꾸어 말하면, 상기 아크릴계 중합체는 알킬(메트)아크릴레이트에서 유래되는 단량체 단위와 카르복실산비닐에스테르에서 유래되는 단량체 단위를 포함한다. 상기 단량체 원료에 있어서의 상기 카르복실산비닐에스테르의 함유 비율은 20질량%보다 높은 것이 바람직하다. In a preferred form, the acrylic polymer as a main component of the acrylic pressure-sensitive adhesive is synthesized by polymerizing (typically, solution polymerization) a monomer raw material comprising alkyl (meth) acrylate and a carboxylic acid vinyl ester. In other words, the acrylic polymer includes a monomer unit derived from an alkyl (meth) acrylate and a monomer unit derived from a carboxylic acid vinyl ester. The content of the carboxylic acid vinyl ester in the monomer raw material is preferably higher than 20 mass%.

이러한 형태에 의하면, 약액 침입 방지성과 박리 작업성을 고레벨로 양립하는 보호 시트가 실현될 수 있다.According to this aspect, a protective sheet capable of achieving both a chemical liquid penetration preventing performance and a peeling workability at a high level can be realized.

본 명세서에 개시되는 기술에 있어서의 점착제층은 상기 아크릴계 중합체와 이소시아네이트계 가교제를 포함하는 점착제 조성물로 형성된 것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점착제층을 구비하는 보호 시트는 약액 침입 방지성과 박리 작업성을 보다 고레벨로 양립하는 것이 될 수 있다.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in the technique disclosed in this specification is preferably formed of a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comprising the acrylic polymer and the isocyanate-based crosslinking agent. The protective sheet having such a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can be compatible with the chemical-solution intrusion prevention property and the peeling workability at a higher level.

도 1은 약액 처리용 보호 시트의 일 구성예를 모식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는 약액 처리용 보호 시트의 다른 구성예를 모식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1 is a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an example of the structure of a chemical liquid treatment protective sheet.
2 is a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another structural example of a chemical liquid treatment protective sheet.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를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특별히 언급하고 있는 사항 이외의 사항으로서 본 발명의 실시에 필요한 사항은 당해 분야에 있어서의 종래 기술에 기초한 당업자의 설계 사항으로서 파악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본 명세서에 개시되어 있는 내용과 당해 분야에 있어서의 기술 상식에 기초하여 실시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의 「시트」는 시트보다 두께가 상대적으로 얇다고 여겨지는 필름이나 일반적으로 점착 테이프라고 칭해지는 테이프를 포함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The matters necessary for the practice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understood as design matters of a person skilled in the art based on the prior art in the field other than those specifically mentioned in this specifica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carried out based on the contents disclosed in this specification and the technical knowledge in the field. The " sheet " in this specification includes a film which is considered to be relatively thinner in thickness than a sheet, or a tape which is generally referred to as an adhesive tape.

<보호 시트의 전체 구성>&Lt; Overall structure of protective sheet >

본 명세서에 개시되는 보호 시트는 기재와, 상기 기재의 적어도 한쪽 표면에 배치된 점착제층을 구비한다. 보호 시트의 형상은 시트 형상이면 되며, 예를 들어 롤 형상이나 세퍼레이터 부착 단판 형상 등이어도 된다.The protective sheet disclosed in this specification includes a base material and a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disposed on at least one surface of the base material. The shape of the protective sheet may be a sheet shape, and may be, for example, a roll shape, a single plate with a separator, or the like.

이러한 보호 시트의 전형적인 구성예를 도 1에 모식적으로 도시한다. 이 보호 시트(10)는 시트 형상의 기재(예를 들어 수지제 시트 형상 기재)(1)와, 그 한쪽 면(편면) 상에 배치된 점착제층(2)을 구비한다. 보호 시트(10)는 그 점착제층(2)측의 표면을, 피착체(피처리재)를 약액으로 처리하기 전에 상기 피착체의 소정 개소(보호 대상 부분, 전형적으로는 약액의 영향을 배제하고 싶은 부분. 이하 「비처리 대상 부분」이라고도 함)에 부착하여 사용된다. 이에 의해 상기 비처리 대상 부분을 약액으로부터 보호한다. 사용 전(즉 피착체에 대한 부착 전)의 보호 시트(10)는 전형적으로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점착제층(2)의 표면(피착체에 대한 부착면. 이하, 점착면이라고도 함)이 적어도 점착제층(2)측이 박리면으로 되어 있는 박리 라이너(3)에 의해 보호된 형태일 수 있다. 또는 기재(1)의 다른 면(점착제층(2)이 배치되는 면의 배면)이 박리면으로 되어 있고, 보호 시트(10)가 롤 형상으로 감김으로써 상기 다른 면에 점착제층(2)이 접촉하여 그 표면(점착면)이 보호된 형태이어도 된다. 또한, 보호 시트는 기재의 각면 상에 각각 점착제층이 배치된 양면 점착 시트이어도 된다. 이 경우, 각 점착제층의 피착체에 대한 부착면(점착면)은 각각 적어도 점착제층측이 박리면으로 되어 있는 박리 라이너에 의해 보호된 형태이어도 되고, 양면이 박리면으로 되어 있는 박리 라이너를 개재하여 롤 형상으로 감긴 형태이어도 된다.A typical configuration example of such a protective sheet is schematically shown in Fig. The protective sheet 10 includes a sheet-like base material 1 (for example, a resin sheet base material) 1 and a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2 disposed on one side (one side) thereof. The surface of the protective sheet 10 on the side of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2 is treated with a predetermined portion of the adherend (the portion to be protected, typically, the influence of the chemical liquid is excluded) before the adherend (Hereinafter also referred to as a &quot; non-treatment target portion &quot;). Thereby protecting the non-treatment target portion from the chemical liquid. The protective sheet 10 before use (that is, before adhering to an adherend) typically has a surface (adhered surface to an adherend, hereinafter also referred to as adherend surface) of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2, May be in a form in which at least the side of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2) is protected by the release liner (3) which is a release surface. Or the other surface of the base material 1 (the back surface of the surface on which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2 is disposed) is a peeled surface and the protective sheet 10 is rolled into a roll shape so that the pressure- And the surface (adhesive surface) thereof may be protected. Further, the protective sheet may be a double-sided pressure-sensitive adhesive sheet having a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disposed on each side of the substrate. In this case, the attachment surface (adhesion surface) of each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to the adherend may be protected by a release liner at least on the side of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being peeled, or alternatively, Or may be wound in a roll shape.

보호 시트에 이용되는 기재로서는 공지된 필름 형상이나 시트 형상 등의 기재를 적절히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기재의 재질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금속 재료(알루미늄 등)로 형성된 기재, 수지 재료로 형성된 기재, 이들의 복합 재료로 형성된 기재(예를 들어 편면에 금속을 증착한 플라스틱 필름) 등을 사용할 수 있다.As the base material used for the protective sheet, known base materials such as film or sheet can be appropriately selected and used. The material of the substrate is not particularly limited. For example, a substrate formed of a metal material (aluminum or the like), a substrate formed of a resin material, or a substrate formed of such a composite material (e.g., a plastic film obtained by depositing a metal on one surface).

본 명세서에 개시되는 기술에 있어서의 기재의 적합예로서 폴리에틸렌(PE), 폴리프로필렌(PP), 에틸렌프로필렌 고무(EPR), 에틸렌-프로필렌-부텐 공중합체, 에틸렌-에틸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 등의 폴리올레핀 수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PBT),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 등의 폴리에스테르 수지; 폴리아미드 수지(PA); 폴리이미드 수지(PI); 폴리페닐렌술피드 수지(PPS); 폴리카르보네이트 수지(PC); 폴리우레탄 수지(PU); 에틸렌-아세트산비닐 수지(EVA);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PTFE) 등의 불소 수지; 아크릴 수지; 등의 수지 재료를 포함하는 기재(플라스틱 필름)를 들 수 있다. 상기 기재는 이러한 수지의 1종을 단독으로 포함하는 수지 재료를 포함하는 플라스틱 필름이어도 되고, 2종 이상이 블렌드된 수지 재료를 포함하는 플라스틱 필름이어도 된다.Examples of suitable examples of the base material in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 polyolefins such as polyethylene (PE), polypropylene (PP), ethylene propylene rubber (EPR), ethylene-propylene-butene copolymer and ethylene- Suzy; Polyester resins such as polyethylene terephthalate (PET), polybutylene terephthalate (PBT), and polyethylene naphthalate; Polyamide resin (PA); Polyimide resin (PI); Polyphenylene sulfide resin (PPS); Polycarbonate resin (PC); Polyurethane resin (PU); Ethylene-vinyl acetate resin (EVA); Fluorine resins such as polytetrafluoroethylene (PTFE); Acrylic resin; (Plastic film) containing a resin material such as polyvinyl chloride. The substrate may be a plastic film containing a resin material containing one kind of such resin alone or a plastic film containing a resin material blended with two or more kinds of resin materials.

여기서, 플라스틱 필름이란 전형적으로는 비다공질의 플라스틱막을 가리키고, 직포나 부직포와는 구별되는 개념이다. 본 명세서에 개시되는 보호 시트의 기재로서는 비연신 플라스틱 필름 및 연신 플라스틱 필름의 모두가 사용 가능하다. 상기 연신 플라스틱 필름은 1축 연신 플라스틱 필름이어도 되고, 2축 연신 플라스틱 필름이어도 된다.Here, the plastic film typically refers to a non-porous plastic film and is a concept distinct from a woven fabric or a nonwoven fabric. As the base material of the protective sheet disclosed in this specification, both non-stretched plastic film and stretched plastic film can be used. The stretched plastic film may be a uniaxially stretched plastic film or a biaxially stretched plastic film.

이들 중 적당한 가요성을 갖는다는 관점으로부터 바람직한 수지 재료로서 폴리올레핀 수지(예를 들어 PP, PE, EPR 등의 폴리올레핀 수지 중 1종을 단독으로 포함하거나 또는 2종 이상이 블렌드된 폴리올레핀 수지) 및 폴리에스테르 수지(예를 들어 PET)를 들 수 있다. 폴리올레핀 수지나 폴리에스테르 수지는 적당한 가요성을 갖는다. 이러한 수지 재료제 기재를 구비한 보호 시트는 예를 들어 피착체의 표면 단차가 존재하는 경우에도 상기 단차에 추종하기 쉽다. 즉, 표면 형상 추종성이 높다. 그로 인해, 보호 시트의 점착제와 피착체의 사이에 약액의 침입 경로(공극)를 만들기 어렵다. 따라서, 약액 처리용 보호 시트의 기재로서 적합하다.From the viewpoint of having suitable flexibility among them, a polyolefin resin (for example, a polyolefin resin containing at least one of polyolefin resins such as PP, PE and EPR, or a blend of two or more kinds) Resin (for example, PET). The polyolefin resin or polyester resin has suitable flexibility. The protective sheet provided with such a base material made of a resin material is easy to follow the step, for example, even when the surface step of the adherend is present. That is, the surface shape followability is high. As a result, it is difficult to form a path (gap) for penetration of the chemical liquid between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of the protective sheet and the adherend. Therefore, it is suitable as a base material of a protective sheet for chemical liquid treatment.

또한, 상기 단차는 피착체의 표면에 형성된 구조물에서 유래되는 것일 수 있다. 그러한 구조물을 갖는 피착체로서는 예를 들어 태블릿형 퍼스널 컴퓨터나 휴대 전화, 유기 LED(발광 다이오드) 등에 이용되는 것 같은 표면에 부분적으로 투명 도전막(예를 들어 ITO막(산화인듐주석막))이나 FPC가 설치된 유리 기재를 들 수 있다.Further, the step may be derived from a structure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adherend. As the adherend having such a structure, for example, a transparent conductive film (for example, an ITO film (indium tin oxide film)) or the like is partially formed on a surface such as used for a tablet type personal computer, a cellular phone, an organic LED (light emitting diode) A glass substrate on which an FPC is mounted.

본 명세서에 개시되는 보호 시트의 기재로서는 내산성이 높은 수지 재료를 포함하는 것을 바람직하게 채택할 수 있다. 이러한 기재는 산성의 약액(예를 들어 유리의 에칭에 이용되는 불산 용액이나 크롬 도금액, 황산구리 도금액, 니켈 도금액, 산성 무전해 니켈 도금액, 산성 주석 도금액 등의 산성의 도금액)에 노출되어도 팽윤하기 어렵다. 이는 산성의 약액이 기재를 팽윤시켜 보호 시트에 침입함으로써 상기 약액이 피착체(비처리 대상 부분)에 도달하는 현상을 저지하는 데 있어서 유리하다. 내산성 및 가요성의 밸런스가 우수하다는 관점에서 바람직한 기재로서 폴리올레핀 수지를 포함하는 기재가 예시된다.As the base material of the protective sheet disclosed in this specification, those containing a resin material having high acid resistance can be preferably adopted. Such a substrate is hardly swollen even when exposed to an acidic chemical liquid (for example, an acidic plating solution such as a hydrofluoric acid solution or a chromium plating solution, a copper sulfate plating solution, a nickel plating solution, an acidic electroless nickel plating solution, or an acidic tin plating solution used for etching glass). This is advantageous in preventing the acidic chemical liquid from swelling the base material into the protective sheet to prevent the chemical liquid from reaching the adherend (non-treatment target portion). As a preferable base material from the viewpoint of excellent balance between acid resistance and flexibility, a base material comprising a polyolefin resin is exemplified.

기재는 단층이어도 되고, 2층 이상의 다층 구조(예를 들어 3층 구조)이어도 된다. 예를 들어 전술한 바와 같은 필름을 포함하는 다층 구조의 수지 필름(다층 필름)을 기재로서 이용할 수 있다. 다층 필름에 있어서 각 층을 구성하는 수지 재료는 전술한 바와 같은 수지의 1종류를 단독으로 포함하는 수지 재료이어도 되고, 2종 이상의 수지가 블렌드된 수지 재료이어도 된다.The base material may be a single layer or a multilayer structure of two or more layers (for example, a three-layer structure). For example, a multilayered resin film (multilayer film) including the film as described above can be used as a substrate. In the multilayered film, the resin material constituting each layer may be a resin material containing one kind of the above-mentioned resins singly or a resin material in which two or more kinds of resins are blended.

바람직한 일 형태에 있어서 상기 기재는 단층 또는 다층의 폴리올레핀 수지 필름이다. 여기서, 폴리올레핀 수지 필름이란 폴리올레핀 수지(즉, 폴리올레핀을 주성분으로 하는 수지)를 포함하는 수지 재료로 형성된 플라스틱 필름을 가리킨다. 상기 폴리올레핀 수지 필름 중의 수지 성분(중합체 성분)에서 차지하는 폴리올레핀 수지의 비율은 50질량%를 초과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75질량%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90질량% 이상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수지 성분이 실질적으로 폴리올레핀 수지를 포함하는 필름이어도 된다. 또는, 수지 성분으로서 주성분(예를 들어 수지 성분 중 50질량%를 초과하는 성분)으로서의 폴리올레핀 수지 외에, 폴리올레핀 수지 이외의 수지 성분(PA, PC, PU, EVA 등)을 포함하는 수지 재료로 형성된 필름이어도 된다.In a preferred form, the substrate is a single-layer or multi-layer polyolefin resin film. Here, the polyolefin resin film refers to a plastic film formed of a resin material containing a polyolefin resin (that is, a resin composed mainly of a polyolefin). The proportion of the polyolefin resin in the resin component (polymer component) in the polyolefin resin film is preferably 50 mass% or more, more preferably 75 mass% or more, and further preferably 90 mass% or more. The resin component may be a film substantially comprising a polyolefin resin. Alternatively, a film formed of a resin material including a resin component (PA, PC, PU, EVA, etc.) other than the polyolefin resin in addition to the polyolefin resin as the main component (for example, a component exceeding 50 mass% .

폴리올레핀 수지로서는 1종의 폴리올레핀을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의 폴리올레핀을 조합하여 이용할 수 있다. 상기 폴리올레핀은 예를 들어 α-올레핀의 단독 중합체, 2종 이상의 α-올레핀의 공중합체, 1종 또는 2종 이상의 α-올레핀과 다른 비닐 단량체의 공중합체 등일 수 있다. 구체예로서는 PE, PP, EPR 등의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 에틸렌-프로필렌-부텐 공중합체, 에틸렌-에틸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 등을 들 수 있다. 저밀도(LD) 폴리올레핀 및 고밀도(HD) 폴리올레핀의 모두가 사용 가능하다. 이러한 폴리올레핀 수지 필름으로서는 2축 연신 폴리프로필렌(OPP) 필름, 저밀도 폴리에틸렌(LDPE) 필름, 직쇄상 저밀도 폴리에틸렌(LLDPE) 필름, 중밀도 폴리에틸렌(MDPE) 필름, 고밀도 폴리에틸렌(HDPE) 필름, 2종 이상의 폴리에틸렌(PE)을 블렌드한 폴리에틸렌(PE) 필름, 폴리프로필렌(PP)과 폴리에틸렌(PE)을 블렌드한 PP/PE 블렌드 필름, 각종 연질 폴리올레핀 필름 등의 폴리올레핀 수지 필름을 들 수 있다.As the polyolefin resin, one kind of polyolefin may be used alone or two or more kinds of polyolefins may be used in combination. The polyolefin may be, for example, a homopolymer of? -Olefin, a copolymer of two or more? -Olefins, a copolymer of one or more? -Olefins with another vinyl monomer, and the like. Specific examples thereof include ethylene-propylene copolymers such as PE, PP and EPR, ethylene-propylene-butene copolymers, and ethylene-ethyl acrylate copolymers. Both low density (LD) polyolefins and high density (HD) polyolefins are available. As such a polyolefin resin film, a biaxially oriented polypropylene (OPP) film, a low density polyethylene (LDPE) film, a linear low density polyethylene (LLDPE) film, a medium density polyethylene (MDPE) film, a high density polyethylene (HDPE) A polyethylene (PE) film blended with polyethylene (PE), a PP / PE blend film blended with polypropylene (PP) and polyethylene (PE), and various flexible polyolefin films.

상기 PP는 프로필렌을 주 단량체(주 구성 단량체, 즉 단량체 전체의 50질량%를 초과하는 성분)로 하는 다양한 중합체(프로필렌계 중합체)일 수 있다. 여기서 말하는 프로필렌계 중합체의 개념에는 예를 들어 이하와 같은 폴리프로필렌이 포함된다.The PP may be various polymers (propylene-based polymers) having propylene as the main monomer (main constituent monomer, that is, a component exceeding 50 mass% of the entire monomer). The concept of the propylene polymer as referred to here includes, for example, the following polypropylene.

프로필렌의 단독 중합체(즉 호모 폴리프로필렌). 예를 들어 이소택틱 폴리프로필렌, 신디오택틱 폴리프로필렌, 어택틱 폴리프로필렌.Homopolymer of propylene (i.e. homopolypropylene). For example, isotactic polypropylene, syndiotactic polypropylene, atactic polypropylene.

프로필렌과 다른 α-올레핀(전형적으로는 에틸렌 및 탄소 원자수 4 내지 10의 α-올레핀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또는 2종 이상)의 랜덤 공중합체(랜덤 폴리프로필렌). 예를 들어 프로필렌 96몰% 내지 99.9몰%와 다른 α-올레핀(바람직하게는 에틸렌 및/또는 부텐) 0.1몰% 내지 4몰%를 랜덤 공중합한 랜덤 폴리프로필렌.Random copolymers (random polypropylene) of propylene with other? -Olefins (typically one or more types selected from ethylene and? -Olefins having 4 to 10 carbon atoms). For example, random polypropylene randomly copolymerized with 96 mol% to 99.9 mol% of propylene and 0.1 mol% to 4 mol% of other? -Olefins (preferably ethylene and / or butene).

프로필렌에 다른 α-올레핀(전형적으로는 에틸렌 및 탄소 원자수 4 내지 10의 α-올레핀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또는 2종 이상)을 블록 공중합한 공중합체(블록 폴리프로필렌). 이러한 블록 폴리프로필렌은 부생성물로서 프로필렌 및 상기 다른 α-올레핀 중 적어도 1종을 성분으로 하는 고무 성분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필렌 90몰% 내지 99.9몰%에 다른 α-올레핀(바람직하게는 에틸렌 및/또는 부텐) 0.1몰% 내지 10몰%를 블록 공중합한 중합체와, 부생성물로서 프로필렌 및 다른 α-올레핀 중 적어도 1종을 성분으로 하는 고무 성분을 더 포함하는 블록 폴리프로필렌.(Block polypropylene) obtained by block-copolymerizing propylene with another? -Olefin (typically, one or two or more selected from ethylene and? -Olefins having 4 to 10 carbon atoms). The block polypropylene may further comprise a rubber component comprising at least one of propylene and the other? -Olefin as a by-product. For example, a polymer obtained by block-copolymerizing propylene with 90 mol% to 99.9 mol% of another α-olefin (preferably ethylene and / or butene) in an amount of 0.1 mol% to 10 mol%, and propylene and other α- A block polypropylene further comprising a rubber component comprising at least one component.

상기 폴리올레핀 수지는 수지 성분 중의 주성분이 전술한 바와 같은 프로필렌계 중합체이고, 부성분으로서 다른 중합체가 블렌드된 수지(PP 수지)일 수 있다. 상기 다른 중합체는 프로필렌 이외의 α-올레핀, 예를 들어 탄소 원자수 2 또는 4 내지 10의 α-올레핀을 주 단량체(주 구성 단량체, 즉 단량체 전체의 50질량%를 초과하는 성분)로 하는 폴리올레핀의 1종 또는 2종 이상일 수 있다. 상기 PP 수지는 상기 부성분으로서 적어도 PE를 포함하는 조성일 수 있다. PE의 함유량은 예를 들어 PP 100질량부당 3질량부 내지 50질량부(전형적으로는 5질량부 내지 30질량부)로 할 수 있다. 수지 성분이 실질적으로 PP과 PE를 포함하는 PP 수지이어도 된다. 또한, 부성분으로서 적어도 PE 및 EPR을 포함하는 PP 수지(예를 들어 수지 성분이 실질적으로 PP와 PE와 EPR을 포함하는 PP 수지)이어도 된다. 이 경우, EPR의 함유량은 예를 들어 PP 100질량부당 3질량부 내지 50질량부(전형적으로는 5질량부 내지 30질량부)로 할 수 있다.The polyolefin resin may be a resin (PP resin) in which the main component in the resin component is a propylene polymer as described above and another polymer is blended as a subcomponent. The other polymer is a polyolefin having an alpha -olefin other than propylene, for example, an alpha -olefin having 2 to 4 carbon atoms or 10 to 10 carbon atoms as a main monomer (main constituent monomer, that is, a component exceeding 50 mass% And may be one kind or two or more kinds. The PP resin may be a composition containing at least PE as the subcomponent. The content of PE may be, for example, 3 parts by mass to 50 parts by mass (typically 5 parts by mass to 30 parts by mass) per 100 parts by mass of PP. The resin component may be a PP resin substantially containing PP and PE. Further, a PP resin containing at least PE and EPR as the subcomponent (for example, a PP resin containing PP and PE and EPR as a resin component) may be used. In this case, the EPR content may be 3 parts by mass to 50 parts by mass (typically 5 parts by mass to 30 parts by mass) per 100 parts by mass of PP, for example.

상기 PE는 에틸렌의 단독 중합체이어도 되고, 주 단량체로서의 에틸렌과 다른 α-올레핀(예를 들어 탄소 원자수 3 내지 10의 α-올레핀)의 공중합체이어도 된다. 상기 α-올레핀의 적합예로서는 프로필렌, 1-부텐, 1-헥센, 4-메틸-1-펜텐, 1-옥텐 등을 들 수 있다. 저밀도 폴리에틸렌(LDPE), 직쇄상 저밀도 폴리에틸렌(LLDPE), 고밀도 폴리에틸렌(HDPE)의 모두가 사용 가능하다. 예를 들어 LDPE 및/또는 LLDPE를 바람직하게 채택할 수 있다.The PE may be a homopolymer of ethylene, or may be a copolymer of ethylene and another? -Olefin (for example, an? -Olefin having 3 to 10 carbon atoms) as a main monomer. Suitable examples of the? -Olefin include propylene, 1-butene, 1-hexene, 4-methyl-1-pentene and 1-octene. Low density polyethylene (LDPE), linear low density polyethylene (LLDPE), and high density polyethylene (HDPE) are all available. For example, LDPE and / or LLDPE can be preferably employed.

상기 기재로서 올레핀계 중합체 알로이와 카르보닐 단위 함유 열가소성 수지를 함유하는 폴리올레핀 수지 필름을 이용할 수도 있다. 여기서, 카르보닐 단위 함유 열가소성 수지란 분자 골격 중에 카르보닐(C=O) 단위를 포함하는 열가소성 수지를 말한다. 이러한 폴리올레핀 수지 필름은 실질적으로 할로겐 원자를 포함하지 않고, 폴리염화비닐(PVC) 수준의 유연성, 내열성, 난연성을 갖는 것일 수 있다.As the base material, a polyolefin resin film containing an olefinic polymer alloy and a thermoplastic resin containing a carbonyl unit may be used. Here, the carbonyl unit-containing thermoplastic resin means a thermoplastic resin containing a carbonyl (C = O) unit in a molecular skeleton. Such a polyolefin resin film may not substantially contain a halogen atom, and may have flexibility, heat resistance and flame retardancy at the level of polyvinyl chloride (PVC).

상기 올레핀계 중합체 알로이는 주로 기재의 열 변형을 억제하기 위한 성분이며, 에틸렌 성분과 프로필렌 성분을 포함하는 중합체 알로이인 것이 바람직하다. 중합체 알로이의 형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2종 이상의 중합체가 물리적으로 혼합한 중합체 블렌드, 2종 이상의 중합체가 공유 결합으로 결합한 블록 공중합체나 그래프트 공중합체, 2종 이상의 중합체가 서로 공유 결합으로 결합되지 않고 서로 얽힌 IPN(Interpenetrating Polymer Network) 구조체 등, 다양한 형태의 것을 이용할 수 있다. 또한, 2종 이상의 중합체가 상용한 상용성 중합체 알로이, 2종 이상의 중합체가 비상용으로 상 분리 구조를 형성하고 있는 비상용성 중합체 알로이 중 어느 것이어도 된다.The olefinic polymer alloy is mainly a component for suppressing thermal deformation of the base material, and is preferably a polymeric alloy containing an ethylene component and a propylene component. The shape of the polymer alloy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for example, a polymer blend in which two or more polymers are physically mixed, a block copolymer or a graft copolymer in which two or more polymers are covalently bonded, and two or more polymers are covalently bonded to each other And IPN (Interpenetrating Polymer Network) structures that are not combined but intertwined with each other. In addition, any of the compatibilizing polymer alloys in which two or more kinds of polymers are compatible and the incompatible polymer alloy in which two or more kinds of polymers are forming a phase separation structure for emergency use may be used.

그러한 올레핀계 중합체 알로이로서는 예를 들어 폴리프로필렌(호모 폴리프로필렌, 랜덤 폴리프로필렌)과 폴리에틸렌(에틸렌과 소량의 α-올레핀의 공중합체일 수 있음)의 중합체 블렌드, 프로필렌/에틸렌 공중합체, 프로필렌과 에틸렌과 이들 이외의 다른 α-올레핀의 3원 공중합체를 들 수 있다. 상기 3원 공중합체에 있어서의 다른 α-올레핀으로서는 1-부텐, 1-펜텐, 1-헥센, 4-메틸-1-펜텐, 1-헵텐, 1-옥텐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중 1-부텐이 바람직하다.Examples of such olefinic polymer alloy include polymer blends of polypropylene (homopolypropylene, random polypropylene) and polyethylene (which may be a copolymer of ethylene and a small amount of? -Olefin), propylene / ethylene copolymers, And ternary copolymers of other? -Olefins. Examples of other? -Olefins in the terpolymer include 1-butene, 1-pentene, 1-hexene, 4-methyl-1-pentene, 1-heptene and 1-octene. Of these, 1-butene is preferable.

상기 올레핀계 중합체 알로이가 공중합체인 경우에는 2단 이상의 다단 중합에 의해 중합된 다단 중합 올레핀 공중합체(바람직하게는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다단 중합 올레핀 공중합체로서는 예를 들어 일본 특허 출원 공개 제2001-192629호 공보에 기재되어 있는 바와 같은 중합체 알로이를 들 수 있다. 즉, 프로필렌을 주성분으로 하는 단량체 혼합물을 이용하여 1단째의 중합을 행하고, 계속해서 2단째 이후에 있어서 프로필렌과 에틸렌을 공중합시킨 폴리프로필렌(1단째)/프로필렌-에틸렌 공중합체(2단째 이후)의 중합체 알로이이다. 1단째의 중합은 티타늄 화합물 촉매 및 유기 알루미늄 화합물 촉매의 존재하에서 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2단째 이후의 중합은 1단째의 중합에서 생성한 티타늄 함유 폴리올레핀과 유기 알루미늄 화합물 촉매의 존재하에서 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티타늄 화합물 촉매로서는 예를 들어 3염화티타늄과 염화마그네슘을 공분쇄하고, 오르토티타늄산n-부틸, 2-에틸-헥산올, p-톨루일산에틸, 사염화규소, 프탈산디이소부틸 등으로 처리한, 구상이고 평균 입자 직경 1㎛ 내지 30㎛의 고체 촉매를 들 수 있다. 유기 알루미늄 화합물 촉매로서는 예를 들어 트리에틸알루미늄 등의 알킬알루미늄을 들 수 있다. 또한, 중합층에 있어서 전자 공여체로서 디페닐디메톡시실란 등의 규소 화합물을 더 첨가하여도 된다. 또한, 요오드화에틸 등의 요오드 화합물을 첨가하여도 된다.When the olefinic polymer alloy is a copolymer, it is preferably a multistage polymerized olefin copolymer (preferably an ethylene / propylene copolymer) polymerized by two or more stages of multistage polymerization. As such a multi-stage polymerized olefin copolymer, there can be mentioned, for example, polymer alloys as disclosed in Japanese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2001-192629. That is, the first stage polymerization is carried out by using a monomer mixture containing propylene as a main component, and then the second stage and the following stages are carried out in which a polypropylene (first stage) / propylene-ethylene copolymer Polymer alloy. The first stage polymerization is preferably carried out in the presence of a titanium compound catalyst and an organoaluminum compound catalyst. The polymerization in the second stage and thereafter is preferably carried out in the presence of the titanium-containing polyolefin and the organoaluminum compound catalyst produced in the first stage polymerization. As the titanium compound catalyst, for example, titanium tetrachloride and magnesium chloride are co-milled and treated with n-butyl orthotitanate, 2-ethyl-hexanol, ethyl p-toluate, silicon tetrachloride, diisobutyl phthalate , And spherical solid catalysts having an average particle diameter of 1 to 30 mu m. Examples of the organoaluminum compound catalyst include alkylaluminum such as triethylaluminum. Further, a silicon compound such as diphenyldimethoxysilane may be further added as an electron donor in the polymerization layer. An iodine compound such as ethyl iodide may also be added.

상기 올레핀계 중합체 알로이는 열 변형을 억제하는 관점에서 80℃에서의 동적 저장 탄성률(E')이 40MPa 이상, 180MPa 미만(예를 들어 45MPa 내지 160MPa)을 나타내고, 또한 120℃에서의 동적 저장 탄성률(E')이 12MPa 이상, 70MPa 미만(예를 들어 15MPa 내지 65MPa)을 나타내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실온 부근에서의 표면 형상 추종성이나 작업성을 고려하여 23℃에서의 동적 저장 탄성률(E')이 200MPa 이상, 400MPa 미만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동적 저장 탄성률(E')은 중합체 알로이에 의한 시험편(두께 0.2mm, 폭 10mm, 길이 20mm)을 작성하고, 당해 시험편의 온도 분산에 의한 동적 점탄성 거동을 측정 기기로서 DMS200(세이코인스트루먼트(주)제)을 이용하여 소정의 측정 조건(예를 들어 측정법: 인장 모드, 승온 속도: 2℃/분, 주파수: 1Hz)으로 측정한 값이다. 이러한 중합체 알로이의 예로서 선알로머(주)제의 상품명 「카탈로이 KS-353P」, 「카탈로이 KS-021P」, 「카탈로이 C200F」, 「카탈로이 Q-200F」 등을 들 수 있다.The olefinic polymer alloy preferably exhibits a dynamic storage modulus (E ') of 80 MPa or more and 80 MPa or less (for example, 45 MPa to 160 MPa) at 80 ° C and a dynamic storage modulus E ') of 12 MPa or more and less than 70 MPa (for example, 15 MPa to 65 MPa). Also, in consideration of surface shape compliance and workability in the vicinity of room temperature, the dynamic storage modulus (E ') at 23 캜 is preferably 200 MPa or more and less than 400 MPa. The dynamic elastic modulus (E ') was determined by preparing a test piece (thickness 0.2 mm, width 10 mm, length 20 mm) by using a polymer alloy and measuring the dynamic viscoelastic behavior by temperature dispersion of the test piece by using DMS200 (Seiko Instruments Inc.) (Measurement method: tensile mode, temperature raising rate: 2 DEG C / min, frequency: 1 Hz) using a differential scanning calorimeter. Catalyst KS-353P, Catalyst KS-021P, Catalyst C200F, Catalyst Q-200F and the like, which are available from Sun Allomer Co., Ltd., are examples of such polymer alloys.

상기 카르보닐 단위 함유 열가소성 수지는 기재에 적당한 유연성과 양호한 신장성을 부여하기 위해서 이용되는 것이며, 분자 골격 중에 카르보닐(C=O) 단위를 포함하는 열가소성 수지이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폴리올레핀 수지 필름이 무기계 난연제를 함유하는 경우에는 무기계 난연제에 의한 난연성 부여 작용을 활성화시키는 성분도 될 수 있다. 이러한 열가소성 수지로서는 분자 골격 중에 카르보닐 단위를 포함하는 연질 폴리올레핀계 수지가 적합하다. 예를 들어 비닐에스테르 및/또는 α,β-불포화 카르복실산 또는 그 유도체를 단량체 또는 공단량체에 이용하여 합성된 에틸렌계 공중합체(에틸렌/비닐에스테르 공중합체, 에틸렌/불포화 카르복실산 공중합체 등), 이들의 금속염 등을 들 수 있다. 이러한 열가소성 수지의 융점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120℃ 이하(전형적으로는 40 내지 100℃)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융점은 일반적인 시차 주사 열량계(DSC)에 의해 측정할 수 있다.The above-mentioned carbonyl unit-containing thermoplastic resin is used for imparting appropriate flexibility and good extensibility to a substrate, and is a thermoplastic resin containing a carbonyl (C = O) unit in a molecular skeleton. When the polyolefin resin film contains an inorganic flame retardant as described later, it may be a component that activates the flame retardancy imparting action by the inorganic flame retardant. As such a thermoplastic resin, a flexible polyolefin-based resin containing a carbonyl unit in a molecular skeleton is suitable. (Ethylene / vinyl ester copolymer, ethylene / unsaturated carboxylic acid copolymer, etc.) synthesized by using a vinyl ester and / or an?,? - unsaturated carboxylic acid or a derivative thereof in a monomer or a comonomer ), Metal salts thereof, and the like. The melting point of such a thermoplastic resin is not particularly limited, but it is preferably 120 占 폚 or lower (typically 40 to 100 占 폚). The melting point can be measured by a general differential scanning calorimeter (DSC).

상기 에틸렌계 공중합체 또는 그 금속염에 있어서의 비닐에스테르로서는 아세트산비닐 등의 카르복실산비닐에스테르가 예시된다. 또한, α,β-불포화 카르복실산 또는 그의 유도체로서는 예를 들어 아크릴산, 메타크릴산, 말레산, 푸마르산, 무수 말레산, 무수 이타콘산 등의 불포화 카르복실산 또는 그 무수물류; 메틸(메트)아크릴레이트, 에틸(메트)아크릴레이트, 프로필(메트)아크릴레이트, 이소프로필(메트)아크릴레이트, n-부틸(메트)아크릴레이트, 시클로헥실(메트)아크릴레이트, 스테아릴(메트)아크릴레이트, 라우릴(메트)아크릴레이트, 말레산1-메틸, 말레산1-에틸, 말레산디에틸, 푸마르산1-메틸, 글리시딜(메트)아크릴레이트 등의 불포화 카르복실산에스테르류를 들 수 있다. 이들은 1종을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이용할 수 있다. 그 중에서도 알킬(메트)아크릴레이트가 바람직하고, 에틸아크릴레이트가 보다 바람직하다.As the vinyl ester in the ethylenic copolymer or the metal salt thereof, a carboxylic acid vinyl ester such as vinyl acetate is exemplified. Examples of the?,? - unsaturated carboxylic acids or derivatives thereof include unsaturated carboxylic acids such as acrylic acid, methacrylic acid, maleic acid, fumaric acid, maleic anhydride and itaconic anhydride, or anhydrides thereof; (Meth) acrylate, ethyl (meth) acrylate, propyl (meth) acrylate, isopropyl (meth) acrylate, n-butyl (meth) acrylate, cyclohexyl Unsaturated carboxylic acid esters such as lauryl (meth) acrylate, 1-methyl maleate, 1-ethyl maleate, diethyl maleate, 1-methyl fumarate and glycidyl (meth) . These may be used singly or in combination of two or more. Among them, alkyl (meth) acrylate is preferable, and ethyl acrylate is more preferable.

에틸렌/비닐에스테르 공중합체 및 에틸렌/불포화 카르복실산 공중합체의 적합예로서는 에틸렌/아크릴산 공중합체, 에틸렌/메타크릴산 공중합체, 에틸렌/에틸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 에틸렌/아크릴산/에틸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 에틸렌/아세트산비닐 공중합체, 에틸렌/아세트산비닐/에틸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 에틸렌/글리시딜메타크릴레이트 공중합체, 에틸렌/글리시딜메타크릴레이트-에틸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 및 이들의 금속염을 들 수 있다. 이들은 1종을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이용할 수 있다.Suitable examples of the ethylene / vinyl ester copolymer and the ethylene / unsaturated carboxylic acid copolymer include ethylene / acrylic acid copolymer, ethylene / methacrylic acid copolymer, ethylene / ethyl acrylate copolymer, ethylene / acrylic acid / ethyl acrylate copolymer, Ethylene / vinyl acetate copolymer, ethylene / vinyl acetate / ethyl acrylate copolymer, ethylene / glycidyl methacrylate copolymer, ethylene / glycidyl methacrylate-ethyl acrylate copolymer and metal salts thereof have. These may be used singly or in combination of two or more.

올레핀계 중합체 알로이와 카르보닐 단위 함유 열가소성 수지를 함유하는 폴리올레핀 수지 필름에는 무기계 난연제를 함유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무기계 난연제로서는 예를 들어 수산화알루미늄, 수산화마그네슘, 수산화지르코늄, 수산화칼슘, 수산화바륨 등의 금속 수산화물; 염기성 탄산마그네슘, 탄산마그네슘-칼슘, 탄산칼슘, 탄산바륨, 돌로마이트 등의 금속 탄산염; 히드로탈사이트, 붕사 등의 금속 수화물(금속 화합물의 수화물); 메타붕산바륨, 산화마그네슘 등의 무기 금속 화합물을 들 수 있다. 이들은 1종을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이용할 수 있다. 그 중에서도 수산화알루미늄, 수산화마그네슘, 수산화지르코늄, 수산화칼슘, 수산화바륨 등의 금속 수산화물이나 염기성 탄산마그네슘, 히드로탈사이트가 바람직하다.The polyolefin resin film containing the olefinic polymer alloy and the carbonyl unit-containing thermoplastic resin preferably contains an inorganic flame retardant. Examples of the inorganic flame retardant include metal hydroxides such as aluminum hydroxide, magnesium hydroxide, zirconium hydroxide, calcium hydroxide and barium hydroxide; Basic metal carbonates such as basic magnesium carbonate, magnesium carbonate-calcium carbonate, calcium carbonate, barium carbonate and dolomite; Metal hydrates such as hydrotalcite and borax (hydrates of metal compounds); And inorganic metal compounds such as barium metaborate and magnesium oxide. These may be used singly or in combination of two or more. Among them, metal hydroxides such as aluminum hydroxide, magnesium hydroxide, zirconium hydroxide, calcium hydroxide and barium hydroxide, and basic magnesium carbonate and hydrotalcite are preferable.

무기계 난연제는 또한 실란계 커플링제에 의한 표면 처리가 실시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의해 유연성, 내열성, 난연성 등의 여러 특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이러한 실란계 커플링제의 구체예로서는 비닐트리에톡시실란, 비닐-트리스(2-메톡시-에톡시)실란, γ-메타크릴옥시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γ-아미노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γ-아미노프로필트리에톡시실란, N-페닐-γ-아미노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N-β-(아미노에틸)-γ-아미노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N-β-(아미노에틸)-γ-아미노프로필트리에톡시실란, N-페닐-γ-아미노프로필트리에톡시실란, β-(3,4-에폭시시클로헥실)에틸트리메톡시실란, γ-글리시독시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γ-머캅토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을 들 수 있다. 이들은 1종을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이용할 수 있다.The inorganic flame retardant is also preferably subjected to a surface treatment with a silane coupling agent. As a result, various properties such as flexibility, heat resistance and flame retardancy can be further improved. Specific examples of such silane-based coupling agents include vinyltriethoxysilane, vinyltris (2-methoxy-ethoxy) silane,? -Methacryloxypropyltrimethoxysilane,? -Aminopropyltrimethoxysilane,? - Aminopropyltrimethoxysilane, N-phenyl- gamma -aminopropyltrimethoxysilane, N -? - (aminoethyl) -? - aminopropyltrimethoxysilane, N -? - Propyltriethoxysilane, N-phenyl- gamma -aminopropyltriethoxysilane,? - (3,4-epoxycyclohexyl) ethyltrimethoxysilane,? -Glycidoxypropyltrimethoxysilane, Tripropyltrimethoxysilane. These may be used singly or in combination of two or more.

실란계 커플링제에 의한 무기 금속 화합물의 표면 처리의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건식 처리법, 습식 처리법 등의 종래 공지된 방법이 적절히 채택될 수 있다. 실란계 커플링제의 무기 금속 화합물 표면에 대한 부착량은 커플링제의 종류, 무기 금속 화합물의 종류, 비표면적 등에 따라 상이할 수 있기 때문에 일률적으로 말할 수 없지만, 무기 금속 화합물 100질량부에 대하여 통상 0.1질량부 내지 5.0질량부(예를 들어 0.3질량부 내지 3.0질량부) 정도이다.The method of surface treatment of the inorganic metal compound by the silane coupling agent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conventionally known methods such as a dry treatment method and a wet treatment method can be suitably adopted. The amount of the silane-based coupling agent to be adhered to the surface of the inorganic metal compound may not be uniformly determined because it may differ depending on the kind of coupling agent, kind of inorganic metal compound, specific surface area, etc. However, To 5.0 parts by mass (for example, 0.3 parts by mass to 3.0 parts by mass).

올레핀계 중합체 알로이와 카르보닐 단위 함유 열가소성 수지의 배합비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내열성과 난연성을 양립하는 관점에서 예를 들어 질량 기준으로 90:10 내지 20:80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무기계 난연제를 배합하는 경우, 그 배합량은 난연성 향상과 유연성 유지의 관점에서 중합체 성분(예를 들어 전술한 바와 같은 다단 중합 올레핀 공중합체와 카르보닐 단위 함유 열가소성 수지의 합계) 100질량부에 대하여 10질량부 내지 200질량부(예를 들어 20질량부 내지 100질량부) 정도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blend ratio of the olefinic polymer alloy and the carbonyl unit-containing thermoplastic resin is not particularly limited, but is preferably 90:10 to 20:80 in terms of mass, for example, from the viewpoint of both heat resistance and flame retardancy. When the inorganic flame retardant is blended, the blending amount thereof is preferably in the range of from 100 parts by mass of the polymer component (for example, the total of the multistage polymerized olefin copolymer and the carbonyl unit-containing thermoplastic resin as described above) And more preferably from about 10 parts by mass to about 200 parts by mass (for example, from 20 parts by mass to 100 parts by mass).

전술한 어느 수지 필름에는 보호 시트의 용도에 따른 적절한 성분을 필요에 따라 함유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라디칼 포착제나 자외선 흡수제 등의 광 안정제, 산화 방지제, 대전 방지제, 착색제(염료, 안료 등), 충전재, 슬립제, 안티 블로킹제 등의 첨가제를 적절히 배합할 수 있다. 광 안정제의 예로서는 벤조트리아졸류, 힌더드 아민류, 벤조에이트류 등을 유효 성분으로 하는 것을 들 수 있다. 산화 방지제의 예로서는 알킬페놀류, 알킬렌비스페놀류, 티오프로필렌산에스테르류, 유기아인산에스테르류, 아민류, 히드로퀴논류, 히드록실아민류 등을 유효 성분으로 하는 것을 들 수 있다. 이러한 첨가제는 각각 1종을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이용할 수 있다. 첨가제의 배합량은 보호 시트의 용도(예를 들어 유리 에칭용, 도금 마스킹용)에 따라 당해 용도에 있어서 보호 시트의 기재로서 이용되는 수지 필름의 통상의 배합량과 동일 정도로 할 수 있다.Any of the above-mentioned resin films may contain an appropriate component according to the use of the protective sheet, if necessary. Additives such as a light stabilizer such as a radical scavenger and an ultraviolet absorber, an antioxidant, an antistatic agent, a colorant (dye, pigment, etc.), a filler, a slip agent and an anti-blocking agent can be appropriately added. Examples of the light stabilizer include benzotriazoles, hindered amines, benzoates and the like as effective ingredients. Examples of the antioxidant include those containing an alkylphenol, an alkylene bisphenol, a thiopropylene acid ester, an organic phosphoric acid ester, an amine, a hydroquinone, a hydroxylamine and the like as an effective component. Each of these additives may be used alone or in combination of two or more. The amount of the additive to be blended may be about the same as the ordinary blending amount of the resin film used as the base material of the protective sheet in this application depending on the use of the protective sheet (for example, for glass etching and plating masking).

이러한 기재(수지 필름)는 종래 공지의 일반적인 필름 성형 방법(압출 성형, 인플레이션 성형 등)을 적절히 채택하여 제조할 수 있다. 기재 중 점착제층이 배치되는 측의 표면(점착제층측 표면, 점착제를 도포 부착하는 면)에는 상기 점착제층과의 접착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처리(점착제의 투묘성을 얻기 위한 처리), 예를 들어 코로나 방전 처리, 산 처리, 자외선 조사 처리, 플라즈마 처리, 하도제(프라이머) 도포 부착 등의 표면 처리가 실시되어 있어도 된다. 프라이머 도포 부착에 의한 표면 처리(프라이머 처리)로서는 아크릴 중합체에 이소시아네이트를 배합한 하도제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기재 중 상기 점착제층측 표면과는 반대측의 면(배면)에는 필요에 따라 대전 방지 처리, 박리 처리 등의 표면 처리가 실시되어 있어도 된다. 박리 처리로서는 예를 들어 기재의 배면에 장쇄 알킬계, 실리콘계의 박리 처리층을 형성함으로써, 롤 형상으로 감긴 형태의 보호 시트의 되감김력을 가볍게 할 수 있다.Such a substrate (resin film) can be produced by appropriately adopting conventionally known general film forming methods (extrusion molding, inflation molding, etc.). The surface (the surface on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side, the surface to which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is applied) of the side where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in the substrate is disposed is subjected to a treatment (a treatment for obtaining an adherence property of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A surface treatment such as a discharge treatment, an acid treatment, an ultraviolet ray irradiation treatment, a plasma treatment, a primer application, or the like may be carried out. As the surface treatment (primer treatment) by applying the primer coating, it is preferable to use a primer containing an isocyanate in an acrylic polymer. The surface (back surface) opposite to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side surface of the substrate may be subjected to surface treatment such as antistatic treatment and peeling treatment as necessary. As the peeling treatment, for example, by forming a long-chain alkyl-based or silicon-based peeling treatment layer on the back surface of the base material, the rewinding force of the protective sheet wound in a roll shape can be lightened.

기재의 두께는 사용하는 수지 필름의 가요성(경도) 등에 따라 적절히 선택할 수 있다. 단차가 있는 표면에 대한 추종성이나 밀착성의 관점에서 통상은 기재의 두께는 500㎛ 이하(바람직하게는 300㎛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200㎛ 이하, 전형적으로는 100㎛ 이하, 예를 들어 80㎛ 이하)가 적당하다. 또한, 박리 작업성 그 외의 취급성(핸들링성)의 관점에서 기재의 두께는 10㎛ 이상(바람직하게는 20㎛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25㎛ 이상, 예를 들어 30㎛ 이상)이 적당하다. 기재의 두께가 커지면, 보호 시트 표면으로부터의 약액의 팽윤 침입을 방지하기 쉬워지는 경향이 있다.The thickness of the substrate can be appropriately selected depending on the flexibility (hardness) of the resin film to be used and the like. The thickness of the substrate is usually 500 占 퐉 or less (preferably 300 占 퐉 or less, more preferably 200 占 퐉 or less, typically 100 占 퐉 or less, for example, 80 占 퐉 or less from the viewpoint of followability and adhesion to the stepped surface) ) Is appropriate. The thickness of the base material is preferably 10 占 퐉 or more (preferably 20 占 퐉 or more, more preferably 25 占 퐉 or more, for example, 30 占 퐉 or more) from the viewpoints of peelability and other handling properties (handling property). When the thickness of the substrate is increased, swelling intrusion of the chemical liquid from the surface of the protective sheet tends to be easily prevented.

상기 기재 상에 배치되는 점착제층을 구성하는 점착제의 종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아크릴계 점착제, 고무계 점착제(천연 고무계, 합성 고무계, 이들의 혼합계 등), 실리콘계 점착제, 우레탄계 점착제, 폴리에테르계 점착제, 불소계 점착제 등의 공지된 각종 점착제로부터 선택되는 1종 또는 2종 이상의 점착제일 수 있다. 그 중에서도 약액(예를 들어 에칭액, 산성 도금액 등의 산성의 약액)에 대한 내성이 우수하다는 이유로부터, 아크릴계 점착제, 고무계 점착제, 실리콘계 점착제가 바람직하다. 마찬가지로 점착제를 형성하기 위해서 이용되는 점착제 조성물도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전술한 점착제를 구성하는 중합체를 배합하고, 그 배합 비율을 적절히 선정한 것을 이용할 수 있다.The kind of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nstituting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disposed on the substrate is not particularly limited. For example, one kind or two or more kinds selected from various known pressure-sensitive adhesives such as acrylic pressure-sensitive adhesives, rubber pressure-sensitive adhesives (natural rubber-based, synthetic rubber-based compounds, etc.), silicone pressure-sensitive adhesives, urethane pressure-sensitive adhesives, polyether pressure- It may be an adhesive. Among them, an acrylic pressure-sensitive adhesive, a rubber pressure-sensitive adhesive, and a silicone pressure-sensitive adhesive are preferable from the viewpoint of excellent resistance to a chemical liquid (for example, an acidic chemical liquid such as an etching solution or an acidic plating solution). Similarly,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used for forming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a polymer constituting the above-mentioned pressure-sensitive adhesive may be blended and a compounding ratio thereof appropriately selected may be used.

그 중에서도 점착제층을 구성하는 점착제는 베이스 중합체로서 아크릴계 중합체를 함유하는 아크릴계 점착제인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베이스 중합체」란 당해 점착제에 포함되는 중합체 성분 중의 주성분(주된 점착 성분)을 가리키고, 전형적으로는 상기 중합체 성분의 50질량%보다도 많은 부분을 차지하는 성분을 말한다. 또한, 「아크릴계 중합체」란 1분자 중에 적어도 하나의 (메트)아크릴로일기를 갖는 단량체(아크릴계 단량체)에서 유래되는 단량체 단위를 포함하는 중합체를 가리킨다. 상기 아크릴계 중합체는 아크릴계 단량체를 포함하고, 상기 아크릴계 단량체와 공중합성을 갖는 다른 단량체(즉, (메트)아크릴로일기를 갖지 않는 단량체)를 더 포함하여도 되는 단량체 원료(단일 단량체 또는 단량체 혼합물)를 중합함으로써 합성된 중합체(공중합체)일 수 있다.Among them,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nstituting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is preferably an acrylic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ntaining an acrylic polymer as the base polymer. Here, the term &quot; base polymer &quot; refers to a main component (main adhesive component) in the polymer component contained in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and typically refers to a component occupying more than 50 mass% of the polymer component. Further, the "acrylic polymer" refers to a polymer comprising monomer units derived from a monomer (acrylic monomer) having at least one (meth) acryloyl group in one molecule. The acrylic polymer may include a monomer raw material (a single monomer or a monomer mixture) which may further contain an acrylic monomer and another monomer having a copolymerization with the acrylic monomer (i.e., a monomer having no (meth) acryloyl group) Or may be a polymer (copolymer) synthesized by polymerization.

아크릴계 중합체의 전형예로서 상기 단량체 원료에 포함되는 아크릴계 단량체의 주성분이 알킬(메트)아크릴레이트인 것을 들 수 있다. 또한, 「(메트)아크릴레이트」란 아크릴레이트 및 메타크릴레이트를 포괄적으로 가리키는 의미이다. 마찬가지로 「(메트)아크릴로일」은 아크릴로일 및 메타크릴로일을, 「(메트)아크릴」은 아크릴 및 메타크릴을 각각 포괄적으로 가리키는 의미이다.As a typical example of the acrylic polymer, the main component of the acrylic monomer contained in the monomer raw material is alkyl (meth) acrylate. The term &quot; (meth) acrylate &quot; refers to both acrylate and methacrylate. Likewise, &quot; (meth) acryloyl &quot; means acryloyl and methacryloyl, and &quot; (meth) acryloyl &quot;

단량체 원료 중에 포함되는 아크릴계 단량체 중 알킬(메트)아크릴레이트가 차지하는 비율은 전형적으로는 50질량%를 초과하고, 바람직하게는 60질량% 이상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70질량% 이상이고, 예를 들어 80질량% 이상일 수 있다. 바람직한 일 형태에 있어서, 아크릴계 단량체에서 차지하는 알킬(메트)아크릴레이트의 비율은 90질량% 이상일 수 있다. 아크릴계 단량체로서 알킬(메트)아크릴레이트만을 포함하는 조성의 단량체 원료이어도 된다. 또는 상기 단량체 원료는 예를 들어 점착 성능이나 겔분율의 조정 등을 위해서 알킬(메트)아크릴레이트 이외의 아크릴계 단량체를 포함하여도 된다. 이 경우, 단량체 원료 중의 아크릴계 단량체에서 차지하는 알킬(메트)아크릴레이트의 비율은 예를 들어 99.5질량% 이하로 할 수 있고, 99질량% 이하(예를 들어 98질량% 이하)이어도 된다.The proportion of the alkyl (meth) acrylate in the acrylic monomer contained in the monomer raw material is typically more than 50% by mass, preferably 60% by mass or more, and more preferably 70% by mass or more, May be 80% by mass or more. In a preferred form, the proportion of alkyl (meth) acrylate in the acrylic monomers may be at least 90 mass%. As the acrylic monomer, a monomer raw material having a composition containing only alkyl (meth) acrylate may be used. Alternatively, the monomer raw material may include an acrylic monomer other than alkyl (meth) acrylate, for example, for adjusting the adhesive property or the gel fraction. In this case, the proportion of the alkyl (meth) acrylate in the acrylic monomer in the monomer raw material may be, for example, 99.5 mass% or less and 99 mass% or less (for example, 98 mass% or less).

알킬(메트)아크릴레이트로서는 예를 들어 다음 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적절하게 이용할 수 있다.As the alkyl (meth) acrylate, for example, a compound represented by the following formula (1) can be appropriately used.

CH2=CR1COOR2 (1)CH 2 = CR 1 COOR 2 (1)

여기서, 상기 식 (1) 중의 R1은 수소 원자 또는 메틸기이다. 또한, R2는 직쇄상 또는 분지상의 알킬기이며, 전형적으로는 C1-20의 알킬기이다. 점착제의 저장 탄성률 등의 관점에서 R2가 C1-14(예를 들어 C1-10)의 알킬기인 알킬(메트)아크릴레이트를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Here, R 1 in the formula (1) is a hydrogen atom or a methyl group. R 2 is a linear or branched alkyl group, typically a C 1-20 alkyl group. (Meth) acrylate in which R 2 is an alkyl group of C 1-14 (for example, C 1-10 ) from the viewpoint of the storage modulus of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and the like.

또한, 본 명세서 중에 있어서 Ca-b란 탄소 원자수의 범위(a 이상 b 이하인 것)를 가리킨다. 예를 들어 C1-20의 알킬기란 탄소 원자수 1 내지 20의 알킬기를 가리킨다.In the present specification, C ab refers to the range of the number of carbon atoms (a or more and b or less). For example, the C 1-20 alkyl group refers to an alkyl group having 1 to 20 carbon atoms.

R2가 C1-20의 알킬기인 알킬(메트)아크릴레이트로서는 예를 들어 메틸(메트)아크릴레이트, 에틸(메트)아크릴레이트, 프로필(메트)아크릴레이트, 이소프로필(메트)아크릴레이트, n-부틸(메트)아크릴레이트, 이소부틸(메트)아크릴레이트, s-부틸(메트)아크릴레이트, t-부틸(메트)아크릴레이트, 펜틸(메트)아크릴레이트, 이소펜틸(메트)아크릴레이트, 헥실(메트)아크릴레이트, 헵틸(메트)아크릴레이트, 2-에틸헥실(메트)아크릴레이트, 옥틸(메트)아크릴레이트, 이소옥틸(메트)아크릴레이트, 노닐(메트)아크릴레이트, 이소노닐(메트)아크릴레이트, 데실(메트)아크릴레이트, 이소데실(메트)아크릴레이트, 운데실(메트)아크릴레이트, 도데실(메트)아크릴레이트, 트리데실(메트)아크릴레이트, 테트라데실(메트)아크릴레이트, 펜타데실(메트)아크릴레이트, 헥사데실(메트)아크릴레이트, 헵타데실(메트)아크릴레이트, 옥타데실(메트)아크릴레이트, 노나데실(메트)아크릴레이트, 에이코실(메트)아크릴레이트 등을 들 수 있다. 이들은 1종을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이용할 수 있다.Examples of the alkyl (meth) acrylate in which R 2 is a C 1-20 alkyl group include methyl (meth) acrylate, ethyl (meth) acrylate, propyl (meth) acrylate, isopropyl Butyl (meth) acrylate, isobutyl (meth) acrylate, isobutyl (meth) acrylate, isobutyl (Meth) acrylate, octyl (meth) acrylate, heptyl (meth) acrylate, 2-ethylhexyl (meth) acrylate, (Meth) acrylate, decyl (meth) acrylate, isodecyl (meth) acrylate, undecyl (meth) acrylate, dodecyl Pentadecyl (meth) acrylate, hexadecyl ( (Meth) acrylate, heptadecyl (meth) acrylate, octadecyl (meth) acrylate, nonadecyl (meth) acrylate and eicosyl (meth) acrylate. These may be used singly or in combination of two or more.

그 중에서도 R2가 C4-10의 알킬기인 알킬(메트)아크릴레이트, 예를 들어 n-부틸아크릴레이트, n-부틸메타크릴레이트, 2-에틸헥실아크릴레이트가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이들 중 1종 또는 2종 이상이 합계 30질량% 이상의 비율(바람직하게는 40질량% 이상 99질량% 이하, 예를 들어 50질량% 이상 98질량% 이하, 전형적으로는 50질량%를 초과 97질량% 이하의 비율)로 공중합된 아크릴계 중합체로 할 수 있다. 상기 아크릴계 중합체에는 R2가 C4-10의 알킬기인 알킬(메트)아크릴레이트의 1종 또는 2종 이상이 합계 40질량% 이상 90질량% 이하(보다 바람직하게는 50질량% 이상 80질량% 이하, 전형적으로는 50질량%를 초과 70질량% 이하, 예를 들어 50질량%를 초과 60질량% 이하)의 비율로 공중합되어 있어도 된다.Among them, alkyl (meth) acrylates in which R 2 is a C 4-10 alkyl group such as n-butyl acrylate, n-butyl methacrylate and 2-ethylhexyl acrylate are preferred. For example, one or more of these may be used in a total amount of 30 mass% or more (preferably 40 mass% or more and 99 mass% or less, for example, 50 mass% or more and 98 mass% or less, typically 50 mass% By mass to 97% by mass or less). (Meth) acrylate in which R 2 is a C 4-10 alkyl group is contained in an amount of 40 mass% or more and 90 mass% or less (more preferably 50 mass% or more and 80 mass% or less , Typically 50% by mass or more and 70% by mass or less, for example, 50% by mass or more and 60% by mass or less).

본 명세서에 개시되는 기술의 바람직한 일 형태에 있어서, 상기 식 (1) 중의 R2가 탄소 원자수 6 이상(예를 들어 7 이상, 전형적으로는 8)의 알킬기인 단량체를 이용할 수 있다. 이러한 단량체는 알킬기의 탄소 원자수가 비교적 많기 때문에 소수성이 높고, 이에 의해 약액(특히 수계 용매를 포함하는 약액)의 침입을 방지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원료의 입수 용이성, 제조 용이성, 중합 반응성, 약액 침입 방지성 등을 고려하여 상기 탄소 원자수는 대략 20 이하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R2가 헥실기, 헵틸기, 옥틸기, 노닐기, 2-에틸헥실기, 프로필헥실기 등인 알킬(메트)아크릴레이트가 바람직하다. 그 중에서도 바람직한 단량체로서 R2가 2-에틸헥실기인 알킬(메트)아크릴레이트를 들 수 있다. 이들 단량체는 1종을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이용할 수 있다.In a preferred form of the technique disclo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monomers in which R 2 in the formula (1) is an alkyl group having 6 or more carbon atoms (for example, 7 or more, typically 8) can be used. Such a monomer has a high hydrophobicity because the number of carbon atoms of the alkyl group is relatively large, and thus the effect of preventing the entry of a chemical liquid (particularly, a chemical liquid containing an aqueous solvent) can be expected. The number of the carbon atoms is preferably set to about 20 or less in consideration of the availability of raw materials, ease of production, polymerization reactivity, and ability to prevent chemical solution penetration. For example, alkyl (meth) acrylates wherein R 2 is a hexyl group, heptyl group, octyl group, nonyl group, 2-ethylhexyl group, propylhexyl group and the like are preferable. Of these, alkyl (meth) acrylates in which R 2 is a 2-ethylhexyl group can be mentioned as preferred monomers. These monomers may be used singly or in combination of two or more.

이러한 형태에 있어서, 즉 상기 식 (1) 중의 R2가 탄소 원자수 6 이상(예를 들어 7 이상, 전형적으로는 8)의 알킬기인 단량체를 이용하는 경우, 상기 단량체 원료는 유리 전이 온도(Tg)의 조정이나 응집력 향상을 위해서 상기 식 (1) 중의 R2가 C1-5의 알킬기인 알킬(메트)아크릴레이트를 더 함유하여도 된다. 이러한 알킬(메트)아크릴레이트로서 예를 들어 메틸(메트)아크릴레이트, 에틸(메트)아크릴레이트, 프로필(메트)아크릴레이트, 이소프로필(메트)아크릴레이트, 부틸(메트)아크릴레이트, 이소부틸(메트)아크릴레이트, s-부틸(메트)아크릴레이트, t-부틸(메트)아크릴레이트, 펜틸(메트)아크릴레이트, 이소펜틸(메트)아크릴레이트 등을 들 수 있다. 이들은 1종을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이용할 수 있다.In this embodiment, when a monomer in which R 2 in the formula (1) is an alkyl group having 6 or more carbon atoms (for example, 7 or more, typically 8) is used, the monomer raw material has a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Tg) (Meth) acrylate in which R 2 in the formula (1) is an alkyl group of C 1-5 , for the purpose of adjustment or cohesion. Examples of such alkyl (meth) acrylates include methyl (meth) acrylate, ethyl (meth) acrylate, propyl (meth) acrylate, isopropyl (meth) acrylate, butyl (meth) acrylate, isobutyl (Meth) acrylate, isobutyl (meth) acrylate, isobutyl (meth) acrylate, isobutyl (meth) acrylate and the like. These may be used singly or in combination of two or more.

상기 식 (1)로 표시되는 알킬(메트)아크릴레이트 중, R2가 탄소 원자수 6 이상의 알킬기인 단량체의 비율은 예를 들어 50질량%를 초과하는 비율로 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60질량%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70질량% 이상이다. 얻어지는 점착제의 소수성을 향상시키고, 약액 침입 방지성(전형적으로는 주로 점착제가 수계의 약액으로 팽윤하는 것에 기인하는 약액 침입을 방지하는 성능)을 높이는 관점에서, 상기 비율이 80질량% 이상(예를 들어 90질량% 이상, 전형적으로는 95질량% 이상)이어도 된다. 알킬(메트)아크릴레이트로서 R2가 탄소 원자수 6 이상의 알킬기인 단량체만을 이용하여도 된다. 따라서, 상기 식 (1)로 표시되는 알킬(메트)아크릴레이트 중, 탄소 원자수 1 내지 5의 알킬기를 갖는 알킬(메트)아크릴레이트의 비율은 20질량% 이하(예를 들어 10질량% 이하, 전형적으로는 5질량%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는 R2가 C1-5의 알킬기인 알킬(메트)아크릴레이트를 이용하지 않는 조성이어도 된다.Among the alkyl (meth) acrylates represented by the above formula (1), the proportion of monomers in which R 2 is an alkyl group having 6 or more carbon atoms can be, for example, in a proportion exceeding 50 mass%, preferably 60 mass % Or more, and more preferably 70 mass% or more. From the viewpoint of enhancing the hydrophobicity of the obtained pressure-sensitive adhesive and enhancing the ability of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to penetrate (typically, the ability to prevent the penetration of a chemical liquid mainly due to the swelling of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in the aqueous medium) 90 mass% or more, typically 95 mass% or more). As the alkyl (meth) acrylate, only monomers in which R 2 is an alkyl group having 6 or more carbon atoms may be used. Accordingly, the proportion of the alkyl (meth) acrylate having an alkyl group of 1 to 5 carbon atoms in the alkyl (meth) acrylate represented by the above formula (1) is 20 mass% or less (for example, 10 mass% And typically not more than 5% by mass). Or an alkyl (meth) acrylate in which R 2 is an alkyl group of C 1-5 .

상기 아크릴계 중합체를 합성하기 위해서 이용되는 단량체 원료는 알킬(메트)아크릴레이트(이하, 단량체 A라고도 함) 외에 알킬(메트)아크릴레이트 이외의 화합물이며 알킬(메트)아크릴레이트와 공중합 가능한 공단량체(이하, 단량체 B라고도 함)를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이러한 공단량체는 밀착성, 비오염성(점착제 잔류 방지성), 경박리성, 내열성 등의 제 성질의 향상을 목적으로 하여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단량체 B는 단량체에 한정되지 않고, 단량체 A와 공중합 가능한 올리고머이어도 된다.The monomer raw material used for synthesizing the acrylic polymer may be a comonomer copolymerizable with alkyl (meth) acrylate other than alkyl (meth) acrylate (hereinafter also referred to as monomer A) , Or monomer B). Such a comonomer can be used for the purpose of improving properties such as adhesion, non-staining (adhesive residual property), light fastness, heat resistance and the like. The monomer B is not limited to a monomer but may be an oligomer copolymerizable with the monomer A.

상기 단량체 B의 예로서는 관능기를 갖는 단량체(이하, 관능기 함유 단량체라고도 함)를 들 수 있다. 이러한 관능기 함유 단량체는 아크릴계 중합체에 가교점을 도입하고, 아크릴계 중합체의 응집력을 높이는 목적에서 첨가될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관능기 함유 단량체로서는Examples of the monomer B include a monomer having a functional group (hereinafter, also referred to as a functional group-containing monomer). These functional group-containing monomers can be added for the purpose of introducing crosslinking points into the acrylic polymer and enhancing cohesion of the acrylic polymer. As such a functional group-containing monomer,

예를 들어 아크릴산, 메타크릴산, 크로톤산, 카르복시에틸(메트)아크릴레이트, 카르복시펜틸(메트)아크릴레이트 등의 에틸렌성 불포화 모노카르복실산, 이타콘산, 말레산, 푸마르산, 시트라콘산 등의 에틸렌성 불포화 디카르복실산 등의 카르복실기 함유 단량체;For example, ethylenically unsaturated monocarboxylic acids such as acrylic acid, methacrylic acid, crotonic acid, carboxyethyl (meth) acrylate and carboxypentyl (meth) acrylate, itaconic acid, maleic acid, fumaric acid and citraconic acid Carboxyl group-containing monomers such as ethylenically unsaturated dicarboxylic acid;

예를 들어 무수 말레산, 무수 이타콘산 등의 상기 에틸렌성 불포화 디카르복실산 등의 산 무수물 등의 산 무수물기 함유 단량체;Acid anhydride group-containing monomers such as acid anhydrides such as ethylenically unsaturated dicarboxylic acids such as maleic anhydride and itaconic anhydride;

예를 들어 2-히드록시에틸(메트)아크릴레이트, 2-히드록시프로필(메트)아크릴레이트, 3-히드록시프로필(메트)아크릴레이트, 2-히드록시부틸(메트)아크릴레이트, 4-히드록시부틸(메트)아크릴레이트, 6-히드록시헥실(메트)아크릴레이트, 8-히드록시옥틸(메트)아크릴레이트, 10-히드록시데실(메트)아크릴레이트, 12-히드록시라우릴(메트)아크릴레이트, (4-히드록시메틸시클로헥실)메틸(메트)아크릴레이트 등의 히드록시알킬(메트)아크릴레이트류, N-메틸올(메트)아크릴아미드, 비닐알코올, 알릴알코올, 2-히드록시에틸비닐에테르, 4-히드록시부틸비닐에테르, 디에틸렌글리콜모노비닐에테르 등의 불포화 알코올류 등의 히드록실기(수산기) 함유 단량체;(Meth) acrylate, 2-hydroxypropyl (meth) acrylate, 3-hydroxypropyl (meth) acrylate, 2-hydroxybutyl Hydroxyethyl (meth) acrylate, 10-hydroxydecyl (meth) acrylate, 12-hydroxylauryl (meth) acrylate, (Meth) acrylates such as N-methylol (meth) acrylate, vinyl alcohol, allyl alcohol, 2-hydroxy (meth) Hydroxyl group-containing monomers such as unsaturated alcohols such as ethyl vinyl ether, 4-hydroxybutyl vinyl ether and diethylene glycol monovinyl ether;

이하에 설명하는 아미드기 함유 단량체, 아미노기 함유 단량체 및 시아노기 함유 단량체 등의, 질소 원자를 관능기 중에 포함하는 관능기 함유 단량체, 즉The functional group-containing monomers containing a nitrogen atom in the functional group, such as the amide group-containing monomer, the amino group-containing monomer and the cyano group-containing monomer,

예를 들어 (메트)아크릴아미드, N,N-디메틸(메트)아크릴아미드, N-부틸(메트)아크릴아미드, N-메틸올(메트)아크릴아미드, N-메틸올프로판(메트)아크릴아미드, N-메톡시메틸(메트)아크릴아미드, N-부톡시메틸(메트)아크릴아미드 등의 아미드기 함유 단량체;(Meth) acrylamide, N-methylol (meth) acrylamide, N-methylol (meth) acrylamide, Amide group-containing monomers such as N-methoxymethyl (meth) acrylamide and N-butoxymethyl (meth) acrylamide;

예를 들어 아미노에틸(메트)아크릴레이트, N,N-디메틸아미노에틸(메트)아크릴레이트, t-부틸아미노에틸(메트)아크릴레이트 등의 아미노기 함유 단량체;Amino group-containing monomers such as aminoethyl (meth) acrylate, N, N-dimethylaminoethyl (meth) acrylate and t-butylaminoethyl (meth) acrylate;

예를 들어 아크릴로니트릴, 메타크릴로니트릴 등의 시아노기 함유 단량체;For example, cyano group-containing monomers such as acrylonitrile and methacrylonitrile;

예를 들어 스티렌술폰산, 알릴술폰산, 2-(메트)아크릴아미드-2-메틸프로판술폰산, (메트)아크릴아미드프로판술폰산, 술포프로필(메트)아크릴레이트, (메트)아크릴로일옥시나프탈렌술폰산 등의 술폰산기 함유 단량체;(Meth) acrylamido-2-methylpropanesulfonic acid, (meth) acrylamidopropanesulfonic acid, sulfopropyl (meth) acrylate, and (meth) acryloyloxynaphthalenesulfonic acid. Sulfonic acid group-containing monomers;

예를 들어 2-히드록시에틸아크릴로일포스페이트 등의 인산기 함유 단량체;For example, a phosphoric acid group-containing monomer such as 2-hydroxyethyl acryloyl phosphate;

예를 들어 글리시딜(메트)아크릴레이트, 메틸글리시딜(메트)아크릴레이트, 알릴글리시딜에테르 등의 에폭시기(글리시딜기) 함유 단량체;For example, an epoxy group (glycidyl group) -containing monomer such as glycidyl (meth) acrylate, methyl glycidyl (meth) acrylate, and allyl glycidyl ether;

예를 들어 디아세톤(메트)아크릴아미드, 디아세톤(메트)아크릴레이트, 비닐메틸케톤, 비닐에틸케톤, 알릴아세토아세테이트, 비닐아세토아세테이트 등의 케토기 함유 단량체;Examples thereof include keto-containing monomers such as diacetone (meth) acrylamide, diacetone (meth) acrylate, vinyl methyl ketone, vinyl ethyl ketone, allyl acetoacetate and vinyl acetoacetate;

예를 들어 2-(메트)아크릴로일옥시에틸이소시아네이트 등의 이소시아네이트기 함유 단량체;Isocyanate group-containing monomers such as, for example, 2- (meth) acryloyloxyethyl isocyanate;

예를 들어 메톡시에틸(메트)아크릴레이트, 에톡시에틸(메트)아크릴레이트 등의 알콕시기 함유 단량체;For example, alkoxy group-containing monomers such as methoxyethyl (meth) acrylate and ethoxyethyl (meth) acrylate;

예를 들어 3-(메트)아크릴옥시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3-(메트)아크릴옥시프로필트리에톡시실란, 3-(메트)아크릴옥시프로필메틸디메톡시실란, 3-(메트)아크릴옥시프로필메틸디에톡시실란 등의 알콕시실릴기 함유 단량체;(Meth) acryloxypropyltrimethoxysilane, 3- (meth) acryloxypropyltriethoxysilane, 3- (meth) acryloxypropylmethyldimethoxysilane, 3- (meth) acryloxypropyltrimethoxysilane, Alkoxysilyl group-containing monomers such as methyldiethoxysilane;

를 들 수 있다. 이들은 1종을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이용할 수 있다. 그 중에서도 아크릴계 중합체에 가교점을 적절하게 도입할 수 있고, 또한 아크릴계 중합체의 응집력을 보다 높일 수 있는 점으로부터 카르복실기, 히드록실기, 에폭시기 등의 관능기 함유 단량체가 바람직하다. 카르복실기 함유 단량체 또는 히드록실기 함유 단량체가 보다 바람직하다. 카르복실기 함유 단량체가 특히 바람직하다.. These may be used singly or in combination of two or more. Among them, functional group-containing monomers such as a carboxyl group, a hydroxyl group and an epoxy group are preferable from the viewpoint that a crosslinking point can be appropriately introduced into the acrylic polymer and the cohesive force of the acrylic polymer can be further increased. More preferred are a carboxyl group-containing monomer or a hydroxyl group-containing monomer. Particularly preferred are carboxyl group-containing monomers.

본 명세서에 개시되는 기술에 있어서의 단량체 원료는 아크릴계 중합체의 Tg 조정이나 응집력 향상 등의 목적으로 단량체 B로서 상기 관능기 함유 단량체 이외의 단량체를 포함하여도 된다. 이러한 단량체로서는 예를 들어 아세트산비닐, 프로피온산비닐, 부티르산비닐, 피발산비닐, 시클로헥산카르복실산비닐, 벤조산비닐 등의 카르복실산비닐에스테르;The monomer raw material in the techniques disclosed in this specification may contain monomers other than the functional group-containing monomers as the monomer B for the purpose of adjusting the Tg of the acrylic polymer or improving cohesion. Examples of such monomers include carboxylic acid vinyl esters such as vinyl acetate, vinyl propionate, vinyl butyrate, vinyl pivalate, vinyl cyclohexanecarboxylate and vinyl benzoate;

예를 들어 스티렌, 치환 스티렌(α-메틸스티렌 등), 비닐톨루엔 등의 방향족 비닐 화합물;Aromatic vinyl compounds such as styrene, substituted styrene (? -Methylstyrene and the like) and vinyltoluene;

예를 들어 아릴(메트)아크릴레이트(예를 들어 페닐(메트)아크릴레이트), 아릴옥시알킬(메트)아크릴레이트(예를 들어 페녹시에틸(메트)아크릴레이트), 아릴알킬(메트)아크릴레이트(예를 들어 벤질(메트)아크릴레이트) 등의 방향족성 환 함유 (메트)아크릴레이트;(Meth) acrylates, such as aryl (meth) acrylates (e.g., phenyl (meth) acrylate), aryloxyalkyl (meth) (Meth) acrylate); aromatic ring-containing (meth) acrylates such as benzyl (meth) acrylate;

예를 들어 N-비닐-2-피롤리돈, N-메틸비닐피롤리돈, N-비닐피리딘, N-비닐피페리돈, N-비닐피리미딘, N-비닐피페라진, N-비닐피라진, N-비닐피롤, N-비닐이미다졸, N-비닐옥사졸, N-비닐모르폴린, N-비닐카프로락탐, N-(메트)아크릴로일모르폴린 등의 질소 원자 함유 환을 갖는 단량체;Vinyl pyrrolidone, N-vinylpyridine, N-vinylpiperidone, N-vinylpyrimidine, N-vinylpiperazine, N-vinylpyrazine, N Monomers having nitrogen atom-containing rings such as vinylpyrrole, N-vinylimidazole, N-vinyloxazole, N-vinylmorpholine, N-vinylcaprolactam and N- (meth) acryloylmorpholine;

예를 들어 에틸렌, 프로필렌, 이소프렌, 부타디엔, 이소부틸렌 등의 올레핀계 단량체;For example, olefinic monomers such as ethylene, propylene, isoprene, butadiene and isobutylene;

예를 들어 염화비닐, 염화비닐리덴 등의 염소 함유 단량체;Chlorine-containing monomers such as vinyl chloride and vinylidene chloride;

예를 들어 메틸비닐에테르, 에틸비닐에테르 등의 비닐에테르계 단량체;Vinyl ether monomers such as methyl vinyl ether and ethyl vinyl ether;

예를 들어 시클로펜틸(메트)아크릴레이트, 시클로헥실(메트)아크릴레이트, 이소보르닐(메트)아크릴레이트 등의 시클로알킬(메트)아크릴레이트;를 들 수 있다. 이들은 1종을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이용할 수 있다.(Meth) acrylates such as cyclopentyl (meth) acrylate, cyclohexyl (meth) acrylate, isobornyl (meth) acrylate and the like. These may be used singly or in combination of two or more.

상기 단량체 원료는 또한 단량체 B로서 가교 등을 목적으로 하여 다관능성 단량체 등의 공단량체를 필요에 따라 포함하여도 된다. 이러한 다관능성 단량체로서는 예를 들어 헥산디올디(메트)아크릴레이트, 에틸렌글리콜디(메트)아크릴레이트, 프로필렌글리콜디(메트)아크릴레이트, 폴리에틸렌글리콜디(메트)아크릴레이트, 폴리프로필렌글리콜디(메트)아크릴레이트, 네오펜틸글리콜디(메트)아크릴레이트, 펜타에리트리톨디(메트)아크릴레이트, 트리메틸올프로판트리(메트)아크릴레이트, 펜타에리트리톨트리(메트)아크릴레이트, 디펜타에리트리톨헥사(메트)아크릴레이트 등을 들 수 있다. 이들은 1종을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이용할 수 있다.The monomer raw material may further contain a comonomer such as a polyfunctional monomer for crosslinking or the like as monomer B, if necessary. Examples of such a polyfunctional monomer include hexanediol di (meth) acrylate, ethylene glycol di (meth) acrylate, propylene glycol di (meth) acrylate, polyethylene glycol di (meth) acrylate, polypropylene glycol di Acrylate, pentaerythritol tri (meth) acrylate, pentaerythritol tri (meth) acrylate, pentaerythritol tri (meth) acrylate, Methacrylate, and the like. These may be used singly or in combination of two or more.

이러한 아크릴계 단량체(1분자 중에 적어도 하나의 (메트)아크릴로일기를 갖는 단량체)의 총량은 예를 들어 아크릴계 중합체를 구성하는 전체 단량체 원료의 30질량% 이상일 수 있다. 피착체에 대한 밀착성 등의 관점에서 통상은 아크릴계 단량체의 총량이 아크릴계 중합체를 구성하는 전체 단량체 원료의 40질량%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50질량% 이상(예를 들어 50질량% 초과)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일 형태에 있어서, 아크릴계 단량체의 총량은 아크릴계 중합체를 구성하는 전체 단량체 원료의 70질량% 이상(바람직하게는 80질량%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90질량% 이상, 예를 들어 95질량% 이상, 나아가서는 99질량% 이상)이어도 되고, 아크릴계 단량체만을 포함하는 단량체 원료이어도 된다.The total amount of such acrylic monomers (monomers having at least one (meth) acryloyl group in one molecule) may be, for example, 30 mass% or more of the total monomer raw materials constituting the acrylic polymer. The total amount of the acrylic monomers is preferably 40% by mass or more, more preferably 50% by mass or more (for example, 50% by mass or more) of the total monomer raw materials constituting the acrylic polymer from the viewpoints of adhesion to the adherend Do. In one form, the total amount of the acrylic monomers is preferably at least 70 mass% (preferably at least 80 mass%, more preferably at least 90 mass%, such as at least 95 mass%, more preferably at least 95 mass%) of the entire monomer raw material constituting the acrylic polymer May be 99 mass% or more), or may be a monomer raw material containing only an acrylic monomer.

상기 아크릴계 중합체는 또한 아크릴계 단량체와 아크릴계 단량체 이외의 단량체의 공중합체일 수 있다. 이 경우, 아크릴계 단량체 이외의 단량체의 공중합 비율은 예를 들어 1 내지 70질량%로 할 수 있고, 통상은 1 내지 60질량%가 적당하고, 5 내지 50질량%가 바람직하고, 10 내지 50질량%가 보다 바람직하다. 바람직한 일 형태에 있어서, 아크릴계 단량체 이외의 단량체의 공중합 비율은 20 내지 50질량%(예를 들어 30질량% 이상 50질량% 미만)일 수 있다.The acrylic polymer may also be a copolymer of an acrylic monomer and a monomer other than an acrylic monomer. In this case, the copolymerization ratio of the monomers other than the acrylic monomers may be, for example, 1 to 70 mass%, usually 1 to 60 mass%, preferably 5 to 50 mass%, and preferably 10 to 50 mass% Is more preferable. In a preferred form, the copolymerization ratio of the monomers other than the acrylic monomer may be 20 to 50 mass% (for example, 30 mass% or more and less than 50 mass%).

아크릴계 중합체를 구성하는 단량체로서 전술한 바와 같은 관능기 함유 단량체를 이용하는 경우, 밀착성과 박리 작업성을 고도로 양립시키는 관점에서, 알킬(메트)아크릴레이트(바람직하게는 상기 식 (1)에 있어서의 R2가 C4-10의 알킬기인 알킬(메트)아크릴레이트) 100질량부에 대하여 관능기 함유 단량체(바람직하게는 카르복실기 함유 단량체)를 1질량부 내지 10질량부(예를 들어 2질량부 내지 8질량부, 전형적으로는 3질량부 내지 7질량부) 포함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적당량의 카르복실기 함유 단량체의 사용에 의해, 피착체(특히 유리 그 외의 극성 재료를 포함하는 표면을 구비한 피착체)에 대한 밀착성이 향상되고, 점착제와 피착체의 계면으로부터의 약액 침입을 보다 잘 방지할 수 있다.When the above-mentioned functional group-containing monomer is used as the monomer constituting the acrylic polymer, it is preferable to use an alkyl (meth) acrylate (preferably, R 2 in the formula (1) functional group-containing monomer based on 100 parts by mass of an alkyl group of C 4-10 alkyl (meth) acrylate) (preferably a carboxyl group-containing monomer) to 1 part by mass to 10 parts by mass (for example, 2 parts by mass to 8 parts by weight , Typically 3 parts by mass to 7 parts by mass). For example, the use of an appropriate amount of a carboxyl group-containing monomer improves the adhesion to an adherend (particularly an adherend having a surface including a glass or other polar material) and prevents the penetration of a drug solution from the interface between the adherend and the adherend Can be prevented more effectively.

아크릴계 중합체를 구성하는 단량체로서 상기 관능기 함유 단량체 이외의 단량체를 이용하는 경우, 밀착성과 박리 작업성을 고도로 양립시키는 관점에서, 알킬(메트)아크릴레이트(바람직하게는 상기 식 (1)에 있어서의 R2가 C4-10의 알킬기인 알킬(메트)아크릴레이트) 100질량부에 대하여 상기 관능기 함유 단량체 이외의 단량체(바람직하게는 아세트산비닐 등의 카르복실산비닐에스테르)를 1질량부 내지 100질량부(예를 들어 2질량부 내지 90질량부, 전형적으로는 5질량부 내지 85질량부) 포함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When monomers other than the above-mentioned functional group-containing monomer are used as the monomers constituting the acrylic polymer, alkyl (meth) acrylates (preferably, R 2 in the formula (1) (Preferably an alkyl (meth) acrylate wherein the alkyl group is a C 4-10 alkyl group) in an amount of 1 part by mass to 100 parts by mass For example, 2 parts by mass to 90 parts by mass, typically 5 parts by mass to 85 parts by mass).

아크릴계 중합체를 구성하는 단량체로서 전술한 다관능성 단량체를 이용하는 경우, 밀착성과 박리 작업성을 고도로 양립시키는 관점에서, 알킬(메트)아크릴레이트(바람직하게는 상기 식 (1)에 있어서의 R2가 C4-10의 알킬기인 알킬(메트)아크릴레이트) 100질량부에 대하여 상기 다관능성 단량체를 30질량부 이하(예를 들어 20질량부 이하, 전형적으로는 1질량부 내지 10질량부) 포함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When the above-mentioned polyfunctional monomer is used as a monomer constituting the acrylic polymer, it is preferable to use an alkyl (meth) acrylate (preferably, R 2 in the formula (1) is a C alkyl group of the alkyl (meth) acrylates of 4 to 10) or less with respect to 100 parts by mass 30 parts by mass of the polyfunctional monomer (for example, 20 parts by mass or less, which is typically a unit comprising 1 to 10 parts by weight by weight) desirable.

본 명세서에 개시되는 기술의 바람직한 일 형태에 있어서, 상기 아크릴계 중합체는 그 단량체 조성에 알킬(메트)아크릴레이트 및 카르복실산비닐에스테르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이러한 아크릴계 중합체는 전형적으로는 알킬(메트)아크릴레이트와 카르복실산비닐에스테르를 포함하는 단량체 원료를 중합(전형적으로는 용액 중합)함으로써 얻어진다. 카르복실산비닐에스테르의 사용은 피착체(예를 들어 유리 기판)와의 밀착성의 향상을 통하여 점착제와 피착체의 계면으로부터의 약액 침입의 방지에 기여할 수 있다.In one preferred form of the techniques disclosed herein, the acrylic polymer may comprise an alkyl (meth) acrylate and a carboxylic acid vinyl ester in its monomer composition. Such an acrylic polymer is typically obtained by polymerizing (typically, solution polymerization) a monomer raw material comprising an alkyl (meth) acrylate and a carboxylic acid vinyl ester. The use of the carboxylic acid vinyl ester can contribute to prevention of the penetration of the chemical liquid from the interface between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and the adherend by improving the adhesion with the adherend (for example, a glass substrate).

카르복실산비닐에스테르로서는 예를 들어 아세트산비닐, 프로피온산비닐, 부티르산비닐, 피발산비닐, 시클로헥산카르복실산비닐, 벤조산비닐 등을 들 수 있다. 이들은 1종을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이용할 수 있다. 그 중에서도 저속 박리 강도를 향상시키는 관점에서 아세트산비닐, 프로피온산비닐, 부티르산비닐 등의 단독 중합체의 유리 전이 온도(Tg)가 -20℃보다도 높은(예를 들어 -20℃보다 높고 80℃ 이하인) 카르복실산비닐에스테르가 바람직하다. 특히 바람직한 카르복실산비닐에스테르로서 아세트산비닐을 들 수 있다.Examples of the carboxylic acid vinyl ester include vinyl acetate, vinyl propionate, vinyl butyrate, vinyl pivalate, vinyl cyclohexanecarboxylate, vinyl benzoate and the like. These may be used singly or in combination of two or more. Among them, from the viewpoint of improving low-speed peel strength, a homopolymer such as vinyl acetate, vinyl propionate or vinyl butyrate has a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Tg) higher than -20 ° C (for example, higher than -20 ° C and lower than or equal to 80 ° C) Acid vinyl esters are preferred. Particularly preferred carboxylic acid vinyl esters include vinyl acetate.

상기 단량체 원료에 있어서의 카르복실산비닐에스테르의 함유 비율(2종 이상의 카르복실산비닐에스테르를 포함하는 경우에는 그들의 합계 비율)은 예를 들어 1 내지 60질량%로 할 수 있고, 5 내지 50질량%가 바람직하고, 10 내지 50질량%가 보다 바람직하다. 바람직한 일 형태에 있어서, 카르복실산비닐에스테르의 함유 비율은 20 내지 50질량%(예를 들어 30질량% 이상 50질량% 미만)일 수 있다.The content ratio of the carboxylic acid vinyl ester in the monomer raw material (when the two or more kinds of carboxylic acid vinyl esters are included, the total content thereof) may be, for example, 1 to 60% by mass, and preferably 5 to 50% %, More preferably from 10 to 50 mass%. In a preferred form, the content ratio of the carboxylic acid vinyl ester may be 20 to 50 mass% (for example, 30 mass% or more and less than 50 mass%).

본 명세서에 개시되는 기술은 아크릴계 중합체를 구성하는 단량체 원료가 아크릴계 단량체로서 알킬(메트)아크릴레이트 및 카르복실기 함유 단량체만을 포함하는 조성인 형태로 바람직하게 실시될 수 있다. 이러한 형태의 일 적합예로서 아크릴계 단량체로서 알킬(메트)아크릴레이트 및 카르복실기 함유 단량체만을 포함하고, 아크릴계 단량체 이외의 단량체로서 카르복실산비닐에스테르(예를 들어 아세트산비닐)를 포함하는 형태를 들 수 있다. 이 경우, 알킬(메트)아크릴레이트 100질량부에 대하여 카르복실산비닐에스테르를 15 내지 100질량부(예를 들어 30 내지 95질량부, 전형적으로는 50 내지 90질량부) 정도 포함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technique disclosed in this specification can be preferably implemented in a form in which the monomer raw material constituting the acrylic polymer is a composition containing only an alkyl (meth) acrylate and a carboxyl group-containing monomer as acrylic monomers. One suitable example of this type is a form containing only an alkyl (meth) acrylate and a carboxyl group-containing monomer as an acrylic monomer and a vinyl carboxylate ester (for example, vinyl acetate) as a monomer other than an acrylic monomer . In this case, it is preferable to include about 15 to 100 parts by mass (for example, 30 to 95 parts by mass, typically 50 to 90 parts by mass) of the carboxylic acid vinyl ester with respect to 100 parts by mass of the alkyl (meth) acrylate .

특별히 한정하는 것은 아니지만, 아크릴계 중합체의 공중합 조성은 상기 아크릴계 중합체의 Tg가 -70℃ 내지 -20℃의 범위가 되도록 설정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약액 침입 방지성과 박리 작업성을 보다 고도로 양립시키는 관점에서, 아크릴계 중합체의 Tg가 -60℃ 내지 -20℃(더욱 바람직하게는 -50℃ 내지 -20℃, 예를 들어 -40℃ 내지 -20℃)가 되도록 설정되어 있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아크릴계 중합체의 Tg가 너무 높지 않은 것에 의해, 피착체 표면에 대한 양호한 밀착성이 발휘되고, 점착제와 피착체의 계면으로부터의 약액 침입을 효과적으로 저지할 수 있다. 또한, 아크릴계 중합체의 Tg가 너무 낮지 않은 것도 또한 약액 침입(전형적으로는 주로 점착제가 약액으로 팽윤하는 것에 기인하는 약액 침입)의 방지에 기여할 수 있다.Although not particularly limited, the copolymer composition of the acrylic polymer is preferably set so that the Tg of the acrylic polymer is in the range of -70 占 폚 to -20 占 폚. The Tg of the acrylic polymer is preferably from -60 deg. C to -20 deg. C (more preferably, from -50 deg. C to -20 deg. C, for example, from -40 deg. C to -20 deg. C ) Is more preferable. When the Tg of the acrylic polymer is not too high, good adhesion to the surface of the adherend is exhibited, and the penetration of the drug solution from the interface between the pressure sensitive adhesive and the adherend can be effectively prevented. In addition, the Tg of the acrylic polymer not too low also contributes to prevention of the penetration of the liquid medicament (typically, the penetration of the liquid medicament mainly due to the swelling of the pressure sensitive adhesive by the liquid medicament).

여기서, 아크릴계 중합체의 Tg란 상기 중합체를 구성하는 각 단량체의 단독중합체(호모폴리머)의 Tg 및 상기 단량체의 질량 분율(질량 기준의 공중합 비율)에 기초하여 폭스(Fox)의 식으로부터 구해지는 값을 말한다. 따라서, 아크릴계 중합체의 Tg는 단량체 원료의 조성(즉, 상기 중합체의 합성에 사용하는 단량체의 종류나 사용량비)을 적절히 바꿈으로써 조정할 수 있다. 단독 중합체의 Tg로서는 공지 자료에 기재된 값을 채택하는 것으로 한다.Here, the Tg of the acrylic polymer is a value obtained from the Fox equation based on the Tg of the homopolymer (homopolymer) of each monomer constituting the polymer and the mass fraction (copolymerization ratio on the mass basis) of the monomer It says. Therefore, the Tg of the acrylic polymer can be adjusted by appropriately changing the composition of the monomer raw material (that is, the ratio of the type and amount of the monomer used for synthesizing the polymer). As the Tg of the homopolymer, the values described in the known data shall be adopted.

본 명세서에 개시되는 기술에서는 상기 단독 중합체의 Tg로서 구체적으로는 이하의 값을 이용하는 것으로 한다.In the techniques disclosed in this specification, the following values are specifically used as the Tg of the homopolymer.

2-에틸헥실아크릴레이트 -70℃2-ethylhexyl acrylate-70 &lt; 0 &gt; C

n-부틸아크릴레이트 -55℃n-Butyl acrylate -55 占 폚

에틸아크릴레이트 -22℃Ethyl acrylate -22 ° C

메틸아크릴레이트 8℃Methyl acrylate 8 ° C

메틸메타크릴레이트 105℃Methyl methacrylate 105 ° C

시클로헥실메타크릴레이트 66℃Cyclohexyl methacrylate 66 ° C

아세트산비닐 32℃Vinyl acetate 32 ° C

2-히드록시에틸아크릴레이트 -15℃2-hydroxyethyl acrylate-15 C

스티렌 100℃Styrene 100 ℃

염화비닐 82℃Vinyl chloride 82 ° C

아크릴산 106℃Acrylic acid 106 ° C

메타크릴산 228℃Methacrylic acid 228 ° C

상기에서 예시한 것 이외의 단독 중합체의 Tg에 대해서는 「Polymer Handbook」(제3판, John Wiley & Sons, Inc, 1989년)에 기재된 수치를 이용하는 것으로 한다.For the Tg of the homopolymer other than those exemplified above, the numerical values described in "Polymer Handbook" (3rd edition, John Wiley & Sons, Inc., 1989) are used.

「Polymer Handbook」(제3판, John Wiley & Sons, Inc, 1989년)에도 기재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이하의 측정 방법에 의해 얻어지는 값을 이용하는 것으로 한다(일본 특허 출원 공개 제2007-51271호 공보 참조).In the case where it is not described in "Polymer Handbook" (3rd edition, John Wiley & Sons, Inc, 1989), the value obtained by the following measuring method is used (see Japanese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2007-51271 ).

구체적으로는 온도계, 교반기, 질소 도입관 및 환류 냉각관을 구비한 반응기에 단량체 100질량부, 아조비스이소부티로니트릴 0.2질량부 및 중합 용매로서 아세트산에틸 200질량부를 투입하고, 질소 가스를 유통시키면서 1시간 교반한다. 이와 같이 하여 중합계 내의 산소를 제거한 후, 63℃로 승온하여 10시간 반응시킨다. 계속해서, 실온까지 냉각하고, 고형분 농도 33중량%의 단독 중합체 용액을 얻는다. 계속해서, 이 단독 중합체 용액을 박리 라이너 상에 유연 도포하고, 건조하여 두께 약 2mm의 시험 샘플(시트 형상의 단독 중합체)을 제작한다. 이 시험 샘플을 직경 7.9mm의 원반 형상으로 펀칭하고, 패러렐 플레이트 사이에 끼워 넣고, 점탄성 시험기(ARES, 레오메트릭스사제)를 이용하여 주파수 1Hz의 전단 왜곡을 부여하면서 온도 영역 -70 내지 150℃, 5℃/분의 승온 속도로 전단 모드에 의해 점탄성을 측정하고, tanδ의 피크 톱 온도를 단독 중합체의 Tg로 한다.Specifically, 100 parts by mass of a monomer, 0.2 parts by mass of azobisisobutyronitrile and 200 parts by mass of ethyl acetate as a polymerization solvent were fed into a reactor equipped with a thermometer, a stirrer, a nitrogen inlet tube and a reflux condenser, Stir for 1 hour. After the oxygen in the polymerization system was removed in this way, the temperature was raised to 63 캜 and the reaction was carried out for 10 hours. Subsequently, the solution was cooled to room temperature to obtain a homopolymer solution having a solid concentration of 33% by weight. Subsequently, this homopolymer solution is coated on the release liner in a flexible manner and dried to produce a test sample (sheet-like homopolymer) having a thickness of about 2 mm. This test sample was punched into a disc shape having a diameter of 7.9 mm, sandwiched between parallel plates, and subjected to shear strain at a frequency of 1 Hz using a viscoelasticity tester (ARES, manufactured by Rheometrics Co.) The viscoelasticity is measured by a shearing mode at a heating rate of 占 폚 / minute, and the peak top temperature of tan? Is defined as Tg of the homopolymer.

상기 단량체 또는 그 혼합물(단량체 원료)을 중합하는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종래 공지의 일반적인 중합 방법을 채택할 수 있다. 이러한 중합 방법으로서는 예를 들어 용액 중합, 에멀전 중합, 괴상 중합, 현탁 중합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내수성 및 약액 침입 방지성이 우수하다는 이유로부터 용액 중합이 바람직하다. 중합의 형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종래 공지의 단량체 공급 방법, 중합 조건(온도, 시간, 압력 등), 단량체 이외의 사용 성분(중합 개시제, 중합 용매 등)을 적절히 선택하여 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량체 공급 방법으로서는 전체 단량체 혼합물을 한번에 반응 용기에 공급(일괄 공급)하여도 되고, 서서히 적하하여 공급(연속 공급)하여도 되고, 수 회분으로 분할하여 소정 시간마다 각 분량을 공급(분할 공급)하여도 된다. 상기 단량체 또는 그 혼합물은 일부 또는 전부를 용매에 용해시킨 용액 또는 물에 유화시킨 분산액으로서 공급하여도 된다.The method of polymerizing the monomer or a mixture thereof (monomer raw material)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conventionally known general polymerization methods can be adopted. Examples of such polymerization methods include solution polymerization, emulsion polymerization, bulk polymerization and suspension polymerization. Among them, solution polymerization is preferable because of its excellent water resistance and chemical solution penetration prevention property. The form of polymerization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can be carried out by appropriately selecting conventionally known monomer feeding methods, polymerization conditions (temperature, time, pressure, etc.), and components other than monomers (polymerization initiator, polymerization solvent and the like). For example, as the monomer supplying method, the entire monomer mixture may be supplied (batch supply) to the reaction vessel at a time, may be gradually supplied dropwise (continuous supply), divided into several batches, Supply). The monomer or a mixture thereof may be supplied as a solution in which a part or the whole is dissolved in a solvent or as a dispersion in which it is emulsified in water.

아크릴계 중합체의 중합 방법으로서 에멀전 중합을 채택하는 경우, 유화제(계면 활성제)로서는 일반적인 에멀전 중합용 유화제를 적절히 선택하여 이용할 수 있다. 통상은 음이온성 유화제 또는 비이온성 유화제(라디칼 중합성 관능기를 구비한 라디칼 중합성 유화제(반응성 유화제)이어도 됨)의 사용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유화제는 1종을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이용할 수 있다. 유화제의 사용량(고형분 기준)은 단량체 원료 100질량부에 대하여 예를 들어 대략 0.2질량부 내지 10질량부 정도(바람직하게는 대략 0.5질량부 내지 5질량부 정도)로 할 수 있다.When the emulsion polymerization is adopted as the polymerization method of the acrylic polymer, an emulsifier for general emulsion polymerization may be suitably selected and used as an emulsifier (surfactant). It is usually preferable to use an anionic emulsifier or a nonionic emulsifier (a radically polymerizable emulsifier having a radical polymerizable functional group (reactive emulsifier)). These emulsifiers may be used singly or in combination of two or more kinds. The amount of the emulsifier to be used (based on the solid content) may be, for example, about 0.2 to 10 parts by mass (preferably about 0.5 to 5 parts by mass) relative to 100 parts by mass of the monomer raw material.

아크릴계 중합체의 중합 방법으로서 용액 중합을 채택하는 경우, 중합 용매로서는 예를 들어 톨루엔, 크실렌 등의 방향족 화합물류(전형적으로는 방향족 탄화수소류); 아세트산에틸, 아세트산부틸 등의 아세트산에스테르류; 헥산, 시클로헥산, 메틸시클로헥산 등의 지방족 또는 지환식 탄화수소류; 1,2-디클로로에탄 등의 할로겐화 알칸류; 메틸에틸케톤, 아세틸아세톤 등의 케톤류; 등으로부터 선택되는 임의의 1종의 용매 또는 2종 이상의 혼합 용매를 이용할 수 있다.When solution polymerization is adopted as the polymerization method of the acrylic polymer, examples of the polymerization solvent include aromatic compounds (typically, aromatic hydrocarbons) such as toluene and xylene; Acetic acid esters such as ethyl acetate and butyl acetate; Aliphatic or alicyclic hydrocarbons such as hexane, cyclohexane, and methylcyclohexane; Halogenated alkanes such as 1,2-dichloroethane and 1,2-dichloroethane; Ketones such as methyl ethyl ketone and acetyl acetone; Or a mixed solvent of two or more kinds can be used.

중합 개시제로서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나, 예를 들어 아조계 개시제, 과산화물계 개시제, 치환 에탄계 개시제, 과산화물 등의 산화제와 환원제를 조합한 산화 환원계 개시제 등이 예시된다. 아조계 개시제로서는 2,2'-아조비스(2-아미디노프로판)디히드로클로라이드, 2,2'-아조비스[N-(2-카르복시에틸)-2-메틸프로피온아미딘]하이드레이트, 2,2'-아조비스이소부티로니트릴(AIBN), 2,2'-아조비스-2-메틸부티로니트릴(AMBN), 2,2'-아조비스(2-메틸프로피온아미딘)이황산염, 2,2'-아조비스[2-(5-메틸-2-이미다졸린-2-일)프로판]디히드로클로라이드, 2,2'-아조비스(N,N'-디메틸렌이소부틸아미딘)디히드로클로라이드가 예시된다. 과산화물계 개시제로서는 예를 들어 과황산칼륨, 과황산암모늄 등의 과황산염; 벤조일퍼옥시드(BPO), t-부틸히드로퍼옥시드, 과산화수소를 들 수 있다. 치환 에탄계 개시제로서는 예를 들어 페닐 치환 에탄이 예시된다. 산화 환원계 개시제로서는 예를 들어 과황산염과 아황산수소나트륨의 조합, 과산화물과 아스코르브산나트륨의 조합이 예시된다. 그 중에서도 약액 침입 방지성의 관점에서 아조계 개시제가 바람직하다.Examples of the polymerization initiator include, but are not limited to, an azo-based initiator, a peroxide-based initiator, a substituted ethane-based initiator, and a redox initiator in combination with an oxidizing agent such as peroxide and a reducing agent. Examples of the azo initiator include 2,2'-azobis (2-amidinopropane) dihydrochloride, 2,2'-azobis [N- (2-carboxyethyl) -2-methylpropionamidine] hydrate, Azobisisobutyronitrile (AIBN), 2,2'-azobis-2-methylbutyronitrile (AMBN), 2,2'-azobis (2-methylpropionamidine) , 2'-azobis [2- (5-methyl-2-imidazolin-2-yl) propane] dihydrochloride, 2,2'-azobis (N, N'-dimethyleneisobutylamidine) Dihydrochloride is exemplified. Examples of the peroxide initiator include persulfates such as potassium persulfate and ammonium persulfate; Benzoyl peroxide (BPO), t-butyl hydroperoxide, and hydrogen peroxide. As the substituted ethane-based initiator, for example, phenyl-substituted ethane is exemplified. Examples of the redox initiator include a combination of persulfate and sodium hydrogen sulfite, and a combination of peroxide and sodium ascorbate. Among them, an azo-based initiator is preferable from the viewpoint of preventing the penetration of a liquid medicament.

중합 개시제의 사용량은 중합 개시제의 종류나 단량체의 종류(단량체 혼합물의 조성) 등에 따라 적절히 선택할 수 있지만, 통상은 단량체 원료 100질량부에 대하여 예를 들어 0.005질량부 내지 1질량부 정도의 범위로부터 선택하는 것이 적당하다. 중합 개시제의 공급 방법으로서는 사용하는 중합 개시제의 실질적으로 전량을 단량체 혼합물의 공급 개시 전에 반응 용기에 넣어 두는 일괄 투입 방식, 연속 공급 방식, 분할 공급 방식 등의 모두가 채택 가능하다. 중합 조작의 용이성, 공정 관리의 용이성 등의 관점에서, 예를 들어 일괄 투입 방식을 바람직하게 채택할 수 있다. 중합 온도는 예를 들어 20℃ 내지 100℃(전형적으로는 40℃ 내지 90℃) 정도로 할 수 있다.The amount of the polymerization initiator to be used may be appropriately selected according to the kind of the polymerization initiator, the kind of the monomer (composition of the monomer mixture), and the like. Usually, the amount is selected from the range of about 0.005 mass part to 1 mass part per 100 mass parts of the monomer raw material . As the method of supplying the polymerization initiator, all of the batch injection method, the continuous feed method, the divided feed method, etc. in which substantially all of the polymerization initiator to be used is put into the reaction vessel before the supply of the monomer mixture is started can be adopted. From the standpoint of ease of polymerization operation, ease of process control, and the like, for example, a batch injection system can be preferably employed. The polymerization temperature may be, for example, about 20 캜 to 100 캜 (typically 40 캜 to 90 캜).

상기 중합에는 필요에 따라 종래 공지의 각종 연쇄 이동제(분자량 조절제 또는 중합도 조절제로서도 파악될 수 있음)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연쇄 이동제는 예를 들어 도데실머캅탄(도데칸티올), 글리시딜머캅탄, 2-머캅토에탄올, 머캅토아세트산, 티오글리콜산-2-에틸헥실, 2,3-디머캅토-1-프로판올 등의 머캅탄류로부터 선택되는 1종 또는 2종 이상일 수 있다. 연쇄 이동제를 사용하는 경우, 그 사용량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어 단량체 원료 100질량부에 대하여 대략 0.001질량부 내지 0.5질량부 정도로 할 수 있다. 또는, 연쇄 이동제를 사용하지 않아도 된다. 바람직한 일 형태로서, 연쇄 이동제를 사용하지 않는 용액 중합에 의해 단량체 원료를 중합시키는 형태를 들 수 있다.In the polymerization, various conventionally known chain transfer agents (which may also be regarded as molecular weight regulators or polymerization degree regulators) may be used, if necessary. Such chain transfer agents include, for example, dodecylmercaptan (dodecanethiol), glycidylmercaptan, 2-mercaptoethanol, mercaptoacetic acid, 2-ethylhexyl thioglycolate, 2,3- dimercapto- , And the like. When a chain transfer agent is used, the amount to be used is not particularly limited, but may be about 0.001 to 0.5 parts by mass based on 100 parts by mass of the monomer raw material. Alternatively, a chain transfer agent may not be used. As a preferred form, there is a form in which the monomer raw material is polymerized by solution polymerization without using a chain transfer agent.

아크릴계 중합체의 중량 평균 분자량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통상은 30×104 내지 150×104 정도가 적당하다. 중합 방법으로서 용액 중합을 이용하는 경우에는 용액 점도나 점착 성능 등의 관점에서 아크릴계 중합체의 중량 평균 분자량은 30×104 내지 70×104 정도가 적당하고, 40×104 내지 60×104 정도가 바람직하다.The weight-average molecular weight of the acrylic polymer is not particularly limited, but usually it is suitably about 30 × 10 4 to 150 × 10 4 . When using a solution polymerization as a polymerization method, the solution viscosity or the weight average molecular weight of the acrylic polymer from the standpoint of adhesive performance, the 30 × 10 4 to 70 × 10 4 about the degree suitable and, 40 × 10 4 to 60 × 10 4 desirable.

본 명세서에 개시되는 보호 시트의 점착제층은 전술한 바와 같은 아크릴계 중합체를 포함하는 점착제 조성물을 이용하여 형성된 것일 수 있다. 상기 점착제 조성물은 예를 들어 단량체 원료를 중합(전형적으로는 용액 중합)시켜 얻어진 중합 반응액에 필요에 따라 농도 조정, pH 조정 등의 적절한 처리를 가하거나 또는 아크릴계 중합체 이외의 점착제 형성 성분(중합체, 점착 부여제 등)이나 첨가제(예를 들어 가교제) 등을 적절히 배합하여 제조될 수 있다.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of the protective sheet disclosed in this specification may be formed using a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comprising an acrylic polymer as described above.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may be prepared, for example, by adding appropriate treatments such as concentration adjustment and pH adjustment to the polymerization reaction liquid obtained by polymerizing the monomer raw material (typically solution polymerization) or by adding a pressure- A tackifier, etc.) and an additive (for example, a cross-linking agent).

점착제 조성물의 형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용제형, 수성 에멀전형, 수용액형, 활성 에너지선(예를 들어 자외선) 경화형, 핫 멜트형 등의 다양한 형태일 수 있다. 그 중에서도 수성의 약액에 대한 내성(약액 침입 방지성)의 관점에서, 용제형 점착제 조성물이 특히 바람직하다. 이러한 용제형 점착제 조성물은 전형적으로는 상기 아크릴계 중합체를 유기 용매 중에 포함하는 용액의 형태로 제조된다. 상기 유기 용매로서는 용액 중합에 이용되는 중합 용매와 마찬가지의 것을 이용할 수 있다. 특별히 한정하는 것은 아니지만, 점착제 조성물의 건조 효율이나 도포 시공성 등의 관점에서, 통상은 상기 용제형 점착제 조성물을 고형분(NV) 10 내지 55질량%(예를 들어 15 내지 45질량%)로 제조하는 것이 적당하다.The form of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is not particularly limited. For example, various forms such as a solvent type, an aqueous emulsion type, an aqueous solution type, an active energy ray (e.g., ultraviolet ray) curable type, a hot melt type and the like. Among them, a solvent-type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is particularly preferable from the viewpoint of resistance to aqueous chemical liquids (chemical solution penetration resistance). Such a solvent-type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is typically prepared in the form of a solution containing the acrylic polymer in an organic solvent. As the organic solvent, the same polymerization solvent as used for solution polymerization can be used. Although it is not particularly limited, it is generally preferable to prepare the above solvent-type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from 10 to 55 mass% (for example, from 15 to 45 mass%) of solid content (NV) from the viewpoints of drying efficiency of the pressure- It is suitable.

본 명세서에 개시되는 기술에 있어서의 점착제 조성물(전형적으로는 용제형 점착제 조성물)은 아크릴계 중합체 외에 박리 조정제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박리 조정제로서는 저속 박리 강도(PL)와 고속 박리 강도(PH)의 밸런스(다시 말하면, PL/PH의 값)를 조절할 수 있는 각종 재료를 이용할 수 있다. 특히, 저속 박리 강도에 비하여 고속 박리 강도를 크게 저하시킴으로써 PL/PH의 값을 상승시킬 수 있는 박리 조정제의 사용이 바람직하다.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typically, a solvent-type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in the techniques disclosed in this specification preferably includes a release-controlling agent in addition to the acrylic polymer. As the peeling adjustment agent, various materials capable of adjusting the balance (low P L / P H ) between the low peeling strength (P L ) and the high peeling strength (P H ) can be used. Particularly, it is preferable to use a peeling adjustment agent capable of raising the value of P L / P H by significantly lowering the high-speed peeling strength as compared with the low-speed peeling strength.

본 명세서에 개시되는 기술은 상기 박리 조정제로서 1분자 내에 친수성 부분과 친유성 부분을 갖는 화합물을 포함하는 형태로 바람직하게 실시될 수 있다. 이러한 박리 조정제로서는 공지된 음이온성 계면 활성제, 비이온성 계면 활성제, 양이온계 계면 활성제 등을 이용할 수 있다. 이들 중 음이온성 계면 활성제 또는 비이온성 계면 활성제가 바람직하다.The technique disclosed in this specification can be preferably carried out in a form including a compound having a hydrophilic portion and an oleophilic portion in one molecule as the peel adjustment agent. As the peeling adjustment agent, known anionic surfactants, nonionic surfactants, cationic surfactants and the like can be used. Of these, anionic surfactants or nonionic surfactants are preferred.

음이온성 계면 활성제로서는 예를 들어 도데실벤젠술폰산나트륨 등의 알킬벤젠술폰산염류; 라우릴황산나트륨, 라우릴황산암모늄 등의 알킬황산염; (폴리)옥시에틸렌라우릴아민, (폴리)옥시에틸렌스테아릴아민 등의 (폴리)에테르아민; (폴리)옥시에틸렌알킬에테르황산나트륨, (폴리)옥시에틸렌알킬페닐에테르황산암모늄, (폴리)옥시에틸렌알킬페닐에테르황산나트륨 등의 (폴리)에테르황산염; (폴리)옥시에틸렌알킬술포숙신산나트륨, (폴리)옥시에틸렌알킬에테르인산에스테르 등을 들 수 있다.Examples of the anionic surfactant include alkylbenzenesulfonic acid salts such as sodium dodecylbenzenesulfonate; Alkylsulfuric acid salts such as sodium laurylsulfate and ammonium laurylsulfate; (Poly) ether amines such as (poly) oxyethylene laurylamine and (poly) oxyethylene stearylamine; (Poly) ether sulfates such as (poly) oxyethylene alkyl ether sulfates, (poly) oxyethylene alkyl phenyl ether sulfates, and (poly) oxyethylene alkyl phenyl ether sulfates; (Poly) oxyethylene alkylsulfosuccinate, and (poly) oxyethylene alkyl ether phosphate esters.

비이온성 계면 활성제로서는 예를 들어 (폴리)옥시에틸렌알킬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알킬페닐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지방산에스테르, 폴리옥시에틸렌폴리옥시프로필렌 블록 중합체 등을 들 수 있다.Examples of the nonionic surfactant include (poly) oxyethylene alkyl ether, (poly) oxyethylene alkyl phenyl ether, (poly) oxyethylene fatty acid ester and polyoxyethylene polyoxypropylene block polymer.

또한, 여기서 (폴리)옥시에틸렌이란 옥시에틸렌 단위의 반복수(에틸렌옥시드의 부가 몰수)가 1인 것과 2 이상인 것의 양쪽을 포함하는 의미이다. (폴리)에테르에 대해서도 마찬가지이다.Here, (poly) oxyethylene means both the number of repeating oxyethylene units (the number of added moles of ethylene oxide) and the number of repeating units of two or more. The same applies to (poly) ether.

본 명세서에 개시되는 기술의 바람직한 일 형태에 있어서, 상기 박리 조정제는 -POH기, -COH기 및 -SOH기 중 적어도 하나를 갖는다. 그 중에서도 -POH기를 갖는 박리 조정제가 바람직하다. 이러한 박리 조정제는 전형적으로는 인산에스테르 구조를 포함하고 있고, 예를 들어 인산의 모노에스테르(ROP(=O)(OH)2; 여기서 R은 1가의 유기기), 디에스테르((RO)2P(=O)OH; 여기서 R은 동일하거나 또는 상이한 1가의 유기기), 모노에스테르 및 디에스테르의 양쪽을 포함하는 혼합물 등일 수 있다.In one preferred form of the technique disclosed in this specification, the peeling adjustment agent has at least one of -POH group, -COH group and -SOH group. Among them, a peel adjustment agent having a -POH group is preferable. Such a release modifier typically comprises a phosphate ester structure, for example a monoester of phosphoric acid (ROP (= O) (OH) 2 wherein R is a monovalent organic), diester ((RO) 2 P (= O) OH wherein R may be the same or different monovalent organic groups), a mixture comprising both monoesters and diesters, and the like.

-POH기를 갖는 박리 조정제로서 예를 들어 인산알킬에스테르, (폴리)옥시에틸렌알킬에테르인산에스테르 등을 들 수 있다. 박리 조정제로서의 (폴리)옥시에틸렌알킬에테르인산에스테르는 인산의 모노에스테르이어도 되고, 디에스테르이어도 되고, 모노에스테르 및 디에스테르의 양쪽을 포함하는 혼합물이어도 된다.Examples of the peeling agent having a -POH group include phosphoric acid alkyl esters and (poly) oxyethylene alkyl ether phosphoric acid esters. The (poly) oxyethylene alkyl ether phosphate ester as the peeling adjustment agent may be a monoester of phosphoric acid, a diester, or a mixture containing both a monoester and a diester.

(폴리)옥시에틸렌알킬에테르인산에스테르에 있어서의 옥시에틸렌 단위의 평균 반복수는 예를 들어 1 내지 10 정도일 수 있다. 고속 박리 강도를 저하시키는 성능과 약액 침입 방지성의 균형을 고려하여 상기 평균 반복수가 1 내지 6(예를 들어 2 내지 4)인 (폴리)옥시에틸렌알킬에테르인산에스테르를 바람직하게 채택할 수 있다.The average number of repeating oxyethylene units in the (poly) oxyethylene alkyl ether phosphate ester may be, for example, about 1 to 10. (Poly) oxyethylene alkyl ether phosphate ester having an average repetition number of 1 to 6 (for example, 2 to 4) in view of the balance between the ability to lower the high-speed peel strength and the prevention of the penetration of the chemical solution.

또한, (폴리)옥시에틸렌알킬에테르인산에스테르에 있어서의 알킬기는 예를 들어 탄소 원자수 6 내지 20의 알킬기일 수 있다. 고속 박리 강도를 저하시키는 성능과 약액 침입 방지성의 균형을 고려하여 상기 알킬기의 탄소 원자수는 바람직하게는 8 내지 20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20, 더욱 바람직하게는 12 내지 20(전형적으로는 13 내지 20, 예를 들어 16 내지 18)이다.The alkyl group in the (poly) oxyethylene alkyl ether phosphate ester may be, for example, an alkyl group having 6 to 20 carbon atoms. The number of carbon atoms of the alkyl group is preferably from 8 to 20, more preferably from 10 to 20, and still more preferably from 12 to 20 (typically, from the viewpoint of balance between the ability to lower the high- 13 to 20, for example 16 to 18).

본 명세서에 개시되는 기술에 있어서의 박리 조정제로서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는 (폴리)옥시에틸렌알킬에테르인산에스테르의 시판품으로서, 도호가가쿠고교(주)제의 「포스파놀(등록 상표)」 시리즈를 들 수 있다. 구체예로서는 포스파놀(등록 상표) RL-210, 포스파놀 RL-310, 포스파놀 RM-410, 포스파놀 RS-410, 포스파놀 ED-200, 포스파놀 ML-220, 포스파놀 ML-240 등을 들 수 있다.As a commercially available product of (poly) oxyethylene alkyl ether phosphate ester which can be preferably used as a release-modifying agent in the art disclo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Fospanol (registered trademark)" series manufactured by Tohoku Kagaku Kogyo Co., . Specific examples include phospholipids such as phosphanol RL-210, phosphanol RL-310, phosphanol RM-410, phosphanol RS-410, phosphanol ED-200, phosphanol ML-220 and phosphanol ML- .

박리 조정제의 다른 적합예로서 (폴리)에테르아민을 들 수 있다. 예를 들어 다음 식 (2)로 표시되는 (폴리)에테르 아민을 이용할 수 있다.Another suitable example of the peel adjustment agent is (poly) ether amine. For example, a (poly) etheramine represented by the following formula (2) can be used.

R3-N[-(CH2CH2O)n-H]2 (2)R 3 -N [- (CH 2 CH 2 O) n -H] 2 (2)

여기서, 식 (2) 중의 n은 1 내지 20이고, 전형적으로는 1 내지 10이다. R3은 탄화수소기이고, 예를 들어 C10-30의 포화 또는 불포화의 탄화수소기, 바람직하게는 C10-20(보다 바람직하게는 C14-18)의 알킬기이다. 식 (2)로 표시되는 화합물의 적합예로서 (폴리)옥시에틸렌라우릴아민 및 (폴리)옥시에틸렌스테아릴아민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폴리)옥시에틸렌스테아릴아민이 바람직하다.Here, n in the formula (2) is 1 to 20, typically 1 to 10. R 3 is a hydrocarbon group and is, for example, a C 10-30 saturated or unsaturated hydrocarbon group, preferably a C 10-20 (more preferably C 14-18 ) alkyl group. Suitable examples of the compound represented by the formula (2) include (poly) oxyethylene laurylamine and (poly) oxyethylene stearylamine. Among them, (poly) oxyethylene stearylamine is preferable.

특별히 한정하는 것은 아니지만, 본 명세서에 개시되는 기술에 있어서의 박리 조정제로서는 HLB(Hydrophile-Lipophile Balance)값이 4 내지 15(보다 바람직하게는 5 내지 10) 정도의 것을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Although not particularly limited, those having a HLB (Hydrophile-Lipophile Balance) value of about 4 to 15 (more preferably about 5 to 10) can be preferably used as the release control agent in the techniques disclosed in this specification.

박리 조정제의 분자량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박리 조정제를 함유시키는 것의 효과(즉 PL/PH의 값을 조정하는 효과, 특히 PH를 중점적으로 저하시키는 효과)를 적절하게 발휘시키고, 또한 점착제 잔류나 응집력의 저하를 억제하는 관점에서, 통상은 분자량(분자량에 분포가 있는 경우에는 질량 평균 분자량)이 200 내지 5000(예를 들어 300 내지 3000) 정도의 박리 조정제가 바람직하다.The molecular weight of the peel adjustment agent is not particularly limited. From the standpoint of appropriately exerting the effect of containing the release-modifying agent (that is, the effect of adjusting the value of P L / P H , particularly the effect of lowering the P H intensively) and also suppressing the deterioration of the pressure- Usually, a release control agent having a molecular weight (mass average molecular weight in the case of distribution in molecular weight) of about 200 to 5000 (for example, about 300 to 3000) is preferable.

본 명세서에 개시되는 기술에 있어서의 박리 조정제는 1종을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이용할 수 있다. 바람직한 일 형태에 관한 박리 조정제로서 1종 또는 2종 이상의 (폴리)옥시에틸렌알킬에테르인산에스테르만을 포함하는 박리 조정제가 예시된다. 바람직한 다른 일 형태에 관한 박리 조정제로서 -POH기를 갖는 박리 조정제와 (폴리)에테르 아민을 조합하여 포함하는 박리 조정제가 예시된다. 예를 들어 (폴리)옥시에틸렌알킬에테르인산에스테르와 상기 식 (2)로 표시되는 (폴리)에테르아민을 조합하여 포함하는 박리 조정제가 바람직하다.In the techniques disclosed in this specification, the peeling adjustment agent may be used alone or in combination of two or more. As a peeling adjustment agent according to a preferred form, a peeling adjustment agent containing only one or two or more (poly) oxyethylene alkyl ether phosphate esters is exemplified. As a peeling adjustment agent according to another preferred embodiment, a peeling adjustment agent comprising a combination of a peeling adjustment agent having -POH group and (poly) etheramine is exemplified. For example, a peel adjustment agent comprising a combination of a (poly) oxyethylene alkyl ether phosphate ester and the (poly) ether amine represented by the formula (2).

박리 조정제의 사용량은 보호 시트의 PH 및 PL/PH의 값이 본 명세서에 개시되는 바람직한 범위가 되도록 설정할 수 있다. 아크릴계 중합체 100질량부에 대한 박리 조정제의 함유량은 예를 들어 0.01 내지 15질량부로 할 수 있다. 박리 조정제를 함유시키는 것의 효과를 적절하게 발휘시키고 또한 밀착성의 저하를 억제하는 관점에서, 통상은 아크릴계 중합체 100질량부에 대한 박리 조정제의 함유량(2종 이상의 박리 조정제를 이용하는 경우에는 그들의 합계 함유량)을 0.05 내지 10질량부로 하는 것이 적당하고, 0.1 내지 5질량부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amount of the peeling adjustment agent to be used can be set so that the values of P H and P L / P H of the protective sheet are in the preferred ranges disclosed in this specification. The content of the peeling agent in 100 parts by mass of the acrylic polymer may be, for example, 0.01 to 15 parts by mass. From the viewpoint of appropriately exhibiting the effect of containing the release-modifying agent and suppressing the deterioration of the adhesion property, the content of the release-controlling agent (when the two or more kinds of release-regulating agents are used, the total content thereof) It is preferably 0.05 to 10 parts by mass, more preferably 0.1 to 5 parts by mass.

박리 조정제로서 (폴리)옥시에틸렌알킬에테르인산에스테르를 이용하는 경우, 아크릴계 중합체 100질량부에 대한 (폴리)옥시에틸렌알킬에테르인산에스테르의 함유량은 예를 들어 0.01 내지 5질량부로 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0.05 내지 3질량부, 보다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2질량부이다.When the (poly) oxyethylene alkyl ether phosphate ester is used as the peeling adjustment agent, the content of the (poly) oxyethylene alkyl ether phosphate ester relative to 100 parts by mass of the acrylic polymer may be, for example, 0.01 to 5 parts by mass, 0.05 to 3 parts by mass, and more preferably 0.1 to 2 parts by mass.

또한, 박리 조정제로서 (폴리)에테르아민을 이용하는 경우, 아크릴계 중합체 100질량부에 대한 (폴리)에테르아민의 함유량은 예를 들어 0.1 내지 10질량부로 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0.5 내지 5질량부이다.When (poly) etheramine is used as the peeling agent, the content of (poly) etheramine in 100 parts by mass of the acrylic polymer may be, for example, 0.1 to 10 parts by mass, preferably 0.5 to 5 parts by mass .

박리 조정제로서 (폴리)옥시에틸렌알킬에테르인산에스테르 및 (폴리)에테르아민을 조합하여 이용하는 경우, (폴리)옥시에틸렌알킬에테르인산에스테르와 (폴리)에테르아민의 질량비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통상은 1/5 내지 5/1 정도로 하는 것이 적당하고, 1/3 내지 3/1(보다 바람직하게는 1/1 내지 1/3) 정도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When the (poly) oxyethylene alkyl ether phosphate ester and the (poly) ether amine are used in combination as the peeling adjustment agent, the mass ratio of the (poly) oxyethylene alkyl ether phosphate ester to the (poly) ether amine is not particularly limited, / 5 to 5/1, and more preferably 1/3 to 3/1 (more preferably 1/1 to 1/3).

상기 점착제 조성물은 가교제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가교제의 종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점착제 분야에서 통상 사용되는 각종 가교제 중에서 예를 들어 상기 관능기 함유 단량체가 갖는 가교성 관능기의 종류 등에 따라 적절히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점착제 분야에서 통상 사용되는 각종 가교제의 예로서는 폴리이소시아네이트 등의 이소시아네이트계 가교제, 실란계 가교제, 에폭시계 가교제, 옥사졸린계 가교제, 아지리딘계 가교제, 금속 킬레이트계 가교제, 멜라민계 가교제를 들 수 있다. 이러한 가교제는 1종을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이용할 수 있다.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preferably includes a crosslinking agent. The kind of the crosslinking agent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may be suitably selected from various crosslinking agents commonly used in the pressure sensitive adhesive field, for example, depending on the kind of the crosslinkable functional group of the functional group-containing monomer. Examples of the various crosslinking agents usually used in the pressure sensitive adhesive field include isocyanate crosslinking agents such as polyisocyanate, silane crosslinking agents, epoxy crosslinking agents, oxazoline crosslinking agents, aziridine crosslinking agents, metal chelating crosslinking agents and melamine crosslinking agents. These crosslinking agents may be used singly or in combination of two or more.

이소시아네이트계 가교제의 예로서는 톨릴렌디이소시아네이트, 크실렌디이소시아네이트 등의 방향족 이소시아네이트; 이소포론디이소시아네이트 등의 지환족 이소시아네이트; 헥사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 등의 지방족 이소시아네이트; 등을 들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부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 헥사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 등의 저급 지방족 폴리이소시아네이트류; 시클로펜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 시클로헥실렌디이소시아네이트, 이소포론디이소시아네이트 등의 지환족 이소시아네이트류; 2,4-톨릴렌디이소시아네이트, 4,4'-디페닐메탄디이소시아네이트, 크실릴렌디이소시아네이트 등의 방향족 디이소시아네이트류; 트리메틸올프로판/톨릴렌디이소시아네이트 삼량체 부가물(닛폰폴리우레탄고교사제, 상품명 「코로네이트 L」), 트리메틸올프로판/헥사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 삼량체 부가물(닛폰폴리우레탄고교사제, 상품명 「코로네이트 HL」), 헥사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의 이소시아누레이트체(닛폰폴리우레탄고교사제, 상품명 「코로네이트 HX」) 등의 이소시아네이트 부가물; 등을 예시할 수 있다. 이소시아네이트계 가교제로서는 이러한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의 1종을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이용할 수 있다.Examples of the isocyanate-based crosslinking agent include aromatic isocyanates such as tolylene diisocyanate and xylylene diisocyanate; Alicyclic isocyanates such as isophorone diisocyanate; Aliphatic isocyanates such as hexamethylene diisocyanate; And the like. More specifically, lower aliphatic polyisocyanates such as butylene diisocyanate and hexamethylene diisocyanate; Cycloaliphatic isocyanates such as cyclopentylene diisocyanate, cyclohexylene diisocyanate and isophorone diisocyanate; Aromatic diisocyanates such as 2,4-tolylene diisocyanate, 4,4'-diphenylmethane diisocyanate and xylylene diisocyanate; Trimethylolpropane / tolylene diisocyanate trimer adduct (trade name: Coronate L manufactured by Nippon Polyurethane Industry Co., Ltd.), trimethylolpropane / hexamethylene diisocyanate trimer adduct (trade name: Coronate HL , An isocyanate adduct of hexamethylene diisocyanate (manufactured by Nippon Polyurethane Industry Co., Ltd., trade name &quot; Coronate HX &quot;); And the like. As the isocyanate-based crosslinking agent, one of these isocyanate compounds may be used alone or two or more of them may be used in combination.

에폭시계 가교제의 예로서는 N,N,N',N'-테트라글리시딜-m-크실렌디아민(미츠비시가스가가쿠사제, 상품명 「TETRAD-X」), 1,3-비스(N,N-디글리시딜아미노메틸)시클로헥산(미츠비시가스가가쿠사제, 상품명 「TETRAD-C」) 등을 들 수 있다. 멜라민계 가교제의 예로서는 헥사메틸올멜라민 등을 들 수 있다.Examples of the epoxy crosslinking agent include N, N, N ', N'-tetraglycidyl-m-xylenediamine (trade name "TETRAD-X", available from Mitsubishi Gas Chemical Co., Glycidylaminomethyl) cyclohexane (manufactured by Mitsubishi Gas Chemical Co., Ltd., trade name &quot; TETRAD-C &quot;). Examples of the melamine-based crosslinking agent include hexamethylol melamine and the like.

그 중에서도 바람직한 가교제로서 이소시아네이트계 가교제를 들 수 있다. 본 명세서에 개시되는 기술은 약액 침입 방지성과 박리 작업성을 고도로 양립하는 관점에서, 이소시아네이트계 가교제를 포함하고 또한 에폭시계 가교제를 포함하지 않는 가교제(전형적으로는 이소시아네이트계 가교제만을 포함하는 가교제)를 이용하는 형태로 바람직하게 실시될 수 있다. 이소시아네이트계 가교제의 사용은 후술하는 점착제의 겔분율을 본 명세서에 개시되는 바람직한 범위로 제어하기 쉽다는 관점에서도 유리하다.Of these, isocyanate-based crosslinking agents can be mentioned as preferred crosslinking agents. The technique disclo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uses a crosslinking agent that contains an isocyanate crosslinking agent and does not contain an epoxy crosslinking agent (typically, a crosslinking agent containing only an isocyanate crosslinking agent) from the viewpoint of highly compatibility between the liquid penetration prevention and the peeling workability Or the like. The use of the isocyanate-based crosslinking agent is also advantageous from the viewpoint that it is easy to control the gel fraction of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described below to the preferable range disclosed in this specification.

바람직한 일 형태에 관한 점착제 조성물은, 관능기 함유 단량체로서 카르복실기 함유 단량체가 공중합된 아크릴계 중합체와 이소시아네이트계 가교제를 포함하는 가교제(이소시아네이트계 가교제만을 포함하는 가교제일 수 있음)를 조합하여 포함한다. 이러한 점착제 조성물에 의하면, 밀착성과 박리 작업성을 보다 고도로 양립시킨 보호 시트가 실현될 수 있다. 또한, 점착제의 겔분율을 본 명세서에 개시되는 바람직한 범위로 제어하기 쉽다는 관점에서도 유리하다. 상기 겔분율의 제어 용이성이나 피착체와의 밀착성 등의 관점에서, 본 명세서에 개시되는 기술은 상기 아크릴계 중합체에 카르복실기 함유 단량체가 공중합되고, 또한 수산기 함유 단량체가 실질적으로 공중합되어 있지 않은 형태로 바람직하게 실시될 수 있다. 이러한 아크릴계 중합체와 이소시아네이트계 가교제를 포함하는 가교제(전형적으로는 이소시아네이트계 가교제만을 포함하는 가교제)의 조합이 특히 바람직하다.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includes a combination of an acrylic polymer with a carboxyl group-containing monomer as a functional group-containing monomer and a cross-linking agent (which may be a crosslinking agent containing only an isocyanate-based cross-linking agent) including an isocyanate-based cross-linking agent. With such a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it is possible to realize a protective sheet which is highly compatible with the adhesiveness and peeling workability. It is also advantageous from the viewpoint that it is easy to control the gel fraction of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to the preferable range disclosed in this specification. From the viewpoints of ease of control of the gel fraction and adhesion to an adherend, the techniques disclosed in this specification are preferably used in a form in which the carboxyl group-containing monomer is copolymerized with the acrylic polymer and the hydroxyl group-containing monomer is not substantially copolymerized . A combination of such an acrylic polymer and a crosslinking agent comprising an isocyanate crosslinking agent (typically a crosslinking agent containing only an isocyanate crosslinking agent) is particularly preferable.

상기 점착제 조성물에 포함되는 가교제의 양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밀착성과 박리 작업성을 양립하는 관점 등으로부터 통상은 상기 아크릴계 중합체 100질량부에 대하여 0.5 내지 10질량부 정도(예를 들어 1 내지 7질량부, 전형적으로는 2 내지 7질량부)로 하는 것이 적당하다.The amount of the cross-linking agent contained in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is not particularly limited, but it is generally from 0.5 to 10 parts by mass (for example, from 1 to 7 parts by mass, preferably from 1 to 7 parts by mass) based on 100 parts by mass of the acrylic polymer from the viewpoints of both adhesion and peeling workability. , Typically 2 to 7 parts by mass).

상기 점착제 조성물은 가교 촉진제를 더 포함하여도 된다. 가교 촉진제의 종류는 사용하는 가교제의 종류에 따라 적절히 선택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 가교 촉진제란 가교제에 의한 가교 반응의 속도를 높이는 촉매를 가리킨다. 이러한 가교 촉진제로서는 예를 들어 디옥틸주석디라우레이트, 디부틸주석디라우레이트, 디부틸주석디아세테이트, 디부틸주석디아세틸아세토네이트, 테트라-n-부틸주석, 트리메틸주석히드록시드 등의 주석(Sn) 함유 화합물; N,N,N',N'-테트라메틸헥산디아민이나 트리에틸아민 등의 아민류, 이미다졸류 등의 질소(N) 함유 화합물;이 예시된다. 그 중에서도 Sn 함유 화합물이 바람직하다. 상기 점착제 조성물에 포함되는 가교 촉진제의 양은 상기 아크릴계 중합체 100질량부에 대하여 예를 들어 0.001질량부 내지 0.5질량부 정도(바람직하게는 0.001질량부 내지 0.1질량부 정도)로 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되는 기술은 점착제의 겔분율의 제어 용이성이나 피착체와의 밀착성 등을 고려하여 점착제 조성물이 가교 촉진제를 실질적으로 함유하지 않는 형태로 바람직하게 실시될 수 있다.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may further include a crosslinking accelerator. The type of the crosslinking accelerator may be appropriately selected depending on the kind of the crosslinking agent to be u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term "crosslinking accelerator" refers to a catalyst that increases the rate of crosslinking reaction by a crosslinking agent. Examples of such cross-linking accelerators include tin such as dioctyltin dilaurate, dibutyltin dilaurate, dibutyltin diacetate, dibutyltin diacetylacetonate, tetra-n-butyltin and trimethyltin hydroxide (Sn) -containing compound; Nitrogen (N) -containing compounds such as amines such as N, N, N ', N'-tetramethylhexanediamine and triethylamine, and imidazoles. Among them, a Sn-containing compound is preferable. The amount of the crosslinking accelerator included in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may be, for example, about 0.001 mass part to 0.5 mass part (preferably about 0.001 mass part to 0.1 mass part) relative to 100 mass parts of the acrylic polymer. Further, the technique disclosed in this specification can be preferably implemented in a form in which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does not substantially contain a crosslinking accelerator in consideration of easiness in controlling the gel fraction of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adhesion to the adherend, and the like.

상기 점착제 조성물은 필요에 따라 점착 부여제를 함유하여도 된다. 점착 부여제로서는 종래 공지의 것을 특별히 한정 없이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테르펜계 점착 부여 수지, 페놀계 점착 부여 수지, 로진계 점착 부여 수지, 지방족계 석유 수지, 방향족계 석유 수지, 공중합계 석유 수지, 지환족계 석유 수지, 크실렌 수지, 에폭시계 점착 부여 수지, 폴리아미드계 점착 부여 수지, 케톤계 점착 부여 수지, 엘라스토머계 점착 부여 수지를 들 수 있다. 이들은 1종을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이용할 수 있다. 점착 부여제를 이용하는 경우, 그 사용량은 아크릴계 중합체의 성질을 저하시키지 않고, 점착 부여제의 효과를 충분히 얻는 관점에서 아크릴계 중합체 100질량부에 대하여 50질량부 이하(전형적으로는 0.1질량부 내지 30질량부)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되는 기술은 밀착성이나 점착제 잔류 방지성을 고려하여 점착제 조성물이 점착 부여제를 실질적으로 함유하지 않는 형태로 바람직하게 실시될 수 있다.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may contain a tackifier if necessary. As the tackifier, conventionally known ones can be used without particular limitation. Examples of the thermoplastic resin include a terpene type tackifying resin, a phenolic tackifying resin, a rosin type tackifying resin, an aliphatic petroleum resin, an aromatic petroleum resin, a copolymer petroleum resin, an alicyclic petroleum resin, a xylene resin, A polyamide-based tackifying resin, a ketone-based tackifying resin, and an elastomer-based tackifying resin. These may be used singly or in combination of two or more. When the tackifier is used, the amount of the tackifier is preferably not more than 50 parts by mass (typically, from 0.1 part by mass to 30 parts by mass) based on 100 parts by mass of the acrylic polymer from the viewpoint of sufficiently obtaining the effect of the tackifier without deteriorating the properties of the acrylic polymer Part) is preferable. Further, the technique disclosed in this specification can be preferably implemented in a form in which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contains substantially no tackifier in view of the adhesion property and the residual adhesive property of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상기 점착제 조성물은 상기 아크릴계 중합체에, 필요에 따라 다른 중합체(임의 중합체)를 배합하여 제조된 것이어도 된다. 이러한 임의 중합체는 예를 들어 점착제의 응집력을 높일 목적으로 배합될 수 있다. 점착제의 응집력이 높아지는 것은 보호 시트의 외측 테두리로부터의 약액 침입 방지성(전형적으로는 주로 점착제가 약액으로 팽윤하는 것에 기인하는 약액 침입을 방지하는 성능)의 향상에 기여할 수 있다.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may be prepared by blending other polymer (optional polymer) into the acrylic polymer, if necessary. These random polymers may be blended for the purpose of enhancing the cohesive force of the adhesive, for example. The increase in the cohesive force of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agent can contribute to the improvement of the ability to prevent the penetration of the liquid medicines from the outer edge of the protective sheet (typically, the performance of preventing the penetration of the liquid medicament mainly due to the swelling of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agent into the liquid medium).

상기 임의 중합체의 조성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단량체 조성에 카르복실산비닐에스테르를 포함하는 중합체를 바람직하게 채택할 수 있다. 카르복실산비닐에스테르로서는 아세트산비닐 또는 프로피온산비닐이 바람직하고, 아세트산비닐이 특히 바람직하다. 단량체 조성에 카르복실산비닐에스테르를 포함하는 중합체의 구체예로서는 염화비닐/아세트산비닐 공중합체, 염화비닐/아세트산비닐/아크릴계 단량체 공중합체, 염화비닐/프로피온산비닐 공중합체 등의 염화비닐계 공중합체나 에틸렌/아세트산비닐 공중합체 등을 들 수 있다.The composition of the random polymer is not particularly limited. For example, a polymer containing a carboxylic acid vinyl ester in the monomer composition can be preferably employed. As the carboxylic acid vinyl ester, vinyl acetate or vinyl propionate is preferable, and vinyl acetate is particularly preferable. Specific examples of the polymer containing a carboxylic acid vinyl ester in the monomer composition include a vinyl chloride-based copolymer such as a vinyl chloride / vinyl acetate copolymer, a vinyl chloride / vinyl acetate / acrylic monomer copolymer, a vinyl chloride / vinyl propionate copolymer, / Vinyl acetate copolymer and the like.

상기 임의 중합체의 Tg는 바람직하게는 -20℃ 초과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0℃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20℃ 이상, 특히 바람직하게는 30℃ 이상이다. Tg의 상한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피착체 표면과의 밀착성 등의 관점에서 통상은 Tg가 120℃ 이하(보다 바람직하게는 100℃ 이하)인 임의 중합체가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Tg가 40℃ 내지 70℃인 염화비닐/아세트산비닐 공중합체를 바람직하게 채택할 수 있다.The Tg of the random polymer is preferably more than -20 DEG C, more preferably not lower than 0 DEG C, more preferably not lower than 20 DEG C, particularly preferably not lower than 30 DEG C. The upper limit of the Tg is not particularly limited, but an arbitrary polymer having a Tg of 120 deg. C or lower (more preferably 100 deg. C or lower) is usually preferable from the viewpoint of adhesion with the surface of the adherend. For example, a vinyl chloride / vinyl acetate copolymer having a Tg of 40 占 폚 to 70 占 폚 can be preferably employed.

임의 중합체의 질량 평균 분자량(Mw)은 예를 들어 0.5×104 내지 10×104 정도일 수 있다. 피착체 표면과의 밀착성과 응집성의 밸런스를 고려하여 Mw가 0.8×104 내지 5×104(보다 바람직하게는 1×104 내지 3×104)의 임의 중합체(예를 들어 염화비닐/아세트산비닐 공중합체)가 바람직하다.The mass average molecular weight (Mw) of the random polymer may be, for example, about 0.5 x 10 4 to 10 x 10 4 . An arbitrary polymer having an Mw of 0.8 x 10 4 to 5 x 10 4 (more preferably 1 x 10 4 to 3 x 10 4 ) (for example, a vinyl chloride / acetic acid Vinyl copolymer) are preferable.

상기 임의 중합체(예를 들어 염화비닐/아세트산비닐 공중합체)를 이용하는 경우, 그 사용량은 아크릴계 중합체 100질량부에 대하여 30질량부 이하로 할 수 있다. 응집성과 밀착성을 양립하는 관점에서 통상은 아크릴계 중합체 100질량부에 대한 임의 중합체의 사용량을 1 내지 30질량부(보다 바람직하게는 5 내지 25질량부, 예를 들어 10 내지 20질량부)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When the arbitrary polymer (for example, vinyl chloride / vinyl acetate copolymer) is used, the amount thereof may be 30 parts by mass or less based on 100 parts by mass of the acrylic polymer. From the viewpoint of both cohesion and adhesion, it is generally preferred to use 1 to 30 parts by mass (more preferably 5 to 25 parts by mass, for example, 10 to 20 parts by mass) of the optional polymer per 100 parts by mass of the acrylic polymer desirable.

본 명세서에 개시되는 기술에 있어서, 점착제 조성물 중의 고형분(점착제 형성 성분)에서 차지하는 아크릴계 중합체의 비율은 50질량%를 초과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약액 침입 방지성과 박리 작업성을 고도로 양립하는 관점에서 상기 아크릴계 중합체의 비율은 보다 바람직하게는 70질량% 이상(예를 들어 80질량% 이상)이다. 바람직한 일 형태에 있어서, 상기 아크릴계 중합체의 비율은 85질량% 초과(예를 들어 90질량% 이상)일 수 있다. 이러한 형태는 예를 들어 PL/PH의 값을 보다 크게 하는 관점에서 유리하다.In the technique disclo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proportion of the acrylic polymer in the solid content (pressure-sensitive adhesive-forming component) in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is preferably more than 50% by mass. The proportion of the acrylic polymer is more preferably not less than 70% by mass (for example, not less than 80% by mass) from the viewpoint of highly compatible compatibility with the liquid chemical penetration prevention and peeling workability. In a preferred form, the proportion of the acrylic polymer may be greater than 85% by weight (e.g., greater than or equal to 90% by weight). This form is advantageous in terms of, for example, increasing the value of P L / P H.

본 명세서에 개시되는 기술은 상기 점착제 조성물의 고형분(점착제 형성 성분)이 카르복실산비닐에스테르에서 유래되는 단량체 단위(이하, 카르복실산비닐에스테르 단위라고도 함)를 포함하는 형태로 바람직하게 실시될 수 있다. 이러한 카르복실산비닐에스테르 단위는 예를 들어 알킬(메트)아크릴레이트와 카르복실산비닐에스테르를 포함하는 단량체 원료를 중합(전형적으로는 용액 중합)하여 아크릴계 중합체를 합성하는 것이나, 단량체 조성에 카르복실산에스테르를 포함하는 임의 중합체를 배합하는 것 등에 기인하여 카르복실산비닐에스테르의 단독 중합체 또는 공중합체를 구성하는 단량체 단위의 형태로 점착제 조성물에 포함되는 것일 수 있다. 카르복실산비닐에스테르 단위를 포함하는 점착제 조성물의 일 적합예로서, 알킬(메트)아크릴레이트와 카르복실산비닐에스테르를 포함하는 단량체 원료를 중합하여 얻어진 아크릴계 중합체와, 단량체 조성에 카르복실산비닐에스테르를 포함하는 임의 중합체(예를 들어 염화비닐/아세트산비닐 공중합체)를 조합하여 포함하는 점착제 조성물을 들 수 있다.The technique disclosed in this specification can be preferably carried out in the form that the solid content (pressure-sensitive adhesive-forming component) of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includes a monomer unit derived from a carboxylic acid vinyl ester (hereinafter also referred to as a carboxylic acid vinyl ester unit) have. Such carboxylic acid vinyl ester units can be obtained by, for example, synthesizing an acrylic polymer by polymerizing (typically, solution polymerization) a monomer raw material comprising alkyl (meth) acrylate and a carboxylic acid vinyl ester, Or may be contained in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in the form of a monomer unit constituting a homopolymer or copolymer of a carboxylic acid vinyl ester due to mixing of an arbitrary polymer containing an acid ester. As a preferable example of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comprising a carboxylic acid vinyl ester unit, an acrylic polymer obtained by polymerizing a monomer raw material comprising an alkyl (meth) acrylate and a carboxylic acid vinyl ester, and a vinyl monomer having a carboxylic acid vinyl ester (For example, a vinyl chloride / vinyl acetate copolymer).

점착제 조성물의 고형분 중 카르복실산비닐에스테르 단위가 차지하는 비율은, 예를 들어 5질량% 이상으로 할 수 있고, 10질량% 이상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피착체(예를 들어 유리 기판)에 대한 밀착성을 높여 약액 침입 방지성과 박리 작업성을 고레벨로 양립하는 관점 등으로부터, 상기 비율을 20질량% 이상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30질량% 이상으로 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비율이 너무 높아도 밀착성이 저하하는 경우가 있어서 통상은 점착제 조성물의 고형분 중 카르복실산비닐에스테르 단위가 차지하는 비율을 65질량% 이하로 하는 것이 적당하고, 55질량% 이하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50질량% 이하로 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The proportion of the carboxylic acid vinyl ester units in the solid content of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may be, for example, 5% by mass or more, and preferably 10% by mass or more. From the viewpoint of enhancing the adhesion to an adherend (for example, a glass substrate) and simultaneously achieving the prevention of the penetration of the chemical solution and the peeling workability at a high level, the above ratio is preferably 20 mass% or more, more preferably 30 mass% More preferable. In addition, even when the above ratio is too high, the adhesion may be lowered, so that the proportion of the vinyl acetate units in the solid content of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is preferably 65% , And more preferably 50 mass% or less.

상기 점착제 조성물은 본 발명의 효과를 현저하게 방해하지 않는 범위에서 대전 방지제, 슬립제, 안티 블로킹제, 레벨링제, 가소제, 충전재, 착색제(안료, 염료 등), pH 조정제, 분산제, 안정제, 방부제, 노화 방지제 등의 점착제의 분야에 있어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각종 첨가제를 필요에 따라 더 함유하여도 된다. 이러한 첨가제를 사용하는 경우, 그 배합량은 당해 용도에 있어서 점착제층의 형성(보호 시트의 제조)에 이용되는 점착제 조성물의 통상의 배합량과 동일 정도로 할 수 있다.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may contain additives such as an antistatic agent, a slip agent, an anti-blocking agent, a leveling agent, a plasticizer, a filler, a colorant (pigment, dye, etc.), a pH adjuster, a dispersant, a stabilizer, Various additives commonly used in the field of pressure-sensitive adhesives such as an antioxidant may be further contained if necessary. When such an additive is used, the blending amount thereof may be set to the same amount as the usual amount of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used for forming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production of protective sheet) in the application.

점착제층을 기재 상에 형성하는 방법으로서는 예를 들어 상기 점착제 조성물을 기재에 직접 부여(전형적으로는 도포 부착)하여 경화 처리하는 방법(직접법)이나 적당한 박리면(예를 들어 박리성을 갖는 전사 시트의 표면) 상에 상기 점착제 조성물을 도포 부착하여 경화 처리함으로써 상기 박리면 상에 점착제층을 형성하고, 그 점착제층을 기재에 접합하여 전사하는 방법(전사법)을 이용할 수 있다. 상기 경화 처리는 건조(가열), 냉각, 가교, 추가의 공중합 반응, 에이징 등으로부터 선택되는 1 또는 2 이상의 처리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용매를 포함하는 점착제 조성물을 간단히 건조시키기만 하는 처리(가열 처리 등)나 가열 용융 상태에 있는 점착제 조성물을 간단히 냉각(고화)시키기만 하는 처리도 여기서 말하는 경화 처리에 포함될 수 있다. 상기 경화 처리가 2 이상의 처리(예를 들어 건조 및 가교)를 포함하는 경우, 이들 처리는 동시에 행하여도 되고, 다단계에 걸쳐 행하여도 된다.As a method of forming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on a substrate, for example, there can be cited a method (direct method) in which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is applied (typically, applied) (A transfer method) in which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is applied and cured on the surface of the substrate to form a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on the release surface, and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is bonded to the substrate and transferred. The curing treatment may be one or two or more treatments selected from drying (heating), cooling, crosslinking, further copolymerization, aging, and the like. For example, a process of merely simply drying a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containing a solvent (such as a heat treatment) or a process of simply cooling (solidifying)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in a heating and melting state may be included in the curing treatment. When the curing treatment includes two or more treatments (for example, drying and crosslinking), these treatments may be performed at the same time or may be performed in multiple steps.

점착제 조성물의 도포 부착은 예를 들어 그라비아 롤 코터, 리버스 롤 코터, 키스 롤 코터, 딥 롤 코터, 바 코터, 나이프 코터, 스프레이 코터 등의 관용의 코터를 이용하여 행할 수 있다. 가교 반응의 촉진, 제조 효율 향상 등의 관점에서 점착제 조성물의 건조는 가열하에서 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점착제 조성물이 도포 부착되는 지지체의 종류에 따라 다르지만, 예를 들어 대략 40℃ 내지 150℃ 정도의 건조 온도를 채택할 수 있다. 건조 후, 가교 반응이 더 진행되도록 40℃ 내지 60℃ 정도에서 유지하는 에이징 처리를 실시하여도 된다. 에이징 시간은 원하는 가교도나 가교 반응의 진행 속도에 따라 적절히 선택하면 되고, 예를 들어 12시간 내지 120시간 정도, 전형적으로는 12시간 내지 72시간 정도로 할 수 있다.The application and adhesion of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can be carried out, for example, by using a coater such as a gravure roll coater, a reverse roll coater, a kiss roll coater, a dip roll coater, a bar coater, a knife coater or a spray coater. From the standpoint of promoting the crosslinking reaction and improving the production efficiency, the drying of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is preferably carried out under heating. Depending on the type of the support to which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is applied, for example, a drying temperature of about 40 캜 to 150 캜 may be adopted. After drying, the aging treatment may be carried out to maintain the crosslinking reaction at about 40 to 60 캜 so that the crosslinking reaction proceeds further. The aging time may be appropriately selected according to the desired degree of crosslinking or the progress of the crosslinking reaction, and may be, for example, about 12 hours to 120 hours, typically about 12 hours to 72 hours.

점착제층의 두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목적에 따라 적절히 조정할 수 있다. 점착제층의 두께는 예를 들어 1㎛ 내지 100㎛ 정도일 수 있다. 피착체 표면과의 밀착성의 관점에서 적합한 두께는 2㎛ 이상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3㎛ 이상(예를 들어 5㎛ 이상, 전형적으로는 7㎛ 이상)이다. 또한, 박리 작업성의 관점에서 점착제층의 두께는 40㎛ 이하가 바람직하고, 전형적으로는 30㎛ 이하이다. 점착제층의 두께가 너무 크지 않은 것은 점착제의 팽윤에 의한 약액 침입을 억제하는 관점에서도 바람직하다.The thickness of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can be appropriately adjusted according to the purpose. The thickness of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may be, for example, about 1 m to 100 m. A thickness suitable for adhesion with the surface of the adherend is 2 占 퐉 or more, more preferably 3 占 퐉 or more (for example, 5 占 퐉 or more, typically 7 占 퐉 or more). From the viewpoint of peeling workability, the thickness of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is preferably 40 占 퐉 or less, and typically 30 占 퐉 or less. The thickness of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is preferably not too large from the viewpoint of inhibiting the infiltration of the chemical liquid due to the swelling of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점착제층의 표면(점착면, 즉 피착체에 대한 부착면)의 산술 평균 표면 조도는 1㎛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대략 0.05㎛ 내지 0.75㎛(예를 들어 대략 0.05㎛ 내지 0.5㎛, 전형적으로는 대략 0.1㎛ 내지 0.3㎛)의 범위에 있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점착면의 평활성이 높아지면, 상기 점착면과 피착체 표면의 밀착성이 향상된다. 이에 의해, 점착제와 피착체의 계면으로부터의 약액 침입을 보다 잘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평활성이 높은 점착제층은 피착체 표면으로부터 박리할 때의 응력의 치우침이 적기 때문에, 국부적인 응력에 의해 점착제의 일부가 끊어져서 피착체측에 남는 등의 현상을 보다 잘 피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점착제층을 기재 상에 갖는 보호 시트는 피착체 표면에 점착제 잔류 등의 오염을 발생하지 않고, 피착체로부터 원활하게 박리할 수 있는 것이 될 수 있다.The arithmetic average surface roughness of the surface of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adhesive surface, that is, the adhered surface to the adherend) is preferably 1 m or less, and preferably 0.05 m to 0.75 m (for example, approximately 0.05 m to 0.5 m, 0.1 mu m to 0.3 mu m). When the smoothness of the adhesive surface is increased, the adhesion between the adhesive surface and the surface of the adherend is improved. This makes it possible to prevent the penetration of the chemical liquid from the interface between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and the adherend more easily. In addition, since the pressure sensitive adhesive layer having a high smoothness is less prone to stress when peeled from the surface of the adherend, a phenomenon such that a part of the pressure sensitive adhesive is broken due to local stress and remains on the adherend side can be more avoided. Therefore, the protective sheet having such a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on a substrate can be easily peeled off from the adherend without causing contamination such as residual adhesive on the surface of the adherend.

또한, 점착면의 산술 평균 표면 조도는 일반적인 표면 조도 측정 장치(예를 들어 Veeco사제 비접촉 3차원 표면 형상 측정 장치, 형식 「Wyko NT-3300」)를 이용하여 측정할 수 있다.The arithmetic mean surface roughness of the adhesive surface can be measured using a general surface roughness measuring apparatus (for example, a non-contact three-dimensional surface shape measuring apparatus of Veeco, type "Wyko NT-3300").

기재 중 점착제층이 배치되는 측의 표면은 점착제층의 표면 상태(점착면의 표면 조도)에 영향을 미치지 않을 정도(즉, 점착면의 산술 평균 표면 조도를 상승시키는 요인이 되지 않을 정도)의 평활성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기재는 그 점착제층측 표면의 산술 평균 표면 조도가 1㎛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0.05㎛ 내지 0.75㎛(예를 들어 대략 0.05㎛ 내지 0.5㎛, 전형적으로는 대략 0.1㎛ 내지 0.3㎛)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으로 함으로써 점착면의 평활성도 높아진다.The surface on the side where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in the substrate is disposed is subjected to a surface treatment such that the surface state (surface roughness of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surface) of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is not affected (i.e., the arithmetic average surface roughness of the pressure- . For example, the base material preferably has an arithmetic average surface roughness of the adhesive layer side surface of 1 m or less, and preferably 0.05 m to 0.75 m (for example, approximately 0.05 m to 0.5 m, typically approximately 0.1 m to 0.3 m) More preferable. With such a constitution, the smoothness of the adhesive surface also increases.

보호 시트를 구성하는 점착제의 겔분율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20질량% 이상일 수 있다. 박리 작업성의 향상(고속 박리 강도의 억제) 등의 관점에서 통상은 겔분율이 25질량%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점착제의 겔분율이 높아짐으로써, 보호 시트의 외측 테두리로부터의 약액 침입 방지성(전형적으로는 주로 점착제가 약액으로 팽윤하는 것에 기인하는 약액 침입을 방지하는 성능)이 향상된다. 또한, 점착제의 응집력이 높아지고, 보호 시트를 박리할 때 점착제 잔류 등의 오염이 발생하기 어려워진다. 이러한 관점에서 점착제의 겔분율이 27질량% 이상(예를 들어 30질량%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The gel fraction of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nstituting the protective sheet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may be 20 mass% or more, for example. From the viewpoints of improvement in peeling workability (suppression of high-speed peeling strength), it is usually preferable that the gel fraction is 25 mass% or more. As the gel fraction of the pressure sensitive adhesive increases, the ability to prevent the penetration of the liquid medicines from the outer edge of the protective sheet (typically, the ability to prevent the liquid medication from ingressing due to the swelling of the pressure sensitive adhesive mainly in the liquid medium) is improved. In addition, the cohesive force of the pressure sensitive adhesive increases, and contamination such as residual adhesive is less likely to occur when the protective sheet is peeled off. From this viewpoint, it is more preferable that the gel fraction of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is 27 mass% or more (for example, 30 mass% or more).

겔분율의 상한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전형적으로는 80질량% 이하, 바람직하게는 70질량%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60질량% 미만(예를 들어 55질량% 이하)이다. 겔분율이 너무 높으면, 점착제의 구성에 따라서는 피착체 표면과의 밀착성이 저하되기 쉬워지고, 점착제와 피착체의 계면으로부터의 약액 침입이 일어나기 쉬워지는 경우가 있을 수 있다. 본 명세서에 개시되는 기술은 상기 밀착성의 관점에서 점착제의 겔분율이 50질량% 이하(전형적으로는 45질량% 이하, 예를 들어 40질량% 이하)인 형태에서도 바람직하게 실시될 수 있다.The upper limit of the gel fraction is not particularly limited, but is typically 80 mass% or less, preferably 70 mass% or less, more preferably 60 mass% or less (for example, 55 mass% or less). If the gel fraction is too high, the adhesion with the surface of the adherend tends to deteriorate depending on the constitution of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and the chemical liquid may easily enter from the interface between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and the adherend. The technique disclosed in this specification can be preferably carried out also in the form that the gel fraction of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is 50 mass% or less (typically 45 mass% or less, for example, 40 mass% or less) from the viewpoint of the above adhesion.

겔분율은 아크릴계 중합체의 공중합 조성(예를 들어 관능기 함유 단량체나 다관능성 단량체의 사용)이나 분자량, 가교제 그 외의 첨가제 등에 의해 조절할 수 있다.The gel fraction can be controlled by the copolymerization composition of the acrylic polymer (for example, the use of a functional group-containing monomer or a polyfunctional monomer), molecular weight, cross-linking agent, and other additives.

겔분율은 무게(W1)의 측정 샘플을 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수지제 다공질 시트에 포장하여 실온에서 1주일 아세트산에틸에 침지한 후, 그 측정 샘플을 건조시켜 아세트산에틸 불용해분의 무게(W2)를 계측하고, W1 및 W2를 다음 식: 겔분율[%]=W2/W1×100;에 대입함으로써 구해진다.The gel fraction was obtained by putting a measurement sample of weight W1 in a porous sheet made of tetrafluoroethylene resin and immersing it in ethyl acetate for one week at room temperature and then drying the measurement sample to determine the weight W2 of ethyl acetate- And substituting W1 and W2 into the following formula: gel fraction [%] = W2 / W1 * 100;

보다 구체적으로는 이하의 방법으로 겔분율을 측정할 수 있다. 즉, 측정 샘플 약 0.1g을 평균 구멍 직경 0.2㎛의 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수지제 다공질 시트로 주머니 형상으로 포장하여 입구를 연실로 묶는다. 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수지제 다공질 시트와 연실의 합계 질량(Wa(mg))은 미리 계측해 둔다. 그리고, 포장 질량(점착제층과 포장의 합계 질량)(Wb(mg))을 계측한다. 이 포장을 용량 50mL의 스크류관에 넣고(1개의 포장당 스크류관 1개를 사용함), 이 스크류관에 아세트산에틸을 채운다. 이것을 실온(전형적으로는 23℃)에서 7일간 정치한 후, 상기 포장을 취출하여 120℃에서 2시간 건조시키고, 건조 후에 있어서의 포장의 질량(Wc(mg))을 계측한다. 상기 점착제층의 겔분율(%)은 상기 Wa, Wb 및 Wc를 이하의 식:More specifically, the gel fraction can be measured by the following method. That is, about 0.1 g of the measurement sample was packed in a bag shape with a porous sheet made of tetrafluoroethylene resin having an average pore diameter of 0.2 탆, and the inlet was bundled with a green filter. The total mass (Wa (mg)) of the tetrafluoroethylene resin porous sheet and the combustion chamber is measured in advance. Then, the package mass (total mass of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and the package) Wb (mg) is measured. The package is placed in a 50-mL screw tube (using one screw tube per package), and the screw tube is filled with ethyl acetate. After standing at room temperature (typically 23 ° C) for 7 days, the package is taken out and dried at 120 ° C for 2 hours, and the mass Wc (mg) of the package after drying is measured. The gel fraction (%) of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is calculated by dividing the Wa, Wb and Wc by the following formula:

겔분율[%]=(Wc-Wa)/(Wb-Wa)×100Gel fraction [%] = (Wc-Wa) / (Wb-Wa) 100

에 대입함으로써 구해진다. 상기 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수지제 다공질 시트로서는 닛토덴코(주)제의 상품명 「니토플론(등록 상표) NTF1122」를 사용할 수 있다. 후술하는 실시예에 있어서도 마찬가지의 방법을 채택할 수 있다.. As the porous sheet made of the tetrafluoroethylene resin, "Nitoflon (registered trademark) NTF1122" available from Nitto Denko Corporation can be used. The same method can be adopted in the following embodiments.

본 명세서에 개시되는 보호 시트는 유리판에 부착하여 30분 후에 박리 각도 180°, 인장 속도 300mm/분의 조건에서 측정되는 저속 박리 강도(PL)가 0.1N/20mm 이상(전형적으로는 0.2N/20mm 이상, 예를 들어 0.25N/20mm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저속 박리 강도(PL)를 나타내는 보호 시트는 유리판 그 외의 피착체(피처리재)에 대한 밀착성이 우수하다. 따라서, 점착제와 피착체의 계면으로부터의 약액 침입을 효과적으로 저지할 수 있다. 저속 박리 강도(PL)의 상한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통상은 저속 박리 강도(PL)가 5N/20mm 이하(예를 들어 3N/20mm 이하, 전형적으로는 2N/20mm 이하)인 것이 적당하다.The protective sheet disclosed in this specification has a low peel strength (P L ) of 0.1 N / 20 mm or more (typically 0.2 N / mm or less) measured at 30 minutes after peeling on a glass plate at a peel angle of 180 ° and a tensile rate of 300 mm / 20 mm or more, for example, 0.25 N / 20 mm or more). The protective sheet exhibiting such a low peel strength (P L ) is excellent in adhesion to a glass plate or other adherend (material to be treated). Therefore, the penetration of the chemical liquid from the interface between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and the adherend can be effectively prevented. The upper limit of the low-speed peel strength (P L ) is not particularly limited, but it is usually appropriate that the low-speed peel strength (P L ) is 5 N / 20 mm or less (for example, 3 N / 20 mm or less, typically 2 N / .

저속 박리 강도(PL)는 이하의 방법에 의해 측정할 수 있다. 측정에 제공하는 보호 시트를 기재의 MD(Machine Direction)를 길이 방향으로 하는 20mm×60mm의 사각 형상으로 커트하여 시험편을 제작한다. 이 시험편의 점착제층측을 2kg의 롤러를 1 왕복시켜 유리 기판에 부착한다. 이것을 25℃, 50% RH의 환경하에 30분간 유지한 후, 인장 시험기((주)시마즈세이사쿠쇼제, 상품명 「텐실론」)를 이용하고, JIS Z0237에 준거하여 25℃, 50% RH의 환경하, 박리 각도 180°, 인장 속도 300mm/분의 조건에서 유리에 대한 180° 박리 점착력을 측정한다. 유리 기판으로서는 마츠나미글래스(주)제의 상품명 「MICROSLIDE GLASS」를 이용할 수 있다. 후술하는 실시예에 있어서도 마찬가지의 방법을 채택할 수 있다.The low-speed peel strength (P L ) can be measured by the following method. The protective sheet provided for the measurement is cut into a rectangular shape of 20 mm x 60 mm in which the MD (Machine Direction) of the substrate is orient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o prepare a test piece.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side of this test piece was attached to a glass substrate by reciprocating one roller of 2 kg. The test piece was held under the environment of 25 占 폚 and 50% RH for 30 minutes and then subjected to a tensile tester (manufactured by Shimadzu Seisakusho Co., Ltd., trade name "Tensilon" Under the conditions of a peel angle of 180 ° and a tensile rate of 300 mm / min. As the glass substrate, "MICROSLIDE GLASS" available from Matsunami Glass Co., Ltd. can be used. The same method can be adopted in the following embodiments.

본 명세서에 개시되는 보호 시트는 또한 유리판에 부착하여 30분 후에 박리 각도 180°, 인장 속도 10m/분의 조건에서 측정되는 고속 박리 강도(PH)가 3N/20mm 이하(보다 바람직하게는 2.5N/20mm 이하, 예를 들어 2N/20mm 이하, 전형적으로는 1.5N/20mm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고속 박리 강도(PH)를 나타내는 보호 시트는 유리판 그 외의 피착체(피처리재)로부터 박리될 때 보호 시트의 파단(조각)이나 점착제 잔류가 발생하기 어렵고, 피착체에 가해지는 부하도 작다. 따라서 박리 작업성이 우수하다. 고속 박리 강도(PH)의 하한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통상은 고속 박리 강도(PH)가 0.05N/20mm 이상(전형적으로는 0.1N/20mm 이상)인 것이 적당하다.The protective sheet disclosed in this specification also has a high peel strength (P H ) measured at a peel angle of 180 ° and a tensile speed of 10 m / min after 30 minutes by being attached to a glass plate of 3 N / 20 mm or less (more preferably 2.5 N / 20 mm or less, for example, 2 N / 20 mm or less, typically 1.5 N / 20 mm or less). The protective sheet showing such a high peel strength (P H ) is less prone to rupture (fragmentation) or residual adhesive of the protective sheet when peeled off from the glass plate or other adherend (article to be treated), and the load applied to the adherend is small . Therefore, the peeling workability is excellent. The lower limit of the high peel strength (P H ) is not particularly limited, but it is usually appropriate that the high peel strength (P H ) is 0.05 N / 20 mm or more (typically 0.1 N / 20 mm or more).

고속 박리 강도(PH)의 측정은 인장 속도를 10m/분으로 하는 것 외에는 저속 박리 강도(PL)의 측정과 마찬가지로 하여 행할 수 있다. 후술하는 실시예에 있어서도 마찬가지의 방법을 채택할 수 있다.The measurement of the high-speed peel strength (P H ) can be carried out in the same manner as the measurement of the low-speed peel strength (P L ) except that the tensile speed is 10 m / min. The same method can be adopted in the following embodiments.

본 명세서에 개시되는 보호 시트는 상기 고속 박리 강도(PH)에 대한 상기 저속 박리 강도(PL)의 비(PL/PH)가 0.5보다 큰 것이 바람직하고, 1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PL/PH가 0.5보다 큰 보호 시트는 저속에서의 박리가 무거운 데 비하면 고속에서의 박리가 가볍다. 따라서, 약액 침입 방지성과 박리 작업성을 밸런스 좋게 양립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점착제의 겔분율이 60질량% 미만(전형적으로는 50질량% 이하)이어도 보호 시트를 박리할 때 보호 시트의 신장이나 점착제 잔류가 일어나기 어렵다. 본 명세서에 개시되는 보호 시트의 바람직한 일 형태에서는 PL/PH가 2 이상(보다 바람직하게는 3 이상, 예를 들어 4 이상)이다. 이러한 보호 시트에 의하면, 약액 침입 방지성과 박리 작업성을 보다 고레벨로 양립시킬 수 있다.The protective sheet disclosed in this specification preferably has a ratio (P L / P H ) of the low peel strength (P L ) to the high peel strength (P H ) of more than 0.5, more preferably 1 or more. A protective sheet having a P L / P H of more than 0.5 is light in peeling at a high speed as compared with a heavy peeling at a low speed. Therefore, it is possible to balance both the prevention of the penetration of the chemical liquid and the peeling workability. For example, even if the gel fraction of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is less than 60 mass% (typically 50 mass% or less), elongation of the protective sheet or adhesive residue is unlikely to occur when the protective sheet is peeled off. In one preferred form of the protective sheet disclosed in this specification, P L / P H is 2 or more (more preferably 3 or more, for example, 4 or more). According to such a protective sheet, it is possible to achieve both the prevention of chemical solution penetration and the peeling workability at a higher level.

본 명세서에 개시되는 보호 시트는 그 온도 25℃에서의 MD(Machine Direction)에의 10% 연신시의 강도(TM25) 및 동일 온도에 있어서의 TD(Transverse Direction; MD에 직교하는 방향)에의 10% 연신시의 강도(TT25) 중 적어도 한쪽이 1N/cm 내지 25N/cm인 것이 바람직하다. TM25 및 TT25의 양쪽이 전술한 10% 연신시의 강도의 수치 범위를 만족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10% 연신시의 강도(TM25, TT25)가 1N/cm 이상인 것에 의해, 보호 시트는 적당한 경도를 가지므로 취급성이 좋다. 예를 들어 피착체에 부착할 때 주름이나 들뜸, 꼬임 등이 발생하기 어려워지고, 부착을 하기 쉽다. 또한, 보호 시트는 소정 이상의 강도를 갖기 때문에 박리시에 보호 시트가 끊어진다는 문제의 발생이 방지되어 박리 작업성이 좋다. 10% 연신시의 강도(TM25, TT25)는 바람직하게는 22N/cm 이하(예를 들어 20N/cm 이하, 전형적으로는 18N/cm 이하)이다. 보호 시트의 10% 연신시의 강도(TM25, TT25)가 25N/cm 이하인 것에 의해, 피착체의 표면이 단차를 갖는 경우이어도 그 표면 형상에 양호하게 추종할 수 있고, 약액 침입 방지성이 우수하다.The protective sheet disclosed herein has a strength (T M25 ) at 10% stretching to a MD (Machine Direction) at 25 ° C and a tensile strength of 10% at a temperature of 25 ° C and a TD (Transverse Direction; And at least one of the strength (T T25 ) at the time of stretching is preferably 1 N / cm to 25 N / cm. It is more preferable that both T M25 and T T25 satisfy the numerical range of the strength at the time of 10% stretching as described above. When the tensile strength (T M25 , T T25 ) at 10% stretching is 1 N / cm or more, the protective sheet has a suitable hardness and is therefore easy to handle. For example, it is difficult to cause wrinkles, peeling, twisting, or the like when adhering to an adherend, and it is easy to adhere. Further, since the protective sheet has a predetermined strength or more, the problem that the protective sheet is broken at the time of peeling is prevented, and the peeling workability is good. The strength (T M25 , T T25 ) at 10% stretching is preferably not more than 22 N / cm (for example, not more than 20 N / cm, typically not more than 18 N / cm). Since the strength (T M25 , T T25 ) of the protective sheet at 10% stretching is 25 N / cm or less, even if the surface of the adherend has a step, it can be well followed to its surface shape, great.

여기서, 상기 10% 연신시의 강도(인장 장력)란 JIS K7127에 준거하여 온도 25℃에서 각 측정 방향(TM25, TT25)을 따라 잘라내진 폭 10mm의 시험편을 인장 속도 300mm/분의 조건에서 10% 연신하였을 때의 인장 장력을 말한다.The tensile strength at 10% elongation was measured at a temperature of 25 占 폚 in accordance with JIS K7127 along a measuring direction (T M25 , T T25 ) and a test piece having a width of 10 mm at a tensile rate of 300 mm / min Refers to the tensile strength at 10% elongation.

본 명세서에 개시되는 보호 시트는 상기 보호 시트의 박리 작업성이나 취급성 등의 관점에서 온도 25℃에서의 MD에 대한 굽힘 강성값(DM25) 및 동일 온도에 있어서의 TD에 대한 굽힘 강성값(DT25) 중 적어도 한쪽이 1.5×10-5Pa·m3 이상(예를 들어 2×10-5Pa·m3 이상, 전형적으로는 3×10-5Pa·m3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표면 형상 추종성 등의 관점에서 DM25 및 DT25 중 적어도 한쪽이 10×10-5Pa·m3 이하(예를 들어 9.5×10-5Pa·m3 이하, 전형적으로는 9×10-5Pa·m3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DM25 및 DT25의 양쪽이 전술한 굽힘 강성값의 수치 범위를 만족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The protective sheet disclosed in this specification has a flexural rigidity value (D M25 ) for MD at 25 ° C and a bending stiffness value for TD at the same temperature from the viewpoint of peeling workability and handling property of the protective sheet D T25 ) is preferably at least 1.5 × 10 -5 Pa · m 3 (for example, at least 2 × 10 -5 Pa · m 3 , typically at least 3 × 10 -5 Pa · m 3 ) . In addition, the surface shape from the viewpoints of followability at least one of D M25 and D T25 10 × 10 -5 Pa · m 3 or less (for example, 9.5 × 10 -5 Pa · m 3 or less, typically from 9 × 10 - 5 Pa · m 3 or less). It is more preferable that both of D M25 and D T25 satisfy the numerical ranges of the bending stiffness values described above.

굽힘 강성값(DM25)은 기재의 두께를 h 및 상기 기재의 포와송비를 V라 하고, 보호 시트의 온도 25℃에서의 MD에의 인장 탄성률을 EM25라 한 경우에, 식:The bending stiffness value (D M25 ) is determined by the following formula when the thickness of the base material is h and the foaming ratio of the base material is V and the tensile elastic modulus of the protective sheet to MD at 25 캜 is E M25 :

DM25=EM25h3/12(1-V2); D M25 = E M25 h 3/ 12 (1-V 2);

에 의해 구해지는 값이다. 굽힘 강성값(DT25)에 대해서도 DM25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하여 TD에의 인장 탄성률(ET25)을 이용하여 구해진다. 또한, 점착제층의 굽힘 강성값은 기재의 굽힘 강성값에 비해 매우 작기 때문에, 보호 시트의 굽힘 강성값은 기재의 굽힘 강성값과 거의 동등해질 수 있다. 따라서, 보호 시트의 굽힘 강성값(DM25, DT25)은 보호 시트를 구성하는 기재의 단면적당으로 환산한 값을 말하는 것으로 한다. 기재의 단면적은 기재의 두께에 기초하여 산출된다. 기재의 두께(h)는 보호 시트의 두께의 실측값으로부터 점착제층의 두께를 차감한 값으로 한다. 포와송비(V)는 기재의 재질에 따라 정해지는 값(무차원수)이며, 상기 재질이 수지인 경우에는 통상 V의 값으로서 0.35를 채택할 수 있다.. The bending stiffness value (D T25 ) is also obtained by using the tensile modulus of elasticity (E T25 ) to TD in the same manner as in the case of D M25 . Further, since the bending stiffness value of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is very small as compared with the bending stiffness value of the base material, the bending stiffness value of the protective sheet can be made substantially equal to the bending stiffness value of the base material. Therefore, the flexural rigidity values (D M25 , D T25 ) of the protective sheet are values converted into per unit area of the substrate constituting the protective sheet.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substrate is calculated based on the thickness of the substrate. The thickness (h) of the substrate is a value obtained by subtracting the thickness of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from the measured value of the thickness of the protective sheet. The Poisson's ratio (V) is a value determined according to the material of the base material (dimensionless number). When the material is a resin, 0.35 can be generally adopted as the value of V.

본 명세서에 개시되는 보호 시트는 온도 25℃에서의 MD에의 인장 탄성률(EM25) 및 동일 온도에 있어서의 TD에의 인장 탄성률(ET25) 중 적어도 한쪽이 바람직하게는 50MPa 이상(예를 들어 100MPa 이상, 전형적으로는 150MPa 이상)이다. 이 보호 시트는 상온 환경하에 있어서의 취급성이 우수한 것이 되기 쉽다. 또한, 보호 시트의 EM25, ET25는 9000MPa 이하(예를 들어 8000MPa 이하, 전형적으로는 4000MPa 이하)로 할 수 있다. 이러한 보호 시트는 굽힘 강성값(DM25, DT25)이 적당한 값이 되기 쉽다. 그 때문에, 단차가 있는 표면에 대해서도 밀착성이 우수한 것이 되기 쉽다.At least one of the tensile elastic modulus (E M25 ) to the MD at 25 ° C and the tensile elastic modulus to TD (E T25 ) at the same temperature is preferably 50 MPa or more (for example, 100 MPa or more , Typically at least 150 MPa). This protective sheet tends to have excellent handling properties under a normal temperature environment. E M25 and E T25 of the protective sheet may be 9000 MPa or less (for example, 8000 MPa or less, typically 4000 MPa or less). The bending stiffness value (D M25 , D T25 ) of such a protective sheet tends to be an appropriate value. As a result, the surface having a step difference easily tends to be excellent in adhesion.

보호 시트의 인장 탄성률(EM25, ET25)은 보호 시트로부터 MD 또는 TD를 따라 소정 폭의 시험편을 잘라내고, JIS K7161에 준거하여 온도 25℃에서 시험편을 인장 속도 300mm/분의 조건에서 MD 또는 TD에 연신하여 얻어진 응력-왜곡 곡선의 선형 회귀로부터 산출할 수 있다. 또한, 점착제층의 인장 탄성률은 기재의 인장 탄성률에 비하여 매우 작기 때문에, 보호 시트의 인장 탄성률은 기재의 인장 탄성률과 거의 동등해질 수 있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있어서 보호 시트의 인장 탄성률(EM25, ET25)은 그 보호 시트를 구성하는 기재의 단면적당 환산한 값을 말하는 것으로 한다. 기재의 단면적은 기재의 두께에 기초하여 산출된다. 기재의 두께는 보호 시트의 두께의 실측값으로부터 점착제층의 두께를 차감한 값으로 한다.The tensile modulus (E M25 , E T25 ) of the protective sheet was measured by cutting a test piece having a predetermined width along the MD or TD from the protective sheet and measuring the tensile modulus of the MD or the test piece at a temperature of 25 캜 according to JIS K7161 at a tensile rate of 300 mm / TD can be calculated from the linear regression of the stress-strain curve obtained by stretching. Further, since the tensile modulus of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is very small as compared with the tensile modulus of the substrate, the tensile modulus of the protective sheet can be almost equal to the tensile modulus of the substrate. Therefore,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tensile modulus of elasticity (E M25 , E T25 ) of the protective sheet refers to a value obtained by converting per unit area of the substrate constituting the protective sheet.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substrate is calculated based on the thickness of the substrate. The thickness of the substrate is a value obtained by subtracting the thickness of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from the measured value of the thickness of the protective sheet.

기재의 10% 연신시의 강도, 소정 온도에 있어서의 굽힘 강성값 및 인장 탄성률은 전술한 바와 같이 보호 시트의 10% 연신시의 강도, 소정 온도에 있어서의 굽힘 강성값 및 인장 탄성률과 거의 동등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특성의 각각을 만족하는 보호 시트는 예를 들어 기재의 종류(예를 들어 배합 성분이나 배합 비율), 두께 등을 선정함으로써 얻을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strength at 10% stretching of the substrate, the flexural rigidity at a predetermined temperature, and the tensile elastic modulus are almost equal to the strength at 10% stretching of the protective sheet, the flexural rigidity at a predetermined temperature and the tensile elastic modulus . Therefore, the protective sheet that satisfies each of the above characteristics can be obtained, for example, by selecting the kind of the substrate (for example, the blending component and the blending ratio), the thickness, and the like.

보호 시트는 그 사용 전(피착체에 대한 부착 전)에는 점착제층의 표면 상에 박리 라이너가 배치된 박리 라이너를 갖는 보호 시트의 형태일 수 있다. 박리 라이너가 점착면 상에 배치되어 있고, 그 점착면에 대향하는 표면(박리면)이 평활성이 우수한 경우, 보호 시트의 사용시까지 점착제 표면(점착면)의 평활성을 보다 안정되게 유지할 수 있다.The protective sheet may be in the form of a protective sheet having a release liner on which a release liner is disposed before use (before attachment to an adherend) on the surface of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When the release liner is disposed on the adhesive surface and the surface (release surface) opposed to the adhesive surface is excellent in smoothness, the smoothness of the surface (pressure-sensitive adhesive surface) of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can be more stably maintained until the protective sheet is used.

상기 박리 라이너로서는 각종 종이(표면에 수지가 라미네이트된 종이일 수 있음), 수지 필름 등을 특별히 한정 없이 이용할 수 있다. 박리 라이너로서 수지 필름을 이용하는 경우, 상기 수지 필름을 구성하는 수지 성분의 적합예로서는 폴리올레핀 수지, PET 등의 폴리에스테르 수지, 폴리아미드 수지, 폴리카르보네이트 수지, 폴리우레탄 수지 등을 들 수 있다. 이러한 수지의 1종류를 단독으로 포함하는 수지 재료를 포함하는 박리 라이너이어도 되고, 2종 이상의 수지(예를 들어 PE와 PP)가 블렌드된 수지 재료를 포함하는 박리 라이너이어도 된다. 이러한 박리 라이너용 수지 필름은 기재용 수지 시트와 마찬가지로 일반적인 필름 성형 방법을 적절히 채택하여 제조될 수 있다. 박리 라이너의 구조는 단층이어도 되고, 2층 이상의 다층 구조이어도 된다.As the release liner, various kinds of paper (the surface may be resin-laminated paper), a resin film, and the like can be used without particular limitation. When a resin film is used as the release liner, examples of suitable resin components constituting the resin film include polyolefin resins, polyester resins such as PET, polyamide resins, polycarbonate resins, and polyurethane resins. A release liner including a resin material containing one type of such resin alone, or a release liner including a resin material in which two or more resins (for example, PE and PP) are blended. Such a resin film for a release liner can be produced by suitably adopting a general film molding method as in the resin sheet for a substrate. The structure of the release liner may be a single layer or a multilayer structure of two or more layers.

기재 상에 점착제층을 형성하는 방법으로서 전사법을 채택하는 경우, 전사 시트 및 박리 라이너에 동일한 것을 이용하여도 된다. 예를 들어 전사 시트의 박리면 상에 형성된 점착제층에 기재를 접합하여 상기 기재에 점착제층을 전사하고, 이 전사 시트를 그대로 점착제층 상에 남겨 박리 라이너로서 이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전사 시트가 박리 라이너를 겸하는 형태는 생산성 향상, 재료 비용 저감, 폐기물량 삭감 등의 관점에서 바람직하다.When a transfer method is adopted as a method of forming a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on a substrate, the same one may be used for the transfer sheet and the release liner. For example, a base material may be bonded to a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formed on a release face of a transfer sheet to transfer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to the base material, and the transfer sheet may be left on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to be used as a release liner. The form in which the transfer sheet serves also as the release liner is preferable from the viewpoints of productivity improvement, material cost reduction, and waste reduction.

박리 라이너의 두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대략 5㎛ 내지 500㎛(예를 들어 대략 10㎛ 내지 200㎛, 전형적으로는 대략 30㎛ 내지 200㎛)일 수 있다. 박리 라이너의 박리면(점착면에 접하여 배치되는 면)에는 필요에 따라 종래 공지의 박리제(예를 들어 일반적인 실리콘계, 장쇄 알킬계, 불소계 등)에 의한 박리 처리가 실시되어 있어도 된다. 상기 박리면의 배면은 박리 처리되어 있어도 되고, 박리 처리 이외의 표면 처리가 실시되어 있어도 되고, 처리되어 있지 않아도 된다.The thickness of the release liner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may be approximately 5 占 퐉 to 500 占 퐉 (for example, approximately 10 占 퐉 to 200 占 퐉, typically approximately 30 占 퐉 to 200 占 퐉). The release surface of the release liner (the surface disposed in contact with the adhesive surface) may be subjected to a release treatment by a conventionally known release agent (for example, a general silicone system, a long chain alkyl system, a fluorine system, etc.) if necessary. The back surface of the release surface may be subjected to a peeling treatment or may be subjected to surface treatment other than the peeling treatment or may not be treated.

박리 라이너 중 점착제층 상에 배치되는 측의 표면의 산술 평균 표면 조도는 0.05㎛ 내지 0.75㎛(예를 들어 대략 0.05㎛ 내지 0.5㎛, 전형적으로는 대략 0.1㎛ 내지 0.3㎛)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의해, 보호 시트의 사용시까지 점착제 표면(점착면)의 평활성을 높게 유지할 수 있다. 점착면의 평활성이 높은 것은 점착제와 피착체의 계면으로부터의 약액 침입을 방지하는 데 있어서 유리하다. 또한, 점착제 잔류 방지의 관점에서도 바람직하다. 마찬가지의 이유로부터 점착제층의 표면(점착면)을 기재의 배면에 접촉시킴으로써 보호 시트의 사용시까지 점착면을 보호하는 형태의 보호 시트에서는, 상기 기재의 배면의 산술 평균 표면 조도가 0.05㎛ 내지 0.75㎛(예를 들어 대략 0.05㎛ 내지 0.5㎛, 전형적으로는 대략 0.1㎛ 내지 0.3㎛)인 것이 바람직하다.The arithmetic mean surface roughness of the surface of the releasing liner disposed on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is preferably 0.05 탆 to 0.75 탆 (for example, approximately 0.05 탆 to 0.5 탆, typically approximately 0.1 탆 to 0.3 탆). Thereby, the smoothness of the surface of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pressure-sensitive adhesive surface) can be kept high until the protective sheet is used. The high smoothness of the adhesive surface is advantageous in preventing the penetration of the chemical liquid from the interface between the adhesive and the adherend. It is also preferable from the standpoint of prevention of residual adhesive. For the same reason, in a protective sheet in which the surface of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pressure-sensitive adhesive surface) is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back surface of the substrate to protect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surface until the protective sheet is used, the arithmetic mean surface roughness of the back surface of the substrate is preferably 0.05 to 0.75 (For example, approximately 0.05 탆 to 0.5 탆, typically approximately 0.1 탆 to 0.3 탆).

본 명세서에 개시되는 보호 시트는 피착체의 원하는 부위에 부착하여 그 부위를 보호하기 위한 보호 시트로 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 보호 시트에 이용되는 점착제는 피착체에 대한 밀착성이 높다. 따라서, 보호 시트의 외측 테두리에 있어서 점착제와 피착체의 계면으로부터 약액(특히 수계의 약액, 전형적으로는 산성의 약액)이 침입하는 것을 방지하는 성능이 우수하다. 이에 의해, 약액에 노출시키는 것을 의도하지 않는 부위에 대한 약액의 침입을 확실하게 저지하고, 그 표면을 보호할 수 있다. 또한, 이와 같이 높은 밀착성과 고속 박리시에 있어서의 경박리성을 겸비하고 있기 때문에, 보호 시트 자체나 피착체를 손상하기 어렵고, 피착체 표면에 대한 점착제 잔류도 발생하기 어렵다. 따라서 박리 작업성이 우수하다.The protective sheet disclosed in this specification can be used as a protective sheet for protecting a portion of the adherend adhered to a desired portion of the adherend. The pressure sensitive adhesive used for this protective sheet has high adhesion to an adherend. Therefore, the performance of preventing the ingress of a chemical liquid (particularly, an aqueous chemical liquid, typically an acidic chemical liquid) from the interface between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and the adherend at the outer edge of the protective sheet is excellent. Thereby, it is possible to reliably prevent the penetration of the chemical solution into the portion where the chemical solution is not intended to be exposed, and to protect the surface. In addition, since the high adhesiveness and the light fastness at high speed peeling are combined, the protective sheet itself and the adherend are hardly damaged, and the adhesive remains on the adherend surface hardly. Therefore, the peeling workability is excellent.

이러한 특징을 살려 본 명세서에 개시되는 보호 시트는 예를 들어 유리의 두께를 얇게 하거나 유리의 절단 단면에 형성된 버나 마이크로 균열을 제거하기 위해서 유리를 약액(에칭액)으로 용해하는 에칭 처리, 장식이나 인쇄성 부여를 위해서 금속의 표면을 약액(에칭액)으로 부분적으로 부식시키는 에칭 처리, 회로 기판(프린트 기판, 플렉시블 프린트 기판(FPC) 등)의 접속 단자부 등을 약액(도금액)으로 부분적으로 도금하는 도금 처리 등에 있어서 적절하게 이용될 수 있다.Taking these characteristics into consideration, the protective sheet disclosed in this specification can be applied to, for example, an etching treatment in which a thickness of a glass is reduced or a glass is dissolved in a chemical solution (etching solution) in order to remove burrs or micro cracks formed on a cross- An etching treatment for partially etching the surface of the metal with a chemical solution (etching solution), a plating treatment for partially plating the connection terminal portion of a circuit board (a printed board, a flexible printed board (FPC), or the like) with a chemical solution And can be suitably used.

또한, 예를 들어 피착체의 외측 테두리를 포함하는 범위에 보호 시트를 부착하여 약액 처리를 행하는 경우, 피착체의 외측 테두리(보호 시트가 부착된 영역의 외측 테두리)로부터 약액이 부분적으로 침입하면, 상기 약액의 영향에 의해 피착체의 외측 테두리(에지)의 평활성이 손상될 우려가 있다. 피착체의 에지의 평활성이 손상되면, 특히 유리 기판과 같이 무른 피착체에서는 상기 피착체의 강도가 저하하는 등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개시되는 보호 시트는 상기 보호 시트의 외측 테두리로부터의 약액 침입을 방지하는 성능이 우수하기 때문에, 피착체의 에지의 평활성이 저하하는 현상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Further, for example, when the chemical liquid treatment is performed by attaching the protective sheet to the range including the outer edge of the adherend, when the chemical liquid partially penetrates from the outer edge of the adherend (the outer edge of the area where the protective sheet is adhered) The smoothness of the outer edge (edge) of the adherend may be damaged by the influence of the chemical liquid. If the smoothness of the edge of the adherend is impaired, there may arise a problem that the strength of the adherend is lowered particularly in an adherend such as a glass substrate. The protective sheet disclosed in this specification is excellent in the ability to prevent the penetration of the chemical liquid from the outer edge of the protective sheet, and therefore, the smoothness of the edge of the adherend can be effectively prevented from deteriorating.

<실시예><Examples>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몇 가지 실시예를 설명하지만, 본 발명을 이러한 구체예에 나타내는 것에 한정하는 것을 의도한 것은 아니다. 또한, 이하의 설명 중의 「부」 및 「%」는 특별히 언급이 없는 한 질량 기준이다.Hereinafter, some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intended to be limited to those shown in these embodiments.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quot; part &quot; and &quot;% &quot; are based on mass unless otherwise specified.

[기재의 제작][Production of substrate]

<제조예 1>&Lt; Preparation Example 1 &

폴리프로필렌(PP) 80부, 폴리에틸렌(PE) 10부 및 에틸렌프로필렌 고무(EPR) 10부의 혼합물을 T 다이법으로 압출하고, 두께 40㎛의 필름 형상 기재(PP/PE/EPR 블렌드 필름) A를 얻었다. 기재 A의 편면에는 코로나 방전 처리를 실시하였다.A film substrate (PP / PE / EPR blend film) A having a thickness of 40 占 퐉 was extruded by a T-die method to obtain a film-shaped substrate (PP / PE / EPR blend film) . A corona discharge treatment was applied to one surface of the substrate A.

여기서, PP로서는 수지 밀도 0.905의 결정성 호모 폴리프로필렌과 수지 밀도 0.900의 랜덤 폴리프로필렌을 1:1의 질량비로 사용하였다. PE로서는 도소(주)제의 저밀도 폴리에틸렌 「페트로센(등록 상표) 205」를 사용하였다. EPR로서는 미츠이가가쿠(주)제의 「타프머(등록 상표) P0180」을 사용하였다.As the PP, crystalline homopolypropylene having a resin density of 0.905 and random polypropylene having a resin density of 0.900 were used in a mass ratio of 1: 1. As the PE, a low density polyethylene &quot; Petrosen (registered trademark) 205 &quot; manufactured by TOSOH CORPORATION was used. As the EPR, "TFMER (registered trademark) P0180" manufactured by Mitsui Chemicals, Inc. was used.

<제조예 2>&Lt; Preparation Example 2 &

저밀도 폴리에틸렌(도소(주)제 「페트로센(등록 상표) 180」)을 인플레이션 성형기에 의해 다이스 온도 160℃의 조건에서 성형함으로써 두께 60㎛의 필름 형상 기재(PE 필름) B1을 얻었다. 기재 B1의 편면에는 코로나 방전 처리를 실시하였다.(PE film) B1 having a thickness of 60 占 퐉 was obtained by molding low-density polyethylene ("Petrocene (registered trademark) 180" manufactured by Tosoh Corporation) under the condition of a die temperature of 160 ° C by an inflation molding machine. Corona discharge treatment was applied to one surface of the substrate B1.

<제조예 3>&Lt; Preparation Example 3 &

저밀도 폴리에틸렌(도소(주)제 「페트로센(등록 상표) 180」)을 인플레이션 성형기에 의해 다이스 온도 160℃의 조건에서 성형함으로써 두께 40㎛의 필름 형상 기재(PE 필름) B2를 얻었다. 기재 B2의 편면에는 코로나 방전 처리를 실시하였다.(PE film) B2 having a thickness of 40 占 퐉 was obtained by molding low-density polyethylene ("Petrocene (registered trademark) 180" manufactured by Tosoh Corporation) under the condition of a die temperature of 160 ° C by an inflation molding machine. A corona discharge treatment was applied to one side of the substrate B2.

[점착제 조성물의 제조][Preparation of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제조예 1>&Lt; Preparation Example 1 &

냉각관, 질소 도입관, 온도계 및 교반 장치를 구비한 반응 용기에 중합 용매로서 톨루엔 263부, 단량체 원료로서 2-에틸헥실아크릴레이트(2EHA) 100부, 아세트산비닐(VAc) 80부 및 아크릴산(AA) 5부, 과산화물계 중합 개시제로서 벤조일퍼옥시드(BPO, 니치유(주)제 「나이퍼(등록 상표) BW」) 0.3부를 넣고, 질소 환류를 실온에서 1시간 행하였다. 이어서, 용기 내용물의 온도를 63℃로 승온하고, 질소 기류 중에서 중합을 6시간 행하였다. 그 후, 용기 내용물의 온도를 80℃로 승온하여 6시간 숙성하고, 아크릴계 중합체 A의 용액을 얻었다. 이와 같이 하여 얻은 아크릴계 중합체 A 용액의 고형분 100부에 대하여 박리 조정제로서 폴리옥시에틸렌알킬에테르인산에스테르(도호가가쿠고교(주)제 「포스파놀(등록 상표) RL-210」, HLB 5.4) 0.3부, 가교제로서 이소시아네이트계 가교제(닛폰폴리우레탄고교(주)제 「코로네이트(등록 상표) L」) 5부를 배합하고, 고형분이 20%가 되도록 톨루엔을 첨가하여 점착제 조성물 A를 얻었다. 또한, Fox의 식으로부터 산출되는 아크릴계 중합체 A의 Tg는 -32℃이다.263 parts of toluene as a polymerization solvent, 100 parts of 2-ethylhexyl acrylate (2EHA) as a monomer raw material, 80 parts of vinyl acetate (VAc) and 100 parts of acrylic acid (AA) were added to a reaction vessel equipped with a stirrer, a thermometer, ) And 0.3 part of benzoyl peroxide (BPO, "NIPHER (registered trademark) BW" manufactured by Nippon Oil Co., Ltd.) as a peroxide-based polymerization initiator, and nitrogen reflux was carried out at room temperature for 1 hour. Subsequently, the temperature of the container contents was raised to 63 캜, and polymerization was carried out in a nitrogen stream for 6 hours. Thereafter, the temperature of the container contents was raised to 80 캜 and aged for 6 hours to obtain a solution of the acrylic polymer A. To 100 parts of the solid content of the acrylic polymer solution thus obtained, 0.3 part of polyoxyethylene alkyl ether phosphate ("Phospholone (registered trademark) RL-210" manufactured by Tohoku Kagaku Kogyo Co., Ltd., HLB 5.4) And 5 parts of an isocyanate crosslinking agent ("Coronate (registered trademark) L", manufactured by Nippon Polyurethane Industry Co., Ltd.) as a crosslinking agent were blended, and toluene was added so as to have a solid content of 20% to obtain a pressure- The Tg of the acrylic polymer A calculated from the Fox equation is -32 占 폚.

<제조예 2>&Lt; Preparation Example 2 &

제조예 1에 있어서 「포스파놀(등록 상표) RL-210」 0.3부 대신에 「포스파놀(등록 상표) RM-410」(도호가가쿠고교(주)제의 폴리옥시에틸렌알킬에테르인산에스테르, HLB 5.8) 1부를 박리 조정제로서 사용하였다. 그 밖의 점은 제조예 1과 마찬가지로 하여 점착제 조성물 B를 얻었다.(Registered trademark) RM-410 (manufactured by Toho Chemical Industry Co., Ltd., polyoxyethylene alkyl ether phosphoric acid ester, HLB (trade name) manufactured by Toho Chemical Industry Co., Ltd.) was used in place of 0.3 part of "Phosphanol 5.8) was used as a peel adjustment agent. In the other respects,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B was obtained in the same manner as in Production Example 1.

<제조예 3>&Lt; Preparation Example 3 &

제조예 2에 있어서 아크릴계 중합체 A 용액의 고형분 100부에 대하여 박리 조정제로서의 폴리옥시에틸렌스테아릴아민(니찌유(주)제 「나이민(등록 상표) S-204」, HLB 8.0) 2부와, 염화비닐계 공중합체(Tg 64℃, 중량 평균 분자량 약 18000) 15부를 더 배합하였다. 그 밖의 점은 제조예 2와 마찬가지로 하여 점착제 조성물 C를 얻었다.In Production Example 2, 2 parts of polyoxyethylene stearylamine ("NAIMIN (registered trademark) S-204", HLB 8.0) as a peeling adjustment agent was added to 100 parts of the solid content of the acrylic polymer A solution, 15 parts of a vinyl chloride-based copolymer (Tg 64 DEG C, weight average molecular weight: about 18,000) were further blended. In the other respects,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C was obtained in the same manner as in Production Example 2.

<제조예 4>&Lt; Preparation Example 4 &

제조예 1과 마찬가지로 하여 얻어진 아크릴계 중합체 A 용액의 고형분 100부에 대하여 가교제로서 이소시아네이트계 가교제(닛폰폴리우레탄고교(주)제 「코로네이트(등록 상표) L」) 5부를 배합하고, 고형분이 20%가 되도록 톨루엔을 첨가하여 점착제 조성물 D를 얻었다.5 parts of an isocyanate crosslinking agent ("Coronate (registered trademark) L", manufactured by Nippon Polyurethane Industry Co., Ltd.) as a crosslinking agent was blended with 100 parts of the solid content of the acrylic polymer A solution obtained in the same manner as in Production Example 1, To obtain a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D. &lt; tb &gt; &lt; TABLE &gt;

<제조예 5>&Lt; Production Example 5 &

제조예 1과 마찬가지로 하여 얻어진 아크릴계 중합체 A 용액의 고형분 100부에 대하여 가교제로서 에폭시계 가교제(미츠비시가스가가쿠(주)제, 「TETRAD(등록 상표)-C」) 2부를 배합하고, 고형분이 20%가 되도록 톨루엔을 첨가하여 점착제 조성물 E를 얻었다.2 parts of an epoxy crosslinking agent ("TETRAD (registered trademark) -C" manufactured by Mitsubishi Gas Chemical Co., Ltd.) as a crosslinking agent was blended with 100 parts of the solid content of the acrylic polymer A solution obtained in the same manner as in Production Example 1, %, To obtain a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E. &lt; tb &gt; &lt; TABLE &gt;

<제조예 6>&Lt; Production Example 6 &

냉각관, 질소 도입관, 온도계, 적하 깔때기 및 교반 장치를 구비한 반응 용기에 중합 용매로서 톨루엔 182부, 단량체 원료로서 2-에틸헥실아크릴레이트(2EHA) 100부 및 2-히드록시에틸아크릴레이트(HEA) 4부, 아조계 중합 개시제로서 2,2'-아조비스(2-메틸프로피오니트릴)(와코쥰야쿠고교(주)제, AIBN) 0.2부를 넣고, 질소 환류를 실온에서 1시간 행하였다. 이어서, 용기 내용물의 온도를 61℃에 승온하고, 질소 기류 중에서 중합을 5시간 행하였다. 그 후, 용기 내용물의 온도를 70℃에 승온하여 5시간 숙성하여 아크릴계 중합체 F의 용액을 얻었다. 이와 같이 하여 얻은 아크릴계 중합체 F 용액의 고형분 100부에 대하여 가교제로서 이소시아네이트계 가교제(닛폰폴리우레탄고교(주)제 「코로네이트(등록 상표) L」) 4부, 가교 촉진제로서 디옥틸주석디라우릴레이트(도쿄파인케미컬(주)제 「엔비라이저 OL-1」) 0.02부를 배합하고, 용제로서 아세틸아세톤을 전체 용제량의 4%가 되도록 첨가하고, 또한 고형분이 20%가 되도록 톨루엔을 첨가하여 점착제 조성물 F를 얻었다. 또한, Fox의 식으로부터 산출되는 아크릴계 중합체 F의 Tg는 -68.3℃이다.182 parts of toluene as a polymerization solvent, 100 parts of 2-ethylhexyl acrylate (2EHA) as a monomer raw material, and 2 parts of 2-hydroxyethyl acrylate (2 parts by weight) were added to a reaction vessel equipped with a stirrer, a cooling tube, a nitrogen introduction tube, a thermometer, a dropping funnel, HEA) and 0.2 part of 2,2'-azobis (2-methylpropionitrile) (manufactured by Wako Pure Chemical Industries, Ltd., AIBN) as an azo-based polymerization initiator were put and nitrogen reflux was conducted at room temperature for 1 hour . Then, the temperature of the container contents was raised to 61 DEG C, and polymerization was carried out in a nitrogen stream for 5 hours. Thereafter, the temperature of the container contents was raised to 70 캜 and aged for 5 hours to obtain a solution of the acrylic polymer F. As a crosslinking agent, 4 parts of an isocyanate crosslinking agent ("Coronate (registered trademark) L" manufactured by Nippon Polyurethane Industry Co., Ltd.) as a crosslinking agent, 4 parts of dioctyl tin dilaurate as a crosslinking accelerator , 0.02 part of "Envisizer OL-1" manufactured by Tokyo Fine Chemical Co., Ltd.), acetyl acetone as a solvent was added so as to be 4% of the total solvent amount, toluene was added so that the solid content became 20% Composition F was obtained. The Tg of the acrylic polymer F calculated from the Fox equation is -68.3 占 폚.

[보호 시트의 제작][Production of protective sheet]

<예 1><Example 1>

기재 A를 2장 준비하였다. 1매째의 기재 A의 코로나 처리면에 점착제 조성물 A를 도포 부착하고, 80℃에서 1분간 건조시켜 두께 약 10㎛의 점착제층을 형성하였다. 이 점착제층에 박리 라이너로서 2매째의 기재 A의 비코로나 처리면을 접합하고, 50℃에서 2일간(48시간) 에이징하여 본 예에 관한 보호 시트를 얻었다.Two substrates A were prepared. A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A was coated on the corona-treated surface of the first substrate A and dried at 80 DEG C for 1 minute to form a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having a thickness of about 10 mu m. The non-corona treated surface of the second substrate A as a release liner was bonded to this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and aged at 50 캜 for 2 days (48 hours) to obtain a protective sheet according to this example.

<예 2><Example 2>

기재 C로서 두께 38㎛의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름(도레이(주)제 「루미러(등록 상표) S-10」)을 준비하였다. 이 기재 C의 편면에 점착제 조성물 B를 도포 부착하고, 80℃에서 1분간 건조시켜 두께 약 10㎛의 점착제층을 형성하였다. 이 점착제층에 박리 라이너로서 편면이 실리콘계 박리제로 처리된 두께 38㎛의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름(미츠비시가가쿠폴리에스테르 필름(주)제, 「다이어포일(등록 상표) MRF38」)의 실리콘 처리면을 접합하고, 50℃에서 2일간 에이징하여 본 예에 관한 보호 시트를 얻었다.A polyethylene terephthalate film ("Lumirror (registered trademark) S-10" manufactured by Toray Industries, Inc.) having a thickness of 38 mu m was prepared as the base material C. A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B was coated on one side of the base material C and dried at 80 DEG C for 1 minute to form a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having a thickness of about 10 mu m. This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was laminated with a silicone-treated surface of a 38 占 퐉 -thick polyethylene terephthalate film ("Diapholle (registered trademark) MRF38" manufactured by Mitsubishi Kagaku Polyester Film Co., Ltd.), one side of which was treated with a silicone- And aged at 50 DEG C for 2 days to obtain a protective sheet according to this example.

<예 3><Example 3>

기재C의 편면에 점착제 조성물 C를 도포 부착하고, 80℃에서 1분간 건조시켜 두께 약 10㎛의 점착제층을 형성하였다. 이 점착제층에 박리 라이너로서 편면이 실리콘계 박리제로 처리된 두께 38㎛의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름(미츠비시가가쿠폴리에스테르 필름(주)제, 「다이어포일(등록 상표) MRF38」)의 실리콘 처리면을 접합하고, 50℃에서 2일간 에이징하여 본 예에 관한 보호 시트를 얻었다.A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C was coated on one side of the substrate C and dried at 80 DEG C for 1 minute to form a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having a thickness of about 10 mu m. This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was laminated with a silicone-treated surface of a 38 占 퐉 -thick polyethylene terephthalate film ("Diapholle (registered trademark) MRF38" manufactured by Mitsubishi Kagaku Polyester Film Co., Ltd.), one side of which was treated with a silicone- And aged at 50 DEG C for 2 days to obtain a protective sheet according to this example.

<예 4><Example 4>

기재 B1을 2장 준비하였다. 1매째의 기재 B1의 코로나 처리면에 점착제 조성물 C를 도포 부착하고, 80℃에서 1분간 건조시켜 두께 약 10㎛의 점착제층을 형성하였다. 이 점착제층에 박리 라이너로서 2매째의 기재 B1의 비코로나 처리면을 접합하고, 50℃에서 2일간 에이징하여 본 예에 관한 보호 시트를 얻었다.Two substrates B1 were prepared. A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C was coated on the corona-treated surface of the first substrate B1 and dried at 80 DEG C for 1 minute to form a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having a thickness of about 10 mu m. The non-corona treated surface of the second substrate B1 as a release liner was bonded to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and aged at 50 DEG C for 2 days to obtain a protective sheet according to this example.

<예 5><Example 5>

기재 B2를 2장 준비하였다. 1매째의 기재 B2의 코로나 처리면에 점착제 조성물 D를 도포 부착하고, 80℃에서 1분간 건조시켜 두께 약 10㎛의 점착제층을 형성하였다. 이 점착제층에 박리 라이너로서 2매째의 기재 B2의 비코로나 처리면을 접합하고, 50℃에서 2일간 에이징하여 본 예에 관한 보호 시트를 얻었다.Two substrates B2 were prepared. A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D was coated on the corona-treated surface of the first substrate B2 and dried at 80 DEG C for 1 minute to form a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having a thickness of about 10 mu m. The non-corona treated side of the second substrate B2 as a release liner was bonded to this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and aged at 50 DEG C for 2 days to obtain a protective sheet according to this example.

<예 6><Example 6>

점착제 조성물 C 대신에 점착제 조성물 E를 이용한 것 이외에는 예 4와 마찬가지로 하여 본 예에 관한 보호 시트를 얻었다.A protective sheet according to this example was obtain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4 except that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E was used in place of the pressure-

<예 7><Example 7>

점착제 조성물 C 대신에 점착제 조성물 F를 이용한 점 및 점착제층의 두께를 약 20㎛로 한 점 이외에는 예 4와 마찬가지로 하여 본 예에 관한 보호 시트를 얻었다.A protective sheet according to this example was obtain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4 except that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F was used in place of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C and the thickness of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was set to about 20 탆.

[겔분율 측정][Measurement of gel fraction]

에이징 후의 보호 시트로부터 채취한 점착제 약 0.1g을 합계 질량(Wa)의 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수지제 다공질 시트(닛토덴코(주)제의 상품명 「니토플론(등록 상표) NTF1122」)와 연실을 이용하여 주머니 형상으로 포장하고, 이 포장의 합계 질량(Wb)을 칭량하였다. 이 포장을 용매(아세트산에틸)에 침지하여 23℃에서 7일간 정치한 후, 120℃에서 2시간 건조시키고, 건조 후에 있어서의 포장의 질량(Wc)을 측정하였다. 상기 Wa, Wb 및 Wc를 이하의 식에 대입하여 점착제의 겔분율을 산출하였다.Approximately 0.1 g of the pressure sensitive adhesive collected from the protective sheet after aging was applied to a porous sheet made of tetrafluoroethylene resin (trade name: "Nitoflon (registered trademark) NTF1122" manufactured by Nitto Denko Corporation) Packed in a bag shape, and the total mass Wb of the package was weighed. The package was immersed in a solvent (ethyl acetate), allowed to stand at 23 占 폚 for 7 days, dried at 120 占 폚 for 2 hours, and the mass (Wc) of the package after drying was measured. The Wa, Wb, and Wc were substituted into the following equations to calculate the gel fraction of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겔분율[%]=(Wc-Wa)/(Wb-Wa)×100Gel fraction [%] = (Wc-Wa) / (Wb-Wa) 100

[약액 침입 방지성 평가][Evaluation for preventing chemical solution penetration]

마츠나미글래스고교(주)제의 유리 기판, 상품명 「MICROSLIDE GLASS」(세로 76mm, 가로 26mm, 두께 1.3mm)를 준비하고, 그 에지(외측 테두리)를 육안으로 관찰하고, 평활한 형상(즉, 요철이 없는 곧은 형상)인 것을 확인하였다. 상기 유리 기판의 표면 및 이면의 각각 전체면에 보호 테이프를 부착하여 시험용 샘플을 제작하였다. 이 샘플을 30분간 정치하였다.A glass substrate made by Matsunami Glass Co., Ltd. "MICROSLIDE GLASS" (length 76 mm, width 26 mm, thickness 1.3 mm) was prepared and its edge (outer edge) was visually observed, A straight shape without irregularities). A protective tape was attached to each of the entire surface and the back surface of the glass substrate to prepare a test sample. The sample was allowed to stand for 30 minutes.

세로 100mm, 가로 100mm, 높이 30mm의 플라스틱 용기에 20% 불산(HF) 수용액 100mL를 주입하고, 그 안에 상기 30분 정치 후의 샘플을 가라앉혀 3시간 정치하였다.A 100 mL of a 20% aqueous solution of hydrofluoric acid (HF) was poured into a plastic container having a length of 100 mm, a width of 100 mm and a height of 30 mm. The sample after 30 minutes was settled therein and allowed to stand for 3 hours.

3시간 경과 후, 폴리에틸렌제 핀셋을 이용하여 상기 20% 불산 수용액 중으로부터 샘플을 취출하고, 충분히 수세한 후, 50℃에서 2시간 건조시켰다.After 3 hours had elapsed, a sample was taken out from the 20% hydrofluoric acid aqueous solution using a tweezers made of polyethylene, sufficiently washed with water, and then dried at 50 DEG C for 2 hours.

건조 후, 유리 기판으로부터 보호 시트를 박리하고, 유리 기판의 표면 및 이면(즉, 보호 시트가 부착되어 있었던 영역)을 육안으로 확인하고, 약액 침입의 유무를 이하의 2 수준으로 평가하였다.After drying, the protective sheet was peeled off from the glass substrate, and the front and back surfaces of the glass substrate (that is, the area where the protective sheet was attached) were visually observed, and the presence or absence of chemical liquid penetration was evaluated at the following two levels.

○: 표면 및 이면의 어느 쪽에도 약액의 침입에 의한 용해는 확인되지 않았다.&Amp; cir &amp;: No dissolution due to the penetration of the chemical solution was observed on either the front surface or the back surface.

×: 표면 및 이면 중 적어도 한쪽에 약액의 침입에 의한 용해가 확인되었다.X: Dissolution by penetration of a chemical solution was confirmed on at least one of the front surface and the back surface.

또한, 유리 기판으로부터 보호 시트를 박리하는 조작은 25℃, 50% RH의 측정 환경하, 작업자가 약 10m/분의 인장 속도로 180° 방향으로 손으로 박리함으로써 행하였다.The operation of peeling the protective sheet from the glass substrate was carried out by manually peeling the protective sheet in the 180 ° direction at a tensile speed of about 10 m / min under the measurement environment of 25 ° C and 50% RH.

[에지의 평활성 평가][Evaluation of smoothness of edge]

상기 약액 침입 방지성 평가에 있어서 보호 시트를 박리한 후의 유리 기판의 에지를 다시 육안으로 관찰하고, 에지의 평활성을 이하의 2 수준으로 평가하였다.The edge of the glass substrate after the protective sheet was peeled off in the chemical liquid penetration prevention evaluation was visually observed again and the smoothness of the edge was evaluated at the following two levels.

○: 에지가 요철이 없는 곧은 형상이었다.A: The edge had a straight shape without irregularities.

×: 에지에 요철이 보였다.X: Unevenness was seen on the edge.

[박리 작업성 평가][Evaluation of peeling workability]

상기 약액 침입 방지성 평가에 있어서 보호 시트를 유리판으로부터 박리할 때의 작업성을 이하의 2 수준으로 평가하였다.The evaluation of the workability when the protective sheet was peeled off from the glass plate in evaluation of the chemical solution penetration prevention was evaluated at the following two levels.

○: 원활하게 박리할 수 있고, 보호 시트의 신장이나 끊김은 보이지 않았다.∘: It was possible to smoothly peel off, and no elongation or break of the protective sheet was observed.

×: 박리가 무겁고, 보호 시트의 신장이 보였다.X: The peeling was heavy and the elongation of the protective sheet was seen.

[저속 박리 강도 측정][Measurement of low-speed peel strength]

이하의 조건에서 유리에 대한 저속 박리 강도를 측정하였다.The low-speed peel strength of the glass was measured under the following conditions.

측정 환경: 25℃, 50% RHMeasurement environment: 25 ° C, 50% RH

시험편의 크기: 폭 20mm, 길이 60mmSize of specimen: width 20mm, length 60mm

인장 속도: 300mm/분Tensile speed: 300 mm / min

박리 방향: 180°Peeling direction: 180 °

보호 시트의 크기: 20mm×60mm(MD를 길이 방향으로서 절단하였음)Size of protective sheet: 20 mm x 60 mm (MD was cut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피착체: 마츠나미글래스고교(주)제의 유리 기판, 상품명 「MICROSLIDE GLASS」, 크기 1.3mm×65mm×165mmAdherend: glass substrate made by Matsunami Glass High Co., Ltd., trade name "MICROSLIDE GLASS", size 1.3 mm × 65 mm × 165 mm

조작 방법: 상기 피착체의 표면에 보호 시트를 압착하고, 상기 측정 환경에 30분간 정치한 후에 저속 박리 강도(PL)를 측정하였다. 상기 압착은 2kg의 롤러를 1 왕복시킴으로써 행하였다.Method of operation: A protective sheet was pressed on the surface of the adherend, and the low-speed peel strength (P L ) was measured after standing for 30 minutes in the measurement environment. The pressing was performed by reciprocating one roller of 2 kg.

[고속 박리 강도 측정][High-speed peel strength measurement]

인장 속도를 10m/분으로 한 점 이외에는 저속 박리 강도 측정과 마찬가지로 하여 유리에 대한 고속 박리 강도(PH)를 측정하였다.The high-speed peel strength (P H ) of the glass was measured in the same manner as the low-speed peel strength measurement except that the tensile speed was set at 10 m / min.

예 1 내지 7에 관한 보호 시트의 평가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The evaluation results of the protective sheet relating to Examples 1 to 7 are shown in Table 1.

Figure pat00001
Figure pat00001

표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저속 박리 강도(PL)가 0.1N/20mm 이상(보다 구체적으로는 0.25N/20mm 이상)이고, 고속 박리 강도(PH)가 3N/20mm 이하(보다 구체적으로는 1.5N/20mm 이하)이고, 겔분율이 25% 내지 70%의 범위에 있는 예 1 내지 4의 보호 시트는 모두 약액 침입 방지성이 우수하고, 에지의 평활성이 높고, 박리 작업성도 양호하였다. 또한, 이들 보호 시트의 어떤 경우나 고속 박리 강도 측정에 있어서 피착체 표면에 대한 점착제 잔류는 인정되지 않았다.Low speed peel strength As shown in Table 1 is 0.1N / 20mm or higher (P L) (more specifically, is 0.25N / 20mm or greater), and high-speed peel strength (P H) 3N / 20mm or less (more specifically, 1.5 N / 20 mm or less), and the protective sheets of Examples 1 to 4 in which the gel fraction was in the range of 25% to 70% were all excellent in preventing the penetration of the chemical solution, having high edge smoothness and good peeling workability. In any case of these protective sheets or in the measurement of the high-speed peel strength, the adhesive remnant to the adherend surface was not recognized.

이에 비하여 고속 박리 강도(PH)가 너무 높은 예 5에서는 박리 작업성 평가에 있어서 보호 시트의 신장이 인정되었다. 또한, 고속 박리 강도 측정에 있어서 피착체 표면에 대한 점착제 잔류가 인정되었다. 예 6 및 예 7의 보호 시트는 저속 박리 강도(PL)는 0.1N/20mm 이상이지만, 겔분율이 너무 높기 때문에 피착체에 대한 밀착성이 부족하고, 유리 표면에 대한 약액의 침입을 방지하는 성능 및 에지를 평활하게 유지하는 성능이 떨어지는 것이었다. 또한, 예 6의 보호 시트는 고속 박리 강도(PH)가 너무 높기 때문에 박리 작업성에도 어려움이 있었다.On the other hand, in Example 5 in which the high peel strength (P H ) was too high, the elongation of the protective sheet was recognized in the peeling workability evaluation. Further, in the high-speed peel strength measurement, the adhesive remained on the surface of the adherend was recognized. The protective sheet of Examples 6 and 7 had a low peel strength (P L ) of 0.1 N / 20 mm or more, but the adhesion to the adherend was insufficient because the gel fraction was too high and the performance to prevent the penetration of the drug solution onto the glass surface And poor performance of keeping the edge smooth. In addition, the protective sheet of Example 6 had a high peel strength (P H ) at too high a level, which made it difficult to peel off workability.

이상, 본 발명의 구체예를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이들은 예시에 지나지 않으며, 특허 청구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특허 청구 범위에 기재된 기술에는 이상에 예시한 구체예를 다양하게 변형, 변경한 것이 포함된다.While specific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in detail hereinabove, these are merely illustrative and do not limit the scope of the claims. The techniques described in the claims include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of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1: 기재
2: 점착제층
3: 라이너
4: 보호 시트
1: substrate
2: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3: Liner
4: Protective sheet

Claims (6)

기재와, 상기 기재의 편면 상에 배치된 점착제층을 구비하는 약액 처리용 보호 시트이며,
상기 점착제층을 구성하는 점착제는 아크릴계 중합체를 주성분으로 하는 아크릴계 점착제이고,
상기 약액 처리용 보호 시트는 유리판에 부착하여 30분 후에 박리 각도 180°, 인장 속도 300mm/분의 조건에서 측정되는 저속 박리 강도(PL)가 0.1N/20mm 이상이고,
상기 약액 처리용 보호 시트는 유리판에 부착하여 30분 후에 박리 각도 180°, 인장 속도 10m/분의 조건에서 측정되는 고속 박리 강도(PH)가 3N/20mm 이하이고, 또한
상기 아크릴계 점착제의 겔분율이 25질량% 이상 70질량% 이하인 약액 처리용 보호 시트.
A protective sheet for chemical liquid treatment comprising a base material and a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disposed on one side of the base material,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nstituting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is an acrylic pressure-sensitive adhesive mainly comprising an acrylic polymer,
The chemical solution treatment protection sheet is attached to the glass plate 30 minutes after peeling angle of 180 °, a tensile speed of 300mm / low speed peel strength is measured in terms of minutes (P L) is 0.1N / 20mm or more,
The protective sheet for chemical liquid treatment has a high peel strength (P H ) of 3 N / 20 mm or less measured at a peel angle of 180 ° and a tensile speed of 10 m / min after 30 minutes from adhering to a glass plate,
Wherein the acrylic pressure-sensitive adhesive has a gel fraction of 25 mass% or more and 70 mass% or les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속 박리 강도(PH)에 대한 상기 저속 박리 강도(PL)의 비(PL/PH)가 0.5보다 큰 약액 처리용 보호 시트.The sheet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ratio (P L / P H ) of the low peel strength (P L ) to the high peel strength (P H ) is greater than 0.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점착제층은 박리 조정제를 포함하는 점착제 조성물로 형성된 것인 약액 처리용 보호 시트.The protective sheet according to claim 1 or 2, wherein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is formed from a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comprising a release-adjusting agent.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아크릴계 점착제는 카르복실산비닐에스테르에서 유래되는 단량체 단위를 20질량%보다 높은 비율로 포함하는 약액 처리용 보호 시트.The protective sheet for treating a chemical liqui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wherein the acrylic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ntains a monomer unit derived from a carboxylic acid vinyl ester at a ratio higher than 20 mass%.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아크릴계 중합체는 알킬(메트)아크릴레이트와 카르복실산비닐에스테르를 포함하는 단량체 원료를 중합하여 합성된 것이고,
상기 단량체 원료에 있어서의 상기 카르복실산비닐에스테르의 함유 비율이 20질량%보다 높은 약액 처리용 보호 시트.
The acrylic polymer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4, which is synthesized by polymerizing a monomer raw material comprising an alkyl (meth) acrylate and a carboxylic acid vinyl ester,
Wherein the content of the carboxylic acid vinyl ester in the monomer raw material is higher than 20 mass%.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점착제층은 상기 아크릴계 중합체와 이소시아네이트계 가교제를 포함하는 점착제 조성물로 형성된 것인 약액 처리용 보호 시트.
The protective sheet for chemical liquid treatment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5, wherein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is formed of a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comprising the acrylic polymer and an isocyanate-based crosslinking agent.
KR1020140004323A 2013-01-17 2014-01-14 Protective sheet for chemical solution treatment KR20140093182A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3-005898 2013-01-17
JP2013005898A JP6046500B2 (en) 2013-01-17 2013-01-17 Protection sheet for chemical treatment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93182A true KR20140093182A (en) 2014-07-25

Family

ID=511853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04323A KR20140093182A (en) 2013-01-17 2014-01-14 Protective sheet for chemical solution treatment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6046500B2 (en)
KR (1) KR20140093182A (en)
CN (1) CN103937421A (en)
TW (1) TW201439252A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5227486A (en) * 2014-05-30 2015-12-17 ソマール株式会社 Masking film support for plating and masking film using the same
JP6474422B2 (en) * 2014-10-06 2019-02-27 日東電工株式会社 Method for producing a metal member subjected to chemical treatment
JP6815740B2 (en) * 2016-03-29 2021-01-20 日東電工株式会社 Masking sheet
CN108102567B (en) * 2018-01-08 2021-06-25 广东硕成科技有限公司 High-performance PVC (polyvinyl chloride) anti-plating film for flexible circuit board as well as preparation method and application of high-performance PVC anti-plating film
JP7126352B2 (en) * 2018-01-24 2022-08-26 日東シンコー株式会社 Moisture-proof film forming sheet
JP7219082B2 (en) * 2018-12-25 2023-02-07 リンテック株式会社 protective sheets and laminates
JP7322607B2 (en) * 2019-09-05 2023-08-08 東洋インキSc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Solvent-based adhesives and adhesive sheets
CN115896879B (en) * 2023-01-06 2023-11-07 矿冶科技集团有限公司 Control method for partial accurate electroplating of parts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265656B2 (en) * 1991-11-01 2002-03-11 古河電気工業株式会社 Surface protection method during etching process
JP4179685B2 (en) * 1998-12-09 2008-11-12 日東電工株式会社 Pressure sensitive adhesive film for masking
JP2003141988A (en) * 2001-10-31 2003-05-16 Sekisui Chem Co Ltd Manufacturing method of shadow mask plate and shadow mask plate protection film
JP5219359B2 (en) * 2006-02-21 2013-06-26 日東電工株式会社 Reflective and / or light-blocking adhesive tape or sheet an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JP2009221324A (en) * 2008-03-14 2009-10-01 Soken Chem & Eng Co Ltd Pressure-sensitive adhesive for optical member and protection film for optical member using the same
JP2010168419A (en) * 2009-01-20 2010-08-05 Dic Corp Protective adhesive film, screen panel and portable electronic terminal
JP5601791B2 (en) * 2009-04-28 2014-10-08 日東電工株式会社 Protective film for automobile wheels
JP5564209B2 (en) * 2009-07-13 2014-07-30 ニッタ株式会社 Etching protective tape and etching method
JP2011102370A (en) * 2009-11-11 2011-05-26 Nitto Denko Corp Method for producing acrylic adhesive shee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6046500B2 (en) 2016-12-14
TW201439252A (en) 2014-10-16
JP2014136746A (en) 2014-07-28
CN103937421A (en) 2014-07-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955579B2 (en) Protection sheet for glass etching
CN107267080B (en) Surface protection sheet
JP6046500B2 (en) Protection sheet for chemical treatment
JP2020023656A (en) Adhesive sheet and method for peeling adhesive sheet
JP5430722B2 (en) Adhesive composition, adhesive layer, adhesive sheet, surface protective sheet, optical surface protective sheet, and optical film with surface protective sheet
JP6674256B2 (en) Surface protective sheet and water-dispersed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for surface protective sheet
CN111527168B (en) Method for producing glass unit and pressure-sensitive adhesive sheet
WO2015064283A1 (en) Surface-protecting sheet
KR20150118580A (en)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pressure-sensitive adhesive sheet, optical member, and touch panel
WO2011132567A1 (en) Water-dispersing acrylic adhesive composition and adhesive sheet
JP2013079360A (en) Peelable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peelabl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and peelable pressure-sensitive adhesive sheet
US20110229703A1 (en) Protective sheet and use thereof
KR20140102602A (en)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pressure-sensitive adhesive sheet, optical component and touch panel
US20120276376A1 (en) Pressure-sensitive adhesive sheet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CN111566176B (en) Method for producing glass unit and pressure-sensitive adhesive sheet
TWI712503B (en) Carrier film and laminate for transparent conductive film
JP6001258B2 (en) Protective sheet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CN111511860B (en) Method for producing glass unit, pressure-sensitive adhesive sheet, and use of corrosion inhibitor
JP2004346296A (en) Radiation-curable water dispersion type acrylic adhesive composition for re-peeling and radiation-curable water dispersion type acrylic adhesive sheet for re-peeling
JP2015168716A (en) protective sheet
JP7283867B2 (en) Adhesive sheet peeling method
JP2015193688A (en) Agent treatment protection sheet
JP2011241387A (en) Water-dispersing acrylic adhesive composition and adhesive sheet
WO2019151192A1 (en) Method for peeling adhesive sheet
WO2022202028A1 (en) Optical laminate, image display device, and adhesive composi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