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77102A - Method for producing polarizing plate - Google Patents

Method for producing polarizing plat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77102A
KR20140077102A KR1020130136755A KR20130136755A KR20140077102A KR 20140077102 A KR20140077102 A KR 20140077102A KR 1020130136755 A KR1020130136755 A KR 1020130136755A KR 20130136755 A KR20130136755 A KR 20130136755A KR 20140077102 A KR20140077102 A KR 2014007710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ll
hardness
film
transparent protective
polarizing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36755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050607B1 (en
Inventor
데츠로우 다케다
미에 나카타
?스케 무라야마
도모히로 야마시타
Original Assignee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400771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77102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506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50607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30Polarising elements
    • G02B5/3025Polarisers, i.e. arrangements capable of producing a definite output polarisation state from an unpolarised input state
    • G02B5/3033Polarisers, i.e. arrangements capable of producing a definite output polarisation state from an unpolarised input state in the form of a thin sheet or foil, e.g. Polaroid
    • G02B5/3041Polarisers, i.e. arrangements capable of producing a definite output polarisation state from an unpolarised input state in the form of a thin sheet or foil, e.g. Polaroid comprising multiple thin layers, e.g. multilayer stacks
    • G02B5/305Polarisers, i.e. arrangements capable of producing a definite output polarisation state from an unpolarised input state in the form of a thin sheet or foil, e.g. Polaroid comprising multiple thin layers, e.g. multilayer stacks including organic materials, e.g. polymeric lay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55/00Shaping by stretching, e.g. drawing through a die; Apparatus therefor
    • B29C55/02Shaping by stretching, e.g. drawing through a die; Apparatus therefor of plates or sheets
    • B29C55/18Shaping by stretching, e.g. drawing through a die; Apparatus therefor of plates or sheets by squeezing between surfaces, e.g. roll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0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27/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5/00Manufacture of articles or shaped materials contain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5/18Manufacture of films or sheet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00Opti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which they are made; Optical coatings for optical elements
    • G02B1/04Opti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which they are made; Optical coatings for optical elements made of organic materials, e.g. plastic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528Polarise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olarising Elements (AREA)
  • Liquid Crystal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of producing a polarizing plate for attaching a transparent protective film to both surfaces of a polarizer between a pair of rolls and is to provide the method of producing the polarizing plate capable of suppressing a curl. The method of producing the polarizing plate comprises the steps of interposing a first transparent protective film, a second transparent protective film, and an adhesive layer which have different elasticity defined as a value of a modulus (Mpa)× thickness (μm) on both sides of the polarizer; passing between the rolls having a pair of different roll slopes simultaneously and being combined; returning a high elasticity film from a low sloe roll side between the pair of the rolls; and returning a low elasticity film from a high slope roll side.

Description

편광판의 제조 방법{METHOD FOR PRODUCING POLARIZING PLATE}METHOD FOR PRODUCING POLARIZING PLATE [0002]

본 발명은, 편광자의 양면에 제 1 및 제 2 투명 보호 필름을 접착층을 개재하여 첩합 (貼合) 하는 편광판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of manufacturing a polarizing plate in which first and second transparent protective films are bonded to both surfaces of a polarizer with an adhesive layer interposed therebetween.

종래부터, 소정의 수분율을 갖는 편광자의 양면에 투명 보호 필름을 첩합하여 편광판을 제조함에 있어서는, 통상적으로, 수계 접착제 또는 점착제가 사용되고 있다. 편광자의 양면에 투명 보호 필름을 첩합하는 방법으로는, 예를 들어 1 쌍의 롤 사이에 편광자를 반송함과 함께 그 양면에 투명 보호 필름을 반송하여 투명 보호 필름을 동시에 첩합하는 동시 라미네이트법, 1 쌍의 롤 사이에 편광자를 반송함과 함께 그 편면에 투명 보호 필름을 반송하여 첩합한 후, 이어서, 편광자의 다른 편면에 투명 보호 필름을 첩합하는 축차 라미네이트법이 채용되고 있다.Conventionally, in order to produce a polarizing plate by bonding a transparent protective film to both surfaces of a polarizer having a predetermined moisture content, an aqueous adhesive or a pressure-sensitive adhesive is usually used. Examples of the method of bonding the transparent protective film to both surfaces of the polarizer include a simultaneous lamination method in which the polarizer is transported between a pair of rolls and the transparent protective film is transported to both sides thereof to simultaneously adhere the transparent protective film, A sequential lamination method is employed in which a polarizer is transported between rolls of a pair and a transparent protective film is transported to one side of the roll, and then a transparent protective film is stuck to the other side of the polarizer.

그러나, 상기 라미네이트법에 의해, 편광자와 투명 보호 필름의 첩합을 실시하면 얻어지는 편광판에 있어서 컬의 발생을 들 수 있다. 컬이 크면 얻어지는 편광판 (예를 들어, 편광판) 을 다른 부재 (예를 들어, 액정 셀 등) 에 첩합할 때에 기포가 혼입되어 버려 공정 불량의 원인이 되어 버린다. 또, 컬이 발생한 편광판은 반송성도 악화되기 때문에, 안정적인 생산을 할 수 없다는 문제가 발생한다.However, when the polarizer and the transparent protective film are laminated by the above-mentioned lamination method, the occurrence of curl in the obtained polarizing plate can be mentioned. When the curl is large, bubbles are mixed when a polarizing plate (for example, a polarizing plate) obtained is bonded to another member (for example, a liquid crystal cell or the like), which causes a process failure. Further, the polarizing plate on which the curl is formed deteriorates the conveying property, which results in a problem that stable production can not be performed.

상기 과제에 대해, 특허문헌 1 에는, 편광자의 양면에, 컬의 방향이 각각 반대 방향이 되도록 투명 보호 필름을 첩합함으로써, 편광판에 있어서의 컬의 발생을 억제하는 방법이 제안되어 있다. 또, 특허문헌 2 에는, 점착제층 및 세퍼레이터가 형성된 점착제가 부착된 편광판에 있어서, 점착제층 및 세퍼레이터의 적층 전과 적층 후의 편광판의 수분율을 엄밀하게 제어함으로써, 편광판에 있어서의 컬의 발생을 억제하는 기술이 제안되어 있다. 또, 특허문헌 3 에서는, 편광자에 첩합되는 양면의 투명 보호 필름의 두께와 수분율을 제어함으로써 컬을 억제하는 방법이 제안되어 있다.With respect to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 method of suppressing the generation of curl in the polarizing plate by applying a transparent protective film to both sides of the polarizer so that the curl directions are opposite to each other is proposed. Patent Document 2 discloses a technique for suppressing the generation of curl in a polarizing plate by precisely controlling the moisture content of the polarizing plate before and after lamination of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and the separator in the polarizing plate with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on which the pressure- Has been proposed. Patent Document 3 proposes a method of suppressing curl by controlling the thickness and water content of the transparent protective film on both sides that are adhered to the polarizer.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4-184809호Japanese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2004-184809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5-326531호Japanese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2005-326531 일본 특허 제4335901호 명세서Japanese Patent No. 4335901 Specification

그러나, 특허문헌 1 내지 3 에 기재된 방법에서는, 컬을 갖는 투명 보호 필름을 사용하거나, 각 부재에 대하여 수분율의 엄밀한 제어 등이 필요하거나 하여 제조상의 번잡함이 있었다.However, in the methods described in Patent Documents 1 to 3, transparent protective films having curls are used, or rigid control of water content is required for each member, and there is a problem in manufacturing.

본 발명은, 1 쌍의 롤 사이에서, 편광자의 양면에 투명 보호 필름을 첩합하는 편광판의 제조 방법으로서, 컬을 효율적으로 억제할 수 있는 편광판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ethod for producing a polarizing plate in which a transparent protective film is adhered to both surfaces of a polarizer between a pair of rolls, and a method of manufacturing a polarizing plate capable of effectively suppressing curling.

본 발명자들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예의 검토한 결과, 이하에 나타내는 편광판의 제조 방법에 의해 상기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는 것을 알아내어, 본 발명을 완성하기에 이르렀다.Means for Solving the Problems The present inventors have intensively studied 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as a result, they have found that the above object can be achieved by the following polarizing plate production method, and have completed the present invention.

즉, 본 발명은, 편광자의 양면에, 제 1 투명 보호 필름 및 제 2 투명 보호 필름을 접착층을 개재하여, 또한 상기 3 장의 필름은, 1 쌍의 롤 사이를 동시에 통과함으로써 압착하여 첩합하는 편광판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That is,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polarizing plate in which a first transparent protective film and a second transparent protective film are bonded to both surfaces of a polarizer through an adhesive layer, and the three films are pressed and bonded by passing through a pair of rolls at the same time In the production method,

상기 제 1 투명 보호 필름 및 제 2 투명 보호 필름은, 탄성률 (㎫)×두께 (㎛) 의 값으로 정의되는 탄성이 상이하고, 높은 탄성을 갖는 쪽을 고탄성 필름, 낮은 탄성을 갖는 쪽을 저탄성 필름이라고 정의하고,The first transparent protective film and the second transparent protective film have different elasticity defined by the values of the modulus of elasticity (MPa) x thickness (占 퐉), the one having a high elasticity is called a high elasticity film, Film,

또한, 상기 1 쌍의 롤은 롤 경도가 상이하고, 고경도를 갖는 쪽을 고경도 롤, 낮은 경도를 갖는 쪽을 저경도 롤이라고 정의하는 경우에,In the case where the pair of rolls is defined as a high hardness roll having a different hardness, a hardness roll having a high hardness, and a low hardness roll having a low hardness,

상기 저경도 롤측으로부터 고탄성 필름을 반송하고,The high-elasticity film is transported from the low-hardness roll side,

상기 고경도 롤측으로부터 저탄성 필름을 반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광판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And the low-elasticity film is transported from the high-hardness roll side.

상기 편광판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적어도 저경도 롤은, 금속제 심부가 고무층 또는 수지층으로 코팅된 탄성 롤인 것이 바람직하다.In the method for producing a polarizing plate, it is preferable that at least the low-hardness roll is an elastic roll wherein the metal core is coated with a rubber layer or a resin layer.

상기 편광판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고경도 롤로서 금속 롤을 사용할 수 있다. 또, 고경도 롤 및 저경도 롤로서 모두 탄성 롤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고경도 롤 및 저경도 롤의 경도차가 10 이상이 되는 조합의 탄성 롤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the method for producing a polarizing plate, a metal roll may be used as the high-hardness roll. When an elastic roll is used as both the high-hardness roll and the low-hardness roll, it is preferable to use a combination elastic roll in which the difference in hardness between the high-hardness roll and the low-hardness roll is 10 or more.

상기 편광판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탄성 롤의 롤 경도는 40 ∼ 100°인 것이 바람직하다.In the method for producing a polarizing plate, the roll hardness of the elastic roll is preferably 40 to 100 DEG.

종래, 제 1 투명 보호 필름/편광자/제 2 투명 보호 필름을 동시 라미네이트법에 의해 제조하는 편광판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제 1 및 제 2 투명 보호 필름이 상이한 탄성을 갖는 경우에는, 당해 탄성의 차에 의해 동시 라미네이트시에 변형이 발생하여, 얻어지는 편광판에 컬이 발생하고 있었다.Conventionally, in a method for producing a polarizing plate in which a first transparent protective film / polarizer / second transparent protective film is produced by a simultaneous lamination method, when the first and second transparent protective films have different elasticity, At the time of simultaneous lamination, curling occurred in the resulting polarizing plate.

본 발명의 편광판의 제조 방법에서는, 1 쌍의 롤 사이에 있어서, 편광자의 양면에 상이한 탄성을 갖는 제 1 및 제 2 투명 보호 필름을 첩합하는데, 롤 경도차를 갖는 1 쌍의 롤을 사용하여, 저경도 롤측으로부터는 고탄성 필름을, 고경도 롤측으로부터는 저탄성 필름을 각각 반송하고 있다. 상기와 같은 롤 경도가 상이한 1 쌍의 롤을 사용한 경우에는, 저경도 롤측에 있어서, 반송되는 필름의 변형이 커져 속도차가 발생하지만, 저경도 롤측으로는 잘 변형되지 않는 고탄성 필름이 반송되고 있다. 이와 같이 반송되어, 첩합되는 필름 (고탄성 필름과 저탄성 필름) 의 탄성과 롤 (고경도 롤과 저경도 롤) 의 경도의 조합에 의해, 얻어지는 편광판의 컬을 억제할 수 있다.In the method of producing a polarizing plate of the present invention, a pair of rolls having a roll hardness difference is used for bonding first and second transparent protective films having different elasticity to both sides of a polarizer between a pair of rolls, A high-elasticity film is conveyed from the low-hardness roll side, and a low-elasticity film is conveyed from the high-hardness roll side. In the case of using a pair of rolls different in roll hardness as described above, a high-elasticity film is conveyed which causes deformation of the film to be conveyed on the low-hardness roll side to cause a speed difference but does not deform well on the low-hardness roll side. The curl of the obtained polarizing plate can be suppressed by the combination of the elasticity of the film (high-elasticity film and low-elasticity film) conveyed in this way and the hardness of the rolls (high-hardness roll and low-hardness roll).

상기 제조 방법에 의하면, 컬 발생을 억제한 편광판이 얻어진다. 그 때문에, 당해 편광판을 액정 셀에 첩합하여 액정 패널을 제조할 때의 공정 불량을 저감시키는 것을 기대할 수 있다. 또, 상기 제조 방법에 있어서, 롤 경도를 선택함으로써, 주름의 발생이나 줄무늬상의 요철 불균일이 없고, 필름 사이에서의 기포의 발생을 억제한 외관이 양호한 편광판이 얻어진다. 이러한 편광판은, 면내 균일성이 우수하고, 고해상도이며, 또한 고콘트라스트인 액정 표시 장치 (LCD), 일렉트로루미네선스 표시 장치 (ELD) 등의 화상 표시 장치를 실현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above production method, a polarizing plate in which curling is suppressed can be obtained. Therefore, it is expected that the process defects when the liquid crystal panel is produced by bonding the polarizing plate to the liquid crystal cell can be reduced. In addition, in the above production method, by selecting the roll hardness, it is possible to obtain a polarizing plate excellent in appearance without occurrence of wrinkles and irregularities on the stripe pattern and suppressing the generation of air bubbles between the films. Such a polarizing plate can realize an image display device such as a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LCD) and an electroluminescence display device (ELD) which have excellent in-plane uniformity, high resolution and high contrast.

도 1 은 본 발명의 편광판의 제조 방법을 나타내는 개략도의 일례이다.Fig. 1 is an example of a schematic diagram showing a method for producing a polarizing plate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 본 발명의 편광판의 제조 방법을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1 은, 본 발명의 편광판의 제조 방법의 일례를 나타내는 것으로, 편광자 (A) 의 양면에 제 1 투명 보호 필름 (B1) 과 제 2 투명 보호 필름 (B2) 이, 제 1 롤 (R1) 과 제 2 롤 (R2) 의 1 쌍의 롤 사이를 통과함으로써 압착하여 편광판 (L) 을 형성하고 있다. 제 1 투명 보호 필름 (B1) 과 제 2 투명 보호 필름 (B2) 은 각각의 탄성률이 상이하다. 도 1 에 있어서, 제 2 투명 보호 필름 (B2) 의 탄성률은, 제 1 투명 보호 필름 (B1) 의 탄성률보다 높아, 제 2 투명 보호 필름 (B2) 이 고탄성 필름이고, 제 1 투명 보호 필름 (B1) 이 저탄성 필름이다.Hereinafter, a method for producing a polarizing plate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1 shows an example of a production method of a polarizing plat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transparent protective film (B1) and the second transparent protective film (B2) are laminated on both surfaces of a polarizer (A) And passes between a pair of rolls of the second roll (R2), thereby forming a polarizing plate (L). The first transparent protective film (B1) and the second transparent protective film (B2) have different elastic moduli. 1, the elastic modulus of the second transparent protective film B2 is higher than that of the first transparent protective film B1, the second transparent protective film B2 is a high elastic film, the first transparent protective film B1 ) Is a low elastic film.

또, 제 1 롤 (R1) 과 제 2 롤 (R2) 은 각각의 롤 경도가 상이하다. 도 1 에 있어서, 제 2 롤 (R2) 의 롤 경도는, 제 1 롤 (R1) 의 롤 경도보다 높아, 제 2 롤 (R2) 이 고경도 롤이고, 제 1 롤 (R1) 이 저경도 롤이다.In addition, the first roll (R1) and the second roll (R2) have different roll hardnesses. 1, the roll hardness of the second roll R2 is higher than the roll hardness of the first roll R1, the second roll R2 is a high hardness roll, the first roll R1 is a low hardness roll, to be.

본 발명에서는, 상기 3 장의 필름 (편광자 (A), 제 1 투명 보호 필름 (B1) 및 제 2 투명 보호 필름 (B2)) 을 1 쌍의 제 1, 제 2 롤 (R1, R2) 사이를 동시에 통과시킴으로써 압착시키는데, 도 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저경도 롤 (제 1 롤 (R1)) 측으로부터는 고탄성 필름 (제 2 투명 보호 필름 (B2)) 을, 고경도 롤 (제 2 롤 (R2)) 측으로부터는 저탄성 필름 (제 1 투명 보호 필름 (B1)) 을 각각 반송하고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three films (polarizer (A), first transparent protective film (B1) and second transparent protective film (B2)) are sandwiched between a pair of first and second rolls 1, a high-elasticity film (second transparent protective film B2) is laminated on the low-hardness roll (first roll Rl) side and a high-elasticity film (second transparent protective film B2) (The first transparent protective film (B1)) from the side of the first transparent protective film (B1).

도 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1 쌍의 제 1, 제 2 롤 (R1, R2) 의 각 롤 경도가 상이하면, 저경도 롤 (제 1 롤 (R1)) 의 롤 표면 (예를 들어, 탄성 롤의 고무층 또는 수지층) 이 눌려 신장된다. 이 때, 제 1, 제 2 롤 (R1, R2) 의 닙점 (p) 근방에서는, 저경도 롤측의 회전 속도가 올라가기 때문에, 저경도 롤측으로부터 반송되는 제 2 투명 보호 필름 (B2) (고탄성 필름) 은, 편광자 (A) 에 접촉한 직후에 장력이 가해진 상태로 편광자 (A) 에 첩합된다. 일반적으로, 필름은 장력을 가한 쪽으로 컬되는 경향이 있다. 이러한 필름 탄성률과 롤의 특성을 이용하여, 얻어지는 편광판 (L) 의 컬을 억제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1, when the roll hardnesses of the pair of first and second rolls R1 and R2 are different, the roll surface of the low-hardness roll (first roll R1) (for example, Of the rubber layer or the resin layer) is pressed and stretched. At this time, since the rotation speed of the low-hardness roll side is increased in the vicinity of the nip point p of the first and second rolls R1 and R2, the second transparent protective film B2 (high- Is applied to the polarizer A in a state in which tension is applied immediately after the polarizer A is contacted. Generally, the film tends to curl toward the side of tension. Curling of the obtained polarizing plate (L) can be suppressed by using the film elastic modulus and the properties of the roll.

즉, 첩합되는 필름에 동일한 장력을 가한 경우에는, 탄성이 높은 필름은 잘 신장되지 않고, 탄성이 낮은 필름은 신장되기 쉬운 성질이 있다. 도 1 에 있어서, 저경도 롤 (제 1 롤 (R1)) 측으로부터 반송되는 제 2 투명 보호 필름 (B2) (고탄성 필름) 은 보다 장력이 가해진 상태로 첩합되지만, 고탄성 필름이기 때문에 신장이 억제된다. 한편, 고경도 롤 (제 2 롤 (R2)) 에서는, 롤 표면의 신장이 적기 때문에, 닙점 (p) 근방에서의 장력이 약해진다. 따라서, 고경도 롤측으로부터 저탄성 필름을 반송시킴으로써, 쌍방의 밸런스를 이루어 첩합할 수 있어, 얻어지는 편광판 (L) 의 컬이 억제된다.That is, when the same tension is applied to the film to be bonded, the film having a high elasticity does not elongate well, and the film having a low elasticity has a property of being elongated. In Fig. 1, the second transparent protective film B2 (high-elasticity film) conveyed from the low-hardness roll (first roll Rl) side is adhered in a more tensioned state, but stretching is suppressed because it is a high- . On the other hand, in the high-hardness roll (second roll R2), since the elongation of the roll surface is small, the tension in the vicinity of the nip point p becomes weak. Therefore, by conveying the low-elasticity film from the high-hardness roll side, the two films can be balanced to each other and the curl of the obtained polarizing plate (L) can be suppressed.

또한, 제 1 롤 (R1) 과 제 2 롤 (R2) 의 1 쌍의 롤 사이에서는, 편광자 (A) 의 양면에 있어서 제 1 투명 보호 필름 (B1) 과 제 2 투명 보호 필름 (B2) 이 접착층 (도시 생략) 을 개재하여 첩합한다. 상기 접착층은, 제 1 투명 보호 필름 (B1), 제 2 투명 보호 필름 (B2) 에 형성하고 있어도 되고, 편광자 (A) 에 형성하고 있어도 되고, 양자의 측에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또, 편광자 (A) 와, 제 1 투명 보호 필름 (B1), 제 2 투명 보호 필름 (B2) 을 첩합하기 직전에, 농도나 점도를 조정한 접착제 (용액) 또는 점착제 (용액) 와 함께, 제 1 롤 (R1) 과 제 2 롤 (R2) 의 1 쌍의 롤 사이를 통과시킴으로써 압착할 수 있다.The first transparent protective film (B1) and the second transparent protective film (B2) are bonded on both sides of the polarizer (A) between the pair of rolls of the first roll (R1) and the second roll (Not shown). The adhesive layer may be formed on the first transparent protective film (B1) or the second transparent protective film (B2), or on the polarizer (A) or on both sides thereof. Immediately before the polarizer (A) is bonded to the first transparent protective film (B1) and the second transparent protective film (B2), an adhesive (solution) or a pressure sensitive adhesive And passing between a pair of rolls of the first roll (R1) and the second roll (R2).

상기 제 1 롤, 제 2 롤은, 각각의 롤 경도가 상이하다. 고경도를 갖는 쪽을 고경도 롤, 낮은 경도를 갖는 쪽을 저경도 롤이라고 정의된다. 상기 고경도 롤과 저경도 롤로는, 탄성 롤, 금속 롤 중 어느 것이나 사용할 수 있지만, 상기 경도차에 의해, 제 1 및 제 2 롤 중, 고경도 롤과 저경도 롤의 닙점에, 저경도 롤측의 표면에서의 변형 (눌림에 의한 신장) 이 발생하기 쉬운 점에서, 적어도 저경도 롤은, 금속제 심부가 고무층 또는 수지층으로 코팅된 탄성 롤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first roll and the second roll have different roll hardnesses. A side having a high hardness is defined as a high hardness roll, and a side having a low hardness is defined as a low hardness roll. The hardness rolls and the low-hardness rolls can be any of elastic rolls and metal rolls. However, among the first and second rolls, due to the difference in hardness between the nip points of the high- and low- It is preferable to use an elastic roll in which the metal core portion is coated with a rubber layer or a resin layer, at least in the case of a low-hardness roll, in view of easy occurrence of deformation (elongation by pressing) on the surface of the roll.

탄성 롤로는, 금속제 심부에 고무층 또는 수지층으로 코팅된 탄성 롤을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 이 고무층 또는 수지층의 경도로는, 40 ∼ 100°의 범위의 것이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당해 경도는 60 ∼ 90°가 바람직하다. 경도를 40°이상으로 하는 것은, 저경도 롤측의 표면에서의 변형이 지나치게 커져, 편광판을 첩합할 때에 기포가 발생하여 외관이 악화되는 것을 방지하는 점에서 바람직하다. 또, 경도를 100°이하로 하는 것은, 필름 표면의 흠집을 방지하는 점에서 바람직하다. 이 때의 경도로는, 예를 들어 JIS K 6253 (1997) 에 개시되는 방법으로 시판되는 듀로미터 (타입 A) 를 사용하여 측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롤 경도의 측정은, 주식회사 텍로크 제조 GS-719N 타입 A 를 사용하여 실시하였다 (JIS K 6253). 또한, 고무층 또는 수지층의 두께는, 면압 분포의 균일성 면에서 1 ∼ 15 ㎜ 정도, 나아가서는 3 ∼ 10 ㎜ 정도인 것이 바람직하다.As the elastic roll, an elastic roll coated with a rubber layer or a resin layer on a metal core part can be preferably used. The hardness of the rubber layer or the resin layer is preferably in the range of 40 to 100 DEG. The hardness is preferably 60 to 90 DEG. The reason for setting the hardness to 40 DEG or more is that deformation at the surface of the low-hardness roll is excessively large, and bubbles are generated when the polarizing plate is kneaded to prevent deterioration of the appearance. 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o set the hardness to 100 ° or less from the viewpoint of preventing scratches on the surface of the film. The hardness at this time can be measured using a durometer (Type A) commercially available, for example, by the method disclosed in JIS K 6253 (1997). Specifically, the measurement of the roll hardness was carried out using GS-719N Type A manufactured by Tekkock Co., Ltd. (JIS K 6253). The thickness of the rubber layer or the resin layer is preferably about 1 to 15 mm, more preferably about 3 to 10 mm in terms of the uniformity of the surface pressure distribution.

한편, 고경도 롤로는 금속 롤을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저경도 롤로서 상기 탄성 롤을 사용한 경우에는, 고경도 롤로서 금속 롤을 사용할 수 있다. 금속 롤의 재료로는, 예를 들어 철, 스테인리스, 티탄, 알루미늄 등을 들 수 있다. 금속 롤로는, 비용 대 효과 및 내식성 면에서, 철 롤 또는 스테인리스 롤이 바람직하다. 금속 롤은, 탄성 롤보다 롤 경도가 높다.On the other hand, a metal roll can be used for the high hardness roll. For example, when the elastic roll is used as the low-hardness roll, a metal roll can be used as the high-hardness roll. Examples of the material of the metal roll include iron, stainless steel, titanium, aluminum and the like. As the metal roll, an iron roll or a stainless steel roll is preferable in terms of cost-effectiveness and corrosion resistance. The metal roll has a higher roll hardness than the elastic roll.

고경도 롤 및 저경도 롤의 조합이 금속 롤과 탄성 롤인 경우에는, 저경도 롤로서의 탄성 롤의 롤 경도 (고무층 또는 수지층의 경도) 는 40 ∼ 90°인 것이 바람직하고, 나아가서는 60 ∼ 80°인 것이 바람직하다.When the combination of the high-hardness roll and the low-hardness roll is a metal roll and an elastic roll, the roll hardness (rubber layer or hardness of the resin layer) of the elastic roll as the low-hardness roll is preferably 40 to 90 degrees, more preferably 60 to 80 Deg.].

또, 고경도 롤 및 저경도 롤 중 어느 것에 대해서도 탄성 롤을 사용할 수 있다. 이 경우, 고경도 롤 및 저경도 롤의 경도차는 10°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경도차가 지나치게 커지면, 경도 저하에 의한 램 압력이 저하되어 필름 사이에서 기포가 발생하기 쉬워진다. 외관이 양호한 편광판을 얻으려면, 상기 경도차는 40°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나아가서는 30°이하, 나아가서는 20°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elastic rolls can be used for both high-hardness rolls and low-hardness rolls. In this case, the hardness difference between the high-hardness roll and the low-hardness roll is preferably 10 ° or more. On the other hand, if the hardness difference is excessively large, the ram pressure is lowered due to the decrease in hardness, and bubbles are likely to be generated between the films. In order to obtain a polarizing plate having a good appearance, the difference in hardness is preferably 40 DEG or less, more preferably 30 DEG or less, further preferably 20 DEG or less.

또한, 각 롤의 롤 직경, 첩합할 때의 반송 속도 등은 적절히 조정되고, 또 접착층의 두께도 적절히 조정할 수 있다.Further, the roll diameter of each roll, the conveying speed at the time of coalescence, and the like are appropriately adjusted, and the thickness of the adhesive layer can also be appropriately adjusted.

덧붙여, 상기 롤의 직경으로는, 직경이 작을수록 편광자 (A) 와 제 1, 제 2 투명 보호 필름 (B1, B2) 이 접촉하는 면적이 작아지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필름면에 가해지는 압력이 높아진다. 그 때문에, 롤의 직경으로는 250 ㎜ 이하인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나아가서는 200 ㎜ 이하인 것을 사용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단, 이 직경이 지나치게 작아지면, 롤의 내구성이 약해지기 때문에 충분한 힘이 가해지지 않게 되므로, 50 ㎜ 이상의 롤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100 ㎜ 이상의 롤을 사용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In addition, as the diameter of the roll becomes smaller, the contact area between the polarizer A and the first and second transparent protective films B1 and B2 becomes smaller as the diameter becomes smaller, so that the pressure applied to the film surface relatively increases . Therefore, it is preferable to use a roll having a diameter of 250 mm or less, and more preferably 200 mm or less. However, if the diameter becomes too small, the durability of the roll becomes weak, so that sufficient force is not applied. Therefore, it is preferable to use rolls of 50 mm or more, more preferably 100 mm or more.

또, 첩합할 때의 반송 속도는,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통상적으로, 2 m/분 ∼ 50 m/분 정도로 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conveying speed at the time of coalescence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is usually adjusted to about 2 m / min to 50 m / min.

또, 첩합할 때의 롤 사이의 라미네이트 압력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적절히 설정된다. 라미네이트 압력은 조정 용이성이나 편광판의 생산성 면에서 2 ㎫ 이상 5 ㎫ 이하 정도인 것이 바람직하고, 3 ㎫ 이상 4 ㎫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다. 라미네이트 압력이 2 ㎫ 보다 작으면 충분한 가압이 불가능하기 때문에 필름 사이에 기포가 발생한다. 또, 라미네이트 압력이 5 ㎫ 보다 크면 롤이나 장치에 대한 부하가 지나치게 가해지기 때문에 파손의 원인이 된다. 라미네이트 압력의 측정은, 후지 필름사 제조의 감압지 「프리스케일」을 사용하여, 당해 감압지의 색 변화를 컴퓨터 화상 처리에 의해 2 값화하고, 그 발색 면적과 농도에 대하여, 제작된 압력 표준선의 근사식으로부터 구해진다.In addition, the lamination pressure between the rolls at the time of kneading is suitably set without particular limitation. The laminate pressure is preferably about 2 MPa or more and 5 MPa or less, more preferably 3 MPa or more and 4 MPa or less in terms of ease of adjustment or productivity of the polarizing plate. If the laminate pressure is less than 2 MPa, sufficient pressurization is impossible and bubbles are generated between the films. If the laminate pressure is larger than 5 MPa, the load on the roll or the apparatus is excessively increased, which may cause breakage. The laminate pressure was measured by using a pressure-sensitive paper "Freescale" manufactured by Fuji Film, binarizing the color change of the pressure-sensitive paper by computer image processing, and calculating an approximation of the prepared pressure standard line .

편광자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각종의 것을 사용할 수 있다. 편광자로는, 예를 들어 폴리비닐알코올계 필름, 부분 포르말화 폴리비닐알코올계 필름, 에틸렌ㆍ아세트산비닐 공중합체계 부분 비누화 필름 등의 친수성 고분자 필름에, 요오드나 2 색성 염료 등의 2 색성 재료를 흡착시켜 1 축 연신한 것, 폴리비닐알코올의 탈수 처리물이나 폴리염화비닐의 탈염산 처리물 등 폴리엔계 배향 필름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중에서도 폴리비닐알코올계 필름과 요오드 등의 2 색성 물질로 이루어지는 편광자가 바람직하다. 이들 편광자의 두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일반적으로 5 ∼ 80 ㎛ 정도이다. 편광자의 두께는, 바람직하게는 15 ∼ 35 ㎛ 이다. 편광자의 두께가 지나치게 얇으면, 투명 보호 필름과 첩합할 때에, 데미지를 받기 쉬워진다. 한편, 편광자의 두께가 지나치게 두꺼우면, 건조 효율이 나빠지는 경향이 있어, 생산성 면에서 바람직하지 않다.The polarizer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various polarizers can be used. Examples of the polarizer include a hydrophilic polymer film such as a polyvinyl alcohol film, a partially porous polyvinyl alcohol film, and an ethylene / vinyl acetate copolymerization system partially saponified film, and a dichromatic material such as iodine or a dichroic dye is adsorbed And polyene-based oriented films such as polyvinyl alcohol dehydrated products and polyvinyl chloride dehydrochloric acid treated products. Among them, a polarizer comprising a polyvinyl alcohol film and a dichromatic material such as iodine is preferable. The thickness of these polarizers is not particularly limited, but is generally about 5 to 80 占 퐉. The thickness of the polarizer is preferably 15 to 35 mu m. When the thickness of the polarizer is excessively thin, it is likely to be damaged when it is laminated with the transparent protective film. On the other hand, if the thickness of the polarizer is excessively large, the drying efficiency tends to deteriorate, which is not preferable from the viewpoint of productivity.

폴리비닐알코올계 필름을 요오드로 염색하고 1 축 연신한 편광자는, 예를 들어 폴리비닐알코올을 요오드의 수용액에 침지함으로써 염색하고, 원래 길이의 3 ∼ 7 배로 연신함으로써 제작할 수 있다. 필요에 따라 붕산이나 요오드화칼륨 등의 수용액에 침지할 수도 있다. 추가로 필요에 따라 염색 전에 폴리비닐알코올계 필름을 물에 침지하여 수세해도 된다. 폴리비닐알코올계 필름을 수세함으로써 폴리비닐알코올계 필름 표면의 오염이나 블로킹 방지제를 세정할 수 있는 것 외에, 폴리비닐알코올계 필름을 팽윤시킴으로써 염색의 얼룩 등의 불균일을 방지하는 효과도 있다. 연신은 요오드로 염색한 후에 실시해도 되고, 염색하면서 연신해도 되고, 또 연신하고 나서 요오드로 염색해도 된다. 붕산이나 요오드화칼륨 등의 수용액 중이나 빙욕 중에서도 연신할 수 있다.The polarizer obtained by dyeing a polyvinyl alcohol film with iodine and uniaxially stretching can be produced by, for example, dying polyvinyl alcohol in an aqueous solution of iodine and stretching it to 3 to 7 times its original length. If necessary, it may be immersed in an aqueous solution of boric acid, potassium iodide or the like. Further, if necessary, the polyvinyl alcohol film may be dipped in water and washed with water before dyeing. The polyvinyl alcohol film is washed with water to clean the surface of the polyvinyl alcohol film and to prevent unevenness such as uneven dyeing by swelling the polyvinyl alcohol film. The stretching may be carried out after dyeing with iodine, followed by stretching while dyeing, or after stretching, followed by dyeing with iodine. It can be stretched either in an aqueous solution such as boric acid or potassium iodide or in an ice bath.

또, 편광자의 수분율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통상적으로, 수분율 8 ∼ 30 중량% 의 것이 바람직하고, 나아가서는 10 ∼ 20 중량% 의 것이 바람직하다. 편광자의 수분율은 낮은 편이 건조 공정에서의 건조 효율이 향상되어, 생산 속도를 높일 수 있는 생산성 면에서 바람직하다. 또, 편광자의 수분율은 낮은 편이 광학 특성의 양호한 편광판이 얻어지는 점에서 바람직하다. 한편, 편광자의 수분율이 지나치게 낮으면, 편광자의 필름으로서의 강성이 높아져, 데미지를 받기 쉬워 외관 결점이 발생하기 쉬워진다. 이와 같은 편광자의 수분율은, 일반적으로 편광자의 제조 공정 중의 건조 처리의 조건에 의해 조정할 수 있지만, 필요에 따라 별도로 조습 처리 공정을 마련하여, 수욕 중으로의 침지나 수적의 분무 또는 재차의 가열 건조나 감압 건조를 실시해도 된다.The water content of the polarizer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it is usually preferably 8 to 30% by weight, more preferably 10 to 20% by weight. The lower the moisture content of the polarizer is, the better the drying efficiency in the drying step is, and the productivity is improved in order to increase the production speed. It is preferable that the polarizer has a low water content because a polarizing plate having good optical characteristics can be obtained. On the other hand, if the water content of the polarizer is too low, the rigidity of the polarizer becomes high, and the film becomes liable to be damaged, and appearance defects are likely to occur. The moisture content of the polarizer can be generally adjusted by the conditions of the drying treatment in the production process of the polarizer. However, if necessary, a humidity conditioning treatment step may be separately provided, and the moisture content of the polarizer may be adjusted by spraying, Drying may be performed.

또, 편광자의 제조 방법은 상기 제조 방법에 한정되지 않고, 수분율 8 ∼ 30 중량% (바람직하게는 수분율 10 ∼ 20 중량%) 를 만족하고 있으면, 다른 제조 방법을 사용하여 편광자를 제조해도 된다. 예를 들어, 건식 연신법이나,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PET) 등의 폴리머 필름에 2 색성 물질을 혼련하여 제막, 연신한 것이어도 되고, 1 축 방향으로 배향한 액정을 호스트로 하고, 거기에 2 색성 염료를 게스트로 한 O 타입인 것 (미국 특허 5,523,863호, 일본 공표특허공보 평3-503322호), 2 색성의 리오트로픽 액정 등을 사용한 E 타입인 것 (미국 특허 6,049,428호) 을 들 수 있다.The method for producing the polarizer is not limited to the above-mentioned production method, and a polarizer may be produced by using another production method if the moisture content is 8 to 30% by weight (preferably, the moisture content is 10 to 20% by weight). For example, a dry stretching method or a polymer film such as polyethylene terephthalate (PET) may be formed by kneading and stretching a dichroic material, or a liquid crystal aligned in a uniaxial direction may be used as a host, (U.S. Patent No. 5,523,863, JP-A-3-503322) using dyes as guest, and E type using diatomic lyotropic liquid crystal (U.S. Patent No. 6,049,428).

상기 제 1 및 제 2 투명 보호 필름의 탄성률은 특별히 제한은 없지만, 1000 ∼ 10000 ㎫ 의 범위의 것이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상기 탄성률은 1200 ∼ 5000 ㎫ 인 것이 바람직하고, 나아가서는 1300 ∼ 4000 ㎫ 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 1 및 제 2 투명 보호 필름은 상기 탄성에 차를 갖고 있으면, 상기 제 1 및 제 2 투명 보호 필름의 탄성률이 동일해도 되고 상이해도 된다.The modulus of elasticity of the first and second transparent protective films is not particularly limited, but is preferably in the range of 1000 to 10000 MPa. The modulus of elasticity is preferably 1200 to 5000 MPa, more preferably 1300 to 4000 MPa. In addition, if the first and second transparent protective films have a difference in elasticity, the first and second transparent protective films may have the same or different elastic moduli.

상기 투명 보호 필름의 탄성률은, JIS K 7127 의 인장 시험법에 준하여 측정한 값 (N/㎟=㎫) 이다. 구체적으로는, 하기의 기준에 의해 탄성률을 측정하였다.The elastic modulus of the transparent protective film is a value measured in accordance with the tensile test method of JIS K 7127 (N / mm 2 = MPa). Specifically, the elastic modulus was measured according to the following criteria.

탄성률 (그래프의 기울기) 을 구할 때의 가로축 : 변형 (%)The horizontal axis when calculating the elastic modulus (slope of the graph): Deformation (%)

탄성률 (그래프의 기울기) 을 구할 때의 세로축 : 인장 응력 σ (㎫=N/㎟)=F/시험편의 초기 단면적 A (㎟) Tensile stress σ (MPa = N / mm 2) = F / initial cross-sectional area A (mm 2) of the test piece

탄성률 (그래프의 기울기) 을 구할 때의 범위 : 변형 0.05 ∼ 0.25 % 사이의 선형 회귀Range when determining the modulus of elasticity (slope of the graph): linear regression between 0.05 and 0.25% strain

시험편 형상 : 띠상 (직방형)Specimen shape: Strip (rectangular)

척 간 거리 : 100 ㎜Chuck distance: 100 mm

제 1 및 제 2 투명 보호 필름의 두께는 적절히 결정할 수 있지만, 일반적으로는 강도나 취급성 등의 작업성, 박층성 등의 면에서 20 ∼ 200 ㎛ 정도인 것이 바람직하고, 30 ∼ 100 ㎛ 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제 1 및 제 2 투명 보호 필름의 두께는 상기 범위에 있어서 건조 효율이 양호하고, 원반 (原反) 의 권취를 장척화 (長尺化) 할 수 있기 때문에 생산성 면에서 바람직하다. 한편, 제 1 및 제 2 투명 보호 필름의 두께가 두꺼워지면, 건조 효율이 나빠, 생산성 면에서 바람직하지 않다.The thickness of the first and second transparent protective films may be suitably determined, but is generally preferably from 20 to 200 탆, more preferably from 30 to 100 탆, from the viewpoints of workability such as strength and handling properties, More preferable. The thickness of the first and second transparent protective films is preferably in the above range in terms of productivity because the drying efficiency is good and the winding of the original can be made long. On the other hand, if the thicknesses of the first and second transparent protective films are increased, the drying efficiency is deteriorated, which is not preferable from the viewpoint of productivity.

또, 제 1 및 제 2 투명 보호 필름은, 상기 탄성률 (㎫)×두께 (㎛) 의 곱에 의해 정의되는 탄성이 상이하도록 각각의 탄성률, 두께가 선택된다. 상기 제 1 투명 보호 필름 및 제 2 투명 보호 필름은, 높은 탄성률을 갖는 쪽이 고탄성 필름, 낮은 탄성률을 갖는 쪽이 저탄성 필름이라고 정의된다.The elastic modulus and thickness of the first and second transparent protective films are selected so that the elasticity defined by the product of the modulus of elasticity (MPa) x thickness (占 퐉) is different. The first transparent protective film and the second transparent protective film are defined as a high elastic film having a high elastic modulus and a low elastic film having a low elastic modulus.

또, 상기 고탄성 필름의 탄성과 상기 저탄성 필름의 탄성의 차는 주름의 관점에서, 0 을 초과하고 170000 이하인 경우에 바람직하고, 또한 상기 차는 30000 이하인 경우에 바람직하다. 특히, 상기 차가 1000 이상, 나아가서는 3000 이상인 경우에, 나아가서는 10000 이상인 경우에 탄성의 차에 의해 변형이 생기기 쉬워, 본 발명을 바람직하게 적용할 수 있다.The difference between the elasticity of the high-elasticity film and the elasticity of the low-elasticity film is preferably from 0 to 170,000, and more preferably from 30,000 to less than 30,000 from the viewpoint of wrinkles. Particularly, when the difference is 1000 or more, more preferably 3000 or more, and more than 10000, deformation may easily occur due to the difference in elasticity, so that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preferably applied.

상기 제 1 및 제 2 투명 보호 필름으로는 각종의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제 1 및 제 2 투명 보호 필름은, 일방이 고탄성 필름, 다른 일방이 저탄성 필름이 되도록 각각의 재료가 선택된다. 또, 고탄성 필름, 저탄성 필름에 있어서의 탄성의 제어는, 제 1 및 제 2 투명 보호 필름의 재료 (탄성률) 및 두께에 의해 제어할 수 있다.As the first and second transparent protective films, various materials can be used. Each of the first and second transparent protective films is selected so that one of them is a high elastic film and the other is a low elastic film. In addition, the control of the elasticity in the high-elasticity film and the low-elasticity film can be controlled by the material (elastic modulus) and the thickness of the first and second transparent protective films.

상기 투명 보호 필름을 형성하는 재료로는, 투명성, 기계적 강도, 열 안정성, 수분 차단성, 등방성 등이 우수한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나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 등의 폴리에스테르계 폴리머, 디아세틸셀룰로오스나 트리아세틸셀룰로오스 등의 셀룰로오스계 폴리머,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등의 아크릴계 폴리머, 폴리스티렌이나 아크릴로니트릴ㆍ스티렌 공중합체 (AS 수지) 등의 스티렌계 폴리머, 폴리카보네이트계 폴리머 등을 들 수 있다. 또,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시클로계 내지는 노르보르넨 구조를 갖는 폴리올레핀, 에틸렌ㆍ프로필렌 공중합체와 같은 폴리올레핀계 폴리머, 염화비닐계 폴리머, 나일론이나 방향족 폴리아미드 등의 아미드계 폴리머, 이미드계 폴리머, 술폰계 폴리머, 폴리에테르술폰계 폴리머, 폴리에테르에테르케톤계 폴리머, 폴리페닐렌술파이드계 폴리머, 비닐 알코올계 폴리머, 염화비닐리덴계 폴리머, 비닐부티랄계 폴리머, 아릴레이트계 폴리머, 폴리옥시메틸렌계 폴리머, 에폭시계 폴리머, 또는 상기 폴리머의 블렌드물 등도 상기 투명 보호 필름을 형성하는 폴리머의 예로서 들 수 있다. 또한, 편광자에는, 통상적으로 투명 보호 필름이 접착제층에 의해 첩합되는데, 투명 보호 필름으로서 (메트)아크릴계, 우레탄계, 아크릴우레탄계, 에폭시계, 실리콘계 등의 열 경화성 수지 또는 자외선 경화형 수지를 사용할 수 있다. 투명 보호 필름 중에는 임의의 적절한 첨가제가 1 종류 이상 함유되어 있어도 된다. 첨가제로는, 예를 들어 자외선 흡수제, 산화 방지제, 활제, 가소제, 이형제, 착색 방지제, 난연제, 핵제, 대전 방지제, 안료, 착색제 등을 들 수 있다. 투명 보호 필름 중의 상기 열가소성 수지의 함유량은, 바람직하게는 50 ∼ 100 중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50 ∼ 99 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60 ∼ 98 중량%, 특히 바람직하게는 70 ∼ 97 중량% 이다. 투명 보호 필름 중의 상기 열가소성 수지의 함유량이 50 중량% 이하인 경우, 열가소성 수지가 본래 갖는 고투명성 등을 충분히 발현시키지 못할 우려가 있다.The material for forming the transparent protective film is preferably excellent in transparency, mechanical strength, thermal stability, moisture barrier property, isotropy and the like. For example, a polyester polymer such as polyethylene terephthalate or polyethylene naphthalate, a cellulose polymer such as diacetylcellulose or triacetylcellulose, an acryl polymer such as polymethyl methacrylate, a polystyrene or an acrylonitrile / styrene copolymer (AS resin), and polycarbonate-based polymers. Examples of the polymer include polyolefin polymers such as polyethylene, polypropylene, cycloolefin or norbornene structure, polyolefin polymers such as ethylene / propylene copolymer, vinyl chloride polymers, amide polymers such as nylon and aromatic polyamide, imide polymers, Based polymers, polyether sulfone-based polymers, polyetheretherketone-based polymers, polyphenylene sulfide-based polymers, vinyl alcohol-based polymers, vinylidene chloride-based polymers, vinyl butyral-based polymers, arylate- An epoxy-based polymer, or a blend of the above polymer may be mentioned as an example of the polymer forming the transparent protective film. A transparent protective film is usually adhered to the polarizer by an adhesive layer. As the transparent protective film, a thermosetting resin such as a (meth) acrylic, urethane, acrylic urethane, epoxy or silicone resin or an ultraviolet curable resin can be used. The transparent protective film may contain one or more optional additives. Examples of the additive include an ultraviolet absorber, an antioxidant, a lubricant, a plasticizer, a release agent, a coloring inhibitor, a flame retardant, a nucleating agent, an antistatic agent, a pigment and a colorant. The content of the thermoplastic resin in the transparent protective film is preferably 50 to 100% by weight, more preferably 50 to 99% by weight, still more preferably 60 to 98% by weight, particularly preferably 70 to 97% by weight . When the content of the thermoplastic resin in the transparent protective film is 50 wt% or less, there is a fear that the transparency inherently possessed by the thermoplastic resin can not be sufficiently expressed.

본 발명의 투명 보호 필름으로는, 셀룰로오스 수지 (폴리머),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폴리머), 고리형 폴리올레핀 수지 (시클로계 내지는 노르보르넨 구조를 갖는 폴리올레핀) 및 (메트)아크릴 수지에서 선택되는 어느 적어도 1 개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As the transparent protective film of the present invention, at least one (1) selected from a cellulose resin (polymer), a polycarbonate resin (polymer), a cyclic polyolefin resin (polyolefin having a cyclic system or a norbornene structure) It is preferable to use a dog.

또, 편광 특성이나 내구성 및 접착 특성 향상 등의 면에서, 투명 보호 필름 표면을 코로나 처리, 플라즈마 처리, 프레임 처리, 오존 처리, 프라이머 처리, 글로우 처리, 비누화 처리에 의해 표면 개질 처리를 실시해도 된다. 이들 표면 개질 처리 중에서도, 투명 보호 필름으로서 셀룰로오스 수지 (폴리머) 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알칼리 등으로 비누화 처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surface of the transparent protective film may be subjected to surface modification treatment by corona treatment, plasma treatment, frame treatment, ozone treatment, primer treatment, glow treatment or saponification treatment, in view of polarization characteristics, durability and adhesion properties. Among these surface modification treatments, when a cellulose resin (polymer) is used as the transparent protective film, saponification treatment with alkali or the like is preferable.

상기 투명 보호 필름의 편광자를 접착시키지 않는 면에는, 하드 코트층이나 반사 방지 처리, 스티킹 방지나, 확산 내지 안티글레어를 목적으로 한 처리를 실시한 것이어도 된다.The surface of the transparent protective film on which the polarizer is not adhered may be subjected to a treatment for the purpose of hard coat layer, antireflection treatment, anti-sticking, diffusion or anti-glare treatment.

또한, 상기 반사 방지층, 스티킹 방지층, 확산층이나 안티글레어층 등은, 투명 보호 필름 그 자체에 형성할 수 있는 것 외에, 별도 광학층으로서 투명 보호 필름과는 별체의 것으로서 형성할 수도 있다.The antireflection layer, anti-sticking layer, diffusion layer, antiglare layer, and the like can be formed on the transparent protective film itself or may be formed as a separate optical layer as a separate material from the transparent protective film.

상기 접착층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아, 수계, 용제계, 핫멜트계, 라디칼 경화형의 각종 형태의 것이 사용된다. 상기 편광자와 투명 보호 필름의 첩합에 사용하는 접착층은 광학적으로 투명하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편광자와 투명 보호 필름의 첩합에 사용하는 접착층의 형성에는, 수계 접착제 또는 라디칼 경화형 접착제가 바람직하다.The adhesive layer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various types of water-based, solvent-based, hot-melt-based, and radical-curing types are used. The adhesive layer used for bonding the polarizer to the transparent protective film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s long as it is optically transparent. The formation of the adhesive layer used for bonding the polarizer and the transparent protective film is preferably an aqueous adhesive or a radical curable adhesive.

접착제층을 형성하는 수계 접착제로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예를 들어 비닐 폴리머계, 젤라틴계, 비닐계 라텍스계, 폴리우레탄계, 이소시아네이트계, 폴리에스테르계, 에폭시계 등을 예시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수계 접착제로 이루어지는 접착제층은, 수용액의 도포 건조층 등으로서 형성할 수 있는데, 그 수용액의 조제시에 있어서는, 필요에 따라 가교제나 다른 첨가제, 산 등의 촉매도 배합할 수 있다. 상기 수계 접착제로는, 비닐 폴리머를 함유하는 접착제 등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비닐 폴리머로는,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가 바람직하다. 또,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에는, 붕산이나 붕사, 글루타르알데히드나 멜라민, 옥살산 등의 수용성 가교제를 함유할 수 있다. 특히 편광자로서 폴리비닐알코올계 폴리머 필름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를 함유하는 접착제를 사용하는 것이 접착성 면에서 바람직하다. 또한, 아세토아세틸기를 갖는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를 함유하는 접착제가 내구성을 향상시키는 점에서 보다 바람직하다.The water-based adhesive for forming the adhesive layer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examples thereof include a vinyl polymer type, a gelatin type, a vinyl type latex type, a polyurethane type, an isocyanate type, a polyester type and an epoxy type. The adhesive layer made of such an aqueous adhesive can be formed as a coating and drying layer of an aqueous solution. When preparing the aqueous solution, a catalyst such as a crosslinking agent, other additives, or an acid can be added as needed. As the water-based adhesive, it is preferable to use an adhesive containing a vinyl polymer, and as the vinyl polymer, a polyvinyl alcohol-based resin is preferable. The polyvinyl alcohol-based resin may contain a water-soluble crosslinking agent such as boric acid, borax, glutaraldehyde, melamine, oxalic acid and the like. Particularly when a polyvinyl alcohol polymer film is used as a polarizer, it is preferable to use an adhesive containing a polyvinyl alcohol-based resin from the viewpoint of adhesiveness. Further, an adhesive containing a polyvinyl alcohol-based resin having an acetoacetyl group is more preferable in terms of improving durability.

상기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접착성 면에서 평균 중합도 100 ∼ 3000 정도, 평균 비누화도는 85 ∼ 100 몰% 정도가 바람직하다. 또, 접착제 수용액의 농도로는, 목표로 하는 접착제층의 두께에 따라 적절히 결정하면 되기 때문에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0.1 ∼ 15 중량% 인 것이 바람직하고, 0.5 ∼ 10 중량% 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이 용액 농도가 지나치게 높으면 점도가 지나치게 올라가기 때문에, 줄무늬상의 요철 불균일이 발생하기 쉬워지고, 용액 농도가 지나치게 낮으면 도포성이 나빠져 불균일해지기 쉬워진다.The polyvinyl alcohol-based resin is not particularly limited, but an average degree of polymerization of about 100 to 3,000 and an average degree of saponification of about 85 to 100 mol% are preferable from the standpoint of adhesiveness. The concentration of the adhesive aqueous solution is not particularly limited, because it can be appropriately determined according to the thickness of the intended adhesive layer, but is preferably 0.1 to 15% by weight, more preferably 0.5 to 10% by weight. If the concentration of the solution is excessively high, the viscosity becomes excessively high, so that irregularities of irregularities on the striped surface tend to occur. When the concentration of the solution is too low, the coating property becomes poor and it becomes easy to become uneven.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는, 폴리아세트산비닐을 비누화하여 얻어진 폴리비닐알코올 ; 그 유도체 ; 또한 아세트산비닐과 공중합성을 갖는 단량체의 공중합체의 비누화물 ; 폴리비닐알코올을 아세탈화, 우레탄화, 에테르화, 그래프트화, 인산에스테르화 등을 한 변성 폴리비닐알코올을 들 수 있다. 상기 단량체로는, (무수) 말레산, 푸마르산, 크로톤산, 이타콘산, (메트)아크릴산 등의 불포화 카르복실산 및 그 에스테르류 ; 에틸렌, 프로필렌 등의 α-올레핀, (메트)알릴술폰산(소다), 술폰산소다(모노알킬말레이트), 디술폰산소다알킬말레이트, N-메틸올아크릴아미드, 아크릴아미드알킬술폰산알칼리염, N-비닐피롤리돈, N-비닐피롤리돈 유도체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는 1 종을 단독으로 또는 2 종 이상을 병용할 수 있다.The polyvinyl alcohol-based resin includes polyvinyl alcohol obtained by saponifying polyvinyl acetate; Derivatives thereof; A saponification of a copolymer of a monomer having a copolymer with vinyl acetate; Modified polyvinyl alcohols obtained by subjecting polyvinyl alcohol to acetalization, urethanization, etherification, grafting, phosphoric esterification and the like. Examples of the monomer include unsaturated carboxylic acids and esters thereof such as maleic acid (anhydride), fumaric acid, crotonic acid, itaconic acid, and (meth) acrylic acid; (Meth) allyl sulfonic acid (soda), soda sulfonate (monoalkyl maleate), disulfonic acid soda alkyl malate, N-methylol acrylamide, acrylamide alkylsulfonic acid alkali salt, N- Vinyl pyrrolidone, N-vinyl pyrrolidone derivatives, and the like. These polyvinyl alcohol resins may be used singly or in combination of two or more.

아세토아세틸기를 함유하는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는,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와 디케텐을 공지된 방법으로 반응시켜 얻어진다. 예를 들어,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를 아세트산 등의 용매 중에 분산시켜 두고, 이것에 디케텐을 첨가하는 방법,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를 디메틸포름아미드 또는 디옥산 등의 용매에 미리 용해시켜 두고, 이것에 디케텐을 첨가하는 방법 등을 들 수 있다. 또, 폴리비닐알코올에 디케텐 가스 또는 액상 디케텐을 직접 접촉시키는 방법을 들 수 있다.The polyvinyl alcohol-based resin containing an acetoacetyl group is obtained by reacting a polyvinyl alcohol-based resin with diketene by a known method. For example, a method of dispersing a polyvinyl alcohol-based resin in a solvent such as acetic acid and adding diketene thereto, a method of previously dissolving a polyvinyl alcohol-based resin in a solvent such as dimethylformamide or dioxane, And a method of adding edecetene. In addition, a method in which diketene gas or liquid diketene is directly contacted with polyvinyl alcohol can be mentioned.

아세토아세틸기를 함유하는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의 아세토아세틸기 변성도는, 0.1 몰% 이상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0.1 몰% 미만에서는, 접착제층의 내수성이 불충분하여 부적당하다. 아세토아세틸기 변성도는, 바람직하게는 0.1 ∼ 40 몰% 정도, 더욱 바람직하게는 1 ∼ 20 몰%, 특히 바람직하게는 2 ∼ 7 몰% 이다. 아세토아세틸기 변성도가 40 몰% 를 초과하면 가교제와의 반응점이 적어지고, 내수성의 향상 효과가 작다. 이와 같은 아세토아세틸기 변성도는 핵자기 공명 장치 (NMR : Nuclear Magnetic Resonance) 를 사용하여 측정할 수 있다.The degree of modification of the acetoacetyl group of the polyvinyl alcohol-based resin containing an acetoacetyl group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s long as it is 0.1 mol% or more. When the amount is less than 0.1 mol%, the water resistance of the adhesive layer is insufficient, which is inappropriate. The acetoacetyl group modification degree is preferably about 0.1 to 40 mol%, more preferably 1 to 20 mol%, and particularly preferably 2 to 7 mol%. When the degree of modification of the acetoacetyl group is more than 40 mol%, the point of reaction with the crosslinking agent decreases and the effect of improving the water resistance is small. Such acetoacetyl group denaturation can be measured using nuclear magnetic resonance (NMR).

가교제로는, 일반적으로 접착제에 사용되고 있는 것을 특별히 한정하지 않고 사용할 수 있고, 예를 들어 상기와 같은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를 사용한 접착제의 경우,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와 반응성을 갖는 관능기를 적어도 2 개 갖는 화합물을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에틸렌디아민, 트리에틸렌디아민, 헥사메틸렌디아민 등의 알킬렌기와 아미노기를 2 개 갖는 알킬디아민류 ; 톨릴렌디이소시아네이트, 수소화톨릴렌디이소시아네이트, 트리메틸올프로판톨릴렌디이소시아네이트 어덕트, 트리페닐메탄트리이소시아네이트, 메틸렌비스(4-페닐메탄트리이소시아네이트, 이소포론디이소시아네이트 및 이들의 케토옥심 블록물 또는 페놀 블록물 등의 이소시아네이트류 ; 에틸렌글리콜디글리시딜에테르, 폴리에틸렌글리콜디글리시딜에테르, 글리세린디 또는 트리글리시딜에테르, 1,6-헥산디올디글리시딜에테르, 트리메틸올프로판트리글리시딜에테르, 디글리시딜아닐린, 디글리시딜아민 등의 에폭시류 ; 포름알데히드, 아세트알데히드, 프로피온알데히드, 부틸알데히드 등의 모노알데히드류, 글리옥살, 말론디알데히드, 숙신디알데히드, 글루타르디알데히드, 말레산디알데히드, 프탈디알데히드 등의 디알데히드류 ; 메틸올우레아, 메틸올멜라민, 알킬화메틸올우레아, 알킬화메틸올멜라민, 아세토구아나민, 벤조구아나민과 포름알데히드의 축합물 등의 아미노-포름알데히드 수지 ; 또한 나트륨, 칼륨, 마그네슘, 칼슘, 알루미늄, 철, 니켈 등의 2 가 금속, 또는 3 가 금속의 염 및 그 산화물을 들 수 있다. 이들 중에서도, 아미노-포름알데히드 수지, 특히 메틸올기를 갖는 메틸올 화합물이 바람직하다.The crosslinking agent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s long as it is generally used as an adhesive. For example, in the case of an adhesive using a polyvinyl alcohol-based resin as described above, at least two functional groups having reactivity with a polyvinyl alcohol- Can be preferably used. Examples thereof include alkyl diamines having two alkylene groups and amino groups such as ethylenediamine, triethylenediamine, hexamethylenediamine and the like; Tolylene diisocyanate, hydrogenated tolylene diisocyanate, trimethylolpropane tolylene diisocyanate adduct, triphenylmethane triisocyanate, methylene bis (4-phenylmethane triisocyanate, isophorone diisocyanate and keto oxime block or phenol block water thereof) Isocyanates such as ethylene glycol diglycidyl ether, polyethylene glycol diglycidyl ether, glycerin di or triglycidyl ether, 1,6-hexanediol diglycidyl ether, trimethylol propane triglycidyl ether, diglycidyl Epoxies such as formaldehyde, acetaldehyde, propionaldehyde, butylaldehyde and the like, glyoxal, malondialdehyde, succindialdehyde, glutardialdehyde, maleic dialdehyde, maleic anhydride, , Dialdehydes such as phthalaldehyde, methylolurea, An amino-formaldehyde resin such as methylol melamine, alkylated methylol urea, alkylated methylol melamine, acetoguanamine, a condensate of benzoguanamine and formaldehyde, and an amino-formaldehyde resin such as sodium, potassium, magnesium, calcium, aluminum, Of these, an amino-formaldehyde resin, particularly a methylol compound having a methylol group, is preferred.

가교제의 배합량은, 일반적으로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해 0.1 ∼ 35 중량부 정도이고, 10 ∼ 25 중량부의 것이 바람직하게 사용되지만, 접착제의 내구성을 중시하는 경우에는, 접착제의 조제에서부터 접착제층으로 할 때까지의 시간 (사용 가능 시간) 이 짧아지는 대신 30 중량부 이상 46 중량부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32 중량부 이상 40 중량부 이하의 가교제를 배합하는 것도 유효하다.The blending amount of the crosslinking agent is generally about 0.1 to 35 parts by weight and preferably 10 to 25 parts by weight based on 100 parts by weight of the resin. When the durability of the adhesive is important, It is effective to blend a crosslinking agent in an amount of 30 parts by weight or more and 46 parts by weight or less, more preferably 32 parts by weight or more and 40 parts by weight or less, instead of shortening the time (usable time)

라디칼 경화형 접착제로는, 전자선 경화형, 자외선 경화형 등의 활성 에너지선 경화형, 열 경화형 등의 각종의 것을 예시할 수 있지만, 단시간에 경화 가능한 활성 에너지선 경화형이 바람직하다. 특히, 자외선 경화형이 바람직하다.As the radical-curing adhesive, various types such as an actinic radiation ray-curable type such as an electron beam curable type and an ultraviolet ray curable type, a thermosetting type and the like can be mentioned, but an active energy ray curable type which can be cured in a short time is preferable. In particular, ultraviolet curing type is preferable.

경화성 성분으로는, (메트)아크릴로일기를 갖는 화합물, 비닐기를 갖는 화합물을 들 수 있다. 이들 경화성 성분은, 단관능 또는 2 관능 이상 중 어느 것이나 사용할 수 있다. 또, 이들 경화성 성분은, 1 종을 단독으로 또는 2 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들 경화성 성분으로는, 예를 들어 (메트)아크릴로일기를 갖는 화합물이 바람직하고, 예를 들어 각종 에폭시(메트)아크릴레이트, 우레탄(메트)아크릴레이트, 폴리에스테르(메트)아크릴레이트나 각종 (메트)아크릴레이트계 모노머 등을 들 수 있다.Examples of the curable component include a compound having a (meth) acryloyl group and a compound having a vinyl group. These curable components may be either monofunctional or bifunctional or more. These curable components may be used singly or in combination of two or more. As the curable component, for example, a compound having a (meth) acryloyl group is preferable, and examples thereof include various epoxy (meth) acrylates, urethane (meth) acrylates, polyester Methacrylate-based monomers.

경화형 접착제는 경화성 성분을 함유하는데, 상기 성분에 더하여, 경화의 타입에 따라 라디칼 개시제를 첨가한다. 상기 접착제를 전자선 경화형으로 사용하는 경우에는, 상기 접착제에는 라디칼 개시제를 함유시키는 것은 특별히 필요하지는 않지만, 자외선 경화형, 열 경화형으로 사용하는 경우에는, 라디칼 개시제가 사용된다. 라디칼 개시제의 사용량은 경화성 성분 100 중량부당 통상적으로 0.1 ∼ 10 중량부 정도, 바람직하게는 0.5 ∼ 3 중량부이다.The curable adhesive contains a curable component, in addition to which the radical initiator is added, depending on the type of cure. When the adhesive is used in an electron beam hardening type, it is not particularly required to include a radical initiator in the adhesive, but when it is used in an ultraviolet curing type or thermosetting type, a radical initiator is used. The amount of the radical initiator used is usually about 0.1 to 10 parts by weight, preferably 0.5 to 3 parts by weight, per 100 parts by weight of the curing component.

또, 상기 접착제에는, 금속 화합물 필러를 함유시킬 수 있다. 금속 화합물 필러에 의해, 접착제층의 유동성을 제어할 수 있고, 막두께를 안정화하여, 양호한 외관을 갖고, 면내가 균일하여 접착성의 편차가 없는 편광판이 얻어진다.The adhesive may contain a metal compound filler. The metallic compound filler can control the fluidity of the adhesive layer, stabilize the film thickness, obtain a polarizing plate having a good appearance, uniformity of surface, and no deviation in adhesion.

또, 접착제층의 형성에는, 무용제 또는 저용제 상태로 첩합할 수 있는 드라이 라미네이트법을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 이 드라이 라미네이트법으로는, 종래 공지된 드라이 라미네이트용 접착제 및 첩합 방법을 사용하면 되는데, 본 발명에 더하여 이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이로써, 보다 더 나은 줄무늬상의 요철 불균일 등을 저감시키는 효과가 있다.In order to form the adhesive layer, a dry lamination method which can be applied in a solventless or low-solvent state can be preferably used. As the dry lamination method, conventionally known adhesives for dry lamination and a bonding method may be used. In addition to the present invention, this method can be used. This has the effect of reducing uneven irregularity on the stripe pattern, which is even better.

상기 드라이 라미네이트용 접착제로는, 2 액 경화형 접착제, 2 액 용제형 접착제, 1 액 무용제형 접착제 등을 들 수 있다. 2 액 경화형 접착제로는 아크릴계, 2 액 용제형 접착제로는 폴리에스테르계, 방향족 폴리에스테르계, 지방족 폴리에스테르계, 폴리에스테르/폴리우레탄계, 폴리에테르/폴리우레탄계, 1 액 무용제형 접착제 (습기 경화형 타입) 로는 폴리에테르/폴리우레탄계 등의 수지를 사용할 수 있다.Examples of the adhesive for dry lamination include a two-liquid curing type adhesive, a two-liquid solvent type adhesive, and a one-part solvent type adhesive. Examples of the two-component curing adhesives include acrylic adhesives, two-component solvent adhesives, polyester adhesives, aromatic polyester adhesives, aliphatic polyester adhesives, polyester / polyurethane adhesives, polyether / polyurethane adhesives, ) May be a polyether / polyurethane-based resin.

상기 접착제층은, 필요하면 적절히 첨가제를 함유하는 것이어도 된다. 첨가제의 예로는, 카르보닐 화합물 등으로 대표되는 전자선에 의한 경화 속도나 감도를 높이는 증감제, 실란 커플링제, 티탄 커플링제 등의 커플링제, 에틸렌옥사이드로 대표되는 접착 촉진제, 투명 보호 필름과의 젖음성을 향상시키는 첨가제, 아크릴옥시기 화합물이나 탄화수소계 (천연, 합성 수지) 등으로 대표되고, 기계적 강도나 가공성 등을 향상시키는 첨가제, 자외선 흡수제, 노화 방지제, 염료, 가공 보조제, 이온 트랩제, 산화 방지제, 점착 부여제, 충전제 (금속 화합물 필러 이외), 가소제, 레벨링제, 발포 억제제, 대전 방지제, 내열 안정제, 내가수분해 안정제 등의 안정제 등을 들 수 있다.The adhesive layer may suitably contain an additive if necessary. Examples of the additives include coupling agents such as a sensitizer, a silane coupling agent, and a titanium coupling agent, which increase the curing rate and sensitivity by electron beams typified by carbonyl compounds, adhesion promoters such as ethylene oxide, wettability with a transparent protective film Additives for improving mechanical strength and processability, ultraviolet absorbers, antioxidants, dyes, processing aids, ion trapping agents, antioxidants, antioxidants and the like which are represented by acryloxy group compounds and hydrocarbon series (natural and synthetic resins) , A tackifier, a filler (other than a metal compound filler), a plasticizer, a leveling agent, a foam inhibitor, an antistatic agent, a heat stabilizer, and a stabilizer such as a moisture stabilizer.

상기 편광자의 양면에 투명 보호 필름을 접착제층을 개재하여 첩합함으로써 편광판이 얻어지는데, 접착제층과 투명 보호 필름 또는 편광자 사이에는 하도층 (下塗層) 이나 접착 용이 처리층 등을 형성해도 된다.A polarizing plate is obtained by bonding a transparent protective film to both sides of the polarizer via an adhesive layer. A lower layer (undercoat layer) or an easy-to-adhere treatment layer may be formed between the adhesive layer and the transparent protective film or polarizer.

상기 제조법에 의해 형성되는 접착제층이 수계 접착제 등에 의해 형성되는 경우에는, 상기 접착제층의 두께는 30 ∼ 300 ㎚ 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접착제층의 두께는, 더욱 바람직하게는 60 ∼ 250 ㎚ 이다. 한편, 접착제층이 경화형 접착제에 의해 형성되는 경우에는, 상기 접착제층의 두께는 0.1 ∼ 200 ㎛ 인 것이 바람직하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0.5 ∼ 50 ㎛, 더욱 바람직하게는 0.5 ∼ 10 ㎛ 이다.When the adhesive layer formed by the above production method is formed of an aqueous adhesive or the like, the thickness of the adhesive layer is preferably 30 to 300 nm. The thickness of the adhesive layer is more preferably 60 to 250 nm. On the other hand, when the adhesive layer is formed by a curing adhesive, the thickness of the adhesive layer is preferably 0.1 to 200 mu m. More preferably 0.5 to 50 占 퐉, and still more preferably 0.5 to 10 占 퐉.

상기 편광판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편광자와 투명 보호 필름을 첩합한 후에는, 접착제의 종류에 따라 경화 공정이 실시된다. 수계 접착제를 사용한 경우에는 건조 공정이 실시된다. 건조 공정의 건조 조건은, 통상적으로 건조 온도 40 ∼ 100 ℃ 정도에서 건조 시간 1 ∼ 10 분간 정도이다. 라디칼 경화형 접착제의 경우에는, 예를 들어 전자선, 자외선 등이 조사된다.In the method for producing a polarizing plate, after the polarizer and the transparent protective film are laminated, a curing process is performed depending on the kind of the adhesive. When an aqueous adhesive is used, a drying step is carried out. Drying conditions of the drying step are usually about 40 to 100 DEG C at a drying temperature and about 1 to 10 minutes for a drying time. In the case of the radical-curable adhesive, for example, an electron beam, an ultraviolet ray, or the like is irradiated.

본 발명의 제조 방법에 의해 얻어지는 편광판은, 실용시에 다른 광학층과 적층한 광학 필름으로서 사용할 수 있다. 그 광학층에 대해서는 특별히 한정은 없지만, 예를 들어 반사판이나 반투과판, 위상차판 (1/2 이나 1/4 등의 파장판을 포함한다), 시각 보상 필름 등의 액정 표시 장치 등의 형성에 사용하는 경우가 있는 광학층을 1 층 또는 2 층 이상 사용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편광판에 추가로 반사판 또는 반투과 반사판이 적층되어 이루어지는 반사형 편광판 또는 반투과형 편광판, 편광판에 추가로 위상차판이 적층되어 이루어지는 타원 편광판 또는 원 편광판, 편광판에 추가로 시각 보상 필름이 적층되어 이루어지는 광시야각 편광판, 혹은 편광판에 추가로 휘도 향상 필름이 적층되어 이루어지는 편광판이 바람직하다.The polarizing plate obtained by the production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sed as an optical film laminated with another optical layer in practical use. The optical layer is not particularly limited. For example, a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such as a reflection plate, a semitransmissive plate, a retardation plate (including a wave plate of 1/2 or 1/4) One or more optical layers that may be used may be used. Particularly, a reflection type polarizing plate or a transflective polarizing plate in which a reflection plate or a transflective reflection plate is further laminated on the polarizing plate of the present invention, an elliptically polarizing plate or a circular polarizing plate in which a retardation plate is laminated in addition to the polarizing plate, Or a polarizing plate in which a brightness enhancement film is laminated on a polarizing plate.

본 발명의 편광판 또는 광학 필름은 액정 표시 장치 등의 각종 장치의 형성 등에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 액정 표시 장치의 형성은, 종래에 준하여 실시할 수 있다. 즉, 액정 표시 장치는, 일반적으로 액정 셀과 편광판 또는 광학 필름, 및 필요에 따른 조명 시스템 등의 구성 부품을 적절히 조립하여 구동 회로를 삽입하는 것 등에 의해 형성되는데, 본 발명에 있어서는 본 발명에 의한 편광판 또는 광학 필름을 사용하는 점을 제외하고 특별히 한정은 없어, 종래에 준할 수 있다. 액정 셀에 대해서도, 예를 들어 TN 형이나 STN 형, π 형 등의 임의의 타입의 것을 사용할 수 있다.The polarizing plate or optical film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suitably used for forming various devices such as a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The formation of the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can be carried out conventionally. That is, the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is generally formed by appropriately assembling components such as a liquid crystal cell, a polarizing plate or an optical film, and an illumination system as needed, and inserting a drive circuit. In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no particular limitation except that a polarizing plate or an optical film is used. For the liquid crystal cell, any type of TN type, STN type, or π type, for example, can be used.

액정 셀의 편측 또는 양측에 편광판 또는 광학 필름을 배치한 액정 표시 장치나, 조명 시스템에 백라이트 혹은 반사판을 사용한 것 등의 적절한 액정 표시 장치를 형성할 수 있다. 그 경우, 본 발명에 의한 편광판 또는 광학 필름은 액정 셀의 편측 또는 양측에 설치할 수 있다. 양측에 편광판 또는 광학 필름을 형성하는 경우, 그것들은 동일한 것이어도 되고 상이한 것이어도 된다. 또한, 액정 표시 장치의 형성시에는, 예를 들어 확산판, 안티글레어층, 반사 방지막, 보호판, 프리즘 어레이, 렌즈 어레이 시트, 광 확산판, 백라이트 등의 적절한 부품을 적절한 위치에 1 층 또는 2 층 이상 배치할 수 있다.A suitable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such as a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in which a polarizing plate or an optical film is disposed on one side or both sides of the liquid crystal cell and a backlight or a reflector is used in the illumination system can be formed. In this case, the polarizing plate or optical fil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provided on one side or both sides of the liquid crystal cell. When a polarizing plate or an optical film is formed on both sides, they may be the same or different. In forming a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 suitable part such as a diffusion plate, an anti-glare layer, an antireflection film, a protective plate, a prism array, a lens array sheet, a light diffusion plate, a backlight, Or more.

또, 본 발명의 제조 방법은, 제 1 필름으로서 편광판을 사용하고, 제 2 필름으로서 점착제층을 형성한 세퍼레이터를 사용하고, 편광판에 점착제층이 형성되어 있는 점착제층이 형성된 편광판의 제조 방법에 적용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제조 방법은, 제 1 필름으로서 점착제층이 형성된 편광판 또는 편광판을 사용하고, 제 2 필름으로서 표면 보호 필름을 사용하여, 표면 보호 필름이 형성된 편광판 또는 점착제층이 형성된 편광판의 제조 방법에 적용할 수 있다.The production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lso applicable to a polarizing plate production method in which a polarizer is used as a first film and a pressure sensitive adhesive layer in which a pressure sensitive adhesive layer is formed on a polarizing plate using a separator having a pressure sensitive adhesive layer formed thereon can do. The production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production method of a polarizing plate in which a polarizing plate or a polarizing plate having a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formed thereon is used as the first film and a polarizing plate or a pressure- .

상기 편광판에 광학 기능층을 적층하는 경우에는, 접착제층 또는 점착제층을 개재하여 적층하는 방법이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이 때의 접착제층 또는 점착제층으로는, 특히 점착제로 이루어지는 점착제층이 바람직하게 사용된다.When an optical functional layer is laminated on the polarizing plate, a method of laminating with an adhesive layer or a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is preferably used. As the adhesive layer or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in this case, a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made of a pressure-sensitive adhesive is preferably used.

점착제로 이루어지는 점착제층으로는, 예를 들어 아크릴계, 실리콘계, 폴리에스테르계, 폴리우레탄계, 폴리에테르계, 고무계 등의 종래에 준한 적절한 점착제로 형성할 수 있다. 이 점착제로는, 흡습에 의한 발포 현상이나 박리 현상의 방지, 열 팽창차 등에 의한 광학 특성의 저하나 액정 셀의 휨 방지, 나아가서는 고품질이고 내구성이 우수한 화상 표시 장치의 형성성 등의 점에 의해, 흡습율이 낮고 내열성이 우수한 점착제층인 것이 바람직하고, 나아가서는, 편광판 등의 광학 특성의 변화를 방지하는 점에서, 경화나 건조시에 고온의 프로세스를 필요로 하지 않는 것이고, 장시간의 경화 처리나 건조 시간을 필요로 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관점에서, 편광판이나 광학 필름에는 아크릴계 점착제가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또, 상기 점착제에는 미립자를 첨가하여 광 확산성을 나타내는 점착제층 등으로 할 수도 있다.As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made of a pressure-sensitive adhesive, for example, it can be formed of a pressure-sensitive adhesive suitable for a conventional method such as an acrylic type, a silicone type, a polyester type, a polyurethane type, a polyether type or a rubber type. As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there are problems in that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is prevented from foaming or peeling due to moisture absorption, the optical characteristics are lowered due to the thermal expansion difference and the like, but the curvature of the liquid crystal cell is prevented, and furthermore, the quality of the image display device with excellent durability A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having a low moisture absorptivity and excellent heat resistance, and further, a high-temperature process is not required at the time of curing or drying in order to prevent a change in optical properties of a polarizing plate or the like. It is preferable that the drying time is not required. From such a viewpoint, an acrylic pressure sensitive adhesive is preferably used for the polarizing plate and the optical film. In addition, a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or the like which exhibits light diffusibility by adding fine particles to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may also be used.

이와 같은 접착제층 또는 점착제층은 필요에 따라 필요한 면에 형성하면 되고, 예를 들어 본 발명과 같은 편광자와 투명 보호 필름으로부터 얻어지는 편광판에 대해서 언급하면, 필요에 따라 편광판의 편면 또는 양면, 즉 투명 보호 필름에서는 편광자와 첩착 (貼着) 하는 반대측의 면에 점착제층을 형성하면 된다. 이와 같이 광학 기능층을 적층하기 위해 사용하는 경우의 점착제로 이루어지는 점착제층의 건조 후 두께로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일반적으로 1 ∼ 500 ㎛ 정도이고, 5 ∼ 200 ㎛ 가 바람직하고, 10 ∼ 100 ㎛ 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접착제층 또는 점착제층의 두께를 이 범위로 함으로써, 편광판이나 광학 기능층의 치수 거동에 수반하는 응력을 완화시킬 수 있다.If necessary, the adhesive layer or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may be formed on a necessary surface. For example, the polarizing plate obtained from the polarizer and the transparent protective fil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f necessary, one side or both sides of the polarizing plate, In the film, a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may be formed on the opposite surface to which the polarizer is adhered. The thickness after drying of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composed of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in the case where it is used to laminate the optical functional layer is not particularly limited, but is generally about 1 to 500 μm, preferably 5 to 200 μm, Mu m. By setting the thickness of the adhesive layer or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within this range, the stress accompanying the dimensional behavior of the polarizing plate or the optical functional layer can be relaxed.

상기 점착제로 이루어지는 점착제층이 표면에 노출되는 경우에는, 그 점착제층을 실용에 제공할 때까지의 동안의 오염 방지 등을 목적으로 하여 세퍼레이터로 임시 부착하여 커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세퍼레이터는, 상기 보호 필름 등에 준한 적절한 필름에, 필요에 따라 실리콘계나 장사슬 알킬계, 불소계나 황화몰리브덴 등의 적절한 박리제에 의한 박리 코트를 형성한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When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composed of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is exposed on the surface, it is preferable that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is temporarily adhered and covered with a separator for the purpose of preventing contamination during practical use. As the separator, it is preferable to use a film obtained by forming a release coat with a suitable release agent such as silicon-based, long-chain alkyl, fluorine-based or molybdenum disulfide, if necessary, on a film suitable for the protective film or the like.

또, 표면 보호 필름으로는, 기재 필름에 점착제층을 형성하여 그 점착제층과 함께 기재 필름을 박리할 수 있도록 형성한 것이 사용된다.As the surface protective film, a pressure sensitive adhesive layer may be formed on a base film and the pressure sensitive adhesive layer may be peeled off together with the pressure sensitive adhesive layer.

상기 편광자의 양면에 투명 보호 필름을 접착층을 개재하여 첩합함으로써 편광판이 얻어지는데, 접착층과 투명 보호 필름 또는 편광자 사이에는 하도층이나 접착 용이 처리층 등을 형성해도 된다.A polarizing plate is obtained by bonding a transparent protective film to both surfaces of the polarizer with an adhesive layer interposed therebetween. A primer layer, an easy-to-adhere treatment layer and the like may be formed between the adhesive layer and the transparent protective film or polarizer.

실시예Example

이하에 실시예 및 비교예를 사용하여 본 발명을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들 실시예 및 비교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examples and comparative examples,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se examples and comparative examples.

(편광자의 수분율 측정 방법)(Method of measuring moisture content of polarizer)

얻어진 편광자로부터 180 ㎜×500 ㎜ 의 샘플을 잘라내어, 그 초기 중량 (W (g)) 을 측정하였다. 그 샘플을 120 ℃ 의 건조기 내에서 2 시간 방치한 후, 건조 후 중량 (D (g)) 을 측정하였다. 이들 측정값으로부터 하기 식에 의해 수분율을 구하였다.A sample of 180 mm x 500 mm was cut out from the obtained polarizer, and its initial weight (W (g)) was measured. The sample was allowed to stand in a dryer at 120 캜 for 2 hours, and then the weight (D (g)) after drying was measured. From these measured values, the water content was determined by the following formula.

수분율 (%)={(W-D)/W}×100Moisture content (%) = {(W-D) / W} x 100

<편광자의 제작><Production of Polarizer>

평균 중합도 2400, 비누화도 99.9 몰% 의 두께 75 ㎛ 의 폴리비닐알코올 필름을, 30 ℃ 의 온수 중에 60 초간 침지하여 팽윤시켰다. 이어서, 요오드/요오드화칼륨 (중량비=0.5/8) 의 농도 0.3 % 의 수용액에 침지하고, 3.5 배까지 연신시키면서 필름을 염색하였다. 그 후, 65 ℃ 의 붕산에스테르 수용액 중에서, 토탈 연신 배율이 6 배가 되도록 연신을 실시하였다. 연신 후에, 40 ℃ 의 오븐으로 3 분간 건조를 실시하여 PVA 계 편광자 (두께 23 ㎛) 를 얻었다. 이 편광자의 두께는 23 ㎛, 수분율은 18 중량% 였다.A polyvinyl alcohol film having an average degree of polymerization of 2400 and a degree of saponification of 99.9 mol% and a thickness of 75 mu m was immersed in hot water at 30 DEG C for 60 seconds to swell. Subsequently, the film was dipped in an aqueous solution having a concentration of 0.3% of iodine / potassium iodide (weight ratio = 0.5 / 8) and stretched to 3.5 times. Thereafter, stretching was carried out in an aqueous solution of boric ester at 65 DEG C such that the total draw ratio was 6 times. After stretching, the film was dried in an oven at 40 占 폚 for 3 minutes to obtain a PVA-based polarizer (thickness: 23 占 퐉). The thickness of this polarizer was 23 占 퐉 and the water content was 18% by weight.

<투명 보호 필름><Transparent protective film>

TAC : 두께 60 ㎛ 의 트리아세틸셀룰로오스 필름 (후지 필름사 제조 : TD60UL, 탄성률 4000 ㎫) ;TAC: triacetyl cellulose film having a thickness of 60 占 퐉 (TD60UL, manufactured by Fuji Film Co., Ltd., elastic modulus: 4000 MPa);

COP : 두께 50 ㎛ 의 고리형 폴리올레핀 필름 (닛폰 제온사 제조 : ZEONOR, 탄성률 1800 ㎫) ;COP: a ring-shaped polyolefin film having a thickness of 50 mu m (ZEONOR, manufactured by Nippon Zeon Co., Ltd., elastic modulus: 1800 MPa);

아크릴 : 두께 40 ㎛ 의 아크릴 필름 (탄성률 2000 ㎫) ; 을 나타낸다.Acrylic: an acrylic film having a thickness of 40 占 퐉 (elastic modulus 2000 MPa); .

<활성 에너지선><Active energy ray>

활성 에너지선으로서 자외선 (갈륨 봉입 메탈 할라이드 램프), 조사 장치 : Fusion UV Systems, Inc 사 제조 Light HAMMER10, 밸브 : V 밸브, 피크 조도 : 1600 ㎽/㎠, 적산 조사량 1000/mJ/㎠ (파장 380 ∼ 440 ㎚) 를 사용하였다. 또한, 자외선의 조도는, Solatell 사 제조 Sola-Check 시스템을 사용하여 측정하였다.UV light (gallium-encapsulated metal halide lamp) as active energy ray, irradiation device: Light HAMMER10 manufactured by Fusion UV Systems, Inc., valve: V valve, peak illuminance: 1600 mW / cm2, cumulative irradiation amount 1000 / mJ / 440 nm) was used. The illuminance of the ultraviolet ray was measured using a Sola-Check system manufactured by Solatell.

<활성 에너지선 경화형 접착제의 조제><Preparation of active energy ray-curable adhesive>

라디칼 중합성 화합물 (A) 로서 N-하이드록시에틸아크릴아미드 (쿄진사 제조) 를 38.3 부, 38.3 parts of N-hydroxyethyl acrylamide (manufactured by Kyokushin K.K.) as the radical polymerizable compound (A)

라디칼 중합성 화합물 (B) 로서 트리프로필렌글리콜디아크릴레이트 (상품명 : 아로닉스 M-220, 토아 합성사 제조) 를 19.1 부, , 19.1 parts of tripropylene glycol diacrylate (trade name: Aronix M-220, manufactured by TOAGOSEI CO., LTD.) As the radical polymerizable compound (B)

라디칼 중합성 화합물 (C) 로서, 아크릴로일모르폴린 (쿄진사 제조) 을 38.3 부, 및 As the radical polymerizable compound (C), 38.3 parts of acryloylmorpholine (manufactured by Kyokushin Co., Ltd.)

광 중합 개시제 (상품명 : KAYACURE DETX-S, 디에틸티오크산톤, 닛폰 화약사 제조) 1.4 부를 혼합하여 50 ℃ 에서 1 시간 교반하여 활성 에너지선 경화형 접착제를 얻었다.And 1.4 parts of a photopolymerization initiator (trade name: KAYACURE DETX-S, diethyl thioxanthone, manufactured by Nippon Kayaku Co., Ltd.) were mixed and stirred at 50 ° C for 1 hour to obtain an active energy ray curable adhesive.

실시예 1Example 1

<편광판의 제작><Production of Polarizer>

도 1 에 나타내는 방법으로 편광판을 제작하였다. 편광자 (A) 에는 상기 편광자를 사용하였다. 제 1 투명 보호 필름 (B1) 에는 상기 두께 50 ㎛ 의 고리형 폴리올레핀 필름을 사용하였다. 당해 고리형 폴리올레핀 필름 상에, 두께 0.5 ㎛ 의 우레탄계 접착 용이층을 형성한 후에, 당해 접착 용이층에, 상기 활성 에너지선 경화형 접착제를, MCD 코터 (후지 기계사 제조) (셀 형상 : 허니컴, 그라비아 롤선 수, 1000 개/inch, 회전 속도 140 %/라인에 대한 속도) 를 사용하여 접착제층의 두께가 0.5 ㎛ 가 되도록 도공하였다. 제 2 투명 보호 필름 (B2) 에는, 상기 고리형 폴리올레핀 필름 대신에 TAC 필름을 사용한 것 이외에는, 상기와 동일하게 하여 접착층이 형성된 TAC 필름을 제작하였다. 이어서, 상기 접착제층을 개재하여, 상기 제 1 투명 보호 필름 (B1) 및 제 2 투명 보호 필름 (B2) 을, 상기 편광자 (A) (편광자) 의 양면에 롤기로 첩합하였다. 롤기에는 제 1 롤 (R1) 로서 직경 200 ㎜ 의 철 롤을 사용하고, 제 2 롤 (R2) 로서 직경 200 ㎜ 의 경도 60°의 탄성 롤을 사용하였다. 도 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투명 보호 필름 (B1) 은 제 2 롤 (R2) 측으로부터, 제 2 투명 보호 필름 (B2) 은 제 1 롤 (R1) 측으로부터 반송하였다. 그 후, 첩합한 제 1 및 제 2 투명 보호 필름의 양측으로부터, IR 히터를 사용하여 50 ℃ 로 가온하고, 상기 자외선을 양면에 조사하여 활성 에너지선 경화형 접착제를 경화시켰다. 또한, 70 ℃ 에서 3 분간 열풍 건조시켜, 편광자의 양면에 투명 보호 필름을 갖는 편광판을 얻었다. 첩합의 라인 속도는 25 m/min 으로 실시하였다.A polarizing plate was produced by the method shown in Fig. The polarizer (A) used was the polarizer. For the first transparent protective film (B1), a cyclic polyolefin film having a thickness of 50 mu m was used. After the urethane-based easy-adhesion layer having a thickness of 0.5 탆 was formed on the cyclic polyolefin film, the active energy ray-curable adhesive was applied to the easy-to-stick layer using an MCD coater (manufactured by Fuji Machinery Co., Number of rolls, number of rolls / inch, speed of rotation of 140% / line) was applied so that the thickness of the adhesive layer became 0.5 탆. A TAC film having an adhesive layer formed thereon was prepared in the same manner as described above, except that the TAC film was used in place of the cyclic polyolefin film in the second transparent protective film (B2). Subsequently, the first transparent protective film (B1) and the second transparent protective film (B2) were bonded to both sides of the polarizer (A) (polarizer) with a roll roll through the adhesive layer. An iron roll having a diameter of 200 mm was used as the first roll R 1 and an elastic roll having a diameter of 200 mm and a hardness of 60 ° was used as the second roll R 2. As shown in Fig. 1, the first transparent protective film (B1) was transported from the second roll (R2) side and the second transparent protective film (B2) was transported from the first roll (R1) side. Thereafter, from both sides of the combined first and second transparent protective films, the film was heated to 50 DEG C by using an IR heater, and the ultraviolet rays were irradiated to both sides to cure the active energy ray curable adhesive. Further, hot air drying was conducted at 70 캜 for 3 minutes to obtain a polarizing plate having a transparent protective film on both sides of the polarizer. The line speed of the coupling was 25 m / min.

실시예 2 ∼ 4, 비교예 1 ∼ 4Examples 2 to 4 and Comparative Examples 1 to 4

실시예 1 에 있어서, 제 1 투명 보호 필름, 제 2 투명 보호 필름의 종류, 제 1 롤, 제 2 롤의 종류를 표 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바꾼 것 이외에는, 실시예 1 과 동일하게 하여 편광판을 얻었다.A polarizing plate was obtain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1 except that the first transparent protective film, the kind of the second transparent protective film, the kind of the first roll and the kind of the second roll were changed as shown in Table 1 .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제작한 편광판에 대하여 하기 평가를 실시하였다. 결과를 표 1 에 나타낸다.The following evaluations were performed on the polarizing plates produced in Examples and Comparative Examples. The results are shown in Table 1.

(컬)(curl)

얻어진 편광판을 수평판 상에 정치 (靜置) 하여, 편광판의 변부와 수평판의 거리가 최대가 되는 지점의 길이를 컬량 (㎜) 으로 하였다.The obtained polarizing plate was allowed to stand on a horizontal plate, and the length of a point at which the distance between the edge of the polarizing plate and the horizontal plate became maximum was defined as a curl amount (mm).

(외관 : 기포의 확인)(Appearance: Confirmation of air bubbles)

얻어진 편광판으로부터 1000 ㎜×1000 ㎜ 의 샘플을 잘라내어, 편광자와 투명 보호 필름 사이의 기포의 수를 확인하였다.Samples of 1000 mm x 1000 mm were cut out from the obtained polarizing plate to confirm the number of bubbles between the polarizer and the transparent protective film.

Figure pat00001
Figure pat00001

상기 표 1 의 결과로부터 명백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실시예에서는 컬량이 10 ㎜ 이하로, 컬을 작게 억제할 수 있게 되어 있다. 이러한 컬량이 편광판을 32 인치 사이즈에 적용한 경우의 컬 요구값을 만족시킬 수 있다.As apparent from the results of Table 1,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url amount is 10 mm or less in the embodiment, and the curl can be suppressed to be small. This curl amount can satisfy the curl demand value when the polarizing plate is applied to a 32 inch size.

A : 편광자
B1 : 제 1 투명 보호 필름 (저탄성 필름)
B2 : 제 2 투명 보호 필름 (고탄성 필름)
R1 : 제 1 롤 (저경도 롤)
R2 : 제 2 롤 (고경도 롤)
A: Polarizer
B1: first transparent protective film (low elastic film)
B2: second transparent protective film (high elasticity film)
R1: first roll (low-hardness roll)
R2: second roll (high hardness roll)

Claims (5)

편광자의 양면에, 제 1 투명 보호 필름 및 제 2 투명 보호 필름을 접착층을 개재하여, 1 쌍의 롤 사이를 동시에 통과함으로써 압착하여 첩합하는 편광판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 1 투명 보호 필름 및 제 2 투명 보호 필름은, 탄성률 (㎫)×두께 (㎛) 의 값으로 정의되는 탄성이 상이하고, 높은 탄성을 갖는 쪽을 고탄성 필름, 낮은 탄성을 갖는 쪽을 저탄성 필름이라고 정의하고,
또한, 상기 1 쌍의 롤은 각각의 롤 경도가 상이하고, 고경도를 갖는 쪽을 고경도 롤, 낮은 경도를 갖는 쪽을 저경도 롤이라고 정의하는 경우에,
상기 저경도 롤측으로부터 고탄성 필름을 반송하고,
상기 고경도 롤측으로부터 저탄성 필름을 반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광판의 제조 방법.
A method for producing a polarizing plate in which a first transparent protective film and a second transparent protective film are bonded to both surfaces of a polarizer by passing through a pair of rolls simultaneously through an adhesive layer,
The first transparent protective film and the second transparent protective film have different elasticity defined by the values of the modulus of elasticity (MPa) x thickness (占 퐉), the one having a high elasticity is called a high elasticity film, Film,
In the case where the pair of rolls is defined as a high hardness roll having a different hardness and a hardness roll having a different hardness and a low hardness roll having a low hardness,
The high-elasticity film is transported from the low-hardness roll side,
And the low-elasticity film is transported from the high-hardness roll side.
제 1 항에 있어서,
적어도 저경도 롤이 금속제 심부가 고무층 또는 수지층으로 코팅된 탄성 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광판의 제조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at least the low-hardness roll is an elastic roll wherein the metallic core is coated with a rubber layer or a resin layer.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고경도 롤이 금속 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광판의 제조 방법.
3.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Wherein the high-hardness roll is a metal roll.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고경도 롤 및 저경도 롤이 모두 금속제 심부가 고무층 또는 수지층으로 코팅된 탄성 롤이고, 고경도 롤 및 저경도 롤의 경도차가 10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광판의 제조 방법.
3.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Wherein the hardness roll and the low-hardness roll are all elastic rolls coated with a rubber layer or a resin layer, and the difference in hardness between the high-hardness roll and the low-hardness roll is 10 or more.
제 2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탄성 롤의 롤 경도가 40 ∼ 10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광판의 제조 방법.
5.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2 to 4,
And the roll hardness of the elastic roll is 40 to 100 DEG.
KR1020130136755A 2012-12-13 2013-11-12 Method for producing polarizing plate KR102050607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2-272608 2012-12-13
JP2012272608A JP6000103B2 (en) 2012-12-13 2012-12-13 Manufacturing method of polarizing plat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77102A true KR20140077102A (en) 2014-06-23
KR102050607B1 KR102050607B1 (en) 2019-11-29

Family

ID=509081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36755A KR102050607B1 (en) 2012-12-13 2013-11-12 Method for producing polarizing plate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6000103B2 (en)
KR (1) KR102050607B1 (en)
CN (1) CN103869398B (en)
TW (1) TWI669541B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12288A (en) * 2014-07-23 2016-02-03 주식회사 엘지화학 Rework method of polarizing plate and optical member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953870B2 (en) * 1992-07-28 1999-09-27 松下電工株式会社 Earth leakage breaker
KR20160028316A (en) * 2014-09-03 2016-03-11 스미또모 가가꾸 가부시키가이샤 Adhesive composition and polarizing plate using the same
JP6075424B2 (en) * 2014-09-30 2017-02-08 住友化学株式会社 Polarizing plate,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nd organic electroluminescence display device
CN107111035B (en) * 2014-12-12 2020-05-29 住友化学株式会社 Polarizing film manufacturing method and polarizing film
KR20160088064A (en) * 2015-01-15 2016-07-25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Polarizing plate and image display device comprising the same
JP2016218304A (en) * 2015-05-22 2016-12-22 住友化学株式会社 Laminate an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KR102574554B1 (en) * 2015-06-12 2023-09-06 쓰리엠 이노베이티브 프로퍼티즈 캄파니 Liquid coating method and apparatus using a deformable metal roll
JP6730009B2 (en) * 2015-06-19 2020-07-29 住友化学株式会社 Method for manufacturing polarizing plate with protect film
WO2017098970A1 (en) * 2015-12-10 2017-06-15 日東電工株式会社 Circular polarizing plate and flexible image display device using same
JP6920047B2 (en) * 2015-12-10 2021-08-18 日東電工株式会社 Circularly polarizing plate and flexible image display device using it
WO2017138449A1 (en) * 2016-02-08 2017-08-17 住友化学株式会社 Method for manufacturing layered optical film
CN113613868A (en) * 2019-03-29 2021-11-05 日东电工株式会社 Method for producing glass resin laminate
JP2020115229A (en) * 2020-04-06 2020-07-30 住友化学株式会社 Manufacturing method for polarizing plate with protective film
KR102486829B1 (en) * 2022-07-19 2023-01-10 주식회사 국보옵틱스 Manufacture apparatus of anti-pollution film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84809A (en) 2002-12-05 2004-07-02 Nitto Denko Corp Method for manufacturing polarizing plate, polarizing plate, and image display device using the same
KR20040086570A (en) * 2003-03-31 2004-10-11 스미또모 가가꾸 고오교오 가부시끼가이샤 Polarizer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polarizer
JP2005326531A (en) 2004-05-13 2005-11-24 Nitto Denko Corp Polarizing plate equipped with protecting film, manufacturing method therefor, and image display device using polarizing plate
KR20070097518A (en) * 2005-01-17 2007-10-04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Polarizing plate, method for manufacturing such polarizing plate, optical film and image display device using such optical film
KR20080043699A (en) * 2006-11-14 2008-05-19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Method for producing polarizing plate, polarizing plate, optical film and image display
KR20100084554A (en) * 2007-11-30 2010-07-26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Polarizer, process for producing the same, optical film, and image display
KR20140088536A (en) * 2011-10-07 2014-07-10 스미또모 가가꾸 가부시키가이샤 Method for manufacturing polarizer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79117A (en) * 1994-12-27 1996-07-12 Hitachi Chem Co Ltd Production of color filter
JP2006221158A (en) * 2005-01-17 2006-08-24 Nitto Denko Corp Polarizing plate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and optical film and image display device using the same
JP5446732B2 (en) * 2009-10-30 2014-03-19 住友化学株式会社 Manufacturing method of polarizing plate
JP5399890B2 (en) * 2009-12-28 2014-01-29 住友化学株式会社 Manufacturing method of polarizing plate
JP2012208187A (en) * 2011-03-29 2012-10-25 Sumitomo Chemical Co Ltd Method for manufacturing polarizing plate
JP2012228820A (en) * 2011-04-26 2012-11-22 Nitto Denko Corp Method of producing laminated film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84809A (en) 2002-12-05 2004-07-02 Nitto Denko Corp Method for manufacturing polarizing plate, polarizing plate, and image display device using the same
KR20040086570A (en) * 2003-03-31 2004-10-11 스미또모 가가꾸 고오교오 가부시끼가이샤 Polarizer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polarizer
JP2005326531A (en) 2004-05-13 2005-11-24 Nitto Denko Corp Polarizing plate equipped with protecting film, manufacturing method therefor, and image display device using polarizing plate
KR20070097518A (en) * 2005-01-17 2007-10-04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Polarizing plate, method for manufacturing such polarizing plate, optical film and image display device using such optical film
KR20080043699A (en) * 2006-11-14 2008-05-19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Method for producing polarizing plate, polarizing plate, optical film and image display
JP4335901B2 (en) 2006-11-14 2009-09-30 日東電工株式会社 Manufacturing method of polarizing plate
KR20100084554A (en) * 2007-11-30 2010-07-26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Polarizer, process for producing the same, optical film, and image display
KR20140088536A (en) * 2011-10-07 2014-07-10 스미또모 가가꾸 가부시키가이샤 Method for manufacturing polarizer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12288A (en) * 2014-07-23 2016-02-03 주식회사 엘지화학 Rework method of polarizing plate and optical memb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3869398B (en) 2017-10-17
JP2014119502A (en) 2014-06-30
TW201433833A (en) 2014-09-01
TWI669541B (en) 2019-08-21
CN103869398A (en) 2014-06-18
KR102050607B1 (en) 2019-11-29
JP6000103B2 (en) 2016-09-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40077102A (en) Method for producing polarizing plate
JP5324316B2 (en) Adhesive polarizing plate, image display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102092974B1 (en) Method for producing polarizing plate
KR102229733B1 (en) Laminated film and image display device
WO2013047884A1 (en) Polarizing plat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JP6491789B2 (en) Polarizer, single-protective polarizing film, polarizing film with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image display device, and continuous production method thereof
KR101757062B1 (en) Polarizing plate an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KR102266082B1 (en) Polarizing film, laminated polarizing film, image display panel, and image display device
CN106054437B (en) Polarizing film set with adhesive layer, liquid crystal panel an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CN108474891B (en) Polarizing plate
KR20160076435A (en) Polarizing plate and fabrication method for the same, and polarizing plate set, liquid crystal panel,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CN111512197B (en) Polarizing plate
KR102519866B1 (en) Laminate and liquid crystal dispaly device
JP2020101815A (en) Polarizing plate set
JP6006933B2 (en) Method for producing laminated film
KR101787903B1 (en) Method for producing polarizing plate with protective film
KR20230067701A (en) Polarizer and image display device
KR102169534B1 (en) A set of polarizer, and a liquid crystal panel and a liquid display apparatus using the set of polarizer
KR102587187B1 (en) Method for producing polarizing plate
WO2017169917A1 (en) One-side protected polarizing film, polarizing film with adhesive layer, image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continuously manufacturing image display device
KR20170021754A (en) Polarizing plate for curved image display panel
WO2021131218A1 (en) Flexible image display device and optical multilayer body used in same
KR20230067700A (en) Polarizer and image display device
TW202313344A (en) Retardation layer-equipped polarizing plate and image display device using same
KR20230076853A (en) Polarizer and image display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