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93085A - 차량 타이어 휠 - Google Patents

차량 타이어 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93085A
KR20140093085A KR1020130005439A KR20130005439A KR20140093085A KR 20140093085 A KR20140093085 A KR 20140093085A KR 1020130005439 A KR1020130005439 A KR 1020130005439A KR 20130005439 A KR20130005439 A KR 20130005439A KR 20140093085 A KR20140093085 A KR 2014009308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ire
vehicle
drum
buffer
buffer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054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국진
Original Assignee
김국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국진 filed Critical 김국진
Priority to KR10201300054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093085A/ko
Publication of KR201400930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9308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BVEHICLE WHEELS; CASTORS; AXLES FOR WHEELS OR CASTORS; INCREASING WHEEL ADHESION
    • B60B21/00Rims
    • B60B21/12Appurtenances, e.g. lining ban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17/00Tyres characterised by means enabling restricted operation in damaged or deflated condition; Accessorie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BVEHICLE WHEELS; CASTORS; AXLES FOR WHEELS OR CASTORS; INCREASING WHEEL ADHESION
    • B60B2900/00Purpose of invention
    • B60B2900/30Increase in
    • B60B2900/331Safety or security
    • B60B2900/3316Safety or security by indicating wear, failure or los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ires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타이어가 장착되는 차량 타이어 휠에 관한 것으로, 몸체를 이루고 상측에 타이어가 설치되는 드럼과, 상기 드럼의 외측에 형성된 디스크를 포함하는 차량 타이어 휠에 있어서, 상기 드럼의 외주면을 형성하는 림에 장착되고, 탄성재질 또는 발포재질로 이루어지며, 타이어의 결함 발생시 완충작용에 의하여 차량의 주행을 가능하게 하는 환상의 완충부재를 더 포함하는 차량 타이어 휠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타이어의 펑크 및 균열 등의 타이어 결함이 발생했을 경우, 차량 타이어 휠에 설치된 완충부재의 완충작용 및 자동차 하중 지지작용과 타이어의 손상 및 변형 방지 기능으로 인하여 중도에 차량의 운행을 중단하지 않아도 되고, 결함이 발생한 타이어의 주행시간을 늘려 부근의 차량 정비업소까지 주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차량 타이어 휠{A VEHICLE TIRE WHEEL}
본 발명은 차량 타이어 휠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차량 타이어 휠에 차량 타이어의 결함 발생시 차량의 주행시간을 연장시키는 것이 가능한 완충부재를 구비한 차량 타이어 휠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 타이어 휠이란 차량의 축에 체결되어 그 외주면을 감싸며 수용된 타이어와 함께 회전하여 차량를 이동시키기 위해 사용된다.
예컨대, 도 1은 종래에 일반적으로 사용되어진 자동차 타이어 휠을 도시한 것으로 디스크부(1)와 림부(2)로 구성된 휠이 그 림부(2)의 내측으로 타이어(T)를 수용할 수 있게 구성된 고안으로써, 타이어를 림부(2) 사이에 끼워 넣고, 타이어(T) 내부에 에어를 주입하는 방법으로 체결을 완성하는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자동차 타이어 휠의 경우 휠에 체결된 타이어가 펑크 및 균열 등에 의하여 결함 발생시, 자동차의 안전한 주행이 더 이상 가능하지 않게 되고, 운전자는 자동차의 운행을 중단한 채 보험회사나 자동차 정비업소에 연락하여 견인 등의 조치를 취해야 하므로 시간과 비용이 많이 소요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타이어의 펑크 및 균열 등의 타이어 결함이 발생했을 경우, 차량 타이어 휠에 설치된 완충부재의 완충작용 및 차량 하중 지지작용과 타이어의 손상 및 변형 방지 기능으로 인하여 중도에 차량의 운행을 중단하지 않아도 되고, 결함이 발생한 타이어의 주행시간을 늘려 부근의 차량 정비업소까지 주행할 수 있는 차량 타이어 휠의 제공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몸체를 이루고 상측에 타이어가 설치되는 드럼과, 상기 드럼의 외측에 형성된 디스크를 포함하는 차량 타이어 휠에 있어서, 상기 드럼의 외주면을 형성하는 림에 장착되고, 탄성재질 또는 발포재질로 이루어지며, 타이어의 결함 발생시 완충작용에 의하여 차량의 주행을 가능하게 하는 환상의 완충부재를 더 포함하는 차량 타이어 휠을 제공한다.
이때, 상기 완충부재는, 타이어의 결함 발생시 타이어가 접촉되는 완충바디와, 상기 완충바디의 하측에 돌출 형성되어 상기 림에 체결되는 체결돌기를 포함하는 특징이 있다.
여기서, 상기 체결돌기는 상기 완충부재를 상기 드럼에 고정시키기 위한 체결홈이 형성되는 특징이 있다.
또한, 상기 완충바디는, 완충돌기와 완충홈이 교번 형성되도록 이루어지는 특징이 있다.
이때, 상기 완충돌기는 상부에 에어가 수용되는 에어홈이 천공 형성되어 있는 특징이 있다.
그리고, 상기 완충바디는 하부가 일측 또는 양측으로 연장 형성된 씰링날개를 형성하는 특징이 있다.
게다가, 상기 완충바디는 상부에 결함이 발생한 타이어의 일부가 수축되는 수축홈이 길이방향을 따라 요입 형성되어 있는 특징이 있다.
더불어, 상기 드럼은 복수개의 통풍구가 형성되어 있는 특징이 있다.
뿐만 아니라, 상기 완충부재는 고무, 실리콘, 폴리우레탄 및 엘라스토머 중 선택된 어느 하나의 탄성재질 또는 발포 폴리에틸렌, 발포 폴리프로필렌 및 발포 폴리우레탄 중 선택된 어느 하나의 발포재질로 이루어지는 특징이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타이어의 펑크 및 균열 등의 타이어 결함이 발생했을 경우, 차량 타이어 휠에 설치된 완충부재의 완충작용 및 차량 하중 지지작용과 타이어의 손상 및 변형 방지 기능으로 인하여 중도에 차량의 운행을 중단하지 않아도 되고, 결함이 발생한 타이어의 주행시간을 늘려 부근의 차량 정비업소까지 주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자동차 타이어 휠을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 타이어 휠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 타이어 휠의 단면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 타이어 휠의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 타이어 휠의 단면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 타이어 휠의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 타이어 휠의 단면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 타이어 휠의 단면도.
도 9(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완충부재의 작용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9(b)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완충부재의 작용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예를 중심으로 본 발명의 구성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차량 타이어 휠(10)은 휠의 몸체를 이루고, 그 상측에 타이어(T)가 안착 설치되는 드럼(100)과, 상기 드럼(100)의 외측에 형성되는 디스크(200)를 포함하는 것을 기본 구성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드럼(100)의 외주면에는 림(130)이 구비되고, 상기 림(130)의 일측에 환상의 완충부재(110)가 장착되며, 이때 상기 완충부재(110)는 완충작용을 위하여 탄성재질 또는 발포재질로 이루어진다.
상기 완충부재(110)는 펑크나 균열 등 타이어(T)의 결함 발생시 결함이 발생한 타이어(T)의 내부에서 완충작용을 하여 타이어(T)가 지면과의 마찰을 계속 유지하여 차량의 운행을 계속 유지할 수 있다.
이때, 도 3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완충부재(110)는 타이어(T)의 결함 발생시 타이어(T) 내측면이 접촉되는 완충바디(111)와, 상기 완충바디(111)의 하측에 돌출 형성되어 상기 림(130)에 체결되는 체결돌기(112)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체결돌기(112)는 상기 림(130)에 체결되어 장착되되, 내측으로 체결홈(112a)이 요입 형성되고, 상기 체결홈(112a)에는 나사 또는 볼트 등의 체결수단이 체결되어, 자동차의 주행 중 발생하는 진동 및 충격으로 인해 상기 완충부재(110)가 차량 타이어 휠(10)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상기 드럼(100) 내부에서 안정적으로 고정된다.
더불어, 도 3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완충바디(111)는 완충돌기(111a)와 완충홈(111c)이 교번 형성되되, 상기 완충돌기(111a)는 상부에 에어가 수용되는 에어홈(111b)이 천공되어 형성될 수 있다.
통상적으로, 주행중 타이어(T)에 펑크 및 균열 등이 생겨 타이어(T) 결함이 발생하게 되면, 펑크 및 균열 등의 결함부위를 통하여 타이어(T) 내부의 에어가 점차 외부로 유출되어 타이어(T)의 부피가 축소되므로, 더 이상 자동차의 운행이 곤란하게 된다.
그러나, 도 9(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타이어(T)의 부피 축소로 타이어(T)의 일부가 내측으로 함몰되면 상기 완충부재(110)와 접하게 되고, 이때, 완충부재(110)의 탄성재질 또는 발포재질로 인하여 타이어(T) 내부에서 완충작용을 함으로써 타이어(T)의 추가 손상을 방지할 수 있고, 타이어(T) 내부에 수용된 에어의 외부 유출을 최대한 지연시켜 자동차의 운행을 계속 유지할 수 있으며, 타이어(T)가 지면과 닿을 때 상기 완충돌기(111a)가 타이어(T)의 기능을 대신하여 자동차의 하중을 지지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완충돌기(111a)는 상부에 에어가 수용되는 에어홈(111b)이 천공 형성되고, 차량 타이어 휠(10)에 체결된 타이어(T)가 지면과 닿아 상기 완충돌기(111a)와 접촉될 때, 상기 에어홈(111b)에 수용된 에어로 인하여 타이어(T)의 손상 및 변형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완충바디(111)는 상기 완충돌기(111a)와 완충홈(111c)이 교번 형성되도록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한데, 지면과 접촉시 타이어(T)의 일부가 상기 완충홈(111c)의 내부로 수축되면서 지면과의 마찰을 감소시켜 타이어의 손상 및 변형을 방지할 수 있다.
더불어, 상기 완충바디(111)는 상기 림(130)의 일측에 장착되되, 상기 완충바디(111)의 일측이 상기 림(130)의 타측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는데, 이로 인해, 펑크 또는 균열 등의 결함이 발생한 타이어(T)의 대부분이 연장 형성된 상기 완충바디(111)에 접촉되어 짐에 따라 타이어(T)의 손상 및 변형을 방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결함이 발생한 타이어(T)가 상기 완충바디(111)의 외주면을 따라 교번 형성된 상기 완충돌기(111a)와 상기 완충홈(111c)과 교대로 접하면서, 상기 완충부재(110)는 상기 완충돌기(111a)에 의한 완충 및 자동차 하중 지지작용과, 완충홈(111c)에 의한 타이어(T)의 손상 및 변형 방지 기능을 동시에 수행하여, 자동차의 주행을 계속 유지할 수 있는 것이다.
도 5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 타이어 휠(10)은 상기 완충바디(111)의 하부에 씰링날개(111d)가 일측 또는 양측으로 연장 형성된다.
상기 씰링날개(111d)는 타이어(T)와의 접촉면적을 증가시켜 자동차 하중에 의한 압력으로 인하여 타이어(T) 내부에 수용되어 있는 에어가 펑크나 균열 등 타이어(T)의 결함 발생 부위를 통해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감소시킬 수 있다.
도 7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 타이어 휠(10)은 상기 완충바디(111) 상부에 결함이 발생한 타이어(T)의 일부가 수축되는 수축홈(111e)이 길이방향을 따라 요입 형성된다.
상기 수축홈(111e)은 도 9(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펑크 및 균열 등의 결함이 발생한 타이어(T)가 지면과 접촉시 타이어(T)의 일부가 상기 수축홈(111e)의 내부로 수축되면서 지면과의 마찰을 감소시켜 타이어의 손상 및 변형을 방지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완충부재(110)는 고무, 실리콘(Silicon), 폴리우레탄(Polyurethane) 및 엘라스토머(Elastomer) 중 선택된 어느 하나의 탄성재질 또는 발포 폴리에틸렌(Foamed Polyethylene), 발포 폴리프로필렌(Foamed Polypropylene) 및 발포 폴리우레탄(Foamed Polyurethane) 등의 발포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는 결함이 발생된 타이어(T)의 완충효과를 증대시키기 위함이다.
아울러, 도 2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드럼(100)은 복수개의 통풍구(120)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 한 바, 이는 주행중 자동차 브레이크 라이닝에서 발생하는 마찰열을 냉각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결국, 주행 중 타이어(T)에 펑크 및 균열 등 타이어(T) 결함이 발생되었을 때, 종래에는 차량의 안전한 주행이 가능하지 않아 운전자는 차량의 운행을 중단한 채 보험회사나 차량 정비업소에 연락하여 견인 등의 조치를 취해야 하므로 시간과 비용이 많이 소요되었으나, 본 발명에 따른 차량 타이어 휠(10)을 적용하게 되면, 주행중 타이어의 펑크 및 균열 등의 타이어 결함이 발생했을 경우, 차량 타이어 휠에 설치된 완충부재의 완충작용 및 자동차 하중 지지작용과 타이어의 손상 및 변형 방지 기능으로 인하여 중도에 차량의 운행을 중단하지 않아도 되고, 결함이 발생한 타이어의 주행시간을 늘려 부근의 차량 정비업소까지 주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 상기 실시형태는 하나의 예시로서 본 발명이 여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특허등록청구범위에 기재된 기술적 사상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을 갖고 동일한 작용효과를 이루는 것은 어떠한 것이라도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에 포함된다.
특히,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서 자동차 타이어 휠을 예로 들었지만, 휠에 타이어가 장착된 바퀴가 축에 연결되어 움직이는 스쿠터, 오토바이 등에도 본 발명의 차량 타이어 휠을 설치하여 타이어를 장착시켜 사용할 수 있는 것은 물론이다.
1 : 디스크부 2: 림부
10 : 차량 타이어 휠 100 : 드럼
110 : 완충부재 111 : 완충바디
111a : 완충돌기 111b : 에어홈
111c : 완충홈 111d : 씰링날개
111e : 수축홈 112 : 체결돌기
112a : 체결홈 120 : 통풍구
130 : 림 200 : 디스크
T : 타이어 S : 자동차 바퀴 축

Claims (9)

  1. 몸체를 이루고 상측에 타이어가 설치되는 드럼과, 상기 드럼의 외측에 형성된 디스크를 포함하는 차량 타이어 휠에 있어서,
    상기 드럼의 외주면을 형성하는 림에 장착되고, 탄성재질 또는 발포재질로 이루어지며, 타이어의 결함 발생시 완충작용에 의하여 차량의 주행을 가능하게 하는 환상의 완충부재를 더 포함하는 차량 타이어 휠.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완충부재는, 타이어의 결함 발생시 타이어가 접촉되는 완충바디와,
    상기 완충바디의 하측에 돌출 형성되어 상기 림에 체결되는 체결돌기를 포함하는 차량 타이어 휠.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돌기는 상기 완충부재를 상기 드럼에 고정시키기 위한 체결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타이어 휠.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완충바디는, 완충돌기와 완충홈이 교번 형성되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타이어 휠.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완충돌기는 상부에 에어가 수용되는 에어홈이 천공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타이어 휠.
  6.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완충바디는 하부가 일측 또는 양측으로 연장 형성된 씰링날개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타이어 휠.
  7.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완충바디는 상부에 결함이 발생한 타이어의 일부가 수축되는 수축홈이 길이방향을 따라 요입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타이어 휠.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드럼은 복수개의 통풍구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타이어 휠.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완충부재는 고무, 실리콘, 폴리우레탄 및 엘라스토머 중 선택된 어느 하나의 탄성재질 또는 발포 폴리에틸렌, 발포 폴리프로필렌 및 발포 폴리우레탄 중 선택된 어느 하나의 발포재질로 이루어진 차량 타이어 휠.
KR1020130005439A 2013-01-17 2013-01-17 차량 타이어 휠 KR2014009308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05439A KR20140093085A (ko) 2013-01-17 2013-01-17 차량 타이어 휠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05439A KR20140093085A (ko) 2013-01-17 2013-01-17 차량 타이어 휠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93085A true KR20140093085A (ko) 2014-07-25

Family

ID=517394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05439A KR20140093085A (ko) 2013-01-17 2013-01-17 차량 타이어 휠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093085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4007927A1 (zh) * 2022-07-04 2024-01-11 深圳市安特伦智能科技有限公司 一种爆胎安全轮毂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4007927A1 (zh) * 2022-07-04 2024-01-11 深圳市安特伦智能科技有限公司 一种爆胎安全轮毂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43001B1 (ko) 에어리스 타이어
BRPI0817768A2 (pt) Pneumático para veículos
JP2018505087A (ja) フランジ付きタイヤ及びホイール組立体
KR20100101740A (ko) 비공기식 자동차용 타이어
KR100777493B1 (ko) 런플랫 타이어
KR101722715B1 (ko) 비공기입 타이어
KR20140093085A (ko) 차량 타이어 휠
US20180319224A1 (en) Pneumatic Tire
US11331966B2 (en) Pneumatic tire
KR102288492B1 (ko) 공기입 타이어
KR101713237B1 (ko) 공기입 타이어
US1965058A (en) Pneumatic wheel for vehicles
KR101885277B1 (ko) 소음저감용 타이어
US20090266465A1 (en) Universal run flat tire system and device
KR20140093100A (ko) 차량 타이어 휠
JP2007106259A (ja) リム
CN207711701U (zh) 轨道交通用减震车轮
KR101385369B1 (ko) 공기입 타이어
JP4384098B2 (ja) ランフラット支持体と空気入りタイヤとの固定具
KR20140093094A (ko) 차량 타이어 휠
JP2017500250A (ja) ラップアラウンドガムストリップを有するベルトを備えるタイヤ
KR102463569B1 (ko) 방열을 위한 함몰부를 포함하는 타이어
KR101450475B1 (ko) 비공기압 타이어
KR102495867B1 (ko) 비공기입 타이어의 스포크 구조체
KR100990537B1 (ko) 체결부 보강구성을 갖는 런플랫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