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84367A - 사용자의 외부 환경을 고려한 청각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사용자의 외부 환경을 고려한 청각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84367A
KR20140084367A KR1020120145615A KR20120145615A KR20140084367A KR 20140084367 A KR20140084367 A KR 20140084367A KR 1020120145615 A KR1020120145615 A KR 1020120145615A KR 20120145615 A KR20120145615 A KR 20120145615A KR 20140084367 A KR20140084367 A KR 2014008436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external environment
question
auditory
hea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456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51545B1 (ko
Inventor
최종민
구윤서
김동욱
김종진
손준일
엄준훤
이흔철
정윤채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1456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51545B1/ko
Priority to US14/103,218 priority patent/US9794699B2/en
Publication of KR201400843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8436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515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5154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2Prostheses implantable into the body
    • A61F2/18Internal ear or nose parts, e.g. ear-dru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5/00Deaf-aid sets, i.e. electro-acoustic or electro-mechanical hearing aids; Electric tinnitus maskers providing an auditory perception
    • H04R25/43Electronic input selection or mixing based on input signal analysis, e.g. mixing or selection between microphone and telecoil or between microphones with different directivity characteristic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5/00Deaf-aid sets, i.e. electro-acoustic or electro-mechanical hearing aids; Electric tinnitus maskers providing an auditory percep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5/00Deaf-aid sets, i.e. electro-acoustic or electro-mechanical hearing aids; Electric tinnitus maskers providing an auditory perception
    • H04R25/50Customised settings for obtaining desired overall acoustical characteristics
    • H04R25/505Customised settings for obtaining desired overall acoustical characteristics using digital signal process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225/00Details of deaf aids covered by H04R25/00, not provided for in any of its subgroups
    • H04R2225/41Detection or adaptation of hearing aid parameters or programs to listening situation, e.g. pub, fores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225/00Details of deaf aids covered by H04R25/00, not provided for in any of its subgroups
    • H04R2225/61Aspects relating to mechanical or electronic switches or control elements, e.g. functionin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tolaryng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Neurosurge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ulmonology (AREA)
  • Transplantation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Card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Circuit For Audible Band Transducer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사용자의 외부 환경을 고려한 청각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청각 장치를 장착한 사용자의 외부 환경을 판단하는 외부 환경 판단부; 상기 판단된 외부 환경에 대응하는 질문을 선택하여 사용자에게 질문하는 질문부; 및 상기 질문의 응답 및 사용자의 난청 정보에 기초하여, 청각 장치의 파라미터를 설정하는 파라미터 설정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사용자의 외부 환경을 고려한 청각 장치 및 방법{AUDITORY DEVICE FOR CONSIDERING EXTERNAL ENVIRONMENT OF USER, AND CONTROL METHOD PERFORMED BY AUDITORY DEVICE}
일실시예들은 청각 장치 및 청각 장치의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사용자의 외부 환경을 고려하여 청각 장치의 파라미터를 설정하는 것이다.
청각 장치는 외부에서 발생하는 소리를 증폭시켜, 사용자가 소리를 인식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장치이다. 일반적으로 청각 장치는 포켓형, 귀걸이형, 이갑계형, 고막형 등으로 나뉠 수 있다. 또한, 청각 장치는 볼륨 조절, 주파수 조절 등의 청각 장치의 설정을 변경됨으로써, 사용자의 요구에 맞는 소리를 전달할 수 있다. 이때, 청각 장치는 사용자의 청력을 측정하고, 사용자에게 가장 적합한 상태의 보청 장치의 설정을 사용자에 의해 설정될 수 있다.
하지만, 청각 장치는 사용자가 위치한 장소, 시간에 따라 서로 다른 외부 환경에 노출됨으로써, 실시간으로 청각 장치의 파라미터를 변경해야 된다. 그리고, 청각 장치의 파라미터를 변경하기 위하여 사용자는 별도의 파라미터 변경 장치가 필요할 수 있다. 이때, 파라미터 변경 장치는 사용법이 어려워 파라리터 변경을 위한 숙련된 기술자가 필요할 수 있다.
아래의 일실시예에 따른 청각 장치는 청각 장치를 장착한 사용자의 외부 환경을 판단하는 외부 환경 판단부; 상기 판단된 외부 환경에 대응하는 질문을 선택하여 사용자에게 질문하는 질문부; 및 상기 질문의 응답 및 사용자의 난청 정보에 기초하여, 청각 장치의 파라미터를 설정하는 파라미터 설정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외부 환경은 사용자의 외부 환경에서 발생하는 진동수, 주파수, 전파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외부 환경 판단부는 청각 장치에 포함된 음성 센서 및 전파를 감지 할 수 있는 센서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외부 환경을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질문부는 사용자의 외부 환경에 따라, 외부 환경에 대응하는 질문을 정리한 질문 리스트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질문부는 사용자의 성별, 연령, 사용자의 외부 환경을 판단한 시간대, 계절, 날씨, 외부의 온도 중 하나 이상이 사용자의 외부 소리에 미치는 영향을 고려하여 상기 사용자의 외부 환경에 해당하는 질문을 선택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질문부는 사용자의 외부 환경에 위치한 전자 기기를 통해 감지되는 전파의 강도에 따라 상기 전자 기기와 연결하기 위한 질문을 선택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질문부는 청각 장치에 포함된 음성 센서, 터치 센서 또는 청각 장치와 연결되어 있는 사용자 단말을 통해 사용자에게 상기 선택된 질문을 하고, 질문에 대응하는 응답을 받을 수 있다.
또한, 상기 파라미터 설정부는 청각 장치의 볼륨(volume) 조정, 이퀄라이저(equalizer) 조정, 특정 주파수 대역의 볼륨 조정, 소음 제어, 잔향음 제어, 윈드 노이즈 제어, 음향 되울림 제어, 마이크의 전원 제어, 전자 기기와 연결, 프리셋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청각 장치의 파라미터를 설정할 수 있다.
아래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청각 장치의 설정 방법은 청각 장치를 장착한 사용자의 외부 환경을 판단하는 단계; 상기 판단된 외부 환경에 대응하는 질문을 선택하여 사용자에게 질문하는 단계; 및 상기 질문의 응답 및 사용자의 난청 정보에 기초하여, 청각 장치의 파라미터를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외부 환경은 사용자의 외부 환경에서 발생하는 진동수, 주파수, 전파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외부 환경을 판단하는 단계는 청각 장치에 포함된 음성 센서 및 전파를 감지 할 수 있는 센서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외부 환경을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질문을 제공하는 단계는 사용자의 외부 환경에 따라, 외부 환경에 대응하는 질문을 정리한 질문 리스트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질문을 제공하는 단계는 사용자의 성별, 연령, 사용자의 외부 환경을 판단한 시간대, 계절, 날씨, 외부의 온도 중 하나 이상이 사용자의 외부 소리에 미치는 영향을 고려하여 상기 사용자의 외부 환경에 해당하는 질문을 선택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질문을 제공하는 단계는 사용자의 외부 환경에 위치한 전자 기기를 통해 감지되는 전파의 강도에 따라 상기 전자 기기와 연결하기 위한 질문을 선택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질문을 제공하는 단계는 청각 장치에 포함된 음성 센서, 터치 센서 또는 청각 장치와 연결되어 있는 사용자 단말을 통해 사용자에게 상기 선택된 질문을 하고, 질문에 대응하는 응답을 받을 수 있다.
또한, 상기 파라미터를 설정하는 단계는 청각 장치의 볼륨(volume) 조정, 이퀄라이저(equalizer) 조정, 특정 주파수 대역의 볼륨 조정, 소음 제어, 잔향음 제어, 윈드 노이즈 제어, 음향 되울림 제어, 마이크의 전원 제어, 전자 기기와 연결, 프리셋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청각 장치의 파라미터를 설정할 수 있다.
도 1은 일실시예에 따른 청각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일실시예에 따른 청각 장치의 세부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일실시예에 따른 판단된 사용자의 외부 환경에 따라 미리 설정된 질문 리스트에서 질문이 선택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일실시예에 따른 청각 장치에 포함된 터치 센서를 이용하여, 응답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일실시예에 따른 사용자의 음성을 이용하여 응답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일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을 이용하여 응답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일실시예에 따른 감지되는 전파의 강도에 따라 전자 기기와 연결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일실시예에 따른 청각 장치의 동작하는 단계를 도시한 플로우차트이다.
이하, 아래의 일실시예들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일실시예에 따른 청각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고하면 청각 장치(101)는 사용자의 외부 환경(102)을 판단할 수 있다. 일례로, 청각 장치(101)는 소리, 가속도, 외부의 온도, 빛, 습도, 전파 등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외부 환경(102)을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청각 장치(101)는 소리를 전달할 수 있는 보청기, 이어폰, 헤드셋 등의 장치일 수 있다. 그리고, 청각 장치(101)는 사용자의 외부 환경(102)을 자동으로 분석하고, 판단하는 인공지능의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청각 장치(101)가 사용자의 외부 환경(102)을 판단한 경우, 청각 장치(101)는 외부 환경에 대응하는 질문 리스트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외부 환경(102)에 해당하는 질문을 선택할 수 있다. 이 때, 사용자의 외부 환경은 사용자가 위치한 곳에서 발생할 수 있는 다양한 주변 환경에 관한 것일 수 있다.
그리고, 청각 장치(101)는 청각 장치에 포함된 음성 센서, 터치 센서 또는 청각 장치와 연동하는 사용자 단말을 통해 사용자에게 질문한 질문에 대응하는 사용자의 응답을 수신할 수 있다. 이 때, 사용자 단말은 컴퓨터(PC), 노트북, TV, 오디오 및 휴대폰, 테블릿 PC, PDA와 같은 모바일 단말 등 데이터를 처리하는 모든 형태의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청각 장치(101)는 수신한 응답 및 사용자의 난청 정보에 기초하여 청각 장치의 파라미터를 설정할 수 있다.
청각 장치는 사용자의 외부 환경에 따라 청각 장치의 파라미터를 설정하기 위해 판단하고 판단된 결과에 따라 청각 장치의 파라미터를 설정함으로써, 사용자로 하여금 청각 장치를 설정하기 위한 불편한 사항이 최소화될 수 있다. 또한, 청각 장치는 다양하게 변하는 사용자의 외부 환경에 적절하게 대처함으로써, 사용자에게 편리성을 제공할 수 있다.
도 2는 일실시예에 따른 청각 장치의 세부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를 참고하면, 청각 장치(201)은 외부 환경 판단부(202), 질문부(203), 파라미터 설정부(204)로 구성될 수 있다.
외부 환경 판단부(202)는 사용자의 외부 환경을 판단할 수 있다. 외부 환경 판단부(202)는 청각 장치(201)에 포함된 음성 센서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외부 환경을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외부 환경 판단부(202)는 음성 센서를 포함하여, 터치 센서, 가속도 센서, 온도 센서, 광 센서, 전파를 감지할 수 있는 센서 등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외부 환경을 판단할 수 있다.
일례로, 청각 장치에 포함된 음성 센서를 이용하여, 외부 환경 판단부(202)는 사용자가 위치한 곳에서 발생하는 자동자의 소리, 사람들의 음성, 바람 소리, 발걸음 소리 등의 사용자의 외부 환경을 판단할 수 있다.
다른 일례로, 외부 환경 판단부(202)는 음성 센서와 가속도 센서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외부 환경을 판단할 수 있다. 좀더 구체적으로 외부 환경 판단부(202)는 사용자 외부의 소리와 관련된 사용자의 외부 환경과 사용자의 움직임에 따라 변화하는 가속도와 관련된 사용자의 외부 환경을 분석하여, 사용자의 외부 환경을 판단할 수 있다.
다른 일례로, 외부 환경 판단부(202)는 음성 센서와 온도 센서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외부 환경을 판단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외부 환경 판단부(202)는 사용자 외부의 소리와 관련된 사용자의 외부 환경과 오전, 오후의 온도, 계절, 날씨, 습도 등에 따라 변화하는 온도와 관련된 사용자의 외부 환경을 분석하여 사용자의 외부 환경을 판단할 수 있다.
또 다른 일례로, 외부 환경 판단부(202)는 음성 센서와 광 센서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외부 환경을 판단할 수 있다. 즉, 외부 환경 판단부(202)는 사용자의 소리와 관련된 사용자의 외부 환경과 낮과 밤, 하루 일조량에 따른 빛의 차이 등에 따라 변화하는 빛과 관련된 사용자의 외부 환경을 분석하여 사용자의 외부 환경을 판단할 수 있다.
또 다른 일례로, 외부 환경 판단부(202)는 음성 센서와 가속도 센서, 온도 센서, 광 센서 등의 센서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외부 환경을 판단할 수 있다.
또 다른 일례로, 외부 환경 판단부(202)는 음성 센서와 전파를 감지할 수 있는 센서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외부 환경을 판단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외부 환경 판단부(202)는 사용자의 소리와 관련된 사용자의 외부 환경과 사용자의 외부 환경에 위치한 전자 기기에서 감지된 전파를 분석하여 사용자의 외부 환경을 판단할 수 있다.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도 7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그리고, 외부 환경 판단부(202)는 청각 장치(201)에 포함된 센서들을 이용하여 외부에서 발생하는 진동수, 주파수, 전파 등을 이용하여 외부 환경을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외부 환경 판단부(202)는 소리 이외에 외부 환경을 판단할 수 있는 빛, 온도, 습도 등을 이용하여 외부 환경을 판단할 수 있다.
질문부(203)는 외부 환경 판단부(202)에서 판단된 사용자의 외부 환경에 대응하는 질문을 선택할 수 있다. 이때, 질문은 사용자의 외부 환경에 따라 미리 설정된 것으로, 서로 다른 의미로 다양하게 표현된 것일 수 있다. 그리고, 질문부(203)는 미리 설정된 외부 환경에 대응하는 질문 리스트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질문 리스트는 사용자의 외부 환경에 따라 설정된 서로 다른 의미로 표현된 질문들을 정리해 놓은 것 일 수 있다. 이때, 질문 리스트는 청각 장치의 내부 또는 외부에 위치한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것일 수 있다.
또한, 경우에 따라 질문 리스트는 질문 리스트의 질문이 삭제, 수정, 추가 될 수 있다. 일례로, 질문 리스트의 질문이 추가되는 경우, 질문 리스트는 질문 리스트가 포함된 데이터베이스에 질문이 추가 될 수 있다. 그리고, 질문 리스트의 질문이 삭제되는 경우, 질문 리스트는 질문 리스트가 포함된 데이터베이스에 질문이 삭제 될 수 있다. 이 경우, 데이터베이스는 질문 리스트의 내용을 정리할 수 있다.
질문부(203)는 판단된 사용자의 외부 환경에 따른 미리 설정된 질문 리스트를 통해 사용자의 외부 환경에 해당하는 질문을 선택할 수 있다.
일례로, 외부 환경 판단부(202)는 ‘공사장의 소음’이라는 사용자의 외부 환경을 판단할 수 있다. 그리고, 질문부(203)는 판단된 ‘공사장의 소음’에 대응하는 미리 설정된 질문 리스트에서 질문을 선택할 수 있다. 이때, 질문 리스트는 ‘주변에 소리를 줄일까요?’, ‘음성과 관련된 소리를 높일까요?’, ‘공사장의 소음을 제거한 후, 음성과 관련된 소리를 높일까요?’ 등의 질문 리스트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질문부(203)는 사용자의 외부 환경에 따른 사용자의 성별, 연령별, 사용자의 외부 환경을 판단한 시간대, 계절, 날씨, 외부의 온도, 습도 등을 고려하여 사용자에게 해당하는 질문을 선택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질문부(203)는 사용자의 외부 환경을 판단한 시간대, 날씨, 계절 등의 외부 환경이 소리에 미치는 영향을 고려하여 사용자의 외부 환경에 대응하는 질문을 선택할 수 있다.
일례로, 외부 환경 판단부(202)는 ‘날씨가 덥고, 습도가 높음’이라는 사용자의 외부 환경을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외부 환경 판단부(202)는 판단된 외부 환경에 따라 사용자의 불쾌지수가 높을 수 있다는 것을 판단할 수 있다. 그래서, 질문부(203)는 판단된 외부 환경에 대응하여 질문 리스트에서 질문을 선택할 수 있다. 즉, 질문부(203)은 사용자에게 ‘청각기의 증폭을 부드럽게 할까요? 라는 질문을 선택할 수 있다.
그리고 질문부(203)는 사용자의 성별, 연령 등이 미치는 사용자의 소리 인식 정도를 고려하여 사용자의 외부 환경에 대응하는 파라미터를 설정할 수 있다. 일례로, 사용자의 나이가 70대에 해당하는 경우, 질문부(203)는 사용자가 인식할 수 있는 소리의 크기 정보를 고려하여 사용자에게 질문을 할 때, 질문하는 청각 장치의 소리를 일반적인 소리의 크기보다 소리를 높여서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다른 일례로, 질문부(203)는 ‘화창한 날씨’라는 사용자의 외부 환경과 현재 사용자 주변의 소리와 관련된 정보를 분석할 수 있다. 질문부(203)는 분석된 정보를 기초하여 사용자에게 ‘날씨가 화창하며, 이로 인하여 주변의 소리가 작습니다. 소리를 조금 키울까요?’, ‘바람이 많이 불어, 윈도노이즈가 심하네요. 윈도노이즈를 조절할까요?’ 등의 사용자의 주변 소리와 날씨를 고려한 질문을 선택할 수 있다.
질문부(203)는 선택한 질문을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질문부(203)는 청각 장치에 포함된 음성 센서 또는 청각 장치와 호환이 가능한 사용자 단말을 이용하여 사용자에게 질문을 전달할 수 있다. 이때, 음성 센서는 청각장치에 별도로 포함된 질문을 제공하기 위한 음성 센서 일 수 있다. 그리고, 음성 센서는 청각 장치에 외부의 소리를 제공하기 위하여 포함된 음성 센서와 동일한 것 일 수 있다.
일례로 질문부(203)는 음성 센서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외부 환경에 대응하는 질문을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는 음성 센서를 통해 질문을 제공받음으로써, 청각 장치에 대한 편안함을 느낄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는 청각 장치(201)를 통해 변화된 외부 환경을 실시간으로 인식하여, 외부 환경에 맞는 청각 장치의 상태로 대처할 수 있다.
청각 장치(201)는 청각 장치(201)에 포함된 터치 센서 또는 음성 센서를 통해 제공된 질문에 대응하는 응답을 수신할 수 있다. 음성 센서를 통해 응답을 수신하는 경우, 청각 장치(201)는 사용자의 음성과 관련된 특정 주파수를 미리 저장해 놓을 수 있다. 그래서, 청각 장치(201)는 음성 센서로부터 수신한 음성의 주파수와 미리 저장된 주파수와 비교하여 사용자의 음성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그리고, 청각 장치(201)는 청각 장치(201)와 연결이 가능한 별도의 마이크를 이용하여 제공한 질문에 대한 응답을 수신할 수 있다.
그리고, 질문부(203)는 청각 장치(201)와 연결되어 있는 사용자 단말을 통해 선택된 질문을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 단말은 사용자가 휴대할 수 있으며, 자유롭게 사용이 가능한 단말일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은 청각 장치(201)가 제공한 질문을 디스플레이 할 수 있는 장치일 수 있다. 그리고, 청각 장치(201)로부터 질문을 제공받은 경우, 사용자 단말은 알림 기능을 이용하여 사용자에게 알려줄 수 있다.
일례로, 주변의 소음으로 인하여 음성 센서를 통해 질문을 제공받지 못하였을 경우, 질문부(203)는 사용자의 외부 환경에 대한 동일한 질문을 사용자 단말에 전달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질문을 제공할 수 있다. 이 때,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을 확인하여 변화된 외부 환경을 인식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을 이용하여, 제공된 질문에 대응하는 응답을 할 수 있다.
파라미터 설정부(204)는 사용자로부터 수신한 질문에 대응하는 응답 및 사용자의 난청 정보를 기초하여, 청각 장치의 파라미터를 설정할 수 있다. 즉, 파라미터 설정부(204)는 사용자의 응답 및 난청 정보에 따라 청각 장치의 볼륨 조정, 이퀄라이저 조정, 특정 주파수 대역의 조정, 소음 제어, 잔향음 제어, 윈드 노이즈 제어, 음향 되울림 제어, 마이크의 전원 제어, 전자 기기와 연결, 프리셋 등의 청각 장치의 파라미터를 설정할 수 있다.
일례로, 파라미터 설정부(204)는 사용자의 주변의 창문, 건물 사이 등에서 발생할 수 있는 바람소리로 인한 소음과 관련된 사용자의 외부 환경을 판단하고, 판단된 외부 환경에 대응하여 청각 장치의 윈드 노이즈를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파라미터 설정부(204)는 청각 장치의 수화기에서 새어 나온 소리가 송화기로 되돌아가지 않음으로써 발생하는 진동과 관련된 사용자의 외부 환경을 판단하고, 판단된 외부 환경에 대응하여, 청각 장치의 음향 되울림을 제어할 수 있다.
파라미터 설정부(204)는 사용자의 응답에 기초하여 청각 장치의 파라미터를 설정함으로써, 변환된 외부 환경에 대해 사용자가 직접 파라미터를 설정하는 불편함을 최소화할 수 있다.
도 3은 일실시예에 따른 판단된 사용자의 외부 환경에 따라 미리 설정된 질문 리스크에서 질문이 선택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을 참고하면, 질문 리스트(303)는 외부 환경(301)에 대응하는 복수의 질문일 수 있다.
외부 환경(301)은 사용자가 위치한 곳에서 발생할 수 있는 사용자의 주변 환경일 수 있다. 일례로, 외부 환경(301)은 사용자 위치한 곳의 공사 현장의 소음, 자동차의 소음, 외부광고의 소음, 주파수에 의한 잡음, 외부의 사람들이 많은 환경 등의 소음 등의 사용자의 외부 환경일 수 있다. 또한, 외부 환경(301)은 사용자의 외부 상황을 파악할 수 있는 시간, 계절, 외부의 온도, 날씨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외부 환경(301)은 실내 또는 실외의 위치를 포함할 수 있다.
질문 리스트(303)는 사용자의 외부 환경에 해당하는 질문을 작성해 놓은 리스트 일수 있다. 질문 리스트(303)는 복수의 질문이 존재할 수 있다. 일례로, 터보 소리라는 사용자의 외부 환경에 대응하여, 질문 리스트(303)는 ‘터보소리를 줄일까요?’, ‘주파수 대역을 교정할까요?’, ‘주파수를 높일까요?’ 등의 복수의 질문이 존재할 수 있다.
또한, 질문 리스트(303)는 사용자의 외부 환경을 판단한 시점의 시간, 계절, 외부의 온도, 날씨 등을 고려한 질문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질문 리스트(303)는 ‘여름이라 매미가 크게 우네요. 매미소리를 작게 할까요?’, ‘저녁이라 외부 소리가 조용하네요. 소리를 키울까요?’ 등의 시간, 계절, 외부의 온도, 날씨를 고려한 질문을 포함할 수 있다.
환경 리스트(302)는 외부에서 발생할 수 있는 외부 환경(301)들에 대하여 정리해 놓은 리스트일 수 있다. 환경 리스트(302)는 ‘터보 엔진 소리’, ‘조용함’, ‘윈드 노이즈’, ‘울림 소리’ 등의 사용자의 외부 환경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환경 리스트(302)는 환경 리스트(302)에 포함된 사용자의 외부 환경에 대응하여, 질문 리스트(303)와 매칭되어 있을 수 있다. 경우에 따라 환경 리스트(302)는 환경 리스트의 내용이 추가, 삭제, 변경 될 수 있다.
도 4는 일실시예에 따른 청각 장치에 포함된 터치 센서를 이용하여, 응답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를 참고하면, 청각 장치(401)는 사용자의 몸의 부착되거나 장착될 수 있다. 청각 장치(401)는 사용자에게 사용자의 외부 환경에 해당하는 질문(402)을 전달할 수 있다. 청각 장치(401)는 청각 장치에 포함된 음성 센서를 이용하여 사용자에게 청각 장치(401)의 음성으로 질문(402)을 할 수 있다. 일례로, 청각 장치(401)는 청각 장치(401)에 포함된 음성 센서를 이용하여 ‘주파수 대역을 교정할까요?’ 라는 질문(402)을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청각 장치(401)에 포함된 음성 센서를 통해 사용자의 외부 환경에 대응하는 질문(402)을 제공받음으로써, 사용자는 청각 장치에 대한 편안함을 느낄 수 있다.
사용자는 청각 장치(401)로부터 제공받은 사용자의 외부 환경과 관련된 질문을 인지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제공받은 질문에 대응하여 청각 장치(401)에게 응답할 수 있다.
청각 장치(403)는 청각 장치(403)에 포함된 터치 센서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질문에 대응하는 응답을 받을 수 있다. 일례로, 청각 장치(403)는 청각 장치(403)에 포함된 터치 센서를 일정 시간 동안 눌려지는 동작(404)을 통해, 사용자로부터 질문에 대응하는 응답을 받을 수 있다. 그리고 청각 장치(403)는 터치 센서를 일정한 시간 간격으로 두드려지는 동작(404)을 통해, 사용자로부터 질문에 대응하는 응답을 받을 수 있다.
그리고, 청각 장치(403)는 청각 장치(403)의 파라미터를 설정한 후, 설정된 결과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일례로, 청각 장치(403)는 제공된 질문에 따른 응답 및 사용자의 난청 정보를 기초하여 주파수 대역과 관련된 청각 장치(403)의 파라미터를 설정한 후, 사용자에게 “교정하였습니다.”라는 완료된 결과를 알려줄 수 있다.
도 5는 일실시예에 따른 사용자의 음성을 이용하여 응답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를 참고하면, 청각 장치(501)는 사용자의 몸의 부착되거나 장착될 수 있다. 청각 장치(501)는 사용자에게 사용자의 외부 환경에 해당하는 질문(502)을 전달할 수 있다. 청각 장치(501)는 청각 장치에 포함된 음성 센서를 이용하여 사용자에게 질문(502)을 제공할 수 있다. 일례로, 청각 장치(501)는 ‘잔향음을 제거할까요?’ 라는 질문(502)을 청각 장치(501)의 음성 센서를 이용하여 사용자에게 전달할 수 있다. 이때, 청각 장치(501)는 청각 장치(501)에 포함된 음성 센서를 통해 선택된 질문(502)을 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청각 장치에 대한 친숙함을 느끼게 해줄 수 있다.
사용자는 청각 장치(501)로부터 전달받은 질문을 인지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전달받은 질문에 대응하여 청각 장치(501)에게 응답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청각 장치(501)에 포함되어 있는 음성 센서를 이용하여 질문에 대응하는 응답을 할 수 있다. 이때, 청각 장치(501)는 사용자 음성의 특정 주파수가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일례로, 사용자는 외부 환경에 해당하는 질문에 ‘예~ 제거하세요.’라는 응답을 할 수 있다. 그리고, 청각 장치(503)는 음성 센서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특정 주파수를 수신할 수 있다. 이 때, 사용자는 도 5에서 제시된 응답을 포함하여 다양한 응답 방법을 통해 청각 장치(503)에게 응답할 수 있다.
청각 장치(501, 503)는 사용자의 응답 및 사용자의 난청 정보를 기초하여 청각 장치의 파라미터를 설정할 수 있다. 즉, 청각 장치(501, 503)는 사용자의 응답에 따라 청각 장치의 볼륨 조정, 이퀄라이저 조정, 특정 주파수 대역의 조정, 소음 제어, 잔향음 제어, 윈드 노이즈 제어, 음향 되울림 제어 등의 파라미터를 설정할 수 있다.
일례로, 청각 장치(501, 503)는 균일하지 않은 주파수와 관련된 외부 환경을 판단하고, 판단된 외부 환경에 대응하여, 청각 장치의 이퀄라이저를 조정할 수 있다. 그리고, 청각 장치는 주의의 물체에 의해 반사되는 잔향음과 관련된 사용자의 외부 환경을 판단하고, 판단된 사용자의 외부 환경에 대응하여, 청각 장치의 잔향음을 조정 또는 제거할 수 있다. 즉, 청각 장치는 사용자 외부 환경에 대응하여, 진동수, 주파수 등과 관련된 청각 장치의 파라미터를 설정할 수 있다.
그리고, 청각 장치(503)는 청각 장치(503)의 파라미터를 설정한 후, 설정된 결과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일례로, 청각 장치(503)는 제공된 질문에 따른 응답 및 사용자의 난청 정보를 기초하여 잔향음과 관련된 청각 장치(503)의 파라미터를 설정한 후, 사용자에게 “제거하였습니다.”라는 완료된 결과를 알려줄 수 있다.
도 6은 일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을 이용하여 응답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을 참고하면, 청각 장치와 연결되는 사용자 단말(601)은 청각 장치로부터 사용자의 외부 환경에 해당하는 질문을 전달받을 수 있다. 사용자 단말(601)은 수신한 질문을 사용자에게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사용자는 디스플레이 된 질문을 확인할 수 있다.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602)을 통해 청각 장치로부터 전달받은 질문을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602)을 이용하여 질문에 대응하는 응답을 할 수 있다. 일례로,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602)을 통해 전달받은 질문을 확인하고, 사용자 단말에 표시되어 있는, 사용자의 의사가 표현된 응답을 선택 또는 터치함으로써, 청각 장치의 질문에 대응하는 응답을 할 수 있다. 다른 일례로,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601)을 이용하여 질문을 확인하고, 청각 장치에 포함된 음성 센서 또는 터치 센서를 이용하여 청각 장치의 질문에 대응하는 응답을 할 수 있다.
도 7은 일실시예에 따른 감지되는 전파의 강도에 따라 전자 기기와 연결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을 참고하면, 청각 장치(702)는 사용자의 외부 환경에 위치한 전자 기기(701)의 전파를 감지할 수 있다. 이 때, 청각 장치(702)는 전파를 감지할 수 있는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청각 장치(702)는 전자 기기(701)와 이격된 거리에 따라 다양한 크기의 전파를 감지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청각 장치(702)와 전자 기기(702)가 인접한 경우, 청각 장치(702)는 전자 기기(702)로부터 강도가 높은 전파를 감지할 수 있다. 이 때, 강도가 높은 전파는 전자 기기(701)가 발산할 수 있는 최대값의 전파를 의미할 수 있다. 청각 장치(702)와 전자 기기(702)가 인접하지 않은 경우, 청각 장치(702)는 전자 기기(702)로부터 강도가 낮은 전파를 감지할 수 있다. 이 때, 강도가 낮은 전파는 전자 기기(701)가 발산할 수 있는 최소값의 전파를 의미할 수 있다. 그러나, 전파의 강도는 전자 기기(701)에 따라 서로 다른 크기를 가지며, 이에 한정하여 해석하지 않는다.
또한, 전자 기기(701)는 전자 기기(701)에 따라 서로 다른 전파의 특징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그래서, 청각 장치(701)는 감지한 전파의 특징 정보를 통해 전자 기기(701)의 종류를 분류할 수 있다.
그리고, 청각 장치(702)는 감지한 전파의 강도에 따라 이에 대응하는 질문을 선택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전자 기기(701)와 인접하여 높은 강도의 전파를 감지한 경우, 청각 장치(702)는 청각 장치(702)와 전자 기기(701)를 연결하기 위한 질문을 선택할 수 있다. 일례로, 청각 장치(701)는 감지한 전파의 특징 정보를 통해 전자 기기(701)를 확인하여, ‘텔레비전에 가까이 왔는데 텔레비전과 연결할까요?’, ‘라디오와 연결할까요?’, ‘데스크탑과 연결할까요?’ 등의 확인된 전자 기기(701)에 해당하는 질문을 선택할 수 있다.
청각 장치(702)는 음성 센서 또는 청각 장치(702)와 연동할 수 있는 사용자 단말을 통해 선택한 질문을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청각 장치(702)는 제공한 질문의 응답 및 사용자의 난청 정보를 기초하여, 파라미터를 설정한 후, 전자 기기(701)와 연결할 수 있다. 이 때, 청각 장치(702)는 외부 소리를 수신할 수 있는 센서 외에 전자 기기(701)와 연결되어 소리를 수신할 수 있는 별도의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청각 장치(702)는 별도의 센서를 이용하여 연결된 전자 기기(701)에서 나오는 소리를 사용자에게 전달할 수 있다. 또한, 청각 장치(702)는 전자 기기(701)와 연결함으로써, 전자 기기(701)의 스피커를 통해 나오는 소리를 차단할 수 있다. 그리고, 청각 장치(702)는 청각 장치(702)의 별도의 센서에서 전자 기기(701)에서 나오는 소리가 나올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즉, 청각 장치(702)는 전자 기기(701)의 소리를 제어할 수 있는 알고리즘을 포함할 수 있다.
일례로, 청각 장치(702)는 사용자의 외부 환경에 위치한 텔레비전과 연결되어, 텔레비전에서 나오는 소리를 차단하고, 청각 장치(702)의 별도의 센서를 이용하여 텔레비전에서 나오는 소리가 들리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전자 기기(702)와 연결되어 있는 경우, 청각 장치(702)는 음성 센서, 마이크 등의 외부의 소리를 수신하는 센서의 전원 제어를 할 수 있다. 일례로, 라디오와 연결된 청각 장치(702)는 외부의 소리를 수신하는 센서의 전원을 ON/OFF 할 수 있는 질문을 사용자에게 제공할 있다. 그래서, 청각 장치(702)는 질문에 대한 응답에 따 외부의 소리를 수신하는 센서의 전원을 제어할 수 있다.
센서의 전원 제어와 관련된 질문을 물어보는 이유는 사용자가 혼자 있거나, 여러 사람과 함께 있어 연결된 전자 기기에 집중하고 싶은 경우 등의 사용자의 편의성을 고려하기 위한 것이다.
다른 일례로, 청각 장치(702)는 사용자 주변에 위치한 서로 다른 청각 장치(702)와 연결할 수 있다. 이 때, 서로 다른 청각 장치(702)는 청각 장치(702)와 쇼셜 네트워크(SNS: Social Network Service) 관계에 있는 청각 장치(702) 일 수 있다. 그리고, 서로 다른 청각 장치(702)는 청각 장치(702)와 연결되기 위하여, 청각 장치(702)를 식별하는 고유한 주파수가 기 등록된 청각 장치 일 수 있다.
그래서, 청각 장치(702)는 청각 장치(702)에 포함된 고유한 주파수를 교정하여, 서로 다른 청각 장치(702)와 연결할 수 있다. 그리고, 청각 장치(702)는 스트리밍 연결 등의 다양한 연결 방법을 통해 서로 다른 청각 장치(702)와 연결될 수 있다.
일례로, 청각 장치(702)는 사용자가 위치한 장소에서 기 등록된 고유한 주파수를 수신할 수 있다. 청각 장치(702)는 기 등록된 고유한 주파수를 확인한 후, 사용자에게 고유한 주파수에 해당하는 서로 다른 청각 장치(702)와 연결할 지 여부와 관련된 질문을 선택하여 사용자에게 전달할 수 있다. 그리고, 청각 장치(702)는 해당하는 주파수로 대역을 교정하여, 서로 다른 청각 장치(702)와 연결할 수 있다. 그래서, 청각 장치(702)는 서로 다른 청각 장치(702)를 통해 들려오는 소리를 수신할 수 있다.
서로 다른 청각 장치(702)와 연결하는 기능은 파티, 여행 등의 사람이 많은 곳에서 일행과 멀어졌을 때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도 8은 일실시예에 따른 청각 장치의 동작하는 단계를 도시한 플로우차트이다.
단계(801)에 따르면, 청각 장치는 음성 센서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외부 환경을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청각 장치는 음성 센서와 함께 가속도 센서, 온도 센서, 광 센서 등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외부 환경을 판단할 수 있다.
단계(802)에 따르면, 청각 장치는 판단된 사용자의 외부 환경에 대응하여 질문을 검색할 수 있다. 즉, 청각 장치는 미리 설정된 질문 리스트가 포함된 데이터 베이스에서 사용자의 외부 환경에 대응하는 질문을 검색할 수 있다.
단계(803)에 따르면, 청각 장치는 질문 리스트에서 사용자의 외부 환경에 해당하는 질문을 발견할 수 있다. 질문의 발견은 사용자의 외부 환경에 대응하고, 사용자의 성별, 연령, 사용자의 외부 환경을 판단한 시점의 시간, 온도 등의 사용자의 소리에 미치는 영향을 고려한 질문일수 있다. 일례로, 질문 리스트에 해당하는 질문이 존재하지 않을 경우, 청각 장치는 해당하는 질문을 추가하여 선택할 수 있다.
단계(804)에 따르면, 청각 장치는 선택한 질문을 사용자에게 질문할 수 있다. 청각 장치는 청각 장치에 포함된 음성 센서를 이용하여 사용자에게 질문할 수 있다. 또한, 청각 장치는 청각 장치와 호환이 가능한 사용자 단말을 이용하여 선택한 질문을 사용자에게 질문할 수 있다.
단계(805)에 따르면, 청각 장치는 사용자로부터 전달한 질문에 대응하는 응답을 전달받을 수 있다. 청각 장치는 청각 장치에 포함된 음성 센서 또는 터치 센서를 통해 사용자의 질문을 전달받을 수 있다. 또한, 청각 장치는 청각 장치와 연결되어 있는 사용자 단말을 통해 사용자의 질문을 전달받을 수 있다.
단계(806)에 따르면, 청각 장치는 사용자로부터 수신한 응답을 판단할 수 있다. 일례로, 청각 장치는 질문에 대하여 사용자의 의사가 표현된 응답을 전달 받을 수 있다.
단계(807)에 따르면, 청각 장치는 사용자로부터 수신한 응답에 대응하여, 청각 장치의 외부 환경과 관련된 파라미터를 설정할 수 있다. 청각 장치는 사용자의 응답에 기초하여 청각 장치의 외부 환경과 관련된 파라미터를 설정함으로써, 변환된 외부 환경에 대해 사용자가 직접 파라미터를 설정하는 불편함을 최소화할 수 있다.
단계(808)에 따르면, 청각 장치는 사용자의 응답 및 사용자의 난청 정보에 기초하여 청각 장치의 외부 환경과 관련된 파라미터를 설정한 후, 이에 대한 결과를 사용자에게 알려줄 수 있다.
이상과 같이 실시예들이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의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시스템, 구조, 장치, 회로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
그러므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예들 및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한다.
101: 청각 장치
102: 사용자의 외부환경

Claims (16)

  1. 청각 장치를 장착한 사용자의 외부 환경을 판단하는 외부 환경 판단부;
    상기 판단된 외부 환경에 대응하는 질문을 선택하여 사용자에게 질문하는 질문부; 및
    상기 질문의 응답 및 사용자의 난청 정보에 기초하여, 청각 장치의 파라미터를 설정하는 파라미터 설정부;
    를 포함하는 청각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환경은,
    사용자의 외부 환경에서 발생하는 진동수, 주파수, 전파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청각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환경 판단부는,
    청각 장치에 포함된 음성 센서 및 전파를 감지 할 수 있는 센서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외부 환경을 판단하는 청각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질문부는,
    사용자의 외부 환경에 따라, 외부 환경에 대응하는 질문을 정리한 질문 리스트를 포함하는 청각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질문부는,
    사용자의 성별, 연령, 사용자의 외부 환경을 판단한 시간대, 계절, 날씨, 외부의 온도 중 하나 이상이 사용자의 외부 소리에 미치는 영향을 고려하여 상기 사용자의 외부 환경에 해당하는 질문을 선택하는 청각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질문부는,
    사용자의 외부 환경에 위치한 전자 기기를 통해 감지되는 전파의 강도에 따라 상기 전자 기기와 연결하기 위한 질문을 선택하는 청각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질문부는,
    청각 장치에 포함된 음성 센서, 터치 센서 또는 청각 장치와 연결되어 있는 사용자 단말을 통해 사용자에게 상기 선택된 질문을 하고, 질문에 대응하는 응답을 받는 청각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파라미터 설정부는,
    청각 장치의 볼륨(volume) 조정, 이퀄라이저(equalizer) 조정, 특정 주파수 대역의 볼륨 조정, 소음 제어, 잔향음 제어, 윈드 노이즈 제어, 음향 되울림 제어, 마이크의 전원 제어, 전자 기기와 연결, 프리셋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청각 장치의 파라미터를 설정하는 청각 장치.
  9. 청각 장치를 장착한 사용자의 외부 환경을 판단하는 단계;
    상기 판단된 외부 환경에 대응하는 질문을 선택하여 사용자에게 질문하는 단계; 및
    상기 질문의 응답 및 사용자의 난청 정보에 기초하여, 청각 장치의 파라미터를 설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청각 장치의 설정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환경은,
    사용자의 외부 환경에서 발생하는 진동수, 주파수, 전파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청각 장치의 설정 방법.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환경을 판단하는 단계는,
    청각 장치에 포함된 음성 센서 및 전파를 감지 할 수 있는 센서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외부 환경을 판단하는 청각 장치의 설정 방법.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질문을 제공하는 단계는,
    사용자의 외부 환경에 따라, 외부 환경에 대응하는 질문을 정리한 질문 리스트를 포함하는 청각 장치의 설정 방법.
  13.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질문을 제공하는 단계는,
    사용자의 성별, 연령, 사용자의 외부 환경을 판단한 시간대, 계절, 날씨, 외부의 온도 중 하나 이상이 사용자의 외부 소리에 미치는 영향을 고려하여 상기 사용자의 외부 환경에 해당하는 질문을 선택하는 청각 장치의 설정 방법.
  14.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질문을 제공하는 단계는,
    사용자의 외부 환경에 위치한 전자 기기를 통해 감지되는 전파의 강도에 따라 상기 전자 기기와 연결하기 위한 질문을 선택하는 청각 장치의 설정 방법.
  15.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질문을 제공하는 단계는,
    청각 장치에 포함된 음성 센서, 터치 센서 또는 청각 장치와 연결되어 있는 사용자 단말을 통해 사용자에게 상기 선택된 질문을 하고, 질문에 대응하는 응답을 받는 청각 장치의 설정 방법.
  16.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파라미터를 설정하는 단계는,
    청각 장치의 볼륨(volume) 조정, 이퀄라이저(equalizer) 조정, 특정 주파수 대역의 볼륨 조정, 소음 제어, 잔향음 제어, 윈드 노이즈 제어, 음향 되울림 제어, 마이크의 전원 제어, 전자 기기와 연결, 프리셋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청각 장치의 파라미터를 설정하는 청각 장치의 설정 방법.
KR1020120145615A 2012-12-13 2012-12-13 사용자의 외부 환경을 고려한 청각 장치 및 방법 KR102051545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45615A KR102051545B1 (ko) 2012-12-13 2012-12-13 사용자의 외부 환경을 고려한 청각 장치 및 방법
US14/103,218 US9794699B2 (en) 2012-12-13 2013-12-11 Hearing device considering external environment of user and control method of hearing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45615A KR102051545B1 (ko) 2012-12-13 2012-12-13 사용자의 외부 환경을 고려한 청각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84367A true KR20140084367A (ko) 2014-07-07
KR102051545B1 KR102051545B1 (ko) 2019-12-04

Family

ID=509309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45615A KR102051545B1 (ko) 2012-12-13 2012-12-13 사용자의 외부 환경을 고려한 청각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9794699B2 (ko)
KR (1) KR102051545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074227A1 (ko) * 2017-10-11 2019-04-18 삼성전자(주) 전자장치 및 그 제어방법
WO2022054978A1 (ko) * 2020-09-09 2022-03-17 올리브유니온(주) 자연어 또는 비자연어를 구분하는 스마트 히어링 디바이스, 인공지능 히어링 시스템 및 그 방법
WO2022265317A1 (ko) * 2021-06-17 2022-12-22 삼성전자 주식회사 외부 소리 및 사용자 반응에 대응하는 전자 장치 및 이의 동작 방법
WO2024075885A1 (ko) * 2022-10-04 2024-04-11 올리브유니온(주) 이어폰 제어 방법, 컴퓨터 프로그램 및 컴퓨터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50271608A1 (en) * 2014-03-19 2015-09-24 Bose Corporation Crowd sourced recommendations for hearing assistance devices
US10231069B2 (en) * 2014-06-16 2019-03-12 Sonova Ag Method for evaluating an individual hearing benefit of a hearing device feature and for fitting a hearing device
WO2021144033A1 (de) * 2020-01-17 2021-07-22 Sivantos Pte. Ltd. Verfahren zum betrieb eines hörhilfegerätes
EP4074067A1 (en) 2020-06-25 2022-10-19 Starkey Laboratories, Inc. User-actuatable touch control for an ear-worn electronic device
US11991502B2 (en) 2021-08-01 2024-05-21 Tuned Ltd. System and method for personalized hearing aid adjustment
US11218817B1 (en) * 2021-08-01 2022-01-04 Audiocare Technologies Ltd. System and method for personalized hearing aid adjustment
US11425516B1 (en) 2021-12-06 2022-08-23 Audiocare Technologies Ltd. System and method for personalized fitting of hearing aids
US11729540B2 (en) 2021-12-16 2023-08-15 Starkey Laboratories, Inc. Water immune user-actuatable touch control for an ear-worn electronic device
WO2024052781A1 (en) * 2022-09-08 2024-03-14 Cochlear Limited Smooth switching between medical device settings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70230726A1 (en) * 2006-03-31 2007-10-04 Siemens Audiologische Technik Gmbh Hearing aid with adaptive start values for apparatus
US20110051963A1 (en) * 2009-08-28 2011-03-03 Siemens Medical Instruments Pte. Ltd. Method for fine-tuning a hearing aid and hearing aid
US20110235835A1 (en) * 2008-12-12 2011-09-29 Widex A/S Method for fine tuning a hearing aid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320969B1 (en) 1989-09-29 2001-11-20 Etymotic Research, Inc. Hearing aid with audible alarm
JPH0918997A (ja) 1995-06-30 1997-01-17 Hitachi Ltd 音声処理装置
US6850775B1 (en) 2000-02-18 2005-02-01 Phonak Ag Fitting-anlage
DE10048341C5 (de) * 2000-09-29 2004-12-23 Siemens Audiologische Technik Gmbh Verfahren zum Betrieb eines Hörhilfegerätes sowie Hörgeräteanordnung oder Hörhilfegerät
KR100347595B1 (ko) 2000-11-02 2002-08-07 심윤주 보청기 자동 피팅방법
CA2492091C (en) * 2002-07-12 2009-04-28 Widex A/S Hearing aid and a method for enhancing speech intelligibility
KR20040019147A (ko) 2002-08-26 2004-03-05 세기스타 주식회사 보청기의 피팅방법
US7447325B2 (en) * 2002-09-12 2008-11-04 Micro Ear Technology, Inc. System and method for selectively coupling hearing aids to electromagnetic signals
JP4913500B2 (ja) 2006-08-10 2012-04-11 有限会社バイセラ 聴力適合化装置
JP2010034949A (ja) 2008-07-30 2010-02-12 Panasonic Corp 補聴器ユニット
KR101000168B1 (ko) 2008-10-16 2010-12-10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주파수 밴드 및 채널의 가변이 가능한 디지털 보청기 피팅 시스템
JP4440333B1 (ja) 2009-03-09 2010-03-24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補聴器
KR101122767B1 (ko) 2010-02-25 2012-03-27 박의봉 보청기 겸용 블루투스 헤드셋 및 그 제어방법
US9364669B2 (en) * 2011-01-25 2016-06-14 The Board Of Regents Of The University Of Texas System Automated method of classifying and suppressing noise in hearing devices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70230726A1 (en) * 2006-03-31 2007-10-04 Siemens Audiologische Technik Gmbh Hearing aid with adaptive start values for apparatus
US20110235835A1 (en) * 2008-12-12 2011-09-29 Widex A/S Method for fine tuning a hearing aid
US20110051963A1 (en) * 2009-08-28 2011-03-03 Siemens Medical Instruments Pte. Ltd. Method for fine-tuning a hearing aid and hearing aid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074227A1 (ko) * 2017-10-11 2019-04-18 삼성전자(주) 전자장치 및 그 제어방법
US11210054B2 (en) 2017-10-11 2021-12-28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for performing automatic volume-level control
WO2022054978A1 (ko) * 2020-09-09 2022-03-17 올리브유니온(주) 자연어 또는 비자연어를 구분하는 스마트 히어링 디바이스, 인공지능 히어링 시스템 및 그 방법
WO2022265317A1 (ko) * 2021-06-17 2022-12-22 삼성전자 주식회사 외부 소리 및 사용자 반응에 대응하는 전자 장치 및 이의 동작 방법
WO2024075885A1 (ko) * 2022-10-04 2024-04-11 올리브유니온(주) 이어폰 제어 방법, 컴퓨터 프로그램 및 컴퓨터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51545B1 (ko) 2019-12-04
US9794699B2 (en) 2017-10-17
US20140169574A1 (en) 2014-06-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51545B1 (ko) 사용자의 외부 환경을 고려한 청각 장치 및 방법
US11705878B2 (en) Intelligent audio output devices
US8526649B2 (en) Providing notification sounds in a customizable manner
US20200174734A1 (en) Dynamic capability demonstration in wearable audio device
US9736264B2 (en) Personal audio system using processing parameters learned from user feedback
US20150172878A1 (en) Acoustic environments and awareness user interfaces for media devices
US20120183164A1 (en) Social network for sharing a hearing aid setting
CN107231473B (zh) 一种音频输出调控方法、设备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US11653148B2 (en) Modifying and transferring audio between devices
CN108540900B (zh) 音量调节方法及相关产品
US20170117003A1 (en) Audio system, audio device, mobile terminal device and audio signal control method
EP3468227B1 (en) A system with a computing program and a server for hearing device service requests
JP2018509820A (ja) パーソナライズされたヘッドホン
US11438710B2 (en) Contextual guidance for hearing aid
EP4164243A1 (en) Active sound device utilizing audio recognition
CN108827338B (zh) 语音导航方法及相关产品
KR20150090221A (ko) 멀티-모드 음향 장치 및 모니터링 시스템
US10506327B2 (en) Ambient environmental sound field manipulation based on user defined voice and audio recognition pattern analysis system and method
US20160337743A1 (en) Apparatus and methods for attenuation of an audio signal
KR101600429B1 (ko) 환경 상황 적응 방식의 청력 보조 기기 및 멀티미디어 장치 연계를 위한 청력 보조 기기의 제어 방법
CN108810787B (zh) 基于音频设备的异物检测方法和装置、终端
US20160330538A1 (en) Audio interrupter alertness device for headphones
JP2020061731A (ja) 環境パラメータに基づいて聴覚装置を制御する方法、関連する付属装置および関連する聴覚システム
TWI546738B (zh) 智慧型手持裝置聽障輔助門鈴辨識暨警告方法、系統及程式產品
KR102250198B1 (ko) 지리적 위치정보에 적합한 파라미터로 자동변환 가능한 보청기, 보청기 시스템 및 그것의 제어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