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84669A - 워크롤의 와이퍼 장치 - Google Patents

워크롤의 와이퍼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84669A
KR20140084669A KR1020120154357A KR20120154357A KR20140084669A KR 20140084669 A KR20140084669 A KR 20140084669A KR 1020120154357 A KR1020120154357 A KR 1020120154357A KR 20120154357 A KR20120154357 A KR 20120154357A KR 20140084669 A KR20140084669 A KR 2014008466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ll
wiper
work roll
sleeve member
cooling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543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82351B1 (ko
Inventor
박재봉
윤영배
홍재훈
황광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201201543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82351B1/ko
Publication of KR201400846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8466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823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8235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28/00Maintaining rolls or rolling equipment in effective condition
    • B21B28/02Maintaining rolls in effective condition, e.g. recondition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1/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tools
    • B08B1/1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tool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leaning tool
    • B08B1/14Wipes; Absorbent members, e.g. swabs or sponges
    • B08B1/143Wip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27/00Rolls, roll alloys or roll fabrication; Lubricating, cooling or heating rolls while in use
    • B21B27/06Lubricating, cooling or heating rolls
    • B21B27/08Lubricating, cooling or heating rolls internal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27/00Rolls, roll alloys or roll fabrication; Lubricating, cooling or heating rolls while in use
    • B21B27/06Lubricating, cooling or heating rolls
    • B21B27/08Lubricating, cooling or heating rolls internally
    • B21B2027/083Lubricating, cooling or heating rolls internally cooling internal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2203/00Auxiliary arrangements, devices or methods in combination with rolling mills or rolling methods
    • B21B2203/18Rolls or roll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t Treatment Of Strip Materials And Filament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워크롤의 적어도 일측에서 냉각헤더와 스트립 이송경로 사이에 배치되는 지지프레임과 상기 지지프레임의 일측 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고 워크롤에 밀착되며, 냉각헤더에서 워크롤로 분사된 냉각수가 스트립에 유출되는 것을 차단토록 제공되는 와이퍼롤 및 상기 와이퍼롤의 둘레를 따라 설치되어 워크롤과 상기 와이퍼롤을 밀착시키며, 워크롤에서 상기 와이퍼롤로 전달되는 열을 차단시키는 슬리브부재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의하면 워크롤로부터 전달되는 고열로부터 와이퍼롤을 보호할 수 있으며, 워크롤과의 밀착력을 향상시킬 수 있음은 물론, 워크롤과 스트립의 마찰을 줄여 워크롤 자체의 마모율을 감소시킬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Description

워크롤의 와이퍼 장치{Apparatus for wiping work roll}
본 발명은 워크롤의 와이퍼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와이퍼롤 구조에 관해, 워크롤에 밀착되는 와이퍼롤의 열상 변형 방지 또는 워크롤의 마모율을 감소시키도록 구성된 워크롤의 와이퍼 장치에 관한 것이다.
제철설비상의 압연기는 스트립을 원하는 두께로 조절하는 장치이다. 이러한 압연기는 기본적으로 상하에 한 쌍으로 배치된 백업롤과 상기 백업롤과 연동되며 직접 스트립에 접촉되어 회전하는 한 쌍의 워크롤로 구성되어 있다.
그런데 가열로에서 추출된 스트립은 고온을 형성하므로, 압연과정 중에 스트립에 접촉되는 워크롤은 가열되게 된다. 장시간 스트립을 압연하게 되면 워크롤에 열손이 발생되게 되는데, 이를 방지하기 위해 냉각헤더에서 워크롤로 냉각수를 분사하게 된다.
이때 워크롤로 분사되는 냉각수가 스트립의 표면에 낙수되게 되면, 스트립의 표면에 얼룩이 발생되거나, 스트립의 폭 방향 온도편차를 발생시켜 스트립의 품질을 저하시키게 된다.
따라서 도 1에서와 같이 워크롤의 와이퍼 장치를 이용하여 냉각수가 스트립(S)에 낙수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즉 압연기 설비에 일축이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지지프레임(4)의 선단부에 와이퍼 블레이드(5)가 장착되고, 와이퍼 블레이드(5)는 워크롤(2)의 표면에 밀착되며 냉각수가 낙수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와이퍼 블레이드(5)의 상부에 체류되는 냉각수는 와이퍼 블레이드(5)의 양측 방향으로 배출되게 된다.
물론 도면으로 나타내지는 않았으나, 지지프레임(4)에 와이퍼롤(미도시)이 장착되는 경우에는 워크롤(2)의 표면에 밀착되어 함께 회전하며 냉각수의 낙수를 방지하게 된다. 이때 와이퍼 블레이드(5) 또는 와이퍼롤(미도시)은 상부에 체류하는 냉각수에 의해 냉각되게 된다.
그런데 이러한 방식은 냉각헤더(3)에서 분사되는 냉각수를 이용하여 간접적인 냉각방식이므로 적당한 정도의 냉각을 구현할 수 없어, 스트립(S)으로부터 방출되는 열에 와이퍼 블레이드(5) 또는 와이퍼롤(미도시)이 장시간 노출되는 경우 변형이 발생되어 회전이 원활하지 않게 되거나, 밀착되지 않는 경우가 발생된다. 이는 결과적으로 와이퍼 블레이드(5) 또는 와이퍼롤(미도시)이 재기능을 수행하지 못하게 되므로 스트립(S)에 냉각수 낙수가 발생되고 스트립(S)의 품질은 저하되는 원인이 된다.
또한 다시 도 1를 참고하면 워크롤(2)과 스트립(S)간의 압연과정에서 마찰을 감소시키기 위해 지지프레임(4)의 일부에는 압연유 분사노즐(6)이 장착되어 있다. 압연유가 분사되게 된다면 스트립(S)에 접촉된 워크롤(2)의 움직임은 더욱 부드러워지게 되므로, 스트립(S)을 보다 원활하게 압연할 수 있게 된다.
다만, 종래의 분사노즐(6)을 이용한 압연유 공급방식은 워크롤(2)의 길이방향 전체에 균일하게 분사하지 못하므로 워크롤(2)과 스트립(S)간의 압연과정 중에 국부적으로 마찰계수가 달라져 스트립(S)이 틀어지는 문제가 발생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서 제안된 것으로서, 특히 와이퍼롤 구조에 관해, 워크롤로부터 전달되는 고열로부터 와이퍼롤을 보호할 수 있으며, 워크롤과의 밀착력을 향상시킬 수 있음은 물론, 워크롤과 스트립의 마찰을 줄여 워크롤 자체의 마모율을 감소시킬 수 있는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다음과 같은 워크롤의 와이퍼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워크롤의 적어도 일측에서 냉각헤더와 스트립 이송경로 사이에 배치되는 지지프레임과 상기 지지프레임의 일측 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고 워크롤에 밀착되며, 냉각헤더에서 워크롤로 분사된 냉각수가 스트립에 유출되는 것을 차단토록 제공되는 와이퍼롤 및 상기 와이퍼롤의 둘레를 따라 설치되어 워크롤에 밀착되며, 워크롤에서 상기 와이퍼롤로 전달되는 열을 차단시키는 슬리브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와이퍼롤은, 워크롤에 대응되는 길이를 가지는 원통형의 장치몸체 및 상기 장치몸체를 냉각토록, 외부의 냉각수 공급부와 연결되며 상기 장치몸체의 중앙부에 길이방향으로 배치되는 중심유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와이퍼롤은, 상기 장치몸체의 외측 둘레로 냉각수를 공급토록, 상기 장치몸체의 내부에서 상기 중심유로에 연결되며 방사형으로 배치되는 복수개의 분기유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와이퍼롤은, 상기 장치몸체의 외측 둘레로 공급된 냉각수가 상기 슬리브부재로 분출되도록, 상기 분기유로와 연결되며 상기 장치몸체의 길이 방향으로 배치되는 분출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워크롤의 적어도 일측에서 냉각헤더와 스트립 이송경로 사이에 배치되는 지지프레임과 상기 지지프레임의 일측 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고 워크롤에 밀착되며, 냉각헤더에서 워크롤로 분사된 냉각수가 스트립에 유출되는 것을 차단토록 제공되는 와이퍼롤 및 상기 와이퍼롤의 둘레를 따라 설치되어 워크롤에 밀착되며, 워크롤과 스트립의 접촉면 마찰을 완화토록 제공되는 슬리브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와이퍼롤은, 워크롤에 대응되는 길이를 가지는 내측롤몸체와 상기 내측롤몸체의 외측 둘레에 설치되며, 상기 슬리브부재가 연결되는 외측롤몸체 및 상기 내측롤몸체 및 외측롤몸체를 냉각토록, 외부의 냉각수 공급부와 연결되며 상기 내측롤몸체의 중앙부에 길이방향으로 배치되는 중심유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와이퍼롤 내부에 배치되며, 상기 슬리브부재에 압연유를 공급토록 제공되는 압연유 공급수단을 더 포함하되, 상기 압연유 공급수단은, 상기 내측롤몸체와 상기 외측롤몸체간에 형성되는 압연유 유로와 상기 압연유 유로와 연결되며, 상기 외측롤몸체에서 방사방향으로 복수개로 배치되는 분기유로 및 상기 외측롤몸체에 길이방향으로 배치되고 복수개의 상기 분기유로와 일체로 연결되며, 압연유가 상기 슬리브부재로 분출되도록 제공되는 분출홈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슬리브부재가 상기 외측롤몸체에 고정되도록, 상기 외측롤몸체에 설치되는 복수개의 고정돌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슬리브부재는 유체가 함유되는 압축섬유 재질일 수 있으며, 상기 장치몸체 또는 상기 외측롤몸체에 억지 끼움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슬리브부재는 유체를 함유하여 상기 분출홈 내측으로 팽창되어, 상기 슬리브부재는 워크롤이 밀착되어 회전할 때 슬립 현상이 방지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워크롤의 와이퍼 장치에 의한 일 실시예에서는 냉각수가 와이퍼롤의 중심부에서 방사방향으로 분사되고, 최종적으로 슬리브부재에 함유되도록 하여 워크롤로부터 전달되는 고열로부터 와이퍼롤을 보호함은 물론, 슬리브부재를 통해 워크롤과의 밀착력을 향상시킬 수 있어, 냉각헤더에서 분사되는 냉각수가 스트립에 낙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인 워크롤의 와이퍼 장치에 의한 다른 실시예에서는 냉각수가 와이퍼롤의 중심부를 흘러 워크롤의 고열로부터 와이퍼롤의 열손을 방지할 수 있으며, 와이퍼롤의 외측 둘레를 따라 압연유가 방사방향으로 슬리브부재로 유입되도록 하여, 워크롤과 스트립간의 압연 과정 중의 마찰을 줄여 결과적으로 워크롤의 마모율을 감소시킬 수 있다.
궁극적으로 냉각헤더에서 분사되는 냉각수가 스트립으로 낙하되는 차단할 수 있어 스트립의 품질을 유지할 수 있음과 동시에 와이퍼롤 또는 워크롤 자체의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다.
도 1은 종래 워크롤의 와이퍼 장치에 대한 측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인 워크롤의 와이퍼 장치가 압연기에 배치된 구성도이다.
도 3a은 본 발명인 워크롤의 와이퍼 장치에 의한 일 실시예가 도시된 평단면도이다.
도 3b 및 도 3c는 도 3a에 도시된 발명에 대한 사시단면도이다.
도 3a에 도시된 발명에 대한 측단면도이다.
도 4a은 본 발명인 워크롤의 와이퍼 장치에 의한 다른 실시예가 도시된 평단면도이다.
도 4b 및 도 4c는 도 4a에 도시된 발명에 대한 사시단면도이다.
도 4a에 도시된 발명에 대한 측단면도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특징들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하여,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와 관련된 워크롤의 와이퍼 장치에 대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하겠다.
이하 설명되는 실시예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첨부된 도면에 기재된 부호에 있어서, 각 실시예에서 동일한 작용을 하게 되는 구성요소 중 관련된 구성요소는 동일 또는 연장 선상의 숫자로 표기하였다.
본 발명과 관련된 실시예들은 기본적으로, 워크롤로부터 전달되는 고열로부터 와이퍼롤을 보호할 수 있으며, 워크롤과의 밀착력을 향상시킬 수 있음은 물론, 워크롤과 스트립의 마찰을 줄여 워크롤 자체의 마모율을 감소시킬 수 있는 것을 기초로 한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2는 본 발명인 워크롤의 와이퍼 장치가 압연기에 배치된 구성도이다. 그리고 도 3a은 본 발명인 워크롤의 와이퍼 장치에 의한 일 실시예가 도시된 평단면도이고, 도 3b 및 도 3c는 도 3a에 도시된 발명에 대한 사시단면도이고, 도 3a에 도시된 발명에 대한 측단면도이다.
도 2 내지 도 3d를 참고하면, 본 발명인 워크롤 와이퍼 장치의 일 실시예는 워크롤(2)의 적어도 일측에서 냉각헤더(3)와 스트립(S) 이송경로 사이에 배치되는 지지프레임(20)과 상기 지지프레임(20)의 일측 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고 워크롤(2)에 밀착되며, 냉각헤더(3)에서 워크롤(2)로 분사된 냉각수가 스트립(S)에 유출되는 것을 차단토록 제공되는 와이퍼롤(30) 및 상기 와이퍼롤(30)의 둘레를 따라 설치되어 워크롤(2)에 밀착되며, 워크롤(2)에서 상기 와이퍼롤(30)로 전달되는 열을 차단시키는 슬리브부재(40)(4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지지프레임(20)은 도면으로 나타내지는 않았으나, 워크롤(2)이 설치된 압연기 설비에 일축이 회전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지지프레임(20)은 회전에 의해 워크롤(2)의 표면에 밀착되거나 또는 분리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지지프레임(20)은 압연기 설비상에서 냉각헤더(3)와 스트립(S) 이송경로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워크롤(2)이 스트립(S)을 압연함에 따라 스트립(S)으로부터 전달받는 열에 의한 손상을 방지하기 위해 냉각헤더(3)에서 워크롤(2)로 냉각수를 분사하게 되는데, 이 냉각수가 스트립(S)의 표면에 낙수되면, 경우에 따라서는 스트립(S)의 표면에 얼룩이 발생시키거나 또는 국부적인 온도편차 등을 일으켜 스트립(S)의 품질이 저하시키게 된다.
따라서 이를 방지하기 위해 상기 지지프레임(20)의 몸체부(21)에 연결된 선단부(23)에는 상기 와이퍼롤(30)이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어, 워크롤(2)의 표면에 밀착되고 함께 회전하며 냉각헤더(3)에서 분사된 냉각수가 스트립(S)으로 낙수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상기 와이퍼롤(30)의 상부에는 상기 지지프레임(20)에 연결되는 커버(25)가 장착될 수 있다. 상기 커버(25)는 상기 와이퍼롤(30)의 이물을 제거할 뿐만 아니라, 냉각헤더(2)에서 분사된 냉각수가 직접 낙하되는 것을 방지한다.
그리고 상기 지지프레임(20)은 워크롤(2)의 적어도 일측에 배치될 수 있으나, 상기와 같이 냉각수가 스트립(S)으로 낙수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부 워크롤(2)의 양측에 한 쌍으로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또한 하부 워크롤(2)에서도 냉각헤더(3)에서 분사된 냉각수가 스트립(S)으로 침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양측에 한 쌍으로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또한 상기 슬리브부재(40)는 상기 와이퍼롤(30)의 외측 둘레를 따라 설치되어 워크롤(2)의 표면에 밀착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슬리브부재(40)는 워크롤(2)로부터 상기 와이퍼롤(30)로 전달되는 열을 차단하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이는 단순히 상기 와이퍼롤(30)과 워크롤(2) 사이에 제3의 열차단부재가 있음으로도 달성될 수 있으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와이퍼롤(30)의 내부에서 상기 슬리브부재(40)로 분출되는 냉각수에 의해 구현되게 된다.
이를 위한 상기 와이퍼롤(30)은 장치몸체(37), 중심유로(31), 냉각수 분기유로(33) 및 냉각수 분출홈(35)을 포함하는 구조로 구현될 수 있다.
먼저 상기 장치몸체(37)는 워크롤(2)에 대응하는 길이를 가지는 원통 형태로 제공될수 있으며, 상기 지지프레임(20)의 선단부 양측에 배치된 한 쌍의 베어링유닛(60)에 연결되어 워크롤(2)의 회전에 대응하여 회전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다만 상기 베어링유닛(60)은 도 2에서와 같이 상기 지지프레임(20)의 선단부(23) 양측에 장착될 수도 있으며, 또는 도 3a에서는 상기 선단부(23)의 상단에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장치몸체(37)의 중심부에는 상기 중심유로(31)가 길이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으며, 상기 중심유로(31)의 일측은 상기 베어링유닛(60)의 내부를 관통하는 냉각수 연결관(55)에 결합되어 냉각수를 공급받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중심유로(31)의 타측은 공급된 냉각수가 모두 상기 냉각수 분기유로(33) 방향으로 흐르도록 폐쇄되어 제공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냉각수 연결관(55)은 상기 베어링유닛(60)의 외측에 연결된 로터리 조인트(53)와 연결되며, 상기 로터리 조인트(53)은 냉각수 공급부(51)와 연결되어, 상기 중심유로(31)로 냉각수를 공급하게 된다.
이때 상기 냉각수 분기유로(33)는 상기 장치몸체(37)의 외측 둘레로 상기 중심유로(31)로 유입된 냉각수가 흐르도록, 상기 장치몸체(37)의 내부에서 상기 중심유로(31)에 연결되어 방사형으로 배치될 수 있다.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냉각수 분기유로(33)는 상기 장치몸체(37)의 내부에서 상기 중심유로(31)의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의 열로 배치되어 있는 구조를 볼 수 있다. 즉 상기 중심유로(31)로 공급된 냉각수는 상기 냉각수 분기유로(33)를 따라 상기 와이퍼롤(30)의 외측 둘레 전반부로 흐르게 된다.
그리고 외측 둘레로 흐른 냉각수는 상기 슬리브부재(40)에 흡수되게 되며, 상기 슬리브부재(40)는 워크롤(2)가 접하면서 워크롤(2)의 고열을 냉각시키게 된다. 이는 결과적으로 워크롤(2)의 고열이 상기 와이퍼롤(30)에 전달되는 것을 차단하게 된다.
이때 상기 장치몸체(37)의 외측 둘레로 공급된 냉각수가 보다 균일하게 분출되며 상기 슬리브부재(40)에 흡수될 수 있도록, 상기 냉각수 분기유로(33)와 연결되며 상기 장치몸체(37)의 길이 방향으로 상기 냉각수 분출홈(35)이 배치될 수 있다.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냉각수 분기유로(33)에서 상기 냉각수 분출홈(35)으로 유입된 냉각수는 상기 냉각수 분출홈(35)에서 분산되며 상기 슬리브부재(40)로 흡수되게 된다. 이에 따라 단순히 상기 냉각수 분기유로(33)만이 존재하는 것에 비해 냉각수는 상기 슬리브부재(40)에 보다 고르게 퍼지게 되는 것이다.
다음으로, 상기 슬리브부재(40)는 유체가 함유되는 압축섬유 재질로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슬리브부재(40)가 섬유재질임에 따라 냉각수의 흡수는 잘 이뤄질 수 있으며, 압축재질임에 따라 워크롤(2)과의 장시간 접촉상태에서도 마모율은 일반 섬유에 비해 적게 된다. 물론 지속적으로 냉각수에 의해 냉각되므로, 워크롤(2)의 고열로 인한 손상은 적을 것이다.
여기서 상기 슬리브부재(40)로 공급되는 냉각수 유량은 상기 슬리브부재(40)가 워크롤(2)에 접함에 따라 워크롤(2)의 고열로 인해 냉각수가 모두 증발할 수 있는 양으로 한정되어야 할 것이다.
만약 상기 슬리브부재(40)에 공급되는 냉각수의 유량이 과다할 경우에는 일부는 증발하지 못하고 스트립(S)의 표면에 낙수되어 스트립(S)의 품질을 떨어뜨릴 수 있으며, 반대로 상기 슬리브부재(40)에 공급되는 냉각수의 유량이 과소할 경우에는 상기 슬리브부재(40)가 열손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슬리브부재(40)는 상기 장치몸체(37)의 외측에 억지 끼움될 수 있다. 이는 상기 슬리브부재(40)가 워크롤(2)에 접하여 함께 회전할 때, 워크롤(2) 표면과의 관계에서 슬립(slip)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도 3d에서와 같이 상기 슬리브부재(40)가 냉각수를 함유함에 따라 상기 냉각수 분출홈(35) 내측으로 팽창(C)되어 슬립 현상이 방지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인 워크롤의 와이퍼 장치의 일 실시예는 냉각수가 흡수된 압축섬유 재질의 슬리브부재(40)를 통해 워크롤(2)과의 밀착력을 향상시킬 수 있고, 워크롤(2)의 고열을 차단하여 와이퍼롤(30)의 열손을 방지할 수 있으며, 더하여 워크롤(2)과의 관계에서 슬립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도 2는 본 발명인 워크롤의 와이퍼 장치가 압연기에 배치된 구성도이다. 그리고 도 4a은 본 발명인 워크롤의 와이퍼 장치에 의한 다른 실시예가 도시된 평단면도이고, 도 4b 및 도 4c는 도 4a에 도시된 발명에 대한 사시단면도이며, 도 4a에 도시된 발명에 대한 측단면도이다.
도 2 내지 도 4c를 참고하면, 본 발명인 워크롤의 와이퍼 장치에 의한 다른 실시예에서는 워크롤(2)의 적어도 일측에서 냉각헤더(3)와 스트립(S) 이송경로 사이에 배치되는 지지프레임(20)과 상기 지지프레임(20)의 일측 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고 워크롤(2)에 밀착되며, 냉각헤더(3)에서 워크롤(2)로 분사된 냉각수가 스트립(S)에 유출되는 것을 차단토록 제공되는 와이퍼롤(70) 및 상기 와이퍼롤(70)의 둘레를 따라 설치되어 워크롤(2)에 밀착되며, 워크롤(2)과 스트립(S)의 접촉면 마찰을 완화토록 제공되는 슬리브부재(9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지지프레임(20)의 구성은 상기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같으므로 생략하도록 하고, 이하에서는 상기 와이퍼롤(70) 및 상기 슬리브부재(90)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상기 슬리브부재(90)는 상기 와이퍼롤(70)의 외측 둘레를 따라 설치되어 워크롤(2)의 표면에 밀착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슬리브부재(90)는 워크롤(2)에 압연유를 공급하여 워크롤(2)과 스트립(S)의 압연간에 발생되는 접촉면 마찰을 감소시키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이를 구현하기 위해 상기 와이퍼롤(70)의 내부에 배치되며, 상기 슬리브부재(90)에 압연유를 공급하는 압연유 공급수단(8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압연유 공급수단(80)은 압연유 유로(81), 압연유 분기유로(83) 및 압연유 분출홈(85)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압연유 공급수단(80)이 배치되는 상기 와이퍼롤(70)은 내측롤몸체(73), 외측롤몸체(71) 및 중심유로(77)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먼저 상기 내측롤몸체(73)는 워크롤(2)에 대응하는 길이를 가지는 원통 형태로 제공될 수 있으며, 상기 지지프레임(20)의 선단부 양측에 배치된 한 쌍의 베어링유닛(60)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내측롤몸체(73)의 중심부에는 상기 중심유로(77)가 길이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으며, 상기 중심유로(77)의 양측은 상기 베어링유닛(60)의 내부를 관통하는 냉각수 연결관(55)에 결합되어 일측에서 냉각수를 공급받아 상기 와이퍼롤(70)을 냉각한 후, 타측으로 배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냉각수 연결관(55)에 대한 구성은 상기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같으므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외측롤몸체(71)는 상기 내측롤몸체(73)의 외측 둘레에 따라 설치되며, 상기 슬리브부재(90)가 연결되는 부분이 되는데, 상기 압연유 유로(81)는 상기 내측롤몸체(73)와 상기 외측롤몸체(71) 사이의 공간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압연유 유로(81)의 연결구(81a)는 상기 베어링유닛(60)의 일측에 설치된 압연유 공급부(86)로부터 압연유를 공급받는 압연유 연결관(87)과 연결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압연유 연결관(87)은 상기 베어링유닛(60)의 중심축 외측으로 환형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즉 압연유 연결관(87)은 상기 베어링유닛(60)에 결합된 상기 와이퍼롤(70)의 회전을 간섭하지 않으면서 상기 압연유 유로(81)로 압연유를 공급하기 위해 상기와 같은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압연유 분기유로(83)는 상기 압연유 유로(81)는 상기 내측롤몸체(73)와 상기 외측롤몸체(71)를 따라 상기 와이퍼롤(70)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됨에 따라, 상기 압연유 유로(81)의 둘레를 따라 방사방향으로 복수의 열로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압연유 분출홈(85)은 상기 외측롤몸체(71)에 길이방향으로 배치되고 복수개의 상기 압연유 분기유로(83)와 일체로 연결되어 제공될 수 있다.
즉 압연유는 상기 압연유 공급부(86)에서 상기 베어링유닛(60)의 내부에 배치되는 상기 압연유 연결관(87)을 통해 상기 압연유 유로(81)로 공급되며, 상기 압연유 유로(81)로 공급된 압연유는 상기 압연유 분기유로(83)를 따라 상기 압연유 분출홈(85)으로 흘러 상기 슬리브부재(90)에 압연유를 분출하게 된다.
상기 슬리브부재(90)로 분출된 압연유는 상기 슬리브부재(90) 전반에 걸쳐 고르게 흡수되게 되는데, 흡수단 압연유는 상기 슬리브부재(90)에 접해 있는 워크롤(2)의 표면을 도포하게 되고, 이에 따라 결과적으로 워크롤(2)이 스트립(S)을 압연할 때 워크롤(2)과 스트립(S)간의 마찰을 줄이게 된다.
다음으로, 상기 슬리브부재(90)는 유체가 함유되는 압축섬유 재질로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슬리브부재(90)가 섬유재질임에 따라 압연유의 흡수는 잘 이뤄질 수 있으며, 압축재질임에 따라 워크롤(2)과의 장시간 접촉상태에서도 자체 마모율은 일반 섬유에 비해 적게 된다. 물론 지속적으로 상기 중심유로(77)를 흐르는 냉각수에 의해 냉기를 전달받아 냉각되므로, 워크롤(2)의 고열로 인한 손상은 적게 된다.
그리고 상기 슬리브부재(90)는 상기 장치몸체(37)의 외측에 억지 끼움될 수 있다. 이는 상기 슬리브부재(90)가 워크롤(2)에 접하여 함께 회전할 때, 워크롤(2) 표면과의 관계에서 슬립(slip)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도 4d에서와 같이 상기 외측롤몸체(71)에 원주방향으로 소정 간격으로 배치된 복수개의 고정돌기(75)에 의해 고정되어 슬립 현상이 방지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인 워크롤(2)의 와이퍼 장치의 다른 실시예는 압연유가 흡수된 압축섬유 재질의 슬리브부재(90)를 통해, 워크롤(2)에 의한 스트립(S)의 압연 과정 중에 워크롤(2)과 스트립(S)의 마찰을 줄여 워크롤(2)을 수명을 연장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와이퍼롤(70)과 워크롤(2)간의 관계에서 밀착력 강화 및 슬립 현상을 방지할 수 있음은 물론, 와이퍼롤(70)의 중심을 흐르는 냉각수에 의해 워크롤(2)로부터 전달되는 고열에 의한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이상의 사항은 워크롤의 와이퍼 장치의 특정한 실시예를 나타낸 것에 불과하다.
따라서 이하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취지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한 형태로 치환, 변형될 수 있음을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다는 점을 밝혀 두고자 한다.
20...지지프레임 30...와이퍼롤
31...중심유로 33...냉각수 분기유로
35...냉각수 분출홈 37...장치몸체
40...슬리브부재 51...냉각수 공급부
55...냉각수 연결관 60...베어링유닛
70...와이퍼롤 71...외측롤몸체
73...내측롤몸체 75...고정돌기
77...중심유로 80...압연유 공급수단
81...압연유 유로 81a...연결구
83...압연유 분기유로 85...압연유 분출홈
86...압연유 공급부 87...압연유 연결관
90...슬리브부재

Claims (11)

  1. 워크롤의 적어도 일측에서 냉각헤더와 스트립 이송경로 사이에 배치되는 지지프레임(20);
    상기 지지프레임(20)의 일측 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고 워크롤에 밀착되며, 냉각헤더에서 워크롤로 분사된 냉각수가 스트립에 유출되는 것을 차단토록 제공되는 와이퍼롤(30); 및
    상기 와이퍼롤(30)의 둘레를 따라 설치되어 워크롤에 밀착되며, 워크롤에서 상기 와이퍼롤(30)로 전달되는 열을 차단시키는 슬리브부재(40);
    를 포함하는 워크롤의 와이퍼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퍼롤(30)은,
    워크롤에 대응되는 길이를 가지는 원통형의 장치몸체(37); 및
    상기 장치몸체(37)를 냉각토록, 외부의 냉각수 공급부와 연결되며 상기 장치몸체(37)의 중앙부에 길이방향으로 배치되는 중심유로(31);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워크롤의 와이퍼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퍼롤(30)은, 상기 장치몸체(37)의 외측 둘레로 냉각수를 공급토록, 상기 장치몸체(37)의 내부에서 상기 중심유로(31)에 연결되며 방사형으로 배치되는 복수개의 분기유로(33);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워크롤의 와이퍼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퍼롤(30)은, 상기 장치몸체(37)의 외측 둘레로 공급된 냉각수가 상기 슬리브부재(40)로 분출되도록, 상기 분기유로(33)와 연결되며 상기 장치몸체(37)의 길이 방향으로 배치되는 분출홈(35);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워크롤의 와이퍼 장치.
  5. 워크롤의 적어도 일측에서 냉각헤더와 스트립 이송경로 사이에 배치되는 지지프레임(20);
    상기 지지프레임(20)의 일측 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고 워크롤에 밀착되며, 냉각헤더에서 워크롤로 분사된 냉각수가 스트립에 유출되는 것을 차단토록 제공되는 와이퍼롤(70); 및
    상기 와이퍼롤(70)의 둘레를 따라 설치되어 워크롤에 밀착되며, 워크롤과 스트립의 접촉면 마찰을 완화토록 제공되는 슬리브부재(90);
    를 포함하는 워크롤의 와이퍼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퍼롤(70)은,
    워크롤에 대응되는 길이를 가지는 내측롤몸체(73);
    상기 내측롤몸체(73)의 외측 둘레에 설치되며, 상기 슬리브부재(90)가 연결되는 외측롤몸체(71); 및
    상기 내측롤몸체(73) 및 외측롤몸체(71)를 냉각토록, 외부의 냉각수 공급부와 연결되며 상기 내측롤몸체(73)의 중앙부에 길이방향으로 배치되는 중심유로(77);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워크롤의 와이퍼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퍼롤(70) 내부에 배치되며, 상기 슬리브부재(90)에 압연유를 공급토록 제공되는 압연유 공급수단(80)을 더 포함하되,
    상기 압연유 공급수단(80)은,
    상기 내측롤몸체(73)와 상기 외측롤몸체(71)간에 형성되는 압연유 유로(81);
    상기 압연유 유로(81)와 연결되며, 상기 외측롤몸체(71)에서 방사방향으로 복수개로 배치되는 압연유 분기유로(83); 및
    상기 외측롤몸체(71)에 길이방향으로 배치되고 복수개의 상기 압연유 분기유로(83)와 일체로 연결되며, 압연유가 상기 슬리브부재(90)로 분출되도록 제공되는 압연유 분출홈(85)(85);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워크롤의 와이퍼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슬리브부재(90)가 상기 외측롤몸체(71)에 고정되도록, 상기 외측롤몸체(71)에 설치되는 복수개의 고정돌기(75);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워크롤의 와이퍼 장치.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슬리브부재(40,90)는 유체가 함유되는 압축섬유 재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워크롤의 와이퍼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슬리브부재(40,90)는 상기 장치몸체(37) 또는 상기 외측롤몸체(71)에 억지 끼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워크롤의 와이퍼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슬리브부재(40,90)는 유체를 함유하여 상기 분출홈(35,85) 내측으로 팽창되어, 상기 슬리브부재(40,90)는 워크롤이 밀착되어 회전할 때 슬립 현상이 방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워크롤의 와이퍼 장치.
KR20120154357A 2012-12-27 2012-12-27 워크롤의 와이퍼 장치 KR10148235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20154357A KR101482351B1 (ko) 2012-12-27 2012-12-27 워크롤의 와이퍼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20154357A KR101482351B1 (ko) 2012-12-27 2012-12-27 워크롤의 와이퍼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84669A true KR20140084669A (ko) 2014-07-07
KR101482351B1 KR101482351B1 (ko) 2015-01-13

Family

ID=517345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20154357A KR101482351B1 (ko) 2012-12-27 2012-12-27 워크롤의 와이퍼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82351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842027A (zh) * 2019-12-12 2020-02-28 张家港保税区中天机电设备有限公司 一种铝铸轧用轧辊
CN115318837A (zh) * 2022-10-14 2022-11-11 江苏久联冶金机械制造有限公司 一种高速钢轧辊控制机构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277519A (ja) * 1992-03-31 1993-10-26 Sumitomo Metal Ind Ltd スリーブロールの残留歪除去方法
CN1187142C (zh) 1999-03-31 2005-02-02 株式会社日立制作所 带材刮液装置、带材的刮液方法、轧制设备及轧制方法
JP2004181506A (ja) 2002-12-05 2004-07-02 Hitachi Ltd ワイパ装置及びワイピング方法
KR101243122B1 (ko) * 2009-06-25 2013-03-12 주식회사 포스코 회전식 워크롤 와이퍼 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842027A (zh) * 2019-12-12 2020-02-28 张家港保税区中天机电设备有限公司 一种铝铸轧用轧辊
CN115318837A (zh) * 2022-10-14 2022-11-11 江苏久联冶金机械制造有限公司 一种高速钢轧辊控制机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82351B1 (ko) 2015-01-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82351B1 (ko) 워크롤의 와이퍼 장치
CN102300650B (zh) 轧制设备的喷淋方法和装置
CN103302114A (zh) 轧钢用导卫及轧钢装置
US20110119858A1 (en) Roll polishing apparatus
JPH105827A (ja) 圧延ロールの冷却装置及び圧延機
KR100838737B1 (ko) 용융아연도금장치의 싱크롤과 스테빌라이징롤용 저어널베어링 보호장치
KR200330991Y1 (ko) 플렉시블 베어링을 이용한 미니밀 세그먼트의 셀 타입가이드롤
KR200227145Y1 (ko) 선재가이드롤러회전장치
US10173252B2 (en) Rolling mill provided with at least one cooling nozzle
JP2013084811A (ja) ダイシング装置のブレード潤滑機構及びブレード潤滑方法
CN115283445A (zh) 一种轧机冷却液喷射方法
JP5113489B2 (ja) 溶融金属めっきの余剰めっき液の除去装置及び溶融金属めっき板の製造方法
KR100711400B1 (ko) 압연롤 냉각장치
RU2336338C2 (ru) Способ и установка для охлаждения металлической ленты при ее протягивании
KR100936405B1 (ko) 열간 압연용 윤활장치
KR20190048791A (ko) 냉간 압연 설비용 과도포 압연유 제거 장치
KR101506154B1 (ko) 열간 압연기의 스트립 냉각장치
KR102480027B1 (ko) 냉각 성능을 향상시킨 유리 냉각 장치
KR101243119B1 (ko) 열간 압연기의 와이퍼 탄화 방지 장치
KR0121568Y1 (ko) 브러쉬 롤의 물분출장치
KR101185022B1 (ko) 냉각유로 구조를 갖는 압연롤 장치
KR200227593Y1 (ko) 롤 그라인더 지석의 슬립 방지 장치
KR20190069195A (ko) 스트립 냉각 장치
JP2003074567A (ja) 主軸装置
KR101482333B1 (ko) 워크롤의 와이퍼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7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