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69769B1 - 분리형 설비 모듈 방역을 위한 크리닝 자동화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크리닝 자동화 방법 - Google Patents
분리형 설비 모듈 방역을 위한 크리닝 자동화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크리닝 자동화 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469769B1 KR101469769B1 KR1020120144565A KR20120144565A KR101469769B1 KR 101469769 B1 KR101469769 B1 KR 101469769B1 KR 1020120144565 A KR1020120144565 A KR 1020120144565A KR 20120144565 A KR20120144565 A KR 20120144565A KR 101469769 B1 KR101469769 B1 KR 101469769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level
- cleaning
- tag
- unit
- facility module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04140 cleaning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87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02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title 1
- 238000004659 sterilization and disinfection Methods 0.000 title 1
- 239000007921 spray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6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7
- 239000004744 fabric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7
- 238000007689 inspec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6
- 230000000295 complement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8000007664 blow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0000005484 gravity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0000002265 preven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0000006378 damage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3500 data storage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9897 systematic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38 design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868 electrolysis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912 environmental pollu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726 management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287 optic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886 process control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926 s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954 sterilis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502 supplemen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59/00—Hull protection specially adapted for vessels; Clean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ssels
- B63B59/06—Cleaning devices for hull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5/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air flow or gas flow
- B08B5/02—Cleaning by the force of jets, e.g. blowing-out cavitie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7/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 G06K7/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 G06K7/10009—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sensing by radiation using wavelengths larger than 0.1 mm, e.g. radio-waves or microwaves
- G06K7/10237—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sensing by radiation using wavelengths larger than 0.1 mm, e.g. radio-waves or microwaves the reader and the record carrier being capable of selectively switching between reader and record carrier appearance, e.g. in near field communication [NFC] devices where the NFC device may function as an RFID reader or as an RFID tag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2—Agriculture; Fishing; Forestry; Mining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210/00—Liquid purification or separation
- Y10S210/918—Miscellaneous specific techniques
- Y10S210/922—Oil spill cleanup, e.g. bacterial
- Y10S210/924—Oil spill cleanup, e.g. bacterial using physical agent, e.g. sponge, mop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oxic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Economic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Cleaning By Liquid Or Steam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분리형 설비 모듈 방역을 위한 크리닝 자동화 시스템을 이용한 크리닝 자동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자동화 크리닝 서버가 최상위로부터 하위로 제 4 레벨 유닛단(Level4), 제 3 레벨 유닛단(Level3), 제 2 레벨 유닛단(Level2) 및 제 1 레벨 유닛단(Level1)으로 구분되는 제 1 분리형 설비 모듈 또는 제 2 분리형 설비 모듈에 대해 각각 미리 설정된 지점에 부착된 태그정보를 기초로 제 1 순차적 크리닝 시퀀스를 생성하는 제 1 단계; 상기 자동화 크리닝 서버가 상기 제 4 레벨 유닛단(Level4) 내지 상기 제 1 레벨 유닛단(Level1)을 구성하는 각 구성요소별 태그정보를 기초로 각 레벨 유닛단(Level4, Level3, Level2 및 Level1) 내부부터 외부로의 제 2 순차적 크리닝 시퀀스를 생성하는 제 2 단계; 상기 자동화 크리닝 서버가 데이터 제어 세션을 통해 통신 가능한 태그 인식 워터 스프레이, 태그 인식 에어 스프레이 및 태그 인식 와이퍼에 의해 상기 각 레벨 유닛단(Level4, Level3, Level2 및 Level1)에서 자동화가 가능하지 않은 영역에 해당하는 핫 스폿과 접근금지 영역에 대한 태그정보 수집하여 상기 생성된 제 2 순차적 크리닝 시퀀스에 반영하여 업데이트하는 제 3 단계; 및 상기 자동화 크리닝 서버가 상기 태그 인식 워터 스프레이, 상기 태그 인식 에어 스프레이 및 상기 태그 인식 와이퍼에 대해 상기 제 1 순차적 크리닝 시퀀스에 따라 상기 제 4 내지 레벨 유닛단(Level4)으로부터 상기 제 1 레벨 유닛단(Level1)으로 차례로 크리닝을 수행함에 있어서, 상기 각 레벨 유닛단(Level4, Level3, Level2 및 Level1)에 대해서는 상기 업데이트된 제 2 순차적 크리닝 시퀀스에 따른 자동 수행을 제어하는 제 4 단계; 를 포함한다. 이에 의해, 다수의 레벨로 분리된 개별적인 분리형 설비에 대해 상층부터 하부층으로의 크리닝 수행 중 하부층에 영향을 최소화할 수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분리형 설비 모듈 방역을 위한 크리닝 자동화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크리닝 자동화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선박에 선적하여 이동가능하도록 분리된 설비에 대한 체계적 방역 과정 중 크리닝을 수행하도록 하기 위한 분리형 설비 모듈 방역을 위한 크리닝 자동화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크리닝 자동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선박이 목적지에 도착하거나 화물을 적재하기 위해 준비하는 과정에서, 출발지에서 목적지로 잠재적으로 외래유입종(invasive species)을 도입시키는 문제점이 있어 왔다. 즉, 비고유(non-native) 환경에 수백의 해양 외래유입종을 도입시킴으로서, 환경 오염에 따른 생태학적인 불균형을 초래하고 수십억 달러로 추정되는 불확실한 손상을 유발한다.
특히 외딴 섬이나 사람의 흔적이 많이 닿지 않은 곳에 이러한 외래유입종이 도입될 경우, 생태계 파괴 등의 문제점을 야기하고 있다. 그러나 필요에 의해 이러한 외딴 섬이나 사람의 흔적이 닿지 않은 곳에도 공장과 같은 설비가 필요한 경우가 발생하는데 이를 위해 분리형 설비 모듈을 선적하여 목적지에서 조립하여 사용하는 방식을 취하고 있다.
이에 따라 해당 기술분야에 있어서는 분리형 설비 모듈에 대한 방역을 위한 크리닝을 공정을 통해 목적지에 외래유입종이 도입되지 않도록 하기 위한 기술에 대한 기술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관련기술문헌]
선박용 밸러스트수의 전해 소독장치(Sterilizing Apparatus for Ship Ballast Water Using Electrolysis) (특허출원번호 제10-2005-0085605호)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선박에 선적하여 이동가능하도록 분리된 설비에 대한 체계적 방역을 위한 크리닝을 수행하도록 하기 위한 분리형 설비 모듈 방역을 위한 크리닝 자동화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크리닝 자동화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다수의 레벨로 분리된 개별적인 분리형 설비에 대해 상층부터 하부층으로의 크리닝 수행 중 하부층에 영향을 최소화하도록 하기 위한 분리형 설비 모듈 방역을 위한 크리닝 자동화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크리닝 자동화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의 목적들은 상기에 언급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분리형 설비 모듈 방역을 위한 크리닝 자동화 시스템을 이용한 크리닝 자동화 방법은, 자동화 크리닝 서버가 최상위로부터 하위로 제 4 레벨 유닛단(Level4), 제 3 레벨 유닛단(Level3), 제 2 레벨 유닛단(Level2) 및 제 1 레벨 유닛단(Level1)으로 구분되는 제 1 분리형 설비 모듈 또는 제 2 분리형 설비 모듈에 대해 각각 미리 설정된 지점에 부착된 태그정보를 기초로 제 1 순차적 크리닝 시퀀스를 생성하는 제 1 단계; 상기 자동화 크리닝 서버가 상기 제 4 레벨 유닛단(Level4) 내지 상기 제 1 레벨 유닛단(Level1)을 구성하는 각 구성요소별 태그정보를 기초로 각 레벨 유닛단(Level4, Level3, Level2 및 Level1) 내부부터 외부로의 제 2 순차적 크리닝 시퀀스를 생성하는 제 2 단계; 상기 자동화 크리닝 서버가 데이터 제어 세션을 통해 통신 가능한 태그 인식 워터 스프레이, 태그 인식 에어 스프레이 및 태그 인식 와이퍼에 의해 상기 각 레벨 유닛단(Level4, Level3, Level2 및 Level1)에서 자동화가 가능하지 않은 영역에 해당하는 핫 스폿과 접근금지 영역에 대한 태그정보 수집하여 상기 생성된 제 2 순차적 크리닝 시퀀스에 반영하여 업데이트하는 제 3 단계; 및 상기 자동화 크리닝 서버가 상기 태그 인식 워터 스프레이, 상기 태그 인식 에어 스프레이 및 상기 태그 인식 와이퍼에 대해 상기 제 1 순차적 크리닝 시퀀스에 따라 상기 제 4 내지 레벨 유닛단(Level4)으로부터 상기 제 1 레벨 유닛단(Level1)으로 차례로 크리닝을 수행함에 있어서, 상기 각 레벨 유닛단(Level4, Level3, Level2 및 Level1)에 대해서는 상기 업데이트된 제 2 순차적 크리닝 시퀀스에 따른 자동 수행을 제어하는 제 4 단계; 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분리형 설비 모듈 방역을 위한 크리닝 자동화 시스템을 이용한 크리닝 자동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 4 단계는, 상기 자동화 크리닝 서버가 상기 태그 인식 워터 스프레이의 제 1 카메라, 상기 태그 인식 에어 스프레이의 제 2 카메라, 상기 태그 인식 와이퍼의 제 3 카메라에 의해 촬영데이터를 수신하여 물체 인식에 따른 크리닝에 대한 자동 검사를 수행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분리형 설비 모듈 방역을 위한 크리닝 자동화 시스템을 이용한 크리닝 자동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 2 단계는, 상기 자동화 크리닝 서버가 상기 각 레벨 유닛단(Level4, Level3, Level2 및 Level1)에 대해서 내부로부터 외부로의 각 제 2 순차적 크리닝 시퀀스를 생성시, 중앙지점을 중심으로 가까운 거리에 있는 구성요소를 산정하는 2차원 좌표 설정을 수행하며, 동일한 거리에 있는 구성요소 간에는 무게중심에 대한 3차원 좌표간의 거리를 활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분리형 설비 모듈 방역을 위한 크리닝 자동화 시스템을 이용한 크리닝 자동화 방법은, 상기 제 3 단계에 있어서, 상기 자동화 크리닝 서버에 의해 상기 핫 스폿과 접근금지 영역에서 수동으로 수행되는 크리닝 공정으로 판단되는 항목이, 상기 제 1 분리형 설비 모듈의 제 4 레벨 유닛단(Level4)에서의 파워 건을 이용한 에어 크리닝(water cleaning using power gun), 자루 걸레 등을 이용한 H-빔에 대한 와이프 공정(Wipe H-beam with mop), 워터 크리닝 공정 이후, 에어 건을 이용한 에어 브로잉 공정(Air-blowing with air-gun after water cleaning), 손으로 헝겊을 이용한 와이프 공정(Wipe with a cloth using hand), 손으로 헝겊을 이용한 소화기에 대한 크리닝 공정(Cleaning fire extinguisher box using a cloth)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분리형 설비 모듈 방역을 위한 크리닝 자동화 시스템을 이용한 크리닝 자동화 방법은, 상기 제 3 단계에 있어서, 상기 자동화 크리닝 서버에 의해 상기 핫 스폿과 접근금지 영역에서 수동으로 수행되는 크리닝 공정으로 판단되는 항목이, 상기 제 1 분리형 설비 모듈의 제 2 레벨 유닛단(Level2)에서의 계단에 대한 워터 크리닝 공정, 그리고 각 레벨 유닛단에서의 크리닝 검사 공정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분리형 설비 모듈 방역을 위한 크리닝 자동화 시스템을 이용한 크리닝 자동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 4 단계는, 상기 자동화 크리닝 서버가 상기 제 2 분리형 설비 모듈의 최상부를 구성하는 제 4 레벨 유닛단(Level4)인 쿨러를 포함하는 쿨러 플랫폼에 대한 제 2 순차적 시퀀스에 따라 내부로부터 외부로의 상기 태그 인식 와이퍼에 의한 구성요소의 RFID 방식의 태그 자동 인식을 통한 자동 제어가 수행되도록 하는 제 4-1 단계; 및 상기 자동화 크리닝 서버가 상기 제 2 분리형 설비 모듈의 제 4 레벨 유닛단(Level4)을 구성하는 구성요소에 대한 태그 자동 인식을 통해 우든 칩(Wooden chips)이 유입가능한 구성요소로 상기 태그 인식 에어 스프레이에 대한 제어를 통해 제거하는 공정을 수행하고, 상기 제 2 분리형 설비 모듈의 제 4 레벨 유닛단(Level4)에서 태그 자동 인식에 따른 자동 제어가 수행된 장치에 구비된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크리닝 공정 촬영데이터를 수신하여, 크리닝 검사를 수행하는 제 4-2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분리형 설비 모듈 방역을 위한 크리닝 자동화 시스템을 이용한 크리닝 자동화 방법은, 상기 제 4-2 단계 이후, 상기 자동화 크리닝 서버가 상기 제 2 분리형 설비 모듈의 제 3 레벨 유닛단(Level3)인 중간 레벨 플랫폼, 구조물, 그리고 지지체 및 용기에 대한 제 2 순차적 시퀀스에 따라 내부로부터 외부로의 상기 태그 인식 와이퍼에 의한 구성요소의 RFID 방식의 태그 자동 인식을 통한 자동 제어가 수행되도록 하는 제 4-3 단계; 상기 자동화 크리닝 서버가 상기 제 2 분리형 설비 모듈의 제 3 레벨 유닛단(Level3)인 중간 레벨 플랫폼, 구조물, 그리고 지지체 및 용기에 대한 제 2 순차적 시퀀스에 따라 내부로부터 외부로의 상기 태그 인식 워터 스프레이에 의한 구성요소의 RFID 방식의 태그 자동 인식을 통한 자동 제어가 수행되도록 하는 제 4-4 단계; 및 상기 자동화 크리닝 서버가 상기 제 2 분리형 설비 모듈의 제 3 레벨 유닛단(Level3)인 중간 레벨 플랫폼, 구조물, 그리고 지지체 및 용기에 대한 제 2 순차적 시퀀스에 따라 내부로부터 외부로의 상기 태그 인식 에어 스프레이에 의한 구성요소의 RFID 방식의 태그 자동 인식을 통한 자동 제어가 수행되도록 하는 제 4-5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분리형 설비 모듈 방역을 위한 크리닝 자동화 시스템을 이용한 크리닝 자동화 방법은, 상기 제 4-5 단계 이후, 상기 자동화 크리닝 서버가 상기 제 2 분리형 설비 모듈의 제 3 레벨 유닛단(Level3)인 중간 레벨 플랫폼, 구조물, 그리고 지지체 및 용기에 대한 제 2 순차적 시퀀스에 따라 내부로부터 외부로의 상기 태그 인식 와이퍼에 의한 구성요소의 RFID 방식의 태그 자동 인식을 통한 자동 제어가 수행되도록 하는 제 4-6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분리형 설비 모듈 방역을 위한 크리닝 자동화 시스템을 이용한 크리닝 자동화 방법은, 상기 제 4-6 단계 이후, 상기 자동화 크리닝 서버가 상기 제 2 분리형 설비 모듈의 제 3 레벨 유닛단(Level3)에 대해 태그 자동 인식에 따른 자동 제어가 수행된 장치에 구비된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크리닝 공정 촬영데이터를 수신하여, 제 2 분리형 설비 모듈의 제 3 레벨 유닛단(Level3)에 대한 크리닝 검사를 수행하는 제 4-7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분리형 설비 모듈 방역을 위한 크리닝 자동화 시스템을 이용한 크리닝 자동화 방법은, 상기 제 4-7 단계 이후, 상기 자동화 크리닝 서버가 상기 제 2 분리형 설비 모듈의 제 2 레벨 유닛단(Level2)인 중간 레벨 플랫폼 아래의 상위 레벨 배관들, 구조물, 그리고 지지체 및 용기에 대한 제 2 순차적 시퀀스에 따라 내부로부터 외부로의 상기 태그 인식 에어 스프레이에 의한 구성요소의 RFID 방식의 태그 자동 인식을 통한 자동 제어가 수행되도록 하는 제 4-8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분리형 설비 모듈 방역을 위한 크리닝 자동화 시스템을 이용한 크리닝 자동화 방법은, 상기 제 4-8 단계 이후, 상기 자동화 크리닝 서버가 상기 제 2 분리형 설비 모듈의 제 2 레벨 유닛단(Level2)에 대해 태그 자동 인식에 따른 자동 제어가 수행된 장치에 구비된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크리닝 공정 촬영데이터를 수신하여, 상기 제 2 분리형 설비 모듈의 제 2 레벨 유닛단(Level2)에 대한 크리닝 검사를 수행하는 제 4-9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분리형 설비 모듈 방역을 위한 크리닝 자동화 시스템을 이용한 크리닝 자동화 방법은, 상기 제 4-9 단계 이후, 상기 자동화 크리닝 서버가 상기 제 2 분리형 설비 모듈의 제 1 레벨 유닛단(Level1)인 바닥 레벨의 진입로, 구조물, 그리고 콤프레서에 대한 제 2 순차적 시퀀스에 따라 내부로부터 외부로의 상기 태그 인식 에어 스프레이에 의한 구성요소의 RFID 방식의 태그 자동 인식을 통한 자동 제어가 수행되도록 하는 제 4-10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분리형 설비 모듈 방역을 위한 크리닝 자동화 시스템을 이용한 크리닝 자동화 방법은, 상기 제 4-10 단계 이후, 상기 자동화 크리닝 서버가 상기 제 2 분리형 설비 모듈의 제 1 레벨 유닛단(Level1)인 바닥 레벨의 진입로, 구조물, 그리고 콤프레서에 대한 제 2 순차적 시퀀스에 따라 내부로부터 외부로의 상기 태그 인식 워터 스프레이에 의한 구성요소의 RFID 방식의 태그 자동 인식을 통한 자동 제어가 수행되도록 하는 제 4-11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분리형 설비 모듈 방역을 위한 크리닝 자동화 시스템을 이용한 크리닝 자동화 방법은, 상기 제 4-11 단계 이후, 상기 자동화 크리닝 서버가 상기 제 2 분리형 설비 모듈의 제 1 레벨 유닛단(Level1)인 바닥 레벨의 진입로, 구조물, 그리고 콤프레서에 대한 제 2 순차적 시퀀스에 따라 내부로부터 외부로의 상기 태그 인식 에어 스프레이에 의한 구성요소의 RFID 방식의 태그 자동 인식을 통한 자동 제어가 수행되도록 하는 제 4-12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분리형 설비 모듈 방역을 위한 크리닝 자동화 시스템을 이용한 크리닝 자동화 방법은, 상기 제 4-12 단계 이후, 상기 자동화 크리닝 서버가 상기 제 2 분리형 설비 모듈의 제 1 레벨 유닛단(Level1)에 대해 촬영된 크리닝 공정 촬영데이터를 수신하여, 상기 제 2 분리형 설비 모듈의 제 1 레벨 유닛단(Level1)에 대한 크리닝 검사를 수행하는 제 4-13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분리형 설비 모듈 방역을 위한 크리닝 자동화 시스템은, 최상위로부터 하위로 제 4 레벨 유닛단(Level4), 제 3 레벨 유닛단(Level3), 제 2 레벨 유닛단(Level2) 및 제 1 레벨 유닛단(Level1)으로 구분되는 제 1 분리형 설비 모듈 또는 제 2 분리형 설비 모듈에 대해 각각 미리 설정된 지점에 부착된 태그정보를 기초로 제 1 순차적 크리닝 시퀀스를 생성하며, 상기 제 4 레벨 유닛단(Level4) 내지 상기 제 1 레벨 유닛단(Level1)을 구성하는 각 구성요소별 태그정보를 기초로 각 레벨 유닛단(Level4, Level3, Level2 및 Level1) 내부부터 외부로의 제 2 순차적 크리닝 시퀀스를 생성하는 프로세스 자동 제어모듈; 데이터 제어 세션을 통해 통신 가능한 태그 인식 워터 스프레이, 태그 인식 에어 스프레이 및 태그 인식 와이퍼에 의해 상기 각 레벨 유닛단(Level4, Level3, Level2 및 Level1)에서 자동화가 가능하지 않은 영역에 해당하는 핫 스폿과 접근금지 영역에 대한 태그정보 수집하여 상기 생성된 제 2 순차적 크리닝 시퀀스에 반영하여 업데이트하는 시퀀스 보완모듈; 및 상기 태그 인식 워터 스프레이, 상기 태그 인식 에어 스프레이 및 상기 태그 인식 와이퍼에 대해 상기 제 1 순차적 크리닝 시퀀스에 따라 상기 제 4 내지 레벨 유닛단(Level4)으로부터 상기 제 1 레벨 유닛단(Level1)으로 차례로 크리닝을 수행함에 있어서, 상기 각 레벨 유닛단(Level4, Level3, Level2 및 Level1)에 대해서는 상기 업데이트된 제 2 순차적 크리닝 시퀀스에 따른 자동 수행을 제어하는 자동 제어모듈; 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분리형 설비 모듈 방역을 위한 크리닝 자동화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자동 제어모듈은, 상기 태그 인식 워터 스프레이의 제 1 카메라, 상기 태그 인식 에어 스프레이의 제 2 카메라, 상기 태그 인식 와이퍼의 제 3 카메라에 의해 촬영데이터를 수신하여 물체 인식에 따른 크리닝에 대한 자동 검사를 수행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분리형 설비 모듈 방역을 위한 크리닝 자동화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스 자동 제어모듈은, 상기 각 레벨 유닛단(Level4, Level3, Level2 및 Level1)에 대해서 내부로부터 외부로의 각 제 2 순차적 크리닝 시퀀스를 생성시, 중앙지점을 중심으로 가까운 거리에 있는 구성요소를 산정하는 2차원 좌표 설정을 수행하며, 동일한 거리에 있는 구성요소 간에는 무게중심에 대한 3차원 좌표간의 거리를 활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분리형 설비 모듈 방역을 위한 크리닝 자동화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시퀀스 보완모듈은, 상기 핫 스폿과 접근금지 영역에서 수동으로 수행되는 크리닝 공정으로 판단되는 항목으로 상기 제 1 분리형 설비 모듈의 제 4 레벨 유닛단(Level4)에서의 파워 건을 이용한 에어 크리닝(water cleaning using power gun), 자루 걸레 등을 이용한 H-빔에 대한 와이프 공정(Wipe H-beam with mop), 워터 크리닝 공정 이후, 에어 건을 이용한 에어 브로잉 공정(Air-blowing with air-gun after water cleaning), 손으로 헝겊을 이용한 와이프 공정(Wipe with a cloth using hand), 손으로 헝겊을 이용한 소화기에 대한 크리닝 공정(Cleaning fire extinguisher box using a cloth)을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분리형 설비 모듈 방역을 위한 크리닝 자동화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시퀀스 보완모듈은, 상기 핫 스폿과 접근금지 영역에서 수동으로 수행되는 크리닝 공정으로 판단되는 항목으로, 상기 제 1 분리형 설비 모듈의 제 2 레벨 유닛단(Level2)에서의 계단에 대한 워터 크리닝 공정, 그리고 각 레벨 유닛단에서의 크리닝 검사 공정을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분리형 설비 모듈 방역을 위한 크리닝 자동화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크리닝 자동화 방법은, 선박에 선적하여 이동가능하도록 분리된 설비에 대한 체계적 방역을 위한 크리닝을 수행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분리형 설비 모듈 방역을 위한 크리닝 자동화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크리닝 자동화 방법에 따른 프로세스에 의해, 다수의 레벨로 분리된 개별적인 분리형 설비에 대해 상층부터 하부층으로의 크리닝 수행 중 하부층에 영향을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분리형 설비 모듈 방역을 위한 크리닝 자동화 시스템에 의한 크리닝 공정의 대상이 되는 제 1 분리형 설비 모듈을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분리형 설비 모듈 방역을 위한 크리닝 자동화 시스템에 의한 크리닝 공정의 대상이 되는 제 2 분리형 설비 모듈을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분리형 설비 모듈 방역을 위한 크리닝 자동화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분리형 설비 모듈 방역을 위한 크리닝 자동화 시스템을 이용한 크리닝 자동화 방법 중 제 1 분리형 설비 모듈 및 제 2 분리형 설비 모듈에 공통적으로 수행되는 과정을 나타내는 흐름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분리형 설비 모듈 방역을 위한 크리닝 자동화 시스템을 이용한 크리닝 자동화 방법 중 제 2 분리형 설비 모듈(2)에 적용되는 상세한 크리닝 공정을 나타내는 흐름도.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분리형 설비 모듈 방역을 위한 크리닝 자동화 시스템에 의한 크리닝 공정의 대상이 되는 제 2 분리형 설비 모듈을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분리형 설비 모듈 방역을 위한 크리닝 자동화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분리형 설비 모듈 방역을 위한 크리닝 자동화 시스템을 이용한 크리닝 자동화 방법 중 제 1 분리형 설비 모듈 및 제 2 분리형 설비 모듈에 공통적으로 수행되는 과정을 나타내는 흐름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분리형 설비 모듈 방역을 위한 크리닝 자동화 시스템을 이용한 크리닝 자동화 방법 중 제 2 분리형 설비 모듈(2)에 적용되는 상세한 크리닝 공정을 나타내는 흐름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상세한 설명은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할 것이다.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는 어느 하나의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로 데이터 또는 신호를 '전송'하는 경우에는 구성요소는 다른 구성요소로 직접 상기 데이터 또는 신호를 전송할 수 있고, 적어도 하나의 또 다른 구성요소를 통하여 데이터 또는 신호를 다른 구성요소로 전송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분리형 설비 모듈 방역을 위한 크리닝 자동화 시스템(100, 도 3 참조)에 의한 크리닝 공정의 대상이 되는 제 1 분리형 설비 모듈(1)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제 1 분리형 설비모듈(1)은 하부로부터 상부까지 제 1 레벨 유닛단(Level1), 제 2 레벨 유닛단(Level2), 제 3 레벨 유닛단(Level3) 및 제 4 레벨 유닛단(Level4)으로 구성된다.
제 1 레벨 유닛단(Level1)은 용기 바닥 및 진입로(Bottom vessel and accessways)에 해당하며, 제 2 레벨 유닛단(Level2)은 용기와 하위 레벨 플랫폼(Vessels and low level platforms), 제 3 레벨 유닛단(Level3)은 중간 레벨 ㅍ플랫폼(Intermediate Platforms), 제 4 레벨 유닛단(Level4)은 상위 레벨 파이프와 플랫폿(High level Pipe & Platform)에 해당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분리형 설비 모듈 방역을 위한 크리닝 자동화 시스템(100)에 의한 크리닝 공정의 대상이 되는 제 2 분리형 설비 모듈(2)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제 2 분리형 설비모듈(2)은 하부로부터 상부까지 제 1 레벨 유닛단(Level1), 제 2 레벨 유닛단(Level2), 제 3 레벨 유닛단(Level3) 및 제 4 레벨 유닛단(Level4)으로 구성된다.
제 1 레벨 유닛단(Level1)은 바닥 레벨의 진입로, 구조물, 그리고 콤프레서(Bottom level(Including equipment skids) and accessways), Structure, and Compressor)에 해당하며, 제 2 레벨 유닛단(Level2)은 중간 레벨 플랫폼 아래의 상위 레벨 배관들, 구조물, 그리고 지지체 및 용기(High level Pipework under Platform, Structure, Support & Vessel)에 해당하며, 제 3 레벨 유닛단(Level3)은 중간 레벨 플랫폼, 구조물, 그리고 지지체 및 용기(Intermediate Platform, Structure, Support & Vessel), 그리고 제 4 레벨 유닛단(Level4)은 쿨러와 쿨러 플랫폼(Coolers & Cooler Platform)에 해당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분리형 설비 모듈 방역을 위한 크리닝 자동화 시스템(100)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분리형 설비 모듈 방역을 위한 크리닝 자동화 시스템(100)은 태그 인식 워터 스프레이(10), 태그 인식 에어 스프레이(20), 태그 인식 와이퍼(30), 자동화 크리닝 서버(40) 및 자동화 DB(50)를 포함한다. 그리고 자동화 크리닝 서버(40)는 프로세스 자동 제어모듈(41), 시퀀스 보완모듈(42) 및 자동 제어모듈(43)을 구비한다. 이하, 자동화 크리닝 서버(40)의 구성을 중심으로 분리형 설비 모듈 방역을 위한 크리닝 자동화 시스템(100)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살펴보도록 한다. 자동화 스프레잉 서버(40)를 구성하는 모듈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수행하기 위한 하드웨어 및 상기 하드웨어를 구동하기 위한 소프트웨어의 기능적, 구조적 결합을 의미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모듈은 소정의 코드와 상기 소정의 코드가 수행되기 위한 하드웨어 리소스의 논리적인 단위를 의미할 수 있으며, 반드시 물리적으로 연결된 코드를 의미하거나, 한 종류의 하드웨어를 의미하는 것은 아님은 본 발명의 기술분야의 평균적 전문가에게는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다.
프로세스 자동 제어모듈(41)은 데이터 제어 세션을 통해 통신 가능한 제 1 분리형 설비 모듈(1) 또는 제 2 분리형 설비 모듈(2)의 제 4 레벨 유닛단(Level4), 제 3 레벨 유닛단(Level3), 제 2 레벨 유닛단(Level2), 제 1 레벨 유닛단(Level1)에 대해 각각 미리 설정된 지점에 부착된 태그정보를 기초로 제 1 순차적 크리닝 시퀀스를 생성함으로써, 최상부의 제 4 레벨 유닛단(Level4)부터 최하부의 제 1 레벨 유닛단(Level1)에 대한 크리닝 공정에 대한 설계 과정으로 제 1 순차적 크리닝 시퀀스 정보를 자동화 DB(50)에 저장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DB라 함은, 각각의 데이터베이스에 대응되는 정보를 저장하는 소프트웨어 및 하드웨어의 기능적 구조적 결합을 의미할 수 있다. DB는 적어도 하나의 테이블로 구현될 수도 있으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정보를 검색, 저장, 및 관리하기 위한 별도의 DBMS(Database Management System)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링크드 리스트(linked-list), 트리(Tree), 관계형 데이터베이스의 형태 등 다양한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데이터베이스에 대응되는 정보를 저장할 수 있는 모든 데이터 저장매체 및 데이터 구조를 포함한다.
프로세스 자동 제어모듈(41)은 제 4 레벨 유닛단(Level4) 내지 제 1 레벨 유닛단(Level1)을 구성하는 각 구성요소별 태그정보를 기초로 각 레벨 유닛단(Level4, Level3, Level2 및 Level1) 내부부터 외부로의 제 2 순차적 크리닝 시퀀스를 생성하여 자동화 DB(50)에 저장한다. 이 경우, 내부로부터 외부로의 제 2 순차적 크리닝 시퀀스를 생성시, 중앙지점을 중심으로 가까운 거리에 있는 구성요소를 산정하는 2차원 좌표 설정을 수행하며, 동일한 거리에 있는 구성요소 간에는 무게중심에 대한 3차원 좌표간의 거리를 활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 2 순차적 크리닝 시퀀스는 각 레벨 유닛단 별로 각각 생성되어 자동화 DB(50)에 저장된다. 이때, 제 4 레벨 유닛단(Level4)은 최상층이므로 워터 크리닝시 수분이 낙하하거나 휘산하게 되므로, 최우선적으로 수행되며, 크리닝의 순서도 내부에서 외부로 수행된다. 제 3 레벨 유닛단(Level3)은 중간층이므로, 상부의 영향이 있는 부분과 없는 부분이 발생할 수 있어서, 기술적으로 내부에서 외부로 작업 진행시 상부의 영향을 최소화할 수 있다. 제 2 레벨 유닛단(Level2)은 바닥층 또는 용기(vessel)이므로 용기의 일반적인 특징으로 크리닝 과정에 포함되며, 용기의 특징을 고려하고 마찬가지로 상부에서의 영향을 저감하도록 내부에서 외부로 작업을 진행한다. 또한, 제 1 레벨 유닛단(Level1)은 추후 제 1 분리형 설비 모듈(1) 및 제 2 분리형 설비 모듈(2)을 선박으로 선적하기 전의 마지막 단계임을 고려하여 크리닝 작업을 진행한다.
시퀀스 보완모듈(42)은 태그 인식 워터 스프레이(10), 태그 인식 에어 스프레이(20) 및 태그 인식 와이퍼(30)에 의해 각 레벨 유닛단(Level4, Level3, Level2 및 Level1)에서 자동화가 불가능한 영역에 있어 핸드 크리닝 및 핸드 드라잉 등이 필요한 핫 스폿과 접근금지 영역에 대한 태그정보 수집하여 제 2 순차적 크리닝 시퀀스에 반영함으로써, 자동화 DB(50)을 업데이트 한다.
자동 제어모듈(43)은 태그 인식 워터 스프레이(10), 태그 인식 에어 스프레이(20) 및 태그 인식 와이퍼(30)에 대한 제 1 순차적 크리닝 시퀀스에 따라 제 4 내지 레벨 유닛단(Level4)으로부터 제 1 레벨 유닛단(Level1)으로 차례로 크리닝을 수행함에 있어서, 각 레벨 유닛단(Level4, Level3, Level2 및 Level1)에 대해서 생성된 제 2 순차적 크리닝 시퀀스에 따른 자동 수행을 제어하고, 태그 인식 워터 스프레이(10)의 제 1 카메라(11), 태그 인식 에어 스프레이(20)의 제 2 카메라(21), 태그 인식 와이퍼(30)의 제 3 카메라(31)에 의해 촬영데이터를 수신하여 물체 인식에 따른 자동 검사를 수행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분리형 설비 모듈 방역을 위한 크리닝 자동화 시스템을 이용한 크리닝 자동화 방법 중 제 1 분리형 설비 모듈(1) 및 제 2 분리형 설비 모듈(2)에 공통적으로 수행되는 과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자동화 크리닝 서버(40)는 제 1 분리형 설비 모듈(1) 또는 제 2 분리형 설비 모듈(2)의 제 4 레벨 유닛단(Level4), 제 3 레벨 유닛단(Level3), 제 2 레벨 유닛단(Level2), 제 1 레벨 유닛단(Level1)에 대해 각각 미리 설정된 지점에 부착된 태그정보를 기초로 제 1 순차적 크리닝 시퀀스를 생성함으로써(S11), 최상부의 제 4 레벨 유닛단(Level4)부터 최하부의 제 1 레벨 유닛단(Level1)에 대한 크리닝 공정에 대한 설계 과정으로 제 1 순차적 크리닝 시퀀스 정보를 자동화 DB(50)에 저장한다.
단계(S11) 이후, 자동화 크리닝 서버(40)는 제 4 레벨 유닛단(Level4) 내지 제 1 레벨 유닛단(Level1)을 구성하는 각 구성요소별 태그정보를 기초로 각 레벨 유닛단(Level4, Level3, Level2 및 Level1) 내부부터 외부로의 제 2 순차적 크리닝 시퀀스를 생성하여 자동화 DB(50)에 저장한다(S12). 이 경우, 내부로부터 외부로의 제 2 순차적 크리닝 시퀀스를 생성시, 중앙지점을 중심으로 가까운 거리에 있는 구성요소를 산정하는 2차원 좌표 설정을 수행하며, 동일한 거리에 있는 구성요소 간에는 무게중심에 대한 3차원 좌표간의 거리를 활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단계(S12) 이후, 자동화 크리닝 서버(40)는 데이터 제어 세션을 통해 통신 가능한 태그 인식 워터 스프레이(10), 태그 인식 에어 스프레이(20) 및 태그 인식 와이퍼(30)에 의해 각 레벨 유닛단(Level4, Level3, Level2 및 Level1)에서 자동화가 불가능한 영역에 있어 핸드 크리닝 및 핸드 드라잉 등이 필요한 핫 스폿과 접근금지 영역에 대한 태그정보 수집하여 제 2 순차적 크리닝 시퀀스에 반영함으로써(S13), 자동화 DB(50)을 업데이트 한다. 한편, 핫 스폿과 접근금지 영역에서 수동으로 수행되는 크리닝 공정은 제 1 분리형 설비 모듈(1)의 제 4 레벨 유닛단(Level4)에서의 파워 건을 이용한 에어 크리닝(water cleaning using power gun), 자루 걸레 등을 이용한 H-빔에 대한 와이프 공정(Wipe H-beam with mop), 워터 크리닝 공정 이후, 에어 건을 이용한 에어 브로잉 공정(Air-blowing with air-gun after water cleaning), 손으로 헝겊을 이용한 와이프 공정(Wipe with a cloth using hand), 손으로 헝겊을 이용한 소화기에 대한 크리닝 공정(Cleaning fire extinguisher box using a cloth)일 수 있다. 또한, 제 2 레벨 유닛단(Level2)에서의 계단에 대한 워터 크리닝 공정, 그리고 각 레벨 유닛단에서의 크리닝 검사 공정일 수 있다.
단계(S13) 이후, 자동화 크리닝 서버(40)는 태그 인식 워터 스프레이(10), 태그 인식 에어 스프레이(20) 및 태그 인식 와이퍼(30)에 대한 제 1 순차적 크리닝 시퀀스에 따라 제 4 내지 레벨 유닛단(Level4)으로부터 제 1 레벨 유닛단(Level1)으로 차례로 크리닝을 수행함에 있어서, 각 레벨 유닛단(Level4, Level3, Level2 및 Level1)에 대해서는 단계(S13)에서 생성된 제 2 순차적 크리닝 시퀀스에 따른 자동 수행을 제어하고, 태그 인식 워터 스프레이(10)의 제 1 카메라(11), 태그 인식 에어 스프레이(20)의 제 2 카메라(21), 태그 인식 와이퍼(30)의 제 3 카메라(31)에 의해 촬영데이터를 수신하여 물체 인식에 따른 자동 검사를 수행한다(S14).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분리형 설비 모듈 방역을 위한 크리닝 자동화 시스템을 이용한 크리닝 자동화 방법 중 제 2 분리형 설비 모듈(2)에 적용되는 상세한 크리닝 공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자동화 크리닝 서버(40)는 제 2 분리형 설비 모듈(2)의 최상부를 구성하는 제 4 레벨 유닛단(Level4)인 쿨러를 포함하는 쿨러 플랫폼에 대한 제 2 순차적 시퀀스에 따라 내부로부터 외부로의 태그 인식 와이퍼(30)에 의한 구성요소의 RFID 방식의 태그 자동 인식을 통한 자동 제어가 수행되도록 함으로써, 크리닝 공정을 수행한다(S21).
단계(S21) 이후, 자동화 크리닝 서버(40)는 제 4 레벨 유닛단(Level4)을 구성하는 구성요소에 대한 태그 자동 인식을 통해 우든 칩(Wooden chips)이 유입가능한 구성요소로 태그 인식 에어 스프레이(20)에 대한 제어를 통해 제거하는 공정을 수행하고, 제 4 레벨 유닛단(Level4)에 대해 촬영된 크리닝 공정 촬영데이터를 수신하여, 제 4 레벨 유닛단(Level4)에 대한 크리닝 검사를 수행한다(S22).
단계(S22) 이후, 자동화 크리닝 서버(40)는 제 3 레벨 유닛단(Level3)인 중간 레벨 플랫폼, 구조물, 그리고 지지체 및 용기에 대한 제 2 순차적 시퀀스에 따라 내부로부터 외부로의 태그 인식 와이퍼(30)에 의한 구성요소의 RFID 방식의 태그 자동 인식을 통한 자동 제어가 수행되도록 함으로써, 크리닝 공정을 수행한다(S23).
단계(S23) 이후, 자동화 크리닝 서버(40)는 제 3 레벨 유닛단(Level3)인 중간 레벨 플랫폼, 구조물, 그리고 지지체 및 용기에 대한 제 2 순차적 시퀀스에 따라 내부로부터 외부로의 태그 인식 워터 스프레이(10)에 의한 구성요소의 RFID 방식의 태그 자동 인식을 통한 자동 제어가 수행되도록 함으로써, 크리닝 공정을 수행한다(S24).
단계(S24) 이후, 자동화 크리닝 서버(40)는 제 3 레벨 유닛단(Level3)인 중간 레벨 플랫폼, 구조물, 그리고 지지체 및 용기에 대한 제 2 순차적 시퀀스에 따라 내부로부터 외부로의 태그 인식 에어 스프레이(20)에 의한 구성요소의 RFID 방식의 태그 자동 인식을 통한 자동 제어가 수행되도록 함으로써, 크리닝 공정을 수행한다(S25).
단계(S25) 이후, 자동화 크리닝 서버(40)는 제 3 레벨 유닛단(Level3)인 중간 레벨 플랫폼, 구조물, 그리고 지지체 및 용기에 대한 제 2 순차적 시퀀스에 따라 내부로부터 외부로의 태그 인식 와이퍼(30)에 의한 구성요소의 RFID 방식의 태그 자동 인식을 통한 자동 제어가 수행되도록 함으로써, 크리닝 공정을 수행한 뒤, 제 3 레벨 유닛단(Level3)에 대해 촬영된 크리닝 공정 촬영데이터를 수신하여, 제 3 레벨 유닛단(Level3)에 대한 크리닝 검사를 수행한다(S26).
단계(S26) 이후, 자동화 크리닝 서버(40)는 제 2 레벨 유닛단(Level2)인 중간 레벨 플랫폼 아래의 상위 레벨 배관들, 구조물, 그리고 지지체 및 용기에 대한 제 2 순차적 시퀀스에 따라 내부로부터 외부로의 태그 인식 에어 스프레이(20)에 의한 구성요소의 RFID 방식의 태그 자동 인식을 통한 자동 제어가 수행되도록 함으로써, 크리닝 공정을 수행한 뒤, 제 2 레벨 유닛단(Level2)에 대해 촬영된 크리닝 공정 촬영데이터를 수신하여, 제 2 레벨 유닛단(Level2)에 대한 크리닝 검사를 수행한다(S27).
단계(S27) 이후, 자동화 크리닝 서버(40)는 제 1 레벨 유닛단(Level1)인 바닥 레벨의 진입로, 구조물, 그리고 콤프레서에 대한 제 2 순차적 시퀀스에 따라 내부로부터 외부로의 태그 인식 에어 스프레이(20)에 의한 구성요소의 RFID 방식의 태그 자동 인식을 통한 자동 제어가 수행되도록 함으로써, 크리닝 공정을 수행한다(S28).
단계(S28) 이후, 자동화 크리닝 서버(40)는 제 1 레벨 유닛단(Level1)인 바닥 레벨의 진입로, 구조물, 그리고 콤프레서에 대한 제 2 순차적 시퀀스에 따라 내부로부터 외부로의 태그 인식 워터 스프레이(10)에 의한 구성요소의 RFID 방식의 태그 자동 인식을 통한 자동 제어가 수행되도록 함으로써, 크리닝 공정을 수행한다(S29).
단계(S29) 이후, 자동화 크리닝 서버(40)는 제 1 레벨 유닛단(Level1)인 바닥 레벨의 진입로, 구조물, 그리고 콤프레서에 대한 제 2 순차적 시퀀스에 따라 내부로부터 외부로의 태그 인식 에어 스프레이(20)에 의한 구성요소의 RFID 방식의 태그 자동 인식을 통한 자동 제어가 수행되도록 함으로써, 크리닝 공정을 수행하고, 제 1 레벨 유닛단(Level1)에 대해 촬영된 크리닝 공정 촬영데이터를 수신하여, 제 1 레벨 유닛단(Level1)에 대한 크리닝 검사를 수행한다(S30).
본 발명은 또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 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을 구현하기 위한 기능적인(functional) 프로그램, 코드 및 코드 세그먼트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프로그래머들에 의해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명세서와 도면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개시하였으며, 비록 특정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일반적인 의미에서 사용된 것이지,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 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 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10: 태그 인식 워터 스프레이
11: 제 1 카메라
20: 태그 인식 에어 스프레이
21: 제 2 카메라
30: 태그 인식 와이퍼
31: 제 3 카메라
40: 자동화 크리닝 서버
41: 프로세스 자동 제어모듈
42: 시퀀스 보완모듈
43: 자동 제어모듈
50: 자동화 DB
11: 제 1 카메라
20: 태그 인식 에어 스프레이
21: 제 2 카메라
30: 태그 인식 와이퍼
31: 제 3 카메라
40: 자동화 크리닝 서버
41: 프로세스 자동 제어모듈
42: 시퀀스 보완모듈
43: 자동 제어모듈
50: 자동화 DB
Claims (20)
- 자동화 크리닝 서버가 최상위로부터 하위로 제 4 레벨 유닛단(Level4), 제 3 레벨 유닛단(Level3), 제 2 레벨 유닛단(Level2) 및 제 1 레벨 유닛단(Level1)으로 구분되는 제 1 분리형 설비 모듈 또는 제 2 분리형 설비 모듈에 대해 각각 미리 설정된 지점에 부착된 태그정보를 기초로 제 1 순차적 크리닝 시퀀스를 생성하는 제 1 단계;
상기 자동화 크리닝 서버가 상기 제 4 레벨 유닛단(Level4) 내지 상기 제 1 레벨 유닛단(Level1)을 구성하는 각 구성요소별 태그정보를 기초로 각 레벨 유닛단(Level4, Level3, Level2 및 Level1) 내부부터 외부로의 제 2 순차적 크리닝 시퀀스를 생성하는 제 2 단계;
상기 자동화 크리닝 서버가 데이터 제어 세션을 통해 통신 가능한 태그 인식 워터 스프레이, 태그 인식 에어 스프레이 및 태그 인식 와이퍼에 의해 상기 각 레벨 유닛단(Level4, Level3, Level2 및 Level1)에서 자동화가 가능하지 않은 영역에 해당하는 핫 스폿과 접근금지 영역에 대한 태그정보 수집하여 상기 생성된 제 2 순차적 크리닝 시퀀스에 반영하여 업데이트하는 제 3 단계; 및
상기 자동화 크리닝 서버가 상기 태그 인식 워터 스프레이, 상기 태그 인식 에어 스프레이 및 상기 태그 인식 와이퍼에 대해 상기 제 1 순차적 크리닝 시퀀스에 따라 상기 제 4 레벨 유닛단(Level4)으로부터 상기 제 1 레벨 유닛단(Level1)으로 차례로 크리닝을 수행함에 있어서, 상기 각 레벨 유닛단(Level4, Level3, Level2 및 Level1)에 대해서는 상기 업데이트된 제 2 순차적 크리닝 시퀀스에 따른 자동 수행을 제어하는 제 4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제 4 단계는 상기 자동화 크리닝 서버가 상기 태그 인식 워터 스프레이의 제 1 카메라, 상기 태그 인식 에어 스프레이의 제 2 카메라, 상기 태그 인식 와이퍼의 제 3 카메라에 의해 촬영데이터를 수신하여 물체 인식에 따른 크리닝에 대한 자동 검사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형 설비 모듈 방역을 위한 크리닝 자동화 시스템을 이용한 크리닝 자동화 방법.
- 삭제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 2 단계는,
상기 자동화 크리닝 서버가 상기 각 레벨 유닛단(Level4, Level3, Level2 및 Level1)에 대해서 내부로부터 외부로의 각 제 2 순차적 크리닝 시퀀스를 생성시, 중앙지점을 중심으로 구성요소에 대한 2차원 좌표 설정을 수행하며, 동일한 거리에 있는 구성요소 간에는 무게중심에 대한 3차원 좌표간의 거리를 활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형 설비 모듈 방역을 위한 크리닝 자동화 시스템을 이용한 크리닝 자동화 방법.
-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제 3 단계에 있어서,
상기 자동화 크리닝 서버에 의해 상기 핫 스폿과 접근금지 영역에서 수동으로 수행되는 크리닝 공정으로 판단되는 항목은, 상기 제 1 분리형 설비 모듈의 제 4 레벨 유닛단(Level4)에서의 파워 건을 이용한 에어 크리닝(water cleaning using power gun), 자루 걸레 등을 이용한 H-빔에 대한 와이프 공정(Wipe H-beam with mop), 워터 크리닝 공정 이후, 에어 건을 이용한 에어 브로잉 공정(Air-blowing with air-gun after water cleaning), 손으로 헝겊을 이용한 와이프 공정(Wipe with a cloth using hand), 손으로 헝겊을 이용한 소화기에 대한 크리닝 공정(Cleaning fire extinguisher box using a cloth)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형 설비 모듈 방역을 위한 크리닝 자동화 시스템을 이용한 크리닝 자동화 방법.
-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제 3 단계에 있어서,
상기 자동화 크리닝 서버에 의해 상기 핫 스폿과 접근금지 영역에서 수동으로 수행되는 크리닝 공정으로 판단되는 항목은, 상기 제 1 분리형 설비 모듈의 제 2 레벨 유닛단(Level2)에서의 계단에 대한 워터 크리닝 공정, 그리고 각 레벨 유닛단에서의 크리닝 검사 공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형 설비 모듈 방역을 위한 크리닝 자동화 시스템을 이용한 크리닝 자동화 방법.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 4 단계는,
상기 자동화 크리닝 서버가 상기 제 2 분리형 설비 모듈의 최상부를 구성하는 제 4 레벨 유닛단(Level4)인 쿨러를 포함하는 쿨러 플랫폼에 대한 제 2 순차적 시퀀스에 따라 내부로부터 외부로의 상기 태그 인식 와이퍼에 의한 구성요소의 RFID 방식의 태그 자동 인식을 통한 자동 제어가 수행되도록 하는 제 4-1 단계; 및
상기 자동화 크리닝 서버가 상기 제 2 분리형 설비 모듈의 제 4 레벨 유닛단(Level4)을 구성하는 구성요소에 대한 태그 자동 인식을 통해 우든 칩(Wooden chips)이 유입가능한 구성요소로 상기 태그 인식 에어 스프레이에 대한 제어를 통해 제거하는 공정을 수행하고, 상기 제 2 분리형 설비 모듈의 제 4 레벨 유닛단(Level4)에서 태그 자동 인식에 따른 자동 제어가 수행된 장치에 구비된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크리닝 공정 촬영데이터를 수신하여, 크리닝 검사를 수행하는 제 4-2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형 설비 모듈 방역을 위한 크리닝 자동화 시스템을 이용한 크리닝 자동화 방법.
-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제 4-2 단계 이후,
상기 자동화 크리닝 서버가 상기 제 2 분리형 설비 모듈의 제 3 레벨 유닛단(Level3)인 중간 레벨 플랫폼, 구조물, 그리고 지지체 및 용기에 대한 제 2 순차적 시퀀스에 따라 내부로부터 외부로의 상기 태그 인식 와이퍼에 의한 구성요소의 RFID 방식의 태그 자동 인식을 통한 자동 제어가 수행되도록 하는 제 4-3 단계;
상기 자동화 크리닝 서버가 상기 제 2 분리형 설비 모듈의 제 3 레벨 유닛단(Level3)인 중간 레벨 플랫폼, 구조물, 그리고 지지체 및 용기에 대한 제 2 순차적 시퀀스에 따라 내부로부터 외부로의 상기 태그 인식 워터 스프레이에 의한 구성요소의 RFID 방식의 태그 자동 인식을 통한 자동 제어가 수행되도록 하는 제 4-4 단계; 및
상기 자동화 크리닝 서버가 상기 제 2 분리형 설비 모듈의 제 3 레벨 유닛단(Level3)인 중간 레벨 플랫폼, 구조물, 그리고 지지체 및 용기에 대한 제 2 순차적 시퀀스에 따라 내부로부터 외부로의 상기 태그 인식 에어 스프레이에 의한 구성요소의 RFID 방식의 태그 자동 인식을 통한 자동 제어가 수행되도록 하는 제 4-5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형 설비 모듈 방역을 위한 크리닝 자동화 시스템을 이용한 크리닝 자동화 방법.
-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제 4-5 단계 이후,
상기 자동화 크리닝 서버가 상기 제 2 분리형 설비 모듈의 제 3 레벨 유닛단(Level3)인 중간 레벨 플랫폼, 구조물, 그리고 지지체 및 용기에 대한 제 2 순차적 시퀀스에 따라 내부로부터 외부로의 상기 태그 인식 와이퍼에 의한 구성요소의 RFID 방식의 태그 자동 인식을 통한 자동 제어가 수행되도록 하는 제 4-6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형 설비 모듈 방역을 위한 크리닝 자동화 시스템을 이용한 크리닝 자동화 방법.
-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제 4-6 단계 이후,
상기 자동화 크리닝 서버가 상기 제 2 분리형 설비 모듈의 제 3 레벨 유닛단(Level3)에 대해 태그 자동 인식에 따른 자동 제어가 수행된 장치에 구비된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크리닝 공정 촬영데이터를 수신하여, 제 2 분리형 설비 모듈의 제 3 레벨 유닛단(Level3)에 대한 크리닝 검사를 수행하는 제 4-7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형 설비 모듈 방역을 위한 크리닝 자동화 시스템을 이용한 크리닝 자동화 방법.
-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제 4-7 단계 이후,
상기 자동화 크리닝 서버가 상기 제 2 분리형 설비 모듈의 제 2 레벨 유닛단(Level2)인 중간 레벨 플랫폼 아래의 상위 레벨 배관들, 구조물, 그리고 지지체 및 용기에 대한 제 2 순차적 시퀀스에 따라 내부로부터 외부로의 상기 태그 인식 에어 스프레이에 의한 구성요소의 RFID 방식의 태그 자동 인식을 통한 자동 제어가 수행되도록 하는 제 4-8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형 설비 모듈 방역을 위한 크리닝 자동화 시스템을 이용한 크리닝 자동화 방법.
-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제 4-8 단계 이후,
상기 자동화 크리닝 서버가 상기 제 2 분리형 설비 모듈의 제 2 레벨 유닛단(Level2)에 대해 태그 자동 인식에 따른 자동 제어가 수행된 장치에 구비된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크리닝 공정 촬영데이터를 수신하여, 상기 제 2 분리형 설비 모듈의 제 2 레벨 유닛단(Level2)에 대한 크리닝 검사를 수행하는 제 4-9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형 설비 모듈 방역을 위한 크리닝 자동화 시스템을 이용한 크리닝 자동화 방법.
-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제 4-9 단계 이후,
상기 자동화 크리닝 서버가 상기 제 2 분리형 설비 모듈의 제 1 레벨 유닛단(Level1)인 바닥 레벨의 진입로, 구조물, 그리고 콤프레서에 대한 제 2 순차적 시퀀스에 따라 내부로부터 외부로의 상기 태그 인식 에어 스프레이에 의한 구성요소의 RFID 방식의 태그 자동 인식을 통한 자동 제어가 수행되도록 하는 제 4-10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형 설비 모듈 방역을 위한 크리닝 자동화 시스템을 이용한 크리닝 자동화 방법.
-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제 4-10 단계 이후,
상기 자동화 크리닝 서버가 상기 제 2 분리형 설비 모듈의 제 1 레벨 유닛단(Level1)인 바닥 레벨의 진입로, 구조물, 그리고 콤프레서에 대한 제 2 순차적 시퀀스에 따라 내부로부터 외부로의 상기 태그 인식 워터 스프레이에 의한 구성요소의 RFID 방식의 태그 자동 인식을 통한 자동 제어가 수행되도록 하는 제 4-11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형 설비 모듈 방역을 위한 크리닝 자동화 시스템을 이용한 크리닝 자동화 방법.
-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제 4-11 단계 이후,
상기 자동화 크리닝 서버가 상기 제 2 분리형 설비 모듈의 제 1 레벨 유닛단(Level1)인 바닥 레벨의 진입로, 구조물, 그리고 콤프레서에 대한 제 2 순차적 시퀀스에 따라 내부로부터 외부로의 상기 태그 인식 에어 스프레이에 의한 구성요소의 RFID 방식의 태그 자동 인식을 통한 자동 제어가 수행되도록 하는 제 4-12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형 설비 모듈 방역을 위한 크리닝 자동화 시스템을 이용한 크리닝 자동화 방법.
-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제 4-12 단계 이후,
상기 자동화 크리닝 서버가 상기 제 2 분리형 설비 모듈의 제 1 레벨 유닛단(Level1)에 대해 촬영된 크리닝 공정 촬영데이터를 수신하여, 상기 제 2 분리형 설비 모듈의 제 1 레벨 유닛단(Level1)에 대한 크리닝 검사를 수행하는 제 4-13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형 설비 모듈 방역을 위한 크리닝 자동화 시스템을 이용한 크리닝 자동화 방법.
- 최상위로부터 하위로 제 4 레벨 유닛단(Level4), 제 3 레벨 유닛단(Level3), 제 2 레벨 유닛단(Level2) 및 제 1 레벨 유닛단(Level1)으로 구분되는 제 1 분리형 설비 모듈 또는 제 2 분리형 설비 모듈에 대해 각각 미리 설정된 지점에 부착된 태그정보를 기초로 제 1 순차적 크리닝 시퀀스를 생성하며, 상기 제 4 레벨 유닛단(Level4) 내지 상기 제 1 레벨 유닛단(Level1)을 구성하는 각 구성요소별 태그정보를 기초로 각 레벨 유닛단(Level4, Level3, Level2 및 Level1) 내부부터 외부로의 제 2 순차적 크리닝 시퀀스를 생성하는 프로세스 자동 제어모듈;
데이터 제어 세션을 통해 통신 가능한 태그 인식 워터 스프레이, 태그 인식 에어 스프레이 및 태그 인식 와이퍼에 의해 상기 각 레벨 유닛단(Level4, Level3, Level2 및 Level1)에서 자동화가 가능하지 않은 영역에 해당하는 핫 스폿과 접근금지 영역에 대한 태그정보 수집하여 상기 생성된 제 2 순차적 크리닝 시퀀스에 반영하여 업데이트하는 시퀀스 보완모듈; 및
상기 태그 인식 워터 스프레이, 상기 태그 인식 에어 스프레이 및 상기 태그 인식 와이퍼에 대해 상기 제 1 순차적 크리닝 시퀀스에 따라 상기 제 4 레벨 유닛단(Level4)으로부터 상기 제 1 레벨 유닛단(Level1)으로 차례로 크리닝을 수행함에 있어서, 상기 각 레벨 유닛단(Level4, Level3, Level2 및 Level1)에 대해서는 상기 업데이트된 제 2 순차적 크리닝 시퀀스에 따른 자동 수행을 제어하는 자동 제어모듈; 을 포함하고,
상기 자동 제어모듈은 상기 태그 인식 워터 스프레이의 제 1 카메라, 상기 태그 인식 에어 스프레이의 제 2 카메라, 상기 태그 인식 와이퍼의 제 3 카메라에 의해 촬영데이터를 수신하여 물체 인식에 따른 크리닝에 대한 자동 검사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형 설비 모듈 방역을 위한 크리닝 자동화 시스템.
- 삭제
- 청구항 16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스 자동 제어모듈은,
상기 각 레벨 유닛단(Level4, Level3, Level2 및 Level1)에 대해서 내부로부터 외부로의 각 제 2 순차적 크리닝 시퀀스를 생성시, 중앙지점을 중심으로 구성요소에 대한 2차원 좌표 설정을 수행하며, 동일한 거리에 있는 구성요소 간에는 무게중심에 대한 3차원 좌표간의 거리를 활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형 설비 모듈 방역을 위한 크리닝 자동화 시스템.
- 청구항 18에 있어서, 상기 시퀀스 보완모듈은,
상기 핫 스폿과 접근금지 영역에서 수동으로 수행되는 크리닝 공정으로 판단되는 항목으로 상기 제 1 분리형 설비 모듈의 제 4 레벨 유닛단(Level4)에서의 파워 건을 이용한 에어 크리닝(water cleaning using power gun), 자루 걸레 등을 이용한 H-빔에 대한 와이프 공정(Wipe H-beam with mop), 워터 크리닝 공정 이후, 에어 건을 이용한 에어 브로잉 공정(Air-blowing with air-gun after water cleaning), 손으로 헝겊을 이용한 와이프 공정(Wipe with a cloth using hand), 손으로 헝겊을 이용한 소화기에 대한 크리닝 공정(Cleaning fire extinguisher box using a cloth)을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형 설비 모듈 방역을 위한 크리닝 자동화 시스템.
- 청구항 18에 있어서, 상기 시퀀스 보완모듈은,
상기 핫 스폿과 접근금지 영역에서 수동으로 수행되는 크리닝 공정으로 판단되는 항목으로, 상기 제 1 분리형 설비 모듈의 제 2 레벨 유닛단(Level2)에서의 계단에 대한 워터 크리닝 공정, 그리고 각 레벨 유닛단에서의 크리닝 검사 공정을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형 설비 모듈 방역을 위한 크리닝 자동화 시스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20144565A KR101469769B1 (ko) | 2012-12-12 | 2012-12-12 | 분리형 설비 모듈 방역을 위한 크리닝 자동화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크리닝 자동화 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20144565A KR101469769B1 (ko) | 2012-12-12 | 2012-12-12 | 분리형 설비 모듈 방역을 위한 크리닝 자동화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크리닝 자동화 방법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40076234A KR20140076234A (ko) | 2014-06-20 |
KR101469769B1 true KR101469769B1 (ko) | 2014-12-17 |
Family
ID=511286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20144565A KR101469769B1 (ko) | 2012-12-12 | 2012-12-12 | 분리형 설비 모듈 방역을 위한 크리닝 자동화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크리닝 자동화 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469769B1 (ko)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9034025A (ja) | 2007-07-31 | 2009-02-19 | Katano Setsubi Kk | 畜舎消毒システム |
US20090216449A1 (en) | 2008-02-01 | 2009-08-27 | Erko Robert J | Passive Mapping Using a Floor Cleaning Machine |
-
2012
- 2012-12-12 KR KR1020120144565A patent/KR101469769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9034025A (ja) | 2007-07-31 | 2009-02-19 | Katano Setsubi Kk | 畜舎消毒システム |
US20090216449A1 (en) | 2008-02-01 | 2009-08-27 | Erko Robert J | Passive Mapping Using a Floor Cleaning Machine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40076234A (ko) | 2014-06-20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20240028980A1 (en) | System and method for automated cross-dock operations | |
JP7136750B2 (ja) | 無人運転自動車配車方法、装置、機器及び記憶媒体 | |
CN101896883A (zh) | 对货物从或向运输装置的驳运进行监控 | |
WO2018067553A1 (en) | System and methods for drone-based vehicle status determination | |
US8488884B2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operating, interfacing and/or managing for at least one optical characteristic system for container handlers in a container yard | |
US20220083987A1 (en) | Drone-based administration of remotely located instruments and gadgets | |
EP3590093A1 (en) | Methods and systems for detecting, recognizing, and localizing pallets | |
US20120232942A1 (en) | Control and tracking system for material movement system and method of use | |
WO2012103002A2 (en) | Inferential load tracking | |
WO1996030288A1 (fr) | Dispositif de manipulation de conteneurs et systeme de commande | |
JP2005522390A (ja) | 位置識別を含む、埠頭コンテナクレーンを使用するコンテナコード自動光学認識のための方法及び装置 | |
Kas et al. | Using unmanned aerial vehicles and robotics in hazardous locations safely | |
US20210216948A1 (en) | Autonomous vehicles performing inventory management | |
KR101521102B1 (ko) | 분리형 설비 모듈 방역을 위한 스프레잉 자동화 방법 | |
US20220058940A1 (en) | Unmanned system (us) for smoke detector testing | |
CN106504587A (zh) | 一种无人机空管系统及方法 | |
KR102479111B1 (ko) | 활어이동체 관리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수산물 유통 시스템 | |
KR101469769B1 (ko) | 분리형 설비 모듈 방역을 위한 크리닝 자동화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크리닝 자동화 방법 | |
WO2024104192A1 (zh) | 基于点云的吊具二次锚定方法、系统、设备及存储介质 | |
KR20140102160A (ko) | 분리형 설비 모듈 방역을 위한 스프레잉 자동화 시스템 | |
KR101913391B1 (ko) | Uav, usv, uuv 및 ugv를 포함하는 무인로봇을 이용한 복합 정보 수집 및 생성 시스템 | |
US8061605B2 (en) | RFID monitor | |
Scott | Trends in marine terminal automation | |
JP5961306B1 (ja) | 船舶用マイマイガ防除システム及び船舶用マイマイガ対策案決定方法 | |
Kim et al. | A study on container monitoring loaded into the hold in maritime logistics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