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80067A - 공기청정기 - Google Patents

공기청정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80067A
KR20140080067A KR1020120149481A KR20120149481A KR20140080067A KR 20140080067 A KR20140080067 A KR 20140080067A KR 1020120149481 A KR1020120149481 A KR 1020120149481A KR 20120149481 A KR20120149481 A KR 20120149481A KR 20140080067 A KR20140080067 A KR 2014008006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odorant
housing
filter
air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494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상우
박찬정
김형태
Original Assignee
코웨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웨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코웨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1494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080067A/ko
Publication of KR201400800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8006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01Deodorant composi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42Auxiliary equipment or operation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54Particle separators, e.g. dust precipitators, using ultra-fine filter sheets or diaphrag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73/00Operation of filters specially adapt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2273/30Means for generating a circulation of a fluid in a filtration system, e.g. using a pump or a fa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79/00Filters adapt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specially modified for specific uses
    • B01D2279/65Filters adapt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specially modified for specific uses for the sterilisation of air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AREA)

Abstract

공기정화필터에서 발생하는 악취를 자동으로 제거하는 공기청정기가 개시된다.
개시되는 공기청정기는 공기청정필터와 송풍팬이 내장되고, 내부로 공기가 유입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서 공기의 이동경로에 설치되며, 상기 하우징 내부로 유입된 공기를 정화시키는 필터부; 및 상기 하우징에 구비되며, 상기 필터부에 탈취제를 자동으로 분사하는 탈취부;를 포함한다.
이러한 공기청정기에 의하면, 악취가 발생하는 공기정화필터에 일정 주기에 따라 자동으로 탈취제가 분사되도록 함으로써, 공기청정기의 필터에서 발생하는 악취를 자동으로 제거할 수 있다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Description

공기청정기{AIR CLEANER}
본 발명은 공기청정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공기정화필터에서 발생하는 악취를 자동으로 제거하는 공기청정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기청정기는 오염된 실내 공기를 흡입하여 공기에 함유된 먼지, 냄새입자 등을 필터로 걸러내어 흡입된 공기를 깨끗한 공기로 정화시키는 장치이다.
이러한 공기청정기는 오염된 주위 공기를 흡입하여 정화한 후 깨끗한 공기를 장치 외부로 토출하여 주위 공기를 정화시킨다.
도 1은 종래의 기술에 의한 공기청정기의 구성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1을 보면, 공기청정기는 공기유입구(12)와 공기토출구(14)가 구비된 장치하우징(10)의 내부에 복수의 필터와 송풍팬(30)을 구비한다.
이러한 공기청정기에는 각각 다른 공기정화기능을 가지는 프리필터(22), 기능성 필터(24), 탈취필터(26) 및 헤파필터(28)가 설치될 수 있다.
여기서, 탈취필터(26)는 일반적으로 활성탄 필터로 구성되며, 공기 중에 함유된 유해가스, 음식냄새, 포름알데히드, VOCs 등을 제거한다.
그리고, 헤파필터(28)는 공기로부터 미세한 입자를 제거하는 고성능 필터로서, 미세먼지, 분진, 세균, 담배연기, 곰팡이, 유해바이러스 등을 제거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기술에 의한 공기청정기는 헤파필터(28)에 악취가 자주 발생하게 되며, 이로 인해, 사용자가 사용에 불편을 느끼며, 수명이 남은 필터를 조기에 교체해야 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을 바탕으로 안출된 것으로, 공기정화필터에 발생하는 악취를 자동으로 제거할 수 있는 공기청정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 중 적어도 일부를 달성하기 위한 일 측면으로서, 본 발명은 내부로 공기가 유입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서 공기의 이동경로에 설치되며, 상기 하우징 내부로 유입된 공기를 정화시키는 필터부; 및 상기 하우징에 구비되며, 상기 필터부에 탈취제를 자동으로 분사하는 탈취부;를 포함하는 공기청정기를 제공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필터부는 헤파필터를 포함하고, 상기 탈취부는 상기 필터부의 헤파필터에 탈취제를 분사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서, 상기 탈취부는 상기 하우징의 측면프레임에 형성된 수납부에 수납되며, 내부에 탈취제가 고압으로 저장되고, 일측에 누름식 분사노즐을 구비하는 탈취제 카트리지; 상기 탈취제 카트리지의 누름식 분사노즐을 누르는 노즐가동수단; 및 상기 하우징의 측면부에서 상기 필터부를 향해 개구되며, 상기 탈취제 카트리지의 누름식 분사노즐에 연통된 분사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서, 상기 노즐가동수단은 회전하며 상기 탈취제 카트리지의 누름식 분사노즐을 누르는 가압레버; 및 상기 가압레버를 회전시키는 구동모터;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서, 상기 탈취제 카트리지는 상기 수납부에서 상기 하우징의 외측으로 분리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서, 상기 탈취부는 상기 하우징에서 상기 필터부의 양측에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서, 상기 분사구는 상기 필터부 측으로 갈수록 단면이 넓어지게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분사구는 상기 하우징에서 공기의 이동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헤파필터의 전방에 구비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청정기는 상기 탈취부의 탈취제 분사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미리 설정된 주기로 탈취제가 상기 필터부에 분사되도록 상기 탈취부의 탈취제 분사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하우징 내부로 공기가 유입되는 동안에 탈취제가 분사되고 상기 하우징 내부로 공기가 유입되지 않는 동안에는 탈취제가 분사되지 않도록, 상기 탈취부의 탈취제 분사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악취가 발생하는 공기정화필터에 일정 주기에 따라 자동으로 탈취제가 분사되도록 함으로써, 공기청정기의 필터에서 발생하는 악취를 자동으로 제거할 수 있다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공기정화필터에 악취가 발생하는 단점을 해결함으로써, 공기정화필터의 교체주기를 연장시킬 수 있다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기술에 의한 공기청정기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내부 측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청정기의 분해사시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공기청정기의 측단면도.
도 4는 도 2에 도시된 공기청정기에 구비된 탈취부의 사시도.
도 5는 도 2에 도시된 공기청정기에 구비된 탈취부의 탈취제 분사 동작을 나타내는 사시도.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청정기에 대해서 살펴본다. 여기서,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청정기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3은 측단면도, 도 4는 탈취부의 사시도 그리고, 도 5는 탈취부의 탈취제 분사 동작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청정기(100)는 하우징(110), 필터부(120) 및 탈취부(200)를 포함하고, 상기 탈취부(200)의 탈취제 분사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미도시)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우징(1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청정기(100)의 외관을 구성하며, 내부공간에 후술할 필터부(120) 및 탈취부(200)가 내장된다. 일 실시예에서, 하우징(110)은 전면이 개방된 박스형태로 구성될 수 있으며, 하우징(110)의 개방된 전면에는 전면패널(112)이 장착될 수 있다.
이러한 하우징(110)은 내부로 공기가 유입되며, 유입된 공기가 외부로 토출될 수 있도록 구성되며, 이를 위해, 일 실시예에서, 전면패널(112)에는 공기유입부(113)가 구비될 수 있고, 하우징(110)의 후방부에는 공기토출부(114)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서, 하우징(110)의 양쪽 측면프레임에는 후술할 탈취부(200)가 설치될 수 있도록 수납부(117)가 구비될 수 있으며, 이러한 수납부(117)는 후술할 탈취부(200)가 수납될 수 있는 공간으로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필터부(120)는 하우징(110)의 내부에서 공기의 이동경로에 설치되어, 하우징(110) 내부로 유입되어 필터부(120)를 통과하는 공기를 정화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필터부(120)는 복수의 공기정화필터로 구성될 수 있으며, 일 예로, 프리필터(121), 기능성 필터(122), 탈취필터(123) 및 헤파필터(124)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필터부(120)에 포함되는 프리필터(121), 기능성 필터(122), 탈취필터(123)는 공지의 다양한 필터로 대체가능하며, 각 필터들의 배치순서도 다양하게 변경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탈취부(200)는 하우징(110)에 구비되며, 필터부(120)에 탈취제를 자동으로 분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청정기(100)에는 상기 탈취부(200)가 복수개 구비될 수도 있으며, 일 실시예에서, 탈취부(200)는 탈취 대상 공기정화필터의 전체 면에 균일하게 탈취제가 분사될 수 있도록, 하우징(110)에서 필터부(120)의 양측에 구비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탈취부(200)는 탈취제 카트리지(210), 노즐가동수단(220) 및 분사구(23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탈취제 카트리지(210)는 하우징(110)의 수납부(117)에 수납될 수 있으며, 내부에 탈취제가 고압으로 저장되는 용기로 구성될 수 있으며, 일측에 누름식 분사노즐을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누름식 분사노즐은 노즐부분이 눌려지면 토출유로가 개방되어, 탈취제 카트리지(210) 안에 고압으로 저장되어 있던 탈취제가 분사될 수 있는 공지의 다양한 노즐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이러한 탈취제 카트리지(21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납부(117)에 형성된 거치대에 탈착 가능할 수 있으며, 수납부(117)에서 하우징(110)의 외측으로 분리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를 통해, 사용자는 탈취제가 모두 소모된 탈취제 카트리지(210)를 장치의 외부에서 용이하게 교체할 수 있다. 이때, 하우징(110)에는 외관상 수납부(117)에 수납된 탈취제 카트리지(210)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개폐도어(119)가 추가로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노즐가동수단(220)은 탈취제 카트리지(210)의 누름식 분사노즐을 누를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일 실시예에서, 이러한 노즐가동수단(220)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하며 탈취제 카트리지(210)의 누름식 분사노즐을 누르는 가압레버(222)와, 상기 가압레버(222)를 회전시키는 구동모터(224)로 구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가압레버(222)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둘레의 일부 구간이 부채꼴 형태로 삭제된 원반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서, 가압레버(222)가 구동모터(224)에 의해 회전될 때, 가압레버(222)의 테두리가 누름식 분사노즐에 닿게 되면 가압레버(222)는 누름식 분사노즐을 누를 수 있으며, 가압레버(222) 중에서 부채꼴 형태로 삭제된 구간이 누름식 분사노즐 측으로 위치하면 누름식 분사노즐의 누름동작이 해제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분사구(230)는 하우징(110)의 측면프레임에서 필터부(120)를 향해 개구된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누름식 분사노즐에 연통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이러한 분사구(23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필터부(120) 측으로 갈수록 단면 즉, 개구된 면적이 넓어지게 형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분사구(230)로 분사되는 탈취제의 유동면적이 확장되어, 탈취제가 헤파필터(124)의 상하로 넓게 퍼져 분사될 수 있다.
다만, 여기서 헤파필터(124)에 이웃하여 배치된 다른 공기정화필터에 탈취제가 분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분사구(230)는 헤파필터(124)의 전후방향으로는 확장되지 않고, 하우징(110)에 장착된 헤파필터(124)의 테두리 길이방향으로만 확장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테두리 길이방향은, 탈취부(200)가 하우징(110)의 양쪽 측면에 구비된 경우는 헤파필터(124)의 높이방향을 의미하고, 탈취부(200)가 하우징(110)의 상하측에 구비된 경우는 헤파필터(124)의 길이방향을 의미한다.
한편, 일반적으로 필터부(120)에 포함되는 복수의 공기정화필터 중 상기 헤파필터(124)는 악취가 자주 발생하는 문제를 가지고 있다.
이에 따라, 일 실시예에서, 전술한 바와 같이 필터부(120)가 헤파필터(124)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경우, 탈취부(200)는 탈취제를 상기 헤파필터(124)에 분사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일 실시예에서, 분사구(230)는 하우징(110)에서 공기의 이동방향을 기준으로 헤파필터(124)의 전방에 구비될 수 있다.
이를 통해, 탈취제는 하우징(110)으로 유입된 공기의 흐름에 의해 헤파필터(124)에 분사될 수 있게 된다.
한편, 탈취부(200)의 탈취제 분사동작을 제어하는 상기 제어부는 미리 설정된 주기로 탈취제가 필터부(120)에 분사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는 2주에 1회, 3주에 1회와 같이 미리 설정된 주기에 따라 탈취제가 필터부(120)에 분사되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탈취제의 분사 주기는 사용자에 의해 조절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어부는 구동모터(224)의 회전력을 제어하여 탈취제의 분사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서, 제어부는 하우징(110) 내부로 공기가 유입되는 동안에는 탈취제가 분사되고, 하우징(110) 내부로 공기가 유입되지 않는 동안에는 탈취제가 분사되지 않도록 탈취부(200)의 분사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분사된 탈취제가 탈취대상 공기정화필터에 흡착되지 않고 하우징(110)의 바닥으로 떨어지거나, 이웃하는 다른 공기정화필터에 분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특히, 도 2 내지 도 5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청정기(100)에는 헤파필터(124)의 전방에 탈취필터(123)가 구비될 수 있으며, 탈취필터(123)에 탈취제가 흡착되면 탈취필터(123)의 성능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으므로, 탈취제가 헤파필터(124)에만 분사되는 것이 필요하다.
따라서, 전술한 바와 같이, 제어부는 하우징(110) 내부로 공기가 유입되는 동안에만 탈취부(200)를 작동시켜, 유입된 공기의 흐름에 의해 탈취제가 탈취필터(123)로 비산하지 않고 헤파필터(124)에 전량 흡착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특정한 실시예에 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밝혀두고자 한다.
100 : 공기청정기 110 : 하우징
117 : 수납부 119 : 개폐도어
120 : 필터부 121 : 프리필터
122 : 기능성 필터 123 : 탈취필터
124 : 헤파필터 200 : 탈취부
210 : 탈취제 카트리지 220 : 노즐가동수단
222 : 가압레버 224 : 구동모터
230 : 분사구

Claims (10)

  1. 내부로 공기가 유입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서 공기의 이동경로에 설치되며, 상기 하우징 내부로 유입된 공기를 정화시키는 필터부; 및
    상기 하우징에 구비되며, 상기 필터부에 탈취제를 자동으로 분사하는 탈취부;
    를 포함하는 공기청정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부는 헤파필터를 포함하고,
    상기 탈취부는 상기 필터부의 헤파필터에 탈취제를 분사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청정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탈취부는,
    상기 하우징의 측면프레임에 형성된 수납부에 수납되며, 내부에 탈취제가 고압으로 저장되고, 일측에 누름식 분사노즐을 구비하는 탈취제 카트리지;
    상기 탈취제 카트리지의 누름식 분사노즐을 누르는 노즐가동수단; 및
    상기 하우징의 측면부에서 상기 필터부를 향해 개구되며, 상기 탈취제 카트리지의 누름식 분사노즐에 연통된 분사구;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청정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노즐가동수단은,
    회전하며 상기 탈취제 카트리지의 누름식 분사노즐을 누르는 가압레버; 및
    상기 가압레버를 회전시키는 구동모터;
    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청정기.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탈취제 카트리지는 상기 수납부에서 상기 하우징의 외측으로 분리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청정기.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탈취부는 상기 하우징에서 상기 필터부의 양측에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청정기.
  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분사구는 상기 필터부 측으로 갈수록 단면이 넓어지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청정기.
  8.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부는 헤파필터를 포함하고, 상기 탈취부는 상기 필터부의 헤파필터에 탈취제를 분사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분사구는 상기 하우징에서 공기의 이동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헤파필터의 전방에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청정기.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탈취부의 탈취제 분사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미리 설정된 주기로 탈취제가 상기 필터부에 분사되도록 상기 탈취부의 탈취제 분사동작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청정기.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하우징 내부로 공기가 유입되는 동안에 탈취제가 분사되고 상기 하우징 내부로 공기가 유입되지 않는 동안에는 탈취제가 분사되지 않도록, 상기 탈취부의 탈취제 분사동작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청정기.
KR1020120149481A 2012-12-20 2012-12-20 공기청정기 KR2014008006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49481A KR20140080067A (ko) 2012-12-20 2012-12-20 공기청정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49481A KR20140080067A (ko) 2012-12-20 2012-12-20 공기청정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80067A true KR20140080067A (ko) 2014-06-30

Family

ID=511308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49481A KR20140080067A (ko) 2012-12-20 2012-12-20 공기청정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080067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99145A (ko) * 2015-02-11 2016-08-22 코웨이 주식회사 공기청정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99145A (ko) * 2015-02-11 2016-08-22 코웨이 주식회사 공기청정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67110B1 (ko) 방향기능을 갖는 공기청정기
KR20160012653A (ko) 식물의 공기정화 기능을 이용한 공기 청정기
KR101076957B1 (ko) 공기청정기
KR20140080067A (ko) 공기청정기
KR101321602B1 (ko) 공기 정화, 방향, 살균 및 가습 기능을 가지는 습식 방식의 공기 여과기
KR100575309B1 (ko) 공기청정기의 필터장치
JP2007007151A (ja) 空気清浄機
KR20100107986A (ko) 공기 청정기
KR20110041692A (ko) 공기 청정기
KR101551411B1 (ko) 현금 계수기용 정화장치
JP2006055253A (ja) 脱臭方法及び脱臭装置並びにその脱臭方法、脱臭装置を用いた電気掃除機
WO2013011712A1 (ja) 厨房装置
JP2001259010A (ja) 空気清浄機
KR20120048150A (ko) 화산재계 재료를 이용한 공기정화기능의 아트월
KR20170031934A (ko) 공기청정기
KR100564479B1 (ko) 공기청정기 및 그의 제어방법
KR101926375B1 (ko) 살균기능이 구비된 제습형 공기 청정기
KR100564487B1 (ko) 공기청정기
KR20050089933A (ko) 공기청정기의 필터조립체
KR100820587B1 (ko) 공기청정기
KR100575315B1 (ko) 공기청정기
JP4830697B2 (ja) 空気清浄機
JP5838360B2 (ja) 脱臭装置
KR100564478B1 (ko) 공기청정기
CN100455338C (zh) 空气净化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