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86134A - 터치 패널 일체형 유기 발광 다이오드 표시 장치 - Google Patents

터치 패널 일체형 유기 발광 다이오드 표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86134A
KR20140086134A KR1020120156253A KR20120156253A KR20140086134A KR 20140086134 A KR20140086134 A KR 20140086134A KR 1020120156253 A KR1020120156253 A KR 1020120156253A KR 20120156253 A KR20120156253 A KR 20120156253A KR 20140086134 A KR20140086134 A KR 2014008613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m
light emitting
touch panel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562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재영
임희철
변현태
Original Assignee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1562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086134A/ko
Publication of KR201400861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8613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 G06F3/0445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using two or more layers of sensing electrodes, e.g. using two layers of electrodes separated by a dielectric lay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 G06F3/0446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using a grid-like structure of electrodes in at least two directions, e.g. using row and column electrode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05Electrod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터치 패널이 일체화되어 두께가 감소되고, 플렉서블한 형태가 구현 가능한 터치 패널 일체형 유기 발광 다이오드 표시 장치에 관한 것으로, 하부 기판에 형성된 유기 발광 다이오드 어레이; 상기 유기 발광 다이오드 어레이를 덮도록 형성된 봉지 필름; 및 상기 봉지 필름 상에 점착층을 통해 라미네이션된 터치 패널을 포함하며, 상기 터치 패널은 상기 하부 기판에 구비된 연성 인쇄 회로 기판과 도전성 금속 물질을 통해 접속된다.

Description

터치 패널 일체형 유기 발광 다이오드 표시 장치{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DEVICE INTEGRATED TOUCH PANEL}
본 발명은 터치 패널 일체형 유기 발광 다이오드 표시 장치에 관한 것으로, 터치 패널이 일체화되어 두께가 감소되고, 플렉서블한 형태가 구현 가능한 터치 패널 일체형 유기 발광 다이오드 표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
다양한 정보를 화면으로 구현해 주는 영상 표시 장치는 정보 통신 시대의 핵심 기술로 더 얇고 더 가볍고 휴대가 가능하면서도 고성능의 방향으로 발전하고 있다. 이에 음극선관(CRT)의 단점인 무게와 부피를 줄일 수 있는 평판 표시 장치로 유기 발광층의 발광량을 제어하여 영상을 표시하는 유기 발광 다이오드 표시 장치가 각광받고 있다.
유기 발광 다이오드 표시 장치는 전극 사이의 얇은 발광층을 이용한 자발광 소자인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 Emitting Diode: OLED)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종이와 같이 박막화가 가능하다. 유기 발광 다이오드는 기판의 서브 화소 영역마다 형성된 박막 트랜지스터와 접속되는 양극(Anode)인 제 1 전극, 발광층(Emission Layer; EML) 및 음극(Cathode)인 제 2 전극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그리고, 제 1, 제 2 전극에 전압을 인가하면 정공과 전자가 발광층 내에서 재결합하여 엑시톤(Exciton)을 형성하고, 엑시톤이 기저상태로 떨어지며 발광한다.
최근에는 상기와 같은 유기 발광 다이오드 표시 장치에 터치 패널을 부착한 애드-온(Add-On) 방식의 유기 발광 다이오드 표시 장치가 제공되고 있다. 그런데, 상기와 같은 애드-온(Add-On) 방식의 유기 발광 다이오드 표시 장치는 두께가 두꺼워지고, 이에 따라, 유연성이 저하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터치 패널이 일체화되어 두께를 감소시키고, 플렉서블한 형태가 구현 가능한 터치 패널 일체형 유기 발광 다이오드 표시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터치 패널 일체형 유기 발광 다이오드 표시 장치는 하부 기판에 형성된 유기 발광 다이오드 어레이; 상기 유기 발광 다이오드 어레이를 덮도록 형성된 봉지 필름; 및 상기 봉지 필름 상에 점착층을 통해 라미네이션된 터치 패널을 포함하며, 상기 터치 패널은 상기 하부 기판에 구비된 연성 인쇄 회로 기판과 도전성 금속 물질을 통해 접속된다.
상기 봉지 필름은 등방성 또는 위상차 필름이다.
상기 터치 패널은 베이스 필름; 상기 베이스 필름의 상부면에 형성된 복수 개의 X 전극; 및 상기 베이스 필름의 하부면에 형성되며, 상기 X 전극과 교차하도록 형성된 복수 개의 Y 전극을 포함한다.
상기 베이스 필름은 등방성 또는 위상차 필름이다.
상기 봉지 필름의 상부면, 하부면 중 적어도 어느 한면에 보호막이 더 구비된다.
또한, 동일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터치 패널 일체형 유기 발광 다이오드 표시 장치는 하부 기판에 형성된 유기 발광 다이오드 어레이; 상기 유기 발광 다이오드 어레이를 덮도록 형성되는 봉지 필름; 상기 봉지 필름의 하부면에 형성된 복수 개의 X 전극; 및 상기 봉지 필름의 상부면에 형성되며, 상기 X 전극과 교차하도록 형성된 복수 개의 Y 전극을 포함하여 이루어져, 상기 봉지 필름, X 전극 및 Y 전극이 터치 패널을 구성하며, 상기 터치 패널은 상기 하부 기판에 구비된 연성 인쇄 회로 기판과 도전성 금속 물질을 통해 접속된다.
상기 봉지 필름은 등방성 또는 위상차 필름이다.
상기 X 전극을 포함하는 상기 봉지 필름의 하부면, 상기 Y 전극을 포함하는 상기 봉지 필름의 상부면 중 적어도 어느 한면에 보호막이 더 구비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터치 패널 일체형 유기 발광 다이오드 표시 장치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봉지 필름 상에 터치 패널을 부착하고, 터치 패널에 구동 신호를 인가하는 연성 인쇄 회로 기판(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FPCB)을 하부 기판에 구비하고, 하부 기판과 터치 패널을 도전성 금속 물질을 이용하여 접속시킴으로써, 터치 패널 일체형 유기 발광 다이오드 표시 장치를 구현할 수 있다.
둘째, 유기 발광 다이오드 어레이를 덮도록 형성되는 봉지 필름과 터치 패널을 일체화하여, 우수한 터치 성능 및 박형화를 이룰 수 있다.
셋째, 플라스틱 필름으로 하부 기판을 형성하여, 터치 패널 일체형 유기 발광 다이오드의 플렉서블한 형태가 구현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따른 터치 패널 일체형 유기 발광 다이오드 표시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유기 발광 다이오드 어레이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터치 패널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 예에 따른 터치 패널 일체형 유기 발광 다이오드 표시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4의 터치 패널의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터치 패널 일체형 유기 발광 다이오드 표시 장치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 제 1 실시 예 *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따른 터치 패널 일체형 유기 발광 다이오드 표시 장치의 단면도이다. 그리고, 도 2는 도 1의 유기 발광 다이오드 어레이의 단면도이며, 도 3은 도 1의 터치 필름의 단면도이다.
도 1과 같이,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따른 터치 패널 일체형 유기 발광 다이오드 표시 장치는 하부 기판(100a)에 형성된 유기 발광 다이오드 어레이(100), 유기 발광 다이오드 어레이(100)를 덮는 봉지 필름(120) 및 봉지 필름(120) 상에 부착된 터치 패널(140)을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하부 기판(100a)은 플라스틱 필름이다. 상기와 같은 하부 기판(100a)은 폴리에틸렌 나프탈레이트(Polyethylene Naphthalate; PEN),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loyethylene Terephthalate; PET), 폴리에틸렌 에테르프 탈레이트(polyethylene ether phthalate), 폴리 카보네이트(poly carbonate), 폴리 아릴레이트(poly arylate), 폴리에테르 이미드(polyether imide), 폴리에테르 술폰산(polyether sulfonate), 폴리이미드(polyimide), 폴리아크릴레이트(polyacrylate) 등에서 선택된다.
하부 기판(100a) 상에는 유기 발광 다이오드 어레이(100)가 형성된다. 유기 발광 다이오드 어레이(100)는 도 2와 같이, 게이트 전극(101), 게이트 절연막(102), 반도체층(103), 소스 전극(104a) 및 드레인 전극(104b)을 포함하는 박막 트랜지스터 및 제 1 전극(106a), 유기 발광층(108) 및 제 2 전극(106b)을 포함하는 유기 발광 다이오드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구체적으로, 하부 기판(100a) 상에 게이트 전극(101)이 형성되고, 게이트 전극(101)을 덮도록 게이트 절연막(102)이 형성된다. 게이트 절연막(102) 상에는 게이트 전극(101)과 중첩되도록 반도체층(103)이 형성된다. 반도체층(103) 상에는 서로 이격된 소스 전극(104a)과 드레인 전극(104b)이 형성된다.
상기와 같은 박막 트랜지스터를 덮도록 아크릴계 수지 등과 같은 유기막(105)이 형성된다. 유기막(105)은 박막트랜지스터가 형성된 하부 기판(100a)을 평탄화시키기 위한 것이다.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게이트 절연막(102)과 유기막(105) 사이에 산화 실리콘(SiOx) 또는 질화 실리콘(SiNx) 등의 무기막(미도시)이 형성되어 게이트 절연막(102), 소스, 드레인 전극(104a, 104b) 각각과 유기막(105)의 계면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유기막(105) 상에는 유기 발광 다이오드가 형성된다. 유기 발광 다이오드는 차례로 적층된 제 1 전극(106a), 유기 발광층(108) 및 제 2 전극(106b)을 포함한다. 제 1 전극(106a)은 유기막(105) 상에 형성되어, 드레인 전극(104b)과 접속된다. 그리고, 제 1 전극(106a) 상에 제 1 전극(106a)의 일부 영역을 노출시키는 뱅크 절연막(107)이 형성되어, 유기 발광 다이오드의 발광 영역을 정의함과 동시에 인접한 유기 발광 다이오드를 구분한다. 그리고, 노출된 제 1 전극(106a) 상에 유기 발광층(108)이 형성되고, 유기 발광층(108)을 덮도록 제 2 전극(106b)이 형성된다.
상기와 같은 유기 발광 다이오드는 제 1, 제 2 전극(106a, 106b)에 전압을 인가하면 정공과 전자가 유기 발광층(108) 내에서 재결합하여 엑시톤(Exciton)을 형성하고, 엑시톤이 기저상태로 떨어지며 발광한다.
특히, 유기 발광 다이오드는 수분 및 산소에 취약하므로, 유기 발광 다이오드 어레이(100) 상에 제 1 점착층(130a)을 통해 봉지 필름(120)이 부착된다. 제 1 점착층(130a)은 아크릴(Acrylic)계 감압성 점착제, 올레핀(Olefin)계 감압성 점착제, 실리콘(Silicone)계 감압성 점착제 중에서 선택된 물질로 형성된다. 제 1 점착층(130a)은 낮은 수분 투습도를 가지며, 10g/m2·day 이하의 수분 투습도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 1 점착층(130a)은 50㎛ 내지 100㎛의 두께로 형성되며, 3 이하의 낮은 유전율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봉지 필름(120)은 등방성 또는 위상차 성질을 갖는 사이클로 올레핀 코폴리머(Cyclic Olefin Copolymer; COC), 사이클로 올레핀 폴리머(Cyclic Olefin Polymer; COP), 폴리 카보네이트(Poly Carbonate; PC),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olyEthylene Terephthalate: PET), 폴리에틸렌 나프탈레이트(PolyEthylene Naphthalate: PEN) 등으로 형성된다. 이 때, 봉지 필름(120)은 10-1g/m2·day 이하의 수분 투습도를 갖는다.
그리고, 봉지 필름(120)의 상부면, 하부면 중 적어도 어느 한면에 보호막(미도시)이 형성된다. 보호막(미도시)은 SiOx, SiNx, SiC, SiON, SiOC, SiONC 및 a-C(Amorphous Cabon) 등과 같은 무기 절연 물질 또는 아크릴레이트, 에폭시계 폴리머, 이미드계 폴리머 등과 같은 유기 절연 물질로 형성되거나, 무기 절연 물질과 유기 절연 물질이 적층된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보호막(미도시)은 50㎛ 내지 75㎛ 두께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봉지 필름(120) 상에는 제 2 점착층(130b)을 사이에 두고 터치 패널(140)이 부착된다. 터치 패널(140)은 터치 패널(140)의 하부면에 제 2 점착층(130b)이 형성되고, 제 2 점착층(130b)이 봉지 필름(120) 상부면에 라미네이션된 구조이다.
제 2 점착층(130b)은 아크릴(Acrylic)계 감압성 점착제, 올레핀(Olefin)계 감압성 점착제, 실리콘(Silicone)계 감압성 점착제 중에서 선택된 물질로 형성된다. 그리고, 제 2 점착층(130b)의 수분 투습도, 두께 및 유전율은 제 1 점착층(130a)과 동일하거나 상이할 수 있다.
터치 패널(140)은 도 3과 같이, 베이스 필름(141), 베이스 필름(141) 하부면에 일 방향으로 일정 간격 이격 형성된 복수 개의 X 전극(142a) 및 베이스 필름(141) 상부면에 X 전극(142a)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일정 간격 이격 형성된 복수 개의 Y 전극(142b)을 포함한다. 상기와 같은 터치 패널(140)은 정전용량 방식으로 구동된다.
이 때, 베이스 필름(141)은 등방성 또는 위상차 성질을 갖는 사이클로 올레핀 코폴리머(Cyclic Olefin Copolymer; COC), 사이클로 올레핀 폴리머(Cyclic Olefin Polymer; COP), 폴리 카보네이트(Poly Carbonate; PC),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olyEthylene Terephthalate: PET), 폴리에틸렌 나프탈레이트(PolyEthylene Naphthalate: PEN) 등으로 형성된다.
베이스 필름(141)이 위상차 필름인 경우, 베이스 필름(141)의 위상차는 121㎚ 내지 148㎚이며, 이 때, 베이스 필름(141)의 두께는 50㎛ 내지 100㎛인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베이스 필름(141)이 등방성 필름인 경우, 베이스 필름(141)의 위상차는 0㎚ 내지 3㎚이며, 이 때, 베이스 필름(141)의 두께는 50㎛ 내지 100㎛인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X 전극(142a), Y 전극(142b)은 롤투롤(Roll to Roll) 스퍼터 방식을 이용하여 베이스 필름(141) 상에 투명 도전성 물질을 코팅하여 형성된다. 투명 도전성 물질은 ITO(Indium Tin Oxide), IZO(Indium zinc Oxide), ITZO(Indium Tin Zinc Oxide) 등과 같다. X 전극(142a), Y 전극(142b) 중 하나는 전압이 인가되는 드라이빙(driving) 전극이며, 나머지 하나는 전압 신호를 검출하는 센싱(sensing) 전극으로 기능을 한다.
특히, X 전극(142a), Y 전극(142b)이 200Ω/A 이하의 면저항 특성을 갖는 ITO로 형성되는 경우, X 전극(142a), Y 전극(142b)은 수백㎚의 두께를 갖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X 전극(142a), Y 전극(142b)이 100Ω/A 이하의 면저항 특성을 갖는 IZO로 형성되는 경우에도, X 전극(142a), Y 전극(142b)은 수백㎚의 두께를 갖도록 형성된다. X 전극(142a) 및 Y 전극(142b) 상에는 구리(Cu)와 같이 1Ω/A 이하의 낮은 면저항을 갖는 금속이 수천㎚로 코팅되어, X 전극(142a) 및 Y 전극(142b)에 구동 신호를 인가한다.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X 전극(142a) 및 Y 전극(142b)에 구동 신호를 인가하는 연성 인쇄 회로 기판(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FPCB)은 하부 기판(100a)에 구비되며, 하부 기판(100a)에 형성된 하부 접속 패드와, 터치 패널(140)의 베이스 필름(141)에 구비된 상부 접속 패드가 도전성 금속 물질을 통해 접속된다. 이 때, 도전성 금속 물질은 이방성 도전 페이스트(Anisotropic Conductive Paste; ACP), 이방성 도전 필름(Anisotropic Conductive Film; ACF) 등과 같은 물질이다.
상기와 같은 터치 패널(140) 상에는 편광 필름(150)이 부착된다. 편광 필름(150)은 선편광(Linear) 필름 또는 원편광(Circular) 필름이다. 예를 들어, 봉지 필름(120) 또는 터치 패널(140)의 베이스 필름(141)이 위상차 필름인 경우, 편광 필름(150)은 선편광 필름이다. 그리고, 봉지 필름(120)과 터치 패널(140)의 베이스 필름(141)이 모두 위상차 필름인 경우, 봉지 필름(120), 터치 패널(140)의 베이스 필름(141) 중 하나는 λ/4 위상차를 가지며, 나머지 하나는 λ/2 위상차를 갖는다. 이 경우, 편광 필름(150)은 선편광 필름이다. 반대로, 봉지 필름(120)과 터치 패널(140)의 베이스 필름(141)이 모두 등방성 필름인 경우, 편광 필름(150)은 원편광 필름이다.
상기와 같은 편광 필름(150) 상에는 광학용 투명 접착제(Optically Clear Adhesive; OCA)(160)를 통해 커버 필름(170)이 부착된다.
그리고, 하부 기판(100a) 배면에 제 3 점착층(130c)를 통해 바텀 필름(110)이 부착된다. 이 때, 제 3 점착층(130c)의 수분 투습도, 두께 및 유전율은 제 1 점착층(130a)과 동일하거나 상이할 수 있다.
바텀 필름(110)의 두께는 50㎚ 내지 100㎚인 것이 바람직하다. 바텀 필름(110)은 이방성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olyEthylene Terephthalate: PET), 폴리에틸렌 나프탈레이트(PolyEthylene Naphthalate: PEN), 폴리 카보네이트(Poly Carbonate; PC) 중 선택된 물질로 형성되거나, 등방성 사이클로 올레핀 코폴리머(Cyclic Olefin Copolymer; COC) 또는 등방성 사이클로 올레핀 폴리머(Cyclic Olefin Polymer; COP)로 형성된다.
그리고, 제 3 점착층(130c)과 접하는 하부 기판(100a)의 하부면에 유기 절연 물질, 무기 절연 물질을 포함하는 보호막(미도시)이 코팅될 수 있다. 특히, 제 3 점착층(130c)은 바륨 옥사이드(BaO) 또는 칼슘 옥사이드(CaO)로 형성된 흡습제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외부의 수분이 하부 기판(100a)을 통해 유기 발광 다이오드 어레이(100)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따른 터치 패널 일체형 유기 발광 다이오드 표시 장치는 상술한 애드-온(Add-On) 방식으로 유기 발광 다이오드 어레이에 터치 패널을 부착하는 대신, 봉지 필름(120) 상에 터치 패널(140)을 부착한다. 그리고, 터치 패널(140)에 구동 신호를 인가하는 연성 인쇄 회로 기판(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FPCB)을 하부 기판(100a)에 구비하고, 하부 기판(100a)과 터치 패널(140)을 도전성 금속 물질을 이용하여 접속시킴으로써, 터치 패널 일체형 유기 발광 다이오드 표시 장치를 구현할 수 있다. 더욱이, 플라스틱 필름으로 하부 기판(100a)을 형성하여, 터치 패널 일체형 유기 발광 다이오드의 플렉서블한 형태가 구현 가능하다.
이하, 청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 2 실시 예에 따른 터치 패널 일체형 유기 발광 다이오드 표시 장치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 제 2 실시 예 *
도 4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 예에 따른 터치 패널 일체형 유기 발광 다이오드 표시 장치의 단면도이며, 도 5는 도 4의 터치 패널의 단면도이다.
도 4 및 도 5와 같이, 본 발명의 제 2 실시 예에 따른 터치 패널 일체형 유기 발광 다이오드 표시 장치는 하부 기판(200a)에 형성된 유기 발광 다이오드 어레이(200) 및 유기 발광 다이오드 어레이(200)를 덮도록 형성된 터치 패널(240)을 포함한다.
하부 기판(200a)은 폴리에틸렌 나프탈레이트(Polyethylene Naphthalate; PEN),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loyethylene Terephthalate; PET), 폴리에틸렌 에테르프 탈레이트(polyethylene ether phthalate), 폴리 카보네이트(poly carbonate), 폴리 아릴레이트(poly arylate), 폴리에테르 이미드(polyether imide), 폴리에테르 술폰산(polyether sulfonate), 폴리이미드(polyimide), 폴리아크릴레이트(polyacrylate) 등과 같은 플라스틱 필름이다. 그리고, 하부 기판(200a) 상에 형성된 유기 발광 다이오드 어레이(200)는 박막 트랜지스터 및 박막 트랜지스터와 접속된 유기 발광 다이오드를 포함한다.
유기 발광 다이오드 어레이(200)는 수분 및 산소에 취약하므로, 유기 발광 다이오드 어레이(200) 상에 봉지 필름(241)을 구비한다. 그리고, 봉지 필름(210)의 하부면 및 상부면에 각각X 전극(242a) 및 Y 전극(242b)을 구비하여, 터치 패널(240)이 형성된다.
즉, 본 발명의 제 2 실시 예에 따른 터치 패널 일체형 유기 발광 다이오드 표시 장치는 봉지 필름과 터치 패널의 필름을 따로 구비하는 것이 아니라, 터치 패널(240)의 베이스 필름으로 유기 발광 다이오드 오레이(200)의 봉지 필름(241)을 이용하여 X 전극(242a) 및 Y 전극(242b)이 봉지 필름(241)의 상부면 및 하부면에 형성된다. 따라서, 터치 패널(240)이 유기 발광 다이오드 어레이(200)에 수분 및 산소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구체적으로, 봉지 필름(241)은 등방성 또는 위상차 성질을 갖는 사이클로 올레핀 코폴리머(Cyclic Olefin Copolymer; COC), 사이클로 올레핀 폴리머(Cyclic Olefin Polymer; COP), 폴리 카보네이트(Poly Carbonate; PC),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olyEthylene Terephthalate: PET), 폴리에틸렌 나프탈레이트(PolyEthylene Naphthalate: PEN) 등으로 형성된다.
봉지 필름(241)이 위상차 필름인 경우, 봉지 필름(241)의 위상차는 121㎚ 내지 148㎚이며, 이 때, 봉지 필름(241)의 두께는 50㎛ 내지 100㎛인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봉지 필름(241)이 등방성 필름인 경우, 봉지 필름(241)의 위상차는 0㎚ 내지 3㎚이며, 이 때, 봉지 필름(241)의 두께는 50㎛ 내지 100㎛인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봉지 필름(241)의 하부면에 일 방향으로 일정 간격 이격 형성된 복수 개의 X 전극(242a)이 구비되고, 봉지 필름(241) 상부면에 X 전극(242a)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일정 간격 이격 형성된 복수 개의 Y 전극(242b)을 포함한다. X 전극(242a), Y 전극(242b)은 롤투롤(Roll to Roll) 스퍼터 방식에 의해 필름에 ITO(Indium Tin Oxide), IZO(Indium zinc Oxide), ITZO(Indium Tin Zinc Oxide) 등과 같은 투명 도전성 물질을 코팅하여 형성된다. X 전극(242a), Y 전극(242b) 중 하나는 전압이 인가되는 드라이빙(driving)전극이며, 나머지 하나는 전압 신호를 검출하는 센싱(sensing)전극으로 기능을 한다.
특히, X 전극(242a)을 포함하는 봉지 필름(241)의 하부면, Y 전극(242b)을 포함하는 봉지 필름(241)의 상부면 중 적어도 어느 한면에 보호막(미도시)이 코팅된다. 보호막(미도시)은 SiOx, SiNx, SiC, SiON, SiOC, SiONC 및 a-C(Amorphous Cabon) 등과 같은 무기 절연 물질 또는 아크릴레이트, 에폭시계 폴리머, 이미드계 폴리머 등과 같은 유기 절연 물질로 형성되거나, 무기 절연 물질과 유기 절연 물질이 적층된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보호막(미도시)은 50㎛ 내지 75㎛ 두께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X 전극(242a) 및 Y 전극(242b)에 구동 신호를 인가하는 연성 인쇄 회로 기판(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FPCB)은 하부 기판(200a)에 구비되며, 하부 기판(200a)에 형성된 하부 접속 패드와, 터치 패널(240)의 봉지 필름(241)에 구비된 상부 접속 패드가 도전성 금속 물질을 통해 접속된다. 이 때, 도전성 금속 물질은 이방성 도전 페이스트(Anisotropic Conductive Paste; ACP), 이방성 도전 필름(Anisotropic Conductive Film; ACF) 등과 같은 물질이다.
그리고, 상기와 같은 터치 패널(240) 상에 편광 필름(250)이 부착된다. 편광 필름(250)은 선편광(Linear) 필름 또는 원편광(Circular) 필름이다. 예를 들어, 터치 패널(240)의 봉지 필름(241)이 위상차 필름인 경우, 편광 필름(250)은 선편광 필름이다. 그리고, 터치 패널(240)의 봉지 필름(241)이 등방성 필름인 경우, 편광 필름(250)은 원편광 필름이다.
상기와 같은 편광 필름(250) 상에는 광학용 투명 접착제(Optically Clear Adhesive; OCA)(260)를 통해 커버 필름(270)이 부착된다.
그리고, 하부 기판(200a) 배면에도 제 2 점착층(230b)를 통해 바텀 필름(210)이 부착된다. 바텀 필름(210)의 두께는 50㎚ 내지 100㎚인 것이 바람직하다. 바텀 필름(210)은 이방성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olyEthylene Terephthalate: PET), 폴리에틸렌 나프탈레이트(PolyEthylene Naphthalate: PEN), 폴리 카보네이트(Poly Carbonate; PC) 중 선택된 물질로 형성되거나, 등방성 사이클로 올레핀 코폴리머(Cyclic Olefin Copolymer; COC) 또는 등방성 사이클로 올레핀 폴리머(Cyclic Olefin Polymer; COP)로 형성된다.
그리고, 제 2 점착층(230b)과 접하는 바텀 필름(210)의 상부면에 유기 절연 물질, 무기 절연 물질을 포함하는 보호막(미도시)이 코팅될 수 있다. 특히, 제 2 점착층(230b)은 바륨 옥사이드(BaO) 또는 칼슘 옥사이드(CaO)로 형성된 흡습제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외부의 수분이 하부 기판(200a)을 통해 유기 발광 다이오드 어레이(200)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즉,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 예에 따른 터치 패널 일체형 유기 발광 다이오드 표시 장치는 유기 발광 다이오드 어레이(210)를 덮도록 형성되는 봉지 필름(241)의 상, 하부면에 X 전극(242a) 및 Y 전극(242b)을 형성하여 터치 패널(240)을 형성함으로써, 우수한 터치 성능 및 박형화를 이룰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 예 및 첨부된 도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100, 200: 유기 발광 다이오드 어레이 100a, 200a: 하부 기판
101: 게이트 전극 110, 210: 바텀 필름
120: 게이트 절연막 103: 반도체층
104a: 소스 전극 104b: 드레인 전극
105: 유기막 106a: 제 1 전극
106b: 제 2 전극 107: 뱅크 절연막
108: 유기 발광층 120, 241: 봉지 필름
130a, 230a: 제 1 점착층 130b, 230b: 제 2 점착층
130c: 제 3 점착층 140, 240: 터치 패널
141: 베이스 필름 142a, 242a: X 전극
142b, 242b: Y 전극 150, 250: 편광 필름
160, 260: 접착제 170, 270: 커버 필름

Claims (8)

  1. 하부 기판에 형성된 유기 발광 다이오드 어레이;
    상기 유기 발광 다이오드 어레이를 덮도록 형성된 봉지 필름; 및
    상기 봉지 필름 상에 점착층을 통해 라미네이션된 터치 패널을 포함하며,
    상기 터치 패널은 상기 하부 기판에 구비된 연성 인쇄 회로 기판과 도전성 금속 물질을 통해 접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패널 일체형 유기 발광 다이오드 표시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봉지 필름은 등방성 또는 위상차 필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패널 일체형 유기 발광 다이오드 표시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 패널은 베이스 필름;
    상기 베이스 필름의 상부면에 형성된 복수 개의 X 전극; 및
    상기 베이스 필름의 하부면에 형성되며, 상기 X 전극과 교차하도록 형성된 복수 개의 Y 전극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패널 일체형 유기 발광 다이오드 표시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필름은 등방성 또는 위상차 필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패널 일체형 유기 발광 다이오드 표시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봉지 필름의 상부면, 하부면 중 적어도 어느 한면에 보호막이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패널 일체형 유기 발광 다이오드 표시 장치.
  6. 하부 기판에 형성된 유기 발광 다이오드 어레이;
    상기 유기 발광 다이오드 어레이를 덮도록 형성되는 봉지 필름;
    상기 봉지 필름의 하부면에 형성된 복수 개의 X 전극; 및
    상기 봉지 필름의 상부면에 형성되며, 상기 X 전극과 교차하도록 형성된 복수 개의 Y 전극을 포함하여 이루어져,
    상기 봉지 필름, X 전극 및 Y 전극이 터치 패널을 구성하며,
    상기 터치 패널은 상기 하부 기판에 구비된 연성 인쇄 회로 기판과 도전성 금속 물질을 통해 접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패널 일체형 유기 발광 다이오드 표시 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봉지 필름은 등방성 또는 위상차 필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패널 일체형 유기 발광 다이오드 표시 장치.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X 전극을 포함하는 상기 봉지 필름의 하부면, 상기 Y 전극을 포함하는 상기 봉지 필름의 상부면 중 적어도 어느 한면에 보호막이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패널 일체형 유기 발광 다이오드 표시 장치.
KR1020120156253A 2012-12-28 2012-12-28 터치 패널 일체형 유기 발광 다이오드 표시 장치 KR2014008613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56253A KR20140086134A (ko) 2012-12-28 2012-12-28 터치 패널 일체형 유기 발광 다이오드 표시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56253A KR20140086134A (ko) 2012-12-28 2012-12-28 터치 패널 일체형 유기 발광 다이오드 표시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86134A true KR20140086134A (ko) 2014-07-08

Family

ID=517354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56253A KR20140086134A (ko) 2012-12-28 2012-12-28 터치 패널 일체형 유기 발광 다이오드 표시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086134A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96788A (ko) * 2015-02-05 2016-08-17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KR20190108794A (ko) 2018-03-15 2019-09-25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스트레쳐블 전자 소자의 제조 방법
KR20200015290A (ko) 2018-08-03 2020-02-12 한국화학연구원 복합형 전지 구조체
KR20220026563A (ko) * 2020-08-27 2022-03-04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플렉서블 표시 장치
US11693272B2 (en) 2016-11-28 2023-07-04 Samsung Display Co., Ltd. Flexible display apparatus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96788A (ko) * 2015-02-05 2016-08-17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US11693272B2 (en) 2016-11-28 2023-07-04 Samsung Display Co., Ltd. Flexible display apparatus
KR20190108794A (ko) 2018-03-15 2019-09-25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스트레쳐블 전자 소자의 제조 방법
KR20200015290A (ko) 2018-08-03 2020-02-12 한국화학연구원 복합형 전지 구조체
KR20220026563A (ko) * 2020-08-27 2022-03-04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플렉서블 표시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418432B2 (en) Display panel, method for making display panel, and electronec device
KR101992899B1 (ko) 터치 패널 내장형 유기 발광 다이오드 표시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CN103904097B (zh) 包括触摸面板的有机发光二极管显示装置
KR102411328B1 (ko) 표시 장치
US10402001B2 (en) Electronic device having force touch function
KR20180058165A (ko) 플랙서블 표시 장치
US11515503B2 (en) Flexible display device
CN109271063A (zh) 显示装置
KR20150075688A (ko) 터치스크린을 구비한 유기전계 발광소자 및 이의 제조 방법
KR20160025152A (ko) 보호 구조물 및 보호 구조물을 포함하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
KR20140086134A (ko) 터치 패널 일체형 유기 발광 다이오드 표시 장치
KR20140128149A (ko) 터치 타입 유기발광 디스플레이 장치
US10061463B2 (en) Touch panel and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KR20210050235A (ko) 플렉서블 표시 장치
KR20210083970A (ko) 플렉서블 표시 장치
KR20240037224A (ko) 유기발광 표시장치
KR102067236B1 (ko)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
KR20190052327A (ko) 표시장치
CN112667107A (zh) 显示面板及显示装置
KR20180121256A (ko) 폴더블 표시장치
KR20210083903A (ko) 플렉서블 표시 장치
KR102585982B1 (ko) 유기발광 표시장치 및 제조방법
KR20210081953A (ko) 플렉서블 표시 장치
KR20210086029A (ko) 플렉서블 표시 장치
KR20210049326A (ko) 플렉서블 표시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