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87448A - 일체형 플런저가 구비된 근관 충전기 - Google Patents

일체형 플런저가 구비된 근관 충전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87448A
KR20140087448A KR1020120157768A KR20120157768A KR20140087448A KR 20140087448 A KR20140087448 A KR 20140087448A KR 1020120157768 A KR1020120157768 A KR 1020120157768A KR 20120157768 A KR20120157768 A KR 20120157768A KR 20140087448 A KR20140087448 A KR 2014008744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unger
filler
root canal
filling
actua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577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40379B1 (ko
Inventor
류현석
Original Assignee
(주)메타시스템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메타시스템즈 filed Critical (주)메타시스템즈
Priority to KR10201201577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40379B1/ko
Publication of KR201400874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8744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403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4037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5/00Filling or capping teeth
    • A61C5/50Implements for filling root canals; Methods or instruments for medication of tooth nerve channels
    • A61C5/55Implements for filling root canals; Methods or instruments for medication of tooth nerve channels with heating means, e.g. for heating gutta perch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3/00Dental tools or instruments
    • A61C3/08Tooth pluggers or hamm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5/00Filling or capping teeth
    • A61C5/6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essing or mixing capping or filling materials, e.g. amalgam presses
    • A61C5/62Applicators, e.g. syringes or gu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Dent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Dental Tools And Instruments Or Auxiliary Dent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플런저 몸체와 가압바로 분리되어 있던 플런저를 일체형으로 구성함으로써, 충전재 투입을 위해 충전실로부터 플런저를 빼내는 경우에도 플런저의 분실이나 훼손을 최소화할 뿐만 아니라 급격하고 고열의 히터로부터 발생된 열이 직접적으로 몸체에 전달되지 않게 하여 이 열로 인해 시술자나 피시술자의 피부나 안면 등에 상해를 입히지 않으면서도 안전하게 연속적으로 충전재를 공급할 수 있도록 한 일체형 플런저가 구비된 근관 충전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탈착구를 더 구비하여, 충전재의 소진후 고착으로 가압부가 함께 고착되더라도 이 탈착구를 이용하여 충전실로부터 가압부를 빼낼 수 있게 함으로써, 니들부를 재활용할 수 있도록 한 일체형 플런저가 구비된 근관 충전기를 제공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근관 충전기를 펜 타입으로 제작하고 액츄에이터의 전원을 배터리 방식 또는 외부에서 공급받아 동작할 수 있게 함으로써, 시술자가 충전 방향에 따라 근관 충전기의 위치를 쉽게 바꾸면서 시술이 이루어질 수 있게 하여 보다 편한 자세에서 안정적으로 충전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일체형 플런저가 구비된 근관 충전기를 제공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Description

일체형 플런저가 구비된 근관 충전기{ROOT CANAL FILLING APPARATUS INTEGRALED PLUNGER}
본 발명은 일체형 플런저가 구비된 근관 충전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충전재를 용해시켜주는 히터와 근관충전기 몸체 사이에 공기층을 형성하여 히터로부터 발생된 열이 바로 몸체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고, 또한 액츄에이터에 의해 길이방향으로 움직이는 플런저를 일체형으로 구성함으로써, 플런저의 분실 위험을 최소화하면서도 니들이 막히는 것을 방지하여 니들부를 반복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근관 충전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근관치료는 손상된 치수나 치근단 조직을 가진 치아에서 손상된 치수가 있는 치아의 근관 내용물을 제거한 다음 소독하여 치근단 질환의 원인을 제거하는 것을 말하는데 신경치료라고 많이 알려져 있다.
이러한 근관치료는 근관 내용물을 제거한 다음, 불변성의 재료(충전재)로 충전하여 근관의 재감염을 방지하여 치아가 구강 내에서 정상적인 기능을 할 수 있게 한다.
이때, 충전재의 충전을 위해서는 근관 충전기가 이용된다. 특허문헌1에는 본 출원인이 출원한 분리형 플런저가 구비된 근관충전기가 게시되어 있다. 상기 근관충전기는, 충전재의 용융을 위한 발열작용이 몸체에 구비된 히터와 몸체 사이에 공기층을 형성하여 열이 이 공기층을 통해 열전달이 이루어지게 하고 또한 충전재의 소모량을 확인할 수 있게 함으로써, 급격하고 고열의 히터로부터 발생된 열이 직접적으로 몸체에 전달되지 않게 하여 이 열로 인해 시술자나 피시술자의 피부나 안면 등에 상해를 입히지 않으면서도 안전하게 연속적으로 충전재를 공급할 수 있다.
하지만, 이러한 분리형 근관 충전기는 다음과 같은 문제가 발생하였다.
1) 플런저가 플런저 몸체와 가압바로 분리되어 있었다. 이에 구성 요소의 개수가 많아질 뿐만 아니라 충전재를 소진한 뒤에 다시 충전실에 새로운 충전재를 끼우기 위하여 근관 충전기로부터 플런저를 분리하는 경우, 플런저나 그 구성요소인 플런저 몸체 등을 분실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2) 이러한 분실은 근관 충전기를 바로 사용할 수 없게 하거나 새로운 플런저를 준비해 두어야 하기 때문에 유지 관리에 따른 부대비용이 많이 들게 되었다.
(3) 또한, 히터에 의해 충전재의 용융 상태가 우수하기 때문에 근관 충전시 용융되었던 충전재가 플런저의 단부에 고착되는 경우가 종종 발생할 수 있다.
(4) 이러한 고착은 충전실에 다시 충전재를 끼워서 사용할 수 없게 되기 때문에 니들을 버리고 새로운 것으로 대체하여 사용해야 한다. 이에 니들의 재활용에 어려움이 있었다.
한국출원 제 10-2011-0124719
본 발명은 이러한 점을 고려하여 안출한 것으로, 플런저 몸체와 가압바로 분리되어 있던 플런저를 일체형으로 구성함으로써, 충전재 투입을 위해 충전실로부터 플런저를 빼내는 경우에도 플런저의 분실이나 훼손을 최소화할 뿐만 아니라 히터로부터 발생된 열이 직접적으로 몸체에 전달되지 않게 하여 이 열로 인해 시술자나 피시술자의 피부나 안면 등에 상해를 입히지 않으면서도 안전하게 연속적으로 충전재를 공급할 수 있도록 한 일체형 플런저가 구비된 근관 충전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탈착구를 더 구비하여, 충전재의 소진 후 고착으로 가압부가 함께 충전실에 고착되더라도 이 탈착구를 이용하여 충전실로부터 가압부를 빼낼 수 있게 함으로써, 니들부를 재활용할 수 있도록 한 일체형 플런저가 구비된 근관 충전기를 제공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근관 충전기를 펜 타입으로 제작하고 액츄에이터의 전원을 배터리 방식 또는 외부에서 공급받아 동작할 수 있게 함으로써, 시술자가 충전 방향에 따라 근관 충전기의 위치를 쉽게 바꾸면서 시술이 이루어질 수 있게 하여 보다 편한 자세에서 안정적으로 충전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일체형 플런저가 구비된 근관 충전기를 제공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일체형 플런저가 구비된 근관 충전기는, 플런저의 이송위치를 볼 수 있도록 확인창이 구비된 덮개가 결합과 분리가능하며, 이 덮개와 결합되어 개구된 선단에 나사방식으로 체결고정되는 캡이 구비된 몸체; 상기 몸체 내부에 길이방향으로 설치된 가이드와, 이 가이드의 안내를 받아 상기 몸체의 내부에서 그 길이방향으로 움직이는 플런저를 포함하며, 이 플런저를 동작시켜 주도록 상기 몸체 내부에 설치된 액츄에이터; 일단이 상기 캡의 내부에 위치하도록 상기 가이드에 설치된 히터; 상기 캡 내부에 위치하도록 가이드에 장착되면서 상기 히터와의 사이에 공기층을 형성시켜주는 보호부재; 및 충전재가 상기 플런저에 의해 가압받을 수 있도록 충전실이 상기 보호부재를 통해 상기 히터 내부에 끼워지며, 상기 보호부재에 미리 정해진 각도만큼 회전시킴에 따라 탈장착되는 니들부;를 포함하고;, 상기 플런저는, 근관충전기용 액츄에이터에 연결되어 길이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도록 연결구가 형성되고 외주면에는 회전방지용의 요홈이 적어도 하나가 형성된 플런저 몸체; 및 일단부에 패킹이 구비된 가압부가 구비되고, 이 가압부와 밀착되어 실질적으로 가압시켜 주는 가압바;가 일체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특히, 상기 몸체는 펜 타입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액츄에이터는 몸체 내부에 저장된 배터리 또는 외부로부터 외부전력선을 통해 필요한 전원을 공급받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가압바는 충전재가 삽입되는 충전실의 길이보다 길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연결구는 암나사이고, 상기 액츄에이터는 상기 암나사와 나사체결되는 구동축을 갖는 정역모터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패킹은 불소수지(teflon)와 PEEK(polyetheretherketone)의 이단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니들부는 상기 캡을 마감하며 하면에는 미리 정해진 간격으로 복수의 고정돌기가 돌출된 플랜지가 더 형성되고;, 상기 보호부재에는 이들 고정돌기가 끼워져서 플랜지가 캡으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고정시켜 주는 "+"자 홈을 갖는 고정구멍이 더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마지막으로, 본 발명에 따른 근관 충전기에는, 상기 가압부와 가압바가 서로 맞닿는 면에는 각각 수나사부와 끼움구멍이 형성되고;, 충전실에 박힌 가압부를 쉽게 빼낼 수 있도록 탈착구가 구비되며;, 상기 탈착구는, 충전실에 끼움가능하며 상단에는 수나사부가 체결되도록 암나사부가 형성된 헤드부; 및 이 헤드부와 일체로 형성되는 그립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체형 플런저가 구비된 근관 충전기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1) 플런저를 구성하는 플런저 몸체와 가압바가 일체형으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근관 충전기의 구성 요소를 줄일 수 있게 된다. 이에, 충전재의 소진 후 다른 충전재로 대체하기 위해 플런저를 분리하는 경우 그 분실 위험을 낮출 수 있다.
(2) 탈착구를 이용하여 충전실 내부에 남은 충전재에 의해 고착된 가압부를 제거할 수 있기 때문에 다시 충전실에 새로운 충전재를 끼워서 니들부를 재활용할 수 있게 된다.
(3) 히터에서 발생된 열이 직접 몸체로 전달되지 않고 공기층을 통과하게 함으로써, 고온의 열이 피부나 안면 등에 닿아서 발생될 우려가 있는 피부 손상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4) 근관 충전기에 충전재의 소모량을 확인할 수 있게 함으로써, 충전재의 재공급시기를 시술 도중에도 쉽게 확인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충전 도중에 충전재를 다시 끼워야 하는 불편함을 최소화하여 연속적으로 충전이 가능하게 된다.
(5) 근관 충전기를 펜 타입으로 제작함으로써, 시술자가 임의로 잡는 위치를 바꾸면서 잡을 수 있다. 이에 치아의 위치나 충전위치에 따라 달라지는 근관 충전기의 시술위치에 맞게 편안한 자세로 바꿔서 사용할 수 있다.
(6) 니들부를 미리 정해진 각도만큼 회전시켜서 근관 충전기로부터 쉽게 탈부착할 수 있게 함으로써, 충전재의 재투입 등을 쉽고 빠르게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1에 따른 근관 충전기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1에 따른 근관 충전기의 구성을 보여주기 위하여 일부를 분해한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1에 따른 근관 충전기의 내부구성을 보여주기 위한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일체형의 플런저 구조를 보여주기 위하 분해사시도.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1에 따른 플런저의 가압 전과 후의 작동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1에 따른 니들부로부터 플런저를 분리하는 과정을 보여주기 위한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근관 충전기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3에 따른 탈착구의 사용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3에 따른 탈착구의 구성을 보여주기 위한 사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1에 따른 근관 충전기를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1에 따른 근관 충전기의 구성을 보여주기 위하여 일부를 분해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1에 따른 근관 충전기의 내부구성을 보여주기 위한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1에 따른 근관 충전기(F)는, 내부가 빈 중공의 몸체(100), 충전재(511)를 가압하여 주기 위한 구동력을 제공하는 액츄에이터(200), 이 충전재(511)를 용융시켜 주기 위한 히터(300), 히터(300)와의 사이에 공기층(410)을 형성시켜 주기 위한 보호부재(400), 그리고 충전재(511)를 분출시켜 주기 위한 니들부(500)를 포함한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예1에 따른 근관 충전기(F)는 공기층(410)에 의해 히터(300)로부터 발생된 열이 직접적으로 몸체(100)를 통해 시술자나 피시술자의 피부나 안면 등에 닿는 것을 방지하여 화상과 같은 상해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한 것이다.
또한, 상기 액츄에이터(200)는 일체형의 플런저(210)를 구비함으로써, 근관 충전기의 사용 편의성이 증대되게 된다.
이하, 이러한 구성에 대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몸체(100)는 상부몸체(100a)와 하부몸체(100b)로 구성되며, 특히 상부몸체(100a)에는 좌우로 분리와 조립이 가능하도록 덮개(110)로 분리된다. 또한, 상기 몸체(100)는 그 전체적인 형상이 펜 형태로 제작함으로써, 시술자가 어떠한 방향으로든지 상관없이 손으로 쉽게 몸체(100)를 돌려서 원하는 충전위치로의 변경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부몸체(100a)는 관상 형태로 형성되며, 그 일측에는 원터치 형식으로 탈장착이 가능하도록 덮개(110)가 구비된다. 그리고, 이 덮개(110)에는 몸체(100) 내부를 볼 수 있도록 확인창(111)이 형성된다. 이때, 이 확인창(111)은 후술하게 될 액츄에이터(200)의 작동량, 즉 액츄에이터(200)의 동작으로 플런저(210)가 충전재(511)를 가압하게 되는데, 이 플런저(210)의 이송거리를 볼 수 있게 하여 충전재(511)의 소진 상태를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상부몸체(100a)에는 상부에 캡(120)이구비된다. 캡(120)은 상부몸체(100a)와 덮개(110)가 결합된 상단부에 나사체결방식으로 장착되며, 상부를 마감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이 캡(120)의 윗면에는 중앙에 니들부(500)를 끼울 수 있도록 장착구멍(121)이 관통형성된다.
하부몸체(100b)는 깊이가 긴 용기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상부몸체(100a)와 덮개(110)가 결합된 하부에 나사체결 방식으로 탈장착이 가능하게 설치된다. 그리고, 이 하부몸체(100b)에는 배터리(220)를 수용하기 위한 공간으로 이용되며, 여기에는 배터리(220)와 액츄에이터(200) 사이에 전원공급이나 제어를 위한 전기회로가 더 구성될 수도 있다. 이러한 전기회로의 구성은 통상적인 기술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상기 상부몸체(100a)의 저부에 구성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액츄에이터(200)는 니들부(500)에 끼워진 충전재(511)를 가압하기 위한 구성요소로서, 바람직하기로는 구동모터를 이용할 수 있다.
특히, 이 액츄에이터(200)에는 그 구동축에 실질적으로 충전재(511)를 가압시켜 주기 위한 플런저(210)가 나사체결방식으로 장착된다. 이러한 플런저(210)는 액츄에이터(200)의 회전운동을 직선으로 변환시켜 충전재(511)를 가압시켜 준다. 또한, 상기 플런저(210)의 표면에는 최대 및 최저진행 길이를 알 수 있도록 마크(미도시됨)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때의 마크는 상술한 확인창(111)을 통해 외부에서도 볼 수 있게 하여 시술자가 언제든지 충전재(511)의 소모 상태를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이루어진 액츄에이터(200)는 몸체(100) 내부에 설치되게 되는데, 이때 상기 플런저(210)가 몸체(100)의 중심축선상에 위치하도록 설치된다. 도면에서는, 상기 액츄에이터(200)가 상부몸체(100a)의 하부에 그 아래로 빠지지 않도록 장착되고, 하부몸체(100b)에 내장된 배터리(220)로부터 전원공급을 받을 수 있게 구성된 예를 보여준다.
한편, 상기 상부몸체(100a)에는 내부에 가이드(200b)가 내장된다. 가이드(200b)는 플런저(210)가 안정적으로 회전하지 않고 길이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도록 안내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가이드(200b)는 상부몸체(100a)의 중심축선상에 위치하도록 설치되고, 그 단부가 캡(120)의 하부에 위치하도록 형성한다. 이때, 상기 가이드(200b)의 길이는 그 단부와 캡(120)과의 사이에 히터(300)를 설치할 수 있는 공간을 확보할 수 있게 한다.
한편, 상기 액츄에이터(200)에는, 도 4 내지 7과 같이, 일체형의 플런저(210)가 구비된다. 이 일체형의 플런저(210)는 액츄에이터(200)의 구동축(200a)에 나사 방식으로 체결되는 플런저몸체(210a)와, 이 플런저 몸체(210a)와 일체로 형성되어 충전재(511)를 가압시켜 주는 가압바(210b)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플런저몸체(210a)는 미리 정해진 길이를 갖는 일종의 막대부재로, 그 단면 형상 또한 다양한 형태로 제작하는 것이 가능하나, 길이방향으로 움직일 때에 마찰저항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원형 단면의 봉 형태로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플런저몸체(210a)의 타단에는 액츄에이터(200)의 구동축(200a)과 결합되도록 연결구(213)가 형성된다. 이때, 상기 액츄에이터(200)로는 정역방향으로 회전하는 정역모터를 많이 이용하기 때문에, 연결구(213)는 그 구동축(200a)에 의해 동작하며 플런저몸체(210a)를 길이방향으로 움직여 줄 수 있는 구조로 형성한다. 이에,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는, 구동축(200a)의 회전동작으로 플런저몸체(210a)가 길이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도록 연결구(213)를 암나사 형태로 형성하고, 이 암나사 부분에 상기 구동축(200a)이 외주면에 수나사를 형성하여 상호 체결가능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플런저몸체(210a)의 외주면에는 구동축(200a)이 회전하더라도 이 플런저몸체(210a)가 함께 회전하지 못하도록 적어도 하나의 회전방지용의 요홈(214)이 형성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요홈(214)은 플런저몸체(210a)가 길이방향으로 움직이기 때문에 그 길이에 맞게 회전방지가 가능하도록 전체 길이에 걸쳐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면에서는, 2개의 요홈(214)이 등간격으로 형성된 예를 보여주고 있다. 이와 같이 이루어진 요홈(214)은 근관충전기의 몸체(100) 내부에 구비된 가이드(200b)가 안내를 받게 하여 플런저몸체(210a)의 회전을 방지하게 된다.
가압바(210b)는 플런저 몸체(210a)와 일체로 형성되는 막대 부재로서, 그 단부에는 가압부(216)가 구비된다. 가압부(216)는, 도 4와 같이, 일면에 패킹(215)이 구비되며, 이 패킹(215)은 바람직하게 고정나사(216a)에 의해 고정된다.
한편, 패킹(215)은 가압바(210b)의 타단이 충전실(510) 안으로 끼워져서 충전재(511)를 가압시 충전재(511)가 새지 않고 가압될 수 있게 유도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패킹(215)은, 본 발명에서는 예시적으로, 불소수지(215a; teflon)와 PEEK(215b; polyetheretherketone)로 이루어진 것을 가압부(216)에 끼워서 사용한다. 즉, 상기 가압부(216)에 불소수지(215a)와 PEEK(215b)로 형성된 패킹(215)을 끼운 다음 고정나사(216a)를 가압부(216)에 체결하여 패킹(215)을 고정시키게 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패킹(215)은 고정나사(216a)에 의해 고정설치되는 것으로 설명하고 있으나, 고정나사(216a)를 이용하지 않고 바로 가압부(216)에 억지끼움 등의 방식으로 끼워서 이용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가압바(210b)는 충전실(510)의 길이보다 길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가압바(210b)가 충전재(511)를 가압하여 소진시킴에 따라 가압바(210b)는 충전실(510) 안으로 유입되는데, 이때 가압바(210b)가 도 7의 (a)와 같이 충전재(511)가 완전 소진될 수 있도록 가압시켜 줄 수 있게 하기 위함이다.
이와 같이 충전재(511)가 완전소진되게 되면, 새로운 니들부로 교체하기 위해 니들부(500)를 분리하게 되면, 충전실(510)로부터 가압바(210b)가 빠지게 된다. 이때, 가압부(216)는 가압바(210b)와 함께 충전실(510) 외부로 빠져나올 수도 있고, 도 7의 (b)와 같이 충전실(510)에 남은 잔여 충전재(511)에 고착되어 가압바(210b)로부터 분리되게 된다. 이러한 니들부(500)는 새로운 니들부로 교체하여 사용할 수 있게 된다.
히터(300)는 충전재(511)를 용융시켜 주기 위한 구성요소로서, 이 분야에서 많이 이용되는 통상의 기술로 이루어진 것을 이용한다. 특히, 히터(300)는, 도 5에서와 같이, 충전재(511)가 끼워진 충전실(510)의 외부를 감싸 전체적으로 용융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실린더 형상으로 제작한다.
이와 같이 이루어진 히터(300)는 캡(120)의 내부에 위치하도록 상기 가이드(200b)의 선단에 설치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히터(300)는 플런저(210)와 동축선상에 위치하도록 설치하여 액츄에이터(200)의 구동으로 이 플런저(210)가 충전재(511)를 가압할 수 있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히터(300)는 캡(120)의 외부로 돌출되지 않게 하여 니들부(500)를 보호부재(400)에 장착시 서로 간섭이 발생하지 않을 정도의 길이로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호부재(400)는, 도 3 또는 도 5와 같이, 히터(300)와의 사이에 공기층(410)을 형성하여 열기에 의한 화상 등을 방지해 줄 뿐만 아니라, 니들부(500)가 쉽게 탈장착할 수 있도록 지지해 주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보호부재(400)는 윗면이 밀폐된 실린더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가이드(200b)의 선단부에 끼워져서 고정된다. 이때, 보호부재(400)는 그 상단이 캡(120)의 바깥쪽으로 돌출되지 않게 형성하여 캡(120)에 의해 고정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보호부재(400)는 실린더 형상인 것으로 설명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서, 자체 강성을 보완하거나 설치공간 등을 고려하여 도면에서와 같이 2단으로 단차진 형태로 제작하여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마지막으로, 상기 보호부재(400)에는 윗면에 고정구멍(420)이 형성된다. 특히, 이 고정구멍(420)에는 니들부(500)가 끼워지게 되는데, 이 니들부(500)를 고정시켜 줄 수 있도록 "+"자 형상의 홈이 더 형성된다. 이러한 고정구멍(420)은 상기 플런저(210)와 동축선상에 위치하도록 형성함으로써, 여기에 니들부(500)를 끼워서 고정시키는 경우 플런저(210)와 충전재(511)가 동축선상에 위치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니들부(500)는 충전재(511)를 끼울 수 있도록 구성된 충전실(510)과, 이 니들부(500)를 보호부재(400)에 장착하기 위한 플랜지(520)를 포함한다..
특히, 상기 플랜지(520)는 보호부재(400)의 윗면과 맞닿는 부분으로, 그 바닥면에는 고정돌기(521)가 아래로 돌출형성된다. 고정돌기(521)는 고정구멍(420)의 "+"자 홈에 끼워지게 되는 부분으로, 캡(120)을 잡은 상태에서 니들부(500)를 회전시키게 되면 이 고정돌기(521)가 홈이 없는 고정구멍(420)의 아래로 돌아 들어가면서 니들부(500)를 고정시켜 주게 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니들부(500)는 90°보다 작은 각도만큼 회전시킴으로써, 고정돌기(521)가 이웃한 다른 "+"자홈으로 튀어나오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고정구멍(420)에는 안쪽면에 걸림턱(미도시됨)을 형성하여 고정돌기(521)가 일정 각도만큼 회전하면 더이상 회전하지 못하도록 제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니들부(500)는 히터(300)에 의해 용융된 충전재(511)가 플런저(210)에 의해 가압됨에 따라 충전실(510)로부터 충전재(511)가 상단을 통해 외부로 분출시켜 충전작업이 이루어지게 한다.
이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근관 충전기(F)는 히터(300)와 보호부재(400) 사이에 공기층(410)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히터(300)로부터 발열된 열이 공기층(410)을 지난 다음 몸체(100)에 전달되기 때문에 고온의 열기에 의해 시술자나 피시술자의 피부가 상해를 입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몸체의 형상을 펜 타입으로 형성함으로써, 시술자가 충전을 하고자 하는 위치에 맞게 편리한 자세로 근관 충전기(F)를 잡아서 사용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근관 충전기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여기서, 실시예1과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부호를 부여하고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근관 충전기(F')는, 실시예1와 비교해 볼 때, 전원공급방식에서 차이가 있다.
즉, 제2실시예에 따른 근관 충전기(F')는, 외부전력선(230)을 통해 외부전원을 공급받아 액츄에이터(200)를 동작시키게 되는 것이다. 이때, 외부전원은 직류전원 또는 교류 전원을 공급받게 되는데, 필요한 경우 AC/DC 변환기라든가 안정화 회로 등을 몸체(100)에 더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2실시예에 따른 근관 충전기(F')는 배터리를 내장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실시예1에서와 같이 상부몸체(100a)와 하부몸체(100b)로 구분할 필요없이 일체형의 몸체(100')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3에 따른 근관 충전기는, 실시예1 및 실시예2와 동일한 구성으로 이루어지며, 여기에 충전실(510)에서 충전재(511)가 소진된 뒤에 잔여 충전제(511)에 의해 고착된 가압부(216)를 탈거하여 니들부(500)를 재활용할 수 있게 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충전실(510)에 고착된 가압부(216)를 빼낼 수 있도록, 도 9 및 도 10과 같이, 탈착구(600)가 더 구성된다.
이를 위하여, 가압부(216) 및 가압바(210b)가 서로 마주보는 면에는 각각 수나사부(216b)와 끼움구멍(217)이 형성된다. 이때, 수나사부(216b)는 끼움구멍(217)에 손 등으로 잡아서 빼거나 끼울 수 있도록 끼움설치된다.
또한, 충전실(510) 내부에 고착된 가압부(216)를 빼낼 수 있도록 탈착구(600)가 더 구비된다. 이러한 탈착구(600)는, 도 10과 같이, 상기 충전실(510)의 안쪽까지 끼워지는 헤드부(610), 및 이 헤드부(610)와 일체로 형성되는 그립부(6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특히, 헤드부(610)는 그 길이가 충전실(510)의 길이보다 길게 제작하고, 그 직경은 이 충전실(510)의 내경보다 작게 형성하여 충전실(510)에 쉽게 끼워질 수 있게 한다. 또한, 이 헤드부(610)에는 단부에 상술한 수나사부(216b)가 체결될 수 있도록 암나사부(611)가 형성된다.
또한, 그립부(620)는 어떠한 형상으로도 형성할 수 있으며, 헤드부(610)와 일체로 형성되어 이 탈착구(600)를 손으로 회전시킬 수 있는 구조로 형성하게 된다. 도면에서는, 봉의 형태로 형성한 예를 보여준다.
이러한 탈착구(600)는 다음과 같이 상황에서 이용된다. 충전재(511)가 완전히 소진됨에 따라, 도 7의 (a)와 같이, 가압바(210b)가 충전실(510)의 안쪽까지 가압되어 끼워지게 된다. 이 상태에서, 도 7의 (b)와 같이 이 플런저 몸체(210a)를 도면에서 아래쪽으로 잡아당김에 따라 가압바(210b)가 충전실(510)로부터 빠지게 된다. 이때, 상기 충전실(510)에는 잔여 충전재(511)에 의해 가압부(216)가 고착되게 된다. 이에 니들부(500)를 재활용하기 위해서는 이 가압부(216)를 빼낸 다음 충전실(510)에 새로운 충전재(511)를 충전해 주어야 한다.
우선, 상기 헤드부(610)를 충전실(510)에 끼워서 그 암나사부(611)가 수나사부(216b)와 체결되게 한다. 그리고, 체결이 완료되면 그립부(620)를 잡아 강제로 잡아당겨 고착된 충전재(511)로부터 가압부(216)를 빼내게 되는 것이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이처럼 분리형 플런저에 비하여 일체형으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플런저의 분실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고착된 가압부를 빼내어 니들부를 버리지 않고 재활용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100 : 몸체 100a : 상부몸체
100b : 하부몸체 110 : 덮개
111 : 확인창 120 : 캡
200 : 액츄에이터 200a : 구동축
200b : 가이드 210 : 플런저
210a : 플런저몸체 210b : 가압바
213 : 연결구 214 : 요홈
215 : 패킹 216 : 가압부
220 : 배터리 230 : 외부전력선
300 : 히터 400 : 보호부재
410 : 공기층 420 : 고정구멍
500 : 니들부 510 : 충전실
511 : 충전재 520 : 플랜지
521 : 고정돌기

Claims (8)

  1. 플런저(210)의 이송위치를 볼 수 있도록 확인창(111)이 구비된 덮개(110)가 결합과 분리가능하며, 이 덮개(110)와 결합되어 개구된 선단에 나사방식으로 체결고정되는 캡(120)이 구비된 몸체(100);
    상기 몸체(100) 내부에 길이방향으로 설치된 가이드(200b)와, 이 가이드(200b)의 안내를 받아 상기 몸체(100)의 내부에서 그 길이방향으로 움직이는 플런저(210)를 포함하며, 이 플런저(210)를 동작시켜 주도록 상기 몸체(100) 내부에 설치된 액츄에이터(200);
    일단이 상기 캡(120)의 내부에 위치하도록 상기 가이드(200b)에 설치된 히터(300);
    상기 캡(120) 내부에 위치하도록 가이드(200b)에 장착되면서 상기 히터(300)와의 사이에 공기층(410)을 형성시켜주는 보호부재(400); 및
    충전재(511)가 상기 플런저(210)에 의해 가압받을 수 있도록 충전실(510)이 상기 보호부재(400)를 통해 상기 히터(300) 내부에 끼워지며, 상기 보호부재(400)에 미리 정해진 각도만큼 회전시킴에 따라 탈장착되는 니들부(500);를 포함하고,
    상기 플런저(210)는, 근관충전기용 액츄에이터(200)에 연결되어 길이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도록 연결구(213)가 형성되고 외주면에는 회전방지용의 요홈(214)이 적어도 하나가 형성된 플런저 몸체(210a); 및 일단부에 패킹(215)이 구비된 가압부(216)가 구비되고, 이 가압부(216)와 밀착되어 실질적으로 가압시켜 주는 가압바(210b);가 상기 플런저 몸체(210a)와 일체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체형 플런저가 구비된 근관 충전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100)는 펜 타입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체형 플런저가 구비된 근관 충전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액츄에이터(200)는 몸체(100) 내부에 저장된 배터리(220) 또는 외부로부터 외부전력선(230)을 통해 필요한 전원을 공급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체형 플런저가 구비된 근관 충전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바(210b)는 충전재가 삽입되는 충전실의 길이보다 길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체형 플런저가 구비된 근관 충전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구(213)는 암나사이고,
    상기 액츄에이터(200)는 상기 암나사와 나사체결되는 구동축(200a)을 갖는 정역모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체형 플런저가 구비된 근관 충전기.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패킹(215)은 불소수지(teflon)와 PEEK(polyetheretherketone)의 이단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체형 플런저가 구비된 근관 충전기.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니들부(500)는 상기 캡(120)을 마감하며 하면에는 미리 정해진 간격으로 복수의 고정돌기(521)가 돌출된 플랜지(520)가 더 형성되고,
    상기 보호부재(400)에는 이들 고정돌기(521)가 끼워져서 플랜지(520)가 캡(120)으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고정시켜 주는 "+"자 홈을 갖는 고정구멍(420)이 더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체형 플런저가 구비된 근관 충전기.
  8.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부(216)와 가압바(210b)가 서로 맞닿는 면에는 각각 수나사부(216b)와 끼움구멍(217)이 형성되고,
    충전실(510)에 박힌 가압부(216)를 쉽게 빼낼 수 있도록 탈착구(600)가 구비되며,
    상기 탈착구(600)는, 충전실(510)에 끼움가능하며 상단에는 수나사부(216b)가 체결되도록 암나사부(611)가 형성된 헤드부(610); 및 이 헤드부(610)와 일체로 형성되는 그립부(62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체형 플런저가 구비된 근관 충전기.
KR1020120157768A 2012-12-31 2012-12-31 일체형 플런저가 구비된 근관 충전기 KR10144037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57768A KR101440379B1 (ko) 2012-12-31 2012-12-31 일체형 플런저가 구비된 근관 충전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57768A KR101440379B1 (ko) 2012-12-31 2012-12-31 일체형 플런저가 구비된 근관 충전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87448A true KR20140087448A (ko) 2014-07-09
KR101440379B1 KR101440379B1 (ko) 2014-09-17

Family

ID=517363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57768A KR101440379B1 (ko) 2012-12-31 2012-12-31 일체형 플런저가 구비된 근관 충전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4037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I633875B (zh) * 2017-09-15 2018-09-01 霽邦有限公司 根尖切除手術導板製造方法、系統及電腦可讀取紀錄媒體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31015B1 (ko) 2002-07-12 2005-11-24 주식회사 메타바이오메드 치과용 복합 근관충전 장치
KR100614628B1 (ko) 2003-11-07 2006-08-21 주식회사 메타바이오메드 배터리의 착탈이 용이한 치과용 근관 충전장치
KR101138839B1 (ko) 2010-12-06 2012-05-08 유준상 치과용 근관 충전기
KR101211363B1 (ko) 2011-07-12 2012-12-13 (주)에스덴티 자유각도로 회전 조절이 가능한 치과용 충전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40379B1 (ko) 2014-09-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448867B2 (en) Medical treatment apparatus
US6319002B1 (en) Handheld device for applying dental materials
EP2823785B1 (en) Handheld laser device for medical purposes
US6991457B2 (en) Endodontic obturator with disposable cartridge
EP3117796B1 (en) Inter-dental brush
KR20190062513A (ko) 세정 기구
JP5959766B2 (ja) 内視鏡
JP7061999B2 (ja) 導電性の加熱層を含むカートリッジを有する歯内治療材料を提供するための装置
JP5513700B1 (ja) 内視鏡処置具の進退補助具と内視鏡システム
KR101440379B1 (ko) 일체형 플런저가 구비된 근관 충전기
KR20100006112A (ko) 치과용 충전기
JP2017038913A (ja) 歯科用物質ディスペンサ装置
US20170196340A1 (en) Applicator with a heating member for applying a cosmetic product on keratinous fibers
KR101261408B1 (ko) 분리형 플런저가 구비된 근관 충전기
US20190083167A1 (en) Medical manipulator and end effector unit
EP2401952B1 (en) Endoscope apparatus
US10022203B2 (en) Handpiece for endodontic treatment
ES2835198T3 (es) Aparato de depilación
KR101588419B1 (ko) 펠티어소자에 의해 치과용 매트리얼을 가열하는 치과용 매트리얼 가열주입기
KR101855583B1 (ko) 인덕션 가열방식의 치과용 충전기
JP7129777B2 (ja) 内視鏡用処置具
KR101289860B1 (ko) 근관충전기용 플런저
KR101211363B1 (ko) 자유각도로 회전 조절이 가능한 치과용 충전기
JP6702041B2 (ja) 眼内レンズ挿入器具
EP3988041A1 (en) Treatment tool for endoscop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1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2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30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