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77730A - 사용자 선호도 기반의 선택적 자막 표시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사용자 선호도 기반의 선택적 자막 표시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77730A
KR20140077730A KR1020120146837A KR20120146837A KR20140077730A KR 20140077730 A KR20140077730 A KR 20140077730A KR 1020120146837 A KR1020120146837 A KR 1020120146837A KR 20120146837 A KR20120146837 A KR 20120146837A KR 20140077730 A KR20140077730 A KR 2014007773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user
subtitle
level
outp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468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전병우
박종빈
박영균
Original Assignee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201468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077730A/ko
Publication of KR201400777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7773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5Management operations performed by the client for facilitating the reception of or the interaction with the content or administrating data related to the end-user or to the client device itself, e.g.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resolving scheduling conflicts
    • H04N21/4508Management of client data or end-user data
    • H04N21/4532Management of client data or end-user data involving end-user characteristics, e.g. viewer profile, preferen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72End-user interface for requesting content, additional data or services; End-user interface for interacting with content, e.g. for content reservation or setting reminders, for requesting event notification, for manipulating displayed content
    • H04N21/4722End-user interface for requesting content, additional data or services; End-user interface for interacting with content, e.g. for content reservation or setting reminders, for requesting event notification, for manipulating displayed content for requesting additional data associated with the cont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88Data services, e.g. news ticker
    • H04N21/4886Data services, e.g. news ticker for displaying a ticker, e.g. scrolling banner for news, stock exchange, weather data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Electrically Operated Instructional Devices (AREA)

Abstract

선택적 자막 표시 방법 및 장치가 제공된다. 선택적 자막 표시 방법은 영상 정보 및 상기 영상 정보와 상응하는 자막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와 상기 영상 정보 및 자막 정보를 시청하는 사용자의 선호 레벨을 결정하는 단계, 상기 결정된 선호 레벨을 기반으로 상기 자막 정보를 처리하여 출력 자막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영상 정보 및 출력 자막 정보를 동기화하여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특히 어학 학습 분야에 있어서 사용자 개개인의 특성을 고려한 수준별 서비스의 제공을 통해 학습 효과를 극대화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사용자 선호도 기반의 선택적 자막 표시 방법 및 장치{METHOD OF DISPLAYING CAPTION BASED ON USER PREFERENCE, AND APPARATUS FOR PERFOMING THE SAME}
본 발명은 선택적 자막 표시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사용자의 특성을 고려하여 선택적으로 자막을 표시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과거에는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자막과 함께 이용하는 경우, 생산자가 만들어 놓은 자막을 소비자가 단방향적으로 이용하는 것이 통상이었다. 비록 자막 정보를 제공하는 방식에 있어서 많은 서비스들이 등장하여 자막에 대한 사전 기능, 자막 정보 제거 등의 기능들이 제공되고 있지만, 여전히 제공되는 서비스들은 각각의 개별 소비자에 대한 고려 없이 단순히 획일화된 정보를 제공하였다.
그러나 정보통신 기술의 발달과 함께 최근에는 사용자들이 멀티미디어 콘텐츠들을 다양한 방법으로 생산, 소비, 전달하는 것이 가능해졌다. 뿐만 아니라 멀티미디어 콘텐츠 소비를 위한 확충된 소비 환경 역시 복잡한 연산을 단시간에 수행할 수 있도록 발전 되었으며, 콘텐츠 소비도구 역시 디지털 텔레비전(DTV), 개인용 컴퓨터(PC), 휴대용 멀티미디어 재생기(PMP), 이동전화기능을 갖는 멀티미디어 기기 등으로 다양해지고 보편화 되었으며, 사용자별 사용가능한 데이터의 양도 더욱 확충되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사용자별로 필요한 수준에 맞게 제공하고 효율적으로 이용하고 감상하기 위한 서비스 기술은 현재까지 기술보다도 여전히 개선의 여지가 많다. 일례로 영어 자막이 있는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영어 학습의 용도로 활용하기 위해서는, 사용자가 자막 정보에 대한 접근성이 있어야 하며, 자막 제공시에 사용자의 어학 수준과 콘덴츠의 활용 용도에 맞게 제공되어야 하여야 하지만, 이는 통상적인 자막 제공 방식이 보편화에 초점을 맞춰 획일화되어 있기에 사용자가 자신의 기호와 용도에 맞게 변경하거나 사용하는 것이 용이하지 않다.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재생하면서 최근 그 중요성이 더욱 증대되고 있는 것이 바로 자막과 같은 문자 정보이다. 자막은 텔레비전,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DMB,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영화관에서의 영화 상영, 컴퓨터 등과 같은 환경에서 영상 정보의 재생 시 필요한 정보이다.
예를 들어, 청각장애 등의 이유로, 음성 신호로는 내용 전달이 어려운 정보를 자막으로 송출하면 정보전달이 가능하다. 그리고 소음이 심하여 소리를 제대로 들을 수 없는 환경에서도 영상신호에 방송 내용 정보를 자막 형태로 삽입하여 송출함으로써 영상 콘텐츠 내용을 사용자들이 전달 받을 수 있게 할 수 있으며, 외국어로 방영되는 영화나 드라마에서 영상 내에 자국어 자막을 삽입함으로써 동시 통역이 없이도 영화의 내용을 파악할 수 있다.
특정한 목적을 위해 자막 정보를 보이게 하려는 경우, 일정 기준에 따라 자막 정보의 일부만을 보이게 하는 경우, 자막 정보를 제공하지 않는 경우 등 자막 정보의 제공 정도에 대한 처리 기술은 여러 가지 이유에서 중요한 특이점을 가진다.
이러한 자막 정보는 멀티미디어 재생 장치에 존재하는 내부 저장 장치에 파일과 같은 형태로 존재할 수도 있으며, 원격지에서 영상 정보를 전송 시 자막정보를 보조 채널 등에 삽입하여 전송할 수도 있다. 통상적으로 이렇게 영상 정보와 분리되어 전송된 자막 정보는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보이게 하거나(ON), 보이지 않게 하는 것(OFF)이 가능하도록 기능이 제공되어 왔다. 또한, 자막이 영상 내에 영상 정보의 일부로써 포함되어 있는 경우에는 문자 인식 기법을 이용하여 영상 내의 문자 영역을 인식하여 해당 부분을 이미지 처리하여 자막 정보를 생성하여 복원하거나 자막 파일을 생성하는 서비스들이 제공되고 있다.
그러나 기존의 텔레비전(TV), 컴퓨터, 그 외 다양한 멀티미디어 재생 장치 등에서는 자막 정보에 별도의 절차를 거쳐 사용자에게 맞춰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은 많은 데이터와 사용자 정보를 요구하는 어려운 과정이었다. 예를 들면, 자막 정보와 연동하여 전자 사전 검색 기능을 제공하기 위해서는 자막 파일로부터 해당 자막 문장과 단어에 대한 색인 서비스가 제공되는 환경에서 하나 또는 다수의 사전 정보를 데이터 베이스로써 이용하여 사전의 의미를 소비자에게 제공하는 것은 가능했지만 사용자의 어학적인 능력을 고려하여 자막을 난이도에 따라 제공함으로써 소비자의 수준에 맞는 자막을 제공함으로써 어학 학습의 효율을 높이려는 일반화된 서비스 제공은 존재하지 않았다.
비록 일부 어학 매체 생산 업체들에 의해 제공되는 어학 영상 매체 및 게임들의 경우, 사용자의 수준 조절도 가능하고, 어학 습득 효율을 위한 소비자와 프로그램 간의 상호 작용 서비스도 제공하고 있지만, 이런 일부 업체에 의한 서비스 제공에는 생산자의 측면에서 획일화된 서비스가 제공될 뿐이며, 제공되는 영상의 수도 제한적이라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자막 정보는 경우에 따라서는 불필요한 정보가 될 수도 있으며, 따라서 제거되어야 할 필요성이 있기도 하다. 예를 들어 외국어 학습을 원하는 소비자 입장에서는 외국어 자막 또는 외국어 자막과 자국어 자막을 이용하는 경우가 다수 존재한다. 하지만 사용자들의 언어 수준 정도에 따라 자막 정보 전체가 필요한 경우, 전문 용어와 같은 부분만 필요한 경우, 영상 장치와 상호작용을 필요로 하는 경우, 자막이 전혀 필요가 없는 경우 등과 같이 다양한 상황이 발생한다.
따라서, 이런 사용자 요구를 반영하기 위해 일부 전문 업체들이 특정 영상에 대해 자막 정보에 영상 처리 알고리듬 및 편집 과정을 거쳐 영상 매체를 제공하려는 노력도 존재한다. 하지만, 이런 방법은 제공할 수 있는 영상 컨텐츠의 제한과 시간적 지연성이 클 수밖에 없어서, 소비자들이 필요로 하는 시기를 놓치는 경우가 자주 발생했고, 제공되는 컨텐츠도 사용자들의 어학 정도를 반영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발생한다.
따라서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멀티미디어 장치에서 자막과 같은 문자 정보를 사용자 개개인의 목적과 수준에 맞게 적용하고, 적용된 사용자 데이터를 기반으로 특정 수준의 자막과 같은 문자 정보를 사용자별로 제공하고, 사용자와의 상호 작용을 통한 자막 정보의 복원 등을 제어하는 선택적 자막 표시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멀티미디어 장치에서 자막과 같은 문자 정보를 사용자 개개인의 목적과 수준에 맞게 적용하고, 적용된 사용자 데이터를 기반으로 특정 수준의 자막과 같은 문자 정보를 사용자별로 제공하고, 사용자와의 상호 작용을 통한 자막 정보의 복원 등을 제어하는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전술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택적 자막 표시 방법은 영상 정보 및 상기 영상 정보와 상응하는 자막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와, 상기 영상 정보 및 자막 정보를 시청하는 사용자의 선호 레벨을 결정하는 단계와, 상기 결정된 사용자의 선호 레벨-여기서, 사용자 선호 레벨은 사용자 어학 능력 레벨, 사용자 학습 성취도 레벨 및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자막 제공 형식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함-에 대한 정보을 기반으로 상기 자막 정보를 처리하여 출력 자막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와, 상기 영상 정보 및 출력 자막 정보를 동기화하여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영상 정보 및 자막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는 자막 정보가 포함된 영상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자막 정보가 포함된 영상 정보로부터 자막 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의 선호 레벨을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의 사용자 정보를 입력받는 단계와, 상기 사용자 선호 레벨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상기 사용자 정보와 상응하는 사용자 선호 레벨을 검색하여 상기 사용자의 선호 레벨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출력 자막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는 어휘별 난이도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와, 상기 어학 능력 레벨 및 상기 어휘별 난이도 정보를 기반으로 각각의 어휘별로 표시 형식을 달리하여 상기 출력 자막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어휘별 난이도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는 웹 서버 또는 저장부로부터 어학 사전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어학 사전 정보에 포함된 어휘별 난이도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어휘별 난이도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와 상호 작용을 통해 생성된 사용자별 난이도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어휘별 난이도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표시 형식은 난이도가 미리 설정한 기준보다 높은 어휘를 빈칸으로 대체하는 형식, 난이도가 미리 설정한 기준보다 높은 어휘를 첫 문자 정보 및 해당 어휘의 문자 개수로 대체하는 형식, 난이도가 미리 설정한 기준보다 높은 어휘를 해당 어휘의 언어와 다른 언어로 변환하여 표시하는 형식, 사용자가 선택한 자막 제공 형식-여기서 사용자가 선택한 자막 제공 형식은 자막의 앞 글자만 보이도록하는 자막 제공 형식 및 자막의 글자들을 하나 건너씩 보이도록하는 자막 제공 형식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함- 중 어느 하나가 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출력된 영상 정보 및 출력 자막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사용자와 상호 작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상호 작용하는 단계는 상기 출력된 출력 자막 정보와 상응하는 입력 정보를 사용자로부터 입력받는 단계와, 상기 입력 정보와 상기 출력 자막 정보의 연관성 정도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호 작용하는 단계는 상기 출력된 출력 자막 정보와 상응하는 입력 정보를 사용자로부터 입력받는 단계; 및 상기 입력 정보와 상기 출력 자막 정보의 연관성 정도를 기반으로 사용자별 어학 능력 레벨 정보, 학습 성취도 레벨 정보 및 사용자가 선택한 자막 제공 형식에 대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에에 따른 선택적 자막 표시 장치는 영상 정보 및 상기 영상 정보와 상응하는 자막 정보를 획득하는 수신부와, 상기 영상 정보 및 자막 정보를 시청하는 사용자의 선호 레벨-여기서, 사용자 선호 레벨은 사용자 어학 능력 레벨, 사용자 학습 성취도 레벨 및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자막 제공 형식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함-을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선호 레벨을 기반으로 상기 자막 정보를 처리하여 출력 자막 정보를 생성하는 제어부와, 상기 영상 정보 및 출력 자막 정보를 동기화하여 출력하는 출력부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수신부는 자막 정보가 포함된 영상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자막 정보가 포함된 영상 정보로부터 자막 정보를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사용자의 사용자 정보를 입력받는 입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 선호 레벨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상기 사용자 정보와 상응하는 사용자 선호 레벨을 검색하여 상기 사용자의 선호 레벨을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어휘별 난이도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어학 능력 레벨 및 상기 어휘별 난이도 정보를 기반으로 각각의 어휘별로 표시 형식을 달리하여 상기 출력 자막 정보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어부는 웹 서버 또는 저장부로부터 어학 사전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어학 사전 정보에 포함된 어휘별 난이도 정보를 획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와 상호 작용을 통해 생성된 사용자별 난이도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어휘별 난이도 정보를 획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표시 형식은 난이도가 미리 설정한 기준보다 높은 어휘를 빈칸으로 대체하는 형식, 난이도가 미리 설정한 기준보다 높은 어휘를 첫 문자 정보 및 해당 어휘의 문자 개수로 대체하는 형식, 난이도가 미리 설정한 기준보다 높은 어휘를 해당 어휘의 언어와 다른 언어로 변환하여 표시하는 형식, 사용자가 선택한 자막 제공 형식-여기서 사용자가 선택한 자막 제공 형식은 자막의 앞 글자만 보이도록하는 자막 제공 형식 및 자막의 글자들을 하나 건너씩 보이도록하는 자막 제공 형식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함- 중 어느 하나가 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출력된 영상 정보 및 출력 자막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사용자와 상호 작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입력부는 상기 출력된 출력 자막 정보와 상응하는 입력 정보를 사용자로부터 입력받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출력부가 상기 입력 정보와 상기 출력 자막 정보의 연관성 정도를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입력부는 상기 출력된 출력 자막 정보와 상응하는 입력 정보를 사용자로부터 입력받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입력 정보와 상기 출력 자막 정보의 연관성 정도를 기반으로 사용자별 선호 레벨 정보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택적 자막 표시 방법 및 장치에 따르면, 컨텐츠를 시청하는 사용자 개개인의 목적이나 수준에 맞추어, 선호도 또는 자막 내용의 난이도를 기반으로 표시되는 단어의 일부를 보이지 않게 하거나 표시 방법을 달리할 수 있다. 즉, 사용자의 사용 기록 및 자막 문자 정보에 대한 히스토리 정보를 이용하여 자막에 대한 사용자의 활용도를 보다 높일 수 있다.
따라서, 특히 어학 학습 분야에 있어서 사용자 개개인의 특성을 고려한 수준별 서비스의 제공을 통해 학습 효과를 극대화시킬 수 있다.
도 1은 통상적인 멀티미디어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택적 자막 표시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3은 도 2의 사용자 선호 레벨 결정 단계(S220)를 사용자의 선호 레벨로서 사용자의 어학 수준에 따른 어학 능력 레벨을 사용자의 선호 레벨로 사용한 경우의 제1 실시예를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4는 도 2의 사용자 선호 레벨 결정 단계(S220)를 사용자의 선호 레벨로서 사용자의 어학 수준에 따른 어학 능력 레벨을 사용자의 선호 레벨로 사용한 경우의 제2 실시예를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5는 사용자의 어학 수준에 따른 어학 능력 레벨을 사용자의 선호 레벨로 사용한 경우의 도 2의 출력 자막 정보 생성 단계(S230)의 상세 흐름도이다.
도 6은 도 2의 출력 자막 정도 생성 단계의 표시 형식의 예시도이다.
도 7은 도 2의 상호 작용 단계의 제 1 상세 흐름도이다.
도 8은 도 2의 상호 작용 단계의 제 2 상세 흐름도이다.
도 9는 도 2의 상호 작용 단계의 결과물의 출력 예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택적 자막 표시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진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전체적인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도면상의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고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통상적인 멀티미디어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상적인 멀티미디어 장치는 영상, 비디오, 음악 등을 감상하게 하는 장치로써, 입력 장치(110), 연산 처리 장치(120), 화면 표시 장치(130), 원격 정보 저장소(140), 정보 관리 장치(150) 및 내부 정보 저장소(160)를 포함할 수 있다. 입력 장치(110)는 통상적으로 사용자로부터 기기의 동작을 실행하기 위한 명령어를 수집하는 역할을 한다. 예를 들어 리모콘, 키보드, 마우스, 터치 인터페이스, 동작인식 기능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입력 장치(110)를 통해 획득된 명령어 정보를 기초로 연산 처리 장치(120)가 필요한 처리를 수행하여 결과가 화면 표시 장치(130)에 표시되는데, 이로써 사용자는 자신이 의도한 바의 진행 상태와 출력결과 등을 확인할 수 있다. 이때 연산 처리 장치(120)는 정보 관리 장치(150)를 통해 기기 내부에 저장된 정보나, 원격지에 저장된 정보에 접근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멀티미디어 장치는 장치 내부의 내부 정보 저장소(160)에 저장된 “영화 A”나, 원격지의 원격 정보 저장소(140)에 저장된 “영화 B”를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화면에 표시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택적 자막 표시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택적 자막 표시 방법은 먼저 영상 정보 및 상기 영상 정보와 상응하는 자막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S210). 상기 영상 정보 및 상기 영상 정보와 상응하는 자막 정보의 존재 위치는 다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영상 정보 및 자막 정보 모두가, 또는 상기 영상 정보 및 자막 정보 중 하나가, 또는 상기 영상 정보 및 자막 정보 중 하나의 일부가 통신망 또는 방송망등을 통해 연결되는 원격지에 존재하거나, 마찬가지로 선택적 자막 표시 방법이 수행되는 장치의 내부에 포함된 저장부에 존재할 수도 있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서 정보의 '수신'이라는 표현은 원격지에서 정보를 가져오는 것 뿐만 아니라, 선택적 자막 표시 방법이 수행되는 장치의 내부에서 정보를 읽어오는 것도 포괄하는 개념으로 사용된다. 마찬가지로 정보의 '송신'이라는 표현도 같은 맥락에서 해석되어야 한다.
여기서, 상기 영상 정보 및 자막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S210)는 자막 정보가 포함된 영상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자막 정보가 포함된 영상 정보로부터 자막 정보를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이에 대한 하나의 실현예로서, 영상과 자막 정보가 분리된 경우는 자막 파일을 읽어오거나 자막 정보가 포함된 콘텐츠 스트림을 수신하는 과정이 상기 자막 정보의 획득 과정이 될 수 있으며, 또 다른 실현예로서, 영상과 자막이 결합된 영상에서 자막을 획득해야 하는 경우에는 영상 내의 자막을 분리, 인식하는 처리 절차를 걸쳐 자막을 획득하는 과정을 포함할 수도 있다.
다시 도 2를 참조하면, 이후 상기 영상 정보 및 자막 정보를 시청하는 사용자의 선호 레벨을 결정할 수 있다(S220).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택적 자막 표시 방법은 상기 영상 정보 및 자막 정보를 시청하는 사용자의 선호 레벨을 결정하여 상기 레벨을 기반으로 표시되는 자막 정보의 표시 형태를 다양화 함으로써 사용자의 선호 레벨에 따른 맞춤형 자막의 제공이 가능하다. 따라서, 보다 효율적으로 자막 정보를 이용한 어학 학습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의 선호 레벨은 예를 들어, 사용자의 수준에 따라 결정된 선호 레벨, 또는 사용자가 직접 자막 제공 형식을 선택하는 방식에 기초하여 결정된 선호 레벨을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의 수준에 따라 결정된 선호 레벨은 예를 들어 사용자의 정보-예를 들어 사용자 ID, TOEIC 'X' 단계등 사용자의 어학 능력 레벨, 사용자의 영어 학습 성취도 레벨등-를 참조하여 사용자의 능력 레벨(또는 사용자 수준)을 결정하여 사용자의 선호 레벨로 결정할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의 능력 레벨은 사용자의 영어 능력(예: TOEIC, TOEFL, 등) 레벨, 중국어 능력 레벨(예: HSK(Hanyu Shuiping Kaoshi))등의 어학 능력 레벨 뿐만 아니라, 어학 학습 장치로 기존에 복수회 학습한 결과 타 사용자 대비 사용자의 학습 성취도 레벨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직접 자막 제공 형식을 선택하는 방식에 기초하여 결정된 사용자 선호 레벨은 예를 들어, 사용자가 자막의 앞 글자만 보이도록 자막 제공 형식을 선택하여 사용자의 선호 레벨을 결정하거나 사용자가 자막의 글자들을 하나 건너씩 보이도록 자막 제공 형식을 선택하여 사용자의 선호 레벨을 결정할 수 있다.
도 3은 도 2의 사용자 선호 레벨 결정 단계(S220)를 사용자의 선호 레벨로서 사용자의 어학 수준에 따른 어학 능력 레벨을 사용자의 선호 레벨로 사용한 경우의 제1 실시예를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3을 참조하여 상기 사용자 선호 레벨 결정 단계(S220)의 제 1 실시예를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어학 능력 레벨을 사용한 사용자 선호 레벨결정 단계(S220)는 상기 사용자의 사용자 정보를 입력받고(S221) 상기 입력받은 사용자 정보를 서버로 송신하여(S222), 상기 서버의 어학 능력 레벨 데이터베이스에서 상기 개인 정보와 상응하는 어학 능력 레벨을 검색하여 상기 레벨 정보를 수신(S223)할 수 있다. 이후 상기 수신한 레벨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사용자의 어학 능력 레벨을 결정할 수 있다(S224). 여기서, 서버는 선택적 자막 표시 방법이 수행되는 장치와 물리적으로 떨어진 원격지에 존재하거나, 또는 같은 시스템에 일종의 데이터베이스 형태로 존재할 수도 있다. 또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상기 사용자의 사용자 정보를 입력받지 않고, 기존에 이미 저장된 저장된 사용자의 정보에 해당하는 설정을 로드하여 서버로 전송할 수도 있다.
즉, 본 발명에 의한 사용자별 자막 제공 수준을 판단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 사항에 대한 일 실시 예로서, 사용자의 개인 정보와 서버 간의 연결을 통한 사용자 어학 수준 결정에 대한 예시이다. 여기서, 본 발명은 사용자 입력 방법, 서버의 종류, 송수신 방법에 대해서 종래의 방법으로만 한정하지 않으며, 공인 인증서나 개인 정보 카드, 개인 음성이나 안구 인식 등을 통해 사용자의 정보를 얻을 수 있는 방법 등 다양한 방법이 적용될 수 있다.
도 4는 도 2의 사용자 선호 레벨 결정 단계(S220)를 사용자의 선호 레벨로서 사용자의 어학 수준에 따른 어학 능력 레벨을 사용자의 선호 레벨로 사용한 경우의 제2 실시예를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4를 참조하여 상기 사용자 선호 레벨 결정 단계(S220)의 제 2 실시예를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사용자 선호 레벨 결정 단계(S220)는 상기 사용자의 사용자 정보를 입력받고(S221-1), 상기 입력 정보에 해당하는 설정을 로드하여(S222-2), 상기 로드한 설정을 기반으로 상기 사용자의 어학 능력 레벨을 결정할 수 있다(S223-3). 여기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사용자의 어학 능력외 사용자의 학습 성취도 레벨을 상기 사용자 정보에 기초하여 결정할 수도 있다. 또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사용자의 정보를 직접 입력받지 않는 방식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사용자의 사용자 정보를 입력받는 단계(S221-1)를 생략하고 단계 S222-2에서 기존에 이미 저장된 저장된 사용자의 정보에 해당하는 설정을 로드할 수도 있다.
또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상기 사용자의 사용자 정보를 입력받는 단계(S221-1)를 생략하고, 사용자의 의해 지정된 자막 제공 형식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선호 레벨을 결정할 수도 있다. 상기 사용자에 의한 지정은 어학 학습 장치등을 통한 사용자의 직접적인 입력에 의해 지정될 수도 있고 또는 사용자의 직접적인 입력없이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사용자가 미리 정해진 복수의 자막 제공 형식들 중에서 원하는 자막 제공 형식을 선택하는 방식에 의해 지정될 수도 있으며, 또는 사용자의 직접적인 입력없이 미리 정해진 복수의 자막 제공 형식들 중에서 디폴트(defualt)로 정해진 제공 형식으로 지정될 수도 있다.
즉, 도 4는 개인 정보를 요구하지 않고, 사용자가 제공될 어학 서비스 수준을 직접 선택하는 방법으로 사용자 어학 수준을 결정하는 방법의 예시이다. 마찬가지로, 사용자 입력을 통한 어학 수준 설정 방법은 종래의 방법으로만 한정되지 않으며, 키보드, 또는 마우스, 또는 리모콘 입력 등으로만으로도 한정되지 않는다.
다시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결정된 어학 능력 레벨을 기반으로 상기 자막 정보를 처리하여 출력 자막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S230). 즉, 상기 사용자의 어학 능력 레벨 결정 과정을 종료한 후, 자막과 같은 문자 정보를 사용자 수준 설정 정보를 이용하여 재구성하여, 실제로 출력될 자막에 관한 정보인 출력 자막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의 어학 능력 레벨에 맞추어서 수신된 자막 정보를 처리함으로써, 사용자의 어학 능력을 기반으로 판단할 때 다소 어려울 수 있는 어휘가 자막에 포함되면 상기 어려운 어휘가 자막으로 표시되지 않는 방법 또는 이와 반대로 자막으로 표시되도록 하는 방법 등을 통해 사용자의 어학 학습에 효과적인 자막을 출력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출력 자막 정보'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택적 자막 표시 방법에서 출력되는 자막에 관한 정보를 나타낼 수 있다.
도 5는 사용자의 어학 수준에 따른 어학 능력 레벨을 사용자의 선호 레벨로 사용한 경우의 도 2의 출력 자막 정보 생성 단계(S230)의 상세 흐름도이다. 도 5를 참조하여 상기 출력 자막 정보 생성 단계(S230)를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출력 자막 정보 생성 단계(S230)는 먼저 어휘별 난이도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S231).
여기서, 상기 어휘별 난이도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S231)는 웹 서버 또는 저장부로부터 어학 사전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어학 사전 정보에 포함된 어휘별 난이도 정보를 획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사용자 수준에 맞는 자막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데이터 베이스가 될 어학 사전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일례로 광범위한 정보를 가지고 있는 Google, Naver와 같은 웹 서버와의 연결을 통해 영영, 영한, 한영 사전 등과 같은 정보를 수신받아 사용하거나, 영상 기기 자체에 다양한 어학 사전 정보를 내장함으로써 기기 자체의 정보를 참조하는 형식으로 사전 정보를 획득하는 방법이 있을 수 있다. 상기 어학 사전 정보를 획득하는 과정 후에는 사전에서 단어별 난이도 정보를 읽어들여 분리하는 과정이 포함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어학 사전의 경우, 수록된 단어별로 중요도 또는 단어의 사용 빈도 등의 정보를 포함하고 있다. 일례로, oxford 어학 사전에 수록되어 있는 단어들의 앞에는 ‘*’의 개수로 해당 단어의 중요도를 표시하고 있다. 이런 정보를 인식하는 방법을 통해 상기 어휘별 난이도 정보를 획득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어휘별 난이도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S231)는 상기 사용자와 상호 작용을 통해 생성된 사용자별 난이도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어휘별 난이도 정보를 획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일례로 트레이닝 과정으로써 나오는 단어들을 저장하는 방법으로 의미 또는 해설은 없고 단순히 그 단어 철자만을 가지고 있는 형태의 단어사전을 만들어 가는 방법이 사용될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가 난이도를 지정하여 제외하기를 원하는 단어들을 제외시켜 가며 나머지를 모아가도록 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은 트레이닝 과정을 통해 사용자가 선택한 횟수가 높은 단어의 난이도를 상향 조절하고, 제외한 횟수가 높은 단어의 난이도를 하향 조절하여 상기 트레이닝 데이터를 저장하는 방식으로, 사용자와의 상호 작용을 통해 생성된 사용자별 난이도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생성된 사용자별 난이도 정보를 기반으로 어휘별 난이도 정보를 획득할 경우, 보다 사용자 적응형 어학 학습 서비스의 제공이 가능하다.
상기 언급된 정보 인식 방법으로는 서버로부터 직접적인 해당 정보를 수신하는 방법, 트레이닝 방법을 통한 사용자별 정보 처리 방법 등이 적용될 수 있으나, 동일한 목적을 위한 다양한 다른 방법이 적용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다시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어학 능력 레벨 및 상기 어휘별 난이도 정보를 기반으로 각각의 어휘별로 표시 형식을 달리하여 상기 출력 자막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S233). 예를 들면, 상기 사용자 어학 수준 정보와 상기 어학 사전의 단어별 난이도 정보를 이용하여 본래의 자막 정보에서 표시될 정보와 표시하지 않을 자막을 판단하는 과정이 추가로 수행될 수 있다. 일례로써, 사용자 어학 수준을 상, 중, 하의 세 단계로 나눈 경우와 어학 사전에서 판별한 단어의 난이도가 0~9의 10단계로 나뉜 경우에 어학 사전에서 0~4 수준의 단어는 사용자 어학 수준 ‘하’의 사용자에게는 없어도 되는 문자 정보로 판단할 수 있다. 여기서 난이도는 일반 어학사전에서 제시된 상중하 같은 등급을 사용할 수 있지만, 외부 사전 정보 없이 사용자 스스로 등급을 지정하거나 사용자가 반복해 듣는 것처럼 사용자 청취 패턴 정보로부터 스스로 학습하여 자체적으로 얻어진 통계로부터 난이도가 스스로 학습 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출력 자막 정보 생성 단계(S230)의 상기 표시 형식은 난이도가 미리 설정한 기준보다 높은 어휘를 빈칸으로 대체하는 형식, 난이도가 미리 설정한 기준보다 높은 어휘를 첫 문자 정보 및 해당 어휘의 문자 개수로 대체하는 형식 및 난이도가 미리 설정한 기준보다 높은 어휘를 해당 어휘의 언어와 다른 언어로 변환하여 표시하는 형식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사용자의 학습 성취도 레벨을 상기 사용자 정보에 기초하여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사용자의 학습 성취도 레벨에 따라 출력 자막 정보를 생성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도 5의 단계 S231 및 S233의 경우 사용자가 직접 자막 제공 형식을 선택하는 방식으로 사용자의 선호 레벨을 결정하는 경우 하기와 같이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자막의 앞 글자만 보이도록 자막 제공 형식을 선택하여 상기 선택된 자막 제공 형식에 따라 출력 자막 정보를 생성하거나 사용자가 자막의 글자들을 하나 건너씩 보이도록 자막 제공 형식을 선택하여 상기 선택된 자막 제공 형식에 따라 출력 자막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도 6은 도 2의 출력 자막 정도 생성 단계(S230)의 표시 형식의 예시도이다. 도 6을 참조하여 상기 표시 형식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 표시 형식은 상기 사용자의 능력 레벨(어학 능력 레벨 또는 학습 능력 레벨), 어휘별 난이도 정보, 또는 사용자가 직접 자막 제공 형식을 선택 또는 설정하는 방식을 고려하여 판단된 제공될 자막 정보 수준에 따라 본래의 자막 정보를 선택적으로 표시하기 위한 형식을 나타낸다. 일례로, 도 6의 (실현예 1)과 같이 일부 난이도가 높은 단어들에 대해서는 해당 단어에 대한 문자 정보를 빈칸으로 대체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해 주는 경우가 있을 수 있다.
또는, 사용자의 선택 또는 설정 여하에 따라 도 6의 (실현예 2)와 같이 해당 단어의 첫 문자 정보와 해당 단어의 문자 개수를 본래 단어의 위치에 대체하여 표시하는 경우도 있을 수 있다. 이러한 예들은 도 6의 (실현예3)과 같이 여러 가지 다른 형태의 자막 표시 방식으로 대체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할 것이다.
또한 난이도에 따라 선택적으로 자막 단어를 안보이게 할 수도 잇지만, 어떤 랜덤한 패턴으로 자막의 일부분을 보이지 않게 하거나, 자막 문장의 제일 앞 부분을 출력되지 않도록 하거나, 또는 뒷부분만 출력되지 않도록 할 수 있으며, 중간 부분만을 출력되지 않도록 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전술한 사용자별 어학 능력 레벨 정보나 어휘별 난이도 정보 등을 필요로 하지 않고 구성되도록 할 수 있다.
자막 문장이 한 줄 이상이 될 경우, 각 라인별로 전술한 처리를 할 수 있고 문장 전체로 전술한 처리를 할 수도 있다. 또한 자막이 제거된 곳에 밑줄을 치거나 빈칸임을 나타내는 박스를 치거나, 또는 다른 방법으로 빈칸임을 표시하는 여타의 방법을 사용할 수도 있다. 또한, 외부 사전 정보와 연계된 경우, 그 외국어 단어 자체를 안 보 이게 하고 그 자리에 그에 해당하는 번역어를 제시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다시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영상 정보 및 출력 자막 정보를 동기화하여 출력할 수 있다(S240). 상기 영상 정보 및 자막 정보 획득 단계(S210)에서 획득한 영상 정보 및 상기 출력 자막 정보 생성 단계(S230)에서 획득한 출력 자막 정보를 상호 동기화하여, 적절한 시각에 상기 출력 자막 정보가 상기 영상 정보와 함께 출력되도록 할 수 있다.
즉, 사용자 선호 레벨에 맞춘 선별적인 자막 정보(일부 또는 전체)를 재구성하여 출력 자막 정보가 생성된 후에는, 상기 출력 자막 정보와 본래의 멀티미디어 영상 정보가 결합되어 사용자에게 제공되어야 한다. 이 과정은 재구성된 자막 정보와 영상 정보간의 동기를 맞추는 과정, 자막에 의한 영상의 인덱스 재구성, 재구성된 자막 정보의 실시간성을 확보하기 위한 영상 정보의 시간상의 조절 과정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자막이 영상 정보에 포함된 경우, 이전 과정에서 문자 인식 과정을 거쳐 자막 정보를 재구성하여 제공하는 경우에는 영상 정보의 수정 과정 등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출력 자막 정보와 상기 영상 정보를 동기화함에 있어서, 사용자의 상기 사용자의 능력 레벨(어학 능력 레벨 또는 학습 능력 레벨), 어휘별 난이도 정보, 또는 사용자가 직접 자막 제공 형식을 선택 또는 설정하는 방식을 기반으로, 상기 자막 정보에 포함된 자막과 상응하는 영상 정보의 장면 간에 시간차를 두어 자막을 조금 먼저 보이게 한 후 그 해당 장면을 제시하도록 하거나, 거꾸로 해당 장면을 먼저 제시한 후 이에 대한 자막을 조금 후에 보이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사용자로 하여금 영상 정보를 기반으로 자막 정보를 유추하도록 함으로써 어학 학습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어떤 경우가 되더라도 전술한 다양한 방법으로 자막의 일부 또는 전부를 보이게 하거나 가리도록 하거나 다른 것으로 대체하도록 하는 각 실현 예가 함께 적용될 수 있다.
다시 도 2를 참조하면, 이후 상기 출력된 영상 정보 및 출력 자막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사용자와 상호 작용할 수 있다(S250). 상기 사용자 선호 레벨에 따른 선별적인 자막 정보 서비스가 제공된 뒤에는 사용자와 상호 작용을 통한 추가적인 자막 처리 과정이 진행될 수 있다.
도 7은 도 2의 상호 작용 단계의 제 1 상세 흐름도이고, 도 8은 도 2의 상호 작용 단계의 제 2 상세 흐름도이다. 도 7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상기 상호 작용 단계(S250)의 제 1 실시예 및 제 2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 상호 작용 단계(S250)는 먼저 상기 출력된 출력 자막 정보와 상응하는 입력 정보를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을 수 있다(S251). 즉, 상기 재구성된 자막 정보와 영상 정보가 사용자에게 제공되고 있는 과정에서 사용자의 입력을 요구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사용자의 상기 입력 정보가 의미하는 바는, 사용자의 리모콘, 키보드, 마우스, 음성 및/또는 터치 등의 입력이 될 수 있다. 사용자 입력 정보를 요구하는 경우는 사용자의 기호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며, 사용자가 입력을 하지 않는 경우에는 사용자가 상기 과정을 필요로 하지 않거나 이용하더라도 확인을 요하지 않는 등의 경우로 고려될 수 있다.
이후, 상기 입력 정보와 상기 출력 자막 정보의 연관성 정도를 출력하거나(S253), 상기 입력 정보와 상기 출력 자막 정보의 연관성 정도를 기반으로 사용자별 어학 능력 레벨 정보 또는 학습 성취도 레벨 정보등을 포함하는 사용자 능력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S253-1). 사용자에 의해 상기 입력 정보의 입력이 종료된 시점에서 상기 입력과 상기 출력 자막 정보를 비교 및 분석하는 과정이 수행될 수 있다. 일례로, 외국 영상을 통한 어학 학습 중에 영상을 통해 제공되는 인물들의 대사와 같은 오디오 정보를 이용해 제공된 자막 정보 중 빈 곳(제공되지 않은 정보)의 정보를 맞추고자 하는 경우에 사용자의 입력(리모콘, 음성, 키보드, 마우스 등등)과 본래의 자막 정보와 비교 및 분석 절차를 통해 사용자의 입력 정보와 본래 자막 정보의 일치 비율을 계산할 수 있다. 이 분석한 결과는 자막 정보의 철자, 어학적인 문법, 사용자 발음에 대한 정확도 등등 어학적 능력 수준 또는 사용자 학습 성취도 수준을 판별하는 다양한 기준이 적용될 수 있다.
상기 과정을 거쳐 분석된 결과는 추후에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다시 제공되기 위해 보존 또는 기록되어야 할 필요성이 존재한다. 이를 통해, 사용자의 어학 수준 또는 학습 성취도 수준의 지속적인 관찰과 기록된 사용자의 수준 정보를 통해 적합한 서비스가 제공될 수 있기 때문이다. 상기와 같은 보존 또는 기록된 분석 결과를 기반으로 사용자별 어학 능력 레벨 정보 또는 사용자 학습 성취도 레벨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S253-1). 상기 기록, 보전될 사용 정보는 상기 서버와 같은 데이터베이스에 기록되거나 사용자의 영상 기기에 저장될 수 있으나, 기록 매체는 단순히 상기 언급된 방법만으로 제한되지 않는다.
도 9는 도 2의 상호 작용 단계의 결과물의 출력 예시도이다. 도 9를 참조하여 상기 입력 정보와 상기 출력 자막 정보의 연관성 정도를 출력하는 단계(S253)를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입력한 정보와 본래 자막의 정보가 일치하는 경우에 제공되지 않았던 본래 자막의 일부를 빨간색으로 표시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의 정보가 일치하지 않았던 자막 정보에 대해서는 파랑색으로 표시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함으로써, 사용자가 스스로 본인의 수준에 대한 판단을 할 수 있도록 도움을 준다. 상기 언급한 처리 결과의 제공 과정의 방식은 상기 예로만 한정되지 않으며, 다양하고 효과적인 방법으로 대체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전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택적 자막 표시 방법과 그 절차상의 방법들은 적절한 사용자 인터페이스와 함께 표시함으로써 사용자에게 더욱 직관적이고 효율적인 자막 정보 제공을 가능케 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택적 자막 표시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선택적 자막 표시 장치는 수신부(1010), 제어부(1020), 출력부(1030), 입력부(1040) 및 저장부(1050)를 포함할 수 있다.
수신부(1010)는 영상 정보 및 상기 영상 정보와 상응하는 자막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수신부(1010)는 자막 정보가 포함된 영상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자막 정보가 포함된 영상 정보로부터 자막 정보를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이에 대한 하나의 실현예로서, 영상과 자막 정보가 분리된 경우는 자막 파일을 읽어오거나 자막 정보가 포함된 콘텐츠 스트림을 수신하는 과정이 상기 자막 정보의 획득 과정이 될 수 있으며, 또 다른 실현예로서, 영상과 자막이 결합된 영상에서 자막을 획득해야 하는 경우에는 영상 내의 자막을 분리, 인식하는 처리 절차를 걸쳐 자막을 획득할 수 있다.
입력부(1040)는 상기 사용자의 사용자 정보를 입력받을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입력부(1040)는 사용자의 입력을 받아 사용자의 선호 레벨 정보 또는 선호 수준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사용자와의 상호 작용을 위한 사용자의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제어부(1020)는 상기 영상 정보 및 자막 정보를 시청하는 사용자의 선호 레벨을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선호 레벨을 기반으로 상기 자막 정보를 처리하여 출력 자막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1020)는 어학 능력 레벨 데이터베이스와 같은 사용자 선호 레벨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상기 사용자 정보와 상응하는 어학 능력 레벨, 학습 성취도 레벨 및/또는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자막 제공 형식등을 포함하는 사용자 선호 레벨을 검색하여 상기 사용자의 어학 능력 레벨, 학습 성취도 레벨, 및/또는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자막 제공 형식등과 같은 사용자 선호 레벨을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1020)는 어휘별 난이도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어학 능력 레벨 및 상기 어휘별 난이도 정보를 기반으로 각각의 어휘별로 표시 형식을 달리하여 상기 출력 자막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어부(1020)는 웹 서버 또는 로컬 저장부(1050)로부터 어학 사전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어학 사전 정보에 포함된 어휘별 난이도 정보를 획득할 수도 있다. 또는, 제어부(1020)는 상기 사용자와 상호 작용을 통해 생성된 사용자별 난이도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어휘별 난이도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1020)는 사용자 학습 성취도 레벨 정보, 사용자가 선택한 자막 제공 형식에 대한 정보 및/또는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자막 제공 형식에 대한 정보등을 획득하고 상기 사용자 학습 성취도 레벨 정보, 사용자가 선택한 자막 제공 형식에 대한 정보, 및/또는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자막 제공 형식에 대한 정보등을 기반으로 상기 출력 자막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여기서, 예를 들어, 상기 표시 형식은 난이도가 미리 설정한 기준보다 높은 어휘를 빈칸으로 대체하는 형식, 난이도가 미리 설정한 기준보다 높은 어휘를 첫 문자 정보 및 해당 어휘의 문자 개수로 대체하는 형식 및 난이도가 미리 설정한 기준보다 높은 어휘를 해당 어휘의 언어와 다른 언어로 변환하여 표시하는 형식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상기 표시 형식은 사용자가 선택한 자막 제공 형식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자막의 앞 글자만 보이도록 자막을 표시하는 형식, 또는 자막의 글자들을 하나 건너씩 보이도록 자막을 표시하는 형식등을 포함하여 사용자가 미리 지정한 다양한 표시 형식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어부(120)는 상기 출력된 영상 정보 및 출력 자막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사용자와 상호 작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입력부(1040)는 상기 출력된 출력 자막 정보와 상응하는 입력 정보를 사용자로부터 입력받고, 상기 제어부(1020)는 출력부(1030)가 상기 입력 정보와 상기 출력 자막 정보의 연관성 정도를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입력부(1040)는 상기 출력된 출력 자막 정보와 상응하는 입력 정보를 사용자로부터 입력받고, 상기 제어부(1020)는 상기 입력 정보와 상기 출력 자막 정보의 연관성 정도를 기반으로 사용자별 어학 능력 레벨 정보, 학습 성취도 레벨 정보, 및/또는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자막 제공 형식에 대한 정보등을 포함하는 사용자 선호 레벨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출력부(1030)는 상기 영상 정보 및 출력 자막 정보를 동기화하여 출력할 수 있다.

Claims (21)

  1. 영상 정보 및 상기 영상 정보와 상응하는 자막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영상 정보 및 자막 정보를 시청하는 사용자의 선호 레벨을 결정하는 단계;
    상기 결정된 사용자의 선호 레벨-여기서, 사용자 선호 레벨은 사용자 어학 능력 레벨, 사용자 학습 성취도 레벨 및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자막 제공 형식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함-에 대한 정보을 기반으로 상기 자막 정보를 처리하여 출력 자막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영상 정보 및 출력 자막 정보를 동기화하여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선택적 자막 표시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정보 및 자막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는
    자막 정보가 포함된 영상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자막 정보가 포함된 영상 정보로부터 자막 정보를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택적 자막 표시 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의 선호 레벨을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의 사용자 정보를 입력받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 선호 레벨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상기 사용자 정보와 상응하는 사용자 선호 레벨을 검색하여 상기 사용자의 선호 레벨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택적 자막 표시 방법.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의 선호 레벨을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의 의해 지정된 자막 제공 형식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의 선호 레벨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택적 자막 표시 방법.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 자막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는
    어휘별 난이도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어학 능력 레벨 및 상기 어휘별 난이도 정보를 기반으로 각각의 어휘별로 표시 형식을 달리하여 상기 출력 자막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택적 자막 표시 방법.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어휘별 난이도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는
    웹 서버 또는 저장부로부터 어학 사전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어학 사전 정보에 포함된 어휘별 난이도 정보를 획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택적 자막 표시 방법.
  7.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어휘별 난이도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와 상호 작용을 통해 생성된 사용자별 난이도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어휘별 난이도 정보를 획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택적 자막 표시 방법.
  8.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형식은
    난이도가 미리 설정한 기준보다 높은 어휘를 빈칸으로 대체하는 형식, 난이도가 미리 설정한 기준보다 높은 어휘를 첫 문자 정보 및 해당 어휘의 문자 개수로 대체하는 형식, 난이도가 미리 설정한 기준보다 높은 어휘를 해당 어휘의 언어와 다른 언어로 변환하여 표시하는 형식, 사용자가 선택한 자막 제공 형식-여기서 사용자가 선택한 자막 제공 형식은 자막의 앞 글자만 보이도록하는 자막 제공 형식 및 자막의 글자들을 하나 건너씩 보이도록하는 자막 제공 형식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함-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택적 자막 표시 방법.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된 영상 정보 및 출력 자막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사용자와 상호 작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택적 자막 표시 방법.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상호 작용하는 단계는
    상기 출력된 출력 자막 정보와 상응하는 입력 정보를 사용자로부터 입력받는 단계; 및
    상기 입력 정보와 상기 출력 자막 정보의 연관성 정도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택적 자막 표시 방법.
  11.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상호 작용하는 단계는
    상기 출력된 출력 자막 정보와 상응하는 입력 정보를 사용자로부터 입력받는 단계; 및
    상기 입력 정보와 상기 출력 자막 정보의 연관성 정도를 기반으로 사용자별 어학 능력 레벨 정보, 학습 성취도 레벨 정보 및 사용자가 선택한 자막 제공 형식에 대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택적 자막 표시 방법.
  12. 영상 정보 및 상기 영상 정보와 상응하는 자막 정보를 획득하는 수신부;
    상기 영상 정보 및 자막 정보를 시청하는 사용자의 선호 레벨-여기서, 사용자 선호 레벨은 사용자 어학 능력 레벨, 사용자 학습 성취도 레벨 및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자막 제공 형식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함-을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선호 레벨을 기반으로 상기 자막 정보를 처리하여 출력 자막 정보를 생성하는 제어부; 및
    상기 영상 정보 및 출력 자막 정보를 동기화하여 출력하는 출력부를 포함하는 선택적 자막 표시 장치.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부는
    자막 정보가 포함된 영상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자막 정보가 포함된 영상 정보로부터 자막 정보를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택적 자막 표시 장치.
  14.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의 사용자 정보를 입력받는 입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 선호 레벨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상기 사용자 정보와 상응하는 사용자 선호 레벨을 검색하여 상기 사용자의 선호 레벨을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택적 자막 표시 장치.
  15.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어휘별 난이도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어학 능력 레벨 및 상기 어휘별 난이도 정보를 기반으로 각각의 어휘별로 표시 형식을 달리하여 상기 출력 자막 정보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택적 자막 표시 장치.
  16.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웹 서버 또는 저장부로부터 어학 사전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어학 사전 정보에 포함된 어휘별 난이도 정보를 획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택적 자막 표시 장치.
  17.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와 상호 작용을 통해 생성된 사용자별 난이도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어휘별 난이도 정보를 획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택적 자막 표시 장치.
  18.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형식은
    난이도가 미리 설정한 기준보다 높은 어휘를 빈칸으로 대체하는 형식, 난이도가 미리 설정한 기준보다 높은 어휘를 첫 문자 정보 및 해당 어휘의 문자 개수로 대체하는 형식, 난이도가 미리 설정한 기준보다 높은 어휘를 해당 어휘의 언어와 다른 언어로 변환하여 표시하는 형식, 사용자가 선택한 자막 제공 형식-여기서 사용자가 선택한 자막 제공 형식은 자막의 앞 글자만 보이도록하는 자막 제공 형식 및 자막의 글자들을 하나 건너씩 보이도록하는 자막 제공 형식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함-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택적 자막 표시 장치.
  19.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출력된 영상 정보 및 출력 자막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사용자와 상호 작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택적 자막 표시 장치.
  20. 제 19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부는 상기 출력된 출력 자막 정보와 상응하는 입력 정보를 사용자로부터 입력받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출력부가 상기 입력 정보와 상기 출력 자막 정보의 연관성 정도를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택적 자막 표시 장치.
  21. 제 19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부는 상기 출력된 출력 자막 정보와 상응하는 입력 정보를 사용자로부터 입력받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입력 정보와 상기 출력 자막 정보의 연관성 정도를 기반으로 사용자별 선호 레벨 정보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택적 자막 표시 장치.


KR1020120146837A 2012-12-14 2012-12-14 사용자 선호도 기반의 선택적 자막 표시 방법 및 장치 KR2014007773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46837A KR20140077730A (ko) 2012-12-14 2012-12-14 사용자 선호도 기반의 선택적 자막 표시 방법 및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46837A KR20140077730A (ko) 2012-12-14 2012-12-14 사용자 선호도 기반의 선택적 자막 표시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77730A true KR20140077730A (ko) 2014-06-24

Family

ID=511295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46837A KR20140077730A (ko) 2012-12-14 2012-12-14 사용자 선호도 기반의 선택적 자막 표시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077730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212564A1 (ko) * 2017-05-16 2018-11-22 최파비아 외국어 학습 시스템
KR102002914B1 (ko) * 2018-01-30 2019-07-23 한종현 학습부진 학습자를 위한 학습 서비스 제공 시스템
WO2023022316A1 (ko) * 2021-08-16 2023-02-23 박봉래 외국어 동영상의 자막 필터링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시스템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212564A1 (ko) * 2017-05-16 2018-11-22 최파비아 외국어 학습 시스템
KR20180125797A (ko) * 2017-05-16 2018-11-26 최파비아 외국어 학습 시스템
KR102002914B1 (ko) * 2018-01-30 2019-07-23 한종현 학습부진 학습자를 위한 학습 서비스 제공 시스템
WO2023022316A1 (ko) * 2021-08-16 2023-02-23 박봉래 외국어 동영상의 자막 필터링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Gambier Introduction: Screen transadaptation: Perception and reception
JP3953886B2 (ja) 字幕抽出装置
US9576581B2 (en) Metatagging of captions
JP4127668B2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US8341673B2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method as well as software program
US9661381B2 (en) Using an audio stream to identify metadata associated with a currently playing television program
JP2005504395A (ja) マルチリンガルトランスクリプションシステム
JP2007150724A (ja) 映像視聴支援システムおよび方法
JP2007166363A (ja) 情報処理装置および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KR20060087144A (ko) 멀티미디어 재생장치와 이를 이용한 멀티미디어 자료검색방법
JP5202217B2 (ja) 放送コンテンツから時事性のあるキーワードを抽出する放送受信装置及びプログラム
KR20140077730A (ko) 사용자 선호도 기반의 선택적 자막 표시 방법 및 장치
RU2316134C2 (ru) Устройство и способ для обработки текстов в приемнике цифрового вещания
JP2008227909A (ja) 映像検索装置
JP2006337490A (ja) コンテンツ配信システム
JP2008252322A (ja) 要約提示装置及び要約提示方法
EP1463059A2 (en) Recording and reproduction apparatus
JP3998187B2 (ja) コンテンツ解説データ生成装置、その方法及びそのプログラム、並びに、コンテンツ解説データ提示装置、その方法及びそのプログラム
JP2006054517A (ja) 情報提示装置、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09212860A (ja) コンテンツ再生装置、コンテンツ再生方法、コンテンツ再生システム、コンテンツ再生プログラムおよび該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記録媒体
WO2017152935A1 (en) Image display device with synchronous audio and subtitle content generation function
KR100907216B1 (ko) 자막정보를 이용한 영상 제어 장치 및 방법
KR20130089992A (ko) 미디어 컨텐츠 제공 방법 및 장치
KR101592944B1 (ko) 자막 단어 검색 장치 및 방법
JP2006033562A (ja) 擬声語受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