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96685A - 고강도 듀플렉스 스테인레스강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고강도 듀플렉스 스테인레스강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96685A
KR20160096685A KR1020167018456A KR20167018456A KR20160096685A KR 20160096685 A KR20160096685 A KR 20160096685A KR 1020167018456 A KR1020167018456 A KR 1020167018456A KR 20167018456 A KR20167018456 A KR 20167018456A KR 20160096685 A KR20160096685 A KR 2016009668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ainless steel
less
duplex stainless
rti
austenitic duplex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70184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18386B1 (ko
Inventor
제임스 올리버
얀-올로프 안데르손
에리크 쉐딘
Original Assignee
오또꿈뿌 오와이제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FI20136257A external-priority patent/FI127046B/en
Priority claimed from FI20145573A external-priority patent/FI125527B/en
Application filed by 오또꿈뿌 오와이제이 filed Critical 오또꿈뿌 오와이제이
Publication of KR201600966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9668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183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1838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9/00Heat treatment, e.g. annealing, hardening, quenching or tempering,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Furnaces therefor
    • C21D9/46Heat treatment, e.g. annealing, hardening, quenching or tempering,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Furnaces therefor for sheet metals
    • C21D9/48Heat treatment, e.g. annealing, hardening, quenching or tempering,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Furnaces therefor for sheet metals deep-drawing sheets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1/00General methods or devices for heat treatment, e.g. annealing, hardening, quenching or tempering
    • C21D1/26Methods of annealing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6/00Heat treatment of ferrous alloys
    • C21D6/02Hardening by precipit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7/00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of iron or steel by deformation
    • C21D7/02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of iron or steel by deformation by cold working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7/00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of iron or steel by deformation
    • C21D7/02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of iron or steel by deformation by cold working
    • C21D7/10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of iron or steel by deformation by cold working of the whole cross-section, e.g. of concrete reinforcing bars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8/00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 C21D8/02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during manufacturing of plates or strips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8/00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 C21D8/02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during manufacturing of plates or strips
    • C21D8/04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during manufacturing of plates or strips to produce plates or strips for deep-drawing
    • C21D8/0405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during manufacturing of plates or strips to produce plates or strips for deep-drawing of ferrous alloys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8/00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 C21D8/02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during manufacturing of plates or strips
    • C21D8/04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during manufacturing of plates or strips to produce plates or strips for deep-drawing
    • C21D8/0421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during manufacturing of plates or strips to produce plates or strips for deep-drawing characterised by the working steps
    • C21D8/0436Cold rolling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8/00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 C21D8/02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during manufacturing of plates or strips
    • C21D8/04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during manufacturing of plates or strips to produce plates or strips for deep-drawing
    • C21D8/0421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during manufacturing of plates or strips to produce plates or strips for deep-drawing characterised by the working steps
    • C21D8/0442Flattening; Dressing; Flexing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001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N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002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In, Mg, or other elements not provided for in one single group C22C38/001 - C22C38/60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02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silicon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06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aluminium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18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 C22C38/4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nickel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18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 C22C38/4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nickel
    • C22C38/42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nickel with copper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18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 C22C38/4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nickel
    • C22C38/44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nickel with molybdenum or tungsten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18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 C22C38/4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nickel
    • C22C38/46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nickel with vanadium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18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 C22C38/4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nickel
    • C22C38/48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nickel with niobium or tantalum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18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 C22C38/4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nickel
    • C22C38/5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nickel with titanium or zirconium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18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 C22C38/4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nickel
    • C22C38/52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nickel with cobalt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18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 C22C38/4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nickel
    • C22C38/54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nickel with boron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18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 C22C38/4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nickel
    • C22C38/58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nickel with more than 1.5% by weight of manganese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2211/00Microstructure comprising significant phases
    • C21D2211/001Austenite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2211/00Microstructure comprising significant phases
    • C21D2211/005Ferrit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Heat Treatment Of Sheet Steel (AREA)
  • Heat Treatment Of Stee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변형에 의한 TRIP (변태유기소성) 효과를 갖는 고강도 페라이트 오스테나이트계 듀플렉스 스테인레스강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성형성을 유지한 채로 적어도 1,000 MPa 의 높은 인장강도 레벨을 갖기 위해 950 - 1,150 ℃ 의 온도 범위에서의 열처리후에 페라이트 오스테나이트계 듀플렉스 스테인레스강이 적어도 10%,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20% 의 압하도 (reduction degree) 로 변형되고, 20% 의 압하도에서 연신율 (A50) 이 적어도 15% 이다.

Description

고강도 듀플렉스 스테인레스강의 제조 방법{METHOD FOR PRODUCING HIGH-STRENGTH DUPLEX STAINLESS STEEL}
본 발명은 높은 강도 레벨에서의 유지된 성형성이 페라이트 오스테나이트계 듀플렉스 스레인레스강에서 이용될 수 있도록 변형에 의한 달성된 TRIP (변태유기소성) 효과를 갖는 고강도 페라이트 오스테나이트계 듀플렉스 스테인레스강을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변형은 특정의 프루프 강도 또는 인장 강도를 목표로 하는 정밀 냉간 리덕션을 통해 재료의 강도를 증가시키는데 사용되는 기술이다. 예를 들어 템퍼 롤링에 의한 변형된 스테인레스강을 위한 표면 마무리는 표준 EN 10088-2 에 따라 2H 로서 그리고 표준 ASTM A666-03 에 따라 TR 로서 표시된다.
301 / EN 1.4310, 304 / EN 1.4301 및 316L / EN 1.4404 와 같은 표준 오스테나이트계 스레인레스강은 강도 조정을 목적으로 수행되는 템퍼 롤링 조건에 사용된다. 가공 경화때문에 높은 강도가 달성된다. 또한, 변형 부분에서의 스트레인 유기 마르텐사이트 변태, 소위 TRIP (변태유기소성) 효과에 의한 경화로 인해, 강 301 및 304 는 우수한 가공성을 갖는다. 그러나, 강도의 증가를 수반하는 가공성의 감소는 피할 수 없다. 이 거동은, 중량% 로 최대 0.03 %의 C, 최대 1.0 % 의 Si, 최대 2.0 % 의 Mn, 16.0-18.0 % 의 Cr, 6-8 % 의 Ni, 최대 0.25 % 의 N, 선택적으로 최대 0.3 % 의 Nb 를 함유하고 잔부가 철 및 불가피적 불순물인 오스테나이트계 스레인레스강의 금속 가스켓 제조를 위한 US 특허 6,893,727 에 적용된다. 유리하게는 미세구조는 적어도 40 % 의 마르텐사이트 및 잔부 오스테나이트를 갖는 이중상 구조 또는 마르텐사이트의 단일상 구조이다.
US 특허 6,282,933 은 가요성 관 또는 움빌리컬 (umbilical) 에서 사용하기 위한 금속 카카스 (carcass) 를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 방법은 카카스를 형성하기 위해 스트립을 와인딩하기 전에 그리고 성형전에 금속 스트립의 가공 경화 단계를 포함한다. 이 특허에 따르면, 가공 경화후에 500 MPa 보다 높은 항복 강도 및 적어도 15 % 의 파단 연신율을 가지는 모든 금속은 금속 카카스를 제조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그러나, 이 US 특허 6,282,933 은 또한, 금속 카카스의 제조에 사용되는 듀플렉스 및 슈퍼듀플렉스 재료들은 가공 경화없이 전술한 요구를 충족하기 때문에 가공 경화될 필요가 없음은 이미 알려진 것임을 기재하고 있다. 이 US 특허 6,282,933 에 따른 가공 경화는, 이들 재료를 금속 카카스의 제조를 위해 사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레스강, 예를 들어 301, 301 LN, 304L 및 316L 에 대해 행해진다.
EP 특허출원 436032 는 스프링을 위해 중량% 로 0.01-0.15 % 의 탄소, 10-20 % 의 크롬, 및 0.1-4.0 % 의 원소들 니켈, 망간 및 구리중의 적어도 하나를 함유하는 듀얼 페라이트/마르텐사이트 미세구조를 가지는 고강도 스테인레스강 스트립을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듀얼 페라이트/마르텐사이트 미세구조를 위해, 냉간 압연 스트립은 연속 열처리노를 통해 연속적으로 통과하며, 열처리노에서 스트립은 페라이트 및 오스테나이트의 2상을 위한 온도 범위까지 가열되며, 가열된 스트립은 이후에 페라이트 및 마르텐사이트로 본질적으로 이루어지는 듀얼 구조의 스트립을 제공하기 위해 급속 냉각되고, 추가로, 선택적으로 10 % 이하의 롤링 정도에서의 듀얼 페이즈 스트립의 템퍼 롤링 그리고, 여전히, 듀얼 페이즈가 연속적인 가열 처리노를 연속적으로 통과하는 10분 이하의 연속 에이징 단계를 거친다. 이 EP 436032 의 목적은 스프링 재료를 제조하는 것이기 때문에, 스프링 값은 에이징 전에 템퍼 롤링으로 향상될 수 있다.
GB 특허출원 2481175 는 21-25 중량% 크롬, 1.5-7 중량% 니켈 및 0.1-0.3 중량% 질소를 함유하는 오스테나이트 페라이트계 스테인레스강의 와이어를 이용한 가요성의 관형 파이프를 제조하는 프로세스에 관한 것이다. 1000-1300℃ 의 온도범위에서의 어닐링, 및 냉각 이후의 프로세스에서, 와이어가 적어도 35% 의 단면 감소에 의해 가공 경화되어서, 가공 경화된 와이어는 1300 MPa 보다 큰 인장 강도를 갖는다. 또한, 가공 경화된 와이어는 기계적 특성을 유지하는 가공 경화 단계 후에 직접 와인딩 업된다.
본 특허출원의 목적은, 종래 기술의 일부 단점을 제거하고, 높은 강도 레벨에서의 유지된 성형성이 페라이트 오스테나이트계 듀플렉스 스레인레스강에서 이용될 수 있도록 변형에 의한 달성된 TRIP (변태유기소성) 효과를 갖는 고강도 페라이트 오스테나이트계 듀플렉스 스테인레스강을 제조하는 향상된 방법을 달성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징들은 첨부된 청구범위에 나열된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에서, 달성된 TRIP (변태유기소성) 효과를 갖는 페라이트 오스테나이트계 듀플렉스 스테인레스강은 먼저 950 - 1,150 ℃ 의 온도 범위에서 열처리된다. 냉각후에, 성형성을 유지한 채로 적어도 1,000 MPa 의 높은 인장강도 레벨을 갖기 위해, 페라이트 오스테나이트계 듀플렉스 스테인레스강이 적어도 10%,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20% 의 압하도 (reduction degree) 로 변형되고, 적어도 15% 의 연신율 (A50) 을 갖는다. 적어도 40% 의 압하도에서 페라이트 오스테나이트계 듀플렉스 스테인레스강은 적어도 1300 MPa 의 인장 강도 레벨을 달성하고 적어도 4.5% 의 연신율 (A50) 을 갖는다. 유리하게는 변형후에 페라이트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레스강은 적어도 15% 의 연신율 (A50) 을 유지한 채로 강도를 더욱 개선하기 위하여 1초-20분, 바람직하게는 5-15분의 기간동안 100℃ - 450℃ 의 온도범위, 바람직하게는 175℃- 250℃ 의 온도범위에서 가열된다. 이미 잘 알려진 높은 부식 특성에 더하여, 달성된 TRIP 효과를 갖는 변형된 듀플렉스 스테인레스강은 향상된 강도 대 연성 비율, 피로 강도 및 내부식성을 갖는다.
바람직한 일 실시형태 (A) 에서, 본 발명에 따른 TRIP 효과를 갖는 듀플렉스 스테인레스강은 중량%로 0.05 % 미만의 탄소 (C), 0.2 - 0.7 % 의 규소 (Si), 2 - 5 % 의 망간 (Mn), 19 - 20.5 % 의 크롬 (Cr), 0.8 - 1.5 % 의 니켈 (Ni), 0.6 % 미만의 몰리브덴 (Mo), 1 % 미만의 구리 (Cu), 0.16 - 0.26 % 의 질소 (N), C + N = 0.2 - 0.29%, 0.010 중량% 미만, 바람직하게는 0.005 중량% 미만의 황 (S), 0.040 중량% 미만의 인 (P), S + P = 0.04 중량% 미만, 및 100 ppm 미만의 총 산소 (O) 를 포함하고, 선택적으로 0 - 0.5 % 의 텅스텐 (W), 0 - 0.2 % 의 니오븀 (Nb), 0 - 0.1 %의 티탄 (Ti), 0 - 0.2 % 의 바나듐 (V), 0 - 0.5 % 의 코발트 (Co), 0 - 50 ppm 의 붕소 (B), 및 0 - 0.04 % 의 알루미늄 (Al) 중의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추가 원소를 포함하고, 잔부는 철 (Fe) 및 스테인레스강에서 발생하는 불가피한 불순물이다. 이 듀플렉스 스테인레스강은 WO 특허출원 2012/143610 으로부터 알려져 있다.
실시형태 (A) 의 듀플렉스 스테인레스강은 1000-1100℃ 의 온도 범위의 열처리후에 항복강도 Rp0.2 450-550 MPa, 항복강도 Rp1.0 500-600 MPa 및 인장강도 Rm 750-850 MPa 를 갖는다.
다른 바람직한 실시형태 (B) 에서, 본 발명에 따른 TRIP 효과를 갖는 듀플렉스 스테인레스강은 중량%로 0.04 % 미만의 탄소 (C), 0.7 % 미만의 규소 (Si), 2.5 중량% 미만의 망간 (Mn), 18.5 - 22.5 % 의 크롬 (Cr), 0.8 - 4.5 % 의 니켈 (Ni), 0.6 - 1.4% 의 몰리브덴 (Mo), 1 % 미만의 구리 (Cu), 0.10 - 0.24 % 의 질소 (N) 를 포함하고, 선택적으로 0.04 % 미만의 알루미늄 (Al), 바람직하게는 0.03 % 미만의 알루미늄 (Al), 0.003 % 미만의 붕소 (B), 0.003 % 미만의 칼슘 (Ca), 0.1 % 미만의 세륨 (Ce), 1 % 이하의 코발트 (Co), 0.5 % 이하의 텅스텐 (W), 0.1 % 이하의 니오븀 (Nb), 0.1 % 이하의 티탄 (Ti), 0.2 % 이하의 바나듐 (V) 중의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추가 원소를 포함하고, 잔부는 철 (Fe) 및 스테인레스강에서 발생하는 불가피한 불순물이다. 이 듀플렉스 스테인레스강은 WO 특허출원 2013/034804 로부터 알려져 있다.
실시형태 (B) 의 듀플렉스 스테인레스강은 950-1150℃ 의 온도 범위의 열처리후에 항복강도 Rp0.2 500-550 MPa, 항복강도 Rp1.0 550-600 MPa 및 인장강도 Rm 750-800 MPa 를 갖는다.
본 발명에 따른 페라이트 오스테나이트계 듀플렉스 스테인레스강의 변형은 템퍼 롤링, 텐션 레벨링, 롤러 레벨링, 드로잉과 같은 냉간 성형 또는 페라이트 오스테나이트계 듀플렉스 스테인레스강으로 만들어진 대상의 크기(들)에 있어서의 소망하는 감소를 위해 사용될 수 있는 임의의 다른 방법에 의해 실시될 수 있다.
이하, 다음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은 강의 인장 강도 (Rm) 대 강의 연신율 (A50) 을 나타낸다.
도 2 는 강의 인장 강도 (Rm) 및 연신율 (A50) 대 강의 템퍼 롤링에 의한 냉간 압하도를 나타낸다.
도 3 은 강의 내부식성을 나타낸다.
도 4 는 항복 강도 (Rp0.2) 및 연신율 (A50) 에 대한 상이한 온도에서의 10 분 열처리의 영향을 나타낸다.
950 - 1150 ℃ 의 온도범위에서의 열처리, 솔루션 어닐링 후에 본 발명의 실시형태 (A) 및 (B) 에 따른 듀플렉스 스테인레스강은 적어도 10%,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20% 의 압하도로 본 발명에 따라 템퍼 롤링되었다. 항복 강도 (Rp0.2) 및 인장 강도 (Rm) 는 쌍방의 듀플렉스 스테인레스강 (A) 및 (B) 에 대해 결정되었고, 결과는 표 1 에 나타낸다. 기준 합금으로서 표 1 은 또한 페라이트 오스테나이트계 듀플렉스 스테인레스강 LDX 2101, 2205 및 2507 및 표준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레스강 1.4307 (304L) 및 1.4404 (316L) 에 대한 각각의 값들을 포함한다.
Figure pct00001
Figure pct00002
Figure pct00003

인장 강도 (Rm) 대 유지된 연성 (연신율 (A50)) 에 대한 표 1 의 결과는 본 발명의 페라이트 오스테나이트계 듀플렉스 스테인레스강 A 및 B 에 대해 그리고 기준 재료로서 표준 페라이트 오스테나이트계 듀플렉스강 (LDX 2101 및 2507) 및 표준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레스강 (304L) 에 대해 도 1 에 도시된다.
도 1 에서 점선은 표준 듀플렉스 스테인레스강 및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레스강 그레이드 쌍방의 트렌드를 나타내는 반면, 실선은 합금 A 및 B 에 대한 것이다.
도 1 에서의 결과는, 주어진 인장 강도 (Rm) 에 대해, 유지된 연성이 표준 듀플렉스 스테인레스강 및 표준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레스강 그레이드 304L 에 대해서보다 합금 A 및 B 에 대해서 실질적으로 더 크다는 것을 나타낸다. 또 다르게는, 주어진 연신율 (A50) 에 대해, 합금 A 및 B 는 표준 듀플렉스 스테인레스강 및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레스강 그레이드 304L 에 대한 인장 강도 (Rm) 보다 최대 150 MPa 더 큰 인장 강도 (Rm) 를 갖는다.
도 2 는 합금 A 및 B 와 표준 듀플렉스 스테인레스강 및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레스강 그레이드 304L 을 비교했을 때에 냉간 압하도에 대한 유지된 연성 (연신율 (A50)) 에서의 차이를 명확하게 나타낸다. 예를 들면, 표준 듀플렉스 스테인레스강의 20% 냉간 압하도에 대해 단지 5% 의 연신율 (A50) 이 유지되는 반면, 합금 A 및 B 는 유사한 인장 강도 (Rm) 를 갖고서 여전히 유지되는 15-20% 의 연신율 (A50) 을 갖는다. 또한, 합금 A 및 B 는 동일한 목표 인장 강도 (Rm) 를 달성하기 위해 표준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레스강 304L 보다 더 작은 냉간 압하도를 필요로 한다. 따라서, 유지된 연성 (연신율 (A50)) 은 동일한 인장 강도 (Rm) 에서 표준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레스강 304L 에서보다 합금 A 및 B 에서 더 크다.
도 2 의 결과는 또한, 예를 들어 1100-1200 MPa 의 인장 강도 (Rm) 를 달성하기 위해, 표준 듀플렉스 스테인레스강과 합금 A 및 B 에 대해서는 20% 템퍼 롤링 압하도가 필요한 반면, 1100-1200 MPa 의 동일한 인장 강도 (Rm) 를 달성하기 위해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레스강 304L 에 대해서는 50% 템퍼 롤링 압하도가 필요하다는 것을 나타낸다. 동시에 합금 A 및 B 는 표준 듀플렉스 스테인레스강 (A50 약 5%) 및 표준 오스테나이트계 그레이드 304L (A50 7-8%) 과 비교하여 더 큰 유지된 연성 (A50 15-20%) 을 갖는다.
듀플렉스 스테인레스강이 사용되는 많은 적용예의 경우, 피로 강도가 중요하다. 표 2 는 템퍼 롤링 이전 (Rd50%(0%)) 및 이후 (Rd50%(TR%)) 의 강의 피로 한도 Rd50% 뿐만 아니라 비율 Rd50%(TR%)/Rd50%(0%), 즉 템퍼 롤링이 실시된 재료와 템퍼 롤링이 실시되지 않은 재료간의 피로 한도의 비율을 나타낸다. 피로 한도 Rd50% 는 응력 최대 및 R = 0,1 에서 결정된 2백만 사이클후의 50% 의 실패 가능성을 설명하고, 여기서 R 은 피로 사이클에서의 최대 및 최소 응력간의 비율이다.
Figure pct00004
표 2 는 피로 한도 그 자체 및 비율 Rd50%(TR%)/Rd50%(0%) 에 대한 값을 나타내고, 비율은 템퍼 롤링된 합금 A 및 B 에 대해 1.2 보다 크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템퍼 롤링은 합금 A 및 B 에 대해 20% 보다 크게 피로 한도를 또한 향상시킨다.
표 3 은 스테인레스 그레이드들의 범위의 내부식성에 대한 결과를 나타내며, 평균 체적 마모율은 표준화된 테스트 구성 GOST 23.208-79 로 테스트되었다.
Figure pct00005
표 3 및 도 3 에서의 평균 체적 마모율에 대한 결과는,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레스강 그레이드 316L 및 304L 과 듀플렉스 스테인레스강 2507, 2205 및 LDX 2101 의 기준 합금들과의 비교시에 합금 A 및 B 에 대한 높은 내부식성을 나타낸다. 본 발명에 따른 템퍼 롤링은, 합금 A(TR), 본 발명에 따른 템퍼 롤링후의 합금 A 에 대해 나타낸 바와 같이, 내부식성을 추가로 향상시킨다. 템퍼 롤링후의 평균 체적 마모율은 6.0 mm3/kg 이다.
표 4 는 항복 강도 (Rpo.2) 및 연신율 (A50) 에 대한 열처리의 유리한 효과를 나타낸다. 열처리는 냉간 변형 후에 수행된다.
Figure pct00006
표 4 에서 테스트된 재료는 표 1 로부터의 10% 의 압하도 및 10분의 열처리 기간을 갖는 합금 B 이다. 본래의 재료는 표 4 에서 실온 (25℃) 샘플에 상당하다. 표 4 및 도 4 에서의 결과는 10분간의 가열이 강도의 증가를 가져옴을 보여준다. 특히, 항복 강도 (Rpo.2) 는 250℃ 의 온도에서 대략 10% 만큼 최대 증가를 달성하며 향상된다. 연신율 (A50) 은 20% 에서 250℃ 의 온도까지 비교적 안정적이다. 이 온도 250℃ 를 초과하면, 연신율은 감소하지만 여전히 15% 초과를 유지한다. 그러므로, 175℃ 내지 420℃ 의 온도 범위내에서의 짧은 열처리는 항복 강도 (Rpo.2) 를 향상시키면서 양호한 연성을 유지하는 것으로 나타난다.
본 발명에 따라 템퍼 롤링된 듀플렉스 스테인레스강은, 더 양호한 일반적인 내부식성, 내식성 및 피로 문제가 존재하는 적용예 및 이들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레스강이 소망하는 강도/연성 비율에 도달할 수 없는 적용예에서, 템퍼 롤링된 표준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레스강 1.4307 (304L) 및 1.4404 (316L) 를 대체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가능한 사용 적용예는 예를 들어 기계 부품, 건축 요소, 컨베이어 벨트, 전자 부품, 에너지 흡수 부품, 장비 케이싱 및 하우징, 플렉시블 라인 (카카스 및 아머링 와이어), 가구, 경량 자동차 및 트럭 부품, 안전 미드솔, 구조적 트레인 부품, 공구 부품 및 마모 부품일 수 있다.

Claims (13)

  1. 변형에 의한 TRIP (변태유기소성) 효과를 갖는 고강도 페라이트 오스테나이트계 듀플렉스 스테인레스강의 제조 방법으로서,
    950 - 1,150 ℃ 의 온도 범위에서의 열처리후에 성형성을 유지한 채로 적어도 1,000 MPa 의 높은 인장강도 레벨을 갖기 위해 페라이트 오스테나이트계 듀플렉스 스테인레스강이 적어도 10%,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20% 의 압하도 (reduction degree) 로 변형되고, 20% 의 압하도에서 연신율 (A50) 이 적어도 15% 인, 고강도 페라이트 오스테나이트계 듀플렉스 스테인레스강의 제조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40% 의 압하도에서 적어도 1,300 MPa 의 인장강도 레벨이 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강도 페라이트 오스테나이트계 듀플렉스 스테인레스강의 제조 방법.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40% 의 압하도에서 연신율 (A50) 이 적어도 4.5%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강도 페라이트 오스테나이트계 듀플렉스 스테인레스강의 제조 방법.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변형전의 피로 한도 (Rd50%(0%)) 와 변형후의 피로 한도 (Rd50%(TR%)) 의 비율Rd50%(TR%)/Rd50%(0%) 이 1.2 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강도 페라이트 오스테나이트계 듀플렉스 스테인레스강의 제조 방법.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변형후의 내침식성에 대한 평균 체적 마모율이 6.0 mm3/kg 미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강도 페라이트 오스테나이트계 듀플렉스 스테인레스강의 제조 방법.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적어도 15% 의 연신율 (A50) 을 유지한 채로 강도를 더욱 개선하기 위하여 변형후에 열처리가 100℃ - 450℃ 의 온도범위내, 바람직하게는 175℃- 250℃ 의 온도범위내에서 실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강도 페라이트 오스테나이트계 듀플렉스 스테인레스강의 제조 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열처리는 1초 - 20분, 바람직하게는 5 - 15 분의 기간동안 실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강도 페라이트 오스테나이트계 듀플렉스 스테인레스강의 제조 방법.
  8.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페라이트 오스테나이트계 듀플렉스 스테인레스강의 변형이 템퍼 롤링에 의해 실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강도 페라이트 오스테나이트계 듀플렉스 스테인레스강의 제조 방법.
  9.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페라이트 오스테나이트계 듀플렉스 스테인레스강의 변형이 텐션 레벨링에 의해 실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강도 페라이트 오스테나이트계 듀플렉스 스테인레스강의 제조 방법.
  10.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페라이트 오스테나이트계 듀플렉스 스테인레스강의 변형이 롤러 레벨링에 의해 실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강도 페라이트 오스테나이트계 듀플렉스 스테인레스강의 제조 방법.
  11.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페라이트 오스테나이트계 듀플렉스 스테인레스강의 변형이 드로잉에 의해 실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강도 페라이트 오스테나이트계 듀플렉스 스테인레스강의 제조 방법.
  12. 제 1 항 내지 제 1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페라이트 오스테나이트계 듀플렉스 스테인레스강은 중량% 로
    0.05 % 미만의 탄소 (C),
    0.2 - 0.7 % 의 규소 (Si),
    2 - 5 % 의 망간 (Mn),
    19 - 20.5 % 의 크롬 (Cr),
    0.8 - 1.5 % 의 니켈 (Ni),
    0.6 % 미만의 몰리브덴 (Mo),
    1 % 미만의 구리 (Cu),
    0.16 - 0.26 % 의 질소 (N), C + N = 0.2 - 0.29%,
    0.010 중량% 미만, 바람직하게는 0.005 중량% 미만의 황 (S),
    0.040 중량% 미만의 인 (P), S + P = 0.04 중량% 미만, 및
    100 ppm 미만의 총 산소 (O) 를 포함하고,
    선택적으로 0 - 0.5 % 의 텅스텐 (W), 0 - 0.2 % 의 니오븀 (Nb), 0 - 0.1 %의 티탄 (Ti), 0 - 0.2 % 의 바나듐 (V), 0 - 0.5 % 의 코발트 (Co), 0 - 50 ppm 의 붕소 (B), 및 0 - 0.04 % 의 알루미늄 (Al) 중의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추가 원소를 포함하고,
    잔부는 철 (Fe) 및 스테인레스강에서 발생하는 불가피한 불순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강도 페라이트 오스테나이트계 듀플렉스 스테인레스강의 제조 방법.
  13. 제 1 항 내지 제 1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페라이트 오스테나이트계 듀플렉스 스테인레스강은 중량% 로
    0.05 % 미만의 탄소 (C),
    0.2 - 0.7 % 의 규소 (Si),
    2 - 5 % 의 망간 (Mn),
    19 - 20.5 % 의 크롬 (Cr),
    0.8 - 1.5 % 의 니켈 (Ni),
    0.6 % 미만의 몰리브덴 (Mo),
    1 % 미만의 구리 (Cu),
    0.16 - 0.26 % 의 질소 (N) 를 포함하고,
    선택적으로 0 - 0.5 % 의 텅스텐 (W), 0 - 0.2 % 의 니오븀 (Nb), 0 - 0.1 %의 티탄 (Ti), 0 - 0.2 % 의 바나듐 (V), 0 - 0.5 % 의 코발트 (Co), 0 - 50 ppm 의 붕소 (B), 및 0 - 0.04 % 의 알루미늄 (Al) 중의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추가 원소를 포함하고,
    잔부는 철 (Fe) 및 스테인레스강에서 발생하는 불가피한 불순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강도 페라이트 오스테나이트계 듀플렉스 스테인레스강의 제조 방법.
KR1020167018456A 2013-12-13 2014-12-10 고강도 듀플렉스 스테인레스강의 제조 방법 KR10181838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FI20136257A FI127046B (en) 2013-12-13 2013-12-13 METHOD OF PRODUCING DUPLEX STAINLESS STEEL WITH HIGH RELIABILITY
FI20136257 2013-12-13
FI20145573A FI125527B (en) 2014-06-17 2014-06-17 METHOD FOR THE PRODUCTION OF HIGH-STRENGTH DUPLEX STAINLESS STEEL
FI20145573 2014-06-17
PCT/FI2014/050978 WO2015086903A1 (en) 2013-12-13 2014-12-10 Method for producing high-strength duplex stainless steel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96685A true KR20160096685A (ko) 2016-08-16
KR101818386B1 KR101818386B1 (ko) 2018-01-12

Family

ID=533706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18456A KR101818386B1 (ko) 2013-12-13 2014-12-10 고강도 듀플렉스 스테인레스강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5)

Country Link
US (1) US10407750B2 (ko)
EP (1) EP3080311B1 (ko)
JP (1) JP6235721B2 (ko)
KR (1) KR101818386B1 (ko)
CN (1) CN105934525B (ko)
AU (1) AU2014363321B2 (ko)
BR (1) BR112016013525B1 (ko)
CA (1) CA2932068C (ko)
EA (1) EA033404B1 (ko)
ES (1) ES2769782T3 (ko)
MX (1) MX2016007589A (ko)
MY (1) MY183570A (ko)
SI (1) SI3080311T1 (ko)
TW (1) TWI655293B (ko)
WO (1) WO2015086903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32430A (ko) * 2016-09-22 2018-03-30 주식회사 성일튜브 차량용 고압 연료 튜브 및 그 어셈블리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46404B1 (ko) * 2015-12-23 2017-06-14 주식회사 포스코 내식성 및 가공성이 향상된 린 듀플렉스 스테인리스강 및 이의 제조 방법
TWI580799B (zh) * 2016-06-08 2017-05-01 China Steel Corp High strength and high elongation hot dip galvanized steel manufacturing method
DE102016110661A1 (de) * 2016-06-09 2017-12-14 Salzgitter Flachstahl Gmbh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kaltgewalzten Stahlbandes aus einem hochfesten, manganhaltigen Stahl
EP3631031B1 (en) * 2017-05-22 2022-12-14 Alleima Tube AB New duplex stainless steel
JP6986455B2 (ja) * 2018-01-16 2021-12-22 鈴木住電ステンレス株式会社 プレストレストコンクリート用緊張材用の二相ステンレス鋼線材、二相ステンレス鋼線及びプレストレストコンクリート用緊張材
CN112893790B (zh) * 2021-01-18 2021-12-14 燕山大学 一种基于铸轧短流程的匀细双相不锈钢薄带及其制备方法

Family Cites Families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258370A (en) * 1964-07-27 1966-06-28 Int Nickel Co High strength, notch ductile stainless steel products
JPH02104624A (ja) * 1988-10-12 1990-04-17 Hitachi Metals Ltd リードフレーム材料の製造方法
JP2756549B2 (ja) 1989-07-22 1998-05-25 日新製鋼株式会社 ばね特性に優れた高強度複相組織ステンレス鋼帯の製造法
JPH0742550B2 (ja) * 1990-10-09 1995-05-10 新日本製鐵株式会社 強度、延性の優れたステンレス鋼
FR2780482B1 (fr) 1998-06-30 2000-07-21 Coflexip Procede de fabrication d'une carcasse metallique pour conduite flexible ou ombilical
KR100429360B1 (ko) * 1999-05-07 2004-04-29 마쯔시다덴기산교 가부시키가이샤 섀도우마스크 제조방법
SE517449C2 (sv) * 2000-09-27 2002-06-04 Avesta Polarit Ab Publ Ferrit-austenitiskt rostfritt stål
WO2002088410A1 (fr) * 2001-04-27 2002-11-07 Sumitomo Metal Industries, Ltd. Garniture metallique, materiau brut et procedes de production
JP5100144B2 (ja) * 2007-02-08 2012-12-19 日新製鋼株式会社 バネ用鋼板およびそれを用いたバネ材並びにそれらの製造法
JP5211841B2 (ja) * 2007-07-20 2013-06-12 新日鐵住金株式会社 二相ステンレス鋼管の製造方法
JP5388589B2 (ja) * 2008-01-22 2014-01-15 新日鐵住金ステンレス株式会社 加工性と衝撃吸収特性に優れた構造部材用フェライト・オーステナイト系ステンレス鋼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
WO2010082395A1 (ja) * 2009-01-19 2010-07-22 住友金属工業株式会社 二相ステンレス鋼管の製造方法
JP4462454B1 (ja) * 2009-01-19 2010-05-12 住友金属工業株式会社 二相ステンレス鋼管の製造方法
CN101812647B (zh) * 2009-02-25 2012-10-10 宝山钢铁股份有限公司 一种双相不锈钢及其制造方法
FR2945099B1 (fr) 2009-05-04 2011-06-03 Technip France Procede de fabrication d'une conduite tubulaire flexible de grande longueur
JP5597006B2 (ja) * 2010-03-26 2014-10-01 新日鐵住金ステンレス株式会社 構造部材用高強度および高延性オーステナイト系ステンレス鋼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20120132691A (ko) 2010-04-29 2012-12-07 오또꿈뿌 오와이제이 높은 성형성을 구비하는 페라이트-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 강의 제조 및 사용 방법
WO2012052626A1 (fr) * 2010-10-21 2012-04-26 Arcelormittal Investigacion Y Desarrollo, S.L. Tole d'acier laminee a chaud ou a froid, don procede de fabrication et son utilisation dans l'industrie automobile
CN102605284B (zh) * 2011-01-25 2014-05-07 宝山钢铁股份有限公司 一种双相不锈钢及其制造方法
FI126574B (fi) 2011-09-07 2017-02-28 Outokumpu Oy Dupleksinen ruostumaton teräs
JP5869922B2 (ja) * 2012-03-09 2016-02-24 新日鐵住金ステンレス株式会社 面内異方性が小さいフェライト・オーステナイト2相ステンレス鋼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32430A (ko) * 2016-09-22 2018-03-30 주식회사 성일튜브 차량용 고압 연료 튜브 및 그 어셈블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5934525A (zh) 2016-09-07
MY183570A (en) 2021-02-26
AU2014363321A1 (en) 2016-06-23
EA201690955A1 (ru) 2016-11-30
EP3080311A1 (en) 2016-10-19
KR101818386B1 (ko) 2018-01-12
JP6235721B2 (ja) 2017-11-22
EP3080311A4 (en) 2017-07-26
TWI655293B (zh) 2019-04-01
EP3080311B1 (en) 2019-10-30
EA033404B1 (ru) 2019-10-31
BR112016013525B1 (pt) 2021-03-30
SI3080311T1 (sl) 2020-02-28
CN105934525B (zh) 2018-11-13
CA2932068A1 (en) 2015-06-18
MX2016007589A (es) 2016-09-14
US10407750B2 (en) 2019-09-10
ES2769782T3 (es) 2020-06-29
AU2014363321B2 (en) 2019-01-31
WO2015086903A1 (en) 2015-06-18
US20160319391A1 (en) 2016-11-03
JP2017503919A (ja) 2017-02-02
TW201527540A (zh) 2015-07-16
CA2932068C (en) 2023-01-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18386B1 (ko) 고강도 듀플렉스 스테인레스강의 제조 방법
EP2226406B1 (en) Stainless austenitic low Ni alloy
EP3533892B1 (en) Seamless pipe of martensitic stainless steel for oil well pipe, and method for producing seamless pipe
US9777355B2 (en) Process for producing precipitation strengthening martensitic steel
EA025503B1 (ru) Способ изготовления высокопрочных стальных изделий с улучшенной стойкостью к сульфидному растрескиванию под напряжением
WO2005017222A1 (ja) 耐食性に優れた油井用高強度ステンレス鋼管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20150002848A (ko) 코일링성과 내수소취성이 우수한 고강도 스프링용 강선 및 그의 제조 방법
JP2010132945A (ja) 耐遅れ破壊特性および溶接性に優れる高強度厚鋼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6859921B2 (ja) ステンレス鋼材及びステンレス鋼管
WO2012093506A1 (ja) 腐食疲労強度に優れるばね
EP2803741B1 (en) Method of post weld heat treatment of a low alloy steel pipe
JP2010121191A (ja) 耐遅れ破壊特性および溶接性に優れる高強度厚鋼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5154122B2 (ja) 高強度ステンレス鋼及びこれを用いた高強度ステンレス鋼線
JP6433341B2 (ja) 時効硬化型ベイナイト非調質鋼
EP3805420A1 (en) Martensitic stainless steel seamless steel tube for oil well pipes, and method for producing same
JP2017150041A (ja) 強度−低温靱性バランスに優れたCu含有低合金鋼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12052218A (ja) ばね用鋼線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ばね
JP5100144B2 (ja) バネ用鋼板およびそれを用いたバネ材並びにそれらの製造法
US9677160B2 (en) Low C-high Cr 862 MPa-class steel tube having excellent corrosion resistance and a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JP7025950B2 (ja) 高強度高靱性を有するCu含有低合金鋼およびその製造方法
FI125527B (en) METHOD FOR THE PRODUCTION OF HIGH-STRENGTH DUPLEX STAINLESS STEEL
FI127046B (en) METHOD OF PRODUCING DUPLEX STAINLESS STEEL WITH HIGH RELIABILITY
JP6747628B1 (ja) 二相ステンレス鋼、継目無鋼管、および二相ステンレス鋼の製造方法
JP2689864B2 (ja) 高靭性鋼管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