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90032A - 정수기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정수기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90032A
KR20140090032A KR1020130002247A KR20130002247A KR20140090032A KR 20140090032 A KR20140090032 A KR 20140090032A KR 1020130002247 A KR1020130002247 A KR 1020130002247A KR 20130002247 A KR20130002247 A KR 20130002247A KR 20140090032 A KR20140090032 A KR 2014009003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ilure
water purifier
terminal device
water
ty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022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10971B1 (ko
Inventor
설희석
이인탁
Original Assignee
코웨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웨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코웨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0022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10971B1/ko
Publication of KR201400900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9003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109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1097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14Safety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filtration; Devices for indicating clogging
    • B01D35/143Filter condition indicato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009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 G06K19/06018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one-dimensional coding
    • G06K19/06028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one-dimensional coding using bar cod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정수기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정수기 제어방법은, 단말장치와 정수기 사이에 통신을 연결하는 통신연결단계; 상기 통신을 이용하여, 상기 단말장치가 상기 정수기의 저장부에 저장된 상기 정수기의 상태정보를 읽어오는 상태정보수신단계; 상기 단말장치가 상기 상태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정수기의 상태를 시각적으로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단계; 및 입력되는 변경신호에 따라, 상기 단말장치가 상기 정수기의 저장부에 저장된 상태정보를 변경하는 설정변경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정수기 제어방법 {Method for controlling water purifier}
본 발명은 정수기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단말장치를 이용하여 정수기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는 정수기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정수기는 원수에 포함된 이물질 등을 복수개의 필터를 이용하여 여과한 정수를 생성하는 장치로서, 종래에는 원수를 여과하는 정수기능이나 상기 정수기능을 중심으로 하는 몇가지 편의 기능(온수, 냉수 제공기능)만을 포함한 형태로 출시되었다. 하지만, 전자제어 기법 등이 발전하면서, 정수기에도 마이크로 프로세서 등이 내장되며, 저장된 제어 프로그램에 따라서 전자적으로 제어되도록 설계되고 있다. 다만, 상기 정수기에 내장된 제어 프로그램은, 변경하기 힘든 구조로 설계되어 출시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특히, 정수기의 디자인에 대한 중요성이 높아지고, 공간의 활용도를 높이기 위한 소형화가 진행되면서, 정수기의 외관 케이스에 위치하는 입출력 패널들도 디자인적으로 설계되거나 최소화되고 있다. 따라서, 점차 사용자가 상기 정수기에 대한 구체적인 동작을 설정하거나 변경하기가 어려워지고 있다.
다만, 정수기를 사용하다 보면, 사용자가 상기 정수기의 동작이나 설정을 변경할 필요가 있을 수 있다. 예를들어, 여름철에는 온수의 사용량이 적으므로 온수생성량을 줄여 대기전력 낭비를 방지하거나, 자가살균주기를 줄여 정수기의 내부 위생상태를 깨끗하게 유지하고자 하는 경우가 있을 수 있다. 하지만, 이러한 경우에도, 상기 정수기의 디자인 및 소형화에 의하여 설정변경이 어렵거나 불가능한 경우가 대부분이다. 따라서, 정수기에 내장되는 전자 제어 프로그램 등을 직접적으로 설정, 변경할 수 있는 방법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본 발명은 단말장치를 이용하여 정수기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는 정수기 제어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정수기 제어방법은, 단말장치와 정수기 사이에 통신을 연결하는 통신연결단계; 상기 통신을 이용하여, 상기 단말장치가 상기 정수기의 저장부에 저장된 상기 정수기의 상태정보를 읽어오는 상태정보수신단계; 상기 단말장치가 상기 상태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정수기의 상태를 시각적으로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단계; 및 입력되는 변경신호에 따라, 상기 단말장치가 상기 정수기의 저장부에 저장된 상태정보를 변경하는 설정변경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상태정보는, 상기 정수기의 온수, 냉수, 정수 또는 얼음의 생성여부, 상기 온수, 냉수 또는 정수의 온도 및 유량, 상기 정수기에 저장된 얼음의 용량, 상기 정수기 내부에 대한 자가살균주기 및 상기 정수기의 고장진단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정수기 제어방법은, 상기 단말장치에 구비된 카메라부가 상기 정수기에 부착된 바코드를 인식하면, 상기 단말장치가 상기 바코드에 저장된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정수기의 종류를 판별하는 정수기 인식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통신연결단계는, 근거리무선통신(NFC: Near Field Communication),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무선랜(wireless LAN) 및 블루투스(Bluetooth)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통신을 연결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정수기 제어방법은, 상기 단말장치가 상기 고장진단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정수기에 발생한 고장의 종류 및 고장처리방법을 디스플레이하는 고장진단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고장진단정보는, 기 설정된 검사주기가 도래하거나 상기 단말장치가 송신하는 자가검사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정수기가 자가검사를 수행하여 생성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고장진단단계는, 상기 단말장치가 상기 고장진단정보에 포함된 고장코드를 고장진단데이터베이스로 전송하는 전송과정; 상기 고장코드에 대응하는 고장의 종류 및 상기 고장의 종류에 따른 고장처리방법을, 상기 단말장치가 상기 고장진단데이터베이스로부터 전송받는 수신과정; 및 상기 단말장치가 상기 고장의 종류 및 고장처리방법을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고장진단데이터베이스는, 상기 단말장치 내부에 구비되며, 상기 고장코드에 대응하는 고장의 종류 및 상기 고장의 종류에 따른 고장처리방법이 저장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고장진단데이터베이스는, 외부서버에 구비되며, 상기 단말장치가 통신망을 통하여 상기 고장코드를 상기 외부서버에 전송하면, 상기 고장코드에 대응하는 고장의 종류 및 고장처리방법을 상기 외부서버가 상기 단말장치로 송신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고장진단단계는, 상기 고장진단정보에 포함된 고장코드가 기 설정된 호출고장코드에 해당하면, 상기 단말장치가 고객지원서버로 상기 고장진단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덧붙여 상기한 과제의 해결수단은, 본 발명의 특징을 모두 열거한 것이 아니다. 본 발명의 다양한 특징과 그에 따른 장점과 효과는 아래의 구체적인 실시형태를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정수기 제어방법에 의하면, 단말장치를 이용하여 정수기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정수기 제어방법에 의하면, 사용자의 의사에 따른 정수기의 동작제어를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으므로, 불필요한 전력낭비를 방지할 수 있으며, 사용자 만족도를 높일 수 있다.
도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정수기 제어방법의 단말장치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정수기 제어방법에 의한 정수기의 상태정보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정수기 제어방법에 의한 상태정보 변경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에에 의한 정수기 제어방법에 의한 고장진단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정수기 제어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유사한 기능 및 작용을 하는 부분에 대해서는 도면 전체에 걸쳐 동일한 부호를 사용한다.
덧붙여,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는 것은,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도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정수기 제어방법의 단말장치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단말장치는 통신부(11), 제어부(12), 디스플레이부(13), 인터페이스부(14) 및 고장진단데이터베이스(15)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 도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단말장치를 설명한다.
단말장치(10)는 정수기(20)의 동작을 제어하는 것으로서, 스마트폰, 태블릿 PC, PDA 등과 같은 이동단말일 수 있다. 예를들어, 상기 단말장치(10)가 스마트폰인 경우에는, 상기 스마트폰에 정수기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는 어플리케이션 등을 설치한 후,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상기 정수기(20)의 동작을 제어하는 것일 수 있다. 이외에도, 상기 단말장치(10)는, 상기 정수기에 본 발명의 정수기 제어방법이 적용되도록 설계된 별도의 제품일 수 있다.
정수기(20)는 일반적으로 가정이나 식당, 회사 등에 설치되어 원수를 여과하여 정수를 생성하는 장치를 의미하지만, 원수를 다양한 형태로 가공하여 사용자에게 공급하는 수처리기도 상기 정수기(20)에 포함될 수 있다. 즉, 상기 정수기(20)에는, 원수를 여과하여 정수, 냉수, 온수, 얼음 등을 생성하는 장치 이외에도, 커피메이커(coffee maker), 주스기(juicer), 이온수기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다만, 여기서는 주로 온수, 정수, 냉수 및 얼음을 생성할 수 있는 얼음정수기를 예로들어 설명한다.
상기 정수기(20)의 동작은 중앙제어장치(22)에서 제어되며, 저장부(23)에는 상기 정수기(20)의 동작상태 등이 기록된 상태정보가 저장될 수 있다. 즉, 정수기(20)의 동작제어에 필요한 연산을 수행하는 마이크로 프로세서(microprocessor)가 상기 중앙제어장치(22)에 포함될 수 있으며,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의 연산에 필요한 데이터 및 프로그램은 상기 저장부(23)에 저장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저장부(23)는 EEPROM(Electrically Erasable and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등의 메모리로 구현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정수기(20)에는 단말장치(10)와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통신부(21)가 포함될 수 있으며, 상기 통신부(21)를 이용하여 상기 단말장치(10)와 유선 또는 무선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유선통신방법으로는 USB(Universal Serial Bus), UART(Universal Asunchronous Receiver Transmitter) 등을 활용할 수 있으며, 무선통신방법으로는 근거리무선통신(NFC: Near Field Communication),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무선랜(wireless LAN), 블루투스(Bluetooth), 지그비(zigbee) 등을 활용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통신부(21)는, 3G, 4G 등의 이동통신 규격을 활용하여 상기 단말장치(10)와 통신하는 것도 가능하다.
종래에는, 정수기에 내부적으로 설정된 온수, 냉수 등의 목표온도나 온수, 냉수, 얼음의 생성량, 살균주기 등을 사용자가 임의로 확인하거나 변경하는 것이 어려웠다. 특히, 계절의 변화나 사용자의 생활패턴의 변화에 따른 사용자의 온수, 냉수, 얼음 등의 사용량 변화 등을 반영한 생성량을 조절이 불가능하였으므로, 불필요한 전력낭비 등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었다.
이와 관련하여, 단말장치(10)로 정수기(20)와 통신하여 상기 정수기(20)의 동작을 제어하면, 효율적인 전력사용 및 사용자 편의 향상이 가능하다. 이하, 상기 단말장치(10)를 이용한 정수기(20)의 동작제어를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단말장치(10)는 통신부(11)를 이용하여 상기 정수기(20)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으며, 상기 통신을 통하여 상기 정수기(20)로부터 상태정보를 전송받을 수 있다. 앞서 살핀 바와 같이, 상기 단말장치(10)의 통신부(11)는 다양한 방법으로 상기 정수기(20)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근거리무선통신(NFC)을 통하여 상기 정수기(20)와 통신할 수 있다. 상기 상태정보는 상기 정수기(20)의 저장부(23)에 저장될 수 있으며, 상기 상태정보는 상기 정수기(20)의 종류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얼음정수기의 경우를 예로들면, 상기 상태정보에는, 상기 정수기의 온수, 냉수, 정수, 얼음의 생성기능 수행여부가 포함될 수 있으며, 상기 정수기가 생성하는 온수, 냉수, 정수의 온도 및 생성량, 상기 정수기가 생성한 얼음의 생성량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정수기 내부에 대하여 정수기가 스스로 살균을 수행하는 자가살균기능이 있는 경우에는 자가살균주기에 대한 정보가 포함될 수 있으며, 정수기 내부에 고장이 발생하였는지 여부를 스스로 진단하는 고장진단기능이 있는 경우에는 상기 진단결과에 해당하는 고장진단정보도 포함될 수 있다.
단말장치(10)는 상기 상태정보를 상기 정수기(20)의 저장부(23)로부터 읽어올 수 있으며, 상기 상태정보에 포함된 상기 정수기(20)의 동작상태를 시각적으로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통신부(11)를 통하여 상기 정수기(20)의 저장부(23)에 저장된 상태정보를 읽어오는 동작은 제어부(12)의 제어신호에 따라 수행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3)는 상기 정수기(20)의 상태정보를 시각적으로 표시할 수 있으며, 사용자는 상기 디스플레이부(13)를 통하여 시각적으로 상기 정수기(20)의 상태정보를 파악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부(13)는 LCD(Liquid Crystal Display), LED(Light Emitting Device)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도2는 단말장치(10)가 정수기(20)의 상태정보를 나타내는 일 예를 도시한 것으로서, 도2를 참조하면 정수기의 모델명, 냉수 및 정수의 수위, 냉수, 온수, 정수의 온도 등이 표시될 수 있으며, 얼음의 용량이나 얼음생성단계에 대한 표시 등이 상기 상태정보로서 제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태정보를 표시하는 것에서 나아가, 상기 통신부(11)를 이용하여 상기 정수기(20)의 저장부(23)에 저장된 상태정보를 변경하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들어, 상기 디스플레이부(13)를 통하여 정수기(20)의 상태정보를 파악한 사용자는, 인터페이스부(14)를 통하여 상기 정수기(20)의 상태정보에 대한 변경을 입력할 수 있다. 이후, 상기 사용자의 입력에 대응하여, 상기 인터페이스부(14)는 변경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제어부(12)에 전송할 수 있으며, 상기 제어부(12)는 상기 변경신호에 따라 상기 정수기의 저장부에 저장된 상태정보를 변경할 수 있다. 즉, 상기 통신부(11)를 통하여 상기 정수기(20)의 저장부(23)에 저장된 상태정보를 변경하여 저장할 수 있다.
도3(a)는 단말장치(10)를 이용한 정수기(20) 상태정보의 변경을 나타내는 것으로서, 도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수기(20)의 온수기능, 냉수기능, 얼음기능 등을 끄고 켤 수 있다. 즉, 상기 정수기(20)의 온수, 냉수, 얼음 생성여부를 사용자가 조절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도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말장치(10)를 이용하여 정수기(20)의 자가살균주기를 조절할 수 있으며, 자가살균의 시기를 미리 예약하는 것도 가능하다. 즉, 상기 단말장치(10)에서 상기 자가살균주기 및 자가살균을 예약하면, 상기 정수기는 상기 설정된 자가살균 주기 및 자가살균 예약 시기에 따라 자가살균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단말장치(10)는 정수기(20)의 고장진단정보를 상기 상태정보로서 입력받을 수 있으며, 상기 고장진단정보를 이용하여 정수기(20)에 발생한 고장의 종류 및 고장처리방법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상기 고장진단정보는 상기 정수기(20)가 자가검사을 수행하여 생성하는 것으로서, 상기 자가검사는 상기 단말장치(10)가 송신하는 자가검사신호에 따라 수행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자가검사는, 기 설정된 검사주기마다 상기 정수기(20)가 스스로 수행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자가검사에 의하면, 상기 정수기(20)는 기 설정된 순서에 따라 순차적으로 센서, 히터, 냉각기 등 상기 정수기(20)에 포함된 구성들을 동작할 수 있다. 이후, 센서의 측정값이 기 설정된 목표값과 오차범위 이상 차이가 발생하는 등 상기 각각의 구성의 동작이 기 설정된 검사기준과 상이하면 상기 구성에 고장이 발생한 것으로 판별하고 상기 고장진단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고장진단정보는 상기 각각의 고장의 종류 및 고장의 발생위치에 따라 서로 다른 고장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장진단정보는 상기 정수기(20)의 저장부(23)에 저장되는 것이지만, 앞서 살핀 바와 같이, 단말장치(10)는 통신을 통하여 상기 정수기(20)의 고장진단정보를 읽을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단말장치(10)는 상기 고장진단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정수기(20)에 발생한 고장의 종류 및 상기 고장에 대한 고장처리방법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고장코드에 대응하는 고장의 종류 및 상기 고장의 종류에 따른 고장처리방법이 저장된 고장진단데이터베이스(15)가 있을 수 있으며, 상기 단말장치(10)는 상기 고장진단데이터베이스(15)에서 상기 고장코드를 검색할 수 있다. 즉, 상기 제어부(12)가 상기 고장진단데이터베이스(15)로 상기 고장코드를 전송하면, 상기 고장진단데이터베이스(15)는 상기 고장코드에 대응하는 고장의 종류 및 고장처리방법을 상기 제어부(12)로 전송할 수 있다. 이후, 상기 제어부(12)는 상기 디스플레이부(13)를 이용하여 상기 고장의 종류 및 고장처리방법을 표시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도1에서는 상기 고장진단데이터베이스(15)가 상기 단말장치(10)의 내부에 포함된 것을 예시하고 있으나, 상기 고장진단데이터베이스(15)는 상기 단말장치(10)의 외부에 구비될 수도 있다. 즉, 상기 고장진단데이터베이스(15)를 포함하는 별도의 외부서버가 있을 수 있으며, 상기 단말장치(10)가 상기 외부서버와 통신을 수행하여 상기 고장코드에 대응하는 고장의 종류 및 고장처리방법을 전송받는 것도 가능하다. 이때, 상기 단말장치(10)는 3G, 4G 등의 이동통신망이나 Wifi 등을 통하여 상기 외부서버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상기 고장코드가 기 설정된 호출고장코드에 해당하면, 상기 단말장치(10)는 별도로 구비된 고객지원서버로 상기 고장진단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상기 호출고장코드가 아닌 경우에는, 사용자가 상기 고장처리방법에 따라 상기 정수기(20)에 대한 수리를 수행하면 간단하게 상기 고장을 고칠 수 있다. 하지만, 상기 호출고장코드에 해당하는 경우에는 사용자가 간단하게 고장을 해소할 수 없는 경우에 해당하며, 전문수리업자에 의한 고장수리가 필요할 수 있다. 따라서, 이 경우에는 상기 단말장치(10)가 고객지원서버로 상기 고장진단정보를 전송하여, 상기 정수기(20)의 고장을 고객지원센터가 접수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고객지원서버에 상기 고장진단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고객지원센터는 사용자에 대한 전화 또는 방문 등을 통하여 상기 정수기(20)에 대한 고장수리 등을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
도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단말장치의 고장진단을 나타내는 것으로서, 먼저 단말장치(10)의 자가검사신호에 따라 상기 정수기(20)의 자가검사가 수행될 수 있다. 이후, 상기 자가검사 결과 생성된 고장코드에 대응하는 고장의 종류 및 고장처리방법이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디스플레이된 고장처리방법에 따라 수리를 진행한 후에도 상기 고장이 해결되지 않으면,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고객지원서버로 상기 고장진단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상기 고장진단정보가 고객지원서버로 전송되면,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고장에 대한 고장수리 요청이 상기 고객지원센터에 접수되었음을 확인하는 화면이 디스플레이부(13)에 나타날 수 있다.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상기 단말장치(10)는 카메라부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카메라부를 이용하여 상기 정수기(20)의 종류를 파악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카메라부는 스마트폰 등의 이동단말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카메라 장치일 수 있으며, CCD(Charge Coupled Device) 센서, CMOS(Complementary Metal-Oxide-Semiconductor) 센서 등의 반도체 촬상소자를 이용하여 외부에서 입사되는 빛의 영상을 전기신호로 바꾸는 것일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카메라부를 이용하여 상기 정수기(20)에 구비되는 바코드, QR(Quich Response) 코드 등을 인식하면, 상기 단말장치(10)는 상기 바코드에 저장된 정보를 읽을 수 있다. 상기 바코드, QR 코드 등에는 상기 정수기(20)의 모델명, 생산일자, 생산지 등의 정보가 포함될 수 있으므로, 상기 카메라부로 상기 정수기(20)의 바코드에 저장된 정보를 읽으면 상기 정수기(20)의 종류를 파악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단말장치(10)는 상기 정수기(20)의 종류에 대응하여, 상기 정수기(20)와의 통신연결이나 고장진단 등을 수행할 수 있다.
도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정수기 제어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정수기 제어방법은, 정수기인식단계(S10), 통신연결단계(S20), 상태정보수신단계(S30), 디스플레이단계(S40), 설정변경단계(S50) 및 고장진단단계(S60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 도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정수기 제어방법을 설명한다.
정수기인식단계(S10)는, 단말장치에 구비된 카메라부가 상기 정수기에 부착된 바코드를 인식하면, 상기 단말장치가 상기 바코드에 저장된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정수기의 종류를 판별할 수 있다. 앞서 살핀 바와 같이, 상기 바코드에는 상기 정수기의 모델명 등에 대한 정보가 저장되어 있으므로, 상기 단말장치의 카메라부를 이용하면 상기 정수기의 종류를 파악할 수 있다.
통신연결단계(S20)는 단말장치와 정수기 사이에 통신을 연결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통신연결단계(S20)는 근거리무선통신(NFC: Near Field Communication),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무선랜(wireless LAN) 및 블루투스(Bluetooth)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통신을 연결할 수 있다. 앞서 살핀 바와 같이, 상기 단말장치는 상기 정수기의 종류에 따라 유선 또는 무선통신을 연결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근거리무선통신방식을 이용하여 상기 정수기와 통신할 수 있다.
상태정보수신단계(S30)에서는, 상기 단말장치가 상기 통신을 이용하여, 상기 정수기의 저장부에 저장된 상기 정수기의 상태정보를 읽어올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상태정보는, 상기 정수기의 온수, 냉수, 정수 또는 얼음의 생성여부, 상기 온수, 냉수 또는 정수의 온도 및 유량, 상기 정수기에 저장된 얼음의 용량, 상기 정수기 내부에 대한 자가살균주기 및 상기 정수기의 고장진단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단계(S40)에서는, 상기 단말장치가 상기 상태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정수기의 상태를 시각적으로 표시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상기 단말장치를 통하여 상기 정수기의 상태를 파악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단말장치는 스피커 등을 포함하여 상기 정수기의 상태를 청각적으로 표시하는 것도 가능하다.
설정변경단계(S50)는 입력되는 변경신호에 따라, 상기 단말장치가 상기 정수기의 저장부에 저장된 상태정보를 변경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단계(S40)에서 상기 정수기의 상태를 파악한 사용자는, 상기 설정변경단계(S50)를 통하여 상기 정수기의 설정 등을 변경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정수기의 저장부에 저장된 상태정보를 변경하는 방식으로 상기 정수기의 설정 등을 변경할 수 있다. 예를들어, 정수기의 온수생성기능을 켜고 끄거나, 얼음 생성량을 조절할 수 있다. 또는 정수기 내부에 대한 자가살균의 주기를 조절하거나 자가살균시기를 미리 예약할 수 있다.
고장진단단계(S60)는 상기 단말장치가 상기 고장진단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정수기에 발생한 고장의 종류 및 고장처리방법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상기 고장진단정보는 상기 정수기가 자가검사를 수행하여 생성하는 것으로서, 기 설정된 검사주기가 도래하거나 상기 단말장치가 송신하는 자가검사신호가 입력되면 수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고장진단단계(S60)는 전송과정, 수신과정 및 디스플레이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전송과정에서는, 상기 단말장치가 상기 고장진단정보에 포함된 고장코드를 고장진단데이터베이스로 전송할 수 있다. 상기 고장코드가 상기 고장진단데이터베이스로 전송되면, 상기 고장진단데이터베이스는 상기 고장코드에 대응하는 고장의 종류 및 상기 고장의 종류에 따른 고장처리방법을 검색할 수 있다. 이후, 수신과정을 통하여 상기 고장코드에 대응하는 고장의 종류 및 고장처리방법을 상기 고장진단데이터베이스로부터 전송받을 수 있다. 상기 고장의 종류 및 고장처리방법을 전송받은 단말장치는, 디스플레이과정을 통하여 상기 상기 고장의 종류 및 고장처리방법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상기 단말장치를 통하여 상기 정수기에 발생한 고장의 종류 및 고장처리방법을 파악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고장진단데이터베이스는 상기 고장코드에 대응하는 고장의 종류 및 상기 고장의 종류에 따른 고장처리방법이 저장된 저장매체로서, 상기 단말장치 내부 또는 외부서버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고장진단데이터베이스가 외부서버에 구비되는 경우에는, 상기 단말장치와 상기 외부서버와의 통신을 통하여 상기 고장코드, 상기 고장코드에 대응하는 고장의 종류 및 고장처리방법을 송수신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고장진단정보에 포함된 고장코드가 기 설정된 호출고장코드에 해당하면, 상기 단말장치는 고객지원서버로 상기 고장진단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즉, 상기 고장진단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고장처리방법으로는 해결할 수 없는 고장이거나, 상기 고장처리방법에 따라 고장처리를 수행했음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고장이 해소되지 않은 경우에는 상기 고객지원서버로 상기 고장진단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상기 고객지원서버가 상기 고장진단정보를 전송받으면, 고객지원센터에서 전화, 방문 등을 통하여 전문수리업자가 상기 정수기(20)에 대한 고장수리 등을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에 따른 구성요소를 치환, 변형 및 변경할 수 있다는 것이 명백할 것이다.
10: 단말장치 11: 통신부
12: 제어부 13: 디스플레이부
14: 인터페이스부 15: 고장진단데이터베이스
20: 정수기 21: 통신부
22: 중앙제어장치 23: 저장부
S10: 정수기인식단계 S20: 통신연결단계
S30: 상태정보수신단계 S40: 디스플레이단계
S50: 설정변경단계 S60: 고장진단단계

Claims (10)

  1. 단말장치와 정수기 사이에 통신을 연결하는 통신연결단계;
    상기 통신을 이용하여, 상기 단말장치가 상기 정수기의 저장부에 저장된 상기 정수기의 상태정보를 읽어오는 상태정보수신단계;
    상기 단말장치가 상기 상태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정수기의 상태를 시각적으로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단계; 및
    입력되는 변경신호에 따라, 상기 단말장치가 상기 정수기의 저장부에 저장된 상태정보를 변경하는 설정변경단계를 포함하는 정수기 제어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태정보는
    상기 정수기의 온수, 냉수, 정수 또는 얼음의 생성여부, 상기 온수, 냉수 또는 정수의 온도 및 유량, 상기 정수기에 저장된 얼음의 용량, 상기 정수기 내부에 대한 자가살균주기 및 상기 정수기의 고장진단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정수기 제어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장치에 구비된 카메라부가 상기 정수기에 부착된 바코드를 인식하면, 상기 단말장치가 상기 바코드에 저장된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정수기의 종류를 판별하는 정수기 인식 단계를 더 포함하는 정수기 제어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연결단계는
    근거리무선통신(NFC: Near Field Communication),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무선랜(wireless LAN) 및 블루투스(Bluetooth)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통신을 연결하는 정수기 제어방법.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장치가, 상기 고장진단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정수기에 발생한 고장의 종류 및 고장처리방법을 디스플레이하는 고장진단단계를 더 포함하는 정수기 제어방법.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고장진단정보는
    기 설정된 검사주기가 도래하거나 상기 단말장치가 송신하는 자가검사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정수기가 자가검사를 수행하여 생성하는 정수기 제어방법.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고장진단단계는
    상기 단말장치가 상기 고장진단정보에 포함된 고장코드를 고장진단데이터베이스로 전송하는 전송과정;
    상기 고장코드에 대응하는 고장의 종류 및 상기 고장의 종류에 따른 고장처리방법을, 상기 단말장치가 상기 고장진단데이터베이스로부터 전송받는 수신과정; 및
    상기 단말장치가 상기 고장의 종류 및 고장처리방법을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과정을 포함하는 정수기 제어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고장진단데이터베이스는
    상기 단말장치 내부에 구비되며, 상기 고장코드에 대응하는 고장의 종류 및 상기 고장의 종류에 따른 고장처리방법이 저장된 정수기 제어방법.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고장진단데이터베이스는
    외부서버에 구비되며, 상기 단말장치가 통신망을 통하여 상기 고장코드를 상기 외부서버에 전송하면, 상기 고장코드에 대응하는 고장의 종류 및 고장처리방법을 상기 외부서버가 상기 단말장치로 송신하는 정수기 제어방법.
  10.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고장진단단계는
    상기 고장진단정보에 포함된 고장코드가 기 설정된 호출고장코드에 해당하면, 상기 단말장치가 고객지원서버로 상기 고장진단정보를 전송하는 정수기 제어방법.
KR1020130002247A 2013-01-08 2013-01-08 정수기 제어방법 KR10201097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02247A KR102010971B1 (ko) 2013-01-08 2013-01-08 정수기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02247A KR102010971B1 (ko) 2013-01-08 2013-01-08 정수기 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90032A true KR20140090032A (ko) 2014-07-16
KR102010971B1 KR102010971B1 (ko) 2019-08-14

Family

ID=517378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02247A KR102010971B1 (ko) 2013-01-08 2013-01-08 정수기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10971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14603A (ko) * 2015-07-30 2017-02-08 엘지전자 주식회사 정수 공급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하는 정수 제어 방법
KR20170114114A (ko) * 2016-04-04 2017-10-13 주식회사 교원 정수기 관리 시스템 및 정수기 관리방법
KR101909598B1 (ko) * 2017-04-18 2018-10-18 (주)구츠 IoT 기반 자율운전이 가능한 지능형 스마트 음용수기의 관리 시스템
CN109133225A (zh) * 2018-10-24 2019-01-04 广东点球电子科技有限公司 净水机控制方法、装置、设备和存储介质
KR102046806B1 (ko) * 2018-09-17 2019-12-02 (주)위 에너지 태양광으로 전력을 공급받아 브러쉬로 청소가 가능한 코안다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운용 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02460U (ko) * 2007-09-06 2009-03-11 인프라닉스 주식회사 It기반의 정수기 원격관리시스템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02460U (ko) * 2007-09-06 2009-03-11 인프라닉스 주식회사 It기반의 정수기 원격관리시스템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14603A (ko) * 2015-07-30 2017-02-08 엘지전자 주식회사 정수 공급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하는 정수 제어 방법
KR101879335B1 (ko) * 2015-07-30 2018-07-17 엘지전자 주식회사 정수 공급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하는 정수 제어 방법
KR20170114114A (ko) * 2016-04-04 2017-10-13 주식회사 교원 정수기 관리 시스템 및 정수기 관리방법
KR101909598B1 (ko) * 2017-04-18 2018-10-18 (주)구츠 IoT 기반 자율운전이 가능한 지능형 스마트 음용수기의 관리 시스템
WO2018194212A1 (ko) * 2017-04-18 2018-10-25 (주)구츠 Iot 기반 자율운전이 가능한 지능형 스마트 음용수기의 관리 시스템
KR102046806B1 (ko) * 2018-09-17 2019-12-02 (주)위 에너지 태양광으로 전력을 공급받아 브러쉬로 청소가 가능한 코안다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운용 방법
CN109133225A (zh) * 2018-10-24 2019-01-04 广东点球电子科技有限公司 净水机控制方法、装置、设备和存储介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10971B1 (ko) 2019-08-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769470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obtaining and displaying appliance photographic image and supplemental data
KR102010971B1 (ko) 정수기 제어방법
US11957637B2 (en) Remote spa control system
US20150088331A1 (en) Intelligent wall plug
CN103961928A (zh) 滤芯状态监测装置、滤芯状态监测方法和智能水机
CN205101636U (zh) 水龙头系统和水龙头及具有该水龙头的净水机
CN105649159A (zh) 一种智能马桶及包含该智能马桶的喷洗系统
CN106325239A (zh) 用于从局部传感器收集数据的基站
KR102061166B1 (ko) 센싱 방법 및 장치
JP6122248B2 (ja) エネルギ情報出力装置及びデータ管理システム
WO2014024418A1 (ja) 情報端末、情報表示方法、制御プログラム及びサーバ
CN105351590A (zh) 水龙头系统和水龙头及具有该水龙头的净水机
KR20170115085A (ko) 시스템의 상태를 수집하고 분석하는 시스템 및 방법
JP5260613B2 (ja) 空気調和機
KR20120040315A (ko) 소비전력 패턴분석시스템용 지능형 콘센트
KR101875030B1 (ko) 정수기 관리 시스템 및 정수기 관리방법
CN201035728Y (zh) 可无线传输的饮水机
KR20130004164A (ko) 제어 키트를 이용한 댁내 장치의 제어 방법 및 제어키트를 이용한 정수기의 제어방법
JP2020056744A (ja) スマートタップ
JP2020058198A (ja) 管理装置
KR20130095012A (ko) 외부 인터페이스를 구비한 냉온수 공급기 및 냉온수 공급기 진단 시스템
JP5427310B2 (ja) 空気調和機
CN211212662U (zh) 一种饮水机电路及饮水系统
JP6518518B2 (ja) ガス器具、及びそれを用いた近距離無線通信システム
JP5452754B2 (ja) 空気調和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