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73803A - Led 광원을 이용한 꽃송이 버섯의 균사 배양 방법 - Google Patents

Led 광원을 이용한 꽃송이 버섯의 균사 배양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73803A
KR20140073803A KR1020120141685A KR20120141685A KR20140073803A KR 20140073803 A KR20140073803 A KR 20140073803A KR 1020120141685 A KR1020120141685 A KR 1020120141685A KR 20120141685 A KR20120141685 A KR 20120141685A KR 20140073803 A KR20140073803 A KR 2014007380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dge
average
led light
light source
cul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416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38393B1 (ko
Inventor
오득실
김강웅
위안진
Original Assignee
(주)티앤아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티앤아이 filed Critical (주)티앤아이
Priority to KR10201201416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38393B1/ko
Publication of KR201400738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7380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383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3839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1/00Microorganisms, e.g. protozoa;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opagating, maintaining or preserving microorganisms or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eparing or isolating a composition containing a microorganism; Culture media therefor
    • C12N1/14Fungi; Culture media therefor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Biotechn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Zoolog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Botany (AREA)
  • Mycology (AREA)
  • Virology (AREA)
  • Tropical Medicine & Parasitolog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Cultivation Of Plants (AREA)
  • Micro-Organisms Or Cultivation Processes Thereof (AREA)
  • Mushroom Cultiv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꽃송이 버섯의 균사 배양 방법에 대한 것으로서 특히 LED 광원을 이용하여 상기 균사를 인공적으로 배양하여 종래보다 대량생산이 가능함은 물론 푸른 곰팡이의 번식을 방지할 수 있어 고 품질의 꽃송이 버섯을 인공 재배할 수 있는 LED광원을 이용한 꽃송이 버섯의 균사 배양 방법에 대한 것이다.

Description

LED 광원을 이용한 꽃송이 버섯의 균사 배양 방법{Method of Sparassis crispa hypa cultivating by LED light}
본 발명은 꽃송이 버섯의 균사 배양 방법에 대한 것으로서 특히 LED광원에 의해 상기 균사를 인공적으로 배양하여 종래보다 대량생산이 가능함은 물론 푸른 곰팡이의 번식을 방지할 수 있어 고 품질의 꽃송이 버섯을 인공 재배할 수 있는 LED 광원을 이용한 꽃송이 버섯의 균사 배양 방법에 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꽃송이 버섯이라고 하는 것은 학명이 Sparassis crispa인 버섯의 일종으로서, 여름에서 가을 사이에 살아 있는 나무의 뿌리 근처, 죽은 줄기, 그루터기 등에 뭉쳐서 나며 부생생활을 하는 것을 말한다.
이러한 꽃송이버섯이 단순히 식용버섯으로서의 한계를 넘어 암을 이기는
약용버섯으로서의 가치를 인정받고 관심을 대상이 된 것은 약용버섯으로서는 일본 동경대 약학대 야도마에(宿前利郞) 명예교수와 오노(大野尙仁)교수의 꽃송이버섯 베타글루칸의 규명과 항암 면역활성에 대한 연구의 결과라고 할 수 있다.
특히 2003년 10월 제61회 일본 암학회총회에서 말기암 환자 14명을 대상으로 한 임상실험에서 9명이 완치에 가까운 증상개선 및 상태호전을 보였다는 결과가 발표(Immuno modulating Activity of a beta-Glucan Preparation,SCG, Extracted from a Culinary Medicinal Mushroom, Sparassis crispa Wulf.: Fr.,and Application to Cancer Patients; International Journal of MedicinalMushrooms 2003)되면서 꽃송이버섯 함유 베타(1-3)글루칸은 일본에서 항암 면역요법의 새로운 천연물질로 각광을 받게 되었다.
그러나, 꽃송이버섯에 대한 연구와 재배는 거의 초보적인 수준에 머물러 있는 상황이다. 특히 시장 활성화에 따라 여러 농가와 연구소에서 재배 시도가 이루어지고 있지만, 꽃송이버섯의 까다로운 배양 조건 등 기초연구의 한계와 푸른 곰팡이균 등의 오염문제로 실패해 온 것이 사실이다.
최근에는 LED를 이용하여 버섯을 대량으로 재배하는 기술이 제안되고 있으나, 꽃송이 버섯에 대한 재배 방법은 아직 제안되지 않고 있다.
상기 LED라고 하는 것은 널리 알려진 바와 같이 전도물질에 전류가 통과하면 전자와 정공이라고 불리는 플러스 전하입자가 전극 중앙에서 결합해 빛의 광자를 발산하는 것을 말하며 상기 전도물질의 특성에 따라 빛의 색깔이 달라지는 것을 말한다. 이러한 LED는 전력 소모가 적고 내구성이 뛰어나서 대체광원 또는 보광용으로 최근 야채 등의 재배에 널리 사용되고 있고, 느타리 버섯 등에 적용된 사례가 확인되고 있으나, 꽃송이 버섯에 적용되어 인공 재배에 성공한 사례는 아직 확인되지 않고 있다.
예를 들어 한국등록특허 제1168747호에서는 LED 조명을 이용하여 에르고스테롤 함량이 증가된 느타리 버섯을 재배하는 방법이 개시된다. 그런데, 상기 한국등록특허 제1168747호에서는 청색광을 이용하여 생육단계 또는 발아유도 단계에서 느타리 버섯을 재배하는 내용만 개시되어 있으며, 꽃송이 버섯에 대한 내용은 기재되어 있지 않으며, 꽃송이 버섯 재배시 통상 수반되는 푸른 곰팡이를 방지하는 방법에 대한 내용도 개시되지 않고 있다.
또한, 일본공개특허 제2008-173041호에서는 다양한 파장을 가지는 광원을 이용하여 버섯을 재배하는 방법이 개시되고 있으나, 꽃송이 버섯에 대한 기재는 없으며, 상술한 바와 같이 푸른 곰팡이의 방지 방법에 대한 기재도 없다. 이는 일본공개특허 2008-301706호의 경우도 동일하다.
한편, 꽃송이 버섯을 재배하는 방법으로서는 한국등록특허 제449947호에 나타난 바와 같이 낙엽송과 활엽수를 혼합한 배지에 활성탄 및 활성칼슘을 첨가하고,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질소원(영양체)을 첨가해서, 그 배지를 고온고압으로 살균한 후, 꽃송이버섯 균사를 배양할 때의 배양온도 변화를 이용한 꽃송이버섯의 인공재배법이 제안되고 있으며, 상술한 바와 같이 LED를 이용한 기술에 대해서는 기재되어 있지 않다.
또한, 한국등록특허 제474979호에서는 물에 탄소원, 질소원, 무기염류 및 수소이온농도 조정제를 첨가하여 액체 배지를 형성하는 액체 배지 제조 과정과, 상기 액체 배지 제조 과정에서 제조된 액체 배지에 꽃송이버섯의 종균을 접종하는 종균 접종 과정과, 상기 종균 접종 과정에 의해 종균이 접종된 액체 배지에 진탕 또는 환기에 의해 산소를 공급하면서 종균을 배양시키는 배양 과정과, 상기 배양 과정에 의해 액체 배지에 만연한 균사체를 여과하여 집균하는 집균 과정과, 상기 집균 과정에 의해 집균된 균사체를 물로 세척한 후 송풍 건조시키는 건조 과정을 포함하는 꽃송이버섯 균사체의 배양 방법에 대해서는 기재되어 있으나, 상술한 바와 같이 상술한 바와 같이 LED를 이용한 기술에 대해서는 기재되어 있지 않다.
또한, 미국등록특허 제6212822호에서는 잎갈나무 톱밥과 칩을 이용하여 꽃송이 버섯을 재배하는 방법에 대해서는 기재되어 있으나, 상술한 바와 같이 LED를 이용한 기술에 대해서는 기재되어 있지 않다.
한편, 꽃송이 버섯 재배와 관련된 논문의 경우 “꽃송이 버섯 단기 대량생산 체계 확립 및 효소처리를 통한 면역물질 활성화 연구”(농림부 최종 보고서, 2004년 10월)에서는 균사를 배양하기 위한 배지의 pH나 온도 또는 영양제로서 종합 미네랄을 소정의 농도로 조제하여 재배하는 기술은 게재되어 있으나 상술한 바와 같이 LED를 이용하여 재배하는 기술에 대해서는 언급되어 있지 않다.
또한, “식용 및 약용 버섯의 생육 단계별 최적 조건 규명 및 공기 제어 장치 개발”(농림부 최종 보고서 2008년 4월 24일, ㈜바이오텔 주관)에서는 낙엽송과 미송 톱밥을 이용하되 물엿과 비트, 면실박을 첨가물로 사용하여 생장시키는 기술은 게재되어 있지만, LED를 이용하는 기술은 언급되어 있지 않다.
또한, 한국균학회에서 발간된 논문 “꽃송이 버섯의 균사 생장을 최적 요인”에서도 20도씨의 온도와 pH 4의 조건에서 생장이 양호함을 밝히고 있을 뿐 LED를 이용할 수 있는 기술에 대해서는 기재되어 있지 않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꽃송이 버섯의 대량 재배의 필요성은 증대되어 가고 있지만 최근 기술은 배지 조건이나 생장 조건에 초점이 맞추어져 있고 LED를 이용한 대량 재배 기술에 대해서는 아직 개발이 이루어지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한국등록특허 제0549526호 한국등록특허 제1168747호 일본공개특허 제2005-073514호 일본공개특허 제2008-173041호 일본공개특허 제2008-301706호 미국등록특허 제6212822호
꽃송이 버섯 단기 대량생산 체계 확립 및 효소처리를 통한 면역물질 활성화 연구(농림부 제출 최종 보고서 2004년10월 제출, 주관 연구기관 : 하나바이오텍, 협동연구기관 : 농진청 한국 농전, 충남대 약학대학) 식용 및 약용 버섯의 생육 단계별 최적 조건 규명 및 공기 제어 장치 개발(농림부 최종 보고서 2008년 4월 24일 제출, 주관 연구기관 ㈜바이오텔, 위탁연구기관 : 한국농업대학) 꽃송이 버섯의 균사 생장 최적 요인(한국균사학회 1988 3월 Vol. 26, No. 1, p39-46)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꽃송이 버섯의 균사를 배양하기 위해 접종된 균사에 LED광원을 조사하여 대량으로 재배할 수 있음은 물론 푸른 곰팡이의 번식을 방지하여 고 품질의 꽃송이 버섯을 재배할 수 있는 방법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꽃송이 버섯의 균사를 접종하여 배양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접종된 균사에 LED광원을 조사하여 상기 균사를 배양하는 LED광원을 이용한 꽃송이 버섯의 균사 배양 방법에 일 특징이 있다.
이때, 상기 LED광원은 520nm 내지 690nm의 파장, 바람직하기로는 620nm 내지 680nm의 파장을 가지는 적색광을 이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상기 적색 LED광의 광도는 4umol/m2s 내지 20umol/m2s, 바람직하기로는 20umol/m2s일 수 있다.
본 발명의 특징 및 이점들은 첨부도면에 의거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으로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고 사전적인 의미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가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라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해 대량 생산이 가능하고 푸른 곰팡이의 번식을 방지할 수 있어 고 품질의 꽃송이 버섯을 재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LED배양 방법을 실험하기 위한 장치를 촬영한 사진,
도 2는 본 발명의 LED배양 방법을 실험하기 위해 균주가 접종되어 있는 시험관을 촬영한 사진이다.
본 발명의 목적, 특정한 장점들 및 신규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들과 연관되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바람직한 실시예들로부터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각 도면의 구성요소에 참조번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번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제1", "제2", "일면", "타면"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서, 구성요소가 상기 용어들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관련된 공지기술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첨부된 도 1은 본 발명의 LED배양 방법을 실험하기 위한 장치를 촬영한 사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LED배양 방법을 실험하기 위해 균주가 접종되어 있는 시험관을 촬영한 사진이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이 꽃송이 버섯의 균사를 접종하여 배양하는 방법으로서, 이를 위해 상기 접종된 균사에 LED광을 조사하여 상기 균사를 배양하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와 비교예를 대비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상기 실시예의 경우 LED광으로서 520nm 내지 690nm의 파장을 가지는 광원을 사용하였으며, 비교예로서 녹색과 백색광을 사용하였으며, 대조구로 암배양 상태를 비교하였으며, 균사의 생장은 암배양을 위한 암실에서 상기 각 LED광을 조사하였다.
즉, 도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암실에 상기 비교예와 실시예에 해당하는LED광원을 조사하는 LED장치에 꽃송이 버섯 균사를 접종한 패트리디쉬를 각각 6개씩 배치하였으며, 대조구인 암배양 상태에도 꽃송이버섯 균사를 접종한 패트리디쉬 6개를 배치하였다. 다만 상기 도 1은 (청색광은 1차 실험에서 곰팡이 균의 생장이 빠름에 따라 제외하고) 본 실험 조건을 촬영하기 위해 조명을 켠 상태임을 밝혀둔다.
또한, 상기 실시예의 경우 520nm, 660m, 690nm의 파장대별로 측정하여 평균한 것이다.
아래의 표1은 상기 실시예와 비교예를 대비하기 위해 배양 14일 후 1차 측정이며, 표3은 배양 28일 후 측정한 데이터를 나타낸 것이고, 표4는 35일 후 측정한 데이터를 나타낸 것이 표4이다.
또한, 아래의 표에서 균사배양 정도는 균사의 크기(단위 cm)로서 측정하였으며, X는 배지의 가로방향으로 측정한 균사의 크기이고 Y는 세로방향의 크기이다.

균주명

비교예1(녹색광LED)

비교예2(백색광)
배지1 배지2 배지3 평균 배지1 배지2 배지3 평균
JF02-
06
X(cm) 2.1 2.3 2.2 2.2 2.0 2.5 2.8 2.4
Y(cm) 2.7 2.4 2.2 2.4 2.3 2.5 2.7 2.5
평균 2.4 2.35 2.2 2.3 2.15 2.5 2.75 2.5
표준편차 0.060 0.174

균주명

실시예

비교예3(암배양)
배지1 배지2 배지3 평균 배지1 배지2 배지3 평균
JF02-
06
X(cm) 3.3 3.2 3.0 3.2 1.9 2.2 3.0 2.4
Y(cm) 3.3 3.3 3.3 3.3 2.1 2.2 3.1 2.5
평균 3.3 3.25 3.15 3.2 2.0 2.2 3.05 2.4
표준편차 0.044 0.321
상기 표1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균사 접종 후 14일 배양하여 측정한 결과 균사에 LED광원을 조사하여 상기 균사를 배양하는 것이 가능함을 알 수 있다. 특히 520nm 내지 690nm의 파장을 가지는 실시예의 광원에 의해 배양된 균사의 크기가 평균 3.2 cm 내지 3.3 cm로서 타 광원 즉, 백색광의 경우보다 크며 암배양의 경우보다 큰 것을 알 수 있다.
다시 말해서 균사에 LED광원을 조사하여 상기 균사를 배양하는 것이 가능하며, 특히 상기 520nm 내지 690nm의 파장을 가지는 LED광원에 의해 꽃송이 버섯의 균사가 제일 빠르게 생장함을 알 수 있다.

균주명

비교예1(녹색광LED)

비교예2(백색광)
배지1 배지2 배지3 평균 배지1 배지2 배지3 평균
JF02-
06
X(cm) 4.5 4.9 3.7 4.4 3.2 2.9 4.5 3.5
Y(cm) 4.8 4.7 3.9 4.5 3.5 3.2 4.6 3.8
평균 4.65 4.8 3.8 4.4 3.35 3.05 4.55 3.7
표준편차 0.311 0.458

균주명

실시예

비교예3(암배양)
배지1 배지2 배지3 평균 배지1 배지2 배지3 평균
JF02-
06
X(cm) 5.3 5.3 5.4 5.3 4.9 5.2 4.8 5.0
Y(cm) 5.4 5.4 5.3 5.4 5.0 5.2 5.1 5.1
평균 5.35 5.35 5.35 5.4 4.95 5.2 4.95 5.0
표준편차 0 0.083
상기 표2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균사 접종 후 21일 배양하여 측정한 결과 균사에 LED광원을 조사하여 상기 균사를 배양하는 것이 가능함을 알 수 있다. 특히 520nm 내지 690nm의 파장을 가지는 LED광원에 의해 배양된 균사의 크기가 평균 5.4 cm로써, 타 광원 즉, 백색광의 경우보다 크며 암배양의 경우보다 큰 것을 알 수 있다.

균주명

비교예1(녹색광LED)

비교예2(백색광)
배지1 배지2 배지3 평균 배지1 배지2 배지3 평균
JF02-
06
X(cm) 6.8 오염 5.9 6.4 4.1 오염 6.5 5.3
Y(cm) 6.6 오염 5.9 6.3 4.6 오염 6.5 5.6
평균 6.7 - 5.9 6.3 4.35 - 6.5 5.4
표준편차 - -

균주명

실시예

비교예3(암배양)
배지1 배지2 배지3 평균 배지1 배지2 배지3 평균
JF02-06 X(cm) 7.5 7.7 7.6 7.6 7.1 6.0 6.9 6.7
Y(cm) 7.7 7.7 7.4 7.6 7.2 6.8 7.3 7.1
평균 7.6 7.7 7.5 7.6 7.15 6.4 7.1 6.9
표준편차 0.057 0.242
상기 표3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균사 접종 후 28일 배양하여 측정한 결과 균사에 LED광원을 조사하여 상기 균사를 배양하는 것이 가능함을 알 수 있다. 특히, 520nm 내지 690nm의 파장을 가지는 LED광원에 의해 배양된 균사의 크기가 평균 7.6 cm로서, 타 광원 즉, 백색광의 경우보다 크며 암배양의 경우보다 큰 것을 알 수 있다
특히 상기 녹색광이나 백색광의 경우 3개의 배지 중 1개의 배지에서 푸른 곰팡이에 오염이 되어 측정이 불가능한 현상이 발생하였으나, 본 실시예의 경우는 푸른 곰팡이의 번식이 억제됨을 알 수 있다.

균주명

비교예1(녹색광LED)

비교예2(백색광)
배지1 배지2 배지3 평균 배지1 배지2 배지3 평균
JF02-
06
X(cm) 오염 오염 7.4 7.4 오염 오염 오염 오염
Y(cm) 오염 오염 7.4 7.4 오염 오염 오염 오염
평균 - - 7.4 7.4 - - - -
표준편차 - -

균주명

실시예

비교예3(암배양)
배지1 배지2 배지3 평균 배지1 배지2 배지3 평균
JF02-
06
X(cm) 완료 완료 완료 - 완료 오염 완료 6.7
Y(cm) 완료 완료 완료 - 완료 오염 완료 7.1
평균 - - - - - - - -
표준편차 - -
상기 표4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균사 접종 후 35일 배양하여 측정한 결과 균사에 LED광원을 조사하여 상기 균사를 배양하는 것이 가능함을 알 수 있다. 특히, 520nm 내지 690nm의 파장을 가지는 LED광원에 의해 배양된 균사는 푸른 곰팡이의 오염 없이 생장이 완료되었다. 그러나 녹색광의 경우 3개의 배지 중 2개의 배지가 푸른 곰팡이의 번식으로 오염되었으며 나머지 하나의 배지의 경우 생장이 완료되지 못하였다.
한편, 백색광의 경우 3개의 배지가 모두 푸른 곰팡이에 오염되었으며, 대조구인 암배양의 경우 1개의 배지가 오염되었음을 알 수 있다.
이상 살펴본 바와 같이 LED광원을 조사하여 꽃송이 버섯의 균사를 배양할 수 있으며, 특히 520nm 내지 690nm의 파장을 가지는 광원의 경우가 백색광보다 빠른 생장을 도모할 수 있으며 푸른 곰팡이의 번식을 억제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특히 본 실험의 경우 배양 후 35일간 반복하여 측정한 것으로서 상술한 데이터는 신뢰도가 높은 것으로 판단되며, 상기 520nm 내지 690nm의 파장을 가지는 LED광원에 의해 균사의 생장도 촉진되고 푸른 곰팡이 번식도 억제할 수 있다는 본 발명의 내용도 신뢰도가 높은 것으로 판단된다.
한편, 동일한 조건에서 광합성 광양자량 밀도(PPFD; Photosynthetic Photon Flux Density)-이하 광도라 함-가 달라지는 경우 균사의 생장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즉, 동일한 파장대를 갖는 광원을 사용하는 경우라도 광합성에 영향을 미치는 광양자량이 달라지면 균사의 생장에도 영향을 미칠 것이므로 이에 대한 검토한다.
우선 적색 LED광원의 경우 광도가 4.08umol/m2s인 경우(이하 RED1으로 표기), 11.54umol/m2s인 경우(이하 RED2로 표기), 20umol/m2s인 경우(이하 RED3로 표기)를 나누어 살펴보았으며, 비교예로서 청색광(이하 BLUE로 표기)과 혼합광(청색광+적색광), 그리고 암배양을 대비하였으며 패트리디쉬는 각 시험조건당 3개씩을 배치하였다.
아래의 표5는 배양 21일 후 측정한 것이고, 표6은 배양 28일 후 측정한 것이며, 표7은 배양 32일 후 측정한 것으로서 아래의 표에 나타나 있는 X,Y의 의미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다.

균주명

실시예1(RED1)

실시예2(RED2)
배지1 배지2 배지3 평균 배지1 배지2 배지3 평균
JF02-
06
X(cm) 5.9 6.0 5.9 5.9 오염 5.7 6.3 6.0
Y(cm) 6.1 6.2 6.2 6.2 오염 5.8 6.4 6.1
평균 6.0 6.1 6.05 6.1 - 5.75 6.35 3.1
표준편차 -

균주명

실시예3(RED3)

비교예1(BLUE)
배지1 배지2 배지3 평균 배지1 배지2 배지3 평균
JF02-
06
X(cm) 6.4 6.5 6.2 6.4 4.0 3.6 3.8 3.8
Y(cm) 6.5 6.4 6.5 6.5 4.2 3.6 3.8 3.9
평균 6.45 6.45 6.35 6.4 4.1 3.6 3.8 3.8
표준편차 0.03 0.14

균주명

비교예2(혼합광)

비교예3(암배양)
배지1 배지2 배지3 평균 배지1 평균
JF02-
06
X(cm) 4.9 5.0 5.1 5.0 6.5 6.5
Y(cm) 5.3 5.3 5.3 5.3 6.5 6.5
평균 5.1 5.15 5.2 5.2 6.5 6.5
표준편차 0.14
상기 표5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배양 21일 후 대체로 적색광에 의해 생장된 균사가 청색이나 혼합광의 경우보다 생장이 빠름을 알 수 있으며, 적색광 중에서도 실시예3(RED3)의 경우, 즉 광도가 제일 높은 경우의 생장이 빠름을 알 수 있었다. 이는 상술한 바와 같이 적색의 파장대를 갖는 빛이 생장에 유리하며 동일 파장대에서는 광도가 높은 경우가 생장에 유리함을 알 수 있다.

균주명

실시예1(RED1)

실시예2(RED2)
배지1 배지2 배지3 평균 배지1 배지2 배지3 평균
JF02-
06
X(cm) 8.0 7.9 7.8 7.9 오염 7.1 8.0 7.6
Y(cm) 7.9 8.0 7.9 7.9 오염 7.2 7.9 7.6
평균 7.95 7.95 7.85 7.9 - 7.15 7.95 7.6
표준편차 0.03

균주명

실시예3(RED3)

비교예1(BLUE)
배지1 배지2 배지3 평균 배지1 배지2 배지3 평균
JF02-
06
X(cm) 8.2 8.2 8.2 8.2 5.2 4.9 5.0 5.0
Y(cm) 8.3 8.3 8.2 8.2 5.6 5.0 5.0 5.2
평균 8.15 8.25 8.2 8.2 5.4 4.95 5.0 5.1
표준편차 0.03 0.14

균주명

비교예2(혼합광)

비교예3(암배양)
배지1 배지2 배지3 평균 배지1 평균
JF02-
06
X(cm) 7.1 7.0 7.1 7.1 7.4 7.4
Y(cm) 7.0 7.0 7.1 7.0 7.3 7.3
평균 7.05 7.0 7.1 7.1 7.35 7.35
표준편차
상기 표6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배양 28일 후 대체로 적색광에 의해 생장된 균사가 청색이나 혼합광의 경우보다 생장이 빠름을 알 수 있으며, 적색광 중에서도 실시예3(RED3)의 경우, 즉 광도가 제일 높은 경우의 생장이 빠름을 알 수 있었다. 이는 표5에서 확인한 바와 같이 적색의 파장대를 갖는 빛이 생장에 유리하며 동일 파장대에서는 광도가 높은 경우가 생장에 유리함을 알 수 있다.

균주명

실시예1(RED1)

실시예2(RED2)
배지1 배지2 배지3 평균 배지1 배지2 배지3 평균
JF02-
06
X(cm) 완료 완료 완료 - 오염 7.6 완료 7.6
Y(cm) 완료 완료 완료 - 오염 7.7 완료 7.7
평균 - - - - - 7.65 - 7.65
표준편차

균주명

실시예3(RED3)

비교예1(BLUE)
배지1 배지2 배지3 평균 배지1 배지2 배지3 평균
JF02-
06
X(cm) 완료 완료 완료 - 5.9 5.3 5.2 5.5
Y(cm) 완료 완료 완료 - 6.1 5.4 5.7 5.7
평균 - - - - 6.0 5.35 5.45 5.6
표준편차 0.20

균주명

비교예2(혼합광)

비교예3(암배양)
배지1 배지2 배지3 평균 배지1 평균
JF02-
06
X(cm) 7.8 7.9 7.7 7.8 완료 -
Y(cm) 7.8 7.9 7.8 7.8 완료 -
평균 7.8 7.9 7.75 7.8 - -
표준편차
상기 표7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배양 32일 후 대체로 적색광에 의해 생장된 균사가 일부 푸른 곰팡이에 의해 오염이 발생하였으나 전반적으로 생장이 잘되고 생장이 완료되어, 청색이나 혼합광의 경우보다 생장이 빠름을 알 수 있으며, 적색광 중에서도 실시예3(RED3)의 경우, 즉 광도가 제일 높은 경우의 생장이 좋았음을 알 수 있었다.
이상 살펴본 바와 같이 적색광의 경우가 생장에 유리하였으며, 광도의 경우 상술한 바와 같이 광도는 4umol/m2s 내지 20umol/m2s사이의 경우가 생장에 유리하였다. 특히 상기 광도가 20umol/m2s인 경우가 생장에 제일 유리함을 알 수 있다.
특히 본 실험의 경우도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배양 후 32일간 반복하여 측정한 것으로서 신뢰도가 높은 것으로 판단되며 이에 의해 상술한 결론 역시 신뢰도가 높은 것으로 판단된다.
한편, 상기 적색의 LED광의 파장에 따라 배양 특성이 달라질 수 있으므로 이하 이에 대해 살펴본다.
우선, 상기 배양 특성을 조사하기 위해 3가지의 적색 파장대 620nm(이하 RED1이라 함), 660nm(이하 RED2라 함) 그리고 680nm(이하 RED3이라 함)인 경우를 대상으로 하는 실시예와 암배양을 비교예로서 대비하였으며, 상기 균사를 배양하기 위해 발효미송에 소맥분과 옥수수 그리고 물엿을 배합한 배지(이하 미송이라 함)와 발효낙엽송에 소맥분과 옥수수 그리고 물엿을 배합한 배지(이하 낙엽송이라 함)를 시험관에 준비하여 각각 대비하였다.
그리고 상기 적색 LED는 24시간 계속 조사하였으며 도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8개의 배지를 준비하여 균사의 크기를 측정하였으며 8개의 시험관에서 생장하는 균사를 측정하였다. 이때, 상기 측정된 균사의 크기는 높이로 나타냈으며 단위는 cm이다. 한편, 푸른 곰팡이로 오염이 발생한 경우는 이를 제외한 나머지의 높이를 측정하여 평균으로 산출하였다.
아래의 표8은 배양 28일 경과 후 측정한 것이고, 표9는 42일 경과 후 측정한 것이며, 표10은 배양 56일, 표11은 배양 70일, 표12는 배양 84일, 표13은 배양 98일 경과 후를 측정한 것으로서, 상술한 바와 같이 실시예1(RED1)은 620nm, 실시예2(RED2)는 660nm, 그리고 실시예3(RED3)은 680nm를 기준으로 실험한 결과이다.


광원


접종
대상

시험관(배양 28일 경과)

1

2

3

4

5

6

7

8

평균

실시예1
(RED1)

낙엽송

1.7

1.8

1.9

1.4

2.0

1.7

1.6

1.8

1.7

미송

1.5

1.7

1.5

1.6

1.9

1.8

1.6

1.7

1.7

실시예2
(RED2)

낙엽송

1.4

1.3

1.6

1.4

1.6

1.5

1.5

1.4

1.5

미송

1.8

1.6

1.8

1.8

1.7

1.6

1.7

1.6

1.7

실시예3
(RED3)

낙엽송

1.5

1.5

1.6

1.6

1.6

1.5

1.3

1.6

1.5

미송

1.5

1.5

1.6

1.5

1.6

1.8

1.6

1.6

1.6

비교예1
(암배양)

낙엽송

1.3

1.5

1.1

1.6

1.4

1.6

오염

오염

1.4

미송

1.7

1.4

1.6

1.8

1.5

1.7

오염

오염

1.6
상기 표8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적색 LED광원에 의한 경우가 생장이 좋았으며, 암배양의 경우 생장이 좋지 않음을 알 수 있다. 이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적색 LED광원이 생장에 도움이 되는 파장대인 것에 기인한 것으로 분석되며, 아직까지는 상기 적색 LED광원의 파장대 별로는 생장 상태의 차이는 보이지 않고 있다.


광원


접종
대상

시험관(배양 42일 경과)

1

2

3

4

5

6

7

8

평균

실시예1
(RED1)

낙엽송

2.9

3.0

3.2

2.9

3.3

3.0

2.9

3.1

3.0

미송

2.9

3.0

2.7

2.8

3.1

3.3

2.9

3.0

3.0

실시예2
(RED2)

낙엽송

2.8

2.5

3.0

2.7

2.9

2.8

2.7

2.8

2.8

미송

3.1

2.9

3.2

3.0

3.0

3.0

3.1

3.0

3.0

실시예3
(RED3)

낙엽송

2.9

2.9

2.8

2.7

2.9

2.8

2.5

3.1

2.8

미송

2.7

3.0

3.0

2.8

3.0

3.3

3.1

3.2

3.0

비교예1
(암배양)

낙엽송

2.7

2.8

2.4

2.8

2.8

2.8

오염

오염

2.7

미송

2.9

2.8

3.0

3.1

2.8

2.9

오염

오염

2.9
상기 표9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적색 LED광원에 의해 균사의 생장이 좋음을 알 수 있고 암배양의 경우 생장이 상대적으로 좋지 않음을 알 수 있다. 이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적색광이 생장에 도움이 되는 파장대인 것에 기인한 것으로 분석되며, 상기 적색 LED광원의 파장대 별로는 생장 상태의 차이는 보이지 않고 있다.


광원


접종
대상

시험관(배양 56일 경과)

1

2

3

4

5

6

7

8

평균

실시예1
(RED1)

낙엽송

4.4

4.4

4.5

4.4

4.7

4.5

4.5

4.5

4.5

미송

4.4

4.5

3.7

4.4

4.7

4.6

4.5

4.5

4.4

실시예2
(RED2)

낙엽송

4.3

3.9

4.5

4.2

4.2

4.3

4.1

4.4

4.2

미송

4.5

4.3

4.8

4.6

4.4

4.4

4.5

4.5

4.5

실시예3
(RED3)

낙엽송

4.4

4.4

4.3

4.3

4.4

4.5

4.0

4.5

4.4

미송

4.2

4.4

4.4

4.4

4.6

4.8

4.7

4.8

4.5

비교예1
(암배양)

낙엽송

4.0

4.2

3.8

4.0

4.1

4.2

오염

오염

4.1



4.4

4.2

4.5

4.6

4.0

4.5

오염

오염

4.4
상기 표10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배양 56일 경과한 시점에서 측정한 결과 적색 LED광원에 의해 균사의 생장이 좋음을 알 수 있고 암배양의 경우 생장이 상대적으로 좋지 않음을 알 수 있다. 이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적색광이 생장에 도움이 되는 파장대인 것에 기인한 것으로 분석되며, 상기 적색 LED광원의 파장대 별로는 생장 상태의 차이는 보이지 않고 있다.
특히 상기 암배양 조건의 경우 푸른 곰팡이에 오염되어 있으나, 적색 LED광원에 의한 경우는 푸른 곰팡이에 오염되지 않아 상기 푸른 곰팡이의 번식 방지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다.


광원


접종
대상

시험관(배양 70일 경과)

1

2

3

4

5

6

7

8

평균

실시예1
(RED1)

낙엽송

5.9

6.0

6.1

6.1

6.4

6.0

5.9

6.0

6.0

미송

5.7

6.0

4.7

5.8

6.3

6.1

6.0

5.9

5.8

실시예2
(RED2)

낙엽송

5.8

5.3

6.0

5.6

5.8

5.7

5.6

5.9

5.7

미송

6.0

5.8

6.2

6.0

5.8

6.1

6.1

5.9

6.0

실시예3
(RED3)

낙엽송

5.8

5.8

5.8

5.7

5.8

5.8

5.4

6.2

5.8

미송

5.4

5.9

5.8

5.9

5.9

6.3

6.2

6.2

5.9

비교예1
(암배양)

낙엽송

5.3

5.7

5.3

5.4

5.6

5.6

오염

오염

5.5

미송

5.9

5.2

6.0

6.1

5.1

6.0

오염

오염

5.7
상기 표11서 확인할 수 있듯이 배양 70일 경과한 시점에서 측정한 결과, 적색 LED광원에 의해 균사의 생장이 좋음을 알 수 있고, 암배양의 경우 생장이 상대적으로 좋지 않음을 알 수 있다. 이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적색광이 생장에 도움이 되는 파장대인 것에 기인한 것으로 분석되며, 상기 적색 LED광원의 파장대 별로는 생장 상태의 차이는 보이지 않고 있다.
특히 상기 암배양 조건의 경우 푸른 곰팡이에 오염되어 있으나, 적색 LED광원에 의한 경우는 푸른 곰팡이에 오염되지 않아 상기 푸른 곰팡이의 번식 방지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다.


광원


접종
대상

시험관(배양 84일 경과)

1

2

3

4

5

6

7

8

평균

실시예1
(RED1)

낙엽송

7.4

7.5

7.5

7.6

7.8

7.6

7.4

7.4

7.5

미송

7.3

7.4

5.8

7.3

7.7

7.7

7.6

7.4

7.3

실시예2
(RED2)

낙엽송

7.2

6.9

7.5

7.1

7.4

7.2

7.1

7.3

7.2

미송

7.5

7.4

7.7

7.5

7.4

7.6

7.5

7.5

7.5

실시예3
(RED3)

낙엽송

7.2

7.3

7.3

7.2

7.3

7.3

7.0

7.5

7.3

미송

6.9

7.4

7.4

7.4

7.5

7.7

7.6

7.6

7.4

비교예1
(암배양)

낙엽송

6.8

7.3

6.9

6.9

7.1

7.0

오염

오염

7.0

미송

7.5

6.8

7.6

7.7

6.2

7.6

오염

오염

7.2
상기 표12서 확인할 수 있듯이 배양 84일 경과한 시점에서 측정한 결과, 적색 LED광원에 의해 균사의 생장이 좋음을 알 수 있고, 암배양의 경우 생장이 상대적으로 좋지 않음을 알 수 있다. 이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적색광이 생장에 도움이 되는 파장대인 것에 기인한 것으로 분석되며, 상기 적색 LED광원의 파장대 별로는 생장 상태의 차이는 보이지 않고 있다.
특히 상기 암배양 조건의 경우 푸른 곰팡이에 오염되어 있으나, 적색 LED광원에 의한 경우는 푸른 곰팡이에 오염되지 않아 상기 푸른 곰팡이의 번식 방지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다.


광원


접종
대상

시험관(배양 98일 경과)

1

2

3

4

5

6

7

8

평균

실시예1
(RED1)

낙엽송

8.8

9.0

9.1

9.1

9.3

9.1

8.9

8.8

9.0

미송

8.7

8.8

6.9

8.6

9.1

9.1

9.0

8.8

8.6

실시예2
(RED2)

낙엽송

8.6

8.4

8.8

8.4

8.8

8.6

8.6

8.9

8.7

미송

8.8

8.9

9.2

8.9

9.0

8.2

9.1

8.9

9.0

실시예3
(RED3)

낙엽송

8.8

8.7

오염

8.7

8.8

8.8

8.0

8.9

8.7

미송

8.2

8.8

8.7

8.8

8.9

9.2

9.0

9.1

8.8

비교예1
(암배양)

낙엽

8.3

8.7

8.2

8.4

8.6

8.5

오염

오염

8.4

미송

8.9

8.0

9.2

9.0

7.4

9.0

오염

오염

8.6
상기 표13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배양 98일 경과한 시점에서 측정한 결과, 적색 LED광원에 의해 균사의 생장이 좋음을 알 수 있고, 암배양의 경우 생장이 상대적으로 좋지 않음을 알 수 있다.
즉, 실시예1(RED1)에서 생장은 평균적으로 8.8이고, 실시예2(RED2)에서는 8.85이며, 실시예3(RED3)에서는 8.75로서, 암배양에서 생장시킨 결과인 8.45보다는 좋은 결과를 확인할 수 있었으며, 이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620nm 내지 680nm 의 파장을 가지는 적색광이 생장에 도움이 되는 파장대인 것에 기인한 것으로 분석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은 결론을 얻기 위해 상술한 실험을 수행하였으며, 특히 상기 실험은 최초 배양 후 28일 째인 2012년 7월 5일 처음 측정하여 배양 후 98일이 되는 2012년 9월 12일에 마지막 측정을 하였으며, 측정 횟수는 총11회로서 실험 대상 시험관은 각 조건마다 8개의 시험관을 사용한 것으로서 이는 매우 신뢰성 높은 실험으로 판단되며, 이러한 실험 결과 획득된 결론 즉 최적의 파장대가 620~680nm이라는 결론 역시 신뢰성이 높은 것으로 판단된다.
이상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 분야의 통상을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그 변형이나 개량이 가능함이 명백하다.
본 발명의 단순한 변형 내지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범주에 속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구체적인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명확해질 것이다.

Claims (5)

  1. 꽃송이 버섯의 균사를 접종하여 배양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접종된 균사에 LED광원을 조사하여 상기 균사를 배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LED광원을 이용한 꽃송이 버섯의 균사 배양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LED광원은 520nm 내지 690nm의 파장을 가지는 광을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LED광원을 이용한 꽃송이 버섯의 균사 배양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LED광원은 620nm 내지 680nm 의 파장을 가지는 적색광을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LED광원을 이용한 꽃송이 버섯의 균사 배양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적색의 LED광원의 광도는 4umol/m2s 내지 20umol/m2s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LED광원을 이용한 꽃송이 버섯의 균사 배양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적색의 LED광원의 광도는 20umol/m2s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LED광원을 이용한 꽃송이 버섯의 균사 배양 방법.
KR1020120141685A 2012-12-07 2012-12-07 Led 광원을 이용한 꽃송이 버섯의 균사 배양 방법 KR10143839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41685A KR101438393B1 (ko) 2012-12-07 2012-12-07 Led 광원을 이용한 꽃송이 버섯의 균사 배양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41685A KR101438393B1 (ko) 2012-12-07 2012-12-07 Led 광원을 이용한 꽃송이 버섯의 균사 배양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73803A true KR20140073803A (ko) 2014-06-17
KR101438393B1 KR101438393B1 (ko) 2014-09-05

Family

ID=511271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41685A KR101438393B1 (ko) 2012-12-07 2012-12-07 Led 광원을 이용한 꽃송이 버섯의 균사 배양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38393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27875A (ko) * 2019-09-03 2021-03-11 경상국립대학교산학협력단 Led를 이용한 눈꽃동충하초 균사체의 코디세핀 함량을 증대하는 배양방법
KR20210027873A (ko) * 2019-09-03 2021-03-11 경상국립대학교산학협력단 Led를 이용한 눈꽃동충하초 균사체의 함량을 증대하는 배양방법
KR20210027876A (ko) * 2019-09-03 2021-03-11 경상국립대학교산학협력단 Led를 이용한 밀리타리스 동충하초 균사체의 함량을 증대하는 배양방법
KR20210027874A (ko) * 2019-09-03 2021-03-11 경상국립대학교산학협력단 Led를 이용한 밀리타리스 동충하초 균사체의 코디세핀 함량을 증대하는 배양방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69053A (ja) 2000-03-29 2001-10-02 Hokuto Corp 光照射によるきのこ栽培方法
KR100823541B1 (ko) 2007-04-10 2008-04-21 전라남도 꽃송이버섯 재배방법
JP2011250775A (ja) 2010-05-31 2011-12-15 Mush Tec:Kk きのこ栽培用led光条
JP2012055204A (ja) 2010-09-07 2012-03-22 Yukiguni Maitake Co Ltd きのこの栽培方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27875A (ko) * 2019-09-03 2021-03-11 경상국립대학교산학협력단 Led를 이용한 눈꽃동충하초 균사체의 코디세핀 함량을 증대하는 배양방법
KR20210027873A (ko) * 2019-09-03 2021-03-11 경상국립대학교산학협력단 Led를 이용한 눈꽃동충하초 균사체의 함량을 증대하는 배양방법
KR20210027876A (ko) * 2019-09-03 2021-03-11 경상국립대학교산학협력단 Led를 이용한 밀리타리스 동충하초 균사체의 함량을 증대하는 배양방법
KR20210027874A (ko) * 2019-09-03 2021-03-11 경상국립대학교산학협력단 Led를 이용한 밀리타리스 동충하초 균사체의 코디세핀 함량을 증대하는 배양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38393B1 (ko) 2014-09-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79209B1 (ko) 표고버섯 배양물 제조방법
TW201720917A (zh) 提高牛樟芝三萜類成分之培養方法
KR101616887B1 (ko) 곰보버섯 균사체 대량 생산을 위한 인공배양방법
KR101438393B1 (ko) Led 광원을 이용한 꽃송이 버섯의 균사 배양 방법
CA2821710A1 (en) Novel strain of lentinula edodes gna01
CN108260470B (zh) 一种提高松茸菌根化育苗的方法
KR100823541B1 (ko) 꽃송이버섯 재배방법
CN104402575A (zh) 一种牛樟芝培养基配方及牛樟芝的栽培方法
CN111248026B (zh) 一种栎松茸培养基及其应用
KR101239711B1 (ko) 표고버섯 배양물 제조방법
KR101305243B1 (ko) 신균주 대왕버섯의 재배방법
KR101312059B1 (ko) 신균주 대왕버섯
KR20100066321A (ko) 곡립배지를 이용한 꽃송이 버섯 균사체의 배양방법 및 이에 의해 배양된 균사체
CN115735741A (zh) 一种利用无糖培养方式培养甘薯以及利用无糖培养方式进行嫁接检测甘薯病毒的方法
JP3746440B2 (ja) キノコ栽培用菌床およびキノコの栽培方法
KR20070048636A (ko) 인삼 사포닌 성분이 함유된 팽이 버섯의 재배방법
CN104206272B (zh) 一种猕猴桃游离花粉培养方法
CN102771311B (zh) 香菇培植的方法
JP2016007146A (ja) ハナビラタケ菌糸体の培養方法及びこれによって培養された菌糸体
KR101057500B1 (ko) 유황 함유량이 높은 느타리버섯 재배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해 재배된 느타리버섯
CN111226694A (zh) 一种以黄粉虫幼虫为原料栽培获取蛹虫草子实体的方法
KR20160087512A (ko) 목이버섯의 재배방법 및 배지조성물
JP2683775B2 (ja) キノコ類の人工栽培法及びそれに使用する人工培養基
KR101190094B1 (ko) 곡립배지를 이용한 꽃송이 버섯 균사체의 배양방법
CN108004102A (zh) 一种瓶植蛹虫草制备活体虫草酒的环境因子控制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0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0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26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