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80880A - 차량용 조향축의 조향각 측정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용 조향축의 조향각 측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80880A
KR20140080880A KR1020120149630A KR20120149630A KR20140080880A KR 20140080880 A KR20140080880 A KR 20140080880A KR 1020120149630 A KR1020120149630 A KR 1020120149630A KR 20120149630 A KR20120149630 A KR 20120149630A KR 20140080880 A KR20140080880 A KR 2014008088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b gear
fastening
gear
permanent magnet
protru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496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06285B1 (ko
Inventor
조수만
유대현
임승구
조성화
최정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현대케피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현대케피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현대케피코
Priority to KR10201201496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06285B1/ko
Publication of KR201400808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8088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062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0628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15/00Steer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15/02Steering position indicators ; Steering position determination; Steering aids
    • B62D15/021Determination of steering angle
    • B62D15/0215Determination of steering angle by measuring on the steering colum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10/00Constructional features of vehicle sub-units
    • B60Y2410/10Hous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easurement Of Length, Angles, Or The Like Using Electric Or Magnetic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용 조향축의 조향각 측정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서브기어에 장착되어 회전하는 영구자석의 자속을 측정하여 조향축의 회전각도 등을 검출할 수 있는 차량용 조향축의 조향각 측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차량용 조향축의 조향각 측정장치는, 조향축이 삽입되는 제1삽입공이 형성되고, 상방향으로 체결돌기가 돌출 형성된 하부하우징과; 조향축이 삽입되는 제2삽입공이 형성되고, 상기 하부하우징과 결합하는 상부하우징과; 상기 제1삽입공 및 제2삽입공으로 이루어진 삽입공에 삽입되어 상기 조향축과 결합되는 메인기어와; 상기 메인기어와 맞물리고, 중심부에 형성된 체결공에 상기 체결돌기가 삽입되는 다수개의 서브기어와; 상기 서브기어에 장착된 영구자석과; 상기 서브기어의 상부에 배치되고, 상기 서브기어와 함께 회전하는 상기 영구자석의 자속을 측정하는 자기소자가 장착된 회로기판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차량용 조향축의 조향각 측정장치 { Apparatus for detecting angle of steering wheel }
본 발명은 차량용 조향축의 조향각 측정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서브기어에 장착되어 회전하는 영구자석의 자속을 측정하여 조향축의 회전각도 등을 검출할 수 있는 차량용 조향축의 조향각 측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차량에 사용되는 조향장치는 주행중인 차량의 진행방향을 전환하기 위하여 조향륜(전륜 또는 후륜)의 방향을 전환시키는 장치이다.
주행중인 차량의 조향 정도는 차량을 제어하기 위한 데이터로 활용되므로, 조향축의 조향각, 조향각속도 및 조향토크를 측정하여 차량의 조향 정도를 검출한다.
종래의 조향각 측정장치는 조향축의 1회전을 기준으로 360°범위에서 조향각을 검출하였다.
그런데, 차량의 조향 핸들은 시계방향으로 2~3회전 및 반시계방향으로 2~3회전 회전하므로, 종래의 조향각 측정장치로는 조향 핸들이 몇 회전하였는지는 전혀 알 수가 없다.
이로 인해, 조향축의 절대각을 알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자기소자(AMR, GMR, 홀센서) 등을 이용한 조향각 측정장치가 개발되었는데, 이를 좀 더 자세히 살펴보면 아래와 같다.
자기소자를 이용한 조향각 측정장치는 조향축과 동일하게 회전하는 메인기어에 크기가 다른 2개의 서브기어가 각각 맞물린다.
그리고, 상기 2개의 서브기어에 영구자석을 각각 고정하고, 2개의 자기소자가 각 영구자석의 위치를 측정하여 아날로그 전압값으로 나타낸다.
그러면,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가 아날로그 전압값을 디지털 값으로 변환하고, 변환된 이들 값의 조합 및 연산을 통하여 조향륜의 절대각을 검출한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조향각 측정장치는, 상기 영구자석이 장착된 서브기어의 회전시 상기 서브기어를 안정적으로 지지하지 못하고, 또한 서브기어가 유동되어 상기 자기소자에서 상기 영구자석을 정밀하게 측정하지 못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8-0010275호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9-0129766호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써, 영구자석이 장착된 서브기어가 흔들림없이 안정적으로 회전할 수 있고, 자기소자가 영구자석을 정밀하게 측정하여 조향각 측정의 신뢰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차량용 조향축의 조향각 측정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차량용 조향축의 조향각 측정장치는, 조향축이 삽입되는 제1삽입공이 형성되고, 상방향으로 체결돌기가 돌출 형성된 하부하우징과; 조향축이 삽입되는 제2삽입공이 형성되고, 상기 하부하우징과 결합하는 상부하우징과; 상기 제1삽입공 및 제2삽입공으로 이루어진 삽입공에 삽입되어 상기 조향축과 결합되는 메인기어와; 상기 메인기어와 맞물리고, 중심부에 형성된 체결공에 상기 체결돌기가 삽입되는 다수개의 서브기어와; 상기 서브기어에 장착된 영구자석과; 상기 서브기어의 상부에 배치되고, 상기 서브기어와 함께 회전하는 상기 영구자석의 자속을 측정하는 자기소자가 장착된 회로기판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체결돌기의 상단부에는 상기 체결돌기의 축방향으로 탄성변형되는 다수개의 걸림돌기가 상호 이격되어 형성되되, 상기 걸림돌기의 외주면에는 상기 체결돌기에 삽입된 상기 서브기어가 상방향으로 유동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걸림턱이 형성된다.
상기 서브기어는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지되, 상기 영구자석은 상기 서브기어에 인서트 사출되어 일체로 결합된다.
상기 영구자석은 링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체결공을 중심으로 하여 배치되고, 상기 영구자석은 좌우방향으로 분극되어 있으며, 상기 자기소자는 상기 영구자석의 중심부에 배치된 상기 체결돌기의 상부에 배치된다.
상기 하부하우징에는 상기 체결돌기를 중심으로 링 형상의 가이드돌기가 상방향으로 돌출 형성되고, 상기 서브기어의 하면에는 상기 가이드돌기가 삽입되는 가이드홈이 형성되되, 상기 가이드돌기의 돌출길이는 상기 가이드홈의 깊이보다 커 상기 서브기어의 하면이 상기 하부하우징의 상면과 이격되도록 한다.
상기 서브기어에는 상기 회로기판이 배치된 상방향으로 중공돌기가 돌출 형성되되, 상기 중공돌기의 상단은 상기 회로기판의 하면과 이격되어 있고, 상기 자기소자는 상기 중공돌기의 안쪽에 배치되며, 상기 중공돌기의 상단과 상기 회로기판 사이의 이격간격은 상기 체결돌기의 길이보다 작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차량용 조향축의 조향각 측정장치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영구자석이 장착된 서브기어가 체결돌기 및 걸림돌기 등에 의해 흔들림없이 안정적으로 회전할 수 있고, 이로 인해 자기소자가 영구자석을 정밀하게 측정하여 조향각 측정의 신뢰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종래 기술과 비교하여, 다수개의 서브기어의 동심도를 체결돌기를 이용하여 맞출 수 있어 부품의 수를 감속시킬 수 있고 그에 따라 원가절감의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조향축의 조향각 측정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조향축의 조향각 측정장치의 일방향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조향축의 조향각 측정장치의 타방향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조향축의 조향각 측정장치에서 일부구성을 확대하여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조향축의 조향각 측정장치에서 서브기어와 영구자석의 사시도,
도 6은 도 1의 A-A'선을 취하여 본 단면도,
도 7은 도 6에서 서브기어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확대단면도,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조향축의 조향각 측정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조향축의 조향각 측정장치의 일방향 분해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조향축의 조향각 측정장치의 타방향 분해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조향축의 조향각 측정장치에서 일부구성을 확대하여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조향축의 조향각 측정장치에서 서브기어와 영구자석의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1의 A-A'선을 취하여 본 단면도이며, 도 7은 도 6에서 서브기어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확대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차량용 조향축의 조향각 측정장치는, 하부하우징(10)과, 상부하우징(20)과, 메인기어(30)와, 서브기어(40)와, 영구자석(50)과, 회로기판(60) 등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하부하우징(10)에는 조향축(미도시)이 삽입되는 제1삽입공(11)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1삽입공(11)으로부터 일정거리 이격된 위치에서 상기 하부하우징(10)의 상면에는 상방향으로 체결돌기(12)가 돌출 형성되어 있다.
상기 체결돌기(12)의 상단부에는 도 4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체결돌기(12)의 축방향으로 탄성변형되는 다수개의 걸림돌기(13)가 상호 이격되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상기 걸림돌기(13)의 외주면에는 상기 체결돌기(12)에 삽입된 상기 서브기어(40)가 상방향으로 유동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걸림턱(14)이 외측방향으로 돌출 형성되어 있다.
상기 걸림턱(14)은 상부에서 하방향으로 갈수록 그 두께가 점점 커지도록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하부하우징(10)의 상면에는 상기 체결돌기(12)를 중심으로 링 형상의 가이드돌기(15)가 상방향으로 돌출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체결돌기(12)는 2개로 이루어져 있는바, 상기 가이드돌기(15)도 2개로 이루어져 있고, 2개의 상기 가이드돌기(15)는 상호 이격되어 있다.
상기 상부하우징(20)에는 상기 제1삽입공(11)을 관통한 상기 조향축이 삽입되는 제2삽입공(21)이 형성되고, 상기 하부하우징(10)과 결합한다.
상기 상부하우징(20)에는 상기 회로기판(60)에 고정 장착된다.
상기 메인기어(30)는 상기 제1삽입공(11) 및 제2삽입공(21)으로 이루어진 삽입공(11,21)에 회전 가능하게 삽입되고, 상기 조향축이 상기 메인기어(30)를 관통하여 결합된다.
상기 메인기어(30)는 상기 조향축의 회전시 상기 삽입공(11,21)에서 함께 회전하게 된다.
상기 서브기어(40)는 상기 메인기어(30)와 맞물리고, 중심부에 체결공(42)이 상방향으로 관통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서브기어(40)는 2개로 이루어져 상기 메인기어(30)에 맞물려 있으며, 서로 다른 기어비를 가지고 있다.
상기 서브기어(40)의 체결공(42)에는 상기 체결돌기(12)가 삽입되어, 상기 서브기어(40)가 상기 하부하우징(1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서브기어(40)를 상기 체결돌기(12)에 장착할 때, 상기 걸림돌기(13)는 상기 체결돌기(12)의 축방향으로 수축되어 상기 체결공(42)을 관통한 후 확장되고, 상기 걸림턱(14)이 상기 서브기어(40)의 상면에 걸려, 상기 서브기어(40)가 임의로 상기 체결돌기(12)로부터 상방향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위와 같이 상기 서브기어(40)의 중심에 형성된 체결공(42)이 상기 체결돌기(12)에 삽입됨으로써, 상기 서브기어(40)가 이탈됨이 없이 회전되도록 할 수 있고, 또한 2개의 상기 서브기어(40)의 동심도를 맞추기가 용이한 효과가 있다.
상기 서브기어(40)의 하면에는 상기 가이드돌기(15)가 삽입되는 가이드홈(45)이 링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때,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가이드돌기(15)의 돌출길이는 상기 가이드홈(45)의 깊이보다 크게 형성되어, 상기 서브기어(40)의 하면이 상기 하부하우징(10)의 상면과 이격되도록 한다.
위와 같은 상기 가이드돌기(15)에 의해 상기 서브기어(40)의 회전시 상기 하부하우징(10)과의 마찰을 최소화할 수 있고, 상기 체결돌기(12)와 더불어 상기 서브기어(40)의 동심도를 더욱 잘 맞출 수 있다.
상기 가이드돌기(15) 또는 상기 가이드홈(45)에는 윤활유가 도포되어 마찰력과 마모를 방지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서브기어(40)의 상면에는 상기 체결공(42)을 중심으로 하여 상기 회로기판(60)이 배치된 상방향으로 중공돌기(46)가 돌출 형성된다.
이러한 상기 중공돌기(46)의 상단은 상기 회로기판(60)의 하면과 약간 이격되어 있어, 상기 서브기어(40)의 회전시 상기 회로기판(60)과의 마찰이 발생하는 것을 최소화한다.
또한,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중공돌기(46)의 상단과 상기 회로기판(60) 사이의 이격간격은 상기 체결돌기(12)의 길이보다 작게 형성되어, 상기 서브기어(40)가 회전하면서 상방향으로 올라가려고 할 경우에도 상기 체결돌기(12)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회로기판(60)에 막혀 더 이상 올라가지 못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영구자석(50)은 상기 서브기어(40)에 장착되어 있다.
상기 영구자석(50)은 막대 형상 또는 원판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본 실시예와 같이 링 형상으로 형성되도록 한다.
링 형상을 갖는 상기 영구자석(50)은 상기 체결공(42)을 중심으로 하여 상기 서브기어(40)에 장착되고, 좌우방향으로 N극과 S극이 분극되어 착자되어 있다.
위와 같이 상기 영구자석(50)이 링 형상으로 형성됨으로써, 상기 체결공(42)은 관통하는 상기 체결돌기(12)는 상기 영구자석(50)의 간섭없이 상기 서브기어(40)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할 수 있다.
상기 영구자석(50)은 접착제 등을 이용하여 상기 서브기어(40)에 장착할 수도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상기 서브기어(40)가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영구자석(50)은 상기 서브기어(40)에 인서트 사출공정을 통해 일체로 결합되도록 한다.
상기 영구자석(50)을 서브기어(40)에 인서트 사출을 함으로써, 상기 영구자석(50)이 본래 장착되어야 할 정확한 위치에 잘 장착되도록 할 수 있어, 상기 자기소자(65)에서 상기 영구자석(50)의 자속을 보다 잘 측정할 수 있게 된다.
즉, 상기 영구자석(50)을 상기 서브기어(40)의 생산 후 삽입하게 되면 상기 영구자석(50)의 장착시 상기 영구자석(50)이 비뚤어지게 삽입될 수 있고, 접착제를 사용하면 접착제끼리 뭉쳐져 영구자석(50)이 한쪽으로 기울어지거나, 이물질로 인해 상기 영구자석(50)의 한쪽 면이 뜨는 경우가 있다.
그러나, 본 발명과 같이 인서트사출을 하게 되면, 상기 영구자석(50)의 면과 상기 서브기어(40)의 면의 평행도가 맞게 되어, 상기 영구자석(50)을 서브기어(40)의 정확한 위치에 정확하게 장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상기 회로기판(60)은 상기 서브기어(40)의 상부에 배치되어 상기 상부하우징(20)에 장착되고, 상기 서브기어(40)와 함께 회전하는 상기 영구자석(50)의 자속을 측정하는 자기소자(65)가 장착되어 있다.
상기 자기소자(65)는 AMR(Anisotropic Magneto Resistive)센서, GMR(Giant Magneto Resistance)센서, 홀센서 등으로 이루어진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서브기어(40)는 2개로 이루어져 있는바, 상기 자기소자(65)도 2개로 이루어져 있다.
이러한 상기 자기소자(65)는 상기 중공돌기(46)의 안쪽에서 상기 영구자석(50)의 중심부에 위치한 상기 체결돌기(12)의 상부에 배치되도록 한다.
이하, 상술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조립 및 작동과정에 대하여 살펴본다.
인서트사출을 통해 상기 영구자석(50)의 상기 서브기어(40)와 일체로 결합되도록 한다.
그 후 상기 메인기어(30) 및 서브기어(40)를 상기 하부하우징(10)에 장착한다.
상기 메인기어(30)는 상기 제1삽입공(11)에 끼워서 조립한다.
상기 서브기어(40)는 상기 체결돌기(12)의 상부에서 하방향으로 눌려 조립한다.
이때, 상기 체결돌기(12)가 하방향으로 하강함에 따라 상기 체결공(42)에는 상기 걸림돌기(13)가 삽입되고, 이때 상기 걸림돌기(13)는 상기 체결돌기(12)의 축방향으로 수축되면서 상기 체결공(42)을 관통하게 된다.
상기 체결공(42)을 관통한 상기 걸림돌기(13)는 원상태로 확장되고, 상기 걸림돌기(13)에 형성된 상기 걸림턱(14)이 상기 서브기어(40)의 상면에 걸려, 상기 서브기어(40)는 임의로 상방향으로 이동하지 않게 된다.
이때, 상기 서브기어(40)가 상기 체결돌기(12)에 조립됨에 따라 상기 가이드돌기(15)는 상기 가이드홈(45)에 삽입되게 된다.
위와 같은 공정을 통해 상기 메인기어(30)와 서브기어(40)는 상기 하부하우징(10)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메인기어(30)와 서브기어(40)는 서로 맞물리게 된다.
그리고, 상기 상부하우징(20)의 하면에 상기 자기소자(65)가 장착되어 있는 상기 회로기판(60)을 장착한다.
그 후 상기 자기소자(65)가 상기 중공돌기(46)의 내부에 배치되도록 상기 상부하우징(20)을 상기 하부하우징(10)에 덮어 조립함으로써, 본 발명의 조향각 측정장치는 조립 완성되게 된다.
한편, 차량용 조향축이 상기 메인기어(30)에 삽입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조향축이 회전하게 되면 상기 메인기어(30)도 함께 회전하게 된다.
상기 메인기어(30)가 회전됨에 따라 상기 메인기어(30)와 맞물려 있는 상기 서브기어(40)는 상기 체결돌기(12)를 중심으로 하여 회전하게 된다.
이때, 상기 서브기어(40)는 중심축을 이루는 상기 체결돌기(12)와, 링 형상의 상기 가이드돌기(15)에 의해 흔들림없이 동심을 그리며 회전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돌기(15)와 가이드홈(45)에 의해 상기 서브기어(40)의 하면은 상기 하부하우징(10)의 상면과 이격되어, 상기 서브기어(40)는 상기 하부하우징(10)과의 마찰을 최소화하면서 회전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서브기어(40)가 회전됨에 따라 상기 영구자석(50)도 함께 회전하게 되고, 상기 자기소자(65)는 회전하는 상기 영구자석(50)의 자속을 측정함으로써 상기 서브기어(40)의 회전방향 및 각도를 측정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자기소자(65)에서 측정된 상기 서브기어(40)의 회전방향 및 각도는 마이콤에 의해 절대조향각으로 연산된 후 ECU등에 전송된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서브기어(40)가 상기 걸림턱(14)에 의해 상방향으로 이동하지 못하는바, 상기 영구자석(50)과 상기 자기소자(65)의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시킬 수 있어, 상기 자기소자(65)가 상기 영구자석(50)의 자속을 보다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걸림돌기(13) 등의 파손에 의해 회전하는 상기 서브기어(40)가 상방향으로 이동하려고 할 경우, 상기 중공돌기(46)의 상단과 상기 회로기판(60) 사이의 이격간격이 상기 체결돌기(12)의 길이보다 작기 때문에, 상기 서브기어(40)는 상기 체결돌기(12)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회로기판(60)에 걸려 더 이상 상승하지 못하여 상기 서브기어(40)가 상기 체결돌기(12)로부터 분리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차량용 조향축의 조향각 측정장치는, 조향각만을 측정하는 장치에 적용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조향각과 토크를 모두 측정하는 장치에 적용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인 차량용 조향축의 조향각 측정장치는 전술한 실시예에 국한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이 허용되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10 : 하부하우징, 11 : 제1삽입공, 12 : 체결돌기, 13 : 걸림돌기, 14 : 걸림턱, 15 : 가이드돌기,
20 : 상부하우징, 21 : 제2삽입공,
30 : 메인기어,
40 : 서브기어, 42 : 체결공, 45 : 가이드홈, 46 : 중공돌기,
50 : 영구자석,
60 : 회로기판, 65 : 자기소자

Claims (6)

  1. 조향축이 삽입되는 제1삽입공이 형성되고, 상방향으로 체결돌기가 돌출 형성된 하부하우징과;
    조향축이 삽입되는 제2삽입공이 형성되고, 상기 하부하우징과 결합하는 상부하우징과;
    상기 제1삽입공 및 제2삽입공으로 이루어진 삽입공에 삽입되어 상기 조향축과 결합되는 메인기어와;
    상기 메인기어와 맞물리고, 중심부에 형성된 체결공에 상기 체결돌기가 삽입되는 다수개의 서브기어와;
    상기 서브기어에 장착된 영구자석과;
    상기 서브기어의 상부에 배치되고, 상기 서브기어와 함께 회전하는 상기 영구자석의 자속을 측정하는 자기소자가 장착된 회로기판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조향축의 조향각 측정장치.
  2. 청구항1에 있어서,
    상기 체결돌기의 상단부에는 상기 체결돌기의 축방향으로 탄성변형되는 다수개의 걸림돌기가 상호 이격되어 형성되되,
    상기 걸림돌기의 외주면에는 상기 체결돌기에 삽입된 상기 서브기어가 상방향으로 유동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걸림턱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조향축의 조향각 측정장치.
  3. 청구항1에 있어서,
    상기 서브기어는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지되,
    상기 영구자석은 상기 서브기어에 인서트 사출되어 일체로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조향축의 조향각 측정장치.
  4. 청구항1 또는 청구항3에 있어서,
    상기 영구자석은 링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체결공을 중심으로 하여 배치되고,
    상기 영구자석은 좌우방향으로 분극되어 있으며,
    상기 자기소자는 상기 영구자석의 중심부에 배치된 상기 체결돌기의 상부에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조향축의 조향각 측정장치.
  5. 청구항1 또는 청구항2에 있어서,
    상기 하부하우징에는 상기 체결돌기를 중심으로 링 형상의 가이드돌기가 상방향으로 돌출 형성되고,
    상기 서브기어의 하면에는 상기 가이드돌기가 삽입되는 가이드홈이 형성되되,
    상기 가이드돌기의 돌출길이는 상기 가이드홈의 깊이보다 커 상기 서브기어의 하면이 상기 하부하우징의 상면과 이격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조향축의 조향각 측정장치.
  6. 청구항1에 있어서,
    상기 서브기어에는 상기 회로기판이 배치된 상방향으로 중공돌기가 돌출 형성되되,
    상기 중공돌기의 상단은 상기 회로기판의 하면과 이격되어 있고,
    상기 자기소자는 상기 중공돌기의 안쪽에 배치되며,
    상기 중공돌기의 상단과 상기 회로기판 사이의 이격간격은 상기 체결돌기의 길이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조향축의 조향각 측정장치.
KR1020120149630A 2012-12-20 2012-12-20 차량용 조향축의 조향각 측정장치 KR10150628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49630A KR101506285B1 (ko) 2012-12-20 2012-12-20 차량용 조향축의 조향각 측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49630A KR101506285B1 (ko) 2012-12-20 2012-12-20 차량용 조향축의 조향각 측정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80880A true KR20140080880A (ko) 2014-07-01
KR101506285B1 KR101506285B1 (ko) 2015-03-27

Family

ID=517323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49630A KR101506285B1 (ko) 2012-12-20 2012-12-20 차량용 조향축의 조향각 측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06285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764071A1 (en) * 2019-07-09 2021-01-13 Jtekt Corporation Sensor device
WO2021083916A1 (en) * 2019-10-31 2021-05-06 Robert Bosch Gmbh Steering angle sensor
WO2023128719A1 (ko) * 2022-01-03 2023-07-06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센싱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20165869A (ja) * 2019-03-29 2020-10-08 株式会社ジェイテクト センサ装置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62048B1 (ko) * 2008-06-13 2010-06-08 (주)신창코넥타 차량의 스티어링 휠의 조향각 검출용 센서장치 및 그제조방법
JP5097800B2 (ja) * 2010-06-09 2012-12-12 アルプス電気株式会社 回転角センサ
KR101203689B1 (ko) * 2010-08-10 2012-11-22 대성전기공업 주식회사 스티어링 휠 각도 센서 유니트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764071A1 (en) * 2019-07-09 2021-01-13 Jtekt Corporation Sensor device
US11300464B2 (en) 2019-07-09 2022-04-12 Jtekt Corporation Sensor device
WO2021083916A1 (en) * 2019-10-31 2021-05-06 Robert Bosch Gmbh Steering angle sensor
WO2023128719A1 (ko) * 2022-01-03 2023-07-06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센싱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06285B1 (ko) 2015-03-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06285B1 (ko) 차량용 조향축의 조향각 측정장치
CN104515635B (zh) 转矩转位传感器
US7285952B1 (en) Rotation angle detecting device
JP5680962B2 (ja) 軸貫通非接触の多回転絶対位置磁気センサ
JP6244374B2 (ja) 車両の車輪における回転数を測定するためのセンサ装置、車両用のブレーキシステム及びそれを有する車両、並びに、車両の車輪における回転数を測定するためのセンサ装置の使用
KR102055800B1 (ko) 토크센서
JP2006234573A (ja) 回転角度検出装置
CN109313006B (zh) 用于高准确度磁位置感测的系统、方法和物体
KR20150028343A (ko) 각 위치 센서
KR20160070757A (ko) 클러치 센서 시스템
KR101339503B1 (ko) 토크 앵글 감지 장치
KR100962048B1 (ko) 차량의 스티어링 휠의 조향각 검출용 센서장치 및 그제조방법
KR200470310Y1 (ko) 차량용 조향장치의 센서
US20180120182A1 (en) Torque angle sensor module
JP2017215148A5 (ko)
US10416001B2 (en) Magnet arrangement for rotational angle detection
KR102103536B1 (ko) 레인지 로터리 센서 유니트
US10451441B2 (en) Magnet device for position sensor, magnet assembly and sensing system including the magnet assembly
KR101234457B1 (ko) 센서
JP2004205370A (ja) 回転角検出装置
US11292518B2 (en) Absolute steering angle sensor assembly
JP2006047228A (ja) 回転角度検出装置
KR101740695B1 (ko) 다극 착자 영구자석 엔코더
JP2014059224A (ja) 2軸ポジションセンサ及びそれを用いたシフトポジションセンサ
JP2014065367A (ja) 回転角度・トルク検出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27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