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90303A - 음용차 제조기 - Google Patents

음용차 제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90303A
KR20140090303A KR20120151577A KR20120151577A KR20140090303A KR 20140090303 A KR20140090303 A KR 20140090303A KR 20120151577 A KR20120151577 A KR 20120151577A KR 20120151577 A KR20120151577 A KR 20120151577A KR 20140090303 A KR20140090303 A KR 2014009030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drinking
tea
outlet
produc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201515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종민
Original Assignee
코웨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웨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코웨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201515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090303A/ko
Publication of KR201400903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90303A/ko

Links

Images

Landscapes

  •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AREA)

Abstract

수처리장치에 구비되어 수처리된 물이 배출되는 배출구에 분리가능하게 연결되며 배출구로부터 공급된 물로 음용차를 제조하여 사용자에게 공급하도록 구성된 음용차 제조기를 개시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음용차 제조기는 수처리장치에 구비되어 수처리된 물이 배출되는 배출구(D)에 분리가능하게 연결되는 배출구 연결부(210)와 음용차가 외부로 배출되는 음용차 공급구(220)를 포함하는 제조기본체(200); 및 상기 제조기본체(200)에 구비되며 음용차 제조물질이 수용되어 상기 배출구(D)로부터 공급된 물이 통과하면서 음용차가 제조되도록 하는 음용차 제조물질 수용부(300); 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해 본 발명은 물이 배출되는 배출구에 분리가능하게 연결되며 배출구로부터 공급된 물로 음용차를 제조하여 사용자에게 공급할 수 있으며, 물이 배출되는 배출구가 있으면 음용차를 만들 수 있고, 간편하게 또는 1회용으로 음용차를 만들 수 있다.

Description

음용차 제조기{TEA MAKER}
본 발명은 음용차를 제조하여 사용자에게 공급하도록 구성된 음용차 제조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수처리장에 구비되어 수처리된 물이 배출되는 배출구에 분리가능하게 연결되며 배출구로부터 공급된 물로 음용차를 제조하여 사용자에게 공급하도록 구성된 음용차 제조기에 관한 것이다.
음용차 제조기는 녹차, 홍차, 커피 등의 음용차를 제조하여 사용자에게 공급하도록 구성된 장치이다.
이러한 음용차 제조기는 공급된 물에 의해서 음용차가 우러나도록 구성되어 있다. 종래, 음용차 제조기는 공급된 물이 저장되며 음용차가 우러나도록 하는 공간이 존재하며, 음용차가 여러 번 우러날 수 있도록 구성되기 때문에, 부피가 비교적 크다는 문제점이 있다.
그러므로, 정수기 등의 수처리장치에 구비되어 수처리장치에서 수처리된 물이 배출되는 배출구에 용이하게 연결하여 사용하기가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간편하게 또는 1회용으로 음용차를 만들어서 사용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에서 발생하는 요구 또는 문제들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인식하여 이루어진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의 일 측면은 간편하게 또는 1회용으로 음용차를 만들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의 다른 측면은 수처리장치에 구비되어 수처리된 물이 배출되는 배출구에 연결되어 배출구로부터 공급된 물로 음용차를 만들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들 중 적어도 하나의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일실시 형태와 관련된 음용차 제조기는 다음과 같은 특징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기본적으로 수처리장치에 구비되어 수처리된 물이 배출되는 배출구에 분리가능하게 연결되며 배출구로부터 공급된 물로 음용차를 제조하여 사용자에게 공급하도록 구성된 것을 기초로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 형태에 따른 음용차 제조기는 수처리장치에 구비되어 수처리된 물이 배출되는 배출구에 분리가능하게 연결되는 배출구 연결부와 음용차가 외부로 배출되는 음용차 공급구를 포함하는 제조기본체; 및 제조기본체에 구비되며 음용차 제조물질이 수용되어 배출구로부터 공급된 물이 통과하면서 음용차가 제조되도록 하는 음용차 제조물질 수용부; 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음용차 제조물질 수용부는 배출구 연결부와 음용차 공급구를 연결하도록 제조기본체에 형성되며 물이 유동하는 유로에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유로는 'U'자 형상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음용차 제조물질 수용부는 유로의 하부에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음용차 공급구는 유로의 상부에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배출구 연결부는 배출구에 나사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배출구 연결부는 배출구에 연결부재에 의해서 분리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음용차 제조물질 수용부에 수용되는 음용차 제조물질은 분말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음용차 제조물질 수용부 다음의 유로에는 여과부재가 구비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수처리장치에 구비되어 수처리된 물이 배출되는 배출구에 분리가능하게 연결되며 배출구로부터 공급된 물로 음용차를 제조하여 사용자에게 공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수처리장치에 구비되어 수처리된 물이 배출되는 배출구가 있으면 음용차를 만들 수 있다.
그리고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간편하게 또는 1회용으로 음용차를 만들 수 있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음용차 제조기의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음용차 제조기의 일실시예의 작동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특징들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하여,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와 관련된 음용차 제조기에 대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하겠다.
이하, 설명되는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인 특징을 이해시키기에 가장 적합한 실시예들을 기초로 하여 설명될 것이며,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인 특징이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이하, 설명되는 실시예들과 같이 본 발명이 구현될 수 있다는 것을 예시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아래 설명된 실시예들을 통해 본 발명의 기술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며, 이러한 변형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 범위 내에 속한다 할 것이다. 그리고, 이하, 설명되는 실시예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첨부된 도면에 기재된 부호에 있어서, 각 실시예에서 동일한 작용을 하게 되는 구성요소 중 관련된 구성요소는 동일 또는 연장 선상의 숫자로 표기하였다.
본 발명과 관련된 실시예들은 기본적으로 수처리장치에 구비되어 수처리된 물이 배출되는 배출구에 분리가능하게 연결되며 배출구로부터 공급된 물로 음용차를 제조하여 사용자에게 공급하도록 구성된 것을 기초로 한다.
도1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음용차 제조기(100)는 제조기본체(200)와 음용차 제조물질 수용부(30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제조기본체(200)는 도1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배출구 연결부(210)와 음용차 공급구(22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조기본체(200)에는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유로(230)가 형성될 수 있다.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출구 연결부(210)는 수처리장치에 구비되어 수처리된 물이 배출되는 배출구(D)에 분리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이를 위해서, 제조기본체(200)의 배출구 연결부(210)는 도시된 바와 같이 배출구(D)에 나사결합될 수 있다. 그러나, 제조기본체(200)의 배출구 연결부(210)는 연결부재(도시되지 않음)에 의해서 배출구(D)에 분리가능하게 연결될 수도 있다.
이에 의해서, 수처리장치에 구비되어 수처리된 물이 배출되는 배출구(D)가 있으면, 제조기본체(200)의 배출구 연결부(210)를 배출구(D)에 연결되도록 하여 후술할 바와 같이 음용차를 만들 수 있다.
제조기본체(200)의 배출구 연결부(210)가 분리가능하게 연결되는 배출구(D)는 수처리장치(도시되지 않음)에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배출구(D)는 하나 이상의 정수필터(도시되지 않음)가 포함되는 여과부나, 여과부로부터 유입된 물을 저장하는 물탱크 등에 연결관(도시되지 않음)에 의해서 연결될 수 있다. 이외에, 배출구(D)는 탄산수가 저장되는 탄산수탱크(도시되지 않음)나, 이온수가 저장되는 이온수탱크(도시되지 않음)에도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수처리장치에서 처리된 물이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출구(D)를 통해 제조기본체(200)의 배출구 연결부(210)에 공급될 수 있다.
음용차 공급구(220)는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음용차가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본 발명에 따른 음용차 제조기(100)에서 만들어진 음용차를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음용차 공급구(220)로부터 공급받아서 마실 수 있다.
도1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유로(230)는 배출구 연결부(210)와 음용차 공급구(220)를 연결하도록 제조기본체(200)에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출구(D)로부터 공급되어 제조기본체(200)에 유입된 물은 유로(230)를 유동할 수 있다.
유로(230)는 도1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U'자 형상일 수 있다. 그러나, 유로(230)의 형상은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U'자 형상에 한정되지 않고, 제조기본체(200)의 배출구 연결부(210)와 음용차 공급구(220)를 연결할 수 있다면, 어떠한 형상이라도 가능하다.
도1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음용차 제조물질 수용부(300)는 제조기본체(200)에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음용차 제조물질이 수용되어 배출구(D)로부터 공급된 물이 통과하면서 음용차가 제조되도록 할 수 있다.
이를 위해서, 음용차 제조물질 수용부(300)는 유로(230)에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도1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제조기본체(200)의 유로(230)가 'U'자 형상인 경우에 음용차 제조물질 수용부(300)는 유로(230)의 하부에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음용차 제조물질 수용부(300)에 수용되는 음용차 제조물질은 분말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컨대, 녹차나 홍차 또는 커피 등의 음용차의 분말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음용차 공급구(220)는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유로(230)의 상부에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서,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출구(D)로부터 공급되어 유로(230)를 유동하는 물은 음용차 제조물질 수용부(300)를 통과할 수 있다. 이에 의해서,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음용차가 우러나서 음용차가 만들어질 수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이 만들어진 음용차는 유로(230)를 유동한 후, 도시된 바와 같이 유로(230)의 상부에 연결된 음용차 공급구(220)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어 사용자에게 공급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간편하게 또는 1회용으로 음용차를 만들 수 있다.
한편, 도1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음용차 제조물질 수용부(300) 다음의 유로(230)에는 여과부재(240)가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여과부재(240)에 의해서 음용차 제조물질 수용부(300)에 수용된 음용차 제조물질이 걸러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음용차 제조물질 수용부(300)에 수용된 음용차 제조물질이 음용차 공급구(220)를 통해 음용차와 함께 외부로 배출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여과부재(240)의 구성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음용차 제조물질 수용부(300)에 수용된 음용차 제조물질을 거를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이라면 주지의 어떠한 구성이라도 가능하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음용차 제조기를 사용하면, 수처리장치에 구비되어 수처리된 물이 배출되는 배출구에 분리가능하게 연결되며 배출구로부터 공급된 물로 음용차를 제조하여 사용자에게 공급할 수 있으며, 수처리장치에 구비되어 수처리된 물이 배출되는 배출구가 있으면 음용차를 만들 수 있고, 간편하게 또는 1회용으로 음용차를 만들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설명된 음용차 제조기는 상기 설명된 실시예의 구성이 한정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100 : 음용차 제조기 200 : 제조기본체
210 : 배출구 연결부 220 : 음용차 공급구
230 : 유로 240 : 여과부재
300 : 음용차 제조물질 수용부 D : 배출구

Claims (9)

  1. 수처리장치에 구비되어 수처리된 물이 배출되는 배출구(D)에 분리가능하게 연결되는 배출구 연결부(210)와 음용차가 외부로 배출되는 음용차 공급구(220)를 포함하는 제조기본체(200); 및
    상기 제조기본체(200)에 구비되며 음용차 제조물질이 수용되어 상기 배출구(D)로부터 공급된 물이 통과하면서 음용차가 제조되도록 하는 음용차 제조물질 수용부(300);
    를 포함하여 구성된 음용차 제조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음용차 제조물질 수용부(300)는 상기 배출구 연결부(210)와 음용차 공급구(220)를 연결하도록 상기 제조기본체(200)에 형성되며 물이 유동하는 유로(230)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용차 제조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유로(230)는 'U'자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용차 제조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음용차 제조물질 수용부(300)는 상기 유로(230)의 하부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용차 제조기.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음용차 공급구(220)는 상기 유로(230)의 상부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용차 제조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구 연결부(210)는 상기 배출구(D)에 나사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용차 제조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구 연결부(210)는 상기 배출구(D)에 연결부재에 의해서 분리가능하게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용차 제조기.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음용차 제조물질 수용부(300)에 수용되는 음용차 제조물질은 분말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용차 제조기.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음용차 제조물질 수용부(300) 다음의 상기 유로(230)에는 여과부재(240)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용차 제조기.
KR20120151577A 2012-12-21 2012-12-21 음용차 제조기 KR2014009030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20151577A KR20140090303A (ko) 2012-12-21 2012-12-21 음용차 제조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20151577A KR20140090303A (ko) 2012-12-21 2012-12-21 음용차 제조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90303A true KR20140090303A (ko) 2014-07-17

Family

ID=517379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20151577A KR20140090303A (ko) 2012-12-21 2012-12-21 음용차 제조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090303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37683B1 (ko) 수처리장치
US20130213877A1 (en) Fluid filter and filter cartridge
US20060032796A1 (en) Filter appliance and inner container for a filter apppliance
JP2007289888A (ja) 浄水器
AU2012247579B2 (en) System and method for conditioning a liquid such as water
CN103052597B (zh) 包括重力给料过滤器的水净化装置
US10099942B2 (en) Systems and methods of eliminating filter air locks
CN214270237U (zh) 水处理滤筒、限流单元、水容器和水分配器
US10328367B2 (en) Water treatment cartridge
KR20150007128A (ko) 정수기용 필터 및 이를 포함하는 정수기
US20170073249A1 (en) Container for a filter cartridge and filter set
KR20140090303A (ko) 음용차 제조기
KR20070018151A (ko) 정수기용 필터장치
CN206783424U (zh) 一种反向自清洗双重过滤水龙头
KR101598166B1 (ko) 정수기용 정화필터
KR20140009682A (ko) 휴대용물병의 정수장치
EP2720983A1 (en) Cartridge filter for percolating filter devices
JP5147021B2 (ja) 浄水器
CN104341048B (zh) 免安装便携直饮水机
CN215667409U (zh) 净水系统和净水器
CN109260794A (zh) 一种具有饮水视窗的反冲洗水龙头、净水盆及净水系统
CN104016499A (zh) 一种净水滤杯
CN216106148U (zh) 一种净水装置
KR101668032B1 (ko) 아령형 엘리먼트, 이를 구비한 세디먼트 필터 및 정수기
EP3221268A1 (en) Filter cartridge for a machine for preparing beverag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