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74785A - 수직형 집진기 - Google Patents

수직형 집진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74785A
KR20140074785A KR1020120143145A KR20120143145A KR20140074785A KR 20140074785 A KR20140074785 A KR 20140074785A KR 1020120143145 A KR1020120143145 A KR 1020120143145A KR 20120143145 A KR20120143145 A KR 20120143145A KR 20140074785 A KR20140074785 A KR 2014007478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vertical
pulsing unit
dust collector
housing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431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경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한성더스트킹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한성더스트킹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한성더스트킹
Priority to KR10201201431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074785A/ko
Priority to PCT/KR2013/004056 priority patent/WO2014092264A1/ko
Publication of KR201400747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7478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02Particle separators, e.g. dust precipitators, having hollow filters made of flexible material
    • B01D46/04Cleaning fil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42Auxiliary equipment or operation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42Auxiliary equipment or operation thereof
    • B01D46/48Removing dust other than cleaning filters, e.g. by using collecting tray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66Regeneration of the filtering material or filter elements inside the filter
    • B01D46/70Regeneration of the filtering material or filter elements inside the filter by acting counter-currently on the filtering surface, e.g. by flushing on the non-cake side of the filter
    • B01D46/71Regeneration of the filtering material or filter elements inside the filter by acting counter-currently on the filtering surface, e.g. by flushing on the non-cake side of the filter with pressurised gas, e.g. pulsed air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Filtering Of Dispersed Particles In Ga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직형 집진기의 에어 펄싱 유니트 고정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수직형 집진기의 하우징에 형성된 설치돌부에 에어 펄싱 유니트를 고정하여 유니트에 연결된 블로우 튜브의 공기 배관을 보다 용이하게 설치 및 유지보수하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수직형의 원통형 챔버로 이루어지고, 그 챔버 내부에 다수의 원통형 집진필터가 수직으로 배치되어 오염된 공기를 집진 여과시키는 하우징 몸체와, 상기 하우징 몸체의 외측에 브래킷에 의해 지지되며 고압의 공기를 주기적으로 공급하는 에어 펄싱 유니트와, 상기 에어 펄싱 유니트와 연결되며 상기 원통형 집진필터의 개구부에 위치하여 고압의 공기를 상기 원통형 집진필터의 내측으로 분사시키는 다수의 인젝션 노즐이 형성된 블로우 튜브로 구성된 수직형 집진기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 몸체에는 일체로 형성되어 내부 공간을 공유하며 수직한 평면인 설치면을 갖도록 한 설치돌부가 형성되고, 상기 설치돌부의 수직한 평면인 설치면에 에어 펄싱 유니트가 고정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형 집진기의 에어 펄싱 유니트의 고정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수직형 집진기의 에어 펄싱 유니트 고정장치{Apparatus for installing air pulsing unit used in vertical type dust collector}
본 발명은 수직형 집진기의 에어 펄싱 유니트 고정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수직형 집진기에 일체형으로 설치돌부를 형성하여 에어 펄싱 유니트와 블로우 튜브의 고압의 공기 배관을 보다 손쉽게 설치하고 유지보수시에 부품의 해체 조립을 용이하기 위한 수직형 집진기의 에어 펄싱 유니트의 고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집진기(集塵機)는 공기 속의 먼지를 모으는 장치를 지칭하는 것으로서, 공기를 맑게 하거나 가스 속의 금속분 등의 유해 성분을 여과하고 내장된 필터에 따라서는 연기 등 기타 미세 유해 성분까지도 제거하는 데에 사용되는 것이다.
이러한 집진기는 가정용 소용량 집진기에서부터 철강, 화학, 플라스틱, 고무, 식품, 제약 산업 등의 산업용 대용량 집진기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용량의 크기로 널리 사용되고 있으며, 특히 분진이 많이 발생하는 산업 현장에 설치되는 대용량의 집진기에는 다수의 필터가 내장되어 있고, 집진기에 내장되는 필터의 배열 방식에 따라 수평형 집진기와 수직형 집진기로 분류되고 있다.
도 1은 종래의 수직형 집진기를 도시하는 일부절결 사시도이며, 도 2는 종래의 수직형 집진기의 횡단면도이다.
그리고, 도 3은 종래의 수직형 집진기를 도시하는 평단면도이고, 도 4는 도 2의 A부분에 대한 확대도이다.
위와 같은 종래의 수직형 집진기는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수직한 원통형 챔버로 이루어지고, 내부에 다수의 원통형 필터(40)가 수직하게 배치되어 오염된 공기를 여과시키는 하우징 몸체(10)와; 상기 원통형 필터(40)의 개구에 위치하여 고압의 공기를 상기 원통형 필터(40)의 내측으로 분사시키는 인젝션 노즐(21)이 다수 마련된 블로우 튜브(20)와; 브래킷(31)에 의해 상기 하우징 몸체(10)의 외주면에 지지되며 고압의 공기를 상기 블로우 튜브(20)에 주기적으로 공급하는 에어 펄싱 유니트(30)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하우징 몸체(10)에는 오염된 공기를 내부로 유입하는 공기 흡입구(11)와, 상기 원통형 필터(40)를 통과하여 여과된 공기를 배출하는 정화된 공기 배출구(12)와; 상기 원통형 필터(40)에 여과된 먼지를 자유 낙하시켜 배출시키는 먼지 배출구(13)가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에 따라, 종래의 수직형 집진기는 기본적으로 오염된 공기가 공기 흡입구(11)를 통해 들어와 원통형 필터(40)에서 여과된 후, 공기 배출구(12)를 통해 배출되며, 상기 원통형 필터(40)에서 여과된 먼지는 하측의 먼지 배출구(13)로 배출되는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수직형 집진기는 일정 기간 사용에 따라 상기 원통형 필터(40)의 표면에 먼지가 누적될 경우에 여과 효율이 떨어지므로,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주기적으로 상기 원통형 필터(40) 내에 고압의 공기를 인젝션 노즐(21)로 분사함으로써, 원통형 필터(40)에서 여과되어 쌓인 먼지를 제거하고 있다.
상기 인젝션 노즐(21)에 공급되는 고압의 공기는 에어 펄싱 유니트(30)에서 주기적으로 공급되며, 이는 블로우 튜브(20)를 통해 상기 인젝션 노즐(21)로 분사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에어 펄싱 유니트(30)은 상기 하우징 몸체(10)의 외주면에 마련된 컨트롤러(50)에 의해 고압 공기의 분사 압력 및 분사 주기가 조절된다.
그러나, 위와 같은 종래의 수직형 집진기에 있어서는 제조시에 블로우 튜브(20)의 조립에 어려움이 있었으며, 또한 필터의 교환 등 유지보수를 위한 부품 등의 분해시에 어려움이 있었다.
우선, 도 3 및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고압의 공기를 공급하는 에어 펄싱 유니트(30)는 하우징 몸체(10)의 외부에 위치한 반면, 블로우 튜브(20)는 하우징 몸체(10)를 관통하여 그 내부에 위치하기 때문에, 상기 블로우 튜브(20)가 관통하는 하우징 몸체(10)에 기밀을 유지할 수 있도록 도 4에 표시한 용접부위(W)를 형성해야만 한다.
즉, 상기 하우징 몸체(10)에 용접되어 고정되는 별도의 연결파이프(22)를 부가하여 그 외측에는 에어 펄싱 유니트(30)를 연결하고 그 내측에는 블로우 튜브(20)를 연결하고 있는 실정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종래의 수직형 집진기는 연결파이프(22)가 하우징 몸체(10)를 관통하도록 용접을 실시해야 한다는 어려움 이외에도, 도 3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각기 다른 길이로 제작된 연결파이프(22)를 원통형의 상기 하우징 몸체(10)에 나란하게 배열되도록 그 용접 위치에 따라 각기 다른 각도를 정확하게 유지하여 용접하지 않을 경우, 블로우 튜브(20)의 인젝션 노즐(21)이 원통형 필터(40)의 개구에 정확하게 위치하지 못하게 된다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문제점 뿐만 아니라, 종래의 수직형 집진기는 주기적으로 원통형 필터(40)를 하우징 몸체(10)로부터 분리시켜 청소나 교체를 실시해야만 하는데, 블로우 튜브(20)의 분해 조립이 난해하기 때문에 이 또한 많은 시간과 노동력을 요구하게 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하우징에 형성된 설치돌부의 설치면에 에어 펄싱 유니트를 고정하고 벌크헤드 커넥터를 적용하여 블로우 튜브를 결합 연결함으로써 블로우 튜브로 공급되는 고압의 공기 배관을 보다 쉽게 정렬 및 조립되게 하고, 필터의 교환 등 유지보수시에는 부품의 해체 조립을 보다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한 수직형 집진기의 에어 펄싱 유니트 고정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수직형의 원통형 챔버로 이루어지고, 그 챔버 내부에 다수의 원통형 집진필터가 수직으로 배치되어 오염된 공기를 집진 여과시키는 하우징 몸체와, 상기 하우징 몸체의 외측에 브래킷에 의해 지지되며 고압의 공기를 주기적으로 공급하는 에어 펄싱 유니트와, 상기 에어 펄싱 유니트와 연결되며 상기 원통형 집진필터의 개구부에 위치하여 고압의 공기를 상기 원통형 집진필터의 내측으로 분사시키는 다수의 인젝션 노즐이 형성된 블로우 튜브로 구성된 수직형 집진기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 몸체에는, 일체로 형성되어 내부 공간을 공유하며 수직한 평면인 설치면을 갖도록 한 설치돌부가 형성되고, 상기 설치돌부의 수직한 평면인 설치면에 에어 펄싱 유니트가 고정되는 수직형 집진기의 에어 펄싱 유니트의 고정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하우징의 몸체에 형성되는 설치돌부는 하우징 몸체의 상단부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하우징의 몸체에 형성된 설치돌부의 수직한 평면인 설치면에 고정된 에어 펄싱 유니트와 고압의 공기를 원통형 집진필터의 내측으로 분사시키는 다수의 인젝션 노즐이 형성된 블로우 튜브는 벌크헤드 커넥터에 의해 결합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위와 같은 과제의 해결 수단에 의해 다음과 같은 효과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집진기의 하우징 몸체에 형성된 설치돌부의 설치면에 벌크헤드 커넥터를 적용하여 에어 펄싱 유니트를 고정함으로써, 에어 펄싱 유니트와 결합되는 블로우 튜브의 고압의 공기 배관을 보다 쉽게 정렬 및 조립할 수 있어 집진기의 제조시에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되며, 특히 유지보수를 위한 주기적인 필터 교체나 청소 점검시에 블로우 튜브 등의 고압의 공기배관을 보다 용이하게 분해 조립을 실시할 수 있으므로 작업성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도 1는 종래의 수직형 집진기를 도시하는 일부절결 사시도.
도 2은 종래의 수직형 집진기의 횡단면도.
도 3는 종래의 수직형 집진기를 도시하는 평단면도.
도 4는 도 2의 A부분에 대한 확대도.
도 5은 본 발명의 수직형 집진기의 에어 펄싱 유니트 고정장치를 도시하는 일부절결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수직형 집진기의 에어 펄싱 유니트 고정장치를 도시하는 평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수직형 집진기의 에어 펄싱 유니트 고정장치를 도시하는 요부의 정면도.
도 8는 본 발명의 수직형 집진기의 에어 펄싱 유니트 고정장치를 도시하는 요부의 횡단면도.
이하, 본 발명에 대한 수직형 집진기의 에어 펄싱 유니트의 고정장치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5는 본 발명의 수직형 집진기의 에어 펄싱 유니트 고정장치를 도시하는 일부절결 사시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수직형 집진기의 에어 펄싱 유니트 고정장치를 도시하는 평단면도이다.
그리고, 도 7은 본 발명의 수직형 집진기의 에어 펄싱 유니트 고정장치를 도시하는 요부의 정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수직형 집진기의 에어 펄싱 유니트 고정장치를 도시하는 요부의 횡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수직형 집진기의 에어 펄싱 유니트 고정장치는 도 5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한 원통형 챔버로 이루어지고, 내부에 다수의 원통형 필터(600)가 수직하게 배치되어 오염된 공기를 여과시키는 하우징 몸체(100)와; 상기 하우징 몸체(100)와 일체로 형성되어 내부 공간을 공유하며, 수직한 평면인 설치면(210)을 갖도록 상기 하우징 몸체(100)의 상부에 형성되는 설치돌부(200)와; 상기 원통형 필터(600)의 개구에 위치하여 고압의 공기를 상기 원통형 필터(600)의 내측으로 분사시키는 인젝션 노즐(310)이 다수 마련된 블로우 튜브(300)와; 브래킷(410)에 의해 상기 설치돌부(200)의 외측에 지지되며 고압의 공기를 주기적으로 공급하는 에어 펄싱 유니트(400)와; 상기 에어 펄싱 유니트(400)와 상기 블로우 튜브(300) 사이에 연결되되, 상기 설치돌부(200)의 설치면(210)을 관통하여 기밀을 유지하도록 체결되는 벌크헤드 커넥터(500)로 구성되는 것을 그 기술적인 기본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수직형 집진기의 에어 펄싱 유니트 고정장치는 기존에 하우징 몸체(100), 블로우 튜브(300), 에어 펄싱 유닛(400)으로 이루어진 구성에 설치면(210)이 형성된 설치돌부(200)와 벌크헤드 커넥터(500)가 부가됨으로써, 에어 펄싱 유니트(400)와 블로우 튜브(300)를 서로 용이하게 연결시키고, 특히 보다 정확하게 배치되도록 정렬하여 조립할 수 있는 것에 가장 큰 특징이 있다.
우선, 하우징 몸체(100)는 그 내부에 밀폐 공간이 형성되도록 대략 수직한 원통형 챔버로 이루어진 것으로, 그 하부에는 여과된 먼지를 포집하기 위해 깔때기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와 함께, 상기 하우징 몸체(100)의 내부에는 다수의 원통형 필터(600)가 수직하게 배치되되, 상기 원통형 필터(600)의 개구가 상방향을 향하도록 그 상부가 격벽을 관통하여 지지되는 것이다.
이에 따라, 상기 하우징 몸체(100)의 내부에서는 상기 원통형 필터(600)를 통과하면서 오염된 공기가 여과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하우징 몸체(100)에는, 오염된 공기를 내부로 유입하는 공기 흡입구(110)와, 상기 원통형 필터(600)를 통과하여 여과된 공기를 배출하는 공기 배출구(120)와, 상기 원통형 필터(600)에 여과된 먼지를 자유 낙하시켜 배출시키는 먼지 배출구(130)가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공기 흡입구(110)를 통해 상기 하우징 몸체(100) 내부로 오염된 공기가 들어오게 되며, 원통형 필터(600)를 통과하면서 여과된 공기는 공기 배출구(120)를 통해 나가게 되고, 상기 원통형 필터(600)에서 여과된 먼지는 하부로 떨어져 먼지 배출구(130)로 배출된다.
다음으로, 설치돌부(200)는 사각기둥의 형상으로 상기 하우징 몸체(100)의 상단부에 용접 등에 의해 일체로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하우징 몸체(100)와 그 내부 공간을 공유하게 된다.
이러한 상기 설치돌부(200)는 상기 하우징 몸체(100)의 접선 방향으로 배치되는 수직한 평면인 설치면(210)을 형성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설치면(210)은 도 6과 같이 위에서 보았을 때 그 중심선이 상기 하우징 몸체(100)의 중심을 통과하도록 직각으로 형성된다.
다음으로, 블로우 튜브(300)는 일정 간격을 두고 다수의 인젝션 노즐(310)이 하측 방향을 향하여 마련되어 있는 것으로, 이러한 인젝션 노즐(310)은 각각 상기 원통형 필터(600)의 개구 상측에 위치하여 상기 원통형 필터(600)의 개구 내측으로 고압의 공기를 분사시키는 것이다.
이러한 블로우 튜브(300)는 도시한 바와 같이 원통형 필터(600)의 배열에 따라 다수개가 나란하게 마련된다.
그리고 에어 펄싱 유니트(400)는 상기 하우징 몸체(100)의 외주면에 고정된 브래킷(410)에 의해 지지되어 상기 설치돌부(200)의 외측에 인접하여 위치하도록 하며, 상기 설치면(210)과 나란하게 배치되어 고압의 공기를 주기적으로 공급하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에어 펄싱 유니트(400)는 상기 하우징 몸체(100)의 외주면에 마련된 컨트롤러(700)에 의해 고압 공기의 분사 압력 및 분사 주기가 조절 가능한 것이다.
마지막으로 벌크헤드 커넥터(500)는 상기 설치돌부(200)의 설치면(210)을 관통하여 고정 체결되는 것이다.
이러한 벌크헤드 커넥터(500)의 외측에는 상기 에어 펄싱 유니트(400)가 별도의 구성요소 없이 직접 연결되고, 상기 벌크헤드 커넥터(500)의 내측에는 상기 블로우 튜브(300)가 연결된다.
상기 벌크헤드 커넥터(500)는 다수의 가스킷을 포함하는 조립체로서, 상기 하우징 몸체(100)의 내부와 외부 사이에 기밀을 유지하면서도 그 내부로는 고압의 공기를 통과시켜 상기 에어 펄싱 유닛(400)으로부터 상기 블로우 튜브(300)에 공급할 수 있게 된다.
이하, 도 5 내지 도 8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수직형 집진기의 에어 펄싱 유니트 고정장치는 기본적으로 오염된 공기가 하우징 몸체(100)의 공기 흡입구(110)로 들어와 원통형 필터(600)를 통과하면서 여과된 후, 공기 배출구(120)로 나가게 되는 동작을 통해 오염된 공기의 여과를 실시한다.
그리고, 주기적으로 에어 펄싱 유니트(400)에서 공급되는 고압의 공기가 블로우 튜브(300)의 인젝션 노즐(310)로 분사되어 원통형 필터(600)에 붙어 있는 먼지를 떨어트려 먼지 배출구(130)로 포집하게 된다.
특히, 본 발명에 있어서는 수직한 설치면(210)이 설치돌부(200)를 통해 상기 하우징 몸체(100)에 일체로 형성되고, 이러한 설치면(210)에 벌크헤드 커넥터(500)를 통해 그 외부에 위치하는 에어 펄싱 유니트(400)로부터 공급되는 고압의 공기를 내부에 위치하는 블로우 튜브(300)에 기밀을 유지하여 공급할 수 있는 것이다.
이에 따라, 상기 설치면(210)에 벌크헤드 커넥터(500)를 고정 체결하고, 이 벌크헤드 커넥터(500)의 내측 및 외측에 각각 에어 펄싱 유니트(400) 및 블로우 튜브(300)를 연결하는 작업만으로 큰 어려움 없이 수직형 집진기의 조립 생산이 가능한 것이다.
즉, 종래와 같이 원통형으로 이루어진 하우징 몸체의 외주면을 관통하여 연결파이프가 서로 나란하게 배열되도록 각기 다른 각도를 이루어 용접해야 하는 어려움을 배제시킬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원통형 필터(600)를 교체하거나 분리시켜 청소할 경우 블로우 튜브(300)를 포함한 각종 구성요소의 분해 조립이 용이하다는 이점을 가지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수직형 집진기의 에어 펄싱 유니트 고정장치는 설치면(210)이 형성된 설치돌부(200)를 형성하고, 이 설치면(210)에 벌크헤드 커넥터(500)를 적용함으로써, 하우징 몸체(100)의 외부에 위치하는 에어 펄싱 유니트(400)와 상기 하우징 몸체(100)의 내부에 위치하는 블로우 튜브(300)의 연결을 보다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고, 특히 보다 정확하게 배치되도록 조립할 수 있다는 탁월한 이점을 지닌 것이다.
이에 따라, 고압의 공기 배관을 기밀을 유지하여 보다 쉽게 정렬 및 조립할 수 있어 제조생산 시에는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유지보수를 위한 주기적인 필터 교체나 청소시에는 부품 등의 분해 조립을 용이하게 하여 유지보수성을 극대화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일례로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상기의 도면이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100 : 하우징 몸체 110 : 공기 흡입구
120 : 공기 배출구 130 : 먼지 배출구
200 : 설치돌부 210 : 설치면
300 : 블로우 튜브 310 : 인젝션 노즐
400 : 에어 펄싱 유니트 410 : 브래킷
500 : 벌크헤드 커넥터 600 : 원통형 필터
700 : 컨트롤러

Claims (3)

  1. 수직형의 원통형 챔버로 이루어지고, 그 챔버 내부에 다수의 원통형 집진필터가 수직으로 배치되어 오염된 공기를 집진 여과시키는 하우징 몸체와, 상기 하우징 몸체의 외측에 브래킷에 의해 지지되며 고압의 공기를 주기적으로 공급하는 에어 펄싱 유니트와, 상기 에어 펄싱 유니트와 연결되며 상기 원통형 집진필터의 개구부에 위치하여 고압의 공기를 상기 원통형 집진필터의 내측으로 분사시키는 다수의 인젝션 노즐이 형성된 블로우 튜브로 구성된 수직형 집진기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 몸체에는 일체로 형성되어 내부 공간을 공유하며 수직한 평면인 설치면을 갖도록 한 설치돌부가 형성되고, 상기 설치돌부의 수직한 평면인 설치면에 에어 펄싱 유니트가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형 집진기의 에어 펄싱 유니트의 고정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몸체에 형성되는 설치돌부는 하우징 몸체의 상단부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형 집진기의 에어 펄싱 유니트의 고정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몸체에 형성된 설치돌부의 수직한 평면 설치면에 고정된 에어 펄싱 유니트와 고압의 공기를 원통형 집진필터의 내측으로 분사시키는 다수의 인젝션 노즐이 형성된 블로우 튜브는 벌크헤드 커넥터에 의해 결합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형 집진기의 에어 펄싱 유니트의 고정장치.
KR1020120143145A 2012-12-10 2012-12-10 수직형 집진기 KR20140074785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43145A KR20140074785A (ko) 2012-12-10 2012-12-10 수직형 집진기
PCT/KR2013/004056 WO2014092264A1 (ko) 2012-12-10 2013-05-09 수직형 집진기의 에어 펄싱 유니트 고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43145A KR20140074785A (ko) 2012-12-10 2012-12-10 수직형 집진기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40005407U Division KR20140005287U (ko) 2014-07-18 2014-07-18 수직형 집진기의 에어 펄싱 유니트 고정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74785A true KR20140074785A (ko) 2014-06-18

Family

ID=509345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43145A KR20140074785A (ko) 2012-12-10 2012-12-10 수직형 집진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140074785A (ko)
WO (1) WO2014092264A1 (ko)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SE515633C2 (sv) * 2000-01-31 2001-09-17 Abb Alstom Power Nv Förfarande vid rensning av spärrfilter
KR200321528Y1 (ko) * 2003-04-28 2003-07-28 우리엔텍(주) 집진기 백필터용 이젝터
KR200342510Y1 (ko) * 2003-11-07 2004-02-21 대하환경보전 주식회사 분사관 연결용 어댑터가 형성되어 있는 집진기
KR100866168B1 (ko) * 2008-03-27 2008-10-30 주식회사 한성기건 블로우파이프를 내장한 도어가 구비된 수평형 집진기
KR100866169B1 (ko) * 2008-04-12 2008-10-30 주식회사 한성기건 분체용 사일로에 탑재되는 수평형 집진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4092264A1 (ko) 2014-06-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09025B1 (ko) 집진기용 벤츄리
US9604172B2 (en) Diverging nozzles and filter element cleaning systems using diverging nozzles
JP2009233665A (ja) ブローパイプ付きドアを備える水平型集塵機
KR101333636B1 (ko) 중공사막필터를 이용한 여과장치
US20050252178A1 (en) Dual jet cleaning system for dust filter assembly
KR20090070450A (ko) 사이클론 조립체
KR101082309B1 (ko) 운전중에도 필터의 클리닝이 가능한 구조를 갖는 집진기
US20130192180A1 (en) Filter assembly
KR102002022B1 (ko) 물을 이용한 미세먼지 저감장치
KR20140074785A (ko) 수직형 집진기
KR20140059431A (ko) 집진기용 백 케이지의 구조
KR20140005287U (ko) 수직형 집진기의 에어 펄싱 유니트 고정장치
CN111871114A (zh) 一种食品垃圾高温有机废气一体化生物处理装置
KR100645845B1 (ko) 서랍형 백 필터 집진장치
KR100664720B1 (ko) 공기청정기용 에어필터 장치 및 이를 이용한 검사방법
CN114151904B (zh) 一种纺织车间用空气净化装置
CN214513584U (zh) 一种环保型废气处理装置
CN212915133U (zh) 一种磷炉尾气洗涤系统
KR200472211Y1 (ko) 대용량 압축공기 분사장치
KR200442816Y1 (ko) 집진장치
KR20150015194A (ko) 디퓨져가 내장된 백필터
KR20140056896A (ko) 집진기용 공기 분사 장치
KR101509621B1 (ko) 펠렛 보일러용 집진장치
KR101866397B1 (ko) 공정 폐가스 처리용 제습기
CN108187411A (zh) 一种高效工业废气处理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WICV Withdrawal of application forming a basis of a converted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