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88702A - 팸 너트 - Google Patents

팸 너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88702A
KR20140088702A KR1020130000529A KR20130000529A KR20140088702A KR 20140088702 A KR20140088702 A KR 20140088702A KR 1020130000529 A KR1020130000529 A KR 1020130000529A KR 20130000529 A KR20130000529 A KR 20130000529A KR 20140088702 A KR20140088702 A KR 2014008870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ckling
diameter
body portion
head portion
pam n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005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기상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0005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088702A/ko
Publication of KR201400887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8870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JFORGING; HAMMERING; PRESSING METAL; RIVETING; FORGE FURNACES
    • B21J15/00Riveting
    • B21J15/02Riveting procedures
    • B21J15/022Setting rivets by means of swaged-on locking collars, e.g. lockbol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37/00Nuts or like thread-engaging members
    • F16B37/04Devices for fastening nuts to surfaces, e.g. sheets, plates
    • F16B37/06Devices for fastening nuts to surfaces, e.g. sheets, plates by means of welding or riveting
    • F16B37/062Devices for fastening nuts to surfaces, e.g. sheets, plates by means of welding or riveting by means of riveting
    • F16B37/065Devices for fastening nuts to surfaces, e.g. sheets, plates by means of welding or riveting by means of riveting by deforming the material of the nu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nnection Of Plates (AREA)

Abstract

박판 소재용 팸 너트에 관한 것으로, 제 1 직경을 갖는 바디부(body portion)와, 바디부 위에 배치되고 제 1 직경보다 더 큰 제 2 직경을 갖는 헤드부(head portion)와, 바디부와 헤드부의 중심을 관통하고 제 1 직경보다 더 작은 제 3 직경을 갖는 중공부(hollow portion)와, 헤드부로부터 바디부의 반대 방향으로 돌출되고 중공부의 주변을 따라 배치되는 좌굴부(buckling portion)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바디부보다 큰 직경을 갖는 헤드부 위에 좌굴부(buckling portion)를 배치함으로써, 비틀림 강도, 밀림 강도 및 빠짐 강도를 증가시킬 수 있고, 좌굴부의 측면을 곡면 및 평면이 공존하도록 제작함으로써, 헛돎 불량 현상을 감소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팸 너트{PEM NUT}
본 발명은 팸 너트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박판 소재용 팸 너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팸 너트(Pem Nut)는 TV 등과 같은 디스플레이 제품 내부에 각종 구조물들을 고정시키는 위한 것으로, 원통형의 몸체와 몸체 상단부에 위치하는 판상의 머리부로 구성되고, 몸체 내부에는 중공부가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몸체 내부의 중공부는 나사와 같은 체결 부재가 체결될 수 있도록, 나사 탭이 형성될 수도 있다.
최근 들어, TV 등과 같은 디스플레이 제품들이 경량화 및 슬림화의 경향으로, 박판 소재의 사용 빈도가 늘어나고 있다.
따라서, 기존의 팸 너트를 박판 소재에 적용할 경우, 비틀림 강도, 나사 회전 방향의 밀림 강도, 및 나사 회전 반대 방향의 밀림 강도 등이 원하는 만큼 확보되지 못할 수 있다.
즉, 기존과 같은 팸 너트는, 일정 두께 이상의 소재에 적용할 경우에, 비틀림 강도 및 밀림 강도 등이 원하는 만큼 확보될 수 있지만, 일정 두께 이하의 박판 소재에 적용할 경우, 비틀림 강도 및 밀림 강도 등이 원하는 만큼 확보되지 못하므로, 팸 너트의 헛돎 불량 현상이 나타날 수 있다.
그러므로, 비틀림 강도, 밀림 강도 및 빠짐 강도 등이 확보되면서도 박판 소재에 적용할 수 있는 새로운 형상의 팸 너트가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가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바디부보다 큰 직경을 갖는 헤드부 위에 좌굴부(buckling portion)를 배치함으로써, 비틀림 강도, 밀림 강도 및 빠짐 강도를 증가시킬 수 있는 팸 너트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가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좌굴부의 측면을 곡면 및 평면이 공존하도록 제작함으로써, 헛돎 불량 현상을 감소시킬 수 있는 팸 너트를 제공하고자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일실시예가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바디부의 하단 영역에 홈을 형성함으로써, 압착 공정시, 회전을 방지할 수 있는 팸 너트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팸 너트는, 제 1 직경을 갖는 바디부(body portion)와, 바디부 위에 배치되고 제 1 직경보다 더 큰 제 2 직경을 갖는 헤드부(head portion)와, 바디부와 헤드부의 중심을 관통하고 제 1 직경보다 더 작은 제 3 직경을 갖는 중공부(hollow portion)와, 헤드부로부터 바디부의 반대 방향으로 돌출되고 중공부의 주변을 따라 배치되는 좌굴부(buckling portion)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바디부는 측면 하단 영역에 일정 간격을 가지고, 다수의 홈들이 배치될 수 있다.
이때, 다수의 홈은 바디부의 측면 하단 방향으로 개방되고, 서로 대칭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헤드부의 하면은 바디부를 마주하고, 헤드부의 상면은 좌굴부를 마주하며, 헤드부의 하면과 상면 사이의 높이는 좌굴부의 돌출 높이보다 더 높을 수 있다.
이어, 좌굴부의 측면은 곡면 형상을 갖는 다수의 곡면부와 평면 형상을 갖는 다수의 평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평면부는 서로 인접하는 곡면부들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곡면부는 요철 패턴을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좌굴부 측면의 평면부와 바디부 측면 하단의 홈은 일렬로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하면, 바디부보다 큰 직경을 갖는 헤드부 위에 좌굴부(buckling portion)를 배치함으로써, 비틀림 강도, 밀림 강도 및 빠짐 강도를 증가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하면, 좌굴부의 측면을 곡면 및 평면이 공존하도록 제작함으로써, 헛돎 불량 현상을 감소시킬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하면, 바디부의 하단 영역에 홈을 형성함으로써, 압착 공정시, 회전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팸 너트의 신뢰성이 향상될 수 있다.
도 1a 내지 도 1c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의한 팸 너트를 보여주는 도면
도 2a 내지 도 2c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의한 팸 너트를 보여주는 도면
도 3은 도 2a의 Ⅰ-Ⅰ 선상에 따른 단면도
도 4a 및 도 4b는 팸 너트를 박판 소재에 체결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5는 박판 소재에 체결된 팸 너트를 보여주는 사진
도 6는 도 5의 단면 사진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단순히 본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을 고려하여 부여되는 것으로서, 상기 "모듈" 및 "부"는 서로 혼용되어 사용될 수도 있다.
나아가, 이하 첨부 도면들 및 첨부 도면들에 기재된 내용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발명이 실시예들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를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관례 또는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 부분에서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실질적인 의미와 본 명세서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해석되어야 함을 밝혀두고자 한다.
도 1a 내지 도 1c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의한 팸 너트를 보여주는 도면으로서, 도 1a는 X축 방향에 따른 제 1 측면도이고, 도 1b는 상면도이며, 도 1c는 Y축 방향에 따른 제 2 측면도이다.
도 1a 내지 도 1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팸 너트는 바디부(body portion)(30), 헤드부(head portion)(20), 중공부(hollow portion)(35), 그리고 좌굴부(buckling portion)(1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바디부(30)는 제 1 직경 D21을 가지는 원통형일 수 있다.
그리고, 바디부(30)는 헤드부(20)와 마주하는 상면(30b)와, 상면(30b)과 반대되는 방향에 배치되는 하면(30c)과, 그들 사이의 측면(30a)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바디부(30)의 측면(30a) 하단 영역에는 일정 간격을 가지고, 다수의 홈(32)들이 배치될 수 있다.
이때, 다수의 홈(32)들은 바디부(30)의 측면(30a)에 서로 대칭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각 홈(32)은 바디부(30)의 측면(30a) 하단 방향으로 일측이 개방된 편평한 평면 형상일 수 있다.
여기서, 홈(32)의 깊이 d11는, 헤드부(20)의 측면(20a)과 좌굴부(10)의 측면(10a) 사이의 거리보다 더 작을 수 있다.
이처럼, 바디부(30)의 측면(30a) 하단 영역에 다수의 홈(32)들이 배치되는 이유는, 팸 너트를 박판 소재와 체결하기 위해, 압착 공정을 수행할 때, 팸 너트의 회전을 방지할 수 있기 때문이다.
다음, 헤드부(20)는 바디부(30)의 상면(30b) 위에 배치되는데, 바디부(30)의 제 1 직경 D21 보다 더 큰 제 2 직경 D25을 갖는 원통 형상일 수 있다.
여기서, 헤드부(20)의 하면은 바디부(30)를 마주하고, 헤드부(20)의 상면은 좌굴부(10)를 마주할 수 있는데, 헤드부(20)의 하면과 상면 사이의 높이 H2는, 좌굴부의 돌출 높이 H1보다 더 높고, 바디부(30)의 하면과 상면 사이의 높이 H3보다 낮을 수 있다.
이처럼, 헤드부(20)의 하면과 상면 사이의 높이 H2를, 좌굴부의 돌출 높이 H1보다 더 높게 하는 이유는, 팸 너트를 박판 소재와 체결하기 위해, 압착 공정을 수행할 때, 팸 너트의 전단이 파괴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어, 중공부(35)는 바디부(30)와 헤드부(20)의 중심을 관통할 수 있는데, 바디부(30)의 직경 D21보다 더 작은 제 3 직경을 가질 수 있다.
여기서, 중공부(35)의 내측에는 체결 부재인 나사가 체결될 수 있도록, 나사 탭이 형성될 수도 있다.
다음, 좌굴부(10)는, 헤드부(20)로부터 바디부(30)의 반대 방향으로 돌출되고, 중공부(35)의 주변을 따라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좌굴부(10)의 측면(10a)은, 곡면 형상을 갖는 다수의 곡면부(10a-2)와 평면 형상을 갖는 다수의 평면부(10a-1)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평면부(10a-1)는, 서로 인접하는 곡면부(10a-2)들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다수의 평면부(10a-1)들은, 서로 대칭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서로 마주하는 평면부(10a-1)들 사이의 거리 D23는 서로 마주하는 곡면부(10a-2)들 사이의 거리 D24보다 더 작을 수 있다.
이처럼, 좌굴부(10)의 측면(10a)에 평면 형상을 갖는 다수의 평면부(10a-1)를 형성하는 이유는, 체결 부재인 나사가 체결될 때, 헛돎 불량 현상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경우에 따라, 좌굴부(10) 측면(10a)의 평면부(10a-1)와 바디부(30) 측면(30a) 하단의 홈(32)은 일렬로 배치될 수 있다.
그 이유는 체결 부재인 나사가 체결될 때, 헛돎 불량 현상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압착 공정을 수행할 때, 팸 너트의 회전을 방지할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팸 너트의 비틀림 강도, 밀림 강도 및 빠짐 강도를 증가시킬 수 있다.
도 2a 내지 도 2c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의한 팸 너트를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3은 도 2a의 Ⅰ-Ⅰ 선상에 따른 단면도이다.
여기서, 도 2a는 X축 방향에 따른 제 1 측면도이고, 도 2b는 상면도이며, 도 2c는 Y축 방향에 따른 제 2 측면도이다.
도 2a 내지 도 2c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팸 너트는 바디부(body portion)(30), 헤드부(head portion)(20), 중공부(hollow portion)(35), 그리고 좌굴부(buckling portion)(1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바디부(30), 헤드부(20), 중공부(35) 및 좌굴부(10)는 좌굴부(10)의 측면에 요철 패턴이 형성된다는 점을 제외하고, 제 1 실시예에 따른 팸 너트와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좌굴부(10)는, 헤드부(20)로부터 바디부(30)의 반대 방향으로 돌출되고, 중공부(35)의 주변을 따라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좌굴부(10)의 측면(10a)은, 곡면 형상을 갖는 다수의 곡면부(10a-2)와 평면 형상을 갖는 다수의 평면부(10a-1)를 포함할 수 있는데, 곡면부(10a-2)는 요철 패턴(12)을 포함할 수 있다.
이처럼, 좌굴부(10) 측면(10a)의 곡면부(10a-2)에 요철 패턴(12)을 형성하는 이유는, 체결 부재인 나사가 체결될 때, 헛돎 불량 현상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는, 좌굴부(10)의 측면(10a)이, 곡면 형상과 평면 형상을 모두 포함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곡면 형상에 요철 패턴을 더 형성함으로써, 헛돎 불량 현상을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보다도 더 현저하게 줄일 수 있다.
도 4a 및 도 4b는 팸 너트를 박판 소재에 체결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먼저,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디부(30), 헤드부(20), 중공부(35), 그리고 좌굴부(10)를 포함하는 팸 너트를 금형 하판(44)에 배치할 수 있다.
그리고, 박판 소재(50)를 팸 너트의 헤드부(20)의 상면과 좌굴부(10)의 측면에 접촉하도록 배치할 수 있다.
여기서, 팸 너트의 좌굴부(10)의 돌출 높이 H1는 박판 소재(50)의 두께 t1보다 더 높을 수 있다.
이어, 팸 너트의 상부에 위치하는 금형 상판(42)이 하부로 이동하여, 팸 너트의 좌굴부(10)를 압착할 수 있다.
다음,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팸 너트의 좌굴부(10)는, 박판 소재(50)의 상면 방향으로 휘어지면서, 팸 너트와 박판 소재(50)을 체결할 수 있다.
따라서, 박판 소재(50)의 하부면은 팸 너트의 헤드부(20)에 밀착되고, 박판 소재(50)의 상부면은 팸 너트의 좌굴부(10)에 밀착될 수 있다.
도 5는 박판 소재에 체결된 팸 너트를 보여주는 사진이고, 도 6는 도 5의 단면 사진이다.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팸 너트의 좌굴부는, 박판 소재의 상면 방향으로 휘어지면서, 팸 너트와 박판 소재를 체결할 수 있다.
이처럼, 본 발명의 팸 너트는 바디부보다 큰 직경을 갖는 헤드부 위에 좌굴부를 배치함으로써, 팸 너트의 비틀림 강도, 밀림 강도 및 빠짐 강도를 증가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팸 너트는 좌굴부의 측면을 곡면 및 평면이 공존하도록 제작함으로써, 헛돎 불량 현상을 현저히 줄일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팸 너트는 바디부의 하단 영역에도 홈을 형성함으로써, 압착 공정시, 회전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팸 너트는 신뢰성이 향상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돼서는 안 될 것이다.
10 : 좌굴부
20 : 헤드부
30 : 바디부
35 : 중공부

Claims (8)

  1. 제 1 직경을 갖는 바디부(body portion);
    상기 바디부 위에 배치되고, 상기 제 1 직경보다 더 큰 제 2 직경을 갖는 헤드부(head portion);
    상기 바디부와 헤드부의 중심을 관통하고, 상기 제 1 직경보다 더 작은 제 3 직경을 갖는 중공부(hollow portion); 그리고,
    상기 헤드부로부터 상기 바디부의 반대 방향으로 돌출되고, 상기 중공부의 주변을 따라 배치되는 좌굴부(buckling portion)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팸 너트.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부는, 측면 하단 영역에 일정 간격을 가지고, 다수의 홈들이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팸 너트.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홈은, 상기 바디부의 측면 하단 방향으로 개방되고, 서로 대칭적으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팸 너트.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부의 하면은 상기 바디부를 마주하고, 상기 헤드부의 상면은 상기 좌굴부를 마주하며, 상기 헤드부의 하면과 상면 사이의 높이는, 상기 좌굴부의 돌출 높이보다 더 높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팸 너트.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좌굴부의 측면은, 곡면 형상을 갖는 다수의 곡면부와 평면 형상을 갖는 다수의 평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팸 너트.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평면부는, 상기 서로 인접하는 곡면부들 사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팸 너트.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곡면부는, 요철 패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팸 너트.
  8.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좌굴부 측면의 평면부와 상기 바디부 측면 하단의 홈은 일렬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팸 너트.
KR1020130000529A 2013-01-03 2013-01-03 팸 너트 KR2014008870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00529A KR20140088702A (ko) 2013-01-03 2013-01-03 팸 너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00529A KR20140088702A (ko) 2013-01-03 2013-01-03 팸 너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88702A true KR20140088702A (ko) 2014-07-11

Family

ID=517371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00529A KR20140088702A (ko) 2013-01-03 2013-01-03 팸 너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088702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33294A (ko) * 2014-09-17 2016-03-28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팸너트 설치구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33294A (ko) * 2014-09-17 2016-03-28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팸너트 설치구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0853510B (zh) 可折叠的支撑结构及显示装置
US7497652B2 (en) Plastic fastening device
US20090260871A1 (en) Perforated Substrates for Forming Housings
CN113393773A (zh) 柔性显示模组及其制备方法、显示装置
US7927051B2 (en) Rivet and riveted structure using same
US7627973B2 (en) Frame structure adapted to different display panel thicknesses and corresponding engaging device
JP2014177996A (ja) 締結部構造及びネジ穴バーリング部の加工方法
KR101431451B1 (ko) 다양한 두께와 재질의 판에 적용되는 팸너트
KR20140088702A (ko) 팸 너트
JPH11254049A (ja) 取付け板の製造方法
US20150151504A1 (en) Plastic bezel
WO2017193655A1 (zh) 背光模组及其组装方法、显示装置
US9086852B2 (en) Fastening techniques for electronic devices
MY152035A (en) Resin sheet for circuit board
JP6446682B2 (ja) 接点ゴムスイッチ
JP5284166B2 (ja) 表示装置
KR20170102498A (ko) 토크를 플라스틱제 케이스로 유도하기 위한 금속제 고정 부재
JP2010173281A (ja) 折り曲げ線入りプラスチックシートおよびプラスチックシートへの折り曲げ線加工方法
JP6268405B2 (ja) インサートナット
US20130215357A1 (en) Modulized front frame structure and liqiuid crystal display device using the same
JP2007177895A (ja) 板状部材の締着構造
CN203840635U (zh) 印制线路板
WO2013189090A1 (zh) 一种液晶显示装置用钣金件、制造方法及液晶显示装置
TW201029545A (en) Fixing construction for printed circuit board
US9837226B2 (en) Dome-shaped push switch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