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71705B1 - 무접점 충전 시스템 - Google Patents

무접점 충전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71705B1
KR100971705B1 KR1020090082773A KR20090082773A KR100971705B1 KR 100971705 B1 KR100971705 B1 KR 100971705B1 KR 1020090082773 A KR1020090082773 A KR 1020090082773A KR 20090082773 A KR20090082773 A KR 20090082773A KR 100971705 B1 KR100971705 B1 KR 10097170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power
power transmission
core
contactle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827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춘길
국윤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한림포스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to KR10200900827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71705B1/ko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한림포스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한림포스텍
Priority to EP11188583.6A priority patent/EP2426809B1/en
Priority to JP2011540608A priority patent/JP5266397B2/ja
Priority to EP11188577.8A priority patent/EP2426808B1/en
Priority to US12/741,534 priority patent/US8552593B2/en
Priority to EP16165755.6A priority patent/EP3065257B1/en
Priority to CN201310045802.XA priority patent/CN103227513B/zh
Priority to PCT/KR2009/007430 priority patent/WO2010068062A2/ko
Priority to ES11188577T priority patent/ES2423407T3/es
Priority to CN200980101003.1A priority patent/CN101919139B/zh
Priority to CN201310045713.5A priority patent/CN103208830B/zh
Priority to EP09825620.9A priority patent/EP2357716B1/en
Priority to CN201310046073.XA priority patent/CN103296784B/zh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717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71705B1/ko
Priority to US13/162,861 priority patent/US8436492B2/en
Priority to US13/162,886 priority patent/US8427011B2/en
Priority to US13/762,667 priority patent/US8760010B2/en
Priority to JP2013041858A priority patent/JP5651724B2/ja
Priority to US13/857,858 priority patent/US9269490B2/en
Priority to US13/940,648 priority patent/US20140021797A1/en
Priority to US14/798,440 priority patent/US9531197B2/en
Priority to US15/358,436 priority patent/US10886780B2/en
Priority to US17/120,487 priority patent/US11641113B2/en
Priority to US18/191,329 priority patent/US20230307917A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1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using inductive coupling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6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responsive to the presence of foreign objects, e.g. detection of living being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8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involving the exchange of data, concerning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between transmitting devices and receiving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무접점 충전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무선전력전송방식으로 전기에너지를 공급하는 무접점전력전송장치의 충전데크(Deck)에 놓여지는 물체를 감지하고, 무접점전력수신장치가 놓여진 경우에만, 전력송신 및 데이터통신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수신측의 상태를 정확히 인식하여, 효율적으로 전력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무접점전력수신장치로 공급되는 전력을 측정하고, 서로 다른 두개의 코어에서 송출되는 무선전력신호의 출력전력을 제어함으로써, 안정적인 충전이 이루어질 수 있으며, 특히, 무접점전력수신장치가 무접점전력전송장치상에서 이동을 한다 하더라도, 안정적으로 전력을 공급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따라서, 무접점전력수신장치와 무접점전력전송장치를 포함하는 무접점 방식의 충전시스템에 대한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음은 물론, 휴대용 단말기 및 배터리팩 등의 관련제품에 대한 경쟁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다.
무선전력전송방식, 딜레이타임, ID송신부, 중첩영역, 복층구조

Description

무접점 충전 시스템{Non-contact charging system}
본 발명은 무접점 충전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무선전력전송방식으로 전기에너지를 공급하는 무접점전력전송장치의 충전데크(Deck)에 놓여지는 물체를 감지하고, 무접점전력수신장치가 놓여진 경우에만, 전력송신 및 데이터통신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수신측의 상태를 정확히 인식하여, 효율적으로 전력을 제어할 수 있도록 한 무접점 충전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배터리팩(Battery pack)은 외부의 충전기로부터 전력(전기에너지)을 공급받아 충전한 상태에서 휴대용 단말기(핸드폰, PDA 등)의 작동을 위한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것으로, 전기에너지를 충전하는 배터리셀과 상기 배터리셀의 충전 및 방전(휴대용 단말기로 전기에너지를 공급)을 위한 회로 등이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휴대용 단말기에 사용되는 배터리팩에 전기에너지를 충전시키기 위한 충전기와 배터리팩의 전기적연결방식에는, 상용전원을 공급받아 배터리팩에 대응하는 전압 및 전류로 변환하여 해당 배터리팩의 단자를 통해 배터리팩으로 전기에너지를 공급하는 단자공급방식이 있다.
그러나, 이러한 단자공급방식은, 단자들간의 서로 다른 전위차로 인한 순간방전현상, 이물질에 의한 소손 및 화재발생, 자연방전, 배터리팩의 수명 및 성능 저하 등의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최근에는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무선전력전송방식을 이용한 무접점 방식의 충전시스템과 제어방법들이 제시되고 있다.
상기와 같은 무접점 방식의 충전시스템은, 무선전력전송방식으로 전기에너지를 공급하는 무접점전력전송장치와, 상기 무접점전력전송장치로부터 공급되는 전기에너지를 수신하여 배터리셀을 충전하는 무접점전력수신장치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은 무접점 방식의 충전시스템은 무접점 방식의 특성으로 인하여, 무접점전력수신장치가 무접점전력전송장치에 놓여진 상태로 충전된다.
이때, 무접점전력전송장치에 금속의 이물질이 놓여지게 될 경우, 이물질로 인하여 전력전송이 원활히 이루어지지 못함은 물론, 과부하로 인한 제품의 소손 등의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무접점전력전송장치가 전력을 송신하는 코일을 이용하여 무접점전력수신장치를 확인하기 위한 요청신호를 전송하고 이에 대한 응답신호가 수신되기까지의 대기시간을 측정하고, 설정된 기준대기시간과 측정된 대기시간을 비교하여, 놓여진 물체가 이물질인지 배터리팩 등의 무접점전력수신장치인지를 신속하게 판단할 수 있는 무접점 충전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한편, 놓여진 물체를 인지하여 금속의 이물질인지 무접점전력수신장치인지를 판단하기 위한 ASK방식은, DC부하변조방식의 부하조건에서는 신호의 진폭(amplitude)이 작을 경우 통신자체가 매우 어렵기 때문에, 수신측의 상태를 인식하지 못하여 전력을 전송하지 못하거나 전송되는 전력을 제어하지 못하여 전력효율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무선전력전송방식으로 전기에너지를 공급하는 무접점전력전송장치와, 이를 공급받아 배터리셀을 충전하는 무접점전력수신장치가 ASK방식을 이용하여 데이터통신을 함에 있어, 폭변조(PWM)방식을 적용하여 원활한 데이터통신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무접점 충전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DC부하변조방식의 부하조건에서도, 수신측의 상태를 정확히 인식하여, 효율적으로 전력을 제어할 수 있는 ASK방식의 충전제어모듈을 이용한 무 접점 충전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에 따른 무접점 충전 시스템은, 무선전력전송방식으로 무선전력신호를 송출하는 1차측코어부를 구비한 무접점전력전송장치와, 상기 1차측코어부로부터 전력을 공급받는 2차측코어부를 구비한 무접점전력수신장치를 포함하는 무접점 충전 시스템에 있어서, 1차측코어부에 부하변화가 감지되면, 1차측코어부를 통해 요청신호의 출력시점으로부터, 상기 요청신호에 대응하는 응답신호의 수신시점까지의 딜레이타임(Delay time)을 측정하여 기준대기시간과 비교한 후, 기준대기시간보다 측정시간이 짧은 경우, 해당 물체가 이물질인 것으로 판단하고, 기준대기시간보다 측정시간이 긴 경우, 해당 물체가 정상적인 무접점전력수신장치로 판단하여 무선전력신호를 송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특히, 상기 무접점전력수신장치는, 상기 무접점전력전송장치로부터 전송된 무선전력신호를 수신하여 기준전압과 비교한 후, 상기 비교결과에 대응하여 설정된 듀티비(Duty rate)에 기초하여 생성된 펄스신호를 무접점전력전송장치로 전송하며, 상기 무접점전력전송장치는, 전송된 펄스신호에 대응하여 송출되는 무선전력신호의 세기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해결수단에 의해, 본 발명은 무접점전력전송장치의 충전데크에 놓여지는 물체의 종류를 정확하게 판단하고, 무접점전력수신장치가 놓여진 경우에 만 전력송신 및 데이터통신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이물질에 의한 기기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DC부하변조방식의 부하조건에서 신호의 진폭(amplitude)이 작을 경우에도 원활한 데이터통신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으로써, 수신측의 상태를 정확히 인식하여, 효율적으로 전력을 제어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따라서, 무접점전력수신장치가 무접점전력전송장치상에서 이동을 한다 하더라도, 안정적으로 전력을 공급할 수 있는 것이다.
특히, 무접점전력수신장치로 공급되는 전력을 측정하고, 서로 다른 두개의 코어에서 송출되는 무선전력신호의 출력전력을, 상기 측정결과에 대응하여 보정하도록 제어함으로써, 안정적인 충전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따라서, 무접점전력수신장치와 무접점전력전송장치를 포함하는 무접점 방식의 충전시스템에 대한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음은 물론, 휴대용 단말기 및 배터리팩 등의 관련제품에 대한 경쟁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무접점 충전 시스템에 대한 예는 다양하게 적용할 수 있으며,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가장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무접점 충전 시스템의 예를 나타낸 구성도로서, 무선전력신호를 송출하는 무접점전력전송장치(100)와, 상기 무선전력신호를 수신하여 배터리셀을 충전하는 무접점전력수신장치(200)의 세부구성을 나타낸 것이다.
상기 무접점전력전송장치(100)는, 1차측코어부(110), ID확인부(120), 무선전력전송제어부(130), 스위칭제어부(140), 구동드라이버(150), 직렬공진형컨버터(160), 궤환회로부(17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1차측코어부(110)는 제1 전력송신코어(111) 및 제2 전력송신코어(112)로 구성되며, 직렬공진형컨버터(160)에 병렬로 연결되어 구성된다.
상기 ID확인부(120)는 상기 1차측코어부(110)의 부하변화를 감지하고, 해당 부하변화가 무접점전력수신장치(200)에 의한 것인지를 판단하는 것으로, 부하변화감지기능과 더불어 무접점전력수신장치(200)로부터 전송된 신호 중 AC신호의 데이터신호코드를 분석 및 처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무선전력전송제어부(130)는 상기 ID확인부(120)의 판단결과를 전송받아 확인하고, 해당 부하변화가 무접점전력수신장치(200)에 의한 것인 경우, 상기 1차측코어부(110)를 통해 무선전력신호를 송출하기 위한 전력제어신호를 상기 구동드라이버(150)로 전송한다.
그리고, 상기 ID확인부(120)에서 필터링된 데이터신호를 분석처리하고, 이에 대응하여 구동드라이버(150)를 제어하게 된다. 또한, 데이터신호(예를 들어, ID요청신호)를 생성하여 1차측코어부(110)를 통해 무접점전력수신장치(200)로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스위칭제어부(140)는 직렬공진형컨버터(160)와 제1 전력송신코어(111) 및 제2 전력송신코어(112)의 사이에 각각 구성되는 제1 스위치(141) 및 제2 스위치(142)의 스위칭동작을 제어하는 것이다.
상기 구동드라이버(150)는 송출하고자 하는 무선전력신호의 세기에 대응하여 직렬공진형컨버터(160)의 동작을 제어하는 것이다.
상기 직렬공진형컨버터(160)는 구동드라이버(150)의 제어에 의해 송출하고자 하는 무선전력신호를 발생하기 위한 송출전원을 생성하여 상기 1차측코어부(110)로 공급하는 것이다.
다시 말해, 무선전력전송제어부(130)가 요구되는 전력값을 갖는 무선전력신호의 송출을 위한 전력제어신호를 구동드라이버(150)로 전송하면, 상기 구동드라이버(150)는 전송된 전력제어신호에 대응하여 직렬공진형컨버터(160)의 동작을 제어하고, 상기 직렬공진형컨버터(160)는 구동드라이버(150)의 제어에 의하여 요구되는 전력값에 대응하는 송출전원을 1차측코어부(110)에 인가함으로써, 요구되는 세기의 무선전력신호가 송출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궤환회로부(170)는, AC신호의 코드데이터가 1차측코어부(110)로 수신되면, 상기 1차측코어부(110)에 인가되는 DC신호로부터 AC신호의 코드데이터를 추출하는 것으로, 도 2a에 나타난 바와 같이, 상기 1차측코어부(110)의 제1 전력송신코어(111) 및 제2 전력송신코어(112)의 일측단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DC신호성분을 제거(저주파성분 제거)하는 RC필터회로(171)와, 상기 RC필터회로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OP-AMP를 포함하는 증폭회로(172)를 포함하여 구성한다.
다시 말해, RC필터회로(171)에서 DC신호성분인 저주파신호가 제거되고, 추출된 AC신호성분이 증폭회로에서 증폭되는 것이다.
따라서, 진폭이 적은 신호의 송수신이 가능해지는 것이다.
그리고, 무선전력신호를 수신하여 전력을 공급받는 무접점전력수신장치(200)는, 상기 송출된 무선전력신호에 의해 유도전력을 생성하는 2차측코어부(210)인 전력수신코어(211)와, 유도된 전력을 정류하는 정류부(220) 및 정류된 전력으로 배터리셀을 충전하는 배터리셀모듈(230)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배터리셀모듈(230)에는 과전압 및 과전류방지회로, 온도감지회로 등의 보호회로가 포함되어 구성되며, 특히, 배터리셀의 충전상태 등의 정보를 수집 및 처리하는 충전관리모듈이 포함된다.
또한, 상기 무접점전력수신장치(200)는, 2차측코어부(210)인 전력수신코어(211)로 유도되는 전류를 확인하고, 상기 배터리셀모듈(230)에서 수집 및 처리되는 배터리셀의 충전정보에 기초하여, 무선전력신호의 세기제어를 요청하는 무선전력수신측제어부(240)와, AC모듈레이션(Modulation) 방식으로 변환된 AC신호의 코드데이터를, 2차측코어부(210)를 통해 송수신하는 ID송신부(250)가 더 포함되어 구성된다.
그리고, 무접점전력수신장치(200)는, 도 3a에 나타난 바와 같이, 2차측코어부(210)의 전력수신코어(211)와 병렬로 연결되어 DC신호성분을 제거하는 커패시터(Capacitor)(C)와 더불어, 드레인단자가 상기 커패시터와 직렬로 연결된 MOSFET을 더 포함한다.
상기 MOSFET은 ID송신부(250)의 제어에 의해 온오프동작을 수행하는 것으로, 상기 ID송신부(250)는, 상기 무선전력수신측제어부(240)의 무선전력신호에 대한 세기제어의 요청에 대응하여 설정된 듀티비(Duty rate)에 대응하여, 상기 MOSFET의 동작전압을 상기 MOSFET의 게이트단자로 입력한다.
다시 말해, ID송신부(250)가 동작전압에 해당하는 온신호 및 오프신호를 게이트단자로 입력하면, MOSFET은 게이트단자에 입력된 전압에 대응하여, 펄스폭변조(PWM)된 신호를 생성하여 출력하게 되며, 이러한 신호는 2차측코어부(210)의 전력수신코어(211)를 통해 무접점전력전송장치(100)로 전송된다.
이하에서,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의한 무선전력송신용 코어구조를 이용한 무접점 충전 시스템의 충전 방법을 살펴보기로 한다.
먼저, 도 4a 내지 도 4c를 참조하여 무접점전력전송장치(100)의 동작을 살펴보면, 무접점전력전송장치(100)의 스위칭제어부(140)는 제1 스위치(141) 및 제2 스위치(142)를 오프(Off)상태로 유지하고, ID확인부(120)가 1차측코어부(110)의 제1 전력송신코어(111) 및 제2 전력송신코어(112)의 부하변화를 감지하는 대기상태를 유지(스텐바이모드)한다(S101).
상기와 같은 대기상태(S101)에서, 무접점전력수신장치(200)가 무접점전력전송장치(100)에 놓여지게 되면, 제1 전력송신코어(111) 및 제2 전력송신코어(112)에 자기장의 변화가 발생되고, ID확인부(120)가 이를 감지하게 된다(S102).
상기와 같이 부하변화가 감지되면, ID확인부(120)는 이를 무선전력전송제어부(130)에게 알려주게 되며, 상기 무선전력전송제어부(130)는 도 2b에 나타난 바와 같이 1차측코어부(110)로 송출된 신호(Fref)에 의한 응답신호(이물질의 경우 반사신호)의 수신 딜레이타임(Delay time)을 측정한다(S103).
상기와 같이 수신신호의 딜레이타임이 측정되면, 기준시간(도 2b에 나타난 "Tfb"과 비교한 후(S104), 측정시간이 기준시간보다 긴 경우(도 2b에 나타난 "Tfb1")에는 정상적인 무접점전력수신장치(200)가 놓여진 것으로 판단하고(S106), 측정시간이 기준시간보다 짧은 경우(도 2b에 나타난 "Tfb2")에는 이물질이 놓여진 것으로 판단한다(S107).
상기와 같은 판단은 1차적인 판단기준이며, 이하 설명될 ID확인과정과 더불어 이물질여부의 판단기준이 된다.
상기와 같이 ID확인부(120)를 통해 수신된 신호에 기초하여, 해당 물체가 무접점전력수신장치(200)인 것으로 1차 판정이 되면, 상기 무선전력전송제어부(130)는 1차측코어부(110)를 통해 헤더ID를 요청하는 신호를 전송한다(S108).
여기서, 헤더ID는 ID코드(Code)의 헤더(Header)부분에 있는 코드를 말한다.
한편, 도 5a에 나타난 바와 같이 상기 무접점전력수신장치(200)는, 배터리셀을 충전하기 위한 스텐바이모드(Standby mode)(S201)에서, 상기와 같은 헤더ID요청신호가 수신되면(S202), 전력수신코어(211)를 통해 헤더ID코드를 송신한다(S203).
상기 헤더ID코드가 1차측코어부(110)로 수신되면, ID확인부(120)는 해당 물체가 무접점전력수신장치(200)인 것으로 판단하고, 응답신호가 수신되지 않으면 금속재질의 이물질인 것으로 판단한다(S109).
이물질인 것으로 판단되면, LCD 또는 LED와 같은 출력장치를 통해 문자 또는 발광형태로 이물질이 감지된 것을 사용자에게 알려주며(S111), 무접점전력수신장치(200)인 것으로 판단되면, 1차측코어부(110)를 통해 풀ID를 요청하는 신호를 전송한다(S110).
여기서, 풀ID는 ID코드의 전체(Full)코드를 말한다.
한편, 도 5a에 나타난 바와 간이 상기 무접점전력수신장치(200)는, 배터리셀을 충전하기 위한 스텐바이모드(Standby mode)(S201)에서, 상기와 같은 풀ID요청신호가 수신되면(S202), 전력수신코어(211)를 통해 풀ID코드를 송신한다(S203).
상기 풀ID코드가 수신되면, ID확인부(120)는 이를 확인하여(S112), 정상적인 ID코드가 수신된 경우 해당 무접점전력수신장치(200)측으로 무선전력신호를 송출하고(S113), 수신된 ID코드가 정상적이지 않은 경우, ID에러를 사용자에게 알려주게 된다(S114).
여기서, ID코드에 대한 요청신호의 송출 및 응답신호의 수신을 위하여 동작되는 무접점전력전송장치(100)의 세부구성 중 일부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에 의한 충전 시스템을 설명하면서 이미 설명된 내용이며, 이하에서도 불필요하게 반복되는 내용에 대하여 생략할 수 있음은 당연하다.
한편, ID코드가 수신된 코어가 제1 전력전송코어(111)인 경우, 무선전력전송제어부(130)는 스위칭제어부(140)에 스위칭제어신호를 전송하여 제1 스위치(141)를 온시키고 제2 스위치(142)를 오프시킨 후, 구동드라이버(150)에 전력제어신호를 전송하여(S193) 제1 전력전송코어(111)를 통해 무선전력신호를 송출한다.
이때, 송출되는 무선전력신호의 출력전력은 기준전력값에 대응하여 송출되며, 상기 기준전력값은 무접점전력수신장치(200)에서 요구되는 입력전압(예를 들어, 4.5V 내지 5.5V)으로 유도될 수 있는 전압에 대응되는 값이다.
그리고, ID가 수신된 코어가 제2 전력전송코어(112)인 경우, 무선전력전송제 어부(130)는 스위칭제어부(140)에 스위칭제어신호를 전송하여 제1 스위치(141)를 오프시키고 제2 스위치(142)를 온시킨 후, 구동드라이버(150)에 전력제어신호를 전송하여 제2 전력전송코어(111)를 통해 무선전력신호를 송출한다.
만약, 전력수신코어(211)가 도 6에 나타난 중첩영역에 위치하게 될 경우, 제1 전력전송코어(111) 및 제2 전력전송코어(112)가 동시에 ID를 수신하게 되면, 무선전력전송제어부(130)는 스위칭제어부(140)에 스위칭제어신호를 전송하여 제1 스위치(141) 및 제2 스위치(142)를 온시키고, 구동드라이버(150)에 전력제어신호를 전송하여 제1 전력전송코어(111) 및 제2 전력전송코어(112)를 통해 무선전력신호를 송출한다.
이때, 상기 제1 전력전송코어(111) 및 제2 전력전송코어(112)에서 각각 기준전력값에 대응하는 출력전력으로 무선전력신호를 출력하게 될 경우, 전력수신코어(211)에 과도한 전압이 유도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전력전송코어(111) 및 제2 전력전송코어(112)가 동시에 ID를 수신하는 경우에는, 제1 전력전송코어(111)의 출력전력과 제2 전력전송코어(112)의 출력전력의 합이 기준전력값에 대응하도록 제어하여 무선전력신호를 송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은 과정에 의해 무접점전력수신장치(200)로 무선전력신호가 수신되면(S204), 상기 무접점전력수신장치(200)는 전력수신코어(211)에 유도되는 전기에너지를 이용하여 배터리셀을 충전하게 된다(S205).
그리고, 상기 무접점전력수신장치(200)는, 도 5b에 나타난 바와 같이, 배터 리셀의 충전상태를 확인하여(S206), 해당 배터리셀의 만충전여부(S207)와 게이지변화여부(S210)를 확인하고, 본 발명의 목적인 안정적인 충전을 이루기 위하여, 전력수신코어(211)에 유도되는 전압을 감지하고, 감지된 유도전압이 충전동작에 요구되는 입력전압의 범위(예를 들어, 4.5V 내지 5.5V)에 포함되는지를 판단한다(S213)(S215).
상기 판단결과, 배터리셀이 만충전인 경우(S207), 배터리셀모듈(230)은 ID송신부(240)를 통해 AC모듈레이션(Modulation) 방식으로 변환된 파워오프코드(Power off code)를 무접점전력전송장치(100)로 전송하고(S208), 충전동작을 완료하며(S209), 게이지가 변환된 경우(S210) 게이지코드(Gauge code)를 전송한다(S211).
그리고, 상기 판단결과, 설정된 범위에 포함되지 않을 경우, 무접점전력수신장치(200)는 무접점전력전송장치(100)로 전력제어요청신호를 전송한다(S240).
예를 들어, 도 7에 나타난 바와 같이, 전력수신코어(211)가 외곽으로 이동하여 설정범위보다 낮은 전압이 유도된 경우(S213), 파워업코드(Power up code)를 전송하고(S214), 전력수신코어(211)가 도 6의 중첩영역에 위치하여 제1 전력전송코어(111) 및 제2 전력전송코어(112)에서 동시에 송출되는 무선전력신호에 의해 전력수신코어(211)에 설정범위보다 높은 전압이 유도된 경우(S215), 파워다운코드(Power down code)를 전송한다(S216).
상기와 같은 각 코드가 전송되면, 무접점전력수신장치(200)는 무접점전력전송장치(100)로부터 전송되는 무선전력신호의 세기 등을 모니터한다(S212).
상기와 같은 전력제어코드가 무접점전력전송장치(100)의 1차측코어부(110)로 수신되면(S115), 궤환회로부(170)가 1차측코어부(110)에 유도된 신호(DC성분의 송출전력신호 및 수신된 AC성분의 코드신호)로부터 해당 코드를 추출한다.
무선전력전송제어부(130)는 상기 추출된 코드를 수신하여 분석한 후, 해당 코드가 파워오프코드인 경우(S116) LED 또는 LCD 등을 통해 만충전상태임을 표시하고(S117), 게이지코드인 경우(S118) 충전상태를 출력하며(S119), 파워업코드인 경우(S121) 해당 전력송신코어의 송출전력을 높이고(S122), 파워다운코드인 경우(S123) 해당 전력송신코어의 송출전력을 낮춘다(S124).
도 4c에서 'S115'는 지속적인 충전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것이다.
예를 들어, 도 3b에 나타난 바와 같이, 배터리셀을 충전하기 위한 전압(도 3a의 DC)에서 분기된 감시전압(도 3a의 Vsense)이 기준전압(Vset)보다 낮은 경우, ID송신부(250)는 기준전압에 해당하는 듀티비를 갖는 펄스신호에 비하여 큰 듀티비를 갖는 펄스신호를 MOSFET의 게이트단자로 입력하고, MOSFET는 게이트단자로 입력된 펄스신호에 대응하여 온오프 동작을 수행하면서, 파워업코드를 생성하여 무접점전력전송장치(100)로 전송하며, 이에 대응하여 송출된 무선전력신호는 딜레이타임(Td)이 경과되어 무선전력수신측제어부(240)로 수신된다.
여기서, 도 3a에 나타난 'Tx' 및 'Rx'는 무접점전력전송장치(100)를 기준으로 한 신호의 송수신여부를 나타낸 것이다.
무접점전력전송장치(100)의 무선전력전송제어부(130)는 수신된 전력제어요청신호(각 코어신호)에 대응하는 보정전력값을 산출한 후, 상기 기준전력값에 보정전력값을 적용하여 상기 제1 전력송신코어(111) 및 제2 전력송신코어(112)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무선전력신호를 송출함으로써, 무접점전력수신장치(200)의 위치에 관계없이 안정적인 충전이 가능해진다.
한편, 무선전력전송방식을 이용하여 무선전력신호를 전송하는 무접점전력전송장치에 구비되는 1차측코어(110)는 도 6에 나타난 바와 같이, 제1 전력송신코어(111)와 제2 전력송신코어(112) 및 차폐구(115)에 구성되며, 도 6은 무접점전력수신장치(200)에 구비되는 2차측코어(210)인 전력수신코어(211)가 상기 제1 전력송신코어(111) 및 제2 전력송신코어(112) 상에서 이동되는 것을 나타낸 것이다.
상기 제1 전력송신코어(111) 및 제2 전력송신코어(112)는, 리쯔형태 또는 PCB패턴타입으로 형성되며, 제1 전력송신코어(111)만의 영역인 제1 단일영역과, 제2 전력송신코어(112)만의 영역인 제2 단일영역, 그리고 제1 전력송신코어(111) 및 제2 전력송신코어(112)가 오버랩(Overlap)되는 중첩영역을 갖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도 6에 나타난 바와 같이 2차측코어인 전력수신코어(211)가 이동하더라도 지속적으로 전력을 공급받을 수 있는 것이다.
더불어, 제1 전력송신코어(111) 및 제2 전력송신코어(112)가 오버랩(Overlap)되는 중첩영역의 폭(W1)을, 전력수신코어(211)의 폭(W2)보다 넓게 형성함으로써, 전력수신코어(211)가 이동한다 하더라도, 항상 제1 전력송신코어(111) 또는 제2 전력송신코어(112)에 의한 무선전력신호 수신영역내에 존재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본 발명에 의한 무선전력송신용 코어의 층구조는, 도 6a 내지 도 6d에 나타난 바와 같이 적용될 수 있다.
이를 보다 상세히 살펴보면 도 8a에 나타난 바와 같이, 제1 전력송신코어(111)를 절곡형성하고, 제1 전력송신코어(111)의 중첩영역이, 상기 제2 전력송신코어(112)의 중첩영역 상부에 위치하도록 하는 복층구조로 구성할 수 있다.
또한, 도 8b에 나타난 바와 같이, 제1 전력송신코어(111)를 절곡형성하고, 제1 전력송신코어(111)의 중첩영역이, 상기 제2 전력송신코어(112)의 중첩영역 하부에 위치하도록 하는 복층구조로 구성할 수 있다.
또한, 도 8c에 나타난 바와 같이, 제1 전력송신코어(111) 및 제2 전력송신코어(112)를 절곡형성하고, 제1 전력송신코어(111)의 중첩영역이, 상기 제2 전력송신코어(112)의 중첩영역 하부에 위치하도록 하는 복층구조로 구성할 수 있다.
또한, 도 8d에 나타난 바와 같이, 제1 전력송신코어(111) 및 제2 전력송신코어(112)의 높이레벨을 다르게 하여, 제1 전력송신코어(111)의 중첩영역이, 상기 제2 전력송신코어(112)의 중첩영역 상부에 위치하도록 하는 복층구조로 구성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의한 무접점 충전 시스템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이러한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가 본 발명의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 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무접점 충전 시스템의 예를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2a는 도 1에 나타난 무접점전력전송장치의 주요구성에 대한 예를 나타낸 회로도이다.
도 2b는 도 1에 나타난 무접점전력전송장치에 놓여지는 물체의 종류에 따른 1차측코어부를 통해 감지되는 피드백신호의 예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3a는 도 1에 나타난 무접점전력수신장치의 주요구성에 대한 예를 나타낸 회로도이다.
도 3b는 도 1에 나타난 무점점전력수신장치의 충전전압 및 충전제어를 위한 송수신신호에 대한 예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에 의한 무접점전력전송장치의 제어방법에 대한 예를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에 의한 무접점전력수신장치의 제어방법에 대한 예를 난타낸 순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무접점전력전송장치의 1차측코어의 구성에 대한 예를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7은 도 4c의 단계 'S117' 및 도 5b의 단계 'S214'를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다.
도 8a 내지 도 8d는 도 6에 나타난 1차측코어의 층구조에 대한 예를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무접점전력전송장치 110 : 1차측코어부
120 : ID확인부 130 : 무선전력전송제어부
140 : 스위칭제어부 150 : 구동드라이버
160 : 직렬공진형컨버터 170 : 궤환회로부
200 : 무접점전력수신장치 210 : 2차측코어부
220 : 정류부 230 : 배터리셀모듈
240 : 무선전력수신측제어부 250 : ID송신부

Claims (7)

  1. 무선전력전송방식으로 무선전력신호를 송출하는 1차측코어부를 구비한 무접점전력전송장치와, 상기 1차측코어부로부터 전력을 공급받는 2차측코어부를 구비한 무접점전력수신장치를 포함하는 무접점 충전 시스템에 있어서,
    1차측코어부에 부하변화가 감지되면, 1차측코어부를 통해 요청신호의 출력시점으로부터, 상기 요청신호에 대응하는 응답신호의 수신시점까지의 딜레이타임(Delay time)을 측정하여 기준대기시간과 비교한 후, 기준대기시간보다 측정시간이 짧은 경우, 해당 물체가 이물질인 것으로 판단하고, 기준대기시간보다 측정시간이 긴 경우, 해당 물체가 정상적인 무접점전력수신장치로 판단하여 무선전력신호를 송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접점 충전 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무접점전력수신장치는,
    상기 무접점전력전송장치로부터 전송된 무선전력신호를 수신하여 기준전압과 비교한 후, 상기 무선전력신호와 상기 기준전압의 비교결과에 대응하여 설정된 듀티비(Duty rate)에 기초하여 생성된 펄스신호를 무접점전력전송장치로 전송하며,
    상기 무접점전력전송장치는, 전송된 펄스신호에 대응하여 송출되는 무선전력신호의 세기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접점 충전 시스템.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무접점전력수신장치는, AC모듈레이션(Modulation) 방식으로 변환된 AC신호의 코드데이터를 2차측코어부를 통해 송수신하는 ID송신부를 포함하고,
    상기 무접점전력전송장치는, 상기 코드데이터가 1차측코어부로 수신되면, 상기 1차측코어부에 인가되는 DC신호로부터 AC신호의 코드데이터를 추출하는 궤환회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접점 충전 시스템.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무접점전력수신장치는,
    상기 2차측코어부의 전력수신코어와 병렬로 연결되어 DC신호성분을 제거하는 커패시터(Capacitor)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접점 충전 시스템.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무접점전력수신장치는,
    드레인단자가 상기 커패시터와 직렬로 연결된 MOSFET을 더 포함하고,
    상기 ID송신부는,
    상기 무선전력신호와 상기 기준전압의 비교결과에 대응하여 설정된 듀티비(Duty rate)에 대응하여, 상기 MOSFET의 동작전압을 상기 MOSFET의 게이트단자로 입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접점 충전 시스템.
  6.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궤환회로부는,
    상기 1차측코어부의 일측단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DC신호성분을 제거하는 RC필터회로와,
    상기 RC필터회로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OP-AMP를 포함하는 증폭회로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접점 충전 시스템.
  7.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1차측코어부는,
    제1 전력송신코어 및 제2 전력송신코어를 포함하되,
    상기 제1 전력송신코어의 일부분과 제2 전력송신코어의 일부분이 겹쳐지는 중첩영역을 갖는 복층구조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접점 충전 시스템.
KR1020090082773A 2008-12-12 2009-09-03 무접점 충전 시스템 KR100971705B1 (ko)

Priority Applications (2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82773A KR100971705B1 (ko) 2009-09-03 2009-09-03 무접점 충전 시스템
EP09825620.9A EP2357716B1 (en) 2008-12-12 2009-12-11 Contactless power transmission device
EP11188577.8A EP2426808B1 (en) 2008-12-12 2009-12-11 Contactless power transmission device
US12/741,534 US8552593B2 (en) 2008-12-12 2009-12-11 Non-contact power transmission apparatus
EP16165755.6A EP3065257B1 (en) 2008-12-12 2009-12-11 Non-contact power transmission apparatus
CN201310045802.XA CN103227513B (zh) 2008-12-12 2009-12-11 非接触输电设备
PCT/KR2009/007430 WO2010068062A2 (ko) 2008-12-12 2009-12-11 무접점 전력 송신장치
ES11188577T ES2423407T3 (es) 2008-12-12 2009-12-11 Dispositivo de transmisión de energía sin contacto
CN200980101003.1A CN101919139B (zh) 2008-12-12 2009-12-11 非接触输电设备
JP2011540608A JP5266397B2 (ja) 2008-12-12 2009-12-11 無接点電力送信装置
EP11188583.6A EP2426809B1 (en) 2008-12-12 2009-12-11 Contactless power transmission device
CN201310045713.5A CN103208830B (zh) 2008-12-12 2009-12-11 非接触输电设备的电力传输的控制方法及非接触输电设备
CN201310046073.XA CN103296784B (zh) 2008-12-12 2009-12-11 非接触输电设备的电力传输的控制方法及非接触输电设备
US13/162,886 US8427011B2 (en) 2008-12-12 2011-06-17 Non-contact power transmission apparatus
US13/162,861 US8436492B2 (en) 2008-12-12 2011-06-17 Non-contact power transmission apparatus
US13/762,667 US8760010B2 (en) 2008-12-12 2013-02-08 Contactless power transmission device
JP2013041858A JP5651724B2 (ja) 2008-12-12 2013-03-04 無接点電力送信装置
US13/857,858 US9269490B2 (en) 2008-12-12 2013-04-05 Non-contact power transmission apparatus
US13/940,648 US20140021797A1 (en) 2008-12-12 2013-07-12 Non-contact power transmission apparatus
US14/798,440 US9531197B2 (en) 2008-12-12 2015-07-13 Non-contact power transmission apparatus
US15/358,436 US10886780B2 (en) 2008-12-12 2016-11-22 Non-contact power transmission apparatus
US17/120,487 US11641113B2 (en) 2008-12-12 2020-12-14 Non-contact power transmission apparatus
US18/191,329 US20230307917A1 (en) 2008-12-12 2023-03-28 Non-contact power receiver apparatu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82773A KR100971705B1 (ko) 2009-09-03 2009-09-03 무접점 충전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71705B1 true KR100971705B1 (ko) 2010-07-22

Family

ID=426458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82773A KR100971705B1 (ko) 2008-12-12 2009-09-03 무접점 충전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71705B1 (ko)

Cited By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35334B1 (ko) 2009-11-11 2011-05-20 주식회사 한림포스텍 무접점 충전 시스템의 충전전압 제어 방법
WO2012008693A3 (ko) * 2010-07-16 2012-04-05 주식회사 한림포스텍 무선 전력 통신용 코어 어셈블리와 그를 구비하는 무선 전력 통신용 전력 공급 장치, 그리고 무선 전력 통신용 코어 어셈블리 제조 방법
KR101172759B1 (ko) * 2010-08-25 2012-08-14 한국과학기술원 무선 전력전달 장치
KR101213090B1 (ko) 2011-07-14 2012-12-18 유한회사 한림포스텍 무선전력 전송장치용 코어 어셈블리 및 그를 구비하는 무선전력 전송장치
KR101239305B1 (ko) * 2011-05-31 2013-03-18 주식회사 한림포스텍 무선전력통신용 코어 어셈블리와 그를 구비하는 무선전력통신용 전력공급장치, 그리고 무선전력통신용 코어 어셈블리 제조 방법
KR101246692B1 (ko) 2011-07-14 2013-03-21 주식회사 한림포스텍 무선전력 통신시스템용 전력 전송장치
WO2013055192A1 (en) * 2011-10-14 2013-04-18 Samsung Electronics Co., Ltd. A system and a method for chargingmultiple power receivers in a wireless charging environment
KR101489220B1 (ko) * 2011-02-10 2015-02-04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급전 장치, 방법, 및 기억매체
KR101524584B1 (ko) * 2011-02-22 2015-06-01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급전장치, 방법 및 기억매체
KR101563263B1 (ko) 2013-08-29 2015-10-27 주식회사 이랜텍 무선충전 및 엔에프씨 통신을 위한 안테나패치
WO2015175096A1 (en) * 2014-05-14 2015-11-19 Qualcomm Incorporated System, method and apparatus for reducing the height of bipolar transmitters and/or receivers in electric vehicle charging
KR20160051501A (ko) * 2014-11-03 2016-05-11 주식회사 한림포스텍 무선 전력 전송 및 충전 시스템
KR20160063004A (ko) * 2014-11-26 2016-06-03 에스엘 주식회사 무선 전력 송신 및 수신 장치
KR20170026437A (ko) 2017-02-28 2017-03-08 주식회사 픽스트리 무선 충전 단말 및 방법
US10442298B2 (en) 2013-10-02 2019-10-15 Ge Hybrid Technologies, Llc Wireless power transmission device for vehicle and wireless charging method
US10615644B2 (en) 2014-05-26 2020-04-07 Ge Hybrid Technologies, Llc Contactless power reception device and reception method
US10615643B2 (en) 2014-05-26 2020-04-07 Ge Hybrid Technologies, Llc Wireless power reception device and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230032A (ja) 2005-02-15 2006-08-31 Noboru Daiho 電力伝送装置、電力伝送方法
JP2008141816A (ja) 2006-11-30 2008-06-19 Asuka Electron Kk 無接点伝送装置
KR20080077571A (ko) * 2007-02-20 2008-08-25 세이코 엡슨 가부시키가이샤 송전 제어 장치, 송전 장치, 전자 기기 및 무접점 전력전송 시스템
KR20080081480A (ko) * 2007-03-05 2008-09-10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복수의 코일 패드를 구비한 무 접점 충전기 및 이를 구비한배터리 충전 세트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230032A (ja) 2005-02-15 2006-08-31 Noboru Daiho 電力伝送装置、電力伝送方法
JP2008141816A (ja) 2006-11-30 2008-06-19 Asuka Electron Kk 無接点伝送装置
KR20080077571A (ko) * 2007-02-20 2008-08-25 세이코 엡슨 가부시키가이샤 송전 제어 장치, 송전 장치, 전자 기기 및 무접점 전력전송 시스템
KR20080081480A (ko) * 2007-03-05 2008-09-10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복수의 코일 패드를 구비한 무 접점 충전기 및 이를 구비한배터리 충전 세트

Cited By (3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35334B1 (ko) 2009-11-11 2011-05-20 주식회사 한림포스텍 무접점 충전 시스템의 충전전압 제어 방법
WO2012008693A3 (ko) * 2010-07-16 2012-04-05 주식회사 한림포스텍 무선 전력 통신용 코어 어셈블리와 그를 구비하는 무선 전력 통신용 전력 공급 장치, 그리고 무선 전력 통신용 코어 어셈블리 제조 방법
KR101134625B1 (ko) * 2010-07-16 2012-04-09 주식회사 한림포스텍 무선 전력 통신용 코어 어셈블리와 그를 구비하는 무선 전력 통신용 전력 공급 장치, 그리고 무선 전력 통신용 코어 어셈블리 제조 방법
US9564263B2 (en) 2010-07-16 2017-02-07 Hanrim Postech Co., Ltd. Core assembly for wireless power communication, power supplying device for wireless power communication having the sam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KR101172759B1 (ko) * 2010-08-25 2012-08-14 한국과학기술원 무선 전력전달 장치
KR101489220B1 (ko) * 2011-02-10 2015-02-04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급전 장치, 방법, 및 기억매체
US9379570B2 (en) 2011-02-10 2016-06-28 Canon Kabushiki Kaisha Power supply apparatus, method, and storage medium to output wireless power and charge based on value relating to output power and efficiency
KR101524584B1 (ko) * 2011-02-22 2015-06-01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급전장치, 방법 및 기억매체
US9178360B2 (en) 2011-02-22 2015-11-03 Canon Kabushiki Kaisha Power supply apparatus, method, and storage medium to output wireless power, detect value relating to output power, and charge based on detected value
KR101239305B1 (ko) * 2011-05-31 2013-03-18 주식회사 한림포스텍 무선전력통신용 코어 어셈블리와 그를 구비하는 무선전력통신용 전력공급장치, 그리고 무선전력통신용 코어 어셈블리 제조 방법
KR101213090B1 (ko) 2011-07-14 2012-12-18 유한회사 한림포스텍 무선전력 전송장치용 코어 어셈블리 및 그를 구비하는 무선전력 전송장치
KR101246692B1 (ko) 2011-07-14 2013-03-21 주식회사 한림포스텍 무선전력 통신시스템용 전력 전송장치
US9264107B2 (en) 2011-07-14 2016-02-16 Hanrim Postech Co., Ltd. Wireless power transmitting device for wireless power communication system
WO2013055192A1 (en) * 2011-10-14 2013-04-18 Samsung Electronics Co., Ltd. A system and a method for chargingmultiple power receivers in a wireless charging environment
US9698620B2 (en) 2011-10-14 2017-07-04 Samsung Electronics Co., Ltd. System and a method for charging multiple power receivers in a wireless charging environment
KR101563263B1 (ko) 2013-08-29 2015-10-27 주식회사 이랜텍 무선충전 및 엔에프씨 통신을 위한 안테나패치
US11618327B2 (en) 2013-10-02 2023-04-04 Ge Hybrid Technologies, Llc Wireless power transmission device for vehicle and wireless charging method
US10442298B2 (en) 2013-10-02 2019-10-15 Ge Hybrid Technologies, Llc Wireless power transmission device for vehicle and wireless charging method
US20150332845A1 (en) * 2014-05-14 2015-11-19 Qualcomm Incorporated System, method and apparatus for reducing the height of bipolar transmitters and/or receivers in electric vehicle charging
CN106463245A (zh) * 2014-05-14 2017-02-22 高通股份有限公司 用于减少在电动车辆充电中的双极发射机和/或接收机的高度的系统、方法和设备
JP2017526156A (ja) * 2014-05-14 2017-09-07 クアルコム,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電気車両充電におけるバイポーラ送電機および/または受電機の高さを低減するためのシステム、方法、および装置
US10083792B2 (en) * 2014-05-14 2018-09-25 Qualcomm Incorporated System, method and apparatus for reducing the height of bipolar transmitters and/or receivers in electric vehicle charging
CN106463245B (zh) * 2014-05-14 2019-11-08 韦特里西提公司 用于减少在电动车辆充电中的双极发射机和/或接收机的高度的系统、方法和设备
WO2015175096A1 (en) * 2014-05-14 2015-11-19 Qualcomm Incorporated System, method and apparatus for reducing the height of bipolar transmitters and/or receivers in electric vehicle charging
US11682923B2 (en) 2014-05-26 2023-06-20 Ge Hybrid Technologies, Llc Contactless power reception device and reception method
US11799323B2 (en) 2014-05-26 2023-10-24 Ge Hybrid Technologies, Llc Wireless power reception device and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US11101698B2 (en) 2014-05-26 2021-08-24 Ge Hybrid Technologies, Llc Wireless power reception device and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US10615644B2 (en) 2014-05-26 2020-04-07 Ge Hybrid Technologies, Llc Contactless power reception device and reception method
US10615643B2 (en) 2014-05-26 2020-04-07 Ge Hybrid Technologies, Llc Wireless power reception device and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US11038377B2 (en) 2014-05-26 2021-06-15 Ge Hybrid Technologies, Llc Contactless power reception device and reception method
KR20160051501A (ko) * 2014-11-03 2016-05-11 주식회사 한림포스텍 무선 전력 전송 및 충전 시스템
KR102316575B1 (ko) * 2014-11-03 2021-10-26 지이 하이브리드 테크놀로지스, 엘엘씨 무선 전력 전송 및 충전 시스템
KR20210129621A (ko) * 2014-11-03 2021-10-28 지이 하이브리드 테크놀로지스, 엘엘씨 무선 전력 전송 및 충전 시스템
KR102550054B1 (ko) * 2014-11-03 2023-06-30 지이 하이브리드 테크놀로지스, 엘엘씨 무선 전력 전송 및 충전 시스템
KR102272354B1 (ko) * 2014-11-26 2021-07-02 에스엘 주식회사 무선 전력 송신 및 수신 장치
KR20160063004A (ko) * 2014-11-26 2016-06-03 에스엘 주식회사 무선 전력 송신 및 수신 장치
KR20170026437A (ko) 2017-02-28 2017-03-08 주식회사 픽스트리 무선 충전 단말 및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71705B1 (ko) 무접점 충전 시스템
KR101035334B1 (ko) 무접점 충전 시스템의 충전전압 제어 방법
KR100992480B1 (ko) 피드백신호에 의한 이물질 감지기능을 갖는 무접점 충전 시스템
CN106961147B (zh) 具备过热保护功能的无线电力传输系统及方法
US10348134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wireless charging during mode transition of a wireless power receiving device
JP5651724B2 (ja) 無接点電力送信装置
US9423439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detecting foreign object in wireless power transmitting system
US8624546B2 (en) Non-contact power reception apparatus and jig for fabricating core for non-contact power reception apparatus
JP6279452B2 (ja) 非接触電力伝送装置
KR20100112034A (ko) 무접점 충전제어장치 및 충전제어방법
KR20110065969A (ko) 무접점 전력전송장치, 무접점 충전장치, 무접점 충전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무선 전력전송방법
KR100976163B1 (ko) 무선전력송신용 코어구조를 이용한 무접점 충전 시스템 및 무접점 충전 방법
KR100976154B1 (ko) 입력전원에 따른 충전전류 제어기능을 갖는 무접점 충전 시스템
KR101261338B1 (ko) 무접점 및 접점 겸용 충전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0976120B1 (ko) Ask방식의 충전제어모듈을 이용한 무접점 충전 시스템
KR101254258B1 (ko) 무선 전력 전송 장치의 무선 전력 전송 제어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무선 전력 전송 장치
KR20130048736A (ko) 과열 보호기능을 구비한 무접점 전력전송 시스템 및 방법
KR102015703B1 (ko) 과열 보호기능을 구비한 무접점 전력전송 시스템 및 방법
KR102069441B1 (ko) 과열 보호기능을 구비한 무접점 전력전송 시스템 및 방법
KR20130103704A (ko) 과열 보호기능을 구비한 무접점 전력전송 시스템 및 방법
KR20230066296A (ko)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에서 이물질 감지 장치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0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0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3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0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28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