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75889A - 휠로더 - Google Patents

휠로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75889A
KR20140075889A KR1020120143183A KR20120143183A KR20140075889A KR 20140075889 A KR20140075889 A KR 20140075889A KR 1020120143183 A KR1020120143183 A KR 1020120143183A KR 20120143183 A KR20120143183 A KR 20120143183A KR 20140075889 A KR20140075889 A KR 2014007588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acket
pin
lock bar
hole
main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431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자영
Original Assignee
두산인프라코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두산인프라코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두산인프라코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1431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075889A/ko
Publication of KR201400758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7588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3/00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 E02F3/04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 E02F3/28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with digging tools mounted on a dipper- or bucket-arm, i.e. there is either one arm or a pair of arms, e.g. dippers, buckets
    • E02F3/36Component pa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40Special vehicles
    • B60Y2200/41Construction vehicles, e.g. graders, excavators
    • B60Y2200/415Wheel loader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08Superstructures; Supports for superstructures
    • E02F9/0858Arrangement of component parts installed on superstruc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electric components, fenders, air-conditioning uni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hovel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는 휠로더에 관한 것으로, 메인 바디와, 상기 메인 바디의 일측에 배치된 제1 브래킷과, 상기 제1 브래킷과 이격되어 배치되고, 메인홀이 형성된 제2 브래킷과, 상기 메인 바디와 힌지 결합되어 좌우로 선회가 가능하도록 배치된 프론트 바디와, 상기 프론트 바디의 일측에 배치되고, 서브홀이 형성된 프론트 브래킷과, 일측은 상기 제1 브래킷과 힌지 결합되고, 타측에 락바홀이 형성된 락바를 포함하는 휠로더로서, 상기 락바가 상기 제2 브래킷 또는 상기 프론트 브래킷과 결합되도록 하는 결합 유닛을 더 포함하고, 상기 결합 유닛은 상기 락바의 상부에 배치되는 캡, 그리고 상기 캡의 내부에 배치되고, 일측은 상기 락바홀을 관통하며 타측은 상기 메인홀 또는 상기 프론트홀에 결합되는 핀을 포함한다.

Description

휠로더{Wheel loader}
본 발명의 실시예는 휠로더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메인 바디와 프론트 바디 사이를 결합하여 메인 바디와 프론트 바디의 조향 운동을 제어할 수 있는 휠로더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굴삭기는 굴삭, 지면고르기, 지면다지기, 무거운 물체의 승강 등의 다양한 작업을 수행한다. 굴삭기는 작업기가 붐, 아암 및 버킷으로 이루어지며, 굴삭기의 작업은 붐, 아암 및 버킷으로 이루어진 작업기를 각 해당 유압실린더를 통해 제어하여 이루어진다.
휠로더(Wheel loader)는 흙, 모래 등을 굴착하는 굴착작업, 굴착된 토사를 운반하는 운반작업, 운반된 토사를 화물차량에 싣거나 내리는 하역작업, 도로 정지작업, 제설작업, 견인작업을 등을 수행하는 데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휠로더는 차량의 전측에 설치되어 붐실린더에 의해 작동하는 붐과, 이 붐의 선단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어 버킷실린더에 의해 작동하는 버킷을 구비한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버킷은 붐의 하강시 차체의 전방에 위치하게 되며, 상기 붐실린더에 의해 작동하는 붐에 의해 하부로부터 비교적 높은 위치까지 상승하여 흙, 모래 등과 같은 분말형태의 작업물을 화물차량 등에 편리하게 적재할 수 있게 한다.
휠로더에는 메인 바디와 프론트 바디의 조향 운동이 가능한 구조로 형성되어 있다. 이에 따라, 휠로더의 운반이 필요한 경우를 대비하여 휠로더의 메인 바디와 프론트 바디를 고정시킬 수 있는 락바(lockbar)가 배치된다.
종래 휠로더에 배치된 락바는 메인 바디의 브래킷과 프론트 바디의 브래킷에 배치된 핀을 모두 제거하고, 락바를 풀어 고정될 위치에 옮겨서 제거된 핀을 이용하여 고정한다.
종래와 같은 락바 고정방법은 메인 바디와 프론트 바디에 있는 핀을 모두 탈거하여 락바를 원하는 위치로 옮겨 다시 핀으로 고정시켜야 하므로 작업자 번거롭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작업자가 실수로 락바를 핀으로 고정하지 않을 경우 휠로더의 메인 바디와 프론트 사이의 고정이 해제되어 안전사고가 발생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휠로더의 메인 바디와 프론트 바디의 조향 운동을 제어하는 락바를 손쉽게 탈착할 수 있는 휠로더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휠로더는 본 발명의 실시예는 휠로더에 관한 것으로, 메인 바디와, 상기 메인 바디의 일측에 배치된 제1 브래킷과, 상기 제1 브래킷과 이격되어 배치되고, 메인홀이 형성된 제2 브래킷과, 상기 메인 바디와 힌지 결합되어 좌우로 선회가 가능하도록 배치된 프론트 바디와, 상기 프론트 바디의 일측에 배치되고, 서브홀이 형성된 프론트 브래킷, 및 일측은 상기 제1 브래킷과 힌지 결합되고, 타측에 락바홀이 형성된 락바를 포함하는 휠로더로서, 상기 락바가 상기 제2 브래킷 또는 상기 프론트 브래킷과 결합되도록 하는 결합 유닛을 더 포함하고, 상기 결합 유닛은 상기 락바의 상부에 배치되는 캡, 및 상기 캡의 내부에 배치되고, 일측은 상기 락바홀을 관통하며 타측은 상기 메인홀 또는 상기 프론트홀에 결합되는 핀을 포함한다.
상기 결합 유닛은 상기 캡과 상기 핀의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핀을 밀어내는 방향으로 가압하는 탄성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핀의 탈거가 용이하도록 상기 핀의 일측에 그립이 형성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휠로더는 메인 바디의 한쪽 브래킷에 락바가 고정된 상태에서 수평방향으로의 선회운동만으로 프론트 바디의 브래킷에 고정시킬 수 있는 구조로 변경되어, 락바를 손쉽게 탈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작업자가 손쉽게 메인 바디와 프론트 바디를 고정할 수 있으므로 작업자의 노동력이 감소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휠로더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한 A 영역을 확대하여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한 A 영역의 작동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도 2에 도시한 A 영역의 작동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도 1의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결합 유닛의 내부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5에 도시한 핀의 작동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특별한 정의가 없는 한 본 명세서의 모든 용어는 해당 기술 분야의 종사자가 이해하는 용어의 일반적인 의미와 동일하고, 만약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가 당해 용어의 일반적인 의미와 충돌하는 경우에는 본 명세서에 사용된 정의에 따른다.
다만, 이하에 기술될 발명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한정하기 위한 것을 아니며, 명세서 전반에 걸쳐서 동일하게 사용된 참조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이하,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휠로더를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휠로더는 메인 바디(10), 프론트 바디(20), 락바(30) 및 결합 유닛(40)을 포함한다.
메인 바디(10)는 제1 브래킷(11)과 제2 브래킷(12)이 배치된다. 구체적으로, 메인 바디(10)의 일측에 제1 브래킷(11)과 제2 브래킷(12)이 서로 이격되어 배치된다. 또한, 제2 브래킷(11)에는 메인홀(122)이 형성된다.
프론트 바디(20)는 메인 바디(10)와 선회축(C)를 중심으로 좌우로 선회 가능하도록 힌지 결합된다. 프론트 바디(20)의 일측에는 프론트 브래킷(22)이 배치되고, 프론트 브래킷(22)에는 프론트홀(222)이 형성된다.
이때, 락바(30)는 일단이 제1 브래킷(11)에 힌지 결합되어, 제1 브래킷(11)을 중심으로 피봇(pivot) 운동이 가능하게 된다. 이로 인해, 락바(30)의 타단은 제2 브래킷(12) 또는 프론트 브래킷(22) 중 어느 하나와 결합된다. 또한, 락바(30)의 타단에는 락바홀(32)이 형성된다.
일반적으로 휠로더에 배치되는 락바(30)는 메인 바디(10)와 프론트 바디(20)의 조향 운동을 기계적으로 고정시키는 장치이며, 락바(30)의 운반 시 메인 바디(10)와 프론트 바디(20)가 이동되는 것을 막아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락바(30)는 바(bar)의 형태로 형성되고, 락바(30)의 외주면의 형상은 원형이거나 사각의 형태일 수 있으며, 이는 통상의 기술자에게 공지된 다양한 형태의 바(bar)일 수 있다.
만약, 휠로더가 주행을 필요로 하는 경우,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락바(30)의 일단이 제1 브래킷(11)과 힌지 결합되고, 타단은 제2 브래킷(12)에 결합 및 고정되어 휠로더의 주행 시 방해가 되지 않도록 한다.
반대로, 휠로더가 정시상태이거나 운반을 필요로 하는 경우, 도 3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락바(30)의 일단은 휠로더가 주행할 경우와 마찬가지로 제1 브래킷(11)에 힌지 결합되고, 타단은 제1 브래킷(11)에서 피봇(pivot)되어 프론트 브래킷(22)에 결합된다. 이에 따라, 휠로더가 정지하거나 운반되는 경우 발생될 수 있는 안전 사고가 방지된다.
여기서, 락바(30)가 제2 브래킷(12) 또는 프론트 브래킷(22)과의 결합을 용이하게 하는 결합 유닛(40)이 형성된다.
도 5와 도 6을 참조하여 결합 유닛(40)을 설명한다. 결합 유닛(40)은 도 5와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캡(41)과 핀(42)을 포함한다.
핀(42)은 락바홀(302)을 관통하여 프론트홀(222)에 삽입되어 고정됨으로써 메인 바디(10)와 프론트 바디(20)를 고정시킨다. 반대로, 메인 바디(10)와 프론트 바디(20) 사이의 고정을 해제할 때, 핀(42)은 프론트홀(222)로부터 분리되어 락바홀(302)을 관통하고 메인홀(122)에 삽입 결합되어 메인 바디(10)의 측면에 고정된다.
또한, 핀(42)은 자중에 의해서 삽입되고, 핀(42)의 무게로 인해 삽입된 자세가 유지된다. 다시 말해, 핀(42)의 무게가 무거울수록 핀(42)이 안정적으로 고정되게 된다.
구체적으로, 핀(42)의 길이는 핀(42)의 두께에 대비하여 약 2배 내지 3배로 형성되어야 핀(42)이 제2 브래킷(12) 또는 프론트 브래킷(22)에 안정적으로 결합된다. 이에 따라, 메인 바디(10)와 프론트 바디(20) 사이가 단단히 결합되어, 메인 바디(10)와 프론트 바디(20)의 결합이 풀리지 않아 휠로더가 정지상태이거나 운반 중에 발생하는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고, 휠로더의 운행 중에는 락바(30)를 메인 바디(10)의 측면에 결합(또는 수납)하여 휠로더의 운행을 방해하지 않게 된다.
또한, 핀(42)의 상부에는 플랜지(422)가 형성된다. 플랜지(422)는 핀(42)이 메인홀(122) 또는 프론트홀(222)에 깊숙하게 삽입되는 것을 방지하여, 핀(42)을 메인홀(122) 또는 프론트홀(222)에서 솝쉽게 제거할 수 있게 된다.
이때, 결합 유닛(40)은 탄성 부재(43)를 더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탄성 부재(43)는 캡(41)과 핀(42) 사이에 위치된다. 탄성 부재(43)의 하단부는 플랜지(422)와 접촉된다. 이에 따라, 탄성 부재(43)는 핀(43)을 제2 브래킷(12) 또는 프론트 브래킷(22)에 삽입되는 방향으로 가압시킬 수 있게 된다.
반드시 이에 한정된 것은 아니지만 탄성 부재(43)는 스프링 등과 같이 탄성을 가진 부재일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가압 스프링으로 배치되어야 압력을 가해주는 방향으로 힘이 가해질 수 있다. 즉, 탄성 부재(43)를 가압 스프링으로 배치할 경우, 핀(42)에 형성된 플랜지(422)를 가압하여 핀(42)을 메인홀(122) 또는 프론트홀(222)에 효과적으로 삽입되는 것이다.
만약, 핀(42)에 형성되는 플랜지(422)가 원통의 형상인 경우 플랜지(422)의 직경은 캡(41)의 직경보다 짧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플랜지(422)의 직경이 캡(41)의 직경보다 길게 형성되면, 캡(41)의 내부에서 탄성 부재(43)의 장력에 의해 상하로 운동되는 핀(42)의 외측이 캡(41)의 내측면과 접촉되어 핀(42)의 왕복 운동이 방해된다. 캡(41)의 형상이 원형이 아닌 사각일 때도 마찬가지이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플랜지(422)의 직경은 캡(41)의 직경보다 짧게 형성된다.
핀(42)의 상부에는 메인홀(122) 또는 프론트홀(222)에 삽입 결합되는 핀(42)의 탈거가 용이하도록 그립(421)이 형성된다. 그립(421)의 외측면은 통상의 기술자에게 공지된 다양한 형태가 될 수 있으며, 원형이든 사각형이든 작업자가 핀(42)의 탈거가 용이한 외형을 가지는 그립(421)의 형태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시 말해, 그립(421)은 역피라미드, 역테이퍼 형상, 뒤집어진 각뿔 등과 같이 상측이 하측보다 큰 형태로 형성되어 작업자가 손쉽게 핀(42)을 메인홀(122) 또는 프론트홀(222)에서 탈거가 가능하고, 필요에 따라 손쉽게 삽입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휠로더는 메인 바디(10)의 제1 브래킷(11)에 락바(30)가 힌지 결합되어 수평 방향으로의 선회 운동만으로 제2 브래킷(12) 또는 프론트 브래킷(22)에 고정시킬 수 있게 되어 락바(30)의 탈착이 용이하게 된다.
또한, 작업자가 손쉽게 메인 바디(10)와 프론트 바디(20) 사이를 고정 또는 해제시킬 수 있으므로 작업자의 노동력이 감소되어 작업능률이 향상된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은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메인 바디
11: 제1 브래킷 12: 제2 브래킷
20: 프론트 바디 22: 프론트 브래킷
30: 락바
40: 결합 유닛 41: 캡
42: 핀 43: 탄성 부재
122: 메인홀
222: 프론트홀
302: 락바홀
421: 그립
422: 플랜지

Claims (3)

  1. 메인 바디(10);
    상기 메인 바디(10)의 일측에 배치된 제1 브래킷(11);
    상기 제1 브래킷(11)과 이격되어 배치되고, 메인홀(122)이 형성된 제2 브래킷(12);
    상기 메인 바디(10)와 힌지 결합되어 좌우로 선회 가능하도록 배치된 프론트 바디(20);
    상기 프론트 바디(20)의 일측에 배치되고, 서브홀(222)이 형성된 프론트 브래킷(22); 및
    일단은 상기 제1 브래킷(11)과 힌지 결합되고, 타단에 락바홀(302)이 형성된 락바(30); 를 포함하는 휠로더로서,
    상기 락바(30)가 상기 제2 브래킷(12) 또는 상기 프론트 브래킷(22)과 결합되도록 하는 결합 유닛(40); 을 더포함하고,
    상기 결합 유닛(40)은,
    상기 락바(30)의 상부에 배치되는 캡(41); 및
    상기 캡(41)의 내부에 배치되고, 일측은 상기 락바홀(302)을 관통하며 타측은 상기 메인홀(122) 또는 상기 프론트홀(222)에 결합되는 핀(42);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휠로더.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 유닛(40)은,
    상기 캡(41)과 상기 핀(42)의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핀(42)을 밀어내는 방향으로 가압하는 탄성 부재(43);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휠로더.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핀(42)의 탈거가 용이하도록 상기 핀(41)의 일측에 그립(421)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휠로더.
KR1020120143183A 2012-12-11 2012-12-11 휠로더 KR2014007588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43183A KR20140075889A (ko) 2012-12-11 2012-12-11 휠로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43183A KR20140075889A (ko) 2012-12-11 2012-12-11 휠로더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75889A true KR20140075889A (ko) 2014-06-20

Family

ID=511283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43183A KR20140075889A (ko) 2012-12-11 2012-12-11 휠로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075889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30330161A1 (en) Locking mechanism for lift arm assembly
KR101210833B1 (ko) 퀵커플러의 자동 안전장치
US8974137B2 (en) Quick coupler
KR101523072B1 (ko) 굴삭기용 퀵커플러
US20160281320A1 (en) A coupler device
JP6509016B2 (ja) ブーム着脱装置
CA2618578C (en) Boom uplock arrangement
US20160281319A1 (en) Safety lock device for quick coupler
JP5266060B2 (ja) 油圧式連結装置用の安全装置
JP5786582B2 (ja) 建設機械の足場構造
KR101363193B1 (ko) 건설기계의 캐빈 보호장치
KR20180003062U (ko) 굴착기용 지게차 어태치먼트
JP4772841B2 (ja) ローダ作業機の作業具装着装置
KR20140075889A (ko) 휠로더
JP2008050068A (ja) 移動式クレーンのカウンタウェイト着脱装置及び装着方法
AU2012201264B2 (en) A safety mechanism for a coupler for coupling an accessory to a dipper arm
KR101739779B1 (ko) 굴삭기의 스마트 집게용 처짐방지장치
CN205349027U (zh) 用于机器的机罩的闩锁系统及机器
JP5094759B2 (ja) 作業機の作業具装置
GB2518250A (en) A safety lifting system
JP6176143B2 (ja) クローラ式車両の下部走行体
JP2019077519A (ja) フック付き作業具リンク、建設機械およびフック付き作業具リンクのフック固定方法
CN203891095U (zh) 一种新型快换装置
EP2662500B1 (en) Work tool lock extension
KR102037474B1 (ko) 보조 안전장치를 갖춘 퀵 커플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