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29124A - 온라인 책자의 바탕 이미지 편집 기능을 제공하는 온라인 책자 제공 시스템 및 서버 - Google Patents

온라인 책자의 바탕 이미지 편집 기능을 제공하는 온라인 책자 제공 시스템 및 서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129124A
KR20180129124A KR1020170064677A KR20170064677A KR20180129124A KR 20180129124 A KR20180129124 A KR 20180129124A KR 1020170064677 A KR1020170064677 A KR 1020170064677A KR 20170064677 A KR20170064677 A KR 20170064677A KR 20180129124 A KR20180129124 A KR 2018012912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iosk
user
online
booklet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646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심재웅
Original Assignee
(주)싱크에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싱크에듀 filed Critical (주)싱크에듀
Priority to KR10201700646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129124A/ko
Publication of KR201801291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2912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H04L67/26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50Network services
    • H04L67/55Push-based network 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7Mechanical or electrical details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specially adapted for being embedded in other devices
    • H04N5/2257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12Messaging; Mailboxes; Announcements
    • H04W4/14Short messaging services, e.g. short message services [SMS] or unstructured supplementary service data [USS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온라인 책자의 바탕 이미지 편집 기능을 제공하는 온라인 책자 제공 시스템 및 서버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키오스크 단말기에서 표시하는 온라인 책자의 바탕 이미지를 키오스크 단말기가 촬영한 키오스크 사용자의 사진으로 교체할 수 있는 편집 기능을 제공하는 온라인 책자 제공 시스템 및 서버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온라인 책자의 바탕 이미지 편집 기능을 제공하는 온라인 책자 제공 시스템 및 서버{ONLINE BOOKLET PROVIDING SYSTEM AND SERVER FOR PROVIDING BACKGROUND IMAGE EDITING FUNCTION OF ONLINE BOOKLET}
본 발명은 온라인 책자의 바탕 이미지 편집 기능을 제공하는 온라인 책자 제공 시스템 및 서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키오스크(KIOSK) 단말기는 무인 정보 단말기로서 정부기관이나 지방 자치 단체, 은행, 백화점 및 전시장 등과 같은 공공 장소에 설치되어 각종 행정절차, 상품정보, 시설물의 이용 방법, 키오스크 단말기가 설치된 지역의 관광 정보 등에 대한 온라인 책자를 제공하는데 사용된다.
일반적으로 키오스크 단말기에서 제공하는 온라인 책자는 온라인 책자 제공 서버에서 저장하고, 키오스크 사용자가 키오스크 단말기를 통해 온라인 책자의 제공을 요청하면, 온라인 책자 제공 서버가 기저장된 온라인 책자를 인터넷망을 통해 키오스크 단말기에 제공하거나 키오스크 사용자의 이동통신 단말기로 제공한다.
여기서, 종래에 온라인 책자 제공 서버를 통해 제공되는 온라인 책자의 내용은 온라인 책자를 제작하는 제작사에 의해 일방적으로 결정되었기 때문에 키오스크 사용자들의 개성이 담긴 온라인 책자 내용을 제공하는 것이 불가능하였고, 이로 인해 온라인 책자에 대한 키오스크 사용자들의 흥미가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배경에서, 본 발명의 목적은, 키오스크 단말기에서 표시하는 온라인 책자의 바탕 이미지를 키오스크 단말기가 촬영한 키오스크 사용자의 사진으로 교체할 수 있는 편집 기능을 제공하는 온라인 책자 제공 시스템 및 서버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일 측면에서, 본 발명은, 온라인 책자의 소정 페이지 데이터를 인터넷 통신망을 통해 수신하여 화면 상에 표시하고, 상기 화면의 정면 방향에 위치한 키오스크 사용자로부터 사진 촬영을 요청받으면, 상기 키오스크 사용자를 촬영하여 키오스크 사용자 촬영 이미지를 생성한 후에 상기 인터넷 통신망을 통해 전송하고, 상기 소정 페이지 데이터에 포함된 기존 바탕 이미지가 상기 키오스크 사용자 촬영 이미지로 교체된 사용자 편집 페이지 데이터를 상기 인터넷 통신망을 통해 수신하여 상기 화면 상에 표시하는 키오스크 단말기; 및 상기 인터넷 통신망을 통해 상기 소정 페이지 데이터를 상기 키오스크 단말기로 전송하고, 상기 키오스크 단말기에서 전송한 상기 키오스크 사용자 촬영 이미지를 상기 인터넷 통신망을 통해 수신하면, 상기 사용자 편집 페이지 데이터를 생성하고, 상기 사용자 편집 페이지 데이터를 상기 인터넷 통신망을 통해 상기 키오스크 단말기로 전송하는 온라인 책자 제공 서버를 포함하는 온라인 책자의 바탕 이미지 편집 기능을 제공하는 온라인 책자 제공 시스템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서, 본 발명은, 온라인 책자의 소정 페이지 데이터를 키오스크 단말기에 전송하고, 상기 소정 페이지 데이터를 화면 상에 표시 중인 상기 키오스크 단말기가 키오스크 사용자를 촬영하여 생성한 키오스크 사용자 촬영 이미지를 상기 키오스크 단말기로부터 수신하며, 상기 소정 페이지 데이터에 포함된 기존 바탕 이미지가 상기 키오스크 사용자 촬영 이미지로 교체된 사용자 편집 페이지 데이터를 상기 키오스크 단말기로 전송하는 통신 인터페이스부; 상기 온라인 책자를 저장하는 데이터 저장부; 및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부에서 상기 키오스크 사용자 촬영 이미지를 수신하면, 상기 사용자 편집 페이지 데이터를 생성하고,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상기 사용자 편집 페이지 데이터를 상기 키오스크 단말기로 전송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온라인 책자의 바탕 이미지 편집 기능을 제공하는 온라인 책자 제공 서버를 제공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키오스크 사용자가 키오스크 단말기를 통해 자신의 사진을 촬영하고, 키오스크 단말기에서 표시하는 온라인 책자의 바탕 이미지를 자신의 사진으로 편집할 수 있기 때문에 키오스크 사용자가 자신의 개성이 담긴 온라인 책자에 대해 커다란 흥미와 관심을 가질 수 있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책자 제공 시스템의 구성을 간략하게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책자 제공 서버의 구성을 간략하게 나타낸 블록 구성도,
도 3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책자 제공 시스템에서 온라인 책자의 바탕 이미지 편집 기능을 제공하는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 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책자 제공 시스템의 구성을 간략하게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책자 제공 시스템(100)은 키오스크 단말기(110), 인터넷 통신망(120) 및 온라인 책자 제공 서버(130)를 포함한다.
키오스크 단말기(110)는 은행, 백화점, 전시장, 관광명소, 공연장 등 소정의 장소에 설치되어 소정의 장소와 관련한 정보를 제공하는 단말기로서, 통신 인터페이스 카드를 구비하여 인터넷 통신망(120)과 연결 가능하고, 터치스크린과 카메라 등을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키오스크 단말기(110)는 인터넷 통신망(120)을 통해 후술할 온라인 책자 제공 서버(130)에 접속하고, 소정의 장소와 관련한 정보를 포함한 온라인 책자의 소정 페이지 데이터를 온라인 책자 제공 서버(130)로부터 수신하여 도 3과 같이 화면 상에 표시한다.
이 상태에서 키오스크 단말기 화면의 정면 방향에 위치한 키오스크 사용자가 키오스크 단말기(110)에 사진 촬영을 요청하면, 키오스크 단말기(110)는 기 구비한 카메라를 통해 키오스크 사용자를 촬영하여 키오스크 사용자 촬영 이미지를 생성한다.
그리고, 키오스크 단말기(110)는 키오스크 사용자 촬영 이미지를 인터넷 통신망(120)을 통해 온라인 책자 제공 서버(130)에 전송한다.
이후, 키오스크 단말기(110)는 소정 페이지 데이터에 포함된 기존 바탕 이미지(도 3의 바탕 이미지)가 키오스크 사용자 촬영 이미지로 교체된 사용자 편집 페이지 데이터를 인터넷 통신망(120)을 통해 온라인 책자 제공 서버(130)로부터 수신하여 도 4와 같이 화면 상에 표시한다.
다시 말해서, 키오스크 사용자들에게 공통적으로 제공되는 소정 페이지의 바탕 이미지를 특정 키오스크 사용자의 사진으로 교체한 온라인 책자의 소정 페이지를 키오스크 단말기(110)에서 표시하여 특정 키오스크 사용자가 키오스크 단말기(110)를 통해 평범한 온라인 책자를 자신의 개성을 담은 온라인 책자로 편집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여기서, 소정 페이지는 온라인 책자의 표지 및 속지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한편, 사용자 편집 페이지 데이터를 화면 상에 표시한 후에 키오스크 단말기(110)는 도 5와 같이 키오스크 사용자로부터 이동통신 전화번호를 입력받아서 온라인 책자 제공 서버(130)로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이동통신 전화번호는 키오스크 사용자의 이동통신 단말기(150)에 부여된 전화번호일 수 있다.
다시 말해서, 키오스크 단말기(110)는 키오스크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은 이동통신 전화번호를 온라인 책자 제공 서버(130)에 전송하여 키오스크 사용자가 편집한 온라인 책자를 키오스크 사용자의 이동통신 단말기(150)에서 표시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온라인 책자 제공 서버(130)는 다수의 키오스크 단말기에 제공하기 위한 다수의 온라인 책자를 저장 및 제공하는 서버로서, 단일 서버 또는 두 개 이상의 서버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온라인 책자 제공 서버(130)는 키오스크 단말기(110)가 설치된 소정의 장소와 관련한 정보를 포함한 온라인 책자의 소정 페이지 데이터를 키오스크 단말기(110)에 전송한다.
소정 페이지 데이터를 키오스크 단말기(110)에 전송한 후, 온라인 책자 제공 서버(130)는 키오스크 단말기(110)로부터 키오스크 사용자 촬영 이미지를 수신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온라인 책자 제공 서버(130)는 온라인 책자의 소정 페이지 데이터에 포함된 기존 바탕 이미지를 키오스크 사용자 촬영 이미지로 교체한 사용자 편집 페이지 데이터를 생성하고, 인터넷 통신망(120)을 통해 사용자 편집 페이지 데이터를 키오스크 단말기(110)에 전송한다.
다시 말해서, 키오스크 사용자들에게 공통적으로 제공되는 소정 페이지의 바탕 이미지를 특정 키오스크 사용자의 사진으로 교체한 온라인 책자의 소정 페이지를 키오스크 단말기(110)에 제공하는 것이다.
한편, 온라인 책자 제공 서버(130)는 온라인 책자의 소정 페이지 데이터를 사용자 편집 데이터로 교체한 사용자 편집 온라인 책자를 더 생성할 수 있고, 사용자 편집 온라인 책자를 키오스크 사용자의 이동통신 단말기(150)로 제공하기 위한 이동통신 전화번호를 키오스크 단말기(110)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이동통신 전화번호를 수신한 온라인 책자 제공 서버(130)는 온라인 책자의 소정 페이지 데이터를 사용자 편집 데이터로 교체한 사용자 편집 온라인 책자를 키오스크 사용자의 이동통신 단말기(150)에서 링크할 수 있는 사용자 편집 온라인 책자 링크 정보를 포함한 텍스트 메시지를 생성할 수 있다.
이후, 온라인 책자 제공 서버(130)는 이동통신 전화번호에 해당하는 이동통신 단말기(150), 즉 키오스크 사용자의 이동통신 단말기(150)로 텍스트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텍스트 메시지를 푸쉬 메시지 형태로 수신할 수 있는 애플리케이션(예를 들어, 온라인 책자 뷰어 앱)이 이동통신 단말기(150)에 설치되어 있으면, 온라인 책자 제공 서버(130)는 텍스트 메시지를 푸쉬 메시지 형태로 생성하고, 푸쉬 메시지 형태의 텍스트 데이터를 인터넷 통신망(120)을 통해 이동통신 단말기(150)에 전송할 수 있다.
한편, 텍스트 메시지를 푸쉬 메시지 형태로 수신할 수 있는 애플리케이션이 이동통신 단말기(150)에 미설치되어 있으면, 온라인 책자 제공 서버(130)는 텍스트 메시지를 SMS(Short Message Service) 메시지 형태로 생성하고, SMS 메시지 형태의 텍스트 메시지를 이동통신망(140)를 통해 이동통신 단말기(150)에 전송할 수 있다.
위와 같이 텍스트 메시지를 이동통신 단말기(150)에 전송한 온라인 책자 제공 서버(130)는 텍스트 메시지의 전송 완료 안내 메시지를 키오스크 단말기(110)에 전송하여 키오스크 단말기(110)가 텍스트 메시지의 전송 완료 안내 메시지를 도 6과 같이 표시하도록 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키오스크 사용자가 키오스크 단말기(110)를 통해 자신의 사진을 촬영하고, 키오스크 단말기(110)에서 표시하는 온라인 책자의 바탕 이미지를 자신의 사진으로 편집할 수 있기 때문에 키오스크 사용자가 자신의 개성이 담긴 온라인 책자에 대해 커다란 흥미와 관심을 가질 수 있도록 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책자 제공 서버(130)의 구성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책자 제공 서버의 구성을 간략하게 나타낸 블록 구성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책자 제공 서버(130)는 통신 인터페이스부(210), 데이터 저장부(220) 및 제어부(230)를 포함한다.
통신 인터페이스부(210)는 인터넷 통신망(120)을 통해 연결된 키오스크 단말기(110)와의 데이터 송수신을 수행한다.
구체적으로, 통신 인터페이스부(210)는 키오스크 단말기(110)가 설치된 소정의 장소와 관련된 정보를 포함한 온라인 책자의 소정 페이지 데이터를 키오스크 단말기(110)에 전송한다.
또한, 통신 인터페이스부(210)는 키오스크 사용자 촬영 이미지를 키오스크 단말기(110)로부터 수신하고, 후술할 제어부(230)에서 생성한 사용자 편집 페이지 데이터를 키오스크 단말기(110)로 전송한다.
한편, 온라인 책자의 소정 페이지 데이터를 사용자 편집 데이터로 교체한 사용자 편집 온라인 책자를 키오스크 사용자의 이동통신 단말기(150)에서 링크할 수 있는 사용자 편집 온라인 책자 링크 정보를 포함한 텍스트 메시지를 제어부(230)에서 생성한 경우, 통신 인터페이스부(210)는 인터넷 통신망(120) 및 이동통신망(140) 중 어느 하나를 통해 텍스트 메시지를 이동통신 단말기(150)에 전송할 수 있다.
이러한 통신 인터페이스부(210)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카드(Network Interface Card)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데이터 저장부(220)는 후술할 제어부(230)가 처리하는 데이터를 일시적으로 저장하거나, 온라인 제공 서버(130)의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하고, 온라인 제공 서버(130)의 작동에 필요한 데이터를 저장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데이터 저장부(220)는 다수의 키오스크 단말기에 제공하기 위한 다수의 온라인 책자를 저장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키오스크 단말기(110)에 제공하는 온라인 책자를 저장할 수 있다.
또한, 데이터 저장부(220)는 후술할 제어부(230)에서 생성한 사용자 편집 온라인 책자를 더 저장할 수 있다.
이러한, 데이터 저장부(220)는 온라인 책자 제공 서버(130)의 내부 기억 장치 및 온라인 책자 제공 서버(130)와 별개인 스토리지 서버 중 하나 이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제어부(230)는 온라인 책자 제공 서버(130)의 전반적인 기능을 제어하는 모듈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통신 인터페이스부(210)에서 키오스크 사용자 촬영 이미지를 수신하면, 제어부(230)는 온라인 책자의 소정 페이지 데이터에 포함된 기존 바탕 이미지를 키오스크 사용자 촬영 이미지로 교체힌 사용자 편집 페이지 데이서를 생성한다.
그리고, 제어부(230)는 통신 인터페이스부(210)를 통해 사용자 편집 페이지 데이터를 키오스크 단말기(110)로 전송한다.
다시 말해서, 키오스크 사용자들에게 공통적으로 제공되는 소정 페이지의 바탕 이미지를 특정 키오스크 사용자의 사진으로 교체한 온라인 책자의 소정 페이지를 키오스크 단말기(110)에 제공하기 위한 제어를 수행하는 것이다.
한편, 제어부(230)는 온라인 책자의 소정 페이지 데이터를 사용자 편집 데이터로 교체한 사용자 편집 온라인 책자를 더 생성하여 데이터 저장부(220)에 저장할 수 있다.
또한, 통신 인터페이스부(210)가 키오스크 단말기로부터 소정의 이동통신 전화번호, 즉 키오스크 사용자의 이동통신 단말기에 부여된 전화번호를 수신하면, 제어부(230)는 사용자 편집 온라인 책자를 키오스트 사용자의 이동통신 단말기(150)에서 링크할 수 있는 사용자 편집 온라인 책자 링크 정보를 포함한 텍스트 메시지를 생성할 수 있다.
이후 제어부(230)는 소정의 이동통신 전화번호에 해당하는 이동통신 단말기(150)로 텍스트 메시지를 전송하기 위한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텍스트 메시지를 푸쉬 메시지 형태로 수신할 수 있는 애플리케이션이 이동통신 단말기(150)에 설치되어 있으면, 제어부(230)는 텍스트 메시지를 푸쉬 메시지 형태로 생성한 후에 통신 인터페이스부(210)에서 푸쉬 메시지 형태의 텍스트 메시지를 인터넷 통신망(120)을 통해 이동통신 단말기(150)로 전송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이동통신 단말기(150)에 애플리케이션이 미설치되어 있으면, 제어부(230)는 텍스트 메시지를 SMS(Short Message Service) 메시지 형태로 생성한 후에 통신 인터페이스부(210)에서 SMS 메시지 형태의 텍스트 메시지를 이동통신망(140)을 통해 이동통신 단말기(150)로 전송하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위와 같은 제어부(230)의 제어를 통해 키오스크 사용자가 직접 바탕 이미지를 편집한 온라인 책자를 키오스크 사용자의 이동통신 단말기(150)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되거나 결합되어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7)

  1. 온라인 책자의 소정 페이지 데이터를 인터넷 통신망을 통해 수신하여 화면 상에 표시하고, 상기 화면의 정면 방향에 위치한 키오스크 사용자로부터 사진 촬영을 요청받으면, 상기 키오스크 사용자를 촬영하여 키오스크 사용자 촬영 이미지를 생성한 후에 상기 인터넷 통신망을 통해 전송하고, 상기 소정 페이지 데이터에 포함된 기존 바탕 이미지가 상기 키오스크 사용자 촬영 이미지로 교체된 사용자 편집 페이지 데이터를 상기 인터넷 통신망을 통해 수신하여 상기 화면 상에 표시하는 키오스크 단말기; 및
    상기 인터넷 통신망을 통해 상기 소정 페이지 데이터를 상기 키오스크 단말기로 전송하고, 상기 키오스크 단말기에서 전송한 상기 키오스크 사용자 촬영 이미지를 상기 인터넷 통신망을 통해 수신하면, 상기 사용자 편집 페이지 데이터를 생성하고, 상기 사용자 편집 페이지 데이터를 상기 인터넷 통신망을 통해 상기 키오스크 단말기로 전송하는 온라인 책자 제공 서버
    를 포함하는 온라인 책자의 바탕 이미지 편집 기능을 제공하는 온라인 책자 제공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키오스크 단말기는 상기 사용자 편집 페이지 데이터를 상기 화면 상에 표시한 후에 상기 키오스크 사용자로부터 이동통신 전화번호를 입력받으면, 상기 이동통신 전화번호를 상기 인터넷 통신망을 통해 상기 온라인 책자 제공 서버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책자의 바탕 이미지 편집 기능을 제공하는 온라인 책자 제공 시스템.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온라인 책자 제공 서버는 상기 소정 페이지 데이터를 상기 사용자 편집 페이지 데이터로 교체한 사용자 편집 온라인 책자를 링크할 수 있는 사용자 편집 온라인 책자 링크 정보를 포함한 텍스트 메시지를 생성한 후에 상기 이동통신 전화번호에 해당하는 이동통신 단말기로 상기 텍스트 메시지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책자의 바탕 이미지 편집 기능을 제공하는 온라인 책자 제공 시스템.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텍스트 메시지를 푸쉬 메시지 형태로 수신할 수 있는 애플리케이션이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에 설치되어 있으면, 상기 온라인 책자 제공 서버는 상기 텍스트 메시지를 푸쉬 메시지 형태로 생성하고, 푸쉬 메시지 형태의 텍스트 데이터를 상기 인터넷 통신망을 통해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에 전송하고,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에 상기 애플리케이션이 미설치되어 있으면, 상기 온라인 책자 제공 서버는 상기 텍스트 메시지를 SMS(Short Message Service) 메시지 형태로 생성하고, SMS 메시지 형태의 텍스트 메시지를 이동통신망을 통해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에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책자의 바탕 이미지 편집 기능을 제공하는 온라인 책자 제공 시스템.
  5. 온라인 책자의 소정 페이지 데이터를 키오스크 단말기에 전송하고, 상기 소정 페이지 데이터를 화면 상에 표시 중인 상기 키오스크 단말기가 키오스크 사용자를 촬영하여 생성한 키오스크 사용자 촬영 이미지를 상기 키오스크 단말기로부터 수신하며, 상기 소정 페이지 데이터에 포함된 기존 바탕 이미지가 상기 키오스크 사용자 촬영 이미지로 교체된 사용자 편집 페이지 데이터를 상기 키오스크 단말기로 전송하는 통신 인터페이스부;
    상기 온라인 책자를 저장하는 데이터 저장부; 및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부에서 상기 키오스크 사용자 촬영 이미지를 수신하면, 상기 사용자 편집 페이지 데이터를 생성하고,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상기 사용자 편집 페이지 데이터를 상기 키오스크 단말기로 전송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온라인 책자의 바탕 이미지 편집 기능을 제공하는 온라인 책자 제공 서버.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부가 상기 키오스크 단말기로부터 소정의 이동통신 전화번호를 수신하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소정 페이지 데이터를 상기 사용자 편집 페이지 데이터로 교체한 사용자 편집 온라인 책자를 링크할 수 있는 사용자 편집 온라인 책자 링크 정보를 포함한 텍스트 메시지를 생성한 후에 상기 소정의 이동통신 전화번호에 해당하는 이동통신 단말기로 상기 텍스트 메시지를 전송하기 위한 제어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책자의 바탕 이미지 편집 기능을 제공하는 온라인 책자 제공 서버.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텍스트 메시지를 푸쉬 메시지 형태로 수신할 수 있는 애플리케이션이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에 설치되어 있으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텍스트 메시지를 푸쉬 메시지 형태로 생성한 후에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부에서 푸쉬 메시지 형태의 텍스트 메시지를 인터넷 통신망을 통해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 전송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에 상기 애플리케이션이 미설치되어 있으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텍스트 메시지를 SMS(Short Message Service) 메시지 형태로 생성한 후에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부에서 SMS 메시지 형태의 텍스트 메시지를 이동통신망을 통해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 전송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책자의 바탕 이미지 편집 기능을 제공하는 온라인 책자 제공 서버.
KR1020170064677A 2017-05-25 2017-05-25 온라인 책자의 바탕 이미지 편집 기능을 제공하는 온라인 책자 제공 시스템 및 서버 KR2018012912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64677A KR20180129124A (ko) 2017-05-25 2017-05-25 온라인 책자의 바탕 이미지 편집 기능을 제공하는 온라인 책자 제공 시스템 및 서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64677A KR20180129124A (ko) 2017-05-25 2017-05-25 온라인 책자의 바탕 이미지 편집 기능을 제공하는 온라인 책자 제공 시스템 및 서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29124A true KR20180129124A (ko) 2018-12-05

Family

ID=647437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64677A KR20180129124A (ko) 2017-05-25 2017-05-25 온라인 책자의 바탕 이미지 편집 기능을 제공하는 온라인 책자 제공 시스템 및 서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129124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123119B2 (ja) 情報を関連付ける方法および端末
EP3210371B1 (en) Camera application
KR101294582B1 (ko) 접촉 데이터를 사용하는 미디어 공유 방법, 장치 및 시스템과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
CN101535973B (zh) 用于在协作对话期间动态共享显示器的一部分的方法和设备
KR101774914B1 (ko) 다수의 사진 공급 스토리용 시스템 및 방법
KR101774422B1 (ko) 문자 메시지 송신 방법 및 시스템
CN112817671B (zh) 图像处理方法、装置、设备以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CN113542902A (zh) 一种视频处理方法、装置、电子设备和存储介质
CN114422460A (zh) 一种在即时通信应用中建立同屏交流分享的方法、系统
JP2017033103A (ja) デジタルサイネージ制御システム、それを含むデジタルサイネージ制御システムおよびそれらを用いた商品広告または役務広告の提供方法
JP5503597B2 (ja) 携帯端末、携帯端末を用いた通信方法及びプログラム
CN112751681B (zh) 图像处理方法、装置、设备以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CN109388558A (zh) 一种管理电子设备的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KR20140097668A (ko) 온라인 기반의 모바일 포토북 서비스 제공 방법
WO2014002614A1 (ja) 関連コンテンツ検索装置及び関連コンテンツ検索方法
KR101403783B1 (ko) 어플리케이션 실행의 개별단계를 위한 가상 공간 제공 시스템
KR20180129124A (ko) 온라인 책자의 바탕 이미지 편집 기능을 제공하는 온라인 책자 제공 시스템 및 서버
CN112016280B (zh) 一种文件编辑方法、装置及计算机可读介质
JP6856960B1 (ja) 名刺交換方法及び装置
KR102097199B1 (ko) 위치 기반 영상 제공 방법 및 그 장치
KR20180099765A (ko) 정보 입력 방법, 장치, 프로그램 및 저장매체
CN110968282A (zh) 信息处理系统、装置、方法以及存储介质
KR100924119B1 (ko) Scws 멀티미디어 주소록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제공 방법
JP2017175590A (ja) プログラム
CN103856549A (zh) 数位资料即时分享系统与方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