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18130B1 - 지팡이 - Google Patents
지팡이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018130B1 KR102018130B1 KR1020180097390A KR20180097390A KR102018130B1 KR 102018130 B1 KR102018130 B1 KR 102018130B1 KR 1020180097390 A KR1020180097390 A KR 1020180097390A KR 20180097390 A KR20180097390 A KR 20180097390A KR 102018130 B1 KR102018130 B1 KR 102018130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elastic
- support
- elastic spring
- present
- can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B—WALKING STICKS; UMBRELLAS; LADIES' OR LIKE FANS
- A45B9/00—Details
- A45B9/04—Ferrules or tips
-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B—WALKING STICKS; UMBRELLAS; LADIES' OR LIKE FANS
- A45B22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5B
- A45B2200/05—Walking sticks
Landscapes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지팡이에 관한 것으로, 사용자가 파지할 수 있는 핸들이 구비되어 있는 지지대; 상단부와 하단부가 개방되어 있으며, 상단부를 통해 상기 지지대의 하단부가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내장되는 물미; 상기 물미의 하단부를 개폐하도록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바닥판; 및 상기 물미의 내부에 수용되어 상기 지지대에 탄성에너지를 제공하는 탄성스프링;를 포함하며, 상기 탄성스프링가 조절될 수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지팡이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자의 신체 조건에 따라 탄성에너지를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는 지팡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지팡이는 심신이 약한 노약자들이나 다리를 다친 환자들이 주행 보조용으로 사용하는 막대형태의 기구이다. 지팡이는 사용자의 인체에 맞게 적당한 길이의 막대로 구비되어 사용자가 상단을 손으로 파지한 상태에서 하단으로 지면을 지지하면서 이동하는데 사용된다.
이와 같은 지팡이는 사용 시 사용자의 손과 팔에 의해 몸을 지지하는 역할을 함으로써, 사용자가 이동할 때 지팡이 지팡이의 하단과 지면 사이에 강한 충돌이 반복적으로 일어나게 되며, 이때 발생한 충격이 지팡이를 타고 사용자에게 전달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국내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290121호에는 압축스프링의 탄성력을 이용한 충격흡수장치가 구비되어 있는 '지팡이'가 개시되어 있다. 상기 고안은 지주봉 하단에 내장 설치되어 있는 출몰봉 상단에 충격흡수장치를 설치하여 압축스프링의 탄성에너지를 제공함으로써, 지팡이의 사용 시 사용자에게 전달되는 충격을 최소화시켜주게 된다.
하지만, 지팡이에 내장된 압축스프링의 탄성계수는 항상 일정하게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므로, 사용하는 사람의 몸무게에 따라 충격을 흡수하는 탄성에너지도 달리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 예를 들어, 몸무게가 적게 나가는 사람이 지팡이를 사용할 경우에는 지팡이를 누르는 힘이 적기 때문에 압축스프링의 작용력이 작게 일어나 효율적인 충격 흡수가 이루어지지 않으며, 이와 반대로 몸무게나 많이 나가는 사람이 사람이 지팡이를 사용할 경우에는 지팡이를 누르는 힘이 커져 압축스프링의 작용력이 크게 일어나 충격 흡수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 지팡이는 압축스프링이 지팡이 내부에 완전히 수용된 상태로, 압축스프링의 파손 시 교체가 용이치 않은 단점이 있다.
(특허문헌 1) KR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290121호(2002.09.10.)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의 신체조건에 따라 탄성에너지를 조절할 수 있는 지팡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탄성체의 교체가 용이한 구조의 지팡이를 제공하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에 명시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 및 그 효과로부터 용이하게 추론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추가적으로 고려될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지팡이는, 사용자가 파지할 수 있는 핸들이 구비되어 있는 지지대; 상단부와 하단부가 개방되어 있으며, 상단부를 통해 상기 지지대의 하단부가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내장되는 물미; 상기 물미의 하단부를 개폐하도록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바닥판; 및 상기 물미의 내부에 수용되어 상기 지지대에 탄성에너지를 제공하는 탄성스프링;를 포함하며, 상기 탄성스프링은 탄성조절유닛에 의해 상하 길이가 조정되어 탄성에너지가 조절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탄성조절유닛은, 상기 탄성스프링의 상측에 배치되는 상단고정판; 상기 탄성스프링의 하측에 배치되는 하단고정판; 상기 상단 및 하단고정판에 상, 하단부가 각각 고정되며, 길이가 신축 가능하게 작동하는 신축봉; 및 상기 탄성스프링의 상단부 또는 하단부가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신축봉을 따라 상하 이동하며 상기 탄성스프링의 길이를 신축시켜주는 조절판;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지팡이는 사용자의 신체조건(몸무게 등)에 따라 탄성조절유닛을 이용해 탄성스프링의 탄성에너지를 조절해줌으로써, 사용자의 신체조건에 상관없이 물미가 지면에 닿을 시 발생하는 충격을 용이하게 완화시켜주는 효과가 있다.
또한, 물미 하단부에 받침판이 나사 결합 방식으로 체결됨에 따라, 몰미의 내부를 손쉽게 개방할 수 있어 몰미 내부에 내장되어 있는 탄성스프링이나 탄성조절유닛의 파손 시 교체 및 수리가 용이한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팡이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팡이 하단부의 분해측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팡이 하단부의 분해단면도이다.
도 4의 (a)와 (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팡이 하단부의 작용을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5의 (a) 내지 (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탄성조절유닛의 작용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팡이 하단부의 분해측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팡이 하단부의 분해단면도이다.
도 4의 (a)와 (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팡이 하단부의 작용을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5의 (a) 내지 (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탄성조절유닛의 작용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목적, 특정한 장점들 및 신규한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들과 연관되어지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바람직한 실시예로부터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또한, 사용된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써,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요소를 설명하는데 있어서, 제1, 제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 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요소는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요소 사이에 다른 구성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구성 및 작용을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도 1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팡이의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2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팡이 하단부의 분해 측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1과 도 2를 참조하여 살펴보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팡이(1)는 사용자가 파지할 수 있는 핸들(10)이 구비되어 있는 지지대(20)와, 상단부와 하단부가 개방되어 있으며, 상단부를 통해 지지대(20)의 하단부가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내장되는 물미(30)와, 물미(30)의 하단부를 개방 또는 폐쇄하도록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바닥판(40)과, 물미(30)의 내부에 수용되어 지지대(20) 탄성에너지를 제공하는 탄성스프링(50)과, 탄성스프링(50)의 탄성에너지를 조절하는 탄성조절유닛(6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핸들(10)은 사용자가 손으로 파지할 수 있는 부분으로 지지대(20)의 상단부에 연결된다. 핸들(10)은 사용자가 편하게 파지할 수 있도록 인체공학디자인이 적용되어 다양한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핸들(10)은 대체로 지지대(20)의 길이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것이 일반적이나, 반드시 90도 각도로 연결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다.
지지대(20)는 길이가 긴 봉의 형태로 구비된다. 지지대(20)의 상단부에는 핸들(10)이 연결되고 하단부에는 지팡이(1)가 지면에 안정적으로 지지되도록 지탱해주는 물미(30)가 체결된다.
지지대(20)는 서로의 일부가 겹쳐져 길이가 늘어나거나 줄어들도록 작동하는 텔레스코픽(telescopic) 구조를 갖는다. 구체적으로 지지대(20)는 하부지지대(22)와 상부지지대(24)로 이루어지며, 상부지지대(24)의 하단부 내측에 내장된 하부지지대(22)의 상단부를 슬라이드 이동시킴으로써 지지대(20)의 길이를 신장 또는 축소 시킬 수 있다. 길이가 신축되는 지지대(20)의 길이는 하부지지대(22)에 구비되어 있는 고정버튼(23)과 상부지지대(24)의 길이 방향을 따라 복수 개가 천공되어 있는 고정홈(25)을 이용하여 조절할 수 있다. 여기서, 고정버튼(23)과 고정홈(25)을 통한 지지대(20)의 길이 고정은 종래에 널리 이용되고 있는 기술이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4의 (a)와 (b)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팡이 하단부의 작용을 보여주는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지지대(20)의 하단부는 몰미(30)가 연결된다. 구체적으로, 지지대(20)의 하단부는 몰미(30)의 내부에 내장되어 상하 방향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구비된다. 이때, 지지대(20)의 하단에는 몰미(30)의 상단으로부터 지지대(20)가 이탈되지 않도록 지지대(20)의 둘레보다 외측으로 더 돌출되어 있는 돌출부(21)가 구비되며, 돌출부(21)는 후술하는 몰미(30) 상단부의 스토퍼(32)에 걸려 이동이 제한된다. 이와 같은 지지대(20)의 하단부 즉, 하부지지대(22)는 몰미(30)의 내부에 수용되어 있는 탄성스프링(50)으로부터 탄성에너지를 제공받아 몰미(30) 내부에서 상하 이동함으로써, 몰미(30)와 지면 사이에 발생하는 충격이 완화된다.
도 3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팡이 하단부의 분해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3과 도 4를 참고하여 살펴보면, 몰미(30)는 중공의 구조로 상단부와 하단부가 모두 개방된다. 몰미(30)는 지지대(20)의 하단부에 연결되어 지팡이(1)가 지면에 안정적으로 지지되도록 지면에 접촉된다. 이를 위해, 몰미(30)는 고무나 실리콘과 같이 지면에 닿았을 시 쉽게 미끄러지지 않으면서 충격을 완화시켜줄 수 있는 합성수지재질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몰미(30)의 내부에는 지지대(20)의 하단부 및 탄성조절유닛(60)이 결합된 탄성스프링(50)이 내장된다. 지지대(20)의 하단부는 몰미(30)의 상단부를 통해 몰미(30)의 내부에 삽입되며, 몰미(30)의 상단에는 지지대(20)가 이탈되지 않도록 지지대(20) 하단의 돌출부(21)가 걸려 접촉되는 스토퍼(32)가 구비된다. 한편, 몰미(30)의 개방되어 있는 하단부에는 받침판(40)이 분리 가능한 형태로 결합되어 몰미(30)의 하단부를 개방 또는 폐쇄한다.
구체적으로, 받침판(40)은 몰미(30) 하단부 내측에 내장되도록 체결되되, 몰미(30)의 하단부 내측과 나사 결합 방식으로 체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받침판(40)은 몰미(30)와 같은 고무나 실리콘과 같이 지면에 닿았을 시 쉽게 미끄러지지 않으면서 충격을 완화시켜줄 수 있는 합성수지재질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덧붙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팡이(1)는 상기와 같이 몰미(30)의 하단부에 받침판(40)이 나사 결합 방식으로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어, 몰미(30)의 내부를 손쉽게 개방할 수 있는 구조를 갖는다. 이와 같은 구조에 의해, 몰미(30) 내부에 내장되어 있는 탄성스프링(50)이나 탄성조절유닛(60)의 파손 시 교체 및 수리가 용이한 장점을 갖는다.
도 5의 (a) 내지 (c)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탄성조절유닛의 작용을 보여주는 도면이 도시되어 있다. 도 3 내지 도 5를 참고하여 살펴보면, 탄성스프링(50)은 몰미(30)의 내부에 된다. 몰미(30)의 내부에 삽입된 탄성스프링(50)의 상단부와 하단부는 각각 지지대(20)의 하단과 받침판(40)이 상단에 접촉하게 된다. 이와 같이, 지지대(20)와 받침판(40) 사이에 탄성스프링(50)이 구비된 상태에서, 지면에 몰미(30)가 접촉하게 될 경우 탄성에너지에 의해 탄성스프링(50)이 압축 또는 신장됨으로써 지지대(20)를 상하 이동시켜 사용자에 전달되는 충격을 완화해주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팡이(1)는 사용자의 신체조건(몸무게)에 따라 탄성스프링(50)으로부터 발생되는 탄성에너지가 조절될 수 있도록 탄성조절유닛(60)이 구비된다.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탄성조절유닛(60)은 탄성스프링(50)의 길이를 조절함으로써 탄성스프링(50)으로부터 발생되는 탄성에너지를 조절하도록 구비된다. 이와 같은, 탄성조절유닛(60)은 상단고정판(62), 하단고정판(64), 신축봉(65) 및 조절판(68)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단고정판(62)은 탄성스프링(50)의 상측에 배치되어 지지대(20)의 하단과 접촉된다. 상단고정판(62)은 지지대(20)를 따라 몰미(30) 내부에서 상하 이동할 수 있도록 몰미(30)의 내부에 정합되는 형상 및 크기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하단고정판(64)은 탄성스프링(50)의 하측에 배치되어 받침판(40)의 상면에 안치된다. 여기서, 탄성스프링(50)의 상단부와 하단부는 각각 상단고정판(62)과 하단고정판(64)에 연결되는 것은 아니며, 탄성스프링(50)은 상단고정판(62)에 상단부가 연결되거나 하단고정판(64)에 하단부가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탄성스프링(50)과 상단 및 하단고정판(62, 64)의 결합관계는 후술하는 조절판(68)의 배치 위치에 따라 달라지는데, 예를 들어, 조절판(68)이 탄성스프링(50)의 상단부에 연결되면 하단고정판(64)에 탄성스프링(50)의 하단부가 체결되고, 조절판(68)이 탄성스프링(50)의 하단부에 연결되면 상단고정판(62)에 탄성스프링(50)의 상단부가 체결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탄성스프링(50)의 하단부는 하단고정판(64)에 체결되고, 상단부는 조절판(68)에 체결되는 것으로 설명하나 이를 한정하려는 것은 아니다.
신축봉(65)은 소정의 길이를 갖는 봉의 형태이며, 상단은 상단고정판(62)에 연결되고 하단은 하단고정판(64)에 연결된다. 신축봉(65)은 길이가 신장 또는 축소 가능하게 구비되며, 신축봉(65)의 길이 신축에 따라 상단고정판(62)과 하단고정판(64)의 간격이 좁아지거나 늘어나게 된다. 신축봉(65)의 길이 조절은 텔레스코픽(telescopic) 구조로 이루어진 상단신축봉(66)과 하단신축봉(67)을 통해 이루어진다.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신축봉(65)은 상단신축봉(66)과 하단신축봉(67)으로 이루어지며, 상단신축봉(66)의 하단부 내측에 하단신축봉(67)의 상단부가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내장된다. 즉, 상단신축봉(66)의 내측에 삽입된 하단신축봉(67)의 인입 또는 인출정도에 따라 신축봉(65)의 길이가 신장되거나 축소될 수 있다.
도 5를 참고하여 살펴보면, 조절판(68)은 탄성스프링(50)의 탄성에너지를 조정할 수 있도록 상단고정판(62)과 하단고정판(64) 사이에 배치된 탄성스프링(50)의 길이를 조절한다. 구체적으로, 조절판(68)은 신축봉(65)의 상단부 즉, 상단신축봉(66)을 따라 상하 이동 가능하게 구비된 상태에서 탄성스프링(50)의 상단부가 체결된다. 즉, 신축봉(65)을 따라 조절판(68)의 상하 위치를 조절해줌으로써, 조절판(68)과 하단고정판(64) 사이에 설치된 탄성스프링(50)의 길이가 조절되며, 탄성스프링(50)의 길이에 따라 탄성스프링(50)으로부터 발생하는 탄성에너지가 변화된다. 이때, 조절판(68)과 신축봉(65)은 나사 회전 방식으로 체결될 수 있다.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요소가 내재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지팡이 10:핸들
20:지지대 22:하부지지대
24:상부지지대 30:물미
40:바닥판 50:탄성스프링
60:탄성조절유닛
20:지지대 22:하부지지대
24:상부지지대 30:물미
40:바닥판 50:탄성스프링
60:탄성조절유닛
Claims (3)
- 사용자가 파지할 수 있는 핸들(10)이 구비되어 있는 지지대(20);
상단부와 하단부가 개방되어 있으며, 상단부를 통해 상기 지지대의 하단부가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내장되는 물미(30);
상기 물미의 하단부를 개폐하도록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바닥판(40); 및
상기 물미의 내부에 수용되어 상기 지지대에 탄성에너지를 제공하는 탄성스프링(50);를 포함하며,
상기 탄성스프링은 탄성조절유닛(60)에 의해 상하 길이가 조정되어 탄성에너지가 조절되며,
상기 탄성조절유닛(60)은,
상기 탄성스프링의 상측에 배치되는 상단고정판(62);
상기 탄성스프링의 하측에 배치되는 하단고정판(64);
상기 상단 및 하단고정판에 상, 하단부가 각각 고정되며, 길이가 신축 가능하게 작동하는 신축봉(65); 및
상기 탄성스프링의 상단부 또는 하단부가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신축봉을 따라 상하 이동하며 상기 탄성스프링의 길이를 신축시켜주는 조절판(68);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팡이. - 삭제
- 삭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097390A KR102018130B1 (ko) | 2018-08-21 | 2018-08-21 | 지팡이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097390A KR102018130B1 (ko) | 2018-08-21 | 2018-08-21 | 지팡이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018130B1 true KR102018130B1 (ko) | 2019-09-04 |
Family
ID=679506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80097390A KR102018130B1 (ko) | 2018-08-21 | 2018-08-21 | 지팡이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018130B1 (ko)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096747B1 (ko) * | 2019-09-20 | 2020-04-02 | 김승욱 | 신체사이즈에 대응되는 스마트목발 |
KR102161556B1 (ko) * | 2020-06-14 | 2020-10-05 | 최병일 | 길이가변식 작업 지지대 |
Citation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5699819A (en) * | 1996-12-09 | 1997-12-23 | Simons; Fred M. | Reduced impact cane |
JP2003093120A (ja) * | 2001-09-20 | 2003-04-02 | Mitsuhiro Kakizaki | バネスプリングのクッション付杖 |
US7025072B2 (en) * | 2000-11-06 | 2006-04-11 | Mcgrath Thomas Francis | Walking aid |
JP2007105364A (ja) * | 2005-10-17 | 2007-04-26 | Tetsuji Kawakami | 杖や松葉杖の先端に取り付ける石突き部材 |
US20070089770A1 (en) * | 2005-10-25 | 2007-04-26 | Park Dae S | Custom fitted crutch with two shock-absorbers |
KR100860500B1 (ko) * | 2007-06-19 | 2008-09-26 | 윤소연 | 충격 흡수 목발 |
-
2018
- 2018-08-21 KR KR1020180097390A patent/KR102018130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5699819A (en) * | 1996-12-09 | 1997-12-23 | Simons; Fred M. | Reduced impact cane |
US7025072B2 (en) * | 2000-11-06 | 2006-04-11 | Mcgrath Thomas Francis | Walking aid |
JP2003093120A (ja) * | 2001-09-20 | 2003-04-02 | Mitsuhiro Kakizaki | バネスプリングのクッション付杖 |
JP2007105364A (ja) * | 2005-10-17 | 2007-04-26 | Tetsuji Kawakami | 杖や松葉杖の先端に取り付ける石突き部材 |
US20070089770A1 (en) * | 2005-10-25 | 2007-04-26 | Park Dae S | Custom fitted crutch with two shock-absorbers |
KR100860500B1 (ko) * | 2007-06-19 | 2008-09-26 | 윤소연 | 충격 흡수 목발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096747B1 (ko) * | 2019-09-20 | 2020-04-02 | 김승욱 | 신체사이즈에 대응되는 스마트목발 |
KR102161556B1 (ko) * | 2020-06-14 | 2020-10-05 | 최병일 | 길이가변식 작업 지지대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EP1677725B1 (en) | Ergonomic collapsible crutch | |
KR102018130B1 (ko) | 지팡이 | |
US9737121B2 (en) | Adaptive pivoting and impact reduction tip assembly for walking aids | |
US20170311688A1 (en) | Adaptive Pivoting and Impact Reduction Tip Assembly for Walking Aids | |
KR100920991B1 (ko) | 지팡이 겸용 목발 | |
IT1315174B1 (it) | Bastoncino ammortizzato | |
KR100860500B1 (ko) | 충격 흡수 목발 | |
WO2007095195A3 (en) | Ambulation assistance apparatus and methods | |
CN210991557U (zh) | 一种骨科用膝关节复健辅助设备 | |
US9358424B1 (en) | Lower back stretching device | |
CN105582655A (zh) | 一种手指拉力康复装置 | |
US9358177B1 (en) | Medical crutch | |
KR101900418B1 (ko) | 접어서 부피를 감소시킬 수 있는 보행 보조기 | |
KR20170025391A (ko) | 회전형 목발 | |
CN107095409B (zh) | 一种可调节长度的旅游用登山拐杖 | |
CN208339074U (zh) | 一种多功能可伸缩调节的拐杖 | |
CN204072680U (zh) | 一种多功能拐杖 | |
WO2020099702A1 (es) | Empuñadura móvil acoplable a palos | |
CN211410019U (zh) | 一种医疗康复用可调节腋拐 | |
WO1998042292A9 (en) | Shock absorbing ambulatory assist device | |
CN217119277U (zh) | 一种老年人康复训练用回弹球训练装置 | |
CN209916088U (zh) | 一种眼睑撑开装置 | |
KR20130001653U (ko) | 절첩식 보조의자 겸용 목발 | |
CN209862961U (zh) | 可调式钢琴脚凳 | |
KR20190079721A (ko) | 충격이 흡수되는 목발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