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81245A - 터치 패널 - Google Patents

터치 패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81245A
KR20140081245A KR1020120150796A KR20120150796A KR20140081245A KR 20140081245 A KR20140081245 A KR 20140081245A KR 1020120150796 A KR1020120150796 A KR 1020120150796A KR 20120150796 A KR20120150796 A KR 20120150796A KR 20140081245 A KR20140081245 A KR 2014008124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nsparent electrode
electrode
sub
pattern
touch pan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507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08739B1 (ko
Inventor
최민수
Original Assignee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1507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08739B1/ko
Priority to TW102146042A priority patent/TWI530834B/zh
Priority to EP13197314.1A priority patent/EP2746908B1/en
Priority to US14/136,422 priority patent/US9465245B2/en
Priority to CN201310716829.7A priority patent/CN103885630B/zh
Publication of KR201400812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8124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087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0873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 G06F3/0443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using a single layer of sensing electrod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38Input devices, e.g. touch pane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 G06F3/0448Details of the electrode shape, e.g. for enhancing the detection of touches, for generating specific electric field shapes, for enhancing display qualit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Position Input By Displaying (AREA)

Abstract

실시예에 따른 터치 패널은, 유효 영역 및 상기 유효 영역의 상단 또는 하단에만 배치되는 비유효 영역이 정의되는 기판; 상기 유효 영역 상에 형성되는 투명 전극; 및 상기 투명 전극과 연결되고, 상기 유효 영역 및 상기 비유효 영역에 배치되는 배선 전극; 및 상기 비유효 영역에 접합되는 접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투명 전극은, 상기 유효 영역 상에 형성되는 제 1 투명 전극; 및 상기 유효 영역 상에 형성되고, 상기 제 1 투명 전극과 동일한 평면 상에 배치되는 제 2 투명 전극을 포함하며, 상기 제 1 투명 전극 및 상기 제 2 투명 전극은 서로 커플링되고, 상기 커플링 면적은 상기 접합부에서 멀어질수록 증가한다.

Description

터치 패널{TOUCH PANEL}
실시예는 터치 패널에 관한 것이다.
개인 휴대 정보 단말기(PDA: personal digital assistants), 노트북 컴퓨터, OA 기기, 의료기기 또는 카 네비게이션 시스템 등의 전자기기에서는, 디스플레이에 입력수단(포인팅 디바이스: pointing device)을 함께 구비하기 위한 터치 패널이 널리 이용되고 있다. 대표적인 터치 패널에는 정전용량 방식(capacitive type), 저항막 방식, 전자 유도 방식, 광학식 등이 알려져 있으며, 최근에는 정전용량 방식의 터치 패널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
터치 패널의 전면부는 일반적으로 사용자의 터치 명령을 인식하는 활성 영역과 터치 명령을 인식하지 않는 비활성 영역으로 구분되며, 베젤(Bezel)은 비활성 영역에 속한다.
상기 베젤에는 투명 전극을 연결하는 배선 전극 등이 형성되는데, 일반적으로, 상기 베젤은 터치 패널의 상하좌우 측에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터치 패널의 좌우 측에 형성된 베젤로 인하여 터치 패널 전면부에서 사용자의 사용 영역이 제한되어 터치 패널의 사용에 불편함을 초래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따라, 상기 터치 패널의 좌우 측에 형성되는 베젤을 제거한 터치 패널이 개발되고 있다. 그러나, 상기 터치 패널의 좌우 측에 형성되는 베젤을 제거하는 경우, 종래 상기 좌우 측 베젤에 형성되던 배선 전극을 상기 터치 패널의 상하 측에 형성하여야 하는데, 이러한 경우, 상기 배선 전극은 상기 투명 전극과 동일한 물질, 일례로, 인듐 주석 산화물(ITO) 등으로 형성하여야 한다.
그러나, 상기 좌우 측 베젤이 제거되고, 상기 배선 전극을 ITO 물질로 형성하는 경우, 상기 터치 패널의 상단 또는 하단에 위치하는 배선 전극 또는 접합부에서 멀어질수록 투명 전극의 전류 생성값이 작아지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즉, 상기 ITO 물질 등의 투명 전도성 물질로 배선 전극을 형성하는 경우, 메탈 배선 전극에 비해 저항값이 높아짐에 따라, 터치 패널 전체에서 투명 전극의 감도가 균일하지 못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따라, 상기 터치 패널의 좌우 측 베젤을 제거하였을 때, 터치 패널의 감도를 균일하게 하는 터치 패널의 필요성이 요구된다.
실시에는 균일한 감도를 가지며, 좌우 측 베젤이 제거된 터치 패널을 제공하고자 한다.
실시예에 따른 터치 패널은, 유효 영역 및 상기 유효 영역의 상단 또는 하단에만 배치되는 비유효 영역이 정의되는 기판; 상기 유효 영역 상에 형성되는 투명 전극; 및 상기 투명 전극과 연결되고, 상기 유효 영역 및 상기 비유효 영역에 배치되는 배선 전극; 및 상기 비유효 영역에 접합되는 접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투명 전극은, 상기 유효 영역 상에 형성되는 제 1 투명 전극; 및 상기 유효 영역 상에 형성되고, 상기 제 1 투명 전극과 동일한 평면 상에 배치되는 제 2 투명 전극을 포함하며, 상기 제 1 투명 전극 및 상기 제 2 투명 전극은 서로 커플링되고, 상기 커플링 면적은 상기 접합부에서 멀어질수록 증가한다.
실시예에 따른 터치 패널은 유효 영역 상에서 터치 감도의 균일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특히, 실시예에 따른 터치 패널은 터치 패널의 상단 또는 하단에만 배선 전극이 형성되는 좌우 베젤 프리 터치 패널일 때, 유효 영역 상에 형성되고, 투명 전도성 물질을 포함하는 배선 전극에 의한 높은 저항을 상쇄할 수 있다.
즉, 실시예에 따른 터치 패널은 상기 배선 전극이 형성되는 FPCB 접합부 즉, 터치 패널의 상단 또는 하단으로부터 멀어질수록 제 1 투명 전극 패턴과 제 2 투명 전극 패턴의 커플링 영역이 길어지도록 패턴을 형성함으로써, 제 1 투명 전극에서 생성되는 전류가 상기 FPCB 접합부에서 멀어질수록 증가하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배선이 길어지게 되는 부분에서는 투명 전극의 전류 생성값이 높아지도록 패턴이 형성되므로 배선 저항에 의한 영향을 상쇄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실시예에 따른 터치 패널은 유효 영역 상에 위치하는 투명 전극의 전류 생성 값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으므로, 터치 패널의 터치 감도 균일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터치 패널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 및 도 3은 종래 기술에 따른 터치 패널의 투명 전극 패턴들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실시예에 따른 터치 패널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실시예에 따른 터치 패널의 제 1 투명 전극 패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실시예에 따른 터치 패널의 제 2 투명 전극 패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도 4의 A 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도 4의 B 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도 4의 C 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실시예들의 설명에 있어서, 각 층(막), 영역, 패턴 또는 구조물들이 기판, 각 층(막), 영역, 패드 또는 패턴들의 “상/위(on)”에 또는 “하/아래(under)”에 형성된다는 기재는, 직접(directly) 또는 다른 층을 개재하여 형성되는 것을 모두 포함한다. 각 층의 상/위 또는 하/아래에 대한 기준은 도면을 기준으로 설명한다.
도면에서 각 층(막), 영역, 패턴 또는 구조물들의 두께나 크기는 설명의 명확성 및 편의를 위하여 변형될 수 있으므로, 실제 크기를 전적으로 반영하는 것은 아니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터치 패널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2 및 도 3은 종래 기술에 따른 터치 패널의 투명 전극 패턴들을 도시한 도면이며, 도 4는 실시예에 따른 터치 패널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5는 실시예에 따른 터치 패널의 제 1 투명 전극 패턴을 도시한 도면이며, 도 6은 실시예에 따른 터치 패널의 제 2 투명 전극 패턴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7은 도 4의 A 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이며, 도 8은 도 4의 B 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이고, 도 9는 도 4의 C 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종래 터치 패널을 설명하고, 종래 터치 패널의 문제점을 살펴본다.
도 1 내지 도 3에는, 종래 좌우 측 베젤이 제거된 터치 패널이 도시되어 있다. 종래의 터치 패널은 투명 전극 패턴이 형성되는 유효 영역(AA)과, 상기 유효 영역의 상단 또는 하단에만 배치되는 비유효 영역(UA)이 정의되는 기판을 포함한다.
상기 유효 영역에는 투명 전극 패턴이 형성되고, 상기 투명 전극을 연결하는 배선 전극들은 상기 유효 영역에서 연장되어 상기 비유효 영역 즉, 상기 터치 패널의 상단 또는 하단의 접합부에 형성된다.
이때, 상기 투명 전극은 도 2와 같이 기판의 상하 방향으로 연장하는 제 1 투명 전극(11)과 도 3과 같이 상기 제 1 투명 전극과 동일한 방향으로 연장하는 제 2 투명 전극(12)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투명 전극은 상기 유효 영역의 전면에서 동일한 형상의 패턴이 반복된다. 즉, 상기 제 1 투명 전극과 상기 제 2 투명 전극이 서로 인접하는 커플링 영역은 상기 유효 영역의 어느 부분에서나 동일한 크기를 가진다.
이에 따라, 상기 유효 영역 내에 위치하는 투명 전극의 감도는 유효 영역 상에서 불균일할 수 있다. 즉, 상기 좌우 측 베젤이 제거됨에 따라, 상하 방향으로 연장하는 상기 제 1 투명 전극들의 배선 전극들은 유효 영역에서 연장되어 상기 비유효 영역 상에 위치하는 접합부에 연결된다. 상기 배선 전극은 투명 전도성 물질 일례로, 인듐 주석 산화물 등에 의해 형성되는데, 상기 투명 전도성 물질의 높은 저항을 가진다.
즉, 상기 터치 패널의 상단 또는 하단에 위치하는 접합부에서 멀어질수록 상기 제 1 투명 전극 전류 생성값은 작아지게 되는데, 이러한 투명 전도성 물질을 포함하는 배선 전극의 높은 저항으로 인해, 접합부에서 먼 영역과 접합부에서 가까운 영역의 터치 감도가 불균일해지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따라, 실시예에 따른 터치 패널은 상기 투명 전극, 즉, 상기 제 1 투명 전극 및 상기 제 2 투명 전극의 패턴을 변화시켜,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한다.
이하, 도 4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실시예에 따른 터치 패널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4는 실시예에 따른 터치 패널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를 참고하면, 실시예에 따른 터치 패널은 유효 영역(AA) 상에 투명 전극이 형성되고, 상기 투명 전극과 연결되는 배선 전극(200)이 형성된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투명 전극은 제 1 투명 전극(110)과 제 2 투명 전극(120)을 포함한다. 상기 제 1 투명 전극(110)은 연결부 및 센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연결부 및 상기 센서부는 기판의 상하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제 2 투명 전극(120)은 상기 제 1 투명 전극과 동일한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에 따른 유효 영역(AA)이라 함은 사용자의 터치 명령이 입력 가능한 영역을 말하여, 또한 비유효 영역(UA)이라 함은, 사용자의 터치 명령이 입력 가능한 영역인 유효 영역에 반대되는 개념으로서, 사용자의 터치가 이루어지는 경우에도 활성화되지 않아서 터치 명령의 입력이 이루어지지 않는 영역을 말한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배선 전극(200)은 터치 패널의 측면 영역을 제외한 영역에 배치된다. 즉, 종래에는 배선 전극이 터치 패널의 유효 영역의 좌우 측면에 형성되므로 터치 패널의 좌우 측면에는 베젤(Bezel)영역이 필수적이었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르면 배선 전극을 터치 패널의 유효 영역의 좌우 측면이 아닌, 터치 패널 활성 영역의 상단 또는 하단 측에 형성한다. 일반적으로 터치 패널의 유효 영역의 상단 측에는 FPCB 접합부가 형성되므로 FPCB 접합부 측으로 배선 패턴을 형성하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효 영역의 좌우 측면 영역에 배선 패턴을 형성할 필요가 없으므로, 배선 전극을 최소화 할 수 있다. 그러므로, 본 발명에 따르면 터치 패널 상에서 좌우 측의 베젤(Bezel)을 제거하여 터치 패널의 유효 영역을 최대화할 수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이 터치 패널의 좌우 측면에 베젤을 제거하면, 투명 윈도우 상에 형성하는 인쇄 패턴을 형성할 필요가 없으므로 공정을 줄일 수 있다.
그뿐만 아니라,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터치 패널의 상단에만 배선 전극을 형성하는 경우에는 터치 패널의 하단에는 별도의 인쇄 패턴을 형성하지 않아도 되므로 터치 패널의 활성 영역을 최대화하여 사용자의 편의를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도 4 내지 도 6에서는 터치 패널의 상단에 배선 전극이 형성되는 실시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실시예는 이에 제한되지 않고 구조상의 이유로 FPCB 접합부가 터치 패널의 하단 측에 구성되는 경우에는 배선 전극이 터치 패널의 하단 측에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외의 구조적인 이유로 보다 유리한 경우에는 배선 전극이 터치 패널의 하단에 배치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하,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실시예에 따른 터치 패널에 형성되는 투명 전극에 대해 설명한다. 도 5는 실시예에 따른 터치 패널의 제 1 투명 전극 패턴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6은 실시예에 따른 터치 패널의 제 2 투명 전극 패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제 1 투명 전극(110)은 유효 영역 상에서 기판의 상하 방향으로 연장하면서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 1 투명 전극(110)은 제 1 투명 전극 패턴을 형성한다.
상기 제 1 투명 전극 패턴은 상기 제 1 투명 전극의 위치에 따라 상이할 수 있다. 즉, 상기 제 1 투명 전극은 상기 유효 영역 내에서 모두 동일한 패턴으로 형성되지 않고, 상기 제 1 투명 전극이 상기 유효 영역 내에서 위치하는 곳에 따라 서로 상이한 패턴으로 형성할 수 있다.
도 7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상기 제 1 투명 전극 패턴은 여러 개의 서브 전극을 포함할 수 있다. 자세하게, 상기 제 1 투명 전극 패턴은 제 1 서브 전극(111), 제 2 서브 전극(112), 제 3 서브 전극(113), 제 4 서브 전극(114) 및 제 5 서브 전극(115)을 포함할 수 있다.
더 자세하게, 상기 제 1 투명 전극 패턴은 제 1 서브 전극(111); 상기 제 1 서브 전극에서 상기 기판의 제 1 방향으로 연장하는 제 2 서브 전극(112); 상기 제 2 서브 전극으로부터 절곡하여 상기 제 1 방향과 수직인 제 2 방향으로 연장하는 제 3 서브 전극(113); 상기 제 1 서브 전극에서 상기 기판의 제 1 방향으로 연장하는 제 4 서브 전극(114); 상기 제 4 서브 전극으로부터 절곡하여 상기 제 1 방향과 수직인 제 3 방향으로 연장하는 제 5 서브 전극(115)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서브 전극, 상기 제 2 서브 전극, 상기 제 3 서브 전극, 상기 제 4 서브 전극 및 상기 제 5 서브 전극은 서로 분리되지 않고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2 서브 전극과 상기 제 4 서브 전극은 동일한 방향으로 연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4 서브 전극은 상기 제 2 서브 전극에 대해 기판의 하단 방향에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2 서브 전극과 접합부의 거리는 상기 제 4 서브 전극과 접합부의 거리에 비해 더 짧을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2 방향 및 상기 제 3 방향은 서로 반대 방향으로 연장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 2 방향이 기판의 상단 방향으로 연장하는 경우, 상기 제 3 방향은 상기 기판의 하단 방향으로 연장할 수 있고 또는, 상기 제 2 방향이 기판의 하단 방향으로 연장하는 경우, 상기 제 3 방향은 상기 기판의 상단 방향으로 연장할 수 있다.
상기 제 1 투명 전극 패턴은 상기 유효 영역 상에서 서로 상이하게 형성된다.
도 5를 참고하면, 터치 패널의 상단 또는 하단에 상기 제 1 투명 전극의 패턴의 끝단이 배치되는데, 상기 제 1 투명 전극에 연결되는 배선 전극도 유효 영역을 거쳐 상기 터치 패널의 상단 또는 하단에 위치하게 된다.
즉, 상기 제 1 투명 전극은 상기 투명 전극 패턴의 말단이 상기 유효 영역의 상단 또는 하단 측의 방향으로 형성되며, 상기 투명 전극 패턴의 말단에는 상기 배선 전극이 접속된다. 이때, 상기 배선 전극(200)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선 전극을 상기 유효 영역의 상단 측에 배치하여 형성하거나, 상기 배선 전극은 상기 유효 영역의 하단 측에 배치하여 형성될 수 있다. 즉, 배선 전극은 터치 패널의 FPCB 접합부가 형성되는 위치에 따라서, 터치 패널의 유효 영역의 상단 또는 하단에 형성될 수 있다.
다시 말해, FPCB 접합부가 유효 영역의 상단에 형성되는 경우에는 배선 전극이 유효 영역의 상단에 형성되고, FPCB 접합부가 유효 영역의 하단에 형성되는 경우에는 배선 전극이 유효 영역의 하단에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 1 투명 전극 패턴은 상기 배선 전극 즉, 상기 FPCB 접합부와의 거리에 따라 서로 상이한 패턴을 형성한다. 즉, 도 5에 도시되어 있듯이, 상기 제 1 투명 전극 패턴의 상기 제 3 서브 전극 및 상기 제 5 서브 전극은 상기 접합부에서 멀어짐에 따라, 서로 상이한 형상 즉, 상이한 길이를 가진다.
즉,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제 1 투명 전극 패턴은 상기 FPCB 접합부에서 멀어질수록 상기 제 1 투명 전극 패턴의 상기 제 3 서브 전극(113) 및 상기 제 5 서브 전극(115)의 길이가 길어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 1 투명 전극 패턴은 상기 FPCB 접합부에서 멀어질수록, 상기 제 3 서브 전극 및 상기 제 5 서브 전극의 길이가 길어지도록 형성됨으로써, 상기 투명 전극은 상기 유효 영역 내에서, 상기 접합부에서 멀어지는 기판의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상기 제 1 투명 전극 패턴은 서로 상이한 패턴으로 형성되고, 상기 기판의 좌우 방향으로 연장되는 상기 제 1 투명 전극 패턴은 동일한 패턴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제 2 투명 전극은 상기 기판의 유효 영역 상에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 2 투명 전극은 제 2 투명 전극 패턴을 형성한다. 상기 제 2 투명 전극도 앞서 설명한 상기 제 1 투명 전극과 유사하게 패턴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2 투명 전극 패턴은 상기 제 2 투명 전극의 위치에 따라 상이할 수 있다. 즉, 상기 제 2 투명 전극은 상기 유효 영역 내에서 모두 동일한 패턴으로 형성되지 않고, 상기 제 2 투명 전극이 상기 유효 영역 내에서 위치하는 곳에 따라 서로 상이한 패턴으로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제 2 투명 전극 패턴은 상기 제 1 투명 전극 패턴과 상보적인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자세하게, 상기 제 2 투명 전극 패턴은 상기 제 1 투명 전극 패턴의 형상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즉, 상기 제 1 투명 전극 패턴과 상기 제 2 투명 전극 패턴은 기판 상의 동일한 평면 상에 형성되고, 상기 제 1 투명 전극 패턴의 단위 패턴과 상기 제 2 투명 전극 패턴의 단위 패턴은 서로 커플링되어 하나의 노드(node)를 형성한다. 즉, 상기 노드는 상기 제 1 투명 전극 패턴과 상기 제 1 투명 전극 패턴과 서로 상보적인 형상을 가지는 상기 제 2 투명 전극 패턴이 커플링되어 형성되며, 이때, 상기 노드의 전체적인 형상은 사각형 형상일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 1 투명 전극 패턴이 상기 사각형 형상의 노드에서 일정한 패턴을 형성하면, 상기 제 2 투명 전극 패턴은 상기 사각형 형상의 노드에서 상기 제 1 투명 전극 패턴과 상보적인 형상 즉, 암수 결합되는 형상의 패턴으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제 1 투명 전극 패턴과 상기 제 2 투명 전극 패턴은 서로 인접하여 형성되고, 상기 제 1 투명 전극 패턴과 상기 제 2 투명 전극 패턴은 서로 커플링되어 사각형 형상의 노드로 정의될 수 있다.
상기 제 1 투명 전극 패턴과 상기 제 2 투명 전극 패턴은 서로 접촉하지 않고 일정 거리 만큼 이격하여 상기 기판의 동일한 평면 상에 배치된다. 일례로, 상기 제 1 투명 전극 패턴과 상기 제 2 투명 전극 패턴은 약 10㎛ 내지 30㎛ 만큼 이격하여 배치된다.
이에 따라, 앞서 설명한 상기 제 1 투명 전극 패턴이 상기 배선 전극에서 멀어질수록 변화하는 패턴에 따라, 상기 제 2 투명 전극 패턴 또한, 상기 제 1 투명 전극 패턴의 변화에 따라 상보적으로 변화하며, 상기 노드를 사각형 형상으로 만들기 위한 패턴으로 변화된다.
즉, 상기 제 2 투명 전극 패턴도 상기 제 1 투명 전극 패턴이 변하는 방향 즉, 상기 배선 전극, 다시 말해 상기 FPCB 접합부에서 멀어질수록 패턴 형상이 변화한다. 또한, 상기 제 2 투명 전극 패턴도 상기 제 1 투명 전극 패턴과 동일하게, 상기 기판의 상하 방향으로 연장하는 패턴은 서로 상이한 패턴으로 형성되고, 상기 기판의 좌우 방향으로 연장하는 패턴은 서로 동일한 패턴으로 형성된다.
이하, 도 4, 도 7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실시예에 따른 터치 패널을 설명한다. 도 4는 앞서 설명한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상기 제 1 투명 전극 및 상기 제 2 투명 전극 패턴이 기판 상에 형성된 터치 패널을 도시한 도면이다. 또한, 도 7 내지 도 9는 상기 투명 전극 상에서 각각의 위치에 따른 확대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 도 7 내지 도 9를 참고하면, 실시예에 따른 터치 패널은 유효 영역 상에 위치하는 투명 전극들의 패턴이 일 방향으로 연장하면서 서로 상이한 패턴으로 형성된다.
즉, 상기 제 1 투명 전극 패턴과 상기 제 2 투명 전극 패턴은 상기 기판의 상하 방향으로 연장하면서 서로 상이한 패턴으로 형성된다. 자세하게, 상기 제 1 투명 전극 패턴과 상기 제 2 투명 전극 패턴은 상기 FPCB 접합부에서 멀어짐에 따라, 일정하게 변화하는 패턴을 가진다.
도 7은 도 4의 A 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이고, 도 8은 도 4의 B 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이며, 도 9는 도 4의 C 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7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상기 투명 전극들은 상기 터치 패널의 상단에 배치되는 상기 FPBB 접합부에서 멀어짐에 따라, 투명 전극의 패턴이 달라진다.
도 7 내지 도 9는 상기 제 1 투명 전극 패턴의 단위 패턴과 상기 제 2 투명 전극 패턴의 단위 패턴이 기판의 동일한 평면 상에 형성되어 하나의 노드를 형성하고 있는 것을 도시하고 있는데, 상기 접합부에서 멀어짐에 따라 상기 제 1 투명 전극 패턴과 상기 제 2 투명 전극 패턴의 서브 전극의 길이가 상이해진다.
즉, 상기 제 1 투명 전극 패턴을 중심으로 설명하면, 상기 제 1 투명 전극 패턴이 상기 제 1 방향으로 연장하면서, 상기 제 1 투명 전극 패턴의 상기 제 3 서브 전극 및 상기 제 5 서브 전극의 길이가 상이해진다. 자세하게. 상기 제 1 투명 전극 패턴이 상기 접합부에서 멀어짐에 따라, 상기 제 3 서브 전극(113) 및 상기 제 5 서브 전극(115)의 길이가 길어진다.
즉, 상기 제 1 투명 전극 패턴이 상기 FPCB 접합부에서 멀어짐에 따라, 상기 제 1 투명 전극 패턴의 상기 제 3 서브 전극(113)은 상기 터치 패널의 하단 방향으로 더 길어지고, 상기 제 5 서브 전극(115)은 상기 터치 패널의 상단 방향으로 더 길어진다.
이에 따라, 상기 제 1 투명 전극 패턴은 상기 터치 패널의 상단에 위치하는 접합부에서 상기 터치 패널의 하단으로 연장하면서, 상기 제 1 투명 전극 패턴의 총 길이가 증가할 수 있다. 자세하게, 상기 제 1 투명 전극 패턴은 상기 터치 패널의 하단으로 연장하면서, 상기 제 1 투명 전극 패턴이 상기 제 2 투명 전극 패턴과 서로 인접하게 되는 커플링 영역이 증가하게 된다. 다시 말해, 상기 제 1 투명 전극 패턴은 상기 터치 패널의 하단으로 연장하면서, 상기 제 1 투명 전극 패턴의 전류 생성 값은 일정하게 증가하게 된다.
따라서, 실시예에 따른 터치 패널은 상기 배선 전극에 따른 저항의 영향에 의해서도 상기 유효 영역 상에 위치하는 투명 전극들의 감도를 균일하게 유지할 수 있다.
즉, 실시예에 따른 터치 패널은 좌우 측 베젤이 제거됨에 따라, 종래 상기 좌우 측 베젤에 형성되고 상기 제 1 투명 전극에 연결되는 배선 전극이 유효 영역에서 연장되어 터치 패널의 상단 또는 하단 방향에 형성된다.
이에 따라, 상기 유효 영역 내에서 상기 제 1 투명 전극에 연결되는 배선 전극이 상기 터치 패널의 상단 또는 하단 방향으로 인출되게 된다. 즉, 종래 터치 패널의 좌우 측 베젤에 형성되는 메탈 소재의 배선 전극 대신에, 투명 전도성 물질, 일례로 인듐 주석 산화물(indium tin oxide), 인듐 아연 산화물(indium zinc oxide), 구리 산화물(copper oxide), 탄소 나노 튜브(carbon nano tube, CNT) 및 은 나노 와이어(Ag nano wire)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물질을 적어도 하나 포함하는 소재의 배선 전극이 상기 유효 영역 상에 위치하게 된다.
이러한, 투명 전도성 물질을 포함하는 배선 전극은 메탈 배선 전극에 비해 면저항이 높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따라, 터치 패널의 하단부 즉, 접합부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갈수록 상기 배선 전극의 저항이 커지게 되므로, 상기 접합부에서 멀어지는 방향에 위치하는 투명 전극들은 상기 배선 전극 등의 영향에 의해 전류 생성이 감소될 수 있으며, 이는, 상기 유효 영역 내에서 투명 전극의 감도가 균일하기 못하는 원인이 된다.
따라서, 실시예에 따른 터치 패널은 상기 접합부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투명 전극의 패턴을 달리 형성함으로써, 이로 인한 전류 생성의 불균일 즉, 감도의 불균일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즉, 터치 패널의 상단부에 형성되는 접합부에서 멀어질수록 상기 제 1 투명 전극 패턴과 상기 제 2 투명 전극 패턴의 커플링 영역을 증가시킴으로써, 상기 접합부에서 멀어질수록 상기 제 1 투명 전극 패턴의 전류 생성량을 증가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접합부에서 멀어질수록 즉, 상기 배선 전극의 길이가 길어질수록 증가하는 저항에 의한 영향을 전류 생성량의 증가로 상쇄시킬 수 있으므로, 상기 배선 전극에 의한 영향을 감소시키고, 따라서, 실시예에 따른 터치 패널은 유효 영역 내에서 균일한 전류 생성 값 즉, 균일한 감도를 유지할 수 있다.
상술한 실시예에 설명된 특징, 구조, 효과 등은 본 발명의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에 포함되며, 반드시 하나의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나아가, 각 실시예에서 예시된 특징, 구조, 효과 등은 실시예들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자에 의하여 다른 실시예들에 대해서도 조합 또는 변형되어 실시 가능하다. 따라서 이러한 조합과 변형에 관계된 내용들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이상에서 실시예들을 중심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단지 예시일 뿐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실시예의 본질적인 특성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이상에 예시되지 않은 여러 가지의 변형과 응용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실시예들에 구체적으로 나타난 각 구성 요소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변형과 응용에 관계된 차이점들은 첨부한 청구 범위에서 규정하는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9)

  1. 유효 영역 및 상기 유효 영역의 상단 또는 하단에만 배치되는 비유효 영역이 정의되는 기판;
    상기 유효 영역 상에 형성되는 투명 전극; 및
    상기 투명 전극과 연결되고, 상기 유효 영역 및 상기 비유효 영역에 배치되는 배선 전극; 및
    상기 비유효 영역에 접합되는 접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투명 전극은,
    상기 유효 영역 상에 형성되는 제 1 투명 전극; 및
    상기 유효 영역 상에 형성되고, 상기 제 1 투명 전극과 동일한 평면 상에 배치되는 제 2 투명 전극을 포함하며,
    상기 제 1 투명 전극 및 상기 제 2 투명 전극은 서로 커플링되고,
    상기 커플링 면적은 상기 접합부에서 멀어질수록 증가하는 터치 패널.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투명 전극 패턴은 제 1 투명 전극 패턴을 포함하고,
    상기 제 2 투명 전극 패턴은 제 2 투명 전극 패턴을 포함하며,
    상기 제 1 투명 전극 패턴과 상기 제 2 투명 전극 패턴은 서로 상이한 형상을 가지는 터치 패널.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투명 전극 패턴은,
    제 1 서브 전극;
    상기 제 1 서브 전극에서 상기 기판의 제 1 방향으로 연장하는 제 2 서브 전극;
    상기 제 2 서브 전극으로부터 절곡하여 상기 제 1 방향과 수직인 제 2 방향으로 연장하는 제 3 서브 전극;
    상기 제 1 서브 전극에서 상기 기판의 제 1 방향으로 연장하는 제 4 서브 전극; 및
    상기 제 4 서브 전극으로부터 절곡하여 상기 제 1 방향과 수직인 제 3 방향으로 연장하는 제 5 서브 전극을 포함하는 터치 패널.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방향 및 상기 제 3 방향은 서로 반대 방향으로 연장하고,
    상기 제 3 서브 전극 및 상기 제 5 서브 전극은 상기 접속부에서 멀어질수록 길어지는 터치 패널.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투명 전극 패턴은 상기 제 1 투명 전극 패턴에 대해 상보적인 형상을 포함하는 터치 패널.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투명 전극 패턴과 상기 제 2 투명 전극 패턴은 10㎛ 내지 30㎛ 만큼 이격하여 형성되는 터치 패널.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접합부는 상기 기판과 상기 회로기판이 접합되고,
    상기 배선 전극은 상기 접합부 상에 배치되는 터치 패널.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배선 전극은 투명 전도성 물질을 포함하고,
    상기 투명 전도성 물질은 인듐 주석 산화물(indium tin oxide), 인듐 아연 산화물(indium zinc oxide), 구리 산화물(copper oxide), 탄소 나노 튜브(carbon nano tube, CNT) 및 은 나노 와이어(Ag nano wire)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물질을 적어도 하나 포함하는 터치 패널.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투명 전극 및 상기 제 2 투명 전극의 말단은 상기 유효 영역의 상단 또는 하단 측의 방향으로 형성되어, 상기 배선 전극과 접속되는 터치 패널.
KR1020120150796A 2012-12-21 2012-12-21 터치 패널 KR102008739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50796A KR102008739B1 (ko) 2012-12-21 2012-12-21 터치 패널
TW102146042A TWI530834B (zh) 2012-12-21 2013-12-13 觸控面板
EP13197314.1A EP2746908B1 (en) 2012-12-21 2013-12-16 Touch panel
US14/136,422 US9465245B2 (en) 2012-12-21 2013-12-20 Touch panel
CN201310716829.7A CN103885630B (zh) 2012-12-21 2013-12-23 触屏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50796A KR102008739B1 (ko) 2012-12-21 2012-12-21 터치 패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81245A true KR20140081245A (ko) 2014-07-01
KR102008739B1 KR102008739B1 (ko) 2019-08-09

Family

ID=497659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50796A KR102008739B1 (ko) 2012-12-21 2012-12-21 터치 패널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9465245B2 (ko)
EP (1) EP2746908B1 (ko)
KR (1) KR102008739B1 (ko)
CN (1) CN103885630B (ko)
TW (1) TWI530834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19818B1 (ko) * 2013-09-24 2020-06-05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터치 패널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10096016A1 (en) * 2009-10-26 2011-04-28 Esat Yilmaz Sense electrode design
KR101169250B1 (ko) * 2012-05-02 2012-08-02 (주)이미지스테크놀로지 단일 적층 구조를 갖는 개량된 접촉 위치 감지 패널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509194A (ja) * 2005-09-20 2009-03-05 ケンライト,デビッド,ノリス 近接応答ディスプレイ材料用装置及び方法
US7639234B2 (en) * 2007-01-04 2009-12-29 Avago Technologies Ecbu Ip (Singapore) Pte. Ltd. Capacitive sensing and absolute position mapping in displacement type pointing devices
US8125462B2 (en) 2007-09-13 2012-02-28 Chimei Innolux Corporation Projecting capacitive touch sensing device, display panel, and image display system
US8633915B2 (en) * 2007-10-04 2014-01-21 Apple Inc. Single-layer touch-sensitive display
US20090194344A1 (en) * 2008-01-31 2009-08-06 Avago Technologies Ecbu Ip (Singapore) Pte. Ltd. Single Layer Mutual Capacitance Sensing Systems, Device, Components and Methods
US8508495B2 (en) 2008-07-03 2013-08-13 Apple Inc. Display with dual-function capacitive elements
US8174510B2 (en) * 2009-03-29 2012-05-08 Cypress Semiconductor Corporation Capacitive touch screen
JP5323945B2 (ja) 2009-11-26 2013-10-23 シャープ株式会社 タッチパネルの製造方法、及び、タッチパネルを備えた表示装置の製造方法
US9727176B2 (en) * 2011-06-21 2017-08-08 Synaptics Incorporated Capacitive sensor pattern
KR102042711B1 (ko) * 2011-07-22 2019-11-08 폴리아이씨 게엠베하 운트 코. 카게 정전식 터치 패널 장치
US10044353B2 (en) * 2011-08-10 2018-08-07 Atmel Corporation Substantially edgeless touch sensor
KR101331964B1 (ko) 2011-09-30 2013-11-25 (주)멜파스 접촉 감지 장치 및 접촉 감지 장치 제조 방법
US9207814B2 (en) * 2011-12-14 2015-12-08 Atmel Corporation Single-layer touch sensor
US20130155002A1 (en) * 2011-12-20 2013-06-20 Kai-Ti Yang Mutual capacitance touch panel
TW201423531A (zh) 2012-12-05 2014-06-16 Wintek Corp 電容式觸控面板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10096016A1 (en) * 2009-10-26 2011-04-28 Esat Yilmaz Sense electrode design
KR101169250B1 (ko) * 2012-05-02 2012-08-02 (주)이미지스테크놀로지 단일 적층 구조를 갖는 개량된 접촉 위치 감지 패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40176829A1 (en) 2014-06-26
TWI530834B (zh) 2016-04-21
EP2746908A2 (en) 2014-06-25
CN103885630B (zh) 2018-04-06
TW201433959A (zh) 2014-09-01
EP2746908A3 (en) 2015-08-19
KR102008739B1 (ko) 2019-08-09
US9465245B2 (en) 2016-10-11
CN103885630A (zh) 2014-06-25
EP2746908B1 (en) 2021-01-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269743B2 (en) Touch sensing display panel and touch sensing substrate
US9086766B2 (en) Touch panel and touch display panel
US10073573B2 (en) Conductive sheet, capacitive touch panel, display device
US9851855B2 (en) Touch screen panel including touch sensor
TW201007539A (en) Display devices with touch screen
US20120242613A1 (en) Projected capacitive touch panel
KR20120035490A (ko) 디지털 저항막방식 터치패널
TWM447539U (zh) 觸控面板
KR20150026876A (ko) 터치 패널
KR20150103601A (ko) 터치 패널
CN104951161A (zh) 具有触控功能的液晶显示器及其导电层结构
KR20150057031A (ko) 터치 패널
US9733771B2 (en) Touch panel
KR20150022215A (ko) 터치 패널 및 그의 제조방법
KR20140081245A (ko) 터치 패널
TW201405637A (zh) 觸控單元
KR20160097731A (ko) 도전시트 및 도전패턴
KR20130136833A (ko) 윈도우 일체형 터치 스크린 및 그 제조 방법
KR20130115692A (ko) 터치 패널의 전극 패턴
KR101987322B1 (ko) 터치 패널
KR20150031061A (ko) 터치패널
KR20170008316A (ko) 터치 패널
KR20230156064A (ko) 정전 용량식 터치 패널
KR20160089680A (ko) 터치 패널 및 이를 포함하는 터치스크린 장치
KR102285456B1 (ko) 도전패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