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81148A - 압전진동모듈 - Google Patents
압전진동모듈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40081148A KR20140081148A KR1020120150567A KR20120150567A KR20140081148A KR 20140081148 A KR20140081148 A KR 20140081148A KR 1020120150567 A KR1020120150567 A KR 1020120150567A KR 20120150567 A KR20120150567 A KR 20120150567A KR 20140081148 A KR20140081148 A KR 20140081148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vibration
- vibration plate
- piezoelectric element
- upper case
- piezoelectric
- Prior art date
Links
- 230000008602 contraction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1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7
- 229910001374 Invar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6073 displacement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7769 metal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1681 protec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452 ben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15556 catabolic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859 chang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70 constitu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276 constru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6731 degrada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28 dus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684 electric field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116 impac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10354 integ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0642 polymer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5939 shock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2379 silicone rubber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356 single lay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5882 str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646 thermal str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WFKWXMTUELFFGS-UHFFFAOYSA-N tungsten Chemical compound [W] WFKWXMTUELFFGS-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21 tungste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937 tungste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466 wel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N—ELECTRIC MACH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2N2/00—Electric machines in general using piezoelectric effect, electrostriction or magnetostriction
- H02N2/02—Electric machines in general using piezoelectric effect, electrostriction or magnetostriction producing linear motion, e.g. actuators; Linear positioners ; Linear motors
- H02N2/04—Constructional details
- H02N2/043—Mechanical transmission means, e.g. for stroke amplification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6—Input arrangements with force or tactile feedback as computer generated output to the user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N—ELECTRIC MACH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2N2/00—Electric machines in general using piezoelectric effect, electrostriction or magnetostriction
- H02N2/0005—Electric machines in general using piezoelectric effect, electrostriction or magnetostriction producing non-specific motion; Details common to machines covered by H02N2/02 - H02N2/16
- H02N2/001—Driving devices, e.g. vibrators
- H02N2/002—Driving devices, e.g. vibrators using only longitudinal or radial modes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N—ELECTRIC MACH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2N2/00—Electric machines in general using piezoelectric effect, electrostriction or magnetostriction
- H02N2/0005—Electric machines in general using piezoelectric effect, electrostriction or magnetostriction producing non-specific motion; Details common to machines covered by H02N2/02 - H02N2/16
- H02N2/005—Mechanical details, e.g. housings
- H02N2/0055—Supports for driving or driven bodies; Means for pressing driving body against driven body
-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30/00—Piezoelectric or electrostrictive devices
- H10N30/20—Piezoelectric or electrostrictive devices with electrical input and mechanical output, e.g. functioning as actuators or vibrators
-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30/00—Piezoelectric or electrostrictive devices
- H10N3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N30/88—Mounts; Supports; Enclosures; Cas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pparatuses For Generation Of Mechanical Vibra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압전진동모듈에 관한 것으로, 외부 전원의 인가에 따라 팽창 및 수축 변형을 반복하여 진동력을 생성하는 압전소자와; 하부면을 개방하고 내부공간을 형성하는 상부 케이스; 이 상부 케이스의 하부면에 결합되어 상부 케이스의 하부면을 덮어씌우는 하부 케이스; 및 하부 케이스 상에서 소정의 간격을 두고 위치되어, 압전소자를 장착하는 진동 플레이트;로 이루어진다. 특히, 본 발명은 상부 케이스의 내측 횡방향 길이가 진동 플레이트의 횡방향 길이보다 길게 형성되어, 상부 케이스의 내측면과 상기 진동 플레이트의 가장자리가 접촉되지 않게 배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압전진동모듈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휴대전화, 전자책(E-book) 단말기, 게임기, PMP 등 휴대용 전자기기에 있어서, 진동 기능은 여러 가지 용도로 활용되고 있다.
특히, 이러한 진동을 발생시키기 위한 진동발생장치는 휴대용 전자기기에 주로 탑재되어 무음의 착신 신호인 경보 기능으로 이용되고 있다.
이러한 휴대용 전자기기의 다기능화에 맞춰 진동발생장치는 현재 소형화 뿐만 아니라 집적화 그리고 다양한 고기능화를 요구하고 있는 실정이다.
더욱이, 최근 휴대용 전자기기를 간편하게 사용하려는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휴대용 전자기기를 터치하여 입력하는 터치 방식의 디바이스를 일반적으로 채택하고 있다.
현재 통용되고 있는 햅틱 디바이스는 터치하여 입력하는 개념 이외에, 인터페이스 사용자의 직관적 경험을 반영하고 터치에 대한 피드백을 더욱 다양화하는 개념까지도 광범위하게 포함한다.
이러한 햅틱 디바이스는 통상적으로 압전소자의 외부 전원의 인가에 따라 팽창 및/또는 수축 변형을 반복하여 진동을 제공하게 되는데, 이러한 압전소자는 특허문헌 1의 초음파 리니어 모터(linear motor)에 기재된 바와 같이 내습성 뿐만 아니라 내구성을 개선시킬 수 있다.
특허문헌 1에 따른 초음파 리니어 모터는 습도가 높은 환경이나 먼지의 발생이 많은 환경에서 압전소자의 성능과 함께 수명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압전소자 둘레에 보호재, 예컨대 실리콘 고무로 둘러싸여 초음파 리니어 모터를 구성하는 다수의 구성부재들과의 충돌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하지만, 특허문헌 1에 따른 초음파 리니어 모터는 병진운동을 통해 진동력을 발생시키는 압전소자의 일부를 제외한 나머지를 둘러싸고 있어 팽창 또는 수축 변형률이 현저하게 줄어들 수밖에 없다.
즉, 종래기술의 보호재가 오히려 압전소자의 진동력을 저하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어 압전소자를 외부 요인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한 다른 방안이 간구되어야만 할 것이다.
본 발명은 전술된 단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창출된 것으로, 외부 충격, 특히 낙하 충격시 발생하는 충돌에 대해 진동 플레이트에 장착된 압전소자를 보호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상부 케이스의 내측면과 진동 플레이트의 가장자리를 접촉되지 않게 상호 이격시켜 충격시 진동 플레이트와 압전소자를 보호할 수 있도록, 외부 전원의 인가에 따라 팽창 및 수축 변형을 반복하여 진동력을 생성하는 압전소자와; 하부면을 개방하고 내부공간을 형성하는 상부 케이스; 이 상부 케이스의 하부면에 결합되어 상기 상부 케이스의 하부면을 덮어씌워 내부공간을 마감할 수 있는 하부 케이스; 및 이 하부 케이스 상에서 소정의 간격을 두고 위치되어, 압전소자를 장착하는 진동 플레이트;로 이루어지고, 상부 케이스의 내측 횡방향 길이가 진동 플레이트의 횡방향 길이보다 길게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압전진동모듈은 중량체를 추가로 구비하여, 압전소자의 진동력을 증대시키도록 한다.
선택가능하기로, 본 발명의 압전진동모듈은 진동 플레이트의 양 측면 중심에서 수직상방으로 입설된 한쌍의 지지 플레이트를 구비하는데, 이 지지 플레이트 사이에 중량체를 배치한다.
상부 케이스의 내측 횡방향 길이가 하부 케이스의 횡방향 길이보다 길게 형성되어, 진동 플레이트와 유사하게 상부 케이스의 횡방향 양 단부와 하부 케이스의 횡방향 양 단부를 접촉되지 않게 배열시킬 수 있다.
일례로, 본 발명의 압전진동모듈은 이의 양단부에서 상방으로 돌출된 안착부를 구비한 하부 케이스와 함께 편평한 플레이트 형상의 진동 플레이트를 수단으로 하여 하부 케이스와 진동 플레이트 사이에 소정의 간격을 제공할 수 있다. 추가로, 하부 케이스의 안착부 사이의 이격거리가 압전소자의 길이보다 길게 형성될 수 있다.
다른 일례로, 본 발명의 압전진동모듈은 이의 양단부에 하방으로 단차져 있는 단차부를 구비한 진동 플레이트와 함께 편평한 플레이트 형상의 하부 케이스를 수단으로 하여 하부 케이스와 진동 플레이트 사이에 소정의 간격을 제공할 수도 있다. 추가로, 진동 플레이트의 단차부 사이의 이격거리가 압전소자의 길이보다 길게 형성될 수 있다.
더욱이, 상부 케이스의 내측 종방향 길이가 상기 진동 플레이트의 종방향 길이보다 길게 형성하여, 상부 케이스의 내측면과 진동 플레이트의 가장자리가 서로 접촉되지 않도록 한다.
본 발명의 특징 및 이점들은 첨부도면에 의거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으로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고 사전적인 의미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가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이상 본 발명의 설명에 의하면, 본 발명은 진동력을 제공할 수 있는 압전소자와 이 압전소자를 구비한 진동 플레이트를 외부 충격에 대해서 확실하게 보호할 수 있는 압전진동모듈을 제공한다.
특히, 본 발명은 압전진동모듈의 길이방향, 즉 횡방향 충돌 그리고 압전진동모듈의 높이방향 충돌에 대비하여 낙하 충격시 진동 플레이트 및/또는 압전소자를 다른 구성부품에 부딪히지 않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압전진동모듈의 일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압전진동모듈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Ⅲ-Ⅲ 선을 따라 절취한 압전진동모듈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4a 내지 도 4c는 도 3에 도시된 압전진동모듈의 구동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압전진동모듈의 다른 일례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압전진동모듈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Ⅲ-Ⅲ 선을 따라 절취한 압전진동모듈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4a 내지 도 4c는 도 3에 도시된 압전진동모듈의 구동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압전진동모듈의 다른 일례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이제, 본 발명에 따른 압전진동모듈은 첨부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본 발명의 장점, 특징, 그리고 이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후술되는 실시예들을 통해 명확해질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부호는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관련된 공지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명료하게 할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례에 따른 압전진동모듈의 사시도이며,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압전진동모듈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례에 따른 압전진동모듈(100)은 터치스크린 패널(touch screen panel; 미도시)에 진동력을 전달하기 위한 수단으로 사용되되, 이는 상부 케이스(110)와, 진동 플레이트(120), 압전소자(130) 및 하부 케이스(140)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압전진동모듈(100)은 중량체(200)를 추가로 구비할 수 있다.
상부 케이스(110)는 일측면(예컨대, 하부면)을 개방한 박스(box)형상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그 내부공간에 구동체, 다시 말하자면 압전소자(130)와 진동 플레이트(120)를 수용할 수 있다. 이를 위해서, 상부 케이스(110)의 내측 종방향 길이는 진동 플레이트(120)의 종방향 길이(W120) 보다 길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진동 플레이트(120)는 압전소자(130)와 일체로 팽창 및 수축 변형을 반복하여 압전소자(130)의 진동력을 외부 부품으로 전달하는 것으로서, 전반적으로 편평한 플레이트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다. 진동 플레이트(120)의 편평한 하부면은 압전소자(130)를 장착하고, 진동 플레이트(120)의 상부면에는 중량체(200)를 추가로 장착 혹은 배치할 수 있다. 이 진동 플레이트(120)는 압전소자(130)를 구동하기 위한 전원을 인가하는 PCB(미도시)에 연결되는데, 본 발명의 명료한 이해를 돕기 위해 진동 플레이트(120)와 PCB 간의 배선에 대한 설명은 배제한다.
선택가능하기로, 진동 플레이트(120)는 전술된 중량체(200)를 추가로 장착할 수 있도록 진동 플레이트(120)의 양 측면에서 수직방향으로 입설되어 있는 한쌍의 지지 플레이트(220)를 구비할 수 있다. 지지 플레이트(220)는 진동 플레이트(120)의 중심부에 결합된다. 진동 플레이트(120)와 지지 플레이트(220)는 일체형 단일 부품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와 달리 다양한 접합방식으로 고정결합될 수도 있다.
진동 플레이트(120)는 PCB를 통한 외부 전원의 인가에 따라 팽창 및 수축 변형을 반복하는 압전소자(130)와 일체로 변형될 수 있도록 탄성력을 가진 금속재질, 예컨대 서스(SUS)로 제작될 수 있다. 또한, 진동 플레이트(120)와 압전소자(130)는 본딩 결합방식으로 서로 결합되는 경우에 접착부재의 경화에 의해 발생할 수 있는 밴딩(bending) 현상을 미연에 방지하도록 압전소자의 열팽창계수와 유사한 재질인 인바(invar)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전술되었듯이, 진동 플레이트(120)가 압전소자(130)와 유사한 열팽창계수를 가진 인바 재질로 형성되어, 압전소자(130)는 고온의 외부 환경 하에서도 작동 혹은 열 충격시 발생하는 써멀 스트레스(thermal stress)가 감소되기 때문에 전기적 특성이 저하되는 압전 열화 현상을 방지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압전소자(130)에 전원이 인가되는 경우에, 압전소자(130)는 진동 플레이트(120)에 완전히 부착되어 있어 팽창 또는 수축 변형을 통해 진동 플레이트(120)의 중심부에 모멘트가 발생하게 된다. 진동 플레이트(120)가 하부 케이스(140)의 양단부에 고정된 상태로 모멘트가 발생하기 때문에 진동 플레이트(120)의 중심부가 상하방향으로 변형이 일어나게 된다. 진동 플레이트(120)의 위·아래방향으로의 변위로 인해 압전소자(130)와 하부 케이스(140)의 충돌을 미연에 방지하기 위해 진동 플레이트(120)는 하부 케이스(140) 위로 소정의 간격(진동 플레이트의 변위를 고려하여)을 두고 떨어지게 배열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덧붙여서, 압전소자(130)는 단층형 또는 다층형으로 적층되어 구성될 수 있다. 만약 다층형으로 적층된 압전소자는 낮은 외부 전압에서도 압전소자의 구동에 필요한 전계를 확보할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에 따른 압전진동모듈(100)의 구동 전압을 낮출 수 있는 효과를 야기시킬 수 있으므로 본 발명에서는 다층형으로 적층된 압전소자(130)를 채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당해분야의 숙련자들에게 널리 알려져 있듯이, 압전소자(130)는 다양한 재질로 만들어질 수 있으며, 특히 폴리머로 만들어진다.
한쌍의 지지 플레이트(220)는 예컨대 진동 플레이트(120)의 종방향 폭 만큼 상호 평행하게 배열되는바, 한쌍의 지지 플레이트(220) 사이에 중량체(200)를 배치할 수 있다. 중량체(200)는 진동력을 최대로 증가시키는 매개물로서, 진동 플레이트(120)와 직접적인 접촉을 방지하기 위해 진동 플레이트(120)와 소정의 간격을 두고 지지 플레이트(220) 사이에 위치고정된다. 선택가능하기로, 중량체(20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이의 중심부에서 양 단부를 향하여 상향 경사지게 형성되어 압전소자(130)의 길이 팽창시에도 진동 플레이트(120)와 접촉되지 않게 한다. 기술되었듯이, 진동 플레이트(120)의 상부면에 수직되게 지지 플레이트(220)를 구비하고 있는 구조에서는, 중량체(200)가 진동 플레이트(120)와 접촉하고 있지 않기 때문에 압전소자(130)를 진동 플레이트(120)의 편평한 상부면 위에 배열할 수도 있다.
참고로, 중량체(200)는 금속 재질로 제작될 수 있으며, 동일 체적에서 상대적으로 밀도가 높은 재질, 예컨대 텅스텐 재질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하부 케이스(14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전반적으로 가늘고 긴 편평한 형상의 플레이트로 형성되되, 상부 케이스(110)의 개방 하부면을 폐쇄할 수 있는 크기와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상부 케이스(110)와 하부 케이스(140)는 당해 분야의 숙련자들에게 이미 널리 알려져 있는 코킹(caulking), 용접 혹은 본딩 등 다양한 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다.
도 3은 도 1의 Ⅲ-Ⅲ 선을 따라 절취한 압전진동모듈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진동 플레이트(120)는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 케이스(140)와 소정의 간격을 두고 평행하게 이격된다. 바람직하기로는 진동 플레이트(120)는 이의 양 단부에서 하방으로 단차져 있는 단차부(121)를 통해 편평한 하부 케이스(140)의 양 단부 상에 안착되어 위치고정될 수 있다. 다시 말하자면, 압전진동모듈(100)은 진동 플레이트(120)의 단차부(121)를 수단으로 하여 진동 플레이트(120)와 하부 케이스(140) 사이를 이격시켜 공간을 형성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례에 따른 압전진동모듈(100)은 상부 케이스(110)와 진동 플레이트(120)를 맞닿지 않게 설계되되, 구체적으로 상부 케이스(110)의 내측면과 진동 플레이트(120)의 가장자리를 상호 이격되게 배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를 위해서, 진동 플레이트(120)의 횡방향 길이(L120)는 상부 케이스(110)의 내측 횡방향 길이(L110) 보다 짧게 길이연장되어 있다. 또한, 상부 케이스(110)의 내측 종방향 길이가 진동 플레이트의 종방향 길이(W120;도 2 참조) 보다 길게 형성되어 있어, 상부 케이스(110)의 내부공간 속으로 진동 플레이트(120)를 수용할 수 있다.
여기서, 길이라는 용어는 진동 플레이트(120)의 양단부 사이를 잇는 직선의 거리를 의미한다.
본 발명의 압전진동모듈(100)이 외부 충격, 특히 낙하시 상부 케이스(110)에 전달되는 충격력을 진동 플레이트(120)로 직접 전달하지 못하도록 설계되어 압전소자(130)의 파손을 최대한 방지할 수 있다. 예컨대, 외부 충격이 본 발명에 따른 압전진동모듈(100)에 가해진다면, 충격력은 본 발명의 압전진동모듈(100)을 에워싸고 있는 상부 케이스(110)에 우선적으로 전달될 것이다. 상부 케이스(110)는 대부분의 외부 충격을 자체 흡수하는 범퍼(bumper) 역할을 수행하게 되며, 상당한 요동과 함께 예상치 못한 찌그러짐도 동반하게 될 것이다. 하지만, 진동 플레이트(120)는 상부 케이스(110) 내부에 배치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상부 케이스(110)와 직접 맞대어 있지 않기 때문에 상부 케이스(110)에 가해진 외부 충격이 직접적으로 전달되지 못하거나 상당히 줄어든 충격만을 받게 된다. 상부 케이스(110)가 외력(예컨대, 충돌)을 받게 되면 예상치 못하게 안쪽으로 찌그러져도, 본 발명의 압전진동모듈(100)은 상부 케이스(110)의 내측 횡방향 길이(L110)와 진동 플레이트(120)의 횡방향 길이(L120) 간의 거리차로 인해 상부 케이스(110)의 내측면이 진동 플레이트(120)의 양 단부와 쉽게 접촉되지 않을 것이다. 또한, 안쪽으로 찌그러진 상부 케이스(110)의 측면부는 진동 플레이트(110)의 단차부(121) 위에 놓여져 상부 케이스(110)에 가해진 충격력을 그대로 진동 플레이트(110)에 전달하지 못한다. 이는 진동 플레이트(120)에 부착된 압전소자(130)에도 매우 약한 충격만을 가하게 되므로 압전소자(130)의 진동특성의 변화 및 크랙 등을 최소화시켜 낙하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덧붙여서, 하부 케이스(140)의 횡방향 길이도 상부 케이스(100)의 내측 길이(L110) 보다 짧게 길이연장될 수 있다.
도 4a 내지 도 4c는 도 3에 도시된 압전진동모듈의 구동 과정을 도시한 도면으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례에 따른 압전진동모듈(100)은 터치스크린 패널 혹은 LCD와 같은 화상표시부에 결합되어 진동력을 외부로 전달하게 된다.
도 4a는 외부 전원이 인가되기 전의 상태에서 상부 케이스를 배제한 압전진동모듈의 정면도이다. 도 4b는 전원 인가시 압전소자(130)의 길이가 팽창되는 압전진동모듈(100)의 정면도로서, 압전소자(130)의 길이가 길어지면 진동 플레이트(120)는 상대적으로 변형률이 작고 진동 플레이트(120)는 하부 케이스(140)에 고정되어 있으므로 진동 플레이트(120)는 아래방향으로 휘어져 구동하게 된다. 이와 달리, 도 4c는 전원 인가시 압전소자(130)의 길이가 줄어들면 진동 플레이트(120)는 위로 휘어져 구동하게 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하 방향의 진동에 의해 압전소자(130)를 구비한 햅틱 디바이스의 사용자는 진동 피드백을 감지할 수 있게 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압전진동모듈의 다른 일례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다른 일례에 따른 압전진동모듈(100')은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압전진동모듈(100)에서 진동 플레이트(120)와 하부 케이스(140)의 형상을 제외하고는 유사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명료한 이해를 돕기 위해서 유사하거나 동일한 구성부재에 대한 설명은 여기서는 배제할 것이다.
진동 플레이트(120')는 하부 케이스(140')와 소정의 간격을 두고 평행하게 이격되어 있으며, 바람직하기로는 하부 케이스(140')는 이의 양 단부에서 상방으로 돌출된 안착부(141')를 구비하는바, 진동 플레이트(120')가 2개의 안착부(141') 상에 안착되어 위치고정될 수 있다.
부언하자면, 본 발명의 압전진동모듈(100')도 상부 케이스(110)의 내측 횡방향 길이(L110)보다 진동 플레이트(120')의 횡방향 길이(L120')를 짧게 하여 상부 케이스(110)의 내측면과 진동 플레이트(120')의 길이방향에 따른 양 단부 그리고 상부 케이스(110)의 내측면과 진동 플레이트(120')의 폭방향 양 단부에 맞닿지 않게 설계한다.
추가로, 본 발명의 압전진동모듈(100')은 상부 케이스(100)의 내측 길이(L110)보다 하부 케이스(140')의 길이를 짧게 형성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압전진동모듈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그 변형이나 개량이 가능함이 명백하다.
본 발명의 단순한 변형 내지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영역에 속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구체적인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명확해질 것이다.
100 : 압전진동모듈 110 : 상부 케이스
120 : 진동 플레이트 130 : 압전소자
140 : 하부 케이스 200 : 중량체
120 : 진동 플레이트 130 : 압전소자
140 : 하부 케이스 200 : 중량체
Claims (9)
- 외부 전원의 인가에 따라 팽창 및 수축 변형을 반복하여 진동력을 생성하는 압전소자와;
하부면을 개방하고 내부공간을 형성하는 상부 케이스;
상기 상부 케이스의 하부면에 결합되어 상기 상부 케이스의 하부면을 덮어씌우는 하부 케이스; 및
상기 하부 케이스 상에서 소정의 간격을 두고 위치되어, 상기 압전소자를 장착하는 진동 플레이트;로 이루어지고,
상기 상부 케이스의 내측 횡방향 길이가 상기 진동 플레이트의 횡방향 길이보다 길게 형성되어, 상기 진동 플레이트의 가장자리가 상기 상부 케이스의 내측면과 접촉되지 않게 배열되는 압전진동모듈.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압전소자의 진동력을 증대시키기 위해 중량체를 추가로 구비하는 압전진동모듈.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진동 플레이트의 양 측면 중심에서 수직상방으로 입설된 한쌍의 지지 플레이트를 구비하고, 상기 지지 플레이트 사이에 상기 중량체를 배치하는 압전진동모듈.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상부 케이스의 내측 횡방향 길이가 상기 하부 케이스의 횡방향 길이보다 길게 형성되어 있는 압전진동모듈.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하부 케이스는 이의 양단부에서 상방으로 돌출된 안착부를 구비하고, 상기 진동 플레이트는 편평한 플레이트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는 압전진동모듈.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진동 플레이트는 이의 양단부에 하방으로 단차져 있는 단차부를 구비하고, 상기 하부 케이스는 편평한 플레이트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는 압전진동모듈.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상부 케이스의 내측 종방향 길이가 상기 진동 플레이트의 종방향 길이보다 길게 형성되어 있는 압전진동모듈.
-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진동 플레이트의 단차부 사이의 이격거리가 상기 압전소자의 길이보다 길게 되어 있는 압전진동모듈.
-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하부 케이스의 안착부 사이의 이격거리가 상기 압전소자의 길이보다 길게 되어 있는 압전진동모듈.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20150567A KR20140081148A (ko) | 2012-12-21 | 2012-12-21 | 압전진동모듈 |
JP2013087297A JP2014121697A (ja) | 2012-12-21 | 2013-04-18 | 圧電振動モジュール |
CN201310160731.8A CN103888096B (zh) | 2012-12-21 | 2013-05-03 | 压电振动组件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20150567A KR20140081148A (ko) | 2012-12-21 | 2012-12-21 | 압전진동모듈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40081148A true KR20140081148A (ko) | 2014-07-01 |
Family
ID=509568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20150567A KR20140081148A (ko) | 2012-12-21 | 2012-12-21 | 압전진동모듈 |
Country Status (3)
Country | Link |
---|---|
JP (1) | JP2014121697A (ko) |
KR (1) | KR20140081148A (ko) |
CN (1) | CN103888096B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7235224B2 (ja) * | 2018-02-26 | 2023-03-08 | 太陽誘電株式会社 | 振動発生装置 |
CN113595441B (zh) * | 2020-04-30 | 2023-12-08 |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 马达及电子设备 |
Family Cites Families (1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S61258517A (ja) * | 1985-05-13 | 1986-11-15 | Matsushima Kogyo Co Ltd | 圧電振動子 |
JPH0659459B2 (ja) * | 1988-11-08 | 1994-08-10 | 株式会社村田製作所 | 振動アラーム装置 |
JPH07274230A (ja) * | 1994-03-29 | 1995-10-20 | Megasera:Kk | 圧電報知器 |
JP2976815B2 (ja) * | 1994-07-19 | 1999-11-10 | 日本電気株式会社 | 圧電振動子 |
JPH09225401A (ja) * | 1996-02-22 | 1997-09-02 | Fukoku Co Ltd | 報知用振動装置 |
JPH09233869A (ja) * | 1996-02-23 | 1997-09-05 | Canon Inc | 振動装置 |
JP3079307U (ja) * | 2001-01-30 | 2001-08-17 | 勲 伊藤 | 圧電セラミックスピーカ |
JP4308799B2 (ja) * | 2005-05-09 | 2009-08-05 | ホシデン株式会社 | 圧電アクチュエータ及びそれを用いたフラットパネルスピーカ |
KR101095146B1 (ko) * | 2010-01-04 | 2011-12-16 | 삼성전기주식회사 | 압전 액추에이터 모듈 |
JP2011142591A (ja) * | 2010-01-08 | 2011-07-21 | Seiko Instruments Inc | 圧電振動子の製造方法、発振器、電子機器および電波時計 |
KR20120126597A (ko) * | 2011-05-12 | 2012-11-21 | 삼성전기주식회사 | 피에조 액츄에이터 |
KR101157868B1 (ko) * | 2012-04-10 | 2012-06-22 | 주식회사 블루콤 | 피에조 진동 모터 |
-
2012
- 2012-12-21 KR KR1020120150567A patent/KR20140081148A/k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
2013
- 2013-04-18 JP JP2013087297A patent/JP2014121697A/ja active Pending
- 2013-05-03 CN CN201310160731.8A patent/CN103888096B/zh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CN103888096A (zh) | 2014-06-25 |
CN103888096B (zh) | 2017-04-12 |
JP2014121697A (ja) | 2014-07-03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454071B1 (ko) | 압전진동모듈 | |
KR101354893B1 (ko) | 압전진동모듈 | |
KR101432438B1 (ko) | 압전진동모듈 | |
KR101354856B1 (ko) | 압전진동모듈 | |
KR101569231B1 (ko) | 압전진동모듈 | |
KR101913341B1 (ko) | 압전진동모듈 | |
KR101409512B1 (ko) | 압전진동모듈 | |
US20150194593A1 (en) | Piezoelectric vibration module | |
KR20150097276A (ko) | 압전 진동 액츄에이터와 이의 제작 방법 | |
KR20140081148A (ko) | 압전진동모듈 | |
KR101640446B1 (ko) | 압전 진동 액츄에이터 | |
KR101438477B1 (ko) | 햅틱 액추에이터 | |
KR102044442B1 (ko) | 압전진동모듈 | |
KR101569007B1 (ko) | 진동발생장치 | |
KR101343214B1 (ko) | 압전진동모듈 | |
KR102138325B1 (ko) | 압전 진동 모듈과 이를 구비한 압전 진동 액츄에이터 | |
KR102030600B1 (ko) | 진동발생장치 | |
KR101964302B1 (ko) | 압전 액추에이터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