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79138A - 휴대폰 배터리 충전기 및 그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휴대폰 배터리 충전기 및 그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79138A
KR20140079138A KR1020120148767A KR20120148767A KR20140079138A KR 20140079138 A KR20140079138 A KR 20140079138A KR 1020120148767 A KR1020120148767 A KR 1020120148767A KR 20120148767 A KR20120148767 A KR 20120148767A KR 20140079138 A KR20140079138 A KR 2014007913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ttery
mobile phone
charger
power
buil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487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51341B1 (ko
Inventor
신학민
Original Assignee
신학민
주식회사 카본메이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학민, 주식회사 카본메이크 filed Critical 신학민
Priority to KR10201201487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51341B1/ko
Publication of KR201400791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7913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513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5134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9/00Circuit arrangements for emergency or stand-by power supply, e.g. for emergency lighting
    • H02J9/04Circuit arrangements for emergency or stand-by power supply, e.g. for emergency lighting in which the distribution system is disconnected from the normal source and connected to a standby source
    • H02J9/06Circuit arrangements for emergency or stand-by power supply, e.g. for emergency lighting in which the distribution system is disconnected from the normal source and connected to a standby source with automatic change-over, e.g. UPS system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3/00Circuit arrangements for ac mains or ac distribution networks
    • H02J3/12Circuit arrangements for ac mains or ac distribution networks for adjusting voltage in ac networks by changing a characteristic of the network load
    • H02J3/14Circuit arrangements for ac mains or ac distribution networks for adjusting voltage in ac networks by changing a characteristic of the network load by switching loads on to, or off from, network, e.g. progressively balanced loading
    • H02J3/144Demand-response operation of the power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network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13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acting upon several batteries simultaneously or sequentially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47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with monitoring or indicating devices or circuits
    • H02J7/0048Detection of remaining charge capacity or state of charge [SOC]
    • H02J7/0049Detection of fully charged condi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70/00Technologies for an efficient end-user side electric power management and consumption
    • Y02B70/30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and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 carbon footprint of the management of residential or tertiary loads, i.e. smart grids as 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y in the buildings sector, including also the last stages of power distribution and the control, monitoring or operating management systems at local level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70/00Technologies for an efficient end-user side electric power management and consumption
    • Y02B70/30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and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 carbon footprint of the management of residential or tertiary loads, i.e. smart grids as 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y in the buildings sector, including also the last stages of power distribution and the control, monitoring or operating management systems at local level
    • Y02B70/3225Demand response systems, e.g. load shedding, peak shav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4INFORMATION OR COMMUNICATION TECHNOLOGIES HAVING AN IMPACT ON OTHER TECHNOLOGY AREAS
    • Y04S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MANAGEMENT OR USAGE, i.e. SMART GRIDS
    • Y04S20/00Management or operation of end-user stationary applications or the last stages of power distribution; Controlling, monitoring or operating thereof
    • Y04S20/20End-user application control systems
    • Y04S20/222Demand response systems, e.g. load shedding, peak shav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4INFORMATION OR COMMUNICATION TECHNOLOGIES HAVING AN IMPACT ON OTHER TECHNOLOGY AREAS
    • Y04S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MANAGEMENT OR USAGE, i.e. SMART GRIDS
    • Y04S20/00Management or operation of end-user stationary applications or the last stages of power distribution; Controlling, monitoring or operating thereof
    • Y04S20/20End-user application control systems
    • Y04S20/248UPS systems or standby or emergency genera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폰 배터리 충전기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휴대폰 배터리 충전기는 충전기 내장 배터리, 상용 교류 전원을 입력받는 전원 입력부, 상기 입력된 교류 전원을 직류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전류 변환부, 상기 전류 변환부에서 출력되는 직류를 휴대폰 배터리가 장착된 휴대폰의 접속 단자 및 상기 충전기 내장 배터리 중 하나에 선택적으로 공급되게 하는 스위칭부, 상기 휴대폰 배터리의 충전 상태를 감지하는 배터리 감지부, 그리고 상기 휴대폰 배터리가 완충된 경우 상기 스위칭부를 제어하여 상기 충전기 내장 배터리로 상기 전류 변환부에서 출력되는 직류를 공급되게 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상용 전원이 공급되는 경우에는 상용 전원을 이용하여 휴대폰 배터리를 충전함으로써 사용 시간에 제약 없이 휴대폰을 사용하면서 충전을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아울러, 상용 전원이 공급되지 못하는 장소에서는 보조 배터리를 통해 충전함으로써 장소의 제약 없이 휴대폰을 사용하면서 충전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Description

휴대폰 배터리 충전기 및 그 제어방법{Mobile Phone Battery Charger and Control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휴대폰 배터리 충전기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자세하게는 상용 교류 전원이 입력되지 않는 상태에서도 휴대폰 배터리를 충전할 수 있는 휴대폰 배터리 충전기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스마트폰을 포함한 휴대용 전자기기의 사용이 급증하고 있다. 그런데 휴대용 전자기기기를 장시간 사용할 경우 배터리 전원이 방전되어 사용하지 못하는 경우가 자주 발생하고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한국 등록 실용 20-0264824호는 휴대폰의 배터리가 방전되었을 경우 휴대폰 하단부에 장착된 커넥터를 통하여 휴대용 보조 충전기를 접속하여 보조 충전기에 내장된 배터리 전원을 휴대폰 배터리에 공급함으로써 배터리의 급속 충전이 이루어질 수 있게 하는 기술이 기재되어 있다.
그런데 한국 등록 실용 20-0264824호는 보조 충전기에 내장된 일반전원을 배터리에 공급하는 방식으로 휴대폰 충전기와 별도로 소지하여야 하며 충전기 내장 배터리가 방전된 경우에는 휴대폰 배터리를 충전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국 등록 실용 20-0264824호
따라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용 전원이 공급되는 경우에는 상용 전원을 이용하여 휴대폰 배터리를 충전하고, 상용 전원이 공급되지 못하는 장소에서는 충전기 안의 보조 배터리를 통해 충전할 수 있는 충전기에 대한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폰 배터리 충전기는, 충전기 내장 배터리, 상용 교류 전원을 입력받는 전원 입력부, 상기 입력된 교류 전원을 직류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전류 변환부, 상기 전류 변환부에서 출력되는 직류를 휴대폰 배터리가 장착된 휴대폰의 접속 단자 및 상기 충전기 내장 배터리 중 하나에 선택적으로 공급되게 하는 스위칭부, 상기 휴대폰 배터리의 충전 상태를 감지하는 배터리 감지부, 그리고 상기 휴대폰 배터리가 완충된 경우 상기 스위칭부를 제어하여 상기 충전기 내장 배터리로 상기 전류 변환부에서 출력되는 직류를 공급되게 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상용 교류 전원이 입력되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휴대폰 배터리가 완충되지 않은 경우 상기 스위칭부를 제어하여 상기 충전기 내장 배터리의 충전 전원이 상기 휴대폰 배터리에 공급되게 할 수 있다.
상기 배터리 감지부는 상기 충전기 내장 배터리의 충전 상태를 더 감지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충전기 내장 배터리가 완충된 경우 상기 스위칭부를 제어하여 상기 충전기 내장 배터리로 상기 전류 변환부에서 출력되는 직류가 공급되는 것을 차단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휴대폰 배터리를 충전하는 충전기의 제어방법은, 상용 교류 전원을 입력받는 단계, 상기 입력된 교류 전원을 직류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단계, 상기 휴대폰 배터리의 완충 상태에 따라 상기 출력되는 직류를 상기 휴대폰 배터리가 장착된 휴대폰의 접속 단자 및 상기 충전기의 내장 배터리 중 하나로 선택적으로 공급되게 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휴대폰 배터리가 완충되지 않은 경우 상기 출력되는 직류를 상기 휴대폰 배터리가 장착된 휴대폰의 접속 단자로 공급하고, 상기 휴대폰 배터리가 완충된 경우 상기 출력되는 직류를 상기 충전기 내장 배터리로 공급할 수 있다.
상기 방법은, 상기 상용 교류 전원이 입력되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휴대폰 배터리가 완충되지 않은 경우 상기 충전기 내장 배터리의 충전 전원이 상기 휴대폰 배터리에 공급되게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충전기 내장 배터리가 완충된 경우 상기 출력되는 직류가 상기 충전기 내장 배터리로 공급되는 것을 차단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상용 전원이 공급되는 경우에는 상용 전원을 이용하여 휴대폰 배터리를 충전함으로써 사용 시간에 제약 없이 휴대폰을 사용하면서 충전을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아울러, 본 발명에 의하면 상용 전원이 공급되지 못하는 장소에서는 보조 배터리를 통해 충전함으로써 장소의 제약 없이 휴대폰을 사용하면서 충전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또한 휴대폰 배터리 완충시 전원 공급이 중단됨으로써 배터리 수명을 늘리는 효과를 가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폰 배터리 충전기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위칭부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폰 배터리 충전기의 제어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그러면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폰 배터리 충전기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1을 참고하면, 본 발명에 따른 휴대폰 배터리 충전기(100)는 충전기 내장 배터리(110), 전원 입력부(120), 전류 변환부(130), 스위칭부(140), 배터리 감지부(150), 및 제어부(160)를 포함한다.
전원 입력부(120)는 상용 교류 전원을 입력받아 휴대폰 배터리 충전기(100)로 공급한다. 이를 위해 전원 입력부(120)는 AC 110V 또는 AC 220V 용 플러그를 포함할 수 있다.
전류 변환부(130)는 입력된 교류 전원을 직류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보다 자세하게는 전류 변환부(130)는 전원 입력부(120)를 통해 입력된 상용 교류 전원AC(Alternating Current)을 낮은 전압으로 강압시키고, 강압된 AC 전압을 DC 전압으로 정류하고, 정류된 DC 전압을 휴대폰 배터리 또는 충전기 내장 배터리(110)에 공급할 수 있는 DC 전압으로 변환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스위칭부(140)는 전류 변환부(130)에서 출력되는 직류를 휴대폰 배터리가 장착된 휴대폰의 접속 단자(200) 및 충전기 내장 배터리(110) 중 하나에 선택적으로 공급되게 하거나 차단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스위칭부(140)는 상용 전원의 공급 여부에 따라 충전기 내장 배터리(110)와 휴대폰의 접속 단자(200)를 연결시켜 충전기 내장 배터리(110)의 전원이 휴대폰의 접속 단자(200)를 통해 휴대폰 배터리로 공급되게 할 수도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위칭부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도면이다.
도 2를 참고하면, 휴대폰 배터리가 완충되지 않고 상용 전원이 공급되는 경우(A), 스위칭부(140)는 단자(1)와 단자(2)를 연결하여 전류 변환부(130)에서 출력되는 직류가 휴대폰의 접속 단자(200)를 통해 휴대폰 배터리에 공급되게 한다.
휴대폰 배터리가 완충되지 않고 상용 전원이 공급되지 않는 경우(B), 스위칭부(140)는 단자(2)와 단자(3)를 연결하여 충전기 내장 배터리(110)의 전원이 휴대폰의 접속 단자(200)를 통해 휴대폰 배터리에 공급되게 한다.
한편 휴대폰 배터리가 완충되고 상용 전원이 공급되는 경우(C), 스위칭부(140)는 단자(1)와 단자(3)를 연결하여 전류 변환부(130)에서 출력되는 직류가 충전기 내장 배터리(110)에 공급되게 한다.
다시 도 1을 참고하면, 배터리 감지부(150)는 휴대폰 배터리의 충전 상태를 감지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보다 자세하게는 배터리 감지부(150)는 휴대폰 배터리의 완충 여부, 과충전 여부, 과전류 및 과전압 여부 등을 감지하여 제어부(160)에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배터리 감지부(150)는 휴대폰 배터리뿐만 아니라 충전기 내장 배터리(110)의 충전 상태를 감지할 수도 있다.
제어부(160)는 휴대폰 배터리가 완충된 경우 스위칭부(140)를 제어하여 충전기 내장 배터리(110)로 전류 변환부(130)에서 출력되는 직류를 공급되게 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60)는 상용 교류 전원이 입력되지 않은 상태에서 휴대폰 배터리가 완충되지 않은 경우 스위칭부(140)를 제어하여 충전기 내장 배터리(110)의 충전 전원이 상기 휴대폰 배터리에 공급되게 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60)는 충전기 내장 배터리(110)가 완충된 경우 스위칭부(140)를 제어하여 충전기 내장 배터리(110)로 전류 변환부(130)에서 출력되는 직류가 공급되는 것을 차단시킬 수 있다. 물론 충전기 내장 배터리(110) 및 휴대폰 배터리가 모두 완충된 경우에는 상용 교류 전원이 충전기 내장 배터리(110) 및 휴대폰 배터리로 공급되는 것을 모두 차단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폰 배터리 충전기의 제어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먼저, 전원 입력부(120)를 통해 상용 교류 전원을 입력받으면(S310-Y), 전류 변환부(130)는 입력된 교류 전원을 직류로 변환하여 출력한다(S320).
그리고 제어부(160)는 스위칭부(140)를 제어하여 휴대폰 배터리의 완충 상태에 따라 출력되는 직류를 휴대폰 배터리가 장착된 휴대폰의 접속 단자(200) 및 충전기의 내장 배터리(110) 중 하나로 선택적으로 공급되게 할 수 있다(S330).
단계(S330)에서, 휴대폰 배터리가 완충되지 않은 경우 출력되는 직류를 휴대폰 배터리가 장착된 휴대폰의 접속 단자(200)로 공급하고, 휴대폰 배터리가 완충된 경우 출력되는 직류를 충전기 내장 배터리(110)로 공급하여 충전되게 한다.
그리고 휴대폰 배터리 및 충전기 내장 배터리가 완충된 경우(S340-Y) 출력되는 직류가 충전기 내장 배터리(110)로 공급되는 것을 차단한다(S350).
한편 상용 교류 전원이 입력되지 않은 상태(S310-N)에서 휴대폰 배터리가 완충되지 않은 경우 충전기 내장 배터리(110)의 충전 전원이 휴대폰 배터리에 공급되게 할 수 있다(S360).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100: 휴대폰 배터리 충전기
110: 충전기 내장 배터리
120: 전원 입력부
130: 전류 변환부
140: 스위칭부
150: 배터리 감지부
160: 제어부
200: 휴대폰 접속 단자

Claims (7)

  1. 충전기 내장 배터리,
    상용 교류 전원을 입력받는 전원 입력부,
    상기 입력된 교류 전원을 직류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전류 변환부,
    상기 전류 변환부에서 출력되는 직류를 휴대폰 배터리가 장착된 휴대폰의 접속 단자 및 상기 충전기 내장 배터리 중 하나에 선택적으로 공급되게 하는 스위칭부,
    상기 휴대폰 배터리의 충전 상태를 감지하는 배터리 감지부, 그리고
    상기 휴대폰 배터리가 완충된 경우 상기 스위칭부를 제어하여 상기 충전기 내장 배터리로 상기 전류 변환부에서 출력되는 직류를 공급되게 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 배터리 충전기.
  2. 제 1 항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상용 교류 전원이 입력되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휴대폰 배터리가 완충되지 않은 경우 상기 스위칭부를 제어하여 상기 충전기 내장 배터리의 충전 전원이 상기 휴대폰 배터리에 공급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 배터리 충전기.
  3. 제 1 항에서,
    상기 배터리 감지부는 상기 충전기 내장 배터리의 충전 상태를 더 감지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충전기 내장 배터리가 완충된 경우 상기 스위칭부를 제어하여 상기 충전기 내장 배터리로 상기 전류 변환부에서 출력되는 직류가 공급되는 것을 차단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 배터리 충전기.
  4. 휴대폰 배터리를 충전하는 충전기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상용 교류 전원을 입력받는 단계,
    상기 입력된 교류 전원을 직류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단계,
    상기 휴대폰 배터리의 완충 상태에 따라 상기 출력되는 직류를 상기 휴대폰 배터리가 장착된 휴대폰의 접속 단자 및 상기 충전기의 내장 배터리 중 하나로 선택적으로 공급되게 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 배터리 충전기의 제어방법.
  5. 제 4 항에서,
    상기 휴대폰 배터리가 완충되지 않은 경우 상기 출력되는 직류를 상기 휴대폰 배터리가 장착된 휴대폰의 접속 단자로 공급하고,
    상기 휴대폰 배터리가 완충된 경우 상기 출력되는 직류를 상기 충전기 내장 배터리로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 배터리 충전기의 제어방법.
  6. 제 5 항에서,
    상기 상용 교류 전원이 입력되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휴대폰 배터리가 완충되지 않은 경우 상기 충전기 내장 배터리의 충전 전원이 상기 휴대폰 배터리에 공급되게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 배터리 충전기의 제어방법.
  7. 제 4 항에서,
    상기 충전기 내장 배터리가 완충된 경우 상기 출력되는 직류가 상기 충전기 내장 배터리로 공급되는 것을 차단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 배터리 충전기의 제어방법.
KR1020120148767A 2012-12-18 2012-12-18 휴대폰 배터리 충전기 및 그 제어방법 KR10145134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48767A KR101451341B1 (ko) 2012-12-18 2012-12-18 휴대폰 배터리 충전기 및 그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48767A KR101451341B1 (ko) 2012-12-18 2012-12-18 휴대폰 배터리 충전기 및 그 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79138A true KR20140079138A (ko) 2014-06-26
KR101451341B1 KR101451341B1 (ko) 2014-10-15

Family

ID=511304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48767A KR101451341B1 (ko) 2012-12-18 2012-12-18 휴대폰 배터리 충전기 및 그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51341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18038A (ko) 2014-08-07 2016-02-17 한승관 충전기
KR20160046109A (ko) * 2014-10-20 2016-04-28 주식회사 엘지화학 어댑터가 내장되어 있고 충전 편의성이 향상된 디바이스
KR20160046101A (ko) * 2014-10-20 2016-04-28 주식회사 엘지화학 어댑터가 내장되어 있고 충전 편의성이 향상된 디바이스
WO2018155911A1 (ko) * 2017-02-25 2018-08-30 브릴리언츠 주식회사 스마트 멀티 카드의 충전 방법 및 이러한 방법을 수행하는 충전 크래들
KR20220105407A (ko) * 2021-01-20 2022-07-27 우석대학교 산학협력단 포터블 드론축구배터리 멀티충전모듈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77201B1 (ko) * 1997-12-30 2003-06-09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백-업밧데리를내장한이동통신단말기및그의전원제어방법
KR100320433B1 (ko) * 1999-12-28 2002-01-16 서평원 이동 단말기의 밧데리 충전장치
JP2008199797A (ja) * 2007-02-13 2008-08-28 Prima International Kk 携帯電話接続用補助充電器
KR20090024907A (ko) * 2007-09-05 2009-03-10 아시아나아이디티 주식회사 배터리 내장 휴대용 충전기 및 그 제어방법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18038A (ko) 2014-08-07 2016-02-17 한승관 충전기
KR20160046109A (ko) * 2014-10-20 2016-04-28 주식회사 엘지화학 어댑터가 내장되어 있고 충전 편의성이 향상된 디바이스
KR20160046101A (ko) * 2014-10-20 2016-04-28 주식회사 엘지화학 어댑터가 내장되어 있고 충전 편의성이 향상된 디바이스
WO2018155911A1 (ko) * 2017-02-25 2018-08-30 브릴리언츠 주식회사 스마트 멀티 카드의 충전 방법 및 이러한 방법을 수행하는 충전 크래들
KR20220105407A (ko) * 2021-01-20 2022-07-27 우석대학교 산학협력단 포터블 드론축구배터리 멀티충전모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51341B1 (ko) 2014-10-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43587B1 (ko) 무접점 충전 장치, 무접점 충전 시스템 및 무접점 충전 방법
CN105162228A (zh) 智能充电器及其充电控制电路
CN105553001A (zh) 充电方法和智能终端
JP5669320B2 (ja) 電子機器
CN101546918B (zh) Usb充电装置及充电方法
KR101451341B1 (ko) 휴대폰 배터리 충전기 및 그 제어방법
CN101800343A (zh) 电子设备、二次电池及控制二次电池的充电和放电的方法
TW201838282A (zh) 不斷電智能充電裝置及其操作方法
KR20100010648U (ko) 무접점 충전 정위치 표시기능이 구비된 거치대
CN111864868B (zh) 快充充电器、快充芯片及快充充电器的控制方法
US8286020B2 (en) Power supply and protection method thereof
CN102629772A (zh) 移动终端及其充电的方法
EP3518371B1 (en) Wireless charging device, system and method on the basis of back cover-type mobile power supply
KR20130006884U (ko) 보조 배터리가 내장된 충전 겸용 데이터 케이블
CN202634032U (zh) 通过usb接口为手持设备进行充电的移动互联设备
KR101261338B1 (ko) 무접점 및 접점 겸용 충전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0976154B1 (ko) 입력전원에 따른 충전전류 제어기능을 갖는 무접점 충전 시스템
CN104283289B (zh) 一种蓝牙充电装置及充电控制方法
KR20150062785A (ko) 저발열 무선 전력 수신 장치
KR20120133080A (ko) 무선 전력 수신 장치에서의 전력 수신 제어 방법 및 이를 적용한 무선 전력 수신 장치
KR20090117295A (ko) 무접점겸용충전장치 및 그의 제어방법
CN210430980U (zh) 可充电电池供电装置
US10985605B2 (en) Power management circuit and electronic device thereof and power supply method thereof
JP5816814B2 (ja) 充電器
KR20120133081A (ko) 무선 전력 전송 장치의 무선 전력 전송 제어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무선 전력 전송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1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05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