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89011A - 준안정 오스테나이트계 고질소강의 인장강도 예측방법 - Google Patents

준안정 오스테나이트계 고질소강의 인장강도 예측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89011A
KR20140089011A KR1020120158581A KR20120158581A KR20140089011A KR 20140089011 A KR20140089011 A KR 20140089011A KR 1020120158581 A KR1020120158581 A KR 1020120158581A KR 20120158581 A KR20120158581 A KR 20120158581A KR 20140089011 A KR20140089011 A KR 2014008901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nsile strength
predicting
cold working
nitrogen
amou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585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병철
이태호
신종호
김영득
이종욱
Original Assignee
한국기계연구원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기계연구원,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기계연구원
Priority to KR10201201585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089011A/ko
Publication of KR201400890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8901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20Metal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00Investigating strength properties of solid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 G01N3/08Investigating strength properties of solid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by applying steady tensile or compressive force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CCOMPUTATIONAL CHEMISTRY; CHEMOINFORMATICS; COMPUTATIONAL MATERIALS SCIENCE
    • G16C20/00Chemoinformatics, i.e.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f physicochemical or structural data of chemical particles, elements, compounds or mixtures
    • G16C20/30Prediction of properties of chemical compounds, compositions or mixtur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203/00Investigating strength properties of solid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 G01N2203/0014Type of force applied
    • G01N2203/0016Tensile or compressive
    • G01N2203/0017Tensil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Immu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Pathology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Bioinformatics & Computational Biology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Heat Treatment Of Stee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준안정 오스테나이트계 고질소강의 인장강도 예측방법에 있어서, 상기 인장강도를 예측할 수 있는 예측식은 하기 수학식 (3)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준안정 오스테나이트계 고질소강의 인장강도 예측방법에 관한 것으로, 질소함량, 냉간가공량, 응력완화 처리에 따라 상기 고질소강이 갖게 될 인장강도를 예측할 수 있는 예측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인장강도 (MPa) = 573 + 468×(질소함량, wt% N) + a×(냉간가공량, %CW) + b … 수학식 (3) (단, a =10.3×(질소함량, wt% N) + 6.6, b = 2.5×(냉간가공량, %CW))

Description

준안정 오스테나이트계 고질소강의 인장강도 예측방법{Method for predicting the tensile strength of meta-stable austenitic high-nitrogen steels}
본 발명은 스테인리스강의 인장강도 예측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제조공정 변수에 따른 준안정 오스테나이트계 고질소강의 인장강도 예측방법에 관한 것이다.
기존의 연구 또는 발명으로 보고된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강은 대부분 중량 %로 16~20% 크롬(Cr), 6~12% 니켈(Ni), 2% 몰리브덴(Mo) 그리고 0.03~0.15% 탄소(C)를 함유하며, 인장강도 500~600MPa, 연신율 40% 수준의 기계적 특성을 갖는다.
상기 합금원소 중 니켈(Ni)은 효율적인 오스테나이트 안정화 원소이며 가공성 향상에도 기여하는 장점이 있어서 전체 수급량의 65% 이상이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강의 합금원소로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니켈(Ni)의 가격이 2001년부터 6년간 700% 이상 상승하였고 특히 2006년 1년간 2배 이상 폭등하여, 니켈가격이 스테인리스강의 원가를 책정하는 주요 지표로 작용하고 있으며, 이러한 경제성 측면 이외에 인체 알러지(allergy)를 유발하며 재활용 시 유해가스를 배출하는 등 인체 및 환경친화성에 역행하는 문제점이 제기되었다.
이에 따라 최근 니켈(Ni)을 대체할 수 있는 합금원소의 선택 및 새로운 스테인리스 강종 개발이 주요한 과제로 부각되었다.
합금원소로서 니켈(Ni)이 가지는 여러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개발된 새로운 스테인리스강에는 STS 200계 합금으로 알려진 Fe-Cr-Mn계 합금과, 합금원소로서 질소가 가지는 장점을 적극 활용하여 제반특성을 향상시킨 오스테나이트계 고질소강이 있다.
질소는 강력한 오스테나이트 안정화 원소이며, 고용강화 효과가 크고, 강도증가에 수반된 연성감소가 적고, 공식저항을 포함한 부식저항성을 향상시키는 등 여러 장점이 있다.
종래에는 철강재료 내에 질소를 안정적으로 확보하기 위한 제조공정상의 어려움 때문에 고질소강의 개발이 활발히 진행되지 못했지만, 최근 질소분위기 하에서의 가압용해, PESR(pressurized electroslag remelting), 분말야금법, 고상질화법 등 다양한 제조공정기술의 발전에 힘입어 많은 연구개발이 진행되고 있다.
현재 오스테나이트계 고질소강은 내식성이 우수하고, 질소함량의 증가에 따라 연성 및 인성의 큰 저하 없이 강도가 증가하기 때문에 우수한 강도/연성 조합을 얻을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질소의 첨가는 가공경화속도를 크게 증가시키기 때문에 냉간가공에 의한 가공경화 효과가 매우 큰 것으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일정 수치 이상의 인장강도를 요구하는 오스테나이트계 고질소강을 제조하기 위해서는 질소함량과 냉간가공량을 적절하게 조절할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기술적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준안정 오스테나이트계 Fe-Mn-Cr 고질소강 등과 같은 스테인리스강을 제조함에 있어서, 스테인리스강의 제조 이전에 상기 스테인리스강이 갖게 될 인장강도를 예측할 수 있는 예측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해결하려는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지적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용체화 처리된 준안정 오스테나이트계 Fe-Mn-Cr 고질소강의 인장강도 예측방법에 있어서, 상기 인장강도(TS, tensile strength)를 예측할 수 있는 예측식은 하기 수학식 (1)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준안정 오스테나이트계 고질소강의 인장강도 예측방법을 제공한다.
인장강도 (MPa) = 573 + 468×(질소함량, wt% N) … 수학식 (1)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용체화 처리 후, 냉간가공(cold working, CW)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준안정 오스테나이트계 고질소강의 인장강도 예측방법으로, 상기 인장강도를 예측할 수 있는 예측식은 하기 수학식 (2)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준안정 오스테나이트계 고질소강의 인장강도 예측방법을 제공한다.
인장강도 (MPa) = 573 + 468×(질소함량, wt% N) + a×(냉간가공량, %CW) … 수학식 (2) ( 단, a =10.3×(질소함량, wt% N) + 6.6)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냉간가공 후, 응력완화 처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오스테나이트계 고질소강의 인장강도 예측방법으로, 상기 인장강도를 예측할 수 있는 예측식은 하기 수학식 (3)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준안정 오스테나이트계 고질소강의 인장강도 예측방법을 제공한다.
인장강도 (MPa) = 573 + 468×(질소함량, wt% N) + a×(냉간가공량, %CW) + b … 수학식 (3) ( 단, a =10.3×(질소함량, wt% N) + 6.6, b = 2.5×(냉간가공량, %CW))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제조 이전에 상기 준안정 오스테나이트계 고질소강이 갖게 될 인장강도를 예측할 수 있는 예측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인장강도를 예측할 수 있는 예측방법은 단계 별, 즉, 용체화 처리 단계, 용체화 처리 및 냉간가공 후 단계, 용체화 처리, 냉간가공 및 응력완화 처리 후 단계 등과 같이, 각 단계별로 인장강도를 예측할 수 있는 예측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질소함량에 따른 인장강도의 변화를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 2는 준안정 오스테나이트계 고질소강의 냉간압연에 따른 인장강도의 변화를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 3은 준안정 오스테나이트계 고질소강의 응력완화(SR, stress relieving) 처리 전후의 인장강도 증가량을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 4는 반경험식(semi-empirical equation)으로 예측된 인장강도와 실제로 측정된 인장강도를 비교한 결과를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 5는 냉간가공에 따른 준안정 오스테나이트계 고질소강의 변형 유기 마르텐사이트의 부피분율 변화를 도시한 그래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아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내용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면에 관계없이 동일한 부재번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지칭하며, "및/또는"은 언급된 아이템들의 각각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 상술한 바와 같은 일반적인 제조방법에 의하여 제조된 준안정 오스테나이트계 고질소강의 인장강도 예측방법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상술한 제조방법은 하나의 예시에 불과할 뿐, 본 발명에서는 준안정 오스테나이트계 고질소강의 제조방법을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
먼저, 진공도 10-4mbar의 20kg급(Fe 기준) 가압유도용해로(VIM 4III-P, 독일-ALD사)를 이용하여 10kg의 오스테나이트계 고질소강을 제조하고자 하였다.
화학성분 조절은 치환형 원소의 경우 전해철, Fe-Mo, Fe-Mn, Fe-Cr 합금철을 이용하였고, 질소함량 제어를 위해 질소분압 1기압에서 과립형태로 된 Fe-58.8Cr-6.6N 모합금을 장입하였다. 합금의 용해는 진공도 1.4x10-1mbar 이상, 그리고 출탕 시 용탕온도는 1450℃로 일정하게 유지하여 20mm 두께의 잉곳을 제조하였다.
제조된 오스테나이트계 고질소강의 화학성분을 하기 표 1에 도시하였다.
Steel C Si Mn Cr N
시편 1 0.44N 0.03 0.30 18.1 17.6 0.44
시편 2 0.50N 0.03 0.29 18.3 17.2 0.50
시편 3 0.57N 0.03 0.26 18.1 17.9 0.57
시편 4 0.63N 0.03 0.25 18.2 17.9 0.63
다음으로, 제조된 20mm 두께의 잉곳에 대해 총 10pass의 압연을 통해 두께 4mm의 건전한 압연판재를 얻었다. 압연전 가열온도는 1200℃이며, 압연종료온도는 900℃ 이상으로 하였다.
1150℃에서 30 분간 용체화 처리 후 미세조직을 관찰한 결과 결정립 내부에 어닐링 쌍정이 잘 발달된 완전한 오스테나이트 단상조직을 가지고 있었으며, 오스테나이트 결정립 크기는 50~80μm 정도였다.
상기 용체화 처리된 오스테나이트계 고질소강의 항복강도, 인장강도 및 연신율 측정하여 하기 표 2에 도시하였다. 또한, 표 2의 인장강도 결과를 후술하는 도 1에 도시하였다.
구분 항복강도
(Yield Strength, MPa)
인장강도
(Tensile Strength, MPa)
연신율
(Elongation, %)
시편 1 0.44N 409.2 781.8 68.6
시편 2 0.50N 434.3 803.1 67.6
시편 3 0.57N 462.6 838.4 64.6
시편 4 0.63N 487.3 869.8 62.6
상기 표 2를 참조하면, 용체화 처리된 판재의 인장 특성을 평가한 결과 질소함량이 높아질수록 항복강도와 인장강도는 증가하지만, 연신율은 서서히 감소하는 일반적인 결과를 나타내었다.
실제 오스테나이트계 고질소강의 제조공정에서 수행되는 냉간가공(cold working, CW)과 응력완화(SR, stress relieving) 처리가 인장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4mm 두께의 열간압연 판재를 10%, 20%, 30%, 40%, 50%, 60%의 두께 감소율로 냉간압연하였다.
또한, 일부 냉간압연된 판재를 50℃/hr로 승온하고, 500℃에서 5시간 유지한 후 노냉을 실시하여 응력완화 처리 전후의 인장특성을 비교하고자 하였다.
냉간압연된 판재에서 인장시편의 방향은 압연방향과 평행한 방향으로 하고, ASTM E8 표준시험법에 따라 sub-size의 판상시편(표점거리 25.4mm, 직경 6.25mm)으로 가공한 후 10톤 용량의 Instron 시험기를 이용하여 2mm/min의 크로스헤드(crosshead) 속도로 인장시험을 실시하였다.
도 2는 오스테나이트계 고질소강 시편 3의 냉간가공량에 따른 인장강도의 변화를 도시한 그래프이고, 도 3은 오스테나이트계 고질소강 시편 3의 응력완화(SR, stress relieving) 처리 전후의 인장강도 증가량을 도시한 그래프이다.
상기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가공경화 효과에 의해 냉간가공량에 비례하여 인장강도가 증가함을 알 수 있으며, 특히, 응력완화 처리 전후의 인장 강도 증가량이 냉간가공량에 비례함을 알 수 있다.
이상과 같은 실험예를 바탕으로, 인장강도에 대한 질소함량, 냉간가공량 및 응력완화 처리의 상관관계를 도출할 수 있었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도 1은 질소함량에 따른 인장강도의 변화를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상술한 바와 같이, 질소함량이 높아질수록 인장강도가 비례적으로 증가하며, 이를 식으로 표현하면 다음과 같다.
인장강도 = 573 + 468×(질소함량, wt% N) … 수학식 (1)
도 2는 오스테나이트계 고질소강 시편 3에서 냉간가공량에 따른 인장강도의 변화를 도시하였다.
도 2를 참조하면, 상술한 바와 같이, 냉간가공량이 증가할수록 인장강도가 비례적으로 증가하며, 시편 1 내지 시편 4의 각각에 대한 냉간가공량에 따른 인장강도의 변화를 하기 수학식 (2) 내지 (5)로 표현하면 다음과 같다.
인장강도 (MPa) = 11.04×(냉간가공량, %CW) + 796.64 … 수학식 (2)
인장강도 (MPa) = 11.69×(냉간가공량, %CW) + 803.46 … 수학식 (3)
인장강도 (MPa) = 12.77×(냉간가공량, %CW) + 820.04 … 수학식 (4)
인장강도 (MPa) = 12.86×(냉간가공량, %CW) + 836.52 … 수학식 (5)
상술한 바와 같이, 용체화 처리 및 냉간가공 후의 오스테나이트계 고질소강이 갖게 될 인장강도를 예측할 수 있는 예측식은 하기 수학식 (6)과 같다.
인장강도 (MPa) = 573 + 468×(질소함량, wt% N) + a×(냉간가공량, %CW) … 수학식 (6) ( 단, a =10.3×(질소함량, wt% N) + 6.6)
계수 a는 질소함량의 증가에 따라 가공경화 효과가 커지는 것을 나타낸다.
도 3은 오스테나이트계 고질소강 시편 3에서 응력완화 처리 전후의 인장강도의 증가량을 도시하였다.
도 3을 참조하면, 응력완화 처리 전후의 인장강도 증가량(ΔTS)은 냉간가공량에 비례하며, 시편 1 내지 시편 4의 응력완화 처리 전후, 각각에 대한 냉간가공량에 따른 인장강도 증가량을 하기 수학식 (7) 내지 (10)로 표현하면 다음과 같다.
인장강도 증가량 (MPa) = 2.77×(냉간가공량, %CW) + 2.38 … 수학식 (7)
인장강도 증가량 (MPa) = 3.09×(냉간가공량, %CW) - 40.45 … 수학식 (8)
인장강도 증가량 (MPa) = 2.85×(냉간가공량, %CW) - 24.83 … 수학식 (9)
인장강도 증가량 (MPa) = 3.11×(냉간가공량, %CW) - 32.19 … 수학식 (10)
상술한 바와 같이, 응력완화 처리 전후의 인장강도 증가량은 냉간가공량에 직선적으로 비례하는 모습을 나타낸다.
실제 응력완화 처리 전후의 인장강도 증가량은 질소함량에 관계없이 대략 인장강도 증가량 (MPa) = 2.5×(냉간가공량, %CW)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질소함량, 냉간가공, 응력완화 처리의 영향을 모두 고려될 경우 인장강도는 아래와 같이 표기될 수 있었다.
인장강도 (MPa) = 573 + 468×(질소함량, wt% N) + a×(냉간가공량, %CW) + b … 수학식 (11)
(단, a =10.3×(질소함량, wt% N) + 6.6, b = 2.5×(냉간가공량, %CW))
계수 a는 질소함량의 증가에 따라 가공경화 효과가 커지는 것을 나타내며, 계수 b는 응력완화 처리 전후의 인장강도 증가량을 나타낸다.
도 4는 수학식 (11)로 예측된 인장강도와 실제로 측정된 인장강도를 비교한 결과를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일부 시편을 제외하고는 예측된 인장강도와 측정된 인장강도의 차이가 거의 5% 이내의 오차 범위 내에서 정확하게 일치되었음을 알 수 있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제조 이전에 상기 준안정 오스테나이트계 고질소강이 갖게 될 인장강도를 예측할 수 있는 예측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인장강도를 예측할 수 있는 예측방법은 단계 별, 즉, 용체화 처리 단계, 용체와 처리 및 냉간가공 후 단계, 용체화 처리, 냉간가공 및 응력완화 처리 후 단계 등과 같이, 각 단계별로 인장강도를 예측할 수 있는 예측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한편, 도 5는 냉간가공에 따른 준안정 오스테나이트계 고질소강의 변형 유기 마르텐사이트의 부피분율 변화를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Ferritescope로 마르텐사이트의 부피분율을 측정한 결과, 냉간가공량이 증가함에 따라 마르텐사이트의 분율이 증가됨을 알 수 있다. 이는 냉간가공에 의해 변형유기 마르텐사이트 변태(strain-induced martensite transformation)가 일어나기 때문으로 생각된다.
이와 같은 이유로, 본 발명은 준안정 오스테나이트계 고질소강에 적용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며, 즉, 본 발명에 따른 스테인리스강의 인장강도의 예측방법을 적용시킴에 있어서, 냉간가공 후에 마르텐사이트의 분율의 변화가 발생하는 경우에 적용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Claims (4)

  1. 용체화 처리된 준안정 오스테나이트계 고질소강의 인장강도 예측방법에 있어서,
    상기 인장강도를 예측할 수 있는 예측식은 하기 수학식 (1)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준안정 오스테나이트계 고질소강의 인장강도 예측방법.
    인장강도 (MPa) = 573 + 468×(질소함량, wt% N) … 수학식 (1)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용체화 처리 후, 냉간가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준안정 오스테나이트계 고질소강의 인장강도 예측방법으로, 상기 인장강도를 예측할 수 있는 예측식은 하기 수학식 (2)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준안정 오스테나이트계 고질소강의 인장강도 예측방법.
    인장강도 (MPa) = 573 + 468×(질소함량, wt% N) + a×(냉간가공량, %CW) … 수학식 (2) ( 단, a =10.3×(질소함량, wt% N) + 6.6)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냉간가공 후, 응력완화 처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준안정 오스테나이트계 고질소강의 인장강도 예측방법으로, 상기 인장강도를 예측할 수 있는 예측식은 하기 수학식 (3)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준안정 오스테나이트계 고질소강의 인장강도 예측방법.
    인장강도 (MPa) = 573 + 468×(질소함량, wt% N) + a×(냉간가공량, %CW) + b … 수학식 (3) ( 단, a =10.3×(질소함량, wt% N) + 6.6, b = 2.5×(냉간가공량, %CW))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준안정 오스테나이트 고질소강은 상기 냉간가공량이 증가함에 따라 마르텐사이트의 부피분율이 증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준안정 오스테나이트계 고질소강의 인장강도 예측방법.
KR1020120158581A 2012-12-31 2012-12-31 준안정 오스테나이트계 고질소강의 인장강도 예측방법 KR2014008901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58581A KR20140089011A (ko) 2012-12-31 2012-12-31 준안정 오스테나이트계 고질소강의 인장강도 예측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58581A KR20140089011A (ko) 2012-12-31 2012-12-31 준안정 오스테나이트계 고질소강의 인장강도 예측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89011A true KR20140089011A (ko) 2014-07-14

Family

ID=517373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58581A KR20140089011A (ko) 2012-12-31 2012-12-31 준안정 오스테나이트계 고질소강의 인장강도 예측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089011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37624A (ko) * 2017-06-16 2018-12-28 주식회사 포스코 오스테나이트 결정입도 측정방법
CN113125256A (zh) * 2021-03-24 2021-07-16 上海大学 基于材料屈服强度动态增长因子的预测方法
KR20240039529A (ko) 2022-09-19 2024-03-26 두산에너빌리티 주식회사 탄소와 질소를 첨가한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강의 극저온에서 충격흡수에너지 예측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37624A (ko) * 2017-06-16 2018-12-28 주식회사 포스코 오스테나이트 결정입도 측정방법
CN113125256A (zh) * 2021-03-24 2021-07-16 上海大学 基于材料屈服强度动态增长因子的预测方法
KR20240039529A (ko) 2022-09-19 2024-03-26 두산에너빌리티 주식회사 탄소와 질소를 첨가한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강의 극저온에서 충격흡수에너지 예측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77540B1 (ko) 가공성이 우수한 오스테나이트계 고Mn 스텐레스강
EP2180074B1 (en) High-strength low-alloy steel excellent in the resistance to high-pressure hydrogen environment embrittlement and process for manufacturing the steel
EP2940173B1 (en) High strength austenitic-based steel with remarkable toughness of welding heat-affected zone and preparation method therefor
KR101776242B1 (ko) 양호한 연성을 나타내는 고강도 스틸 그리고 용융 아연 욕 하류의 인-라인 열처리를 통한 생산 방법
JP6784960B2 (ja) マルテンサイト系ステンレス鋼部材
RU2593567C2 (ru) Высокопрочная стальная полоса с высокой ударной вязкостью и пределом текучести 700 мпа и способ ее производства
US10655195B2 (en) Martensitic stainless steel
KR20110136840A (ko) 내식성 오스테나이트 강
CN105874092A (zh) 铁素体系不锈钢及其制造方法
KR20190082804A (ko) 저온용 중망간 강 제품 및 그 제조 방법
RU2686324C2 (ru) Способ изготовления высокопрочного стального листа с покрытием, обладающего улучшенными прочностью, формуемостью, и полученный лист
KR20190065351A (ko) 고 연신의 프레스 경화 강 및 그 제조
KR20160096685A (ko) 고강도 듀플렉스 스테인레스강의 제조 방법
JP6893072B2 (ja) 極めて高い強度を有するプレス硬化鋼および製造方法
CN105917016A (zh) 铁素体系不锈钢以及其制造方法
CN102719737A (zh) 屈服强度460MPa级正火高强韧钢板及其制造方法
UA127398C2 (uk) Гарячекатана сталь та спосіб її виготовлення
KR20140089011A (ko) 준안정 오스테나이트계 고질소강의 인장강도 예측방법
EP3126537B1 (en) Dual-phase stainless steel
KR20150074697A (ko) 저 니켈 함유 스테인리스강
JPWO2019131099A1 (ja) 熱延鋼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20190057080A (ko) 중망간 평탄 강 제품으로 성형 부품을 제조하는 방법 및 이러한 부품
KR20210009606A (ko) 강도가 향상된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강 및 그 제조 방법
KR20190077724A (ko) 절곡성이 향상된 린 듀플렉스강 및 그 제조방법
KR20150073383A (ko) 듀플렉스 스테인리스강 및 그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