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93152A - 화산석 송이 분말을 이용한 사료 효율 개선용 사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화산석 송이 분말을 이용한 사료 효율 개선용 사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93152A
KR20140093152A KR1020130042748A KR20130042748A KR20140093152A KR 20140093152 A KR20140093152 A KR 20140093152A KR 1020130042748 A KR1020130042748 A KR 1020130042748A KR 20130042748 A KR20130042748 A KR 20130042748A KR 20140093152 A KR20140093152 A KR 2014009315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eed
powder
feed composition
volcanic
improv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427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18651B1 (ko
Inventor
양경월
김정미
이민영
고하나
김경민
박용호
강우철
조대왕
Original Assignee
(주)제주사랑농수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제주사랑농수산 filed Critical (주)제주사랑농수산
Publication of KR201400931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9315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186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18651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10/00Animal feeding-stuffs
    • A23K10/30Animal feeding-stuffs from material of plant origin, e.g. roots, seeds or hay; from material of fungal origin, e.g. mushroom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20/00Accessory food factors for animal feeding-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50/00Feeding-stuff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nimal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Fodder In General (AREA)
  • Biotechnology (AREA)
  • Physiology (AREA)
  • Myc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Botany (AREA)
  • Bird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화산석 송이 분말을 이용한 사료 효율 개선용 사료 조성물을 개시한다. 본 발명의 사료 조성물은 사육 동물의 소화율 향상 또는 성장 촉진 등의 용도로 사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화산석 송이 분말을 이용한 사료 효율 개선용 사료 조성물{Feed Composition for Improving Feed Efficiency Using Scoria Powder}
본 발명은 화산석 송이 분말을 이용한 사료 효율 개선용 사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사료는 축산물이나 수산물을 얻기 위해 사육 동물에 급여되는 것을 말한다. 통상적으로 사료는 사육동물의 성장에 필요한 탄수화물, 단백질, 지방, 비타민, 무기질 등의 성분들을 포함하는데, 최근의 사료에 대한 기술 개발은 대체로 사료에 기능성을 부가하기 위한 방향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그러한 기능성으로서는 예컨대, 사료 효율 향상, 육질 개선(지방 함량 감소 등), 폐사율 개선, 번식 장애 예방, 수태율 향상, 하절기 고온 스트레스 예방 등을 들 수 있다.
예컨대, 육질개선에 관한 기술로서는 발명의 명칭이 "가축용 사료 조성물 및이의 제조방법"인 한국 특허출원 제1996-0013291호, 발명의 명칭이 "마블링과 저콜레스테롤을 증가시키는 육질개선 한우 비육용 사료 조성물"인 한국 특허출원 제2000-0063391호, 발명의 명칭이 "반추가축용 보조사료 조성물 및 이의 급여방법"인 한국 특허출원 제2000-0070664호 등을 들 수 있고, 사료 효율 향상에 관한 기술로서는 발명의 명칭이 "육계용 분말 사료 조성물"인 한국 특허출원 제1996-0013290호, 발명의 명칭이 "가축 사료 첨가제용 미생물 조성물"인 한국 특허출원 제2001-0023409호, 발명의 명칭이 "돼지 사료 조성물"인 한국 특허출원 제1999-7001506호, 발명의 명칭이 "키토산올리고당이 함유된 사료 첨가용 영양제 조성물"인 한국 특허출원 제1998-0041584호, 발명의 명칭이 "키토산 올리고당 및 타우린이 함유된 사료 및 음수 첨가용 영양제 조성물"인 한국 특허출원 제2000-0000033호 등을 들 수 있다. 또 폐사율 개선에 관한 기술로서는 발명의 명칭이 "한약재 및 프로폴리스를 이용한 천연 가축사료 첨가제의 제조방법"인 한국 특허 제10-0631317호, 발명의 명칭이 "사육동물의 사망 억제용 사료 조성물"인 한국 특허 제10-0931852호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은 화산석 송이 분말을 이용하여 사료 효율을 개선할 수 있는 사료 조성물을 개시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사료 효율 개선용 사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기타의 목적이나 구체적인 목적은 이하에서 제시될 것이다.
본 발명은 아래의 실시예에서 확인되는 바와 같이, 화산석 송이 분말을 3~7 중량%로 사료에 첨가하여 급여할 경우 이유자돈의 경우 사료 효율이 8~9% 정도 증가하고 육계의 경우는 5~6% 증가함을 확인함으로써 완성된 것이다.
본 발명은 이러한 실험 결과에 기초하여 제공되는 것으로, 본 발명의 사료 효율 개선용 사료 조성물은 화산석 송이 분말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료 효율 개선"은 사료 섭취량 대비 증체량의 증가 정도가 향상되는 것을 의미하며, 이는 소화율 향상 또는 성장 촉진의 의미로도 이해할 수 있다. 또 사료 효율 개선은 사료 요구율([사료 섭취량/증체량]×100, 사육동물의 체중 1kg을 증가시키는데 필요한 사료량) 개선과도 같은 의미로 이해할 수 있는데, 여기서 사료 요구율은 사료 효율과는 반대의 계산식에 의하므로, "사료 요구율 개선"은 사육 동물의 체중 1kg을 증가시키는 데 필요한 사료량이 감소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이러한 사료 효율 개선 또는 사료 요구율 개선은 사료비 절감과 직결된다.
또 본 명세서에서, "화산석 송이(scoria, 스코리아)"는 기공의 부피와 고체의 부피가 비슷한 다공질의 현무암질 암괴를 말하는데, 화산회(火山灰, Volcanic Ash, 2mm이하), 화산자갈(火山礫, lapilli, 2~64mm), 화산암괴(火山岩塊, Volconic Block, 64mm이상), 화산탄(火山彈, Volcanic Bomb)이 여기에 포함된다. 화산석 송이는 화산에 의하여 형성된 지형에서 발견할 수 있는데, 우리나라의 경우는 화산섬인 제주도에서 쉽게 발견된다. 제주 화산석 송이는 그 주요 구성성분에 따라 색깔이 다양한데, 산화규소 함량이 높은 화산석 송이는 암회색을 띠고, 산화알류미늄 함량이 높은 화산석 송이는 황갈색 또는 흑색을 띠며, 산화티타늄과 산화철 함량이 높은 화산석 송이는 적갈색을 띤다. 그리고 제주 화산석 송이는 통상 그 융점이 1,120~1210℃이고, 흡수율은 17.7~32.5%, 그리고 마모율은 47.25~67.22% 라고 알려져 있다. 본 발명에 사용될 수 있는 화산석 송이는 특별히 제주 화산석 송이에 한정하여 이해할 필요는 없지만, 원적외선 방사성, 중금속 흡착 효과, 탈취 효과, 항균 효과 등 기능성이 매우 뛰어난 것으로 알려진 제주 화산석 송이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 본 명세서에서, "사료"란 사육동물에 급여되는 먹이(식이)를 의미한다.
또 본 명세서에서, "사육동물"이란 고기, 알, 털, 피혁, 깃털 등 인간에게 유용한 축산물 및 수산물을 생산하기 위한 동물 및 애완동물을 포함하는 의미로서, 말, 당나귀, 소, 물소, 면양, 염소, 낙타, 순록, 돼지, 개, 고양이, 토끼, 다람쥐 등의 포유류와, 닭, 칠면조, 거위, 집오리, 화조, 집비둘기, 메추리 등의 조류인 가금류와, 이구아나 등의 파충류와, 방어, 돔, 조피볼락, 잉어, 메기, 송어, 뱀장어, 은어, 연어 등의 양식 어류를 포함하는 의미이다. 바람직하게는 돼지, 닭 또는 소를 의미한다.
또 본 명세서에서, "유효성분"이란 단독으로 사료 효율 개선 활성을 나타내거나 그 자체는 활성이 없는 담체와 함께 상기 활성을 나타낼 수 있는 성분 또는 그 자체는 활성이 없는 담체와 함께 사용되었을 때가 단독으로 사용된 경우에 비하여 더 높은 활성을 나타낼 수 있는 성분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사료 조성물은 그 유효성분인 화산석 송이 분말을 사료 효율 개선 효과를 나타낼 수 있는 한 임의의 양으로 포함할 수 있다. 아래의 실시예에서 화산석 송이 분말이 사료 전체 중량 기준 7 중량%까지 포함되더라도 면역력 저하 등의 특별한 이상 증상을 보이지 않았으므로 함량의 상한에 있어서는 적어도 화산석 송이 분말은 사료 전체 중량 기준 7 중량%까지 포함될 수 있다. 함량의 하한에 있어서는 충분한 사료 개선 효과를 나타내기 위해서 적어도 아래 실시예의 최저 함량인 3 중량% 이상으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본 발명의 사료 조성물에 있어서, 그 유효성분인 화산석 송이 분말은 국화 잎 추출액으로 함침된 것이 바람직하다. 국화 잎 추출액은 국화 잎을 물로 추출하여 얻거나 국화 잎을 물, 에탄올 또는 이들의 혼합 용매로 추출하여 얻은 후 감압 농축 및/또는 동결건조 방식 등으로 추출 용매를 제거한 후 얻어진 고형상의 추출물을 물에 현탁·용해시켜 얻어질 수 있다. 화산석 송이 분말을 국화 잎 추출액으로 함침하는 것은 화산석 송이 분말과 국화 잎 추출액을 1:2 내지 1:3의 중량비로 혼합하고 교반함으로써 이루어질 수 있다. 국화 잎 추출액이 함침된 화산석 송이 분말이 바람직한 이유는 아래의 실시예가 보여주듯이, 국화 잎 추출액이 함침된 화산석 송이 분말을 사용할 경우가 단순 화산석 송이 분말을 사용할 경우에 비하여 사료 효율 개선 효과가 이유자돈에 대해서는 대략 5~9% 상승하고, 육계에 대해서는 대략 1~2% 상승하며, 비첨가군인 대조준에 비해서는 이유자돈의 경우 대략 12~18% 상승하고 육계의 경우는 대략 6~7% 상승하기 때문이다.
본 발명의 사료 조성물은 그 유효성분인 화산석 송이 분말 이외에 사육동물의 성장에 필요한 사료의 통상적인 성분들을 포함하여 제조될 수 있다. 그러한 성분들로서는 사육동물의 성장에 도움이 되는 성분, 예컨대 전분 함유 물질, 단백질 함유 물질, 지방 함유 물질, 비타민 함유 물질, 무기질 함유 물질 등을 말한다.
상기 전분 함유 물질은 일반적으로 옥수수, 콩, 밀, 수수, 보리, 귀리 등으로부터 얻어질 수 있다. 적합한 전분 함유 물질로서는 옥수수 분쇄물/분말, 귀리 분쇄물/분말, 콩 분쇄물/분말, 밀 분쇄물/분말 등을 들 수 있다. 바람직한 적합한 전분 함유 물질은 귀리 분말/분쇄물, 옥수수 분말/분쇄물, 밀 분말/분쇄물, 콩 분말/분쇄물 등이다.
상기 전분 함유 물질은 사육동물의 성장에 도움이 될 수 있다면, 본 발명의 기능성 사료 조성물에 포함되는 그것의 함량은 특정 범위로 제한되지 않는다. 일반적으로 전분 함유 물질은 약 30 내지 약 80 중량 %, 바람직하게는 약 40 내지 약 70 중량 %, 가장 바람직하게는 50 내지 70 중량 %의 범위로 본 발명의 기능성 사료 조성물에 포함될 수 있다.
단백질 함유 물질은 통상 어분, 콩 분말 등과 같은 단백질 함유 물질이 사용되고 있는데, 다른 것들로서는 콩 단백질 농축물, 혈분, 혈장 단백질, 탈지유 건체물, 유(乳) 단백질 농축물, 옥수수 글루텐(Gluten) 분말, 밀 글루텐 분말, 이스트, 해바라기씨 분말 등을 들 수 있다. 바람직한 단백질 함유 물질은 어분, 혈분, 혈장 단백질, 콩 분말 등이다.
단백질 함유 물질도 사육 동물의 성장을 도움이 될 수 있는 한, 본 발명의 기능성 사료 조성물에 포함되는 그것의 함량은 중요하지 않다. 일반적으로, 단백질 함유 물질은 약 10 내지 약 50 중량 %, 바람직하게는 약 15 내지 약 40 중량 %, 가장 바람직하게는 18 내지 30 중량 %의 범위로 본 발명의 기능성 사료 조성물에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기능성 사료 조성물에는 지방 함유 물질도 포함될 수 있다. 적합한 지방 함유 물질로서는 라드(Lard), 우지, 콩기름, 레시틴, 코코넛유 등을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바람직한 지방 함유 물질은 콩기름, 코코넛유 및 라드 등이다.
지방 함유 물질도 사육 동물의 성장에 도움이 될 수 있는 본 발명의 기능성 사료 조성물에 포함되는 그것의 함량은 중요하지 않다. 지방 함유 물질은 일반적으로 약 2 내지 약 20 중량 %, 바람직하게는 약 4 내지 약 15 중량 %, 가장 바람직하게는 6 내지 12 중량 %의 범위로 본 발명의 사료 조성물에 존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기능성 사료 조성물은 또한 수용성·지용성 비타민과 무기물을 포함할 수 있다. 적합한 비타민으로서는 비타민 A, 비타민 D, 비타민 E, 비타민 K, 리보플라빈, 판토텐산(Pantothenic Acid), 나이아신, 비타민 B12, 엽산, 비오틴, 비타민 C 등을 들 수 있다. 적합한 무기물로서는 구리, 아연, 요오드, 셀렌, 망간, 철, 코발트, 등을 들 수 있다.
일반적으로, 비타민이나 무기질이 본 발명의 기능성 사료 조성물에 포함될 경우에 그 본 발명의 기능성 사료 조성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약 0.0001 내지 약 5 중량 %로 포함될 것이다.
다른 측면에 있어서, 본 발명은 전술한 바의 사료 조성물을 사육 동물에 급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사육 동물의 사료 효율을 개선시키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또 다른 측면에 있어서, 본 발명은 전술한 바의 사료 조성물을 사육 동물에 급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사육 동물의 성장을 촉진시키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방법들에 있어서, 상기 사육동물은 전술한 바와 같이 돼지, 닭 또는 소인 것이 바람직하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화산석 송이 분말을 이용한 사료 효율 개선용 사료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사료 효율 개선용 사료 조성물은 소화율 향상, 성장 촉진의 용도로도 사용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범위가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 실시예 > 사료 효율 개선 효과 실험
<실시예 1> 화산석 송이 분말의 이유자돈에 대한 사료 효율 개선 효과 실험
3주령의 교잡종 이유자돈(Landrace×Yorkshier×Duroc)를 실험에 사용하였으며, 7두씩 그룹화하여, 아래의 [표 1]과 같이 화산석 송이 분말(입경 200 메쉬)을 배합사료에 혼합하여 급여하였다. 시판 배합사료는 주요 원료로 옥수수, 소맥, 대두박, 소맥피, 면실박, 채종박 등이 포함된 사료이다.
실험군의 구성
구분 급여 사료
대조군 배합사료
실험군 1 배합사료 + 화산석 송이 분말 3중량%
실험군 2 배합사료 + 화산석 송이 분말 5중량%
실험군 3 배합사료 + 화산석 송이 분말 7중량%
사료는 자유 채식토록 하였으며, 물은 자동급수기를 이용하여 자유로이 음용할 수 있도록 하였다. 사양관리는 일반적인 사양관리 방법에 준하여 실시하였으며, 대조군과 실험군 사이에 돈방면적, 급수 급이 시설은 동일한 조건이 되도록 하였다.
실험 기간을 5주간으로 하여 실험 개시시와 실험 종료시를 기준으로 하여 일당증체량, 일당사료섭취량 및 사료효율(증체량/사료섭취량)을 계산하였다.
결과를 아래의 [표 2]에 나타내었다.
화산석 송이 분말이 이유자돈의 성장성에 미치는 영향
구분 일당증체량(kg) 일당사료섭취량(g) 사료 효율
대조군 0.408±0.047b 0.743±0.062 0.549±0.026b
실험군 1 0.462±0.055a 0.735±0.042 0.628±0.034a
실험군 2 0.469±0.052a 0.742±0.048 0.632±0.040a
실험군 3 0.472±0.043a 0.738±0.049 0.639±0.046a
a~c means in the same row with different superscripts differ(p<0.05)
상기 [표 2]의 결과는 배합사료에 화산석 송이 분말을 첨가하여 급여할 경우 사료 효율이 대략 8~9% 증가함을 보여준다. 그리고 화산석 송이 분말이 첨가량이 많아질수록 사료 효율이 약간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지만 첨가량의 차이에 따른 유의 차는 나타나지 않았다.
<실시예 2> 화산석 송이 분말의 육계에 대한 사료효율 개선 효과 실험
1일령 Cobb 육계 병아리를 실험에 이용하였으며, 15수씩 그룹화하여 아래의 [표 3]과 같이 시판 배합사료에 화산석 송이 분말을 혼합하여 급여하였다. 시판 배합사료는 옥수수와 대두박을 주원료로 포함하는 사료이다.
실험군의 구성
구분 급여 사료
대조군 배합사료
실험군 1 배합사료 + 화산석 송이 분말 3중량%
실험군 2 배합사료 + 화산석 송이 분말 5중량%
실험군 3 배합사료 + 화산석 송이 분말 7중량%
사료와 물은 자유 채식토록 하였으며, 시험 계사는 콘크리트 바닥의 평사이였고, 기타 사육 조건도 대조군과 실험군 사이에 동일한 조건을 부여하였다.
실험 기간을 5주간으로 하였으며, 실험 개시시와 실험 종료시를 기준으로 하여 총 증체량, 총 사료섭취량 및 사료효율(증체량/사료섭취량)을 계산하였다.
결과를 아래의 [표 4]에 나타내었다.
화산석 송이 분말이 육계의 성장성에 미치는 영향
구분 증체량(g) 사료섭취량(g) 사료 효율
대조군 1524.46±20.25b 2858.82±24.71 0.533±0.021b
실험군 1 1679.27±25.87a 2862.73±32.71 0.586±0.026a
실험군 2 1694.63±32.32a 2853.38±29.19 0.593±0.022a
실험군 3 1692.27±28.39a 2859.83±26.47 0.591±0.031a
a~c means in the same row with different superscripts differ(p<0.05)
상기 [표 4]의 결과도 육계에 화산석 송이 분말을 사료와 함께 투여할 경우 육계에 대한 사료 효율이 대략 5~6% 증가함을 보여준다. 그러나 이 경우에 있어서도 화산석 송이 분말의 첨가량에 따라 사료 효율이 약간 상승하나 유의 차는 나타나지 않았다.
<실시예 3> 국화 잎 추출액 함침 화산석 송이 분말의 이유자돈 및 육계에 대한 사료효율 개선 효과 실험
국화 잎 추출물은 국화 잎 세절물에 10배 중량의 물을 넣고 70~100℃의 온도로 12시간 가열하여 추출한 후 이 추출액을 여과포로 여과하여 얻었으며, 국화 잎 추출액 함유 화산석 송이 분말은 국화 잎 추출액과 화산석 송이 분말을 1:2의 중량비로 혼합·교반한 후에 건조시켜 얻었다.
이유자돈에 대한 실험 방법은 상기 <실시예 1>과, 육계에 대한 실험 방법은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수행하였으며, 국화 잎 추출액 함침 화산석 송이 분말의 사료에의 첨가 함량도 3 중량%(실험군 1), 5 중량%(실험군 2) 및 7 중량%(실험군 3)로 동일하게 하였다.
결과를 아래의 [표 5] 및 [표 6]에 나타내었다.
국화 잎 추출액 함침 화산석 송이 분말이 이유자돈의 성장성에 미치는 영향
구분 일당증체량(kg) 일당사료섭취량(g) 사료 효율
대조군 0.408±0.047b 0.743±0.062 0.549±0.026b
실험군 1 0.483±0.043a 0.728±0.029 0.663±0.042a
실험군 2 0.502±0.057ac 0.729±0.032 0.688±0.051ac
실험군 3 0.532±0.038c 0.732±0.027 0.726±0.053c
a~c means in the same row with different superscripts differ(p<0.05)
국화 잎 추출액 함침 화산석 송이 분말이 육계의 성장성에 미치는 영향
구분 증체량(g) 사료섭취량(g) 사료 효율
대조군 1524.46±20.25b 2858.82±24.71 0.533±0.021b
실험군 1 1698.18±26.16a 2848.28±35.90 0.596±0.036a
실험군 2 1708.27±36.23a 2852.93±42.27 0.598±0.028a
실험군 3 1713.31±34.72a 2854.64±38.52 0.600±0.034a
a~c means in the same row with different superscripts differ(p<0.05)
상기 [표 5]의 결과를 참조하여 보면, 국화 잎 추출액이 함침된 화산석 송이 분말을 사료에 첨가하여 사용할 경우 첨가량에 비례하여 이유자돈에 대한 사료 효율이 대략 12 내지 18% 상승함을 알 수 있다. 그리고 [표 5]의 결과를 상기 [표 2]의 결과와 비교하여 보면, 국화 잎 추출액 함침 화산석 송이 분말의 사료 효율이 단순 화산석 송이 분말(국화 잎 추출액이 함침되지 아니한 화산석 송이 분말)의 사료 효율보다 전체적으로 더 높음을 알 수 있는데, 구체적으로 각 첨가량 별로 비교해 보면, 3 중량%의 첨가군에서는 국화 잎 추출액 함침 화산석 송이 분말 첨가군이 단순 화산석 송이 분말 첨가군에 비해서 3.5% 사료 효율이 상승하고, 5 중량% 첨가군에 있어서는 5.6% 사료 효율이 상승하며, 7 중량% 첨가군에 있어서는 8.7% 사료 효율이 상승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는 단순 화산석 송이 분말을 사용하는 경우보다 국화 잎 추출액 함침 화산석 송이 분말을 사용하는 것이 이유자돈의 성장 촉진에 더 바람직하고, 가축의 면역력 저하 등의 부작용을 일으키지 않는 한 첨가량이 높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함을 보여준다고 할 수 있다. 참고로 3. 5 및 7 중량% 첨가군 모두에 있어서 비첨가군인 대조군과 비교할 때 특별한 이상 증상은 관찰되지 않았다.
육계에 대한 사료 효율의 경우도 국화 잎 추출액 함침 화산석 송이 분말이 단순 분말보다 사료 효율이 높지만, 이유자돈에 대한 경우처럼 뚜렷한 차이를 보이지는 않았다. 육계에 대한 실험에 있어서도 모든 화산석 송이 첨가군에 있어서 대조군에 비해 산란율 저하 등의 이상 증상은 없었다.
참고로 구체적인 실험 테이타로 제시되지 않았으나, 국화 잎 추출액이 사료 자체에 함침되어 급여될 경우는 사료 효율은 약간 상승하나 유의 차가 없었고, 사료 섭취량과 증체량이 함께 대조군에 비하여 약간 상승하는 정도에 그쳤다.
통계처리
모든 자료는 SPSS 프로그램(1999)을 이용하여 분산 분석을 실시하였으며, Duncan's multiple-range test를 이용하여 유의 차를 검정하였다.

Claims (6)

  1. 화산석 송이 분말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사료 효율 개선용 사료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산선 송이 분말은 사료 조성물 전체 중량 기준 3~7 중량%로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료 효율 개선용 사료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산석 송이 분말은 국화 잎 추출액이 함침된 송이 분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료 효율 개선용 사료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료 조성물은 전분 함유 물질, 단백질 함유 물질, 지방 함유 물질, 비타민 함유 물질 및 무기질 함유 물질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료 효율 개선용 사료 조성물.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 기재의 사료 조성물을 사육 동물에 급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사육 동물의 사료 효율 개선 방법
  6.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 기재의 사료 조성물을 사육 동물에 급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사육 동물의 성장 촉진 방법.

KR1020130042748A 2013-01-17 2013-04-18 화산석 송이 분말을 이용한 사료 효율 개선용 사료 조성물 KR10161865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05420 2013-01-17
KR20130005420 2013-01-1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93152A true KR20140093152A (ko) 2014-07-25
KR101618651B1 KR101618651B1 (ko) 2016-05-10

Family

ID=517394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42748A KR101618651B1 (ko) 2013-01-17 2013-04-18 화산석 송이 분말을 이용한 사료 효율 개선용 사료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1865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201020A (zh) * 2019-07-04 2019-09-06 南京中医药大学 具有防治感冒的菊叶活性提取物及其制备方法与应用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51545B1 (ko) * 2002-03-18 2004-10-06 김유용 염산과 규산염광물질을 함유한 자돈사료첨가용 혼합조성물의 제조방법, 상기 혼합조성물 및 사료
KR100870368B1 (ko) * 2007-05-04 2008-11-25 김포축산업협동조합 축산 사료용 곡물 발아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201020A (zh) * 2019-07-04 2019-09-06 南京中医药大学 具有防治感冒的菊叶活性提取物及其制备方法与应用
CN110201020B (zh) * 2019-07-04 2021-11-02 南京中医药大学 具有防治发热合并咳嗽和炎症的菊叶活性提取物及其制备方法与应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18651B1 (ko) 2016-05-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deniji Effect of replacing groundnut cake with maggot meal in the diet of broilers
KR101878021B1 (ko) 동애등에 유충을 적용한 가축 전용 사료
KR100931852B1 (ko) 사육동물의 사망 억제용 사료 조성물
Wang et al. Effect of rapid and multiple changes in level of distillers dried grain with solubles (DDGS) in broiler diets on performance and carcass characteristics
Simol et al. Performance of chicken broilers fed with diets substituted with mulberry leaf powder
Cengiz et al. Effect of protein source on the development of footpad dermatitis in broiler chickens reared on different flooring types
BE1013997A6 (nl) Antimicrobiele samenstelling voor dieren.
Aydin et al. The use of glauconite as a feed additive in broiler nutrition and its effect on growth performance, intestinal histomorphology and biomechanical properties of bones.
KR20180125908A (ko) 동물용 사료 첨가제, 이를 포함하는 동물용 사료 조성물 및 동물 사육 방법
CN101406254A (zh) 一种1~3月幼龄鸵鸟的饲料配方
CN104413299A (zh) 一种雏鸡饲料配方
Atapattu et al. Effects of gradual feed dilution with inert or less nutritive materials on growth performance, feed cost and meat organoleptic properties of broiler chicken
KR101618651B1 (ko) 화산석 송이 분말을 이용한 사료 효율 개선용 사료 조성물
US11337443B2 (en) Use of copper-calcium sulphate as animal feed additive
EP4378320A1 (en) Use of furan formic acid compound in preparing animal feed additive
EJ et al. Effects of increasing inclusion rates of a low-fat distillers dried grains with solubles (LF-DDGS) in finishing broiler diets
RU2374899C2 (ru) Премикс и способ его применения
Fouad et al. Effect of acetic acid and date residues on some physiological characteristics, productive and reproductive parameters of quail during summer season
Ibiyo et al. Response of starter broilers to diets containing graded levels of rice bran with or without palm oil
Arvindraj et al. Nutritional evaluation of Azolla microphylla meal and its effect on nutrient digestibility and growth performance in crossbred cattle
KR100877800B1 (ko) 사육동물의 사료 조성물
KR20060035444A (ko) 동물 사료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동물의 사육 방법
Alagbe et al. Effect of Partial Replacement of Dietary Soya Meal with Dried Azolla Pinnata Meal on the Performance and Egg Quality of Japanese Quails (Cortunix cortunix)
Islam et al. Effect of Cotton Seed Meal on the Performance Traits and Meat Composition in Commercial Broilers
Tembhurne et al. Effects of graded level of nucleotide rich yeast extract supplementation in diets on growth performance and economics of broiler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15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