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89148A - 원격제어 가능한 전원콘센트를 이용한 보안 시스템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원격제어 가능한 전원콘센트를 이용한 보안 시스템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89148A
KR20140089148A KR1020130001025A KR20130001025A KR20140089148A KR 20140089148 A KR20140089148 A KR 20140089148A KR 1020130001025 A KR1020130001025 A KR 1020130001025A KR 20130001025 A KR20130001025 A KR 20130001025A KR 20140089148 A KR20140089148 A KR 2014008914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control device
management server
electronic device
us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010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30955B1 (ko
Inventor
오성훈
Original Assignee
오성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성훈 filed Critical 오성훈
Priority to KR10201300010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30955B1/ko
Publication of KR201400891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8914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309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3095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 G08B21/22Status alarms responsive to presence or absence of pers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 G08B21/24Reminder alarms, e.g. anti-loss alarm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Remote Monitoring And Control Of Power-Distribution Network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원격제어 가능한 전원콘센트를 이용한 보안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원격제어 가능한 전원콘센트를 이용한 보안 시스템은 출입자를 인식하며 상기 출입자에 대한 출입정보를 검출하는 출입통제장치와, 하나 이상의 전자기기가 연결되며 그 전자기기의 전원 공급 및 네트워크 연결을 제어하는 전원제어장치와, 상기 출입통제장치 및 전원제어장치와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되며 상기 출입통제장치로부터 전송되는 출입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출입자의 출근이 확인되면 상기 전자기기로 전원을 공급하며 네트워크를 연결하고, 상기 출입자의 퇴근이 확인되면 상기 전자기기로 공급되는 전원 및 네트워크 연결을 차단하도록 상기 전원제어장치의 동작을 원격으로 제어하는 관리서버를 포함한다. 따라서, 타인이 미출근자 또는 퇴근자의 전자기기를 임의로 사용할 수 없게 하며 해킹을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원격제어 가능한 전원콘센트를 이용한 보안 시스템 및 그 방법{SYSTEM AND METHOD FOR SECURING USING REMOTE POWER CONCENT}
본 발명은 보안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출입통제장치와 연동되어 네트워크 및 전력 통제가 가능한 전원콘센트를 원격제어하여 그 전원콘센트에 연결된 전자기기의 네트워크 및 전력을 통제하므로 해킹 및 도난을 방지할 수 있는 원격제어 가능한 전원콘센트를 이용한 보안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정보의 중요성이 커지게 되면서 보안에 대한 의식이 높아져 기업이나 개발실, 공공기관과 같이 보안을 필요로 하는 구역에 출입통제장치와 같은 보안시스템이 설치되어 이용되고 있다.
이러한 출입통제장치는 다수의 사람이 빈번히 출입하는 사무실, 연구소, 기타 출입통제가 필요한 장소에서는 출입자에게 ID카드 등을 발급하고, 출입문에 카드리더기를 설치하여 상기 ID카드에 기록된 정보(식별정보)를 카드리더기로 판독하
고, 출입자의 정보가 저장된 저장수단에 기록된 출입자의 정보와 일치하면 제어장치를 동작시켜 출입문에 장착된 물리적인 잠금수단을 해제하도록 하여 출입자의 출입을 허락하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종래기술에 따른 출입통제시스템은 출입자의 출입을 제한할 수는 있으나, 출입통제구역 내에서 출입을 허가받은 사용자가 다른 사용자의 전자기기(예: 컴퓨터 등)를 임의적으로 사용하여 기밀정보를 고의적으로 외부에 유출하는 문제들이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종래기술은 출입을 허가받은 사용자가 출입통제구역 내에 설치된 전자기기를 반출하여도 이를 즉시 확인할 수 없다.
KR 1020040054313 A (2004.06.25)
본 발명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출입통제장치와 연동되어 네트워크 및 전력 통제가 가능한 전원콘센트를 원격제어하여 그 전원콘센트에 연결된 전자기기의 네트워크 및 전력을 통제하므로 해킹 및 도난을 방지할 수 있는 원격제어 가능한 전원콘센트를 이용한 보안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출입통제장치와 연계하여 퇴근자에게 할당된 전원콘센트의 접속구로 공급되는 대기전력을 차단하는 원격제어 가능한 전원콘센트를 이용한 보안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원격제어 가능한 전원콘센트를 이용한 보안 시스템은 출입자를 인식하며 상기 출입자에 대한 출입정보를 검출하는 출입통제장치와, 하나 이상의 전자기기가 연결되며 그 전자기기의 전원 공급 및 네트워크 연결을 제어하는 전원제어장치와, 상기 출입통제장치 및 전원제어장치와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되며 상기 출입통제장치로부터 전송되는 출입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출입자의 출근이 확인되면 상기 전자기기로 전원을 공급하며 네트워크를 연결하고, 상기 출입자의 퇴근이 확인되면 상기 전자기기로 공급되는 전원 및 네트워크 연결을 차단하도록 상기 전원제어장치의 동작을 원격으로 제어하는 관리서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전원제어장치는,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관리서버와 연결되는 제1포트와 상기 전자기기와 연결되는 하나 이상의 제2포트를 구비하며 상기 제1포트와 제2포트의 연결 및 해제를 수행하는 통신부와, 상기 전자기기를 전원에 연결하며 하나 이상의 접속구와, 상기 접속구로부터 상기 전자기기의 분리를 감지하는 감지부와, 상기 전자기기의 분리가 감지되면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관리서버에 알리고, 상기 관리서버의 제어에 따라 상기 접속구로 전원을 공급하거나 차단하며 상기 상기 제1포트와 제2포트를 연결하거나 해제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관리서버는, 상기 전원제어장치로부터 상기 접속구로부터 상기 전자기기의 분리를 알리는 알림 메시지를 수신하면 상기 전원제어장치를 할당받은 사용자 및 관리자에게 통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관리서버는, 상기 사용자로부터 상기 전자기기의 분리에 대한 허가 여부에 따라 도난 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관리서버에 오류가 발생하면 사용자가 직접 상기 전원제어장치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스위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관리서버는, 상기 출입자로부터 다른 출입자의 전자기기 사용 신청을 수신하면 상기 다른 출입자에게 상기 전자기기 사용 신청을 통보하고 그에 대한 응답에 따라 상기 다른 출입자에게 할당된 전원제어장치의 동작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원격제어 가능한 전원콘센트를 이용한 보안 방법은 출입통제장치가 출입자의 출입정보를 검출하여 관리서버로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관리서버가 상기 출입통제장치에 의해 검출된 출입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출입자의 출입 허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와, 상기 출입자의 출입이 허가되면 상기 출입정보에 포함된 출입 이벤트에 따라 상기 관리서버가 제어명령을 전원제어장치로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전원제어장치가 상기 제어명령에 따라 상기 전원제어장치에 연결된 전자기기의 전원 및 네트워크를 연결 및 차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출입 이벤트는, 출근, 외출, 퇴근, 복귀와 같은 이벤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어명령 전송 단계는, 상기 출입 이벤트가 출근이면, 상기 관리서버가 상기 전원제어장치에 연결된 전자기기로 전원을 공급하며 네트워크를 연결하도록 지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어명령 전송단계는, 상기 출입 이벤트가 퇴근이면 상기 관리서버가 상기 전원제어장치에 연결된 전자기기의 전원 및 네트워크를 차단하도록 지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출입통제장치와 연동되어 네트워크 및 전력 통제가 가능한 전원콘센트를 원격제어하여 그 전원콘센트에 연결된 전자기기의 네트워크 및 전력을 통제한다. 따라서, 타인이 미출근자 또는 퇴근자의 전자기기를 임의로 사용할 수 없게 하며 해킹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전원콘센트에 연결된 전자기기의 접속구 및 네트워크 연결 수단으로부터 연결해제를 감지하여 사용자 및 관리자에게 통보하여 도난 및 데이터 유실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출입통제장치와 연계하여 퇴근자에게 할당된 전원콘센트의 접속구로 공급되는 대기전력을 차단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원격제어 가능한 전원콘센트를 이용한 보안 시스템을 도시한 구성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전원제어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전원제어장치를 도시한 블록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원격제어 가능한 전원콘센트를 이용한 보안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원격제어 가능한 전원콘센트를 이용한 보안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원격제어 가능한 전원콘센트를 이용한 보안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원격제어 가능한 전원콘센트를 이용한 보안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원격제어 가능한 전원콘센트를 이용한 보안 시스템을 도시한 구성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전원제어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전원제어장치를 도시한 블록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원격제어 가능한 전원콘센트를 이용한 보안 시스템은 네트워크를 통해 서로 연결된 출입통제장치(100), 관리서버(200), 전원제어장치(300)를 포함한다.
출입통제장치(100)는 출입자의 식별정보(지문, 얼굴, 동공, 출입카드 등) 및 출입 이벤트(출근, 외출, 복귀, 퇴근 등), 출입시간과 같은 출입정보를 검출한다. 출입통제장치(100)는 지문 스캐너 및 카메라, 근거리 무선통신모듈 등의 인식장치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며, 그 인식장치를 통해 출입자의 식별정보를 검출한다.
또한, 관리서버(200)는 사전에 사용자 등록을 통해 출입 허가된 사용자 정보를 데이터베이스(DB)로 관리한다. 여기서, 출입 허가된 사용자 정보는 식별정보 및 이름, 연락처, 할당된 전원제어장치(300)의 식별정보(예: 장치번호) 등을 포함한다.
관리서버(200)는 출입통제장치(100)로부터 출입자 식별정보 및 출입 이벤트, 출입시간와 같은 출입정보가 전송되면 그 출입정보들을 수신하여 데이터베이스에 기록하여 관리한다.
관리서버(200)는 출입통제장치(100)에 의해 검출된 출입자 식별정보를 전달받으면 그 출입자 식별정보와 일치하는 식별정보가 데이터베이스에 존재하는지를 확인한다. 그리고, 관리서버(200)는 출입을 시도하는 사용자의 출입자 식별정보가 데이터베이스에 등록된 사용자이면 출입을 허가하는 승인메시지를 출입통제장치(100)로 전송한다. 한편, 관리서버(200)는 출입을 시도하는 사용자의 출입자 식별정보가 데이터베이스에 미등록된 사용자이면 미등록자임을 알리는 메시지를 출입통제장치(100)로 전송한다.
관리서버(200)는 출입을 시도하는 사용자의 출입 허가 여부 및 출입 이벤트에 따라 제어신호를 전원제어장치(300)로 전송한다. 예를 들어, 출입통제장치(100)로부터 수신된 사용자의 식별정보가 출입 허가된 사용자 정보이며, 출입 이벤트가 출근 이벤트이면 전원제어장치(300)로 전원 공급 및 네트워크 연결을 지시하는 제어신호를 전송한다. 한편, 출입통제장치(100)로부터 수신된 사용자의 식별정보가 출입 허가된 사용자 정보가 아니거나 출입 허가된 사용자 정보이며 출입 이벤트가 퇴근 이벤트이면 전원제어장치(300)로 전원 및 네트워크 차단을 지시하는 제어신호를 전송한다.
전원제어장치(300)는 각각 고유한 시리얼 번호(예: 장치번호)를 보유하고 있으며, 그 시리얼 번호는 사용자가 임의로 변경할 수 없다. 전원제어장치(300)의 시리얼 번호는 관리서버(200)에 저장된다. 전원제어장치(300)는 출입이 허가된 사용자별로 각각 할당된다.
전원제어장치(300)는 관리서버(200)에서 사용자용, 부서공용, 타이머용, 관리자용 등으로 구분하여 설정할 수 있다. 부서공용으로 설정된 전원제어장치(300)에는 부서 공용 기기(예: 공용 팩스, 복사기 등)가 연결되며 부서원이 모두 퇴근하면 부서 공용 기기의 전원 및 네트워크를 차단하고, 부서원 중 한 명 이상이 출근하면 부서 공용 기기의 전원 및 네트워크를 연결한다.
타이머용으로 설정된 전원제어장치(300)는 관리자에 의해 설정된 시간에만 전원제어장치(300)에 연결된 기기의 전원 및 네트워크를 연결하고, 설정된 시간 외에는 전원제어장치(300)에 연결된 기기의 전원 및 네트워크를 차단한다.
관리자용으로 설정된 전원제어장치(300)는 관리자의 조작에 따라 그에 연결된 기기의 전원 및 네트워크 연결 및 차단을 제어한다.
전원제어장치(300)는 통신부(310), 스위치(320), 감지부(330), 전력측정부(340), 전원공급부(350), 접속구(360)를 포함한다.
통신부(310)는 무선통신을 위한 무선 통신 모듈과 유선통신을 위한 유선 통신 모듈을 포함한다. 통신부(310)는 네트워크를 통해 관리서버(200)와 연결되는 제1포트(311)와 전원제어장치(300)에 연결된 전자기기(400)와 연결되는 하나 이상의 제2포트(311)를 포함한다. 제1포트 및 제2포트(311)는 전자기기(400)를 네트워크에 연결하는 역할을 하는 인터페이스로, 네트워크 접속구(port)이다.
또한, 통신부(310)는 관리서버(200)의 제어에 따라 상기 제1포트와 제2포트를 연결하거나 해제하므로, 전원제어장치(300)에 연결된 전자기기(400)를 네트워크에 연결하거나 또는 해제한다.
스위치(320)는 관리서버(200)에 오류가 발생하면 사용자가 직접 전원제어장치(30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도록 구비된 비상 스위치이다. 즉, 관리서버(200)에 오류가 발생한 경우 사용자는 스위치(320)의 조작을 통해 전자기기(400)에 전원을 공급하며 네트워크를 연결하거나 또는 전자기기(400)로 공급되는 전원 및 연결된 네트워크를 차단한다.
감지부(330)는 전자기기(400)가 접속구(360)로부터 분리되었는지를 감지하고, 상기 전자기기(400)가 접속구(360)로부터 분리되면 그 사실을 알리는 신호를 출력한다.
전력측정부(340)는 전원제어장치(300)에 연결된 전자기기(400)의 전력 사용량을 측정한다. 전력측정부(340)에 의해 측정된 전력 사용량은 통신부(310)를 통해 관리서버(200)로 전송된다. 전력측정부(340)는 각 접속구(360)별로 전력 사용량의 변화를 실시간으로 감지한다.
전원공급부(350)는 상용전원을 입력받아 접속구(360)에 구비된 접속 단자로 공급한다. 전원공급부(350)는 상용전원을 입력받아 접속구(360)에 연결된 전자기기(400)로 전원을 공급하거나 차단한다.
접속구(260)는 상기 전자기기(400)를 전원에 연결하기 위한 것으로, 하나 이상으로 구성된다. 상기 전자기기(400)의 플러그가 접속구(260)에 삽입되므로, 전자기기(400)가 상기 전원제어장치(300)와 연결된다.
제어부(370)는 통신부(310)를 통해 관리서버(200)로 사용자의 출입 정보를 전송한다. 또한, 제어부(370)는 통신부(310)를 통해 관리서버(200)로부터 전송되는 제어신호를 수신한다. 제어부(370)는 상기 관리서버(200)로부터 전송되는 제어신호에 따라 통신부(310) 및 전원공급부(350)를 제어하여 접속구(360)에 연결된 전자기기(400)의 전원 공급 및 네트워크 연결을 제어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원격제어 가능한 전원콘센트를 이용한 보안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출입통제장치(100)는 사용자 A의 식별정보를 인식하여 관리서버(200)로 전송한다(S11). 사용자 A가 출근 체크하면 출입통제장치(100)는 사용자 A의 식별정보를 검출하여 관리서버(200)로 전송한다. 관리서버(200)는 출입통제장치(100)로부터 전송된 사용자 A의 식별정보와 일치하는 식별정보가 존재하는지를 확인한다. 관리서버(200)는 사용자 A가 등록된 사용자이면 출근 정보를 데이터베이스에 기록한다.
관리서버(200)는 사용자 A의 출근이 확인되면 사용자 A의 출근을 전원제어장치(300)에 통보한다(S12).
전원제어장치(300)는 사용자 A의 출근을 통보받으면 접속구(360)에 연결된 전자기기(400)에 전원을 공급하며 네트워크를 연결한다(S13).
전원제어장치(300)는 전자기기(400)의 전원 공급 및 네트워크 연결이 완료되면 관리서버(200)에 전자기기(400)의 전원 공급 및 네트워크 연결이 완료되었음을 알리는 메시지를 전송한다(S14).
도 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원격제어 가능한 전원콘센트를 이용한 보안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5에 따르면, 출입통제장치(100)는 사용자 A의 퇴근이 체크되면 이를 관리서버(200)에 알린다(S21). 관리서버(200)는 DB에 등록된 사용자의 식별정보 중에 사용자 A의 식별정보와 일치하는 정보가 존재하는지를 확인한다. 그리고, 관리서버(200)는 DB에 등록된 사용자의 식별정보 중에 사용자 A의 식별정보와 일치하는 식별정보가 검색되면 사용자 A에 대한 출입 이벤트 정보 및 퇴근 시간과 같은 출입정보를 기록한다.
관리서버(200)는 사용자 A의 퇴근 체크가 정상적으로 이루어지면 사용자 A의 퇴근을 전원제어장치(300)에 통보한다(S22).
전원제어장치(300)는 상기 관리서버(200)로부터 사용자 A의 퇴근 통보를 수신하면 접속구(360)에 연결된 전자기기(400)로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하며 네트워크 연결도 차단한다(S23).
전원제어장치(300)는 상기 전자기기(400)로 공급되는 전원 및 네트워크 연결을 차단한 후 전원 공급 및 네트워크 차단을 관리서버(200)에 알린다(S24). 이때, 전원제어장치(300)는 당일 전력 사용량도 관리서버(200)에 통보한다. 관리서버(200)는 각 사용자에게 할당된 전원제어장치(300)별로 소비전력을 누적하여 DB로 저장한다. 그리고, 관리서버(200)는 소비전력 DB를 활용하여 특정 시간이나 일자, 요일, 계절별, 월별, 연도별 소비전력 분석 자료로 활용하고 전력절감 계획에 반영할 수 있으며, 사용자의 무분별한 사용을 억제하고 사라지는 누설전류의 존재여부를 점검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원격제어 가능한 전원콘센트를 이용한 보안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본 실시예는 미출근자의 전원제어장치를 제어하는 과정을 설명한다.
출근한 사용자 A가 미출근자 B의 전자기기 사용이 필요한 경우, 사용자 A는 휴대폰 및 컴퓨터와 같은 단말기(10)를 이용하여 사용자 B의 전자기기 사용을 관리서버(200)에 신청한다(S31). 여기서, 사용자 A와 사용자 B는 출입통제장치(100)에 기등록된 사용자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사용자 A가 자신의 단말기(10)를 이용하여 관리서버(200)에 직접 사용신청하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고 있으나, 사용자 A가 관리자(보안 책임자)에게 사용자 B의 전자기기 사용을 요청하면 관리자가 관리자 단말기로 관리서버(200)에 접속하여 사용자 B의 전자기기 사용을 신청한다.
관리서버(200)는 사용자 B의 단말기(20)로 사용자 B의 전자기기 사용 신청이 있음을 알리며 사용 승인을 요청한다(S32). 관리서버(200)는 사용자 A의 단말기(10)로부터 사용자 B의 전자기기 사용 신청을 수신하면 사용자 A에 대한 사용자 인증을 거친다. 예를 들면, 관리서버(200)는 사용자 A의 단말기(10)에 사번 및 암호 또는 얼굴 영상과 같이 사용자 A의 식별정보를 요청하고, 사용자 A의 단말기(10)로부터 전송되는 사용자 A의 식별정보를 확인하여 사용자 A가 출입통제장치(100)에 등록된 사용자인지를 확인한다. 사용자 인증이 완료되면 관리서버(200)는 사용자 B의 단말기(20)로 사용자 B의 전자기기 사용 신청이 있음을 알린다.
사용자 B의 단말기(20)는 사용자 A에 의한 사용 승인 요청에 대한 응답을 관리서버(200)로 전송한다(S33).
관리서버(200)는 사용자 B의 단말기(20)로부터 전송된 응답을 수신하고, 그 응답에 따른 제어명령을 전원제어장치(300)로 전송한다(S34). 다시 말해서, 사용자 B의 단말기(20)로부터 사용자 B의 전자기기(400) 사용을 허가하는 승인 데이터가 전송되면 관리서버(200)는 전원제어장치(300)로 동작 활성을 지시하는 제어명령을 전송한다. 이때, 관리서버(200)는 사용자 B의 전자기기(400) 사용 신청이 허가되었음을 사용자 A의 단말기(10)에 알린다.
전원제어장치(300)는 관리서버(200)의 제어에 따라 그 접속구(360)에 연결된 사용자 B의 전자기기(400)로 전원을 공급하며 네트워크에 연결한다(S35). 다시 말해서, 전원제어장치(300)는 관리서버(200)로부터 사용자 B의 사용 신청 허가에 따른 연결 명령이 수신되면 전원제어장치(300)의 접속구(360)에 연결된 사용자 B의 전자기기(400)로 전원을 공급하며 네트워크에 연결한다. 한편, 전원제어장치(300)는 사용자 B의 사용 신청 거부에 따라 관리서버(200)로부터 해제 명령이 수신되면 접속구(360)에 연결된 사용자 B의 전자기기(400)로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하며 네트워크 연결을 해제한다.
사용자 B의 전자기기(400)로 전원이 공급되며 네트워크 연결이 완료되면, 사용자 A는 사용자 B의 전자기기(400)를 사용한다(S36).
도 7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원격제어 가능한 전원콘센트를 이용한 보안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전원제어장치(300)는 접속구(360)로부터 전자기기(400)의 전원 플러그가 분리됨을 감지한다(S41). 본 실시예에서는 접속구(360)로부터 전자기기(400)의 전원 플러그 분리를 감지하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고 있으나, 네트워크 접속구(311)로부터 전자기기(400)의 통신 케이블 분리도 감지하도록 구현할 수 있다.
전원제어장치(300)는 전자기기(400)의 전원 플러그 분리가 감지되면 이 사실을 관리서버(200)에 알린다(S42).
관리서버(200)는 전원제어장치(300)에 의해 전원 플러그 분리가 감지되면 사용자 A의 단말기(10)로 전원 플러그 분리를 통보하며 확인을 요청한다(S43).
사용자 A의 단말기(10)는 전원 플러그 분리를 승인하거나 또는 도난을 관리서버(200)에 신고한다(S44). 사용자 A는 관리서버(200)로부터 통보된 메시지를 확인하고 전원 플러그 분리에 대한 승인 여부를 응답메시지로 송신한다.
관리서버(200)는 사용자 A의 단말기(10)로부터 전원 플러그 분리에 대한 승인메시지를 수신하면 전원제어장치(300)로 전원 플러그 분리가 승인되었음을 알린다(S45-1).
한편, 관리서버(200)는 사용자 A의 단말기(10)로부터 도난 신고를 수신하면 보안 책임자 단말기(30)로 도난 상황 발생을 통보한다(S45-2).
관리서버(200)로부터 도난 상황 발생을 통보받은 보안 책임자(관리자)(30)는 현장에 출동하여 상황을 해결한다(S46).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라면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보호범위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0: 출입통제장치 200: 관리서버
300: 전원제어장치 310: 통신부
320: 스위치 330: 감지부
340: 전력측정부 350: 전원공급부
360: 접속구 370: 제어부
400: 전자기기

Claims (10)

  1. 출입자를 인식하며 상기 출입자에 대한 출입정보를 검출하는 출입통제장치와,
    하나 이상의 전자기기가 연결되며 그 전자기기의 전원 공급 및 네트워크 연결을 제어하는 전원제어장치와,
    상기 출입통제장치 및 전원제어장치와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되며 상기 출입통제장치로부터 전송되는 출입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출입자의 출근이 확인되면 상기 전자기기로 전원을 공급하며 네트워크를 연결하고, 상기 출입자의 퇴근이 확인되면 상기 전자기기로 공급되는 전원 및 네트워크 연결을 차단하도록 상기 전원제어장치의 동작을 원격으로 제어하는 관리서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제어 가능한 전원콘센트를 이용한 보안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제어장치는,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관리서버와 연결되는 제1포트와 상기 전자기기와 연결되는 하나 이상의 제2포트를 구비하며 상기 제1포트와 제2포트의 연결 및 해제를 수행하는 통신부와,
    상기 전자기기를 전원에 연결하며 하나 이상의 접속구와,
    상기 접속구로부터 상기 전자기기의 분리를 감지하는 감지부와,
    상기 전자기기의 분리가 감지되면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관리서버에 알리고, 상기 관리서버의 제어에 따라 상기 접속구로 전원을 공급하거나 차단하며 상기 상기 제1포트와 제2포트를 연결하거나 해제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제어 가능한 전원콘센트를 이용한 보안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서버는,
    상기 전원제어장치로부터 상기 접속구로부터 상기 전자기기의 분리를 알리는 알림 메시지를 수신하면 상기 전원제어장치를 할당받은 사용자 및 관리자에게 통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제어 가능한 전원콘센트를 이용한 보안 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서버는,
    상기 사용자로부터 상기 전자기기의 분리에 대한 허가 여부에 따라 도난 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제어 가능한 전원콘센트를 이용한 보안 시스템.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서버에 오류가 발생하면 사용자가 직접 상기 전원제어장치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스위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제어 가능한 전원콘센트를 이용한 보안 시스템.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서버는,
    상기 출입자의 단말기로부터 다른 출입자의 전자기기 사용 신청을 수신하면 상기 다른 출입자의 단말기로 상기 전자기기 사용 신청을 통보하고 그에 대한 응답에 따라 상기 다른 출입자에게 할당된 전원제어장치의 동작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제어 가능한 전원콘센트를 이용한 보안 시스템.
  7. 출입통제장치가 출입자의 출입정보를 검출하여 관리서버로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관리서버가 상기 출입통제장치에 의해 검출된 출입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출입자의 출입 허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와,
    상기 출입자의 출입이 허가되면 상기 출입정보에 포함된 출입 이벤트에 따라 상기 관리서버가 제어명령을 전원제어장치로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전원제어장치가 상기 제어명령에 따라 상기 전원제어장치에 연결된 전자기기의 전원 및 네트워크를 연결 및 차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제어 가능한 전원콘센트를 이용한 보안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출입 이벤트는,
    출근, 외출, 퇴근, 복귀와 같은 이벤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제어 가능한 전원콘센트를 이용한 보안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명령 전송 단계는,
    상기 출입 이벤트가 출근이면, 상기 관리서버가 상기 전원제어장치에 연결된 전자기기로 전원을 공급하며 네트워크를 연결하도록 지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제어 가능한 전원콘센트를 이용한 보안 방법.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명령 전송단계는,
    상기 출입 이벤트가 퇴근이면 상기 관리서버가 상기 전원제어장치에 연결된 전자기기의 전원 및 네트워크를 차단하도록 지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제어 가능한 전원콘센트를 이용한 보안 방법.
KR1020130001025A 2013-01-04 2013-01-04 원격제어 가능한 전원콘센트를 이용한 보안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43095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01025A KR101430955B1 (ko) 2013-01-04 2013-01-04 원격제어 가능한 전원콘센트를 이용한 보안 시스템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01025A KR101430955B1 (ko) 2013-01-04 2013-01-04 원격제어 가능한 전원콘센트를 이용한 보안 시스템 및 그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89148A true KR20140089148A (ko) 2014-07-14
KR101430955B1 KR101430955B1 (ko) 2014-08-18

Family

ID=517374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01025A KR101430955B1 (ko) 2013-01-04 2013-01-04 원격제어 가능한 전원콘센트를 이용한 보안 시스템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3095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217735A1 (ko) * 2016-06-15 2017-12-21 이지세이버 주식회사 출입 관리 장치와 전원 공급 장치를 이용한 스마트 빌딩 관리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643230B2 (ja) 2004-11-11 2011-03-02 株式会社日立製作所 電源管理システム
KR20120005099A (ko) * 2010-07-08 2012-01-16 엘지전자 주식회사 도어록과 연계한 대기전력 차단장치
KR20120063140A (ko) * 2010-12-07 2012-06-15 오성훈 네트워크와 연동된 전원콘센트 제어 시스템
KR101132007B1 (ko) 2011-11-15 2012-03-30 현대엠코 주식회사 오피스 빌딩의 콘센트부하 제어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217735A1 (ko) * 2016-06-15 2017-12-21 이지세이버 주식회사 출입 관리 장치와 전원 공급 장치를 이용한 스마트 빌딩 관리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30955B1 (ko) 2014-08-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734644B2 (en) Wireless camera facilitated building security
US9426432B2 (en) Remote interactive identity verification of lodging guests
US10671821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RFID-based access management of electronic devices
US11663870B2 (en) Scalable systems and methods for monitoring and concierge service
US8294574B2 (en) Security device comprising a plurality of interfaces
KR20170125736A (ko) 무인독서실 관리방법
JP5900941B1 (ja) デジタルフューチャーナウ・セキュリティシステム、方法及びプログラム
EP3142079B1 (en) Identity assurance
JP6013848B2 (ja) 施設管理システム及び施設管理方法
WO2015162621A1 (en) Guard performance and security system
KR101430955B1 (ko) 원격제어 가능한 전원콘센트를 이용한 보안 시스템 및 그 방법
JP2005216186A (ja) 戸締まり確認システム
IT201900002525A1 (it) Sistema e metodo di intercomunicazione in corrispondenza di punti d'ingresso in edifici o aree limitate e per la gestione e il controllo remoto degli ingressi
JP6125184B2 (ja) 施設管理システム及び施設管理方法
CN206058301U (zh) 一种监狱管理系统
KR20150137662A (ko) 근거리통신을 이용한 시설 보안 관리시스템 및 그 방법
JP2009146449A (ja) 戸締まり確認システム
KR101063751B1 (ko) 생체인식 기반 출입자 확인, 정보 전송 시스템
KR102634961B1 (ko)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한 얼굴 객체인식 출입관리 방법 및 그 시스템
KR20160041521A (ko) 스마트폰과 차량용 블랙박스를 통합제어하는 시설보안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641953B1 (ko) 서로 다른 근거리 무선통신방식을 이용한 출입관리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80064325A (ko) 이동형비콘을 이용한 스마트기기 보안시스템
WO2018034559A1 (en) A security management system
KR20050099166A (ko) 방범 도어폰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