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80562A - 에어플레인 모드에서 행해진 이머전시 콜에 후속하는 착신 페이지들을 가능하게 하는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에어플레인 모드에서 행해진 이머전시 콜에 후속하는 착신 페이지들을 가능하게 하는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80562A
KR20140080562A KR1020147016240A KR20147016240A KR20140080562A KR 20140080562 A KR20140080562 A KR 20140080562A KR 1020147016240 A KR1020147016240 A KR 1020147016240A KR 20147016240 A KR20147016240 A KR 20147016240A KR 20140080562 A KR20140080562 A KR 2014008056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gistration message
mobile station
mode
emergency
networ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70162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아시쉬 말릭
사티쉬 바부 구티콘다
자가디쉬와르 닐라
Original Assignee
퀄컴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퀄컴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퀄컴 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201400805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8056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90Services for handling of emergency or hazardous situations, e.g. earthquake and tsunami warning systems [ETW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50Connection management for emergency connec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60/00Affiliation to network, e.g. registration; Terminating affiliation with the network, e.g. de-registration
    • H04W60/04Affiliation to network, e.g. registration; Terminating affiliation with the network, e.g. de-registration using triggered ev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Public Health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Alarm Systems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이머전시 콜 상황에서의 사용을 위한 디바이스들, 방법들 및 시스템들. 예를 들어, 일 실시형태에서, 모바일 무선 디바이스는, 네트워크가 이동 디바이스의 활성 상태에 대해 인지하는 것을 보장하기 위해, 모바일 디바이스가 에어플레인 모드에 있는 동안 행해진 이머전시 콜 후에 발생하는 이머전시 콜백 모드의 종료 시에 등록 메시지를 송신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모바일 디바이스의 사용자는 이머전시 콜백 모드의 중단 후에 모든 착신 콜들을 수신하여, 사용자에게서 착신 콜들을 수신하는 것에 대한 그들의 무능을 모르는 불편을 경감시킬 수 있다. 다른 양태들, 실시형태들 및 특징들이 또한 청구되고 기술된다.

Description

에어플레인 모드에서 행해진 이머전시 콜에 후속하는 착신 페이지들을 가능하게 하는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ENABLING INCOMING PAGES FOLLOWING AN EMERGENCY CALL MADE IN AIRPLANE MODE}
본 출원은 2011년 11월 14일자로 미국특허청에 출원된 미국 가특허출원 제 61/559,697 호에 대한 우선권 및 이익을 주장하며, 그 전체의 내용이 모든 적용가능한 목적들을 위해 그리고 아래에 전부 진술된 것처럼 참조로 여기에 병합된다.
본 개시의 양태들은 일반적으로 무선 통신 시스템들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에어플레인 모드 또는 다른 덜 완전히 인에이블된 동작 모드들 동안 이머전시 콜들을 가능하게 하도록 구성된 이동 무선 디바이스들, 통신 컴포넌트들, 및 스테이션들에 관한 것이다.
무선 통신 네트워크들은 전화, 비디오, 데이터, 메시징, 브로드캐스트들 등과 같은 여러 통신 서비스들을 제공하도록 널리 전개되어 있다. 통상 다중 액세스 네트워크들인 그러한 네트워들은 이용가능한 네트워크 리소스들을 공유함으로써 다수의 사용자들을 위한 통신들을 지원한다.
다수의 종래의 무선 통신 네트워크들에서, 이동 무선국들은 에어플레인 모드로 진입할 능력이 제공된다. 에어플레인 모드는 이동국이 네크워크로 파워 다운 등록 메시지를 송신하고 비등록 상태로 진입하며, 그의 통신 인터페이스를 턴 오프하여 에어플레인의 통신 시스템들과 간섭하지 않게 하는 이동국을 위한 동작 모드를 지칭한다.
에어플레인 모드를 제공하는 일부 이동국들은 에어플레인 모드에 있는 동안, 예를 들어 911 또는 다른 이머전시 번호을 다이얼링함으로써, 사용자가 이머전시 콜들을 행하는 것을 허용한다. 이러한 경우에, 코어 네트워크에의 통상적인 등록을 겪지 않고, 이동국은 에어플레인 모드를 빠져나가고, 그의 통신 인터페이스를 턴 온하며, 가까운 기지국에 연결하여 이머전시 콜을 행한다. 이머전시 콜을 완료한 후, 이동국은 통상 이머전시 콜백 모드로 진입하고, 여기서 사용자는 비이머전시 콜들을 다이얼링하는 것이 금지되고, 이머전시 당국은 사용자를 로케이팅하고/하거나 사용자에게 콜 백 (call back) 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들은 이들 및 다른 이슈들을 다루도록 제공된다.
다음은 본 개시의 하나 이상의 양태들의 단순화된 개요를, 그러한 양태들의 기본적인 이해를 제공하기 위해 제시한다. 이러한 개요는 본 개시의 모든 고려되는 특징들에 대한 확장된 개관이 아니고, 본 개시의 모든 양태들의 중요하거나 중대한 엘리먼트들을 식별하도록 의도되지도 않고, 본 개시의 임의의 또는 모든 양태들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으로 의도되지도 않는다. 그의 유일한 목적은 이후에 제시되는 상세한 설명에 대한 서막으로서 본 개시의 하나 이상의 양태들의 일부 개념들을 단순화된 형태로 제시하는 것이다.
일 양태에서, 본 개시는 이동국에서 동작가능한 무선 통신의 방법을 제공한다. 여기서, 방법은 미등록 상태로 진입하기 위해 파워 다운 등록 메시지를 송신하는 단계, 미등록 상태에 있는 동안 이머전시 콜을 행하는 단계, 이머전시 콜의 종료 시에 이머전시 콜백 모드로 진입하는 단계, 및 이머전시 콜백 모드의 종료 시에 등록 메시지를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개시의 다른 양태는 무선 통신을 위해 구성된 이동국을 제공하며, 미등록 상태로 진입하기 위해 파워 다운 등록 메시지를 송신하는 수단, 미등록 상태에 있는 동안 이머전시 콜을 행하는 수단, 이머전시 콜의 종료 시에 이머전시 콜백 모드로 진입하는 수단, 및 이머전시 콜백 모드의 종료 시에 등록 메시지를 송신하는 수단을 포함한다.
본 개시의 다른 양태는 무선 통신을 위해 구성된 이동국을 제공하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커플링된 통신 인터페이스, 및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커플링된 메모리를 포함한다. 여기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미등록 상태로 진입하기 위해 파워 다운 등록 메시지를 송신하고, 미등록 상태에 있는 동안 이머전시 콜을 행하며, 이머전시 콜의 종료 시에 이머전시 콜백 모드로 진입하고, 이머전시 콜백 모드의 종료 시에 등록 메시지를 송신하도록 구성된다.
본 개시의 다른 양태는 무선 통신을 위해 구성된 이동국에서 동작가능한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을 제공하고, 컴퓨터로 하여금 미등록 상태로 진입하기 위해 파워 다운 등록 메시지를 송신하게 하는 명령들, 컴퓨터로 하여금 미등록 상태에 있는 동안 이머전시 콜을 행하게 하는 명령들, 컴퓨터로 하여금 이머전시 콜의 종료 시에 이머전시 콜백 모드로 진입하게 하는 명령들, 및 컴퓨터로 하여금 이머전시 콜백 모드의 종료 시에 등록 메시지를 송신하게 하는 명령들을 갖는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들, 특징들 및 실시형태들은 첨부하는 도면과 함께 본 발명의 특정의, 예시적인 실시형태들에 대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검토할 때,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들에게 명확하게 될 것이다. 본 발명의 특징들은 이하에 소정의 실시형태들 및 도면들에 대해 논의될 수도 있지만, 본 발명의 모든 실시형태들은 여기에 논의된 이로운 특징들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즉, 하나 이상의 실시형태들이 소정의 이로운 특징들을 갖는 것으로서 논의될 수도 있지만, 그러한 특징들의 하나 이상은 또한 여기에 논의된 발명의 여러 실시형태들에 따라 사용될 수도 있다. 유사한 방식으로, 예시적인 실시형태들이 디바이스, 시스템 또는 방법 실시형태들로서 아래에 논의될 수도 있지만, 그러한 예시적인 실시형태들은 여러 디바이스들, 시스템들 및 방법들에서 구현될 수 있다.
도 1 은 본 발명의 일부 실시형태들에 따른 프로세싱 시스템을 사용하는 장치를 위한 하드웨어 구현의 예를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2 는 본 발명의 일부 실시형태들에 따른 통신 시스템의 예를 개념적으로 예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3 은 본 발명의 일부 실시형태들에 따른 이동국에서 미싱된 콜들을 초래하는 문제 케이스의 일 예를 예시하는 콜 흐름도이다.
도 4 는 본 발명의 일부 실시형태들에 따른 도 3 에 도시된 문제 케이스를 감소시키거나 제거하기 위한 예시적인 프로세스를 도시하는 콜 흐름도이다.
도 5 는 본 발명의 일부 실시형태들에 따라 이머전시 콜백 모드의 종료 시 이동국이 등록 메시지를 송신하는 예시적인 프로세스를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첨부된 도면들과 관련하여 이하에 진술된 상세한 설명은 여러 구성들의 설명으로서 의되되고, 여기에 기술된 개념들이 실시될 수도 있는 유일한 구성들을 나타내도록 의도되지 않는다. 상세한 설명은 여러 개념들의 철저한 이해를 제공할 목적으로 특정의 상세들을 포함한다. 그러나, 이들 개면들이 이들 특정의 상세들 없이 실시될 수도 있다는 것이 통상의 기술자에게는 명백할 것이다. 일부 경우들에서는, 잘 알려진 구조들 및 컴포넌트들은 그러한 개념들을 모호하게 하는 것을 피하기 위해 블록도 형태로 도시된다.
본 개시의 여러 양태들은 에어플레인 모드에 있는 이동국이 예를 들어 911 을 다이얼링함으로써 이머전시 콜을 행하는데 사용되는 경우 발생하는 이슈를 다루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이러한 시나리오에서, 이동국은 그것이 에어플레인 모드로 진입할 때 네크워크에 대해 등록 해제되기 때문에, 이머전시 콜 및 후속하는 이머전시 콜백 모드가 완료한 후, 이동국은 그것이 네트워크에 적절하게 연결되어 있다고 믿을 수도 있지만, 네트워크는 이동국의 음성 메일로 착신 콜들을 라우팅하기를 계속할 수도 있다. 따라서, 본 개시의 일부 양태들은 이동국으로 하여금 이머전시 콜백 모드의 종료 시 등록 메시지를 명시적으로 송신하게 할 수도 있다.
도 1 은 프로세싱 시스템 (114) 을 사용하는 장치 (100) (예를 들어, 이동국) 에 대한 하드웨어 구현의 예를 도시하는 개념도이다. 본 개시의 여러 양태들에 따라, 엘리먼트, 엘리먼트의 임의의 부분, 또는 엘리먼트들의 임의의 조합이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 (104) 을 포함하는 프로세싱 시스템 (114) 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프로세서들 (104) 의 예들은 마이크로프로세서들, 마이크로제어기들,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들 (DSPs), 필드 프로그래머블 게이트 어레이들 (FPGAs), 프로그래머블 로직 디바이스들 (PLDs), 상태 머신들, 게이트 로직, 이산 하드웨어 회로들, 및 본 개시를 통새 기술된 여러 기능성을 수행하도록 구성된 다른 적합한 하드웨어를 포함한다.
이러한 예에서, 프로세싱 시스템 (114) 은 일반적으로 버스 (102) 로 표현된 버스 아키텍쳐로 구현될 수도 있다. 버스 (102) 는 임의의 수의 상호연결 버스들을 포함하고 프로세싱 시스템 (114) 의 특정의 애플리케이션 및 전체 설계 제약들에 따라 브리지한다. 버스 (102) 는 (프로세서 (104) 로 일반적으로 표현되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 메모리 (105), 및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 (106) 로 일반적으로 표현되는)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를 포함하는 여러 회로들을 함께 링크한다. 버스 (102) 는 또한 본 기술 분야에서 잘 알려져 있고, 따라서 더 상세히 기술되지 않을 타이밍 소스들, 주변장치들, 전압 조정기들, 및 전력 관리 회로들과 같은 여러 다른 회로들을 링크할 수도 있다. 버스 인터페이스 (108) 는 버스 (102) 와 송수신기 (110) 사이의 인테페이스를 제공한다. 송수신기 (110) 는 송신 매체를 통해 여러 다른 장치와 통신하기 위한 유선 및/또는 무선 수단을 제공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송신기들 및/또는 수신기들을 포함할 수도 있다. 장치의 특성에 따라, 사용자 인터페이스 (112) (예를 들어, 키패드, 디스플레이, 스피커, 마이크로폰, 조이스틱) 가 또한 제공될 수도 있다.
프로세서 (104) 는 버스 (102) 를 관리하고,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 (106) 에 저장된 소프트웨어의 실행을 포함하는 일반적인 프로세싱을 담당한다. 프로세서 (104) 에 의해 실행될 때 소프트웨어는 프로세싱 시스템 (114) 으로 하여금 임의의 특정의 장치를 위해 아래에 기술된 여러 기능들을 수행하게 한다.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 (106) 는 또한 소프트웨어를 실행할 때 프로세서 (104) 에 의해 조작되는 데이터를 저장하는데 사용될 수도 있다.
프로세싱 시스템 내의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 (104) 은 소프트웨어를 실행할 수도 있다. 소프트웨어는 소프트웨어, 펌웨어, 미들웨어, 마이크로코드, 하드웨어 기술 언어, 또는 다를 것으로서 지칭되든지 간에, 명령들, 명령 세트들, 코드, 코드 세그먼트들, 프로그램 코드, 프로그램들, 서브프로그램들, 소프트웨어 모듈들, 애플리케이션들,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들, 소프트웨어 패키지들, 루틴들, 서브루틴들, 오브젝트들, 실행가능물들, 실행의 스레드들, 프로시져들, 함수들 등을 의미하는 것으로 넓게 해석될 것이다. 소프트웨어는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 (106) 에 상주할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 (106) 는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일 수도 있다.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는, 예로써 자기 저장 디바이스 (예를 들어,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자기 스트립), 광학 디스크 (예를 들어, 컴팩트 디스크 (CD), 또는 DVD (digital versatile disc)), 스마트 카드, 플래시 메모리 디바이스 (예를 들어, 카드, 스틱, 또는 키 드라이브), 랜덤 액세스 메모리 (RAM), 리드 온리 메모리 (ROM), 프로그래머블 ROM (PROM), 소거가능 PROM (EPROM), 전기적으로 소거가능 PROM (EEPROM), 레지스터, 착탈가능 디스크, 및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되거나 판독될 수도 있는 소프트웨어 및/또는 명령들을 저장하기 위한 임의의 다른 적합한 매체를 포함한다.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는 또한 예로써 반송파, 송신 라인, 및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되거나 판독될 수도 있는 소프트웨어 및/또는 명령들을 송신하기 위한 임의의 다른 적합한 매체를 포함할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 (106) 는 프로세싱 시스템 (114) 에, 프로세싱 시스템 (114) 의 외부에, 또는 프로세싱 시스템 (114) 을 포함하는 다수의 엔티티들에 걸쳐 분포되어 상주할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 (106) 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에서 구현될 수도 있다. 예로써,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패키징 재료 내에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를 포함할 수도 있다. 통상의 기술자는 특정의 애플리케이션 및 전체 시스템에 부과된 전체 설계 제약들에 따라 본 개시에 걸쳐 제시된 기술된 기능을 얼마나 잘 구현하는지를 인식할 것이다.
본 개시를 통해 제시된 여러 개념들은 다양한 통신 시스템들, 네트워크 아키텍쳐들 및 통신 표준들에 걸쳐 구현될 수도 있다. 도 2 를 참조하면, 제한 없이 예시로서, 본 개시의 다양한 양태들이 UMTS (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s System) 시스템 200 을 참조하여 도시된다. UMTS 네트워크는 3 개의 인터페이싱 도메인들을 포함한다: 코어 네트워크 (204), 무선 액세스 네크워크 (RAN) (예를 들어, UMTS 지상 라디오 액세스 네트워크 (UTRAN) 202), 및 사용자 장비 (UE) (210). 일부 예들에서, UE (210) 는 이동국 (100) 과 동일할 수도 있다; 그러나 본 개시의 범위 내에서, 임의의 적합한 사용자 장비 (210) 가 시스템 (200) 에서 사용될 수도 있다.
UTRAN (202) 을 위해 이용가능한 수개의 옵션들 중, 이러한 예에서, 예시된 UTRAN (202) 은 전화, 비디오, 데이터, 메시징, 브로드캐스트들, 및/또는 다른 서비스들을 포함하는 여러 무선 서비스들을 가능하게 하는 W-CDMA 공중 인터페이스를 채용할 수도 있다. UTRAN (202) 은 RNC (206) 와 같은 각각의 RNC (Radio Network Controller) 에 의해 각각 제어되는 RNS (207) 와 같은 복수의 RNS (Radio Network Subsystem) 를 포함할 수도 있다. 여기서, UTRAN (202) 은 예시된 RNC (206) 들 및 RNS (207) 들에 추가하여 임의의 수의 RNC (206) 들 및 RNS (207) 들을 포함할 수도 있다. RNC (206) 는 무엇보다도 RNS (207) 내의 무선 리소스들을 할당, 재구성, 및 릴리스하는 것을 담당하는 장치이다. RNC (206) 는 임의의 적합한 전송 네트워크를 사용하여 직접 물리적 연결, 가상의 네트워크 등과 같은 여러 타입들의 인터페이스들을 통해 UTRAN (202) 내의 다른 RNC 들 (도시하지 않음) 에 상호연결될 수도 있다.
RNS (207) 에 의해 커버되는 지리적 영역은 각 셀을 서빙하는 무선 송수신기 장치로, 다수의 셀들로 분할될 수도 있다. 무선 송수신기 장치는 통상 UMTS 애플리케이션들에서 노드 B 로서 지칭되지만, 기지국 (BS), 기지국 송수신기 (BTS), 무선 기지국, 무선 송수신기, 송수신기 기능, 기본 서비스 세트 (BSS), 확장된 서비스 세트 (ESS), 액세스 포인트 (AP), 또는 일부 다른 적합한 용어로서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또한 지칭될 수도 있다. 명확성을 위해, 3개의 노드 B (208) 들이 각 RNS (207) 에 도시되어 있다; 그러나 RNS (207) 는 임의의 수의 무선 노드 B 들을 포함할 수도 있다. 노드 B (208) 들은 임의의 수의 모바일 장치들을 위해 코어 네트워크 (204) 에 무선 액세스 포인트들을 제공한다. 모바일 장치의 예들은 셀룰러 폰, 스마트 폰, 세션 개시 프로토콜 (SIP) 전화, 랩톱, 노트북, 넷북, 스마트북, 개인용 휴대정보단말 (PDA), 위성 라디오, 글로벌 포지셔닝 시스템 (GPS) 디바이스, 멀티미디어 디바이스, 비디오 디바이스, 디지털 오디오 플레이어 (예를 들어, MP3 플레이어), 카메라, 게임 콘솔, 또는 임의의 다른 유사한 기능 디바이스를 포함한다. 모바일 장치는 통상 UMTS 애플리케이션들에서 사용자 장비 (UE) 로서 지칭되지만, 또한 이동국 (MS), 가입자국, 모바일 유닛, 가입자 유닛, 무선 유닛, 원격 유닛, 모바일 디바이스, 무선 디바이스, 무선 통신 디바이스, 원격 디바이스, 모바일 가입자국, 액세스 단말기 (AT), 모바일 단말기, 무선 단말기, 원격 단말기, 핸드셋, 단말기, 사용자 에이전트, 모바일 클라이언트, 클라이언트, 또는 일부 다른 적합한 용어로서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지칭될 수도 있다. UMTS 시스템에서, UE (210) 는 네크워크에 대한 사용자의 가입 정보를 포함하는 USIM (universal subscriber identity module) (211) 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예시적인 목적들로, 하나의 UE (210) 가 다수의 노드 B (208) 들과 통신하고 있는 것으로 도시된다. 순방향 링크로도 불리는 다운링크 (DL) 는 노드 B (208) 로부터 UE (210) 로의 통신 링크를 지칭하고, 역방향 링크로도 불리는 업링크 (UL) 는 UE (210) 로부터 노드 B (208) 로의 통신 링크를 지칭한다.
코어 네트워크 (204) 는 UTRAN (202) 과 같은 하나 이상의 액세스 네트워크들과 인터페이스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코어 네트워크 (204) 는 UMTS 코어 네트워크이다. 그러나, 통상의 기술자들이 인식하는 바와 같이, 본 개시에 걸쳐 제시된 여러 개념들은, UMTS 네트워크들 이외의 코어 네트워크들의 타입들에 대한 액세스를 UE 들에 제공하기 위해, RAN, 또는 다른 적합한 액세스 네트워크에서 구현될 수도 있다.
예시된 UMTS 코어 네트워크 (204) 는 회선 교환 (circuit-switched: CS) 도메인 및 패킷 교환 (packet-switched: PS) 도메인을 포함한다. 회선 교환 엘리먼트들의 일부는 모바일 서비스 스위칭 센터 (MSC), 방문자 로케이션 레지스터 (VLR), 및 게이트웨이 MSC (GMSC) 이다. 패킷 교환 엘리먼트들은 서빙 GPRS 서포트 노드 (SGSN) 및 게이트웨이 GPRS 서포트 노드 (GGSN) 를 포함한다. EIR, HLR, VLR, 및 AuC 같은 일부 네트워크 엘리먼트들은 회선 교환 도메인 및 패킷 교환 도메인의 양자 모두에 의해 공유될 수도 있다.
예시된 예에서, 코어 네트워크 (204) 는 MSC (212) 및 GMSC (214) 로 회선 교환 서비스들을 지원한다. 일부 애플리케이션들에서, GMSC (214) 는 미디어 게이트웨이 (MGW) 로서 지칭될 수도 있다. RNC (206) 와 같은 하나 이상의 RNC 들이 MSC (212) 에 연결될 수도 있다. MSC (212) 는 콜 셋업, 콜 라우팅, 및 UE 이동성 기능들을 제어하는 장치이다. MSC (212) 는 또한 UE 가 MSC (212) 의 커버리지 영역에 있는 기간 동안 가입자 관련 정보를 포함하는 방문자 로케이션 레지스터 (VLR) 을 포함한다. GMSC (214) 는 회선 교환 네트워크 (216) 에 액세스하는 UE 에 대한 MSC (212) 를 통한 게이트웨이를 제공한다. GMSC (214) 는 특정의 사용자가 가입한 서비스들의 상세를 반영하는 데이터와 같은 가입자 데이터를 포함하는 홈 로케이션 레지스터 (HLR) (215) 를 포함한다. HLR 은 또한 가입자 특정 인증 데이터를 포함하는 인증 센터 (AuC) 와 연관된다. 특정의 UE 에 대해 콜이 수신되면, GMSC (214) 는 UE 의 로케이션을 결정하기 위해 HLR (215) 에 질의하고, 해당 로케이션을 서빙하는 특정의 MSC 로 콜을 포워드한다.
예시된 코어 네트워크 (204) 는 또한 서빙 GPRS 서포트 노드 (SGSN) (218) 및 게이트웨이 GPRS 서포트 노드 (GGSN) (220) 으로 패킷 교환 데이터 서비스들을 지원한다. 일반 패킷 무선 서비스 (GPRS) 는 표준 회선 교환 데이터 서비스들과 함께 이용가능한 것들보다 더 높은 속도로 패킷 데이터 서비스들을 제공하도록 설계된다. GGSN (220) 은 UTRAN (202) 에 패킷 기반 네트워크 (222) 에 대한 연결을 제공한다. 패킷 기반 네트워크 (222) 는 인터넷, 사설 데이터 네트워크, 또는 일부 다른 적합한 패킷 기반 네트워크일 수도 있다. GGSN (220) 의 주요 기능은 UE (210) 들에 패킷 기반 네트워크 연결성 (connectivity) 을 제공하는 것이다. 데이터 패킷들은 MSC (212) 가 회선 교환 도메인에서 수행하는 것과 패킷 기반 도메인에서 동일한 기능들을 주로 수행하는 SGSN (218) 을 통해 GGSN (220) 및 UE (210) 들 사이에서 전송될 수도 있다.
본원에서 참조된 용어 "에어플레인 모드" 는 사용자가 에어플레인 상에서 디바이스를 동작시키는 중의 디바이스의 제한된 동작을 함축하는 반면, 그 용어는 제한되지 않고 오히려 더 넓은 의미를 갖는 것으로 의도된다. 상술된 바와 같이, 에어플레인 모드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이동국 (예를 들어, 사용자 장비) 에 대한 동작 모드를 지칭하며, 여기서 이동국은 네트워크에 파워 다운 등록 메시지를 송신하고, 미등록 상태로 진입하며, 그의 통신 인터페이스를 턴 오프하여 에어플레인의 통신 시스템들과 간섭하지 않도록 한다. 무선 디바이스들에 대한 유사한 동작 모드들은 오프라인 모드, 스탠드얼론 모드, 또는 임의의 다른 적합한 용어 (예를 들어, 스페셜 모드) 로 칭해질 수도 있다. 또, 그러나, 용어 에어플레인 모드는 일반적으로 통신 인터페이스가 이동국에서 디스에이블되는 임의의 모드를 지칭한다. 예를 들어, 에어플레인 모드는 디바이스가 덜 완전하게 인에이블된 상태에서 동작되는 모드들, 하나 이상의 통신 인터페이스들이 동작불가능한 모드들, 그리고 보다 일반적으로는 디바이스의 컴포넌트들 (예를 들어, 프로세서, 수신기, 송신기, 무선 장치 (radio), 통신 인터페이스) 이 제한되거나, 턴 오프되거나, 동작불가능한 모드들을 포함할 수 있다. 또, 많은 디바이스들은 덜 완전하게 인에이블된 상태들에서 동작하도록 설계된 동작 상태들을 가지므로, 본 발명의 실시형태들이 이동국들과 함께 논의될 수도 있지만, 다른 타입들의 컴포넌트들이 에어플레인 모드 상태에서 동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컴퓨터들, 스마트폰들, 랩톱들, 태블릿 컴퓨터들, 모바일 엔터테인 디바이스들, 및 많은 다른 디바이스들이 무선 신호들을 방출 및 수신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에어플레인 모드에 있는 동안, 일부 디바이스들은 예를 들어 911 또는 다른 이머전시 번호를 다이얼링함으로써, 사용자가 이머전시 콜들을 행하는 것을 허용하는 에어플레인 모드를 가능하게 한다. 이러한 경우에, 코어 네트워크에의 통상적인 등록을 수행하지 않고, 이동국은 에어플레인 모드를 빠져나가고, 그의 통신 인터페이스를 턴 온하며, 근처의 기지국에 연결하여 이머전시 콜을 행한다. 이머전시 콜을 완료한 후, 이동국은 통상적으로 이머전시 콜백 모드에 진입하고, 여기서 사용자는 비이머전시 콜들을 다이얼링하는 것이 금지되고, 이머전시 당국은 사용자를 로케이팅하고 및/또는 사용자에게 콜 백 (call back) 할 수도 있다.
소정의 시간 주기 후에, 이머전시 콜백 모드는 종료한다. 통상의 환경들 하에서, 모바일은 그의 의도된 거동을 재개하여, 콜들 및 페이지들이 행해짐에 따라 착신 콜들 및 페이지들을 수신한다. 그러나, 모바일 디바이스가 에어플레인 모드에 있는 동안 이머전시 콜을 행했기 때문에, 그것은 이러한 모드를 빠져나간 후에 네트워크에 동록되지 않는다. 따라서, 착신 콜들은 사용자의 음성 메일에 직접 라우팅될 수도 있다. 또한, 에어플레인 모드가 활성화되지 않고,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심지어 연결 상태를 부정확하게 표시하여, 근처의 기지국의 신호 강도의 바들 또는 다른 표시자를 나타낼 수도 있기 때문에, 모바일 디바이스의 사용자는 콜이 미싱되었다는 것, 또는 특이한 어떤 것이 발생했다는 것을 모를 것이다. 이러한 문제의 시나리오가 연장된 시간 주기 동안, 또는 사용자가 명시적으로 발신 콜을 행하거나, 이동국을 파워 사이클링하거나, 에어플레인 모드로 진입하고 후속하여 빠져나가거나, 네트워크와 등록 메시지들을 교환하고 이동국을 등록하는 다른 유사한 활동을 수행할 때까지 계속될 수도 있다.
도 3 은 상술된 문제의 케이스를 더욱 상세하게 예시하는 콜 흐름도이다. 예시에서, 이동국 (예를 들어, 도 2 에 관련하여 상술된 사용자 장비 (210), 또는 임의의 다른 적합한 이동국) 이 사용자에 의해 사용될 수도 있다. 도 2 와 관련하여 상술된 바와 같이, 이동국 (210) 은 초기에 코어 네트워크에 등록되고, 모바일 스위칭 센터 (MSC) (212) 에 의해 관리되는 홈 기지국 (306) 에 의해 서빙된다. 본 개시의 여러 양태들에 따르면, 홈 기지국 (306) 은 매크로셀, 펨토셀, 피코셀, 또는 일부 다른 유사한 액세스 포인트 컴포넌트들을 포함하지만, 이들에 제한되지 않는 임의의 적합한 기지국일 수도 있다. 또한, 단일의 블록이 홈 기지국 (306) 을 나타내게 위해 도시되지만, 이러한 개략적 도시는, 예를 들어 복수의 기지국들이 동시에 이동국과 통신할 때, 또는 이동국 (210) 이 그의 지리적 로케이션이 시간의 경과에 따라 변화함에 따라 하나의 기지국으로부터 다른 기지국으로 핸드오버될 때, 하나 이상의 기지국들을 사실 나타낼 수도 있다.
그 후, 이동국 (210) 의 사용자는 에어플레인 모드를 턴 온하고, 그 때에 이동국 (210) 은 홈 기지국 (306) 으로 파워 다운 등록 메시지 (310) 를 송신하고, 이것은 MSC (212) 로 포워드된다. 본 개시의 여러 양태들에서, 파워 다운 등록 메시지 (310) 는, 이동국 (210) 을 식별하고 네트워크가 이동국 (210) 이 장래의 착신 콜들 또는 페이지들을 수신하는데 이용가능하지 않을 것이라는 것을 인지하는 것을 허용하는 임의의 적합한 메시지일 수도 있다. 예를 들어, UMTS 에서, IMSI 디태치 (Detach) 표시가 파워 다운 등록 메시지로서 기능할 수도 있다. 유사하게, CDMA 에서, 파워 다운으로서의 명령 자격 (order qualification) 을 포함할 수도 있는 등록 메시지가 파워 다운 등록 메시지로서 기능할 수도 있다.
이 때, 이동국 (210) 은 에어플레인 모드로 진입하고, 네크워크와의 무선 통신은 차단된다. 그러나, 상술된 바와 같이, 일부 이동국들은 여전히 이동국이 에어플레인 모드에 있는 동안 예를 들어 911 을 다이얼링함으로써 이머전시 콜들을 행하는 기능성을 제공한다. 그러한 디바이스로, 이동국 (210) 의 사용자는 이머전시 번호를 다이얼링하여, 기원 메시지 (312) 가 이동국 (210) 으로부터 송신되게 할 수도 있다. CM 서비스 요청을 포함하지만 이것에 제한되지 않는 임의의 적합한 메시지가 기원 메시지 (312) 로서 사용될 수도 있다. 여기서, 모바일 디바이스는 일반적으로 사용자가 명시적으로 에어플레인 모드를 디스에이블하도록 재촉하지 않고, 오히려 사용자에 관한 한, 콜이 통상적으로 완료된다.
기원 메시지 (312) 는 이동국 (210) 에 근접한 기지국에 의해 수신될 수도 있다. 그 기지국은 그 후 콜을 수락하고, 서빙 기지국 (304) 이 된다. 도 3 의 예시에서, 서빙 기지국 (304) 은 홈 기지국 (306) 과는 별도의 블록으로서 도시된다. 그러나, 예를 들어 이동국 (210) 이 홈 기지국 (306) 에 매우 근접하게 유지되는 일부 시나리오들에서는, 서빙 기지국 (304) 은 사실상 홈 기지국 (306) 과 동일한 엔티티일 수도 있다. 물론, 다른 시나리오들에서는, 서빙 기지국 (304) 은 사실상 홈 기지국 (306) 과 상이한 엔티티일 수도 있다.
어느 케이스이던지 간에, 기원 메시지 (312) 는 이머전시 콜을 개시하는데 사용될 수도 있다. 이것은 사용자가 필요에 따라 이머전시 직원과 통신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이머전시 콜의 종료 시에, 이동국 (210) 은 이머전시 콜백 (ECB) 으로 진입할 수도 있다. 여기서, 사용자는 추가의 도움 또는 지시를 기다리기 때문에, 이동국 (210) 이 ECB 모드에 남아 있는 동안, 사용자는 비이머진서 콜들을 다이얼링하는 것이 금지될 수도 있다.
소정의 시간 주기 후에, 이동국 (210) 은 ECB 모드를 빠져나온다. 이 때, 이동국 (210) 은 유휴 상태에 유지되어, 착신 페이지들 또는 콜들을 모니터링할 수도 있다. 여기서, 이동국 (210) 은 그의 사용자에게 예를 들어 서빙 기지국 (304) 의 신호 강도를 보여줌으로써 그것이 정상적으로 행동하고 있다는 것을 나타낼 수도 있고, 사용자는 그 후 착신 콜들을 수신하기 위해 어떤 액션도 취해질 필요가 없다고 생각할 수도 있다.
그러나, 이동국 (210) 이 파워 다운 등록 메시지 (310) 를 이전에 송신했고, 결코 네트워크에 재등록하지 않았기 때문에, 네트워크는 이동국 (210) 에 착신 페이지 메시지 (314) 를 지향시킬 충분한 정보를 가지지 않을 수도 있다. 즉, 이동국 (210) 이 이머전시 콜 동안 서빙 기지국 (304) 과 통신했을지라도, 이동국 (210) 이 어느 셀 내에 위치되어 있는지를 나타내는 등록 정보는 네트워크로 송신되지 않았다. 오히려, 네트워크가 수신한 최종 정보는 파워 다운 등록 메시지 (310) 였고, 따라서, 이동국 (210) 으로 지향된 착신 페이지 메시지 (314) 는 이동국 (210) 의 파워 다운 상태를 공지 (announcing) 함으로써 응답되고, 콜은 사용자의 음성 메일로 라우팅된다.
이동국 (210) 을 네트워크에 등록하기 위한 사용자 액션 없이, 이러한 문제의 케이스는 소정의 시간 주기 동안, 또는 심지어 잠재적으로 무기한으로 유지될 수도 있다.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이동국 (210) 은 일반적으로 예를 들어 파워 사이클링에 의해, 에어플레인 모드로의 진입 및 그 후 퇴장에 의해, 발신 콜을 행하는 것 등에 의해 네트워크에 등록하기 위해 등록 메시지를 송신해야만 한다.
본 개시의 양태에 따르면, 이러한 문제의 시나리오는 ECB 모드로부터의 퇴장시 등록 메시지를 송신하도록 이동국 (210) 을 구성함으로써 감소되거나 제거될 수도 있다.
도 4 는 본 개시의 일 양태에 따른 프로세스를 예시하는 콜 흐름도이며, 여기서 이동국은 ECB 모드를 퇴장할 때 등록 메시지를 송신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예시에서, 프로세스는 이동국 (210) 이 이머전시 콜백 모드에 있을 때까지 도 3 에 예시된 프로세스와 동일하다. 따라서, 이 시점까지의 프로세서는 도 3 에 대해 상술된 것보다 더 상세하게 여기에서 기술되지 않는다.
그러나, 도 4 의 예시의 프로세스에서, ECB 모드의 퇴장 시, 이동국 (210) 은 등록 메시지 (316) 를 송신할 수도 있다. 본 개시의 여러 양태들에서, 등록 메시지 (316) 는 이동국 (210) 을 식별하고, 네크워크가 이동국 (210) 이 위치되어 있는 영역을 인지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여, 이동국 (210) 으로 지향된 페이지 메시지들이 그 영역으로 지향될 수 있도록 하는 임의의 적합한 메시지일 수도 있다. 예를 들어, UMTS 에서, IMSI 어태치 (Attach) 및 로케이션 업데이트 요청이 등록 메시지 (316) 로서 기능할 수도 있다.
예시에서, 등록 메시지 (316) 는 홈 기지국 (306) 으로 송신된다. 본 개시의 여러 양태들에서, 상술된 바와 같이, 이것은 에어플레인 모드로의 진입 시에 파워 다운 등록 메시지 (310) 가 송신되었던 것과 동일한 기지국일 수도 있다. 또는, 그것은 본 개시의 범위 내의 상이한 기지국일 수도 있다.
일단 등록 메시지 (316) 가 이동국 (210) 으로부터 홈 기지국 (306) 으로 송신되면, 이동국 (210) 은 네트워크에 등록되게 될 수도 있다. 이것은 착신 콜들이 이동국 (210) 으로 라우팅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예를 들어, 이동국 (210) 이 캠핑된 셀에 대응하는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MSC (212) 는 홈 기지국 (306) 으로 착신 페이지 메시지 (318) 를 페이지 메시지 (320) 로서 포워딩하는 것이 가능하게 될 수도 있고, 그것은 그 후 홈 기지국 (306) 으로부터 이동국 (210) 으로 송신될 수도 있다. 예시에서, 이동국 (210) 은 페이지 메시지 (320) 가 수신되었다는 것을 나타내는 페이지 응답 메시지를 홈 기지국으로 송신하는 것으로 도시된다.
에어플레인 모드에 후속하는 ECB 모드의 퇴장에 응답하는 등록 메시지 (316) 를 송신하도록 이동국 (210) 을 구성함으로써, 사용자는 그렇지 않으면 이머전시 콜이 에어플레인 모드에 있는 이동국에 의해 행해질 때 발생될 지도 모르는 착신 페이지 메시지들 또는 콜들을 미싱하는 문제를 감소시키거나 제거할 수 있다.
도 5 는 본 개시의 일부 양태들에 따른 이동국 (예를 들어, 이동국 (100 또는 210), 또는 임의의 적합한 이동국) 에서 동작가능한 무선 통신을 위한 예시적인 프로세스 (500) 를 추가로 예시하는 흐름도이다. 프로세스 (500) 가 시작할 때, 이동국 (210) 은 무선 네트워크에 통신적으로 커플링될 수도 있고, 네트워크에 등록될 수도 있어, 착신 페이지 메시지들이 이동국 (210) 으로 지향될 수도 있다. 단계 (502) 에서, 이동국 (210) 은 미등록 상태로 진입하기 위해 파워 다운 등록 메시지를 송신할 수도 있다. 여기서, 미등록 상태는 상술한 바와 같이 에어플레인 모드일 수도 있거나, 이동국 (210) 이 네트워크에 등록되지 않을지라도 이머전시 콜이 가능할 수도 있는 이동국 (210) 에 대한 임의의 적합한 상태일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이동국을 파워 다운하고 파워 업시킨 후, 파워 업 등록 메시지의 송신 이전에 파워 업 대기 타이머 (예를 들어, 20 초) 에 대응하는 지속기간이 존재할 수도 있다. 이러한 지속기간 동안, 이동국은 미등록 상태에 있을 수도 있고; 이 때 이동국은 이머전시 콜을 행하는 것이 가능할 수도 있다.
단계 (504) 에서, 이동국 (210) 은 미등록 상태에 있는 동안 이머전시 콜을 행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이동국 (210) 의 사용자는 911 또는 임의의 다른 이머전시 번호를 다이얼링할 수도 있고, 네트워크에의 등록 없이 근처의 기지국과의 콜이 확립될 수도 있다. 단계 (506) 에서, 이머전시 콜이 종료하여, 근처의 기지국과의 연결을 종료한다; 그리고 단계 (508) 에서, 이동국 (210) 은 이머전시 콜의 종료 싱에 이머전시 콜백 모드로 진입할 수도 있다. 상술된 바와 같은 이머전시 콜백 (ECB) 모드는, 이머전시 직원이 이머전시 명령들을 제공하는 것과 같은 임의의 이유로 이동국 (210) 을 통해 사용자와 연락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임의의 적합한 지속기간, 예를 들어 미리 결정된 지속기간 동안 연장될 수도 있다.
단계 (510) 에서, 이동국은 ECB 모드가 종료했는지 여부를 결정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타이머는 ECB 모드에 대한 미리결정된 지속기간을 나타내기 위해 실행될 수도 있다; 또는 이머전시 직원으로부터 수신된 신호와 같은 임의의 적합한 표시자가 ECB 모드를 명시적으로 종료할 수도 있다. ECB 모드가 종료하지 않은 경우, 프로세스는 ECB 모드가 종료하는 그러한 시간까지 단계 (510) 로 루프 백 (loop back) 할 수도 있다. ECB 모드의 종료시, 단계 (512) 에서 이동국 (210) 은 등록 메시지를 송신할 수도 있다. 여기서, 등록 메시지는 착신 페이지에 대응하는 페이지 메시지가 이동국 (210) 에 지향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정보를 네트워크에 제공하기 위해, 이동국 (210) 을 네트워크에 등록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들은 추가의 특징들을 가질 수도 있다. 일부 예들에서, 단계 (512) 에서의 등록 메시지의 송신은 각 이머전시 콜백 모드의 종료시에 발생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다른 예들에서, 단계 (512) 에서의 등록 메시지의 송신은 이동 디바이스 (210) 가 미등록 상태 (예를 들어, 에어플레인 모드) 에 있었던 동안 행해진 이머전시 콜에 후속하는 이머전시 콜백 모드의 종료 시에만 발생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단계 (514) 에서, 이동국 (210) 은 등록 메시지 (512) 의 송신에 후속하여, 착신 페이지에 대응하는 페이지 메시지를 수신할 수도 있다. 즉, 상술된 바와 같은, 등록 메시지 (512) 의 송신으로 인해, 이동국은 이동국이 에어플레인 모드에 있는 동안 이머전시 콜을 행함으로 인해 발생된 착신 페이지 메시지들을 반드시 미싱할 필요는 없다.
전기통신 시스템의 여러 수개의 양태들이 UMTS 시스템을 참조하여 제시되었다. 통상의 기술자들이 쉽게 인정할 바와 같이, 본 개시에 걸쳐 기술된 여러 양태들은 다른 전기 통신 시스템들, 네트워크 아키텍쳐들 및 통신 표준들로 확장될 수도 있다.
예시로써, 여러 양태들이 W-CDMA, TD-SCDMA 및 TD-CDMA 와 같은 임의의 UMTS 시스템으로 확장될 수도 있다. 여러 양태들은 또한 (FDD, TDD, 또는 양자 모두의 모드들에서의) 롱 텀 에볼루션 (LTE), (FDD, TDD, 또는 양자 모두의 모드들에서의) LTE-A (LTE-Advanced), CDMA2000, EV-DO (Evolution-Data Optimized), UMB (Ultra-Wideband), 블루투스, 및/또는 다른 적합한 시스템들을 채용하는 시스템들로 확장될 수도 있다. 채용된 실제의 전기통신 표준, 네트워크 아키텍쳐, 및/또는 통신 표준은 특정의 애플리케이션 및 시스템에 부과된 전체 설계 제약들에 따를 것이다.
개시된 방법들에서의 단계들의 특정의 순서 또는 계층은 예시의 프로세스들의 예시라는 것이 이해되어야 한다. 설계 선호들에 기초하여, 방법들에서의 단계들의 특정의 순서 또는 계층은 재배열될 수도 있다. 첨부하는 방법 청구항들은 샘플 순서로 여러 단계들의 엘리먼트들을 제시하며, 구체적으로 언급되지 않는 한 제시된 특정의 순서 또는 계층에 제한되는 것으로 의도되지 않는다.
상술된 상세한 설명은 통상의 기술자가 여기에 기술된 여러 양태들을 실시하는 것을 가능하도록 제공된다. 이들 양태들에 대한 여러 변경들은 통상의 기술자들에게는 매우 명백할 것이고, 여기에 정의된 일반적인 원칙들은 다른 양태들에 적용될 수도 있다. 따라서, 청구항들은 여기에 도시된 양태들에 제한되도록 의도되는 것이 아니라, 청구항들의 언어들과 일관되는 전체 범위와 일치되어야 하며, 여기서 단수의 엘리먼트에 대한 참조는 특별히 그렇게 언급되지 않는 한 "하나 및 단 하나" 를 의미하는 것으로 의도되지 않고, 오히려 "하나 이상" 을 의미하는 것으로 의도된다. 특별히 달리 언급되지 않는 한, 용어 "일부" 는 하나 이상을 지칭한다. 아이템들의 리스트 "중 적어도 하나" 를 참조하는 어구는 단일의 멤버들을 포함하여, 이들 아이템들의 임의의 조합을 참조한다. 예시로서, "a, b, 또는 c 중 적어도 하나" 는 a; b; c; a 및 b; a 및 c; b 및 c; 그리고 a, b 및 c 를 커버하는 것으로 의도된다. 통상의 기술자들에게 알려져 있거나 이후에 알려지게 되는 본 개시에 걸쳐 기술된 여러 양태들의 엘리먼트들에 대한 모든 구조적 및 기능적 등가물들은 참조로서 여기에 명시적으로 포함되며, 청구항들에 의해 포함되는 것으로 의도된다. 또, 여기에 개시된 어떤 것도, 그러한 개시가 청구항들에 명시적으로 기재되어 있는지 여부에 관계없이 공중에 바쳐진 것으로 의도되지 않는다. 엘리먼트가 어구 "~하는 수단" 을 사용하여 명시적으로 기재되지 않거, 방법 청구항의 경우, 엘리먼트가 어구 "~ 하는 단계" 를 사용하여 기재되지 않는 경우, 어떠한 청구항 엘리먼트도 35 U.S.C. §112, 제 6 단락의 조항들 하에서 해석되지 않아야한다.

Claims (27)

  1. 이동국에서 동작가능한 무선 통신의 방법으로서,
    미등록 상태로 진입하기 위해 파워 다운 등록 메시지를 송신하는 단계;
    상기 미등록 상태에 있는 동안 이머전시 콜을 행하는 단계;
    상기 이머전시 콜의 종료 시에 이머전시 콜백 모드로 진입하는 단계; 및
    상기 이머전시 콜백 모드의 종료 시에 등록 메시지를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이동국에서 동작가능한 무선 통신의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미등록 상태는 에어플레인 모드인, 이동국에서 동작가능한 무선 통신의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등록 메시지를 송신하는 단계는 상기 이머전시 콜백 모드의 종료에 응답적인, 이동국에서 동작가능한 무선 통신의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착신 페이지에 대응하는 페이지 메시지가 상기 이동국으로 지향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정보를 네트워트에 제공하기 위해 상기 이동국을 상기 네트워크에 등록하도록 상기 등록 메시지를 구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이동국에서 동작가능한 무선 통신의 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등록 메시지의 상기 송신에 후속하여 착신 페이지에 대응하는 페이지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이동국에서 동작가능한 무선 통신의 방법.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미등록 상태는 상기 이동국의 파워 업 후 그리고 파워 업 등록 메시지의 송신 전의 지속기간을 포함하는, 이동국에서 동작가능한 무선 통신의 방법.
  7. 무선 통신을 위해 구성된 이동국으로서,
    미등록 상태로 진입하기 위해 파워 다운 등록 메시지를 송신하는 수단;
    상기 미등록 상태에 있는 동안 이머전시 콜을 행하는 수단;
    상기 이머전시 콜의 종료 시에 이머전시 콜백 모드로 진입하는 수단; 및
    상기 이머전시 콜백 모드의 종료 시에 등록 메시지를 송신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무선 통신을 위해 구성된 이동국.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미등록 상태는 에어플레인 모드인, 무선 통신을 위해 구성된 이동국.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등록 메시지를 송신하는 수단은 상기 이머전시 콜백 모드의 종료에 응답하여 상기 등록 메시지를 송신하도록 구성되는, 무선 통신을 위해 구성된 이동국.
  10. 제 7 항에 있어서,
    착신 페이지에 대응하는 페이지 메시지가 상기 이동국으로 지향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정보를 네트워트에 제공하기 위해 상기 이동국을 상기 네트워크에 등록하도록 상기 등록 메시지를 구성하는 수단을 더 포함하는, 무선 통신을 위해 구성된 이동국.
  11.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등록 메시지의 상기 송신에 후속하여 착신 페이지에 대응하는 페이지 메시지를 수신하는 수단을 더 포함하는, 무선 통신을 위해 구성된 이동국.
  12.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미등록 상태는 상기 이동국의 파워 업 후 그리고 파워 업 등록 메시지의 송신 전의 지속기간을 포함하는, 무선 통신을 위해 구성된 이동국.
  13. 무선 통신을 위해 구성된 이동국으로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커플링된 통신 인터페이스;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커플링된 메모리를 포함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미등록 상태로 진입하기 위해 파워 다운 등록 메시지를 송신하고;
    상기 미등록 상태에 있는 동안 이머전시 콜을 행하며;
    상기 이머전시 콜의 종료 시에 이머전시 콜백 모드로 진입하고;
    상기 이머전시 콜백 모드의 종료 시에 등록 메시지를 송신하도록 구성되는, 무선 통신을 위해 구성된 이동국.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미등록 상태는 에어플레인 모드인, 무선 통신을 위해 구성된 이동국.
  15.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등록 메시지의 상기 송신은 상기 이머전시 콜백 모드의 종료에 응답적인, 무선 통신을 위해 구성된 이동국.
  16.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또한,
    착신 페이지에 대응하는 페이지 메시지가 상기 이동국으로 지향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정보를 네트워트에 제공하기 위해 상기 이동국을 상기 네트워크에 등록하도록 상기 등록 메시지를 구성하도록 구성되는, 무선 통신을 위해 구성된 이동국.
  17.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또한,
    상기 등록 메시지의 상기 송신에 후속하여 착신 페이지에 대응하는 페이지 메시지를 수신하도록 구성되는, 무선 통신을 위해 구성된 이동국.
  18.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미등록 상태는 상기 이동국의 파워 업 후 그리고 파워 업 등록 메시지의 송신 전의 지속기간을 포함하는, 무선 통신을 위해 구성된 이동국.
  19. 무선 통신을 위해 구성된 이동국에서 동작가능한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으로서,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를 포함하고,
    상기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는,
    컴퓨터로 하여금 미등록 상태로 진입하기 위해 파워 다운 등록 메시지를 송신하게 하는 명령들;
    컴퓨터로 하여금 상기 미등록 상태에 있는 동안 이머전시 콜을 행하게 하는 명령들;
    컴퓨터로 하여금 상기 이머전시 콜의 종료 시에 이머전시 콜백 모드로 진입하게 하는 명령들; 및
    컴퓨터로 하여금 상기 이머전시 콜백 모드의 종료 시에 등록 메시지를 송신하게 하는 명령들을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를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
  20.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미등록 상태는 에어플레인 모드인,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를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
  21.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등록 메시지의 상기 송신은 상기 이머전시 콜백 모드의 종료에 응답적인,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를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
  22.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는,
    컴퓨터로 하여금, 착신 페이지에 대응하는 페이지 메시지가 상기 이동국으로 지향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정보를 네트워트에 제공하기 위해 상기 이동국을 상기 네트워크에 등록하도록 상기 등록 메시지를 구성하게 하는 명령들을 더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를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
  23.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는,
    컴퓨터로 하여금 상기 등록 메시지의 상기 송신에 후속하여 착신 페이지에 대응하는 페이지 메시지를 수신하게 하는 명령들을 더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를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
  24.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미등록 상태는 상기 이동국의 파워 업 후 그리고 파워 업 등록 메시지의 송신 전의 지속기간을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를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
  25. 다수의 상태들에서의 동작을 위해 구성된 통신 디바이스로서,
    상기 통신 디바이스는 프로세서 및 통신 인터페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제 1 상태로 진입하기 위해 제 1 등록 메시지를 송신하고;
    상기 제 1 상태에 있는 동안 스페셜 콜을 행하며;
    상기 스페셜 콜이 종료할 때 스페셜 콜백 모드로 진입하고;
    상기 스페셜 콜백 모드가 종료할 때 제 2 등록 메시지를 송신하도록 구성되는, 다수의 상태들에서의 동작을 위해 구성된 통신 디바이스.
  26. 제 25 항에 기재된 통신 디바이스와 다른 무선 통신 디바이스 사이에서 통신하는 것을 포함하는 무선 통신의 방법.
  27. 제 2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상태는 에어플레인 모드 또는 상기 통신 디바이스의 하나 이상의 인터페이스들이 오프인 상태 중 하나인, 다수의 상태들에서의 동작을 위해 구성된 통신 디바이스.
KR1020147016240A 2011-11-14 2012-11-14 에어플레인 모드에서 행해진 이머전시 콜에 후속하는 착신 페이지들을 가능하게 하는 장치 및 방법 KR20140080562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161559697P 2011-11-14 2011-11-14
US61/559,697 2011-11-14
US13/607,333 US20130244608A1 (en) 2011-11-14 2012-09-07 Apparatus and method for enabling incoming pages following an emergency call made in airplane mode
US13/607,333 2012-09-07
PCT/US2012/065081 WO2013074673A1 (en) 2011-11-14 2012-11-14 Apparatus and method for enabling incoming pages following an emergency call made in airplane mod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80562A true KR20140080562A (ko) 2014-06-30

Family

ID=472785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7016240A KR20140080562A (ko) 2011-11-14 2012-11-14 에어플레인 모드에서 행해진 이머전시 콜에 후속하는 착신 페이지들을 가능하게 하는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20130244608A1 (ko)
EP (1) EP2781135A1 (ko)
JP (1) JP2014533479A (ko)
KR (1) KR20140080562A (ko)
CN (1) CN103947283A (ko)
IN (1) IN2014CN03146A (ko)
TW (1) TW201338584A (ko)
WO (1) WO201307467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332574B2 (en) 2012-10-17 2016-05-03 Cellco Partnership Pseudo hold mode to simulate continuous connectivity to a mobile device
US9282436B2 (en) 2012-10-17 2016-03-08 Cellco Partnership Method and system for adaptive location determination for mobile device
US9344870B2 (en) * 2013-12-24 2016-05-17 Qualcomm Incorporated Systems and methods for timer continuation in a power reset scenario
US9930507B2 (en) 2015-03-06 2018-03-27 Qualcomm Incorporated Managing emergency communication session termination
JP6170971B2 (ja) * 2015-07-29 2017-07-26 京セラ株式会社 電子機器
WO2017095197A1 (en) * 2015-12-04 2017-06-08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system for sharing location information during voice call over non-cellular technology
CN113891454A (zh) * 2021-10-18 2022-01-04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一种移动终端的网络的注册方法、装置以及移动终端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864755A (en) * 1996-06-11 1999-01-26 Siemens Business Communication Systems, Inc. Method for allowing a mobile phone to receive a call through a wireless network for which it is not registered, for emergency purposes
US6115607A (en) * 1998-01-30 2000-09-05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reducing messaging traffic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JP3976524B2 (ja) * 2001-07-06 2007-09-19 三洋電機株式会社 移動局、複数の基地局を含む通信網、移動無線通信システム、並びに、前記移動局、前記基地局及び前記通信網の制御方法
US7324801B2 (en) * 2003-03-06 2008-01-29 Motorola, Inc. Emergency call-back for a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equipped with a user removable module
CA2524789C (en) * 2003-05-06 2010-09-28 Research In Motion Limited System and method of wireless device activity messaging
EP1530383B1 (en) * 2003-11-10 2006-06-14 Research In Motion Limited Methods and system for limiting communication capabilities in mobile communication devices
KR100628115B1 (ko) * 2004-08-05 2006-09-26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의 절전 방법
US7236766B2 (en) * 2005-03-31 2007-06-26 Tylu Wireless Technologies, Inc. Filtered wireless communications
BRPI0614520B1 (pt) * 2005-08-02 2019-07-09 Qualcomm Incorporated Suporte de chamada de emergência voip
US8285312B2 (en) * 2006-12-06 2012-10-09 Research In Motion Limited Method and apparatus for deriving presence information using message traffic analysis
EP1944991B1 (en) * 2007-01-05 2015-05-13 BlackBerry Limited System and method for conditionally attempting an emergency call set-up
US8254902B2 (en) * 2008-06-26 2012-08-28 Apple Inc. Apparatus and methods for enforcement of policies upon a wireless device
JP2010245642A (ja) * 2009-04-01 2010-10-28 Ntt Docomo Inc 通信方法及び移動局
US9002315B2 (en) * 2009-05-01 2015-04-07 Qualcomm Incorporated Systems, apparatus and methods for facilitating emergency call service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s
US8315589B2 (en) * 2009-09-30 2012-11-20 Verizon Patent And Licensing Inc. Emergency calls for internet protocol multimedia subsystem (IMS) over packet switche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CDMA) network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3074673A1 (en) 2013-05-23
CN103947283A (zh) 2014-07-23
US20130244608A1 (en) 2013-09-19
EP2781135A1 (en) 2014-09-24
JP2014533479A (ja) 2014-12-11
TW201338584A (zh) 2013-09-16
IN2014CN03146A (ko) 2015-07-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823566B2 (ja) マシンタイプ通信をサポートする方法および装置
US11197346B2 (en) User equipment having multiple subscriber identity modules with improved suspend / resume operation
US11115803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ellular capable secondary wireless device compatibility with multi-SIM wireless device
JP2022535915A (ja) マルチsimユーザ機器をサポートするためのセルラシステム強化のための装置、システム、方法、およびコンピュータ可読媒体
US20200304984A1 (en) Timer Activation for Dual SIM Dual Standby Devices
KR20140080562A (ko) 에어플레인 모드에서 행해진 이머전시 콜에 후속하는 착신 페이지들을 가능하게 하는 장치 및 방법
JP6376264B2 (ja) 移動通信デバイス及び通信制御方法
US20140140287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tandby with a Dual-Standby Modem and Establishing Single Connection for One Subscriber Identity Card
TWI497962B (zh) 回應傳呼訊息
US20220072175A1 (en) User Equipment Having Multiple Subscriber Identity Modules with Improved Suspend / Resume Operation
US20220408328A1 (en) Multi-sim ue cell selection and reselection
US11452161B2 (en) Packet data network connection re-establishment
CN112087747A (zh) 改善的rrc过程安全性
EP2858414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mplementing voice service fallback
US20230308855A1 (en) Dynamic profile and radio access technology selection based on application network slice requirements
JP7169379B2 (ja) 緊急通話のための装置、方法、およ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GB2511540A (e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method
US20230422198A1 (en) Periodic Registration Update Procedure for Non-Allowed Service Areas
WO2023015474A1 (zh) 用于无线通信装置的方法、装置、存储介质和芯片系统
WO2022089850A1 (en) Mobile terminated service enhancements for musim user equipment
WO2021102786A1 (en) Adjust paging occasion to resolve paging collision at multi-sim device
WO2023235095A1 (en) Sip timer modification to support ims call fallback
WO2023131431A1 (en) Apparatus, method, and computer program for network access when associated relay user equipment is unavailable
CN115209572A (zh) 方法、装置和计算机程序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