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81244A - 터치 패널 및 이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터치 패널 및 이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81244A
KR20140081244A KR1020120150795A KR20120150795A KR20140081244A KR 20140081244 A KR20140081244 A KR 20140081244A KR 1020120150795 A KR1020120150795 A KR 1020120150795A KR 20120150795 A KR20120150795 A KR 20120150795A KR 20140081244 A KR20140081244 A KR 2014008124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bstrate
transparent electrode
layer
print layer
touch pan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507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갑영
Original Assignee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1507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081244A/ko
Publication of KR201400812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8124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1 - G06F3/045
    • G06F2203/04103Manufacturing, i.e. details related to manufacturing processes specially suited for touch sensitive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osition Input By Displaying (AREA)

Abstract

일 실시예에 따른 터치 패널은, 유효 영역 및 상기 유효 영역을 둘러싸는 비유효 영역이 정의되는 기판; 상기 비유효 영역 상에 형성되는 인쇄층; 및 상기 유효 영역 상에 형성되는 투명 전극층을 포함하고, 상기 기판의 유효 영역은 상기 기판의 비유효 영역에 대해 돌출되어 형성되는 돌출부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터치 패널은, 유효 영역 및 상기 유효 영역을 둘러싸는 비유효 영역이 정의되는 기판; 상기 비유효 영역 상에 형성되는 인쇄층; 및 상기 유효 영역 상에 형성되는 투명 전극층을 포함하고, 상기 인쇄층은, 상기 기판과 직접 접촉하는 제 1 면; 상기 투명 전극층과 직접 접촉하는 제 2 면; 및 상기 제 1 면 및 상기 제 2 면을 연결하고, 상기 기판에 대해 경사지는 제 3 면을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터치 패널 제조방법은, 유효영역 및 상기 유효영역을 둘러싸는 비유효 영역이 정의되는 기판을 준비하는 단계; 상기 기판의 비유효 영역 상에 인쇄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인쇄층을 가공하는 단계; 및 상기 기판 상에 투명 전극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인쇄층은, 상기 기판과 직접 접촉하는 제 1 면; 상기 투명 전극층과 직접 접촉하는 제 2 면; 및 상기 제 1 면 및 상기 제 2 면을 연결하는 제 3 면을 포함하고, 상기 인쇄층을 가공하는 단계는, 상기 인쇄층의 제 3 면을 스크래칭하여 경사면을 형성한다.

Description

터치 패널 및 이의 제조방법{TOUCH PANEL AND METHOD OF FABRICATING THE SAME}
실시예는 터치 패널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다양한 전자 제품에서 디스플레이 장치에 표시된 화상에 손가락 또는 스타일러스(stylus) 등의 입력 장치를 접촉하는 방식으로 입력을 하는 터치 패널이 적용되고 있다.
이러한 터치 패널은 크게 저항막 방식의 터치 패널과 정전 용량 방식의 터치 패널로 구분될 수 있다. 저항막 방식의 터치 패널은 입력 장치의 압력에 의하여 유리와 전극이 단락되어 위치가 검출된다. 정전 용량 방식의 터치 패널은 손가락이 접촉했을 때 전극 사이의 정전 용량이 변화하는 것을 감지하여 위치가 검출된다.
저항막 방식의 터치 패널은 반복 사용에 의하여 성능이 저하될 수 있으며 스크래치(scratch)가 발생될 수 있다. 이에 의해 내구성이 뛰어나고 수명이 긴 정전 용량 방식의 터치 패널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한편, 터치 패널은 위치를 감지하는 유효 영역과 이 유효 영역의 주위에 배치되는 비유효 영역이 정의되는 기판을 포함한다. 이러한 비유효 영역은 배선을 외부 회로에 연결하는 인쇄 회로 기판 등이 외부에서 보이지 않도록 소정의 색을 가지는 물질을 인쇄하여 형성될 수 있다. 일례로, 흑색 안료 등을 도포하여 상기 비유효 영역을 정의하는 인쇄층을 형성할 수 있다.
이후, 상기 기판 상에 투명 전도성 물질을 포함하는 투명 전극층을 형성하는데. 상기 기판 상에 형성된 인쇄층에 의해 상기 기판은 일정한 단차를 가지게 된다. 이러한, 단차는 상기 투명 전도성 물질을 상기 기판에 도포할 때, 갭(gap)을 발생시키는 원인이 된다. 이러한 갭에 의해 상기 투명 전극층과 상기 기판은 완전히 밀착되지 않고 투명 전극층과 상기 기판 사이에 공기층이 형성되어 불량품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따라, 상기 기판 상에 투명 전극층을 형성할 때, 상기 갭에 의한 공기층을 제거할 수 있는 터치 패널의 필요성이 요구된다.
실시예는 신뢰성이 향상된 터치 패널을 제공하고자 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터치 패널은, 유효 영역 및 상기 유효 영역을 둘러싸는 비유효 영역이 정의되는 기판; 상기 비유효 영역 상에 형성되는 인쇄층; 및 상기 유효 영역 상에 형성되는 투명 전극층을 포함하고, 상기 기판의 유효 영역은 상기 기판의 비유효 영역에 대해 돌출되어 형성되는 돌출부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터치 패널은, 유효 영역 및 상기 유효 영역을 둘러싸는 비유효 영역이 정의되는 기판; 상기 비유효 영역 상에 형성되는 인쇄층; 및 상기 유효 영역 상에 형성되는 투명 전극층을 포함하고, 상기 인쇄층은, 상기 기판과 직접 접촉하는 제 1 면; 상기 투명 전극층과 직접 접촉하는 제 2 면; 및 상기 제 1 면 및 상기 제 2 면을 연결하고, 상기 기판에 대해 경사지는 제 3 면을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터치 패널 제조방법은, 유효영역 및 상기 유효영역을 둘러싸는 비유효 영역이 정의되는 기판을 준비하는 단계; 상기 기판의 비유효 영역 상에 인쇄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인쇄층을 가공하는 단계; 및 상기 기판 상에 투명 전극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인쇄층은, 상기 기판과 직접 접촉하는 제 1 면; 상기 투명 전극층과 직접 접촉하는 제 2 면; 및 상기 제 1 면 및 상기 제 2 면을 연결하는 제 3 면을 포함하고, 상기 인쇄층을 가공하는 단계는, 상기 인쇄층의 제 3 면을 스크래칭하여 경사면을 형성한다.
제 1 실시예에 따른 터치 패널은 상기 기판 상에 상기 인쇄층과 동일 또는 유사한 두께를 가지는 상기 단차부를 형성하여 이러한 단차를 제거 또는 감소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기판 상에 상기 투명 전극층을 형성할 때, 단차에 의한 갭 형성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최종적으로 제조되는 터치 패널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제 2 실시예에 따른 터치 패널은 상기 인쇄층에 일정한 경사면을 형성하여 이러한 단차에 의한 영향을 감소할 수 있다. 즉, 상기 인쇄층은 일정한 경사 각도로 가지고, 이러한 경사면에 의해 상기 기판 상에 투명 전극층이 형성될 때, 상기 인쇄층(20)과의 단차에 의해 갭이 형성되는 것을 감소시킬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기판 상에 상기 투명 전극층을 형성할 때, 단차에 의한 갭 형성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최종적으로 제조되는 터치 패널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 따른 터치 패널의 제조방법은 상술한 효과를 가지는 터치 패널을 제조할 수 있다.
도 1은 실시예에 따른 터치 패널의 개략적인 평면도이다.
도 2는 종래 터치 패널의 단면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제 1 실시예에 따른 터치 패널의 단면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제 2 실시예에 따른 터치 패널의 단면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제 2 실시예에 따른 터치 패널 제조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공정 흐름도이다.
실시예들의 설명에 있어서, 각 층(막), 영역, 패턴 또는 구조물들이 기판, 각 층(막), 영역, 패드 또는 패턴들의 “상/위(on)”에 또는 “하/아래(under)”에 형성된다는 기재는, 직접(directly) 또는 다른 층을 개재하여 형성되는 것을 모두 포함한다. 각 층의 상/위 또는 하/아래에 대한 기준은 도면을 기준으로 설명한다.
도면에서 각 층(막), 영역, 패턴 또는 구조물들의 두께나 크기는 설명의 명확성 및 편의를 위하여 변형될 수 있으므로, 실제 크기를 전적으로 반영하는 것은 아니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실시예에 따른 터치 패널 및 터치 패널 제조방법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실시예에 따른 터치 패널의 개략적인 평면도이고, 도 2는 종래 터치 패널의 단면도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3은 제 1 실시예에 따른 터치 패널의 단면도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제 2 실시예에 따른 터치 패널의 단면도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5는 제 2 실시예에 따른 터치 패널 제조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공정 흐름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실시예에 따른 터치 패널(400)은 입력 장치(예를 들어, 손가락 등)의 위치를 감지하는 유효 영역(AA)과 이 유효 영역(AA)의 주위에 배치되는 비유효 영역(UA)이 정의되는 기판을 포함한다.
여기서, 유효 영역(AA)에는 입력 장치를 감지할 수 있도록 투명 전극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비유효 영역(UA)에는 투명 전극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배선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비유효 영역(UA)에는 상기 배선에 연결되는 외부 회로 등이 위치할 수 있다.
이와 같은 터치 패널에 손가락 등의 입력 장치가 접촉되면, 입력 장치가 접촉된 부분에서 정전 용량의 차이가 발생하고, 이러한 차이가 발생한 부분을 접촉 위치로 검출할 수 있다.
이하, 도 3을 참조하여 제 1 실시예에 따른 터치 패널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제 1 실시예에 따른 터치 패널은 기판(100), 인쇄층(200) 및 투명 전극층(300)을 포함한다.
상기 기판(100)은 상기 기판(100) 상에 형성되는 상기 인쇄층(200) 및 상기 투명 전극층(300)을 지지할 수 있다. 또한,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상기 기판에는 배선 및 회로 기판 등을 더 지지할 수 있다. 상기 기판(100)은 다양한 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 자세하게, 상기 기판(100)은 유리 기판 또는 플라스틱 기판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기판(100)은 유효 영역(AA)과 비유효 영역(UA)으로 구분될 수 있다. 상기 유효 영역(AA)에는 투명 전극층(300)이 위치할 수 있고, 상기 비유효 영역(UA)에는 인쇄층(200) 및 배선 등이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유효 영역(AA)과 상기 비유효 영역(UA)는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기판의 상기 유효 영역(AA)과 상기 기판의 상기 비유효 영역(UA)은 일정한 단차를 형성한다. 즉, 상기 유효 영역(AA)은 상기 비유효 영역(UA)으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되는 돌출부(150)를 포함한다. 상기 돌출부(150)는 상기 유효 영역(UA)과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돌출부(150)는 상기 기판(100)과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돌출부(150)는 상기 기판과 동일한 물질 즉, 유리 또는 플라스틱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돌출부(150)의 두께는 상기 인쇄층(200)의 두께와 유사한 두께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돌출부(150)의 두께와 상기 인쇄층(200)의 두께의 비는 약 0.9:1 내지 약 1:0.9일 수 있다. 즉, 상기 돌출부(150)의 두께와 상기 인쇄층(200)의 두께는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다.
상기 인쇄층(200)은 상기 기판(100)의 비유효 영역(UA)에 위치한다. 상기 인쇄층(200)은 상기 기판(100)의 비유효 영역(UA)에 인쇄로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인쇄층(200)은 배선과 상기 배선을 외부 회로에 연결하는 인쇄회로기판 등이 외부에서 보이지 않도록 할 수 있게 소정의 색을 가지는 물질을 도포하여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인쇄층(200)은 원하는 외관에 적합한 색을 가질 수 있는데, 일례로 흑색 안료 또는 흰색 안료 등을 포함하여 흑색 또는 흰색을 나타낼 수 있다.
도 3에는 상기 인쇄층(200)이 1층으로 형성된 것만 도시되어 있으나, 실시예는 이에 제한되지 않고, 상기 인쇄층(200)은 2층 또는 3층 등 다층으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인쇄층(200)은 흑색의 2층으로 형성되거나 또는 흑색 및 흰색을 포함하는 3층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투명 전극층(300)은 상기 돌출부(150)와 상기 인쇄층(200)의 상면에 위치한다. 상기 투명 전극층(300)은 상기 돌출부(150) 및 상기 인쇄층(200)과 직접 접촉하며 위치한다.
상기 투명 전극층(300)은 투명 전도성 물질을 포함한다. 일례로, 상기 투명 전극층(300)은 은 인듐 주석 산화물(indium tin oxide), 인듐 아연 산화물(indium zinc oxide), 구리 산화물(copper oxide), 탄소 나노 튜브(carbon nano tube, CNT) 등의 다양한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투명 전극층(300)과 상기 인쇄층(200)이 직접 접촉하는 접촉면을 제 1 접촉면(210)으로 하고, 상기 투명 전극층(300)과 상기 돌출부(150)가 직접 접촉하는 접촉면을 제 2 접촉면(220)이라고 할때, 상기 제 1 접촉면(210)과 상기 제 2 접촉면(220)은 동일한 평면 상에 위치할 수 있다. 즉, 상기 기판(100)과 상기 인쇄층(200)의 상면은 평평한 면일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기판(100) 및 상기 인쇄층(200)의 상면에 형성되는 상기 투명 전극층(300)은 평평한 평면에 배치될 수 있다.
종래에는, 도 1에 도시되어 있듯이, 기판(1000)에 형성되는 인쇄층(2000)에 의해, 상기 기판(1000) 상에 투명 전극층(3000)을 형성할 때, 갭(gap)이 형성될 수 있었다. 즉, 상기 인쇄층(2000)에 의해, 상기 인쇄층(2000)의 상면과 상기 인쇄층이 형성되지 않은 상기 기판(1000)의 상면은 일정한 단차를 가지게 되고, 상기 단차에 의해 상기 기판(1000) 상에 상기 투명 전극층(3000)을 형성할 때, 상기 기판(1000)을 완전히 덮지 못하고 갭이 형성될 수 있었다. 이에 따라, 상기 갭에 공기 또는 수분 등 외부의 불순물이 침투할 수 있어 최종적으로 제조되는 터치 패널의 신뢰성을 저하하는 원인이 되었다.
이에 따라, 제 1 실시예에 따른 터치 패널은 상기 기판(100) 상에 상기 인쇄층(200)과 동일 또는 유사한 두께를 가지는 상기 돌출부(150)를 형성하여 이러한 단차를 제거 또는 감소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기판(100) 상에 상기 투명 전극층(300)을 형성할 때, 단차에 의한 갭 형성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최종적으로 제조되는 터치 패널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하, 도 4를 참조하여 제 2 실시예에 따른 터치 패널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제 2 실시예에 대한 설명에서는 앞서 설명한 제 1 실시예와 동일 유사한 부분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즉, 제 2 실시예에 대한 설명은 앞서 설명한 제 1 실시예에 대한 설명과 본질적으로 결합된다.
제 2 실시예에 따른 터치 패널은 기판(10), 인쇄층(20) 및 투명 전극층(30)을 포함한다.
상기 기판(10)은 상기 기판(10) 상에 형성되는 상기 인쇄층(20) 및 상기 투명 전극층(30)을 지지할 수 있다. 또한,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상기 기판에는 배선 및 회로 기판 등을 더 지지할 수 있다. 상기 기판(10)은 다양한 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 자세하게, 상기 기판(100)은 유리 기판 또는 플라스틱 기판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기판(10)은 유효 영역(AA)과 비유효 영역(UA)으로 구분될 수 있다. 상기 유효 영역(AA)에는 투명 전극층(30)이 위치할 수 있고, 상기 비유효 영역(UA)에는 인쇄층(20) 및 배선 등이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인쇄층(20)은 상기 기판(10)의 비유효 영역(UA)에 위치한다. 상기 인쇄층(20)은 상기 기판(10)의 비유효 영역(UA)에 인쇄로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인쇄층(20)은 배선과 상기 배선을 외부 회로에 연결하는 인쇄회로기판 등이 외부에서 보이지 않도록 할 수 있게 소정의 색을 가지는 물질을 도포하여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인쇄층(20)은 원하는 외관에 적합한 색을 가질 수 있는데, 일례로 흑색 안료 또는 흰색 안료 등을 포함하여 흑색 또는 흰색을 나타낼 수 있다.
도 4에는 상기 인쇄층(200)이 1층으로 형성된 것만 도시되어 있으나, 실시예는 이에 제한되지 않고, 상기 인쇄층(200)은 2층 또는 3층 등 다층으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인쇄층(200)은 흑색의 2층으로 형성되거나 또는 흑색 및 흰색을 포함하는 3층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투명 전극층(30)은 상기 기판(10)과 상기 인쇄층(20)의 상면에 위치한다. 상기 투명 전극층(30)은 투명 전도성 물질을 포함한다. 일례로, 상기 투명 전극층(30)은 은 인듐 주석 산화물(indium tin oxide), 인듐 아연 산화물(indium zinc oxide), 구리 산화물(copper oxide), 탄소 나노 튜브(carbon nano tube, CNT) 등의 다양한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인쇄층(20)은 상기 기판(10)과 직접 접촉하는 제 1 면(21); 상기 투명 전극층(30)과 직접 접촉하는 제 2 면(22); 및 상기 제 1 면(21) 및 상기 제 2 면(22)을 연결하고, 상기 기판(10)에 대해 경사지는 제 3 면(23)을 포함한다.
상기 인쇄층의 제 3 면(23)은 상기 기판(10)에 대해 일정한 경사 각도로 경사질 수 있다. 자세하게, 상기 제 3 면(23)의 경사 각도(θ)는 약 120° 내지 150° 일 수 있다. 상기 경사 각도(θ)는 상기 인쇄층(20) 및 상기 기판(10) 상에 형성되는 상기 투명 전극층(30)을 고려하여 결정되는 값이다.
즉, 앞서 설명하였듯이, 종래에는, 도 1에 도시되어 있듯이, 기판(1000)에 형성되는 인쇄층(2000)에 의해, 상기 기판(1000) 상에 투명 전극층(3000)을 형성할 때, 갭(gap)이 형성될 수 있었다. 즉, 상기 인쇄층(2000)에 의해, 상기 인쇄층(2000)의 상면과 상기 인쇄층이 형성되지 않은 상기 기판(1000)의 상면은 일정한 단차를 가지게 되고, 상기 단차에 의해 상기 기판(1000) 상에 상기 투명 전극층(3000)을 형성할 때, 상기 기판(1000)을 완전히 덮지 못하고 갭이 형성될 수 있었다. 이에 따라, 상기 갭에 공기 또는 수분 등 외부의 불순물이 침투할 수 있어 최종적으로 제조되는 터치 패널의 신뢰성을 저하하는 원인이 되었다.
이에 따라, 제 2 실시예에 따른 터치 패널은 상기 인쇄층(20)에 일정한 경사면을 형성하여 이러한 단차에 의한 영향을 감소할 수 있다. 즉, 상기 인쇄층(20)은 일정한 경사 각도로 가지고, 이러한 경사면에 의해 상기 기판(10) 상에 투명 전극층(30)이 형성될 때, 상기 인쇄층(20)과의 단차에 의해 갭이 형성되는 것을 감소시킬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기판(10) 상에 상기 투명 전극층(30)을 형성할 때, 단차에 의한 갭 형성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최종적으로 제조되는 터치 패널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하, 도 5를 참조하여, 실시예에 따른 터치 패널 제조방법을 설명한다.
도 5를 참조하면, 실시예에 따른 터치 패널 제조방법은, 기판을 준비하는 단계(ST10); 인쇄층을 형성하는 단계(ST20); 인쇄층을 가공하는 단계(ST30); 및 투명 전극층을 형성하는 단계(ST40)을 포함한다.
상기 기판을 준비하는 단계(ST10)에서는, 유리 기판 또는 플라스틱 기판을 준비한다. 상기 기판은 유효 영역과 비유효 영역으로 구분될 수 있으며, 상기 비유효 영역에는 소정의 색을 가지는, 일례로 흑색을 가지는 물질을 도포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로고 등을 형성할 수 있다.
이어서, 상기 인쇄층을 형성하는 단계(ST20)에서는, 상기 기판의 비유효 영역 상에 인쇄층을 형성한다. 상기 인쇄층은 상기 기판 상에 흑색 또는 흰색 등의 소정의 색을 가지는 물질을 도포하여 형성할 수 있다. 즉, 상기 비유효 영역에는 흑색 안료 또는 흰색 안료를 이용하여 상기 기판 상에 인쇄층을 형성할 수 있다. 이때, 흰색 안료를 사용하는 경우, 화이트층이 형성되고, 흑색 안료를 사용하는 경우 블랙층이 형성될 수 있다.
이어서, 상기 인쇄층을 가공하는 단계(ST30)에서는, 상기 인쇄층을 기계적 또는 화학적으로 가공하여 상기 인쇄층에 경사면을 형성할 수 있다.
즉, 상기 인쇄층은, 상기 기판과 직접 접촉하는 제 1 면; 상기 투명 전극층과 직접 접촉하는 제 2 면; 및 상기 제 1 면 및 상기 제 2 면을 연결하는 제 3 면을 포함하며, 상기 인쇄층을 가공하는 단계(ST30)에서는, 상기 제 3 면을 기계적 또는 화학적인 방법에 의해 스크래칭하여 경사면을 형성할 수 있다.
일레로, 상기 인쇄층은 레이저를 이용하여 가공할 수 있다. 즉, 상기 인쇄층의 제 3 면에 레이저를 이용하여 원하는 경사 각도를 가지는 경사면을 형성할 수 있다. 자세하게, 상기 제 3 면은 상기 기판에 대해 약 120° 내지 150°의 경사 각도를 가질 수 있다. 상기 경사 각도는 상기 인쇄층에 의한 갭을 방지할 수 있는 최적의 범위를 고려하여 결정된 경사 각도이다.
이어서, 상기 투명 전극층을 형성하는 단계(ST40)에서는, 상기 기판의 유효 영역 상에 투명 전극을 형성한다. 상기 투명 전극층은 투명 전도성 물질, 일례로 인듐 주석 산화물 또는 인듐 아연 산화물을 이용하여 형성할 수 있다.
앞서 설명하였듯이, 실시예에 따른 터치 패널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되는 터치 패널은 투명 전극을 형성할 때, 상기 인쇄층에 의한 갭 형성을 방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갭에 의해 침투하는 외부의 불순물 등의 침투를 방지할 수 있으므로, 최종적으로 제조되는 터치 패널의 신뢰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상술한 실시예에 설명된 특징, 구조, 효과 등은 본 발명의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에 포함되며, 반드시 하나의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나아가, 각 실시예에서 예시된 특징, 구조, 효과 등은 실시예들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자에 의하여 다른 실시예들에 대해서도 조합 또는 변형되어 실시 가능하다. 따라서 이러한 조합과 변형에 관계된 내용들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이상에서 실시예들을 중심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단지 예시일 뿐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실시예의 본질적인 특성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이상에 예시되지 않은 여러 가지의 변형과 응용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실시예들에 구체적으로 나타난 각 구성 요소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변형과 응용에 관계된 차이점들은 첨부한 청구 범위에서 규정하는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11)

  1. 유효 영역 및 상기 유효 영역을 둘러싸는 비유효 영역이 정의되는 기판;
    상기 비유효 영역 상에 형성되는 인쇄층; 및
    상기 유효 영역 상에 형성되는 투명 전극층을 포함하고,
    상기 기판의 유효 영역은 상기 기판의 비유효 영역에 대해 돌출되어 형성되는 돌출부를 포함하는 터치 패널.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의 두께와 상기 인쇄층의 두께의 비는 0.9:1 내지 1:0.9인 터치 패널.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유효 영역과 상기 비유효 영역은 일체로 형성되는 터치 패널.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투명 전극층과 상기 인쇄층이 직접 접촉하는 제 1 접촉면; 및
    상기 투명 전극층과 상기 단차부가 직접 접촉하는 제 2 접촉면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접촉면 및 상기 제 2 접촉면은 동일한 평면에 위치하는 터치 패널.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인쇄층은 흑색 및 흰색 중 적어도 일 색을 포함하고,
    상기 인쇄층은 1층 내지 3층으로 형성되는 터치 패널 제조 방법.
  6. 유효 영역 및 상기 유효 영역을 둘러싸는 비유효 영역이 정의되는 기판;
    상기 비유효 영역 상에 형성되는 인쇄층; 및
    상기 유효 영역 상에 형성되는 투명 전극층을 포함하고,
    상기 인쇄층은,
    상기 기판과 직접 접촉하는 제 1 면;
    상기 투명 전극층과 직접 접촉하는 제 2 면; 및
    상기 제 1 면 및 상기 제 2 면을 연결하고, 상기 기판에 대해 경사지는 제 3 면을 포함하는 터치 패널.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면은 상기 기판에 대해 120° 내지 150°의 경사 각도를 가지는 터치 패널.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인쇄층은 흑색 및 흰색 중 적어도 일 색을 포함하고,
    상기 인쇄층은 1층 내지 3층으로 형성되는 터치 패널 제조 방법.
  9. 유효영역 및 상기 유효영역을 둘러싸는 비유효 영역이 정의되는 기판을 준비하는 단계;
    상기 기판의 비유효 영역 상에 인쇄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인쇄층을 가공하는 단계; 및
    상기 기판 상에 투명 전극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인쇄층은,
    상기 기판과 직접 접촉하는 제 1 면;
    상기 투명 전극층과 직접 접촉하는 제 2 면; 및
    상기 제 1 면 및 상기 제 2 면을 연결하는 제 3 면을 포함하고,
    상기 인쇄층을 가공하는 단계는,
    상기 인쇄층의 제 3 면을 스크래칭하여 경사면을 형성하는 터치 패널 제조방법.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인쇄층은 레이저를 이용하여 가공되는 터치 패널 제조방법.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면은 상기 기판에 대해 120° 내지 150°의 경사 각도를 가지는 터치 패널 제조방법.
KR1020120150795A 2012-12-21 2012-12-21 터치 패널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4008124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50795A KR20140081244A (ko) 2012-12-21 2012-12-21 터치 패널 및 이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50795A KR20140081244A (ko) 2012-12-21 2012-12-21 터치 패널 및 이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81244A true KR20140081244A (ko) 2014-07-01

Family

ID=517326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50795A KR20140081244A (ko) 2012-12-21 2012-12-21 터치 패널 및 이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081244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267848A (zh) * 2014-09-26 2015-01-07 蓝思科技(长沙)有限公司 一种触控面板及其制备方法
KR20170011404A (ko) * 2015-07-22 2017-02-02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터치 윈도우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267848A (zh) * 2014-09-26 2015-01-07 蓝思科技(长沙)有限公司 一种触控面板及其制备方法
US9971182B2 (en) 2014-09-26 2018-05-15 Lens Technology (Changsha) Co., Ltd Touch panel and preparation method therefor
KR20170011404A (ko) * 2015-07-22 2017-02-02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터치 윈도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81815B1 (ko) 터치 스크린 패널 및 그 제조방법
KR102187911B1 (ko) 터치 패널
JP6253923B2 (ja) タッチセンサ内蔵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装置
US20150110953A1 (en) Touch panel,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an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touch panel
KR101862876B1 (ko) 터치 패널
US20110242057A1 (en) Touch screen panel
KR102098386B1 (ko) 터치 패널
KR102008729B1 (ko) 터치 패널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175699B1 (ko) 터치패널
US20110242047A1 (en) Touch screen panel and display device having the same
KR101722229B1 (ko) 터치 스크린 일체형 평판 표시 장치
KR20150033468A (ko) 터치 패널
KR20120038868A (ko) 터치 패널
KR101241469B1 (ko) 터치 패널
KR20150103977A (ko) 터치 윈도우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JP2007280101A (ja) タッチパネル装置及び表示装置
KR101181056B1 (ko) 터치 패널
KR20140081244A (ko) 터치 패널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40039914A (ko) 터치 패널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305684B1 (ko) 터치 패널
KR20120023288A (ko) 터치 패널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1956204B1 (ko) 터치 패널
KR102008792B1 (ko) 터치 패널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40046943A (ko) 터치 패널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417423B1 (ko) 터치 패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