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73601A - 절첩식 쌍절곤 - Google Patents

절첩식 쌍절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73601A
KR20140073601A KR1020120132319A KR20120132319A KR20140073601A KR 20140073601 A KR20140073601 A KR 20140073601A KR 1020120132319 A KR1020120132319 A KR 1020120132319A KR 20120132319 A KR20120132319 A KR 20120132319A KR 20140073601 A KR20140073601 A KR 2014007360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lding bar
folding
magnet
cap
b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323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근우
Original Assignee
이근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근우 filed Critical 이근우
Priority to KR10201201323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073601A/ko
Publication of KR201400736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7360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1WEAPONS
    • F41BWEAPONS FOR PROJECTING MISSILES WITHOUT USE OF EXPLOSIVE OR COMBUSTIBLE PROPELLANT CHARGE; WEAP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41B15/00Weap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nunchakus, throwing kniv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urses, Travelling Bags, Baskets, Or Suitca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절첩식 쌍절곤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는 호신용으로 사용될 때는 손잡이를 구성하는 다단 절첩된 절첩봉의 길이를 늘려 사용하고 보관시에는 절첩봉의 길이를 줄여서 휴대가 용이하도록 함과 아울러 손잡이의 하부캡에 자석을 구비하여 수납된 절첩봉을 자력으로 고정시켜 휴대 및 보관시 절첩봉이 수납된 상태를 견고하게 유지하도록 한 절첩식 쌍절곤에 관한 것이다.
즉, 본 발명은 철제로 구비되는 제 1절첩봉에 제 2절첩봉이 수납되되 각각 단부에 협소부와 확개부가 형성되어 결합되는 손잡이부와, 상기 제 1절첩봉의 하단부에 나사결합되어 끼워지는 하부캡과, 상기 하부캡의 상부에 결합 고정되어 제 1절첩봉 내부에 위치하는 자석과, 상기 자석과 자력으로 접촉 및 분리가 이루어지도록 제 2절첩봉의 하단에 구비된 접촉면과, 상기 제 2절첩봉의 상단에 연결줄로 결합되도록 나사결합되는 상부캡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절첩식 쌍절곤{Expandable Two sticks}
본 발명은 절첩식 쌍절곤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는 호신용으로 사용될 때는 손잡이를 구성하는 다단 절첩된 절첩봉의 길이를 늘려 사용하고 보관시에는 절첩봉의 길이를 줄여서 휴대가 용이하도록 함과 아울러 손잡이의 하부캡에 자석을 구비하여 수납된 절첩봉을 자력으로 고정시켜 휴대 및 보관시 절첩봉이 수납된 상태를 견고하게 유지하도록 한 절첩식 쌍절곤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쌍절곤은, 대소자(大掃子), 소소자(小掃子), 소반룡곤(小盤龍棍) 등 여러 이름으로 불린다. 두 개의 짧은 봉을 부드럽고 강한 줄로 연결한 것이 일반화되어 있는데, 최근에는 호신용 무기 또는 신체 단련용으로 이용되고 있으며, 이러한 쌍절곤은 금속재나 합성수지, 목재 등으로 단단하게 만들어진 짧은 봉으로 이루어져 있다.
그리고 선행기술로서 공개실용신안 20-2009-0010392호로 개시된 쌍절곤을 포함한 거의 모든 쌍절곤은 짧은 봉에 해당되지만 쌍절곤으로서 제기능을 발휘하도록 하기 위해 그 길이가 27~30cm 정도 되는 것을 주로 사용하고 있다.
비록, 상기와 같이 쌍절곤이 짧은 봉이라 할지라도 그 길이가 27~30cm 정도 되므로 방범이나 호신 등을 위해 허리에 상하 매달림 형태로 휴대해야 되므로 소정길이의 봉에 의해 쉽게 외부로 노출되고 신체부위에 밀착할 수 없는 것이므로 타인에게 위압감을 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착용자가 도보로 이동하는 과정에서 매달림 상태의 쌍절곤이 흔들리거나 걸리적거리는 등 도보에 지장을 초래하게 되어 하나의 거추장스러운 장애물과 같이 여겨질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공개실용신안 제 1998-062663 호(호신, 방범, 건강용 쌍절곤)에는 손잡이, 중간부위, 상단부위로 나누어 다단으로 절첩되어 길이를 조절하는 구성이 제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선행기술은 휴대시 중간부위와 상단부위를 손잡이의 내부로 삽입하여 길이를 줄인 상태로 휴대하게 되는데, 이때 내부에 삽입된 중간,상단부위를 고정하는 수단이 없기 때문에 휴대시 사용자가 원치 않게 길이가 늘어나는 문제가 발생할 뿐만 아니라 움직일 때마다 중간,상단부위가 길이방향으로 왕복운동을 하기때문에 손잡이의 단부에 구비된 뚜껑부위에 지속적으로 타격 되어 사용자에게 불편함과 불쾌감을 주는 등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손잡이가 다단 절첩되도록 구성하여 보관시에는 수납된 형태로 보관하여 보관 및 휴대성을 높이고 사용시에는 손잡이의 절첩봉의 길이를 늘려 유사시 호신용 무기로 사용하여 길이 조절이 간편하고, 하부캡에 자석을 구비하여 보관시 절첩봉을 자력으로 고정시켜 보관 및 휴대시에 절첩 수납된 상태를 견고하게 유지하면서 무게추의 역할까지 하여 타격효과를 높이고, 손잡이부를 상부캡과 하부캡을 나사결합으로 고정하기 때문에 특정부분이 노후되거나 파손되어 제 기능을 발휘하지 못할 때에 각 부분에 해당되는 부분을 분해하여 신속하고 간편하게 교체할 수 있는 절첩식 쌍절곤을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철제로 구비되는 제 1절첩봉에 제 2절첩봉이 수납되되 각각 단부에 협소부와 확개부가 형성되어 결합되는 손잡이부와, 상기 제 1절첩봉의 하단부에 나사결합되어 끼워지는 하부캡과, 상기 하부캡의 상부에 결합 고정되어 제 1절첩봉 내부에 위치하는 자석과, 상기 자석과 자력으로 접촉 및 분리가 이루어지도록 제 2절첩봉의 하단에 구비된 접촉면과, 상기 제 2절첩봉의 상단에 연결줄로 결합되도록 나사결합되는 상부캡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손잡이부의 제 1 절첩봉은 원통형으로 구비되되 상부에는 직경이 점차 감소하는 협소부가 형성되고, 제 2 절첩봉은 제 1절첩봉의 하부에서 삽입되어 끼워지되 상기 협소부에 걸려 끼워질 수 있도록 하부에 직경이 점차 넓어지는 확개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하부캡은 제 1 절첩봉에 체결되도록 둘레에 나사부가 형성되고 상면에는 자석이 끼워져 고정되도록 안착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 2절첩봉의 하부에 완충부재가 구비되어 자석과 접촉시 충격을 완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완충부재는 제 2절첩봉의 단부에 끼워지도록 형성되는 삽입부와, 상기 상입부 중앙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관통부와, 상기 제 2절첩봉의 접촉면에 밀착되어 완충작용을 하는 덮개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손잡이가 다단 절첩되도록 구성하여 보관시에는 수납된 형태로 보관하여 보관 및 휴대성을 높이고 사용시에는 손잡이의 절첩봉의 길이를 늘려 유사시 호신용 무기로 사용하여 길이 조절이 간편한 효과가 있다.
또한 하부캡에 자석을 구비하여 보관시 절첩봉을 자력으로 고정시켜 보관 및 휴대시에 절첩 수납된 상태를 견고하게 유지하면서 무게추의 역할까지 하여 타격효과를 높이는 효과가 있다.
또한 손잡이부를 상부캡과 하부캡을 나사결합으로 고정하기 때문에 특정부분이 노후되거나 파손되어 제 기능을 발휘하지 못할 때에 각 부분에 해당되는 부분을 분해하여 신속하고 간편하게 교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절첩식 쌍절곤의 구성을 나타낸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절첩식 쌍절곤의 구성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절첩식 쌍절곤의 보관시 손잡이부의 길이가 줄어든 상태를 나타낸 부분 확대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절첩식 쌍절곤의 사용시 손잡이부의 길이가 늘어난 상태를 나타낸 부분 확대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절첩식 쌍절곤의 완충부재를 나타낸 확대 단면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그리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발명은 철제로 구비되는 제 1절첩봉(11)에 제 2절첩봉(12)이 수납되되 각각 단부에 협소부(11a)와 확개부(12a)가 형성되어 결합되는 손잡이부(10)와, 상기 제 1절첩봉(11)의 하단부에 나사결합되어 끼워지는 하부캡(20)과, 상기 하부캡(20)의 상부에 결합 고정되어 제 1절첩봉(11) 내부에 위치하는 자석(30)과, 상기 자석(30)과 자력으로 접촉 및 분리가 이루어지도록 제 2절첩봉(12)의 하단에 구비된 접촉면(12b)과, 상기 제 2절첩봉(12)의 상단에 연결줄(50)로 결합되도록 나사결합되는 상부캡(40)으로 이루어져 있다.
본 발명의 손잡이부(10)는 원통형의 철제로 구비되어 보관시 제 2절첩봉(12)이 제 1절첩봉(11) 내부로 절첩 수납되었을 때 하부캡(20)에 구비된 자석(30)의 자력에 의해 제 2절첩봉(12)과 부착하여 보관상태를 유지 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손잡이부(10)는 자력에 영향을 받는 다른 금속제로 사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제 1절첩봉(11)은 원통형으로 구비되되 상부에는 직경이 점차 감소하는 협소부(11a)가 형성되고, 제 2절첩봉(12)은 제 1절첩봉(11)의 하부에서 삽입되어 끼워지되 상기 협소부(11a)에 걸려 끼워질 수 있도록 하부에 직경이 점차 넓어지는 확개부(12a)가 형성되어 사용시 상기 제 1절첩봉(11)에 형성된 협소부(11a)는 제 2절첩봉(12)에 형성된 확개부(12a)와 접촉된 상태에서 사용하기 때문에 상기 제 2절첩봉(12)이 외부로 이탈되지 않으면서 손잡이부(10)의 길이를 간편하게 늘려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하부캡(20)은 제 1절첩봉(11)의 단부에 체결되도록 둘레에 나사부가 형성되고 상면에는 안착부(21)가 홈 형태로 형성되되 자석(30)의 일부가 삽입되어 하부캡(20)과 고정시 자석(30)의 고정위치를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고 자석(30)의 일부를 잡아주기 때문에 고정력을 높이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자석(30)은 강력접착제나 체결부재(미도시)에 의해 하부캡(20)의 상부에 고정되고 제 1절첩봉(11) 내부 하단에 위치하여 제 2절첩봉(12)의 하부의 접촉면(12b)과 자력으로 접촉되어 보관시 손잡이부(10)가 수납상태를 유지할 수 있고 사용시에는 무게추 역할을 하여 좀더 강한 타격을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상부캡(40)은 제 2절첩봉(12)의 상부에 나사결합되고 걸고리(41)를 형성하여 연결줄(50)을 끼울 수 있도록 하며, 상기 연결줄(50)은 쇠사슬 형태 또는 천이나 합성섬유로 된 연결끈으로 구비되고 이러한 연결줄(50)은 한쌍의 손잡이부(10)와 연결되도록 상부캡(40)의 걸고리(41)에 끼워져 결합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손잡이부(10)를 상부캡(40)과 하부캡(20)을 나사결합으로 고정하기 때문에 특정부분이 노후되거나 파손되어 제 기능을 발휘하지 못할 때에 각 구성에 해당되는 부분을 분해하여 신속하고 간편하게 교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제 2절첩봉(12)의 하부에 완충부재(35)가 구비될 경우 길이조절시 발생하는 자석(30)과 접촉충격 또는 충격음을 현저히 감소시킬 수 있다.
상기 완충부재(35)는 고무 또는 실리콘 같은 탄성체로 구비되며 2절첩봉의 단부에 견고하게 끼워지도록 형성되는 삽입부(35a)와, 상기 상입부 중앙에 공기가 통하도록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관통부(35b)와, 상기 제 2절첩봉(12)의 접촉면(12b)에 밀착되어 완충작용을 하는 덮개부(35c)로 구성된다. 아울러 상기 덮개부(35c)의 두께는 자석(30)의 자력이 미치는 범위 내에서 선정하여 보관시 자력에 의해 제 2절첩봉(12)을 용이하게 절첩 수납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완충부재(35)는 고무 또는 실리콘 등의 마개 형태로 구비되어 사용할 수 있지만 스펀지나 천과 같이 충격을 흡수할 수 있는 다른 재질로 제 2절첩봉(12)의 저면에 덧대어 사용될 수 있다.
이렇게 이루어진 본 발명은,
도 1 내지 2에 도시된 바와 같이,철제로 구비되는 제 1절첩봉(11)에 제 2절첩봉(12)이 수납되되 각각 단부에 협소부(11a)와 확개부(12a)가 형성되어 결합되는 손잡이부(10)와, 상기 제 1절첩봉(11)의 하단부에 나사결합되어 끼워지는 하부캡(20)과, 상기 하부캡(20)의 상부에 결합 고정되어 제 1절첩봉(11) 내부에 위치하는 자석(30)과, 상기 자석(30)과 자력으로 접촉 및 분리가 이루어지도록 제 2절첩봉(12)의 하단에 구비된 접촉면(12b)과, 상기 제 2절첩봉(12)의 상단에 연결줄(50)로 결합되도록 나사결합되는 상부캡(40)으로 이루어져 있다.
본 발명의 보관시에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손잡이부(10)의 제 2절첩봉(12)이 제 1절첩봉(11) 내측으로 절첩 수납된 상태에서 내측 하부캡(20)에 구비된 자석(30)과 제 2절첩봉(12)의 접촉면(12b)이 자력에 의해 서로 부착된 상태로 유지되어 쌍절곤의 부피를 효과적으로 줄일 뿐만 아니라 휴대시 줄어든 상태를 자력에 의해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의 사용시에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 2절첩봉(12)을 제 1절첩봉(11) 외측으로 인출하여 길이를 늘려 사용하게 된다. 이때 자력의 힘보다 강한 힘으로 당겨 인출시켜야 하고 인출되었을 때 제 1절첩봉(11)에 형성된 협소부(11a)에 제 2절첩봉(12)의 확개부(12a)가 서로 접촉된 상태로 휘둘러 사용한다.
그리고 사용시에는 타격부위가 원호를 그리며 이동하기 때문에 손잡이부(10)는 원심력과 관성에 의해 지속적으로 길이방향으로 당겨지는 힘이 작용하기 때문에 사용시에 손잡이부(10)가 다시 줄어들지 않고 늘어난 상태를 유지하면서 사용된다.
또한 본 발명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 2절첩봉(12)의 하부에 완충부재(35)를 구비할 경우 보관 및 사용시에 손잡이부(10)의 절첩과정에서 발생하는 제 2절첩봉(12)의 접촉면(12b)과 자석(30)의 접촉충격 과 소음을 현저히 감소시키는 효과가 있어 사용자가 편안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를 참고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함은 물론이다.
10 : 손잡이부 11 : 제 1절첩봉
11a : 협소부 12 : 제 2절첩봉
12a : 확개부 12b : 접촉면
20 : 하부캡 21 : 안착부
30 : 자석 35 : 완충부재
35a : 삽입부 35b : 관통부
35c : 덮개부 40 : 상부캡
41 : 걸고리 50 : 연결줄

Claims (5)

  1. 철제로 구비되는 제 1절첩봉(11)에 제 2절첩봉(12)이 수납되되 각각 단부에 협소부(11a)와 확개부(12a)가 형성되어 결합되는 손잡이부(10)와,
    상기 제 1절첩봉(11)의 하단부에 나사결합되어 끼워지는 하부캡(20)과,
    상기 하부캡(20)의 상부에 결합 고정되어 제 1절첩봉(11) 내부에 위치하는 자석(30)과,
    상기 자석(30)과 자력으로 접촉 및 분리가 이루어지도록 제 2절첩봉(12)의 하단에 구비된 접촉면(12b)과,
    상기 제 2절첩봉(12)의 상단에 연결줄(50)로 결합되도록 나사결합되는 상부캡(40)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첩식 쌍절곤.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부(10)의 제 1 절첩봉은 원통형으로 구비되되 상부에는 직경이 점차 감소하는 협소부(11a)가 형성되고, 제 2 절첩봉은 제 1절첩봉(11)의 하부에서 삽입되어 끼워지되 상기 협소부(11a)에 걸려 끼워질 수 있도록 하부에 직경이 점차 넓어지는 확개부(12a)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첩식 쌍절곤.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캡(20)은 제 1 절첩봉에 체결되도록 둘레에 나사부가 형성되고 상면에는 자석(30)이 끼워져 고정되도록 안착부(21)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첩식 쌍절곤.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2절첩봉(12)의 하부에 완충부재(35)가 구비되어 자석(30)과 접촉시 충격을 완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첩식 쌍절곤.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완충부재(35)는 제 2절첩봉(12)의 단부에 끼워지도록 형성되는 삽입부(35a)와, 상기 상입부 중앙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관통부(35b)와, 상기 제 2절첩봉(12)의 접촉면(12b)에 밀착되어 완충작용을 하는 덮개부(35c)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첩식 쌍절곤.
KR1020120132319A 2012-11-21 2012-11-21 절첩식 쌍절곤 KR2014007360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32319A KR20140073601A (ko) 2012-11-21 2012-11-21 절첩식 쌍절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32319A KR20140073601A (ko) 2012-11-21 2012-11-21 절첩식 쌍절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73601A true KR20140073601A (ko) 2014-06-17

Family

ID=511269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32319A KR20140073601A (ko) 2012-11-21 2012-11-21 절첩식 쌍절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073601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59882B1 (ko) 스틱
EP3560450B1 (en) Force-limiting and damping device
DE60112977T2 (de) Stock mit Stossdämpfer
US9737121B2 (en) Adaptive pivoting and impact reduction tip assembly for walking aids
US7270138B2 (en) Joint mechanism
US9423204B2 (en) Recurved bow with improved vibration damping function
KR20140073601A (ko) 절첩식 쌍절곤
US20110319204A1 (en) Swing training bat
KR102018130B1 (ko) 지팡이
KR100675098B1 (ko) 다단식 지팡이의 완충장치
KR101787532B1 (ko) 노약자용 지팡이
TWI651172B (zh) 限力減震裝置
TWI380842B (zh) 打擊練習裝置
JP2011161202A5 (ko)
KR20110122591A (ko) 등산 지팡이용 완충구
TWM398943U (en) Adjustable hand grip structure improvement
KR101393046B1 (ko) 줄넘기 운동구
KR20120007715U (ko) 작물 지주대 타격기구
CN206480368U (zh) 一种组装式架子鼓鼓棒
CN210043712U (zh) 一种可调节衣架
CN208926972U (zh) 减震腋下拐
CN203584296U (zh) 一种击打力可调节的击振器
CN208003185U (zh) 一种医用的医疗注射架
KR20160000076U (ko) 등산용 스틱
KR101252429B1 (ko) 호신용 쌍절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21121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PC1203 Withdrawal of no request for examina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