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02855B1 - 모터동력전달을위한동력전달부재의장력조절장치 - Google Patents

모터동력전달을위한동력전달부재의장력조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02855B1
KR100302855B1 KR1019970078675A KR19970078675A KR100302855B1 KR 100302855 B1 KR100302855 B1 KR 100302855B1 KR 1019970078675 A KR1019970078675 A KR 1019970078675A KR 19970078675 A KR19970078675 A KR 19970078675A KR 100302855 B1 KR100302855 B1 KR 10030285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riage
power transmission
motor
tension
hand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786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58539A (ko
Inventor
배영술
Original Assignee
황한규
만도공조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황한규, 만도공조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황한규
Priority to KR10199700786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02855B1/ko
Publication of KR199900585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5853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028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0285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7/00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by endless flexible members
    • F16H7/08Means for varying tension of belts, ropes, or chai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7/00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by endless flexible members
    • F16H7/08Means for varying tension of belts, ropes, or chains
    • F16H2007/0802Actuators for final output members
    • F16H2007/0806Compression coil spr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7/00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by endless flexible members
    • F16H7/08Means for varying tension of belts, ropes, or chains
    • F16H2007/0876Control or adjustment of actuators

Abstract

본 발명의 목적은 기계적인 구동을 위한 원동력을 발생시키는 모터로부터 종동측으로 구동력을 전달하는 벨트등의 모든동력전달부재의 장력조절장치를 제공함에 의해 달성되게 되는데, 이 장력조절장치는 모터가 탑재되는 캐리지를 적어도 2열이상으로 설치되는 가이드레일상에 자유로이 이동가능하게 설치하고, 이의 캐리지하부에 랙을 일체로 설치하여 핸들에의해 회전하는 피니언과 치합시키어 그 핸들을 정,역으로 회전시키는 것으로 캐리지가 좌,우로 이동하며 동력전달부재의장력이 조절되게 하고 있다. 따라서 간단한 핸들의 회전조작으로 장력조절을 간편히 이루게 된다.

Description

모터 동력전달을 위한 동력전달부재의 장력조절장치 {Tension control apparatus for power transmission member}
본 발명은 기계적인 구동을 위한 원동력을 발생시키는 모터로부터 종동측으로 구동력을 전달하는 벨트등의 모든 동력전달부재의 장력조절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간단한 회전조작으로 장력을 간편히 조절시킬 수 있도록 한 모터 동력전달위한동력전달부재의 장력조절장치에 관한 것이다.
기계적 장치의 구동을 위한 원동력을 발생시키는 모터로부터 종동측으로 구동력을 전달하는 동력전달부재는 여러 가지가 사용되고 있다. 그 일례로 주동축과 종동축의 축간거리를 가지는 동력전달경로에서는 대략 체인 또는 벨트등을 이용하여 구동력이 전달되게 하고 있다.
이렇게 체인이나 벨트등의 동력전달부재를 이용한 동력전달은 도 1에서와 같이 베이스(10)상 일측에 설치되는 모터(20)와 종동부인 송풍기(30)의 사이를 벨트로 이루어지는 동력전달부재(40)로 연결하여 모터의 구동력이 전달되게 하고 있다.
그런데 이렇게 벨트등으로 이루어지는 동력전달부재(40)를 이용한 동력전달은 그 동력전달부재(40)의 긴장상태 유지가 매우 중요하다. 즉 주동부와 종동부의 사이를 연결하는 동력전달부재(40)의 연결상태가 장시간 사용시 긴장되지 못하고 느슨 해져 슬립이 발생하고, 이러한 슬립은 동력을 불필요하게 손실시키고 있으며, 이러한 풀림현상을 보상시키기 위해 동력전달부재(40)의 장력을 조절시키는 장치가 필수적으로 설치되고 있다.
이러한 장력조절장치는 현재까지 여러 가지가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는데, 그 일례를 들어 설명하면 도 2에서와 같이 베이스(10)상에 모터(20)가 탑재되고 형강을 이용하여 틀체형상으로 짜여지는 캐리지(50)를 이동가능하게 설치하고, 이렇게베이스(10)상에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캐리지(50)와 베이스(10) 일측에 입설되는 브래킷트(11)의 사이를 전산볼트(60)로연결하여 그 전산볼트(60)를 정,역회전시키는 것에 의해 캐리지(50)가 좌우로 이동되며 동력전달부재의 장력을 조절시키게 하고 있다.
그런데 이러한 동력전달부재의 장력조절은 상기에서와 같이 전산볼트(60)를 이용해 캐리지(50)를 이동시킨후, 그 캐리지(50)를 베이스(10)와 별도의 결속볼트(70)로 하여 결합 고정시키게 하고 있다. 이러한 캐리지(50)의 결합을 위한 결속볼트(70)의 조임과 풀음작업에 많은 수공과 시간이 소요되어 그 장력조절작업에 불편을 주고 있는 것이며, 이러한 장력조절의 불편성은 관리성을 저하시키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사정을 고려하여 이루이진 것으로, 그 목적은 간단한 핸들조작으로 장력조절작업을 간편히 이루게하고 관리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한 모터 동력전달을 위한 동력전달부재의 장력조절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의 목적은 기계적인 구동을 위한 원동력을 발생시키는 모터로부터 종동측으로 구동력을 전달하는 벨트등의모든 동력전달부재의 장력조절장치를제공함에 의해 달성되게 되는데, 이 장력조절장치는 모터가 탑재되는 캐리지를 적어도 2열이상 설치되는 가이드레일상에 자유로이 이동가능하게 설치하고, 이의 캐리지하부에 랙을 일체로 설치하여 핸들에의해 회전하는 피니언과 치합시키어 그 핸들을 정,역으로 회전시키는 것으로 캐리지가 좌,우로 이동하며 동력전달부재의장력이 조절되게 하고 있다. 따라서 간단한 핸들의 회전조작으로 장력조절을 간편히 이루게 된다.
도 1은 일반적인 모터 동력전달을 과정을 보인 송풍기의 정면도.
도 2는 종래 동력전달부재의 장력조절장치를 보인 정면도.
도 3는 본 발명 모터 동력전달을 위한 벨트의 장력조절장치를 보인 정면도.
도 4은 도 3의 A-A선 부분을 따라 절단하여 보인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베이스 110 :브래킷트
120 :가이드레일 200 :모터
300 :캐리지 310 :랙
400 :피니언 410 :핸들
411 :고정봉 412 :코일스프링
500 :조절판 510 :위치조절공
다음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도면에 의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겠다. 도 3에는 본 발명에 따른 모터 동력전달을 위한 동력전달부재의 장력조절장치에 대해 상세히 도시되어 있다. 도면에서 100은 베이스이다. 이 베이스(100)는 기계장치품들이설치되는 면적부를 제공하고 있다.
이러한 베이스(100)의 상면 양측에 적당한 간격을 유지하여 한쌍의 브래킷트(110)를 입설시키고 있고, 이렇게 입설 설치되는 한쌍의 브래킷트(110)에 양단이 지지되고 적어도 2열이상의 복열로 설치되는 가이드레일(120)을 구비하고 있다. 이때 가이드레일(120)은 이후에 설명할 모터의 탑재하중을 충분히 견딜 수 있는 강도를 가지고 있으며, 이러한 가이드레일(120)은 장력조절을 위한 모터의 이동안내를 제공하게 될 것이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레일(120)에 모터(200)가 탑재되는 캐리지(300)를 자유로이 이동가능하게 설치한다.
또 상기의 캐리지는 조정수단에 의해 구동하게 되는데, 이 조정구조는 캐리지(300)의 저면에 그 캐리지(300) 전장길이에걸쳐 설치되는 랙(310)을 일체로 구비하고 있다.
또한 상기 캐리지(300)의 저면에 일체로 구비되는 랙(310)에는 베이스(100)상면에 입설된 축수대(101)에 설치되는 피니언(400)과 치합시키고 있고, 이렇게 랙(310)과 치합된 피니언(400)의 회전축에는 핸들(410)을 일체로 구비하여 그 핸들(410)의 조작에 의해 피니언(400)이 정,역회전을 이루게 구성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피니언(400)을 정,역회전시키게 하는 핸들(410)의 외측단부에는 그 핸들(410)에 회전에는 영향을 주지 않는위치에 인접되어 설치되는 조절판(500)이 구비되어 있다. 이러한 조절판(500)은 베이스(100)상면에 일체로 입설되어 있으며, 이렇게 베이스(100) 상면에 입설된 조절판(500)은 핸들(410)의 조작후 그 조작위치를 다단계적으로 위치 고정시키기위한 수개의 위치조절공(510)이 핸들(410)의 회동경로상에 등간격으로 구비되어 있다.
또 핸들(410)의 외측단에는 그 핸들(410)의 조작위치를 조절판(500)의 위치조절공(510)을 이용해 고정시키기 위한 로커(420)가 구비되어 있다. 이러한 로커(420)는 도 4에서와 같이 핸들(410)의 외측단부에 그 핸들(410) 길이방향에 직교하는방향으로 고정봉(421)을 설치하여 그 고정봉(421)의 선단부가 조절판(500)의 위치조절공(510)으로 관통되게 설치시키고,이렇게 설치되는 고정봉(412)은 코일스프링(422)에 의해 조절공측으로 항시 탄지되게 하고 있다. 이렇게 핸들(410)이 조절판(500)에 고정되고 랙(310)과 피니언(400)이 상호 치합되는 것으로 모터(200)의설치위치를 고정시키게 된다. 이러한결합구성은 종래 베이스상에 캐리지를 볼트로 나사결합하는 효과를 얻게 될 것이다.
그러면 도 3을 참조하여 본 고안 동력전달부재의 장력조절장치 작동에 관해 설명하겠다. 본 발명은 핸들(410)을 정,역으로 회전시키면 그 핸들(410)의 회전력에 의해 피니언(400)이 정,역으로 회전되고, 이렇게 전달된 회전력은 랙(310)에 의해 직선운동으로 전환되며 캐리지(300)을 좌,우로 이동시키게 된다.
이러한 캐리지(300)의 좌,우 이동으로 모터(200)를 이동시키며 목적하는 동력전달부재의 장력을 조절하게 된다.
그리고 장력조절이 완료되면 핸들(410)의 로커(420)에 의해 조절판(500)의 위치조절공(510)에 자동적으로 끼워맞춤고정되어 그 위치를 고정하게 된다.
이렇게 핸들(410)이 조절판(500)에 고정되면 그 핸들(410)과 랙(310),피니언(400)의 치합에 의해 고정력이 유지되며 캐리지(300)를 소정위치에 고정시키고 모터(200)를 안정되게 설치한다.
그리고 장력조절을 재 조절시키기 위해서는 먼저 로커(420)의 고정봉(421)을 잡아당기어 그 고정봉(421)의 선단부가 조절판(500)의 위치조절공(510)으로부터 이탈되게한 상태에서 핸들(410)을 목적하는 측으로 회전시키어 장력조절을 이룬후 로커(420)의 고정봉(422)을 놓으면 그 고정봉(422)은 코일스프링(421)에 의해 조절판(500)의 위치조절공(510)으로 원상복귀되어 잠김상태를 이룬다.
그러므로써 본 발명은 핸들(410)의 회전조작에 의해 캐리지(300)를 좌,우로 이동시키며 모터(200)와 종동부측의 동력전달을 위한 축간거리를 자유로이 조절시키어 장력을 간편히 조절시키게 된다.
또 본 발명은 동력전달부재의 장력조절작업을 간편히 이루어 작업성은 물론, 기기의 관리성이 우수하고 따라서, 기기의구동시 불필요하게 손실되는 동력을 최대로 방지하여 에너지 절감효과는 물론 산업적이고 경제적인 이점이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국한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범위내에서변경이 가능할 것이다.

Claims (2)

  1. 기계적인 구동을 위한 원동력을 발생시키는 모터를 탑재시킨 캐리지를 베이스상에 이동가능하게 설치하고 그 캐리지를 좌,우로 이동시키며 주동측인 모터부로부터 종동부측으로 동력전달을 위해 설치되는 동력전달부재의 장력을 조절시키게한 것에 있어서,
    상기 캐리지의 상면 양측에 병설되는 한쌍의 브래킷트에 양단이 지지되어 수평방향으로 설치되는 가이드레일;
    상면에 모터가 탑재되고 상기 가이드레일에 자유로이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며, 저면에 랙을 일체로 구비한 캐리지;
    상기 베이스상 적당한 위치에 입설된 축수대에 자유로이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캐리지의 랙과 치합되는 피니언;
    외측단부에 로커가 구비되고 내단은 상기 피니언의 회전축에 일체로 구비되어 그 피니언에 회전구동력을 가하는 핸들;
    상기 베이스상 적당한 위치에 입설되고 핸들의 외측단에 구비된 로커에 의해 그 핸들의 조절위치잡이를 이루게 하는 수개의 위치조절공을 가지는 조절판을 갖추어서된 것을 포함하는 모터 동력전달을 위한 동력전달부재의 장력조절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로커는 상기 조절판의 위치조절공으로 선단부가 삽탈되는 고정봉과, 그 고정봉을 위치조절공 쪽으로 탄지시키는 코일스프링을 갖춘 것을 포함하는 모터 동력전달을 위한 동력전달부재의 장력조절장치.
KR1019970078675A 1997-12-30 1997-12-30 모터동력전달을위한동력전달부재의장력조절장치 KR10030285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78675A KR100302855B1 (ko) 1997-12-30 1997-12-30 모터동력전달을위한동력전달부재의장력조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78675A KR100302855B1 (ko) 1997-12-30 1997-12-30 모터동력전달을위한동력전달부재의장력조절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58539A KR19990058539A (ko) 1999-07-15
KR100302855B1 true KR100302855B1 (ko) 2002-02-19

Family

ID=375296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78675A KR100302855B1 (ko) 1997-12-30 1997-12-30 모터동력전달을위한동력전달부재의장력조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0285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11387B1 (ko) * 2012-12-13 2014-06-30 주해식 소방장비 및 소방장비가 구비된 소방차
KR102282068B1 (ko) * 2019-12-26 2021-07-27 주식회사 에스에프에이 기판 증착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58539A (ko) 1999-07-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419072B2 (en) Belt transfer system
US8266843B2 (en) Slide-out room actuator
US20220388441A1 (en) Slidable room assemblies
JP3142253U (ja) ベルト着脱式ベルトコンベア装置
KR100302855B1 (ko) 모터동력전달을위한동력전달부재의장력조절장치
CA2357122C (en) Powered conveyor system with multiple rollers
JPH11257444A (ja) テンション装置
KR101929399B1 (ko) 트랜스퍼 로봇
PT2046545E (pt) Dispositivo para produção e/ou processamento de painéis
AU2004202507B2 (en) Packaging machine
KR100602203B1 (ko) 장력조절 로울러의 착탈이 용이한 벨트컨베이어
JP4093069B2 (ja) 走行台車における走行用ベルトの張力調整装置
JP2000219910A (ja) 移動炉床式加熱炉
CN211809223U (zh) 一种防夹腿腿托
US5171065A (en) Mineral mining installation with chain-tensioning system
CN216851618U (zh) 一种新型直连电机简易导轨
EP1048373A3 (de) Orientierstation mit Stabgetriebe
KR200243958Y1 (ko) 롤러체인의장력조정장치
CN114803279B (zh) 一种清洗架输送系统及其输送方法
KR900007816Y1 (ko) 벨트 길이 조절장치
CN210945958U (zh) 一种多轴向经编机拖布装置
CN218138063U (zh) 一种单轴机械手
KR960005805Y1 (ko) 자동스크린 날염기의 전동장치
JPH10250805A (ja) 回転式収納棚装置
KR0119689Y1 (ko) 정경기능과 비밍기능을 복합시킨 경사준비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618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