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76122A - 다용도 하체단련기구 - Google Patents

다용도 하체단련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76122A
KR20140076122A KR1020120144298A KR20120144298A KR20140076122A KR 20140076122 A KR20140076122 A KR 20140076122A KR 1020120144298 A KR1020120144298 A KR 1020120144298A KR 20120144298 A KR20120144298 A KR 20120144298A KR 20140076122 A KR20140076122 A KR 2014007612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ir
fixed
members
height
foot plat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442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재선
Original Assignee
최재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재선 filed Critical 최재선
Priority to KR10201201442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076122A/ko
Publication of KR201400761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7612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3/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 A63B23/035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 A63B23/04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for lower limbs
    • A63B23/08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for lower limbs for ankle joints
    • A63B23/085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for lower limbs for ankle joints by rotational movement of the joint in a plane substantially parallel to the body-symmetrical-plan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다용도 하체단련기구는, 좌우 일정 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좌우 한쌍의 바닥프레임(10)과, 상기 좌우 한쌍의 바닥프레임(10) 사이를 연결하도록 전후에 각각 고정되는 전후 한쌍의 지지프레임(12)과, 상기 좌우 한쌍의 바닥프레임(10)의 내측면에 대하여 상기 전후 한쌍의 지지프레임(12) 중앙측 사이에 각각 고정되는 좌우 한쌍의 단속부재(14)와, 상기 좌우 한쌍의 단속부재(14) 전후단에 서로 대칭되게 배치되면서 상하 회동 가능케 각각 설치되며 전후 한쌍의 발판(16a)(16b) 양측면 안쪽단과 고정되는 전후 및 좌우 한쌍의 회동부재(18)와, 상기 전후 한쌍의 발판(16a)(16b) 하부면 안쪽단 중앙에 하향되게 각각 고정되는 전후 한쌍의 고정부재(20)와, 상기 고정부재(20)와 지지프레임(12) 사이에 결합되어 상기 전후 한쌍의 발판(16a)(16b)의 상하 왕복 회동시 탄발력을 각각 조절하는 전후 한쌍의 탄발부재(22)로 구성되어 있으므로, 발목과 무릎에 무리한 힘이 작용되지 않게 하면서 하체 전체의 근력을 강화시키고 골반운동이나 복부운동의 효과를 높여줌으로써 민첩성과 균형감을 배양시키며, 게임하듯 즐기도록 유도할 수 있어 운동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다용도 하체단련기구{TRAINING MECHANISM FOR THE LOWER PART OF BODY OF MULTI-PURPOSE}
본 발명은 다용도 하체단련기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하체에 무리한 충격을 주지않으면서 하체의 근력을 강화하고 민첩성과 균형감을 배양시키며 그와 동시에 근육을 이완시켜 긴장을 풀어줄 수 있도록 즐겁게 장시간 운동할 수 있는 다용도 하체단련기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하체의 근력을 강화하기 위한 운동기구에는 여러 종류가 있는데, 이 중 스텝퍼는 하체 유산소운동 및 근력운동을 동시에 행할 수 있으며 부피가 작고 사용이 간편하여 가정에서도 많이 사용되는 운동기구이다.
이러한 스탭퍼 구조를 살펴보면, 일단측이 프레임 상에 힌지 결합되고 타단은 사용자의 발이 안착되는 발판이 형성되고, 서로 교차되며 상하 작동되는 한조의 작동레버가 구비된다. 또한, 일단측은 상기 작동레버 하단에 힌지 결합되고 타단은 프레임 하단에 힌지 결합된 상태에서 발판을 밟으면 소정 압력의 유체가 충전 압축되어 작동레버를 상하 교차시키는 실린더 등으로 구성된다. 이와 같은 구성의 스텝퍼는 사용자가 발판 위에서 제자리 걷듯이 족답운동을 하여 하체 근력을 강화 시키는 구조로 되어 있다.
그런데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의 스탭퍼는 발판이 상하로 운동 되는 것에만 국한되어 있어 다리의 근력운동에 한정될 뿐만 아니라 신체의 균형적인 유산소 운동을 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예컨대 대한민국 특허청에 출원되어 공개 또는 공고된 자료에 의하면, 실용신안공보 공고번호 제1984-878 호의“족답식 운동구”, 공고번호 실1996-2724호의 “족답식 다리운동기구”와, 공고번호 실 1997-2976호의 “족답식 다리운동기구”등이 있는데, 이들은 이미 상술한 구성과 같은 범위 내에서의 구성에 의한 발판의 상하운동에만 국한되어, 골반운동이나 복부운동의 효과를 기대할 수 없다.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대한민국 특허청에 기출원된 내용 중, 실용신안등록 제337634호인 “트위스트기를 갖는 스텝퍼”에 의해 기존의 스텝퍼에 별도의 기능을 갖는 트위스트기를 일체로 설치하여 하나의 기기를 통해 각기 다른 운동의 실시가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운동 효과를 극대화시키는 효과를 기대하기 위한 구성이 제시되고 있으나, 이는 족답운동을 실시한 후 반대 방향 측으로 이동하여 원판형상의 트위스트기에서 골반운동이나 회전운동을 하도록 함으로써 사용하기에 다소 불편한 점이 있는 문제점이 지적된다.
이와는 달리, 실용신안등록 제385410호인 “트위스트 스텝퍼”에 의해, 발판이 경사진 프레임에 의해 경사진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여, 스텝퍼의 발판을 수직선상 45도 기울기로 상하 교대 작동되도록 하여, 신체의 전신 근력운동 및 유산소운동을 동시에 진행시킬 수 있도록 하고 있어 소망 목적 및 그 효과를 달성할 수 있으나, 종래와 같이 구동부를 별도로 구비하는 등 그 구성이 복잡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으며, 또한 발판지지대가 45도 방향으로 회동되는데 그 과정에서 상기 발판지지대와 연동되는 발판이 그 구조상 수평상태로 벌어지기 보다는 45도 각도로 기울어지므로 사용자의 발바닥이 이와 동일한 각도로 비틀어지게 되어 사용자의 발목에 무리함으로 인한 통증 유발 등의 부작용이 발생될 수 있는 문제점을 갖는다.
본 발명의 목적은 기존의 제반 문제점들을 감안하여 이를 해결하고자 제안된 것으로서, 발목과 무릎에 무리한 힘이 작용되지 않으면서 하체의 근력을 강화하되 그에 국한되지 아니하고 골반운동이나 복부운동의 효과를 함께 거둘 수 있는 다용도 하체운동기구를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근력을 강화할 뿐만 아니라 민첩성과 균형감을 배양시키며, 게임하듯 즐기며 할 수 있어 운동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는 다용도 하체운동기구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하체단련기구는, 좌우 일정 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좌우 한쌍의 바닥프레임과, 상기 좌우 한쌍의 바닥프레임 사이를 연결하도록 전후에 각각 고정되는 전후 한쌍의 지지프레임과, 상기 좌우 한쌍의 바닥프레임의 내측면에 대하여 상기 전후 한쌍의 지지프레임 중앙측 사이에 각각 고정되는 좌우 한쌍의 단속부재와, 상기 좌우 한쌍의 단속부재 전후단에 서로 대칭되게 배치되면서 상하 회동 가능케 각각 설치되며 전후 한쌍의 발판 양측면 안쪽단과 고정되는 전후 및 좌우 한쌍의 회동부재와, 상기 전후 한쌍의 발판 하부면 안쪽단 중앙에 하향되게 각각 고정되는 전후 한쌍의 고정부재와, 상기 고정부재와 지지프레임 사이에 결합되어 상기 전후 한쌍의 발판의 상하 왕복 회동시 탄발력을 각각 조절하는 전후 한쌍의 탄발부재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른 실시예로서, 본 발명의 좌우 한쌍의 바닥프레임의 일측단에는 상부 일정높이로 수직되게 각각 고정되는 조절관과, 상기 조절관의 상부를 통해 삽입되어 상하방향으로 높낮이 조절되며 상부가 수평으로 배치되는 손잡이부와 일체로 고정된 지지봉과, 상기 바닥프레임의 바닥 양단에 각각 설치되어 높낮이를 조절하는 다리부가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른 실시예로서, 본 발명의 조절관의 상단 일측에는 그 내부로 삽입된 지지봉이 높낮이 조절됨과 동시에 일정 높이에 고정되도록 조절볼트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른 실시예로서, 본 발명의 좌우 한쌍의 단속부재는 그 수직면이 상기 좌우 한쌍의 바닥프레임 내측면에 용접에 의해 서로 대향되도록 각각 고정되고, 그 수평면이 상기 바닥프레임의 상단 높이와 대응되게 배치되어 상기 회동부재가 상부 회동시 일정 높이를 단속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른 실시예로서, 본 발명의 전후 한쌍의 발판은 그 중앙이 누름 압력이 가해지지 않을 시 수평을 유지하도록 평평하게 형성되고, 그 중앙측 전후단은 상향되게 경사져 발판의 상하 스윙 시 걸림력을 높여주도록 절곡되어 있으며, 그 상면에는 미끄럼 방지용 마찰부가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른 실시예로서, 본 발명의 전후 및 좌우 한쌍의 회동부재는 그 하단이 힌지축을 매개로 상기 단속부재의 측면에 일정간격을 두고 각각 힌지되어 상하 회동되도록 구성되고, 그 상단이 전후 한쌍의 발판 양측면 안쪽단과 각각 고정되어 발판을 외발 모양으로 서로 대향되게 지지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른 실시예로서, 본 발명의 전후 한쌍의 탄발부재는 그 일측단이 상기 지지프레임에 나사식으로 전후 동작되는 조절부를 매개로 각각 결합되어 탄발 조절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용도 하체단련기구는 양쪽의 두발을 발판에 안착시킨 상태에서 발판을 서로 같은 방향으로 점핑하듯 몸을 움직이는 스카이콩콩 운동효과, 두 발을 번갈아 가면서 하향되게 운동할 수 있는 스탭퍼 운동효과, 발판 한쪽에 두발을 모두 안착시킨 후 손잡이부를 잡고 발목이 앞쪽으로 꺽이도록 점핑하듯 몸을 움직이는 오금펴기 운동효과 등을 다양하게 할 수 있기 때문에 발목과 무릎에 무리한 힘이 작용되지 않게 하면서 하체 전체의 근력을 강화시키고 골반운동이나 복부운동의 효과를 높여줌으로써 민첩성과 균형감을 배양시키며, 게임하듯 즐기도록 유도할 수 있어 운동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하체단련기구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하체단련기구를 도시한 측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하체단련기구를 도시한 저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하체단련기구의 사용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하체단련기구의 다른 사용예시도.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 첨부도면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다용도 하체단련기구는, 좌우 일정 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좌우 한쌍의 바닥프레임(10)과, 상기 좌우 한쌍의 바닥프레임(10) 사이를 연결하도록 전후에 각각 고정되는 전후 한쌍의 지지프레임(12)과, 상기 좌우 한쌍의 바닥프레임(10)의 내측면에 대하여 상기 전후 한쌍의 지지프레임(12) 중앙측 사이에 각각 고정되는 좌우 한쌍의 단속부재(14)와, 상기 좌우 한쌍의 단속부재(14) 전후단에 서로 대칭되게 배치되면서 상하 회동 가능케 각각 설치되며 전후 한쌍의 발판(16a)(16b) 양측면 안쪽단과 고정되는 전후 및 좌우 한쌍의 회동부재(18)와, 상기 전후 한쌍의 발판(16a)(16b) 하부면 안쪽단 중앙에 하향되게 각각 고정되는 전후 한쌍의 고정부재(20)와, 상기 고정부재(20)와 지지프레임(12) 사이에 결합되어 상기 전후 한쌍의 발판(16a)(16b)의 상하 왕복 회동시 탄발력을 각각 조절하는 전후 한쌍의 탄발부재(22)로 구성되어 있다.
또, 상기 좌우 한쌍의 바닥프레임(10)의 일측단에 상부 일정높이로 수직되게 각각 고정되는 조절관(30)과, 상기 조절관(30)의 상부를 통해 삽입되어 상하방향으로 높낮이 조절되며 상부가 수평으로 배치되는 손잡이부(32)와 일체로 고정된 지지봉(34)과, 상기 바닥프레임(10)의 바닥 양단에 각각 설치되어 높낮이를 조절하는 다리부(36)로 구성되어 있다.
이때, 상기 좌우 한쌍의 단속부재(14)는 기역(ㄱ)자 앵글(Angle)형상으로 이루어진 것으로서, 그 수직면이 상기 좌우 한쌍의 바닥프레임(10) 내측면에 용접에 의해 서로 대향되도록 각각 고정되고, 그 수평면이 상기 바닥프레임(10)의 상단 높이와 대응되게 배치되어 상기 회동부재(18)가 상부 회동시 일정 높이를 단속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전후 한쌍의 발판(16a)(16b)은 그 중앙이 누름 압력이 가해지지 않을 시 수평을 유지하도록 평평하게 형성되고, 그 중앙측 전후단은 상향되게 경사져 발판(16a)(16b)의 상하 스윙 시 걸림력을 높여주도록 절곡되어 있으며, 그 상면에는 엠보싱(Embossing)이 형성되거나 논슬립매트가 부착된 미끄럼 방지용 마찰부가 구성되어 있다.
상기 전후 및 좌우 한쌍의 회동부재(18)는 니은(ㄴ)자로 구부러진 형상으로서, 그 하단이 힌지축(18a)을 매개로 상기 단속부재(14)의 측면에 일정간격을 두고 각각 힌지되어 상하 회동되도록 구성되고, 그 상단이 전후 한쌍의 발판(16a)(16b) 양측면 안쪽단과 각각 고정되어 발판(16a)(16b)을 외발 모양으로 서로 대향되게 지지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전후 한쌍의 탄발부재(22)는 코일 스프링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고, 그 일측단이 상기 지지프레임(12)에 나사식으로 전후 동작되는 조절부(22a)를 매개로 각각 결합되어 탄발 조절되며, 그 타측단이 상기 지지프레임(12)에 각각 결합되어 있다.
상기 조절관(30)의 상단 일측에는 그 내부로 삽입된 지지봉(34)이 높낮이 조절됨과 동시에 일정 높이에 고정되도록 조절볼트(30a)가 설치되어 있다.
다음은,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다용도 하체단련기구에 대한 작용 및 효과를 설명한다.
본 발명의 다용도 하체단련기구를 활용하여 운동하기 위해서는, 먼저 도 4와 같이 양쪽의 두 발을 발판(16a)(16b) 위에 하나씩 올라서서 서로 균등하게 무게가 분배되도록 자세를 안정되게 잡아 줌과 동시에 몸을 상하로 움직이면, 발판(16a)(16b)이 그 안쪽단과 일체로 고정된 회동부재(18)의 힌지축(18a)을 회전중심으로 하강됨과 동시에 발판(16a)(16b)의 하부를 받쳐주는 탄발부재(22)의 탄발력에 의해 상승하도록 상하 스윙된다,
이때, 단속부재(14)는 회동부재(18)가 탄발부재(22)의 탄발력에 의해 상승될 때 일정 각도를 벗어나지 않도록 막아주는 기능을 하게 된다.
이와 같이 상하 스윙되는 전후 한쌍의 발판(16a)(16b)에 양쪽의 두발을 악착시킨 후, 발판(16a)(16b)을 서로 같은 방향으로 점핑하듯 몸을 움직이면, 탄발부재(22)의 탄발작용에 의해 연속적으로 발판(16a)(16b)이 동시 상하 스윙되면서 스카이콩콩 운동 효과를 줌과 동시에 사용자의 두발 간격이 오므러졌다 벌어졌다 하는 반복 운동 효과를 줌으로써 장단지와 허벅지의 근육이 수축과 이완을 반복하여 하체를 풀어주는 운동 효과가 있다.
이러한 하체 운동은 발목과 무릎에 무리한 힘이 작용되지 않게 하면서 하체 전체의 근력을 강화시키고 골반운동이나 복부운동의 효과를 높여줌으로써 민첩성과 균형감을 배양시키며, 게임하듯 즐기도록 유도할 수 있어 운동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는 것이다.
즉, 전후 한쌍의 발판(16a)(16b)의 하부에 각각 설치된 코일스프링 형상의 탄발부재(22)의 탄발력에 의해 양쪽의 두발을 발판(16a)(16b)에 안착시킨 상태에서 점핑하듯 몸을 움직이는 하체운동이기 때문에 발목이나 무릎 및 허리 등의 관절에 가해지는 충격을 상기 탄발부재(22)의 탄발력에 의해 완화시킬 수 있으므로 몸에 무리를 주지 않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다용도 하체단련기구는 두 발을 번갈아 가면서 발판(16a)(16b)을 하향되게 운동시킬 때 스탭퍼 기능과 같이 하체의 수축과 이완을 반복하여 근육의 긴장을 풀어주는 운동 효과가 있다.
또, 본 발명의 다용도 하체단련기구는 도 5와 같이 후방측 발판(16b)에 양쪽의 두발을 모두 안착시킨 후 손잡이부(32)를 잡고 발목이 앞쪽으로 꺽이도록 점핑하듯 몸을 움직이는 오금펴기 운동도 할 수 있기 때문에 아킬레스는 물론 장단지에서 허벅지의 뒷쪽 근육이 수축과 이완을 반복하여 발목과 무릎 및 허리 등을 풀어주는 운동 효과가 있다.
그리고 사용자의 신장 및 체중에 따라 손잡이부(32)의 높낮이와 탄발부재(22)의 탄발력을 조절할 수 있다. 즉, 손잡이부(32)의 높낮이는 조절관(30)의 상단 일측에 설치된 조절볼트(30a)를 이용하여 지지봉(34)의 높이를 조절하고, 탄발부재(22)의 탄발력은 지지프레임(12)의 하부에 설치된 조절부(22a)를 회전시켜 탄발부재(22)를 압축 또는 팽창되도록 탄발력을 조절할 수 있기 때문에 남녀노소 누구나 손쉽게 다양한 방법으로 응용해서 하체를 단련시킬 수 있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로만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수정 및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고, 그러한 수정 및 변형이 가해진 기술사상 역시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한다.
10 : 바닥프레임 12 : 지지프레임
14 : 단속부재 16a,16b : 발판
18 : 회동부재 18a : 힌지축
20 : 고정부재 22 : 탄발부재
22a : 조절부 30 : 조절관
30a : 조절볼트 32 : 손잡이부
34 : 지지봉 36 : 다리부

Claims (7)

  1. 좌우 일정 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좌우 한쌍의 바닥프레임(10)과, 상기 좌우 한쌍의 바닥프레임(10) 사이를 연결하도록 전후에 각각 고정되는 전후 한쌍의 지지프레임(12)과, 상기 좌우 한쌍의 바닥프레임(10)의 내측면에 대하여 상기 전후 한쌍의 지지프레임(12) 중앙측 사이에 각각 고정되는 좌우 한쌍의 단속부재(14)와, 상기 좌우 한쌍의 단속부재(14) 전후단에 서로 대칭되게 배치되면서 상하 회동 가능케 각각 설치되며 전후 한쌍의 발판(16a)(16b) 양측면 안쪽단과 고정되는 전후 및 좌우 한쌍의 회동부재(18)와, 상기 전후 한쌍의 발판(16a)(16b) 하부면 안쪽단 중앙에 하향되게 각각 고정되는 전후 한쌍의 고정부재(20)와, 상기 고정부재(20)와 지지프레임(12) 사이에 결합되어 상기 전후 한쌍의 발판(16a)(16b)의 상하 왕복 회동시 탄발력을 각각 조절하는 전후 한쌍의 탄발부재(22)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하체단련기구.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좌우 한쌍의 바닥프레임(10)의 일측단에는 상부 일정높이로 수직되게 각각 고정되는 조절관(30)과, 상기 조절관(30)의 상부를 통해 삽입되어 상하방향으로 높낮이 조절되며 상부가 수평으로 배치되는 손잡이부(32)와 일체로 고정된 지지봉(34)과, 상기 바닥프레임(10)의 바닥 양단에 각각 설치되어 높낮이를 조절하는 다리부(36)가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하체단련기구.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조절관(30)의 상단 일측에는 그 내부로 삽입된 지지봉(34)이 높낮이 조절됨과 동시에 일정 높이에 고정되도록 조절볼트(30a)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하체단련기구.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좌우 한쌍의 단속부재(14)는 그 수직면이 상기 좌우 한쌍의 바닥프레임(10) 내측면에 용접에 의해 서로 대향되도록 각각 고정되고, 그 수평면이 상기 바닥프레임(10)의 상단 높이와 대응되게 배치되어 상기 회동부재(18)가 상부 회동시 일정 높이를 단속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하체단련기구.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전후 한쌍의 발판(16a)(16b)은 그 중앙이 누름 압력이 가해지지 않을 시 수평을 유지하도록 평평하게 형성되고, 그 중앙측 전후단은 상향되게 경사져 발판(16a)(16b)의 상하 스윙 시 걸림력을 높여주도록 절곡되어 있으며, 그 상면에는 미끄럼 방지용 마찰부가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하체단련기구.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전후 및 좌우 한쌍의 회동부재(18)는 그 하단이 힌지축(18a)을 매개로 상기 단속부재(14)의 측면에 일정간격을 두고 각각 힌지되어 상하 회동되도록 구성되고, 그 상단이 전후 한쌍의 발판(16a)(16b) 양측면 안쪽단과 각각 고정되어 발판(16a)(16b)을 외발 모양으로 서로 대향되게 지지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하체단련기구.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전후 한쌍의 탄발부재(22)는 그 일측단이 상기 지지프레임(12)에 나사식으로 전후 동작되는 조절부(22a)를 매개로 각각 결합되어 탄발 조절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하체단련기구.
KR1020120144298A 2012-12-12 2012-12-12 다용도 하체단련기구 KR2014007612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44298A KR20140076122A (ko) 2012-12-12 2012-12-12 다용도 하체단련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44298A KR20140076122A (ko) 2012-12-12 2012-12-12 다용도 하체단련기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76122A true KR20140076122A (ko) 2014-06-20

Family

ID=511285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44298A KR20140076122A (ko) 2012-12-12 2012-12-12 다용도 하체단련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076122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382456B2 (ja) 運動器具
JP4530010B2 (ja) 揺動型運動装置
US20070099766A1 (en) Stationary exercise bicycle
US20060223678A1 (en) Exercise device
KR102296498B1 (ko) 레터럴 레이즈 머신
KR101166981B1 (ko) 멀티 다관절 웨이트 트레이닝 장치
US9126081B2 (en) Lateral deltoid exercise machine with rocking user support
WO2013124930A1 (ja) 運動補助装置
JP2010274117A (ja) 多目的運動器具
JP2012213412A (ja) 運動補助装置
KR20130134802A (ko) 다리운동 겸용 복부 운동기구
TWI632936B (zh) 蹲立健身器
KR20170000039U (ko) 다리찢기 운동기구
CN206508500U (zh) 骑马机结构
JP3202923U (ja) スクワット・トレーニングマシーン
JP5213086B1 (ja) 運動補助装置
KR20140076122A (ko) 다용도 하체단련기구
CN1887383A (zh) 液压阻尼综合健身器
JP4831021B2 (ja) 揺動型運動装置
KR101427046B1 (ko) 승마 운동 기구
US20230201657A1 (en) Exercise apparatus
JP2007260186A (ja) バランス訓練装置
JP3031552U (ja) 体操訓練器
JP3064940U (ja) 複式体操訓練器具
EP3976212A1 (en) Holistic training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