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80938A - 균형운동기구 - Google Patents

균형운동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80938A
KR20140080938A KR1020120150152A KR20120150152A KR20140080938A KR 20140080938 A KR20140080938 A KR 20140080938A KR 1020120150152 A KR1020120150152 A KR 1020120150152A KR 20120150152 A KR20120150152 A KR 20120150152A KR 20140080938 A KR20140080938 A KR 2014008093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elastic member
groove
user
balan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501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71100B1 (ko
Inventor
박충희
Original Assignee
박충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충희 filed Critical 박충희
Priority to KR10201201501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71100B1/ko
Publication of KR201400809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8093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711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7110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3/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 A63B23/02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the abdomen, the spinal column or the torso muscles related to shoulders (e.g. chest muscles)
    • A63B23/0205Abdomen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3/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 A63B23/035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6/00Exercising apparatus not covered by groups A63B1/00 - A63B25/00
    • A63B26/003Exercising apparatus not covered by groups A63B1/00 - A63B25/00 for improving balance or equilibrium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Neurology (AREA)
  • Pulmonology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의 무게중심에 따라 기울어질 수 있는 균형운동기구는, 하부면이 곡면으로 형성되며, 중앙에 접철되는 힌지결합부(11)와, 하부면에 요입가능토록 홈형상으로 이루어진 탄성부재안착홈(13)이 구비된 판상의 본체(10)와; 상기 탄성부재안착홈(13)에 안착되며, 상기 본체(10)의 접철시 복귀가능토록 탄성력이 발생되는 탄성부재(20)와; 상기 본체(10)의 하부면에 결합되어 상기 탄성부재(20)가 유동되지 못하도록 고정하며, 하부면이 곡면으로 형성된 한 쌍의 하부커버(30)로; 구성되어 사용자가 올라서거나 앉아서 몸의 균형감각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상기 본체(10)를 접철하며 팔, 다리의 근육운동을 할 수 있어 운동의 효과가 향상된다.

Description

균형운동기구{A balance sporting apparatus}
본 발명은 균형운동기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마루, 거실, 사무실 등의 바닥에서 사용되며, 사용자가 앉거나 올라서서 균형을 유지하기 위해 자연스럽게 움직이게 됨으로써, 복부, 허리, 옆구리, 등의 지방을 제거하면서 근육을 단련할 수 있으며,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를 구비하여 팔, 다리의 근력운동을 할 수 있는 균형운동기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균형감각을 향상시키는 운동기구는 접시형 운동기구와 보드형 운동기구로 제조된다.
상기 접시형 운동기구는 원형의 보드와 보드 하부에 결합된 구면의 돌기로 구성되어 사용자가 보드 위에 앉거나 올라서서 넘어지지 않도록 균형을 잡으며 운동할 수 있도록 제조되며, 상기 보드형 운동기구는 원통의 받침 위에 평평한 보드를 얹고 사용자가 보드 위에 올라서서 넘어지지 않도록 균형을 잡으며 운동할 수 있도록 제조된다.
한편, 상기 보드형 운동기구는 초보자가 사용하기에 적합하지 못하여, 접시형 운동기구가 주로 사용되고 있으며, 이러한 접시형 운동기구가 국내 특허등록 제10-0579905호에 상세히 개시되어 있다.
도 1은 상기 종래의 접시형 운동기구의 단면도로서, 중앙부 저면에 평면바닥부(110)가 형성되고, 상기 평면바닥부(110)의 외주연 전둘레에 10~20°의 각도로 상향 경사진 경사부(120)가 구비된 몸체(100)와, 상기 몸체(100)의 상부 내주연에 결합되며 다수의 지압돌기(210)와 음향배출공(220)을 형성한 상판(200)과, 상기 몸체(100)의 내부에서 음악을 연주하는 음향발생기(300)로 구성되어 있다.
한편, 사용자는 상기 상판(200)에 올라서서, 상기 음향발생기(300)로부터 연주되는 음악을 들으며, 몸을 일측으로 기울여 몸의 무게중심을 이동시키면서 상기 경사부(120)가 바닥에 접촉되도록 좌, 우로 흔들거리며 움직이거나 또는 360°회전하며 넘어지지 않도록 몸을 움직임으로써 균형감각을 향상시킬 수 있다.
그러나, 종래 접시형 운동기구는 단순히 앉거나 서서 운동하는 것에 국한되어 다리, 팔의 근력운동에는 사용되지 못하며, 초보자가 앉아서 운동하며 몸의 균형을 잃을 경우, 상기 상판(200)에서 쉽게 이탈되어 사용하기에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몸체가 일체형으로 제작되어 보관, 운반 또는 포장하기에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가 앉거나 올라서서 넘어지지 않도록 몸을 움직이며 자연스럽게 균형감각을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탄성력을 이용하여 팔, 다리의 근력운동이 가능하고, 초보자도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균형운동기구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사용자의 무게중심에 따라 기울어지는 균형운동기구는, 하부면이 곡면으로 형성되며, 중앙에 접철되는 힌지결합부와, 하부면에 요입가능토록 홈형상으로 이루어진 탄성부재안착홈이 구비된 판상의 본체와; 상기 탄성부재안착홈에 안착되며, 상기 본체의 접철시 복귀가능토록 탄성력이 발생되는 탄성부재와; 상기 본체의 하부면에 결합되어 상기 탄성부재가 유동되지 못하도록 고정하며, 하부면이 곡면으로 형성된 한 쌍의 하부커버로;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본체는 사용자가 파지하여 몸의 균형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부면의 곡면을 따라 상부로 연장된 다수개의 지지부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본체의 상부면에 결합되어 사용자의 착석시 쿠션력을 제공하도록 패드형으로 형성된 한 쌍의 좌석부재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본체는 사용자가 파지하여 상기 본체를 접철가능토록 대향하는 양측에 손잡이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탄성부재는 판형상으로 형성되고, 굴절가능토록 상부면에 요입홈이 형성된 굴절홈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한 쌍의 하부커버와 결합가능토록 커버결합공이 천공되고, 상기 한 쌍의 하부커버는 상기 본체의 접철시 상기 커버결합공과 결합되어 상기 탄성부재가 굴절되며 신장되도록 상측으로 돌출된 커버결합돌기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본체의 상부면에 사용자가 올라서거나 앉을 수 있도록 탈부착이 가능한 판상의 받침부재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본체는 상기 받침부재가 탈부착되도록 상부면에 요입홈으로 형성된 받침부재결합홈이 구비되고, 상기 받침부재는 상기 받침부재결합홈에 요입되어 결합되도록 하부면에 돌출된 받침부재결합돌기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균형운동기구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본체에 접철가능토록 힌지결합부와, 굴절되며 탄성력을 발생하는 탄성부재가 구비되어 균형감각 향상을 위해 사용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탄성력을 이용한 팔, 다리의 근력운동이 가능하여 운동의 효과가 증대되며,
둘째, 앉아서 사용할 경우 손쉽게 몸의 균형을 잡을 수 있도록 지지부가 구비되어 초보자가 사용하기에 편리하고,
셋째, 조립과 분해가 가능하여 보관, 운반 및 포장이 용이하여 사용의 편리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접시형 운동기구의 단면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균형운동기구의 사시도이고,
도 3는 본 발명에 따른 균형운동기구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균형운동기구의 저면 분해 사시도이며,
도 5의 (a)는 도 2에 도시된 A-A'에 대한 종단면도이고, (b)는 접철된 상태를 나타낸 종단면도이며,
도 6는 본 발명에 따른 균형운동기구의 사용 상태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의 무게중심에 따라 기울어지는 균형운동기구는,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면이 곡면으로 형성되며, 중앙에 접철되는 힌지결합부(11)와, 하부면에 요입가능토록 홈형상으로 이루어진 탄성부재안착홈(13)이 구비된 판상의 본체(10)와; 상기 탄성부재안착홈(13)에 안착되며, 상기 본체(10)의 접철시 복귀가능토록 탄성력이 발생되는 탄성부재(20)와; 상기 본체(10)의 하부면에 결합되어 상기 탄성부재(20)가 유동되지 못하도록 고정하며, 하부면이 곡면으로 형성된 한 쌍의 하부커버(30)로;구성된다.
이때, 상기 본체(10)는 하부면이 구면으로 형성된 원형 또는 타원형의 판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힌지결합부(11)는 상기 본체(10)의 중앙에 형성되며, 고정핀(11d)이 삽입되는 핀관통공(11c)이 형성된 힌지돌기(11a)와, 상기 힌지돌기(11a)가 삽입되는 힌지홈(11b)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본체(10)는 상호 결합가능하도록 상기 힌지돌기(11a)와 힌지홈(11b)이 서로 대향하여 형성되고, 상호 요입된 후 상기 고정핀(11d)을 상기 핀관통공(11c)에 삽입하여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초보자가 상기 본체(10)의 상부면에 착석하여 운동을 할 경우, 사용자가 파지하여 몸의 균형을 유지하기 용이하도록, 상기 본체(10)는 하부면의 곡면을 따라 상부로 연장된 다수개의 지지부(12)가 구비된다.
또한, 사용자가 상기 본체(10)의 상부면에 착석할 경우 쿠션력을 제공하도록, 상기 본체(10)의 상부면에 결합되는 패드형으로 형성된 한 쌍의 좌석부재(17)가 구비된다.
한편, 상기 균형운동기구(1)는 상기 탄성부재(20)가 구비되어 사용자는 다리 또는 손을 이용하여 상기 본체(10)를 접철하여 근력운동이 가능하다.
이때, 상기 본체(10)는 사용자가 파지하여 상기 본체(10)를 접철가능토록 대향하는 양측에 결합된 손잡이(15)가 구비된다.
한편, 상기 손잡이(15)는 상기 본체(10)의 일면이 요입되어 결합되도록 손잡이결합홈(15a)이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좌석부재(17)와 상기 손잡이(15)는 쿠션을 제공할 수 있는 탄성재질의 합성수지, 고무 등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본체(10)는 사용자의 몸무게를 지탱할 수 있도록 고강도 합성수지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좌석부재(17)와 상기 손잡이(15)는 접착제를 이용하여 상기 본체(10)와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탄성부재(20)는 판형상으로 구비되고 상기 본체(10)를 접철시 굴절가능토록 도 3에 도시된 가상의 굴절라인(L)을 따라 상부면의 중앙부에 요입홈이 형성된 굴절홈(22)이 구비된다.
이때, 탄성부재는 합성수지, 고무 등의 탄성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탄성부재(20)는 상기 하부커버(30)와 연결되어 유동되지 못하도록 고정되며, 상기 하부커버(30)는 상기 탄성부재(20)가 하측으로 노출되지 않도록 상기 본체(10)의 하부면에 볼트(33)를 이용하여 결합된다.
상기 탄성부재(20)는 상기 한 쌍의 하부커버(30)와 결합가능토록 커버결합공(21)이 천공되고, 상기 한 쌍의 하부커버(30)는 상기 본체(10)의 접철시 상기 커버결합공(21)과 결합되어 상기 탄성부재(20)가 굴절되며 신장되도록 상측으로 돌출된 커버결합돌기(31)가 형성된다.
이때, 상기 커버결합공(21)과 상기 커버결합돌기(31)의 결합으로 인하여, 상기 탄성부재(20)는 전, 후, 좌, 우로 유동되지 못하고, 상기 본체(10)의 접철시, 접철되는 방향으로 상기 탄성부재(20)가 굴절되며 신장된다.
여기서, 상기 탄성부재(20)는 상기 한 쌍의 하부커버(30)와 결합되는 실시예를 보였으나, 상기 탄성부재(20)가 상기 본체(10)의 상기 탄성부재안착홈(13)에 결합되어 굴절되도록 상기 탄성부재안착홈(13)의 내면에 상기 커버결합공(21)과 결합될 수 있는 돌기형상의 수단이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본체(10)는 하부에 상기 하부커버(30)와 볼트(33)로 결합되도록 볼트결합공(14)이 구비되고, 상기 하부커버(30)는 일면에 상기 볼트(33)가 관통되는 볼트관통공(32)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본체(10)와 상기 하부커버(30)가 결합된 후, 상기 볼트관통공(32)에 이물질이 삽입되지 못하도록 볼트커버(34)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본체(10)는 사용자가 올라서서 운동하기 편리하도록 상부면에 탈부착이 가능한 판상의 받침부재(40)가 구비된다.
상기 본체(10)는 상기 받침부재(40)가 탈부착되도록 상부면에 요입홈으로 형성된 받침부재결합홈(16)이 구비되고, 상기 받침부재(40)는 상기 받침부재결합홈(16)에 요입되어 결합되도록 하부면에 돌출된 받침부재결합돌기(41)가 구비된다.
이때, 상기 좌석부재(17)는 일면에 상기 받침부재결합돌기(41)가 관통되도록 결합돌기관통공(17a)이 구비된다.
한편, 상기 받침부재(40)는 사용자가 올라서서 운동하기 편리하게 평평하게 형성되며, 상면에 미끄럼이 방지되도록 미끄럼방지돌기(42)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은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균형운동기구(1)의 작용 및 동작을 살펴보면 아래와 같다.
도 5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본체(10)와 상기 하부커버(30)의 하부면이 곡면으로 형성되어 사용자가 상기 본체(10)의 상부면 또는 상기 받침부재(40)의 상부면에 착석하거나 올라설 경우, 사용자의 무게중심에 따라 한쪽으로 기울어진다.
한편, 사용자가 착석할 경우에는 상기 본체(10)에 연장된 상기 지지부(12)가 구비되어 초보자도 상기 지지부(12)를 파지하고 몸의 균형을 쉽게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탄성재질로 형성된 좌석부재(17)가 구비되어 사용자는 상기 본체(10)의 상부면에 편안하게 착석할 수 있다.
도 5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본체(10)는 중앙부에 상기 힌지결합부(11)가 구비되어 접철이 가능하며, 사용자는 쿠션이 있는 탄성재질로 형성된 상기 손잡이(15)를 이용하여 편하게 접철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본체(10)가 접철될 경우, 상기 한 쌍의 하부커버(30)는 상기 힌지결합부(11)를 기준으로 반대방향으로 회전하며 분리되고, 상기 하부커버(30)의 상기 커버결합돌기(31)에 결합되어 양측이 고정된 상기 탄성부재(20)는 상기 굴절홈(22)을 중심으로 굴절되며, 이때 하부면이 신장되어 복귀하려는 탄성력이 발생된다.
한편, 상기 판형상의 탄성부재(20)는 상기 굴절홈(22)이 형성되어 자연스럽게 굴절될 수 있다.
이때, 사용자는 상기 탄성부재(20)의 하부면이 신장되어 발생되는 탄성력을 이용하여 팔, 다리의 근력운동을 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균형운동기구(1)는 상기 하부커버(30)의 상기 볼트(33)를 해체함으로써 상기 본체(10)와 상기 탄성부재(20)와 상기 하부커버(30)로 분리되며, 상기 본체(10)는 상기 고정핀(11d)을 못, 핀 등으로 상기 핀관통공(11c)에서 이탈시킴으로써 분리될 수 있어 조립 또는 분해가 가능하여 보관, 운반 및 포장이 용이하다..
또한, 상기 균형운동기구(1)의 활용에 대해서 간단히 설명하면, 도 6의 (a)와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균형운동기구(1)는 마루, 거실, 사무실 등의 바닥(F)에서 사용되며, 사용자는 상기 받침부재(40)에 올라서거나 또는 앉아서 균형감각을 향상시키는 운동을 할 수 있으며, 이러한 운동으로 허리, 복부, 옆구리 등의 지방을 제거하며 근육을 단련시킬 수 있다.
또한, 도 6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는 상기 받침부재(40)를 분리한 후, 상기 본체(10)의 양측에 구비된 상기 손잡이(15)를 잡고 상기 본체(10)를 접철하면서 팔의 근력운동을 하거나 또는 다리 사이에 상기 본체(10)를 넣고 접철하면서 다리의 근력운동을 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균형운동기구(1)는 균형감각 향상과 더불어 팔, 다리의 근력운동을 할 수 있으며, 초보자가 손쉽게 몸의 균형을 잡을 수 있도록 지지부(12)가 구비되어 사용하기에 편리하다.
본 발명은 상술한 특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사용된 부호의 설명*
1: 균형운동기구 10: 본체
11: 힌지결합부 12: 지지부
13: 탄성부재안착홈 14: 볼트결합공
15: 손잡이 16: 받침부재결합홈
17: 좌석부재 20: 탄성부재
21: 커버결합공 22: 굴절홈
30: 하부커버 31: 커버결합돌기
32: 볼트관통공 33: 볼트커버
40: 받침부재 41: 받침부재결합돌기
F: 바닥

Claims (8)

  1. 사용자의 무게중심에 따라 기울어지는 균형운동기구에 있어서,
    하부면이 곡면으로 형성되며, 중앙에 접철되는 힌지결합부(11)와, 하부면에 요입가능토록 홈형상으로 이루어진 탄성부재안착홈(13)이 구비된 판상의 본체(10)와;
    상기 탄성부재안착홈(13)에 안착되며, 상기 본체(10)의 접철시 복귀가능토록 탄성력이 발생되는 탄성부재(20)와;
    상기 본체(10)의 하부면에 결합되어 상기 탄성부재(20)가 유동되지 못하도록 고정하며, 하부면이 곡면으로 형성된 한 쌍의 하부커버(30)로;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균형운동기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10)는 사용자가 파지하여 몸의 균형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부면의 곡면을 따라 상부로 연장된 다수개의 지지부(12)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균형운동기구.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10)의 상부면에 결합되어 사용자의 착석시 쿠션력을 제공하도록 패드형으로 형성된 한 쌍의 좌석부재(17)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균형운동기구.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10)는 사용자가 파지하여 상기 본체(10)를 접철가능토록 대향하는 양측에 손잡이(15)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균형운동기구.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20)는 판형상으로 형성되고, 굴절가능토록 상부면에 요입홈이 형성된 굴절홈(22)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균형운동기구.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20)는 상기 한 쌍의 하부커버(30)와 결합가능토록 커버결합공(21)이 천공되고,
    상기 한 쌍의 하부커버(30)는 상기 본체(10)의 접철시 상기 커버결합공(21)과 결합되어 상기 탄성부재(20)가 굴절되며 신장되도록 상측으로 돌출된 커버결합돌기(31)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균형운동기구.
  7. 제 1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10)의 상부면에 사용자가 올라서거나 앉을 수 있도록 탈부착이 가능한 판상의 받침부재(40)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균형운동기구.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10)는 상기 받침부재(40)가 탈부착되도록 상부면에 요입홈으로 형성된 받침부재결합홈(16)이 구비되고,
    상기 받침부재(40)는 상기 받침부재결합홈(16)에 요입되어 결합되도록 하부면에 돌출된 받침부재결합돌기(41)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균형운동기구.
KR1020120150152A 2012-12-21 2012-12-21 균형운동기구 KR10147110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50152A KR101471100B1 (ko) 2012-12-21 2012-12-21 균형운동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50152A KR101471100B1 (ko) 2012-12-21 2012-12-21 균형운동기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80938A true KR20140080938A (ko) 2014-07-01
KR101471100B1 KR101471100B1 (ko) 2014-12-09

Family

ID=517323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50152A KR101471100B1 (ko) 2012-12-21 2012-12-21 균형운동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7110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931540B1 (en) 2016-04-13 2018-04-03 Brunswick Corporation Balancing exercise devices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61714Y1 (ko) * 2001-09-17 2002-01-24 문경태 다이어트 운동기구
KR200362422Y1 (ko) * 2004-07-02 2004-09-18 이봉도 다목적 건강운동기구
KR200408767Y1 (ko) * 2005-11-30 2006-02-16 이상규 복합운동기구
KR200445958Y1 (ko) * 2009-03-09 2009-09-14 김기수 다목적 운동기구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931540B1 (en) 2016-04-13 2018-04-03 Brunswick Corporation Balancing exercise devic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71100B1 (ko) 2014-12-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993253B2 (en) Agility device
US7438673B1 (en) Reciprocal inhibition body toner apparatus
US8267845B2 (en) Physical fitness and rehabilitation apparatus
US8052583B1 (en) Swivel exerciser
US7736285B2 (en) Portable exercise device
US20130053228A1 (en) Unstable Platform
US20070298945A1 (en) Rotating exerciser system and methods
US20050245370A1 (en) Powerwalk plus
US20080200319A1 (en) Exerciser with the legs being supported thereon by hanging in performing exercise
KR101140357B1 (ko) 상하체 운동이 가능한 헬스 자전거
KR101194993B1 (ko) 트위스트운동 및 다리운동 겸용 복부운동기구
KR101471100B1 (ko) 균형운동기구
KR101506066B1 (ko) 의자에 장착해서 사용하는 운동 기구
KR101464291B1 (ko) 오락게임용 헬스케어 운동기구
JP3177291U (ja) 腹部トレーニング器
JP6404006B2 (ja) 鍛錬具
US6663541B1 (en) Exercise machine provided with means to enable a user thereof to assume interchangeably a seated position and an inverted position
US10589142B2 (en) My family gym
AU2012100367A4 (en) Foldable skateboarding fitness equipment
AU2010215072A1 (en) An exercise apparatus
JP4798567B2 (ja) 2ヶの調節台それを用いたベントオーバーローイングのトレーニング方法
US8002685B2 (en) Twisting exerciser
JP2023061023A (ja) 健康器具
KR200315530Y1 (ko) 허리 운동기구
AU2011100488A4 (en) Twisting exercis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2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20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