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82132A - 스마트폰을 이용한 실물엽서 발송방법 - Google Patents

스마트폰을 이용한 실물엽서 발송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82132A
KR20140082132A KR1020120151634A KR20120151634A KR20140082132A KR 20140082132 A KR20140082132 A KR 20140082132A KR 1020120151634 A KR1020120151634 A KR 1020120151634A KR 20120151634 A KR20120151634 A KR 20120151634A KR 20140082132 A KR20140082132 A KR 2014008213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stcard
smartphone
picture
real
recipi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516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상원
Original Assignee
이상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상원 filed Critical 이상원
Priority to KR10201201516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082132A/ko
Publication of KR201400821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8213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60Business processes related to postal 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2Digital output to print unit, e.g. line printer, chain printer
    • G06F3/1201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 G06F3/1223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specifically adapted to use a particular technique
    • G06F3/1237Print job management
    • G06F3/1242Image or content composition onto a page
    • G06F3/1243Variable data printing, e.g. document forms, templates, labels, coupons, advertisements, logos, watermarks, transactional printing, fixed content version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009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 G06K19/06037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multi-dimensional cod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1/002D [Two Dimensional] image generation
    • G06T11/60Editing figures and text; Combining figures or tex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Econom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Marketing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마트폰을 이용한 실물엽서 발송방법에 관한 것으로,고객이 스마트폰에 탑재된 엽서 어플를 클릭하여 서버에 접속하는 제 1 단계와; 상기 스마트폰을 이용하여 사진을 실제 촬영 또는 촬영된 사진을 선택하는 제 2 단계와; 수신인과 발송인의 인적사항과 엽서 내용을 입력하는 제 3 단계와; 상기 서버와 접속된 엽서 발송 시스템에 접속하여 상기 사진이 반커팅된 실물엽서를 출력하고 상기 엽서가 사생활 보호용 봉투에 넣어져 상기 수신인에게 발송한 후 그 발송여부를 상기 엽서 발송 시스템에 입력하는 제 4 단계와; 상기 고객의 스마트폰의 상기 엽서 어플에서 상기 실물엽서의 발송여부를 확인하는 제 5 단계로 구성됨으로써, 고객이 실제 사진을 찍거나 사진을 선택한 후 간단한 조작에 의해 정보를 입력하면 실물엽서가 수신인에게 발송되며, 특히 엽서사진을 별도로 모을 수 있도록 반커팅되어 있고 발송인과 수신인의 개인사생활 정보가 담긴 엽서사진과 내용을 제3자에게 노출되지 않도록 보호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스마트폰을 이용한 실물엽서 발송방법 {Method of delivering real postcards by smartphone}
본 발명은 엽서에서 사진 분리가 용이하며 개인 사생활이 담겨진 엽서 사진을 보호할 수 있는 스마트폰을 이용한 실물엽서 발송방법에 관한 것이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10-100379호(공개일자: 2010.9.15., 발명의 명칭: 휴패 단말기를 이용한 엽서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는 도 4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휴대 단말기가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엽서 형식, 사진, 엽서 내용, 보내는 사람 주소, 받는 사람 주소를 포함하는 엽서 데이터를 전송하는 단계; 엽서 서비스 서버가 상기 엽서 데이터를 수신하여, 상기 사진, 엽서 내용, 보내는 사람 주소, 받는 사람의 주소를 상기 엽서 형식에 따라 각각의 해당하는 영역에 삽입하여 디지털 엽서를 생성하는 단계; 엽서 서비스 서버가 상기 디지털 엽서를 인쇄하여 엽서를 생성하여 생성한 엽서를 상대방에게 우편으로 발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엽서 서비스 방법이 제안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방법은 사람에 의해 작성되어 보내지던 엽서를 단지 휴대 단말기 및 이와 연동되는 서버 등의 장치를 이용하는 것에 지나지 않음은 물론, 개인 사생활 문제가 연결된 엽서사진 등이 제3자에 의해 노출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창출된 본 발명의 목적은, 엽서에서 사진 분리가 용이하며 개인 사생활이 담겨진 엽서 사진을 보호할 수 있는 스마트폰을 이용한 실물엽서 발송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목적은, 고객이 스마트폰에 탑재된 엽서 어플를 클릭하여 서버에 접속하는 제 1 단계와; 상기 스마트폰을 이용하여 사진을 실제 촬영 또는 촬영된 사진을 선택하는 제 2 단계와; 수신인과 발송인의 인적사항과 엽서 내용을 입력하는 제 3 단계와; 상기 서버와 접속된 엽서 발송 시스템에 접속하여 상기 사진이 반커팅된 실물엽서를 출력하고 상기 엽서가 사생활 보호용 봉투에 넣어져 상기 수신인에게 발송한 후 그 발송여부를 상기 엽서 발송 시스템에 입력하는 제 4 단계와; 상기 고객의 스마트폰의 상기 엽서 어플에서 상기 실물엽서의 발송여부를 확인하는 제 5 단계로 구성된 스마트폰을 이용한 실물엽서 발송방법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상세하게는, 본 발명의 상기 고객은 상기 스마트폰으로 상기 서버에 접속하여 상기 엽서 어플을 다운로드받은 후 회원가입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세하게는, 본 발명의 상기 제 2 단계의 사진은 상기 엽서 어플에서 편집하여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세하게는, 본 발명의 상기 실물엽서의 사진은 상기 실물엽서의 가장자리로부터 적어도 4cm는 이격되는 위치에 반커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세하게는, 본 발명의 상기 반커팅된 사진의 하부 여백에 엽서 내용이 기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세하게는, 본 발명의 상기 사생활보호 봉투는 보내는 사람과 받는 사람이 노출된 봉투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의 구성은 고객이 실제 사진을 찍거나 사진을 선택한 후 간단한 조작에 의해 정보를 입력하면 실물엽서가 수신인에게 발송되며, 특히 엽서사진을 별도로 모을 수 있도록 반커팅되어 있고 발송인과 수신인의 개인사생활 정보가 담긴 엽서사진과 내용을 제3자에게 노출되지 않도록 보호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의한 휴패 단말기를 이용한 엽서 서비스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스마트폰을 이용한 실물엽서 발송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3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실물엽서 등을 나타내는 사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의한 스마트폰을 이용한 실물엽서 발송방법은 다음과 같은 과정을 거쳐 이루어진다.
엽서어플 다운로드 및 회원가입(S110)
먼저, 고객은 자신의 스마트폰으로 엽서어플을 서버에 접속하여 다운로드 받는다. 그런 다음, 엽서 어플을 사용할 수 있도록 회원가입을 한다.
여기서, 고객이 엽서어플을 다운로드 받고 회원가입을 한 다음에는 별도의 확인절차 없이 엽서어플을 사용할 수 있다.
엽서사진 찍기 또는 선택(S120)
고객은 엽서에 함께 보내고 싶은 사진을 실제 찍거나 스마트폰에 저장된 사진 또는 다른 어플에 저장된 사진을 선택한다.
여기서, 촬영되거나 선택된 사진은 엽서어플에 제공된 사진 편집 기능에 의해 편집을 수행할 수 있다.
엽서내용 입력(S130)
고객이 엽서의 내용을 입력한다.
만약, 고객이 엽서의 내용을 입력하지 않으면 GPS 위치 추적기능에 의해 현재 장소와 발송인의 이름이 입력된다.
그리고, 엽서의 수신인과 발송인을 선택하여 입력한다.
여기서, 수신인과 발송인은 주소록을 이용할 수 있다. 만약, 발송인이 본인 경우에는 별도의 입력을 하지 않아도 회원 가입된 정보에 의해 발송인이 자동 입력된다.
실물엽서 생성(사진부분 반커팅 )(S140)
고객이 엽서어플에 접속하여 사진을 선택하고 엽서 내용을 입력하면 이러한 정보는 서버에 입력되며, 서버와 실시간 접속된 엽서 발송 시스템에서 엽서사진 부분이 반커팅(파선으로 표시)된 실물엽서가 도 3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제작된다.
이때, 엽서사진은 엽서 가장자리로부터 적어도 4cm는 이격되도록 제작된다.
그리고, 반커팅된 사진의 하부 여백에는 엽서내용이 출력된다.
엽서사진이 가려진 봉투에 넣어 수신인에게 발송(S150)
엽서사진 부분이 반커팅된 실물엽서(도 3 참조)는 도 4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은, 엽서봉투에 의해 넣어져 수신인에게 발송된다.
엽서의 발송이 완료되면, 엽서 발송 시스템에 이러한 정보를 입력하고 엽서의 발송여부는 서버에 저장된다.
여기서, 엽서봉투는 수신인과 발송인의 사생활정보가 담겨진 엽서사진을 가리며, [보내는 사람]과 [받는 사람]만이 윈도우로 노출되어 있다.
특히, 엽서봉투의 윈도우는 필름지로 보호되어 있다.
최종, 엽서가 수신인에게 발송되면 수신인은 도 5와 같이 엽서사진 분리하여 별도 보관하거나 엽서만을 보관할 수 있다.
엽서송달여부를 어플에서 확인(S170)
고객인 발송인은 자신의 스마트폰에서 엽서어플에 접속하여 서버에 저장된 정보를 다운로드 받아 엽서의 발송여부를 최종 확인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은 일 실시예에 한정되어 설명되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토대로 변형되는 실시예들은 모두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함이 분명하다.

Claims (6)

  1. 고객이 스마트폰에 탑재된 엽서 어플를 클릭하여 서버에 접속하는 제 1 단계와;
    상기 스마트폰을 이용하여 사진을 실제 촬영 또는 촬영된 사진을 선택하는 제 2 단계와;
    수신인과 발송인의 인적사항과 엽서 내용을 입력하는 제 3 단계와;
    상기 서버와 접속된 엽서 발송 시스템에 접속하여 상기 사진이 반커팅된 실물엽서를 출력하고 상기 엽서가 사생활 보호용 봉투에 넣어져 상기 수신인에게 발송한 후 그 발송여부를 상기 엽서 발송 시스템에 입력하는 제 4 단계와;
    상기 고객의 스마트폰의 상기 엽서 어플에서 상기 실물엽서의 발송여부를 확인하는 제 5 단계로 구성된 스마트폰을 이용한 실물엽서 발송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객은 상기 스마트폰으로 상기 서버에 접속하여 상기 엽서 어플을 다운로드받은 후 회원가입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을 이용한 실물엽서 발송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단계의 사진은 상기 엽서 어플에서 편집하여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을 이용한 실물엽서 발송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실물엽서의 사진은 상기 실물엽서의 가장자리로부터 적어도 4cm는 이격되는 위치에 반커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을 이용한 실물엽서 발송방법.
  5. 제 1 항 또는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반커팅된 사진의 하부 여백에 엽서 내용이 기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을 이용한 실물엽서 발송방법.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사생활보호 봉투는 보내는 사람과 받는 사람이 노출된 봉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을 이용한 실물엽서 발송방법.
KR1020120151634A 2012-12-24 2012-12-24 스마트폰을 이용한 실물엽서 발송방법 KR2014008213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51634A KR20140082132A (ko) 2012-12-24 2012-12-24 스마트폰을 이용한 실물엽서 발송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51634A KR20140082132A (ko) 2012-12-24 2012-12-24 스마트폰을 이용한 실물엽서 발송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82132A true KR20140082132A (ko) 2014-07-02

Family

ID=517331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51634A KR20140082132A (ko) 2012-12-24 2012-12-24 스마트폰을 이용한 실물엽서 발송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082132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5109359A1 (de) 2014-07-01 2016-01-07 Samsung Electronics Co., Ltd. Interner Speicher, externer Speicher, der mit diesem kommunizieren kann, und Datenverarbeitungssystem mit diesen Speicher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5109359A1 (de) 2014-07-01 2016-01-07 Samsung Electronics Co., Ltd. Interner Speicher, externer Speicher, der mit diesem kommunizieren kann, und Datenverarbeitungssystem mit diesen Speicher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777885B2 (en) Encoding data in email headers
US9515967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sharing data among multiple end user devices
US20100042690A1 (en) Method, system and program product for providing selective enhanced privacy and control features to one or more portions of an electronic message
AU2018101668A4 (en) System and method for delivery and receipt of electronic communications
JP6143973B2 (ja) 電話着信に対する返信方法、装置、端末、プログラム及び記録媒体
US6701302B1 (en) Method for managing a quick distribution of images
US20130082100A1 (en) System and Method for Processing Barcodes in Electronic Data Communications
JP7247048B2 (ja) 情報提示システム、情報提示方法、サーバ装置およびそのプログラム
WO2019144757A1 (zh) 图形码生成方法、资源发送及接收方法、装置及电子设备
US20150235048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enhanced mobile photography
US8621648B2 (en) Method and system for secure exchange and use of electronic business cards
CN106465075A (zh) 信息发送方法及装置和信息接收方法及装置
KR20060098524A (ko)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민원 고발 대행 시스템 및 그동작 방법
KR20140082132A (ko) 스마트폰을 이용한 실물엽서 발송방법
KR101514842B1 (ko) 단말주소록을 이용한 이메일 전송 방법 및 시스템
US8457284B2 (en) Method for asynchronous communication by means of an internet platform, and internet platform
KR101493052B1 (ko) 개인화된 컨텐츠를 이용한 피싱 탐지 방법
KR20200072135A (ko) 영상 콘텐츠의 저작권 보호가 가능한 영상 콘텐츠 공유 시스템
KR101348373B1 (ko) 개인화된 컨텐츠 운영 방법
KR100606608B1 (ko) Ci 이미지가 삽입된 단문 메시지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GB2500224A (en) Digital camera with automatic remote backup storage
KR20180129124A (ko) 온라인 책자의 바탕 이미지 편집 기능을 제공하는 온라인 책자 제공 시스템 및 서버
JP2005025258A (ja) データ通信を行う端末とそれに使用するプログラムとサーバとデータ送受信システム
JP2005107812A (ja) 葉書発行処理システムおよび葉書発行プリントシステム
JP2006157326A (ja) ボイスメール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