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76216A - 분리형 설비 모듈 방역을 위한 스프레잉 자동화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스프레잉 자동화 방법 - Google Patents

분리형 설비 모듈 방역을 위한 스프레잉 자동화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스프레잉 자동화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76216A
KR20140076216A KR1020120144530A KR20120144530A KR20140076216A KR 20140076216 A KR20140076216 A KR 20140076216A KR 1020120144530 A KR1020120144530 A KR 1020120144530A KR 20120144530 A KR20120144530 A KR 20120144530A KR 20140076216 A KR20140076216 A KR 2014007621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vel
spraying
tag
spray
camer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445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21102B1 (ko
Inventor
이태훈
Original Assignee
우리환경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우리환경주식회사 filed Critical 우리환경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1445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21102B1/ko
Publication of KR201400762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7621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211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2110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2/00Arrangements for controlling delivery; Arrangements for controlling the spray area
    • B05B12/02Arrangements for controlling delivery; Arrangements for controlling the spray area for controlling time, or sequence, of delivery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25/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haracterised by their forms, or by their non-active ingredients or by their methods of application, e.g. seed treatment or sequential application; Substances for reducing the noxious effect of the active ingredients to organisms other than pests
    • A01N25/02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haracterised by their forms, or by their non-active ingredients or by their methods of application, e.g. seed treatment or sequential application; Substances for reducing the noxious effect of the active ingredients to organisms other than pests containing liquids as carriers, diluents or solvents
    • A01N25/04Dispersions, emulsions, suspoemulsions, suspension concentrates or gel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Plant Path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ntistr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Nozzles (AREA)
  • Spray Control Apparatu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분리형 설비 모듈 방역을 위한 스프레잉 자동화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스프레잉 자동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자동화 스프레잉 서버가 최상위로부터 하위로 제 4 레벨 유닛단(Level4), 제 3 레벨 유닛단(Level3), 제 2 레벨 유닛단(Level2) 및 제 1 레벨 유닛단(Level1)으로 구분되는 제 1 분리형 설비 모듈 또는 제 2 분리형 설비 모듈에 대해 각각 미리 설정된 지점에 부착된 태그정보를 기초로 제 1 순차적 스프레잉 시퀀스를 생성하는 제 1 단계; 상기 자동화 스프레잉 서버가 상기 제 4 레벨 유닛단(Level4) 내지 상기 제 1 레벨 유닛단(Level1)을 구성하는 각 구성요소별 태그정보를 기초로 각 레벨 유닛단(Level4, Level3, Level2 및 Level1) 내부부터 외부로의 제 2 순차적 스프레잉 시퀀스를 생성하는 제 2 단계; 및 상기 자동화 스프레잉 서버가 태그 인식 에어 건 스프레이, 태그 인식 파워 건 스프레이 및 태그 인식 에어 스프레이에 대해 상기 제 1 순차적 스프레잉 시퀀스에 따라 상기 제 4 내지 레벨 유닛단(Level4)으로부터 상기 제 1 레벨 유닛단(Level1)으로 차례로 스프레잉을 수행함에 있어서, 상기 각 레벨 유닛단(Level4, Level3, Level2 및 Level1)에 대해서는 상기 제 2 순차적 스프레잉 시퀀스 각각에 따른 자동 수행을 제어하는 제 3 단계; 를 포함한다. 이에 의해, 선박에 선적하여 이동가능하도록 분리된 설비에 대한 체계적 방역을 위한 스프레잉을 체계적으로 수행함으로써, 스프레이용 용액에 대한 잔류양을 극대화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분리형 설비 모듈 방역을 위한 스프레잉 자동화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스프레잉 자동화 방법{Auto-spraying system for disinfection of seperable manufacture module, Auto-spraying method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분리형 설비 모듈 방역을 위한 스프레잉 자동화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스프레잉 자동화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선박에 선적하여 이동가능하도록 분리된 설비에 대한 체계적 방역 과정 중 스프레잉을 체계적으로 수행함으로써, 스프레이용 용액에 대한 잔류양이 극대화되도록 하기 위한 분리형 설비 모듈 방역을 위한 스프레잉 자동화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스프레잉 자동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선박이 목적지에 도착하거나 화물을 적재하기 위해 준비하는 과정에서, 출발지에서 목적지로 잠재적으로 외래유입종(invasive species)을 도입시키는 문제점이 있어 왔다. 즉, 비고유(non-native) 환경에 수백의 해양 외래유입종을 도입시킴으로서, 환경 오염에 따른 생태학적인 불균형을 초래하고 수십억 달러로 추정되는 불확실한 손상을 유발한다.
특히 외딴 섬이나 사람의 흔적이 많이 닿지 않은 곳에 이러한 외래유입종이 도입될 경우, 생태계 파괴 등의 문제점을 야기하고 있다. 그러나 필요에 의해 이러한 외딴 섬이나 사람의 흔적이 닿지 않은 곳에도 공장과 같은 설비가 필요한 경우가 발생하는데 이를 위해 분리형 설비 모듈을 선적하여 목적지에서 조립하여 사용하는 방식을 취하고 있다.
이에 따라 해당 기술분야에 있어서는 분리형 설비 모듈에 대한 방역을 위한 스프레잉 공정을 통해 목적지에 외래유입종이 도입되지 않도록 하기 위한 기술에 대한 기술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관련기술문헌]
선박용 밸러스트수의 전해 소독장치(Sterilizing Apparatus for Ship Ballast Water Using Electrolysis) (특허출원번호 제10-2005-0085605호)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선박에 선적하여 이동가능하도록 분리된 설비에 대한 체계적 방역을 위한 스프레잉을 체계적으로 수행함으로써, 스프레이용 용액에 대한 잔류양을 극대화되도록 하기 위한 분리형 설비 모듈 방역을 위한 스프레잉 자동화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스프레잉 자동화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다수의 레벨로 분리된 개별적인 분리형 설비에 대해 상층부터 하부층으로의 스프레잉 수행 중 하부층에 영향을 최소화하도록 하기 위한 분리형 설비 모듈 방역을 위한 스프레잉 자동화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스프레잉 자동화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의 목적들은 상기에 언급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분리형 설비 모듈 방역을 위한 스프레잉 자동화 시스템은, 자동화 스프레잉 서버가 최상위로부터 하위로 제 4 레벨 유닛단(Level4), 제 3 레벨 유닛단(Level3), 제 2 레벨 유닛단(Level2) 및 제 1 레벨 유닛단(Level1)으로 구분되는 제 1 분리형 설비 모듈 또는 제 2 분리형 설비 모듈에 대해 각각 미리 설정된 지점에 부착된 태그정보를 기초로 제 1 순차적 스프레잉 시퀀스를 생성하는 제 1 단계; 상기 자동화 스프레잉 서버가 상기 제 4 레벨 유닛단(Level4) 내지 상기 제 1 레벨 유닛단(Level1)을 구성하는 각 구성요소별 태그정보를 기초로 각 레벨 유닛단(Level4, Level3, Level2 및 Level1) 내부부터 외부로의 제 2 순차적 스프레잉 시퀀스를 생성하는 제 2 단계; 및 상기 자동화 스프레잉 서버가 태그 인식 에어 건 스프레이, 태그 인식 파워 건 스프레이 및 태그 인식 에어 스프레이에 대해 상기 제 1 순차적 스프레잉 시퀀스에 따라 상기 제 4 내지 레벨 유닛단(Level4)으로부터 상기 제 1 레벨 유닛단(Level1)으로 차례로 스프레잉을 수행함에 있어서, 상기 각 레벨 유닛단(Level4, Level3, Level2 및 Level1)에 대해서는 상기 제 2 순차적 스프레잉 시퀀스 각각에 따른 자동 수행을 제어하는 제 3 단계; 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분리형 설비 모듈 방역을 위한 스프레잉 자동화 시스템을 이용한 스프레잉 자동화 방법은, 상기 제 2 단계와 상기 제 3 단계 사이에, 상기 자동화 스프레잉 서버가 데이터 제어 세션을 통해 통신 가능한 상기 태그 인식 에어 건 스프레이, 상기 태그 인식 파워 건 스프레이 및 상기 태그 인식 에어 스프레이에 의해 상기 각 레벨 유닛단(Level4, Level3, Level2 및 Level1)에서 자동화가 가능하지 않은 영역에 해당하는 핫 스폿과 접근금지 영역에 대한 태그정보 수집하여 상기 생성된 제 2 순차적 스프레잉 시퀀스에 반영하여 업데이트하는 업데이트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분리형 설비 모듈 방역을 위한 스프레잉 자동화 시스템을 이용한 스프레잉 자동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 3 단계는, 상기 자동화 스프레잉 서버가 상기 태그 인식 에어 건 스프레이의 제 1 카메라, 상기 태그 인식 파워 건 스프레이의 제 2 카메라, 상기 태그 인식 에어 스프레이의 제 3 카메라에 의해 촬영데이터를 수신하여 물체 인식에 따른 스프레잉에 대한 자동 검사를 수행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분리형 설비 모듈 방역을 위한 스프레잉 자동화 시스템을 이용한 스프레잉 자동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 2 단계는, 상기 자동화 스프레잉 서버가 상기 각 레벨 유닛단(Level4, Level3, Level2 및 Level1)에 대해서 내부로부터 외부로의 각 제 2 순차적 스프레잉 시퀀스를 생성시, 중앙지점을 중심으로 가까운 거리에 있는 구성요소를 산정하는 2차원 좌표 설정을 수행하며, 동일한 거리에 있는 구성요소 간에는 무게중심에 대한 3차원 좌표간의 거리를 활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분리형 설비 모듈 방역을 위한 스프레잉 자동화 시스템을 이용한 스프레잉 자동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 3 단계는, 상기 자동화 스프레잉 서버가 상기 제 1 분리형 설비 모듈의 최상부를 구성하는 제 4 레벨 유닛단(Level4)인 상위 레벨 파이프와 플랫폼(High level Pipe & Platform)에 대해서 생성된 제 2 순차적 시퀀스에 따라 내부로부터 외부로의 상기 태그 인식 에어 건 스프레이, 상기 태그 인식 파워 건 스프레이 및 상기 태그 인식 에어 스프레이 중 하나에 의한 구성요소에 해당하는 상위 레벨 파이프의 바깥쪽(outside of pipe)에 대한 RFID 방식의 태그 자동 인식을 통한 자동 제어가 수행되도록 하는 제 3-1 단계; 및 상기 자동화 스프레잉 서버가 상기 제 1 분리형 설비 모듈의 제 4 레벨 유닛단(Level4)에 대해 상기 태그 인식 에어 건 스프레이의 제 1 카메라, 상기 태그 인식 파워 건 스프레이의 제 2 카메라 및 상기 태그 인식 에어 스프레이의 제 3 카메라 중 하나에 의해 촬영된 스프레잉 공정 촬영데이터를 수신하여, 상기 제 1 분리형 설비 모듈의 제 4 레벨 유닛단(Level4)에 대한 스프레잉 검사를 수행하는 제 3-2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분리형 설비 모듈 방역을 위한 스프레잉 자동화 시스템을 이용한 스프레잉 자동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 3-2 단계 이후, 상기 자동화 스프레잉 서버가 상기 제 1 분리형 설비 모듈의 제 3 레벨 유닛단(Level4)인 중간 레벨 플랫폼(Intermediate Platforms)에 대해서 생성된 제 2 순차적 시퀀스에 따라 내부로부터 외부로의 상기 태그 인식 에어 건 스프레이, 상기 태그 인식 파워 건 스프레이 및 상기 태그 인식 에어 스프레이 중 하나에 의한 구성요소에 해당하는 H-빔의 하부(Underneath H-beam) 및 플루어(floor)에 대한 RFID 방식의 태그 자동 인식을 통한 자동 제어가 수행되도록 하는 제 3-3 단계; 및 상기 자동화 스프레잉 서버가 상기 제 1 분리형 설비 모듈의 제 3 레벨 유닛단(Level4)에 대해 상기 제 1 카메라, 상기 제 2 카메라 및 상기 제 3 카메라 중 하나에 의해 촬영된 스프레잉 공정 촬영데이터를 수신하여, 상기 제 1 분리형 설비 모듈의 제 3 레벨 유닛단(Level4)에 대한 스프레잉 검사를 수행하는 제 3-4 단계; 가 더 수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분리형 설비 모듈 방역을 위한 스프레잉 자동화 시스템을 이용한 스프레잉 자동화 방법은, 상기 제 3-4 단계 이후, 상기 자동화 스프레잉 서버가 상기 제 1 분리형 설비 모듈의 제 2 레벨 유닛단(Level4)인 용기와 하위 레벨 플랫폼(Vessels and low level platforms)에 대해서 생성된 제 2 순차적 시퀀스에 따라 내부로부터 외부로의 상기 태그 인식 에어 건 스프레이, 상기 태그 인식 파워 건 스프레이 및 상기 태그 인식 에어 스프레이 중 하나에 의한 구성요소에 해당하는 제 2 레벨 그레이팅(Level2 grating), 용기의 아래(Under the vessel on level2), 용기의 표면(surface on the vessel), 하위 레벨 모듈의 맨위(Top of the module)에 대한 RFID 방식의 태그 자동 인식을 통한 자동 제어가 수행되도록 하는 제 3-5 단계; 및 상기 자동화 스프레잉 서버가 상기 제 1 분리형 설비 모듈의 제 2 레벨 유닛단(Level4)에 대해 상기 제 1 카메라, 상기 제 2 카메라 및 상기 제 3 카메라 중 하나에 의해 촬영된 스프레잉 공정 촬영데이터를 수신하여, 상기 제 1 분리형 설비 모듈의 제 2 레벨 유닛단(Level4)에 대한 스프레잉 검사를 수행하는 제 3-6 단계; 가 더 수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분리형 설비 모듈 방역을 위한 스프레잉 자동화 시스템을 이용한 스프레잉 자동화 방법은, 상기 제 3-6 단계 이후, 상기 자동화 스프레잉 서버가 상기 제 1 분리형 설비 모듈의 제 1 레벨 유닛단(Level4)인 용기 바닥 및 진입로(Bottom vessel and accessways)에 대해서 생성된 제 2 순차적 시퀀스에 따라 내부로부터 외부로의 상기 태그 인식 에어 건 스프레이, 상기 태그 인식 파워 건 스프레이 및 상기 태그 인식 에어 스프레이 중 하나에 의한 구성요소에 해당하는 제 1 레벨 하부(underneath level 1), 진입로(accessways) 및 소화기 박스(Fire extinguisher box)에 대한 RFID 방식의 태그 자동 인식을 통한 자동 제어가 수행되도록 하는 제 3-7 단계; 및 상기 자동화 스프레잉 서버가 상기 제 1 분리형 설비 모듈의 제 1 레벨 유닛단(Level4)에 대해 상기 제 1 카메라, 상기 제 2 카메라 및 상기 제 3 카메라 중 하나에 의해 촬영된 스프레잉 공정 촬영데이터를 수신하여, 상기 제 1 분리형 설비 모듈의 제 1 레벨 유닛단(Level4)에 대한 스프레잉 검사를 수행하는 제 3-8 단계; 가 더 수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분리형 설비 모듈 방역을 위한 스프레잉 자동화 시스템을 이용한 스프레잉 자동화 방법은, 상기 업데이트 단계에 있어서, 상기 자동화 스프레잉 서버에 의해 상기 핸드 스프레잉 및 핸드 드라잉 등이 필요한 핫 스폿과 접근금지 영역으로 설정된 항목은, 상기 제 1 분리형 설비 모듈의 제 3 레벨 유닛단(Level3)에서의 체리 피커 오퍼레이션(Cherry picker operation), 탑 오브 파이프(Top of pipe), 아웃사이드 오브 파이프(outside of the pipe)와 관련된 스프레잉 공정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분리형 설비 모듈 방역을 위한 스프레잉 자동화 시스템을 이용한 스프레잉 자동화 방법은, 상기 업데이트 단계에 있어서, 상기 자동화 스프레잉 서버가 제 4 카메라를 구비한 포터블 스프레이를 소지한 작업자의 수작업으로 동작을 수행하도록 상기 작업자의 모바일 단말로 통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분리형 설비 모듈 방역을 위한 스프레잉 자동화 시스템을 이용한 스프레잉 자동화 방법은, 상기 제 3 단계에 있어서, 상기 태그 인식 에어 건 스프레이, 상기 태그 인식 파워 건 스프레이 및 상기 태그 인식 에어 스프레이에 사용되는 스프레이용 용액은 1L 당 비펜스린(Bifenthrin) 5 중량%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분리형 설비 모듈 방역을 위한 스프레잉 자동화 시스템은, 최상위로부터 하위로 제 4 레벨 유닛단(Level4), 제 3 레벨 유닛단(Level3), 제 2 레벨 유닛단(Level2) 및 제 1 레벨 유닛단(Level1)으로 구분되는 제 1 분리형 설비 모듈 또는 제 2 분리형 설비 모듈에 대해 각각 미리 설정된 지점에 부착된 태그정보를 기초로 제 1 순차적 스프레잉 시퀀스를 생성하고, 상기 제 4 레벨 유닛단(Level4) 내지 상기 제 1 레벨 유닛단(Level1)을 구성하는 각 구성요소별 태그정보를 기초로 각 레벨 유닛단(Level4, Level3, Level2 및 Level1) 내부부터 외부로의 제 2 순차적 스프레잉 시퀀스를 생성하는 프로세스 자동 제어모듈; 및 태그 인식 에어 건 스프레이, 태그 인식 파워 건 스프레이 및 태그 인식 에어 스프레이에 대해 상기 제 1 순차적 스프레잉 시퀀스에 따라 상기 제 4 내지 레벨 유닛단(Level4)으로부터 상기 제 1 레벨 유닛단(Level1)으로 차례로 스프레잉을 수행함에 있어서, 상기 각 레벨 유닛단(Level4, Level3, Level2 및 Level1)에 대해서는 상기 제 2 순차적 스프레잉 시퀀스 각각에 따른 자동 수행을 제어하는 자동 제어모듈; 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분리형 설비 모듈 방역을 위한 스프레잉 자동화 시스템은, 데이터 제어 세션을 통해 통신 가능한 상기 태그 인식 에어 건 스프레이, 상기 태그 인식 파워 건 스프레이 및 상기 태그 인식 에어 스프레이에 의해 상기 각 레벨 유닛단(Level4, Level3, Level2 및 Level1)에서 자동화가 가능하지 않은 영역에 해당하는 핫 스폿과 접근금지 영역에 대한 태그정보 수집하여 상기 생성된 제 2 순차적 스프레잉 시퀀스에 반영하여 업데이트하는 시퀀스 보완모듈; 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분리형 설비 모듈 방역을 위한 스프레잉 자동화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자동 제어모듈은, 상기 태그 인식 에어 건 스프레이의 제 1 카메라, 상기 태그 인식 파워 건 스프레이의 제 2 카메라, 상기 태그 인식 에어 스프레이의 제 3 카메라에 의해 촬영데이터를 수신하여 물체 인식에 따른 스프레잉에 대한 자동 검사를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분리형 설비 모듈 방역을 위한 스프레잉 자동화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스 자동 제어모듈은, 상기 각 레벨 유닛단(Level4, Level3, Level2 및 Level1)에 대해서 내부로부터 외부로의 각 제 2 순차적 스프레잉 시퀀스를 생성시, 중앙지점을 중심으로 가까운 거리에 있는 구성요소를 산정하는 2차원 좌표 설정을 수행하며, 동일한 거리에 있는 구성요소 간에는 무게중심에 대한 3차원 좌표간의 거리를 활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분리형 설비 모듈 방역을 위한 스프레잉 자동화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시퀀스 보완모듈은, 상기 핸드 스프레잉 및 핸드 드라잉 등이 필요한 핫 스폿과 접근금지 영역에 대한 설정 항목으로 상기 제 1 분리형 설비 모듈의 제 3 레벨 유닛단(Level3)에서의 체리 피커 오퍼레이션(Cherry picker operation), 탑 오브 파이프(Top of pipe), 아웃사이드 오브 파이프(outside of the pipe)와 관련된 스프레잉 공정을 지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분리형 설비 모듈 방역을 위한 스프레잉 자동화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시퀀스 보완모듈은, 제 4 카메라를 구비한 포터블 스프레이를 소지한 작업자의 수작업으로 동작을 수행하도록 상기 작업자의 모바일 단말로 통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분리형 설비 모듈 방역을 위한 스프레잉 자동화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태그 인식 에어 건 스프레이, 상기 태그 인식 파워 건 스프레이 및 상기 태그 인식 에어 스프레이에 사용되는 스프레이용 용액은, 1L 당 비펜스린(Bifenthrin) 5 중량%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분리형 설비 모듈 방역을 위한 스프레잉 자동화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스프레잉 자동화 방법은, 선박에 선적하여 이동가능하도록 분리된 설비에 대한 체계적 방역을 위한 스프레잉을 체계적으로 수행함으로써, 스프레이용 용액에 대한 잔류양을 극대화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분리형 설비 모듈 방역을 위한 스프레잉 자동화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스프레잉 자동화 방법에 따른 프로세스에 의해, 다수의 레벨로 분리된 개별적인 분리형 설비에 대해 상층부터 하부층으로의 스프레잉 수행 중 하부층에 영향을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분리형 설비 모듈 방역을 위한 스프레잉 자동화 시스템에 의한 스프레잉 공정의 대상이 되는 제 1 분리형 설비 모듈을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분리형 설비 모듈 방역을 위한 스프레잉 자동화 시스템에 의한 스프레잉 공정의 대상이 되는 제 2 분리형 설비 모듈을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분리형 설비 모듈 방역을 위한 스프레잉 자동화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분리형 설비 모듈 방역을 위한 스프레잉 자동화 시스템을 이용한 스프레잉 자동화 방법 중 제 1 분리형 설비 모듈 및 제 2 분리형 설비 모듈에 공통적으로 수행되는 과정을 나타내는 흐름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분리형 설비 모듈 방역을 위한 스프레잉 자동화 시스템을 이용한 스프레잉 자동화 방법 중 제 1 분리형 설비 모듈에 적용되는 상세한 스프레잉 공정을 나타내는 흐름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상세한 설명은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할 것이다.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는 어느 하나의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로 데이터 또는 신호를 '전송'하는 경우에는 구성요소는 다른 구성요소로 직접 상기 데이터 또는 신호를 전송할 수 있고, 적어도 하나의 또 다른 구성요소를 통하여 데이터 또는 신호를 다른 구성요소로 전송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분리형 설비 모듈 방역을 위한 스프레잉 자동화 시스템(100, 도 3 참조)에 의한 스프레잉 공정의 대상이 되는 제 1 분리형 설비 모듈(1)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제 1 분리형 설비모듈(1)은 하부로부터 상부까지 제 1 레벨 유닛단(Level1), 제 2 레벨 유닛단(Level2), 제 3 레벨 유닛단(Level3) 및 제 4 레벨 유닛단(Level4)으로 구성된다.
제 1 레벨 유닛단(Level1)은 용기 바닥 및 진입로(Bottom vessel and accessways)에 해당하며, 제 2 레벨 유닛단(Level2)은 용기와 하위 레벨 플랫폼(Vessels and low level platforms), 제 3 레벨 유닛단(Level3)은 중간 레벨 플랫폼(Intermediate Platforms), 제 4 레벨 유닛단(Level4)은 상위 레벨 파이프와 플랫폿(High level Pipe & Platform)에 해당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분리형 설비 모듈 방역을 위한 스프레잉 자동화 시스템(100)에 의한 스프레잉 공정의 대상이 되는 제 2 분리형 설비 모듈(2)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제 2 분리형 설비모듈(2)은 하부로부터 상부까지 제 1 레벨 유닛단(Level1), 제 2 레벨 유닛단(Level2), 제 3 레벨 유닛단(Level3) 및 제 4 레벨 유닛단(Level4)으로 구성된다.
제 1 레벨 유닛단(Level1)은 바닥 레벨의 진입로, 구조물, 그리고 콤프레서(Bottom level(Including equipment skids) and accessways), Structure, and Compressor)에 해당하며, 제 2 레벨 유닛단(Level2)은 중간 레벨 플랫폼 아래의 상위 레벨 배관들, 구조물, 그리고 지지체 및 용기(High level Pipework under Platform, Structure, Support & Vessel)에 해당하며, 제 3 레벨 유닛단(Level3)은 중간 레벨 플랫폼, 구조물, 그리고 지지체 및 용기(Intermediate Platform, Structure, Support & Vessel), 그리고 제 4 레벨 유닛단(Level4)은 쿨러와 쿨러 플랫폼(Coolers & Cooler Platform)에 해당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분리형 설비 모듈 방역을 위한 스프레잉 자동화 시스템(100)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분리형 설비 모듈 방역을 위한 스프레잉 자동화 시스템(100)은 태그 인식 에어 건 스프레이(10), 태그 인식 파워 건 스프레이(20), 태그 인식 에어 스프레이(30), 자동화 스프레잉 서버(40), 자동화 DB(50) 그리고 포터블 스프레이(60)를 포함한다. 그리고 자동화 스프레잉 서버(40)는 프로세스 자동 제어모듈(41), 시퀀스 보완모듈(42) 및 자동 제어모듈(43)을 구비한다. 이하, 자동화 스프레잉 서버(40)의 구성을 중심으로 분리형 설비 모듈 방역을 위한 스프레잉 자동화 시스템(100)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살펴보도록 한다. 자동화 스프레잉 서버(40)를 구성하는 모듈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수행하기 위한 하드웨어 및 상기 하드웨어를 구동하기 위한 소프트웨어의 기능적, 구조적 결합을 의미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모듈은 소정의 코드와 상기 소정의 코드가 수행되기 위한 하드웨어 리소스의 논리적인 단위를 의미할 수 있으며, 반드시 물리적으로 연결된 코드를 의미하거나, 한 종류의 하드웨어를 의미하는 것은 아님은 본 발명의 기술분야의 평균적 전문가에게는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태그 인식 에어 건 스프레이(10), 태그 인식 파워 건 스프레이(20), 태그 인식 에어 스프레이(30) 및 포터블 스프레이(60)에 사용되는 스프레이용 용액은 1L 당 비펜스린(Bifenthrin) 5 중량%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프로세스 자동 제어모듈(41)은 데이터 제어 세션을 통해 통신 가능한 제 1 분리형 설비 모듈(1) 또는 제 2 분리형 설비 모듈(2)의 제 4 레벨 유닛단(Level4), 제 3 레벨 유닛단(Level3), 제 2 레벨 유닛단(Level2), 제 1 레벨 유닛단(Level1)에 대해 각각 미리 설정된 지점에 부착된 태그정보를 기초로 제 1 순차적 스프레잉 시퀀스를 생성함으로써, 최상부의 제 4 레벨 유닛단(Level4)부터 최하부의 제 1 레벨 유닛단(Level1)에 대한 스프레잉 공정에 대한 설계 과정으로 제 1 순차적 스프레잉 시퀀스 정보를 자동화 DB(50)에 저장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DB라 함은, 각각의 데이터베이스에 대응되는 정보를 저장하는 소프트웨어 및 하드웨어의 기능적 구조적 결합을 의미할 수 있다. DB는 적어도 하나의 테이블로 구현될 수도 있으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정보를 검색, 저장, 및 관리하기 위한 별도의 DBMS(Database Management System)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링크드 리스트(linked-list), 트리(Tree), 관계형 데이터베이스의 형태 등 다양한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데이터베이스에 대응되는 정보를 저장할 수 있는 모든 데이터 저장매체 및 데이터 구조를 포함한다.
프로세스 자동 제어모듈(41)은 제 4 레벨 유닛단(Level4) 내지 제 1 레벨 유닛단(Level1)을 구성하는 각 구성요소별 태그정보를 기초로 각 레벨 유닛단(Level4, Level3, Level2 및 Level1) 내부부터 외부로의 제 2 순차적 스프레잉 시퀀스를 생성하여 자동화 DB(50)에 저장한다. 이 경우, 내부로부터 외부로의 제 2 순차적 스프레잉 시퀀스를 생성시, 중앙지점을 중심으로 가까운 거리에 있는 구성요소를 산정하는 2차원 좌표 설정을 수행하며, 동일한 거리에 있는 구성요소 간에는 무게중심에 대한 3차원 좌표간의 거리를 활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 2 순차적 스프레잉 시퀀스는 각 레벨 유닛단 별로 각각 생성되어 자동화 DB(50)에 저장된다. 이때, 제 4 레벨 유닛단(Level4)은 최상층이므로 워터 스프레잉시 수분이 낙하하거나 휘산하게 되므로, 최우선적으로 수행되며, 스프레잉의 순서도 내부에서 외부로 수행된다. 제 3 레벨 유닛단(Level3)은 중간층이므로, 상부의 영향이 있는 부분과 없는 부분이 발생할 수 있어서, 기술적으로 내부에서 외부로 작업 진행시 상부의 영향을 최소화할 수 있다. 제 2 레벨 유닛단(Level2)은 바닥층 또는 용기(vessel)이므로 용기의 일반적인 특징으로 스프레잉 과정에 포함되며, 용기의 특징을 고려하고 마찬가지로 상부에서의 영향을 저감하도록 내부에서 외부로 작업을 진행한다. 또한, 제 1 레벨 유닛단(Level1)은 추후 제 1 분리형 설비 모듈(1) 및 제 2 분리형 설비 모듈(2)을 선박으로 선적하기 전의 마지막 단계임을 고려하여 스프레잉 작업을 진행한다.
시퀀스 보완모듈(42)은 태그 인식 에어 건 스프레이(10), 태그 인식 파워 건 스프레이(20) 및 태그 인식 에어 스프레이(30)에 의해 각 레벨 유닛단(Level4, Level3, Level2 및 Level1)에서 자동화가 불가능한 영역에 있어 핸드 스프레잉 및 핸드 드라잉 등이 필요한 핫 스폿과 접근금지 영역에 대한 태그정보 수집하여 제 2 순차적 스프레잉 시퀀스에 반영함으로써, 자동화 DB(50)을 업데이트 한다. 여기서 핸드 스프레잉 및 핸드 드라잉 등이 필요한 핫 스폿과 접근금지 영역으로 설정된 항목은 제 1 분리형 설비 모듈(1)의 제 3 레벨 유닛단(Level3)에서의 체리 피커 오퍼레이션(Cherry picker operation), 탑 오브 파이프(Top of pipe), 아웃사이드 오브 파이프(outside of the pipe)와 관련된 스프레잉 공정일 수 있다. 이 경우 시퀀스 보완모듈(42)은 제 4 카메라(61)를 구비한 포터블 스프레이(60)를 소지한 작업자의 수작업으로 동작을 수행하도록 작업자의 모바일 단말로 통지하는 기능을 구비할 수 있다.
자동 제어모듈(43)은 태그 인식 에어 건 스프레이(10), 태그 인식 파워 건 스프레이(20) 및 태그 인식 에어 스프레이(30)에 대한 제 1 순차적 스프레잉 시퀀스에 따라 제 4 내지 레벨 유닛단(Level4)으로부터 제 1 레벨 유닛단(Level1)으로 차례로 스프레잉을 수행함에 있어서, 각 레벨 유닛단(Level4, Level3, Level2 및 Level1)에 대해서 생성된 제 2 순차적 스프레잉 시퀀스에 따른 자동 수행을 제어하고, 태그 인식 에어 건 스프레이(10)의 제 1 카메라(11), 태그 인식 파워 건 스프레이(20)의 제 2 카메라(21), 태그 인식 에어 스프레이(30)의 제 3 카메라(31)에 의해 촬영데이터를 수신하여 물체 인식에 따른 자동 검사를 수행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분리형 설비 모듈 방역을 위한 스프레잉 자동화 시스템을 이용한 스프레잉 자동화 방법 중 제 1 분리형 설비 모듈(1) 및 제 2 분리형 설비 모듈(2)에 공통적으로 수행되는 과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자동화 스프레잉 서버(40)는 제 1 분리형 설비 모듈(1) 또는 제 2 분리형 설비 모듈(2)의 제 4 레벨 유닛단(Level4), 제 3 레벨 유닛단(Level3), 제 2 레벨 유닛단(Level2), 제 1 레벨 유닛단(Level1)에 대해 각각 미리 설정된 지점에 부착된 태그정보를 기초로 제 1 순차적 스프레잉 시퀀스를 생성함으로써(S11), 최상부의 제 4 레벨 유닛단(Level4)부터 최하부의 제 1 레벨 유닛단(Level1)에 대한 스프레잉 공정에 대한 설계 과정으로 제 1 순차적 스프레잉 시퀀스 정보를 자동화 DB(50)에 저장한다.
단계(S11) 이후, 자동화 스프레잉 서버(40)는 제 4 레벨 유닛단(Level4) 내지 제 1 레벨 유닛단(Level1)을 구성하는 각 구성요소별 태그정보를 기초로 각 레벨 유닛단(Level4, Level3, Level2 및 Level1) 내부부터 외부로의 제 2 순차적 스프레잉 시퀀스를 생성하여 자동화 DB(50)에 저장한다(S12). 이 경우, 내부로부터 외부로의 제 2 순차적 스프레잉 시퀀스를 생성시, 중앙지점을 중심으로 가까운 거리에 있는 구성요소를 산정하는 2차원 좌표 설정을 수행하며, 동일한 거리에 있는 구성요소 간에는 무게중심에 대한 3차원 좌표간의 거리를 활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단계(S12) 이후, 자동화 스프레잉 서버(40)는 데이터 제어 세션을 통해 통신 가능한 태그 인식 워터 스프레잉(10), 태그 인식 에어 스프레잉(20) 및 태그 인식 와이퍼(30)에 의해 각 레벨 유닛단(Level4, Level3, Level2 및 Level1)에서 자동화가 불가능한 영역에 있어 핸드 스프레잉 및 핸드 드라잉 등이 필요한 핫 스폿과 접근금지 영역에 대한 태그정보 수집하여 제 2 순차적 스프레잉 시퀀스에 반영함으로써(S13), 자동화 DB(50)를 업데이트 한다. 여기서 핸드 스프레잉 및 핸드 드라잉 등이 필요한 핫 스폿과 접근금지 영역으로 설정된 항목은 제 1 분리형 설비 모듈(1)의 제 3 레벨 유닛단(Level3)에서의 체리 피커 오퍼레이션(Cherry picker operation), 탑 오브 파이프(Top of pipe), 아웃사이드 오브 파이프(outside of the pipe)와 관련된 스프레잉 공정일 수 있다. 이 경우 자동화 스프레잉 서버(40)는 제 4 카메라(61)를 구비한 포터블 스프레이(60)를 소지한 작업자의 수작업으로 동작을 수행하도록 작업자의 모바일 단말로 통지하는 기능을 구비할 수 있다.
단계(S13) 이후, 자동화 스프레잉 서버(40)는 태그 인식 에어 건 스프레이(10), 태그 인식 파워 건 스프레이(20) 및 태그 인식 에어 스프레이(30)에 대한 제 1 순차적 스프레잉 시퀀스에 따라 제 4 내지 레벨 유닛단(Level4)으로부터 제 1 레벨 유닛단(Level1)으로 차례로 스프레잉을 수행함에 있어서, 각 레벨 유닛단(Level4, Level3, Level2 및 Level1)에 대해서는 단계(S13)에서 생성된 제 2 순차적 스프레잉 시퀀스에 따른 자동 수행을 제어하고, 태그 인식 에어 건 스프레이(10)의 제 1 카메라(11), 태그 인식 파워 건 스프레이(20)의 제 2 카메라(21), 태그 인식 에어 스프레이(30)의 제 3 카메라(31)에 의해 촬영데이터를 수신하여 물체 인식에 따른 자동 검사를 수행한다(S14).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분리형 설비 모듈 방역을 위한 스프레잉 자동화 시스템을 이용한 스프레잉 자동화 방법 중 제 1 분리형 설비 모듈(1)에 적용되는 상세한 스프레잉 공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자동화 스프레잉 서버(40)는 제 1 분리형 설비 모듈(1)의 최상부를 구성하는 제 4 레벨 유닛단(Level4)인 상위 레벨 파이프와 플랫폼(High level Pipe & Platform)에 대한 제 2 순차적 시퀀스에 따라 내부로부터 외부로의 태그 인식 에어 건 스프레이(10), 태그 인식 파워 건 스프레이(20) 및 태그 인식 에어 스프레이(30) 중 하나에 의한 제 4 레벨 유닛단(Level4)을 구성하는 구성요소에 해당하는 상위 레벨 파이프의 바깥쪽(outside of pipe)에 대한 RFID 방식의 태그 자동 인식을 통한 자동 제어가 수행되도록 함으로써, 스프레잉 공정을 수행한다(S21).
단계(S21) 이후, 자동화 스프레잉 서버(40)는 제 4 레벨 유닛단(Level4)에 대해 태그 인식 에어 건 스프레이(10)의 제 1 카메라(11), 태그 인식 파워 건 스프레이(20)의 제 2 카메라(21) 및 태그 인식 에어 스프레이(30)의 제 3 카메라(31) 중 하나에 의해 촬영된 스프레잉 공정 촬영데이터를 수신하여, 제 4 레벨 유닛단(Level4)에 대한 스프레잉 검사를 수행한다(S22).
단계(S22) 이후, 자동화 스프레잉 서버(40)는 제 1 분리형 설비 모듈(1)의제 3 레벨 유닛단(Level3)인 중간 레벨 플랫폼(Intermediate Platforms)에 대해 제 2 순차적 시퀀스에 따라 내부로부터 외부로의 태그 인식 에어 건 스프레이(10), 태그 인식 파워 건 스프레이(20) 및 태그 인식 에어 스프레이(30) 중 하나에 의한 제 3 레벨 유닛단(Level3)을 구성하는 구성요소에 해당하는 H-빔의 하부(Underneath H-beam) 및 플루어(floor)에 대한 RFID 방식의 태그 자동 인식을 통한 자동 제어가 수행되도록 함으로써, 스프레잉 공정을 수행한다(S23). 이 경우 스프레잉 공정은 잔류 스프레이(residual spray) 방식으로 수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단계(S23) 이후, 자동화 스프레잉 서버(40)는 제 3 레벨 유닛단(Level3)에 대해 태그 인식 에어 건 스프레이(10)의 제 1 카메라(11), 태그 인식 파워 건 스프레이(20)의 제 2 카메라(21) 및 태그 인식 에어 스프레이(30)의 제 3 카메라(31) 중 하나에 의해 촬영된 스프레잉 공정 촬영데이터를 수신하여, 제 3 레벨 유닛단(Level3)에 대한 스프레잉 검사를 수행한다(S24).
단계(S24) 이후, 자동화 스프레잉 서버(40)는 제 1 분리형 설비 모듈(1)의제 2 레벨 유닛단(Level2)인 용기와 하위 레벨 플랫폼(Vessels and low level platforms)에 대해 제 2 순차적 시퀀스에 따라 내부로부터 외부로의 태그 인식 에어 건 스프레이(10), 태그 인식 파워 건 스프레이(20) 및 태그 인식 에어 스프레이(30) 중 하나에 의한 제 2 레벨 유닛단(Level3)을 구성하는 구성요소에 해당하는 제 2 레벨 그레이팅(Level2 grating), 용기의 아래(Under the vessel on level2), 용기의 표면(surface on the vessel), 하위 레벨 모듈의 맨위(Top of the module)에 대한 RFID 방식의 태그 자동 인식을 통한 자동 제어가 수행되도록 함으로써, 스프레잉 공정을 수행한다(S25).
단계(S25) 이후, 자동화 스프레잉 서버(40)는 제 2 레벨 유닛단(Level2)에 대해 태그 인식 에어 건 스프레이(10)의 제 1 카메라(11), 태그 인식 파워 건 스프레이(20)의 제 2 카메라(21) 및 태그 인식 에어 스프레이(30)의 제 3 카메라(31) 중 하나에 의해 촬영된 스프레잉 공정 촬영데이터를 수신하여, 제 2 레벨 유닛단(Level2)에 대한 스프레잉 검사를 수행한다(S26).
단계(S26) 이후, 자동화 스프레잉 서버(40)는 제 1 분리형 설비 모듈(1)의제 1 레벨 유닛단(Level1)인 용기 바닥 및 진입로(Bottom vessel and accessways)에 대해 제 2 순차적 시퀀스에 따라 내부로부터 외부로의 태그 인식 에어 건 스프레이(10), 태그 인식 파워 건 스프레이(20) 및 태그 인식 에어 스프레이(30) 중 하나에 의한 제 2 레벨 유닛단(Level3)을 구성하는 구성요소에 해당하는 제 1 레벨 하부(underneath level 1), 진입로(accessways) 및 소화기 박스(Fire extinguisher box)에 대한 RFID 방식의 태그 자동 인식을 통한 자동 제어가 수행되도록 함으로써, 스프레잉 공정을 수행한다(S27).
단계(S27) 이후, 자동화 스프레잉 서버(40)는 제 1 레벨 유닛단(Level1)에 대해 태그 인식 에어 건 스프레이(10)의 제 1 카메라(11), 태그 인식 파워 건 스프레이(20)의 제 2 카메라(21) 및 태그 인식 에어 스프레이(30)의 제 3 카메라(31) 중 하나에 의해 촬영된 스프레잉 공정 촬영데이터를 수신하여, 제 1 레벨 유닛단(Level1)에 대한 스프레잉 검사를 수행한다(S28).
본 발명은 또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 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을 구현하기 위한 기능적인(functional) 프로그램, 코드 및 코드 세그먼트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프로그래머들에 의해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명세서와 도면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개시하였으며, 비록 특정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일반적인 의미에서 사용된 것이지,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 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 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10: 태그 인식 에어 건 스프레이
11: 제 1 카메라
20: 태그 인식 파워 건 스프레이
21: 제 2 카메라
30: 태그 인식 에어 스프레이
31: 제 3 카메라
40: 자동화 스프레잉 서버
41: 프로세스 자동 제어모듈
42: 시퀀스 보완모듈
43: 자동 제어모듈
50: 자동화 DB
60: 포터블 스프레이
61: 제 4 카메라

Claims (18)

  1. 자동화 스프레잉 서버가 최상위로부터 하위로 제 4 레벨 유닛단(Level4), 제 3 레벨 유닛단(Level3), 제 2 레벨 유닛단(Level2) 및 제 1 레벨 유닛단(Level1)으로 구분되는 제 1 분리형 설비 모듈 또는 제 2 분리형 설비 모듈에 대해 각각 미리 설정된 지점에 부착된 태그정보를 기초로 제 1 순차적 스프레잉 시퀀스를 생성하는 제 1 단계;
    상기 자동화 스프레잉 서버가 상기 제 4 레벨 유닛단(Level4) 내지 상기 제 1 레벨 유닛단(Level1)을 구성하는 각 구성요소별 태그정보를 기초로 각 레벨 유닛단(Level4, Level3, Level2 및 Level1) 내부부터 외부로의 제 2 순차적 스프레잉 시퀀스를 생성하는 제 2 단계; 및
    상기 자동화 스프레잉 서버가 태그 인식 에어 건 스프레이, 태그 인식 파워 건 스프레이 및 태그 인식 에어 스프레이에 대해 상기 제 1 순차적 스프레잉 시퀀스에 따라 상기 제 4 내지 레벨 유닛단(Level4)으로부터 상기 제 1 레벨 유닛단(Level1)으로 차례로 스프레잉을 수행함에 있어서, 상기 각 레벨 유닛단(Level4, Level3, Level2 및 Level1)에 대해서는 상기 제 2 순차적 스프레잉 시퀀스 각각에 따른 자동 수행을 제어하는 제 3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형 설비 모듈 방역을 위한 스프레잉 자동화 시스템을 이용한 스프레잉 자동화 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 2 단계와 상기 제 3 단계 사이에,
    상기 자동화 스프레잉 서버가 데이터 제어 세션을 통해 통신 가능한 상기 태그 인식 에어 건 스프레이, 상기 태그 인식 파워 건 스프레이 및 상기 태그 인식 에어 스프레이에 의해 상기 각 레벨 유닛단(Level4, Level3, Level2 및 Level1)에서 자동화가 가능하지 않은 영역에 해당하는 핫 스폿과 접근금지 영역에 대한 태그정보 수집하여 상기 생성된 제 2 순차적 스프레잉 시퀀스에 반영하여 업데이트하는 업데이트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형 설비 모듈 방역을 위한 스프레잉 자동화 시스템을 이용한 스프레잉 자동화 방법.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 3 단계는,
    상기 자동화 스프레잉 서버가 상기 태그 인식 에어 건 스프레이의 제 1 카메라, 상기 태그 인식 파워 건 스프레이의 제 2 카메라, 상기 태그 인식 에어 스프레이의 제 3 카메라에 의해 촬영데이터를 수신하여 물체 인식에 따른 스프레잉에 대한 자동 검사를 수행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형 설비 모듈 방역을 위한 스프레잉 자동화 시스템을 이용한 스프레잉 자동화 방법.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 2 단계는,
    상기 자동화 스프레잉 서버가 상기 각 레벨 유닛단(Level4, Level3, Level2 및 Level1)에 대해서 내부로부터 외부로의 각 제 2 순차적 스프레잉 시퀀스를 생성시, 중앙지점을 중심으로 가까운 거리에 있는 구성요소를 산정하는 2차원 좌표 설정을 수행하며, 동일한 거리에 있는 구성요소 간에는 무게중심에 대한 3차원 좌표간의 거리를 활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형 설비 모듈 방역을 위한 스프레잉 자동화 시스템을 이용한 스프레잉 자동화 방법.
  5.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제 3 단계는,
    상기 자동화 스프레잉 서버가 상기 제 1 분리형 설비 모듈의 최상부를 구성하는 제 4 레벨 유닛단(Level4)인 상위 레벨 파이프와 플랫폼(High level Pipe & Platform)에 대해서 생성된 제 2 순차적 시퀀스에 따라 내부로부터 외부로의 상기 태그 인식 에어 건 스프레이, 상기 태그 인식 파워 건 스프레이 및 상기 태그 인식 에어 스프레이 중 하나에 의한 구성요소에 해당하는 상위 레벨 파이프의 바깥쪽(outside of pipe)에 대한 RFID 방식의 태그 자동 인식을 통한 자동 제어가 수행되도록 하는 제 3-1 단계; 및
    상기 자동화 스프레잉 서버가 상기 제 1 분리형 설비 모듈의 제 4 레벨 유닛단(Level4)에 대해 상기 태그 인식 에어 건 스프레이의 제 1 카메라, 상기 태그 인식 파워 건 스프레이의 제 2 카메라 및 상기 태그 인식 에어 스프레이의 제 3 카메라 중 하나에 의해 촬영된 스프레잉 공정 촬영데이터를 수신하여, 상기 제 1 분리형 설비 모듈의 제 4 레벨 유닛단(Level4)에 대한 스프레잉 검사를 수행하는 제 3-2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형 설비 모듈 방역을 위한 스프레잉 자동화 시스템을 이용한 스프레잉 자동화 방법.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제 3-2 단계 이후,
    상기 자동화 스프레잉 서버가 상기 제 1 분리형 설비 모듈의 제 3 레벨 유닛단(Level4)인 중간 레벨 플랫폼(Intermediate Platforms)에 대해서 생성된 제 2 순차적 시퀀스에 따라 내부로부터 외부로의 상기 태그 인식 에어 건 스프레이, 상기 태그 인식 파워 건 스프레이 및 상기 태그 인식 에어 스프레이 중 하나에 의한 구성요소에 해당하는 H-빔의 하부(Underneath H-beam) 및 플루어(floor)에 대한 RFID 방식의 태그 자동 인식을 통한 자동 제어가 수행되도록 하는 제 3-3 단계; 및
    상기 자동화 스프레잉 서버가 상기 제 1 분리형 설비 모듈의 제 3 레벨 유닛단(Level4)에 대해 상기 제 1 카메라, 상기 제 2 카메라 및 상기 제 3 카메라 중 하나에 의해 촬영된 스프레잉 공정 촬영데이터를 수신하여, 상기 제 1 분리형 설비 모듈의 제 3 레벨 유닛단(Level4)에 대한 스프레잉 검사를 수행하는 제 3-4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형 설비 모듈 방역을 위한 스프레잉 자동화 시스템을 이용한 스프레잉 자동화 방법.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제 3-4 단계 이후,
    상기 자동화 스프레잉 서버가 상기 제 1 분리형 설비 모듈의 제 2 레벨 유닛단(Level4)인 용기와 하위 레벨 플랫폼(Vessels and low level platforms)에 대해서 생성된 제 2 순차적 시퀀스에 따라 내부로부터 외부로의 상기 태그 인식 에어 건 스프레이, 상기 태그 인식 파워 건 스프레이 및 상기 태그 인식 에어 스프레이 중 하나에 의한 구성요소에 해당하는 제 2 레벨 그레이팅(Level2 grating), 용기의 아래(Under the vessel on level2), 용기의 표면(surface on the vessel), 하위 레벨 모듈의 맨위(Top of the module)에 대한 RFID 방식의 태그 자동 인식을 통한 자동 제어가 수행되도록 하는 제 3-5 단계; 및
    상기 자동화 스프레잉 서버가 상기 제 1 분리형 설비 모듈의 제 2 레벨 유닛단(Level4)에 대해 상기 제 1 카메라, 상기 제 2 카메라 및 상기 제 3 카메라 중 하나에 의해 촬영된 스프레잉 공정 촬영데이터를 수신하여, 상기 제 1 분리형 설비 모듈의 제 2 레벨 유닛단(Level4)에 대한 스프레잉 검사를 수행하는 제 3-6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형 설비 모듈 방역을 위한 스프레잉 자동화 시스템을 이용한 스프레잉 자동화 방법.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제 3-6 단계 이후,
    상기 자동화 스프레잉 서버가 상기 제 1 분리형 설비 모듈의 제 1 레벨 유닛단(Level4)인 용기 바닥 및 진입로(Bottom vessel and accessways)에 대해서 생성된 제 2 순차적 시퀀스에 따라 내부로부터 외부로의 상기 태그 인식 에어 건 스프레이, 상기 태그 인식 파워 건 스프레이 및 상기 태그 인식 에어 스프레이 중 하나에 의한 구성요소에 해당하는 제 1 레벨 하부(underneath level 1), 진입로(accessways) 및 소화기 박스(Fire extinguisher box)에 대한 RFID 방식의 태그 자동 인식을 통한 자동 제어가 수행되도록 하는 제 3-7 단계; 및
    상기 자동화 스프레잉 서버가 상기 제 1 분리형 설비 모듈의 제 1 레벨 유닛단(Level4)에 대해 상기 제 1 카메라, 상기 제 2 카메라 및 상기 제 3 카메라 중 하나에 의해 촬영된 스프레잉 공정 촬영데이터를 수신하여, 상기 제 1 분리형 설비 모듈의 제 1 레벨 유닛단(Level4)에 대한 스프레잉 검사를 수행하는 제 3-8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형 설비 모듈 방역을 위한 스프레잉 자동화 시스템을 이용한 스프레잉 자동화 방법.
  9.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업데이트 단계에 있어서,
    상기 자동화 스프레잉 서버에 의해 상기 핸드 스프레잉 및 핸드 드라잉 등이 필요한 핫 스폿과 접근금지 영역으로 설정된 항목은, 상기 제 1 분리형 설비 모듈의 제 3 레벨 유닛단(Level3)에서의 체리 피커 오퍼레이션(Cherry picker operation), 탑 오브 파이프(Top of pipe), 아웃사이드 오브 파이프(outside of the pipe)와 관련된 스프레잉 공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형 설비 모듈 방역을 위한 스프레잉 자동화 시스템을 이용한 스프레잉 자동화 방법.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업데이트 단계에 있어서,
    상기 자동화 스프레잉 서버가 제 4 카메라를 구비한 포터블 스프레이를 소지한 작업자의 수작업으로 동작을 수행하도록 상기 작업자의 모바일 단말로 통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형 설비 모듈 방역을 위한 스프레잉 자동화 시스템을 이용한 스프레잉 자동화 방법.
  11.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 3 단계에 있어서,
    상기 태그 인식 에어 건 스프레이, 상기 태그 인식 파워 건 스프레이 및 상기 태그 인식 에어 스프레이에 사용되는 스프레이용 용액은 1L 당 비펜스린(Bifenthrin) 5 중량%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형 설비 모듈 방역을 위한 스프레잉 자동화 시스템을 이용한 스프레잉 자동화 방법.
  12. 최상위로부터 하위로 제 4 레벨 유닛단(Level4), 제 3 레벨 유닛단(Level3), 제 2 레벨 유닛단(Level2) 및 제 1 레벨 유닛단(Level1)으로 구분되는 제 1 분리형 설비 모듈 또는 제 2 분리형 설비 모듈에 대해 각각 미리 설정된 지점에 부착된 태그정보를 기초로 제 1 순차적 스프레잉 시퀀스를 생성하고, 상기 제 4 레벨 유닛단(Level4) 내지 상기 제 1 레벨 유닛단(Level1)을 구성하는 각 구성요소별 태그정보를 기초로 각 레벨 유닛단(Level4, Level3, Level2 및 Level1) 내부부터 외부로의 제 2 순차적 스프레잉 시퀀스를 생성하는 프로세스 자동 제어모듈; 및
    태그 인식 에어 건 스프레이, 태그 인식 파워 건 스프레이 및 태그 인식 에어 스프레이에 대해 상기 제 1 순차적 스프레잉 시퀀스에 따라 상기 제 4 내지 레벨 유닛단(Level4)으로부터 상기 제 1 레벨 유닛단(Level1)으로 차례로 스프레잉을 수행함에 있어서, 상기 각 레벨 유닛단(Level4, Level3, Level2 및 Level1)에 대해서는 상기 제 2 순차적 스프레잉 시퀀스 각각에 따른 자동 수행을 제어하는 자동 제어모듈;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형 설비 모듈 방역을 위한 스프레잉 자동화 시스템.
  13. 청구항 12에 있어서,
    데이터 제어 세션을 통해 통신 가능한 상기 태그 인식 에어 건 스프레이, 상기 태그 인식 파워 건 스프레이 및 상기 태그 인식 에어 스프레이에 의해 상기 각 레벨 유닛단(Level4, Level3, Level2 및 Level1)에서 자동화가 가능하지 않은 영역에 해당하는 핫 스폿과 접근금지 영역에 대한 태그정보 수집하여 상기 생성된 제 2 순차적 스프레잉 시퀀스에 반영하여 업데이트하는 시퀀스 보완모듈; 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형 설비 모듈 방역을 위한 스프레잉 자동화 시스템.
  14.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자동 제어모듈은,
    상기 태그 인식 에어 건 스프레이의 제 1 카메라, 상기 태그 인식 파워 건 스프레이의 제 2 카메라, 상기 태그 인식 에어 스프레이의 제 3 카메라에 의해 촬영데이터를 수신하여 물체 인식에 따른 스프레잉에 대한 자동 검사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형 설비 모듈 방역을 위한 스프레잉 자동화 시스템.
  15.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스 자동 제어모듈은,
    상기 각 레벨 유닛단(Level4, Level3, Level2 및 Level1)에 대해서 내부로부터 외부로의 각 제 2 순차적 스프레잉 시퀀스를 생성시, 중앙지점을 중심으로 가까운 거리에 있는 구성요소를 산정하는 2차원 좌표 설정을 수행하며, 동일한 거리에 있는 구성요소 간에는 무게중심에 대한 3차원 좌표간의 거리를 활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형 설비 모듈 방역을 위한 스프레잉 자동화 시스템.
  16.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시퀀스 보완모듈은,
    상기 핸드 스프레잉 및 핸드 드라잉 등이 필요한 핫 스폿과 접근금지 영역에 대한 설정 항목으로 상기 제 1 분리형 설비 모듈의 제 3 레벨 유닛단(Level3)에서의 체리 피커 오퍼레이션(Cherry picker operation), 탑 오브 파이프(Top of pipe), 아웃사이드 오브 파이프(outside of the pipe)와 관련된 스프레잉 공정을 지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형 설비 모듈 방역을 위한 스프레잉 자동화 시스템.
  17. 청구항 16에 있어서, 상기 시퀀스 보완모듈은,
    제 4 카메라를 구비한 포터블 스프레이를 소지한 작업자의 수작업으로 동작을 수행하도록 상기 작업자의 모바일 단말로 통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형 설비 모듈 방역을 위한 스프레잉 자동화 시스템.
  18.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태그 인식 에어 건 스프레이, 상기 태그 인식 파워 건 스프레이 및 상기 태그 인식 에어 스프레이에 사용되는 스프레이용 용액은,
    1L 당 비펜스린(Bifenthrin) 5 중량%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형 설비 모듈 방역을 위한 스프레잉 자동화 시스템.
KR1020120144530A 2012-12-12 2012-12-12 분리형 설비 모듈 방역을 위한 스프레잉 자동화 방법 KR10152110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44530A KR101521102B1 (ko) 2012-12-12 2012-12-12 분리형 설비 모듈 방역을 위한 스프레잉 자동화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44530A KR101521102B1 (ko) 2012-12-12 2012-12-12 분리형 설비 모듈 방역을 위한 스프레잉 자동화 방법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91695A Division KR20140102160A (ko) 2014-07-21 2014-07-21 분리형 설비 모듈 방역을 위한 스프레잉 자동화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76216A true KR20140076216A (ko) 2014-06-20
KR101521102B1 KR101521102B1 (ko) 2015-05-18

Family

ID=511286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44530A KR101521102B1 (ko) 2012-12-12 2012-12-12 분리형 설비 모듈 방역을 위한 스프레잉 자동화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2110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62763A (ko) 2020-11-09 2022-05-17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선내 바이러스 유입 방지를 위한 방역 시스템
KR20220068727A (ko) 2020-11-19 2022-05-26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바이러스 확산 방지용 선실 환기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67896B1 (ko) * 2007-01-18 2008-11-10 주식회사 우리기술 건물 외벽 및 창문 청소 로봇.
BRPI1011473B1 (pt) * 2009-03-02 2019-12-03 Diversey Inc sistema e método de monitoramento e gerenciamento de higiene
JP5465496B2 (ja) * 2009-09-11 2014-04-09 株式会社ダスキン 掃除ロボット及びそれを用いた掃除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21102B1 (ko) 2015-05-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00160236A1 (en) System and method for automated cross-dock operations
US8488884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operating, interfacing and/or managing for at least one optical characteristic system for container handlers in a container yard
US8181868B2 (en) System, method, apparatus,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for monitoring the transfer of cargo to and from a transporter
US11978023B2 (en) Drone-based administration of remotely located instruments and gadgets
CN110023863A (zh) 平衡无人驾驶交通工具之间的电力使用的地理区域监测系统和方法
CN109996732A (zh) 可互换地将工具系统与无人驾驶交通工具耦合的系统和方法
CN109997161A (zh) 协作地利用多个无人驾驶交通工具的地理区域监测系统和方法
CN110023864A (zh) 通过在无人驾驶交通工具之间互换工具系统的地理区域监测系统和方法
US20110148589A1 (en) Real-Time Location System Using Tag Interrogator and Embedded or Fixed Tag Transmitters
CA2860469C (en) Restraining system including near field rfid detection
CN109906412A (zh) 利用可互换工具系统的地理区域监测系统和方法
CN110036366A (zh) 利用跨多个无人驾驶交通工具的计算共享的地理区域监测系统和方法
KR101521102B1 (ko) 분리형 설비 모듈 방역을 위한 스프레잉 자동화 방법
CN106960287A (zh) 海上施工船舶人员定位管理系统及方法
CN110950094A (zh) 自动化码头海侧先期机检系统
JP2021504262A (ja) 着地面上のコンテナのための着地ソリューションを生成するための方法およびシステム背景
KR102213357B1 (ko) 강화학습이 적용된 함정전투체계에 발생 가능한 위험 차단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70003917U (ko) 드론을 이용한 물류관리 장치
KR102204886B1 (ko) 가상 터미널을 이용한 물류 추적 시스템
KR20140102160A (ko) 분리형 설비 모듈 방역을 위한 스프레잉 자동화 시스템
KR101469769B1 (ko) 분리형 설비 모듈 방역을 위한 크리닝 자동화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크리닝 자동화 방법
US11021348B2 (en) Automated cargo transfer system
Scott Trends in marine terminal automation
KR20190117264A (ko) 항만관제 시스템의 가상 터미널
CN115049031A (zh) 一种无人机集装箱箱号识别作业的方法、系统及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