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82777A - 자성 확산 패치 - Google Patents

자성 확산 패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82777A
KR20140082777A KR1020147011983A KR20147011983A KR20140082777A KR 20140082777 A KR20140082777 A KR 20140082777A KR 1020147011983 A KR1020147011983 A KR 1020147011983A KR 20147011983 A KR20147011983 A KR 20147011983A KR 20140082777 A KR20140082777 A KR 2014008277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gnetic
diffusion
oil
patch
effe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70119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11583B1 (ko
Inventor
투바 칼리크 더마츠
메흐메트 소라르
Original Assignee
미투아스 메디칼 사알릿 히즈멧뜨리 다니시만리치 이흐라자트 잇트할라트 리미딧 시르키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TR2011/09756A external-priority patent/TR201109756A2/xx
Application filed by 미투아스 메디칼 사알릿 히즈멧뜨리 다니시만리치 이흐라자트 잇트할라트 리미딧 시르키티 filed Critical 미투아스 메디칼 사알릿 히즈멧뜨리 다니시만리치 이흐라자트 잇트할라트 리미딧 시르키티
Publication of KR201400827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8277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115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11583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28Asteraceae or Compositae (Aster or Sunflower family), e.g. chamomile, feverfew, yarrow or echinace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32Burseraceae (Frankincense family)
    • A61K36/328Commiphora, e.g. mecca myrrh or balm of Gilea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53Lamiaceae or Labiatae (Mint family), e.g. thyme, rosemary or lavend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71Ranunculaceae (Buttercup family), e.g. larkspur, hepatica, hydrastis, columbine or goldensea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87Vitaceae or Ampelidaceae (Vine or Grape family), e.g. wine grapes, muscadine or peppervi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70Web, sheet or filament bases ; Films; Fibres of the matrix type containing drug
    • A61K9/7023Transdermal patches and similar drug-containing composite devices, e.g. cataplasms
    • A61K9/703Transdermal patches and similar drug-containing composite devices, e.g. cataplasms characterised by shape or structure; Details concerning release liner or backing; Refillable patches; User-activated patch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2/00Magnetotherapy
    • A61N2/002Magnetotherapy in combination with another treatm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2/00Magnetotherapy
    • A61N2/06Magnetotherapy using magnetic fields produced by permanent magne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Botany (AREA)
  • Myc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Biotechnology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Dermatology (AREA)
  • Medicinal Preparation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 Magnetic Treatment Devices (AREA)
  • Medicines That Contain Protein Lipid Enzymes And Other Medicines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확산 효과와 함께 기계적으로 작용하는 특수한 제형을 포함하는, 추간판 탈출증 및 스포츠 부상을 치료하는 용도에 사용하기 위한 의료장치인 확산성 자성 패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자성 확산 패치{MAGNETIC DIFFUSIONAL PATCH}
본 발명은, 즉 상기 자성 확산 패치(magnetic diffusional patch)는 겔-형태 의료 장치, 연속 방출을 실시하는 기계적 효과(mechanical effect)를 갖는 의료 장치, 제어 방출을 실시하는 기계적 효과를 갖는 의료 장치, 서방(sustained release)을 실시하는 기계적 효과를 갖는 의료 장치, 마이크로-스폰지 및/또는 패치 형태, 마사지 오일, 마사지 키트, 연화 크림의 기계적 효과를 갖는 의료 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기 장치는 의료장치 범위 내에 들며 또 추간판 탈출증(disc hernia) 및 스포츠 부상의 치료를 위해 사용하기 위한 것이다.
현재, 세계 전체 인구의 절반 이상이 근로 적합 연령, 즉 20-64세 범위에 있다. 근로자들이 비슷해지는 집단의 증가를 고려할 때, 근로연령대의 성인 인구의 건강은 더욱 중요해진다. 오늘날, 근로자 성인에게 영향을 주는 수많은 건강상 문제가 존재한다. 이들 중, 근로자들의 근로 상실량 및 경제적 손실을 고려할 때 허리 통증은 가장 중요한 문제 중의 하나이다. 허리 통증은 생산 연령 범위로 간주되는 30-50세 연령 범위에서 가장 흔하다. 이러한 병증은 개인의 활동을 제한하여 노동 손실을 초래한다. 가장 심한 노동 상실을 초래하는 측면에서 호흡기관 감염에 이어 2번째 질병으로 간주되는 허리 통증은 산업화된 사회에서 빈번히 조우된다. 예를 들어, 허리 통증은 미국 내 개인의 85%가 일생에 일정 기간 만나는 건강 문제인 것으로 드러나고 있다. 터키의 경우 경제적 데이터가 미국에서처럼 정확하지는 않지만, 허리 통증은 의사를 찾는 이유 중의 2번째이고, 외과 수술의 3번째이며, 또 입원하는 원인의 5번째를 차지하고 있다. 허리 통증 만에 관련된 비용은 매년 약 80백만 달러에 육박하는 것으로 추산된다. (Nilay AYDOGAN, Patients' needs for information at the stage of discharge after being exposed to a surgical operation due to Lumbar Disc Hernia, Hacettepe University Institute of Health Sciences, Nursing Program in Surgical Diseases, Master of Science Thesis).
미국에서, 허리 통증은 건강 비용의 측면에서 협심증, 고혈압 및 당뇨병에 이어 4번째를 차지하며, 또 근로자 개인당 90.24 달러의 비용을 매년 지출하고 있다. 또한, 매년 허리 통증-관련 생산 손실은 28백만 달러에 달하는 것으로 보고되어 있고 또 매년 149백만의 근로일 손실이 추산되고 있다. (Sema Pai, MPH, Lakshmi J., Sundaram, MIA, MPH Low Back Pam: An Economic Assessment in The United States Orthop Clin N Am 35, 1-5, 2004.)
허리 통증을 포함하는 증례의 특징을 결정하기 위해 쿠쿠로바 유니버시티 패컬티 오브 메디신(Cukurova University Faculty of Medicine)에 의해 실시된 연구에서, 상기 증례에 대한 진단 평가는 추간판(디스크) 질병이 27.7% 비율로 첫째를 차지하는 것으로 밝혀졌다(Kozanoglu, M.E., Demirkesen, A., Adam, M., Sarpel, T., Goncu, K., Characteristics of our Cases Involving Lumbar Pain, Cukurova University Faculty of Medicine Journal, Volume: 22, No.: 4, 264-267, 1997).
허리 통증을 호소하는 환자의 대다수 비율은 추간판 탈출증에 걸린 것으로 알려져 있다. 실시된 연구에서, 요추 추간판 탈출증(Lumbar disk herniation: LDH)은 모든 추간판 탈출증의 90%를 차지하는 것으로 밝혀져 있다.
탈출증(herniation)은 기관 돌기의 전체 또는 일부가 통상의 해부학적 구조에 따라 위치할 것으로 요구되는 캐비티(cavity), 시쓰(sheath) 또는 영역 밖으로 나와있는 상태이다. 척추 추간판 탈출증은 수핵(nucleus pulposus)이 섬유성 구조물(annulus fibrosus)로부터 바깥으로 돌출하여 있는 상태이다.
추간판 탈출증은 감염 또는 종양 이외의 원인의 결과로서 추간원판의 형상 및 내용에서 생기는 병리학적 변화로부터 기인하는 질병에 대해 이름붙인 것이다. 추간원판은 척추 사이에 존재하는 구조로서 주로 척주 상에 부과되는 축방향 하중의 흡수 및 분산에 관여된다. 요추 추간판 탈출증(LDH)은 추간판 탈출증 중에서 가장 빈번하게 생기는 군을 포함한다. 상기 증례의 대다수는 하부 요추 추간판 탈출증에 포함된다.
LDH는 3가지 방식으로 치료된다: 보존적, 외과적 및 화학적 수행융해술(chemonucleolysis). 보존적 치료의 기본은 탈출된 추간판을 과도한 응력으로부터 보호하여 섬유증에 의한 치유를 증진시키는 것이다. 이 목적을 위해 이용된 치료는 침상에서 휴식, 약물 요법, 국소적 주사, 견인(traction), 신체 역학의 적절한 이용에 대해 연습이 제공되는 실습 및 요통 학교 등이 수록될 수 있다. 보존적 치료의 실패, 통증의 악화 및 신경 결손의 발생은 수술을 필요로 한다.
현재 이용되는 치료 방법:
치료 방법의 첫째 그룹은 외과적 수술을 포함한다.
이 목적을 위해 실시된 외과적 개입은 추간판절제술(discectomy), 추궁판절제술(laminectomy) 및 현미경수술 (microsurgery) 수법을 이용하여 실시된 과정이다.
상기 방법의 결점은 환자가 적어도 1주일 동안 휴무해야 하고 또 요양 기간 동안 연속적 마취 및 작업이 있는 우려가 있다(환자가 고혈압, 당뇨병 등과 같은 만성 질병을 갖고 있는 경우). 상기 치료의 반복은 또한 많은 문제를 초래한다.
LDH에 대한 외과적 수법에서 최근의 진보에도 불구하고, 수술 후 기간에서 여러 복합증이 생길 수 있다. 일반적인 수술 후 복합증에 더하여, 신경혈관 부상(0.4%), 뇌척수액 누출(2.2%), 추간판 간격 감염(1.5%), 수막내(intermeningeal) 부착 및 감염(1.6%), 수술전 기간만큼 심각한 통증의 재발(14%)이 있을 수 있다. LDH의 결과로 실시된 외과적 개입 이후의 복합증의 발생은 5.5%로 보고되어 있다. (Nilay AYDOGAN, Patients' needs for information at the stage of discharge after being exposed to a surgical operation due to Lumbar Disc Hernia, Hacettepe University Institute of Health Sciences, Nursing Program in Surgical Diseases, Master of Science Thesis).
생길 수 있는 복합증 중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탈출증의 재발 가능성이다. 외과적 처치가 가해졌음에도 불구하고, LDH는 보통 5-15% 비율로 재발하며 또 이용된 수법, 탈출 정도, 부적절한 환자 선택 및 수술 후 기간 동안 환자가 신체 역학에 순응하는 것의 실패는 재발 가능성에 관여된다. (Nilay AYDOGAN,
Patients' needs for information at the stage of discharge after being exposed to a surgical operation due to Lumbar Disc Hernia, Hacettepe University Institute of Health Sciences, Nursing Program in Surgical Diseases, Master of Science Thesis).
인간 척추골 원판은 시간 경과에 따라 다기능적 생화학적 및 형태학적 변형을 거친다. 시간 경과에 따라 퇴화가 증가하는 것과 함께, 추간판 탈출증 및 허리 통증도 빈번하게 관찰된다. 퇴행된 원판은 자연스럽게 퇴행 과정에 관여하는 많은 염증 매개체 양의 증가를 유발한다. 상기 질병과 이들 퇴행 과정 사이의 관계를 밝히기 위한 연구가 현재 요청된다. 추간원판(Intervertebral discs)은 세포외 매트릭스에 의해 둘러싸인 비-혈관 조직 요소이다. 상기 섬유성 구조물이 주로 콜라겐 구조이긴 하지만, 그의 중심 세포는 프로테오글리칸이 풍부하다. 노화에 따라서, 프로테오글리칸 감소가 추간원판의 퇴행에 중요한 요인인 것으로 생각된다. 산화질소(NO), 인터루킨, 프로스타글란딘 E2(PGE2) 및 종양 괴사 인자 알파(TNF-알파)를 비롯한 다수의 염증 매개체가 추간원판의 퇴행과 관련되어 있다. 실시된 상기 연구에서, 이들의 다수는 관절 연골의 변형에 역할을 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Podichetty 2007).
탈출성 원판은 배양 배지 중의 대조용 원판과 비교하여 메탈로프로테이나제(metalloproteinase)의 활성 및 NO, PFE2 및 인터루킨-6의 수준에서 현저한 증가를 초래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Kang 1996). NO 생성은 퇴행적 요추 문제와 함께 생기며, 이는 뇌척수액에서 NO 합성효소 활성 증가로 기인한다. 그러나, 이들 질병에서 NO를 비롯한 염증 매개체의 메카니즘은 명확하게 이해되어져 있지 않다. 계속적인 퇴행은 구조 결함 및 정상 동작의 상실을 초래한다(Podichetty 2007).
두번 째 치료 방법은 물리치료를 포함한다.
이 방법의 결점은 적어도 10-15일 동안 치료를 위해 병원에 특정 시간을 쪼개어 환자가 방문해야 하고 또 수술 후 기간에 휴식하는 동안 매일 적어도 3-4시간의 시간을 쪼개어야 하는 것이다.
세번 째 치료 방법은 근육 이완제 의약을 사용하는 것에 의한 영역의 이완을 포함한다.
이 방법의 결점은 경구적으로 투여되는 이러한 의약이 산성 특성으로 인하여 위장 배지에서 용해되었더라도 환자의 위장장애를 유발하는 것이다.
최근에 실시된 연구는 식물에서 얻을 수 있는 휘발성 화합물을 비롯한 천연 산화방지제가 산화 손상을 방지하여서 염증성 세포 노화의 진행(Khanna et al., 2007) 및 신경퇴행적 손상(Fusco et al)으로부터 보호하는 것이 알려져 있다.
필수 오일의 화학적 내용의 상당 부분을 구성하는 테르페노이드는 작은 분자량으로 인하여 세포막을 통과하므로, 항염증 효과 및 항콜린에스테라제 효과를 비롯한 상이한 생물학적 활성을 유도한다([Chao et al, 2005], [Kulisic et al., 2007] and [Loizzo et al., 2007]).
문헌에서 연구의 일환으로 발명의 공지 특징을 언급하는 상술한 부분은 추간판 탈출증 및 스포츠 부상의 경우에서 특히 생기는 염증 및 부종으로부터 기인한 통증 치료를 지지하기 위한 이차 효과의 기재이다.
상기 발명으로 인하여, 상기 방법의 결점들이 극복되며 또 치료는 24시간 이내에 실현될 것이다. 자성 확산 패치는, 확산 효과로 인하여 신속한 기계적(mechanical) 치유를 제공하기 때문에, 추간판 탈출증 및 스포츠 부상에 대한 기존의 치료법에 비하여 훨씬 우수한 제품이다. 기술 및 과학의 공지 특징에 대하여 정의된 항염증 효과 및 항부종 효과는 이차적 효과로서 확산성 기계적 효과를 지지한다.
본 발명이 적용될 환자 그룹은 요추 및 경추 추간판 탈출증 환자 및 부종성 스포츠 부상 환자를 포함한다.
소정 원판 공간에 대하여 20*15 cm 치수의 자성 확산 패치를 피부를 통하여 도포하여서 병든 원판 공간이 패치의 중심에서 정확하게 유지되고; 또 스포츠 부상의 경우, 열상이 없다면, 패치를 피부를 통하여 정확하게 부종 부위에 도포한다. 환자에 도포한 후, 침대에서 휴식하는 동안 모니터링한다.
본 발명에 따른 자성 확산 패치는 3개의 주요 구조를 포함한다:
1. 구조: 마이크로-스폰지 특징, 특히 직물직조(woven)이고, 높은 흡수능과 하부 및 상부 부분에서 완충 영역을 갖는 기본적 의료용 재료.
2. 구조: 실온에서 고체-반고체 형태이지만, 몸과 접촉시 체온의 영향하에서 자유롭게 되어 기계적 효과를 나타낼 물질을 방출하는 구조로서, 상기 구조는 덱스트린 팔미테이트 유도체를 사용하여 겔화하는 것에 의해 얻어진다.
오일의 밀도는 특히 오일의 화학적 성분의 상당 부분을 구성하는 테르페노이드로 인하여 물보다 더 낮다. 추간판 탈출증은 90%의 물 성분(d>1)을 갖는 겔로오스 구조이다. 스포츠 부상에서 형성된 부종 조직에서, 세포내 액체 밀도는 증가된다(d=1). 본 발명에 따른 자성 확산 패치를 도포하면, 체온에 의해 겔화제 및 실시제로부터 분리된 오일은 상이한 임무를 가져서 높은 유체 함량을 갖는 영역을 향하여 이동할 것이다. 이들 오일 중에서, 레몬 오일(oleum limonis)의 기공 확장 효과가 이용된다. 카모밀라 오일 및 스티락스 리퀴두스(Styrax Liquidus)는 휘발성 오일이며, 상기 오일은 유체 영역에 첫째로 도달하여서 신속한 이동력으로 인하여 포화 버퍼 영역을 형성하는 오일이다. 탈출 원판 및 스포츠 부상의 경우에 세포내 액체 증가를 갖는 부종 영역에 다른 오일의 도달시, 물보다 낮은 밀도를 갖는 체적적으로 상당한 영역이 버퍼 영역 바로 뒤에 형성된다.
3. 구조: 이 구조는 마이크로파이버 구조의 우측 및 좌측에 위치하며, 또 도포 형태에 따라서, 자성 플레이크의 산포에 의해 기계적 효과를 나타내는 반고체-고체 형태로 형성될 수 있거나 또는 투여에 따라서 외부적으로 도포될 수 있도록 고안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제품에 함유된 하기에 언급된 식물 오일은 이들이 나타내는 상승 효과로 인하여 기본적 기계적 효과를 지지하는 이차적 효과로 인하여 항-부종, 항-염증성 및 진통 효과를 생성한다.
소듐 라우일 설페이트 1-10, 덱스트린 팔미테이트 유도체 1-10, 세틸알코올 1-10, 스테아릴 알코올 5-10, 액체 바셀린 1-20, 파라핀 1-30, 라놀린 1-10, 물 1-10, 블랙 큐민 오일(Oleum nigellae sativae) 1-20, 오리가눔 오일(Oleum origani) 1-20, 올레움 라우리 엑스레숨(Oleum lauri expressum) 1-30, 레몬 오일 1-15, 카모밀라 오일 1-30, 발삼 메카애(Balsamum Meccae) 1-30, 비티스 비니페라애 오일(Oleum Vitis Viniferae) 1-10, 스티락스 리퀴두스(Styrax Liguidus) 1-30. 제형에 대한 보조 물질은 국소 특성에 따라서 감소되거나, 증가되거나 또는 보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제품에 함유된 식물 오일은, 이들이 나타내는 상승 효과로 인하여, 이차 효과를 지지하는 항-부종, 항-염증 및 진통 효과를 생성한다.
상기 식물 오일 조합을 함유하는, 오일, 연고, 패드, 크림, 겔 형태의 의료 장치, 연속 방출을 실시하는 기계적 효과를 갖는 의료 장치, 제어되는 방출을 실시하는 기계적 효과를 갖는 의료 장치, 서방을 실시하는 기계적 효과를 갖는 의료 장치 및 마이크로-스폰지 및/또는 기계적 효과를 갖는 패치-형태 의료 장치 제형이 제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형은 높은 흡수성을 갖는 캐리어 매트릭스 또는 의료용 직물에 함침되는 방식으로 사용될 수 있고 또 왁스상 형성시 덩어리를 형성할 수 있는 것에 의해 장시간 피부 접촉을 달성할 수 있다.
이들 모든 제형의 경우, 허브 혼합물과는 상호작용하지 않은 증점성, 증량 및 전달성 화학물질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발명의 성분으로 존재하는 오일의 내용물 및 효과는 다음과 같이 열거된다.
블랙 큐민 오일 내에 약 25% 비율로 존재하는 티모퀴논(thymoquinone)이 아이코사노이드의 도움에 의해 세포성 지질 과산화반응을 분화하는 것에 의해 항-염증 반응을 유도하고 또 유도된 관절염을 콜라겐의 도움으로 억제할 수 있다는 것이 실험 연구에서 밝혀졌다. 티모퀴논이 시클로옥시게나제(COX) 및 리포옥시게나제 효소를 차단하여 트롬복산 및 류코트리엔 B4가 아이코사노이드로부터 합성되는 것을 억제하는 것도 밝혀졌다. 실험 동물에 티모퀴논의 적용은 친염증성 사이토카인 TNF-알파 및 인터루킨(IL)-1 베타의 수준 감소를 초래하며, 상기 수준은 류마티스성 관절염의 경우에 증가되며, 또 상기 적용은 질병의 심각성을 감소시킨다.
오리가눔(Origanum) 종은 로즈마리닌산, 올레아놀린산 및 우르솔린산과 같은 항-염증 성분을 함유하는 식물이다(Shen D 2010). 실험 동물에서 대장염(colitis)의 치료에 사용될 때, 오리가눔은 IL-1β, IL-6, GM-CSF 및 TNF-α와 같은 친염증성(proinflammatory) 사이토카인의 수준 감소를 초래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오리가눔으로부터 얻어진 필수 오일이 신경퇴행성 질환의 예방에 효과적일 수 있다는 의견도 있다(Loizzo et al, 2009). 세포 모델링을 위하여 활성화된 인간 THP-1 대식세포를 사용한 연구에서, 오리가눔으로부터 얻어진 분획은 친염증성 사이토카인 TNF-α, IL-1β 및 IL-6의 합성을 감소시키는 한편, 항-염증성 사이토카인 IL-10의 생산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관찰되었다.
라우루스 노빌리스(Laurus nobilis)는 류마티스성 통증 완화를 위한 전통적인 의약에서 국소적으로 적용된다. 라우렐 오일의 기본 성분에 드는 α-피넨, β-피넨 및 사빈의 항-염증 효과는 실험 모델에 의해 밝혀졌다. 또한, 4-테르피네올은 활성화된 인간 단구에서 염증 매개체를 억제하는 것으로 밝혀졌다(Hartet al., 2000). 실험 동물에 대해 실시된 연구에서, 라우렐 오일의 진통 및 항-염증 효과는 포르말린 및 테일 리플렉스 시험에 의해 밝혀졌고, 또 그 효과는 비-스테로이드성 항-염증성 약물 모르핀 및 피록시캄에 통계적으로 필적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라우렐 오일의 성분인 유게놀(eugenol) 및 메틸 유게놀의 마취 및 근육 이완 특성도 또한 밝혀졌다(Sayyah 2003). 또한, 상기 라우렐 오일은 항균 특징을 나타내며 또 이 특징으로 인하여, 제품의 저장 수명을 연장할 수 있을 것으로 믿어진다(Ramos 2011).
레몬 오일은 피부 자극을 초래하지 않고도 다양한 분자의 경피 투과를 증가시키며, 또 이 특성으로 인하여, 상이한 피부 조합물에 사용된다.
카모마일(Chamomillae)은 습진, 궤양, 통풍(gout), 신경통 및 류마티스성 통증을 치료하기 위한 상이한 배지에에서 수세기 동안 사용되어 온 식물이다. 이것의 치료 활성은 이 구조에 함유된 다양한 플라보노이드 성분 및 플라본(아피게닌, 류테올린)과 플라본 유도체 화합물(퀘르세틴, 파툴레틴)에 기인한다. 카모마일은 독일 커미션 E에 의해 다양한 염증성 질환 및 궤양에 경구 사용하는 것으로 승인되었고 또 다양한 피부 질환 및 염증 질환에서 피부 사용 용도로 승인되었다. 실시된 연구에 따르면, 카모마일은 항-염증 효과를 갖는 선택적 COX 억제제이라는 것을 나타내었다. 또한, 대식세포에 대한 그의 항-염증 효과는 유도성 산화질소 합성효소(iNOS) 발현 및 NO 생산에 대한 억제 효과를 통하여 밝혀졌다. NO 생성 억제에 더하여 카모마일의 적용은 IL-1β, IL-6 및 TNFα 에 의해 유도된 NO 수준에 대해 상당한 차단을 갖는다.
우리 나라에서 주로 자라는 리퀴담바르 오리엔탈리스(Liquidambar orientalis) (소합향 나무) 식물로부터 얻은 검(오리엔탈 스위트 검)에 대한 한정된 연구가 있지만, 이것이 함유하는 수지로 인하여 항-염증, 방부 및 항균 효과를 보유하는 것으로 믿어진다.
상기 발명은 자성 효과도 또한 제공한다. 일반적 정보에 따르면, 상기 자성 효과는 자화된 금속에 의해 관절석의 치료를 위해 그리스 내과의에 의해 BC 3세기에서 이용되었고, 통풍, 대머리 및 해독 치료를 위해 자석을 이용하여 의사에 의해 중세에 사용된 것이 알려져 있다. 상술한 역사적 시기에서와 같이, 정적 전기-하전된 금속/자석은 또한 연속적 에너지 흐름 형성능을 갖기 때문에 다수의 치료를 위해 지지체로서 사용되고 있다.
충분한 임상적 연구가 존재하는 것은 아니지만, 상기 자석은 혈액 흐름을 조절하고, 체내 산소의 양을 증가시키며, 림프 배출을 증가시키고 또 근육을 이완하는 것으로 보여진다. 상기 자석은 치유 면에서 인간에 대하여 긍정적인 효과를 초래한다.
본 발명에 포함된 자성 시스템의 제조를 위해 3 단계가 실시된다.
1. 단계: 허브 연화오일 혼합물의 제조
이 단계에서, 적용 분야에 따라서 증점제를 사용하여 가열 및 냉각 과정이 뒤따르는 시스템에 의해 혼합물을 제조한다.
2. 단계: 캐리어(carrier) 부분의 형성
척추의 우측 및 좌측에 위치하도록 배치된 자성 밴드는 식품 제조시에서도 사용되는 폴리비닐 물질의 우측 및 좌측 상에 팩케이지 갭을 남기는 것에 의해 수평적으로 위치한다. 자성 밴드 대신, 자성 플레이크도 또한 오일 혼합물이 제조되는 폼(form)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압력은 형성된 상기 듀얼 시스템에 대해 컴프레서 시스템을 이용하여 적용되며, 그에 의해 제품을 전달할 저장 영역을 형성한다. 연화성 혼합물은 형성된 저장기 중의 자성 밴드의 중앙에 위치하도록 펴발라서 도포한다. 보호성 및 투과성 물질로 피복된다.
상기 제품이 저장기를 형성하지 않고 분포시키는 적용에 의해 캐리어 상에 배치되면, 목면과 같은 멸균성 투과 물질에 의해 덮여서 2 부분 상에 고정된다.
3. 단계: 팩케이지를 밀폐하는 단계
상기 2. 단계에서, 몸과 제품 사이에 직접적인 접촉을 방지하기 위하여, 거즈 컴프레스를 이용하여 전체적으로 덮고 폴리오(folio) 물질을 이용하여 닫으며, 이는 식품 제조시에서도 또한 이용된다. 밀폐 과정에 사용된 접착제는 열에 의해 활성화되는 물질이며 또 식품 제품에도 사용된다. 접착제 물질을 사용하지 않고 열에 의해서 밀폐를 실시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제품에서 이용가능한 확산 구조는 자성 도포를 보조하기 위하여 확산성 치료 지원과 함께 기계적 효과를 제공한다. 확산 구조는 특정의 캐리어와 함께 식물 오일을 함유한다. 이들 오일은 주변 근육의 휴식 상태를 지원하고 또한 림프 배출 증가에서 지원을 제공한다.
수핵을 둘러싼 콜라겐 구조 중의 섬유성 구조물은 추간원판으로 지칭되는 구조가 확산에 의해 공급될 수 있게 하는 막 특징을 갖는다. 12세 연령에서부터 시작해서, 추간원판의 혈관공급이 끝나고 확산에 의해 계속 공급된다. 추간원판이 탈출하게 되면, 수핵과 함께 섬유성 구조물은 심각하게 탈출되거나 또는 섬유성 구조물의 통합성이 손실되어 찢어찌게 된다. 양쪽 경우에서, 섬유성 구조물의 막 특징은 변질되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의료 장치의 성분으로 이용할 수 있는 감귤류 오일은 기계적으로(mechanically) 기공을 확장시키는 능력을 특징으로 한다. 자성 확산 패치는 그의 성분을 추간원판 영역으로까지 전달한다. 제품 성분 내의 저분자량 오일은 탈출된 섬유성 구조물의 막 특징의 변질로부터 이득을 얻어 탈출된 수핵으로 확산되게 된다. 작은 구조 및 더욱 신속하게 이동하는 이점을 이용하는 저분자량 오일은 변질된 투과성을 갖는 막으로부터 물리적으로 또 기계적으로 완전히 통과하여 탈출된 수핵 영역으로 간다. 이 영역에 도달한 저분자량 오일은 탈출된 수핵의 구조 내의 콜라겐성 극성 공간을 통하여 고유 거리로 확산될 수 있다. 이렇게 하여, 이들은 탈출된 추간원판의 부피에서 물리적으로 일시적 증가를 초래한다. 상기 물리적 부피 증가가 신경근 상에의 압력 증가를 초래하는 경우, 첫 24시간 동안 환자에서 일시적 통증 증가를 초래할 수 있다. 확산된 오일은 물리적으로 막 투과성을 파쇄하고 또 이들 오일이 존재하는 환경에서 삼투압을 감소시키기 때문에, 탈출된 수핵의 구조내에서 얻을 수 있고 또 상기 구조의 약 88%를 구성하는 세포내 영역 중의 물은 낮은 삼투압 부분으로부터 탈출된 섬유성 구조물 밖의 오일과 비교하여 단순한 기계적 효과에 의해 더 높은 삼투압의 영역으로 통과한다. 이렇게 하여, 세포내 물에 포함되는 전체 중량의 약 88%인 탈출된 수핵은 물의 단순한 기계적 통과의 결과로서 그 중량의 상당 부분을 상실하므로, 신경근 상의 압력은 부피적으로(중량적으로) 사라진다. 그 결과, 탈출된 추간원판이 신경근 상에 부여하는 압력에 기인한 임상적 증상이 사라진다.
상기 식물 오일-함유 조합물은, 캐리어 매트릭스 또는 직물 제품과 조합하거나 또는 장치에 통합(integrated)시키는 것에 의해, 피부 상에 적어도 12시간 유지되도록 겔, 크림, 패드, 왁스 형태, 연속 방출을 실시하거나, 제어된 방출을 실시하거나, 서방을 실시하는 마이크로-스폰지 및/또는 패치 형태로 제조될 수 있고, 따라서 상기 조합물은 약학적, 의료적 또는 의약 장치 포맷으로 구조화하는 것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제품은 스포츠 부상의 부종 영역에 즉각 도포될 수 있다.
그 결과, 상기 자성 확산 패치는 의료 처치 및 물리요법이 맞지 않아 통증이 있는 요추 디스크 환자 환자가 수술에 들어가기 전에 실시될 수 있는 효과적인 비침습적 치료 방법을 허용하는 제품이다. 확산 메카니즘에 의해 형성된 기계적 효과는 항-염증 효과 및 항-부종 효과에 의해서도 부착적으로 지지되며, 또 스포츠 부상의 경우에서, 단시간에 저비용으로 근로 손실을 초래하지 않는 방식으로 치료 지원을 제공한다.

Claims (7)

  1. 확산 효과를 생성할 수 있는 기계적 효과를 갖는 구조를 포함하는 자성 확산 패치로서,
    상기 구조는 마이크로파이버 특성을 갖는 기본적 의료용 재료, 특히 기계적으로 확산 효과를 갖도록 작용하는 특수 제형을 갖는 형태로서, 그의 하부 및 상부 영역에 가능한 완충 영역을 갖는 형태에서 고 흡수능을 갖는 직물; 몸과 접촉하면 오일 성분을 방출하며 근육의 휴식 상태를 지원하고 림프 배출 증가를 지원하는 허브 오일 조합물; 및 상기 마이크로파이버 구조의 우측 및 좌측에 위치한 자성 밴드 또는 제품 상에 위치한 자성 플레이크에 의해 형성될 수 있고;
    상기 구조는,
    - 1. 허브 연화성 오일 혼합물을 제조하는 단계,
    - 2. 척추의 우측 및 좌측에 위치하는 방식으로 배치된 자성 밴드는 팩케이지 갭을 폴리비닐 물질의 우측 및 좌측 상에 남기는 것에 의해 수평으로 배치시키거나 또는 자성 부분을 제품 상에 위치시키고, 컴프레서 시스템에 의해 상기 형성된 듀얼 시스템에 압력을 가하여, 제품을 이동시킬 저장 영역을 형성하며, 또 상기 연화 혼합물은 형성된 저장기 중의 자성 밴드의 중앙에 위치하도록 산포하거나, 상기 산포하는 것에 의해 제조된 제품을 덮어서 고정하는 단계, 및
    - 3. 팩케이지의 밀폐를 실시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3단계 방법으로 형성되는, 자성 확산 패치.
  2. 제1항에 있어서, 확산 효과를 기계적으로 나타내는 특수 제형을 갖는 오일 혼합물을 포함하며, 상기 제형은 나트륨 라우릴 설페이트, 덱스트린 팔미테이트, 세틸 알코올, 스테아릴 알코올, 액체 바셀린, 파라핀, 라놀린, 물, 블랙 큐민 오일(oleum nigellae sativae), 오리가니 오일, 올레움 라우리 엑스프레숨, 레몬 오일, 카모마일 오일, 발사뭄 메카애, 올레움 비티스 비니페라, 스티락스 리퀴두스 및 덱스트린 팔미테이트 유도체를 포함하는 자성 확산 패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그의 제형 및 캐리어 성분과 함께 기계적 확산 방식으로 기계적으로 작용하는 확산 메카니즘을 갖는 자성 확산 패치.
  4. 제1항, 제2항 또는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겔 형태에서 연속적 방출 또는 제어되는 방출 또는 서방성 방출을 실시하며, 마이크로-스폰지 및/또는 패치 캐리어 매트릭스 또는 직물 제품과 조합될 수 있거나 또는 장치에 통합될 수 있으며, 또 기계적 확산 효과를 갖는 자성 확산 패치.
  5. 제1항, 제2항, 제3항 또는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허브 오일을 갖는 조합물은 적어도 12시간 동안 피부에 유지되고, 연속적 방출을 실시하거나, 제어된 방출을 실시하거나, 서방성 방출을 실시하는 방식으로 겔, 크림, 패드, 왁스 형태의 구조를 포함하는 자성 확산 패치.
  6. 제1항, 제2항, 제3항, 제4항 또는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스포츠 부상의 경우에서 기계적 효과를 보조하는 항-염증 효과 및 항-부종 효과를 이차적으로 지원하는 자성 확산 패치.
  7. 제1항, 제2항, 제3항, 제4항, 제5항 또는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자성 효과를 가지며 또 식품 생산에 사용된 폴리비닐 물질과 자성 밴드 사이에 상기 혼합물을 적용하는데 필요한 저장기 형태의 구조를 포함하는 자성 확산 패치.



KR1020147011983A 2011-10-03 2012-10-02 자성 확산 패치 KR10191158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TR2011/09756A TR201109756A2 (tr) 2011-10-03 2011-10-03 Artcure manyetik difuzyonel yama.
TR2011/09756 2011-10-03
TR2012/09991 2012-08-31
TR201209991 2012-08-31
PCT/TR2012/000163 WO2013074050A2 (en) 2011-10-03 2012-10-02 Magnetic diffusional patch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82777A true KR20140082777A (ko) 2014-07-02
KR101911583B1 KR101911583B1 (ko) 2018-10-24

Family

ID=476040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7011983A KR101911583B1 (ko) 2011-10-03 2012-10-02 자성 확산 패치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1) US9707259B2 (ko)
EP (1) EP2771068B1 (ko)
KR (1) KR101911583B1 (ko)
BR (1) BR112014008033A2 (ko)
ES (1) ES2883203T3 (ko)
LT (1) LT2771068T (ko)
PL (1) PL2771068T3 (ko)
PT (1) PT2771068T (ko)
RS (1) RS62640B1 (ko)
WO (1) WO2013074050A2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031330A (zh) * 2015-07-06 2015-11-11 张光政 一种治疗疝气的中药组合物及制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406192B2 (en) * 2014-01-21 2019-09-10 Metuas Medikal Saglik Hizmetleri Danismanlik Ihracat Ithalat A.S. Sirketi Artcure diffusional patch
US10151394B2 (en) 2017-02-20 2018-12-11 William Pittman Leak patching system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748470A (en) * 1926-11-18 1930-02-25 Kaiserslautern Ferbandstoff Fa Bandage
DE8128911U1 (de) * 1981-10-02 1982-06-16 Energy-Pak Europe Ltd., 9490 Vaduz Magnetpflaster
US4588400A (en) * 1982-12-16 1986-05-13 Johnson & Johnson Products, Inc. Liquid loaded pad for medical applications
FR2791570B1 (fr) * 1999-03-31 2003-04-04 Oreal Patch a effet de champ magnetique
US20020082279A1 (en) * 1999-10-15 2002-06-27 Neal B. Schultz Method and composition for the treatment of dermatologic diseases
US6319942B1 (en) * 2001-06-06 2001-11-20 Nicholas V. Perricone Topical scar treatments using alkanolamines
WO2004025006A1 (en) * 2002-07-23 2004-03-25 Jung Suk Lee A method of preparing a body-stimulating synthetic resin
US6770729B2 (en) * 2002-09-30 2004-08-03 Medtronic Minimed, Inc. Polymer compositions containing bioactive agents and methods for their use
US20070254947A1 (en) * 2006-04-28 2007-11-01 Rohto Pharmaceutical Co., Ltd. Composition for external use
US20090092691A1 (en) * 2007-05-03 2009-04-09 Lucia Antonia Spannagel Formulation Based on Marigold, Aloe, and Centellae
US8999401B2 (en) * 2007-05-09 2015-04-07 Henry Steven Luria Delivery system and method to deliver homeopathic complexes comprising homeopathic colored pigment products for cosmetic use
US20090056734A1 (en) * 2007-08-31 2009-03-05 Rebecca Bacon Hair texturizer and conditioner
US8623335B2 (en) * 2007-09-10 2014-01-07 Tauna Ann Waddington Scar and rosacea and other skin care treatment composition and method
US8591961B2 (en) * 2008-09-04 2013-11-26 Allergan, Inc. Aesthetic treatment of scars and aging ski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031330A (zh) * 2015-07-06 2015-11-11 张光政 一种治疗疝气的中药组合物及制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PT2771068T (pt) 2021-08-12
PL2771068T3 (pl) 2021-10-11
WO2013074050A2 (en) 2013-05-23
EP2771068A2 (en) 2014-09-03
WO2013074050A3 (en) 2013-08-15
EP2771068B1 (en) 2021-05-05
LT2771068T (lt) 2021-08-25
ES2883203T3 (es) 2021-12-07
US20140179982A1 (en) 2014-06-26
BR112014008033A2 (pt) 2019-09-24
US9707259B2 (en) 2017-07-18
KR101911583B1 (ko) 2018-10-24
RS62640B1 (sr) 2021-12-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Sharma et al. Medicinal plants and their components for wound healing applications
KR101006693B1 (ko) 지질치환에 의한 손상된 피부 장벽 복원 및 진경, 항염의 복합작용을 통한 아토피 증상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CN107550808B (zh) 一种祛尿布疹的保湿婴儿护臀乳液及其制备方法
JPH07505133A (ja) 冷却加工し,黄色液汁及びアロインを除去したアロエ・ヴェラ抽出物を含有する皮膚治療用混合物
JP6298819B2 (ja) コンパニオン美容組成物
CN105062726A (zh) 一款调理肌肤淡化黑色素的药皂
KR101911583B1 (ko) 자성 확산 패치
CN102327419A (zh) 一种治疗伤口愈合的外用药
ES2702815T3 (es) Composición cosmética o dermatológica que contiene un extracto de orquidea y método de tratamiento cosmético que utiliza dicha composición
CN103054989A (zh) 一种用于预防和治疗牛皮癣的复方精油及其制备方法
CN101129468A (zh) 红花酒
CN104490718A (zh) 一种含氢化超支化聚烯烃的马油护肤品组合物及制备方法
CN103623151A (zh) 一种外用快速消炎止痛药的配方及其制备方法
CN102743506A (zh) 一种山茶油痤疮露及其制备方法
CN102872304B (zh) 一种预防和治疗褥疮的按摩油
CN105168629A (zh) 一种治疗气滞血瘀型褥疮的中药凝胶剂
US20210338756A1 (en) Healing creams and formulations containing pomegranate seed oil, rosa canina fruit oil, inula viscosa oleoresin or extract and optionally citrus medica vulgaris etrog oil or extract
RU2129434C1 (ru) Линимент "камфоцитол"
KR102641072B1 (ko) 립밤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여 제조된 립밤
CN108653431A (zh) 防治鼻炎的药物组合物、制备方法及其应用和制剂
CN111544564B (zh) 一种婴儿尿布性皮炎药膏及其制备方法
CN102225125B (zh) 一种治疗类风湿引起的骨关节痛的外用中药组合物及其制备方法
CN106421379A (zh) 一种治疗老骨病用复方透骨乳香透皮剂及其制备方法
CN101024030A (zh) 一种预防褥疮的药物
EP2722050A2 (en) Use of olive oil to prevent and to treat diseases involving an ischemic proces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