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89021A - 모바일 기기를 이용한 통합 응급의료센터 관리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모바일 기기를 이용한 통합 응급의료센터 관리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89021A
KR20140089021A KR1020120158718A KR20120158718A KR20140089021A KR 20140089021 A KR20140089021 A KR 20140089021A KR 1020120158718 A KR1020120158718 A KR 1020120158718A KR 20120158718 A KR20120158718 A KR 20120158718A KR 20140089021 A KR20140089021 A KR 2014008902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hospital
emergency
user
ser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587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종욱
백성현
Original Assignee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201587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089021A/ko
Publication of KR201400890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8902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4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 G16H40/2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e.g. managing hospital staff or surgery room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21/00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 G01C21/26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specially adapted for navigation in a road network
    • G01C21/34Route searching; Route guidance
    • G01C21/3407Route searching; Route guidance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40Business processes related to the transportation industr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Remote Sensing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Epidemi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Economic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edical Treatment And Welfare Office Work (AREA)
  • Alarm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병원 및 위치 안내 서비스와 전문의 관리 서비스 및 응급의료센터의 모든 상황을 관리하는 응급의료 센터 관련 서비스를 통합적으로 관리하여 사용자 모바일 기기를 통하여 제공하는 모바일 기기를 이용한 통합 응급의료센터 관리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응급 관리 통합 서버에 접속하여 병원의 GPS 좌표 및 안내를 관리하는 병원 안내 및 위치 서비스 요청, 해당 병원의 전문의 관리 서비스 요청, 응급의료 센터 정보 서비스 요청을 하고, 응급 관리 통합 서버로부터 제공받은 정보를 수신하는 사용자 모바일 기기;상기 사용자 모바일 기기로부터 요청받은 정보를 처리하여 사용자가 요청한 정보를 수집하여 제공하는 응급 관리 통합 서버;상기 응급 관리 통합 서버의 정보 요청에 의해 병원 정보 및 위치 정보를 제공하는 병원 안내 및 위치 서비스부 및 전문의 정보를 제공하는 전문의 관리 서비스부 및 병원에 있는 응급 의료 센터 정보를 제공하는 응급 의료 센터 정보 서비스부;를 포함하는 것이다.

Description

모바일 기기를 이용한 통합 응급의료센터 관리 시스템 및 방법{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integrated emergency center with mobile device}
본 발명은 응급의료센터 관리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 병원 및 위치 안내 서비스와 전문의 관리 서비스 및 응급의료센터의 모든 상황을 관리하는 응급의료 센터 관련 서비스를 통합적으로 관리하여 사용자 모바일 기기를 통하여 제공하는 모바일 기기를 이용한 통합 응급의료센터 관리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오늘날 이동통신과 네트워크 기술 등 정보기술의 발전으로 의료분야에서도 이를 이용하려는 다양한 시도가 되고 있다. 의료 정보 서비스는 기본 병원 중심의 의료 단계에서 환자 중심의 E-헬스, U-헬스, 최근에는 스마트 시대의 도래와 더불어 스마트 헬스(S-헬스)로 진화되고 있다.
이러한 의료 서비스를 스마트 기기에 접목함으로써 시간을 줄이고 공간 의료 서비스를 크게 감소시킬 수 있다.
최근 전문의 응급실 당직을 규정하는 것을 골자로 응급의료법이 개정이 되었다. 개정 응급의료법은 기존에 인턴·레지던트만으로 응급실을 책임져온 병원과 의료진들의 관행에 변화가 불가피했다.
그동안 종합병원 응급실은 야간의 힘든 진료 환경 때문에 전공의(또는 수련의)인 인턴과 1~2년차 레지던트들에 의해 초진이 이루어졌다. 한계에 부닥칠 경우 3년차~5년차까지의 고참 레지던트나 당직전문의에게 온콜을 보냈으나 이마저 초년 레지던트에게는 어려운 점이 문제시되어 왔다.
새 응급의료법 시행규칙에서는 응급실에 인턴,레지던트가 근무하는 것은 과거와 변함이 없지만 당직전문의를 현행 3년차 이상 레지던트를 제외하고 전문의만으로 구성토록 했으며, 이 같은 당직전문의를 두어야 하는 진료과목을 모든 개설 진료과목으로 크게 강화했다.
하지만 지방의 소규모 지역응급센터의 경우 각 과별로 전문의가 부족하고, 모든 병원이 전문의를 두기에는 부족한 실정이다.
현재 스마트 기기를 이용한 의료 분야는 국내에서는 1339 응급의료 서비스와 GooDoc, S헬스, T Biz hospital등이 주로 사용되고 있고, 국외에서는 아이폰, 아이패드를 사용하여 의료 분야에서 활용을 하고 있다.
도 1은 현재 보건복지부에서 제공하는 1339 응급의료 어플리케이션의 화면이다. 1339는 전국 12개권 역별로 설치되어서 권역내의 응급의료체계를 담당하는 기관으로, 1339를 통해 전국 응급의료정보센터, 일요일 진료병원, 약국 등의 정보를 제공받아 내 주변 응급실 찾기(내 현재위치 정보 승인에 동의해야만 확인 가능), 병의원, 약국 찾기로 종합병원, 병원, 한의원, 정신병원, 치과 등등 카테고리별로 검색이 가능하고 응급의료 기관정보, 자동심장충격기 찾기까지 지원이 가능하다.
도 2는 의사들에 대한 정보와 예약 기능을 제공하는 GooDoc어플리케이션이다. GooDoc은 국내 모바일 시장에서 매우 인기 있는 건강 어플리케이션이다.
제공되는 서비스로는 의사선생님과 친구처럼 1:1 상담, 가까운 병원 보기, 자신이 선택한 진료과, 진료항목, 지역에 대한 의사 정보확인 등을 갖고 있고, 의사에 대한 상세정보 확인 또한 가능하다.
그러나 이와 같은 1339 서비스 및 GooDoc 서비스의 경우에는 응급 환자한테 필요한 응급 의료기기 제공되는 병원, 전문의가 있는 응급 의료 센터, 전문의 정보를 통합적으로 제공하지 못하여 응급 환자에게 보다 정확하고 신속한 처치가 수행하는데 한계가 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 기술의 응급 의료 서비스 체계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병원 및 위치 안내 서비스와 전문의 관리 서비스 및 응급의료센터의 모든 상황을 관리하는 응급의료 센터 관련 서비스를 통합적으로 관리하여 사용자 모바일 기기를 통하여 제공하는 모바일 기기를 이용한 통합 응급의료센터 관리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이동통신과 네트워크 기술을 이용한 스마트 기기를 이용하여 각 병원안의 응급 의료 센터의 전문의를 검색하고 실시간 응급의료센터의 상황 및 위치를 실시간으로 보여주어, 응급 의료법 개정안에 맞는 통합 응급 의료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모바일 기기를 이용한 통합 응급의료센터 관리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기기를 이용한 통합 응급의료센터 관리 시스템은 응급 관리 통합 서버에 접속하여 병원의 GPS 좌표 및 안내를 관리하는 병원 안내 및 위치 서비스 요청, 해당 병원의 전문의 관리 서비스 요청, 응급의료 센터 정보 서비스 요청을 하고, 응급 관리 통합 서버로부터 제공받은 정보를 수신하는 사용자 모바일 기기;상기 사용자 모바일 기기로부터 요청받은 정보를 처리하여 사용자가 요청한 정보를 수집하여 제공하는 응급 관리 통합 서버;상기 응급 관리 통합 서버의 정보 요청에 의해 병원 정보 및 위치 정보를 제공하는 병원 안내 및 위치 서비스부 및 전문의 정보를 제공하는 전문의 관리 서비스부 및 병원에 있는 응급 의료 센터 정보를 제공하는 응급 의료 센터 정보 서비스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응급 관리 통합 서버는, 사용자 모바일 기기로부터 요청받은 정보를 처리하는 모바일 기기 요청 처리 제어부와, 모바일 기기 요청 처리 제어부에 의해 병원 안내 및 위치 서비스부,전문의 관리 서비스부,응급 의료 센터 정보 서비스부로부터 받은 정보를 사용자 모바일 기기로 제공하는 정보 제공부와, 모바일 기기 요청 처리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사용자의 응급 상황에 맞는 병원 정보 및 위치 정보(GPS 좌표)를 수집하여 사용자에게 제공가능하도록 처리하는 병원 안내 및 위치 정보 처리부와, 병원에 포함된 전문의 요청에 의해 사용자의 응급 상황에 맞는 전문의 정보를 수집하여 사용자에게 제공가능하도록 처리하는 전문의 정보 처리부와, 사용자가 요청하는 병원에 있는 응급 의료 센터 정보를 수집하여 사용자에게 제공가능하도록 처리하는 응급 의료 센터 정보 처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사용자의 위치를 인식하여 병원을 안내하기 위해서 응급 관리 통합 서버는, 사용자 모바일 기기에서의 GPS 좌표를 수신받고 GPS 좌표를 수신받을 수 없는 지역인 경우는 3G 또는 Wifi를 이용한 좌표를 수신받아 현재 위치에서 병원까지의 길안내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전문의 관리 서비스부에서 제공하는 전문의 관련 서비스는, 응급의료센터나 병원 내에 사용자가 요청하는 전문의의 존재 여부, 해당 전문의가 현재 병원 내에 있는지 외부에 있는지의 여부, 해당 전문의 전공, 경력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응급 의료 센터 정보 서비스부에서 제공하는 응급의료센터 관련 서비스는, 각 병원내의 응급 의료센터 내의 현재 상황, 해당 병원에서 제공할 수 있는 응급 의료 기기 정보, 응급별 베드 및 여유 상태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기기를 이용한 통합 응급의료센터 관리 방법은 응급 관리 통합 서버가 사용자 모바일 기기로부터 응급 의료 서비스에 관한 정보 요청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사용자가 요청한 정보가 병원 정보 및 위치 정보 요청인 것으로 판단되면 병원 안내 및 위치 서비스부로 해당 정보를 요청하고, 사용자의 응급 상황에 맞는 병원 정보 및 위치 정보를 받는 단계;사용자가 요청한 정보가 병원에 포함된 전문의 요청인 것으로 판단되면 전문의 관리 서비스부로 병원에 포함된 전문의 정보를 요청하고, 사용자의 응급 상황에 맞는 전문의 정보를 받는 단계;사용자가 요청한 정보가 해당 병원에 있는 응급 의료 센터 정보 요청인 것으로 판단되면 해당 정보를 응급 의료 센터 정보 서비스부로 요청하여, 사용자가 요청하는 병원에 있는 응급 의료 센터 정보를 받는 단계;응급 관리 통합 서버가 수집된 사용자 요청 정보를 사용자 모바일 기기로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기기를 이용한 통합 응급의료센터 관리 시스템 및 방법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갖는다.
첫째, 각 병원안의 응급 의료 센터의 전문의를 검색하고 실시간 응급의료센터의 상황 및 위치를 실시간으로 보여주어, 응급 의료법 개정안에 맞는 통합 응급 의료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둘째, 병원 및 위치 안내 서비스와 전문의 관리 서비스 및 응급의료센터의 모든 상황을 관리하는 응급의료 센터 관련 서비스를 통합적으로 관리하여 응급 환자의 빠르고 신속한 처치가 가능하도록 한다.
도 1은 현재 보건복지부에서 제공하는 1339 응급의료 어플리케이션의 화면 구성도
도 2는 의사들에 대한 정보와 예약 기능을 제공하는 GooDoc어플리케이션 화면 구성도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기기를 이용한 통합 응급의료센터 관리 시스템의 구성도
도 5a는 본 발명에 따른 응급 관리 통합 서버의 상세 구성도
도 5b는 본 발명에 따른 응급 관리 통합 서비스를 위한 처리 과정을 나타낸 플로우 차트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기기를 이용한 통합 응급의료센터 관리 시스템의 모바일 기기 화면 구성도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기기를 이용한 통합 응급의료센터 관리 시스템 및 방법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기기를 이용한 통합 응급의료센터 관리 시스템 및 방법의 특징 및 이점들은 이하에서의 각 실시 예에 대한 상세한 설명을 통해 명백해질 것이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기기를 이용한 통합 응급의료센터 관리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응급실 통합 관리 시스템은 크게 모든 병원의 GPS 좌표 및 안내를 관리하는 병원 안내 및 위치 서비스와 모든 병원의 전문의를 관리 및 담당하는 서비스와 응급의료센터의 모든 상황을 관리하는 응급의료 센터 관련 서비스로 구성을 하여 이러한 서비스를 사용자 모바일 기기에 제공을 하여 사용자의 명령을 입력받고 해당 정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기기를 이용한 통합 응급의료센터 관리 시스템은 응급 관리 통합 서버(310)에 접속하여 병원의 GPS 좌표 및 안내를 관리하는 병원 안내 및 위치 서비스와, 모든 병원의 전문의를 관리 및 담당하는 서비스와, 응급의료센터의 모든 상황을 관리하는 응급의료 센터 관련 서비스를 요청하고, 응급 관리 통합 서버(310)로부터 제공받은 정보를 수신하는 사용자 모바일 기기(300)와, 사용자 모바일 기기(300)로부터 요청받은 정보를 처리하여 사용자가 요청한 정보를 수집하여 제공하는 응급 관리 통합 서버(310)와, 응급 관리 통합 서버(310)의 병원 정보 및 위치 정보 요청에 의해 사용자의 응급 상황에 맞는 병원 정보 및 위치 정보(GPS 좌표)를 제공하는 병원 안내 및 위치 서비스부(400)와, 응급 관리 통합 서버(310)의 병원에 포함된 전문의 요청에 의해 사용자의 응급 상황에 맞는 전문의 정보를 제공하는 전문의 관리 서비스부(410)와, 응급 관리 통합 서버(310)의 해당 병원에 있는 응급 의료 센터 정보 요청에 의해 사용자가 요청하는 병원에 있는 응급 의료 센터 정보를 제공하는 응급 의료 센터 정보 서비스부(420)를 포함한다.
여기서, 응급 관리 통합 서버(310)의 상세 구성은 다음과 같다.
도 5a는 본 발명에 따른 응급 관리 통합 서버의 상세 구성도이다.
응급 관리 통합 서버(310)는 사용자 모바일 기기(300)로부터 요청받은 정보를 처리하는 모바일 기기 요청 처리 제어부(310a)와, 모바일 기기 요청 처리 제어부(310a)에 의해 병원 안내 및 위치 서비스부(400),전문의 관리 서비스부(410),응급 의료 센터 정보 서비스부(420)에 사용자가 요청한 정보를 수집하기 위한 정보 요청을 하여 받은 정보를 사용자 모바일 기기(300)로 제공하는 정보 제공부(310b)와, 모바일 기기 요청 처리 제어부(310a)의 제어에 의해 사용자의 응급 상황에 맞는 병원 정보 및 위치 정보(GPS 좌표)를 수집하여 사용자에게 제공가능하도록 처리하는 병원 안내 및 위치 정보 처리부(310c)와, 병원에 포함된 전문의 요청에 의해 사용자의 응급 상황에 맞는 전문의 정보를 수집하여 사용자에게 제공가능하도록 처리하는 전문의 정보 처리부(310d)와, 사용자가 요청하는 병원에 있는 응급 의료 센터 정보를 수집하여 사용자에게 제공가능하도록 처리하는 응급 의료 센터 정보 처리부(310e)를 포함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기기를 이용한 통합 응급의료센터 관리 시스템의 병원 안내 및 위치 서비스 제공은 다음과 같다.
응급 관리 통합 서버(310)에서 사용자의 위치를 인식하여 병원을 안내하기 위해서 응급 관리 통합 서버(310)는 사용자 모바일 기기(300)에서의 GPS 좌표를 수신받고 GPS 좌표를 수신받을 수 없는 지역인 경우는 3G 또는 Wifi를 이용한 좌표를 수신받아 현재 위치에서 병원까지의 안내 서비스를 제공한다.
그리고 전문의 관련 서비스는 응급의료센터나 병원 내에 해당 전문의가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고 전문의가 병원 내에 있는지 외부에 있는지를 제공하고 또한 전문의의 상세한 정보를 관리하는 것으로 사용자 모바일 기기(300)에 원하는 정보를 제공한다.
그리고 응급의료센터 관련 서비스는 각 병원내의 응급 의료센터 내의 상황을 제공하는 서비스로 해당 병원에서 어떠한 응급 의료 기기를 제공할 수 있는지와 응급별 베드 및 여유 상태를 제공하는 서비스를 제공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기기를 이용한 통합 응급의료센터 관리 시스템에서 응급 관리 통합 서버(310)는 위의 3가지 서비스로부터 받은 정보를 활용하여 사용자의 상황을 인지하고 그 상황에 맞는 정보를 지능적으로 안내하고 또한 실시간으로 제공을 하여 최적의 정보를 안내한다.
그리고 사용자 모바일 기기(300)는 사용자에게 정보를 전달하는 최종부분으로 사용자가 필요로 하는 모든 정보를 제공해주는 역할을 담당한다.
사용자 모바일 기기(300)에서는 사용자한테 현재 위치에서 가장 가까운 응급센터가 있는 병원을 보여 주거나 아니면 사용자가 원하는 병원을 보여주는 서비스를 제공한다.
또한 현재 위치에서 병원이 검색되면 병원까지 자동으로 위치 안내를 하여 네비게이션 역할을 수행하여 가장 빠른 길을 구글이나 네이버 또는 다음 지도를 통하여 탐색 서비스를 제공한다.
또한 해당 병원의 전문의가 있는지를 없는지를 체크 하여 사용자한테 제공하고 응급의료센터의 현황을 사용자한테 동시에 보여 주어 빠르고 신속한 처리를 하도록 제공한다.
이와 같은 모바일 기기를 이용한 통합 응급의료센터 관리 시스템의 정보 제공 과정은 다음과 같다.
도 5b는 본 발명에 따른 응급 관리 통합 서비스를 위한 처리 과정을 나타낸 플로우 차트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기기를 이용한 통합 응급의료센터 관리 시스템의 모바일 기기 화면 구성도이다.
먼저, 사용자가 사용자 모바일 기기(300)를 통하여 응급 의료 서비스에 관한 정보를 요청한다.(S501)
이와 같은 사용자의 정보 제공 요청에 따라 응급 관리 통합 서버(310)는 사용자가 요청한 정보 분야를 판단한다.(S502)
응급 관리 통합 서버(310)에서 사용자가 요청한 정보가 병원 정보 및 위치 정보 요청인 것으로 판단되면 병원 안내 및 위치 서비스부(400)로 해당 정보를 요청하고(S503), 병원 안내 및 위치 서비스부(400)로부터 사용자의 응급 상황에 맞는 병원 정보 및 위치 정보(GPS 좌표)를 받는다.(S504)
만약, 응급 관리 통합 서버(310)에서 사용자가 요청한 정보가 병원에 포함된 전문의 요청인 것으로 판단되면 전문의 관리 서비스부(410)로 병원에 포함된 전문의 정보를 요청하고(S505), 사용자의 응급 상황에 맞는 전문의 정보를 받는다(S506)
그리고 응급 관리 통합 서버(310)에서 사용자가 요청한 정보가 해당 병원에 있는 응급 의료 센터 정보 요청인 것으로 판단되면 해당 정보를 응급 의료 센터 정보 서비스부(420)로 요청하여(S507), 사용자가 요청하는 병원에 있는 응급 의료 센터 정보를 받는다.(S508)
이어, 이와 같은 정보를 수집한 응급 관리 통합 서버(310)는 수집된 사용자 요청 정보를 사용자 모바일 기기(300)로 제공한다.(S509)
도 6은 응급 관리 통합 서버(310)가 제공한 정보를 표시한 모바일 기기 화면 구성도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기기를 이용한 통합 응급의료센터 관리 시스템 및 방법은 개정된 응급의료법에 적합한 응급 의료 정보 서비스를 가능하게 하고, 이전 응급 의료 안내 시스템과는 달리 사용자의 위치를 이용한 길안내 서비스와 전문의 유무 서비스를 동시에 활용하여 제공하기 때문에 사용자는 더 정확한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기기를 이용한 통합 응급의료센터 관리 시스템 및 방법은 환자의 응급 수송중에 전문의와 1:1 상담 서비스를 구현하여 응급환자에 대한 데이터 및 이송 중의 상태를 실시간으로 전송을 하여 병원까지의 이동중에 응급환자의 안전을 최대한 보장할 수 있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상에서의 설명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본 발명이 구현되어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명시된 실시 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 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300. 사용자 모바일 기기 310. 응급 관리 통합 서버
400. 병원 안내 및 위치 서비스부 410. 전문의 관리 서비스부
420. 응급의료센터 정보 서비스부

Claims (6)

  1. 응급 관리 통합 서버에 접속하여 병원의 GPS 좌표 및 안내를 관리하는 병원 안내 및 위치 서비스 요청, 해당 병원의 전문의 관리 서비스 요청, 응급의료 센터 정보 서비스 요청을 하고, 응급 관리 통합 서버로부터 제공받은 정보를 수신하는 사용자 모바일 기기;
    상기 사용자 모바일 기기로부터 요청받은 정보를 처리하여 사용자가 요청한 정보를 수집하여 제공하는 응급 관리 통합 서버;
    상기 응급 관리 통합 서버의 정보 요청에 의해 병원 정보 및 위치 정보를 제공하는 병원 안내 및 위치 서비스부 및 전문의 정보를 제공하는 전문의 관리 서비스부 및 병원에 있는 응급 의료 센터 정보를 제공하는 응급 의료 센터 정보 서비스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기기를 이용한 통합 응급의료센터 관리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응급 관리 통합 서버는,
    사용자 모바일 기기로부터 요청받은 정보를 처리하는 모바일 기기 요청 처리 제어부와,
    모바일 기기 요청 처리 제어부에 의해 병원 안내 및 위치 서비스부,전문의 관리 서비스부,응급 의료 센터 정보 서비스부로부터 받은 정보를 사용자 모바일 기기로 제공하는 정보 제공부와,
    모바일 기기 요청 처리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사용자의 응급 상황에 맞는 병원 정보 및 위치 정보(GPS 좌표)를 수집하여 사용자에게 제공가능하도록 처리하는 병원 안내 및 위치 정보 처리부와, 병원에 포함된 전문의 요청에 의해 사용자의 응급 상황에 맞는 전문의 정보를 수집하여 사용자에게 제공가능하도록 처리하는 전문의 정보 처리부와, 사용자가 요청하는 병원에 있는 응급 의료 센터 정보를 수집하여 사용자에게 제공가능하도록 처리하는 응급 의료 센터 정보 처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기기를 이용한 통합 응급의료센터 관리 시스템.
  3. 제 1 항에 있어서, 사용자의 위치를 인식하여 병원을 안내하기 위해서 응급 관리 통합 서버는,
    사용자 모바일 기기에서의 GPS 좌표를 수신받고 GPS 좌표를 수신받을 수 없는 지역인 경우는 3G 또는 Wifi를 이용한 좌표를 수신받아 현재 위치에서 병원까지의 길안내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기기를 이용한 통합 응급의료센터 관리 시스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문의 관리 서비스부에서 제공하는 전문의 관련 서비스는,
    응급의료센터나 병원 내에 사용자가 요청하는 전문의의 존재 여부, 해당 전문의가 현재 병원 내에 있는지 외부에 있는지의 여부, 해당 전문의 전공, 경력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기기를 이용한 통합 응급의료센터 관리 시스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응급 의료 센터 정보 서비스부에서 제공하는 응급의료센터 관련 서비스는,
    각 병원내의 응급 의료센터 내의 현재 상황, 해당 병원에서 제공할 수 있는 응급 의료 기기 정보, 응급별 베드 및 여유 상태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기기를 이용한 통합 응급의료센터 관리 시스템.
  6. 응급 관리 통합 서버가 사용자 모바일 기기로부터 응급 의료 서비스에 관한 정보 요청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사용자가 요청한 정보가 병원 정보 및 위치 정보 요청인 것으로 판단되면 병원 안내 및 위치 서비스부로 해당 정보를 요청하고, 사용자의 응급 상황에 맞는 병원 정보 및 위치 정보를 받는 단계;
    사용자가 요청한 정보가 병원에 포함된 전문의 요청인 것으로 판단되면 전문의 관리 서비스부로 병원에 포함된 전문의 정보를 요청하고, 사용자의 응급 상황에 맞는 전문의 정보를 받는 단계;
    사용자가 요청한 정보가 해당 병원에 있는 응급 의료 센터 정보 요청인 것으로 판단되면 해당 정보를 응급 의료 센터 정보 서비스부로 요청하여, 사용자가 요청하는 병원에 있는 응급 의료 센터 정보를 받는 단계;
    응급 관리 통합 서버가 수집된 사용자 요청 정보를 사용자 모바일 기기로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기기를 이용한 통합 응급의료센터 관리 방법.
KR1020120158718A 2012-12-31 2012-12-31 모바일 기기를 이용한 통합 응급의료센터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2014008902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58718A KR20140089021A (ko) 2012-12-31 2012-12-31 모바일 기기를 이용한 통합 응급의료센터 관리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58718A KR20140089021A (ko) 2012-12-31 2012-12-31 모바일 기기를 이용한 통합 응급의료센터 관리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89021A true KR20140089021A (ko) 2014-07-14

Family

ID=517373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58718A KR20140089021A (ko) 2012-12-31 2012-12-31 모바일 기기를 이용한 통합 응급의료센터 관리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089021A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23755A (ko) * 2016-08-27 2018-03-07 이지나 병원 응급 및 대기환자 조회 애플리케이션
KR20180055098A (ko) * 2016-11-16 2018-05-25 주식회사 마이지놈박스 유전자 정보 및 사용자 위치 정보 기반 병원 검색 장치 및 방법
KR20200073418A (ko) * 2018-12-14 2020-06-24 숙명여자대학교산학협력단 응급의료기관 종에 따른 응급실 혼잡도 예측 방법
KR20220095104A (ko) 2020-12-29 2022-07-06 주식회사 코스모스메딕 빅데이터 및 클라우드 시스템 기반 인공지능 응급의료 의사결정 및 응급환자 이송 시스템과 그 방법
WO2024091029A1 (ko) * 2022-10-28 2024-05-02 동국대학교 산학협력단 임신 및 출산 관리 시스템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23755A (ko) * 2016-08-27 2018-03-07 이지나 병원 응급 및 대기환자 조회 애플리케이션
KR20180055098A (ko) * 2016-11-16 2018-05-25 주식회사 마이지놈박스 유전자 정보 및 사용자 위치 정보 기반 병원 검색 장치 및 방법
KR20200073418A (ko) * 2018-12-14 2020-06-24 숙명여자대학교산학협력단 응급의료기관 종에 따른 응급실 혼잡도 예측 방법
KR20220095104A (ko) 2020-12-29 2022-07-06 주식회사 코스모스메딕 빅데이터 및 클라우드 시스템 기반 인공지능 응급의료 의사결정 및 응급환자 이송 시스템과 그 방법
WO2024091029A1 (ko) * 2022-10-28 2024-05-02 동국대학교 산학협력단 임신 및 출산 관리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881875B1 (en) Device or system for locating and operating a medical device
US11270793B2 (en) Method and system for determining patient status
US9801036B2 (en) Initial rescue information collection device, operation method thereof, recording medium, and system
US11862310B2 (en) Proximity-based mobile-device updates of electronic health records
US20150379441A1 (en) Shared asset management system
KR101268506B1 (ko) 스마트기기를 이용한 구급정보 및 응급의료 시스템
KR101838551B1 (ko) 휴대단말을 이용한 병원 진료예약 시스템
KR20140089021A (ko) 모바일 기기를 이용한 통합 응급의료센터 관리 시스템 및 방법
Arneson et al. Answering the call: impact of tele-ICU nurses during the COVID-19 pandemic
Köstinger et al. Developing a NFC based patient identification and ward round system for mobile devices using the android platform
JP2017079065A (ja) 医療機関マッチングシステム
JP2019087196A (ja) 診療科推奨プログラム、診療科推奨方法及び情報処理装置
KR20130136891A (ko) 전자의무기록 시스템 및 그의 서비스 방법
KR20180106099A (ko) 웹 기반의 개인화된 건강 데이터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20090001551A (ko) 응급 의료자원 관리장치 및 시스템
CN107702707A (zh) 导航信息获取方法及装置、计算机可读存储介质
Scalvini et al.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n chronic diseases: a patient’s opportunity
JP2004318570A (ja) 医用情報システム
JP2019525337A (ja) 患者の状況、ユーザの役割、現在のワークフロー及びディスプレイの近接度に基づいて、ユーザ体験を最適化するためのシステム及び方法
Cho et al. Development of smart healthcare scheduling monitoring system for elderly health care
CN112749321A (zh) 数据处理方法、客户端、服务器、系统及存储介质
Isabella et al. IOT based emergency medical services
KR20170135227A (ko) 병원 진료 예약 애플리케이션
KR101835433B1 (ko) 환자 병상위치 확인시스템
JP6169850B2 (ja) 携帯情報端末及び医療情報提供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