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76338A - 카메라 모듈 및 그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카메라 모듈 및 그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76338A
KR20140076338A KR1020120144776A KR20120144776A KR20140076338A KR 20140076338 A KR20140076338 A KR 20140076338A KR 1020120144776 A KR1020120144776 A KR 1020120144776A KR 20120144776 A KR20120144776 A KR 20120144776A KR 20140076338 A KR20140076338 A KR 2014007633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lens unit
adhesive
film member
injection 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447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환준
Original Assignee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기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1447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076338A/ko
Publication of KR201400763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7633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2Bodies
    • G03B17/08Waterproof bodies or housing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20Filters
    • G02B5/208Filters for use with infrared or ultraviolet radiation, e.g. for separating visible light from infrared and/or ultraviolet radiation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7/0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 G02B7/006Filter holder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1/00Filters or other obturators specially adapted for photographic purpose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3/00Viewfinders; Focusing aids for cameras; Means for focusing for cameras; Autofocus systems for cameras
    • G03B13/32Means for focusing
    • G03B13/34Power focusing
    • G03B13/36Autofocus system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2Bodies
    • G03B17/12Bodies with means for supporting objectives, supplementary lenses, filters, masks, or turret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3/00Focusing arrangements of general interest for cameras, projectors or printers
    • G03B3/10Power-operated focusing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30/00Camera modules comprising integrated lens units and imaging units, specially adapted for being embedded in other devices, e.g. mobile phones or vehicl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Blocking Light For Cameras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카메라 모듈 및 그 제조 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내부에 렌즈유닛을 수용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부의 이물을 포집하기 위하여 상기 하우징에 주입되는 점착제; 상기 점착제가 상기 하우징 내부로 주입 가능하도록, 상기 하우징에 형성되는 주입구; 및 상기 하우징으로 주입된 점착제의 흐름을 안내하도록, 상기 하우징 내부에 형성되고 상기 주입구와 연결되는 통로부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과 그 제조 방법이 제공된다.

Description

카메라 모듈 및 그 제조 방법{CAMERA MODUL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REOF}
본 발명은 카메라 모듈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휴대 통신 단말기는 문자나 음성 데이터의 전송뿐만 아니라 사진 촬영 및 화상 데이터 전송까지 수행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다 기능을 수행하기 위하여 카메라 모듈이 휴대 통신 단말기에 실장될 수 있다.
최근에는 디스플레이의 강점을 살린 스마트폰 비중이 증가 하면서, 초소 소박형이 카메라 모듈이 요구되고 있으며, 고화소 자동 초점 모듈의 개발도 진행되고 있다. 초소, 초박형 또는 고화소의 요구사항을 만족 시키기 위해서는 이미지 센서의 픽셀 사이즈의 축소가 필요하다. 픽셀 사이즈 축소에 따른 광학계의 민감도 변화에 대응할 수 있는 기구의 개선이 요구되며, 이와 관련하여 화면 이물에 대한 개선안도 요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1-0024485호(2011.03.09)에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물을 방지할 수 있는 카메라 모듈 및 그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내부에 렌즈유닛을 수용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부의 이물을 포집하기 위하여 상기 하우징에 주입되는 점착제; 상기 점착제가 상기 하우징 내부로 주입 가능하도록, 상기 하우징에 형성되는 주입구; 및 상기 하우징으로 주입된 점착제의 흐름을 안내하도록, 상기 하우징 내부에 형성되고 상기 주입구와 연결되는 통로부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이 제공된다.
상기 렌즈유닛을 통과한 빛의 적외선을 차단하기 위하여, 상기 렌즈유닛 위치에 상응하도록 상기 하우징에 결합되는 IR 필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우징은 내부에 상기 IR 필터가 결합되는 수용부를 포함하고, 상기 통로부는, 상기 IR 필터의 측면과 상기 수용부에 의하여 상기 IR 필터의 외곽을 따라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점착제가 상기 하우징 내부에 수용되도록, 상기 하우징에 결합되는 필름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점착제는 상기 하우징과 상기 필름부재 사이에 주입될 수 있다.
상기 필름부재가 상기 하우징에 결합되도록, 상기 하우징과 상기 필름부재 사이에 개재되는 접착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필름부재는, 상기 점착제가 상기 통로부에서 유출되어 상기 하우징 내측벽을 커버하도록, 간극을 형성하며 상기 하우징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간극은 상기 필름부재의 모서리 측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필름부재는, 상기 렌즈유닛을 통과한 빛이 투과되도록, 상기 렌즈유닛과 상응하는 위치에 개구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필름부재는, 상기 렌즈유닛을 통과한 빛이 투과되도록, 투명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렌즈유닛을 통과하는 빛이 결상되도록, 상기 렌즈유닛 하부에 배치되는 이미지 센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미지 센서에 전기가 연결되도록 상기 이미지 센서가 실장되며, 상기 하우징에 결합되는 기판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주입구가 봉인되도록, 상기 주입구에 실링(sealing)부재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통로부는, 상기 주입구와 연결되어 상기 점착제가 유입되는 유입부를 포함하고, 상기 유입부는 상기 점착제를 주입하는 장치를 수용하는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에는, 상기 점착제가 상기 통로부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방지턱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하우징에 렌즈유닛을 장착하여 카메라 본체를 조립하는 단계; 상기 하우징에 형성된 주입구를 통하여, 상기 하우징 내부로 이물을 포집하기 위한 점착제를 주입하는 단계; 및 상기 점착제가 고정되도록 경화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제조 방법이 제공된다.
상기 카메라 본체를 조립하는 단계는, 상기 렌즈유닛을 통과한 빛의 적외선을 차단하기 위하여, 상기 렌즈유닛 위치에 상응하도록 상기 하우징에 IR 필터를 결합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카메라 본체를 조립하는 단계는, 상기 점착제가 상기 하우징 내부에 수용되도록 상기 하우징에 필름부재를 결합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점착제를 주입하는 단계는, 상기 점착제를 상기 하우징과 상기 필름부재 사이에 주입할 수 있다.
상기 카메라 본체를 조립하는 단계는, 상기 렌즈유닛을 통과하는 빛을 결상시키는 이미지 센서를 기판에 실장하고, 상기 기판에 상기 하우징을 결합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점착제 주입 단계 이후에, 상기 주입구가 봉인되도록 상기 주입구에 실링(sealing)부재를 결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점착제에 의하여 내부의 이물을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고, 카메라 모듈의 공정이 단순해질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을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을 나타낸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일부분을 나타낸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하우징을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점착제의 흐름을 나타내는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필름부재를 나타낸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하우징에 필름부재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 제조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
본 발명에 따른 카메라 모듈 및 그 제조 방법의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결합이라 함은, 각 구성 요소 간의 접촉 관계에 있어, 각 구성 요소 간에 물리적으로 직접 접촉되는 경우만을 뜻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이 각 구성 요소 사이에 개재되어, 그 다른 구성에 구성 요소가 각각 접촉되어 있는 경우까지 포괄하는 개념으로 사용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을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일부분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100)은 렌즈유닛(110), 하우징(120), 점착제(130) 및 IR 필터(16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하우징(120)은 주입구(140), 통로부(150), 필름부재(170)를 포함할 수 있다.
렌즈유닛(110)은 내부에 적어도 하나의 렌즈(111)를 수용할 수 있다. 렌즈(111)는 피사체의 광학적 상을 맺도록 빛을 투과시킬 수 있다. 렌즈(111)는 렌즈(111)배럴에 안착될 수 있으며, 렌즈(111)배럴 상부는 빛이 렌즈(111)로 입사될 수 있도록 개구될 수 있다.
하우징(120)은 내부에 렌즈유닛(110)을 수용하는 부분이다. 렌즈유닛(110)은 하우징(120)의 내부에 위치할 수 있다. 또한, 하우징(120)에는 렌즈유닛(110)을 보호하고 차폐하기 위한 실드캔(124)이 결합될 수 있다. 실드캔(124)은 렌즈유닛(110)이 노출되도록 상부가 개구될 수 있다.
점착제(130)는 하우징(120) 내부의 이물을 포집하는 부분으로 하우징(120) 내부에 결합될 수 있다. 점착제(130)는 유동성을 가지고 휘발성이 강한 물질일 수 있다. 점착제(130)는 경화되기 전에는 유동적으로 이동하고, 경화된 후에는 유동성을 잃되 끈적거리는 성질은 유지될 수 있다. 하우징(120) 내부에 점착제(130)가 포함되는 경우, 하우징(120) 내부에서 발생하는 이물이 용이하게 제거될 수 있다.
IR 필터(160)는 렌즈유닛(110)을 통과한 빛에서 적외선을 차단하는 부분이다. IR 필터(160)는 하우징(120)에, 렌즈유닛(110)의 위치에 상응하도록 결합될 있다. IR 필터(160)가 하우징(120)에 결합되는 경우, 하우징(120)은 내부에 IR 필터(160)가 결합되는 수용부(122)를 포함할 수 있다.
수용부(122)는 하우징(120)의 내부에 기판(190)과 평행하게 형성될 수 있고, 수용부(122)에는 IR 필터(160)가 노출될 수 있도록 홀(121)이 형성될 수 있다. 홀(121) 위에는 렌즈유닛(110)이 위치할 수 있으며, 렌즈유닛(110)을 통과한 빛은 홀(121)을 통과하여 IR 필터(160)에 도달할 수 있다.
주입구(140)는 점착제(130)가 하우징(120) 내부로 들어가는 입구이다. 주입구(140)는 하우징(120)에 관통되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하우징(120)의 측면에 형성될 수 있고, 측면의 중앙에 형성될 수 있다. 하우징(120) 측면의 중앙에 형성되는 경우, 점착제(130)가 하우징(120) 내부 전면에 균일하게 삽입될 수 있다.
주입구(140)는 실링(sealing)부재(141)를 포함할 수 있다. 실링부재(141)는 주입구(140)를 봉인하는 것으로 열경화성 본드(bond) 또는 UV 본드일 수 있다. 실링부재(141)는 주입구(140)에 삽입되고 경화됨으로써 주입구(140)가 봉인될 수 있다. 실링부재(141)에 의하여 주입구(140)가 봉인되면, 주입구(140)를 통하여 내부로 이물이 들어가는 것이 방지되고, 점착제(130)가 외부로 유출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통로부(150)는 하우징(120) 내부로 주입된 점착제(130)의 흐름을 안내하는 부분이다. 점착제(130)는 통로부(150)를 따라 하우징(120) 내부에서 이동할 수 있다. 통로부(150)는 하우징(120) 가장자리에 형성됨으로써, 점착제(130)가 하우징(120) 가장자리에 위치할 수 있다.
통로부(150)를 형성하는 하우징(120)에는 방지턱(123)이 형성될 수 있다. 방지턱(123)은 점착제(130)가 통로부(150)에서 이탈되어 다른 카메라 부품으로 흘러들어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방지턱(123)의 높이는 필요에 따라 조절될 수 있으며,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입구(140)와 가까운 통로부(150)에만 형성될 수 있다. 주입구(140)로 유입되는 점착제(130)는 순간적으로 많은 양이 주입구(140) 근처의 통로부(150)에 쌓일 수 있으므로, 방지턱(123)은 이에 따른 넘침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100)의 하우징(120)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100)의 점착제(130)의 흐름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통로부(150)는 IR 필터(160)와 하우징(120)에 의하여 형성될 수 있다. IR 필터(160)가 하우징(120)의 수용부(122)에 결합되는 경우, IR 필터(160)는 하우징(120)과의 높이 차를 가질 수 있으며, 이에 따라 통로부(150)는 IR 필터(160)의 측면과 하우징(120) 하부면에 의하여 형성될 수 있다. 통로부(150)는 IR 필터(160)의 외곽을 따라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통로부(150)에 의하면, 하우징(120)의 별도의 구조를 변형하지 않더라도 점착제(130)의 통로부(150)가 형성될 수 있으므로 카메라 모듈(100)의 제조가 용이하다.
도 5를 참조하면, 통로부(150)는 유입부(151)를 포함할 수 있다. 유입부(151)는 주입구(140)와 연결되어 점착제(130)가 유입되는 부분이다. 유입부(151)에는 점착제(130)를 주입하는 장치를 수용하는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100)의 필름부재(170)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100)의 하우징(120)에 필름부재(170)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필름부재(170)는 하우징(120)에 결합되어 점착제(130)를 수용할 수 있다. 하우징(120)에 IR 필터(160)가 결합되는 경우, 필름부재(170)는 IR 필터(160)에 결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점착제(130)는 필름부재(170)와 하우징(120) 사이에 주입될 수 있다. 필름부재(170)가 사용되는 카메라 모듈(100)의 경우, 카메라 본체를 렌즈유닛(110)을 위로 가도록 세운 채로도 점착제(130)를 삽입할 수 있으므로 카메라 모듈(100)의 제조가 용이하다.
도 6을 참조하면, 필름부재(170)는 중앙에 개구부(172)가 형성될 수 있다. 개구부(172)에 의하여 렌즈유닛(110) 또는 렌즈유닛(110) 및 IR 필터(160)를 통과한 빛이 필름부재(170)를 투과할 수 있다. 또한 필름부재(170)는 투명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으며, 그에 의한 효과는 동일하다.
필름부재(170)는 하우징(120)의 형태와 대응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하우징(120)이 사각의 형상을 가지는 경우, 필름부재(170)도 하우징(120)에 결합될 수 있도록 사각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하우징(120)의 형태와 일치하는 필름부재(170)의 점착제(130) 수용 능력은 극대화될 수 있다.
필름부재(170)는 접착부재(170)를 포함할 수 있다. 필름부재(170)는 접착부재(170)에 의하여 하우징(120) 또는 IR 필터(160)에 결합될 수 있다. 접착부재(170)는 테이프 또는 본드 등이 될 수 있다. 접착부재(170)는 필름부재(170) 일부에 결합될 수 있으며, 필름부재(170)에 개구부(172)가 형성되는 경우에는 개구부(172)의 외곽에 결합될 수 있다. 필름부재(170)가 투명한 경우, 빛이 투과하는 부분 외에 결합될 수 있다. 접착부재(170)에 의하여, 필름부재(170)는 하우징(120)에 용이하게 부착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필름부재(170)는 하우징(120)과 간극을 형성하면서 결합될 수 있다. 하우징(120)과 간극을 형성하며 결합되는 경우, 점착제(130)는 간극을 통하여 통로부(150)에서 유출될 수 있다. 간극을 통하여 통로부(150)에서 유출된 점착제(130)는 하우징(120)의 내측벽을 따라 흘러내릴 수 있다. 이에 따라, 점착제(130)는 하우징(120)의 내측벽을 커버할 수 있다. 점착제(130)가 하우징(120)의 내측벽을 커버한 경우, 이물을 포집할 수 있는 영역이 증대되므로 이물의 제거가 용이해질 수 있다.
간극은 필름부재(170)의 크기를 조절하여 형성될 수 있다. 간극은 필름부재(170)의 모든 면에 형성될 수 있고, 일부에만 형성될 수 있다. 특히, 간극은 필름부재(170) 및 하우징(120)의 모서리(173) 측에 형성될 수 있다.
모서리(173) 측에만 간극이 형성되는 경우,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점착제(130)는 통로부(150)를 통하여 이동하면서 모서리(173) 측에서 하우징(120) 내측벽으로 흘러내릴 수 있다. 이에 따라, 하우징(120) 내부 구석에 쌓일 수 있는 이물을 제거하는 것이 용이해질 수 있고, 점착제(130)의 넘침(over flowing)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다시 도 1 내지 3을 참조하면, 카메라 모듈(100)은 이미지 센서(18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미지 센서(180)는 렌즈유닛(110)을 통과한 빛이 결상되도록 할 수 있다. 이미지 센서(180)는 화상을 전기 신호로 변환할 수 있다.
또한, 카메라 모듈(100)은 기판(19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기판(190)에는 이미지 센서(180)가 실장될 수 있으며, 기판(190)은 이미지 센서(180)에 전기가 연결되도록 할 수 있다. 기판(190)은 하우징(120)의 상부에 결합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100)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이와 같은 카메라 모듈(100)에 의하면, 내부의 이물을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100)의 제조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100) 제조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100)을 제조하는 방법은, 카메라 본체를 조립하는 단계(S110), 점착제(130)를 주입하는 단계(S120), 점착제(130)를 경화시키는 단계(S130) 및 주입구(140)에 실링부재(141)를 결합하는 단계(S140)를 포함할 수 있다.
카메라 본체를 조립하는 단계(S110)는 하우징(120)에 렌즈유닛(110)에 장착하는 단계(S111), 하우징(120)에 IR 필터(160)를 결합하는 단계(S112), 하우징(120)에 필름부재(170)를 결합하는 단계(S113) 및 이미지 센서(180)를 기판(190)에 실장하고, 기판(190)에 하우징(120)을 결합하는 단계(S114)를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120)에 렌즈유닛(110)을 장착하는 단계는(S111), 렌즈(111)를 포함하는 렌즈유닛(110)을 하우징(120) 내부에 위치시키는 것이다.
하우징(120)에 IR 필터(160)를 결합하는 단계(S112)는 하우징(120)에 렌즈유닛(110)을 장착한 이후에 수행될 수 있으며, IR 필터(160)를 렌즈유닛(110)의 위치에 대응하여, 렌즈유닛(110) 하부에 배치할 수 있다.
하우징(120)에 필름부재(170)를 결합하는 단계(S113)는 하우징(120)에 IR 필터(160)를 결합하는 단계(S112) 이후에 수행될 수 있다. 필름부재(170)는 IR 필터(160) 아래에 부착될 수 있다. 이 경우, 필름부재(170)는 접착부재(17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미지 센서(180)를 기판(190)에 실장하고, 기판(190)에 하우징(120)을 결합하는 단계(S114)는 하우징(120)에 필름부재(170)를 결합하는 단계(S113) 이후에 수행될 수 있다. 렌즈유닛(110)을 통과하는 빛을 결상시키는 이미지 센서(180)를 렌즈유닛(110)의 위치에 대응되도록 기판(190)에 실장하고, 하우징(120)을 기판(190)에 결합할 수 있다. 하우징(120)에는 돌기가 형성되고, 기판(190)에는 돌기를 수용할 수 있는 홈이 됨으로써, 하우징(120)과 기판(190)이 안정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
점착제(130)를 주입하는 단계(S120)는 하우징(120)에 형성된 주입구(140)를 통하여 점착제(130)를 주입하는 단계로, 카메라 본체를 조립하는 단계(S110) 이후에 수행될 수 있다. 주입구(140)는 하우징(120) 일측면에 관통되어 형성될 수 있다. 주입구(140)를 통하여 주입된 점착제(130)는 하우징(120) 내부에 형성된 통로부(150)를 따라 이동될 수 있다.
점착제(130)를 경화시키는 단계(S130)는 하우징(120) 내부로 이동된 점착제(130)를 고정시키는 단계로, 점착제(130)를 주입하는 단계(S120) 이후에 수행될 수 있다. 점착제(130)는 열이 제공되어 경화될 수 있고, 상온에서 경화될 수 있다. 경화된 점착제(130)는 유동성을 잃고 접착력만 가질 수 있다.
주입구(140)에 실링부재(141)를 결합하는 단계(S140)는 주입구(140)를 봉인하는 단계로서, 점착제(130)를 카메라 본체로 주입한 이후에 수행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점착제(130)가 외부로 유출되는 것이 방지하고, 이물이 카메라 본체 내부로 유입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카메라 모듈을 형성하는 경우, 점착제를 카메라 본체 내부로 삽입함으로써, 이물의 제거가 용이한 카메라 모듈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카메라 모듈이 점착제를 주입하는 방법으로 제조될 수 있으므로 제조 공정이 단순해질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구성 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또는 추가 등에 의해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을 것이며, 이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100: 카메라 모듈
110: 렌즈유닛
111: 렌즈
120: 하우징
121: 홀
122: 수용부
123: 방지턱
124: 실드캔
130: 점착제
140: 주입구
141: 실링부재
150: 통로부
151: 유입부
160: IR 필터
170: 필름부재
171: 접착부재
172: 개구부
173: 모서리
180: 이미지 센서
190: 기판

Claims (19)

  1. 내부에 렌즈유닛을 수용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부의 이물을 포집하기 위하여 상기 하우징에 주입되는 점착제;
    상기 점착제가 상기 하우징 내부로 주입 가능하도록, 상기 하우징에 형성되는 주입구; 및
    상기 하우징으로 주입된 점착제의 흐름을 안내하도록, 상기 하우징 내부에 형성되고 상기 주입구와 연결되는 통로부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유닛을 통과한 빛의 적외선을 차단하기 위하여, 상기 렌즈유닛 위치에 상응하도록 상기 하우징에 결합되는 IR 필터를 더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내부에 상기 IR 필터가 결합되는 수용부를 포함하고,
    상기 통로부는, 상기 IR 필터의 측면과 상기 수용부에 의하여 상기 IR 필터의 외곽을 따라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모듈.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점착제가 상기 하우징 내부에 수용되도록, 상기 하우징에 결합되는 필름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점착제는 상기 하우징과 상기 필름부재 사이에 주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모듈.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필름부재가 상기 하우징에 결합되도록, 상기 하우징과 상기 필름부재 사이에 개재되는 접착부재를 더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필름부재는, 상기 점착제가 상기 통로부에서 유출되어 상기 하우징 내측벽을 커버하도록, 간극을 형성하며 상기 하우징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모듈.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간극은 상기 필름부재의 모서리 측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모듈.
  8.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필름부재는, 상기 렌즈유닛을 통과한 빛이 투과되도록, 상기 렌즈유닛과 상응하는 위치에 개구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모듈.
  9.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필름부재는, 상기 렌즈유닛을 통과한 빛이 투과되도록, 투명한 재질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모듈.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유닛을 통과하는 빛이 결상되도록, 상기 렌즈유닛 하부에 배치되는 이미지 센서를 더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11.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이미지 센서에 전기가 연결되도록 상기 이미지 센서가 실장되며, 상기 하우징에 결합되는 기판을 더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주입구가 봉인되도록, 상기 주입구에 실링(sealing)부재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모듈.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통로부는, 상기 주입구와 연결되어 상기 점착제가 유입되는 유입부를 포함하고, 상기 유입부는 상기 점착제를 주입하는 장치를 수용하는 공간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모듈.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에는, 상기 점착제가 상기 통로부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방지턱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모듈.
  15. 하우징에 렌즈유닛을 장착하여 카메라 본체를 조립하는 단계;
    상기 하우징에 형성된 주입구를 통하여, 상기 하우징 내부로 이물을 포집하기 위한 점착제를 주입하는 단계; 및
    상기 점착제가 고정되도록 경화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제조 방법.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 본체를 조립하는 단계는,
    상기 렌즈유닛을 통과한 빛의 적외선을 차단하기 위하여, 상기 렌즈유닛 위치에 상응하도록 상기 하우징에 IR 필터를 결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제조 방법.
  17.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 본체를 조립하는 단계는, 상기 점착제가 상기 하우징 내부에 수용되도록 상기 하우징에 필름부재를 결합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점착제를 주입하는 단계는, 상기 점착제를 상기 하우징과 상기 필름부재 사이에 주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모듈 제조 방법.
  18.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 본체를 조립하는 단계는, 상기 렌즈유닛을 통과하는 빛을 결상시키는 이미지 센서를 기판에 실장하고, 상기 기판에 상기 하우징을 결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모듈 제조 방법.
  19.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점착제 주입 단계 이후에,
    상기 주입구가 봉인되도록 상기 주입구에 실링(sealing)부재를 결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제조 방법.
KR1020120144776A 2012-12-12 2012-12-12 카메라 모듈 및 그 제조 방법 KR2014007633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44776A KR20140076338A (ko) 2012-12-12 2012-12-12 카메라 모듈 및 그 제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44776A KR20140076338A (ko) 2012-12-12 2012-12-12 카메라 모듈 및 그 제조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76338A true KR20140076338A (ko) 2014-06-20

Family

ID=511287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44776A KR20140076338A (ko) 2012-12-12 2012-12-12 카메라 모듈 및 그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076338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190619A1 (ko) * 2017-04-11 2018-10-18 삼성전자 주식회사 생체 센서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190619A1 (ko) * 2017-04-11 2018-10-18 삼성전자 주식회사 생체 센서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US10956764B2 (en) 2017-04-11 2021-03-23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comprising biometric sensor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9074491B (zh) 屏下生物特征识别装置和电子设备
US10261225B2 (en) Filter assembly and camera module having the same
US7397023B2 (en) Image sensor module with optical path delimiter and accurate alignment
KR102320911B1 (ko) 어레이 이미징 모듈 및 성형된 감광성 어셈블리, 회로 보드 어셈블리 및 전자 장치용 그 제조 방법
US7294828B2 (en) Distortion and shock resistant optical device module for image capture
US7848639B2 (en) Solid-state image sensing device and electronic apparatus comprising same
US10827103B2 (en) Fixed-focus camera modul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for
KR101141011B1 (ko) 카메라모듈
KR101455124B1 (ko) 촬상 센서 패키지를 구비한 촬상장치
KR20140000119U (ko) 방수 구조를 갖는 카메라 모듈
KR20130080820A (ko) 광 흡수층을 갖는 이미지 센서 어셈블리용 커버
CN209543376U (zh) 屏下生物特征识别装置和电子设备
KR20220143797A (ko) 카메라 모듈 및 광학기기
US8514271B2 (en) Stereoscopic camera module and electronic device using the same
US20200124945A1 (en) Camera module and optical device
KR20140076338A (ko) 카메라 모듈 및 그 제조 방법
KR100752701B1 (ko) 카메라 모듈 패키지
KR102511099B1 (ko) 카메라 모듈 및 카메라 모듈의 조립 방법
CN110876002A (zh) 摄像装置
KR100752708B1 (ko) 카메라 모듈 패키지
KR20120070718A (ko) 카메라모듈 소켓장치
JP2008310049A (ja) カメラモジュール、台座マウント及び撮像装置
KR100847849B1 (ko) 카메라 모듈
KR20150058861A (ko) 카메라 모듈
KR102248527B1 (ko) 이미지 센서 패키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