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81653A - 색 변화 저감용 광학 필름 및 이를 채용한 유기 발광 표시 장치 - Google Patents

색 변화 저감용 광학 필름 및 이를 채용한 유기 발광 표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81653A
KR20140081653A KR1020130064967A KR20130064967A KR20140081653A KR 20140081653 A KR20140081653 A KR 20140081653A KR 1020130064967 A KR1020130064967 A KR 1020130064967A KR 20130064967 A KR20130064967 A KR 20130064967A KR 20140081653 A KR20140081653 A KR 2014008165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refractive index
index pattern
pattern layer
high refracti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649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85148B1 (ko
Inventor
조은영
신유민
심홍식
정철호
오영
김현민
김의수
Original Assignee
제일모직주식회사
코닝정밀소재 주식회사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제일모직주식회사, 코닝정밀소재 주식회사,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제일모직주식회사
Priority to US14/089,228 priority Critical patent/US9209230B2/en
Priority to CN201310711604.2A priority patent/CN103885106B/zh
Priority to JP2013264288A priority patent/JP5876027B2/ja
Priority to EP13199083.0A priority patent/EP2747166B1/en
Publication of KR201400816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81653A/ko
Priority to US14/846,231 priority patent/US9507059B2/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851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8514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18Diffraction gratings
    • G02B5/1866Transmission gratings characterised by their structure, e.g. step profile, contours of substrate or grooves, pitch variations, material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10OLED displays
    • H10K59/12Active-matrix OLED [AMOLED] displays
    • H10K59/121Active-matrix OLED [AMOLED] displays characterised by the geometry or disposition of pixel element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10OLED displays
    • H10K59/12Active-matrix OLED [AMOLED] displays
    • H10K59/122Pixel-defining structures or layers, e.g. bank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50OLEDs integrated with light modulating elements, e.g. with electrochromic elements, photochromic elements or liquid crystal element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Geometry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Abstract

광학 필름은 곡면으로 된 다수의 그루브가 음각된 패턴을 가지며, 상기 그루브는 깊이가 폭보다 크게 형성되고, 1보다 큰 굴절률의 재질로 이루어진 고굴절률 패턴층; 상기 고굴절률 패턴층의 굴절률보다 작은 굴절률의 재질로 이루어지고 상기 다수의 그루브를 채우는 충진 물질을 포함하는 저굴절률 패턴층;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색 변화 저감용 광학 필름 및 이를 채용한 유기 발광 표시 장치{Optical film for reducing color shift and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employing the same}
본 개시는 색 변화 저감용 광학 필름 및 이를 채용한 유기 발광 표시 장치에 대한 것이다.
유기 발광소자(organic light emitting diode; OLED)는 애노드(anode), 유기 발광층 및 캐소드(cathode)를 포함하여 형성된다. 여기서, 애노드와 캐소드 간에 전압을 인가하면, 정공은 애노드로부터 유기 발광층 내로 주입되고, 전자는 캐소드로부터 유기 발광층 내로 주입된다. 이 때, 유기 발광층 내로 주입된 정공과 전자는 유기 발광층에서 재결합하여 엑시톤(exciton)을 생성하고, 이러한 엑시톤이 여기상태(excited state)에서 기저상태(ground state)로 전이하면서 빛을 방출하게 된다.
이러한 유기 발광 소자의 경우, 발광체가 유기물이기 때문에 가지는 열화에 의한 수명 문제는 OLED 기술 개발에 핵심적인 부분이며 이를 극복하고자 많은 기술들이 대두되고 있다.
그 중 하나인 미세 공동 구조(Micro Cavity Structure)를 이용하는 기술은 발광하는 특정 파장의 빛을 공명(resonance)시켜 세기(intensity)를 증가시켜 외부로 나오게 하는 기술이다. 즉, 애노드와 캐소드의 거리를 적(R), 녹(G), 청(B) 각각의 대표 파장에 매칭되게 설계하여, 그에 상응하는 빛만이 공명되어 밖으로 나오고 그 외의 빛은 약화 시키는 구조로써, 결과적으로 밖으로 나온 빛의 세기가 세지고 샤프해지며, 이에 의해 휘도, 색순도가 증가되는 장점을 갖는다. 그리고 이러한 휘도의 증가는 저전력 소비를 끌어내고 이는 수명 증가로 이어진다.
반면, 미세 공동 구조(Micro Cavity Structure)는 발광층을 구성하는 유기 증착물의 막두께에 의해 증폭될 파장이 결정되는데, 정면이 아닌 측면에서는 빛의 경로 길이가 달라지고 이는 증착물의 막두께가 달라지는 것과 유사한 효과를 가져와 증폭되는 파장이 달라지는 결과를 가져온다.
즉, 시청각도가 정면에서 측면쪽으로 틸트될수록 단파장에서 최대 공진 파장을 나타내게 되어 단파장쪽으로 색변화(color shift)가 나타난다. 예를 들어, 정면에서는 화이트를 나타내다가도 측면에서는 블루 쉬프트(blue shift) 현상 때문에 화이트가 파란색을 띠는(bluish) 현상이 나타나게 된다.
본 개시는 색 변화 저감용 광학 필름 및 이를 채용한 유기 발광 표시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일 유형에 따르는 광학 필름은 서로 마주하는 제1면과 제2면을 구비하며, 상기 제1면은 곡면으로 된 다수의 그루브가 음각된 패턴을 가지며, 상기 그루브는 깊이가 폭보다 크게 형성되고, 1보다 큰 굴절률의 재질로 이루어진 고굴절률 패턴층;
상기 고굴절률 패턴층의 굴절률보다 작은 굴절률의 재질로 이루어지고 상기 다수의 그루브를 채우는 충진 물질을 포함하는 저굴절률 패턴층;을 포함한다.
상기 충진 물질은 공기 또는 수지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는, 상기 충진 물질은 광확산체 또는 광흡수체가 함유된 투명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저굴절률 패턴층은 상기 다수의 그루브에 대응하는 돌출 패턴을 가지는 필름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고, 상기 저굴절률 패턴층은 광확산체 또는 광흡수체가 함유된 투명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그루브의 폭에 대한 깊이의 비로 정의되는 종횡비는 1보다 크고 3보다 작을 수 있다.
상기 다수의 그루브는 스트라이프형으로 연장된 형태일 수 있고, 또는 도트 형태일 수 있다.
상기 다수의 그루브를 형성하는 상기 곡면은 비구면일 수 있다.
상기 고굴절률 패턴층의 폭에 대한 상기 다수의 그루브의 폭의 합의 비율은 25% 에서 50%일 수 있다.
상기 광학 필름은 상기 고굴절률 패턴층의 상기 제2면 상에 배치된 제1기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기재는 광학적 등방성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1기재는 TAC(triacetyl cellulose)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광학 필름은 상기 제1기재 상에 배치된 원편광층을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원편광층은 위상변환층, 선편광층, 제2기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기재는 광학적 등방성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고, 상기 제2기재는 TAC(triacetyl cellulose)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광학 필름은 상기 제1기재와 상기 원편광층 사이에 형성된 점착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광학 필름은 상기 저굴절률 패턴층에서 상기 고굴절률 패턴층에 접하는 면의 이면에 형성된 점착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유형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 장치는 각각 다른 파장의 광을 발광하며, 해당 파장의 광에 대해 공명 현상을 일으키는 미세 공동 구조(micro cavity structure)로 이루어진 유기발광층을 구비하는 복수의 화소를 포함하는 유기 발광 패널; 및 상기 유기 발광 패널 상에 배치된 것으로, 상술한 어느 하나의 광학 필름;을 포함한다.
상기 다수의 그루브는 스트라이프 형태로 연장된 형태일 수 있고, 상기 광학 필름은 상기 스트라이프 형태가 상기 유기 발광 패널의 상하로 연장된 형태가 되도록 상기 유기 발광 패널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화소는 상기 유기 발광 패널의 상,하 및 좌,우 방향으로 이차원적으로 배열되고, 상기 스트라이프 형태의 방향과 상기 복수의 화소가 상,하로 배열된 방향은 서로 나란하지 않고 어긋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유기 발광층에서 상기 광학 필름까지의 거리는 1.5mm 이하일 수 있다.
상술한 광학 필름은 수직 입사하는 광과 비스듬한 각으로 입사하는 광을 정면 및 측면을 포함하는 다양한 방향으로 굴절시켜 출사한다.
따라서, 상술한 광학 필름을 채용한 유기 발광 표시 장치는 색순도가 향상되는 미세 공동 구조로 유기 발광층을 형성할 수 있고, 이 때, 시야각에 따른 색변화가 저감될 수 있어 고품질의 화상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실시예에 따른 광학 필름의 개략적인 구조를 보이는 분리 사시도이다.
도 2은 도 1의 A-A' 단면도로서, 광학 필름에 수직 입사한 광이 출광되는 광경로를 보인다.
도 3은 도 1의 A-A' 단면도로서, 광학 필름에 비스듬하게 입사한 광이 출광되는 광경로를 보인다.
도 4는 도 1의 광학 필름에서 θ 변화에 따른 색변화를 보인 전산 모사 그래프이다.
도 5는 도 1의 광학 필름에서 패턴 밀도의 변화에 따른 투과율과 색변화를 보인 전산 모사 그래프이다.
도 6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광학 필름의 개략적인 구조를 보이는 분리 사시도이다.
도 7은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광학 필름의 개략적인 구조를 보이는 분리 사시도이다.
도 8은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광학 필름의 개략적인 구조를 보이는 분리 사시도이다.
도 9는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광학 필름의 개략적인 구조를 보이는 단면도이다.
도 10은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광학 필름의 개략적인 구조를 보이는 단면도이다.
도 11 내지 도 17은 원편광층과 반사방지막을 채용한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광학 필름의 개략적인 구조를 보이는 단면도이다.
도 18 내지 도 21은 투과율 조절층과 반사방지막을 채용한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광학 필름의 개략적인 구조를 보이는 단면도이다.
도 22는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개략적인 구조를 보이는 단면도이다.
도 23는 도 22의 유기 발광 표시 장치에서, 화소 배열에 대한 광학 필름의 배치관계를 개략적으로 보인다.
도 24는 실시예에 따른 광학 필름을 채용한 경우와 채용하지 않은 경우의 유기 발광 표시 장치에서 시야각에 따른 색변화를 비교하여 보인 그래프이다.
도 25는 실시예에 따른 광학 필름을 채용한 경우와 채용하지 않은 경우의 유기 발광 표시 장치에서 시야각에 따른 휘도를 비교하여 보인 그래프이다.
도 26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개략적인 구조를 보이는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광학 필름 및 이를 채용한 유기 발광 소자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의 도면들에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지칭하며, 도면상에서 각 구성요소의 크기는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어 있을 수 있다. 한편, 이하에서 설명되는 실시예는 단지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이러한 실시예들로부터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이하에서, "상부" 나 "상"이라고 기재된 것은 접촉하여 바로 위에 있는 것뿐만 아니라 비접촉으로 위에 있는 것도 포함할 수 있다.
도 1은 실시예에 따른 광학 필름(100)의 개략적인 구조를 보이는 분리 사시도이다.
광학 필름(100)은 곡면으로 된 다수의 그루브(GR)가 음각된 패턴을 가지는 고굴절률 패턴층(110)과 고굴절률 패턴층(110) 상에 형성된 것으로, 고굴절률 패턴층(110)의 굴절률보다 작은 굴절률의 재질로 이루어지고 다수의 그루브(GR)를 채우는 충진물질을 포함하는 저굴절률 물질층(120)을 포함한다.
고굴절률 패턴층(110)은 1보다 큰 굴절률의 재질로서, 예를 들어 투명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고굴절률 패턴층(110)은 광확산체나 광흡수체를 함유하는 투명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광확산체로는 확산 비드가 사용될 수 있고, 광흡수체로는 카본 블랙과 같은 블랙 염료가 사용될 수 있다. 광확산체의 경우 특정 그루브에 의해 각도별 색변화와 휘도 프로파일에서 나타날 수 있는 피크(peak)를 평탄화하여 시감 특성을 향상시키는 역할을 한다. 또한 광흡수체의 경우 특정 파장을 선택적으로 흡수하는 염료(dye)나 혹은 가시광선 전 파장에 걸쳐 흡수할 수 있는 카본 블랙(carbon black)등을 사용하여 명암비 혹은 색순도 등의 특성을 향상하는데 기여할 수 있다.
그루브(GR)는 종횡비가 1보다 크게 형성된다. 즉, 그루브(GR)의 깊이(d)가 폭(w)보다 크게 형성되며, 종횡비(d/w)는 대략 1보다 크고 3보다 작은 범위일 수 있고, 소정 주기(C)로 반복 배치될 수 있다.
도시된 형상에서, 그루브(GR)의 정점이 인접 그루브(GR) 시작점에 대한 경사각(θ)을 정의할 수 있다. 경사각(θ)는 그루브(GR)의 정점과, 고굴절률 패턴층(110) 상면에서 인접한 그루브가 시작되는 점을 연결한 직선이 상기 상면과 이루는 각을 나타낸다.
경사각 θ은 그루브(GR)의 깊이(d), 폭(A), 주기(C)를 사용하여 다음과 같이 표현될 수 있다.
θ=tan-1(d/(C-A/2))
이와 같이 정의되는 경사각 θ는 광학 필름(1)의 성능, 특히, 시야각에 따라 색변화가 발생하는 정도를 저감할 수 있는 성능에 많은 영향을 미치는 요소가 될 수 있으며, 다음 조건을 만족할 수 있다.
15˚ ≤ θ ≤ 75˚
또한, 상기 경사각과 함께, 그루브(GR)의 폭(A), 주기(C)도 광학 필름(1)의 성능, 특히, 색변화 저감과 투과율 특성에 많은 영향을 미치는 요소로서, 다음 조건을 만족할 수 있다.
A/C < 0.5
그루브(GR)를 형성하는 면은 곡면으로 이루어지며, 또한, 비구면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그루브(GR)를 형성하는 곡면은 타원면, 포물면 또는 쌍곡면일 수 있다. 또한, 그루브(GR)는 도시된 바와 같이 스트라이프 형으로 연장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고굴절률 패턴층(110)의 폭에 대해, 다수의 그루브(GR)의 폭 전체의 합이 차지하는 비율은 약 25%에서 50%가 될 수 있다.
저굴절률 패턴층(120)은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의 그루브(GR)에 대응하는 돌출 패턴(P)을 가지는 필름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다수의 그루브(GR)를 채울 뿐 아니라 일정 두께 이상으로 평탄한 코팅막을 포함하는 형태이다. 그루브(GR)를 채우는 충진 물질이나 충진 공법에 따라 평탄한 부분의 두께 및 평탄화 정도가 달라질 수 있다. 또한, 저굴절률 패턴층(120)은 고굴절률 패턴층(110)의 굴절률보다 작은 굴절률의 재질로서, 투명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고, 또한, 광확산체나 광흡수체를 함유하는 투명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광확산체로는 확산 비드가 사용될 수 있고, 광흡수체로는 카본 블랙과 같은 블랙 염료가 사용될 수 있다.
광학 필름(100)은 일방향으로부터 입사된 광을 그 입사 위치에 따라 다양한 방향으로 굴절시켜 출사하는 것으로, 광을 혼합시키는 역할을 하며, 이를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도 2은 도 1의 A-A' 단면도로서, 광학 필름(100)에 수직 입사한 광이 출광되는 광경로를 보인며, 도 3은 도 1의 A-A' 단면도로서, 광학 필름(100)에 비스듬하게 입사한 광이 출광되는 광경로를 보인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고굴절률 패턴층(110)과 저굴절률 패턴층(120)의 경계면은 그루브(GR)를 이루는 곡면(110a)과 평탄면(110b)을 포함하며, 이 때, 곡면(110a)은 렌즈면의 역할을 한다.
도 2를 참조하면, 광학 필름(100)에 수직 입사하는 광은 곡면(110a)과 만나는 위치에 따라 다른 방향으로 굴절하여 광학 필름(100)으로부터 출사된다. 즉, 같은 입사각을 가지는 광선들이 곡면(110a)에 다다른 위치에 따라 다양한 방향으로 굴절되므로, 광이 확산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도 3을 참조하면, 광학 필름(100)에 비스듬이 입사하는 광도 입사된 위치에 따라 각기 다른 방향으로 굴절된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평탄면(110b)을 경유하여 고굴절률 패턴층(110)에서 곡면(110a)과 만나는 광(L1)은 곡면(110a)에서 전반사되어 광학 필름(100)을 출사한다. 이러한 경로에서, 고굴절률 패턴층(110)의 상면을 출사하는 각도는 광학 필름(100)에 입사될 때보다 작은 각도가 된다. 한편, 곡면(110a)을 경유하지 않는 경로로 평탄면(110b)을 지나는 광(L2)은 고굴절률 패턴층(110)과 외부와의 경계에서 굴절각이 입사각보다 더 커지는 형태로 굴절되기 때문에, 광학 필름(100)에 입사된 각보다 더 큰 각도로 광학 필름(100)을 출사한다. 또한, 저굴절률 패턴층(120)에서 곡면(110a)과 만나는 광은 곡면(110a)에서 굴절된 후, 재차 고굴절률 패턴층(110)의 상면에서 다시 굴절되기 때문에, 평탄면(110b)을 지나 곡면(110a)을 만나지 않고 출사되는 광(L2)보다 더 큰 굴절각으로 광학 필름(100)을 출사하게 된다. 이와 같이, 광학 필름(100)에 같은 각도로 비스듬하게 입사한 광선(L1)(L2)(L3)은 각기 입사한 위치에 따라 다른 굴절각으로 광학 필름(100)을 출사하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광학 필름(100)을 통과한 광은 광학 필름(100)에 다양한 각도로 입사한 각이 혼합된 형태가 된다.
상술한 설명에서, 입사광이 확산되는 구체적인 광경로는 예시적인 것이고, 고굴절률 패턴층(110)과 저굴절률 패턴층(120) 간의 굴절률 차, 고굴절률 패턴층(110)에서 그루브(GR)의 종횡비, 그루브(GR) 곡면의 형상, 그루브(GR)가 차지하는 비율에 따라 광경로는 조금씩 달라지게 되고, 이에 따라 광이 혼합되는 정도나 출사광의 휘도가 달라지게 된다.
상술한 광 혼합 효과는 광학 필름(100)에 입사하는 광이 그 입사각에 따라 다른 광학적 특성을 가지고 있을 때, 이러한 광학적 특성을 균등하게 혼합하여 출사하는 효과를 가져온다. 예를 들어, 유기 발광 소자로부터 광이 출사될 때, 그 출사각에 따라 컬러 특성이 다소 다르게 나타나는 색변화 현상을 나타내는데, 이러한 광이 상기한 구조의 광학 필름(100)을 통과한 후에는 색변화 정도가 혼합되므로, 보는 각도에 따른 색변화가 저감되게 된다.
도 4는 도 1의 광학 필름(100)에서 θ 변화에 따른 색변화(△u'v')를 보인 전산 모사 그래프이다.
전산 모사는 조명 광학 시뮬레이션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수행되었고, 마이크로 캐비티(micro cavity) 구조를 포함하는 OLED(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패널 모사에서 시청 각도별 색변화(△u'v')가 어떻게 나타나는지 정면 white(x, y) = (0.28, 0.29) 색상을 기준으로 계산하였다.
그래프에 나타난 구체적인 데이터는 다음 표 1과 같다.
 case# θ(˚) 폭(A)(um) 깊이(d)(um) 주기(C)(um) △u'v'
1 3.95 10 2 34 0.0384
2 9.78 10 5 34 0.031
3 17.24 10 9 34 0.02
4 46.22 10 24 28 0.0125
5 55.3 10 26 23 0.0098
6 63.43 10 36 23 0.0156
7 69.4 10 12 9.5 0.019
8 74.5 10 36 15 0.023
그래프를 참조하면, θ 가 증가함에 따라 색변화(△u'v')가 감소하다가 다시 증가하는 것을 볼 수 있다. 즉, 특정 각도에 이를 때까지, 색변화(△u'v')는 감소하며, 이 각도, 대략 60˚보다 커지면 다시 색변화(△u'v')가 증가한다.
이것은 θ 가 일정 값 이상으로 커지면, 확산의 기능이 미미해지기 때문인 것으로 유추된다. 즉, 도 3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L1, L2, L3와 같은 광이 적절히 혼합되어야 하는데, L3와 같은 형태의 광이 차지하는 비율이 낮아지기 때문이다.
전체적으로 보면 특정 각도를 기점으로 색변화 그래프는 V자 형태를 나타낸다. 일반적으로 정면 대비 측면에서의 색변화가 대략 0.02보다 작을 때는 사람의 눈에 색변화가 잘 인지되지 않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15˚ < θ < 75˚ 와 같은 범위가 색변화 개선으로서 유의미하다고 볼 수 있다. 또한, θ가 클 수록, 제조 공정상의 난점이 예상되며, 이를 고려할 때, 15˚ < θ < 65˚ 와 같이 범위를 정할 수도 있을 것이다.
도 5는 도 1의 광학 필름(100)에서 패턴 밀도의 변화에 따른 투과율(transmittance)과 색변화(△u'v')를 보인 전산 모사 그래프이다.
그래프에 나타난 구체적인 데이터는 다음 표 2와 같다.
case # A/C θ(˚) 폭(A)(um) 깊이(d)(um) 주기(C)(um) △u'v' 투과율
1 0.18 55.4 9 66 50 0.0227 97.50%
2 0.2 55.7 10 66 50 0.0213 97%
3 0.22 55.6 11 65 50 0.02 96.40%
4 0.435 55.3 10 26 23 0.0098 87.60%
5 0.5 55.7 10 22 20 0.087 84.30%
6 0.55 55.4 11 21 20 0.093 81.30%
그래프는 경사각(θ)을 약 55˚근방으로 고정하고, A/C의 값을 변화시키며, 색변화와 투과율을 보이고 있다.
각 경우에 대해 색변화 개선과 정면 투과율을 계산해 본 결과, 그래프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색변화는 A/C값이 증가할수록 감소하다가, 약 0.5를 기점으로 다시 증가하는 것을 볼 수 있다. 또한, 정면 투과율의 경우 A/C의 증가에 따라 선형적으로 투과율이 감소하고 있는데, 디스플레이 패널의 정면에 배치되는 필름으로서 일정 수준 이하의 투과율은 무의미하다고 볼 수 있다. 따라서, 색변화 개선이 둔화 혹은 반전되는 A/C값 0.5 이하로 할 때, 색변화 개선이 보다 의미있게 된다.
이하, 다양한 실시예의 광학 필름의 구조를 살펴보기로 한다.
도 6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광학 필름(101)의 개략적인 구조를 보이는 사시도이다.
광학 필름(101)은 곡면으로 된 다수의 그루브(GR)가 음각된 패턴을 가지며, 그루브(GR)는 깊이가 폭보다 크게 형성되고, 1보다 큰 굴절률의 재질로 이루어진 고굴절률 패턴층(110), 고굴절률 패턴층(110)의 굴절률보다 작은 굴절률의 재질로 이루어진 저굴절률 패턴층(121)을 포함한다.
본 실시예의 광학 필름(101)은 저굴절률 패턴층(121)의 형태에서 차이가 있으며, 즉, 도 1의 광학 필름(100)과 비교할 때, 돌출 패턴을 가지는 필름 형태의 저굴절률 패턴층(120)이 구비되는 대신, 그루브(GR)를 저굴절률 물질이 채우는 형태를 갖는다. 저굴절률 물질은 수지 물질일 수 있고, 또는, 공기일 수도 있다.
도 7은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광학 필름(200)의 개략적인 구조를 보이는 분리 사시도이다.
광학 필름(200)은 곡면으로 된 다수의 그루브(GR)가 음각된 패턴을 가지는 고굴절률 패턴층(210)과 고굴절률 패턴층(210) 상에 형성된 것으로, 고굴절률 패턴층(210)의 굴절률보다 작은 굴절률의 재질로 이루어지고 다수의 그루브(GR)에 대응하는 돌출 패턴(P)을 가지는 저굴절률 패턴층(220)을 포함한다.
본 실시예의 광학 필름(200)은 그루브(GR)가 도트 형태인 점에서 도 1의 광학 필름(100)과 차이가 있다.
도 8은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광학 필름(201)의 개략적인 구조를 보이는 사시도이다.
본 실시예의 광학 필름(201)은 저굴절률 패턴층(221)의 형태에서 도 5의 광학 필름(200)과 차이가 있다. 즉, 돌출 패턴을 가지는 필름 형태의 저굴절률 패턴층(220)이 구비되는 대신, 도트 형태의 그루브(GR)를 저굴절률 물질이 채우는 형태이며, 저굴절률 물질은 수지 물질 또는 공기일 수 있다.
상술한 광학 필름(100)(101)(200)(201)은 유기 발광 표시 장치에 적용될 때 필요한 점착층과 함께, 반사방지막, 원편광층 또는 투과율 조절층 등을 더 구비할 수 있으며, 이하, 다양한 실시예의 광학 필름의 구조를 상세히 살펴보기로 한다.
도 9는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광학 필름(300)의 개략적인 구조를 보이는 단면도이다.
광학 필름(300)은 고굴절률 패턴층(110)과 저굴절률 패턴층(120)을 포함한다. 고굴절률 패턴층(110)은 다수의 그루브를 포함하며, 저굴절률 패턴층(110)은 고굴절률 패턴층(120)보다 굴절률의 낮은 물질로 이루어지고, 고굴절률 패턴층(120)에 형성된 다수의 그루브를 채우는 충진 물질을 포함한다. 도시된 형상 외에도, 전술한, 고굴절률 패턴층(210) 및 저굴절률 패턴층(121)(220)(221)의 형상이 적용될 수도 있다.
또한, 고굴절률 패턴층(110) 상에 제1기재(320)가 더 형성될 수 있다. 제1기재(320)는 광학적 등방성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고, 예를 들어, TAC(triacetyl cellulose)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1기재(320) 상에 원편광층(340)이 더 구비될 수 있으며, 원편광층(340)은 위상변환층(342), 선편광층(344), 제2기재(346)를 포함할 수 있다. 제2기재(346)는 광학적 등방성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고, 예를 들어, TAC(triacetyl cellulose)로 이루어질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 예를 들어, 제1기재(320) 상에 배치될 필름이 원편광층이 아닌 경우에는 PET, PC 등과 같은 필름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제1기재(320)와 상기 원편광층(340) 사이에 점착층(330)이 더 형성될 수 있다. 점착층은 PSA(pressure sensitive adhesion)로 이루어질 수 있고, 또한, 광흡수체나 광확산제가 포함된 PSA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저굴절률 패턴층(120)의 하면, 즉, 저굴절률 패턴층에(120)서 고굴절률 패턴층(110)에 접하는 면의 이면에 점착층(310)이 더 형성될 수 있다. 저굴절률 패턴층(120)의 하면은 광학 필름(300)이 유기 발광 표시 장치에 적용될 때, 유기 발광 표시 패널에 접합되는 면이 된다. 점착층(310)은 광흡수체나 광확산제가 포함된 PSA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10은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광학 필름(905)의 개략적인 구조를 보이는 단면도이다.
광학 필름(905)은 고굴절률 패턴층(110) 상부에 반사 방지막(190)이 형성되고, 저굴절률 패턴층(120) 하부에 제1점착층(131)이 형성된 구조를 가지며, 또한, 고굴절률 패턴층(110)과 반사방지막(190) 사이에 제1기재(141)가 더 형성될 수 있다.
반사방지막(190)은 굴절률이 상이한 무기물로 된 다층 적층 구조를 가질 수 있고, 예를 들어, 고굴절률층, 저굴절률층의 2층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1점착층(131)은 유기 발광 패널과의 점착을 위해 마련되는 것으로, PSA(pressure sensitive adhesion)로 이루어질 수 있고, 또한, 광흡수체나 광확산제가 포함된 PSA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고굴절률 패턴층(110) 및/또는 저굴절률 패턴층(120)은 광흡수체를 함유하는 투명 재질로 형성될 수도 있다. 광학 필름을 구성하는 다양한 층들에 광흡수체를 함유한 물질을 적용하는 경우, 외광의 반사율을 낮추어 시인성을 높일 수 있다.
제1기재(141)는 고굴절률 패턴층(110), 저굴절률 패턴층(120)을 형성하기 위한 기재로서 사용되는 것으로, 광학적 등방성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고, 예를 들어, TAC(triacetyl cellulose)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11 내지 도 17는 원편광층과 반사방지막을 채용한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광학 필름(906~912)의 개략적인 구조를 보이는 단면도이다.
원편광층은 위상변환층(150)과 선편광층(160)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위상변환층(150)은 예를 들어, λ/4 위상차 필름일 수 있다.
선편광층(160)은 PVA 필름(polyvinyl alcohol)을 포함할 수 있고, 또는, TAC 필름(triacetyl cellulose film)과의 적층 구조, 기타 다양한 구조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PVA 필름은 광을 편광시키는 역할을 하는 필름으로, 고분자 물질인 폴리비닐알콜에 2색성 색소를 흡착시켜 형성할 수 있다.
도 11와 도 12을 참조하면, 광학 필름(906)(907)은 아래서부터 순서대로 배치된 점착층(131), 저굴절률 패턴층(120), 고굴절률 패턴층(110), 위상변환층(150), 선편광층(160), 제1기재(141), 반사방지막(190)을 포함한다.
위상변환층(150), 선편광층(160)으로 이루어지는 원편광층은 외광의 반사율을 낮추어 시인성을 높이는 역할을 한다. 비편광된 외부광이 입사하면, 외부광은 선편광층(160)을 지나며 선편광으로 변하고, 위상변환층(150)에 의해 원편광이 된다. 그리고 이 원편광된 빛은 위상변환층(150)과 고굴절률 패턴층(110)과의 계면 고굴절률 패턴층(110), 저굴절률 패턴층(120), 제1점착층(131)을 지나 제1점착층(131)과 접하는 유기 발광 패널(미도시)의 계면에서 반사되어 회전방향이 반대인 원편광으로 변하게 된다. 그리고 이 원편광은 위상변환층(150)을 지나면서 선편광층(160)의 투과축과 직각인 선편광이 되어 결국, 외부로 방출되지 않게 된다.
도시한 바와 같이, 이러한 원편광층은 고굴절률 패턴층(110) 상에 배치되므로, 고굴절률 패턴층(110)을 원편광층과 광축이 다른 비등방성 물질로 형성할 경우 편광이 깨지게 되어 입사된 외광이 다시 외부로 나갈 수 있고, 반사량이 급격히 증가하여 시인성이 저하될 수 있다. 따라서, 고굴절률 패턴층(110)은 트리아세틸셀룰로스(triacetyl cellulose; TAC) 또는 용제 주조(solvent casting)된 폴리카보네이트(polycarbonate; PC) 등과 같이 원편광층과 광축이 같은 등방성 물질로 형성되어야 한다.
도 12의 광학 필름(907)은 도 11의 광학 필름(906)과 비교할 때, 고굴절률 패턴층(110)과 위상변환층(150) 사이에, 고굴절률 패턴층(110)에서 위상변환층(150)을 향하여 순서대로, 제2기재(142), 제2점착층(132)이 더 형성되어 있다.
도 13과 도 14를 참조하면, 광학 필름(908)(909)는 제1점착층(131), 위상변환층(150), 선편광층(160), 저굴절률 패턴층(120), 고굴절률 패턴층(110), 제1기재(141), 반사방지막(190)을 포함한다.
도 14의 광학 필름(909)은 선편광층(160)과 저굴절률 패턴층(120) 사이에, 선편광층(160)에서 저굴절률 패턴층(120)을 향하여 순서대로, 제2기재(142), 제2점착층(132)이 더 형성되어 있다.
도 15 및 도 16를 참조하면, 광학 필름(910)(911)은 아래서부터 순서대로 배치된, 제1점착층(131), 위상변환층(150), 저굴절률 패턴층(120), 고굴절률 패턴층(110), 선편광층(160), 제1기재(141), 반사방지막(190)을 포함한다.
도 16의 광학 필름(911)은 고굴절률 패턴층(110)과 선편광층(160) 사이에 제2기재(142)가 더 형성되어 있다.
도 17의 광학 필름(912)은 아래서부터 순서대로 배치된, 제1점착층(131), 위상변환층(150), 선편광층(160), 제1기재(141), 저굴절률 패턴층(120), 고굴절률 패턴층(110), 반사방지막(190)을 포함한다.
도 18 내지 도 20은 투과율 조절층과 반사방지막을 채용한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광학 필름(913~916)의 개략적인 구조를 보이는 단면도이다.
투과율 조절층(170)은 고분자 수지에, 빛을 흡수할 수 있는 블랙 물질(black material)로, 블랙 염료, 안료, 카본 블랙(Cabon black) 혹은 이들로 표면이 코팅되어 있는 가교 입자 등을 분산시켜 형성한 필름일 수 있다. 고분자 수지로는 PMMA 등의 바인더 뿐만 아니라 아크릴계 등의 UV 경화수지가 될 수 있으며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또한, 투과율 조절층(170)의 두께나 고분자 수지에 함유된 블랙 물질의 함유량은 블랙 물질의 광학적 성질에 따라 적절히 정해질 수 있다. 투과율 조절층(170)의 투과율은 40% 이상일 수 있으며, 이것은 원편광층의 투과율보다 다소 높은 정도이다. 투과율 조절층(170)을 사용하는 것은 원편광층이 은 외부광은 거의 완벽히 차단하나, 투과율이 낮은 단점을 보완하기 위한 것이다.
도 18 및 도 19를 참조하면, 광학 필름(913)(914)은 아래서부터 순서대로 배치된, 제1점착층(131), 저굴절률 패턴층(120), 고굴절률 패턴층(110), 제1 캐리어필름(181), 반사방지막(190)을 포함한다.
도 19의 광학 필름(914)은 제1 캐리어필름(181)과 투과율 조절층(170) 사이에 제2점착층(132)이 더 형성되고, 투과율 조절층(170)과 반사방지막(190) 사이에 제2 캐리어필름(182)이 더 형성되어 있다.
도 20 및 도 21의 광학 필름(915)(916)은 아래서부터 순서대로 배치된, 제1점착층(131), 저굴절률 패턴층(120), 고굴절률 패턴층(110), 투과율 조절층(170), 제1 캐리어필름(181), 반사방지막(190)을 포함한다.
도 21의 광학 필름(916)은 고굴절률 패턴층(110)과 투과율 조절층 사이에 제2점착층(132)이 더 형성되고, 제1점착층(131)과 저굴절률 패턴층(120) 사이에 제2 캐리어필름(182)이 더 형성되어 있다.
제1 및 제2캐리어필름(181)(182)은 고굴절률 패턴층(110), 저굴절률 패턴층(120)을 형성하기 위한 기재, 또는 반사방지막(190)이나 투과율 조절층(170)을 위한 기재로서 사용되는 것이다. 도 16 내지 도 19의 실시예들의 광학 필름(913~916)은 선편광층을 포함하지 않으므로, 편광 유지의 기능이 필요하지 않아, 이러한 기재로, TAC외에 PET, PC 등을 포함하여, 다양한 재질을 사용할 수 있다.
도 11 내지 도 21의 광학 필름(915~916)에서 고굴절률 패턴층(110), 저굴절률 패턴층(120)으로 도 1의 형상을 예시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도 6 내지 도 8에서 예시한 구조로 변형될 수도 있다.
도 22는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 장치(500)의 개략적인 구조를 보이는 단면도이고, 도 23은 도 22의 유기 발광 표시 장치(500)에서, 유기 발광 표시 패널(510)의 화소 배열에 대한 광학 필름(520)의 배치관계를 개략적으로 보인다.
유기 발광 표시 장치(500)는 각각 다른 파장의 광을 발광하며, 해당 파장의 광에 대해 공명 현상을 일으키는 미세 공동 구조(micro cavity structure)로 이루어진 유기발광층을 구비하는 복수의 화소를 포함하는 유기 발광 패널(510), 유기 발광 패널(510) 상에 배치된 광학 필름(530)을 포함한다. 유기 발광 패널(510)과 광학 필름(530) 사이에는 점착층(520)이 더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광학 필름(530)상에는 원편광층(540)이 더 배치될 수 있다.
유기 발광 패널(510)은 휘도 및 색순도 향상을 위해 미세 공동 구조(micro cavity structure)로 형성된다. 즉, 유기 발광 패널(500)은 적, 녹, 청 및 백색 중 어느 하나의 색을 발광하는 다수의 유기 발광소자를 구비하는데, 유기 발광 소자는 애노드(13), 유기발광층(14), 캐소드(15)를 포함한다.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단위 화소가 적색(R), 녹색(G), 청색(B)을 구현하도록 구성된 유기 발광 소자를 구비하는 유기 발광 패널(510)인 경우 장파장인 적색 유기 발광 소자의 애노드(14)와 캐소드(16)의 거리가 상대적으로 가장 길고, 단파장인 청색 유기 발광소자의 애노드(14)와 캐소드(16)의 거리가 상대적으로 가장 짧은 구조의 미세 공동 구조로 형성된다. 즉, 유기 발광 패널(510)은 애노드(13)와 캐소드(15) 사이의 거리를 적색, 녹색, 청색 각각의 대표 파장에 매칭되게 형성하여 그에 상응하는 빛만이 공명되어 밖으로 출사시키고 그 외의 빛은 약화시키게 된다.
유기 발광 패널(510)의 보다 상세한 구성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유기 발광 패널(510)의 각 서브 화소는 서로 대향하는 제1기판(11)과 제2 기판(19) 사이에 배치되고 애노드(13), 유기 발광층(14) 및 캐소드(15)로 구성되는 유기 발광 소자 및 제1기판(11) 상에 형성되고 애노드(13) 및 캐소드(15)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구동회로부(112)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애노드(13)는 알루미늄(Al)과 같은 불투명 금속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캐소드(15)는 유기 발광층(15)에서 발광된 빛이 잘 투과될 수 있도록 인듐 주석산화물(indium tin oxide; ITO)과 같은 산화물 투명 전극(transparent electrode)으로 이루어지거나 니켈(Ni) 박막의 반투명 전극(semitransparent electrode)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구동회로부(12)는 적어도 2개의 박막 트랜지스터(미도시)와 캐패시터(미도시)를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고, 데이터 신호에 따라 유기 발광소자로 공급되는 전류량을 제어하여 유기 발광소자의 밝기를 제어하게 된다.
구동회로부(12)는 유기 발광 패널(510)의 단위 화소를 구동하는 회로로서, 게이트 라인(gate line) 및 이와 수직하게 교차하는 데이터 라인(data line), 그리고 게이트 라인 및 데이터 라인과 접속된 스위칭 박막 트랜지스터(switching TFT), 스위칭 박막 트랜지스터와 전원 라인 사이에서 유기발광소자와 접속된 구동 박막 트랜지스터(driving TFT), 그리고 구동 박막 트랜지스터의 게이트 전극와 전원 라인 사이에 접속된 스토리지 캐패시터(storage capacitor)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 때, 스위칭 박막 트랜지스터는 게이트 라인의 스캔 신호에 응답하여 데이터 라인의 데이터 신호를 구동 박막 트랜지스터의 게이트 전극 및 스토리지 캐패시터에 공급한다. 그리고 구동 박막 트랜지스터는 스위칭 박막 트랜지스터로부터 데이터 신호에 응답하여 전원 라인으로부터 유기 발광 소자로 공급되는 전류를 조절하여 유기 발광소자의 밝기를 제어하게 된다. 또한, 스토리지 캐패시터는 스위칭 박막 트랜지스터로부터의 데이터 신호를 충전하고, 충전된 전압을 구동 박막 트랜지스터에 공급하여 스위칭 박막 트랜지스터가 오프(off)되더라도 구동 박막 트랜지스터는 일정한 전류를 공급할 수 있게 된다.
유기 발광층(15)은 애노드(13) 상에 차례로 적층되는 정공 주입층, 정공 수송층, 발광층, 전자 수송층 및 전자 주입층을 포함하여 형성된다. 이러한 구조에 따라, 애노드(13)와 캐소드(15) 사이에 순방향 전압이 인가되면, 캐소드(15)로부터 전자가 전자 주입층 및 전자 수송층을 통해 발광층으로 이동하게 되고, 애노드(13)로부터 정공이 정공 주입층 및 정공 수송층을 통해 발광층으로 이동하게 된다. 그리고 발광층 내로 주입된 전자와 정공은 발광층에서 재결합하여 엑시톤(exciton)을 생성하고, 이러한 엑시톤이 여기상태(excited state)에서 기저상태(ground state)로 전이하면서 빛을 방출하게 되는데, 이 때, 방출되는 빛의 밝기는 애노드(13)와 캐소드(15) 사이에 흐르는 전류량에 비례하게 된다.
또한, 유기 발광패널(10)은 색 효율 향상을 위해 컬러 필터(17)를 구비하게 된다. 이때, 컬러 필터(17)는 제2 기판(12)에 형성되는데, 적색 서브 화소 영역에는 적색 컬러 필터, 녹색 서브 화소 영역에는 녹색 컬러 필터 및 청색 서브 화소 영역에는 청색 컬러 필터가 형성된다. 만일, 단위 화소가 4색(적, 녹, 청, 백)으로 이루어진 경우 백색 서브 화소 영역에는 컬러 필터(17)가 생략될 수 있다.
또한,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제2기판(12)에는 빛샘 방지 및 혼색 차단을 위한 블랙 매트릭스가 각 서브 화소의 경계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애노드(13)와 캐소드(15) 간의 전기적 연결 및 애노드(13)와 구동회로부(12) 간의 전기적 연결을 위한 스페이서가 형성될 수 있는데, 이러한 전기적 연결은 제1기판(11)과 제2 기판(12)의 실링재에 의한 대면 합착을 통해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미세 공동 구조(Micro Cavity Structure)를 채용하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500)는 시청각도가 정면에서 측면쪽으로 틸트될수록 단파장에서 최대 공진 파장을 나타내게 되어 단파장쪽으로 색변화(color shift)가 나타난다. 예를 들어, 정면에서는 화이트를 나타내다가도 측면에서는 블루 쉬프트(blue shift) 현상 때문에 화이트가 파란색을 띠는(bluish) 현상이 나타나게 된다.
본 실시예의 유기 발광 표시 장치(500)는 이러한 색변화를 줄이기 위해 유기 발광 표시 패널(510) 상에 광학 필름(530)을 배치하고 있다. 광학 필름(530)은 곡면으로 된 다수의 그루브(GR)가 음각된 패턴을 가지며, 그루브(GR)는 깊이가 폭보다 크게 형성되고, 1보다 큰 굴절률의 재질로 이루어진 고굴절률 패턴층(531)과, 상기 고굴절률 패턴층의 굴절률보다 작은 굴절률의 재질로 이루어지고 다수의 그루브(GR)를 채우는 충진 물질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고굴절률 패턴층(531)과 다수의 그루브(GR)에 대응하는 돌출 패턴을 가지는 저굴절률 패턴층(532)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광학 필름(530)으로는 도 1 내지 도 6에서 설명한 다양한 구조의 광학 필름(100)(101)(200)(201)이 채용될 수 있다.
광학 필름(530)의 그루브(GR)는 스트라이프 형태로 연장된 형태일 수 있고, 이 경우, 스트라이프 형태는 유기 발광 패널(510)의 상하로 연장된 형태가 되도록 광학 필름(530)이 유기 발광 패널(510) 상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유기 발광 패널(510)의 하나의 화소에 광학 필름(530)의 정수개의 그루브(GR)가 대응하도록 광학 필름(530)이 유기 발광 패널(510) 상에 배치될 수 있다.
도 2 및 도 3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광학 필름(530)은 일정한 각도로 입사한 광을 다양한 각도로 출사시키는 역할을 한다. 한편, 유기 발광 표시 패널(510)에서 출사되는 광은 소정의 각도 분포를 가지며, 그 각도에 따라 조금씩 다른 색변화 성질을 갖는다. 이러한 광이 광학 필름(530)을 투과한 후에는 색변화가 큰 각도로 광학 필름(53)에 입사한 광과 색변화가 작은 각도로 광학 필름(530)에 입사한 광이 골고루 혼합되어 출사되므로, 시청자의 시청 각도에 따른 색변화가 저감되게 된다.
한편, 도 2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기 발광 패널(510)의 복수의 화소(R,G,B)는 유기 발광 패널의 상,하 및 좌,우 방향으로 이차원적으로 배열되고, 광학 필름(530)의 그루브(GR)가 형성하는 스트라이프 형태의 방향과 복수의 화소가 상,하로 배열된 방향은 서로 나란하지 않고 어긋날 수 있다. 그루브(GR)가 스트라이프 패턴인 경우 유기 발광 패널(510)과 광학 필름(530) 사이의 간섭에 의한 모아레 패턴이 생길 수도 있는데, 도시된 바와 같이, 스트라이프 방향과 화소 배열 방향간에 소정 각도를 형성하는 경우 모아레 패턴이 생기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유기 발광 패널(510)과 광학 필름(530)에 점착층(520)이 형성될 수 있고, 점착층(520)은 예를 들어, 광흡수체와 광확산제를 함유하는 PSA(pressure sensitive adhesion)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광학 필름(530)을 구성하는 고굴절률 패턴층(531) 및/또는 저굴절률 패턴층(532)은 광흡수체를 함유하는 투명 재질로 형성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점착층(520) 또는 광학 필름(530)에 광흡수체를 함유한 물질을 적용하는 경우, 외광의 반사율을 낮추어 시인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광학 필름(530) 상에는 원편광층(540)이 더 배치될 수 있고, 원편광층(540)은 선편광층(544)과 위상변환층(542)을 포함할 수 있다.
선편광층(544)은 TAC 필름(triacetyl cellulose film)과 PVA 필름(polyvinyl alcohol)을 포함할 수 있고, 예를 들어, TAC 필름/PVA 필름/TAC 필름의 적층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선편광층(544)은 기타 다양한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여기서, PVA 필름은 광을 편광시키는 역할을 하는 필름으로, 고분자 물질인 폴리비닐알콜에 2색성 색소를 흡착시켜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PVA 필름 양면에 배치되는 TAC 필름은 PVA 필름을 지지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위상변환층(542)은 예를 들어, λ/4 위상차 필름일 수 있다.
이러한 원편광층(540)은 외광의 반사율을 낮추어 시인성을 높이는 역할을 한다. 비편광된 외부광이 입사하면, 외부광은 선편광층(544)을 지나며 선편광으로 변하고, 위상변환층(542)에 의해 원편광이 된다. 그리고 이 원편광된 빛은 위상변환층(542)과 광학 필름(530)과의 계면 또는 광학 필름(530)과 유기 발광 패널(510) 간의 계면에서 반사되어 회전방향이 반대인 원편광으로 변하게 된다. 그리고 이 원편광은 위상변환층(542)을 지나면서 선편광층(544)의 투과축과 직각인 선편광이 되어 결국, 외부로 방출되지 않게 된다.
도시한 바와 같이, 이러한 원편광층(540)은 광학 필름(530)상에 배치되므로, 광학 필름(530)을 구성하는 고굴절률 패턴층(531)을 원편광층(530)과 광축이 다른 비등방성 물질로 형성할 경우 편광이 깨지게 되어 입사된 외광이 다시 외부로 나갈 수 있고, 이에 따라, 유기 발광 패널(510)의 반사량이 급격히 증가하여 시인성이 저하될 수 있다. 따라서, 고굴절률 패턴층(531)은 트리아세틸셀룰로스(triacetyl cellulose; TAC) 또는 용제 주조(solvent casting)된 폴리카보네이트(polycarbonate; PC) 등과 같이 원편광층(530)과 광축이 같은 등방성 물질로 형성되어야 한다.
도 22에서는 광학 필름(530) 상에 위상변환층(542)과 선편광층(544)이 순차 형성된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이고, 위상변환층(542)과 선편광층(544) 사이에 광학 필름(530)이 배치되는 형태로 변경될 수 있다.
광학 필름(530)은 시야각에 따른 색변화를 줄이기 위해 배치되는 것이나, 이에 의해 이미지 왜곡이 있을 수 있다. 따라서, 이미지 왜곡을 최소화하도록, 유기발광층(14)에서 광학 필름(530)까지의 거리를 대략 1.5mm 이하로 할 수 있다.
도 24는 실시예에 따른 광학 필름을 채용한 경우와 채용하지 않은 경우의 유기 발광 표시 장치에서 시야각에 따른 색변화를 비교하여 보인 그래프이다.
그래프의 가로축은 시야각, 그래프의 세로축은 색변화로서, 기준의 색좌표에서 이탈된 정도를 나타낸다. 그래프를 참조하면, 광학 필름을 채용한 경우, 시야각 변화에 따른 색변화가 적다. 또한, 광확산제를 함께 사용한 경우, 시야각 변화에 따른 색변화 그래프에서, 특정 그루브에 의해 나타나는 피크(peak)가 없어진 스무스(smooth)한 형태가 된다. 해진다.
도 25는 실시예에 따른 광학 필름을 채용한 경우와 채용하지 않은 경우의 유기 발광 표시 장치에서 시야각에 따른 휘도를 비교하여 보인 그래프이다.
그래프를 참조하면, 광학 필름을 채용한 경우, 광학 필름을 채용하지 않은 경우와 시야각에 따른 휘도 분포가 유사하다. 또한, 광확산제를 함께 사용한 경우, 시야각에 따른 휘도 분포 그래프에서, 특정 그루브에 의해 나타나는 피크(peak)가 없어진 스무스(smooth)한 형태가 된다.
도 24 및 도 25의 그래프로부터,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 장치에 채용된 광학 필름은 시야각에 따른 휘도 분포 형태에 영향을 거의 주지 않으며, 시야각에 따른 색변화를 줄이는 것을 알 수 있다.
도 26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 장치(600)의 개략적인 구조를 보이는 단면도이다.
유기 발광 표시 장치(600)는 유기 발광 표시 패널(510)과 광학 필름(300)을 포함한다. 광학 필름(300)은 도 7에 예시된 구조를 가질 수 있으며, 즉, 점착층(310), 저굴절률 패턴층(120), 고굴절률 패턴층(110), 제1기재(320), 점착층(330), 원편광층(340)을 포함하며, 원편광층(340)은 선편광층(342), 위상변환층(344), 제2기재(346)를 포함하는 구성일 수 있다.
제1기재(320), 제2기재(346)는 광학적 등방성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고, 예를 들어, TAC(triacetyl cellulose)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점착층(310)(330)은 PSA(pressure sensitive adhesion)로 이루어질 수 있고, 또는, 광흡수체와 광학산제가 함유된 PSA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저굴절률 패턴층(120), 고굴절률 패턴층(110)은 도시된 형상 외에도, 도 6 내지 도 8에서 예시한 형태로 변경될 수 있다.
유기 발광 표시 장치(600)에 채용되는 광학 필름(300)은 도 9의 구조로 도시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이고, 도 10 내지 도 21의 광학 필름(915~912)을 채용할 수도 있다.
이러한 본원 발명인 광학 필름 및 이를 채용한 유기 발광 소자는 이해를 돕기 위하여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적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101, 200, 201, 300, 530, 905~916...광학 필름
110, 210, 531... 고굴절률 패턴층 141, 320...제1기재
120, 121, 220, 221, 532...저굴절률 패턴층
310, 330, 520 ...점착층 142, 346...제2기재
510...유기 발광 패널 340, 540...원편광층
150, 342, 542...위상변환층 160, 344, 544...선편광층
181, 182...제1, 제2캐리어필름 170...투과율 조절층
190...반사방지막 500, 600...유기 발광 표시 장치

Claims (45)

  1. 서로 마주하는 제1면과 제2면을 구비하며, 상기 제1면은 곡면으로 된 다수의 그루브가 음각된 패턴을 가지며, 상기 그루브는 깊이가 폭보다 크게 형성되고, 1보다 큰 굴절률의 재질로 이루어진 고굴절률 패턴층;
    상기 고굴절률 패턴층의 굴절률보다 작은 굴절률의 재질로 이루어지고 상기 다수의 그루브를 채우는 충진 물질을 포함하는 저굴절률 패턴층;을 포함하는 광학 필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충진 물질은 공기 또는 수지 물질로 이루어진 광학 필름.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충진 물질은 광확산체 또는 광흡수체가 함유된 투명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진 광학 필름.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저굴절률 패턴층은 상기 다수의 그루브에 대응하는 돌출 패턴을 가지는 필름 형태로 이루어진 광학 필름.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저굴절률 패턴층은 광확산체 또는 광흡수체가 함유된 투명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진 광학 필름.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그루브의 폭에 대한 깊이의 비로 정의되는 종횡비는 1보다 크고 3보다 작은 광학 필름.
  7.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그루브는 스트라이프형으로 연장된 형태인 광학 필름.
  8.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그루브는 도트 형태인 광학 필름.
  9.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그루브를 형성하는 상기 곡면은 비구면인 광학 필름.
  10.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고굴절률 패턴층의 폭에 대한 상기 다수의 그루브의 폭의 합의 비율은 25% 에서 50%인 광학 필름.
  11.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저굴절률 패턴층 하부에 제1점착층이 더 형성된 광학 필름.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고굴절률 패턴층 상부에 원편광층이 더 형성된 광학 필름.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고굴절률 패턴층과 상기 원편광층 사이에
    상기 고굴절률 패턴층에서 상기 원편광층을 향하는 순서대로, 제1기재와 제2점착층이 더 형성된 광학 필름.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원편광층은 상기 제2점착층 상에 순차 배치된, 위상변환층, 선편광층, 제2기재를 포함하는 광학 필름.
  15.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고굴절률 패턴층 상부에 반사 방지막이 더 형성된 광학 필름.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고굴절률 패턴층과 상기 반사방지막 사이에 제1기재가 형성된 광학 필름.
  17. 제16항에 있어서,
    위상변환층과 선편광층을 구비하는 원편광층이 더 구비된 광학 필름.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점착층과 상기 반사방지막 사이에,
    상기 제1점착층에서 상기 반사방지막을 향하여 순서대로,
    상기 저굴절률 패턴층, 상기 고굴절률 패턴층, 상기 위상변환층, 상기 선편광층, 상기 제1기재가 형성된 광학 필름.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고굴절률 패턴층과 상기 위상변환층 사이에,
    상기 고굴절률 패턴층에서 상기 위상변환층을 향하여 순서대로,
    제2기재, 제2점착층이 더 형성된 광학 필름.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제1기재, 상기 제2기재는 광학적 등방성 물질로 이루어진 광학 필름.
  21.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점착층과 상기 반사방지막 사이에,
    제1점착층에서 상기 반사방지막을 향하여 순서대로,
    상기 위상변환층, 상기 선편광층, 상기 저굴절률 패턴층, 상기 고굴절률 패턴층, 상기 제1기재가 배치된 광학 필름.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선편광층과 상기 저굴절률 패턴층 사이에,
    상기 선편광층과 상기 저굴절률 패턴층을 향하여 순서대로,
    제2기재, 제2점착층이 더 형성된 광학 필름.
  23.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점착층과 상기 반사방지막 사이에,
    제1점착층에서 상기 반사방지막을 향하여 순서대로,
    상기 위상변환층, 상기 저굴절률 패턴층, 상기 고굴절률 패턴층, 상기 선편광층, 상기 제1기재가 배치된 광학 필름.
  24.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고굴절률 패턴층과 상기 선편광층 사이에 제2기재가 더 형성된 광학 필름.
  25.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점착층과 상기 저굴절률 패턴층 사이에
    상기 제1점착층에서 상기 저굴절률 패턴층을 향하여 순서대로,
    위상변환층, 선편광층, 제1기재가 형성된 광학 필름.
  2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고굴절률 패턴층과 반사방지막 사이에 투과율 조절층이 더 형성된 광학 필름.
  27.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고굴절률 패턴층과 투과율 조절층 사이에 제1 캐리어필름이 더 형성된 광학 필름.
  28.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캐리어필름과 상기 투과율 조절층 사이에 제2점착층이 더 형성되고,
    상기 투과율 조절층과 상기 반사방지막 사이에 제2 캐리어필름이 더 형성된 광학 필름.
  29.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투과율 조절층과 상기 반사방지막 사이에 제1 캐리어필름이 형성된 광학 필름.
  30. 제29항에 있어서,
    상기 고굴절률 패턴층과 상기 투과율 조절층 사이에 제2점착층이 더 형성되고,
    상기 제1점착층과 상기 저굴절률 패턴층 사이에 제2 캐리어필름이 더 형성된 광학 필름.
  31. 각각 다른 파장의 광을 발광하며, 해당 파장의 광에 대해 공명 현상을 일으키는 미세 공동 구조(micro cavity structure)로 이루어진 유기발광층을 구비하는 복수의 화소를 포함하는 유기 발광 패널; 및
    상기 유기 발광 패널 상에 배치된 것으로,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의 광학 필름;을 포함하는 유기 발광 표시장치.
  32. 제31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그루브는 스트라이프 형태로 연장된 형태인 유기 발광 표시장치.
  33. 제31항에 있어서,
    상기 광학 필름은 상기 스트라이프 형태가 상기 유기 발광 패널의 상하로 연장된 형태가 되도록 상기 유기 발광 패널 상에 배치되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
  34. 제33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화소는 상기 유기 발광 패널의 상,하 및 좌,우 방향으로 이차원적으로 배열되고,
    상기 스트라이프 형태의 방향과 상기 복수의 화소가 상,하로 배열된 방향은 서로 나란하지 않고 어긋나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
  35. 제31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그루브는 도트 형태인 유기 발광 표시 장치.
  36. 제31항에 있어서,
    상기 광학 필름은, 상기 그루브의 폭에 대한 깊이의 비로 정의되는 종횡비가 1보다 크고 3보다 작은 유기 발광 표시 장치.
  37. 제31항에 있어서,
    상기 광학 필름의 상기 다수의 그루브를 형성하는 상기 곡면은 비구면인 유기 발광 표시 장치.
  38. 제31항에 있어서,
    상기 광학 필름은 상기 고굴절률 패턴층의 폭에 대한 상기 다수의 그루브의 폭의 합의 비율이 25%에서 50%인 유기 발광 표시 장치.
  39. 제31항에 있어서,
    상기 유기 발광 표시 패널과 상기 광학 필름 사이에 점착층이 더 형성된 유기 발광 표시 장치.
  40. 제39항에 있어서,
    상기 점착층은 광흡수체와 광확산제를 함유하는 PSA(pressure sensitive adhesion) 물질로 이루어진 유기 발광 표시 장치.
  41. 제39항에 있어서,
    상기 고굴절률 패턴층 상부에 원편광층이 더 형성된 광학 필름.
  42. 제39항에 있어서,
    상기 고굴절률 패턴층의 상부에 반사방지막이 더 형성된 유기 발광 표시 장치.
  43. 제42항에 있어서,
    상기 고굴절률 패턴층과 상기 반사방지막 사이에, 위상변환층과 선편광층을 구비하는 원편광층이 더 형성된 유기 발광 표시 장치.
  44. 제42항에 있어서,
    상기 고굴절률 패턴층과 상기 반사방지막 사이에 투과율 조절층이 더 형성된 광학 필름.
  45. 제31항에 있어서,
    상기 유기 발광층에서 상기 광학 필름까지의 거리는 1.5mm 이하인 유기 발광 표시 장치.
KR1020130064967A 2012-12-21 2013-06-05 색 변화 저감용 광학 필름 및 이를 채용한 유기 발광 표시 장치 KR101585148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4/089,228 US9209230B2 (en) 2012-12-21 2013-11-25 Optical films for reducing color shift and organic light-emitting display apparatuses employing the same
CN201310711604.2A CN103885106B (zh) 2012-12-21 2013-12-20 用于减少色移的光学膜和采用其的有机发光显示装置
JP2013264288A JP5876027B2 (ja) 2012-12-21 2013-12-20 光学フィルム及びこれを含む有機発光表示装置
EP13199083.0A EP2747166B1 (en) 2012-12-21 2013-12-20 Optical film for reducing color shift and organic light-emitting display apparatus employing the same
US14/846,231 US9507059B2 (en) 2012-12-21 2015-09-04 Optical films for reducing color shift and organic light-emitting display apparatuses employ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51338 2012-12-21
KR20120151338 2012-12-2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81653A true KR20140081653A (ko) 2014-07-01
KR101585148B1 KR101585148B1 (ko) 2016-01-22

Family

ID=517329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64967A KR101585148B1 (ko) 2012-12-21 2013-06-05 색 변화 저감용 광학 필름 및 이를 채용한 유기 발광 표시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85148B1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33848A (ko) * 2014-09-18 2016-03-29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광학 필름 및 이를 구비하는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
US9590210B2 (en) 2013-10-15 2017-03-07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of evaluating image blur of optical film and optical film with reduced image blur
US9874666B2 (en) 2013-08-08 2018-01-23 Samsung Display Co., Ltd. Optical film including protrusions,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optical film
US10050234B2 (en) 2013-10-15 2018-08-14 Samsung Electronics Co., Ltd Optical film for reducing color shift and organic light-emitting display device employing the same
KR20190043680A (ko) * 2017-10-19 2019-04-29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WO2019107825A1 (ko) * 2017-11-29 2019-06-06 삼성전자주식회사 엘이디 디스플레이 장치
KR20200006443A (ko) * 2018-07-10 2020-01-20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편광판 및 이를 포함하는 광학표시장치
KR20200044260A (ko) * 2018-10-18 2020-04-29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 및 그 표시장치의 제조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43501A (ja) * 1993-07-29 1995-02-14 Toray Ind Inc マイクロレンズアレイシートおよびそれを用いた液晶ディスプレイ
JP2001264520A (ja) * 2000-03-16 2001-09-26 Dainippon Printing Co Ltd 反射防止フィルム、偏光素子、および表示装置、ならびに反射防止フィルムの製造方法
JP2002214438A (ja) * 2001-01-23 2002-07-31 Nitto Denko Corp 液晶表示用広視野角偏光フィルムおよび液晶表示用広視野角偏光粘着フィルム
KR100970832B1 (ko) * 2006-12-12 2010-07-16 삼성코닝정밀소재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용 외광 차폐 필름의 제조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43501A (ja) * 1993-07-29 1995-02-14 Toray Ind Inc マイクロレンズアレイシートおよびそれを用いた液晶ディスプレイ
JP2001264520A (ja) * 2000-03-16 2001-09-26 Dainippon Printing Co Ltd 反射防止フィルム、偏光素子、および表示装置、ならびに反射防止フィルムの製造方法
JP2002214438A (ja) * 2001-01-23 2002-07-31 Nitto Denko Corp 液晶表示用広視野角偏光フィルムおよび液晶表示用広視野角偏光粘着フィルム
KR100970832B1 (ko) * 2006-12-12 2010-07-16 삼성코닝정밀소재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용 외광 차폐 필름의 제조 방법

Cited B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874666B2 (en) 2013-08-08 2018-01-23 Samsung Display Co., Ltd. Optical film including protrusions,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optical film
US9590210B2 (en) 2013-10-15 2017-03-07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of evaluating image blur of optical film and optical film with reduced image blur
US10050234B2 (en) 2013-10-15 2018-08-14 Samsung Electronics Co., Ltd Optical film for reducing color shift and organic light-emitting display device employing the same
KR20160033848A (ko) * 2014-09-18 2016-03-29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광학 필름 및 이를 구비하는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
KR20190043680A (ko) * 2017-10-19 2019-04-29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WO2019107825A1 (ko) * 2017-11-29 2019-06-06 삼성전자주식회사 엘이디 디스플레이 장치
KR20190062725A (ko) * 2017-11-29 2019-06-07 삼성전자주식회사 엘이디 디스플레이 장치
US11289632B2 (en) 2017-11-29 2022-03-29 Samsung Electronics Co., Ltd.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apparatus
KR20200006443A (ko) * 2018-07-10 2020-01-20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편광판 및 이를 포함하는 광학표시장치
KR20220057510A (ko) * 2018-07-10 2022-05-09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편광판 및 이를 포함하는 광학표시장치
US11487147B2 (en) 2018-07-10 2022-11-01 Samsung Sdi Co., Ltd. Polarizing plate and optical display comprising the same
KR20200044260A (ko) * 2018-10-18 2020-04-29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 및 그 표시장치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85148B1 (ko) 2016-01-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16918B1 (ko) 색 변화 저감용 광학 필름 및 이를 채용한 유기 발광 표시 장치
KR102070410B1 (ko) 색 변화 저감용 광학 필름 및 이를 채용한 유기 발광 표시 장치
JP5876027B2 (ja) 光学フィルム及びこれを含む有機発光表示装置
KR101585148B1 (ko) 색 변화 저감용 광학 필름 및 이를 채용한 유기 발광 표시 장치
KR102070411B1 (ko) 색 변화 저감용 광학 필름 및 이를 채용한 유기 발광 표시 장치
KR102099781B1 (ko) 색 변화 저감용 광학 필름 및 이를 채용한 유기 발광 표시 장치
KR102067159B1 (ko) 색 변화 저감용 광학 필름 및 이를 채용한 유기발광 표시장치
US8894243B2 (e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having improved color shift and visibility
KR102120808B1 (ko) 색 변화 저감용 광학 필름 및 이를 채용한 유기 발광 표시 장치
KR102120809B1 (ko) 광학필름의 이미지 블러 평가 방법 및 이미지 블러가 감소된 광학 필름
KR101231109B1 (ko) 에지 광추출을 갖는 타일형 oled 디바이스
KR101421025B1 (ko) 컬러 시프트 및 시인성이 향상된 유기 발광 표시장치
US20180047791A1 (en) Display device
KR20130008096A (ko) 디스플레이 장치용 광학필름 및 이를 구비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0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16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