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72486A - 생약 혼합물의 추출물을 함유하는 축농증 또는 알레르기성 비염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생약 혼합물의 추출물을 함유하는 축농증 또는 알레르기성 비염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72486A
KR20140072486A KR1020120140047A KR20120140047A KR20140072486A KR 20140072486 A KR20140072486 A KR 20140072486A KR 1020120140047 A KR1020120140047 A KR 1020120140047A KR 20120140047 A KR20120140047 A KR 20120140047A KR 20140072486 A KR20140072486 A KR 2014007248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parts
mixture
allergic rhinitis
compos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400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43047B1 (ko
Inventor
구미경
Original Assignee
구미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구미경 filed Critical 구미경
Priority to KR10201201400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43047B1/ko
Publication of KR201400724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7248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430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4304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42Cucurbitaceae (Cucumber famil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28Asteraceae or Compositae (Aster or Sunflower family), e.g. chamomile, feverfew, yarrow or echinacea
    • A61K36/288Taraxacum (dandel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53Lamiaceae or Labiatae (Mint family), e.g. thyme, rosemary or lavend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57Magnoliaceae (Magnolia family)
    • A61K36/575Magnoli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236/00Isolation or extraction methods of 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
    • A61K2236/30Extraction of the material
    • A61K2236/33Extraction of the material involving extraction with hydrophilic solvents, e.g. lower alcohols, esters or ketones
    • A61K2236/333Extraction of the material involving extraction with hydrophilic solvents, e.g. lower alcohols, esters or ketones using mixed solvents, e.g. 70% EtOH

Abstract

본 발명은 사과락, 유근피, 하고초, 포공영 및 신이의 생약 혼합물의 추출물을 함유하는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생약 혼합물의 추출물은 누런 콧물 흐름, 코막힘 등의 축농증 증상과, 맑은 콧물 흐름, 재채기 등의 알레르기성 비염 증상을 현저하게 억제하는 효과가 있어 축농증이나 알레르기성 비염 질환의 치료용 조성물로서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생약 혼합물의 추출물을 함유하는 축농증 또는 알레르기성 비염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A composition comprising extracts of herbal mixture for treating or preventing chronic sinusitis or allergic rhinitis}
본 발명은 생약 혼합물의 추출물을 함유하는 축농증 또는 알레르기성 비염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자세하게는 사과락, 유근피, 하고초, 포공영 및 신이의 생약 혼합물의 추출물을 함유하는 축농증 또는 알레르기성 비염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알레르기성 비염(allergic rhinitis)은 증세는 갑자기 연속적으로 재채기를 하고, 맑은 콧물이 다량으로 나오고 코가 막히며, 또한 동시에 머리가 무겁고 눈물이 나오기도 한다. 하루 중 아침에 일어나서 몸이 일시적으로 식었을 때에 앞에서 말한 바와 같은 증세가 일어났다가 수시간 만에 낫는 것도 있으며, 1년 중 환절기라든지 추운 계절에 많이 나타난다. 흔히 코감기로 혼동되는데 감기와는 다르며, 천식이나 두드러기를 동반하는 경우가 많다.
한편, 비염이 심해지면 축농증(만성 부비동염, chronic sinusitis)으로 진행되어 상태가 심해질 수 있는데, 축농증이 만성화되면 누런 콧물, 누런 가래와 심한 기침, 코막힘이 심해지고 코 주위 및 양 눈썹사이가 아프거나 찡한 증상이 나타나며, 두중(頭重), 신중(身重), 전신피로, 경우에 따라서는 코와 연결된 귀에도 부종이나 화농성 증상이 나타난다.
알레르기성 비염은 염증 반응을 수반하는 자가면역 질환 중의 하나로서, 알레르기성 비염이나 이로 인해 심해진 축농증을 앓는 환자들에게서는 인터루킨-4(interleukin-4, IL-4)와 인터루킨-13(IL-13)의 발현이 증가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염증반응의 산물인 COX-2의 활성이 높아지고, NO(nitrogen oxide), PGE2(prostaglandin E2), TNF-α(Tumor necrosis factor-α) 등이 생성되는 것도 확인된다.
한편, 이와 같이 알레르기성 비염이나 축농증으로 인한 코막힘으로 만성적인 산소부족현상에 시달리게 되면 뇌의 기능이 현저히 떨어진다. 따라서, 알레르기성 비염이나 축농증이 있는 어린이나 청소년들은 만성적인 피로와 학습장애를 호소하는 경우가 많으며 업무량이 많은 직장인들에게도 마찬가지로 업무효율의 저하로 인해 많은 차질을 야기한다.
양방에서는 알레르기성 비염이 있는 경우 항알레르기제나 항히스타민제, 항생제나 소염제 등을 처방하고 있다. 하지만 항히스타민제는 치료 효과가 높지 않고, 졸음이 오는 부작용이 있을 수 있으며, 코에 뿌리는 국소용 스테로이드 역시 사용하는 순간에는 증세를 없애지만 오래 사용하면 오히려 축농증을 유발할 수 있기 때문에 2주 이상 사용해선 안 된다. 항생제나 소염제 또한 일지석 증상을 완화시키는 역할을 할 뿐이다. 코막힘이 심할 경우에는 레이저 수술을 하기도 하지만, 재발 위험성이 큰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따라서, 알레르기성 비염이나 축농증을 완치할 수 있는 방법은 아직까지는 잘 알려져 있지 않다. 따라서, 부작용이 없으면서도 치료 효과가 우수한 알레르기성 비염 또는 축농증의 치료제에 대한 요구가 높아지고 있는 실정이다.
사과락(絲瓜絡)은 수세미(Lufa cylindrica)의 열매 가운데 망상의 섬유와 유관속을 말한다. 수세미는 열대 아시아 원산으로 국내 각지의 밭이나 전포에서 재배하는 덩굴성 1년초이다. 한방에서는 사과락은 경락(經絡)을 활성화하며 열을 내리고 담(痰)을 삭이는 효능이 있는 약재로서, 기관지천식, 기침해소, 알레르기성 비염, 변비 등에 치료 효과가 있고, 피부 보습, 노화 방지 등의 효과도 있다고 알려져 있다.
유근피(楡根皮)는 느릅나무과의 왕느릅나무(Ulmus macrocarpa Hance)의 코르크층을 벗긴 수피를 말하며, 플라보노이드, 사포닌, 타닌질이 많고, 맛은 달고 성질은 평하다. 비경, 위경, 폐경, 대장경에 작용하여 오줌을 잘 나오게 하고 부은 것을 내리며 대변을 통하게 하고 위장의 열을 없애는데 좋은 효능이 있으며, 염증 완화 효과가 우수하고, 치습(治濕)·이뇨제·소종독(消腫毒) 등에 효과가 있다고 알려져 있다. 다른 이름으로는 영유(零楡), 유피(楡皮) 등이 있다.
하고초(夏枯草, Prunella vulgaris)는 꿀풀이라고도 하며, 고려 때는 연밀(燕蜜)이라는 이두향명으로 불리었고, 조선시대에는 ‘져비’로 불렸다. 급성황달형 간염에 복용하면 황달이 없어지고 간기능이 정상으로 회복된다. 안과질환에도 이용되며 두통과 유방염·결핵성 임파선염 및 간기능 장애로 인한 고혈압에도 효과가 있으며, 흉막염이나 폐결핵에도 치료효과가 인정되고 있다.
포공영(蒲公英)은 민들레(dandelion, Taraxacum platycarpum)의 꽃피기 전의 전초로서, 열로 인한 종창·유방염·인후염·맹장염·복막염·급성간염·황달에 효과가 있으며, 열로 인해 소변을 못 보는 증세에도 사용한다. 민간에서는 젖을 빨리 분비하게 하는 약제로도 사용한다.
신이(辛夷)는 목련과의 백목련(Magnolia denudata Desrousseaux) 또는 동속식물의 꽃봉오리를 말린 약재(한국)이며 일본에서는 백목련(M. denudata Desr.), 망춘화(M. biondii Pamp. : 望春花), 일본신이 (M. kobus DC.: 日本辛夷), 향신이(M. salicifolia Maxim.:香辛夷), 무당옥란(M. sprengeri Pamp.: 武當玉蘭)을 사용한다. 중국에서는 백목련(M. denudata Desr), 망춘화(M. biondii Pamp. : 望春花), 무당옥란(M. sprengeri Pamp.: 武當玉蘭)을 사용하고 있다. 신이는 몸 안에 있는 차가운 기운과 풍으로 오는 코막힘, 축농증을 치료하며 콧물이 흐르며 냄새를 맡지못하는 증상, 두통이나 집중력이 떨어지는 증상, 오한, 발열, 전신통을 치료하며 가래가 많이 나오는 기침 등에 효과가 있다. 약리작용으로 수렴작용, 모세혈관 확장작용, 항염증작용, 혈압강하작용, 진통, 진정작용, 피부진균과 포도상구균 억제작용이 보고되었다. 이 약은 녹색이 진하고 방향이 강하며 꽃대 및 꽃받침이 없는 것이 좋다. 다른 이름으로 목필화(木筆花), 방목(房木), 신신(辛), 영춘(迎春), 목필(木筆), 신치(辛雉), 후도(侯桃) 등이 있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상기 축농증 또는 알레르기성 비염 치료제를 연구하던 중, 사과락, 유근피, 하고초, 포공영, 신이, 및, 이외에 으름, 지모, 황백, 금은화, 어성초 및 창이자를 추가로 함유하는 생약 혼합물의 추출물이 축농증 또는 알레르기성 비염에 대한 치료 효과가 우수함을 확인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한편, 본 발명의 선행기술들로서 한국공개특허 제2001-0068273호에는 금은화, 민들레, 창이자 추출물을 포함하는 비염, 축농증, 부비동염 치료용 조성물이, 한국공개특허 제2011-0050793호에는 어성초, 민들레 추출물을 포함하는 비염 치료용 조성물이, 한국공개특허 제2012-00869477호에는 황백, 신이 추출물을 포함하는 비염 치료용 조성물이 개시되어 있다. 또한, 한국공개특허 제2011-0036317호에는 으름 추출물을 포함하는 염증 치료용 조성물이, 한국공개특허 제2007-0079683호에는 지모 추출물을 포함하는 염증 치료용 조성물이, 한국공개특허 제2001-0077223호에는 수세미 추출물을 포함하는 비염 개선용 건강식품 조성물이, 한국공개특허 제2005-0000229호에는 유근피(느릅나무) 추출물을 포함하는 비염 치료용 조성물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선행기술에 개시된 생약 추출물은 사과락, 유근피, 하고초, 포공영, 신이, 및, 이외에 으름, 지모, 황백, 금은화, 어성초 및 창이자를 추가로 함유하는 생약 혼합물의 추출물을 함유하는 본 발명의 추출물과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을 갖는 것은 아니기에 본 발명은 상기 선행기술과는 다른 발명이라고 할 수 있다.
한국공개특허 제2001-0068273호 (알레르기 질환 예방 및 치료용 의약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2001. 07. 23. 공개) 한국공개특허 제2011-0050793호 (팔각 추출액 및 아로마 오일 혼합액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비강질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2011. 05. 17. 공개) 한국공개특허 제2012-00869477호 (소아비염 치료용 한약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2012. 08. 06. 공개) 한국공개특허 제2011-0036317호 (항염증성 조성물, 2011. 04. 07. 공개) 한국공개특허 제2007-0079683호 (계지, 지모 및 양강의 생약 혼합 추출물을 함유하는 염증관련 질환 예방 및 치료용 약학조성물, 2007. 08. 08. 공개) 한국공개특허 제2001-0077223호 (수세미를 주재로한 건강식품 및 그 제조방법, 2001. 08. 17. 공개) 한국공개특허 제2005-0000229호 (비염치료 조성물, 2005. 01. 03. 공개)
본 발명의 목적은 생약 혼합물의 추출물을 함유하는 축농증 또는 알레르기성 비염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을 제공하는 데에 있으며, 자세하게는 사과락, 유근피, 하고초, 포공영 및 신이의 생약 혼합물의 추출물을 함유하는 축농증 또는 알레르기성 비염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을 제공하는 데에 있다.
본 발명은 사과락, 유근피, 하고초, 포공영 및 신이의 생약 혼합물의 추출물을 함유하는 축농증 또는 알레르기성 비염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생약 혼합물에는, 사과락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유근피 50~200 중량부, 하고초 50~200 중량부, 포공영 50~200 중량부 및 신이 10~70 중량부가 혼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생약 혼합물에는, 사과락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으름 50~200 중량부, 지모 50~200 중량부, 황백 50~200 중량부, 금은화 50~200 중량부, 어성초 50~200 중량부 및 창이자 10~70 중량부 중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생약이 첨가될 수 있다.
상기 생약 혼합물의 추출물은, 사과락, 유근피, 하고초, 포공영 및 신이의 생약 혼합물을, 물, C1 내지 C4의 저급 알코올 또는 이들의 혼합용매로 추출하여 제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생약 혼합물의 추출물을 함유하는 축농증 또는 알레르기성 비염의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식품을 제공한다.
또다른 형태로서, 본 발명은,
(1공정) 사과락 100 중량부, 유근피 50~200 중량부, 하고초 50~200 중량부, 포공영 50~200 중량부 및 신이 10~70 중량부를 혼합하여 생약 혼합물을 제조하는 단계;
(2공정) 상기 1공정의 생약 혼합물에, 상기 생약 혼합물 전체 중량 2~20배의 추출용매를 혼합하여 70~100℃에서 1~10시간 동안 추출하는 단계; 및,
(3공정) 상기 2공정의 추출물의 고형분을 제거하고 여액을 수거하는 단계;를 통해 얻을 수 있다.
상기 추출용매는 물, C1 내지 C4의 저급 알코올 또는 이들의 혼합용매를 이용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상기 생약 혼합물의 추출물은 C1 내지 C4의 저급 알코올 또는 물과의 혼합용매를 이용할 경우에는 상기 추출물을 감압농축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물을 이용하여 추출하였을 경우에는 고형분을 제거한 여액을 바로 이용할 수 있으며, 이를 감압농축한 농축액 형태로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생약 혼합물의 추출물은 상법에 따라, 유기용매(알코올, 에테르, 아세톤 등)에 의한 추출, 헥산과 물의 분배, 칼럼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한 방법 등, 식물체 성분의 분리 추출에 이용되는 공지의 방법을 단독 또는 적합하게 조합한 방법을 이용하여 분획 또는 정제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크로마토그래피는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silica gel column chromatography), 엘에이취-20 컬럼 크로마토그래피(LH-20 column chromatography), 이온교환수지 크로마토그래피(ion exchange resin chromatography), 중압 액체 크로마토그래피(medium pressure liquid chromatography), 박층 크로마토그래피(TLC; thin layer chromatography), 실리카겔 진공 액체 크로마토그래피(silica gel vacuum liquid chromatography) 및 고성능 액체 크로마토그래피(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중에서 선택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사과락, 유근피, 하고초, 포공영 및 신이의 생약 혼합물의 추출물을 함유하는 축농증 또는 알레르기성 비염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생약 혼합물의 추출물을 포함하는 약학 조성물은, 각각 통상의 방법에 따라 산제, 과립제, 정제, 캡슐제, 현탁액, 에멀젼, 시럽, 에어로졸 등의 경구형 제형, 외용제, 좌제 및 멸균 주사용액의 형태로 제형화하여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약학 조성물에 포함될 수 있는 담체, 부형제 및 희석제로는 락토즈, 덱스트로즈, 수크로스, 솔비톨, 만니톨, 자일리톨, 에리스리톨, 말티톨, 전분, 아카시아 고무, 알지네이트, 젤라틴, 칼슘 포스페이트, 칼슘 실리케이트, 셀룰로즈, 메틸 셀룰로즈, 미정질 셀룰로스, 폴리비닐 피롤리돈, 물, 메틸히드록시벤조에이트, 프로필히드록시벤조에이트, 탈크,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및 광물유를 들 수 있다. 제제화할 경우에는 보통 사용하는 충진제, 증량제, 결합제, 습윤제, 붕해제, 계면활성제 등의 희석제 또는 부형제를 사용하여 조제된다. 경구투여를 위한 고형제제에는 정제, 환제, 산제, 과립제, 캡슐제 등이 포함되며, 이러한 고형제제는 본 발명의 생약 혼합물의 추출물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형제, 예를 들면, 전분, 탄산칼슘, 수크로스 또는 락토오스, 젤라틴 등을 섞어 조제된다. 또한 단순한 부형제 이외에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탈크 같은 윤활제들도 사용된다. 경구를 위한 액상 제제로는 현탁제, 내용액제, 유제, 시럽제 등이 해당되는데 흔히 사용되는 단순희석제인 물, 리퀴드 파라핀 이외에 여러 가지 부형제, 예를 들면 습윤제, 감미제, 방향제, 보존제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비경구 투여를 위한 제제에는 멸균된 수용액, 비수성용제, 현탁제, 유제, 동결건조 제제, 좌제가 포함된다. 비수성용제, 현탁제로는 프로필렌글리콜, 폴리에틸렌글리콜, 올리브 오일과 같은 식물성 기름, 에틸올레이트와 같은 주사 가능한 에스테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좌제의 기제로는 위텝솔(witepsol), 마크로골, 트윈(tween) 61, 카카오지, 라우린지, 글리세로제라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사과락, 유근피, 하고초, 포공영 및 신이의 생약 혼합물의 추출물을 함유하는 축농증 또는 알레르기성 비염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의 투여량은 치료받을 대상의 연령, 성별, 체중과, 치료할 특정 질환 또는 병리 상태, 질환 또는 병리 상태의 심각도, 투여경로 및 처방자의 판단에 따라 달라질 것이다. 이러한 인자에 기초한 투여량 결정은 당업자의 수준 내에 있으며, 일반적으로 투여량은 0.01㎎/㎏/일 내지 대략 2000㎎/㎏/일의 범위이다. 더 바람직한 투여량은 1㎎/㎏/일 내지 500㎎/㎏/일이다. 투여는 하루에 한번 투여할 수도 있고, 수회 나누어 투여할 수도 있다. 상기 투여량은 어떠한 면으로든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사과락, 유근피, 하고초, 포공영 및 신이의 생약 혼합물의 추출물을 함유하는 축농증 또는 알레르기성 비염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은 쥐, 가축, 인간 등의 포유동물에 다양한 경로로 투여될 수 있다. 투여의 모든 방식은 예상될 수 있는데, 예를 들면, 경구, 직장 또는 정맥, 근육, 피하, 자궁내 경막 또는 뇌혈관내 주사에 의해 투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합물은 독성 및 부작용이 거의 없으므로 예방 목적으로 장기간 복용시에도 안심하고 사용할 수 있는 약제이다.
또한, 본 발명은 사과락, 유근피, 하고초, 포공영 및 신이의 생약 혼합물의 추출물 및 식품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식품보조 첨가제를 포함하는 알레르기성 비염 또는 축농증의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식품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건강기능식품은 정제, 캡슐제, 환제 또는 액제 등의 형태를 포함하며, 본 발명의 추출물을 첨가할 수 있는 식품으로는, 예를 들어, 각종 식품류, 음료, 껌, 차, 비타민 복합제, 건강기능성식품류 등이 있다.
한편, 사과락, 유근피, 하고초, 포공영 및 신이의 생약 혼합물의 추출물을 함유하는 축농증 또는 알레르기성 비염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이나 건강기능식품은 파우치 형태에 멸균 포장되어 복용하기 용이한 형태로서 제공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사과락, 유근피, 하고초, 포공영 및 신이의 생약 혼합물의 추출물을 함유하는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생약 혼합물의 추출물은 누런 콧물 흐름, 코막힘 등의 축농증 증상과, 맑은 콧물 흐름, 재채기 등의 알레르기성 비염 증상을 현저하게 억제하는 효과가 있어 축농증이나 알레르기성 비염 질환의 치료용 조성물로서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생약 혼합물의 추출물을 제조하는 공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오히려, 여기서 소개되는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지고,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을 충분히 전달하기 위해 제공하는 것이다.
< 실시예 1. 생약 혼합물의 추출물 제조>
하기 표 1의 조건으로 생약을 혼합한 후, 물 8kg을 넣어 100℃에서 4시간 동안 한약 추출기를 이용하여 추출하였고, 고형분을 제거하여 각각의 생약 혼합물의 추출물을 얻었다.
Figure pat00001
< 비교예 1. 비교대상 생약 혼합물의 추출물 제조>
하기 표 2의 조건으로 생약을 혼합한 후, 물 8kg을 넣어 100℃에서 4시간 동안 한약 추출기를 이용하여 추출하였고, 고형분을 제거하여 각각의 생약 혼합물의 추출물을 얻었다.
Figure pat00002
< 실험예 1. 염증 매개 인자인 PGE 2 TNF -α의 정량>
Murine macrophage cell line인 RAW 264.7 세포(4.0×105cells/㎖)를 18시간 전배양하고 상기 각 샘플(실시예 1 및 비교예 1의 조성물을 동결건조하여 제조한 분말을 PBS[posphate buffered saline]에 녹여 사용, 최종농도 100㎍/㎖)을 LPS(1㎍/㎖)와 동시처리하여 24시간 배양하였다. 24시간 후 배양 배지를 원심분리(12,000rpm, 3min)하여 얻어진 상층액의 PGE2 및 TNF-α의 함량을 측정하였다. 정량은 ELISA kit(kitmurine enzyme-linked immunosorbent assay kit)를 이용하여 정량하였으며, 이에 대한 결과는 무처리군을 음성대조군으로 하고, 추출물은 처리하지 않고 LPS만 처리한 군을 양성대조군으로 하여, 상기 양성대조군에 대한 억제율로서 표 3에 나타내었다.

조건
억제율(%)
PGE2 TNF-α
실시예 1-1 43.2 45.5
실시예 1-2 47.6 43.8
실시예 1-3 45.5 47.4
실시예 1-4 48.3 46.9
실시예 1-5 42.7 43.3
실시예 1-6 64.4 64.8
실시예 1-7 69.3 68.4
실시예 1-8 65.3 67.5
실시예 1-9 81.8 77.6
실시예 1-10 50.2 57.0
실시예 1-11 57.3 50.7
실시예 1-12 54.5 55.8
실시예 1-13 55.7 59.6
실시예 1-14 56.0 55.7
실시예 1-15 58.7 57.5
비교예 1-1 11.6 14.4
비교예 1-2 12.8 13.9
비교예 1-3 16.4 12.5
비교예 1-4 9.5 17.6
비교예 1-5 10.6 13.4
표 3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생약 추출물의 혼합물이 TNF-α, IL-6 및 PGE2의 염증 인자의 발현을 현저하게 억제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어, 알레르기성 비염이나 축농증에 수반되는 염증 반응에 대한 치료효과가 우수할 것으로 예상되었다.
또한, 사과락, 유근피, 하고초, 포공영 및 신이만을 포함한 실시예 1-1 내지 1-5의 조성물보다도, 상기 5가지의 주요 생약 외에 으름, 지모, 황백, 금은화, 어성초 및 창이자 중의 생약을 추가한 실시예 1-6 내지 1-15의 조성물이 염증 인자의 발현에 대한 억제 효과가 우수함을 알 수 있었으며, 추가되는 생약의 종류가 더 많을수록 그 효과가 증가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에 비해 사과락, 유근피, 하고초, 포공영 및 신이 중 3가지 생약만 포함된 비교예 1-1 내지 1-4의 조성물이나 비교예 1-5에서처럼 상기 사과락, 유근피, 하고초, 포공영 및 신이가 모두 포함된다 할지라도 생약의 혼합비율이 본 발명과 다른 경우에는 염증 인자의 발현에 대한 억제 효과가 거의 나타나지 않아 본 발명의 사과락, 유근피, 하고초, 포공영 및 신이의 혼합비율이 염증 억제 효과에 영향을 주는 것을 알 수 있었다.
< 실험예 2. 인터루킨-4 및 인터루킨-13의 발현 여부 측정>
6주령 마우스(Balb/c)를 마취한 후, 복부를 절개하여 비장을 절취하여 배양 배지로 옮긴 후, 파쇄하여 세포를 수득하였다. 상기에서 수득된 세포에서 적혈구 세포를 제거한 후, 수차례 수세한 다음, 10% 우태아혈청이 첨가된 RPMI 1640 배지에서 배양하였다. 이 때, 세포배양액에 각 샘플(실시예 1 및 비교예 1의 조성물을 동결건조하여 제조한 분말)을 PBS(posphate buffered saline에 녹여 최종농도 100㎍/㎖로 첨가)을 12시간 동안 처리한 후, 콘카나발린 A(concanavalin A, 10㎍/㎖)를 24시간 동안 처리하여 세포의 분화를 유도한 다음, ELISA kit(kitmurine enzyme-linked immunosorbent assay kit)를 이용하여 세포에서 분비되는 인터루킨-4 또는 인터루킨-13의 활성 정도를 측정하였으며, 측정 결과는 하기 표 4에 나타내었다.
Figure pat00003
표 4의 결과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생약 추출물의 혼합물이 인터루킨-4 및 인터루킨-13을 현저하게 억제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기에, 알레르기성 염증 및 이로 인해 발생되는 축농증에 치료효과가 우수할 것으로 예상되었다.
한편, 또한, 사과락, 유근피, 하고초, 포공영 및 신이만을 포함한 실시예 1-1 내지 1-5의 조성물보다도, 상기 5가지의 주요 생약 외에 으름, 지모, 황백, 금은화, 어성초 및 창이자 중의 생약을 추가한 실시예 1-6 내지 1-15의 조성물이 인터루킨 -4 및 인터루킨-13의 발현 억제 효과가 우수함을 알 수 있었다.
이에 비해 사과락, 유근피, 하고초, 포공영 및 신이 중 3가지 생약만 포함된 비교예 1-1 내지 1-4의 조성물이나 비교예 1-5에서처럼 상기 사과락, 유근피, 하고초, 포공영 및 신이가 모두 포함된다 할지라도 생약의 혼합비율이 본 발명과 다른 조성물의 경우에는 염증 억제 효과가 거의 나타나지 않아 본 발명의 사과락, 유근피, 하고초, 포공영 및 신이의 혼합비율이 인터루킨-4 및 인터루킨-13의 발현 억제 효과에 영향을 주는 것을 알 수 있었다.
< 실험예 3. 생약 추출물의 축농증 치료 효과 확인>
실시예 1 및 비교예 1의 각 추출물 별로 7명씩의 축농증 환자들에게 상기 추출물을 30일간, 매일 하루 3번 110㎖씩 식후 2시간 후에 복용하게 하였으며, 30일간의 복용 후, 각 환자들에게 축농증 치료 효과를 치료 전의 결과와 비교한 표 5의 ‘축농증 증상 지수’를 기준으로 확인하였다. 상기 축농증 환자들은 2009년 1월 1일부터 2011년 12월 31일까지 양방병원에서 축농증 진단을 받은 환자들이었으며, 남녀노소를 모두 포함하는 사람들을 대상으로 확인하였고 결과는 표 6에 나타내었다.
축농증 증상 지수
1점: 누런 콧물이 흐르고 코막힘, 두통이 심함, 치료 전과 변화 없음
2점: 치료 전에 비해 누런 콧물 흐름과 코막힘, 두통이 20% 정도 줄어듦
3점: 치료 전에 비해 누런 콧물 흐름과 코막힘, 두통이 50% 정도 줄어듦
4점: 치료 전에 비해 누런 콧물 흐름과 코막힘, 두통이 80% 정도 줄어듦
5점: 치료 전에 비해 누런 콧물 흐름과 코막힘, 두통이 완전히 사라짐
조건 축농증 증상 지수 평균값
실시예 1-1 3.2
실시예 1-2 3.6
실시예 1-3 3.5
실시예 1-5 3.7
실시예 1-6 4.4
실시예 1-8 4.3
실시예 1-9 4.8
비교예 1-1 1.6
비교예 1-2 1.8
비교예 1-3 1.4
비교예 1-4 1.5
비교예 1-5 1.6
대조군(비복용) 1.0
상기 표 6의 결과를 참고하면, 실시예 1의 조성물이 비교예 1의 조성물에 비해 현저한 축농증 치료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사과락, 유근피, 하고초, 포공영 및 신이만을 포함한 실시예 1-1 내지 1-3의 조성물보다도, 상기 5가지의 주요 생약 외에 으름, 지모, 황백, 금은화, 어성초 및 창이자 중의 생약을 추가한 실시예 1-5, 1-6, 1-8 및 1-9의 조성물이 축농증 치료 효과가 더 좋음을 알 수 있었으며, 특히 6종의 생약이 모두 포함된 실시예 1-9의 조성물이 축농증 치료 효과가 가장 좋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한편, 사과락, 유근피, 하고초, 포공영 및 신이 중 3가지 생약이 포함된 비교예 1-1 내지 1-4의 조성물은 실시예 1에 비해 축농증 치료 효과가 낮았으며, 특히 비교예 1-5에서처럼 상기 사과락, 유근피, 하고초, 포공영 및 신이가 모두 포함된다 할지라도 생약의 혼합비율이 본 발명과 다른 조성물의 경우에는 축농증 치료 효과가 떨어지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따라서, 상기 사과락, 유근피, 하고초, 포공영 및 신이의 혼합비율이 축농증 치료효과에 큰 영향을 주는 것을 알 수 있었다.
< 실험예 4. 생약 추출물의 알레르기성 비염 치료 효과 확인>
실시예 1 및 비교예 1의 각 추출물 별로 7명씩의 알레르기성 비염 환자들에게 상기 추출물을 30일간, 매일 하루 3번 110㎖씩 식후 2시간 후에 복용하게 하였으며, 30일간의 복용 후, 각 환자들에게 알레르기성 비염의 치료 효과는 치료 전의 결과와 비교한 표 7의 ‘알레르기성 비염 증상 지수’를 기준으로 확인하였다. 상기 알레르기성 비염 환자들은 2009년 1월 1일부터 2011년 12월 31일까지 양방병원에서 알레르기성 비염을 진단받은 환자들이었다. 실험은 남녀노소를 모두 포함하는 사람들을 대상으로 확인하였으며, 결과는 표 8에 나타내었다.
알레르기성 비염 증상 지수
1점: 맑은 콧물이 심하게 흐르고 재채기, 코막힘이 심함, 치료 전과 변화 없음
2점: 치료 전에 비해 맑은 콧물 흐름과 재채기, 코막힘이 20% 정도 줄어듦
3점: 치료 전에 비해 맑은 콧물 흐름과 재채기, 코막힘이 50% 정도 줄어듦
4점: 치료 전에 비해 맑은 콧물 흐름과 재채기, 코막힘이 80% 정도 줄어듦
5점: 치료 전에 비해 맑은 콧물 흐름과 재채기, 코막힘 증상이 완전히 사라짐
조건 알레르기성 비염 증상 지수 평균값
실시예 1-1 3.5
실시예 1-2 3.4
실시예 1-3 3.6
실시예 1-5 3.7
실시예 1-6 4.2
실시예 1-8 4.3
실시예 1-9 4.7
비교예 1-1 1.8
비교예 1-2 1.9
비교예 1-3 1.7
비교예 1-4 1.3
비교예 1-5 1.4
대조군(비복용) 1.0
상기 표 8의 결과를 참고하면, 실시예 1의 조성물이 비교예 1의 조성물에 비해 현저한 알레르기성 비염 치료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축농증 치료 효과와 마찬가지로, 사과락, 유근피, 하고초, 포공영 및 신이만을 포함한 실시예 1-1 내지 1-3의 조성물보다도, 상기 5가지의 주요 생약 외에 으름, 지모, 황백, 금은화, 어성초 및 창이자 중의 생약을 추가한 실시예 1-5, 1-6, 1-8 및 1-9의 조성물이 알레르기성 비염의 치료 효과가 더 좋음을 알 수 있었으며, 특히 6종의 생약이 모두 포함된 실시예 1-9의 조성물이 알레르기성 비염의 치료 효과도 가장 좋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한편, 사과락, 유근피, 하고초, 포공영 및 신이 중 3가지 생약이 포함된 비교예 1-1 내지 1-4의 조성물이나 비교예 1-5에서처럼 상기 사과락, 유근피, 하고초, 포공영 및 신이가 모두 포함된 조성물 모두 알레르기성 비염의 치료 효과가 떨어지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따라서, 상기 사과락, 유근피, 하고초, 포공영 및 신이가 모두 포함되는 것 이외에도 역시 각 생약의 혼합비율이 알레르기성 비염의 치료효과에 큰 영향을 주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실험예 5. 독성실험>
실험예 5-1. 급성독성
본 발명의 실시예 1-1 및 1-9의 생약 혼합물의 추출물(동결건조물)을 단기간에 과량을 섭취하였을 때 급성적(24시간 이내)으로 동물체내에 미치는 독성을 조사하고, 치사율을 결정하기 위하여 본 실험을 수행하였다. 일반적인 마우스인 ICR 마우스 계통 30마리를 대조군과 실험군에 각각 10마리씩 배정하였다. 대조군에는 PEG-400/tween-80/EtOH(8/1/1, v/v/v) 만을 투여하고, 실험군은 본 발명의 실시예 1-1 및 1-9의 생약 혼합물의 추출물을 상기 PEG-400/tween-80/EtOH(8/1/1, v/v/v)에 녹여 각각 경구투여하였다. 투여 24시간 후에 각각의 치사율을 조사한 결과, 대조군과 2g/㎏/day 농도의 본 발명의 실시예 1-1 및 1-9의 생약 혼합물의 추출물을 투여한 실험군에서 마우스가 모두 생존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실험예 5-2. 실험군 및 대조군의 장기 및 조직 독성 실험
장기 독성 실험은 본 발명의 실시예 1-1 및 1-9의 생약 혼합물의 추출물(동결건조물)을 각 농도로 8주 동안 C57BL/6J 마우스(각 군당 10마리)에 투여하여 실험하였다. 동물의 각 장기(조직)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 1-1 및 1-9의 생약 혼합물의 추출물을 투여한 실험군과 PEG-400/tween-80/EtOH(8/1/1, v/v/v)만을 투여한 대조군의 동물들로부터 8주 후 혈액을 채취하여 GPT(glutamate-pyruvate transferase) 및 BUN(blood urea nitrogen)의 혈액 내 농도를 Select E(Vital Scientific NV, Netherland) 기기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그 결과, 간독성과 관계있는 것으로 알려진 GPT와 신장독성과 관계있는 것으로 알려진 BUN의 경우, 대조군과 비교하여 실험군은 별다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또한, 각 동물로부터 간과 신장을 절취하여 통상적인 조직절편 제작과정을 거쳐 광학현미경으로 조직학적 관찰을 시행하였으며 모든 조직에서 특이한 이상이 관찰되지 않았다.
<제제예 1 : 약학적 제제>
1-1. 정제의 제조
본 발명의 실시예 1-1 또는 1-9의 생약 혼합물의 추출물(동결건조물) 200g을 락토오스 175.9g, 감자전분 180g 및 콜로이드성 규산 32g과 혼합하였다. 이 혼합물에 10% 젤라틴 용액을 첨가시킨 후, 분쇄해서 14 메쉬체를 통과시켰다. 이것을 건조시키고 여기에 감자전분 160g, 활석 50g 및 스테아린산 마그네슘 5g을 첨가해서 얻은 혼합물을 정제로 만들었다.
1-2. 주사액제의 제조
본 발명의 실시예 1-1 또는 1-9의 생약 혼합물의 추출물(동결건조물) 1g, 염화나트륨 0.6g 및 아스코르브산 0.1g을 증류수에 용해시켜서 100㎖를 만들었다. 이 용액을 병에 넣고 20℃에서 30분간 가열하여 멸균시켰다.
<제제예 2 : 식품 제조>
2-1. 조리용 양념의 제조
본 발명의 실시예 1-1 또는 1-9의 생약 혼합물의 추출물(동결건조물)을 조리용 양념에 1 중량%로 첨가하여 건강 증진용 조리용 양념을 제조하였다.
2-2. 밀가루 식품의 제조
본 발명의 실시예 1-1 또는 1-9의 생약 혼합물의 추출물(동결건조물)을 밀가루에 0.1 중량%로 첨가하고, 이 혼합물을 이용하여 빵, 케이크, 쿠키, 크래커 및 면류를 제조하여 건강 증진용 식품을 제조하였다.
2-3. 스프 및 육즙(gravies)의 제조
본 발명의 실시예 1-1 또는 1-9의 생약 혼합물의 추출물(동결건조물)을 스프 및 육즙에 0.1 중량%로 첨가하여 건강 증진용 수프 및 육즙을 제조하였다.
2-4. 유제품(dairy products)의 제조
본 발명의 실시예 1-1 또는 1-9의 생약 혼합물의 추출물(동결건조물)을 우유에 0.1 중량%로 첨가하고, 상기 우유를 이용하여 버터 및 아이스크림과 같은 다양한 유제품을 제조하였다.
2-5. 야채주스 제조
본 발명의 실시예 1-1 또는 1-9의 생약 혼합물의 추출물(동결건조물) 0.5g을 토마토주스 또는 당근주스 1,000㎖에 가하여 건강 증진용 야채주스를 제조하였다.
2-6. 과일주스 제조
본 발명의 실시예 1-1 또는 1-9의 생약 혼합물의 추출물(동결건조물) 0.1g을 사과주스 또는 포도주스 1,000㎖에 가하여 건강 증진용 과일주스를 제조하였다.

Claims (9)

  1. 사과락, 유근피, 하고초, 포공영 및 신이의 생약 혼합물의 추출물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농증 또는 알레르기성 비염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생약 혼합물에는, 사과락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유근피 50~200 중량부, 하고초 50~200 중량부, 포공영 50~200 중량부 및 신이 10~70 중량부가 혼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농증 또는 알레르기성 비염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생약 혼합물에는, 사과락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으름 50~200 중량부, 지모 50~200 중량부, 황백 50~200 중량부, 금은화 50~200 중량부, 어성초 50~200 중량부 및 창이자 10~70 중량부 중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생약이 첨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농증 또는 알레르기성 비염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생약 혼합물의 추출물은, 사과락, 유근피, 하고초, 포공영 및 신이의 생약 혼합물을, 물, C1 내지 C4의 저급 알코올 또는 이들의 혼합용매로 추출하여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농증 또는 알레르기성 비염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5. 사과락, 유근피, 하고초, 포공영 및 신이의 생약 혼합물의 추출물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농증 또는 알레르기성 비염의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생약 혼합물에는, 사과락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유근피 50~200 중량부, 하고초 50~200 중량부, 포공영 50~200 중량부 및 신이 10~70 중량부가 혼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농증 또는 알레르기성 비염의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생약 혼합물에는, 사과락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으름 50~200 중량부, 지모 50~200 중량부, 황백 50~200 중량부, 금은화 50~200 중량부, 어성초 50~200 중량부 및 창이자 10~70 중량부 중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생약이 첨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농증 또는 알레르기성 비염의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생약 혼합물의 추출물은, 사과락, 유근피, 하고초, 포공영 및 신이의 생약 혼합물을, 물, C1 내지 C4의 저급 알코올 또는 이들의 혼합용매로 추출하여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농증 또는 알레르기성 비염의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9. (1공정) 사과락 100 중량부, 유근피 50~200 중량부, 하고초 50~200 중량부, 포공영 50~200 중량부 및 신이 10~70 중량부를 혼합하여 생약 혼합물을 제조하는 단계;
    (2공정) 상기 1공정의 생약 혼합물에, 상기 생약 혼합물 전체 중량 2~20배의 추출용매를 혼합하여 70~100℃에서 1~10시간 동안 추출하는 단계; 및,
    (3공정) 상기 2공정의 추출물의 고형분을 제거하고 여액을 수거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약 혼합물의 추출물의 제조방법.
KR1020120140047A 2012-12-05 2012-12-05 생약 혼합물의 추출물을 함유하는 축농증 또는 알레르기성 비염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44304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40047A KR101443047B1 (ko) 2012-12-05 2012-12-05 생약 혼합물의 추출물을 함유하는 축농증 또는 알레르기성 비염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40047A KR101443047B1 (ko) 2012-12-05 2012-12-05 생약 혼합물의 추출물을 함유하는 축농증 또는 알레르기성 비염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72486A true KR20140072486A (ko) 2014-06-13
KR101443047B1 KR101443047B1 (ko) 2014-09-22

Family

ID=511263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40047A KR101443047B1 (ko) 2012-12-05 2012-12-05 생약 혼합물의 추출물을 함유하는 축농증 또는 알레르기성 비염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43047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547501A (zh) * 2015-01-01 2015-04-29 任毅 一种治疗急性鼻窦炎的儿童中药配方
CN105267669A (zh) * 2014-07-02 2016-01-27 李一圣 一种治疗慢性鼻窦炎的中药复方及其制备方法
WO2020116691A1 (ko) * 2018-12-07 2020-06-11 정현우 신이 팅쳐를 함유하는 감기용 아로마 조성물
WO2020130166A1 (ko) * 2018-12-18 2020-06-25 동국대학교 산학협력단 신이 추출물을 포함하는 알레르기 비염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54608B1 (ko) * 2000-01-03 2002-09-30 김형민 알레르기 질환 예방 및 치료용 의약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267669A (zh) * 2014-07-02 2016-01-27 李一圣 一种治疗慢性鼻窦炎的中药复方及其制备方法
CN104547501A (zh) * 2015-01-01 2015-04-29 任毅 一种治疗急性鼻窦炎的儿童中药配方
WO2020116691A1 (ko) * 2018-12-07 2020-06-11 정현우 신이 팅쳐를 함유하는 감기용 아로마 조성물
WO2020130166A1 (ko) * 2018-12-18 2020-06-25 동국대학교 산학협력단 신이 추출물을 포함하는 알레르기 비염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43047B1 (ko) 2014-09-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15274B1 (ko) 감국 추출물 또는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염증 질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0847439B1 (ko) 낙석등 추출물을 함유하는 염증성 질환 예방 및 치료용약제
KR101751398B1 (ko) 당귀, 산수유, 녹용, 홍삼, 숙지황, 침향 및 벌꿀을 포함하는 항염증 조성물
KR101443047B1 (ko) 생약 혼합물의 추출물을 함유하는 축농증 또는 알레르기성 비염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567235B1 (ko) 염증성 장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AU2006209110A1 (en)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treating nephropathy and healthy food comprising herb extracts
KR101348729B1 (ko) 유데스만계 화합물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조성물
KR100675618B1 (ko) 삼백초 추출물을 포함하는 천식 또는 알러지성 질환의 예방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851167B1 (ko) 조팝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알러지성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20130130580A (ko) 혼합 약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통풍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및 그 제조 방법
KR101491493B1 (ko) 감귤 과피 및 구아바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염증 약학 조성물
KR101119410B1 (ko) 회향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염증성 질환 치료 및 예방용 조성물
JP5709762B2 (ja) シサムペロスパレイラ(雅紅隆)エキスの抗デング熱活性
KR101701124B1 (ko) 모로헤이야, 대황, 황련 및 당귀 생약 혼합 추출물을 함유하는 간 기능 개선 효과가 있는 조성물
KR20140137796A (ko) 우슬, 마가목 및 콩 추출물을 포함하는 관절 통증 완화용 식품 조성물
KR20210122367A (ko) 알레르기성 비염 치료를 위한 오가피, 교맥 및 목과 추출물을 포함한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Ali et al. Immunogenetic disorders: Treatment with phytomedicines
US11389498B2 (en) Anti-inflammatory composition and composition for treatment of inflammatory disease, both comprising composite plant extract
KR101119647B1 (ko) 사상자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염증성 질환 치료 및 예방용 조성물
KR101088299B1 (ko) 생약 추출물을 함유하는 신장염 질환 예방 및 치료용 약학 조성물
KR101131719B1 (ko) 백두옹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염증성 질환 치료 및 예방용 조성물
KR101967173B1 (ko) 뽕나무로부터 분리된 화합물을 포함하는 염증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607545B1 (ko) 생약추출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관절염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Goswami et al. Andrographis paniculata (Kalmegh): A critical study on medicinal effects
KR100836559B1 (ko) 염증성 질환 치료 및 예방에 유용한 녹제초 추출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