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89929A - 시스템 주방가구 - Google Patents

시스템 주방가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89929A
KR20140089929A KR1020130002002A KR20130002002A KR20140089929A KR 20140089929 A KR20140089929 A KR 20140089929A KR 1020130002002 A KR1020130002002 A KR 1020130002002A KR 20130002002 A KR20130002002 A KR 20130002002A KR 20140089929 A KR20140089929 A KR 2014008992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orage
door
lift
fixed
connecting ro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020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병순
Original Assignee
황병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황병순 filed Critical 황병순
Priority to KR10201300020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089929A/ko
Publication of KR201400899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8992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77/00Kitchen cabinets
    • A47B77/02General layout, e.g. relative arrangement of compartments, working surface or surfaces, supports for apparatu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77/00Kitchen cabinets
    • A47B77/04Provision for particular uses of compartments or other parts ; Compartments moving up and down, revolving parts
    • A47B77/16Provision for particular uses of compartments or other parts ; Compartments moving up and down, revolving parts by adaptation of compartments or drawers for receiving or holding foodstuffs; by provision of rotatable or extensible containers f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77/00Kitchen cabinets
    • A47B77/04Provision for particular uses of compartments or other parts ; Compartments moving up and down, revolving parts
    • A47B77/10Provision for particular uses of compartments or other parts ; Compartments moving up and down, revolving parts with members movable outwards to a position of use, e.g. tables, ironing boards

Landscapes

  • Combinations Of Kitchen Furni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시스템 주방가구에 관한 것으로, 다수의 가로ㆍ세로 프레임(31)이 결합되어 형성되는 공간내에 구비되는 싱크대(10)와, 렌지대(20) 및 다수의 수납장으로 이루어지는 하부 수납장(30)과 다수의 가로ㆍ세로 프레임(41)이 결합되어 형성되는 공간내에 구비되는 다수의 수납장으로 이루어지는 상부 수납장(40)으로 구성되는 주방가구에 있어서; 상기 하부 수납장(30)의 수납장이 회전수납장(32 ∼ 35)으로 구성되고; 상기 상부 수납장(40)의 수납장이 회전수납장(42 ∼ 44, 47) 및 리프트 수납장(45, 46)으로 구성되어 수납장을 도어와 함께 180°회전하도록 하여 수납장의 깊숙한 곳의 물품 수납을 용이하게 하고, 상부 수납장의 상단 수납장에 리프트 장치를 채용하여 수납장을 아래로 내려 물품 수납을 수납함으로써 높은 곳에 위치하는 수납장에 물품 수납을 용이하게 하여 사용상의 편리성을 도모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전면부 프레임에 센서식 조명을 설치하여 사용시 조명함으로써 외관을 수려하게 돋보이도록 하면서도 주부가 주방일에 쉽게 실증을 느끼게 않고 즐겁게 할 수 있는 각별한 장점이 있는 유용한 발명이다.

Description

시스템 주방가구 {System kitchen furniture}
본 발명은 주방용 가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리프트 장치를 채용하여 상부 수납장의 상단 수납장의 물품 수납을 용이하게 하고, 그외 상부 수납장의 수납장과 하부 수납장의 수납장을 도어와 함께 180°회전하도록 하여 수납장의 깊숙한 곳의 물품 수납을 용이하게 하여 사용상의 편리성을 도모함과 더불어 전면부 프레임에 센서식 조명을 설치하여 외관을 수려하게 돋보이도록 한 시스템 주방가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주방용 가구는 음식의 조리 및 설거지를 용이하게 할 수 있으며 식기도구 등을 보관할 수 있도록 주방에 설치되는 가구로서, 통상적으로 각종 수납공간을 비롯하여 세척조나 가스렌지 재치대 또는 전자렌지 재치대 등으로 구성되는 싱크대와, 요리 시에 발생하는 연기 및 냄새를 제거하기 위해 가스렌지 상부에 설치되는 렌지후드와, 크기가 다른 식기나 용기들과 같은 것들을 편리하게 수납할 수 있도록 다양한 공간이 마련된 상부 수납장을 구비한다. 한편, 식탁은 싱크대와 별개의 구조물 또는 부수적인 구조물로서 주방의 중앙부 등에 배치되어 거주자 등이 식사를 하거나 음식을 들면서 이야기를 나누는 데 사용된다.
싱크대는, 설거지를 할 수 있는 공간이 제공되는 개수대와, 개수대의 측면에 배치되어 조리 작업을 수행하게 하는 조리대와, 조리대의 측면에 배치되어 가스렌지나 오븐이 설치되는 렌지대와, 조리대, 개수대 및 렌지대의 하부에 식기 및 주방도구 등을 수납하는 하부수납장을 구비한다. 싱크대의 개수대에는 급수를 위한 수도꼭지 등이 설치되어 설거지 등을 할 때 물을 제공하게 되고, 조리대는 조리 시에 요리에 필요한 그릇, 도마, 재료 등을 올려놓거나 밥을 펄 때에는 밥솥을, 설거지 시에는 그릇 등을 놓기 위해 사용되기도 하고, 요리 재료를 다듬는 작업을 할 때에는 작업대로 사용되는 등 그 용도가 다양하다.
한편, 개수대나 조리대의 상부에 배치되는 상부수납장은 다양한 종류의 식기나 용기 등을 수납하기 위하여 사용되며, 렌지대의 상부에는 조리자가 작동 버튼 등을 누르는 경우 동작하는 렌지후드가 설치된다.
렌지후드는, 주방에서 음식 조리를 위해 가스렌지, 가스오븐렌지를 사용할 때 많은 열, 연기 및 냄새가 발생하게 되는데 이에 의하여 실내 공기가 오염되거나 실내 온도가 덥고 습하게 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설치되는 것으로서, 요리 시에 가스렌지로부터 발생되는 연기 및 냄새를 제거하기 위하여 가스렌지 상부의 공기를 흡입하여 외부로 배출하게 한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주방용 가구에 있어서는, 상부 수납장과 하부 수납장 각각은 그 도어만이 미닫이 또는 여닫이 식으로 개폐될 뿐 도어 후방에 위치하는 물품이 재치되는 선반이 고정된 것이기 때문에 수납장의 깊숙한 곳에 물품을 수납하는 것이 매우 불편하다고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수납장의 깊숙한 곳에 물품을 수납할 공간이 많이 비어있음에도 불구하고 도어와 수납장의 도어와 가까운 부분만을 사용하게 되어 물품을 수납할 공간의 부족함 등이 야기되는 결점이 있었다.
또한, 주부의 손이 닿지 않는 상부 수납장의 상단 수납장의 경우에도 그 도어만이 미닫이 또는 여닫이 식으로 개폐될 뿐 도어 후방에 위치하는 물품이 재치되는 선반이 고정된 것이기 때문에 이곳에 물품을 수납하기 위해서는 수납할 물품을 손에 들고 의자 등에 보조기구에 올라 가야하는 만 상부 수납장의 상단 수납장에 물품을 수납할 수 있었기 때문에 사용상의 불편함뿐만 아니라 낙상사고 등 위험을 초래하게 되는 문제점도 있었다.
또한, 상부 수납장과 하부 수납장의 외관이 항상 동일한 외관으로 특정되어 있기 때문에 동일한 곳에서 동일한 주방일을 반복하는 주부가 주방일에 쉽게 실증을 느끼게 된다고 하는 문제점도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실정을 감안하여 종래 주방용 가구에서 야기되는 여러 가지 결점 및 문제점 들을 해결하고자 발명한 것으로서, 그 목적은 수납장을 도어와함께 180°회전하도록 하여 수납장의 깊숙한 곳의 물품 수납을 용이하게 하여 사용상의 편리성을 도모할 수 있는 시스템 주방가구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부 수납장의 상단 수납장에 리프트 장치를 채용하여 수납장을 아래로 내려 물품 수납을 수납함으로써 높은 곳에 위치하는 수납장에 물품 수납을 용이하게 하여 사용상의 편리성을 도모할 수 있는 시스템 주방가구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전면부 프레임에 센서식 조명을 설치하여 사용시 조명함으로써 외관을 수려하게 돋보이도록 하면서도 주부가 주방일에 쉽게 실증을 느끼게 않고 즐겁게 할 수 있도록 하는 시스템 주방가구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 시스템 주방가구는 다수의 가로ㆍ세로 프레임(31)이 결합되어 형성되는 공간내에 구비되는 싱크대(10)와, 렌지대(20) 및 다수의 수납장으로 이루어지는 하부 수납장(30)과 다수의 가로ㆍ세로 프레임(41)이 결합되어 형성되는 공간내에 구비되는 다수의 수납장으로 이루어지는 상부 수납장(40)으로 구성되는 주방가구에 있어서; 상기 하부 수납장(30)의 수납장이 회전수납장(32 ∼ 35)으로 구성되고, 상기 상부 수납장(40)의 수납장이 회전수납장(42 ∼ 44, 47) 및 리프트 수납장(45, 46)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수납장을 도어와 함께 180°회전하도록 하여 수납장의 깊숙한 곳의 물품 수납을 용이하게 하고, 상부 수납장의 상단 수납장에 리프트 장치를 채용하여 수납장을 아래로 내려 물품 수납을 수납함으로써 높은 곳에 위치하는 수납장에 물품 수납을 용이하게 하여 사용상의 편리성을 도모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전면부 프레임에 센서식 조명을 설치하여 사용시 조명함으로써 외관을 수려하게 돋보이도록 하면서도 주부가 주방일에 쉽게 실증을 느끼게 않고 즐겁게 할 수 있는 각별한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 시스템 주방가구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회전수납장 및 리프트 수납장의 상용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리프트 수납장의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회전수납장의 분해 사시도 이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 시스템 주방가구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 시스템 주방가구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회전수납장 및 리프트 수납장의 상용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리프트 수납장의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회전수납장의 분해 사시도로서, 본 발명 시스템 주방가구는 다수의 가로ㆍ세로 프레임(31)이 결합되어 형성되는 공간내에 구비되는 싱크대(10)와, 렌지대(20) 및 다수의 수납장으로 이루어지는 하부 수납장(30)과 다수의 가로ㆍ세로 프레임(41)이 결합되어 형성되는 공간내에 구비되는 다수의 수납장으로 이루어지는 상부 수납장(40)으로 구성되는 주방가구에 있어서; 상기 하부 수납장(30)의 수납장이 회전수납장(32 ∼ 35)으로 구성되고, 상기 상부 수납장(40)의 수납장이 회전수납장(42 ∼ 44, 47) 및 리프트 수납장(45, 46)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회전수납장(32 ∼ 35, 42 ∼ 44, 47) 각각은 도어(51)와; 상기 도어(51)의 후면에 수직부가 결합 고정되는 도어 고정프레임(52)과; 상기 도어 고정프레임(52)의 도어측 수평부 중앙 하면에 일측단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연결대(53)와; 상기 연결대(53)의 타측단에 일측단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연결대(54)와; 하부면 양측에 다수의 롤러(55a)를 구비하여 상기 연결대(54)의 타측단에 중앙축(55b)이 연결되는 슬라이딩 이동대(55)와; 상기 슬라이딩 이동대(55)가 삽입되어 슬라이딩 이동하는 레일(56)과; 상기 이동대(55)의 중앙축(55b)에 하면 중앙부가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고, 윗면이 상기 도어 고정프레임(52)의 수평부 중앙 하면에 고정되는 회전판(57) 및; 상기 도어 고정프레임(52) 상에 장착되는 수납박스(58)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가로ㆍ세로 프레임(31, 41)으로는 나무목 무늬 필름을 삽입할 수 있는 알루마늄 프레임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가로ㆍ세로 프레임(31) 중 전면에 위치하는 프레임과 가로ㆍ세로 프레임(41) 중 전면에 위치하는 프레임 각각에는 전방에 사용자의 존재 여부에 따라 온/오프되는 센서식 조명수단(31a, 41a)을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 경우 센서식 조명수단(31a, 41a)으로 LED를 사용하는 것이 전자파의 발생을 최소화하고, 소비 전력을 최소화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리프트 수납장(45, 46) 각각은 내부 양 측면에 고정되는 리프트 박스(45a, 45a')와; 실린더측 단부가 상기 리프트 박스(45a, 45a') 각각의 내측 상부 후방에 고정되는 유압쇼바(45b)와; 일측 단부가 상기 리프트 박스(45a, 45a') 각각의 내측 하부 전방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고 중앙에 유압쇼바(45b) 각각의 로드측 단부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연결대(45c)와; 상기 연결대(45c) 각각의 타단에 일단이 연결되는 연결대(45d)와; 실린더측 단부가 상기 리프트 박스(45a, 45a') 각각의 내측 하부 전방에 고정되는 유압쇼바(45b')와; 일측 단부가 상기 리프트 박스(45a, 45a') 각각의 내측 하부 후방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고 중앙에 유압쇼바(45b') 각각의 로드측 단부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연결대(45e)와; 상기 연결대(45e) 각각의 타단에 일단이 연결되는 연결대(45f)와; 상기 연결대(45d, 45f) 타단이 바깥측 양 측면 상부에 고정되는 수납박스(45g)와; 상기 수납박스(45g) 전방 내측 가장자리를 따라 설치되는 고정프레임(45h) 상기 고정프레임(45h)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도어회전 프레임(45i) 및 상기 도어회전 프레임(45i)에 고정되는 리프트 도어(45j)로 구성되어 있다.
다음에는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 시스템 주방가구의 사용상태에 대한 설명으로 그 작용을 설명한다.
사용자가 싱크대(10)나 렌지대(20), 하부 수납장(30) 또는 상부 수납장(40)을 사용하기 위해 시스템 주방가구 근처로 접근하면 별도로 설치된 센서가 이를 감지하여 센서식 조명수단(31a, 41a)을 온시켜 시스템 주방가구 전면이 조명되게 되고, 시스템 주방가구의 사용 후 사용자가 시스템 주방가구 근처를 벗어나게 되면, 센서가 이를 감지하여 센서식 조명수단(31a, 41a)을 오프시켜 시스템 주방가구 전면의 조명이 없어지게 된다.
이러한 조명에 따라 시스템 주방가구의 외관이 수려하게 돋보이게 되고, 사용자는 주방일에 쉽게 실증을 느끼게 않고 즐겁게 할 수 있도록 도움을 주게 된다.
또한, 사용자가 회전수납장(32 ∼ 35, 42 ∼ 44, 47)에 물품을 수납하고자 할 때는 도 2의 우측에 나타낸 바와 같이 도어(51)의 우측 가장자리를 잡아당기면, 도어(51)와 함께 수납박스(58) 앞쪽으로 인출되면서 시계방향으로 회전됨으로써 수납박스(58)의 후방부가 인출되어 수납박스(58)의 깊숙한 곳(후방부)까지 물품을 용이하게 수납할 수 있게 된다.
수납박스(58)의 죄측 가장자리를 잡아당기는 경우에는 도어(51)와 함께 수납박스(58) 앞쪽으로 인출되면서 시계 반대 방향으로 회전됨으로써 수납박스(58)의 후방부가 인출되어 수납박스(58)의 깊숙한 곳(후방부)까지 물품을 용이하게 수납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사용자가 리프트 수납장(45, 46)에 물품을 수납하고자 할 때는 도 2의 좌측에 나타낸 바와 같이 리프트 도어(45j)를 전방으로 잡아 당기면, 유압쇼바(45b)와 유압쇼바(45b') 하나는 로드가 인출되고 다른 하나는 들어가는 교호적으로 작용하여 수납박스(45g)가 전방으로 나오면서 하향으로 리프트 되어 수납박스(45g)의 위치가 낮아지게 되고, 이 상태에서 사용자가 리프트 도어(45j)의 하단가장자리를 들어 올리면, 리프트 도어(45j)가 회전하여 들려져 오픈되므로 물품을 용이하게 수납할 수 있게 된다.
물품을 수납한 후에는 리프트 도어(45j)를 닿은 후 리프트 도어(45j)를 후방으로 밀어주면, 상기한 유압쇼바(45b)와 유압쇼바(45b')의 작동과는 역으로 유압쇼바(45b)와 유압쇼바(45b')가 작동하여 수납박스(45g)가 원위치로 되돌아가게 된다.
지금까지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발명의 요지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10 : 싱크대 20 : 렌지대
30 : 하부 수납장 31 : 가로ㆍ세로 프레임
31a : 조명수단 32 ∼ 35 : 회전수납장
40 : 상부 수납장 41 : 가로ㆍ세로 프레임
41a : 조명수단 42 ∼ 44, 47 : 회전수납장
45, 46 : 리프트 수납장 45a, 45a' : 리프트 박스
45b, 45b' : 유압쇼바 45c ∼ 45f : 연결대
45g : 수납박스 45h : 고정프레임
45i : 도어회전 프레임 45j : 리프트 도어
51 : 도어 52 : 도어 고정프레임
53, 54 : 연결대 55 : 슬라이딩 이동대
55a : 롤러 55b : 중앙축
56 : 레일 57 : 회전판
58 : 수납박스

Claims (5)

  1. 다수의 가로ㆍ세로 프레임(31)이 결합되어 형성되는 공간내에 구비되는 싱크대(10)와, 렌지대(20) 및 다수의 수납장으로 이루어지는 하부 수납장(30)과 다수의 가로ㆍ세로 프레임(41)이 결합되어 형성되는 공간내에 구비되는 다수의 수납장으로 이루어지는 상부 수납장(40)으로 구성되는 주방가구에 있어서;
    상기 하부 수납장(30)의 수납장이 회전수납장(32 ∼ 35)으로 구성되고;
    상기 상부 수납장(40)의 수납장이 회전수납장(42 ∼ 44, 47) 및 리프트 수납장(45, 46)으로 구성된 시스템 주방가구.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수납장(32 ∼ 35, 42 ∼ 44, 47) 각각은 도어(51)와; 상기 도어(51)의 후면에 수직부가 결합 고정되는 도어 고정프레임(52)과; 상기 도어 고정프레임(52)의 도어측 수평부 중앙 하면에 일측단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연결대(53)와; 상기 연결대(53)의 타측단에 일측단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연결대(54)와; 하부면 양측에 다수의 롤러(55a)를 구비하여 상기 연결대(54)의 타측단에 중앙축(55b)이 연결되는 슬라이딩 이동대(55)와; 상기 슬라이딩 이동대(55)가 삽입되어 슬라이딩 이동하는 레일(56)과; 상기 이동대(55)의 중앙축(55b)에 하면 중앙부가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고, 윗면이 상기 도어 고정프레임(52)의 수평부 중앙 하면에 고정되는 회전판(57) 및; 상기 도어 고정프레임(52) 상에 장착되는 수납박스(58)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주방가구.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가로ㆍ세로 프레임(31, 41)으로는 나무목 무늬 필름을 삽입할 수 있는 알루마늄 프레임으로 하고, 상기 가로ㆍ세로 프레임(31) 중 전면에 위치하는 프레임과 가로ㆍ세로 프레임(41) 중 전면에 위치하는 프레임 각각에는 전방에 사용자의 존재 여부에 따라 온/오프되는 센서식 조명수단(31a, 41a)을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주방가구.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식 조명수단(31a, 41a)은 LED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주방가구.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리프트 수납장(45, 46) 각각은 내부 양 측면에 고정되는 리프트 박스(45a, 45a')와; 실린더측 단부가 상기 리프트 박스(45a, 45a') 각각의 내측 상부 후방에 고정되는 유압쇼바(45b)와; 일측 단부가 상기 리프트 박스(45a, 45a') 각각의 내측 하부 전방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고 중앙에 유압쇼바(45b) 각각의 로드측 단부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연결대(45c)와; 상기 연결대(45c) 각각의 타단에 일단이 연결되는 연결대(45d)와; 실린더측 단부가 상기 리프트 박스(45a, 45a') 각각의 내측 하부 전방에 고정되는 유압쇼바(45b')와; 일측 단부가 상기 리프트 박스(45a, 45a') 각각의 내측 하부 후방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고 중앙에 유압쇼바(45b') 각각의 로드측 단부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연결대(45e)와; 상기 연결대(45e) 각각의 타단에 일단이 연결되는 연결대(45f)와; 상기 연결대(45d, 45f) 타단이 바깥측 양 측면 상부에 고정되는 수납박스(45g)와; 상기 수납박스(45g) 전방 내측 가장자리를 따라 설치되는 고정프레임(45h) 상기 고정프레임(45h)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도어회전 프레임(45i) 및 상기 도어회전 프레임(45i)에 고정되는 리프트 도어(45j)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주방가구.
KR1020130002002A 2013-01-08 2013-01-08 시스템 주방가구 KR2014008992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02002A KR20140089929A (ko) 2013-01-08 2013-01-08 시스템 주방가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02002A KR20140089929A (ko) 2013-01-08 2013-01-08 시스템 주방가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89929A true KR20140089929A (ko) 2014-07-16

Family

ID=517378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02002A KR20140089929A (ko) 2013-01-08 2013-01-08 시스템 주방가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089929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72160B1 (ko) * 2017-08-10 2018-06-27 박진호 주방가구 시공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72160B1 (ko) * 2017-08-10 2018-06-27 박진호 주방가구 시공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04050394U (zh) 迷你台式消毒柜
CN206238794U (zh) 一种多功能衣柜
CN204950090U (zh) 多功能组合家具床柜
KR20140089929A (ko) 시스템 주방가구
US2068591A (en) Kitchenette cabinet
CN105433610A (zh) 一种折叠式橱柜
JP3554677B2 (ja) 厨房家具用キャビネット
CN210748087U (zh) 一种餐饮火锅用自助水果台
CN204378455U (zh) 开放式整体厨房餐厅
KR20050117509A (ko) 입체형 적재함이 차량과 일체형으로 구비된 이동형 음식물판매차
KR200466400Y1 (ko) 다용도 싱크대
JP2000236964A (ja) 厨房家具のキャビネット
CN215225873U (zh) 一种适老整体橱柜
CN210643805U (zh) 一种抗菌型便携式厨具
JP3145753U (ja) 調理台ユニット
CN214595580U (zh) 一种组合式燃气烧烤炉
JP2785107B2 (ja) 流し台
JPH0352434Y2 (ko)
CN209268989U (zh) 一种带升温台的厨房柜
JP4993483B2 (ja) システムキッチン
JPH10165244A (ja) キッチンユニット
JP2002034681A (ja) 台所用流し台
CN207613448U (zh) 一种新型餐边柜
JPH0616729B2 (ja) 厨房設備
Laver Design in the Kitche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