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74347A - 영상 복호화 장치 - Google Patents

영상 복호화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74347A
KR20140074347A KR1020147009900A KR20147009900A KR20140074347A KR 20140074347 A KR20140074347 A KR 20140074347A KR 1020147009900 A KR1020147009900 A KR 1020147009900A KR 20147009900 A KR20147009900 A KR 20147009900A KR 20140074347 A KR20140074347 A KR 2014007434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de
block
unit
intra prediction
predi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70099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수미
양문옥
Original Assignee
인포브릿지 피티이 엘티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인포브릿지 피티이 엘티디 filed Critical 인포브릿지 피티이 엘티디
Publication of KR201400743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7434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 H04N19/102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element, parameter or selection affected or controlled by the adaptive coding
    • H04N19/124Quantis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 H04N19/102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element, parameter or selection affected or controlled by the adaptive coding
    • H04N19/103Selection of coding mode or of prediction mode
    • H04N19/11Selection of coding mode or of prediction mode among a plurality of spatial predictive coding mod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 H04N19/102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element, parameter or selection affected or controlled by the adaptive coding
    • H04N19/119Adaptive subdivision aspects, e.g. subdivision of a picture into rectangular or non-rectangular coding bloc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 H04N19/102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element, parameter or selection affected or controlled by the adaptive coding
    • H04N19/12Selection from among a plurality of transforms or standards, e.g. selection between discrete cosine transform [DCT] and sub-band transform or selection between H.263 and H.264
    • H04N19/122Selection of transform size, e.g. 8x8 or 2x4x8 DCT; Selection of sub-band transforms of varying structure or typ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 H04N19/102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element, parameter or selection affected or controlled by the adaptive coding
    • H04N19/129Scanning of coding units, e.g. zig-zag scan of transform coefficients or flexible macroblock ordering [FMO]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 H04N19/102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element, parameter or selection affected or controlled by the adaptive coding
    • H04N19/13Adaptive entropy coding, e.g. adaptive variable length coding [AVLC] or context adaptive binary arithmetic coding [CABAC]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 H04N19/134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element, parameter or criterion affecting or controlling the adaptive coding
    • H04N19/157Assigned coding mode, i.e. the coding mode being predefined or preselected to be further used for selection of another element or paramet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 H04N19/134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element, parameter or criterion affecting or controlling the adaptive coding
    • H04N19/157Assigned coding mode, i.e. the coding mode being predefined or preselected to be further used for selection of another element or parameter
    • H04N19/159Prediction type, e.g. intra-frame, inter-frame or bidirectional frame predi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 H04N19/169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coding unit, i.e. the structural portion or semantic portion of the video signal being the object or the subject of the adaptive coding
    • H04N19/17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coding unit, i.e. the structural portion or semantic portion of the video signal being the object or the subject of the adaptive coding the unit being an image region, e.g. an object
    • H04N19/176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coding unit, i.e. the structural portion or semantic portion of the video signal being the object or the subject of the adaptive coding the unit being an image region, e.g. an object the region being a block, e.g. a macrobloc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 H04N19/169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coding unit, i.e. the structural portion or semantic portion of the video signal being the object or the subject of the adaptive coding
    • H04N19/18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coding unit, i.e. the structural portion or semantic portion of the video signal being the object or the subject of the adaptive coding the unit being a set of transform coeffici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 H04N19/189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adaptation method, adaptation tool or adaptation type used for the adaptive coding
    • H04N19/196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adaptation method, adaptation tool or adaptation type used for the adaptive coding being specially adapted for the computation of encoding parameters, e.g. by averaging previously computed encoding parameters
    • H04N19/197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adaptation method, adaptation tool or adaptation type used for the adaptive coding being specially adapted for the computation of encoding parameters, e.g. by averaging previously computed encoding parameters including determination of the initial value of an encoding paramet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 H04N19/189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adaptation method, adaptation tool or adaptation type used for the adaptive coding
    • H04N19/196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adaptation method, adaptation tool or adaptation type used for the adaptive coding being specially adapted for the computation of encoding parameters, e.g. by averaging previously computed encoding parameters
    • H04N19/198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adaptation method, adaptation tool or adaptation type used for the adaptive coding being specially adapted for the computation of encoding parameters, e.g. by averaging previously computed encoding parameters including smoothing of a sequence of encoding parameters, e.g. by averaging, by choice of the maximum, minimum or median valu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46Embedding additional information in the video signal during the compression process
    • H04N19/463Embedding additional information in the video signal during the compression process by compressing encoding parameters before transmiss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5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predictive coding
    • H04N19/593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predictive coding involving spatial prediction techniqu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6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transform coding
    • H04N19/61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transform coding in combination with predictive cod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6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transform coding
    • H04N19/63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transform coding using sub-band based transform, e.g. wavele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Discrete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ression Or Coding Systems Of Tv Signals (AREA)
  • Compression, Expansion, Code Conversion, And Decoders (AREA)

Abstract

예측 모드 그룹 지시자, 예측 모드 인덱스 및 3개의 인트라 예측모드들을 포함하는 MPM 그룹을 이용하여 현재 예측 유닛의 인트라 예측 모드를 복원하여 예측블록을 생성하고, 역스캔 패턴에 따라 양자화 계수 성분들을 역스캔하여 양자화 블록을 생성하고, 양자화 파라미터를 이용하여 상기 양자화 블록을 역양자화하고, 변환 블록을 역변환하여 잔차 블록을 생성하는 방법이 개시된다. 현재 코딩 유닛의 좌측, 상측 및 이전 양자화 파라미터들 중에서 미리 정해진 순서에 따라 결정되는 이용 가능한 2개를 이용하여 양자화 파라미터를 복원한다. 따라서, 인접 인트라 예측 모드들에 따라서 MPM 그룹을 적응적으로 생성함에 따라 시그널링 비트량이 감소하게 된다. 또한, 인접 양자화 파라미들을 이용함으로써 양자화 파라미터의 부호화 비트량이 감소하게 된다.

Description

영상 복호화 장치{IMAGE DECODING APPARATUS}
본 발명은 영상 복호화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3개의 인트라 예측모드들을 포함하는 MPM 그룹을 이용하여 현재 예측 유닛의 인트라 예측 모드를 복원하여 예측 블록을 생성하고, 역스캔 패턴에 따라 양자화 계수 성분들을 역스캔하고, 양자화 파라미터를 이용하여 양자화 블록을 역양자화하고, 변환 블록을 역변환하여 잔차 블록을 생성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H.264/MPEG-4 AVC에서는 하나의 픽쳐가 복수개의 매크로블록으로 분할되고, 인트라 예측 또는 인터 예측을 이용하여 예측 블록을 생성함으로써 각각의 매크로블록을 부호화한다. 원본 블록과 예측 블록의 차분값이 변환되어 변환블록이 생성되고, 양자화 파라미터 및 복수개의 양자화 매트릭스 중 하나를 이용하여 상기 변환 블록이 양자화된다. 상기 양자화 블록의 양자화 계수들은 미리 정해진 스캔 타입에 따라 스캔되고 엔트로피 부호화된다. 양자화 파라미터는 매크로블록마다 조정되고, 양자화 파라미터 예측자로서 이전 양자화 파라미터를 이용하여 부호화된다.
한편, 부호화 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해 다양한 사이즈의 코딩 유닛과 변환 유닛을 사용들이 기술들이 소개되고 있다. 또한, 원본 블록에 보다 유사한 예측 블록을 생성하기 위해 인트라 예측모드의 수를 증가시키는 기술들도 소개되고 있다.
그러나, 다양한 사이즈의 코딩 유닛과 변환 유닛들의 등장은 큰 변환 블록을 스캔할때 잔차 신호의 부호화 비트량이 증가시키게 된다. 또한, 인트라 예측 모드 수의 증가로 인해 잔차 블록의 부호화량을 줄기이 위한 보다 효과적인 스캐닝 방법이 요구된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목적은 예측 모드 그룹 지시자, 예측 모드 인덱스 및 3개의 인트라 예측모드들을 포함하는 MPM 그룹을 이용하여 현재 예측 유닛의 인트라 예측 모드를 복원하여 예측블록을 생성하고, 역스캔 패턴에 따라 양자화 계수 성분들을 역스캔하여 양자화 블록을 생성하고, 양자화 파라미터를 이용하여 상기 양자화 블록을 역양자화하고, 변환 블록을 역변환하여 잔차 블록을 생성하는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잔차 블록을 생성하는 방법은 예측 모드 그룹 지시자, 예측 모드 인덱스 및 3개의 인트라 예측모드들을 포함하는 MPM 그룹을 이용하여 현재 예측 유닛의 인트라 예측 모드를 복원하여 예측블록을 생성하고, 역스캔 패턴에 따라 양자화 계수 성분들을 역스캔하여 양자화 블록을 생성하고, 양자화 파라미터를 이용하여 상기 양자화 블록을 역양자화하고, 변환 블록을 역변환하여 잔차 블록을 생성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에서는 예측 모드 그룹 지시자, 예측 모드 인덱스 및 3개의 인트라 예측모드들을 포함하는 MPM 그룹을 이용하여 현재 예측 유닛의 인트라 예측 모드를 복원하여 예측블록을 생성하고, 역스캔 패턴에 따라 양자화 계수 성분들을 역스캔하여 양자화 블록을 생성하고, 양자화 파라미터를 이용하여 상기 양자화 블록을 역양자화하고, 변환 블록을 역변환하여 잔차 블록을 생성한다. 현재 코딩 유닛의 좌측, 상측 및 이전 양자화 파라미터들 중에서 미리 정해진 순서에 따라 결정되는 이용 가능한 2개를 이용하여 양자화 파라미터를 복원한다. 따라서, 인접 인트라 예측 모드들에 따라서 MPM 그룹을 적응적으로 생성함에 따라 시그널링 비트량이 감소하게 된다. 또한, 인접 양자화 파라미들을 이용함으로써 양자화 파라미터의 부호화 비트량이 감소하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영상 부호화 장치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인트라 예측 모드들을 설명하는 개념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스캔 패턴을 설명하는 개념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대각선 스캔 패턴을 설명하는 개념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인트라 예측 모드와 변환 유닛의 사이즈에 따라 결정되는 스캔 패턴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6는 본 발명에 따른 영상 복호화 장치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예측 블록을 생성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여러가지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영상 부호화 장치(100)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영상 부호화 장치(100)는 픽쳐 분할부(101), 변환부(103), 양자화부(104), 스캐닝부(105), 엔트로피 부호화부(106), 역양자화부(107), 역변환부(108), 후처리부(110), 픽쳐 저장부(111), 인트라 예측부(112), 인터 예측부(113),감산부(102) 및 가산부(109)를 포함한다.
픽쳐 분할부(101)는 픽쳐 또는 슬라이스를 복수개의 LCU(Largest Coding Unit)들로 분할하고, 상기 각각의 LCU를 하나 이상의 코딩 유닛으로 분할한다. 픽쳐 분할부(101)는 각 코딩 유닛의 예측 모드, 예측 유닛의 사이즈 및 변환 유닛의 사이즈를 결정한다.
하나의 LCU는 하나 또는 복수개의 코딩 유닛(coidng unit)을 포함한다. 상기 LCU는 분할 구조를 나타내기 위해 재귀적 쿼드 트리 구조(recursive quadtree structure)를 갖는다. 코딩 유닛의 최대 사이즈 및 최소 사이즈를 나타내는 정보가 시퀀스 파라미터 셋(sequence parameter set)에 포함된다. 상기 분할 구조는 하나 또는 복수개의 분할 코딩 유닛 플래그(split_cu_flag)들을 이용하여 표현된다. 코딩 유닛은 2Nx2N의 사이즈를 갖는다.
코딩 유닛은 하나 또는 복수개의 예측 유닛(prediction unit)을 포함한다. 인트라 예측에서는 상기 예측 유닛의 사이즈는 2Nx2N 또는 NxN이다. 인터 예측에서는 상기 예측 유닛의 사이즈는 2Nx2N, 2NxN, Nx2N 또는 NxN이다. 인터 예측에서 예측 유닛이 비대칭 파티션(asymmetric partition)이면, 상기 예측 유닛의 사이즈는 hNx2N, (2-h)Nx2N, 2NxhN 및 2Nx(2-h)N 중의 하나일 수 있다. 여기서 h는 1/2이다.
코딩 유닛은 하나 또는 복수개의 변환 유닛(transform unit)을 포함한다. 변환 유닛은 분할 구조를 나타내기 위해 재귀적 쿼드 트리 구조(recursive quadtree structure)를 갖는다. 분할 구조는 하나 또는 복수개의 분할 변환 유닛 플래그(split_tu_flag)들에 의해 표현된다. 변환 유닛의 최대 사이즈 및 최소 사이즈를 나타내는 정보가 시퀀스 파라미터 셋에 포함된다.
인트라 예측부(112)는 현재 예측 유닛의 인트라 예측모드를 결정하고, 상기 인트라 예측 모드를 이용하여 하나 또는 복수개의 예측 블록을 생성한다. 예측 블록은 변환 유닛과 동일한 사이즈를 갖는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인트라 예측 모드들을 설명하는 개념적 블록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트라 예측 모드들의 수는 35개이다. DC 모드와 플래너(Planar) 모드는 비방향성 인트라 예측모드들이고, 나머지들은 방향성 모드들이다.
인터 예측부(113)는 픽쳐 저장부(111)에 저장되어 있는 하나 이상의 참조 픽쳐들을 이용하여 현재 예측 유닛의 움직임 정보들을 결정하고, 상기 예측 유닛의 예측 블록을 생성한다. 상기 움직임 정보들은 하나 이상의 참조 픽쳐 인덱스들과 하나 이상의 움직임 벡터들을 포함한다.
변환부(103)는 원본 블록과 예측 블록을 이용하여 생성되는 잔차 신호들을 변환하여 변환 블록을 생성한다. 잔차 신호들은 변환 유닛 단위로 변환된다. 변환 타입은 예측 모드 및 변환 유닛의 사이즈에 따라 결정된다. 변환 타입은 DCT 기반 정수 변환 또는 DST 기반 정수 변환이다.
양자화부(104)는 상기 변환 블록을 양자화하기 위한 양자화 파라미터를 결정한다. 양자화 파라미터는 양자화 스텝 사이즈이다. 양자화 파라미터는 양자화 유닛마다 결정된다. 상기 양자화 유닛의 사이즈는 코딩 유닛의 허용 가능한 사이즈들 중 하나이다. 코딩 유닛의 사이즈가 양자화 유닛의 최소 사이즈보다 크거나 같으면, 상기 코딩 유닛이 양자화 유닛으로 설정된다. 복수개의 코딩 유닛이 하나의 양자화 유닛에 포함될 수도 있다. 상기 양자화 유닛의 최소 사이즈는 픽쳐마다 결정되고, 상기 양자화 유닛의 최소 사이즈를 특정하기 위해 하나의 파라미터가 사용된다. 상기 파라미터는 픽쳐 파라미터 셋(picture parameter set)에 포함된다.
양자화부(104)는 양자화 파라미터 예측자를 생성하고, 양자화 파라미터로부터 양자화 파라미터 예측자를 빼서 차분 양자화 파라미터를 생성한다. 상기 차분 양자화 파라미터는 부호화되어 복호기로 전송된다. 코딩 유닛 내에 전송될 잔차 신호가 존재하지 않으면, 상기 코딩 유닛의 차분 양자화 파라미터는 전송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양자화 파라미터 예측자는 인접 코딩 유닛들의 양자화 파라미터들과 이전 코딩 유닛의 양자화 파라미터를 이용하여 다음과 같이 생성된다.
좌측 양자화 파라미터, 상측 양자화 파라미터 및 이전 양자화 파라미터를 상기 순서대로 검색된다. 2개 이상의 양자화 파라미터들이 이용가능한 경우, 상기 순서로 검색되는 처음 2개의 이용 가능한 양자화 파라미터의 평균값이 양자화 파라미터 예측자로 설정되고, 하나의 양자화 파라미터만이 이용 가능한 경우에는 상기 이용 가능한 양자화 파라미터가 양자화 파라미터 예측자로 설정된다. 즉, 상기 좌측 양자화 파라미터 및 상기 상측 양자화 파라미터가 이용 가능하면, 상기 좌측 및 상측 양자화 파라미터들의 평균값이 상기 양자화 파라미터 예측자로 설정된다. 상기 좌측 양자화 파라미터 및 상기 상측 양자화 파라미터 중에서 하나만이 이용 가능하면, 상기 이용 가능한 양자화 파라미터와 상기 이전 양자화 파라미터의 평균값이 상기 양자화 파라미터 예측자로 설정된다. 상기 좌측 및 상측 양자화 파라미터들이 모두 이용 가능하지 않으면, 상기 이전 양자화 파라미터가 상기 양자화 파라미터 예측자로 설정된다. 상기 평균값은 반올림한 평균값이다.
상기 차분 양자화 파라미터는 상기 차분 양자화 파라미터의 절대값과 상기 차분 양자화 파라미터의 부호를 나타내는 부호 플래그로 변환된다. 상기 차분 양자화 파라미터의 절대값은 트렁케이티드 유너리(truncated unary)로 이진화된다. 그리고나서 상기 절대값과 상기 부호 플래그가 산술부호화된다. 상기 절대값이 0이면 부호 플래그는 존재하지 않는다.
양자화부(104)는 양자화 매트릭스 및 양자화 파라미터를 이용하여 변환 블록을 양자화한다. 양자화 블록은 역양자화부(107)와 스캐닝부(105)로 제공된다.
스캐닝부(105)는 스캔 패턴을 결정하고, 상기 스캔 패턴을 상기 양자화 블록에 적용한다.
인트라 예측에서는, 양자화된 변환 계수들의 분포가 인트라 예측 모드 및 변환 유닛의 사이즈에 의해 변한다. 따라서, 스캔 패턴은 상기 인트라 예측 모드 및 상기 변환 유닛의 사이즈에 의해 결정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스캔 패턴들을 설명하는 개념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대각선 스캔을 설명하는 개념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스캔 패턴은 지그재그 스캔이고, 제2 스캔 패턴은 수평 스캔이고, 제3 스캔은 수직 스캔이다.
CAVLC(Context adaptive variable length coding)가 엔트로피 코딩에 사용되면, 지그재그 스캔, 수평 스캔 및 수직 스캔 중 하나가 선택된다. 그러나, CABAC(Context adaptive binary arithmetic coding)이 엔트로피 코딩에 사용되면 대각선 스캔, 수평 스캔 및 수직 스캔 중 하나가 선택되고, 상기 선택된 스캔 패턴이 양자화 블록의 중요 플래그들, 계수 부호들 및 계수 레벨들에 각각 적용된다. 상기 중요 플래그는 대응하는 양자화 변환 계수가 0인지 아닌지를 나타낸다. 상기 계수 부호는 0이 아닌 양자화 변환 계수의 부호를 나타낸다. 상기 계수 레벨은 0이 아닌 양자화 변환 계수의 절대값을 나타낸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인트라 예측 모드와 변환 유닛의 사이즈에 의해 결정되는 예시적 스캔 패턴을 설명하는 개념도이다. CABAC이 엔트로피 코딩에 사용되면, 스캔 패턴은 다음과 같이 결정된다.
변환 유닛의 사이즈가 4x4이면, 수직 모드(모드 1)와 상기 수직 모드에 인접한 제1 개수의 인트라 예측 모드들에서 수평 스캔이 적용되고, 수평 모드(모드 2)와 상기 수평 모드에 인접한 제1 개수의 인트라 예측 모드들에서 수직 스캔이 적용되고, 나머지 모든 인트라 예측 모드에서 대각선 스캔이 적용된다. 즉,4x4 변환 유닛에 대해 허용 가능한 인트라 예측 모드들이 모드 0~17이면, 모드 5, 모드 6 및 모드 5와 모드 6 사이의 허용 가능한 모드들에서 수평 스캔이 적용되고, 모드 8, 모드 9 및 모드 8과 모드 9 사이의 허용 가능한 모드들에서 수직 스캔이 적용된다. 4x4 변환 유닛에 모드 0~34가 허용되면, 적용되는 스캔 패턴은 다음의 8x8 변환 유닛의 스캔 패턴과 동일한다.
변환 유닛의 사이즈가 8x8이면, 수직 모드(모드 1)와 상기 수직 모드에 인접한 제2 개수의 인트라 예측 모드들에서 수평 스캔이 적용되고, 수평 모드(모드 2)와 상기 수평 모드에 인접한 제2 개수의 인트라 예측 모드들에서 수직 스캔이 적용되고, 나머지 모든 인트라 예측 모드에서 대각선 스캔이 적용된다. 즉, 모드 5, 모드 6 및 모드 5와 모드 6 사이의 허용 가능한 모드들에서 수평 스캔이 적용되고, 모드 8, 모드 9 및 모드 8과 모드 9 사이의 허용 가능한 모드들에서 수직 스캔이 적용되고, 나머지 인트라 예측모드들에서 대각선 스캔이 적용된다. 모드 5와 모드 6 사이의 허용 가능한 인트라 예측 모드들은 모드 21, 모드 12, 모드 22, 모드 1, 모드 23, 모드 13 및 모드 24이다. 모드 8과 모드 9 사이의 허용 가능한 모드들은 모드 29, 모드 16, 모드 30, 모드 2, 모드 31, 모드 17, 모드 32 및 모드 9이다.
인터 예측에서는 변환 유닛의 사이즈에 관계없이 미리 정해진 스캔이 사용된다. CABAC이 엔트로피 코딩에 사용되면 상기 미리 정해진 스캔 패턴은 대각선 스캔이다.
변환 유닛의 사이즈가 제2 사이즈보다 크면, 상기 양자화 블록은 메인 서브셋과 복수개의 잔여 서브셋들로 분할되고, 상기 결정된 스캔 패턴이 각 서브셋에 적용된다. 각 서브셋의 중요 플래그들, 계수 부호들 및 계수 레벨들이 각각 상기 결정된 스캔 패턴에 따라 스캔된다. 양자화된 변환 계수들은 중요 플래그들, 계수 부호들 및 계수 레벨들로 분리된다.
메인 서브셋은 DC 계수를 포함하고, 잔여 서브셋들은 상기 메인 서브셋이 커버하는 영역 이외의 영역을 커버한다. 상기 제2 사이즈는 4x4이다. 서브셋의 사이즈는 4x4 블록일수도 있고, 스캔 패턴에 따라 결정되는 비정방형 블록일 수도 있다. 상기 비정방형 블록은 16개의 변환 계수들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상기 서브셋의 사이즈는 수평스캔시 8x2, 수직 스캔시 2x8, 대각선 스캔시 4x4이다.
서브셋들을 스캔하기 위한 스캔 패턴은 상기 각 서브셋의 양자화된 변환 계수들을 스캔하기 위한 스캔 패턴과 동일하다. 각 서브셋의 양자화된 변환 계수들은 역방향으로 스캔된다. 상기 서브셋들도 역방향으로 스캔된다.
0이 아닌 마지막 계수 위치(last non-zero coefficient position)가 부호화되어 복호기로 전송된다. 0이 아닌 마지막 계수 위치는 변환 유닛 내에서의 0이 아닌 마지막 양자화된 변환 계수의 위치를 나타낸다. 상기 0이 아닌 마지막 계수 위치는 복호기가 시그널링되는 서브셋의 수를 결정하는데 사용된다. 넌제로 서브셋 플래그(non-zero subset flag)가 메인 서브셋과 마지막 서브셋 이외의 각 서브셋에 대해 설정된다. 상기 마지막 서브셋은 0이 아닌 마지막 계수를 커버한다. 넌제로 서브셋 플래그는 서브셋이 0이 아닌 계수들을 포함하는지 여부를 나타낸다.
역양자화부(107)는 양자화 블록의 양자화된 변환 계수들을 역양자화한다.
역변환부(108)는 역양자화 블록을 역변환하여 공간 영역이 잔차 신호들을 생성한다.
가산부(109)는 잔차 블록과 예측 블록을 더하여 복원 블록을 생성한다.
후처리부(110)는 복원된 픽쳐에서 발생하는 블록킹 아티펙트를 제거하기 위한 디블록킹 필터링 과정을 수행한다.
픽쳐 저장부(111)는 후처리부(110)로부터 후처리된 영상을 수신하고, 픽쳐 단위로 상기 영상을 저장한다. 픽쳐는 프레임 또는 필드일 수 있다.
엔트로피 부호화부(106)는 스캐닝부(105)로부터 수신되는 1차원 계수 정보, 인트라 예측부(112)로부터 수신되는 인트라 예측 정보, 인터 예측부(113)로부터 수신되는 움직임 정보 등을 엔트로피 부호화한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영상 복호화 장치(200)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영상 복호화 장치(200)는 엔트로피 복호화부(201), 역스캐닝부(202), 역양자화부(203), 역변환부(204), 가산부(205), 후처리부(206), 픽쳐 저장부(207), 인트라 예측부(208) 및 인터 예측부(209)를 포함한다.
엔트로피 복호화부(201)는 수신된 비트 스트림에서 인트라 예측 정보, 인터 예측 정보 및 1차원 계수 정보를 추출한다. 엔트로피 복호화부(201)는 인터 예측 정보를 인터 예측부(209)로 전송하고, 인트라 예측 정보를 인트라 예측부(208)로 전송하고, 상기 계수 정보를 역스캐닝부(202)로 전송한다.
역스캐닝부(202)는 역스캔 패턴을 사용하여 양자화 블록을 생성한다. CABAC이 엔트로피 부호화 방법으로 사용되면, 스캔 패턴은 다음과 같이 결정된다.
역스캔 패턴은 대각선 스캔, 수직 스캔 및 수평 스캔 중에서 선택된다.
인트라 예측에서는, 인트라 예측 모드 및 변환 유닛의 사이즈에 의해 역스캔 패턴이 결정된다. 역스캔 패턴은 대각선 스캔, 수직 스캔 및 수평 스캔 중에서 선택된다. 상기 선택된 역스캔 패턴이 중요 플래그들, 계수 부호들 및 계수 레벨들에 각각 적용되어 양자화 블록을 생성한다.
변환 유닛의 사이즈가 상기 제1 사이즈보다 작거나 같으면, 수직 모드 및 상기 수직 모드에 인접한 미리 정해진 개수의 인트라 예측 모드들에서는 수평 스캔이 선택되고, 수평 모드 및 상기 수평 모드에 인접한 미리 정해진 개수의 인트라 예측 모드들에서는 수직 스캔이 선택되고, 나머지의 인트라 예측 모드들에서는 대각선 스캔이 선택된다. 변환 유닛의 사이즈가 상기 제1 사이즈보다 크면, 모든 인트라 예측 모드들에 대각선 스캔이 적용된다. 상기 제1 사이즈는 8x8이다.
변환 유닛의 사이즈가 4x4이면, 수직 모드(모드 1)와 상기 수직 모드에 인접한 제1 개수의 인트라 예측 모드들에서 수평 스캔이 적용되고, 수평 모드(모드 2)와 상기 수평 모드에 인접한 제1 개수의 인트라 예측 모드들에서 수직 스캔이 적용되고, 나머지 모든 인트라 예측 모드에서 대각선 스캔이 적용된다. 즉,4x4 변환 유닛에 대해 허용 가능한 인트라 예측 모드들이 모드 0~17이면, 모드 5, 모드 6 및 모드 5와 모드 6 사이의 허용 가능한 모드들에서 수평 스캔이 적용되고, 모드 8, 모드 9 및 모드 8과 모드 9 사이의 허용 가능한 모드들에서 수직 스캔이 적용된다. 4x4 변환 유닛에 모드 0~34가 허용되면, 적용되는 스캔 패턴은 다음의 8x8 변환 유닛의 스캔 패턴과 동일한다.
변환 유닛의 사이즈가 8x8이면, 수직 모드(모드 1)와 상기 수직 모드에 인접한 제2 개수의 인트라 예측 모드들에서 수평 스캔이 적용되고, 수평 모드(모드 2)와 상기 수평 모드에 인접한 제2 개수의 인트라 예측 모드들에서 수직 스캔이 적용되고, 나머지 모든 인트라 예측 모드에서 대각선 스캔이 적용된다. 즉, 모드 5, 모드 6 및 모드 5와 모드 6 사이의 허용 가능한 모드들에서 수평 스캔이 적용되고, 모드 8, 모드 9 및 모드 8과 모드 9 사이의 허용 가능한 모드들에서 수직 스캔이 적용되고, 나머지 인트라 예측모드들에서 대각선 스캔이 적용된다. 모드 5와 모드 6 사이의 허용 가능한 인트라 예측 모드들은 모드 21, 모드 12, 모드 22, 모드 1, 모드 23, 모드 13 및 모드 24이다. 모드 8과 모드 9 사이의 허용 가능한 모드들은 모드 29, 모드 16, 모드 30, 모드 2, 모드 31, 모드 17, 모드 32 및 모드 9이다.
인터 예측에서는 대각선 스캔이 사용된다.
변환 유닛의 사이즈가 제2 사이즈보다 크면, 중요 플래그들, 계수 부호들 및 계수 레벨들(levels)이 상기 결정된 역스캔 패턴에 따라 서브셋 단위로 역스캔되어 서브셋들을 생성하고, 상기 서브셋들은 역스캔되어 양자화 블록을 생성한다. 상기 제2 사이즈는 4x4이다. 서브셋이 사이즈는 4x4일수도 있고 스캔 패턴에 따라 결정되는 비정방형 블록일 수도 있다. 상기 비정방형 블록은 16개의 변환 계수들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수평 스캔에서는 서브셋의 사이즈가 8x2, 수직 스캔에서는 서브셋의 사이즈가 2x8, 대각선 스캔에서는 서브셋의 사이즈가 4x4이다.
각 서브셋을 생성하기 위해 사용되는 역스캔 패턴은 양자화 블록을 생성하기 위해 사용되는 역스캔 패턴과 동일한다. 중요 플래그들, 계수 부호들 및 계수 레벨들은 역방향으로 역스캔된다. 서브셋들도 역방향으로 역스캔된다.
0이 아닌 마지막 계수 위치 및 넌제로 서브셋 플래그들이 부호화기로부터 수신된다. 0이 아닌 마지막 계수 위치 및 역스캔 패턴에 따라서 부호화된 서브셋의 수가 결정된다. 넌제로 서브셋 플래그는 생성될 서브셋을 선택하기 위해 사용된다. 메인 서브셋과 마지막 서브셋은 상기 역스캔 패턴을 이용하여 생성된다.
역양자화부(203)는 엔트로피 복호화부(201)로부터 차분 양자화 파라미터를 수신하고, 양자화 파라미터 예측자를 생성한다. 양자화 파라미터 예측자는 도 1의 양자화부(104)에 의한 동작과 동일한 과정을 통해 생성된다. 그리고나서, 역양자화부(203)는 상기 차분 양자화 파라미터와 상기 양자화 파라미터 예측자를 더하여 현재 코딩 유닛의 양자화 파라미터를 생성한다. 현재 코딩 유닛이 최소 양자화 유닛보다 크거나 같고, 현재 코딩 유닛의 차분 양자화 파라미터가 부호기로부터 수신되지 않으면, 상기 차분 양자화 파라미터는 0으로 설정된다.
역양자화 파라미터는 양자화 유닛마다 생성된다. 코딩 유닛의 사이즈가 양자화 유닛의 최소 사이즈보다 크거나 같으면, 상기 코딩 유닛에 대한 양자화 파라미터가 생성된다. 복수개의 코딩 유닛들이 하나의 양자화 유닛에 포함되면, 0이 아닌 계수를 포함하는 복호화 순서상 첫번째 코딩 유닛에 대한 양자화 파라미터가 생성된다. 상기 첫번째 코딩 유닛 이후의 상기 양자화 유닛 내에 존재하는 코딩 유닛들은 상기 첫번째 코딩 유닛과 동일한 양자화 파라미터를 갖는다.
양자화 유닛의 최소 사이즈는 픽쳐 파라미터 셋에 포함되어 있는 하나의 파라미터와 최대 코딩 유닛의 사이즈를 이용하여 픽쳐마다 유도된다.
차분 양자화 파라미터가 양자화 유닛마다 복원된다. 부호화된 차분 양자화 파라미터를 산술복호화하여 차분 양자화 파라미터의 절대값과 상기 차분 양자화 파라미터의 부호를 나타내는 부호 플래그를 생성한다 상기 차분 양자화 파라미터의 절대값은 트렁케이티드 유너리(truncated unary) 형태의 빈 스트링이다. 상기 차분 양자화 파라미터는 상기 절대값과 부호 플래그를 이용하여 복원된다. 상기 절대값이 0이면, 상기 부호 플래그는 존재하지 않는다.
역양자화부(203)는 양자화 블록을 역양자화한다.
역변환부(204)는 상기 역양자된 블록을 역변환하여 잔차 블록을 복원한다. 역변환 타입은 예측 모드 및 변환 유닛이 사이즈에 따라 결정된다. 역 변환 타입은 DCT 기반 정수 변환 또는 DST 기반 정수 변환이다.
인트라 예측부(208)는 수신된 인트라 예측 정보를 이용하여 현재 예측 유닛의 인트라 예측 모드를 복원하고, 상기 복원된 인트라 예측 모드에 따라 예측 블록을 생성한다.
인터 예측부(209)는 수신된 인터 예측 정보를 이용하여 현재 예측 유닛의 움직임 정보를 복원하고, 상기 움직임 정보를 이용하여 예측 블록을 생성한다.
후처리부(206)는 도 1의 후처리부(110)와 동일하게 동작한다.
픽쳐 저장부(207)는 후처리부(206)로부터 후처리된 영상을 수신하고, 픽쳐 단위로 상기 영상을 저장한다. 픽쳐는 프레임 또는 필드일 수 있다.
가산부(205)는 복원된 잔차 블록과 예측 블록을 더하여 복원 블록을 생성한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예측 블록을 생성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현재 예측 유닛의 인트라 예측 정보가 엔트로피 복호화된다(S110).
상기 인트라 예측 정보는 모드 그룹 지시자 및 예측 모드 인덱스를 포함한다. 상기 모드 그룹 지시자는 현재 예측 유닛의 인트라 예측 모드가 MPM 그룹(most probable mode group)에 속하는지를 나타내는 플래그이다. 상기 플래그가 1이면, 현재 예측 유닛의 인트라 예측 모드가 MPM 그룹에 속한다. 상기 플래그가 0이면, 현재 예측 유닛의 인트라 예측 모드가 잔여 모드 그룹(residual mode group)에 속한다. 상기 잔여 모드 그룹은 상기 MPM 그룹에 속하는 인트라 예측 모드들 이외의 모드 인트라 예측 모드들을 포함한다. 상기 예측 모드 인덱스는 상기 모드 그룹 지시자에 의해 특정되는 그룹 내에서의 현재 예측 유닛의 인트라 예측 모드를 특정한다.
인접 예측 유닛들의 인트라 예측 모드들을 이용하여 MPM 그룹이 구성된다(S120).
상기 MPM 그룹의 인트라 예측 모드들은 좌측 인트라 예측 모드 및 상측 인트라 예측 모드들에 의해 적응적으로 결정된다. 상기 좌측 인트라 예측 모드는 좌측에 인접한 예측 유닛의 인트라 예측 모드이고, 상기 상측 인트라 예측 모드는 상측에 인접한 예측 유닛의 인트라 예측 모드이다. 상기 MPM 그룹은 3개의 인트라 예측 모드들로 구성된다.
상기 좌측 또는 상측에 인접한 예측 유닛이 존재하지 않으면, 상기 좌측 또는 상측의 인접 예측 유닛들의 인트라 예측 모드는 이용 가능하지 않은 것으로 설정된다. 예를 들어, 현재 예측 유닛이 픽쳐의 좌측 또는 상측 경계에 위치하면, 좌측 또는 상측에 인접한 예측 유닛이 존재하지 않는다. 좌측 또는 상측에 인접한 예측 유닛이 다른 슬라이스 또는 다른 타일에 속하면, 좌측 또는 상측에 인접한 예측 유닛의 인트라 예측 모드들은 이용 가능하지 않은 것으로 설정된다. 좌측 또는 상측에 인접한 예측 유닛이 인터 부호화되면, 좌측 또는 상측에 인접한 예측 유닛의 인트라 예측 모드가 이용 가능하지 않은 것으로 설정된다. 상측 예측 유닛이 다른 LCU에 속하면, 상기 상측 예측에 인접한 예측 유닛의 인트라 예측 모드가 이용 가능하지 않은 것으로 설정된다.
좌측 인트라 예측 모드 및 상측 인트라 예측 모드가 모두 이용 가능하고 서로 다른 경우에는, 상기 좌측 인트라 예측 모드 및 상기 상측 인트라 예측 모드가 상기 MPM 그룹에 포함되고 1개의 추가 인트라 예측 모드가 상기 MPM 그룹에 추가된다. 둘 중 모드 번호가 작은 인트라 예측 모드에 인덱스 0이 할당하고, 나머지 하나에 인덱스 1이 할당된다. 또는, 좌측 인트라 예측 모드에 인덱스 0이 할당되고 상측 인트라 예측 모드에 인덱스 1이 할당될 수도 있다. 상기 추가 인트라 예측 모드는 상기 좌측 및 상측 인트라 예측 모드들에 의해 다음과 같이 결정된다.
좌측 및 상측 인트라 예측 모드들 중 하나가 비방향성 모드(non-directional mode)이고 다른 하나가 방향성 모드(directional mode)이면, 나머지 하나의 비방향성 모드가 상기 MPM 그룹에 추가된다. 예를 들어, 상기 좌측 및 상측 인트라 예측 모드들 중 하나가 DC 모드이면, 플래너 모드가 상기 MPM 그룹에 추가되고, 상기 좌측 및 상측 인트라 예측 모드들 중 하나가 플래너 모드이면, DC 모드가 상기 MPM 그룹에 추가된다. 좌측 및 상측 인트라 예측 모드들이 모두 비방향성 모드들이면, 수직 모드가 상기 MPM 그룹에 추가된다. 좌측 및 상측 인트라 예측 모드들이 모두 방향성 모드들이면, DC 모드 또는 플래너 모드가 상기 MPM 그룹에 추가된다.
좌측 인트라 예측 모드 및 상측 인트라 예측 모드들 중 하나만 이용 가능한 경우에는, 상기 이용 가능한 인트라 예측 모드가 상기 MPM 그룹에 포함되고, 2개의 추가 인트라 예측 모드들이 상기 MPM 그룹에 추가된다. 상기 2개의 추가 인트라 예측 모드들은 상기 이용 가능한 인트라 예측 모드에 의해 다음과 같이 결정된다.
상기 이용 가능한 인트라 예측 모드가 비방향성 모드이면, 나머지 하나의 비방향성 모드와 수직 모드가 상기 MPM 그룹에 추가된다. 예를 들어, 상기 이용 가능한 인트라 예측 모드가 DC 모드이면, 플래너 모드와 수직 모드가 상기 MPM 그룹에 추가된다. 상기 이용 가능한 인트라 예측 모드가 플래너 모드이면, DC 모드와 수직 모드가 상기 MPM 그룹에 추가된다. 상기 이용 가능한 인트라 예측 모드가 방향성 모드이면, 2개의 비방향성 모드(DC 모드 및 플래너 모드)가 상기 MPM 그룹에 추가된다.
좌측 인트라 예측 모드 및 상측 인트라 예측 모드가 모두 이용 가능하고 서로 같으면, 상기 이용 가능한 인트라 예측 모드가 MPM 그룹에 포함되고, 2개의 추가 인트라 예측 모드들이 상기 MPM 그룹에 추가된다. 상기 추가되는 2개의 인트라 예측 모드는 상기 이용 가능한 인트라 예측 모드에 의해 다음과 같이 결정된다.
상기 이용 가능한 인트라 예측 모드가 방향성 모드이면, 2개의 인접 방향성 모드들이 상기 MPM 그룹에 추가된다. 예를 들어, 상기 이용 가능한 인트라 예측 모드가 모드 23이면, 좌측 인접 모드(모드 1)와 우측 인접 모드(모드 13)이 상기 MPM 그룹에 추가된다. 상기 이용 가능한 인트라 예측 모드가 모드 30이면, 2개의 인접 모드들(모드 2와 모드 16)이 상기 MPM 그룹에 추가된다. 상기 이용 가능한 인트라 예측 모드가 비방향성 모드이면, 나머지 하나의 비방향성 모드와 수직 모드가 상기 MPM 그룹에 추가된다. 예를 들어, 상기 이용 가능한 인트라 예측 모드가 DC 모드이면, 플래너 모드와 수직 모드가 상기 MPM 그룹에 추가된다.
좌측 인트라 예측 모드 및 상측 인트라 예측 모드가 모두 이용가능하지 않는 경우에는, 3개의 추가 인트라 예측 모드들이 상기 MPM 그룹에 추가된다. 상기 3개의 인트라 예측 모드들은 DC 모드, 플래너 모드 및 수직 모드이다. DC 모드, 플래너 모드 및 수직 모드의 순서 또는 플래너 모드, DC 모드 및 수직 모드의 순서로 인덱스 0, 1 및 2가 상기 3개의 인트라 예측 모드에 할당된다.
상기 모드 그룹 지시자가 MPM 그룹을 지시하는지를 결정한다(S130).
상기 모드 그룹 지시자가 상기 MPM 그룹을 나타내면, 상기 예측 모드 인덱스에 의해 특정되는 MPM 그룹 내의 인트라 예측 모드가 현재 예측 유닛의 인트라 예측 모드로 설정된다(S140).
상기 모드 그룹 지시자가 상기 MPM 그룹을 나타내지 않으면, 인트라 예측 모드는 상기 예측 모드 인덱스 및 상기 MPM 그룹의 인트라 예측 모드들을 비교하여 다음의 순서로 유도된다(S150).
1) MPM 그룹 내의 3개의 인트라 예측 모드들 중에서, 가장 작은 모드 번호를 갖는 인트라 예측 모드가 첫번째 후보자로 설정되고, 중간 모드 번호를 갖는 인트라 예측 모드가 두번째 후보자로 설정되고, 가장 큰 모드 번호를 갖는 인트라 예측 모드가 세번째 후보자로 설정된다.
2) 상기 예측 모드 인덱스를 첫번째 후보자와 비교한다. 상기 예측 모드 인덱스가 상기 MPM그룹 내의 첫번째 후보자의 모드번호보다 크거나 같으면, 상기 예측 모드 인덱스의 값이 1만큼 증가한다. 그렇지 않으면, 상기 예측 모드 인덱스의 값은 유지된다.
3) 상기 예측 모드 인덱스를 두번째 후보자와 비교한다. 상기 예측 모드 인덱스가 상기 MPM그룹 내의 두번째 후보자의 모드번호보다 크거나 같으면, 상기 예측 모드 인덱스의 값이 1만큼 증가한다. 그렇지 않으면, 상기 예측 모드 인덱스의 값은 유지된다.
4) 상기 예측 모드 인덱스를 세번째 후보자와 비교한다. 상기 예측 모드 인덱스가 상기 MPM그룹 내의 세번째 후보자의 모드번호보다 크거나 같으면, 상기 예측 모드 인덱스의 값이 1만큼 증가한다. 그렇지 않으면, 상기 예측 모드 인덱스의 값은 유지된다.
5) 상기 최종 예측 모드 인덱스가 현재 예측 유닛의 인트라 예측 모드의 모드 번호로 설정된다.
상기 예측 블록의 사이즈는 상기 변환 유닛의 사이즈를 나타내는 변환 사이즈 지시자에 기초하여 결정된다(S160). 변환 사이즈 지시자는 상기 변환 유닛의 사이즈를 특정하기 위한 하나의 분할 변환 플래그(split_transform_flag)들일 수 있다.
변환 유닛의 사이즈가 현재 예측 유닛이 사이즈와 같으면, 예측 블록은 다음의 단계들(S170~S190)을 통해 생성된다.
변환 유닛의 사이즈가 현재 예측 유닛의 사이즈보다 작으면, 현재 예측 유닛의 첫번째 서브블록의 예측 블록은 단계들 S170 내지 S190을 통해 생성되고, 상기 첫번째 서브블록의 잔차 블록이 생성되고, 상기 예측 블록과 잔차 블록을 더하여 상기 첫번째 서브블록의 복원블록이 생성된다. 그리고나서, 복호화 순서상 다음의 서브블록의 복원 블록이 생성된다. 동일 인트라 예측 모드가 모든 서브블록들에 이용된다. 상기 서브블록은 변환 유닛의 사이즈이다.
현재 블록의 참조 화소들이 모두 이용가능한지를 판단하고, 하나 이상의 참조화소들이 이용가능하지 않으면 참조화소들을 생성한다(S170). 현재 블록은 현재 예측 유닛 또는 서브블록이다. 상기 현재 블록의 사이즈는 변환 유닛의 사이즈이다.
상기 인트라 예측 모드 및 현재 블록의 사이즈에 기초하여 상기 참조화소들이 적응적으로 필터링된다(S180). 현재 블록의 사이즈는 변환 블록의 사이즈이다.
DC 모드, 수직 모드 및 수평 모드에서도 참조화소들이 필터링되지 않는다. 상기 수직 모드 및 수평 모드 이외의 방향성 모드들에서는 참조화소들이 상기 현재 블록의 사이즈에 따라 적응적으로 필터링된다.
현재 블록의 사이즈가 4x4이면, 모든 인트라 예측 모드들에서 상기 참조화소들이 필터링되지 않는다. 8x8, 16x16 및 32x32의 사이즈에서는, 참조화소가 필터링되어야 하는 인트라 예측 모드의 수가 현재 블록의 사이즈가 커질수록 증가한다. 예를 들어, 수직 모드 및 상기 수직모드에 인접하는 미리 정해진 개수의 인트라 예측 모드들에서는 참조화소들이 필터링되지 않는다. 수평 모드 및 상기 수평 모드에 인접한 상기 미리 정해진 개수의 인트라 예측모드드에서는 참조화소들이 필터링되지 않는다. 상기 미리 정해진 개수는 현재 블록의 사이즈가 커질수록 감소한다.
상기 현재 예측 유닛의 인트라 예측 모드와 참조 화소들을 이용하여 현재 블록의 예측 블록이 생성된다(S190).
수직 모드에서는 수직 참조 화소의 값을 복사하여 예측 화소들을 생성된다. 좌측 참조화소에 접하는 예측 화소들은 상기 좌측 인접 참조화소와 코너 참조 화소를 이용하여 필터링된다.
수평 모드에서는, 수평 참조 화소의 값을 복사하여 예측 화소들을 생성한다. 상측 참조화소에 접하는 예측 화소들은 상기 상측 인접 참조화소와 코너 참조화소를 이용하여 필터링된다.
이상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5 : 스캐닝부

Claims (2)

  1. 영상 복호화 장치에 있어서,
    예측 모드 그룹 지시자, 예측 모드 인덱스 및 3개의 인트라 예측모드들을 포함하는 MPM 그룹을 이용하여 현재 예측 유닛의 인트라 예측 모드를 복원하고, 상기 인트라 예측 모드에 따라 예측 블록을 생성하는 인트라 예측부;
    역스캔 패턴에 따라 양자화 계수 성분들을 역스캔하여 양자화 블록을 생성하는 역스캐닝부;
    양자화 파라미터 및 양자화 매트릭스를 이용하여 상기 양자화 블록을 역양자화하여 변환 블록을 생성하는 역양자화부;
    상기 변환 블록을 역변환하여 잔차 블록을 생성하는 역변환부; 및
    상기 예측 블록과 상기 잔차 블록을 이용하여 복원블록을 생성하는 가산부;를 포함하고,
    상기 역스캔 패턴은 대각선 스캔, 수직 스캔 및 수평 스캔 중에서 선택되고,
    상기 양자화 파라미터는 양자화 파라미터 예측자 및 차분 양자화 파라미터를 이용하여 복원되고,
    현재 코딩 유닛의 좌측 양자화 파라미터, 상측 양자화 파라미터 및 이전 양자화 파라미터 중에서 미리 정해진 순서에 따라 결정되는 이용 가능한 2개의 양자화 파라미터들의 평균값이 상기 양자화 파라미터 예측자로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변환 유닛의 사이즈가 8x8이면, 상기 인트라 예측 모드에 따라 역스캔 패턴이 결정되고, 상기 역스캔 패턴에 따라 상기 양자화 계수 성분들을 서브셋 단위로 역스캔하여 서브셋들을 생성되고, 상기 역스캔 패턴에 따라 상기 서브셋들을 역스캔하여 양자화 블록이 생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KR1020147009900A 2011-11-04 2012-11-02 영상 복호화 장치 KR20140074347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14608 2011-11-04
KR1020110114608A KR20130049524A (ko) 2011-11-04 2011-11-04 인트라 예측 블록 생성 방법
PCT/CN2012/083991 WO2013064098A1 (en) 2011-11-04 2012-11-02 Method of generating quantized block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7009861A Division KR101472971B1 (ko) 2011-11-04 2012-11-02 양자화 블록을 생성하는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74347A true KR20140074347A (ko) 2014-06-17

Family

ID=48191359

Famil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14608A KR20130049524A (ko) 2011-11-04 2011-11-04 인트라 예측 블록 생성 방법
KR1020147009897A KR20140071428A (ko) 2011-11-04 2012-11-02 양자화 블록을 생성하는 방법
KR1020147009898A KR20140071429A (ko) 2011-11-04 2012-11-02 잔차 블록을 생성하는 방법
KR1020147009861A KR101472971B1 (ko) 2011-11-04 2012-11-02 양자화 블록을 생성하는 방법
KR1020147009900A KR20140074347A (ko) 2011-11-04 2012-11-02 영상 복호화 장치
KR1020147009899A KR20140071430A (ko) 2011-11-04 2012-11-02 영상 복호화 장치

Family Applications Before (4)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14608A KR20130049524A (ko) 2011-11-04 2011-11-04 인트라 예측 블록 생성 방법
KR1020147009897A KR20140071428A (ko) 2011-11-04 2012-11-02 양자화 블록을 생성하는 방법
KR1020147009898A KR20140071429A (ko) 2011-11-04 2012-11-02 잔차 블록을 생성하는 방법
KR1020147009861A KR101472971B1 (ko) 2011-11-04 2012-11-02 양자화 블록을 생성하는 방법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7009899A KR20140071430A (ko) 2011-11-04 2012-11-02 영상 복호화 장치

Country Status (19)

Country Link
US (6) US8989258B2 (ko)
EP (6) EP3579556B1 (ko)
JP (5) JP5792396B2 (ko)
KR (6) KR20130049524A (ko)
CN (13) CN106060542B (ko)
CY (1) CY1120151T1 (ko)
DK (1) DK2752004T3 (ko)
ES (5) ES2870799T3 (ko)
HK (2) HK1214700A1 (ko)
HR (1) HRP20180864T1 (ko)
HU (5) HUE037573T2 (ko)
LT (1) LT2752004T (ko)
NO (1) NO2752004T3 (ko)
PL (5) PL3579556T3 (ko)
PT (1) PT2752004T (ko)
RS (1) RS57159B1 (ko)
SI (1) SI2752004T1 (ko)
TW (7) TW202339499A (ko)
WO (1) WO2013064098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107999A1 (ko) * 2017-11-30 2019-06-06 엘지전자 주식회사 비디오 신호의 처리 방법 및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284072B2 (en) 2010-08-17 2022-03-22 M&K Holdings Inc. Apparatus for decoding an image
SI3125552T1 (en) * 2010-08-17 2018-07-31 M&K Holdings Inc. Procedure for restoring the internal predictive mode
WO2013047805A1 (ja) 2011-09-29 2013-04-04 シャープ株式会社 画像復号装置、画像復号方法および画像符号化装置
CN103828364B (zh) 2011-09-29 2018-06-12 夏普株式会社 图像解码装置、图像解码方法及图像编码装置
KR20130049524A (ko) * 2011-11-04 2013-05-14 오수미 인트라 예측 블록 생성 방법
KR20130049522A (ko) * 2011-11-04 2013-05-14 오수미 인트라 예측 블록 생성 방법
KR20130049525A (ko) 2011-11-04 2013-05-14 오수미 잔차 블록 복원을 위한 역변환 방법
KR20130050407A (ko) 2011-11-07 2013-05-16 오수미 인터 모드에서의 움직임 정보 생성 방법
AU2012200319B2 (en) * 2012-01-19 2015-11-26 Canon Kabushiki Kaisha Method, apparatus and system for encoding and decoding the significance map for residual coefficients of a transform unit
AU2012200345B2 (en) 2012-01-20 2014-05-01 Canon Kabushiki Kaisha Method, apparatus and system for encoding and decoding the significance map residual coefficients of a transform unit
EP4216546A1 (en) 2012-06-29 2023-07-26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Method for encoding/decoding images
FR3012714A1 (fr) * 2013-10-25 2015-05-01 Orange Procede de codage et de decodage d'images, dispositif de codage et de decodage d'images et programmes d'ordinateur correspondants
FR3014278A1 (fr) * 2013-11-29 2015-06-05 Orange Procede de codage et de decodage d'images, dispositif de codage et de decodage d'images et programmes d'ordinateur correspondants
CN105611301B (zh) * 2015-12-23 2019-01-18 四川大学 基于小波域残差的分布式视频编解码方法
EP4072141A1 (en) 2016-03-24 2022-10-12 Intellectual Discovery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encoding/decoding video signal
CN113810706A (zh) * 2016-04-29 2021-12-17 世宗大学校产学协力团 用于对图像信号进行编码和解码的方法和装置
KR102378803B1 (ko) * 2016-06-17 2022-03-25 세종대학교산학협력단 비디오 신호의 복호화 방법 및 이의 장치
KR102523384B1 (ko) * 2016-06-17 2023-04-20 세종대학교 산학협력단 비디오 신호의 복호화 방법 및 이의 장치
EP3264763A1 (en) 2016-06-29 2018-01-03 Thomson Licensing Method and apparatus for improved significance flag coding using simple local predictor
US10778976B2 (en) * 2016-09-28 2020-09-15 Sharp Kabushiki Kaisha Image decoding apparatus and image coding apparatus
US10880564B2 (en) * 2016-10-01 2020-12-29 Qualcomm Incorporated Transform selection for video coding
CN109479144A (zh) * 2016-10-13 2019-03-15 富士通株式会社 图像编码/解码方法、装置以及图像处理设备
US20190313102A1 (en) * 2016-11-28 2019-10-10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Method and apparatus for encoding/decoding image, and recording medium in which bit stream is stored
CN106851274B (zh) * 2017-03-31 2019-08-06 北京奇艺世纪科技有限公司 差分量化参数的确定方法、确定系统及视频编码器
US10506196B2 (en) * 2017-04-01 2019-12-10 Intel Corporation 360 neighbor-based quality selector, range adjuster, viewport manager, and motion estimator for graphics
EP3609183B1 (en) * 2017-04-13 2023-05-03 LG Electronics Inc. Image encoding/decoding method and device therefor
JP7293189B2 (ja) * 2017-07-24 2023-06-19 アリス エンタープライジズ エルエルシー イントラモードjvetコーディング
CN111095924B (zh) * 2017-12-28 2022-09-13 松下电器(美国)知识产权公司 编码装置、解码装置、编码方法和解码方法
CN112262576A (zh) 2018-06-11 2021-01-22 光云大学校产学协力团 残差系数编码/解码方法和装置
KR102030384B1 (ko) 2018-06-19 2019-11-08 광운대학교 산학협력단 잔차 계수 부호화/복호화 방법 및 장치
CN112806003B (zh) * 2018-09-06 2024-02-13 Lg 电子株式会社 使用mpm列表的基于帧内预测的图像编码方法及其装置
CA3113369A1 (en) * 2018-09-19 2020-03-26 Huawei Technologie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predicting most probable intra-modes
CN117915085A (zh) 2018-10-07 2024-04-19 三星电子株式会社 用于编码或解码视频信号的视频信号处理方法和设备
CN117061740A (zh) 2018-10-12 2023-11-14 三星电子株式会社 通过使用交叉分量线性模型来处理视频信号的方法和设备
CN111225206B (zh) * 2018-11-23 2021-10-26 华为技术有限公司 视频解码方法和视频解码器
KR20210090709A (ko) * 2019-01-08 2021-07-20 엘지전자 주식회사 Mpm 리스트를 사용하는 인트라 예측 기반 영상 코딩 방법 및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5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S2190935T3 (es) * 1996-05-28 2003-09-01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Procedimiento y dispositivo de anticipacion y de codificado/descodificado de imagen.
KR100341063B1 (ko) * 2000-06-28 2002-06-20 송문섭 실시간 영상 통신을 위한 율제어 장치 및 그 방법
US6859815B2 (en) * 2000-12-19 2005-02-22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Approximate inverse discrete cosine transform for scalable computation complexity video and still image decoding
JP4571489B2 (ja) * 2002-04-23 2010-10-27 ノキア コーポレイション ビデオ符号化システムにおける量子化器パラメータを表示するための方法および装置
US7289674B2 (en) * 2002-06-11 2007-10-30 Nokia Corporation Spatial prediction based intra coding
CN100584013C (zh) * 2005-01-07 2010-01-20 日本电信电话株式会社 视频编码方法及装置、视频解码方法及装置
CN100348051C (zh) * 2005-03-31 2007-11-07 华中科技大学 一种增强型帧内预测模式编码方法
EP1727371A1 (en) * 2005-05-27 2006-11-29 Thomson Licensing Method for controlling the encoder output bit rate in a block-based video encoder, and corresponding video encoder apparatus
US7961783B2 (en) * 2005-07-07 2011-06-14 Mediatek Incorporation Methods and systems for rate control in video encoder
KR100678911B1 (ko) * 2005-07-21 2007-02-05 삼성전자주식회사 방향적 인트라 예측의 적용을 확장하여 비디오 신호를인코딩하고 디코딩하는 방법 및 장치
JP4546356B2 (ja) * 2005-08-31 2010-09-15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プログラム、画像形成システム
US7782955B2 (en) * 2005-09-28 2010-08-24 Avisonic Technology Corporation Transcoder and transcoding method operating in a transform domain for video coding schemes possessing different transform kernels
CN101133649B (zh) * 2005-12-07 2010-08-25 索尼株式会社 编码装置、编码方法以及解码装置、解码方法
US8451899B2 (en) * 2006-01-09 2013-05-28 Lg Electronics Inc. Inter-layer prediction method for video signal
WO2008020672A1 (en) * 2006-08-17 2008-02-21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Apparatus for encoding and decoding image using adaptive dct coefficient scanning based on pixel similarity and method therefor
KR100927733B1 (ko) * 2006-09-20 2009-11-18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잔여계수의 상관성에 따라 변환기를 선택적으로 이용한부호화/복호화 장치 및 그 방법
US8355438B2 (en) * 2006-10-30 2013-01-15 Nippon Telegraph And Telephone Corporation Predicted reference information generating method, video encoding and decoding methods, apparatuses therefor, programs therefor, and storage media which store the programs
US20100118940A1 (en) * 2007-04-19 2010-05-13 Peng Yin Adaptive reference picture data generation for intra prediction
US8571104B2 (en) * 2007-06-15 2013-10-29 Qualcomm, Incorporated Adaptive coefficient scanning in video coding
JP2009033427A (ja) * 2007-07-26 2009-02-12 Ricoh Co Ltd 画像処理装置及び画像処理方法
TW200910971A (en) * 2007-08-22 2009-03-01 Univ Nat Cheng Kung Direction detection algorithms for H.264 intra prediction
US8160141B2 (en) * 2008-03-17 2012-04-17 Sony Corporation Advanced video coded pictures—reduced cost computation of an intra mode decision in the frequency domain
JP2009302776A (ja) 2008-06-11 2009-12-24 Canon Inc 画像符号化装置、その制御方法、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CN101668202A (zh) * 2008-09-01 2010-03-10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帧内预测模式的选择方法和装置
KR101306834B1 (ko) * 2008-09-22 2013-09-10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인트라 예측 모드의 예측 가능성을 이용한 영상 부호화/복호화 장치 및 방법
CN101394565B (zh) * 2008-10-20 2011-08-17 成都九洲电子信息系统有限责任公司 一种帧内预测方法
CN101489129A (zh) * 2009-01-19 2009-07-22 山东大学 一种实现高速二维离散余弦变换的集成电路及方法
BRPI1015982A2 (pt) * 2009-06-19 2016-04-19 Mitsubishi Eletric Corp dispositivos e métodos de codificação de imagem e de decodificação de imagem.
KR101507344B1 (ko) * 2009-08-21 2015-03-31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가변 길이 부호를 이용한 인트라 예측모드 부호화 방법과 장치, 및 이를 위한기록 매체
WO2011121715A1 (ja) * 2010-03-30 2011-10-06 株式会社 東芝 画像復号化方法
US8929440B2 (en) * 2010-04-09 2015-01-06 Sony Corporation QP adaptive coefficients scanning and application
CN101841711B (zh) * 2010-04-17 2012-01-04 上海交通大学 用于视频解码的反量化装置及其实现方法
US8902978B2 (en) * 2010-05-30 2014-12-02 Lg Electronics Inc. Enhanced intra prediction mode signaling
KR101373814B1 (ko) * 2010-07-31 2014-03-18 엠앤케이홀딩스 주식회사 예측 블록 생성 장치
SI3125552T1 (en) * 2010-08-17 2018-07-31 M&K Holdings Inc. Procedure for restoring the internal predictive mode
US9025661B2 (en) * 2010-10-01 2015-05-05 Qualcomm Incorporated Indicating intra-prediction mode selection for video coding
US20120082235A1 (en) * 2010-10-05 2012-04-05 General Instrument Corporation Coding and decoding utilizing context model selection with adaptive scan pattern
CN102006481B (zh) * 2010-12-17 2012-10-10 武汉大学 基于块特征的快速帧内预测模式选择方法
US9049444B2 (en) * 2010-12-22 2015-06-02 Qualcomm Incorporated Mode dependent scanning of coefficients of a block of video data
US10992958B2 (en) * 2010-12-29 2021-04-27 Qualcomm Incorporated Video coding using mapped transforms and scanning modes
US9667987B2 (en) 2011-03-10 2017-05-30 Futurewei Technologies, Inc. Using multiple prediction sets to encode extended unified directional intra mode numbers for robustness
US9654785B2 (en) * 2011-06-09 2017-05-16 Qualcomm Incorporated Enhanced intra-prediction mode signaling for video coding using neighboring mode
GB2494468B (en) 2011-09-12 2014-01-15 Canon Kk Method and device for encoding or decoding information representing prediction modes
US9363511B2 (en) 2011-09-13 2016-06-07 Mediatek Singapore Pte.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Intra mode coding in HEVC
EP2764694A4 (en) 2011-10-07 2015-11-25 Pantech Co Ltd METHODS AND APPARATUSES FOR INTRA PREDICTION MODE CODING AND DECODING USING INTRA CANDIDATE PREDICTION MODES
KR20130049524A (ko) * 2011-11-04 2013-05-14 오수미 인트라 예측 블록 생성 방법
KR20130050405A (ko) * 2011-11-07 2013-05-16 오수미 인터 모드에서의 시간 후보자 결정방법
KR20130050407A (ko) * 2011-11-07 2013-05-16 오수미 인터 모드에서의 움직임 정보 생성 방법
KR20130050404A (ko) * 2011-11-07 2013-05-16 오수미 인터 모드에서의 복원 블록 생성 방법
KR20130058524A (ko) * 2011-11-25 2013-06-04 오수미 색차 인트라 예측 블록 생성 방법
AR092786A1 (es) * 2012-01-09 2015-05-06 Jang Min Metodos para eliminar artefactos de bloque
RU2686007C2 (ru) * 2012-01-17 2019-04-23 Инфобридж Пте. Лтд. Способ применения краевого смещения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107999A1 (ko) * 2017-11-30 2019-06-06 엘지전자 주식회사 비디오 신호의 처리 방법 및 장치
US11140415B2 (en) 2017-11-30 2021-10-05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device for processing video signa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LT2752004T (lt) 2018-05-25
CN106067972A (zh) 2016-11-02
PL3343915T3 (pl) 2020-04-30
HUE054134T2 (hu) 2021-08-30
CN106254880A (zh) 2016-12-21
TW202147838A (zh) 2021-12-16
CN106060552B (zh) 2019-07-26
KR20130049524A (ko) 2013-05-14
TW201320763A (zh) 2013-05-16
US9621893B2 (en) 2017-04-11
TW202032980A (zh) 2020-09-01
JP6101752B2 (ja) 2017-03-22
CN106231316B (zh) 2020-01-17
JP2016001902A (ja) 2016-01-07
EP3579555B1 (en) 2021-02-17
CY1120151T1 (el) 2018-12-12
WO2013064098A1 (en) 2013-05-10
TW201904289A (zh) 2019-01-16
TWI808481B (zh) 2023-07-11
HUE045885T2 (hu) 2020-01-28
CN103096068B (zh) 2016-07-06
DK2752004T3 (en) 2018-05-28
JP5792396B2 (ja) 2015-10-14
CN106060542B (zh) 2020-09-15
US9357216B2 (en) 2016-05-31
TW201639361A (zh) 2016-11-01
CN106254880B (zh) 2019-12-20
PL3579554T3 (pl) 2021-08-02
US9332263B2 (en) 2016-05-03
EP3343915A1 (en) 2018-07-04
CN106060543B (zh) 2019-04-09
CN106231316A (zh) 2016-12-14
CN104954790B (zh) 2018-06-15
CN104954790A (zh) 2015-09-30
HRP20180864T1 (hr) 2018-07-13
PL3579555T3 (pl) 2021-08-02
JP2016007016A (ja) 2016-01-14
US20150156492A1 (en) 2015-06-04
CN105007485B (zh) 2018-06-15
ES2870374T3 (es) 2021-10-26
HK1214702A1 (zh) 2016-07-29
US8989258B2 (en) 2015-03-24
US20170180731A1 (en) 2017-06-22
JP6101754B2 (ja) 2017-03-22
CN106060552A (zh) 2016-10-26
HUE054168T2 (hu) 2021-08-30
CN106060542A (zh) 2016-10-26
KR20140071428A (ko) 2014-06-11
RS57159B1 (sr) 2018-07-31
KR101472971B1 (ko) 2014-12-19
US10205947B2 (en) 2019-02-12
PL3579556T3 (pl) 2021-08-23
US20150163487A1 (en) 2015-06-11
EP3579556A1 (en) 2019-12-11
CN103096068A (zh) 2013-05-08
SI2752004T1 (en) 2018-05-31
JP2014534750A (ja) 2014-12-18
HUE037573T2 (hu) 2018-09-28
CN106060541B (zh) 2020-02-04
CN105007485A (zh) 2015-10-28
EP3579556B1 (en) 2021-02-17
JP2016001901A (ja) 2016-01-07
ES2870375T3 (es) 2021-10-26
EP3800887A1 (en) 2021-04-07
JP2016007017A (ja) 2016-01-14
EP3343915B1 (en) 2019-07-31
EP3579554B1 (en) 2021-02-17
ES2748233T3 (es) 2020-03-16
CN106254882B (zh) 2019-10-15
KR20140074346A (ko) 2014-06-17
HUE054166T2 (hu) 2021-08-30
EP2752004A4 (en) 2015-06-03
EP3579554A1 (en) 2019-12-11
US20140269908A1 (en) 2014-09-18
NO2752004T3 (ko) 2018-08-18
KR20140071429A (ko) 2014-06-11
TW201804795A (zh) 2018-02-01
KR20140071430A (ko) 2014-06-11
CN106254882A (zh) 2016-12-21
CN106060541A (zh) 2016-10-26
ES2670014T3 (es) 2018-05-29
CN106254881A (zh) 2016-12-21
US20150156488A1 (en) 2015-06-04
US20150156491A1 (en) 2015-06-04
TWI555385B (zh) 2016-10-21
US9325994B2 (en) 2016-04-26
TWI608727B (zh) 2017-12-11
TWI742665B (zh) 2021-10-11
CN106060543A (zh) 2016-10-26
EP2752004A1 (en) 2014-07-09
CN106060551A (zh) 2016-10-26
CN106067972B (zh) 2020-02-07
JP6101755B2 (ja) 2017-03-22
PL2752004T3 (pl) 2018-08-31
HK1214700A1 (zh) 2016-07-29
PT2752004T (pt) 2018-05-16
CN106254881B (zh) 2020-01-03
CN106060551B (zh) 2019-06-14
EP3579555A1 (en) 2019-12-11
EP2752004B1 (en) 2018-03-21
JP6101753B2 (ja) 2017-03-22
TWI644563B (zh) 2018-12-11
ES2870799T3 (es) 2021-10-27
TW202339499A (zh) 2023-10-01
TWI697230B (zh) 2020-06-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72971B1 (ko) 양자화 블록을 생성하는 방법
KR101472974B1 (ko) 양자화 블록 역양자화 방법
KR101452195B1 (ko) 인트라 예측 모드를 유도하는 방법 및 장치
TWI809520B (zh) 圖像編碼方法及圖像解碼方法
KR20140066760A (ko) 영상 복호화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WITB Written withdrawal of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