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76154B1 - 입력전원에 따른 충전전류 제어기능을 갖는 무접점 충전 시스템 - Google Patents

입력전원에 따른 충전전류 제어기능을 갖는 무접점 충전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76154B1
KR100976154B1 KR1020090092141A KR20090092141A KR100976154B1 KR 100976154 B1 KR100976154 B1 KR 100976154B1 KR 1020090092141 A KR1020090092141 A KR 1020090092141A KR 20090092141 A KR20090092141 A KR 20090092141A KR 100976154 B1 KR100976154 B1 KR 10097615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unit
signal
core
contactle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921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국윤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한림포스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한림포스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한림포스텍
Priority to KR10200900921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7615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761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7615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1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using inductive coupling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6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responsive to the presence of foreign objects, e.g. detection of living being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032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characterised by data exchange
    • H02J7/00038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characterised by data exchange using passive battery identification means, e.g. resistors or capacito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7Regulation of charging or discharging current or voltag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2207/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details of 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2207/30Charge provided using DC bus or data bus of a computer

Abstract

본 발명은 입력전원에 따른 충전전류 제어기능을 갖는 무접점 충전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무선전력전송방식으로 무선전력신호를 송출하는 1차측코어부를 구비한 무접점전력전송장치와, 상기 1차측코어부로부터 전력을 공급받는 2차측코어부 및 배터리셀을 구비한 무접점전력수신장치를 포함하는 무접점 충전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무접점전력전송장치는 전원공급부로 공급되는 입력전원의 종류를 확인한 후, 1차측코어부를 통해 무접점전력수신장치가 감지되면, 상기 확인된 입력전원의 종류에 대응하는 전원확인코드를 생성하여 해당 무접점전력수신장치로 전송하고, 상기 무접점전력수신장치는, 2차측코어부로 수신된 전원확인코드에 대응하는 충전전류를 배터리셀에 공급함으로써, 안정적으로 무선전력을 공급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따라서, 무접점전력수신장치와 무접점전력전송장치를 포함하는 무접점 방식의 충전시스템에 대한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음은 물론, 휴대용 단말기 및 배터리팩 등의 관련제품에 대한 경쟁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다.
무선전력, 입력전원, 전원확인코드, 충전전류, 배터리셀

Description

입력전원에 따른 충전전류 제어기능을 갖는 무접점 충전 시스템{Non-contact charging system with charging current control function by input power}
본 발명은 입력전원에 따른 충전전류 제어기능을 갖는 무접점 충전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무접점 충전 시스템의 무접점전력전송장치에 공급되는 입력전원의 종류(상용전원, USB 등)에 대응하여, 무접점전력수신장치에 포함된 배터리셀(2차전지)을 충전하기 위한 충전전류의 세기를 제어함으로써, 안정적인 충전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입력전원에 따른 충전전류 제어기능을 갖는 무접점 충전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배터리팩(Battery pack)은 외부의 충전기로부터 전력(전기에너지)을 공급받아 충전한 상태에서 휴대용 단말기(핸드폰, PDA 등)의 작동을 위한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것으로, 전기에너지를 충전하는 배터리셀과 상기 배터리셀의 충전 및 방전(휴대용 단말기로 전기에너지를 공급)을 위한 회로 등이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휴대용 단말기에 사용되는 배터리팩에 전기에너지를 충전시키기 위한 충전기와 배터리팩의 전기적연결방식에는, 상용전원을 공급받아 배터리팩에 대응하 는 전압 및 전류로 변환하여 해당 배터리팩의 단자를 통해 배터리팩으로 전기에너지를 공급하는 단자공급방식이 있다.
그러나, 이러한 단자공급방식은, 단자들간의 서로 다른 전위차로 인한 순간방전현상, 이물질에 의한 소손 및 화재발생, 자연방전, 배터리팩의 수명 및 성능 저하 등의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최근에는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무선전력전송방식을 이용한 무접점 방식의 충전시스템과 제어방법들이 제시되고 있다.
상기와 같은 무접점 방식의 충전시스템은, 무선전력전송방식으로 전기에너지를 공급하는 무접점전력전송장치와, 상기 무접점전력전송장치로부터 공급되는 전기에너지를 수신하여 배터리셀을 충전하는 무접점전력수신장치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은 무접점 방식의 충전시스템은 안정적인 충전을 위하여 무접점전력전송장치에서 무접점전력수신장치로 전송하는 무선전력을 제어하게 된다. 다시 말해, 송출되는 무선전력의 세기가 작으면 증가되도록 제어하고, 크면 감소되도록 제어하는 것이다.
만약, 입력전원이 USB(Universal Serial Bus)포트를 통하여 입력되는 USB용 전원 경우, 일반상용전원을 사용하는 것에 비해 전력이 낮은 USB포트(2.5W로 제한)를 통해서는 충분한 전력을 공급할 수 없게 된다.
이러한 경우, 무접점전력수신장치는 무접점전력전송장치측으로 보다 큰 무선전력신호의 송출을 요청하게 되며, 이러한 요청에 의해 무접점전력전송장치가 송출 되는 전력을 증가시키도록 제어하게 되는데, 이러한 제어에 의해 무리하게(또는 강제적으로) 송출전력을 높이게 되면, USB포트에 과부하가 발생되어 고장 및 소손 등을 유발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무접점 충전 시스템의 무접점전력전송장치에 공급되는 입력전원의 종류에 대응하여, 배터리셀(2차전지)을 충전하기 위한 충전전류의 세기를 제어함으로써, 다양한 입력전원에 대해서 항상 안정적인 충전이 이루어질 수 있는 입력전원에 따른 충전전류 제어기능을 갖는 무접점 충전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무접점전력송신장치로 공급되는 입력전원(예를 들어, 일반 어뎁터에 의해 공급되는 상용전원, USB포트로 공급되는 USB용 전원 등)의 종류에 대응하는 FSK(Frequency Shift Keying)신호의 전원확인코드를 무접점전력수신장치로 전송하고, 상기 무접점전력수신장치는 전송된 전원확인코드에 대응하여 배터리셀을 충전하기 위한 충전전류의 세기를 제어할 수 있도록 한 입력전원에 따른 충전전류 제어기능을 갖는 무접점 충전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에 따른 입력전원에 따른 충전전류 제어기능을 갖는 무접점 충전 시스템은, 무선전력전송방식으로 무선전력신호를 송출하는 1차측코어부(110)를 구비한 무접점전력전송장치(100)와, 상기 1차측코어부(110)로부터 전력을 공급받는 2차측코어부(210) 및 배터리셀을 구비한 무접점전력수신장치(200)를 포함하는 무접점 충전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무접점전력전송장치(100)는, 상용전원 및 USB(Universal Serial Bus)를 포함하는 입력전원을 공급받는 전원공급부(180); 상기 전원공급부(180)로 공급되는 입력전원의 종류를 확인하는 전원확인부(190); 및 상기 전원확인부(190)를 통해 확인된 입력전원의 종류에 대응하는 전원확인코드를 생성하며, 상기 생성된 전원확인코드가 1차측코어부(110)를 통해 무접점전력수신장치(200)로 전송되도록 제어하는 무선전력전송제어부(130)를 포함하고, 상기 전원확인부(190)는, 상기 전원공급부(180)의 USB용 데이터 단자를 통해 USB포트의 연결이 확인된 경우에는 "High"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전원공급부(180)의 USB용 데이터 단자를 통해 USB포트의 연결이 확인되지 않은 경우에는 "Low"신호를 출력하는 스리 스테이트 버퍼(Tri-State Buffer)를 포함하며, 상기 무접점전력수신장치(200)는, 2차측코어부(210)로 수신된 전원확인코드에 대응하는 충전전류를 배터리셀에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그리고, 상기 무접점전력수신장치(200)는, 2차측코어부(210)인 전력수신코어(211)로 유도되는 전류를 확인하고, 배터리셀모듈(230)에서 수집 및 처리되는 배터리셀의 충전정보에 기초하여, 무선전력신호의 세기제어를 요청하는 무선전력수신측제어부(240)와, AC모듈레이션(Modulation) 방식으로 변환된 AC신호의 코드데이터를 2차측코어부(210)를 통해 송수신하는 ID송신부(250)를 더 포함하고, 상기 ID송신부(250)는, 상기 2차측코어부(210)의 전력수신코어와 병렬로 연결되어 DC신호성분을 제거하는 커패시터(Capacitor)(C)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무접점전력전송장치(100)는, AC신호의 코드데이터가 1차측코어부(110)로 수신되면, 상기 1차측코어부(110)에 인가되는 DC신호로부터 AC신호의 코드데이터를 추출하는 궤환회로부(170); 상기 궤환회로부(170)에서 추출된 AC신호의 코드데이터를 분석하여, 해당 부하변화가 무접점전력수신장치(200)에 의한 것인지를 판단하는 ID확인부(120); 상기 1차측코어부(110)로 송출전원을 공급하는 직렬공진형컨버터(160); 상기 직렬공진형컨버터(160)의 동작을 제어하는 구동드라이버(150); 및 상기 ID확인부(120)의 판단결과, 해당 부하가 무접점전력수신장치(200)에 의한 것인 경우, 상기 1차측코어부(110)를 통해 무선전력신호를 송출하기 위한 전력제어신호를 상기 구동드라이버(150)로 전송하는 무선전력전송제어부(1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특히, 상기 직렬공진형컨버터(160)와 제1 전력송신코어(111) 및 제2 전력송신코어(112)의 사이에 각각 제1 스위치(141) 및 제2 스위치(142)를 구성하고, 상기 무접점전력전송장치(100)는 상기 제1 스위치(141) 및 제2 스위치(142)의 스위칭동작을 제어하는 스위칭제어부(140)를 더 포함하며, 상기 ID확인부(120)는 제1 전력송신코어(111) 및 제2 전력송신코어(112)의 부하변화를 각각 감지하고, 이에 대응하는 감지신호를 상기 무선전력전송제어부(130)로 전송하고, 상기 무선전력전송제어부(130)는, 전송된 감지신호를 분석처리하여, ID가 수신된 전력송신코어를 확인한 후, 해당 전력송신코어에 대응하는 스위치를 온(On)상태로 스위칭하기 위한 스위칭제어신호를 상기 스위칭제어부(140)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무선전력전송제어부(130)는, 상기 ID확인부(120)에서 확인된 제1 전력송신코어(111) 및 제2 전력송신코어(112)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무선전력신호를 송출하되, 상기 제1 전력송신코어(111) 및 제2 전력송신코어(112)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해 송출되는 무선전력신호의 출력전력이 기준전력값에 대응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1차측코어부(110)를 통해 전력제어요청코드가 수신되면, 상기 수신된 전력제어요청코드에 대응하는 보정전력값을 산출한 후, 상기 기준전력값에 보정전력값을 적용하여 상기 제1 전력송신코어(111) 및 제2 전력송신코어(112)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무선전력신호를 송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해결수단에 의해, 본 발명은 공급되는 입력전원의 종류에 대응하여, 배터리셀(2차전지)을 충전하기 위한 충전전류의 세기를 제어함으로써, 다양한 입력전원에 대해서 항상 안정적인 충전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무접점전력전송장치의 충전데크에 놓여지는 물체의 종류를 정확하게 판단하고, 무접점전력수신장치가 놓여진 경우에만 전력송신 및 데이터통신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이물질에 의한 기기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특히, 무접점전력수신장치로 공급되는 전력을 측정하고, 서로 다른 두개의 코어에서 송출되는 무선전력신호의 출력전력을, 상기 측정결과에 대응하여 보정하도록 제어함으로써, 안정적인 충전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장점이 있다.
따라서, 무접점전력수신장치와 무접점전력전송장치를 포함하는 무접점 방식의 충전시스템에 대한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음은 물론, 휴대용 단말기 및 배터리팩 등의 관련제품에 대한 경쟁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입력전원에 따른 충전전류 제어기능을 갖는 무접점 충전 시스템에 대한 예는 다양하게 적용할 수 있으며,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가장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입력전원에 따른 충전전류 제어기능을 갖는 무접점 충전 시스템의 예를 나타낸 구성도로서, 무선전력신호를 송출하는 무접점전력전송 장치(100)와, 상기 무선전력신호를 수신하여 배터리셀을 충전하는 무접점전력수신장치(200)의 세부구성을 나타낸 것이다.
상기 무접점전력전송장치(100)는, 1차측코어부(110), ID확인부(120), 무선전력전송제어부(130), 스위칭제어부(140), 구동드라이버(150), 직렬공진형컨버터(160), 궤환회로부(170), 전원공급부(180), 전원확인부(19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1차측코어부(110)는 제1 전력송신코어(111) 및 제2 전력송신코어(112)로 구성되며, 직렬공진형컨버터(160)에 병렬로 연결되어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1 전력송신코어(111) 및 제2 전력송신코어(112)는 서로 일부분이 충첩되는 중첩영역을 갖는다.
상기 ID확인부(120)는 상기 1차측코어부(110)의 부하변화를 감지하고, 해당 부하변화가 무접점전력수신장치(200)에 의한 것인지를 판단하는 것으로, 부하변화감지기능과 더불어 무접점전력수신장치(200)로부터 전송된 신호 중 AC신호의 데이터신호코드를 분석 및 처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무선전력전송제어부(130)는 상기 ID확인부(120)의 판단결과를 전송받아 확인하고, 해당 부하변화가 무접점전력수신장치(200)에 의한 것인 경우, 상기 1차측코어부(110)를 통해 무선전력신호를 송출하기 위한 전력제어신호를 상기 구동드라이버(150)로 전송한다.
그리고, 상기 ID확인부(120)에서 필터링된 데이터신호를 분석처리하고, 이에 대응하여 구동드라이버(150)를 제어하게 된다. 또한, 데이터신호(예를 들어, ID요 청신호)를 생성하여 1차측코어부(110)를 통해 무접점전력수신장치(200)로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스위칭제어부(140)는 직렬공진형컨버터(160)와 제1 전력송신코어(111) 및 제2 전력송신코어(112)의 사이에 각각 구성되는 제1 스위치(141) 및 제2 스위치(142)의 스위칭동작을 제어하는 것이다.
상기 구동드라이버(150)는 송출하고자 하는 무선전력신호의 세기에 대응하여 직렬공진형컨버터(160)의 동작을 제어하는 것이다.
상기 직렬공진형컨버터(160)는 구동드라이버(150)의 제어에 의해 송출하고자 하는 무선전력신호를 발생하기 위한 송출전원을 생성하여 상기 1차측코어부(110)로 공급하는 것이다.
다시 말해, 무선전력전송제어부(130)가 요구되는 전력값을 갖는 무선전력신호의 송출을 위한 전력제어신호를 구동드라이버(150)로 전송하면, 상기 구동드라이버(150)는 전송된 전력제어신호에 대응하여 직렬공진형컨버터(160)의 동작을 제어하고, 상기 직렬공진형컨버터(160)는 구동드라이버(150)의 제어에 의하여 요구되는 전력값에 대응하는 송출전원을 1차측코어부(110)에 인가함으로써, 요구되는 세기의 무선전력신호가 송출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궤환회로부(170)는, AC신호의 코드데이터가 1차측코어부(110)로 수신되면, 상기 1차측코어부(110)에 인가되는 DC신호로부터 AC신호의 코드데이터를 추출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궤환회로부(170)는 상기 1차측코어부(110)의 제1 전력송신코 어(111) 및 제2 전력송신코어(112)의 일측단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DC신호성분을 제거(저주파성분 제거)하는 RC필터회로와, 상기 RC필터회로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OP-AMP를 포함하는 증폭회로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RC필터회로에서 DC신호성분인 저주파신호가 제거되고, 추출된 AC신호성분이 증폭회로에서 증폭되도록 함으로써, 진폭이 적은 신호의 송수신이 가능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전원공급부(180)는, 상용전원 및 USB(Universal Serial Bus)를 포함하는 입력전원을 공급받는 것으로, 도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상용전원을 공급받는 어댑터(Adapter)단자, USB용 전원을 공급받는 USB_BUS단자, USB용 데이터 단자(D+, D-) 및 그라운드단자(GND)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USB포트가 사용될 경우, USB_BUS단자로 전원이 공급되면, D+단자로 동작(Enable)신호가 입력된다.
상기 전원확인부(190)는, 상기 어댑터단자 또는 USB_BUS단자를 통해 입력되는 상용전원 또는 USB용 전원을 입력받는 슈미트트리거(Schmitt trigger)회로와, 상기 슈미트트리거회로의 출력을 입력으로 하고, D+단자로 동작신호가 입력되면 "High"신호를 출력하고, D+단자로 동작신호가 입력되지 않으면 "Low"신호를 출력하는 스리 스테이트 버퍼(Tri-state buffer)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스리 스테이트 버퍼의 출력값은 무선전력전송제어부(130)로 입력되며, 상기 무선전력전송제어부(130)는 입력된 신호를 확인하여, 해당 입력전원의 종류를 확인하고, 이에 대응하는 전원확인코드를 무접점전력수신장치(200)로 전송한다.
예를 들어, 상기 무접점전력전송장치(100)는 전원확인부(190)로부터 "High" 신호가 입력되면, USB포트를 통해 전원이 공급된 것으로 판단하고, FSK(Frequency Shift Keying)신호에 의해 "OxC9"코드를 무접점전력수신장치(200)로 전송하며, 전원확인부(190)로부터 “Low”신호가 입력되면, 일반 어댑터를 통해 전원이 공급된 것으로 판단하고, FSK(Frequency Shift Keying)신호에 의해 "OxCA"코드를 무접점전력수신장치(200)로 전송한다.
그리고, 무선전력신호를 수신하여 전력을 공급받는 무접점전력수신장치(200)는, 상기 송출된 무선전력신호에 의해 유도전력을 생성하는 2차측코어부(210)인 전력수신코어(211)와, 유도된 전력을 정류하는 정류부(220) 및 정류된 전력으로 배터리셀을 충전하는 배터리셀모듈(230)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배터리셀모듈(230)에는 과전압 및 과전류방지회로, 온도감지회로 등의 보호회로가 포함되어 구성되며, 특히, 배터리셀의 충전상태 등의 정보를 수집 및 처리하는 충전관리모듈이 포함된다.
또한, 상기 무접점전력수신장치(200)는, 2차측코어부(210)인 전력수신코어(211)로 유도되는 전류를 확인하고, 상기 배터리셀모듈(230)에서 수집 및 처리되는 배터리셀의 충전정보에 기초하여, 무선전력신호의 세기제어를 요청하는 무선전력수신측제어부(240)와, AC모듈레이션(Modulation) 방식으로 변환된 AC신호의 코드데이터를, 2차측코어부(210)를 통해 송수신하는 ID송신부(250)가 더 포함되어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정류부(220)에서 출력되는 전압을 변환하여 출력하는 LDO(Low Drop Output)을 더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LDO는 레귤레이터(Regulator)의 일종으 로, 일반 레귤레이터에 비하여 전력소모가 작으며, 입력전압과 출력전압의 차가 작은 경우에 사용된다.
상기 무선전력수신측제어부(240)는 2차측코어부(210)를 통해 입력되는 전원확인코드를 확인한 후, 그 결과를 베터리셀모듈(230)로 전송하며, 배터리셀 모듈(230)의 충전제어부(231)는 전송된 전원확인코드에 대응하여 배터리셀(232)을 충전하도록 제어한다.
예를 들어, 무선전력수신측제어부(240)는 입력된 전원확인코드가 "OxC9"코드로 확인되면, USB포트를 통해 전원이 공급된 것으로 판단하여 이를 충전제어부(231)에 알려주면, 충전제어부(231)는 저전류모드(Low current mode)로 변환하여 저전류(약 100mA)에 의하여 배터리셀(232)이 충전되도록 하고, 상기 전원확인코드가 "OxCA"로 확인되면, 어댑터를 통해 상용전원이 공급된 것으로 판단하여 이를 충전제어부(231)에 알려주면, 충전제어부(231)는 고전류모드(High current mode)로 변환하여 고전류(약 500mA)에 의하여 배터리셀(232)이 고속충전되도록 한다.
그리고, 무접점전력수신장치(200)는, 도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2차측코어부(210)의 전력수신코어(211)와 병렬로 연결되어 DC신호성분을 제거하는 커패시터(Capacitor)(C)와 더불어, 드레인단자가 상기 커패시터와 직렬로 연결된 MOSFET을 더 포함한다.
상기 MOSFET은 ID송신부(250)의 제어에 의해 온오프동작을 수행하는 것으로, 상기 ID송신부(250)는, 상기 무선전력수신측제어부(240)의 무선전력신호에 대한 세기제어의 요청에 대응하여 설정된 듀티비(Duty rate)에 대응하여, 상기 MOSFET의 동작전압을 상기 MOSFET의 게이트단자로 입력한다.
다시 말해, ID송신부(250)가 동작전압에 해당하는 온신호 및 오프신호를 게이트단자로 입력하면, MOSFET은 게이트단자에 입력된 전압에 대응하여, 펄스폭변조(PWM)된 신호를 생성하여 출력하게 되며, 이러한 신호는 2차측코어부(210)의 전력수신코어(211)를 통해 무접점전력전송장치(100)로 전송된다.
이하에서,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의한 무선전력송신용 코어구조를 이용한 무접점 충전 시스템의 충전 방법을 살펴보기로 한다.
먼저, 도 4를 참조하여 무접점전력전송장치(100) 및 무접점전력수신장치(200)의 동작을 살펴보면, 무접점전력전송장치(100)는 전원공급부(180)로 공급되는 입력전원의 전원을 확인하고(S101), 무접점전력전송장치(100)의 스위칭제어부(140)는 제1 스위치(141) 및 제2 스위치(142)를 오프(Off)상태로 유지하고, ID확인부(120)가 1차측코어부(110)의 제1 전력송신코어(111) 및 제2 전력송신코어(112)의 부하변화를 감지하는 대기상태를 유지(스텐바이모드)한다(S102).
상기와 같은 대기상태(S110)에서, 무접점전력수신장치(200)가 무접점전력전송장치(100)에 놓여지게 되면, 제1 전력송신코어(111) 및 제2 전력송신코어(112)에 자기장의 변화가 발생되고, ID확인부(120)가 이를 감지하게 된다(S103).
상기와 같이 부하변화가 감지되면, ID확인부(120)는 딜레이타임(Delay time) 또는 주파수특성에 의해 이물질여부를 판단한다.
예를 들어, 딜레이타임에 의한 경우, 상기 무선전력전송제어부(130)는 1차측코어부(110)로 송출된 신호에 의한 응답신호(이물질의 경우 반사신호)의 수신 딜레 이타임을 측정한다.
상기와 같이 수신신호의 딜레이타임이 측정되면, 기준시간과 비교한 후, 측정시간이 기준시간보다 긴 경우에는 정상적인 무접점전력수신장치(200)가 놓여진 것으로 판단하고, 측정시간이 기준시간보다 짧은 경우에는 이물질이 놓여진 것으로 판단한다.
그리고, 주파수특성에 의한 경우, 상기 무선전력전송제어부(130)는 1차측코어부(110)로 송출된 임펄스신호에 대한 피드백신호)를 수신하여 분석 및 처리한다.
상기 분석 및 처리결과, 피드백신호의 주파수가 측정되면, 기준피드팩신호의 주파수와 비교한 후, 주파수특성이 다르면 이물질이 놓여진 것으로 판단하고, 주파수특성이 동일하면서 이득이 감소되면 무접점전력수신장치(200)가 놓여진 것으로 판단한다.
상기와 같은 판단은 1차적인 판단기준이며, 이하 설명될 ID확인과정과 더불어 이물질여부의 판단기준이 된다.
상기와 같이 ID확인부(120)를 통해 수신된 신호에 기초하여, 해당 물체가 무접점전력수신장치(200)인 것으로 1차 판정이 되면, 상기 무선전력전송제어부(130)는 1차측코어부(110)를 통해 ID코드를 요청하는 신호를 생성하여(S104) 무접점전력수신장치(200)로 전송한다(S105).
여기서, ID코드는 해당 무접점전력수신장치(200)의 고유식별자코드를 말한다.
상기 무접점전력수신장치(200)는, 배터리셀을 충전하기 위한 스텐바이모 드(Standby mode)에서, 상기와 같은 ID코드 요청신호가 수신되면(S105), 자신의 ID코드를 호출하여(S106), 전력수신코어(211)를 통해 ID코드를 무접점전력전송장치(100)로 송신한다(S107).
상기 헤더ID코드가 1차측코어부(110)로 수신되면(S107), ID확인부(120)는 해당 물체가 무접점전력수신장치(200)인 것으로 판단하고(S108), 응답신호가 수신되지 않으면 금속재질의 이물질인 것으로 판단한다(S109).
이물질인 것으로 판단되면, LCD 또는 LED와 같은 출력장치를 통해 문자 또는 발광형태로 이물질이 감지된 것을 사용자에게 알려준다(S109).
여기서, ID코드에 대한 요청신호의 송출 및 응답신호의 수신을 위하여 동작되는 무접점전력전송장치(100)의 세부구성 중 일부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에 의한 충전 시스템의 구성을 설명하면서 이미 설명된 내용이며, 이하에서도 불필요하게 반복되는 내용에 대하여 생략할 수 있음은 당연하다.
상기와 같이 ID확인부(120)를 통해 해당 물체가 무접점전력수신장치(200)인 것으로 판단되면(S110), 무접점전력전송장치(100)는 해당 코어를 통해 전원정보(전원확인코드)를 무접점전력수신장치(200)로 전송하고(S111), 무접점전력수신장치(200)는 수신된 전원정보에 의해 충전제어부(231)에 의한 충전방식을 설정한다(S112).
그리고, 상기 무접점전력전송장치(100)는 전원정보를 전송한 이후, 일정시간이 경과되면, 상기 무접점전력수신장치(200)로 무선전력신호를 송출한다(S113).
이때, ID코드가 수신된 코어가 제1 전력전송코어(111)인 경우, 무선전력전송 제어부(130)는 스위칭제어부(140)에 스위칭제어신호를 전송하여 제1 스위치(141)를 온시키고 제2 스위치(142)를 오프시킨 후, 구동드라이버(150)에 전력제어신호를 전송하여 제1 전력전송코어(111)를 통해 무선전력신호를 송출한다.
여기서, 송출되는 무선전력신호의 출력전력은 기준전력값에 대응하여 송출되며, 상기 기준전력값은 무접점전력수신장치(200)에서 요구되는 입력전압(예를 들어, 4.5V 내지 5.5V)으로 유도될 수 있는 전압에 대응되는 값이다.
그리고, ID가 수신된 코어가 제2 전력전송코어(112)인 경우, 무선전력전송제어부(130)는 스위칭제어부(140)에 스위칭제어신호를 전송하여 제1 스위치(141)를 오프시키고 제2 스위치(142)를 온시킨 후, 구동드라이버(150)에 전력제어신호를 전송하여 제2 전력전송코어(111)를 통해 무선전력신호를 송출한다.
만약, 전력수신코어(211)가 중첩영역에 위치하게 될 경우, 제1 전력전송코어(111) 및 제2 전력전송코어(112)가 동시에 ID를 수신하게 되면, 무선전력전송제어부(130)는 스위칭제어부(140)에 스위칭제어신호를 전송하여 제1 스위치(141) 및 제2 스위치(142)를 온시키고, 구동드라이버(150)에 전력제어신호를 전송하여 제1 전력전송코어(111) 및 제2 전력전송코어(112)를 통해 무선전력신호를 송출한다.
이때, 상기 제1 전력전송코어(111) 및 제2 전력전송코어(112)에서 각각 기준전력값에 대응하는 출력전력으로 무선전력신호를 출력하게 될 경우, 전력수신코어(211)에 과도한 전압이 유도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전력전송코어(111) 및 제2 전력전송코어(112)가 동시에 ID를 수신하는 경우에는, 제1 전력전송코어(111)의 출력전력과 제2 전력전송코어(112)의 출력전력의 합이 기준전력값에 대응하도록 제어하여 무선전력신호를 송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은 과정에 의해 무접점전력수신장치(200)로 무선전력신호가 수신되면(S113), 상기 무접점전력수신장치(200)는 전력수신코어(211)에 유도되는 전기에너지를 이용하여 배터리셀(232)을 충전하게 된다(S113).
그리고, 상기 무접점전력수신장치(200)는, 배터리셀(232)의 충전상태를 확인하여, 해당 배터리셀의 만충전여부(S207)와 게이지변화여부(S210)를 확인하고, 본 발명의 목적인 안정적인 충전을 이루기 위하여, 전력수신코어(211)에 유도되는 전압을 감지하고, 감지된 유도전압이 충전동작에 요구되는 입력전압의 범위(예를 들어, 4.5V 내지 5.5V)에 포함되는지를 판단한다(S115).
상기 판단결과, 배터리셀이 만충전인 경우, 배터리셀모듈(230)은 ID송신부(240)를 통해 AC모듈레이션(Modulation) 방식으로 변환된 파워오프코드(Power off code)를 무접점전력전송장치(100)로 전송하고, 충전동작을 완료하며, 게이지가 변환된 경우 게이지코드(Gauge code)를 전송한다.
그리고, 상기 판단결과, 설정된 범위에 포함되지 않을 경우(S116), 무접점전력수신장치(200)는 무접점전력전송장치(100)로 전력제어요청신호를 전송한다(S117).
예를 들어, 전력수신코어(211)가 외곽으로 이동하여 설정범위보다 낮은 전압이 유도된 경우, 파워업코드(Power up code)를 전송하고, 전력수신코어(211)가 중첩영역에 위치하여 제1 전력전송코어(111) 및 제2 전력전송코어(112)에서 동시에 송출되는 무선전력신호에 의해 전력수신코어(211)에 설정범위보다 높은 전압이 유도된 경우, 파워다운코드(Power down code)를 전송한다.
상기와 같은 각 코드가 전송되면, 무접점전력수신장치(200)는 무접점전력전송장치(100)로부터 전송되는 무선전력신호의 세기 등을 모니터한다(S116).
상기와 같은 전력제어코드가 무접점전력전송장치(100)의 1차측코어부(110)로 수신되면(S118), 궤환회로부(170)가 1차측코어부(110)에 유도된 신호(DC성분의 송출전력신호 및 수신된 AC성분의 코드신호)로부터 해당 코드를 추출한다.
무선전력전송제어부(130)는 상기 추출된 코드를 수신하여 분석한 후(S119), 해당 코드가 파워오프코드인 경우, 전력전송을 완료하고(S120) LED 또는 LCD 등을 통해 만충전상태임을 표시하고(S121), 게이지코드인 경우(S118) 충전상태를 출력하며, 파워업코드인 경우 해당 전력송신코어의 송출전력을 높이고, 파워다운코드인 경우 해당 전력송신코어의 송출전력을 낮춘다.
무접점전력전송장치(100)의 무선전력전송제어부(130)는 수신된 전력제어요청신호(각 코어신호)에 대응하는 보정전력값을 산출한 후, 상기 기준전력값에 보정전력값을 적용하여 상기 제1 전력송신코어(111) 및 제2 전력송신코어(112)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무선전력신호를 송출함으로써, 무접점전력수신장치(200)의 위치에 관계없이 안정적인 충전이 가능해진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의한 입력전원에 따른 충전전류 제어기능을 갖는 무접점 충전 시스템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이러한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가 본 발명의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입력전원에 따른 충전전류 제어기능을 갖는 무접점 충전 시스템 의 예를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2는 도 1에 나타난 무접점전력전송장치의 주요구성에 대한 예를 나타낸 회로도이다.
도 3은 도 1에 나타난 무접점전력수신장치의 주요구성에 대한 예를 나타낸 회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무접점전력수신장치의 제어방법에 대한 예를 난타낸 순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무접점전력전송장치 110 : 1차측코어부
120 : ID확인부 130 : 무선전력전송제어부
140 : 스위칭제어부 150 : 구동드라이버
160 : 직렬공진형컨버터 170 : 궤환회로부
180 : 전원공급부 190 : 전원확인부
200 : 무접점전력수신장치 210 : 2차측코어부
220 : 정류부 230 : 배터리셀모듈
231 : 충전제어부 232 : 배터리셀
240 : 무선전력수신측제어부 250 : ID송신부

Claims (7)

  1. 무선전력전송방식으로 무선전력신호를 송출하는 1차측코어부(110)를 구비한 무접점전력전송장치(100)와, 상기 1차측코어부(110)로부터 전력을 공급받는 2차측코어부(210) 및 배터리셀을 구비한 무접점전력수신장치(200)를 포함하는 무접점 충전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무접점전력전송장치(100)는,
    상용전원 및 USB(Universal Serial Bus)를 포함하는 입력전원을 공급받는 전원공급부(180);
    상기 전원공급부(180)로 공급되는 입력전원의 종류를 확인하는 전원확인부(190); 및
    상기 전원확인부(190)를 통해 확인된 입력전원의 종류에 대응하는 전원확인코드를 생성하며, 상기 생성된 전원확인코드가 1차측코어부(110)를 통해 무접점전력수신장치(200)로 전송되도록 제어하는 무선전력전송제어부(130)를 포함하고,
    상기 전원확인부(190)는,
    상기 전원공급부(180)의 USB용 데이터 단자를 통해 USB포트의 연결이 확인된 경우에는 "High"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전원공급부(180)의 USB용 데이터 단자를 통해 USB포트의 연결이 확인되지 않은 경우에는 "Low"신호를 출력하는 스리 스테이트 버퍼(Tri-State Buffer)를 포함하며,
    상기 무접점전력수신장치(200)는, 2차측코어부(210)로 수신된 전원확인코드에 대응하는 충전전류를 배터리셀에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력전원에 따른 충전전류 제어기능을 갖는 무접점 충전 시스템.
  2. 삭제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무접점전력수신장치(200)는, 2차측코어부(210)인 전력수신코어(211)로 유도되는 전류를 확인하고, 배터리셀모듈(230)에서 수집 및 처리되는 배터리셀의 충전정보에 기초하여, 무선전력신호의 세기제어를 요청하는 무선전력수신측제어부(240)와, AC모듈레이션(Modulation) 방식으로 변환된 AC신호의 코드데이터를 2차측코어부(210)를 통해 송수신하는 ID송신부(250)를 더 포함하고,
    상기 ID송신부(250)는,
    상기 2차측코어부(210)의 전력수신코어와 병렬로 연결되어 DC신호성분을 제거하는 커패시터(Capacitor)(C)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력전원에 따른 충전전류 제어기능을 갖는 무접점 충전 시스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무접점전력전송장치(100)는,
    AC신호의 코드데이터가 1차측코어부(110)로 수신되면, 상기 1차측코어부(110)에 인가되는 DC신호로부터 AC신호의 코드데이터를 추출하는 궤환회로부(170);
    상기 궤환회로부(170)에서 추출된 AC신호의 코드데이터를 분석하여, 해당 부하변화가 무접점전력수신장치(200)에 의한 것인지를 판단하는 ID확인부(120);
    상기 1차측코어부(110)로 송출전원을 공급하는 직렬공진형컨버터(160);
    상기 직렬공진형컨버터(160)의 동작을 제어하는 구동드라이버(150); 및
    상기 ID확인부(120)의 판단결과, 해당 부하가 무접점전력수신장치(200)에 의한 것인 경우, 상기 1차측코어부(110)를 통해 무선전력신호를 송출하기 위한 전력제어신호를 상기 구동드라이버(150)로 전송하는 무선전력전송제어부(1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력전원에 따른 충전전류 제어기능을 갖는 무접점 충전 시스템.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직렬공진형컨버터(160)와 제1 전력송신코어(111) 및 제2 전력송신코어(112)의 사이에 각각 제1 스위치(141) 및 제2 스위치(142)를 구성하고,
    상기 무접점전력전송장치(100)는 상기 제1 스위치(141) 및 제2 스위치(142)의 스위칭동작을 제어하는 스위칭제어부(140)를 더 포함하며,
    상기 ID확인부(120)는 제1 전력송신코어(111) 및 제2 전력송신코어(112)의 부하변화를 각각 감지하고, 이에 대응하는 감지신호를 상기 무선전력전송제어부(130)로 전송하고,
    상기 무선전력전송제어부(130)는, 전송된 감지신호를 분석처리하여, ID가 수신된 전력송신코어를 확인한 후, 해당 전력송신코어에 대응하는 스위치를 온(On)상태로 스위칭하기 위한 스위칭제어신호를 상기 스위칭제어부(140)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력전원에 따른 충전전류 제어기능을 갖는 무접점 충전 시스템.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전력전송제어부(130)는,
    상기 ID확인부(120)에서 확인된 제1 전력송신코어(111) 및 제2 전력송신코어(112)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무선전력신호를 송출하되, 상기 제1 전력송신코어(111) 및 제2 전력송신코어(112)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해 송출되는 무선전력신호의 출력전력이 기준전력값에 대응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1차측코어부(110)를 통해 전력제어요청코드가 수신되면, 상기 수신된 전력제어요청코드에 대응하는 보정전력값을 산출한 후, 상기 기준전력값에 보정전력값을 적용하여 상기 제1 전력송신코어(111) 및 제2 전력송신코어(112)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무선전력신호를 송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력전원에 따른 충전전류 제어기능을 갖는 무접점 충전 시스템.
KR1020090092141A 2009-09-29 2009-09-29 입력전원에 따른 충전전류 제어기능을 갖는 무접점 충전 시스템 KR10097615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92141A KR100976154B1 (ko) 2009-09-29 2009-09-29 입력전원에 따른 충전전류 제어기능을 갖는 무접점 충전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92141A KR100976154B1 (ko) 2009-09-29 2009-09-29 입력전원에 따른 충전전류 제어기능을 갖는 무접점 충전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76154B1 true KR100976154B1 (ko) 2010-08-17

Family

ID=427596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92141A KR100976154B1 (ko) 2009-09-29 2009-09-29 입력전원에 따른 충전전류 제어기능을 갖는 무접점 충전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76154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54092B1 (ko) 2011-12-21 2013-04-12 주식회사 스파콘 신호 검출장치 및 이를 구비한 무선 전력전송장치
WO2013125926A1 (ko) * 2012-02-24 2013-08-29 Oh Yeonmi 자기 공명 전력전송 장치
KR101339066B1 (ko) * 2012-06-07 2013-12-10 이슬기 태양 광 발전전력 무선 전달형 실내 조명기구
KR101358071B1 (ko) * 2011-11-22 2014-02-12 한국과학기술원 상용주파수에서 사용할 수 있는 접촉식 급집전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73690A (ko) * 1997-03-18 1998-11-05 윤종용 입력 전원 자동 조정 기능 어댑터를 내장한 무선전화기의 충전장치
KR20030088791A (ko) * 2002-05-15 2003-11-2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전기 차량의 충전 제어장치 및 방법
KR20080005020A (ko) * 2006-07-07 2008-01-10 주식회사 한림포스텍 무접점 충전 시스템
KR20080036702A (ko) * 2006-10-24 2008-04-29 주식회사 한림포스텍 무선 데이타 통신과 전력 전송이 가능한 무접점 충전장치,충전용 배터리팩 및 무접점 충전장치를 이용한 휴대용단말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73690A (ko) * 1997-03-18 1998-11-05 윤종용 입력 전원 자동 조정 기능 어댑터를 내장한 무선전화기의 충전장치
KR20030088791A (ko) * 2002-05-15 2003-11-2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전기 차량의 충전 제어장치 및 방법
KR20080005020A (ko) * 2006-07-07 2008-01-10 주식회사 한림포스텍 무접점 충전 시스템
KR20080036702A (ko) * 2006-10-24 2008-04-29 주식회사 한림포스텍 무선 데이타 통신과 전력 전송이 가능한 무접점 충전장치,충전용 배터리팩 및 무접점 충전장치를 이용한 휴대용단말기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58071B1 (ko) * 2011-11-22 2014-02-12 한국과학기술원 상용주파수에서 사용할 수 있는 접촉식 급집전장치
KR101254092B1 (ko) 2011-12-21 2013-04-12 주식회사 스파콘 신호 검출장치 및 이를 구비한 무선 전력전송장치
WO2013125926A1 (ko) * 2012-02-24 2013-08-29 Oh Yeonmi 자기 공명 전력전송 장치
KR101339066B1 (ko) * 2012-06-07 2013-12-10 이슬기 태양 광 발전전력 무선 전달형 실내 조명기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71705B1 (ko) 무접점 충전 시스템
CN106961147B (zh) 具备过热保护功能的无线电力传输系统及方法
KR100992480B1 (ko) 피드백신호에 의한 이물질 감지기능을 갖는 무접점 충전 시스템
KR101035334B1 (ko) 무접점 충전 시스템의 충전전압 제어 방법
KR101246693B1 (ko) 무선 전력 수신 장치 및 그 전력 제어 방법
KR20090056545A (ko) 멀티무접점충전시스템 및 제어방법
JP2011211760A (ja) 非接触給電装置及び非接触充電システム
CN102165667A (zh) 无接点充电系统
KR102023068B1 (ko) 무선 전력 전송 장치 및 무선 전력 전송 장치에서의 무선 전력 신호 전송 제어 방법
KR20100010648U (ko) 무접점 충전 정위치 표시기능이 구비된 거치대
KR101063156B1 (ko) 무접점 충전제어장치 및 충전제어방법
KR100896104B1 (ko) 부하변조 기능을 갖는 무접점 충전 배터리 및 이를 구비한배터리 충전 세트
KR100976154B1 (ko) 입력전원에 따른 충전전류 제어기능을 갖는 무접점 충전 시스템
KR101742553B1 (ko) 무선 전력 전송 장치에서의 전력 전송 제어 방법 및 전력 전송 장치
KR100976163B1 (ko) 무선전력송신용 코어구조를 이용한 무접점 충전 시스템 및 무접점 충전 방법
KR101451341B1 (ko) 휴대폰 배터리 충전기 및 그 제어방법
KR101261338B1 (ko) 무접점 및 접점 겸용 충전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1026220B1 (ko) 무접점겸용충전장치 및 그의 제어방법
KR101254258B1 (ko) 무선 전력 전송 장치의 무선 전력 전송 제어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무선 전력 전송 장치
KR100976120B1 (ko) Ask방식의 충전제어모듈을 이용한 무접점 충전 시스템
KR20150062785A (ko) 저발열 무선 전력 수신 장치
WO2017134346A1 (en) Method for maintaining a battery
CN202721481U (zh) 一种新型无线充电器
KR20130048736A (ko) 과열 보호기능을 구비한 무접점 전력전송 시스템 및 방법
KR20100112033A (ko) 무접점 충전 정위치 표시방법 및 그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0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0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0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0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0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01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