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41521A - 스마트폰과 차량용 블랙박스를 통합제어하는 시설보안 시스템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스마트폰과 차량용 블랙박스를 통합제어하는 시설보안 시스템 및 그 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60041521A KR20160041521A KR1020140135627A KR20140135627A KR20160041521A KR 20160041521 A KR20160041521 A KR 20160041521A KR 1020140135627 A KR1020140135627 A KR 1020140135627A KR 20140135627 A KR20140135627 A KR 20140135627A KR 20160041521 A KR20160041521 A KR 20160041521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black box
- control
- target device
- control target
- modul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3/00—Burglar, theft or intruder alarms
- G08B13/18—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 G08B13/189—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using passive radiation detection systems
- G08B13/194—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using passive radiation detection systems using image scanning and comparing systems
- G08B13/196—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using passive radiation detection systems using image scanning and comparing systems using television cameras
-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01—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 G08B25/08—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using communication transmission lin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스마트폰과 차량용 블랙박스를 통합제어하는 시설보안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지역별 보안등급에 따른 차량용 블랙박스와 휴대 단말기의 특정 기능을 제어하도록 하는 스마트폰과 차량용 블랙박스를 통합제어하는 시설보안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술한 바에 의하면, 군 보안시설이나 산업 보안 시설의 출입시 휴대단말기와 차량용 블랙박스를 보안등급에 따라 기능을 감시/제어할 수 있고, 비정상적으로 연결이 끊어진 경우 서버 상황실에서 확인할 수 있어 군사 보안시설이나 산업 보안시설에 출입시 기밀정보나 군사보안을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상술한 바에 의하면, 군 보안시설이나 산업 보안 시설의 출입시 휴대단말기와 차량용 블랙박스를 보안등급에 따라 기능을 감시/제어할 수 있고, 비정상적으로 연결이 끊어진 경우 서버 상황실에서 확인할 수 있어 군사 보안시설이나 산업 보안시설에 출입시 기밀정보나 군사보안을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스마트폰과 차량용 블랙박스를 통합제어하는 시설보안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지역별 보안등급에 따른 차량용 블랙박스와 휴대 단말기의 특정 기능을 제어하도록 하는 스마트폰과 차량용 블랙박스를 통합제어하는 시설보안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현재, 컴퓨터 및 통신 기술이 발전함에 따라 무선 통신망을 이용하여 무선 통신 서비스가 제공되고 있다. 가장 기본적인 무선 통신 서비스는 이동통신 단말기 사용자들에게 무선으로 음성 통화를 제공하는 무선 음성 통화 서비스로서, 이는 시간과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는 특징이 있다. 또한 문자메시지 서비스를 제공하여 음성 통화 서비스를 보완해주는 한편, 이동통신 가입자에게 무선 통신망을 통해 인터넷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는 무선 인터넷 서비스가 대두하였다. 이러한 무선 통신 서비스 및 무선 인터넷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을 통상적으로 이동통신 시스템이라고 한다. 한편, 보안이 요구되는 시설을 관리하기 위해 이동통신 시스템을 이용하여 사용자 인증을 하여 출입을 통제할 수 있으나, 보안등급에 따라 이동통신 단말기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는 시스템이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종래, 한국공개특허 제2003-0015166호에 의하면, 특정장소의 출입권한을 보유한 출입자만이 출입을 가능하게 하고 출입데이타를 근거로 출입자의 근태관리 기능을 보유한 출입통제장치에 관한 것으로, 출입통제가 필요한 출입구를 최대 254개까지 관리하는 중앙통제장치와; 비접촉식카드리더기, 지문인식기, 홍채인식기등과 같은 출입자정보추출부와; 비밀번호 입력키패드와; 중앙통제장치의 제어신호를 수신하여 출입문을 개폐하고 카메라 및 조명을 구동하는 원격출입제어장치와; 상기 중앙통제장치와 원격출입제어장치 간에 출입자정보와 제어신호를 무선으로 양방향 송,수신하는 무선데이타모뎀으로 구성된다.
이러한 종래기술은 원격출입제어장치를 통해 출입을 허가하는 기능을 하나, 보안에 취약한 문제점이 있고, 군사 보안시설이나 산업 보안시설에 출입하는 경우 카메라, 영상촬영, 음성녹음, 도청 등의 기능을 해당 특정지역의 보안등급에 따라 기밀정보나 군사보안 유지가 필요한 구역에서 해당 기능을 제한할 필요성이 있고, 현재, 군부대나 시설보안이 중요한 기관의 출입게이트에서 매번 출입자의 휴대단말과 신분증을 확인하거나 회수 또는 반납해야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전술한 점들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보안 시설의 출입시 소지한 휴대 단말기와 차량용 블랙박스를 출입구 상에 설치되는 기기와의 근거리 통신으로 특정기능을 제어하는 스마트폰과 차량용 블랙박스를 통합제어하는 시설보안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또한 설정된 지역별 보안등급에 따라 휴대 단말기와 차량용 블랙박스의 기능을 감시/경보하는 스마트폰과 차량용 블랙박스를 통합제어하는 시설보안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함에도 있다.
본 발명은 서버상에 인식정보가 등록된 휴대단말 또는 블랙박스 제어단말을 포함하는 제어대상 기기; 상기 제어대상 기기를 인식하는 인식모듈; 및 인식한 제어대상 기기에 따라 블랙박스 전원 또는 휴대단말의 특정기능을 차단제어하는 기능처리모듈;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블랙박스 제어단말은 차량에 설치된 블랙박스와 차량 메인전원 사이에 연결되고, 상기 인식모듈과 블루투스 연결가능한 인식정보를 포함하여 연결상태 신호를 외부로 전송하는 인터페이스모듈; 및 상기 인터페이스모듈을 통해 연결되어 상기 기능처리모듈로부터 수신하는 제어신호에 따라 차량용 블랙박스와 차량 메인전원의 연결을 온/오프 스위칭하는 릴레이모듈;을 포함하고, 제어대상 기기를 인식하기 위한 정보를 선등록하고, 제어 어플리케이션을 제어대상 기기에 설치 및 실행할 수 있도록 하는 어플리케이션 설정단말;을 더 포함하며, 기능처리모듈은 인식된 제어대상 기기의 인식횟수에 따라 블랙박스 전원 또는 휴대단말의 특정기능을 스위칭 제어하도록 한다.
한편, 스마트폰과 차량용 블랙박스를 통합제어하는 시스템을 이용한 시설보안 방법은 (a) 인식모듈이 기등록된 인식정보에 따른 휴대단말 또는 블랙박스 제어단말을 인식하는 단계; (b) 상기 인식모듈이 휴대단말의 고유정보 또는 블랙박스 제어단말의 고유정보에 해당 제어대상기기의 기능을 인식하는 단계; 및 (c) 기능처리모듈이 상기 인식모듈을 통해 인식한 휴대단말의 특정기능을 차단하고, 블랙박스와 차량 메인전원 사이의 연결을 차단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제 (b) 단계는 (b-1) 상기 인식모듈이 인식한 제어대상기기의 인식정보를 서버상에 기등록된 인식정보와 비교하는 단계; 및 (b-2) 상기 인식모듈이 인식정보에 해당하는 제어대상기기의 특정기능을 매칭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 (c) 단계는 상기 기능처리모듈이 제어대상기기 중, 상기 인식모듈을 통해 인식한 휴대단말의 영상 또는 음성기능을 차단하고, 블랙박스와 차량 메인전원 사이의 연결을 차단하되, 인식된 제어대상기기의 인식횟수에 따라 스위칭 제어하는 단계;를 특징으로 하며, 상기 제 (a) 단계 이전에, (a-1) 서버상에 제어대상 기기를 인식하기 위한 정보를 선등록하는 단계; 및 (a-2) 상기 제어대상 기기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어플리케이션을 제어 대상기기에 설치 및 실행할 수 있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술한 바에 의하면, 군 보안시설이나 산업 보안 시설의 출입시 휴대단말기와 차량용 블랙박스를 보안등급에 따라 기능을 감시/제어할 수 있고, 비정상적으로 연결이 끊어진 경우 서버 상황실에서 확인할 수 있어 군사 보안시설이나 산업 보안시설에 출입시 기밀정보나 군사보안을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폰과 차량용 블랙박스를 통합제어하는 시설보안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폰과 차량용 블랙박스를 통합제어하는 시설보안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폰과 차량용 블랙박스를 통합제어하는 시설보안방법의 전체 흐름도이다.
도 4는 제어대상기기의 기능을 인식하는 단계를 나타내는 상세 흐름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폰과 차량용 블랙박스를 통합제어하는 시스템을 이용한 시설보안 방법에 관한 전체 흐름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폰과 차량용 블랙박스를 통합제어하는 시설보안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폰과 차량용 블랙박스를 통합제어하는 시설보안방법의 전체 흐름도이다.
도 4는 제어대상기기의 기능을 인식하는 단계를 나타내는 상세 흐름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폰과 차량용 블랙박스를 통합제어하는 시스템을 이용한 시설보안 방법에 관한 전체 흐름도이다.
본 발명의 구체적 특징 및 이점들은 첨부도면에 의거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으로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에 앞서 본 발명에 관련된 공지 기능 및 그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하였음에 유의해야 할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폰과 차량용 블랙박스를 통합제어하는 시설보안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폰과 차량용 블랙박스를 통합제어하는 시설보안 시스템은 등록관리부(100), 출입관리부(200), 제어부(300)를 포함할 수 있다.
등록관리부(100)는 보안시설에 출입하는 출입자 정보를 입력받아 등록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출입자 정보는 휴대단말정보, 차량번호정보, 출입자 보안등급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출입자 정보 중, 휴대 단말정보에서의 휴대단말(110)은 무선 네트워크(2g, 3g, LTE, 블루투스, NFC, 지그비 등)을 통해 어플리케이션 설치 및 실행할 수 있는 개인 휴대단말기로서, 태블릿 PC, 이동통신 단말기, 스마트폰 등을 포함할 수 있고, 차량에 설치된 블랙박스를 제어하는 블랙박스 제어단말(120)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휴대단말(110) 및 블랙박스 제어단말(120)의 정보를 차량번호정보와 출입자 보안등급 정보를 함께 등록관리부(100)의 데이터베이스(130)에 등록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블랙박스 제어단말(120)은 차량에 설치된 블랙박스와 차량 메인전원 사이에 연결되고, 인식모듈과 블루투스 연결가능한 인식정보를 포함하여 연결상태 신호를 외부로 전송하는 인터페이스모듈(121), 보안시설에 설치된 출입관리부(200)로부터 수신하는 제어신호에 따라 차량용 블랙박스와 차량 메인전원의 연결을 온/오프 스위칭하는 릴레이모듈(122), 차량용 블랙박스의 전원상태표시를 출력하는 출력모듈(123)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블랙박스 제어단말(120)은 차량용 블랙박스와 차량 메인전원 사이에 연결잭 형태(예를들어, 이어폰잭 형태 등)로 연결되어 전원을 원격제어되는 형태를 갖고, 군사 보안 또는 산업 보안시설 등의 보안시설 정문에 출입차량 등록 및 발급절차에 따라 배포될 수 있다. 이러한 블랙박스 제어단말은 출입관리부(200)와 블루투스 연결을 통해 원격으로 릴레이모듈(122)을 온/오프 제어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등록관리부(100)는 출입자가 소지하는 휴대단말(110) 및 블랙박스 제어단말(120)의 특정기능을 제어하기 위하여 제어대상 기기를 선등록하고 제어 어플리케이션을 제어대상 기기에 설치 및 실행할 수 있도록 하는 어플리케이션 설정단말(140)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서버상에 인식정보가 등록된 휴대단말 또는 블랙박스 제어단말을 포함하는 제어대상 기기; 상기 제어대상 기기를 인식하는 인식모듈; 및 인식한 제어대상 기기에 따라 블랙박스 전원 또는 휴대단말의 특정기능을 차단제어하는 기능처리모듈;을 포함한다. 이때 서버는 등록관리부로 볼 수 있다.
출입관리부(200)는 제어대상 기기를 인식하여 휴대단말의 특정 기능인 카메라와 마이크 기능을 제어하고, 차량용 블랙박스 제어단말을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러한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출입관리부(200)는 인식모듈(210), 기능처리모듈(220), 메모리모듈(230)을 포함한다.
인식모듈(210)은 출입자가 소지하는 2G, 3G 통신망을 이용하는 휴대단말(110), 블랙박스 제어단말(120) 등의 기기를 블루투스를 이용해 감지하여 인식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그리고 등록관리부(100)에 기등록된 제어대상인 휴대단말(110)인 스마트폰의 아이디, 전화번호 등의 정보와, 차량용 블랙박스 제어단말(120) 등의 고유정보를 불러들여 해당 출입자의 기기 기능을 인식할 수 있고, 인식한 제어대상인 기기의 위치정보를 수초이내에 알람메시지 형태로 제어부(300)로 보낼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인식모듈(210)은 블루투스를 이용하여 저전력을 위해 BLE방식과 CLASS1 블루투스 듀얼칩으로 제어대상 스마트폰을 인식할 수 있다.
기능처리모듈(220)은 인식모듈(210)을 통해 인식된 휴대 단말, 차량용 블랙박스 제어단말의 기능을 처리하는 구성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기능처리모듈(220)은 인식된 휴대 단말의 여러 기능중, 특정기능인 카메라와 마이크기능을 제어하여 영상기능과 음성기능을 차단할 수 있다. 또한 인식모듈(210)이 설치되는 해당 위치와 기설정된 보안등급에 따라 제어대상의 기능을 제어하되, 통화기능과 문자메시지 기능을 제외한 모든 기능, 무선 네트워크, 어플리케이션, 카메라(영상), 마이크(녹음) 등의 기능을 특정 지역의 보안등급별, 출입자의 보안등급별 등의 설정되는 조건에 따라 제어할 수도 있다.
이때, 기능처리모듈(220)은 출입자의 시설보안 출입시, 인식모듈(210)을 통해 인식된 휴대 단말기의 정보가 홀수 회인 경우에 카메라와 마이크기능을 잠금 또는 차단제어하고, 짝수 회인 경우에 해제할 수 있다. 그리고 출입시 인식된 차량용 블랙박스 제어단말의 정보가 홀수 회인 경우, 블랙박스 메인전원을 스위칭 제어하여 잠금 또는 차단하고, 짝수 회인 경우에 해제할 수 있다.
또한, 기능처리모듈(220)은 인식모듈(210)을 통해 인식된 휴대 단말의 정보 중, 본 발명에 따른 휴대단말에 설치되는 제어 어플리케이션을 지우려는 시도가 있는 경우, 해당 휴대 단말기로 팝업형태로 경고메시지를 띄우게 하고, 기능처리모듈(220)에서 해당 제어대상기기의 위치정보를 수초이내에 알람메시지 형태로 제어부(300)로 보낼 수도 있다. 휴대단말에 설치되는 제어 어플리케이션은 등록관리부의 휴대단말 등록해제시 삭제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출입관리부(200)는 해당 제어 어플리케이션에 의해 스마트폰의 해당 기능 데이터를 잡아서 제어부로 올릴 수도 있고, 해당 제어 어플리케이션에 의해 스마트폰에서 해당 기능 데이터를 잡아서 네트워크를 통해서 제어부로 올릴 수도 있다.
추가적으로, 본 실시예에 따른 기능처리모듈(220)은 휴대단말에 설치되는 제어 어플리케이션에서 인식된 휴대 단말에 적용된 카메라/마이크 잠금 기능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카메라(동영상 포함) 촬영 차단은 카메라 기능을 사용하지 못하도록 하기 위해 안드로이드 SDK에서 제공하는 클래스를 이용하고, 차단하고자 하는 시점에 아래의 소스코드를 실행할 수 있다.
DevicePolicyManager dpm = (DevicePolicyManager) getSystemService(Context.DEVICE_POLICY_SERVICE);
ComponentName deviceAdmin = new ComponentName(this, DeviceAdminReceiver.class);
mDPM.setCameraDisabled(mDeviceAdminSample, true);
또한, 마이크 녹음 차단기능은 안드로이드 운영체제의 경우 마이크(mic)로 음성을 입력받는 경로를 미리 점유하여 녹음을 진행함으로써, 다른 어플리케이션에서 녹음을 진행하지 못하도록 만들 수도 있다. MediaRecorder와 AudioRecord를 이용하는 두 가지 방법이 있으며, 효과는 동일하다. MediaRecorder API 이용하는 경우는 다음과 같다.
private AudioRecord mRecorder;
private void micBlock() {
final String OUTPUT_FILE = "파일이 저장될 SD카드의 임의경로";
mRecorder = new MediaRecorder();
mRecorder.reset();
try {
mRecorder.setAudioSource(MediaRecorder.AudioSource.MIC);
mRecorder.setOutputFormat(MediaRecorder.OutputFormat.DEFAULT);
mRecorder.setAudioEncoder(MediaRecorder.AudioEncoder.DEFAULT);
mRecorder.setOutputFile(OUTPUT_FILE);
mRecorder.prepare();
mRecorder.start();
} catch (IllegalStateException e) {
//예외 처리
} catch (IOException e) {
e.printStackTrace();
//예외 처리
}
}
AndroidManifest.xml 파일에 아래의 소스코드를 추가한다.
<manifest xmlns:android="http://schemas.android.com/apk/res/android"
package="어플리케이션의 패키지명"
android:versionCode="어플리케이션의 버전코드"
android:versionName="어플리케이션의 버전네임" >
</manifest>
<uses-permission android:name="android.permission.RECORD_AUDIO" />
<uses-permission
android:name="android.permission.WRITE_EXTERNAL_STORAGE" />
AudioRecord API 이용하는 경우는 다음과 같다.
private AudioRecord mRecorder;
private void micBlock() {
try {
if(mRecorder==null){
mRecorder = new AudioRecord(
MediaRecorder.AudioSource.MIC, AUDIO_SAMPLERATE,
AUDIO_CHANNELS, AUDIO_ENCODING, 2048);
mRecorder.startRecording();
}else{
if(mRecorder.getRecordingState()==AudioRecord.RECORDSTATE_STOPPED){
try {
mRecorder.stop();
} catch (Exception e) {
//예외처리
} finally {
try{
mRecorder.release();
mRecorder = null;
}catch (Exception e){
//예외처리
}
}
mRecorder = new AudioRecord(
MediaRecorder.AudioSource.MIC, AUDIO_SAMPLERATE,
AUDIO_CHANNELS, AUDIO_ENCODING, 2048);
mRecorder.startRecording();
}
}
} catch (Exception e) {
//예외처리
}
}
AndroidManifest.xml 파일에 아래의 소스코드를 추가한다.
<manifest xmlns:android="http://schemas.android.com/apk/res/android"
package="어플리케이션의 패키지명"
android:versionCode="어플리케이션의 버전코드"
android:versionName="어플리케이션의 버전네임" >
</manifest>
<uses-permission android:name="android.permission.RECORD_AUDIO" />
본 실시예에 따른 메모리모듈(230)은 인식속도를 위해서 출입자 정보를 주기적으로 등록관리부(100)와 동기화하여 내부적으로 저장할 수 있다. 따라서 제어부(300)에서 처리시 발생되는 지연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기능처리모듈(220)은 출입시 해당 휴대 단말(110)과 블랙박스 제어단말(120)을 인식한 이후에 전원오프 여부를 감시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최초방문자가 보안 시설에 출입을 위한 제어 어플리케이션과 차량용 블랙박스 제어단말을 설치할 수 있도록 하고, 설치이후 등록관리부와 출입관리부의 메모리모듈에 동기화시켜 인증번호(숫자)를 해당 휴대 단말로 전송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카메라, 마이크 등의 기능이 차단되었다는 의미의 인증마크정보를 제어부(300)로 보내어 디스플레이하도록 할 수도 있다. 따라서, 군 위병소나 시설 보안의 출입관리자가 인증마크를 확인할 수 있고, 해당 휴대 단말의 특정기능(ex. 기능차단 내역, 전원오프 시도, 앱삭제 시도)을 상시 모니터링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300)는 출입관리부의 보안등급을 설정하고, 기등록된 휴대 단말의 기능을 위치별 보안등급에 따라 제어할 수 있는 구성이다. 이러한 제어부(300)는 보안설정모듈(310), 보안실행모듈(320), 모니터링 모듈(330), 경고모듈(340)을 포함할 수 있다.
보안설정모듈(310)은 위치별 보안등급을 설정할 수 있는 구성이다.
보안실행모듈(320)은 보안설정모듈의 보안등급에 따라 위치별 기능제어명령 신호를 생성하여 해당 출입관리부(200)별로 전달하는 구성이다. 여기서, 보안실행모듈(320)의 보안등급과 출입관리부의 특정용도에 따라 변경가능한 구성으로, 예를들어 출입관리부를 통한 출석체크, 도서관 출입관리, 산업 자재창고 관리 등 다양한 형태로 설정할 수도 있다.
모니터링 모듈(330)은 지역별 리더기로부터 수신하는 휴대 단말기별 기능 차단내역 및 기능실행 내역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여기서, 모니터링 모듈(330)은 휴대 단말기별 기능 차단내역 및 기능실행 내역뿐만 아니라, 휴대 단말의 위치정보, 출입자 신원, 전화번호 등의 휴대단말 정보를 모니터링할 수도 있다.
경고모듈(340)은 출입관리부를 통해 지역별 보안등급에 따른 기능차단내역의 기능실행을 감지시 휴대단말로 경고메시지를 보낼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폰과 차량용 블랙박스를 통합제어하는 시설보안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출입관리부(400) 구성을 통신모듈(410), 제어명령 실행모듈(420), 알림모듈(430), 메모리모듈(440), 상시감시모듈(450)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출입관리부(400)는 통신모듈(410)의 블루투스를 이용해 제어대상 휴대 단말기를 인식하여 출입인증 절차를 거치고, 제어명령 실행모듈(420)을 통해 설정된 보안등급에 따라 휴대 단말의 기능을 통신모듈의 근거리통신을 이용하여 제어하되, 통화기능과 문자메시지 기능을 제외한 모든 기능, 무선 네트워크, 어플리케이션, 카메라(영상), 마이크(녹음) 등의 기능을 특정 지역의 보안등급별, 출입자의 보안등급별 등의 설정되는 조건에 따라 제어할 수 있다.
참고로, 출입인증 및 기능제어에 대해 간략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통신모듈(410)의 근거리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해 휴대단말기의 기능제어 어플리케이션 형태로 출입관리 어플이 설치되어 해당 휴대단말기의 정보가 메모리모듈(440)에 저장되도록 하고, 기설정된 해당 지역별 출입관리기의 보안등급별과, 메모리모듈(440)에 출입자의 휴대단말기 정보의 보안등급별로 앞서 설치된 출입관리 어플로 보안등급별 기능차단을 제어하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제2 실시예에 따른 출입관리부(400)의 세부 구성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통신모듈(410)은 휴대 단말기와 접촉식 또는 비접촉식으로 근거리 통신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제어명령 실행모듈(420)은 메모리모듈(440)로 휴대 단말기 정보를 전달함과 동시에 관리서버로부터 제어명령신호를 수신하여 설정된 보안등급에 따라 휴대 단말기의 기능을 제어할 수 있다. 이러한 제어명령 실행모듈(420)의 휴대 단말기를 제어하고자 하는 기능은 통화 기능과 문자메시지 기능을 제외한 무선 네트워크기능, 어플리케이션, 카메라, 마이크, 스피커 등의 기능으로 특정 지역의 보안등급별로 설정되는 조건에 따라 제어될 수 있다. 그리고 메모리모듈(440)상에 저장되는 특정 휴대 단말 정보와 차량용 블랙박스 제어단말 정보에 따른 보안등급별로 설정되는 조건에 따라 제어될 수 있다.
알림모듈(430)은 특정지역의 보안등급에 따른 상기 휴대 단말기의 기능차단을 외부로 음성 또는 영상으로 알리는 기능을 할 수 있다. 이때, 차단하는 기능내역을 음성, 영상, 텍스트 등의 형태로 외부로 출력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출입관리부(400)는 통화기능과 문자메시지 기능을 제외한 무선 네트워크, 어플리케이션, 카메라(영상), 마이크(녹음) 등의 여러 기능들을 지역별, 휴대단말 소지자의 보안등급에 따라 제어할 수 있고, 기능차단시 통화기능과 문자메시지 기능은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출입관리부(400)는 각 출입문에 도어락 형태로 출입문의 개폐여부를 감지하는 도어 센서와 인증정보를 메모리모듈과 제어부(300)로 전달하고, 도어락으로 잠금신호나 잠금해제 신호를 전달하는 도어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모듈(440)은 리더기를 통해 입력되는 휴대 단말기 정보를 출입관리 데이터로 등록할 수 있는 구성이다. 이러한 메모리모듈(440)은 휴대 단말기 정보를 휴대 단말기번호 필드정보, 휴대단말기 출입소지자의 보안등급정보, 위치정보, 기능 필드정보, 제어시간 정보 등을 포함하는 출입관리 데이터로 출입자별로 등록 저장할 수 있다.
상시감시모듈(450)은 블루투스를 이용하여 휴대 단말기의 기능을 감시하여 제어부(300)로 전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그리고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폰과 차량용 블랙박스를 통합제어하는 시설보안 시스템은 등록관리부가 BEACON단말기 형태로 송수신용 블루투스 칩(송신용, 수신용 각 1EA)이 내장된 형태를 갖고, BEACON의 고유ID 키값을 지속적으로 폴링하여 주변 등록된 휴대단말 및 블랙박스 제어단말로 키값을 전송할 수 있다. 그리고 출입관리부는 블루투스 송신용 킷값과 제어대상인 휴대단말 및 블랙박스 제어단말용 키 값 일치로 인하여 카메라, 마이크, 데이터전송 기능을 차단 또는 해제할 수 있다. 이러한 차단 해제신호는 등록관리부인 수신용 BEACON으로 전송하면, 수신용 BEACON에서는 차단 또는 해제 신호를 받아서 TCP/IP유선 네트워크로 서버에 전송후 실시간 모니터링을 한다. 실시간 모니터링은 근무지별 즉, 위치별 제어대상 단말의 위치확인 및 차단여부를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다. 퇴근시에는 BEACON 인식후 로그아웃하도록 하여 보안정책 적용으로 인한 카메라, 녹음 등의 기능을 제한을 해제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실시간 모니터링에 대해 부연설명하면, 제어대상단말 및 BEACON의 상태 정보 관리와 위치지역별 도면정보 관리 기능을 할 수 있다. 이때, 실시간 모니터링을 평면도 상에서 디스플레이할 수도 있고, 평면도 상에서 블루투스 BEACON 연결장치를 Direct Control기능과 SMS송출을 위한 관리기능을 포함할 수도 있다.
즉, BEACON단말에는 송수신용 블루투스 칩이 내장되고, BEACON의 고유ID 킷값은 지속적으로 폴링하며, 휴대단말용 블루투스는 앱 등록이후에 켜지도록 한다. 또한 휴대단말용 앱은 BEACON 여러개의 ID 키값을 보유하고, BEACON이 폴링한 데이터가 휴대단말용 블루투스에서 일치하여 앱에서는 SLEEP상태의 휴대단말(스마트폰)에서 차단이라는 이벤트가 3초동안 뜨도록 할 수 있다(스마트폰 자동 Wake-up상태). 이러한 휴대단말은 Wake-up상태에서 수신용 BEACON에 휴대단말 카메라, 마이크, 데이터전송 유무를 전송할 수 있다. 휴대단말의 전송후 BEACON은 TCP/IP 유선 또는 무선망으로 서버에 전송하고, 각 근무지별 BEACON은 위치, 카메라, 마이크, 데이터 차단 상태 유무를 인식시마다 폴링하여 서버에 전송한다. 그리고 출퇴근시 출퇴근 ID카드와 연동하여 BEACON 인식불가시, 서버에서 등록된 정보의 전화번호로 문자 및 알람(앱 삭제시, 블루투스 인식불가시, 등등)을 실행시킬 수도 있다. 그리고 실시간 모니터링 관리하는 보안과에서 별도의 휴대용 인식단말기로 직접 확인할 수도 있다.
한편, 스마트폰과 차량용 블랙박스를 통합제어하는 시스템을 이용한 시설보안 방법을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폰과 차량용 블랙박스를 통합제어하는 시스템을 이용한 시설보안 방법에 관한 전체 흐름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우선 인식모듈은 기등록된 인식정보에 따른 휴대단말 또는 블랙박스 제어단말을 인식한다(S2).
여기서, 인식모듈은 회원 가입시 이용약관 동의 여부를 판단하고, 휴대단말 인증여부를 판단하며, 휴대단말을 잠금 상태 화면으로 이동시키고, 백그라운드에서 주변 블루투스 기기를 검색하는데, 종료 및 재부팅에 영향을 받지 않고 독립적으로 항상 실행될 수 있다. 그리고 스마트폰과 차량용 블랙박스를 통합제어할 수 있도록 휴대단말에 설치된 앱 삭제 여부를 판단하고, 블루투스 기기 발견 여부와 블루투스 기기의 ID값과 앱에 등록된 ID값의 일치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다음으로 인식모듈은 휴대단말의 고유정보 또는 블랙박스 제어단말의 고유정보에 해당 제어대상기기의 기능을 인식한다(S4).
그리고 기능처리모듈은 인식모듈을 통해 인식한 휴대단말의 특정기능을 차단하고, 블랙박스와 차량 메인전원 사이의 연결을 차단한다(S6). 이때 제 (S6) 단계에서, 기능처리모듈은 제어대상기기 중, 인식모듈을 통해 인식한 휴대단말의 영상 또는 음성기능을 차단하고, 블랙박스와 차량 메인전원 사이의 연결을 차단하되, 인식된 제어대상기기의 인식횟수에 따라 기능을 차단 및 차단해제를 스위칭 제어할 수 있다. 또한 해당 출입자의 출근여부 또는 퇴근여부를 블루투스 기기의 ID값과 앱에 등록된 ID값을 이용하여 판단하여 휴대단말과 블랙박스의 특정기능을 차단 또는 차단해제할 수 있다.
그리고 제 (a) 단계 이전에 등록관리부는 어플리케이션 설정단말을 통해 서버상에 제어대상 기기를 인식하기 위한 정보를 선등록하고, 제어대상 기기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어플리케이션을 제어 대상기기에 설치 및 실행할 수 있도록 한다.
도 4는 제 (S4) 단계에서 제어대상기기의 기능을 인식하는 단계를 나타내는 상세 흐름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식모듈은 인식한 제어대상기기의 인식정보를 서버상에 기등록된 인식정보와 비교한다(S12). 그리고 인식모듈은 인식정보에 해당하는 제어대상기기의 특정기능을 매칭하여 인식한다(S14).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폰과 차량용 블랙박스를 통합제어하는 시스템을 이용한 시설보안 방법에 관한 전체 흐름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식모듈은 회원 가입시의 이용약관 동의 여부를 판단하고(S22), 휴대단말 인증여부를 판단하며(S24), 휴대단말을 잠금 상태 화면으로 이동시키고(S26), 백그라운드에서 주변 블루투스 기기를 검색하는데, 종료 및 재부팅에 영향을 받지 않고 독립적으로 항상 실행될 수 있다(S28). 그리고 인식모듈은 스마트폰과 차량용 블랙박스를 통합제어할 수 있도록 휴대단말에 설치된 앱 삭제 여부를 판단하는데(S30), 앱 삭제여부를 판단하여 앱을 실행시키고, 삭제된 경우 절차를 종료시킴과 동시에 제어부에서 경고알람을 실행시킬 수도 있다.
다음으로 블루투스 기기 발견 여부(S32)와 블루투스 기기의 ID값과 앱에 등록된 ID값의 일치 여부(S34)를 판단할 수 있다. 그리고 기능처리모듈은 해당 출입자의 출근여부(S36) 또는 퇴근여부(S38)를 블루투스 기기의 ID값과 앱에 등록된 ID값을 이용하여 판단하여 휴대단말과 블랙박스의 특정기능을 차단(S40) 또는 차단해제(S42)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2g폰이나 3g폰 등 OS가 틀릴 수 있으나, 블루투스 2.0, 3.0을 호환하여 제어할 수 있으므로, 호환성이 가능하여 경쟁력 측면에서도 우수한 장점이 있다.
그리고 블루투스를 이용한 시설보안 관리시스템 및 그 방법은 군 보안시설이나 산업 보안 시설의 출입시 휴대단말과 차량용 블랙박스 제어단말이 정문 출입구 상에 설치되는 출입관리부와의 통신으로 보안등급에 따라 기능을 감시/제어할 수 있고, 비정상적으로 연결이 끊어진 경우 제어부에서 확인할 수 있어 군사 보안시설이나 산업 보안시설에 출입하는 경우, 기밀정보나 군사보안을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100 : 등록관리부
110 : 휴대 단말
120 : 블랙박스 제어단말 121 : 인터페이스모듈
122 : 릴레이모듈 123 : 출력모듈
130 : 데이터베이스 140 : 어플리케이션 설정단말
200 : 출입관리부 210 : 인식모듈
220 : 기능처리모듈 230 : 메모리모듈
300 : 제어부 310 : 보안설정모듈
320 : 보안실행모듈 330 : 모니터링 모듈
340 : 경고모듈 400 : 출입관리부
410 : 통신모듈 420 : 제어명령 실행모듈
430 : 알림모듈 440 ; 메모리모듈
450 : 상시감시모듈
120 : 블랙박스 제어단말 121 : 인터페이스모듈
122 : 릴레이모듈 123 : 출력모듈
130 : 데이터베이스 140 : 어플리케이션 설정단말
200 : 출입관리부 210 : 인식모듈
220 : 기능처리모듈 230 : 메모리모듈
300 : 제어부 310 : 보안설정모듈
320 : 보안실행모듈 330 : 모니터링 모듈
340 : 경고모듈 400 : 출입관리부
410 : 통신모듈 420 : 제어명령 실행모듈
430 : 알림모듈 440 ; 메모리모듈
450 : 상시감시모듈
Claims (8)
- 서버상에 인식정보가 등록된 휴대단말 또는 블랙박스 제어단말을 포함하는 제어대상 기기;
상기 제어대상 기기를 인식하는 인식모듈; 및
인식한 제어대상 기기에 따라 블랙박스 전원 또는 휴대단말의 특정기능을 차단제어하는 기능처리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과 차량용 블랙박스를 통합제어하는 시설보안 시스템.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블랙박스 제어단말은,
차량에 설치된 블랙박스와 차량 메인전원 사이에 연결되고, 상기 인식모듈과 블루투스 연결가능한 인식정보를 포함하여 연결상태 신호를 외부로 전송하는 인터페이스모듈; 및
상기 인터페이스모듈을 통해 연결되어 상기 기능처리모듈로부터 수신하는 제어신호에 따라 차량용 블랙박스와 차량 메인전원의 연결을 온/오프 스위칭하는 릴레이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과 차량용 블랙박스를 통합제어하는 시설보안 시스템.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대상 기기를 인식하기 위한 정보를 선등록하고, 제어 어플리케이션을 제어대상 기기에 설치 및 실행할 수 있도록 하는 어플리케이션 설정단말;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과 차량용 블랙박스를 통합제어하는 시설보안 시스템.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능처리모듈은 인식된 제어대상 기기의 인식횟수에 따라 블랙박스 전원 또는 휴대단말의 특정기능을 스위칭 제어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과 차량용 블랙박스를 통합제어하는 시설보안 시스템.
- 스마트폰과 차량용 블랙박스를 통합제어하는 시스템을 이용한 시설보안 방법에 있어서,
(a) 인식모듈이 기등록된 인식정보에 따른 휴대단말 또는 블랙박스 제어단말을 인식하는 단계;
(b) 상기 인식모듈이 휴대단말의 고유정보 또는 블랙박스 제어단말의 고유정보에 해당 제어대상기기의 기능을 인식하는 단계; 및
(c) 기능처리모듈이 상기 인식모듈을 통해 인식한 휴대단말의 특정기능을 차단하고, 블랙박스와 차량 메인전원 사이의 연결을 차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과 차량용 블랙박스를 통합제어하는 방법.
-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b) 단계는,
(b-1) 상기 인식모듈이 인식한 제어대상기기의 인식정보를 서버상에 기등록된 인식정보와 비교하는 단계; 및
(b-2) 상기 인식모듈이 인식정보에 해당하는 제어대상기기의 특정기능을 매칭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과 차량용 블랙박스를 통합제어하는 방법.
-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c) 단계는,
상기 기능처리모듈이 제어대상기기 중, 상기 인식모듈을 통해 인식한 휴대단말의 영상 또는 음성기능을 차단하고, 블랙박스와 차량 메인전원 사이의 연결을 차단하되, 인식된 제어대상기기의 인식횟수에 따라 스위칭 제어하는 단계;를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과 차량용 블랙박스를 통합제어하는 방법.
-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a) 단계 이전에,
(a-1) 서버상에 제어대상 기기를 인식하기 위한 정보를 선등록하는 단계; 및
(a-2) 상기 제어대상 기기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어플리케이션을 제어 대상기기에 설치 및 실행할 수 있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과 차량용 블랙박스를 통합제어하는 방법.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40135627A KR20160041521A (ko) | 2014-10-08 | 2014-10-08 | 스마트폰과 차량용 블랙박스를 통합제어하는 시설보안 시스템 및 그 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40135627A KR20160041521A (ko) | 2014-10-08 | 2014-10-08 | 스마트폰과 차량용 블랙박스를 통합제어하는 시설보안 시스템 및 그 방법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60041521A true KR20160041521A (ko) | 2016-04-18 |
Family
ID=559166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40135627A KR20160041521A (ko) | 2014-10-08 | 2014-10-08 | 스마트폰과 차량용 블랙박스를 통합제어하는 시설보안 시스템 및 그 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160041521A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10446152B2 (en) | 2017-10-13 | 2019-10-15 | Hyundai Motor Company | Speech recognition-based vehicle control method |
-
2014
- 2014-10-08 KR KR1020140135627A patent/KR20160041521A/ko active Search and Examination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10446152B2 (en) | 2017-10-13 | 2019-10-15 | Hyundai Motor Company | Speech recognition-based vehicle control method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9747735B1 (en) | Pattern analytics and physical access control system method of operation | |
CA2924381C (en) | Access control using portable electronic devices | |
KR102540090B1 (ko) | 전자 장치 및 그의 전자 키 관리 방법 | |
US12051295B2 (en) | Release monitoring through check-in and tethering system | |
US9972146B1 (en) | Security system with a wireless security device | |
KR102353322B1 (ko) | 비콘 기반의 출입 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 | |
EP3129569B1 (en) | Temporarily pairing a mobile device with a peripheral device | |
KR20170057744A (ko) | 스마트 기기의 도난 방지 장치 | |
CA2956070C (en) | Natural language user interface | |
US20210209879A1 (en) | Access control device, access control system and access control method using the same | |
KR101809994B1 (ko) | 분산 제어 시스템의 컨센서스 로스 | |
KR20140021874A (ko) | 스마트 코드를 이용한 출입 관리 시스템 및 방법 | |
US20190318559A1 (en) | Mobile-based access control system with wireless access controller | |
KR101547489B1 (ko) | 출입 통제 및 위치 인식 장치 및 출입 보안 시스템 | |
KR101623432B1 (ko) | 블루투스 연결에 의한 실내에서의 출입인증을 차단할 수 있는 블루투스 출입인증장치 및 그 방법 | |
CN104462172A (zh) | 由分布式系统中的装置执行的方法及在分布式系统中的装置 | |
KR102063569B1 (ko) | 휴대형 단말기를 이용한 출입문 개폐관리장치 및 방법 | |
KR101728158B1 (ko) | 소방 안전 관리 및 경비 대행 시스템 및 그 방법 | |
KR20150137662A (ko) | 근거리통신을 이용한 시설 보안 관리시스템 및 그 방법 | |
KR20160041521A (ko) | 스마트폰과 차량용 블랙박스를 통합제어하는 시설보안 시스템 및 그 방법 | |
CN106250724A (zh) | 一种应用程序控制方法、装置及移动设备 | |
US20170017787A1 (en) | Automatically securing an electronic device | |
KR101907108B1 (ko) | 스마트 도어락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 |
CN113763603B (zh) | 信息处理装置、方法、计算机可读存储介质及便携终端 | |
KR20160057751A (ko) | 근거리 통신 아이피 카메라를 이용한 출입감시 시스템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AMND | Amendment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AMND | Amendme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