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78213A - 물성이 개선된 폴리우레탄 욕조 - Google Patents

물성이 개선된 폴리우레탄 욕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78213A
KR20140078213A KR1020120147309A KR20120147309A KR20140078213A KR 20140078213 A KR20140078213 A KR 20140078213A KR 1020120147309 A KR1020120147309 A KR 1020120147309A KR 20120147309 A KR20120147309 A KR 20120147309A KR 20140078213 A KR20140078213 A KR 2014007821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lution
polyurethane
polyol
layer
curing ag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473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배창덕
Original Assignee
배창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배창덕 filed Critical 배창덕
Priority to KR10201201473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078213A/ko
Publication of KR201400782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7821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3/00Baths; Douches; Appurtenances therefor
    • A47K3/02Bath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70/00Shaping composites, i.e. plastics material comprising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C70/04Shaping composites, i.e. plastics material comprising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comprising reinforcements only, e.g. self-reinforcing plastic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5/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natural or synthetic rubber
    • B32B25/04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natural or synthetic rubber comprising rubber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25/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natural or synthetic rubber comprising rubber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4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uretha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L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B29C, RELATING TO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00Other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769Sanitary equipment
    • B29L2031/7692Bath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osite Material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olyurethanes Or Polyurea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물성이 개선된 폴리우레탄 욕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욕조는 식물성 폴리올을 함유하는 폴리올 성분의 A 용액과 이소시아네이트 경화제 성분의 B 용액에 의해 형성된 속건 경화형 폴리우레탄 바닥재 및 상기 폴리우레탄 바닥재의 외측에, 폴리우레탄층 또는 폴리우레아층에서 선택되는 마감재로 이루어진 구조로서, 종래 폴리우레탄 발포욕조에서 쿠션 기능을 부여하기 위하여 중간층에 삽입된 폴리우레탄 쿠션층에 수분 침투에 의한 문제점을 근본적으로 해소하고, 각 층의 원료도료를 특성화하여 단순한 구조이면서도 내마모성, 충격저항성, 굴곡성능 및 내화학성이 우수한 경량의 욕조를 제공한다. 나아가, 본 발명의 욕조는 원가절감의 효과뿐만 아니라, 사용 중 수선이 필요할 때, 욕조의 기능성은 유지하면서 일부 수선 또는 부분교체가 용이하다.

Description

물성이 개선된 폴리우레탄 욕조{BATH TUB WITH POLYURETHANE WITH ENHANCED PROPERTIES}
본 발명은 물성이 개선된 폴리우레탄 욕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식물성 폴리올을 함유하는 폴리올 성분의 A 용액과 이소시아네이트 경화제 성분의 B 용액에 의해 형성된 속건 경화형 폴리우레탄층으로 이루어진 폴리우레탄 바닥재 및 상기 폴리우레탄 바닥재의 외측에, 폴리우레탄층 또는 폴리우레아층에서 선택되는 마감재가 적층된 욕조로서, 각 층의 원료도료를 특성화하여 단순한 구조이면서도 내마모성, 충격저항성, 굴곡성능, 내화학성 등의 물성이 우수한 욕조에 관한 것이다.
우레탄 결합(Urethane bonding)은 활성 수산기(-OH)를 가지는 알코올과 이소시아네이트기(isocyanate Group, -N=C=O)를 가지는 모노머 또는 폴리머 형태의 이소시아네이트(isocyanate)의 반응에 의해 반응열을 발생시키면서 형성된다.
폴리우레탄은 화학적으로 고분자 사슬 내에 우레탄 결합(~NH-COO~)을 갖는 고분자의 총칭으로 2가 이상의 이소시아네이트와 폴리올 등의 활성수소 화합물과의 결합에 의해 합성되며, 폴리우레탄 제조시 필수적으로 사용되는 폴리올은 통상적으로 석유계 원료로부터 제조된다. 특히, 폴리에테르 폴리올(polyether polyol), 폴리에스테르 폴리올(polyester polyol)은 폴리우레탄 제조에 사용하는 가장 보편화된 폴리올로 알려져 있다. 이러한 폴리올 성분은 제조하고자 하는 폴리우레탄 또는 폴리우레탄 폼의 특성에 중대한 영향을 미친다.
통상적으로, 이소시아네이트의 함량이 높고 분자량이 낮은 폴리올을 사용하게 되면 인장강도가 높고, 내마모성, 내화학성 등이 우수한 경질형 폴리우레탄 결합을 형성하게 되며, 이소시아네이트의 함량이 낮고 분자량이 높은 폴리올을 사용하게 되면, 탄성이 풍부한 연질형 폴리우레탄 결합을 형성하게 된다. 이에, 사용되는 이소시아네이트와 폴리올을 적절하게 조절하면 연질에서 경질까지 엘라스토머에서 폼까지 다양한 제품설계가 가능하다.
이러한 성질의 폴리우레탄은 종래 딱딱한 재질로 이루어진 아크릴 욕조나 사용자에게 차가운 느낌을 주는 인조 대리석을 이용한 마블 욕조의 문제점을 대체할 수 있는 욕조에 적용되고 있다.
그 일례로 대한민국특허 제832051호에는 금형에 이형제를 도포하고 건조하여 금형제 위에 이형제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이형제층 위에 투명코팅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투명코팅층 위에 탄성보호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탄성보호층 위에 발포재층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발포재층 위에 외곽구조체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쿠션 욕조를 개시하고 있다. 상기 발포재층의 구비에 따라 외부온도의 영향을 현저히 적게 받아 따뜻한 촉감을 가지게 하며, 무게를 현저히 줄여 시공이 간편하며, 기존의 제품에 비하여 덜 딱딱하여 절단 작업과 가공의 용이성을 제공한다. 그러나, 일련의 쿠션을 제공하는 폴리우레탄 발포욕조는 폴리우레탄 발포를 통해 발포된 폴리우레탄의 연성이 중간 스폰지 역할을 통해 얻어지며, 이러한 욕조는 코팅층이 파손될 경우 중간의 폴리우레탄 발포층이 물을 흡수하면, 코팅층과 분리되는 문제가 발생되며, 사용자가 사용하면서 흡수되었던 물이 외부로 흘러나오게 되어 오염이 발생된다.
이러한 폴리우레탄 발포욕조는 다소 보온성이 있으나 쿠션의 강도가 일정하지 않고 코팅층이 파손될 경우 중간 충진물에 물이 흡수되어 비위생적이며 코팅과 중간 충진물이 분리되어 사용하기가 어렵게 된다. 따라서, 장기간 사용시 쿠션층이 피로도에 의해 복원이 상실되고, 방수기능이 전무하며, 습기를 흡수하게 되므로 성능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종래 폴리우레탄 욕조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다른 방법으로 대한민국공개특허 제2011-137859호에 의하면, 다층의 층상구조를 가지는 쿠션층과 이 쿠션층을 보강하여 전체적으로 한층 보강된 구조를 실현한 쿠션 욕조를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발명의 욕조는 다층구조설계로 인한 시공의 까다로움과 사용과정에서 복구가 필요할 때, 부분수리가 어려운 단점이 있다.
또한, 일반적으로 폴리우레탄 도막층은 우수한 방수성능과 물성을 가지는 재료임에도 불구하고, 거의 모든 제품이 용제를 함유하고 있으므로 환경오염의 주요 인자로 인식되는 또 다른 문제가 있으며, 다른 소재와 병용하는 경우 다른 소재의 물성을 현저히 저하시킨다.
한편, 석유자원 고갈의 가속화, 기후변화에 따른 온실가스 감축, 원료가격의 상승, 재생 가능한 원료에 대한 필요성 증가 등과 같은 다양한 이유로 인하여 우레탄 분야에서는 석유계 원료로부터 제조되는 폴리에테르 폴리올, 폴리에스테르 폴리올 등을 재생 가능할 뿐만 아니라 보다 환경친화적인 성분으로 부분적 또는 완전 대체하는 방안이 등장하고 있다.
이에, 석유계 원료로부터 유래된 폴리올을 대체하여, 천연소재로부터 유래된 식물성 폴리올을 이용한 도장방법이 시도되고 있다. 그러나, 식물성 폴리올을 이용한 초속건 경화형 도료는 고가의 특수한 스프레이 장비가 반드시 필요하며 작업자의 숙련도가 도장의 성패를 좌우하며, 특히 경화속도가 빠르며 무용제, 우수한 물성 등의 장점에도 불구하고 빠른 반응속도로 인하여 다양한 도장 방법을 적용할 수 없는 문제가 있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종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노력한 결과, 식물성 폴리올을 함유하는 폴리올 주제의 A 용액과 이소시아네이트 경화제 성분의 B 용액간의 우레탄 반응에 의해 형성된 속건 경화형 폴리우레탄층을 욕조상 물에 닿는 바닥재로 하고, 상기 폴리우레탄 바닥재 외측에 폴리우레탄층 또는 폴리우레아층에서 선택되는 마감재가 적층된 구조의 욕조를 제공하여, 각 층의 원료도료를 특성화하여 단순한 구조이면서도 내마모성, 충격저항성, 굴곡성능 및 내화학성이 우수한 물성을 확인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의 목적은 물이 닿는 부분의 바닥재와 상기 바닥재 외측을 보호하기 위한 마감재로 이루어진 욕조를 제공함에 있어서, 식물성 폴리올을 기반으로 하는 속건 경화형 폴리우레탄층으로 이루어진 폴리우레탄 바닥재 상에, 폴리우레탄층의 마감재로 이루어진 욕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식물성 폴리올을 기반으로 하는 속건 경화형 폴리우레탄층으로 이루어진 폴리우레탄 바닥재 상에, 폴리우레아층의 마감재로 이루어진 욕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식물성 폴리올을 함유하는 폴리올 성분의 A 용액과 이소시아네이트 경화제 성분의 B 용액에 의해 형성된 폴리우레탄층으로 이루어진 폴리우레탄 바닥재 및 상기 폴리우레탄 바닥재 외측에, 폴리우레탄층 또는 폴리우레아층에서 선택되는 마감재가 적층된 욕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욕조의 바람직한 제1실시형태로서, 식물성 폴리올을 함유하는 폴리올 성분의 A 용액과 이소시아네이트 경화제 성분의 NCO 함량이 15 내지 25%인 B 용액간의 우레탄 반응에 의해 형성된 폴리우레탄 바닥재 및 상기 바닥재 내측이 물에 닿는 부분이라면, 바닥재 외측에, 식물성 폴리올을 함유하는 폴리올 성분의 A 용액과 이소시아네이트 경화제 성분의 NCO 함량이 25 내지 33%인 B 용액간의 우레탄 반응에 의해 형성된 폴리우레탄층으로 이루어진 마감재로 구성된다.
또한, 본 발명의 욕조의 바람직한 제2실시형태의 욕조는 식물성 폴리올을 함유하는 폴리올 성분의 A 용액과 이소시아네이트 경화제 성분의 NCO 함량이 15 내지 25%인 B 용액간의 우레탄 반응에 의해 형성된 폴리우레탄 바닥재 및 상기 바닥재 외측에, 활성아민기(-NH2)를 가지는 폴리아민 성분의 C 용액과 이소시아네이트 경화제 성분의 NCO 함량이 25 내지 33%인 B 용액간의 우레아 반응에 의해 형성된 폴리우레아층으로 이루어진 마감재로 구성된다.
본 발명의 제1실시형태 또는 제2실시형태의 욕조에서, 폴리우레탄 바닥재는 식물성 폴리올을 함유하는 폴리올 성분의 A 용액과 이소시아네이트 경화제 성분의 B 용액간의 부피비 1:1 비율의 우레탄 반응에 의해 형성되며, 이때, B 용액에서 이소시아네이트 경화제는 디페닐메탄 디이소시아네이트(4,4'-Diphenylmethane diisocyanate, MDI) 단량체; 또는 MDI 프리폴리머;를 사용한다.
이때, 상기 식물성 폴리올을 함유하는 폴리올 성분의 A 용액의 점도가 80 내지 100 KU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제1실시형태의 욕조에서, 본 발명의 마감재는 식물성 폴리올을 함유하는 폴리올 성분의 A 용액과 이소시아네이트 경화제 성분의 NCO 함량이 25 내지 33%인 B 용액간의 우레탄 반응에 의해 형성되는 것으로서, 상기 식물성 폴리올을 함유하는 폴리올 성분의 A 용액과 이소시아네이트 경화제 성분의 B 용액간의 부피비 1.3 내지 3: 1의 비율의 우레탄 반응에 의한 형성된다. 이때, B 용액에서 이소시아네이트 경화제로는 폴리머형 디페닐메탄 디이소시아네이트(polymeric MDI)를 사용한다.
또한, 본 발명의 제1실시형태의 욕조에서 마감재는 물성개선을 위하여 식물성 폴리올을 함유하는 폴리올 성분의 A 용액에, 가교제 10 내지 15중량%를 함유하며, 상기 식물성 폴리올을 함유하는 폴리올 성분의 A 용액에, 필러 10 내지 30중량%를 함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실시형태의 욕조에서, 폴리우레아 마감재는 분자량 2000 내지 5000을 가지는 활성아민기(-NH2)를 가지는 폴리아민 성분을 함유하는 것이다.
이상의 제1실시형태 및 제2실시형태에서, 마감재는 1 내지 2㎝ 두께로 도장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빠른 경화속도에 의해 1회에 200㎛ 이상의 두께로 5층 이상 도장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폴리우레탄 욕조는 식물성 폴리올을 함유하는 폴리올 성분의 A 용액과 특정의 이소시아네이트 경화제 성분의 B 용액간의 우레탄 반응에 의해 형성된 속건 경화형 폴리우레탄층이 욕조상 물에 닿는 바닥재이고, 상기 폴리우레탄 바닥재 외측이 종래 FRP 강도층이 아닌, 폴리우레탄층 또는 폴리우레아층에서 선택되는 마감재로 처리된다.
본 발명의 폴리우레탄 욕조는 속건 경화형 폴리우레탄의 특성과 각층이 원료도료의 특정화로 인하여 종래 다층 구조가 아닌, 단순한 구조이면서도 내마모성, 충격저항성, 굴곡성능 및 내화학성이 우수한 경량의 욕조이다. 또한, 이러한 단순화된 구조의 욕조로 인하여, 본 발명은 원가절감의 효과뿐만 아니라, 사용 중 수선이 필요할 때, 욕조의 기능성은 유지하면서 일부 수선 또는 부분교체가 가능하다.
나아가, 본 발명의 욕조는 층간에 안료를 혼입하여 다양한 색상구현이 가능하므로, 실내 인테리어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서 몰드의 탈형 이전의 폴리우레탄 욕조의 단면 모식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서 몰드의 탈형 이후의 폴리우레탄 욕조의 단면 모식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폴리우레탄 욕조에서. 폴리우레탄층의 마감재 물성평가에 따른 제품외관사진이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서 몰드의 탈형 이전의 폴리우레탄 욕조의 단면 모식도로서, 본발명의 욕조는 몰드(10) 상에 상도코팅하여 상도코팅층(20)을 형성하고, 이어서 식물성 폴리올을 주재로 함유한 A 용액을 준비하고, 이소시아네이트 경화제 성분의 B 용액을 준비하여, 상기 상도코팅된 표면(20)에, 상기 A 용액과 B 용액을 스프레이건 노즐상에서 혼합 부피비 1:1로 혼합 분사하여, 속건 경화된 폴리우레탄층(30)을 형성하고, 상기 폴리우레탄층(30) 상에, 폴리우레탄층 또는 폴리우레아층에서 선택된 마감재(40)로 이루어진다. 상기 각층이 경화된 이후, 몰드(10)를 탈형하여 제공한다.
상기에서, 몰드(10)는 욕조의 금형으로서, 유리섬유강화플라스틱(FRP) 재질로 이루어진 것을 사용하여 제조원가를 절감하고, 작은 공간에서도 욕조를 제조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제한되지 않고 알루미늄 등의 금속재질, 합성수지 재질 등의 통상의 분야에서 사용되는 재질을 이용할 수 있다. 이때, 몰드의 온도가 30∼50℃로 예열된 상태에서 우레아코팅조성물을 도포 및 건조하여 상도코팅층(20)을형성한다.
또한, 상도코팅층(20)은 욕조 제조 후 몰드와의 이형단계에서 이형이 용이하도록 하기 위하여 형성된다. 이에, 상도코팅시, 우레아코팅조성물을 도포하기 전에 몰드의 표면을 세척하여 이물질이 남아있지 않도록 하여 매끄러운 표면을 갖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도포 방법은 통상의 방법이 적용 가능하며, 구체적으로, 스프레이도포 등의 방법을 이용하여 도포할 수 있다.
이에, 도 2는 본 발명에서 몰드의 탈형 이후의 폴리우레탄 욕조의 단면 모식도를 도시한 것이다.
즉, 본 발명의 폴리우레탄 욕조는 식물성 폴리올을 함유하는 폴리올 성분의 A 용액과 이소시아네이트 경화제 성분의 B 용액의 우레탄 반응에 의해 형성된 속건 경화형 폴리우레탄층을 욕조에서 물에 닿는 바닥재(30)로 정의하고, 상기 폴리우레탄 바닥재(30) 외측이 폴리우레탄층 또는 폴리우레아층에서 선택되는 마감재(40)로 보호된 구조이다.
이에, 본 발명은 바람직한 제1실시형태로서, 식물성 폴리올을 함유하는 폴리올 성분의 A 용액과 이소시아네이트 경화제 성분의 B 용액에 의해 형성된 속건 경화형 폴리우레탄층으로 이루어진 폴리우레탄 바닥재(30) 및 상기 바닥재 내측이 물에 닿는 부분이라면, 바닥재 외측에, 식물성 폴리올을 함유하는 폴리올 성분의 A 용액과 이소시아네이트 경화제 성분의 NCO 함량이 25 내지 33%인 B 용액간의 우레탄 반응에 의해 형성된 폴리우레탄층으로 이루어진 마감재(40)로 구성된 욕조(1)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바람직한 제2실시형태로서, 식물성 폴리올을 함유하는 폴리올 성분의 A 용액과 이소시아네이트 경화제 성분의 B 용액에 의해 형성된 속건 경화형 폴리우레탄층으로 이루어진 폴리우레탄 바닥재(30) 및 상기 바닥재 외측에, 활성아민기(-NH2)를 가지는 폴리아민 성분의 C 용액과 이소시아네이트 경화제 성분의 NCO 함량이 25 내지 33%인 B 용액간의 우레아 반응에 의해 형성된 폴리우레아층으로 이루어진 마감재(40)로 구성된 욕조(1)를 제공한다.
이에, 각 실시형태별 특징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1. 제1실시형태의 욕조
1) 폴리우레탄 바닥재(30)
본 발명의 제1실시형태의 욕조는 폴리우레탄 바닥재 상에 폴리우레탄으로 이루어진 폴리우레탄층이 마감재로 적층된 구조이다.
이때, 제1실시형태의 폴리우레탄 바닥재(30)는 식물성 폴리올을 함유하는 폴리올 성분의 A 용액과 이소시아네이트 경화제 성분의 B 용액간의 우레탄 반응에 의해 형성된다.
먼저, 식물성 오일을 함유하는 폴리올 성분의 A 용액은 식물성 폴리올, 안료, 분산제, 흡습제 및 소포제를 균일하게 혼합하여 분산입도가 10㎛ 이하까지 분산시킨 후, 나머지 천연 폴리올, 사슬연장제 또는 가교제의 일 성분 및 소포제를 혼합하여 진공탈포된 A 용액을 제조한다.
이때, A 용액의 주성분인 식물성 폴리올 성분은 과실류, 견과류 및/또는 식물의 종자를 비롯한 식물, 임의의 다른 자연적으로 생성되는 식물성 오일, 동물성 지방 및/또는 오일 또는 임의의 다른 비-석유 유래 오일로부터 유래된 천연 폴리올 성분으로서, 본 발명은 종래 석유로부터 유래된 폴리에스테르 폴리올(polyester polyol)을 배제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식물성 오일로 칭하였으나, 바람직한 일례로서, 대두유, 카놀라유, 해바라기유, 옥수수유, 아마인유, 양귀비씨유, 면실유, 동유, 팜유, 땅콩유, 어유, 올리브유, 홍화유, 평지씨유, 코코넛유, 베르노니아유 등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를 적용하여 사용할 수 있음은 당연히 이해될 것이다.
본 발명의 식물성 오일을 함유하는 식물성 폴리올은 상용제품을 구입하여 사용하거나, 식물성 유래의 원료를 수소화시켜 자연적으로 생성되는 불포화의 일부 또는 전부를 제거하는 방법 등으로 실험실에서 합성하여 사용할 수 있는 것으로서,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다만, 본 발명의 식물성 폴리올은 그 수분함량이 0.1중량% 미만인 것을 사용한다.
즉, 종래 석유계 원료로부터 유래된 폴리올의 수분함량이 0.2 내지 0.3중량%인 것에 비해, 본 발명은 수분함량이 작은 식물성 폴리올을 사용함으로써, 발포성을 억제하여 안정화시키고, 발포되더라도 수축이 없는 다공질의 폴리우레탄을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폴리우레탄 바닥재를 형성하는 A 용액에는 상기 식물성 폴리올 성분 이외, 통상의 첨가제, 즉 사슬연장제, 가교제, 흡습제, 소포제, 분산제, 안료 등을 2종이상의 혼합형태로 함유될 수 있다.
이때, 이상의 식물성 폴리올을 함유하는 폴리올 주재의 A 용액은 무발포성 용액이면서 무용제 용액으로서, A 용액에 사용되는 사슬연장제 및 가교제는 폴리올과 이소시아네이트의 가교밀도를 향상시키는 성분으로서, 중합 내지 분자간 결합을 강하게 하기 위한 반응성 단분자로서, 디올(Diol), 디아민(Diamine) 등과 같은 2관능성 물질의 사슬연장제 또는 트리올(Triol), 테트라올(Tetraol), 폴리아민(Polyamine)과 같은 다관능성 물질의 가교제를 사용한다.
A 용액에 함유되는 흡습제는 통상 폴리우레탄 반응은 습기와 반응하여 이산화탄소 가스를 형성하므로,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첨가된다.
또한, 본 발명의 A 용액에는, 색상을 구현하는 안료, 상기 안료를 분산하여 침전안정성, 색분리를 방지하기 위한 분산제가 함유되고, 용액 제조공정 중 또는 작업 중에 발생되는 기포를 제거하기 위한 소포제를 더 함유할 수 있으며, 통상의 공지물질에서 채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안료로는 이산화티탄(TiO2), 카본블랙, 산화철황(Iron oxide yellow)를 비롯하여 상용하는 유기안료 또는 무기안료에서 채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분산제는 암모늄 염 성분으로서, 상용제품을 사용할 수 있으며, 소포제는 상용의 실리콘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준비된 A 용액과 1:1 부피비로 우레탄 반응하는 B 용액의 이소시아네이트 부분을 설계하기 위해서는, 도막 경도, 유연성, 부착성, 경화성, 반응안정성 등 거의 모든 부분에 큰 영향을 주는 NCO% 함량이 가장 중요하다. 이때, "NCO%"는 이소시아네이트 샘플에 함유되어 있는 NCO의 중량%를 의미하는 것으로서, 본 발명의 이소시아네이트 경화제 성분의 NCO 함량은 15 내지 25%가 되도록 한다. 즉, MDI 또는 프리폴리머 형태의 이소시아네이트와 탄성체인 폴리올간의 우레탄 반응에 의해 유연성을 부여하고 상기 목표한 NCO 함량으로 합성되도록 설계한다. 상기의 NCO 함량은 우레탄 반응에 의해 형성된 폴리우레탄의 경도를 높이기 위한 수단으로서, NCO 함량이 높을수록 경도가 높아진다. 그러나, 통상의 폴리우레탄 제조시 사용되는 경화제인 톨루엔 디이소시아네이트(toluene diisocyanate, TDI)를 이용하나, 폴리우레탄의 경도를 향상시키기 위하여, TDI의 NCO 함량을 20중량%로 늘리면, 반응하지 않은 유리 TDI 성분으로 인해, 도장 작업시 인체에 매우 유해한 환경을 조성하므로 사용할 수 없다.
이에, 본 발명의 폴리우레탄 바닥재를 형성하는 이소시아네이트 경화제 성분의 B 용액은 TDI보다 증기압이 높은 디페닐메탄 디이소시아네이트(4,4'-Diphenylmethane diisocyanate, MDI) 단량체, 더욱 바람직하게는 MDI 프리폴리머를 사용하는 것이다.
이때, 이소시아네이트 단분자 형태의 이소시아네이트를 사용하면, 휘발성이 높아져 인체에 위험할 뿐만 아니라 가교도가 너무 높아 1:1 부피비의 설계를 할 수 없다.
이상의 본 발명의 A 용액의 점도는 80 내지 100 KU (900 내지 1600cp)이내로 조절되도록 설계되며, 이때, 점도가 상기 범위를 벗어나면, 도막물성의 저하, 경화성 불량, 기포발생 등의 문제가 발생하므로 바람직하지 않다. 이때, 점도를 낮추기 위하여, 폴리에테르폴리올 성분을 함유시켜 조절할 수 있다. 상기 폴리에테르폴리올은 450~3,000의 중량평균분자량을 가지고, OH 관능기 수가 2개 또는 3개인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는, OH 관능기가 2개인 폴리프로필렌글리콜로서 PPG-1000, PPG-2000, PPG-3000 등의 제품을, OH 관능기가 3개인 폴리프로필렌글리콜로서 GP-1000, GP-450, GP-3000 등과 같은 제품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각 제품의 숫자는 중량평균분자량을 나타낸다.
2) 폴리우레탄층의 마감재(40)
본 발명의 마감재는 식물성 폴리올을 함유하는 폴리올 성분의 A 용액과 이소시아네이트 경화제 성분의 NCO 함량이 25 내지 33%인 B 용액간의 우레탄 반응에 의해 형성된 폴리우레탄층으로 이루어진다.
이때, 식물성 폴리올을 함유하는 폴리올 성분의 A 용액은 폴리우레탄 바닥재(30)에서 설명한 바와 동일하다.
본 발명의 제1실시형태에서 폴리우레탄층의 마감재(40)는 상기 식물성 폴리올을 함유하는 폴리올 성분의 A 용액과 이소시아네이트 경화제 성분의 NCO 함량이 25 내지 33%인 B 용액간의 우레탄 반응에 의해 형성되는 것으로서, 높은 NCO 함량의 이소시아네이트 경화제 사용으로 인하여, 폴리우레탄 바닥재(30) 외측을 보호할 수 있도록 높은 경도를 가짐으로써, 욕조의 외곽구조를 유지하고, 기계적 강도를 유지할 수 있다.
이에, 폴리우레탄층의 마감재(40)에서 사용될 수 있는 이소시아네이트 경화제로 바람직하게는 폴리머형 디페닐메탄 디이소시아네이트(polymeric MDI)를 사용한다.
또한, 폴리우레탄층의 마감재(40)는 식물성 폴리올을 함유하는 폴리올 성분의 A 용액과 이소시아네이트 경화제 성분의 B 용액간의 부피비 1.3 내지 3: 1의 비율의 우레탄 반응에 의한 형성된다.
폴리우레탄층의 마감재(40)를 형성할 때에는 폴리올 성분의 A 용액과 이소시아네이트 경화제 성분의 B 용액간의 반응시간에 따른 도장작업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가령, 반응성이 빠른 TDI 또는 MDI 를 사용하고 보다 빠른 반응성을 위해 촉매를 투입하면, 주재와 혼합 시 반응시간이 짧아져 도장작업 할 수 있는 충분한 시간을 확보하기가 어렵다. 반면에, 외부에 노출되어도 황변이 없는 무황변 HDI 형 이소시아네이트의 경우, 충분한 가사시간(사용 가능한 시간)을 확보 할 수 있으며, 촉매를 이용하여 경화시간을 조절할 수 있는 장점이 있으나, 가격이 비싼 단점이 있다. 이에 촉매와 반응성 등을 고려하여 본 발명은 폴리머형 디페닐메탄 디이소시아네이트(polymeric MDI)를 사용하되, 25℃ 조건에서 가사시간 5 내지 15분, 지족건조시간 2 내지 4시간, 끈적임 없는 시간(Tack free) 12 내지 24시간 및 경도 75D 이상을 충족하도록 설계한다.
또한, 폴리우레탄층의 마감재(40)를 형성하기 위한 폴리올 성분의 A 용액과 이소시아네이트 경화제 성분의 B 용액간의 반응은 우레탄 반응 촉매를 사용하지 않으면 완전한 경화가 쉽게 이루어지지 않는다.
이에, 경화속도를 조절하기 위하여, 상기 폴리올 성분의 A 용액에, 가교제 10 내지 15중량%를 함유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테트라하이드록시 폴리올 3급 아민을 사용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을 것이다. 상기 가교제 함량이 10중량% 미만이면, 경화에 불완전하고, 15중량%를 초과하면, 좀 더 빠른 경화가 이루어지므로, 상대적으로 딱딱한 성분인 경화제 혼합비가 높아져 경도가 상승하였으나 점도가 높아지는 문제가 있다.
또한, 경량화를 조절하기 위하여, 상기 폴리올 성분의 A 용액에, 비중이 낮은 필러 10 내지 30중량%를 함유할 수 있다. 이에, 필러의 함량이 높을수록 제품의 비중이 낮아 이동 시 무게를 줄일 수 있고, 상대적으로 부피가 커져 도료 사용량이 줄어드는 잇점도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3M사의 VS5500 또는 서경CMT 사의 마이크로셀 그래이드를 사용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을 것이다.
본 발명의 폴리우레탄층의 마감재(40)는 종래 FRP 강도층을 대체할 수 있을 정도의 충분한 강인성 확보하기 위하여, 여러겹 도장을 해서 충분한 도막두께를 확보한다.
그러나, 반응성이 빠르지 않으면 도장 후 도막이 흘러 내리는 단점이 있으므로, 빠른 반응성이 요구된다. 이에, 폴리우레탄층의 마감재(40)의 총 도막 두께는 1 내지 2㎝가 바람직하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1회 도장으로 200㎛ 이상의 도막을 얻어야 하며 총 5회 이상 도장하는 방법으로 제공한다.
이에, 본 발명의 폴리우레탄층의 마감재(40)는 빠른 반응성으로 인하여, 붓, 롤러 방식의 도장이 아닌, 2액 혼합형 도장기기[Graco(USA) 사의 Reactor XP-2 또는 Reactor E-10] 를 사용하여 빠른 시간 내에 도장한다.
2. 제2실시형태의 욕조
본 발명의 제2실시형태의 욕조는 상기의 속건 경화형 폴리우레탄 바닥재(30) 상에 폴리우레탄으로 이루어진 폴리우레아층이 마감재(40)로 적층된 구조이다. 상기에서, 폴리우레탄 바닥재(30)는 제1실시형태에서 설명한 바와 동일하다.
이에, 제2실시형태에서는 마감재로서, 상기 바닥재 외측을 보호하기 위한 강도층으로서, 활성아민기(-NH2)를 가지는 폴리아민 성분의 C 용액과 이소시아네이트 경화제 성분의 NCO 함량이 25 내지 33%인 B 용액간의 우레아 반응에 의해 형성된 폴리우레아층으로 이루어진 마감재(40)로 구성된 욕조(1)를 제공한다.
이때, C 용액은 분자량 2000 내지 5000을 가지는 활성아민기(-NH2)를 가지는 폴리아민 성분을 함유하는 것이다.
이상으로부터, 본 발명의 욕조는 종래 폴리우레탄 발포욕조에서 쿠션 기능을 부여하기 위하여 중간층에 삽입된 폴리우레탄 쿠션층이 생략된 2층 구조로서, 종래 폴리우레탄 발포욕조가 수분 침투에 의한 층간 분리의 문제와 비위생적이며, 장기간 사용시 피로도에 의해 쿠션층의 복원이 상실되고, 방수기능의 급격한 저하와 습기를 흡수하게 되므로 성능저하의 문제점을 근본적으로 해소할 수 있다.
또한, 종래 욕조의 외측에 코팅된 바닥재를 보호하기 위한 유리섬유강화플라스틱(FRP) 강도층을 대체할 수 있으며, FRP 소재 자체의 껄끄러움으로 인한 사용자의 거부감 문제를 해소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2층 구조의 욕조는 종래 폴리우레탄 발포욕조가 수분 침투에 의한 층간 분리의 문제와 비위생적이며, 장기간 사용시 피로도에 의해 쿠션층의 복원이 상실되고, 방수기능의 급격한 저하와 습기를 흡수하게 되므로 성능저하의 문제점을 근본적으로 해소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욕조는 단순한 구조이면서도 내마모성, 충격저항성, 굴곡성능 및 내화학성이 우수한 물성을 구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욕조는 원가절감의 효과가 있다.
나아가, 종래 다층 구조의 욕조의 경우, 일부 파손 등의 수리가 요구될 때, 복잡한 구조로 인해 전체를 교체하거나, 일부 수리를 한다고 하더라도, 보수 이후 전체 층 구조 상의 힘의 불균형으로 제품성능저하가 불가피하다. 반면에, 본 발명의 단순한 구조의 욕조는 기능성은 유지하면서 일부 수선 또는 부분교체가 용이하므로 경제적이다.
또한 종래 아크릴 욕조가 흰색에 국한되는 반면에, 본 발명의 욕조는 다양한 색상구현이 가능하므로, 실내 인테리어 효과를 제공한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이는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 실시예 1>
1. 속건 경화형 폴리우레탄층으로 이루어진 폴리우레탄 바닥재(30) 제조
단계 1: 식물성 폴리올을 함유하는 폴리올 성분의 A 용액의 제조
하기 표 1에서 제시된 바와 같이, 사슬연장제 1로서, 2차 아민류인 4,4'-메틸렌비스(3-클로로-2,6-디에틸아닐린)(Unilink 4200) 15중량%, 이산화티탄의 안료(이시하라사) 6중량%, 소포제(BYK-1790) 0.3중량%, 분산제(BYK-180) 0.3 중량%, 흡습제로서, 알루미나-실리케이트의 분자체(molecular sieve, UOP사) 5중량%를 먼저 혼합하여 40 분 동안 분산 후, 식물성 폴리올(H-Plus eco사의 CP-1, OH 등가중량 303.24) 30.60중량%, 알킬렌옥사이드 폴리올(GP-3000(KPX)) 20중량%, 사슬연장제 2로서, 4,4'- 메틸렌비스(2,6- 디에틸아닐린) 22중량%, 소포제(BYK-1790) 0.3중량%, 안정제 0.5중량%으로 이루어진 용액을 혼합하여 A 용액을 준비하였다[용액의 점도 95KU].
아래 표 1로부터 원료도료에서 알킬렌옥사이드 폴리올의 가교제 함량에 따라 용액의 점도를 조절할 수 있었으며, 바람직한 점도범위를 그에 따른 반응속도 및 경화성에 근거하여 80 내지 100KU로 결정되었다.
Figure pat00001
단계 2: 이소시아네이트 경화제 성분의 B 용액의 제조
하기 표 2에 제시된 조성으로 이루어진 B 용액을 준비하였다. 이소시아네이트 성분으로서, 디페닐메탄 디이소시아네이트(4,4'-Diphenylmethane diisocyanate, MDI) 단량체(BASF Korea사 제품) 또는 폴리머형 MDI 사용하여, 이소시아네이트 성분의 NCO%를 22.50%로 유지하기 위하여, 폴리에테르 폴리올(KPC사의 PP2000D, OH 등가중량 1000)의 함량을 조절하여 제조하였다.
이후, FRP 몰드를 40℃로 예열된 상태에서, 우레아코팅층이 형성된 상도코팅된 면에, 상기 단계 1에서 준비된 식물성 폴리올을 함유하는 폴리올 주제의 A 용액과 단계 2에서 준비된 MDI 프리폴리머의 경화제 성분 B 용액을 스프레이 노즐에서 혼합 부피비 1:1로 혼합 분사하여, 속건 경화된 폴리우레탄층을 2㎜ 두께로 형성하였다.
아래 표 2를 통해, 이소시아네이트 경화제 성분의 채택에 따른 물성을 제시하고 있는데, 폴리머형 MDI를 사용한 경우, 용액의 점도가 높아지므로, 이소시아네이트 경화제 성분의 B 용액과 반응할 폴리올 성분의 A 용액간의 점도차를 고려하여, MDI 단량체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Figure pat00002
2. 폴리우레탄층의 마감재(40) 제조
하기 표 3에서 제시된 바와 같이, 용액내 분산을 위하여, 식물성 폴리올(H-Plus eco사의 CP-1, OH 등가중량 303.24)을 나누어 혼합하여 식물성 폴리올을 주재로 함유하는 폴리올 성분의 A 용액을 준비하였다.
또한, 폴리머형 MDI를 함유하는 이소시아네이트 경화제의 B 용액을 제조하였다. 이후, 속건 경화된 폴리우레탄층(30)의 일측에 표 3에서 제조된 폴리올 성분의 A 용액과 B 용액을 1.3: 1의 부피비로 혼합하여 2액 혼합형 도장기기에 넣고 폴리우레탄층을 도장하였다. 이때, 실시예 1-3의 조성에서 가교제 함량증가로 인하여 반응속도가 빠르므로, 1회 수행시 200㎛ 두께로 도장되었다. 이후 5회 이상 반복 수행하여 여러 겹의 도장으로 인하여 충분한 도막두께를 확보함으로써, 강인성을 제공하였다. 이후, 상기 몰드를 탈형시켜, 욕조를 완성하였다.
Figure pat00003
Figure pat00004
표 3에 표시된 조성에 따라, 고가의 HDI 사용 없이, MDI 사용조건을 최적화하여 높은 경도를 유지하면서, 가사시간(사용 가능한 시간) 및 경화시간을 조절할 수 있다.
< 실험예 1> 물성평가
1. 바닥재 물성평가
상기 실시예에서 제조된 욕조에 있어서, 바닥재로 사용된 속건 경화형 폴리우레탄층에 대하여, 하기 표 5에 제시된 시험항목 및 시험기준을 수행하고, 그 물성결과를 표기하였다.
Figure pat00005
2. 마감재 물성평가
상기 실시예에서 제조된 욕조에 있어서, 마감재로 사용된 폴리우레탄층에 대하여, 하기 표 6에 제시된 시험항목 및 시험기준으로 수행한 결과, 우수한 물성을 확인하였다.
Figure pat00006
3. 내화학성 평가
폴리우레탄층의 마감재로 인한 내화학성을 측정하기 위하여, 무처리된 CRS 강판 위에 실시예 1-3의 폴리올 및 이소시아네이트 성분 함유용액을 스프레이 방식으로 약 50㎛ 의 건조 도막두께가 되도록 도장하여 충분히 경화시킨 후 5% HCl 및 5% NaOH 용액 속에 240시간 동안 침적하여 꺼낸 후 물로 세척하여 도막변화를 확인하였다.
그 결과, 5% HCl 및 5% NaOH 용액의 경우 모두 브리스터 또는 녹, 도막 탈락 등이 관찰되지 않았다.
상기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식물성 폴리올을 함유하는 폴리올 주제의 A 용액과 이소시아네이트 경화제 성분의 B 용액간의 우레탄 반응에 의해 형성된 속건 경화형 폴리우레탄층이 욕조상 물에 닿는 바닥재이고, 상기 바닥재 외측에, 폴리우레탄층 또는 폴리우레아층에서 선택되는 마감재가 적층된 구조의 단순화된 욕조를 제공하였다.
본 발명의 욕조는 종래의 폴리우레탄 발포욕조에서 쿠션 기능을 부여하기 위하여 중간층에 삽입된 폴리우레탄 쿠션층이 생략된 구조이면서도, 속건 경화형 폴리우레탄층의 원료도료를 특정조건으로 설계함으로써, 단순한 구조이면서도 내마모성, 충격저항성, 굴곡성능 및 내화학성이 우수한 경량의 욕조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욕조는 종래 폴리우레탄 발포욕조가 수분 침투에 의한 층간 분리의 문제와 비위생적이며, 장기간 사용시 피로도에 의해 쿠션층의 복원이 상실되고, 방수기능의 급격한 저하와 습기를 흡수하게 되므로 성능저하의 문제점을 근본적으로 해소할 수 있다.
나아가, 종래 다층 구조의 욕조의 경우, 일부 파손 등의 수리가 요구될 때, 복잡한 구조로 인해 전체를 교체하거나, 일부 수리를 한다고 하더라도, 보수 이후 전체 층 구조 상의 힘의 불균형으로 제품성능저하가 불가피한 반면, 본 발명의 단순한 구조의 욕조는 기능성은 유지하면서 일부 수선 또는 부분교체가 용이하다.
또한 본 발명의 욕조는 종래 아크릴 욕조가 흰색 욕조로 국한된 반면에, 각 층에안료를 함유하여 다양한 색상구현이 가능하므로, 실내 인테리어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기재된 구체예에 대해서만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10: 몰드
20: 상도코팅층
30: 속건 경화형 폴리우레탄 바닥재
40: 폴리우레탄층 또는 폴리우레아층의 마감재
1: 본 발명의 욕조

Claims (14)

  1. 식물성 폴리올을 함유하는 폴리올 성분의 A 용액과 이소시아네이트 경화제 성분의 B 용액에 의해 형성된 속건 경화형 폴리우레탄층으로 이루어진 폴리우레탄 바닥재 및
    상기 폴리우레탄 바닥재 외측에, 폴리우레탄층 또는 폴리우레아층에서 선택되는 마감재가 적층된 욕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우레탄 바닥재가 식물성 폴리올을 함유하는 폴리올 성분의 A 용액과 이소시아네이트 경화제 성분의 NCO 함량이 15 내지 25%인 B 용액간의 우레탄 반응에 의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욕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우레탄 바닥재가 식물성 폴리올을 함유하는 폴리올 성분의 A 용액과 이소시아네이트 경화제 성분의 B 용액간의 부피비 1:1 비율의 우레탄 반응에 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욕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B 용액에서 이소시아네이트 경화제가 디페닐메탄 디이소시아네이트(4,4'-Diphenylmethane diisocyanate, MDI) 단량체; 또는 MDI 프리폴리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욕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식물성 폴리올을 함유하는 폴리올 성분의 A 용액의 점도가 80 내지 100 KU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욕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마감재가 식물성 폴리올을 함유하는 폴리올 성분의 A 용액과 이소시아네이트 경화제 성분의 NCO 함량이 25 내지 33%인 B 용액간의 우레탄 반응에 의해 형성된 폴리우레탄층의 마감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욕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우레탄층의 마감재가 식물성 폴리올을 함유하는 폴리올 성분의 A 용액과 이소시아네이트 경화제 성분의 B 용액간의 부피비 1.3 내지 3: 1의 비율의 우레탄 반응에 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욕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B 용액에서 이소시아네이트 경화제가 폴리머형 디페닐메탄 디이소시아네이트(polymeric MDI)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욕조.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우레탄층의 마감재가 식물성 폴리올을 함유하는 폴리올 성분의 A 용액에, 가교제 10 내지 15중량%가 함유되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욕조.
  10.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우레탄층의 마감재가 식물성 폴리올을 함유하는 폴리올 성분의 A 용액에, 필러 10 내지 30중량%가 함유되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욕조.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마감재가 활성아민기(-NH2)를 가지는 폴리아민 성분의 C 용액과 이소시아네이트 경화제 성분의 NCO 함량이 25 내지 33%인 B 용액간의 우레아 반응에 의해 형성된 폴리우레아층의 마감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욕조.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우레아층의 마감재가 분자량 2,000 내지 5,000을 가지는 활성아민기(-NH2)를 가지는 폴리아민 성분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욕조.
  13. 제6항 또는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마감재가 1 내지 2㎝ 두께로 도장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욕조.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마감재가 200㎛ 이상의 두께로 5층 이상 도장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욕조.
KR1020120147309A 2012-12-17 2012-12-17 물성이 개선된 폴리우레탄 욕조 KR2014007821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47309A KR20140078213A (ko) 2012-12-17 2012-12-17 물성이 개선된 폴리우레탄 욕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47309A KR20140078213A (ko) 2012-12-17 2012-12-17 물성이 개선된 폴리우레탄 욕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78213A true KR20140078213A (ko) 2014-06-25

Family

ID=511298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47309A KR20140078213A (ko) 2012-12-17 2012-12-17 물성이 개선된 폴리우레탄 욕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078213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3026048A1 (fr) * 2014-09-24 2016-03-25 Fr D Assainissement Sfa Soc Structure en materiau composite multicouche, son procede de mise en œuvre et article sanitaire ainsi realise
FR3026049A1 (fr) * 2014-09-24 2016-03-25 Fr D Assainissement Sfa Soc Structure en materiau composite multicouche, son procede de mise en œuvre et article sanitaire ainsi realise
CN106175522A (zh) * 2016-07-15 2016-12-07 宣城市欧帝斯卫浴有限公司 浴缸及其制备方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3026048A1 (fr) * 2014-09-24 2016-03-25 Fr D Assainissement Sfa Soc Structure en materiau composite multicouche, son procede de mise en œuvre et article sanitaire ainsi realise
FR3026049A1 (fr) * 2014-09-24 2016-03-25 Fr D Assainissement Sfa Soc Structure en materiau composite multicouche, son procede de mise en œuvre et article sanitaire ainsi realise
EP3000595A1 (fr) * 2014-09-24 2016-03-30 Société Française d'Assainissement - SFA Structure en matériau composite multicouche, son procédé de mise en oeuvre et article sanitaire ainsi réalisé
CN106175522A (zh) * 2016-07-15 2016-12-07 宣城市欧帝斯卫浴有限公司 浴缸及其制备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240064B2 (en) Curable compositions and their use as coatings and footwear components
KR101998601B1 (ko) 분사 및 롤링 도포용 폴리우레아 수지 도막 방수재
US20070237965A1 (en) Composite parts comprising sprayed polyurethaneureas
JPH11512948A (ja) フッ化ポリウレタン被覆ゴルフボール
KR20170002534A (ko) 폴리우레탄 코팅을 지닌 폴리우레탄 비드 폼
KR20130123362A (ko) 지방족 폴리우레아 코팅, 그의 제조 방법 및 그의 용도
KR101766013B1 (ko) 고탄성 수성 접착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성형품의 표면처리 방법
WO2012145135A1 (en) Polymer coating to cross-link underlying cover
WO2019199713A1 (en) Methods for forming omniphobic thermoset compositions and related articles
KR101471506B1 (ko) 속건경화형 폴리우레탄 도료 조성물
KR20120114302A (ko) 옥외 시설물의 포장면 제조 방법, 그에 이용된 표면 마감 물질, 및 그에 의해 수득되는 옥외 시설물의 포장면
CN107298932A (zh) 涂料组合物和涂膜形成方法
KR100603813B1 (ko) 충격 흡수능 및 미끄럼 방지능이 우수한 폴리우레탄 트랙및 이의 시공방법
EP2069414A1 (en) Spray-applied polyurethaneurea composites based on polyisocyanate prepolymers containing soft-segments
CN109529284A (zh) 将聚氨酯涂料施涂到具有热塑性聚氨酯覆层的高尔夫球上的方法
KR20200014179A (ko) 골프공
KR20140078213A (ko) 물성이 개선된 폴리우레탄 욕조
KR101459029B1 (ko) 폴리우레탄 욕조 및 그 제조방법
US8871848B2 (en) Coating compositions for golf balls and coated golf balls
KR101978686B1 (ko) 폴리하이브리드 방수 공법
KR102120852B1 (ko) 바닥재
KR101325017B1 (ko) 고경도 속경성 폴리우레아 수지 조성물
US20050075450A1 (en) Composite articles having an aesthetic visual surface for use in aqueous environments, and compositions suitable for the preparation thereof
KR101442038B1 (ko) 전처리된 타이어칩을 사용한 탄성 포장재 및 이를 이용한 포장방법
JP4163334B2 (ja) 防滑舗装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