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80950A - 난로 - Google Patents

난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80950A
KR20140080950A KR1020120150173A KR20120150173A KR20140080950A KR 20140080950 A KR20140080950 A KR 20140080950A KR 1020120150173 A KR1020120150173 A KR 1020120150173A KR 20120150173 A KR20120150173 A KR 20120150173A KR 20140080950 A KR20140080950 A KR 2014008095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llision
exhaust
inducing
exhaust gas
exhaust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501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23755B1 (ko
Inventor
천승민
Original Assignee
천승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천승민 filed Critical 천승민
Priority to KR10201201501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23755B1/ko
Publication of KR201400809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8095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237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2375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BDOMESTIC STOVES OR RANGES FOR SOLID FUELS; IMPLEMENTS FOR USE IN CONNECTION WITH STOVES OR RANGES
    • F24B7/00Stoves, ranges or flue-gas ducts, with additional provisions for convection heating 
    • F24B7/005Flue-gas duc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BDOMESTIC STOVES OR RANGES FOR SOLID FUELS; IMPLEMENTS FOR USE IN CONNECTION WITH STOVES OR RANGES
    • F24B1/00Stoves or ranges
    • F24B1/18Stoves with open fires, e.g. fireplaces
    • F24B1/185Stoves with open fires, e.g. fireplaces with air-handling means, heat exchange means, or additional provisions for convection heating ; Controlling combustion
    • F24B1/189Stoves with open fires, e.g. fireplaces with air-handling means, heat exchange means, or additional provisions for convection heating ; Controlling combustion characterised by air-handling means, i.e. of combustion-air, heated-air, or flue-gases, e.g. draught control damp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BDOMESTIC STOVES OR RANGES FOR SOLID FUELS; IMPLEMENTS FOR USE IN CONNECTION WITH STOVES OR RANGES
    • F24B1/00Stoves or ranges
    • F24B1/28Combined installations of stoves or ranges, e.g. back-to-back stoves with a common fire-box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BDOMESTIC STOVES OR RANGES FOR SOLID FUELS; IMPLEMENTS FOR USE IN CONNECTION WITH STOVES OR RANGES
    • F24B13/00Details solely applicable to stoves or ranges burning solid fuels 
    • F24B13/02Arrangement or mountings of fire-grate assemblies; Arrangement or mountings of linings for fire-boxes, e.g. fire-backs 

Abstract

본 발명은 난로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배기구조를 개선하여 배기열을 난방용도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함에 따라 난방효율을 높일 수 있도록 한 기술에 관한 것이다.
그리고 배기구조를 개선하여 배기열을 통해 고구마 등의 음식을 조리할 수 있도록 함에 따라 활용범위를 높일 수 있음은 물론, 조리 과정에서 배기열의 정체현상을 유도함으로써 난방효율도 함께 높일 수 있도록 한 기술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난로{STOVE}
본 발명은 난로에 관한 것으로, 특히 난로 본체와 연결된 배기관에 별도의 수용본체를 설치하여 수용본체 내에서 별도 음식등의 가열이 이루어지도록 하되, 배기열이 수용본체 내에서 일시적으로 정체되도록 함에 따라 전체적인 발열효율을 높일 수 있도록 한 기술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실내나 실외에서 사용되는 난로는 나무나 석탄 등의 연료를 연소시키고, 연소과정에서 방출된 열소열을 통해 난방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방식으로 사용된다.
이때 기존의 난로는 연소과정에서 발생된 열 일부는 외부로 방출되어 난방용도로 활용되는 반면, 나머지 열기는 배기가스와 함께 이동하여 배기구를 통해 외부로 배출됨에 따라, 배기구를 통해 배출되는 열기는 난방용도로 활용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특히 기존의 난로는 단순히 배기목적만을 위해 단순 관 형태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배기관으로 유입된 열기는 곧바로 외부로 배출되어 소실되는 구조이므로 이러한 배기열의 활용은 생각할 수 없는 구조이다.
기존의 난로는 연소방식에 따라 연소공간 내에 고구마나 감자 등의 음식을 넣어 굽기도 하는데, 이처럼 기존 난로는 구조상 해당 음식을 연소공간 내에 직접 넣어 구울수밖에 없는 구조이기 때문에, 음식을 난로본체 안으로 넣거나 빼내는 과정이 어려울 수밖에 없다.
또한 이렇게 음식을 연소공간 내에 직접 넣을 경우 화염과 직접적으로 접촉되기 때문에 해당 음식이 쉽게 탈 우려가 클 뿐만 아니라 익힘 정도를 수시로 확인 할 수 없는 불편함도 있다.
그리고 기존의 난로는 연료의 연소율을 높이기 위한 구조를 갖고 있기 않기 때문에, 불안전 연소에 따른 배기가스 내 분진 함유량이 높을 수밖에 없어 환경적으로 좋지 않고, 이를 최소화 하기 위해 불가피하게 별도의 필터 등을 설치해야 함으로 그에 따른 비용부담 등이 수반되는 문제점도 있다.
대한민국공개특허 제10-1984-0000768호(1984.02.27)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배기구조를 개선하여 배기열을 난방용도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함에 따라 난방효율을 높일 수 있도록 한 난로를 제공하고자 한다.
그리고 배기구조를 개선하여 배기열을 통해 고구마 등의 음식을 조리할 수 있도록 함에 따라 활용범위를 높일 수 있음은 물론, 조리 과정에서 배기열의 정체현상을 유도함으로써 난방효율도 함께 높일 수 있도록 한 난로를 제공하고자 한다.
더불어 배기구조를 개선함에 따라 연료의 연소효율을 높일 수 있도록 함으로써 배기가스내 분진 등의 함유량을 줄일 수 있도록 한 난로를 제공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제안된 본 발명의 여러 실시예는,
내부에 연소공간이 형성되어 있고 일측에는 연료공급공이 형성되어 있으며 타측에는 배기구가 형성되어 있는 난로본체, 일측에는 상기 배기구와 연결된 유입구가 형성되어 있고 내부에는 수용공간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측에는 보조배기구가 형성되어 있는 수용본체, 상기 수용공간에 위치하고 있고 상기 수용공간으로 유입된 배기가스와 충돌 가능하도록 형성되어 있는 정체유도부, 상기 일단부가 상기 보조배기구와 연결되어 있는 배기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정체유도부는 일부가 상기 수용공간 전후측을 가로지르는 형태로 둘레면이 곡면을 이루는 제1충돌유도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정체유도부는 상기 제1충돌유도부의 상측에 위치하고 있고 상기 제1충돌유도부와 충돌한 상태로 상승된 배기가스가 충돌되는 제2충돌유도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충돌유도부는 내부에 저장공간이 형성되어 있는 원형관 형태이고, 일단부에는 상기 저장공간과 외부를 연결하는 인출입구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수용본체는 일측에 상기 수용공간과 외부를 연결하는 삽입구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1충돌유도부가 상기 삽입구를 통해 상기 수용공간에 인출 가능하도록 삽입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충돌유도부는 상기 제1충돌유도부 상측에 위치하는 지주, 판재 형태이고 상기 지주의 상단부에 안착되어 있는 충돌판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수용본체의 내벽면 중 상기 삽입구와 마주하는 지점에는 상기 제1충돌유도부의 단부와 분리 가능하도록 체결되는 체결부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배기관 내부 직경과 동일한 직경을 갖는 판재 형태이고 상기 배기관 내부를 가로지르는 형태로 위치하여 배기관 내에서 회전 가능한 배출제어판, 상기 배출제어판과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배기관을 관통하여 외부로 인출되어 있고 관통지점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한 회전손잡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여러 실시예를 갖는 본 발명은,
기본적으로 배기가스가 배기과정에서 수용본체 내 정체유도부와 충돌하여 수용본체 내에서 일시적으로 정체되기 때문에, 그만큼 수용본체를 통해 발산되는 발열효율이 향상되므로, 전체적인 난방효과가 향상되는 장점을 갖는다.
특히 제1충돌유도부의 둘레면이 곡면 형태이기 때문에 배기가스가 제1충돌유도부와 충돌함과 동시에 양쪽으로 분산되어 곡면을 따라 이동하므로, 그만큼 배기가스와 제1충돌유도부 간의 접촉면적이 최대화 될 수 있으므로 배기가스의 정체효과를 높일 수 있는 장점을 갖는다.
또한 제1충돌유도부의 저장공간에 고구마 등의 음식을 넣을 경우, 위 설명처럼 제1충돌유도부와 배기가스 간의 접촉면적이 최대화 됨으로써, 그만큼 저장공간 내 음식의 조리 효율도 향상되는 장점도 갖는다.
그리고 제1충돌유도부의 곡면을 따라 상승된 배기가스가 보조배기구로 곧바로 유입되지 않고 충돌판의 하부면에 2차적으로 충돌되어 이동경로가 변화된 상태로 유입되기 때문에 그만큼 수용본체 내 배기가스의 정체율이 더욱 증가함으로써, 결국 열방출 효과를 더욱 높일 수 있는 장점을 갖는다.
또한 이렇게 배기열을 수용본체 내에 정체시킴에 따라 연소공간 내 온도도 함께 상승됨으로 연소공간에서 연료의 연소효율이 향상될 수 있게 되고, 이로 인해 배기가스 내 분진 등의 함유량이 저하되어 환경적으로 이로운 장점도 갖게 된다.
도1은 전체 측단면도
도2는 일부확대 측단면도
도3은 일부확대 정단면도
도4는 접촉판의 변형예를 나타낸 일부확대 정단면도
도5는 제1충돌유도부 내에 용기가 수납된 경우를 나타낸 일부확대 정단면도
이하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바탕으로 본 발명의 구체적인 구성 및 그에 따른 효과를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에 의한 난로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게 난로본체(100)와 수용본체(200), 배기관(300) 및 정체유도부(5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먼저 난로본체(100)는 연료의 연소기능을 통한 실질적인 난방 기능을 하는 것으로, 전체적으로 박스 형태로 내부에는 연소공간(110)이 형성되어 있고, 전측에는 연소공간(110)의 개폐를 위한 도어(120)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부면에는 연소공간(110)과 외부를 연통하는 배기구(130)가 형성된 구조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난로본체(100)는 전체적으로 금속재로 제작되어 연소공간에서의 연소과정에서 발생된 열기가 난로본체(100) 표면을 통해 방출되어 대기를 가열하는 구조를 갖는다.
참고로 난로본체(100)의 구조는 도면에 도시된 구조로 한정되지 않고 연소공간에서의 연소에 의해 열기를 방출하여 대기를 가열하고, 연소과정에서 발생된 배기가스가 배기구를 통해 배출되는 구조라면 얼마든지 다양한 형태로 변형 적용될 수 있다.
이러한 난로본체(100)에는 수용본체(200)가 연결된다.
수용본체(200)는 연소과정에서 발생된 배기가스가 1차적으로 통과됨과 동시에 후술하는 정체유도부(500)의 설치를 통해 배기 가스의 정체가 이루어지는 부분으로, 전체적으로 내부에 수용공간(210)이 형성된 원통 형상이고 하단부에는 수용공간(210)과 외부를 연결하는 유입구(220)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단부에는 보조배기구(230)가 형성된 구조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수용본체(200)의 전측에는 후술하는 제1충돌유도부(510)의 삽입을 위한 삽입구(240)가 형성되고 수용공간(210)의 내벽면 중 삽입구(240)와 마주하는 면에는 홈 형태의 체결홈(250)이 형성된다.
이러한 수용본체(200)는 난로본체(100) 상측에 위치된 상태에서 유입구(220)가 난로본체(100)의 배기구(130)와 연결됨에 따라, 수용공간(210)과 연소공간(110)이 상호 연통된 상태가 된다.
이러한 수용본체(200)에는 배기관(300)이 설치된다,
배기관(300)은 연소공간(110)으로부터 배출된 배기가스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이동경로 역할을 하는 것으로, 단순 배관 형태이고 하단부가 수용본체(200)의 보조배기구(230)에 연결된 상태에서 위쪽을 향해 배설된 구조로 설치된다.
따라서 난로본체(100)의 연소공간(110)과 수용본체(200)의 수용공간(210) 및 배기관(300)의 내부는 상호 상하 동일선상으로 연통된 구조를 갖는다.
이때 배기관(300)의 둘레면에는 후술하는 배기제어부(400)의 설치를 위한 설치공(310)이 양측에 대칭 형성된다.
이러한 배기관(300)에는 배기제어부(400)가 설치된다.
배기제어부(400)는 수용본체(200)를 통과한 배기가스가 배기관(300)을 따라 이동하는 과정에서 배기관(300)의 통과여부를 제어하는 기능을 하는 것으로, 다시 제어판(410)과 회전손잡이(430)로 나뉘어 구성된다.
그 중 제어판(410)은 배기관 내에서 실질적인 배기가스의 통과 여부를 제어하는 것으로, 배기관(300)의 내경과 동일한 지름을 갖는 원형 판재 형태이고 배기관(300) 내에 위치하여 테두리가 배기관(300) 내부둘레면에 밀착된 상태로 설치된다.
이때 제어판(410)은 양단부에는 힌지(420)가 설치되고 각 힌지(420)가 배기관(300)의 각 설치공(310)에 끼워짐에 따라, 제어판(410)은 힌지(420)와 함께 설치공(310)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한 구조를 갖는다.
그리고 회전손잡이(430)는 제어판(410)의 회전 여부를 제어하는 것으로, 막대 형태이고 단부가 일측 힌지에 연결된 상태에서 회전 가능한 상태로 설치된다.
따라서 외부에서 회전손잡이(430)를 잡아 회전시키면 제어판(410)이 배기관(300) 내에서 회전되는 구조를 가짐과 동시에, 회전 과정에서 배기관(300) 내부가 제어판(410)에 의해 차단되거나 개방되는 구조를 갖는다.
이렇게 배기관(300)까지 연결된 수용본체(200)에는 정체유도부(500)가 설치된다.
정체유도부(500)는 연소공간(110)으로부터 배출된 배기가스가 곧바로 배기관(300)으로 유입되지 않고 일시적으로 정체되도록 유도하여 정체과정에서의 열방출을 유도하는 것으로, 다시 제1충돌유도부(510)와 제2충돌유도부(520)로 나뉘어 구성된다.
그 중 제1충돌유도부(510)는 난로본체(100)의 배기구(130)를 통해 배출된 배기가스가 최초 충돌하여 배기가스의 이동을 지연시키는 기능과 더불어 고구마나 감자 등의 음식을 수용하여 해당 음식의 가열 조리기구 역할을 병행하는 것으로,
전체적으로 일정길이를 갖는 원형관 형태로, 후단부가 막혀 있는 상태에서 내부에 저장공간(512)이 형성되어 있고 전측단부에는 저장공간(512)과 외부를 연결하는 인출입구(514)가 형성된 구조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제1충돌유도부(510)는 수용본체(200)의 삽입구(240)를 통해 수용본체(200) 내부에 삽입되어 인출입구(514)가 삽입구(240)와 전후 동일선상에 위치됨에 따라 저장공간(512) 인출입구(514) 및 삽입구(240)를 통해 외부와 연결된 상태로 설치된다.
그리고 이 상태에서 후단부가 수용공간(210) 내벽의 체결홈(250)에 끼워져 체결된 상태로 설치된다.
이로 인해 제1충돌유도부(510)는 수용본체(200)의 수용공간(210)을 전후 가로지르는 형태로 설치된 상태에서 삽입구(240)를 통해 외부로 인출 가능한 구조를 갖는다.
물론 제1충돌유도부(510)는 인출 가능한 구조 외에 양단부가 수용본체 내벽면에 용접등을 통해 부착 고정된 상태로도 설치될 수 있다.
만약 제1충돌유도부(510)을 고정 설치할 경우 [도 5]처럼 제1충돌유도부(510)의 저장공간 내에 별도의 용기(5)를 설치하되, 용기(5)에 고구마 등의 음식을 담은 상태에서 용기(5)를 제1충돌유도부(510)로부터 인출 가능하도록 설치할 수도 있다.
이러한 제1충돌유도부(510)의 인출입구(514)에는 개폐판(516)이 연결되어 저장공간(512)의 개폐가 가능한 구조를 갖는다.
이러한 제1충돌유도부(510)와 함께 정체유도부(500)를 구성하는 제2충돌유도부(520)는 제1충돌유도부(510)를 거친 배기가스의 2차적인 충돌을 유도하여 수용본체(200)의 보조배기구(230)로 유입되는 경로를 늘리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다시 지주(522)와 충돌판(524)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 중 지주(522)는 후술하는 충돌판(524)을 제1충돌유도부(510)에 연결시킴과 동시에 상호 간의 적정 간격 유지 기능을 하는 것으로, 일정길이를 갖는 단순 봉 형태이고 하단부가 제1충돌유도부(510)의 상측 둘레면에 연결된 상태에서 위쪽을 향해 세워진 형태로 설치된다.
참고로 지주(522)는 필요에 따라 도면과 같이 복수개로 구비되어 간격을 두고 배치될 수도 있다.
충돌판(524)은 제2충돌유도부(520) 중 배기가스와의 실질적인 충돌 및 분산 기능을 하는 것으로, 일정 면적을 갖는 판재 형태이고 하부면이 각 지주(522)의 상단부에 동시에 안착되어 용접 등을 통해 일체로 연결된다.
이때 충돌판(524)은 [도 ]과 같이 원판 형태로 제작되거나 [도 ]과 같이 제1충돌유도부(510)와 거의 동일한 길이의 판재 형태로 제작될 수 있다.
또한 충돌판(524)의 좌우 면적은 제1충돌유도부(510)의 좌우폭 이상으로 제작되어, 제1충돌유도부(510)의 둘레를 따라 상승된 배기가스 대부분이 충돌판(524)에 충돌될 수 있도록 한다.
참고로 충돌판(524)은 [도 ]처럼 단순 평판 형태 외에도 [도 ]과 같이 하부면에 곡면부(525)를 형성시켜 배기가스와의 접촉면적이 최대화 되도록 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이러한 구성에 의한 본 발명의 작용 및 그 과정에서 발생되는 특유의 효과를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나무나 석탄 등의 연료를 난로본체(100)의 연소공간(110)에 투입시킨 뒤 점화시키면 연료가 연소되고, 연소과정에서 발생된 열기에 의해 난로본체(100) 자체가 가열되면서 열기를 방출함에 따라 대기 난방이 이루어진다.
그리고 연소열 중 일부는 배기가스와 함께 상승하여 배기구(130)를 통과한 후 수용본체(200)의 수용공간(210)으로 유입된다.
이렇게 수용공간(210)으로 유입된 배기가스는 상승하는 과정에서 제1충돌유도부(510)의 하측 둘레면에 충돌됨과 동시에 양측으로 분산됨과 동시에 둘레면을 따라 상승된다.
이렇게 수용공간(210)으로 유입된 배기가스가 제1충돌유도부(510)의 둘레면에 충돌됨과 동시에 분산된 상태로 둘레면을 타고 상승되기 때문에, 그만큼 배기가스의 상승경로가 증가되고, 결국 이로 인해 배기 가스의 정체가 이루어지게 된다.
더구나 제1충돌유도부(510)가 원형관 형태로 둘레면이 곡면을 이루고 있기 때문에, 그만큼 배기가스와의 접촉면적 및 이동경로가 최대화 됨으로, 결국 배기가스의 정체율도 높아지게 된다.
그리고 배기가스가 제1충돌유도부(510)와 접촉됨에 따라 제1충돌유도부(510)가 가열되고 이로 인해 제1충돌유도부(510) 자체적으로도 열기를 방출하게 됨으로, 그만큼 난방 효율이 향상된다.
뿐만 아니라 제1충돌유도부(510)가 배기가스에 의해 가열됨에 따라 저장공간(512)에 수용된 고구마 등의 음식이 가열조리되는데, 기존처럼 음식이 연소공간 내에서 화염과 직접적으로 접촉되지 않기 때문에 쉽게 타지 않게 된다.
더불어 조리 과정에서 개폐판(516)을 열어 조리 상태를 쉽게 확인할 수 있음은 물론, 음식을 외부로 쉽게 빼내거나 넣을 수 있게 된다.
이렇게 제1충돌유도부(510)의 둘레면을 따라 상승되는 배기가스는 제2충돌유도부(520)의 충돌판(524) 하부면에 충돌됨과 동시에 다시 사방으로 분산된 상태로 충돌판(524)을 통과하게 된다.
이처럼 제2충돌유도부(520)에 의해 배기가스의 2차 충돌이 이루어짐에 따라 그만큼 배기가스가 수용공간에 머무르는 시간이 늘어나게 됨으로, 결국 수용본체(200)에서 방출되는 발열효과가 더욱 향상된다.
참고로 [도 4]처럼 충돌판(524)의 하부면에 곡면부(525)를 형성시킬 경우 그만큼 배기가스와 충돌판 하부면 간의 접촉경로가 증가됨으로, 이러한 발열효과를 더욱 촉진 시킬 수 있게 된다.
이렇게 충돌판(524)을 통과한 배기가스는 보조배기구(230)를 통과한 후 배기관(300)을 따라 상승되어 외부로 배출되는데, 이 과정에서 배기제어부(400)의 회전손잡이(430)를 통해 제어판(410)을 회전시켜 배기관(300) 내부를 차단시키면 배기가스가 제어판(410)에 의해 이동이 차단된다.
이로 인해 수용공간(210)내 배기가스의 정체시간은 증가될 수밖에 없고, 결국 정체된 배기가스에 의한 열방출 효과도 증가되는 것이다.
이 상태에서 제어판(410)을 회전시켜 배기관(300) 내부를 개방하면 배기가스가 정상적으로 이동하여 외부로 배출된다.
이처럼 본 발명은 배기가스가 정체유도부(500)에 의해 수용본체(200)내부에서 정체되도록 함으로써, 정체과정에서 배기가스의 열기가 수용본체를 통해 외부로 방출되도록 함으로써 난방효과를 극대화 시키는 것을 가장큰 특징으로 한다.
또한 이 과정에서 정체유도부 내에 음식등을 저장함에 따라 배기가스의 정체 과정에서 배기열을 이용해 음식의 조리도 병행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난방 기능 외 조리 기구 역할도 수행할 수 있도록 한 점을 또 다른 특징으로 한다.
더불어 이렇게 배기가스가 수용본체 내에서 정체됨에 따라 수용본체 내부는 물론 연소공간 내 온도도 상승됨으로, 그만큼 연료의 완전연소를 도울 수 있게 됨에 따라, 결국 배기가스에 함유된 분진 등의 함유량이 줄어들게 되는 점도 또 다른 특징으로 한다.
이상 설명한 본 발명의 여러 특징들은 당업자에 의해 다양하게 변형되거나 조합되어 실시될 수 있느나, 이러한 변형 및 조합이 난로본체로부터 배출된 배기가스가 수용본체를 통과하도록 하되, 통과 과정에서 정체유도부와의 충돌에 의해 수용본체 내에서의 정체가 이루어지도록 함에 따라, 배기가스의 열기를 난방용도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한 구성 및 목적과 관련이 있을 경우에는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판단되어야 한다.
100 : 난로본체 110 : 연소공간
120 : 도어 130 : 배기구
200 : 수용본체 210 : 수용공간
220 : 유입구 230 : 보조배기구
240 : 삽입구 250 : 체결홈
300 : 배기관 400 : 배기제어부
410 : 제어판
420 : 힌지 430 : 회전손잡이
500 : 정체유도부 510 : 제1충돌유도부
512 : 저장공간 514 : 인출입구
516 : 개폐판 520 : 제2충돌유도부
522 : 지주 524 : 충돌판
525 : 곡면부

Claims (7)

  1. 내부에 연소공간이 형성되어 있고 일측에는 연료공급공이 형성되어 있으며 타측에는 배기구가 형성되어 있는 난로본체,
    일측에는 상기 배기구와 연결된 유입구가 형성되어 있고 내부에는 수용공간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측에는 보조배기구가 형성되어 있는 수용본체,
    상기 수용공간에 위치하고 있고 상기 수용공간으로 유입된 배기가스와 충돌 가능하도록 형성되어 있는 정체유도부,
    상기 일단부가 상기 보조배기구와 연결되어 있는 배기관
    을 포함하는 난로.
  2. 제1항에서,
    상기 정체유도부는,
    일부가 상기 수용공간 전후측을 가로지르는 형태로 둘레면이 곡면을 이루는 제1충돌유도부
    를 포함하는 난로.
  3. 상기 정체유도부는,
    상기 제1충돌유도부의 상측에 위치하고 있고 상기 제1충돌유도부와 충돌한 상태로 상승된 배기가스가 충돌되는 제2충돌유도부
    를 더 포함하는 난로.
  4. 제2항 또는 제3항에서,
    상기 제1충돌유도부는 내부에 저장공간이 형성되어 있는 원형관 형태이고, 일단부에는 상기 저장공간과 외부를 연결하는 인출입구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수용본체는 일측에 상기 수용공간과 외부를 연결하는 삽입구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1충돌유도부가 상기 삽입구를 통해 상기 수용공간에 인출 가능하도록 삽입되어 있는
    난로.
  5. 제4항에서,
    상기 제2충돌유도부는,
    상기 제1충돌유도부 상측에 위치하는 지주,
    판재 형태이고 상기 지주의 상단부에 안착되어 있는 충돌판
    을 포함하는 난로.
  6. 제4항에서,
    상기 수용본체의 내벽면 중 상기 삽입구와 마주하는 지점에는 상기 제1충돌유도부의 단부와 분리 가능하도록 체결되는 체결부가 형성되어 있는
    난로.
  7. 제5항에서,
    상기 배기관 내부 직경과 동일한 직경을 갖는 판재 형태이고 상기 배기관 내부를 가로지르는 형태로 위치하여 배기관 내에서 회전 가능한 배출제어판,
    상기 배출제어판과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배기관을 관통하여 외부로 인출되어 있고 관통지점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한 회전손잡이
    를 더 포함하는 난로.
KR1020120150173A 2012-12-21 2012-12-21 난로 KR10142375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50173A KR101423755B1 (ko) 2012-12-21 2012-12-21 난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50173A KR101423755B1 (ko) 2012-12-21 2012-12-21 난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80950A true KR20140080950A (ko) 2014-07-01
KR101423755B1 KR101423755B1 (ko) 2014-08-01

Family

ID=517323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50173A KR101423755B1 (ko) 2012-12-21 2012-12-21 난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2375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35004B1 (ko) * 2015-08-27 2016-07-08 강태기 캠핑용 구이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40181Y1 (ko) * 2003-11-03 2004-01-31 채수린 벽난로용 오븐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35004B1 (ko) * 2015-08-27 2016-07-08 강태기 캠핑용 구이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23755B1 (ko) 2014-08-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989418B2 (en) Cooking appliance
US9388992B2 (en) Gas oven range
US8464703B2 (en) Top-burner and cooker comprising the same
KR101531060B1 (ko) 공기 순환 수단을 포함한 오븐 레인지
US9488377B2 (en) Gas oven range
US10982860B2 (en) Cooking device
EP3412975B1 (en) Cooking appliance
EP3415821B1 (en) Griddle and cooking appliance having a griddle
US20140345597A1 (en) Cooking appliance and burner
EP2184545B1 (en) Cooking oven
KR101423755B1 (ko) 난로
US10571131B2 (en) Oven appliance having a convection assembly
EP3495738B1 (en) Cooking device
KR101824736B1 (ko) 버너 및 이를 포함하는 조리기기
EP2161503B1 (en) Reflector and gas oven range comprising the same
KR101751059B1 (ko) 빌트인 타입 가스오븐레인지
KR101531061B1 (ko) 열 차단 수단을 구비한 오븐 레인지
JP2004065392A (ja) グリル
KR20220123973A (ko) 조리기기
KR101665708B1 (ko) 가스 오븐레인지
KR101845564B1 (ko) 배기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조리기기
CA2876823A1 (en) Home appliance with gas igniter having heating element and shroud
KR101690329B1 (ko) 조리기기
KR200177737Y1 (ko) 오븐렌지의 오븐버너를 이용한 그릴조리구조
KR101303521B1 (ko) 버너 및 이를 포함하는 가스 조리기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0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0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13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