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76858A - 소방장비 및 소방장비가 구비된 소방차 - Google Patents

소방장비 및 소방장비가 구비된 소방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76858A
KR20140076858A KR1020120145362A KR20120145362A KR20140076858A KR 20140076858 A KR20140076858 A KR 20140076858A KR 1020120145362 A KR1020120145362 A KR 1020120145362A KR 20120145362 A KR20120145362 A KR 20120145362A KR 20140076858 A KR20140076858 A KR 2014007685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fan
brush
fire
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453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11387B1 (ko
Inventor
주해식
Original Assignee
주해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해식 filed Critical 주해식
Priority to KR10201201453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11387B1/ko
Publication of KR201400768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7685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113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1138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27/00Fire-fighting land vehicle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2/00Fire prevention or containment
    • A62C2/06Physical fire-barriers
    • A62C2/24Operating or controlling mechanis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7/00Ventilation
    • F24F7/04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 F24F7/06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with forced air circulation, e.g. by fan positioning of a ventilator in or against a condui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Ventil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화재 발생 시 불길을 본 소화 장비 쪽으로 돌려 장비 반대쪽으로 퍼지는 것을 막으며, 연기를 제거하여 인명 피해를 줄이고, 화재 공간진입을 용이하게 하여 진화에 도움을 주는 소화 장비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소방장비 및 소방장비가 구비된 소방차{Firefighting Equipment and Fire Truck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소방장비 및 소방장비가 구비된 소방차에 관한 것이다.
화재가 발생된 실내공간에는 화염 뿐만 아니라 유독가스가 가득 찬 상태이기 때문에 화재가 발생된 실내공간에 있는 사람의 생명을 구하기 위해서는 실내공간에 화재가 발생했을 때 실내공간 내부의 유독가스 등을 실외로 배출시켜야 한다.
또한, 화재가 발생된 실내공간 내부의 매연을 실외로 배출시키지 못하면 화재가 발생된 실내공간의 시야를 확보하기 어렵기 때문에 화재가 발생된 실내에 있는 사람이 탈출하는데 어려울 뿐만 아니라 소방관 등이 화재가 발생된 실내에 있는 사람을 구조하는데 어려움이 있었다.
특히, 소방관이 화재의 진압을 위해 실내공간으로 진입할 때 실내의 화염이 일시적으로 소방관이 실내로 들어오는 문을 향해 이동함으로써 소방관이 다치는 문제도 있었다.
그러나 소방차를 비롯한 종래 소방장비 중에는 화재가 발생된 실내공간의 공기를 실외로 배출시키거나 소방관이 화재가 발생한 실내에 진입할 때 화염이 문을 향해 일시적으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장비가 없었다.
또한, 종래 소방장비 중에는 강력한 흡인력(吸引力)으로 불길을 소화장비 쪽으로 바꿔 불길이 소화장비의 반대쪽으로 번지는 것을 방지하는 장비가 없었다.
또한, 종래 소방장비 중에는 불길이 실외로 나오는 부분을 막아주는 수단을 구비한 장비가 없었다.
본 발명은 화재가 발생된 실내공간의 유독가스를 실외로 배출시킴으로써 화재가 발생된 실내공간에 있는 사람을 보호할 수 있는 소화장비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화재가 발생된 실내공간 내부의 매연을 실외로 배출시킴으로써 화재가 발생된 실내공간의 시야를 확보하여 화재 진압을 돕고, 화재가 발생된 실내공간에 있는 사람을 보호하는 소화장비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화재가 발생된 실내공간에서 배출되는 공기를 여과시키는 장비를 실내공간에서 배출되는 각종 잔해로부터 보호 가능한 구조를 가진 소화장비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화재의 진압을 위해 실내공간으로 사람이 진입할 경우 실내의 화염이 일시적으로 사람이 들어오는 문을 향해 이동함으로써 화재 진압을 위해 실내공간으로 진입하는 사람이 다치는 문제를 해결하는 소화장비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강력한 흡인력(吸引力)으로 불길을 소화장비 쪽으로 바꿔 불길이 소화장비의 반대쪽으로 번지는 것을 방지하는 소화장비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불길이 실외로 나오는 부분을 막아주는 수단이 구비된 소화장비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본 발명은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화재가 발생한 실내공간에 착탈 가능할 뿐만 아니라 길이 조절이 가능한 흡입관과, 상기 흡입관이 연결되는 중공기둥형상의 프레임, 상기 프레임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팬, 상기 팬을 회전시키는 팬구동부를 구비하여 상기 실내공간 내부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공기흡입부를 포함하는 소화장비를 제공한다.
상기 흡입관은 상기 실내공간과 실외공간을 연통시키기 위해 실내공간의 외벽에 구비된 장치에 착탈 가능한 접촉관, 상기 프레임에 고정되어 상기 접촉관과 상기 프레임을 연결하는 연결관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접촉관과 상기 연결관은 텔레스코픽(telescopic) 구조로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접촉관은 마주보는 양면이 개방된 중공기둥형상으로 구비되고, 개방된 양면 중 상기 실내공간을 향하는 면에 상기 실내공간에서 배출되는 공기로부터 화재잔해물을 여과하는 접촉관 필터(또는 접촉관 망)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접촉관은 상기 실내공간을 향하는 면에 구비되어 상기 실내공간과 실외공간을 연통시키기 위해 실내공간의 외벽에 구비된 장치 외주면을 실링(sealing)하는 흡착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공기흡입부는 상기 프레임의 내부공간에 구비되는 축지지 프레임, 상기 프레임의 외주면을 관통하도록 구비된 관통홀, 상기 축지지 프레임을 관통하여 상기 팬을 상기 축지지 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시키는 팬회전축을 더 포함하고, 상기 팬구동부는 상기 프레임의 외주면에 고정된 모터, 상기 관통홀을 통해 상기 모터의 회전축과 상기 팬회전축을 연결하는 동력전달수단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동력전달수단은 상기 모터의 회전축에 구비되는 주동풀리, 상기 팬회전축에 구비되는 종동풀리, 상기 관통홀을 통해 상기 주동풀리와 상기 종동풀리를 연결하는 벨트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동력전달수단은 상기 팬회전축에 구비되는 종동기어, 상기 모터의 회전축에 구비되며 상기 관통홀을 통해 상기 종동기어에 연결되는 주동기어로 구비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상기 공기흡입부에 고정되며 상기 흡입관이 위치된 방향과 반대방향에 위치하는 배출관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배출관은 중공기둥형상으로 구비되며, 상기 배출관의 일단은 상기 프레임에 고정되고 상기 배출관의 타단에는 배출되는 공기로부터 화재잔해물을 여과하는 배출관필터(또는 배출관 망)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배출관은 상기 배출관의 외주면에 착탈 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배출관필터에 의해 여과된 화재잔해물이 수집되는 잔해물수집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배출관은 상기 배출관의 내주면에 고정된 브러쉬 지지프레임, 브러쉬 회전축을 통해 상기 브러쉬 지지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는 브러쉬 프레임, 상기 브러쉬 프레임에 고정되며 상기 브러쉬 지지프레임의 회전 시 상기 배출관필터에 잔류하는 화재잔해물을 상기 잔해물수집부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브러쉬가 구비된 잔해물제거부, 상기 배출관의 외주면에 고정되는 브러쉬모터, 상기 브러쉬모터의 회전축과 상기 브러쉬 회전축을 연결하는 브러쉬 동력전달수단이 구비된 브러쉬 구동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흡입관이 위치된 방향과 반대방향에 위치하며 상기 공기흡입부에 고정되는 중공기둥형상의 배출관을 더 포함하되, 상기 공기흡입부는 상기 프레임의 내부공간에 구비되는 축지지 프레임, 상기 프레임의 외주면을 관통하도록 구비된 관통홀, 상기 축지지 프레임을 관통하여 상기 팬을 상기 축지지 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시키는 팬회전축을 더 포함하고, 상기 배출관은 공기를 여과하는 배출관필터, 상기 배출관의 외주면에 착탈 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배출관필터에 의해 여과된 잔해물이 수집되는 잔해물수집부, 상기 배출관의 내주면에 고정된 브러쉬 지지프레임, 브러쉬 회전축을 통해 상기 브러쉬 지지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는 브러쉬 프레임, 상기 브러쉬 프레임에 고정되며 상기 브러쉬 지지프레임의 회전 시 상기 배출관필터에 잔류하는 잔해물을 상기 잔해물수집부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브러쉬가 구비된 잔해물 제거부를 포함하며, 상기 팬구동부는 상기 프레임의 외주면에 고정되며 서로 반대방향을 향해 구비된 제1회전축 및 제2회전축이 구비된 양축모터, 상기 관통홀을 통해 상기 제1회전축과 상기 팬회전축을 연결하는 제1동력전달수단, 상기 제2회전축과 상기 브러쉬 회전축을 연결하는 제2동력전달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동력전달수단은 상기 제1회전축에 구비되는 제1풀리, 상기 팬회전축에 구비되는 종동풀리, 상기 관통홀을 통해 상기 제1풀리와 상기 종동풀리를 연결하는 제1벨트로 구비되고, 상기 제2동력전달수단은 상기 제2회전축에 구비되는 제2풀리, 상기 브러쉬 회전축에 구비되는 종동풀리, 상기 제2풀리와 상기 종동풀리를 연결하는 제2벨트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팬은 중공기둥 형상의 팬바디, 상기 팬바디를 관통하는 바디 관통홀, 상기 팬바디의 내주면에 고정되는 다수의 블레이드를 포함하고, 상기 프레임은 중공기둥 형상의 프레임바디, 상기 프레임바디를 관통하는 프레임 관통홀, 상기 프레임 관통홀에 구비되며 상기 팬바디의 외주면이 수용되는 팬바디 수용홈을 포함하며, 상기 팬구동부는 상기 프레임바디의 외주면에 고정되는 모터, 상기 모터에 구비된 회전축과 상기 팬바디 외주면을 연결하는 벨트로 구비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화재가 발생한 실내공간에 착탈 가능한 흡입관, 상기 흡입관이 연결되는 중공기둥형상의 프레임, 상기 프레임의 내부에 공기를 공급하는 송풍수단을 구비하여 상기 실내공간 내부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키고 실내공간의 불길이 상기 프레임을 향하게 만드는 공기흡입부를 포함하되, 상기 프레임은 외관을 형성하는 프레임바디, 상기 프레임바디를 관통하는 프레임 관통홀, 상기 프레임바디 내부에 구비되며 상기 송풍수단으로부터 공기를 공급받는 공기유로, 상기 프레임바디가 절개되어 구비되며 상기 흡입관이 위치된 방향과 반대방향으로 상기 공기유로 내부의 공기를 배출시키는 슬릿을 포함하는 소화장비를 제공한다.
한편, 본 발명은 본체, 상기 본체에 구비되어 상기 본체의 이동을 가능하게 하는 바퀴, 상기 본체의 상부에 길이신장이 가능하게 구비된 승강수단, 승강수단에 구비되어 사람이 탑승 가능한 탑승부, 상기 탑승부에 착탈 가능하며 화재가 발생한 실내공간 내부의 공기를 실외로 배출시키는 소화장비를 포함하며, 상기 소화장비는화재가 발생한 실내공간에 착탈 가능한 흡입관, 상기 흡입관이 연결되는 중공기둥형상의 프레임, 상기 프레임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팬, 상기 팬을 회전시키는 팬구동부, 상기 탑승부에 착탈 가능하며 상기 프레임이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는 지지대가 구비된 공기흡입부를 포함하는 소방차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화재가 발생된 실내공간의 유독가스를 실외로 배출시킴으로써 화재가 발생된 실내공간에 있는 사람을 보호할 수 있는 소화장비를 제공하는 효과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화재가 발생된 실내공간 내부의 매연을 실외로 배출시킴으로써 화재가 발생된 실내공간의 시야를 확보하여 화재 진압을 돕고, 화재가 발생된 실내공간에 있는 사람을 보호하는 소화장비를 제공하는 효과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화재가 발생된 실내공간에서 배출되는 공기를 여과시키는 장비를 실내공간에서 배출되는 각종 잔해로부터 보호 가능한 구조를 가진 소화장비를 제공하는 효과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화재의 진압을 위해 실내공간으로 사람이 진입할 경우 실내의 화염이 일시적으로 사람이 들어오는 문을 향해 이동함으로써 화재 진압을 위해 실내공간으로 진입하는 사람이 다치는 문제를 해결하는 소화장비를 제공하는 효과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강력한 흡인력(吸引力)으로 불길을 소화장비 쪽으로 바꿔 불길이 소화장비의 반대쪽으로 번지는 것을 방지하는 소화장비를 제공하는 효과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불길이 실외로 나오는 부분을 막아주는 수단이 구비된 소화장비를 제공하는 효과를 도모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 소화장비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 소화장비에 구비된 공기흡입부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 소화장비에 구비되는 접촉관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 소화장비에 구비되는 배출관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 소화장비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 소화장비의 또 다른 실시예의 사시도이다.
도 7과 도 8은 본 발명 소화장비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특별한 정의가 없는 한 본 명세서의 모든 용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가 이해하는 당해 용어의 일반적 의미와 동일하고, 만약 본 명세서에 사용된 용어가 당해 용어의 일반적 의미와 충돌하는 경우에는 본 명세서에 사용된 정의에 따른다.
한편, 이하에 기술될 장치의 구성이나 제어방법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한정하기 위함은 아니며, 명세서 전반에 걸쳐서 동일하게 사용된 참조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 소화장비(100)는 화재가 발생된 실내공간에 착탈 가능한 흡입관(1, 3), 상기 흡입관이 고정되며 상기 실내공간 내부의 공기를 실외로 배출시키는 공기흡입부(5), 상기 공기흡입부(5)를 통해 배출되는 공기를 여과하는 배출관(7)을 포함한다.
상기 흡입관은 실내공간과 실외공간을 연통시키기 위해 실내공간의 외벽에 구비되는 장치(창문, 환기구 등)에 착탈 가능한 접촉관(1), 상기 접촉관과 상기 공기흡입부(5)을 연결하는 연결관(3)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접촉관(1)은 내부가 빈 중공기둥형상으로 구비된다. 즉, 상기 접촉관(1)은 마주보는 양면이 개방된 원기둥, 마주보는 양면이 개방된 사각기둥 등으로 구비될 수 있다.
다만, 중공 원기둥 및 중공 사각기둥은 중공기둥형상의 일례에 불과하므로 상기 접촉관(1)은 내부가 비어있고 마주보는 양면이 개방되는 한 어떠한 형태의 단면형상으로 구비되어도 무방하다.
한편, 화재가 발생된 실내공간을 향하는 상기 접촉관(1)의 일면에는 실내에서 배출되는 공기로부터 화재잔해물을 여과하는 접촉관필터(11, 접촉관 망)가 구비될 수 있다. 이는 실내공간에서 배출되는 화재잔해물에 의해 소화장비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나아가, 화재가 발생된 실내공간을 향하는 상기 접촉관(1)의 일면에는 실내공간과 실외공간을 연통시키기 위해 실내공간의 외벽에 구비되는 장치의 외주면을 실링하는 흡착부(1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흡착부(13)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내공간과 실외공간을 연통시키기 위해 실내공간의 외벽에 구비되는 장치의 외주면 형상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즉, 창문의 가장자리에 흡착되어 창문의 가장자리를 밀폐시키는 것이 목적이라면 상기 흡착부(13)는 사각형상을 가지도록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창문 가장자리의 밀폐를 위해 상기 흡착부(13)의 외주면에는 고무와 같은 실링부재(131)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실링부재(131)는 불연성재질로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본 발명 소화장비는 불길이 실내공간과 실외공간을 연통시키기 위해 실내공간의 외벽에 구비되는 장치(창문 등) 밖으로 나오는 곳에서 막으므로 불길이 화재가 발생한 공간의 상부로 번지는 것을 막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상기 연결관(3)은 마주보는 양면이 개방된 중공기둥형상으로 구비되되 일단은 공기흡입부(5)에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접촉관(1)에 연결된다.
상기 연결관(3)과 상기 접촉관(1)은 텔레스코픽(telescopic) 구조로 결합될 수 있는데 이는 연결관(3)을 통해 접촉관(1)의 길이 신장을 가능하게 함으로써 화재가 발생된 실내공간에 소화장비의 사용자가 가까이 접근하기 어려운 경우, 화재가 발생된 실내공간에 소화장비의 사용자가 가까이 접근함으로써 발생될 수 있는 사고를 방지하기 위함이다.
즉, 상기 접촉관(1)은 연결관(3)에서 인출 가능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도 1은 하나의 연결관(3)이 구비된 경우를 도시하고 있지만 본 발명 소화장비(100)에 구비되는 연결관(3)은 다수 개로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각각의 연결관은 텔레스코픽 구조로 결합되어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한편, 접촉관과 연결관의 텔레스코픽 구조는 접촉관(1)이 연결관(3) 내부에 삽입되도록 접촉관(1)의 지름을 연결관(3)의 지름보다 작게 함으로써 구현될 수도 있고, 연결관(3)이 접촉관(1)의 내부에 삽입되도록 접촉관(1)의 지름을 연결관(3)의 지름보다 크게함으로써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에 구비된 공기흡입부(5)는 실내공간에 연결된 접촉관(1) 및 연결관(3)을 통해 실내 공기를 실외로 배출시키는 수단이다.
상기 공기흡입부(5)는 외관을 형성하는 프레임(51), 상기 프레임에 구비되는 축지지 프레임(52), 팬회전축(54)을 통해 축지지 프레임(52)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팬(53), 상기 팬을 회전시키는 팬구동부(55) 및 상기 프레임이 지면에 지지될 수 있도록 하는 지지대(56)를 포함한다.
상기 프레임(51)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주보는 양단이 개방된 중공기둥형상으로 구비되는데 상기 축지지 프레임(52)은 상기 프레임(51)의 내주면에 고정된다.
도 2는 3개의 바가 프레임(51)의 중심에서 프레임의 내주면을 향해 방사상으로 배치된 축지지 프레임(52)을 도시하고 있지만 상기 축지지 프레임(52)의 형상은 도 2에 도시된 형태로 제한될 필요는 없다.
즉, 상기 축지지 프레임(52)은 프레임(51)의 내주면에서 프레임(51)을 중심을 향해 연장되는 하나의 바로 구비되어도 무방하다.
상기 팬(53)은 축지지 프레임(52)을 관통하는 팬회전축(54)에 의해 축지지 프레임(52)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된다.
한편, 상기 팬구동부(55)는 프레임(51)의 외주면에 고정되는 모터(551)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모터(551)가 프레임(51)의 외주면에 고정되는 것은 모터의 보호를 위함이다.
즉, 본 발명 소화장비(100)는 화재가 발생된 실내공간 내부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장치이기 때문에 모터(551)와 같은 팬구동부가 프레임(51)의 내부와 같은 공기유로 상에 구비될 경우 뜨거운 공기에 의해 손상될 가능성이 크다. 따라서, 모터(551)를 프레임(51)의 외주면에 고정시키면 상술한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
한편, 프레임(51)의 내부에 위치한 팬(53)이 프레임(51)의 외주면에 고정된 모터(551)로부터 회전동력을 전달받기 위해서는 별도의 동력전달수단이 필요하다.
본 발명에 구비되는 동력전달수단은 모터회전축(552)에 구비되는 주동풀리(553), 팬회전축(54)에 구비되는 종동풀리(541), 상기 주동풀리와 종동풀리를 연결하는 벨트(555)로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프레임(51)의 외주면에는 관통홀(511)을 구비시켜 상기 벨트(555)가 프레임의 외주면을 관통할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동력전달수단은 모터회전축(552)에 구비되는 주동기어, 상기 팬회전축(54)에 구비되는 종동기어로 구비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주동기어는 관통홀(511)을 통해 종동기어에 연결되어야 할 것이다. 다만, 주동기어와 종동기어 사이의 거리가 너무 먼 경우, 상기 동력전달수단은 관통홀(511)을 통해 주동기어와 종동기어를 연결하는 체인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지대(56)은 공기흡입부(5)를 지면 또는 소방차에 구비된 탑승부(미도시)에 지지시키는 수단으로 상기 프레임(51)의 외주면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지지대(56)는 상하회전축(561)을 통해 프레임(51)의 외주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됨이 바람직하다. 이를 통해 상기 접촉관(1) 및 연결관(3)은 상하회전축(561)을 중심으로 지면에 대해 상하방향 회전이 가능하다.
나아가, 상기 지지대(56)는 프레임(51)의 좌우방향 회전을 가능하게 하는 좌우회전축(56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접촉관(1) 및 연결관(3)은 좌우회전축(562)을 중심으로 좌우방향 회전이 가능할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 소화장비(100)에 구비되는 배출관(7)의 사시도로, 상기 배출관(7)은 마주보는 양면이 개방된 중공기둥형상으로 구비된다.
상기 배출관(7)의 일단은 상기 프레임(51)에 고정되는데 배출관의 타단에는 팬(53)을 통해 이동하는 공기에서 화재잔해물을 여과하는 배출관필터(71)가 구비된다.
나아가, 상기 배출관(7)의 외주면에는 상기 배출관필터(71)에 의해 여과된 화재잔해물을 저장하는 잔해물 수집부(72)가 구비된다.
상기 잔해물 수집부(72)는 배출관(7)의 외주면에 착탈 가능하도록 구비(나사결합 등)되며, 소화장비(100)의 사용이 종료된 경우 사용자가 화재잔해물을 처리할 수 있도록 배출관(7)의 외부에 위치됨이 바람직하다.
이하에서는 도 1을 참고하여 본 발명 소화장비(100)의 사용례에 대해 설명한다.
화재가 발생된 실내공간의 외벽에 형성된 창문 등에 접촉관(1)을 연결하여 창문의 가장자리를 밀폐시킨다. 이 때 사용자가 화재가 발생한 실내공간에 가까이 접근하는 것이 어렵다면 사용자는 텔레스코픽 구조로 연결관(3)에 결합된 접촉관(1)을 연결관(3)에서 인출시킴으로써 접촉관(1)을 실내공간을 실외와 연통시키기 위해 실내공간의 외벽에 구비된 장치(창문 등)에 연결할 수 있을 것이다.
접촉관(1)이 실내공간을 실외와 연통시키기 위해 실내공간의 외벽에 구비된 장치에 연결되면 사용자는 팬구동부(55)를 통해 팬(53)을 회전시킨다.
팬(53)이 회전되면 화재가 발생된 실내공간 내부의 공기는 접촉관(1), 연결관(3) 및 배출관(7)을 통해 실외로 배출되므로 실내공간에 있는 유독가스가 실외로 배출할 수 있다. 따라서, 화재가 발생된 실내공간에 있는 인명을 보호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화재진압을 위해 실내공간에 있는 인명도 보호할 수 있게 된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은 화재가 발생된 실내공간 내부의 매연을 실외로 배출시킴으로써 화재가 발생된 실내공간의 시야를 확보하여 화재 진압을 돕고, 화재가 발생된 실내공간에 있는 사람을 보호할 수 있다.
또한, 실내공간에서 배출되는 공기는 접촉관필터(11)에서 여과된 뒤 공기흡입부(5)를 통과하므로 소화장비(100)가 화재잔해물에 의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접촉관필터(11)를 통과하였음에도 공기에 잔류하는 화재잔해물들은 배출관필터(71)를 통해 한번 더 여과되며, 배출관필터(71)에 잔류하는 화재잔해물은 잔해물 수집부(72)에 수집될 것이다.
한편, 본 발명 소화장비(100)를 통해 실내공간 내부의 공기를 실외로 배출시키면 소방관과 같이 화재진압을 위해 실내공간으로 진입하는 인명을 보호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즉, 화재의 진압을 위해 화재가 발생된 실내공간으로 소방관이 진입할 경우 실내의 화염이 소방관이 들어오는 문을 향해 갑자기 이동함으로써 소방관이 다치는 사례가 있다. 그러나, 본 발명 소화장비(100)를 통해 화재가 발생된 실내공간의 공기를 실외로 배출시키면 상술한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 소화장비(100)에 의해 실내공기가 접촉관(1)을 향해 이동하므로 소방관이 문을 열고 화재현장으로 진입하더라도 화염이 문을 향해 갑자기 이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본 발명 소화장비는 강력한 흡인력(吸引力)으로 불길을 장비 쪽으로 바꿔 소화장비가 위치된 방향의 반대방향으로 불길이 번지는 것도 막을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 소화장비(100)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 본 실시예에 따른 배출관(7)은 배출관필터(71)에 잔류하는 화재잔해물을 잔해물 수집부(72)로 이동시키는 잔해물 제거부(74) 및 브러쉬 구동부(75)를 더 포함하는 것이 특징이다.
상기 잔해물 제거부(74)는 브러쉬 회전축(745)을 통해 상기 배출관(7)의 내주면에 고정된 브러쉬 지지프레임(73)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는 브러쉬 프레임(741), 상기 프러쉬 프레임(741)에 고정되며 상기 브러쉬 프레임의 회전 시 상기 배출관필터(71)의 표면에 잔류하는 화재잔해물을 잔해물 수집부(72)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브러쉬(743)를 포함한다.
한편, 상기 브러쉬 구동부(75)는 상기 브러쉬 프레임(741)을 회전시키기 위한 수단으로 배출관(7)의 외주면에 고정되는 브러쉬모터(751)를 포함하는데 브러쉬모터(751)가 제공하는 동력은 동력전달수단을 통해 상기 브러쉬 프레임(741)에 전달된다.
상기 브러쉬모터(751)가 배출관(7)의 외주면에 고정되는 이유는 팬구동부(55)가 프레임(51)의 외주면에 고정되는 이유와 동일한 바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동력전달수단은 브러쉬모터의 회전축(752)에 구비된 주동풀리(753), 브러쉬 회전축(745)에 고정된 종동풀리(747), 상기 주동풀리와 종동풀리를 연결하는 벨트(755)로 구비될 수 있다.
다만, 상기 동력전달수단은 브러쉬모터의 회전축(752)에 구비된 주동기어, 브러쉬 회전축(745)에 고정되어 상기 주동기어에 연결되는 종동기어로 구비되어도 무방하다. 이 경우, 주동기어와 종동기어 사이의 거리가 멀다면 상기 동력전달수단은 주동기어와 종동기어를 연결하는 체인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브러쉬 지지프레임(73)에는 브러쉬(743)와 접촉하여 브러쉬(743)로부터 화재잔해물을 분리시키는 잔해물 제거돌기(732)가 더 구비될 수 있다.
도 5는 배출관필터(71)에만 잔해물 제거부(74) 및 브러쉬 구동부(75)가 구비된 경우를 도시하였지만 상술한 잔해물 제거부(74) 및 브러쉬 구동부(75)는 접촉관(1)에 구비된 접촉관필터(11)에도 구비될 수 있다.
도 5를 참고하여 본 실시예의 사용례에 대해 설명하면, 화재가 발생된 실내에서 배출된 공기는 배출관필터(71)에 의해 여과된다.
상기 배출관필터(71)에 잔류하는 화재잔해물은 배출관(7)의 외부에 위치된 잔해물 수집부(72)로 이동하여 저장되나 화재잔해물 중 일부는 배출관필터(71)에 잔류하게 될 것이다.
배출관필터(71)에 화재잔해물이 잔류하면 본 발명 소화장비(100)를 통해 화재가 발생된 실내공간에서 공기를 배출시키기 어려워질 수 있는데 본 발명 소화장비(100)는 잔해물 제거부(74)를 통해 이와 같은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브러쉬모터(751)를 작동시키면 브러쉬 프레임(741)은 브러쉬 회전축(745)를 기준으로 회전하게 될 것이다. 브러쉬 프레임(741)이 회전하면 배출관필터(71)에 접촉하는 브러쉬(743)도 회전한다.
브러쉬(743)가 회전하면 배출관필터(71)에 잔류하는 화재잔해물은 브러쉬(743)를 따라 이동한다.
한편, 브러쉬(743)는 브러쉬 지지프레임에 구비된 잔해물 제거돌기(732)와 접촉하므로 브러쉬(743)와 함께 이동하는 화재잔해물은 잔해물 제거돌기(732)에 의해 브러쉬에서 분리된 뒤 자중에 의해 배출관(7)의 하부를 향해 낙하한다.
배출관(7)의 하부를 향해 낙하된 화재잔해물은 배출관(7)과 연통하도록 구비된 잔해물 수집부(72)에 저장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소화장비(100)의 사용중 화재잔해물에 의해 배출관필터(71)가 막히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 소화장비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 본 실시예에 따른 소화장비(100)는 하나의 구동부(9, 팬구동부(55) 또는 브러쉬 구동부(75))를 통해 공기흡입부(5)에 구비된 팬(53) 및 배출관(7)에 구비된 잔해물 제거부(74)를 구동시키는 것이 특징이다.
본 실시예에 구비된 구동부(9)는 제1회전축(91) 및 제2회전축(94)이 구비된 양축모터(97)로 구비된다.
양축모터(97)는 외관을 형성하는 케이스 내부에 고정된 스테이터, 상기 스테이터와 전자기적 작용에 의해 상기 케이스 내부에서 회전하는 로터, 상기 로터에 고정되어 상기 케이스의 외부로 노출되는 제1회전축, 상기 로터에 고정되어 케이스의 외부로 노출되되 상기 제1회전축(91)과 반대되는 방향에 구비된 제2회전축(94)을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양축모터(97)는 프레임(51)의 외주면 또는 배출관(7)의 외주면에 고정될 수 있으며 제1동력전달부를 통해 팬회전축(54)과 제1회전축(91)을 연결하고, 제2동력전달수단을 통해 브러쉬 회전축(745)과 제2회전축(94)을 연결한다.
상기 제1동력전달수단은 제1회전축(91)에 고정된 제1풀리(92), 팬회전축(54)에 구비되는 종동풀리(541), 상기 프레임에 구비된 관통홀(511)을 통해 제1풀리(92)와 종동풀리(541)를 연결하는 제1벨트(93)로 구비될 수 있다.
다만, 상기 제1동력전달수단은 팬회전축(54)에 구비되는 종동기어, 제1회전축(91)에 고정되며 상기 프레임에 구비된 관통홀(511)을 통해 종동기어에 연결되는 제1기어로 구비될 수 있다(경우에 따라 제1기어와 종동기어는 체인을 통해 연결될 수 있음).
한편, 상기 제2동력전달수단은 제2회전축(94)에 고정된 제2풀리(95), 브러쉬 회전축(745)에 구비되는 종동풀리(747), 제2풀리(95)와 종동풀리(747)를 연결하는 제2벨트(96)로 구비될 수 있다.
다만, 상기 제2동력전달수단도 브러쉬 회전축(745)에 구비되는 종동기어, 제2회전축(94)에 고정되어 상기 종동기어에 연결되는 제2기어로 구비될 수 있다(경우에 따라 제2기어와 종동기어는 체인을 통해 연결될 수 있음).
도 7은 본 발명 소화장비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 본 실시예에 따른 소화장비는 화재가 발생한 실내공간에서 배출되는 공기에 의해 벨트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공기흡입부(5)를 구비한 것이 특징이다.
즉, 본 실시예에 따른 공기흡입부(5)는 외관을 형성하며 연결관(3)과 배출관(7)이 결합되는 프레임(51), 상기 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팬(53), 상기 프레임(51)의 외부에 구비되어 상기 팬을 회전시키는 팬구동부(55)로 구비된다.
상기 프레임(51)은 중공기둥 형상으로 구비되는 프레임바디(511), 상기 프레임바디를 관통하는 프레임 관통홀(513)을 포함한다.
이 경우, 상기 팬(53)은 프레임 관통홀(513)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데 중공기둥 형상으로 구비되는 팬바디(531), 상기 팬바디를 관통하는 바디관통홀(533), 상기 팬바디(531)의 내주면에 고정되어 바디관통홀(533)에 위치하되 허브(535)를 통해 서로 연결되는 다수의 블레이드(537)로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프레임 관통홀(513)의 내주면에는 팬바디(531)가 수용되는 팬바디수용홈(515)이 더 구비되고, 상기 바디수용홈(515)에는 모터(551)의 회전축(552)과 팬바디(531)의 외주면을 연결하는 벨트(555)가 수용되는 벨트수용홈(517)이 더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프레임바디(511)에는 상기 벨트(555)가 프레임바디(511)를 관통하여 팬바디(531)의 외주면에 권취되도록 하는 관통홀(미도시)이 더 구비되어야 할 것이다.
본 실시예는 공기흡입부(5)의 구성 중 팬(53)을 제외한 모든 구성이 화재가 발생된 실내공간에서 배출되는 열풍이나 화재잔해물과 접촉하지 않으므로 소화장비(100)가 열풍이나 화재잔해물에 의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도 8은 본 발명 소화장비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 본 실시예에 따른 소화장비는 팬이 없는 공기흡입부(5)를 구비한 것이 특징이다.
즉, 본 실시예에 구비되는 공기흡입부(5)는 연결관(3) 및 배출관(7)이 고정되는 프레임(51), 상기 프레임(51)의 외부에 고정되어 상기 프레임(51) 내부로 공기를 공급하는 송풍수단(57)을 포함한다.
상기 프레임(51)은 외관을 형성하는 프레임바디(511), 상기 프레임바디 내부에 구비되는 공기유로(514), 상기 송풍수단(57)과 공기유로(514)를 연통시키는 연통홀(518), 상기 배출관(7)을 향하는 프레임바디(511)의 일면이 절개되어 공기유로(514) 내부의 공기를 상기 배출관(7)으로 배출시키는 슬릿(516)을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송풍수단(57)이 작동하면 공기는 공기유로(514)로 유입되는데 공기유로(514)로 유입된 공기는 슬릿(516)을 통해 배출관(7) 방향으로 이동할 것이다.
공기유로(516) 내부의 공기가 배출관(7)으로 배출되면 배출관(7) 내부의 압력이 낮아지므로 화재가 발생된 실내공간 내부의 공기는 연결관(3) 및 접촉관(1)을 통해 배출관(7) 방향으로 이동할 것이므로 불길을 소화장비가 위치한 방향으로 돌릴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나아가 상술한 소화장비(100)는 소방차에 구비되어 화재 진압에 사용될 수도 있다.
즉, 본체, 상기 본체에 구비되어 상기 본체의 이동을 가능하게 하는 바퀴, 상기 본체의 상부에 길이신장이 가능하게 구비된 승강수단, 승강수단에 구비되어 사람이 탑승 가능한 탑승부가 구비된 소방차에 있어서, 상술한 소방장비는 상기 탑승부에 착탈 가능하게 구비되어 화재가 발생한 실내공간 내부의 공기를 실외로 배출시키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소화장비(100)는 화재가 발생한 실내공간에 착탈 가능한 흡입관(착탈관 및 연결관), 상기 흡입관이 연결되는 중공기둥형상의 프레임, 상기 프레임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팬, 상기 팬을 회전시키는 팬구동부, 상기 탑승부에 착탈 가능하며 상기 프레임이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는 지지대를 포함하도록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다양한 형태로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을 것인바 상술한 실시예에 그 권리범위가 한정되지 않는다. 따라서 변형된 실시예가 본 발명 특허청구범위의 구성요소를 포함하고 있다면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100: 소화장비 1: 접촉관 3: 연결관
5: 공기흡입부 51: 프레임 52: 축지지프레임
53: 팬 54: 팬회전축 55: 팬구동부
56: 지지대 7: 배출관 71: 배출관필터
72: 잔해물수집부 73: 브러쉬 지지프레임 74: 잔해물제거부
741: 브러쉬 프레임 743: 브러쉬 745: 브러쉬 회전축
747: 종동풀리 75: 브러쉬 구동부 751: 브러쉬모터
753: 주동풀리 755: 벨트

Claims (17)

  1. 화재가 발생한 실내공간에 착탈 가능한 흡입관;
    상기 흡입관이 연결되는 중공기둥형상의 프레임, 상기 프레임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팬, 상기 팬을 회전시키는 팬구동부를 구비하여 상기 실내공간 내부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키고 실내공간의 불길이 상기 프레임을 향하게 만드는 공기흡입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화장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관은
    상기 실내공간과 실외공간을 연통시키기 위해 실내공간의 외벽에 구비된 장치에 착탈 가능한 접촉관;
    상기 프레임에 고정되어 상기 접촉관과 상기 프레임을 연결하는 연결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화장비.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관과 상기 연결관은 텔레스코픽(telescopic) 구조로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화장비.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관은
    마주보는 양면이 개방된 중공기둥형상으로 구비되고, 개방된 양면 중 상기 실내공간을 향하는 면에 상기 실내공간에서 배출되는 공기로부터 화재잔해물을 여과하는 접촉관필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화장비.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관은
    상기 실내공간을 향하는 면에 구비되어 상기 실내공간과 실외공간을 연통시키기 위해 실내공간의 외벽에 구비된 장치 외주면을 실링(sealing)하는 흡착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화장비.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흡입부는
    상기 프레임의 내부공간에 구비되는 축지지 프레임;
    상기 프레임의 외주면을 관통하도록 구비된 관통홀;
    상기 축지지 프레임을 관통하여 상기 팬을 상기 축지지 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시키는 팬회전축;을 더 포함하고,
    상기 팬구동부는 상기 프레임의 외주면에 고정된 모터, 상기 관통홀을 통해 상기 모터의 회전축과 상기 팬회전축을 연결하는 동력전달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화장비.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동력전달수단은
    상기 모터의 회전축에 구비되는 주동풀리, 상기 팬회전축에 구비되는 종동풀리, 상기 관통홀을 통해 상기 주동풀리와 상기 종동풀리를 연결하는 벨트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화장비.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동력전달수단은
    상기 팬회전축에 구비되는 종동기어, 상기 모터의 회전축에 구비되며 상기 관통홀을 통해 상기 종동기어에 연결되는 주동기어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화장비.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흡입부에 고정되며 상기 흡입관이 위치된 방향과 반대방향에 위치하는 배출관;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화장비.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관은 중공기둥형상으로 구비되며,
    상기 배출관의 일단은 상기 프레임에 고정되고 상기 배출관의 타단에는 배출되는 공기로부터 화재잔해물을 여과하는 배출관필터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화장비.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관은
    상기 배출관의 외주면에 착탈 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배출관필터에 의해 여과된 화재잔해물이 수집되는 잔해물 수집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화장비.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관은
    상기 배출관의 내주면에 고정된 브러쉬 지지프레임;
    브러쉬 회전축을 통해 상기 브러쉬 지지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는 브러쉬 프레임, 상기 브러쉬 프레임에 고정되며 상기 브러쉬 지지프레임의 회전 시 상기 배출관필터에 잔류하는 화재잔해물을 상기 잔해물 수집부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브러쉬가 구비된 잔해물 제거부;
    상기 배출관의 외주면에 고정되는 브러쉬모터, 상기 브러쉬모터의 회전축과 상기 브러쉬 회전축을 연결하는 브러쉬 동력전달수단이 구비된 브러쉬 구동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화장비.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관이 위치된 방향과 반대방향에 위치하며 상기 공기흡입부에 고정되는 중공기둥형상의 배출관;을 더 포함하되,
    상기 공기흡입부는
    상기 프레임의 내부공간에 구비되는 축지지 프레임;
    상기 프레임의 외주면을 관통하도록 구비된 관통홀;
    상기 축지지 프레임을 관통하여 상기 팬을 상기 축지지 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시키는 팬회전축;을 더 포함하고,
    상기 배출관은
    공기를 여과하는 배출관필터;
    상기 배출관의 외주면에 착탈 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배출관필터에 의해 여과된 화재잔해물이 수집되는 잔해물 수집부;
    상기 배출관의 내주면에 고정된 브러쉬 지지프레임, 브러쉬 회전축을 통해 상기 브러쉬 지지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는 브러쉬 프레임, 상기 브러쉬 프레임에 고정되며 상기 브러쉬 지지프레임의 회전 시 상기 배출관필터에 잔류하는 화재잔해물을 상기 잔해물 수집부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브러쉬가 구비된 잔해물 제거부;를 포함하며,
    상기 팬구동부는
    상기 프레임의 외주면에 고정되며 서로 반대방향을 향해 구비된 제1회전축 및 제2회전축이 구비된 양축모터;
    상기 관통홀을 통해 상기 제1회전축과 상기 팬회전축을 연결하는 제1동력전달수단, 상기 제2회전축과 상기 브러쉬 회전축을 연결하는 제2동력전달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화장비.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1동력전달수단은
    상기 제1회전축에 구비되는 제1풀리, 상기 팬회전축에 구비되는 종동풀리, 상기 관통홀을 통해 상기 제1풀리와 상기 종동풀리를 연결하는 제1벨트로 구비되고,
    상기 제2동력전달수단은
    상기 제2회전축에 구비되는 제2풀리, 상기 브러쉬 회전축에 구비되는 종동풀리, 상기 제2풀리와 상기 종동풀리를 연결하는 제2벨트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화장비.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팬은 중공기둥 형상의 팬바디, 상기 팬바디를 관통하는 바디 관통홀, 상기 팬바디의 내주면에 고정되는 다수의 블레이드를 포함하고,
    상기 프레임은 중공기둥 형상의 프레임바디, 상기 프레임바디를 관통하는 프레임 관통홀, 상기 프레임 관통홀에 구비되며 상기 팬바디의 외주면이 수용되는 팬바디 수용홈을 포함하며,
    상기 팬구동부는 상기 프레임바디의 외주면에 고정되는 모터, 상기 모터에 구비된 회전축과 상기 팬바디 외주면을 연결하는 벨트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화장비.
  16. 화재가 발생한 실내공간에 착탈 가능한 흡입관;
    상기 흡입관이 연결되는 중공기둥형상의 프레임, 상기 프레임의 내부에 공기를 공급하는 송풍수단을 구비하여 상기 실내공간 내부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키고 실내공간의 불길이 상기 프레임을 향하게 만드는 공기흡입부;를 포함하되,
    상기 프레임은
    외관을 형성하는 프레임바디;
    상기 프레임바디를 관통하는 프레임 관통홀;
    상기 프레임바디 내부에 구비되며 상기 송풍수단으로부터 공기를 공급받는 공기유로;
    상기 프레임바디가 절개되어 구비되며 상기 흡입관이 위치된 방향과 반대방향으로 상기 공기유로 내부의 공기를 배출시키는 슬릿;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화장비.
  17. 본체;
    상기 본체에 구비되어 상기 본체의 이동을 가능하게 하는 바퀴;
    상기 본체의 상부에 길이신장이 가능하게 구비된 승강수단;
    승강수단에 구비되어 사람이 탑승 가능한 탑승부;
    상기 탑승부에 착탈 가능하며 화재가 발생한 실내공간 내부의 공기를 실외로 배출시키는 소화장비;를 포함하며, 상기 소화장비는
    화재가 발생한 실내공간에 착탈 가능한 흡입관;
    상기 흡입관이 연결되는 중공기둥형상의 프레임, 상기 프레임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팬, 상기 팬을 회전시키는 팬구동부, 상기 탑승부에 착탈 가능하며 상기 프레임이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는 지지대가 구비된 공기흡입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방차.
KR1020120145362A 2012-12-13 2012-12-13 소방장비 및 소방장비가 구비된 소방차 KR10141138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45362A KR101411387B1 (ko) 2012-12-13 2012-12-13 소방장비 및 소방장비가 구비된 소방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45362A KR101411387B1 (ko) 2012-12-13 2012-12-13 소방장비 및 소방장비가 구비된 소방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76858A true KR20140076858A (ko) 2014-06-23
KR101411387B1 KR101411387B1 (ko) 2014-06-30

Family

ID=511289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45362A KR101411387B1 (ko) 2012-12-13 2012-12-13 소방장비 및 소방장비가 구비된 소방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11387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079474A (zh) * 2018-01-11 2018-05-29 苏州瑞奇安机电科技有限公司 排烟消防设备及排烟消防机器人
KR20200115931A (ko) * 2019-03-29 2020-10-08 박종찬 공조기용 필터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47992B1 (ko) 2015-03-03 2015-08-27 동신부로아 주식회사 화재시 피난 및 구조용 포터블 제연장치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02855B1 (ko) * 1997-12-30 2002-02-19 황한규 모터동력전달을위한동력전달부재의장력조절장치
JP4105969B2 (ja) * 2003-03-24 2008-06-25 株式会社モリタ 梯子車
KR20090027780A (ko) * 2007-09-13 2009-03-18 오종태 공사용 터널 이동식 집진장치
KR20100104680A (ko) * 2009-03-18 2010-09-29 (주)태원이엔엠 흄 콜렉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079474A (zh) * 2018-01-11 2018-05-29 苏州瑞奇安机电科技有限公司 排烟消防设备及排烟消防机器人
KR20200115931A (ko) * 2019-03-29 2020-10-08 박종찬 공조기용 필터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11387B1 (ko) 2014-06-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11387B1 (ko) 소방장비 및 소방장비가 구비된 소방차
US20140352698A1 (en) Venturi sprinkler for controlling smoke and apparatus for removing poisonous gas
CN114748814B (zh) 一种攀爬式灭火机器人
CN113198128B (zh) 一种全自动排烟灭火系统
KR101745214B1 (ko) 에어커튼식 화연 확산 방지 장치
CN111698881A (zh) 一种基于物联网的安防控制柜
CN115400375A (zh) 一种轻小型便携式消防机器人
CN206473690U (zh) 消防车用排烟装置
CN215632593U (zh) 一种具有逃生门结构的防火卷帘门
CN112370701A (zh) 一种防火报警救援装置
KR102073908B1 (ko) 이동식 소화장치
CN213063658U (zh) 一种煤矿火灾紧急逃生救援装置
CN113041535A (zh) 一种具有吸收有害气体功能的高层火灾喷洒装置
KR102193935B1 (ko) 와류를 이용한 화재진압용 배연장치
CN111589039B (zh) 一种家用消防器材存储及应急避难装置
CN112691322B (zh) 一种智能型消防用灭火机器人及消防灭火系统
CN113414770A (zh) 一种消防救援用火灾探测机器人
CN110307033B (zh) 一种隧道火灾救援设备
KR20220102218A (ko) 드론을 이용한 소방호스 운반 및 화재 진압장치
CN112086045A (zh) 一种智慧消防用逃生引导装置及其引导方法
CN216477435U (zh) 一种用于公路隧道的消防装置
CN220552837U (zh) 一种多功能毒剂监测仪
CN220038706U (zh) 一种建筑消防用排烟结构
CN214997232U (zh) 一种具有防火排烟性能的隔热幕墙门窗
CN216706421U (zh) 一种焊接用烟尘吸收及处理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0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12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