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62422Y1 - 다목적 건강운동기구 - Google Patents

다목적 건강운동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62422Y1
KR200362422Y1 KR20-2004-0019349U KR20040019349U KR200362422Y1 KR 200362422 Y1 KR200362422 Y1 KR 200362422Y1 KR 20040019349 U KR20040019349 U KR 20040019349U KR 200362422 Y1 KR200362422 Y1 KR 20036242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rotating
height
support portion
spheric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1934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태헌
이봉도
Original Assignee
이봉도
정태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봉도, 정태헌 filed Critical 이봉도
Priority to KR20-2004-001934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6242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6242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62422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9/00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specific reflex points of the body for physical therapy, e.g. acupuncture
    • A61H39/04Devices for pressing such points, e.g. Shiatsu or Acupressur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5/00Devices f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5/12Fee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Epidemiolog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Finger-Pressure Massag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다목적 건강운동기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이동방향이 자유롭게 변경되면서 발바닥을 효과적으로 지압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발목과 무릎관절 및 다리근육에 대한 운동을 장소에 관계없이 편리하게 할 수 있는 다목적 건강운동기구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인체의 양쪽 발바닥을 착지하기 위한 좌측발판과, 우측발판으로 구성되고, 상기 좌측발판 및 우측발판의 상측면은 자유롭게 회전되는 구형 회전모듈(110)이 일정 높이로 돌출되어 복수개 장착되는 고정부(100)로 구성되고, 상기 좌측발판과 우측발판은 중심부에 힌지축이 형성된 연결부(150)에 분리가능하도록 걸쳐지고 회동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다목적 건강운동기구{MULTIPURPOSE HEALTH SPORT OUTFITS}
본 고안은 다목적 건강운동기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이동방향이 자유롭게 변경되면서 발바닥을 효과적으로 지압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발목과 무릎관절 및 다리근육에 대한 운동을 장소에 관계없이 편리하게 할 수 있는 다목적 건강운동기구에 관한 것이다.
각종 교통수단의 발달로 현대인들의 운동량이 대폭적으로 감소되어 운동부족으로 인한 비만과 각종 질병이 심각한 사회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또한 각종 환경 오염의 심화와 생활수준의 향상으로 실외에서 행해지던 운동이 각종 소형운동기구의 보급으로 인해 실내에서 편리하게 할 수 있게 되었다.
한편, 한방의학에 의하면 발바닥은 인체의 모든 기관과 연결된 혈관반사신경과 경락등이 발바닥 전체에 걸쳐 분포되어 있는 전신의 축도라고 한다. 발바닥을 지압하면 인체의 신경계를 자극하고 또한 혈액순환을 촉진시켜 건강을 유지하는데 많은 도움을 주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종래의 발지압기는 평면 또는 곡면의 판에 다수개의 지압돌기가 형성된 구조로 이루어져 발지압기를 바닥에 놓고 사용자가 지압돌기 부위에 발바닥을 눌러 지압하도록 하고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간편하게 발 지압을 할 수 있고, 장시간 일정한 장소에 앉아서 생활해야하는 생활조건에서 쉽게 피로를 풀면서 운동할 수 있는 건강운동기구가 요구되어 왔다.
본 고안은 다리에 무리한 힘을 요하지 않고서도 발목과 무릎관절 및 다리근육을 단련할 수 있고, 특히 양 다리의 상하좌우 이동시 허벅지근육과 항문주위의 괄약근을 단련할 수 있으며, 장소에 관계없이 편리하게 발바닥을 지압할 수 있는 다목적 건강운동기구를 제공하는 목적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의 목적은 발바닥의 지압이나 다리운동을 하는 경우에 이동방향을 자유롭게 조절하거나, 일정한 기울기로 경사지울 수 있어 운동량을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는 다목적 건강운동기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1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의한 다목적 건강운동기구의 사시도,
도2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의한 다목적 건강운동기구의 받침장치,
도3은 도1의 A-A선의 부분단면도,
도4는 도1의 B-B선의 부분단면도,
도5는 도4의 C-C선의 단면도,
도6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의한 회전부에 장착된 원판형 회전모듈의 장착 구조도,
도7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의한 다목적 건강운동기구의 높이변환지지대.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고정부 101: 베어링
102: 자석 110: 구형 회전모듈
111: 상부판 112: 지지판
113: 구슬 115: 구형체
120: 이탈방지턱 130: 높이변환지지대
131: 가변지지대 132: 고정지지대
133: 걸림편 134: 걸림구
140: 외측지지부 145: 내측지지부
150: 연결부 200: 회전부
202: 회전상부판 203: 회전하부판
204: 회전몸체지지대 205: 완충스프링
206: 회전몸체힌지 207: 고정부재
208: 회전몸체가이드 210: 원판형 회전모듈
211: 회전몸체 212: 돌기
300: 받침장치 310, 320, 330: 삽입구
340: 힌지
본 고안은 인체의 양쪽 발바닥을 착지하기 위한 좌측발판과, 우측발판으로 구성되고, 상기 좌측발판 및 우측발판의 상측면은 자유롭게 회전되는 구형 회전모듈(110)이 일정 높이로 돌출되어 복수개 장착되는 고정부(100)로 구성되고, 상기 좌측발판과 우측발판은 중심부에 힌지축이 형성된 연결부(150)에 분리가능하도록 걸쳐지고 회동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은 인체의 양쪽 발바닥을 착지하기 위한 좌측발판과, 우측발판으로 구성되고, 상기 좌측발판 및 우측발판은 양방향으로 회전되는 원판형 회전모듈(210)이 일정 높이로 돌출되도록 복수개 장착되는 원판형의 회전부(200)와, 상기 회전부(200)가 시계방향 및 시계반대방향으로 회전되도록 수용되고, 상측면에 자유롭게 회전되는 구형 회전모듈(110)이 일정 높이로 돌출되어 복수개 장착되는 고정부(100)로 구성되고, 상기 좌측발판과 우측발판은 중심부에 힌지축이 형성된 연결부(150)에 분리가능하도록 걸쳐지고 회동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이 때 상기 고정부(100)는 상부면의 일측 단부에는 고무재로 일정높이 형성된 이탈방지턱(120)이 더 형성되고, 저면의 양단부에 일정 높이로 돌출되어 지면에 고정되는 외측지지부(140)와 내측지지부(145)가 형성되며, 상기 외측지지부(140)와 내측지지부(145) 사이에는 길이가 가변되는 높이변환지지대(130)가 복수개 더 장착되며, 상기 높이변환지지대(130)는 상기 고정부(100)의 저면에 부착되고 측면에 일정 높이로 돌출된 걸림편(133)이 형성된 가변지지대(131)와, 상기 가변지지대(131)를 수용하고 상기 걸림편(133)을 고정시키는 걸림구(134)가 복수개 관통되어 형성되고 상기 가변지지대(131)의 외측으로 연장될 수 있는 고정지지대(132)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외측지지부(140)와 내측지지부(145) 및 높이변환지지대(130)가 각각 삽입되도록 복수개의 삽입구가 형성된 받침장치(300)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구형 회전모듈(110)은, 일정한 외경을 갖는 구형체(114)와, 상기 구형체(114)가 수용되는 상기 고정부(100)의 하측 지지판(112)과, 상기 구형체(114)의 이탈을 방지하는 상부판(111)과, 상기 구형체(114)와 지지판(112) 사이에 복수개 삽입되는 구슬(113)을 포함하고, 상기 회전부(200)는, 상기 고정부(100)의 중앙부와 베어링(101)에 의해 결합되고, 저면에는 상기 고정부(100)에 대응되는 곳에 일정한 자력을 지닌 자석(102)이 방사상으로 복수개 장착되고, 상기 회전부(200)에 장착되는 원판형 회전모듈(210)은 일정한 탄성을 제공하는 완충스프링(205)과, 상기 완충스프링(205)이 수용되는 회전몸체지지대(204)와, 상기 완충스프링(205)에 의해 탄성되는 회전몸체가이드(208)와, 상기 회전몸체가이드(208)의 단부의 회전몸체힌지(206)를 중심으로 회전되는 회전몸체(211)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다목적 건강운동기구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1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의한 다목적 건강운동기구의 사시도이고, 도2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의한 다목적 건강운동기구의 받침장치이며, 도3은 도1의 A-A선의 부분단면도이고, 도4는 도1의 B-B선의 부분단면도이며, 도5는 도4의 C-C선의 단면도이고, 도6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의한 회전부에 장착된 원판형 회전모듈의 장착구조도이며, 도7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의한 다목적 건강운동기구의 높이변환지지대이다.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다목적 건강운동기구는 상기 도1 내지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방향으로 회전되는 원판형 회전모듈(210)이 일정 높이로 돌출되도록 복수개 장착되는 원판형의 회전부(200)와, 상기 회전부(200)가 시계방향 및 시계반대방향으로 회전되도록 수용되고, 상측면에서 자유롭게 회전되는 구형 회전모듈(110)이 일정 높이로 돌출되어 복수개 장착되는 고정부(100)로 각각 좌측발판과 우측발판이 구성된다.
또한 상기 고정부(100)의 저면 양단부에는 일정 높이로 돌출되어 지면에 고정되는 외측지지부(140)와 내측지지부(145)가 각각 형성되며, 상기 외측지지부(140)와 내측지지부(145) 사이에는 길이가 가변되는 높이변환지지대(130)가 바람직하게는 복수개 장착된다. 상기 좌측발판과 우측발판은 연결부(150)의 힌지를 중심으로 걸쳐져서 회동된다. 따라서 상기 연결부(150)를 중심으로 좌우발판이 각각 분리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좌측발판과 우측발판의 일측 단부에는 일정 높이로 고무재의 이탈방지턱(120)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외측지지부(140)와 내측지지부(145)가 안착되는 받침장치(300)가 더 포함되어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받침장치(300)는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힌지(340)를 중심으로 좌우 회동되어 접혀질 수 있다. 또한 받침장치(300)에는 상기 외측지지부(140)와 내측지지부(145) 및 높이변환지지대(130)가 각각 삽입되어 고정되는 삽입구(310,320,330)가 복수개 형성되어 있다.
상기 받침장치(300)의 삽입구에는 상기 좌측발판과 우측발판이 연결되어 사용되는 경우에 높이변환지지대(130)는 고정부(100)에 밀착된 상태로 놓여지고, 외측지지부(140)는 도면부호 310의 삽입구(310)에 삽입되고, 내측지지부(145)는 도면부호 320의 삽입구(320)에 각각 대칭되도록 삽입되어 바닥에 고정된다. 또한 상기 높이변환지지대(130)를 사용하는 경우로는 첫째, 상기 좌측발판과 우측발판이 연결부(150)에 걸쳐 연결되는 경우에는 상기 외측지지부(140)가 삽입구(330)에 삽입되고, 상기 높이변환지지대(130)가 고정부(100)로부터 아래방향으로 회동되어 적절한 높이를 조절한 후 삽입구(320)에 삽입시켜 좌측발판과 우측발판이 일정 높이로 대칭되어 경사지도록 설치한다. 둘째, 상기 좌측발판과 우측발판이 분리되어 사용하는 경우에는 사용자의 양발의 간격을 넓히기 위한 것으로 상기 외측지지부(140)와 높이변환지지대(130)를 받침장치(300)의 힌지(340)를 중심으로 일정 간격 이격되게 받침장치(300)의 삽입구에 삽입 고정하여 사용한다.
상기 높이변환지지대(130)는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고정부(100)의 저면에 부착되는 가변지지대(131)와, 상기 가변지지대(131)를 수용하고 외측으로 연장될 수 있는 고정지지대(132)로 구성된다. 이 때 상기 가변지지대(131)의 측면에는 일정 높이로 돌출된 걸림편(133)이 형성되고, 상기 고정지지대(132)에는 상기 걸림편(133)을 고정시키는 걸림구(134)가 길이방향으로 복수개 관통되어 형성된다. 따라서, 길이를 가변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상기 걸림편(133)을 상기 고정지지대(132)에 형성되어 있는 걸림구(134)에 대응되어 체결되도록 높이변환지지대(130)가 변환되도록 용이하게 사용하게 된다.
상기 고정부(100)에 장착되는 구형 회전모듈(110)은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부(100)의 지지판(112)에 구형체(114)가 삽입되고, 삽입된 구형체(114)는 상부판(111)에 의해 외부로의 이탈을 방지된다. 이 때 상기 구형체(114)와 지지판(112) 사이에는 복수개의 구슬(113)이 삽입되어 상기 구형체(114)가 자유롭게 회전되고, 상기 구슬(113)의 주변에는 윤활유가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상부판(111)은 상기 구형체(115)의 최대 외경(114)보다 상부에 장착되므로 구형체(115)의 이탈을 방지하게 된다.
한편 상기 고정부(100)의 중앙부에는 상기 회전부(200)가 베어링(101)에 의해 시계방향 또는 시계반대방향으로 자유롭게 회전되도록 수용된다. 또한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부(200)의 저면과 이에 대응되는 고정부(100)에는 각각 일정한 자력을 지닌 자석(102)이 방사상으로 복수개 장착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회전부(200)의 회전을 상기 자석(102)이 장착된 구간마다 저지시키게 된다.
또한 상기 회전부(200)는 복수개의 원판형 회전모듈(210)이 장착되는데, 상기 원판형 회전모듈(210)은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완충스프링(205)이 수용된 회전몸체지지대(204)와, 상기 완충스프링(205)에 의해 탄성되는 회전몸체가이드(208)와, 상기 회전몸체가이드(208)의 단부의 회전몸체힌지(206)를 중심으로 회전되는 회전몸체(211)로 구성되고, 상기 회전몸체지지대(204)는 고정부재(207)에 의해 회전하부판(203)에 장착된다. 또한 상기 회전몸체(211)는 회전상부판(220)에 의해 일정 높이로 돌출되는 것이 제한되며, 상기 회전몸체(211)의 외주연에는 일정 높이로 돌출된 돌기(212)가 복수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원판형 회전모듈(210)은 완충스프링(205)에 의해 상하로 완충되면서,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동되게 된다. 이 때 상기 복수개의 구형 회전모듈(110)은 상기 원판형 회전모듈(210)이 장착된 회전부(200)와 독립적으로 회전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동작을 설명하면, 먼저 상기 회전부(200)와 고정부(100)가 형성된 좌측발판과 우측발판을 연결부(150)를 통해 연결하여 바닥에 설치한다. 그 후 사용자는 직립된 상태에서 회전부(200)에 양쪽 발바닥을 착지시킨 후 좌우측으로 각각 이동시킨다. 이 때 상기 발바닥은 상기 좌측발판과 우측발판의 일측단에 설치된 이탈방지턱(120)에 의해 고정부(100)에서 벗어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그리고 양쪽 발바닥을 안쪽으로 수축하고 바깥쪽으로 신장하는 경우에 상기 양쪽 발바닥은 원판형 회전모듈(210)과 구형 회전모듈(110)을 따라 이동되고, 발바닥의 이동방향이 변경되는 경우에는 상기 회전부(200)가 베어링(101)에 의해 회전되면서 원판형 회전모듈(210)의 회전방향이 발바닥의 이동방향과 일치되게 된다.
한편, 상기 고정부(100)에 장착된 구형 회전모듈(110)은 구형체(115)가 자유 방향으로 회전되기 때문에 상기 발바닥의 이동방향에 따라 자유롭게 변형된다.
상기와 같이 사용자가 직립하여 발다닥을 안쪽으로 수축하고 바깥쪽으로 신장할 경우에 발바닥을 상기 구형 회전모듈(110)과 원판형 회전모듈(210)에 의해 지압하게 되고, 발을 수축 및 신장함에 따라 다리근육을 강화시키고 양 다리의 상하 좌우로 이동하는 경우에 허벅지근육과 항문주위의 괄약근을 단련시키게 된다.
또한 상기 좌측발판과 우측발판의 고정부(100)의 저면에 설치된 높이변환지지대(130)를 이용하여 고정부(100)의 경사각을 조절하여 운동량을 증대시킬 수 있다. 다시 말해, 상기 높이변환지지대(130)를 고정부(100)에서 이동시켜 바닥에 지지하게 되면 일정 기울기로 경사지게 된다. 상기 높이변환지지대(130)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상기 받침장치(300)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시 말해 상기 고정부에 형성된 외측지지부(140)와 상기 높이변환지지대(130)를 받침장치(300)에 형성된 삽입구에 각각 적절한 간격으로 삽입시켜 안정적으로 사용하는 것이 좋다.
앞에서 설명되고, 도면에 도시된 본 고안의 일 실시예는 본 고안의 기술적사상을 한정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고안의 보호범위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하여만 제한되고, 본 고안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다양한 형태로 개량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이러한 개량 및 변경은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인 한 본 고안의 보호범위에 속하게 될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르면, 다리에 무리한 힘을 요하지 않고서도 발목과 무릎관절 및 다리근육을 단련할 수 있고, 장소에 관계없이 편리하게 발바닥을 지압할 수 있어 쉽게 피로를 풀고 건강상태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발바닥의 지압이나 다리운동을 하는 경우에 이동방향을 자유롭게 조절하거나, 일정한 기울기로 경사지울 수 있어 운동량을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어 편리하게 운동을 할 수 있다.

Claims (9)

  1. 인체의 양쪽 발바닥을 착지하기 위한 좌측발판과, 우측발판으로 구성되고,
    상기 좌측발판 및 우측발판의 상측면은 자유롭게 회전되는 구형 회전모듈(110)이 일정 높이로 돌출되어 복수개 장착되는 고정부(100)로 구성되고, 상기 좌측발판과 우측발판은 중심부에 힌지축이 형성된 연결부(150)에 분리가능하도록 걸쳐지고 회동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목적 건강운동기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100)는 상부면의 일측 단부에는 고무재로 일정높이 형성된 이탈방지턱(120)이 더 형성되고, 저면의 양단부에 일정 높이로 돌출되어 지면에 고정되는 외측지지부(140)와 내측지지부(145)가 형성되며, 상기 외측지지부(140)와 내측지지부(145) 사이에는 길이가 가변되는 높이변환지지대(130)가 복수개 더 장착되며,
    상기 높이변환지지대(130)는 상기 고정부(100)의 저면에 부착되고 측면에 일정 높이로 돌출된 걸림편(133)이 형성된 가변지지대(131)와, 상기 가변지지대(131)를 수용하고 상기 걸림편(133)을 고정시키는 걸림구(134)가 복수개 관통되어 형성되고 상기 가변지지대(131)의 외측으로 연장될 수 있는 고정지지대(132)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목적 건강운동기구.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외측지지부(140)와 내측지지부(145) 및 높이변환지지대(130)가 각각 삽입되도록 복수개의 삽입구가 형성된 받침장치(30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목적 건강운동기구.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구형 회전모듈(110)은, 일정한 외경을 갖는 구형체(114)와, 상기 구형체(114)가 수용되는 상기 고정부(100)의 하측 지지판(112)과, 상기 구형체(114)의 이탈을 방지하는 상부판(111)과, 상기 구형체(114)와 지지판(112) 사이에 복수개 삽입되는 구슬(113)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목적 건강운동기구.
  5. 인체의 양쪽 발바닥을 착지하기 위한 좌측발판과, 우측발판으로 구성되고,
    상기 좌측발판 및 우측발판은 양방향으로 회전되는 원판형 회전모듈(210)이 일정 높이로 돌출되도록 복수개 장착되는 원판형의 회전부(200)와, 상기 회전부(200)가 시계방향 및 시계반대방향으로 회전되도록 수용되고, 상측면에 자유롭게 회전되는 구형 회전모듈(110)이 일정 높이로 돌출되어 복수개 장착되는 고정부(100)로 구성되고,
    상기 좌측발판과 우측발판은 중심부에 힌지축이 형성된 연결부(150)에 분리 가능하도록 걸쳐지고 회동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목적 건강운동기구.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100)는 상부면의 일측 단부에는 고무재로 일정높이 형성된 이탈방지턱(120)이 더 형성되고, 저면의 양단부에 일정 높이로 돌출되어 지면에 고정되는 외측지지부(140)와 내측지지부(145)가 형성되며, 상기 외측지지부(140)와 내측지지부(145) 사이에는 길이가 가변되는 높이변환지지대(130)가 복수개 더 장착되며,
    상기 높이변환지지대(130)는 상기 고정부(100)의 저면에 부착되고 측면에 일정 높이로 돌출된 걸림편(133)이 형성된 가변지지대(131)와, 상기 가변지지대(131)를 수용하고 상기 걸림편(133)을 고정시키는 걸림구(134)가 복수개 관통되어 형성되고 상기 가변지지대(131)의 외측으로 연장될 수 있는 고정지지대(132)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목적 건강운동기구.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외측지지부(140)와 내측지지부(145) 및 높이변환지지대(130)가 각각 삽입되도록 복수개의 삽입구가 형성된 받침장치(30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목적 건강운동기구.
  8. 제5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구형 회전모듈(110)은, 일정한 외경을 갖는 구형체(114)와, 상기 구형체(114)가 수용되는 상기 고정부(100)의 하측 지지판(112)과, 상기 구형체(114)의 이탈을 방지하는 상부판(111)과, 상기 구형체(114)와 지지판(112) 사이에 복수개 삽입되는 구슬(113)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목적 건강운동기구.
  9. 제5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부(200)는, 상기 고정부(100)의 중앙부와 베어링(101)에 의해 결합되고, 저면에는 상기 고정부(100)에 대응되는 곳에 일정한 자력을 지닌 자석(102)이 방사상으로 복수개 장착되고,
    상기 회전부(200)에 장착되는 원판형 회전모듈(210)은 일정한 탄성을 제공하는 완충스프링(205)과, 상기 완충스프링(205)이 수용되는 회전몸체지지대(204)와, 상기 완충스프링(205)에 의해 탄성되는 회전몸체가이드(208)와, 상기 회전몸체가이드(208)의 단부의 회전몸체힌지(206)를 중심으로 회전되는 회전몸체(211)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목적 건강운동기구.
KR20-2004-0019349U 2004-07-02 2004-07-02 다목적 건강운동기구 KR20036242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19349U KR200362422Y1 (ko) 2004-07-02 2004-07-02 다목적 건강운동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19349U KR200362422Y1 (ko) 2004-07-02 2004-07-02 다목적 건강운동기구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45780A Division KR100501952B1 (ko) 2004-06-14 2004-06-14 다목적 건강운동기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62422Y1 true KR200362422Y1 (ko) 2004-09-18

Family

ID=494376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19349U KR200362422Y1 (ko) 2004-07-02 2004-07-02 다목적 건강운동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62422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71100B1 (ko) * 2012-12-21 2014-12-09 주식회사 범양산업 균형운동기구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71100B1 (ko) * 2012-12-21 2014-12-09 주식회사 범양산업 균형운동기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897474A (en) Balancing and exercising device
US8016732B2 (en) Exercise device
US7951054B2 (en) Rehabilitation and exercise apparatus
US5279533A (en) Swivel platform with detachable backrest and resilient exercise cords
US5879275A (en) Leg exerciser and method
US6056675A (en) Knee and hip exercise device and method
US20100167887A1 (en) Portable exercise, balance and flexibility device and method
BRPI0313615B1 (pt) calçado
US5490823A (en) Water therapy and fitness device
JP2016159162A (ja) 回転抵抗システム
KR100963099B1 (ko) 하반신 운동기구
US20140011639A1 (en) Omni-Directional Exercise Device
US8827882B2 (en) Proprioception balance and coordination enhancement system
US7422549B2 (en) Bed-bicycle and method of use
KR102016857B1 (ko) 균형운동기구
KR200362422Y1 (ko) 다목적 건강운동기구
KR100501952B1 (ko) 다목적 건강운동기구
KR100869178B1 (ko) 골반근육 강화 운동기구
EP0917890A2 (en) Rehabilitation exercise apparatus
RU2531880C2 (ru) Тренажёр "балатрон"
KR101974454B1 (ko) 다용도 운동기구
KR200483997Y1 (ko) 짐볼
JP2006197960A (ja) 健康器具
KR101036611B1 (ko) 발목관절 재활운동기구
KR200276266Y1 (ko) 요실금 치료 및 예방을 위한 골반근육 강화 운동기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EXTG Extingu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